KR102295311B1 - 원뿔형 드럼 커터 및 이를 구비한 굴삭기 - Google Patents

원뿔형 드럼 커터 및 이를 구비한 굴삭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5311B1
KR102295311B1 KR1020200049945A KR20200049945A KR102295311B1 KR 102295311 B1 KR102295311 B1 KR 102295311B1 KR 1020200049945 A KR1020200049945 A KR 1020200049945A KR 20200049945 A KR20200049945 A KR 20200049945A KR 102295311 B1 KR102295311 B1 KR 1022953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cutter
hydraulic motor
conical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99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대륙
Original Assignee
권대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대륙 filed Critical 권대륙
Priority to KR10202000499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5311B1/ko
Priority to PCT/KR2021/005134 priority patent/WO2021215861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53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53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9/00Tunnels or galleries, with or without linings; Methods or apparatus for making thereof; Layout of tunnels or galleries
    • E21D9/10Making by using boring or cutting machines
    • E21D9/1006Making by using boring or cutting machines with rotary cutting too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9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 E02F3/965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of metal-cutting or concrete-crushing imp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10/00Drill bits
    • E21B10/46Drill bits characterised by wear resisting parts, e.g. diamond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2Exca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hov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굴삭기의 아암에 연결되는 연결프레임; 상기 연결프레임 내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고, 유압에 의해 구동하는 유압모터; 상기 유압모터에 의해 회전하도록 상기 연결프레임의 전단에 설치되고, 원뿔형으로 이루어지는 회전드럼; 및 상기 회전드럼에 회전중심으로부터 나선형으로 다수로 배열되도록 마련되는 커터;를 포함하는 원뿔형 드럼 커터 및 이를 구비한 굴삭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굴삭기의 드럼 커터를 원뿔형으로 구성할 뿐만 아니라, 커터의 효율적인 배치 구조와 유압모터의 효율적인 동력 사용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강력한 파쇄력을 발생하도록 하여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프로파일링, 트렌칭, 연암파쇄, 석산작업, 철거 등과 같은 다양한 용도로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버켓이나 유압브레이커 등에 비하여, 작업 대상의 강도 범위가 넓어 활용도가 뛰어나도록 할 수 있으며, 유압모터의 교체가 용이한 조립식 어셈블리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유지 및 보수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원뿔형 드럼 커터 및 이를 구비한 굴삭기{Conical drum cutter and excavator with the same}
본 발명은 드럼 커터 및 이를 구비한 굴삭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굴삭기의 드럼 커터를 원뿔형으로 구성할 뿐만 아니라, 커터의 효율적인 배치 구조와 유압모터의 효율적인 동력 사용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강력한 파쇄력을 발생하도록 하여 작업 효율을 향상시키고, 다양한 용도로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작업 대상의 강도 범위가 넓어 활용도가 뛰어나며, 유압모터의 교체가 용이한 조립식 어셈블리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유지 및 보수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원뿔형 드럼 커터 및 이를 구비한 굴삭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굴삭기는 건축 및 토목 공사시, 땅을 파거나 메우는 굴삭작업, 경토ㆍ암반 파쇄 등의 브레이커 작업, 흙다짐과 같은 컴팩터 작업, 절단 등의 크라샤 작업을 수행하도록 하는 건설기계를 말한다.
이러한 굴삭기는 보통 주행 동력을 얻기 위해 디젤 엔진 등의 엔진을 탑재하고 있고, 이 엔진의 힘을 이용하여 유압 펌프를 구동하며, 유압 펌프에서 토출되는 작동유를 유압 모터나 유압 실린더 등의 유압 액추에이터로 공급함으로써 주행용 크롤러 또는 타이어의 회전이나, 붐, 아암, 버켓 등의 각 작업 부위를 동작시키고 있다.
이러한 굴삭기는 굴삭작업을 위하여, 아암의 단부에 커터가 마련되는데, 종래 굴삭기의 커터와 관련되는 기술로는,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288999호의 "터널공사용 굴진장치"가 개시된 바 있다. 이는 굴삭기 등의 아암 선단에 선택적으로 장착될 수 있도록 아암 결합부를 가지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 고정 설치되는 모터;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베어링을 매개로 상기 베이스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외면 전체에 걸쳐 다수의 파쇄용 비트가 밤송이처럼 돌출 형성되며, 선단이 불룩한 유선 형태로 폐쇄되어 있는 원통형 용기 형상의 드럼을 포함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은 굴삭과 관련되는 다양한 작업에 확대 적용하는데 한계를 가짐으로써, 활용도를 높이기 어렵고, 굴삭 효율 면에서 유리한 구조를 제공하지 못함으로써,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게 되었다.
또한, 종래의 굴삭기에는 아치형 드럼 커터를 구비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커터가 아치형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역시 효율이 저하되고, 유압모터가 프레임에 용접되어 있기 때문에, 유압모터의 수리 또는 교체를 위한 분리가 불가능하여, 유압모터에 연결된 유압베이스에 문제가 있으면, 굴삭기 전체를 사용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상기한 종래 기술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굴삭기의 드럼 커터를 원뿔형으로 구성할 뿐만 아니라, 커터의 효율적인 배치 구조와 유압모터의 효율적인 동력 사용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강력한 파쇄력을 발생하도록 하여 작업 효율을 향상시키고, 프로파일링, 트렌칭, 연암파쇄, 석산작업, 철거 등과 같은 다양한 용도로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버켓이나 유압브레이커 등에 비하여, 작업 대상의 강도 범위가 넓어 활용도가 뛰어나며, 유압모터의 교체가 용이한 조립식 어셈블리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유지 및 보수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줄이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굴삭기의 아암에 연결되는 연결프레임; 상기 연결프레임 내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고, 유압에 의해 구동하는 유압모터; 상기 유압모터에 의해 회전하도록 상기 연결프레임의 전단에 설치되고, 원뿔형으로 이루어지는 회전드럼; 및 상기 회전드럼에 회전중심으로부터 나선형으로 다수로 배열되도록 마련되는 커터;를 포함하는, 원뿔형 드럼 커터가 제공된다.
상기 회전드럼의 외측면에 상기 커터의 배열방향을 따라 나선형태로 수직되게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블레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회전드럼의 외측면에 나선형태로 불연속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연결프레임은, 상기 아암에 연결되기 위한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전단으로 개방되는 수용공간을 가지는 케이싱; 및 상기 케이싱의 개방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상기 유압모터가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유압모터의 회전축을 노출시키도록 축수용부가 마련되는 덮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드럼은, 상기 축수용부에 베어링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어 상기 유압모터의 회전축에 고정되는 드럼축; 상기 드럼축의 끝단에 마련되고, 상기 축수용부로부터 전단으로 돌출되는 드럼결합부; 및 상기 드럼결합부에 고정되고, 원뿔형으로 이루어지며, 외측면에 상기 커터가 다수로 마련되는 드럼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터는, 끝단이 파쇄 대상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향하도록 상기 회전드럼의 외주면에 대한 접선에 대하여 경사각을 이루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커터는, 상기 회전드럼의 외측면에 상기 경사각도를 이루도록 용접으로 고정되는 커터고정부에 일단이 돌출되도록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조작에 의해 주행이 가능한 차체; 상기 차체에 붐실린더의 구동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붐; 상기 붐에 아암실린더의 구동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아암; 및 상기 아암의 끝단에 커터실린더의 구동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차체로부터 제공되는 유압에 의해 파쇄를 위한 회전 동작하는 드럼 커터를 포함하고, 상기 드럼 커터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원뿔형 드럼 커터로 이루어지는, 원뿔형 드럼 커터를 구비한 절삭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원뿔형 드럼 커터 및 이를 구비한 굴삭기에 의하면, 굴삭기의 드럼 커터를 원뿔형으로 구성할 뿐만 아니라, 커터의 효율적인 배치 구조와 유압모터의 효율적인 동력 사용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강력한 파쇄력을 발생하도록 하여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프로파일링, 트렌칭, 연암파쇄, 석산작업, 철거 등과 같은 다양한 용도로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버켓이나 유압브레이커 등에 비하여, 작업 대상의 강도 범위가 넓어 활용도가 뛰어나도록 할 수 있으며, 유압모터의 교체가 용이한 조립식 어셈블리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유지 및 보수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원뿔형 드럼 커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원뿔형 드럼 커터를 도시한 정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원뿔형 드럼 커터를 도시한 후측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원뿔형 드럼 커터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원뿔형 드럼 커터의 파쇄대상물의 강도범위를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나타낸 것으로서, (a)는 버켓을 나타내고, (b)는 본 발명을 나타내고, (c)는 유압브레이커를 나타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원뿔형 드럼 커터를 구비한 절삭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에 의하여 여러 가지의 실시례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례를 예로서 도면에 나타내어 설명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특정 실시례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 내지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하여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원뿔형 드럼 커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원뿔형 드럼 커터를 도시한 정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원뿔형 드럼 커터를 도시한 후측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원뿔형 드럼 커터(100)는 연결프레임(110), 유압모터(120), 회전드럼(130) 및 커터(140)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프레임(110)은 굴삭기의 아암에 연결되고, 후술하게 될 유압모터(120)를 착탈 가능하게 수용함과 아울러, 회전드럼(130)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연결프레임(110)은 굴삭기의 아암에 연결되기 위한 연결부재(111)와, 연결부재(11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전단으로 개방되는 수용공간(112a)을 가지는 케이싱(112)과, 케이싱(112)의 개방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수용공간(112a)에 수용된 유압모터(120)가 착탈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으며, 유압모터(120)의 회전축(121)을 노출시키도록 축수용부(113a)가 마련되는 덮개(113)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재(111)는 굴삭기의 아암에 다수의 축 각각에 고정되기 위한 축결합부가 다수로 마련될 수 있다. 케이싱(112)은 수용공간(112a)의 입구 반대측에 연결판(112b)이 마련될 수 있고, 연결판(112b)이 연결부재(111)에 결합볼트(112c)로 결합될 수 있으며, 수용공간(112a)의 입구측에 결합플랜지(112d)가 마련될 수 있다. 덮개(113)는 케이싱(112)의 결합플랜지(112d)에 결합볼트(113d)로 결합되기 위한 1 단결합플랜지(113b)가 마련될 수 있고, 1단결합플랜지(113b)의 내측으로 2단결합플랜지(113c)가 마련될 수 있다.
유압모터(120)는 연결프레임(110) 내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고, 유압에 의해 구동하는데, 구동에 필요한 유압은 굴삭기에 마련되는 유압공급부로부터 공급받게 되고, 이러한 동작의 제어는 굴삭기의 운전석에 마련되는 조작패널의 조작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데, 반드시 이에 한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외부로 인출되는 별도의 조작패널의 조작에 의해서도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유압모터(120)는 일측에 둘레를 따라 마련되는 결합플랜지(122)가 2단결합플랜지(113c)에 결합볼트(123)로 결합됨으로써 덮개(113)에 고정된다. 이로 인해, 덮개(113)가 케이싱(112)과의 결합시, 유압모터(120)는 수용공간(112a)에 수용된 상태에서 덮개(113)에 의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회전드럼(130)은 유압모터(120)에 의해 회전하도록 연결프레임(110)의 전단에 설치되고, 원뿔형으로 이루어진다.
회전드럼(130)은 예컨대 본 실시례에서처럼, 축수용부(113a)에 베어링(131a)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어 유압모터(120)의 회전축(121)에 고정되는 드럼축(131)과, 드럼축(131)의 끝단에 마련되고, 축수용부(113a)로부터 전단으로 돌출되는 드럼결합부(132)와, 드럼결합부(132)에 고정되고, 원뿔형으로 이루어지며, 외측면에 커터(140)가 다수로 마련되는 드럼본체(133)를 포함할 수 있다.
드럼축(131)은 축수용부(113a)와의 사이에 오일씰(131b)이 개재될 수 있고, 축수용부(113a) 내측의 베어링(131a)으로부터 이탈됨을 억제하도록 끝단에 록너트(131c)와 다수의 고정편(131d)이 설치될 수 있다. 드럼결합부(132)는 끝단의 가장자리가 다수의 결합볼트(132a)에 의해 드럼본체(133)에 고정될 수 있다.
커터(140)는 회전드럼(130)에 회전중심으로부터 나선형으로 다수로 배열되도록 마련된다. 커터(140)는 파쇄를 위해 충분한 강도를 가지는 고경도 금속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커터(140)는 끝단이 파쇄 대상(1)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향하도록 회전드럼(130)의 외주면에 대한 접선(T)에 대하여 경사각(θ)을 이루도록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경사각(θ)은 20~50도를 이룰 수 있는데, 이는 파쇄 대상(1)의 강도, 유압모터(120)의 토오크, 커터(140)의 경도 및 개수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커터(140)는 회전드럼(130)의 외측면에 경사각(θ)을 이루도록 용접으로 고정되는 커터고정부(141)에 일단이 돌출되도록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많은 수의 커터(140)가 커터고정부(141)에 의해 회전드럼(130)에 쉽게 설치될 수 있다.
회전드럼(130)의 외측면에는 커터(140)의 배열방향을 따라 나선형태로 블레이드(150)가 수직되게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블레이드(150)는 커터(140)의 배열방향을 따라 나선형태로 수직되게 마련됨으로써, 파쇄 대상의 내측으로 쉽게 파고들도록 할 뿐만 아니라, 파쇄 대상으로부터 파쇄되어 분리되는 파쇄부분이 외부로 쉽게 배출되도록 가이드함으로써, 파쇄 효율을 높이도록 할 수 있다.
블레이드(150)는 회전드럼(130)의 외측면에 용접으로 고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하지 않고, 볼팅이나 다양한 결합구조 등에 의해 고정될 수도 있다. 또한 블레이드(150)는 본 실시례에서처럼 회전드럼(130)의 외측면에 나선형태로 불연속적으로 배치될 수 있는데, 일례로 2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불연속적인 구조로 인해, 제작이 용이하면서도, 불연속 부위를 통한 하중의 분산을 통해서 과도한 하중으로 인한 파손을 줄이도록 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원뿔형 드럼 커터(100)는 본 발명의 경우(b), 종래의 버켓(a)이나 유압브레이커(c)에 비하여, 적용되는 파쇄 대상의 강도 범위가 넓어지므로, 다양한 용도로 활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원뿔형 드럼 커터를 구비한 절삭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원뿔형 드럼 커터를 구비한 절삭기(200)은 차체(210), 붐(220), 아암(230) 및 드럼 커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드럼 커터는 상기한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원뿔형 드럼 커터(100)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차체(210)는 엔진으로부터 발생되는 동력을 사용하여,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 주행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본 실시례에서처럼 무한궤도 타입 뿐만 아니라, 휠 타입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운전석에서 운전 조작뿐만 아니라, 후술하게 될 붐(220), 아암(230) 등은 물론, 원뿔형 드럼 커터(100)의 동작을 조작할 수 있다. 차체(210)에는 원뿔형 드럼 커터(100)의 동작 뿐만 아니라, 각종 동작에 필요한 여러 유압실린더의 동작에 필요한 유압을 공급하기 위한 유압공급부가 마련될 수 있다. 유압공급부는 일례로, 차체(210)의 엔진 힘을 이용하여 유압 펌프를 구동하고, 유압 펌프에서 토출되는 작동유를 유압모터(120)나 각종 유압실린더(221,231,232) 등에 공급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붐(220)은 차체(210)에 힌지 결합되고, 유압으로 동작하는 붐실린더(221)의 구동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붐실린더(221)는 양단이 차체(210)와 붐(220)에 힌지 결합됨으로써, 구동시 붐(220)의 자연스러운 거동을 가능하도록 한다.
아암(230)은 붐(220)에 힌지 결합되고, 아암실린더(231)의 구동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아암실린더(231)는 양단이 붐(220)과 아암(230)에 힌지 결합됨으로써, 구동시 아암(230)의 자연스러운 거동을 가능하도록 한다.
원뿔형 드럼 커터(100)는 아암(230)의 끝단에 커터실린더(232)의 구동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고, 차체(210)로부터 제공되는 유압에 의해 파쇄를 위해 회전 동작하도록 하는데, 아암(230)의 끝단이 연결부재(111)에 힌지 결합될 수 있고, 아암(230)에 끝단이 힌지 결합되는 커터실린더(232)가 다수의 링크부재(233,234)에 의해 연결됨으로써, 커터실린더(232)의 구동시 원뿔형 드럼 커터(100)의 자연스러운 거동을 가능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원뿔형 드럼 커터 및 이를 구비한 굴삭기는 지반의 굴착에 의해 파이라인의 매설작업을 가능하도록 하고, 터널 및 지하 건설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콘크리트 등의 파쇄 등으로 인해 콘크리트 구조물의 철거 및 리모델링 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지면에 대한 평탄화 작업뿐만 아니라, 광산이나 석산에 대한 면삭이나 굴착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수중에서의 작업 역시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굴삭기의 드럼 커터를 원뿔형으로 구성할 뿐만 아니라, 커터의 효율적인 배치 구조와 유압모터의 효율적인 동력 사용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강력한 파쇄력을 발생하도록 하여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프로파일링, 트렌칭, 연암파쇄, 석산작업, 철거 등과 같은 다양한 용도로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버켓이나 유압브레이커 등에 비하여, 작업 대상의 강도 범위가 넓어 활용도가 뛰어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유압모터의 교체가 용이한 조립식 어셈블리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유지 및 보수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줄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실시례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특허청구범위, 그리고 이러한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 : 파쇄 대상 2 : 파쇄부분
110 : 연결프레임 111 : 연결부재
112 : 케이싱 112a : 수용공간
112b : 연결판 112c : 결합볼트
112d : 결합플랜지 113 : 덮개
113a : 축수용부 113b : 1단결합플랜지
113c : 2단결합플랜지 113d : 결합볼트
120 : 유압모터 121 : 회전축
122 : 결합플랜지 123 : 결합볼트
130 : 회전드럼 131 : 드럼축
131a : 베어링 131b : 오일씰
131c : 록너트 131d : 고정편
132 : 드럼결합부 132a : 결합볼트
133 : 드럼본체 140 : 커터
141 : 커터고정부 150 : 블레이드
200 : 굴삭기 210 : 차체
220 : 붐 221 : 붐실린더
230 : 아암 231 : 아암실린더
232 : 커터실린더 233,234 : 링크부재

Claims (8)

  1. 굴삭기의 아암에 연결되는 연결프레임;
    상기 연결프레임 내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고, 유압에 의해 구동하는 유압모터;
    상기 유압모터에 의해 회전하도록 상기 연결프레임의 전단에 설치되고, 원뿔형으로 이루어지는 회전드럼; 및
    상기 회전드럼에 회전중심으로부터 나선형으로 다수로 배열되도록 마련되는 커터;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프레임은, 상기 아암에 연결되기 위한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전단으로 개방되는 수용공간을 가지는 케이싱; 및 상기 케이싱의 개방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상기 유압모터가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유압모터의 회전축을 노출시키도록 축수용부가 마련되는 덮개;를 포함하며,
    상기 덮개는 상기 케이싱의 수용공간의 입구측에 마련된 결합플랜지에 결합되기 위한 1단결합플랜지와 상기 1단결합플랜지의 내측으로 2단결합플랜지를 구비하고,
    상기 유압모터는 일측에 둘레를 따라 마련되는 결합플랜지가 상기 2단결합플랜지에 결합볼트로 결합됨으로써 상기 덮개에 고정되는,
    원뿔형 드럼 커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드럼의 외측면에 상기 커터의 배열방향을 따라 나선형태로 수직되게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블레이드를 더 포함하는, 원뿔형 드럼 커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회전드럼의 외측면에 나선형태로 불연속적으로 배치되는, 원뿔형 드럼 커터.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드럼은,
    상기 축수용부에 베어링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어 상기 유압모터의 회전축에 고정되는 드럼축;
    상기 드럼축의 끝단에 마련되고, 상기 축수용부로부터 전단으로 돌출되는 드럼결합부; 및
    상기 드럼결합부에 고정되고, 원뿔형으로 이루어지며, 외측면에 상기 커터가 다수로 마련되는 드럼본체;
    를 포함하는, 원뿔형 드럼 커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터는,
    끝단이 파쇄 대상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향하도록 상기 회전드럼의 외주면에 대한 접선에 대하여 경사각을 이루도록 설치되는, 원뿔형 드럼 커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커터는,
    상기 회전드럼의 외측면에 상기 경사각도를 이루도록 용접으로 고정되는 커터고정부에 일단이 돌출되도록 고정되는, 원뿔형 드럼 커터.
  8. 조작에 의해 주행이 가능한 차체;
    상기 차체에 붐실린더의 구동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붐;
    상기 붐에 아암실린더의 구동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아암; 및
    상기 아암의 끝단에 커터실린더의 구동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차체로부터 제공되는 유압에 의해 파쇄를 위한 회전 동작하는 드럼 커터를 포함하고,
    상기 드럼 커터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및 청구항 5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원뿔형 드럼 커터로 이루어지는, 원뿔형 드럼 커터를 구비한 절삭기.
KR1020200049945A 2020-04-24 2020-04-24 원뿔형 드럼 커터 및 이를 구비한 굴삭기 KR1022953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9945A KR102295311B1 (ko) 2020-04-24 2020-04-24 원뿔형 드럼 커터 및 이를 구비한 굴삭기
PCT/KR2021/005134 WO2021215861A1 (ko) 2020-04-24 2021-04-23 원뿔형 드럼 커터 및 이를 구비한 굴삭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9945A KR102295311B1 (ko) 2020-04-24 2020-04-24 원뿔형 드럼 커터 및 이를 구비한 굴삭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5311B1 true KR102295311B1 (ko) 2021-08-27

Family

ID=77504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9945A KR102295311B1 (ko) 2020-04-24 2020-04-24 원뿔형 드럼 커터 및 이를 구비한 굴삭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95311B1 (ko)
WO (1) WO2021215861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62387A (en) * 1995-11-08 1997-09-02 Bartkowiak; James A. Cutter head and method for mining hard rock
KR101640311B1 (ko) * 2014-10-02 2016-07-15 윤영덕 굴삭기를 이용한 소형 보링 장치
KR102073568B1 (ko) * 2018-07-12 2020-02-05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굴진 편향과 토크 반력을 감소시키는 축방향 회전식 커팅헤드 및, 그 설계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7836A (ko) * 2003-12-11 2005-06-16 권대륙 면삭기
JP5383421B2 (ja) * 2009-10-16 2014-01-08 三菱重工業株式会社 中ぐり工具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62387A (en) * 1995-11-08 1997-09-02 Bartkowiak; James A. Cutter head and method for mining hard rock
KR101640311B1 (ko) * 2014-10-02 2016-07-15 윤영덕 굴삭기를 이용한 소형 보링 장치
KR102073568B1 (ko) * 2018-07-12 2020-02-05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굴진 편향과 토크 반력을 감소시키는 축방향 회전식 커팅헤드 및, 그 설계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215861A1 (ko) 2021-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66879A (ko) 트윈 헤드 드럼 커터 및 이를 구비한 굴삭기
JP2001173370A (ja) カッタヘッド
JP6650697B2 (ja) トンネル掘削機
US10508542B2 (en) Excavation assembly for use in excavator
KR101846973B1 (ko) 굴삭기용 어태치먼트 웜드라이버
KR101980390B1 (ko) 굴삭 장치
CN109441468A (zh) 一种盾构开挖面冲击松动与破碎装置及其工作方法
US20060243466A1 (en) Ground breaking apparatus
CN102704941A (zh) 一种泥水盾构碎石装置
KR102295311B1 (ko) 원뿔형 드럼 커터 및 이를 구비한 굴삭기
CN206015770U (zh) 一种钩掘机
JP2002147175A (ja) トンネル掘削機及びカッタ交換方法
CN201649150U (zh) 具有铣挖旋挖装载功能的挖掘机
KR20230084774A (ko) 듀얼 구동방식의 커팅 드럼 타입 커터 및 이를 구비한 굴삭기
KR20230084775A (ko) 싱글 구동방식의 커팅 드럼 타입 커터 및 이를 구비한 굴삭기
CN208899551U (zh) 一种新型巷道修复掘进挖掘机
CN207109908U (zh) 多用途挖掘机的挖掘装置
KR20230077148A (ko) 원형 그라인더 타입 커터 및 이를 구비한 굴삭기
CN104947724A (zh) 转向铲挖掘机
CN219137809U (zh) 一种具有子母式铲斗结构的挖掘机
CN220503999U (zh) 一种液压铣挖泵
JP4262629B2 (ja) 掘進機
CN212296385U (zh) 一种包括铲铣机臂架及铣挖装置的总成
JPH08144315A (ja) 掘削機
JP3068246B2 (ja) シールド掘進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