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4804B1 - 실링 부재 및 복합 실링 구조 - Google Patents

실링 부재 및 복합 실링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4804B1
KR102294804B1 KR1020217012835A KR20217012835A KR102294804B1 KR 102294804 B1 KR102294804 B1 KR 102294804B1 KR 1020217012835 A KR1020217012835 A KR 1020217012835A KR 20217012835 A KR20217012835 A KR 20217012835A KR 102294804 B1 KR102294804 B1 KR 1022948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ing member
gel
sealing
molded body
elong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28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58975A (ko
Inventor
아야카 와카사
Original Assignee
세키수이 폴리머텍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키수이 폴리머텍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키수이 폴리머텍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589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89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48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48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F16J15/06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 F16J15/10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with non-metallic packing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ealing Material Composition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 Liquid Crystal (AREA)
  • Gasket Seals (AREA)

Abstract

작업자가 보다 작업을 하기 쉽고, 작업 미스하기 어려운 실링 부재를 제공한다. 제1 부재(60)와 제2 부재(70) 사이에 압축 배치되는 직사각형 테이프 형상의 실링 부재(1)로서, 겔 성형체(10)와, 상기 겔 성형체(10)의 내부에 설치하고 실링 부재(1)의 길이 방향으로의 신장(伸長)을 억제하는 신장억제체(20)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길이 방향의 양 단부(端部)에 상기 신장억제체(20)를 가지고 있지 않은 겔 단부(11)를 가지는 실링 부재(1)로 했다.

Description

실링 부재 및 복합 실링 구조
본 발명은, 액정 표시 장치에서의 프레임형 하우징과 액정 패널과 같은 제1 부재와 제2 부재 사이에 압축 배치되는 테이프 형상의 실링 부재와, 이 실링 부재를 제1 부재와 제2 부재에 의해 협지하여 얻어지는 복합 실링 구조에 관한 것이다.
액정 표시 장치 또는 태양 전지 패널 등의 장치에서는, 액정 패널 또는 태양 전지판 등을 프레임형 하우징에 조립할 때, 이들 사이에 양면 테이프, 접착제, 또는 경화형 수지 등을 협지하여 견고하게 고착하고 있다. 그런데, 수리나 분해를 위해서 패널을 박리하는 경우에는, 접착력이 지나치게 강하여 패널이나 프레임형 하우징 구부러지거나 파손되거나 할 우려가 있었다.
이와 같은 양면 테이프 또는 접착제 등을 대신하여, 박리 가능하며, 방수성 방진성을 발휘하고, 초저경도이며 패널로의 충격을 흡수하고, 패널의 변형 방지에 기능하는 봉지재로서, 이미 본 출원인은, 겔 성형체로 이루어지는 실링 부재를 개발하고 있으며, 국제공개 제2012/161099호(특허문헌 1)에 이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국제공개 제2012/161099호
그러나, 액정 패널 또는 태양 전지판의 대형화에 따라, 프레임형의 실링 부재도 대형화되고 있고, 실링 부재는 가늘고 길고 부드러우므로 늘어나기 쉽고, 일단 늘어나면 하우징에 수용되지 않아 취급성이 어려운 경우도 있었다. 또한, 프레임형의 실링 부재의 성형금형도 대형화하여, 생산성에도 문제가 생기기 쉽다. 이에 본 발명은, 작업자가 보다 작업을 하기 쉽고, 작업 미스하기 어려운 실링 부재 및 복합 실링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의 일태양은, 이하에 기재하는 실링 부재 및 복합 실링 구조로서 구성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태양에 의한 실링 부재는, 제1 부재와 제2 부재 사이에 압축 배치되는 테이프 형상의 실링 부재에 대하여, 겔 성형체와, 상기 겔 성형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겔 성형체의 신장(伸長)을 억제하는 신장억제체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겔 성형체의 양 단부(端部)에 상기 신장억제체를 가지고 있지 않은 겔 단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실링 부재는, 겔 성형체를 구비하므로, 부드럽고 정형성이 있어, 제1 부재와 제2 부재 사이에서 협지할 때 저하중으로도 양쪽 부재를 밀폐할 수 있고, 리워크성에도 우수하다. 또한, 겔 성형체의 신장을 억제하는 신장억제체를 구비하므로, 실링 부재의 치수변화가 생기기 어렵다. 또한, 단부에는 겔 단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2장의 실링 부재의 겔 단부끼리를 중첩하여 배치할 수 있고, 중첩한 개소(箇所)에는 신장억제체를 가지지 않으므로, 압축되고 쉽고, 중첩해도 상기 개소의 압축하중은 증대하기 어려우므로, 저하중으로 방수성, 방진성을 달성할 수 있다. 그리고, 테이프 형상으로 했기 때문에, 성형성, 생산성, 취급성이 우수한 실링 부재로 할 수 있다.
상기 신장억제체는, 두께 방향으로 개구를 가지고, 상기 개구에 상기 겔 성형체를 구성하는 겔이 침입(浸入)하고 있는 것으로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신장억제체가 두께 방향으로 개구를 가지고, 그 개구에 겔 성형체를 구성하는 겔이 침입하고 있으므로, 신장억제체와 겔 성형체의 밀착성을 높일 수 있고, 신장억제체와 겔 성형체의 분리를 일으키기 어렵고, 신장억제체를 포함시킨 보강 효과가 얻어지기 쉽다.
본 발명의 일태양에 있어서는, 상기 겔 성형체의 표리(表裏) 양면 중 한쪽 면과 다른 쪽 면의 점착성이 상이한 실링 부재로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겔 성형체의 표리 양면 중 한쪽 면과 다른 쪽 면의 점착성이 상이하므로, 겔 성형체의 표면에 설치한 보호 필름을 박리하기 쉬운 면을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태양에 있어서는, 상기 테이프 형상의 길이 방향의 겔 단부의 길이가, 상기 테이프 형상의 폭 방향의 길이와 대략 동일한 실링 부재로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테이프 형상의 길이 방향의 겔 단부의 길이가, 상기 테이프 형상의 폭 방향의 길이와 대략 동일하도록 하였으므로, 2장의 실링 부재의 겔 단부끼리를 중첩할 때, 양쪽실 링 부재를 그 길이 방향으로 중첩해도, 직교 방향으로 중첩해도, 중첩이 생기지 않는 부분을 없앨 수 있어, 효율적으로 겔 단부끼리를 중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태양에 있어서는, 상기 겔 성형체의 표면에 보호 필름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겔 성형체의 표면에 보호 필름을 가지므로, 겔 성형체 표면으로의 이물질의 부착을 방지하여, 청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태양에 있어서는, 상기 어느 하나의 실링 부재와,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를 가지는 복합 실링 구조로서 구성할 수 있다. 복합 실링 구조를, 상기 어느 하나의 실링 부재와,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를 가지는 구성으로 했기 때문에, 가벼운 압축하중으로 제1 부재와 제2 부재를 압축해도 실링 부재로 밀폐된 내부를 방수, 방진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태양에 있어서는, 상기 제1 부재가 액정 표시 장치에서의 프레임형 하우징이며, 상기 제2 부재가 액정 패널인 것으로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부재가 액정 표시 장치에서의 프레임형 하우징이며, 상기 제2 부재가 액정 패널이므로, 액정 표시 장치에서의 장치 내부를 방수, 방진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태양에 있어서는, 상기 제1 부재가 태양 전지 장치에서의 프레임형 하우징이며, 상기 제2 부재가 태양 전지판인 것으로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부재가 태양 전지 장치에서의 프레임형 하우징이며, 상기 제2 부재가 태양 전지판이므로, 프레임형 하우징과 태양 전지판 사이를 밀폐하여, 그 내부를 방수, 방진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태양에 의한 복합 실링 구조는, 상기 실링 부재의 겔 단부끼리를 중첩하여 배치하는 것으로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태양에 의한 실링 부재는, 겔 단부끼리를 중첩하여 배치해도, 중첩한 개소에는 신장억제체를 가지지 않으므로, 상기 중첩 개소의 압축 하중은 증대하지 않고, 저하중이라도 복합 실링 구조의 방수성, 방진성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링 부재에 의하면, 겔 소재가 가지는 저압축 하중이라는 특징 및 점착성을 살리면서, 겔 소재의 늘어남이 억제되어 취급성이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의 복합 실링 구조에 의하면, 실링 부재에 의해 밀폐된 내부를 방수, 방진으로 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의 실링 부재의 분해모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실링 부재이며, 분도 A는, 그 개략평면도, 분도 B는 분도 A의 IIB-IIB선 단면도이다.
도 3은 메쉬형의 신장억제체를 사용한 실링 부재의 개략평면도이며, 분도 A는 신장억제체의 그물눈이 실링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른 것을 포함하는 예이며, 분도 B는 신장억제체의 그물눈이 실링 부재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배치한 것을 포함하는 예이다.
도 4는 필름을 표리 양면에 가지는 실링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5는 필름을 한쪽 면에 가지는 실링 부재를 적층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제1 부재와 제2 부재에 실링 부재를 협지한 복합 실링 구조이며, 분도 A는, 그 평면도, 분도 B는 분도 A의 VB-VB선 단면도이다.
도 7은 2장의 실링 부재의 겔 단부끼리를 중첩하고, 실링 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실링 부재를 연속하여 배치하는 모습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며, 분도 A는 적층 과정을 설명하는 사시도, 분도 B는, 제1 부재와 제2 부재에 실링 부재를 적층 배치한 부분의 모식평면도이다.
도 8은 2장의 실링 부재의 겔 단부끼리를 중첩하고, 2장의 실링 부재를 직교하여 배치하는 모습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며, 분도 A는 적층 과정을 설명하는 사시도, 분도 B는, 제1 부재와 제2 부재에 실링 부재를 적층 배치한 부분의 모식평면도이다.
도 9는 제1 부재와 제2 부재의 간극으로 실링 부재를 그 폭 방향으로 배치한 상태의 모식평면도이다.
실시형태에 따라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실링 부재(1)는, 겔 성형체(10)와, 이 겔 성형체(10)의 내부에 설치되고 실링 부재(1)의 길이 방향으로의 신장을 억제하는 신장억제체(20)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실링 부재(1)는, 그 길이 방향의 양 단부에, 신장억제체(20)를 가지고 있지 않은 겔 단부(11)를 가지고 있다.
실링 부재(1)는, 액정 표시 장치에서의 프레임형 하우징(60A)과 액정 패널(70A)과 같이(도 6 참조), 2개의 부재(이하 「제1 부재(60)」와 「제2 부재(70)」와 같이 표기함) 사이에 압축하여 배치(압축 배치)되는 부재이다.
실링 부재(1)에 있어서, 겔 성형체(10)와 신장억제체(20)는 그 두께 방향으로 적층되어 있다. 도 1에는, 실링 부재(1)를 층으로 분해한 모식도를 나타낸다. 실링 부재(1)는, 이 도면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한쪽 표면측으로부터, 표면측 겔 성형체(10a), 신장억제체(20), 이면측 겔 성형체(10b)가 순서대로 적층되어 있다. 신장억제체(20)의 길이 방향의 길이는, 표면측 겔 성형체(10a) 및 이면측 겔 성형체(10b)의 길이 방향의 길이보다 짧고, 이들이 적층하여 생긴 직사각형 테이프 형상의 실링 부재(1)의 길이 방향에서의 양단에는, 도 2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겔 단부(11)가 형성된다.
그리고, 도 2의 B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실링 부재(1)에서는 신장억제체(20)를 사이에 협지하여, 표면측 겔 성형체(10a)와 이면측 겔 성형체(10b)가 일체로 된 겔 성형체(10)로 신장억제체(20)를 에워싸고 있다. 신장억제체(20)가 협지된 위치는, 겔 성형체(10)의 두께 방향에서의 중간이 아닌, 표면측 또는 이면측에 가까운 위치에 대도록 할 수도 있다.
겔 성형체(10)는, 저경도의 고무상, 겔상, 또는 점조체상의 고분자성형체로 구성된다. 고분자성형체로서는, 예를 들면, 실리콘 겔, 아크릴 겔, 우레탄 겔 또는 하이드로겔 등이 있다. 이들 중 실리콘 겔 성형체이며, 저경도이면서 저압축 영구 변형이 될 수 있어 바람직하다.
겔 성형체(10)는, JIS K6251(ISO37)로 규정되는 인장파괴강도가 0.05MPa∼0.15MPa, 동일하게 JIS K6251(ISO37)로 규정되는 인장파괴신장이 230∼400 %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물성을 가짐으로써, 겔 성형체(10)는, 형상유지성을 가지고, 3차원형상으로 성형할 수 있다.
겔 성형체(10)는, 일본공업규격인 JIS K6262(ISO815)에 준하여 측정되는 압축영구변형이 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압축영구변형은, 압축량이 큰 50%∼80%의 범위의 압축률로 70℃, 22시간 방치의 조건 하에서 측정된 압축영구변형이다. 겔 성형체(10)의 압축영구변형을 5% 이하로 하였으므로, 제1 부재(60)와 제2 부재(70) 사이에서 겔 성형체(10)를 압축한 상태로, 겔 성형체(10)에 압축방향이란 역방향으로 강한 탄성력이 생기고, 겔 성형체(10)는, 원래의 형상으로 복귀하고자 하는 작용을 가진다.
겔 성형체(10)의 침입도(針入度)는, 60∼130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침입도는, JIS(K6249)에 규정되고 있는 바와 같이, JIS K2220(ISO2137)에 준거하여, 1/4 원추를 사용한 조도(consistency) 시험에 의해, 25℃ 조건 하에서 측정된 값이다. 부드러움(경도)의 지표로서, JIS K6253(ISO7619)로 규정되는 경도도 있지만, JIS K6253(ISO7619)로 규정되는 타입 E에 의한 지표에서는, 겔 성형체(10)의 경도는 대략 0의 값을 나타낸다. 겔 성형체(10)의 침입도를 60∼130의 범위로 함으로써, 고무형 탄성체에 비교하여 극히 유연하며, 제1 부재(60) 및 제2 부재(70)에 대하여 필요 이상으로 압력이 걸리지 않는다. 따라서, 제1 부재(60)와 제2 부재(70) 사이에 실링 부재(1)를 내장해도, 제1 부재(60) 또는 제2 부재(70)에 변형 또는 파손이 생기지 않는다. 또한, 실링 부재(1)에 의하면, 제1 부재(60) 및 제2 부재(70)에 대하여 우수한 밀착성을 발휘시킬 수도 있다.
겔 성형체(10)는, 상기한 성질을 가지므로, 제1 부재(60) 및 제2 부재(70)와 밀착시키기 쉬운 점착성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점착성은, 실링 부재(1)의 양쪽 표면 중 한쪽 면과 다른 쪽 면에서 동일해 되고, 상이해도 된다. 동일한 점착성으로 하는 경우에는, 신장억제체(20)를 협지하여 표리 양면을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겔 성형체(10)로 형성할 수 있고, 제조가 용이하며, 제조 비용을 낮게 억제할 수 있다. 한편, 표리 양면을 각각 상이한 점착성으로 하면, 제1 부재(60)와 제2 부재(70)를 박리할 때, 실링 부재(1)를 제1 부재(60) 측에 남기거나, 제2 부재(70) 측에 남기는 것을 미리 의도하여 실링 부재(1)를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성질을 가지는 실링 부재(1)는, 제1 부재(60)와 제2 부재(70)를 박리한 후의 부품교환 또는 수리 시에 편리하다.
겔 성형체(10)의 점착성이 높은 면은, 겔 성형체(10)의 점착성을 높게 하고자 하는 면에 점착제, 접착제, 또는 프라이머 등을 도포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한편, 겔 성형체(10)의 점착성이 낮은 면은, 겔 성형체(10)의 점착성을 낮게 하고자 하는 면에, 이형제 또는 미세분말 등을 도포하거나, 자외선 조사 또는 가교 반응에 의해 표면 경도를 높이나하는 것에 의해 실현된다. 혹은 또한, 후술하는 실링 부재(1) 내부의 신장억제체(20)를, 겔 성형체(10)의 점착성을 낮게 하고자 하는 쪽의 면에 가까이 하여 배치함으로써, 겔 성형체(10) 표면의 점착성에 차이를 둘 수 있다. 신장억제체(20)로부터 이격된 쪽의 면에서는, 겔 성형체(10)의 침입도가 커지고, 보다 부드러워지므로, 점착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신장억제체(20)의 표면에 존재하는 겔 성형체(10)의 두께가 상이한 것에 의해, 겔 성형체(10) 표면의 신장성에 차이가 생긴다. 신장억제체(20)로부터 이격된 쪽의 면은, 겔 성형체(10)가 비교적 늘어나기 쉬워져, 점착성을 높일 수 있다.
신장억제체(20)는, 겔 성형체(10)를 보강하는 역할을 가지는 것이다. 만약, 실링 부재(1)를 겔 성형체(10) 만으로 구성하면, 겔 성형체(10)는 부드러우므로 손으로 집어서 취급할 때 늘어나기 쉽고, 제1 부재(60)나 제2 부재(70)에 배치할 때 소정의 부위로부터 비어져 나올 우려가 있다. 이에 비해, 실링 부재(1)에서는, 신장억제체(20)를 함유하므로, 실링 부재(1)의 길이 방향으로의 신장을 억제할 수 있다.
신장억제체(20)로서는, 실링 부재(1)의 늘어남을 억제하므로, 예를 들면, 수지 필름, 종이, 직포, 부직포, 망상물(網狀物)(메쉬형물을 포함함) 또는 금속박 등의 시트형물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시트형물은 그 표면이 동일한 것이라도 되지만, 다수의 개구(21)를 가지는 시트를 사용할 수도 있다. 신장억제체(20)에 다수의 개구(21)가 있으면, 겔 성형체(10)를 구성하는 겔이 개구(21) 내에 침입함으로써, 전체적으로 저경도의 실링 부재(1)로 할 수 있다. 실링 부재(1)의 유연성을 방해하지 않는 위해서는, 두께가 얇은 신장억제체(20)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신장억제체(20)로서는, 예를 들면, 1㎛∼10㎛의 두께를 가지는 수지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수지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신장억제체(20)에서는, 다수의 구멍을 뚫는 것에 의해 개구(21)를 형성할 수 있다. 직포로 이루어지는 신장억제체(20)에서는, 그 천의 간극이 개구(21)가 된다. 천의 결이 거칠고, 간극의 많은 것일수록 개구(21)를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와이어, 장섬유, 단섬유 또는 연사를 종횡으로 짜서 형성한 망상물로 이루어지는 신장억제체(20)는, 그 그물눈이 개구(21)가 된다. 와이어, 장섬유, 단섬유 또는 연사의 재질로서는, 다양한 금속 또는 합금 외에, 폴리에틸렌,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우레탄 등의 합성 수지, 면, 견, 마, 양모 등의 천연섬유를 사용할 수 있다.
신장억제체(20)의 개구(21)의 형상은, 어떤 형상이라도 되고, 정사각형, 직사각형, 마름모, 삼각형, 6각형 또는 원형 등으로 할 수 있다.
신장억제체(20)가 망상물이며, 그 개구(21)의 형상이 실링 부재(1)의 길이 방향으로 길어지는 경우에는, 신장억제체(20)의 길이 방향의 밀도가 폭 방향의 밀도보다 낮아져(바꿔 말하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신장억제체(20)의 구성부재가 폭 방향보다 많아져), 길이 방향으로 늘어나기 어려운 실링 부재(1)로 할 수 있다.
망상물의 개구(21)의 크기는, 10∼5000 μm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개구(21)의 수는 1∼500 메쉬/2.54cm인 것이 바람직하고, 10∼200 메쉬/2.54cm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신장억제체(20)에 망상물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도 3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격자를 형성하는 선분(22)이 실링 부재(1)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을 따라 그물눈(개구(21))을 형성하도록 신장억제체(20)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망형 또는 메쉬형으로 형성되는 신장억제체(20)를 구성하는 선분(22)이 실링 부재(1)의 길이 방향으로 늘어나기 어렵고, 실링 부재(1)의 길이 방향으로의 늘어남을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신장억제체(20)의 배치에 대하여, 도 3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격자를 형성하는 선분(22)이 실링 부재(1)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되도록 신장억제체(20)를 배치하는 경우에는, 실링 부재(1)의 길이 방향으로 망상물이 변형하기 쉽다.
망상물의 그물이 교차하는 개소(교점)는, 매듭이 설치되어 있거나, 찌부러져 평탄화되어 있거나, 열융착되어 있거나 하여 고착된 형태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그물눈이 어긋나기 어려워져 보다 신장하기 어려운 실링 부재(1)로 할 수 있다. 망상물에는, 그물의 굵기가 20㎛∼500㎛, 보다 바람직하게는 10㎛∼300㎛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는, 그물의 굵기가 20㎛보다 가늘면 취급이 어려워지고, 500㎛보다 굵으면 박형의 장치로의 적용이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실링 부재(1)는, 상기 구성에 더하여, 표리 양면의 노출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보호 필름(30)을 설치하여 겔 성형체(10)의 노출면을 피복하고, 이물질이나 먼지의 부착을 피할 수 있다. 도 4에는 표리 양면에 표면측 보호 필름(30a)과 이면측 보호 필름(30b)을 설치한 경우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보호 필름(30)을 표리 양면 중 한쪽 면에만(예를 들면, 표면측 보호 필름(30a)) 설치하는 경우에는, 도 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겔 성형체(10)의 노출면을, 별도의 실링 부재(1)의 보호 필름(30)(예를 들면, 표면측 보호 필름(30a))의 표면과 중첩함으로써 피복할 수 있다. 이 형태는, 예를 들면 몇 개의 실링 부재(1)를 적층하여 제공하는 경우에 가능하다. 만일 양면에 보호 필름(30)을 배치한 실링 부재(1)를 적층하여 제공하면, 보호 필름(30)끼리가 중첩하여, 체적이 커지거나, 한쪽 보호 필름(30)이 낭비된다. 그러나, 보호 필름(30)을 표리 양면 중 한쪽 면에만 설치한 실링 부재(1)를 적층하여 제공함으로써, 이와 같은 문제를 회피할 수 있다.
표리 양면 중 한쪽 면과 다른 쪽 면의 점착성이 상이한 실링 부재(1)에서는, 저점착성 측의 보호 필름(30)이 박리하기 쉬우므로, 작업 하기 쉬워진다. 즉, 실링 부재(1)를 제1 부재(60)(또는 제2 부재(70))에 부착하는 작업 시에, 저점착성 측을 부착하도록 하면, 그것과는 반대측의 면의 보호 필름(30)은 박리하기 어려워, 잘못하여 이 반대측의 보호 필름(30)을 박리할 우려가 적어진다. 고점착성 측의 보호 필름(30)은, 그 후, 박리되어, 제1 부재(60)와 제2 부재(70)가 접합된다.
실링 부재(1)의 제조 방법의 일례를 설명한다.
기재(基材)로 되는 수지 필름 등의 위에 겔 성형체(10)가 되는 원료조성물을 도포하고, 그 위에 신장억제체(20)를 탑재한 후, 또한 그 위에 겔 성형체(10)가 되는 원료조성물을 도포한다.
그 후, 이 원료조성물을 가열경화함으로써 실링 부재(1)가 얻어진다. 개구(21)를 가지는 신장억제체(20)의 경우에는, 상기 기재 위에 뜨게 하게 신장억제체(20)를 배치하고, 그 위로부터 겔 성형체(10)가 되는 원료조성물을 도포하여 개구(21)를 통하여 반대면으로 원료조성물을 스며나오게 하여 실링 부재(1)를 제조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해서 얻어진 실링 부재(1)는, 다음 성질을 가진다. 먼저, 실링 부재(1)의 길이 방향의 인장파괴강도는, 1∼50 MPa, 보다 바람직하게는, 1∼15 MPa, 인장파괴 늘어남이 0.1∼50 %, 보다 바람직하게는, 0.1∼25 %의 범위 내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겔 성형체(10) 단독의 경우의 인장파괴강도 및 인장파괴 늘어남에 비해, 신장억제체(20)를 포함시키는 것에 의해 이 수치가 높아지고, 실링 부재(1)가 늘어나기 어려워져, 취급성이 양호하게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실링 부재(1)의 침입도도 60∼130의 범위로 할 수 있고, 또한 타입 E경도로 대략 0으로 할 수 있다. 실링 부재(1)의 침입도 및 E 경도는 겔 성형체(10)와 동일한 범위로 함으로써, 겔 성형체(10)가 구비하는 부드러움이나 액밀성(液密性)은, 신장억제체(20)가 없는 경우와 동일한 정도를 유지할 수 있다.
실링 부재(1)는, 도 6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액정 표시 장치에서의 프레임형 하우징(60A))(제1 부재(60))과 액정 패널(70A)(제2 부재(70)) 사이에 협지하여 사용한다. 제1 부재(60)와 제2 부재(70) 사이에 실링 부재(1)를 협지한 복합 실링 구조(2)는, 실링 부재(1)로 협지된 내측을 방수 방진한다. 그리고 도 6의 B에서는, 프레임형 하우징(60A)(제1 부재(60))가 표면측 하우징(60a)와 이면측 하우징(60b) 사이에 액정 패널(70A)(제2 부재(70))을 협지하는 구조로 하고 있고, 표면측 하우징(60a)과 이면측 하우징(60b)와는 비스(80)로 고정하고 있다. 또한, 실링 부재(1)는, 도 6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임형 하우징(60A)(제1 부재(60))을 따라, 액정 패널(70A)(제2 부재(70))의 표시 부분을 에워싸도록 사용된다. 1장의 실링 부재(1)는, 직사각형 테이프 형상이며, 프레임형이 아니므로, 제1 부재(60)와 제2 부재(70) 사이에 협지할 때는, 복수 장의 실링 부재(1)를 사용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7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실링 부재(1)의 겔 단부(11)끼리를 중첩하여 복수의 직사각형 테이프 형상의 실링 부재(1)가 이들의 길이 방향으로 이어지도록 배치한다. 또한, 실링 부재(1)를 프레임형으로 배치할 때의 모서리에서는, 도 8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2장의 실링 부재(1)의 겔 단부(11)끼리를 직교하도록 중첩하여 배치한다. 이 때, 2장의 실링 부재(1, 1)는, 서로의 겔 단부(11, 11)의 중첩부(11a, 11a)가 중첩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2장의 실링 부재(1, 1)의 중첩부(11a, 11a)가 중첩하도록 배치됨으로써 중첩연결부(11b)가 구성된다. 이와 같이, 중첩연결부(11b)가 구성되도록 복수의 실링 부재(1)를 배치함으로써, 틈이 없이 프레임형으로 배치할 수 있다.
즉, 큰 액정 패널(70A) 또는 태양 전지 패널로서, 제1 부재(60)와 제2 부재(70)로 협지하는 간극의 길이가 길어져도, 직사각형 테이프 형상의 복수 장의 실링 부재(1)를 사용하여, 서로의 겔 단부(11)끼리를 중첩하여 배치한다. 이로써, 원하는 부분에 간극없이 실링 부재(1)를 배치할 수 있다. 제1 부재(60)와 제2 부재(70)로 협지하는 간극의 폭이 넓은 경우에는, 도 9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실링 부재(1)의 길이측면끼리를 이웃이 되도록 배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겔 단부(11)는, 실링 부재(1)의 길이 방향의 길이와, 실링 부재(1)의 폭 방향의 길이가 동일 길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겔 단부(11)의 2개의 방향이 동일 길이이면, 2장의 실링 부재(1)의 겔 단부(11)끼리를 중첩할 때, 양쪽 실링 부재(1)를 그 길이 방향으로 중첩해도, 직교 방향으로 중첩해도, 중첩이 생기지 않는 부분이 얻어지기 어려워진다. 이에 따라, 한쪽 실링 부재(1)의 겔 단부(11)와 다른 쪽 실링 부재(1)의 겔 단부(11)를 동일한 형상으로 중첩할 수 있다.
실링 부재(1)에서는, 겔 단부(11)에는 신장억제체(20)가 포함되어 있지 않으므로, 겔 단부(11)끼리를 중첩해도 찌부러지기 쉬워, 제1 부재(60)와 제2 부재(70)를 실링 부재(1)를 협지하여 밀착시킬 수 있다. 또한, 실링 부재(1)에서는, 작은 압축 하중으로 제1 부재(60)와 제2 부재(70)를 밀착시킬 수 있으므로, 신장억제체(20)를 포함하는 것에 의한 하중값 변화에 대한 영향은 거의 관찰되지 않는다. 그리고, 복수의 실링 부재(1)를 사용함으로써, 1장의 실링 부재로 프레임형의 하우징을 일주하는 길이로 형성할 필요가 없어져, 생산성, 취급성에 있어서 바람직하다.
실링 부재(1)는, 액정 패널(70A)을 가지는 액정 표시 장치 외에, 태양 전지 패널을 가지는 태양 전지 장치, 그 외, 유리 패널을 가지는 장치, 대형기기의 하우징 등에 있어서, 이들 장치의 방수 및 방진 용도에 사용할 수 있다.
[0045]
상기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예시이며,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실시형태의 변경 또는 공지기술의 부가, 조합 등을 행할 수 있으며, 이들 기술도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이다.
1: 실링 부재 2: 복합 실링 구조
10: 겔 성형체 10a: 표면측 겔 성형체
10b: 이면측 겔 성형체 11: 겔 단부
11a: 중첩부 11b: 중첩연결부
20: 신장억제체 21: 개구
22: 선분 30: 보호 필름
30a: 표면측 보호 필름 30b: 이면측 보호 필름
60: 제1 부재 60A: 프레임형 하우징
60a: 표면측 하우징 60b: 이면측 하우징
70: 제2 부재 70A: 액정 패널
80: 비즈

Claims (10)

  1. 제1 부재와 제2 부재 사이에 압축 배치되는 테이프 형상의 실링 부재로서,
    겔 성형체와, 상기 겔 성형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겔 성형체의 신장(伸長)을 억제하는 신장억제체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겔 성형체의 양 단부(端部)에 상기 신장억제체를 가지고 있지 않은 겔 단부를 가지는, 실링 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장억제체는, 두께 방향으로 개구를 가지고, 상기 개구에 상기 겔 성형체를 구성하는 겔이 침입(浸入)하고 있는, 실링 부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겔 성형체의 표리(表裏) 양면 중 한쪽 면과 다른 쪽 면의 점착성이 상이한, 실링 부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형상의 길이 방향의 겔 단부의 길이가, 상기 테이프 형상의 폭 방향의 길이와 동일한, 실링 부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겔 성형체의 표면에 보호 필름을 가지는, 실링 부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장억제체가 망상물(網狀物)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망상물은, 격자를 형성하는 선분이 상기 테이프 형상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실링 부재.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 기재된 실링 부재와,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를 가지는, 복합 실링 구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가 액정 표시 장치에서의 프레임형 하우징이며, 상기 제2 부재가 액정 패널인, 복합 실링 구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가 태양 전지 장치에서의 프레임형 하우징이며, 상기 제2 부재가 태양 전지 패널인, 복합 실링 구조.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 부재의 겔 단부끼리를 중첩하여 배치하는, 복합 실링 구조.
KR1020217012835A 2019-01-25 2020-01-21 실링 부재 및 복합 실링 구조 KR1022948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011516 2019-01-25
JP2019011516 2019-01-25
PCT/JP2020/001906 WO2020153345A1 (ja) 2019-01-25 2020-01-21 シール部材及び複合シール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8975A KR20210058975A (ko) 2021-05-24
KR102294804B1 true KR102294804B1 (ko) 2021-08-26

Family

ID=71736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2835A KR102294804B1 (ko) 2019-01-25 2020-01-21 실링 부재 및 복합 실링 구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762599B1 (ko)
KR (1) KR102294804B1 (ko)
CN (1) CN112969875B (ko)
WO (1) WO202015334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3166705A (ja) * 2022-05-10 2023-11-22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端子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46200A (ja) 1999-06-03 2000-12-12 Toyota Motor Corp ガスケット及びガスケットシール構造
JP2002295686A (ja) 2001-03-28 2002-10-09 Kitagawa Ind Co Ltd パッキン
WO2012161099A1 (ja) 2011-05-24 2012-11-29 ポリマテック 株式会社 シール部材及び複合シール部材
US20150322988A1 (en) 2014-05-06 2015-11-12 Aviation Devices & Electronic Components, L.L.C. Thin gel gasket and a method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8430A (ja) * 1993-09-21 1995-04-04 Three Bond Co Ltd 光硬化性シリコーンゲルを用いたシール方法
GB9517202D0 (en) * 1995-08-23 1995-10-25 Raychem Sa Nv Sealing member
CA2924291C (en) * 2013-09-12 2021-08-31 Aviation Devices & Electronic Components, Llc Elastomeric gel body gasket having a substantially incompressible skeleton, a method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46200A (ja) 1999-06-03 2000-12-12 Toyota Motor Corp ガスケット及びガスケットシール構造
JP2002295686A (ja) 2001-03-28 2002-10-09 Kitagawa Ind Co Ltd パッキン
WO2012161099A1 (ja) 2011-05-24 2012-11-29 ポリマテック 株式会社 シール部材及び複合シール部材
US20150322988A1 (en) 2014-05-06 2015-11-12 Aviation Devices & Electronic Components, L.L.C. Thin gel gasket and a method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969875A (zh) 2021-06-15
WO2020153345A1 (ja) 2020-07-30
JPWO2020153345A1 (ja) 2021-02-18
CN112969875B (zh) 2022-11-22
JP6762599B1 (ja) 2020-09-30
KR20210058975A (ko) 2021-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62795B2 (ja) ロール原反及びロール原反製造方法
CN109212632B (zh) 保护膜、包括该保护膜的窗和制造显示装置的方法
CN108326949B (zh) 一种无刀印薄膜加工工艺
KR102294804B1 (ko) 실링 부재 및 복합 실링 구조
TWI444289B (zh)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for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N110712403A (zh) 玻纤板及其制备方法和电子设备
CN113035067A (zh) 柔性膜和显示装置
KR100825675B1 (ko) 전기 전도성 점착 테이프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073283A (ko) 매엽 필름의 제조 방법
CN108957840B (zh) 一种显示模组、显示装置、偏光片及其制备方法
CN114514570A (zh) 柔性图像显示装置以及用于其的光学层叠体
JP7421163B2 (ja) 防水部材及び防水構造
KR102452788B1 (ko) 편광판 적층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40082930A (ko) 적층체 및 그의 제조 방법
JP2020532449A (ja) 両面テープ、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含む電子デバイス
JP3801296B2 (ja) トップカバーテープ
CN113066365A (zh) 显示装置以及制作方法
JP2020172019A (ja) セパレータ、複合セパレータ、セパレータ付両面粘着テープ、粘着剤付研磨パッド及び粘着剤付バックパッド、並びに、複合セパレータの剥離方法
JP6384346B2 (ja) 光学部品包装体
CN115035814B (zh) 支撑组件、显示模组及其制备方法
CN210429888U (zh) 一种柔性显示屏及其封装结构
CN111152297A (zh) 裁切方法、物料单体及防爆膜单体
CN112912240B (zh) 层叠体、层叠体的制造方法、光学体的形成方法和相机模块搭载装置
CN213261440U (zh) 一种抗撕裂性能更好的薄膜
JP2012058574A (ja) ディスプレイ用光学フィルムの切断方法及びこれを用いた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