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4721B1 - 티아민 유도체를 포함하는 고코르티솔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티아민 유도체를 포함하는 고코르티솔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4721B1
KR102294721B1 KR1020190121120A KR20190121120A KR102294721B1 KR 102294721 B1 KR102294721 B1 KR 102294721B1 KR 1020190121120 A KR1020190121120 A KR 1020190121120A KR 20190121120 A KR20190121120 A KR 20190121120A KR 102294721 B1 KR102294721 B1 KR 1022947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tisol
fursultiamine
present
benfotiamine
hypercortisolis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11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36802A (ko
Inventor
이인규
전재한
강현지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2000368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68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47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47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endocrine system
    • A61P5/38Drugs for disorders of the endocrine system of the suprarenal hormones
    • A61P5/42Drugs for disorders of the endocrine system of the suprarenal hormones for decreasing, blocking or antagonising the activity of mineralocorticosteroi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95Sulfur, selenium, or tellurium compounds, e.g. thiols
    • A61K31/10Sulfides; Sulfoxides; Sulf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5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5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 A61K31/506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not condensed and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 A61K31/51Thiamines, e.g. vitamin B1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66Phosphorus compounds
    • A61K31/675Phosphorus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pyridoxal phosph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2Immunomodulators
    • A61P37/04Immunostimu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endocrine system
    • A61P5/38Drugs for disorders of the endocrine system of the suprarenal horm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2Antihypertens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cardiovascular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glycaemic control and diabe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2Promoters of weight control and weight los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abet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Endocri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Obesity (AREA)
  • Immunology (AREA)
  • Cardi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티아민 유도체인 알리티아민, 푸르설티아민, 벤포티아민 또는 이의 혼합 조성물을 포함하는 고코르티솔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고코르티솔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외과적 수술없이 코르티솔의 과방출로 인한 증상 또는 질환을 효과적으로 치료 또는 개선시킬 수 있으며, 종래의 약물에 의한 부작용이 나타나지 않는다.

Description

티아민 유도체를 포함하는 고코르티솔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A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hypercortisolism comprising thiamine derivatives}
본 발명은 티아민 유도체를 포함하는 고코르티솔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티아민 유도체인 알리티아민, 푸르설티아민, 벤포티아민, 이들의 염 또는 이의 혼합 조성물을 포함하는 고코르티솔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부신피질자극호르몬(Adrenocorticotropin, ACTH)은 스테로이드 합성(steroidogenesis) 및 부신중량(adrenal weight)을 정상적으로 유지하는 데에 필수적인 호르몬이다. ACTH는 생리학적 또는 심리적 스트레스에 반응하여 뇌하수체에서 분비되며, 주로 코르티코스테로이드(corticosteroids)의 생성 및 분비를 증가시킨다. 특히, ACTH는 시상 하부에 의한 코르티코트로핀-방출 호르몬 (corticotropin-releasing hormone, CRH)의 분비에 반응하여 뇌하수체 전엽 (adenohypophysis)의 코르티코트로프성세포 (corticotropes)로부터 분비된다. 분비된 ACTH는 부신 피질로 이동하여 멜라노코르틴 2 수용체(melanocortin 2 receptors, MC2R)에 결합하여 MC2R을 활성화시킨다. MC2R의 활성화로 인해 부신 세포에 cAMP가 생성되고, 이 cAMP는 단백질 키나아제 (PKA)에 결합하여, 지질 콜레스테롤의 스테로이드 호르몬 코르티솔(cortisol)로의 전환을 활성화시킨다.
코르티솔은 스트레스 후 항상성(homeostasis)을 회복하기 위한 수많은 생물학적 과정에 영향을 미친다. 예컨대, 코르티솔은 글루코스 항상성의 조절, 혈압의 증가, 포도당신생합성(gluconeogenesis)의 촉진, 글리코겐, 지질 및 단백질의 대사촉진 및 면역반응의 억제 등을 조절한다. 정상 생리적(physiological) 조건 하에서는 코르티솔 수치가 엄격히 조절되지만, 일부 질병 및 장애에서는 코르티솔 수준이 상승한다. 코르티솔 과생성(overproduction) 시에는 시상하부/뇌하수체/부신축(axis)의 조절에 중요한 뇌 영역인 해마(hippocampus)가 손상된다. 또한, 지방축적 증가, 혈압 상승, 혈당 상승, 뼈 손실, 근육 약화, 면역력 저하와 같은 증상이 나타난다.
코르티솔의 과다분비를 정상화하기 위해, 주로 외과적 수술인 부신 절제술이 행해진다. 그러나, 부신절제술은 양쪽 부신을 모두 제거하므로 수술 후 지속적인 스테로이드 호르몬의 보충이 필요하다. 한편, 환자가 수술을 할 수 없는 경우에는 뇌하수체에 대한 방사선 치료를 이용할 수도 있으나, 충분한 치료효과가 나타나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리고, 뇌하수체의 기능부전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코르티솔 합성을 억제하는 효소 억제제인 메티라폰(metyrapone), 아미노글루테치미드(aminoglutethimide), 케토코나졸(ketoconazole)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상기 약물들은 약효가 뚜렷하지 않고 부작용이 많아 보조요법으로 주로 사용된다. 이에 외과적 수술없이 코르티솔의 과방출로 인한 증상 또는 질환을 효과적으로 치료하기 위한 치료물질의 발굴이 요구된다.
알리티아민(allithiamine), 푸르설티아민(fursultiamine) 및 벤포티아민(benfotiamine)은 비타민 B1(티아민) 유도체로서, 높은 생체이용율을 나타내는 지용성 및 활성형 비타민이다. 알리티아민은 마늘의 알리인(alliin)으로부터 생성되는 알리신(allicin)과 비타민 B1과의 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비대칭형의 이황화형 티아민 유도체이다. 알리티아민은 지용성 성질에 의해 뛰어난 장관흡수성을 나타내고, 티아미나아제(thiaminase)에 의해 분해되지 않는 이점을 갖는다. 푸르설티아민은 상기 알리티아민의 이황화결합(-s-s-) 부분의 잔기(residues)를 변형시킨 것으로서, 신경과 근육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활성비타민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벤포티아민은 티아민의 S-acyl 유도체로서, 면역력 강화 및 뇌의 기능을 보호하며, 주로 트랜스케놀라아제 활성을 증가시켜 말초 조직에 작용한다.
본 발명자들은 생체내 안정성이 입증된 알리티아민, 푸르설티아민, 및 벤포티아민이 코르티솔 분비를 효과적으로 억제함을 발견하여, 이를 고코르티솔증 또는 코르티솔 과생성을 억제하기 위한 치료제로서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자들은 스테로이드 호르몬인 코르티솔(cortisol) 과분비를 억제할 수 있는 새로운 치료제를 발굴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 노력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자들은 티아민 유도체 중 알리티아민(Allithiamine), 푸르설티아민(Fursultiamine) 및 벤포티아민(Benfotiamine)이 코르티솔 생성 억제효과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코르티솔증(hypercortisolism)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코르티솔증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코르티솔-유도성(cortisol-induced) 고혈압, 당뇨병, 비만, 우울증 또는 급성스트레스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코르티솔-유도성 고혈압, 당뇨병, 비만, 우울증 또는 급성스트레스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알리티아민, 푸르설티아민, 벤포티아민 및 이들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salts)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 또는 2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대상(subject)에게 투여하여 코르티솔 분비를 조절 또는 억제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티아민 유도체인 알리티아민(allithiamine), 푸르설티아민(fursultiamine), 벤포티아민(benfotiamine) 및 이들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salts)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고코르티솔증(hypercortisolism)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하기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3은 각각 알리티아민, 푸르설티아민, 및 벤포티아민의 구조를 나타낸다.
[화학식 1]
Figure 112019100107193-pat00001
[화학식 2]
Figure 112019100107193-pat00002
[화학식 3]
Figure 112019100107193-pat00003
본 발명자들은 스테로이드 호르몬인 코르티솔(cortisol) 과분비를 억제할 수 있는 새로운 치료제를 발굴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 노력한 결과, 티아민 유도체 중 알리티아민, 푸르설티아민 및 벤포티아민이 코르티솔 생성 억제효과가 있음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고코르티솔증"은 생체 내 코르티솔 생성이 증가하는 증상 또는 질환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되며, 코르티솔과다분비증 또는 고코르티솔혈증(hypercortisolemia)과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고코르티솔증은 혈중 코르티솔 농도가 정상 범위를 벗어나 과량으로 측정되는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코르티솔과다분비의 원인으로는 약물 등에 의한 코르티솔에 대한 장기간 노출(exposure), 코르티솔을 과량생산하는 종양, 코르티솔의 과량 생성에 의해 나타나는 종양 등이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코르티솔이 과생성되는 증상 또는 질환으로서, 쿠싱 증후군(Cushing's syndrome), 쿠싱병(Cushing's disease), 또는 이소성 부신피질 자극호르몬 증후군(ectopic adrenocorticotropic hormone syndrome) 등이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쿠싱 증후군(Cushing's syndrome)"은 혈액 내에서 글루코코르티코이드(glucocorticoid)의 일종인 코르티솔의 수치가 높게 나타는 일반적인 상태를 의미한다. 문페이스(moon face)와 버팔로험프(buffalo hump, 경추후위 혹), 체간비만증, 안면다혈증, 여드름, 조모증, 무월경, 성기능 감퇴, 골다공증, 고혈압, 우울증 등의 증세를 보인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쿠싱병(Cushing's disease)"은 쿠싱 증후군 중 뇌하수체샘종(Pituitary adenoma, ACTH 생산 샘종)에 기인한 혈액 내 코르티솔 과량 상태를 의미한다.
쿠싱병 환자는 대부분의 경우에 뇌하수체 미세 혈관종(pituitary microadenomas)을 동반한다. 코르티솔 수치의 상승은 뇌하수체 종양 이외의 이유로 발생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코르티솔을 생성하는 부신의 종양; 및 이소성 ACTH 생성 (즉, 신체의 특정 유형의 암은 ACTH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어서 정상 부신(adrenal glands)을 자극하여 과도한 코르티솔을 생성할 수 있음)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이소성 ACTH 발현으로 인한 쿠싱 증후군은 소세포 폐암, 비소 세포 폐암 (NSCLC), 췌장암, 신경 종양 (신경아교종, 신경상피종성 종양 또는 신경초 종양) 및 흉선종(thymoma)을 비롯한 신생물(neoplasm)에 의해 흔히 발생한다. 이소성(ectopic) 또는 종양(neoplastic) 기원 쿠싱 증후군의 최대 50%의 경우 소세포 폐암이 관찰된다.
쿠싱병은 재발성 쿠싱병(recurrent Cushing's disease), 난치성 쿠싱병(refractory Cushing's disease), 지속적 쿠싱병(persistent Cushing's disease), 내인성 쿠싱병(endogenous Cushing's disease), 자발적 고코르티솔증(spontaneous hypercortisolism), 부신피질자극호르몬 의존성 쿠싱병(adrenocorticotropic hormone dependent Cushing's disease), 부신피질자극호르몬 비의존성 쿠싱병 (adrenocorticotropic hormone independent Cushing's disease) 등을 포함한다.
이소성 부신피질 자극호르몬 증후군(ectopic adrenocorticotropic hormone syndrome)은 과색소증, 저칼륨성 알칼리증, 내당능 이상 등을 보이는 코르티솔 분비 과잉증이며, 남자에게 더 흔하게 나타난다.
한편, 과생성된 코르티솔에 의해 유도성(cortisol-induced) 질환으로서, 코르티솔-유도성(cortisol-induced) 고혈압, 골다공증, 우울증, 당뇨병 또는 심부전 등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높은 코르티솔 수치는 비만, 수면 무호흡증, 부신 과형성 (선천성 부신 과형성), 불안장애, 근육위축, 인지 기능 장애, 유즙 분비증(galactorrhea) 및 대사 증후군 등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알리티아민, 푸르설티아민, 벤포티아민 및 이들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salts)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된 화합물을 포함한다. 상기 화합물들은 모두 비타민 B1 (티아민)의 유도체(derivates)로서, 지용성 비타민이다. 쉽게 생체 외로 배출되는 수용성 비타민과는 달리 생체이용률이 높은 활성형 비타민이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알리티아민, 푸르설티아민, 벤포티아민 또는 이들의 염(salts)의 효능 또는 활성을 달성하는 데 충분한 양(치료학적 유효량)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된 알리티아민, 푸르설티아민, 벤포티아민 또는 이들의 염의 양적 상한은 당업자가 적절한 범위 내에서 선택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유효성분으로 사용되는 알리티아민, 푸르설티아민, 및/또는 벤포티아민은 그 자체 또는 염의 형태, 바람직하게는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염으로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유리산(free acid)에 의하여 형성된 산 부가염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리산은 유기산과 무기산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기산은 구연산, 초산, 젖산, 주석산, 말레인산, 푸마르산, 포름산, 프로피온산, 옥살산, 트리플로오로아세트산, 벤조산, 글루콘산, 메타술폰산, 글리콜산, 숙신산, 4-톨루엔술폰산, 글루탄산 및 아스파르트산 등을 포함하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무기산은 염산, 브롬산, 황산 및 인산 등을 포함하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제제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9th ed., 1995)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할 수 있고, 비경구 투여인 경우에는 정맥내 주입, 피하 주입, 근육 주입, 복강 주입, 경피 투여 등으로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며, 보통으로 숙련된 의사는 소망하는 치료 또는 예방에 효과적인 투여량을 용이하게 결정 및 처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1일 투여량은 0.001-10000 ㎎/㎏이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일회 또는 다회투여될 수 있다. 티아민 계열의 화합물은 미토콘드리아 효소의 조효소(cofactor)이고, 이 효소를 지속적으로 활성화하기 위하여 일정 시간간격으로 다회투여를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 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오일 또는 수성 매질중의 용액, 현탁액 또는 유화액 형태이거나 엑스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또는 캅셀제 형태일 수도 있으며,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티아민 유도체인 알리티아민, 푸르설티아민, 벤포티아민 및 이들의 염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고코르티솔증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상술한 본 발명의 고코르티솔증 예방 및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과 동일한 유효성분인 알리티아민, 푸르설티아민, 벤포티아민 또는 이들의 염을 이용하는 것으로서, 이 둘 사이에 공통된 내용은 본 명세서의 과도한 복잡성을 피하기 위하여, 그 기재를 생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식품 조성물인 경우에는 분말, 과립, 정제, 캡슐 또는 음료 등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예컨대 캔디류의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또는 건강보조 식품류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알리티아민, 푸르설티아민, 벤포티아민 또는 이들의 염뿐만 아니라, 식품 제조 시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조미제 및 향미제를 포함한다. 상술한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올리고당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이 드링크제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알리티아민, 푸르설티아민, 벤포티아민 또는 이들의 염 이외에 구연산, 액상과당, 설탕, 포도당, 초산, 사과산, 과즙, 두충 추출액, 대추 추출액, 감초 추출액 등을 추가로 포함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티아민 유도체인 알리티아민, 푸르설티아민, 벤포티아민 및 이들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코르티솔-유도성 고혈압, 당뇨병, 비만, 우울증 또는 급성스트레스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코르티솔-유도성 고혈압, 당뇨병, 비만, 우울증 또는 급성스트레스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은 상술한 본 발명의 고코르티솔증 예방 및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과 동일한 유효성분인 알리티아민, 푸르설티아민, 벤포티아민 또는 이들의 염을 이용하는 것으로서, 이 둘 사이에 공통된 내용은 본 명세서의 과도한 복잡성을 피하기 위하여, 그 기재를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코르티솔-유도성"질환은 코르티솔 과분비 또는 과생성에 의해 나타나는 질환을 의미한다. 과생성된 코르티솔에 의해 유도성 질환으로서, 코르티솔-유도성 고혈압, 골다공증, 우울증, 당뇨병 또는 심부전 등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높은 코르티솔 수치는 비만, 수면 무호흡증, 부신 과형성 (선천성 부신 과형성), 불안장애, 근육위축, 인지 기능 장애, 유즙 분비증(galactorrhea) 및 대사 증후군 등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티아민 유도체인 알리티아민, 푸르설티아민, 벤포티아민 및 이들의 염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코르티솔-유도성 고혈압, 당뇨병, 비만, 우울증 또는 급성스트레스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코르티솔-유도성 고혈압, 당뇨병, 비만, 우울증 또는 급성스트레스 개선용 식품 조성물은 상술한 본 발명의 고코르티솔증 개선용 식품 조성물과 동일한 유효성분인 알리티아민, 푸르설티아민, 벤포티아민 또는 이들의 염을 이용하는 것으로서, 이 둘 사이에 공통된 내용은 본 명세서의 과도한 복잡성을 피하기 위하여, 그 기재를 생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티아민 유도체인 알리티아민, 푸르설티아민, 벤포티아민 및 이들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대상(subject)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코르티솔 분비를 억제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투여"는 임의의 적절한 방법으로 환자에게 소정의 물질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하며,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목적 조직에 도달할 수 있는 한 일반적인 모든 경로를 통하여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유효성분을 표적 세포 또는 조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임의의 장치를 이용해 투여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대상"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인간, 원숭이, 소, 말, 양, 돼지, 닭, 칠면조, 메추라기, 고양이, 개, 마우스, 쥐, 토끼 또는 기니아 피그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포유류, 보다 바람직하게는 인간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a) 본 발명은 티아민 유도체인 알리티아민, 푸르설티아민, 벤포티아민, 이들의 염 또는 이들의 혼합 조성물을 포함하는 고코르티솔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b) 본 발명의 고코르티솔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외과적 수술없이 코르티솔의 과방출로 인한 증상 또는 질환을 효과적으로 치료 또는 개선시킬 수 있으며, 종래의 약물에 의한 부작용이 나타나지 않는다.
도 1a는 인간 부신피질암 (human adrenocortical carcinoma) 세포주 NCI-H295R에 알리티아민(allithiamine)을 처리한 후, 코르티솔(cortisol) 합성 억제능을 실험한 결과 그래프이다.
도 1b는 인간 부신피질암 세포주 NCI-H295R에 푸르설티아민(fursultiamine)을 처리한 후, 코르티솔 합성 억제능을 실험한 결과 그래프이다.
도 1c는 인간 부신피질암 세포주 NCI-H295R에 벤포티아민(benfotiamine)을 처리한 후, 코르티솔 합성 억제능을 실험한 결과 그래프이다.
도 2a는 쿠싱증후군 동물모델에서 푸르설티아민에 의한 코르티솔-유도성 비만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체중을 확인한 결과 그래프이다.
도 2b는 쿠싱증후군 동물모델에서 푸르설티아민에 의한 코르티솔-유도성 비만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체지방량을 확인한 결과 사진 및 그래프이다.
도 3은 쿠싱증후군 동물모델에서 푸르설티아민에 의한 코르티솔 억제 효과를 확인한 결과 그래프이다.
도 4는 스트레스 유도 실험에서 푸르설티아민에 의한 코르티솔 합성 억제능을 확인한 결과 그래프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시험관내(In vitro)에서의 티아민 유도체에 의한 코르티솔 감소효과 확인
티아민(Thiamine, 비타민 B1) 계열 화합물인 알리티아민(Allithiamine, Shanghai iChemical Technology CO., LTD., China), 푸르설티아민(Fursultiamine, Toronto Research Chemicals, Canada) 또는 벤포티아민(Benfotiamine, Sigma-Aldrich, St. Louis, MO, USA)에 의한 코르티솔 (cortisol) 분비 억제효과를 실험하였다. 이를 위해, 코르티솔을 과분비하는 부신 종양에서의 코르티솔 감소효과를 측정하였다.
인간 부신피질암(human adrenocortical carcinoma) 세포주인 NCI-H295R (ATCC #CRL-2128) 세포를 24-웰 플레이트에 2.5 x 105 cells/well 로 분주하였다. 이어, 2.5% Nu-혈청, 1% ITS (인슐린(insulin), 트렌스페린(transferrin), 셀레늄(selenium)), 소혈청알부민(bovine serum albumin; BSA), 리놀렌산(linoleic acid),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이 함유된 DMEM/F12 생장배지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무혈청배지로 교체하고, NCI-H295R 세포에 알리티아민, 푸르설티아민 또는 벤포티아민을 20 uM, 50 uM, 및 100 uM 농도로 12시간 전처리 하였다. 그리고 코르티솔 합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8-브로모아데노신 3', 5'-사이클릭 모노포스페이트(8-Br-cAMP)를 0.5 mM의 농도로 세포에 처리하면서 알리티아민, 푸르설티아민 또는 벤포티아민 20 uM, 50 uM, 및 100 uM을 다시 처리하여 24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상기 반응 후, 세포 배양액을 수거하여 ELISA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키트 (Enzo Life Sciences, Inc., NY, USA)를 이용하여, 세포에서 생성된 코르티솔의 양을 측정하였다.
NCI-H295R 세포주에서 알리티아민, 푸르설티아민 및 벤포티아민 모두 8-Br-cAMP 0.5 mM 자극에 의하여 증가된 코르티솔 생성을 농도의존적으로 유의하게 억제함을 확인하였다.
알리티아민 미처리군(8-Br-cAMP 처리)과 비교하여, 알리티아민 처리군은 50 uM에서 50.7%, 100 uM에서 78.7%의 코르티솔 생성이 감소하였다(표 1 및 도 1a 참조). 푸르설티아민 처리군은 50 uM에서 43%, 100 uM에서 52.4%의 코르티솔 생성이 감소하였다(표 2 및 도 1b 참조). 벤포티아민 처리군은 50 uM에서 22.6%, 100 uM에서 44.3%의 코르티솔 생성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표 3 및 도 1c 참조)(**p<0.01, ***p<0.001 vs. 8-Br-cAMP 처리군).
알리티아민의 코르티솔 생성 억제효과
8-Br-cAMP (mM) 0 0.5 0.5 0.5 0.5
알리티아민 (uM) 0 0 20 50 100
코르티솔 생성농도(ng/mL) 3.5 13.0 10.5 6.4 2.8
푸르설티아민의 코르티솔 생성 억제효과
8-Br-cAMP (mM) 0 0.5 0.5 0.5 0.5
푸르설티아민 (uM) 0 0 20 50 100
코르티솔 생성농도(ng/mL) 4.5 15.7 14.1 9.0 7.5
벤포티아민의 코르티솔 생성 억제효과
8-Br-cAMP (mM) 0 0.5 0.5 0.5 0.5
벤포티아민 (uM) 0 0 20 50 100
코르티솔 생성농도(ng/mL) 4.1 15.5 14.0 12.0 8.6
실시예 2: 생체내(In vivo)에서의 티아민 유도체에 의한 코르티솔 감소효과 확인
2-1. 쿠싱증후군 동물 모델을 이용한 실험
고코르티솔 억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8 내지 9주령의 C57BL/6J 정상 마우스(WT-con)와 쿠싱증후군 동물 모델인 부신피질자극호르몬방출 호르몬 (Corticotropin-releasing hormone, CRH) 과발현 마우스를 사용하였으며, CRH 과발현 마우스 한 군에 60 mg/kg 푸르설티아민을 1일 1회 9주 동안 경구 투여(CRH tg-Fur 60 mpk)하였다.
이 기간 동안 주 1회 체중을 측정하여 체중 변화를 확인하였으며, 코르티코스테론(corticosterone, 설치류에서는 코르티코스테론이라 함) 농도를 확인하기 위해 꼬리정맥에서 채혈하여 혈청을 분리하였다. 분리한 혈청에서 ELISA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키트 (Enzo Life Sciences, Inc., NY, USA)를 이용하여, 코르티코스테론(corticosterone)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약제 투여 6주 후 체성분 분석기(MiniSpec LF 50, Bruker Optics, Germany)를 이용하여 체지방량을 측정하였으며, 8주 후 마이크로(micro) CT 이미지로 지방 분포도를 재확인하였다.
도 2a 및 표 4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CRH 과발현 마우스의 경우 정상마우스에 비해 체중이 증가하는 반면, 푸르설티아민을 투여한 CRH 과발현 마우스의 경우 대조군 (CRH 과발현 마우스)에 비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Weeks 정상마우스 CRH 과발현 마우스 푸르설티아민을 투여한 CRH 과발현 마우스
0 24.0 19.0 18.4
1 24.9 18.5 17.8
2 24.9 18.2 17.8
3 24.9 19.4 18.2
4 24.9 20.0 18.1
5 24.9 20.5 18.4
6 25.0 20.4 17.9
7 25.8 22.8 19.8
8 26.5 22.4 19.7
9 26.4 21.9 19.2
또한 도 2b 및 표 5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CRH 과발현 마우스의 경우 정상마우스에 비해 체지방량이 증가하는 반면, 푸르설티아민을 투여한 CRH 과발현 마우스의 체지방량이 대조군에 비해 감소하였다.
정상마우스 CRH 과발현 마우스 푸르설티아민을 투여한 CRH 과발현 마우스
체지방량(%) 16.9 28 23.4
도 3 및 표 6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CRH 과발현 마우스의 경우 코르티코스테론 합성 농도가 정상마우스에 비해 증가하였으며, 푸르설티아민을 투여한 CRH 과발현 마우스의 경우 코르티코스테론 합성 농도가 감소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정상마우스 CRH 과발현 마우스 푸르설티아민을 투여한 CRH 과발현 마우스
코르티코스테론(ng/ml) 37.0 130.5 87.1
2-2 스트레스 유도 실험
신체 구금 스트레스 유도 실험을 위해 8주령의 수컷 마우스를 이용하였으며, 푸르설티아민을 스트레스 유도 24시간 전 1회, 2시간 전에 1회 경구로 투여하였다. 스트레스 유도를 위해 마우스를 개별적으로 환기가 잘되는 50 ml 폴리프로필렌 튜브에 머리부터 넣고, 50 ml 튜브의 뚜껑을 채워서 2시간 동안 구금시켰다. 스트레스 유도 전과 유도 1시간, 2시간 후, 회복 1시간 째에 꼬리정맥에서 채혈을 하여 혈청 분리 후 ELISA 키트를 이용하여 코르티코스테론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도 4 및 표 7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스트레스 유도 후 코르티코스테론 농도가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는데, 푸르설티아민을 투여한 그룹에서는 그 증가율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Time(min) 대조군 그룹 푸르설티아민 투여 그룹
0 76.6 63.6
60 300 260.4
120 255.1 261.4
180 188.3 105.8

Claims (6)

  1. 티아민 유도체인 알리티아민(allithiamine), 푸르설티아민(fursultiamine), 벤포티아민(benfotiamine) 및 이들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salts)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고코르티솔증(hypercortisolism)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코르티솔증은 쿠싱 증후군(Cushing's syndrome), 쿠싱병(Cushing's disease) 및 이소성 부신피질 자극호르몬 증후군(ectopic adrenocorticotropic hormone syndrome)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약제학적 조성물.
  3. 티아민 유도체인 알리티아민(allithiamine), 푸르설티아민(fursultiamine), 벤포티아민(benfotiamine) 및 이들의 염(salts)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고코르티솔증(hypercortisolism) 개선용 식품 조성물.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코르티솔증은 쿠싱 증후군(Cushing's syndrome), 쿠싱병(Cushing's disease) 및 이소성 부신피질 자극호르몬 증후군(ectopic adrenocorticotropic hormone syndrome)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식품 조성물.
  5. 티아민 유도체인 알리티아민(allithiamine), 푸르설티아민(fursultiamine), 벤포티아민(benfotiamine) 및 이들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salts)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코르티솔-유도성(cortisol-induced) 고혈압, 당뇨병, 비만, 우울증 또는 급성스트레스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6. 티아민 유도체인 알리티아민(allithiamine), 푸르설티아민(fursultiamine), 벤포티아민(benfotiamine) 및 이들의 염(salts)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코르티솔-유도성(cortisol-induced) 고혈압, 당뇨병, 비만, 우울증 또는 급성스트레스 개선용 식품 조성물.
KR1020190121120A 2018-09-28 2019-09-30 티아민 유도체를 포함하는 고코르티솔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947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6372 2018-09-28
KR20180116372 2018-09-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6802A KR20200036802A (ko) 2020-04-07
KR102294721B1 true KR102294721B1 (ko) 2021-08-31

Family

ID=69953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1120A KR102294721B1 (ko) 2018-09-28 2019-09-30 티아민 유도체를 포함하는 고코르티솔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10308156A1 (ko)
EP (1) EP3858359B1 (ko)
KR (1) KR102294721B1 (ko)
WO (1) WO202006783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36781A1 (zh) * 2022-06-10 2023-12-14 上海日馨医药科技股份有限公司 治疗精神类疾病的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77254A1 (en) * 2001-04-30 2003-04-24 Ramaekers Joseph C. Compositions for treating animal diseases and syndromes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48795B2 (ja) * 2001-02-23 2009-04-02 武田薬品工業株式会社 内服用液剤
KR101387910B1 (ko) * 2005-01-10 2014-04-25 콜텐도 인베스트 아베 당뇨병, 대사 증후군 및 다른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및 조성물
DE102007053804A1 (de) * 2007-11-12 2009-05-14 Universität Duisburg-Essen Tktl 1
KR101487231B1 (ko) * 2012-01-03 2015-01-29 서웅진 부처손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스트레스로 인한 코티졸 과다 분비 억제를 통한 쿠싱증후군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CN103113405B (zh) * 2012-10-17 2016-03-02 上海日馨生物科技有限公司 苯磷硫胺多晶型体、制备方法及其应用
KR20140144418A (ko) * 2013-06-11 2014-12-19 주식회사 마더스제약 부신 피로 증후군의 치료 및 예방용 의약 조성물
JP6420797B2 (ja) * 2015-08-07 2018-11-07 国立大学法人 筑波大学 活動意欲向上剤
CN109071537A (zh) 2016-03-01 2018-12-21 科赛普特治疗学股份有限公司 用于加强检查点抑制剂的糖皮质激素受体调节剂的应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77254A1 (en) * 2001-04-30 2003-04-24 Ramaekers Joseph C. Compositions for treating animal diseases and syndrom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308156A1 (en) 2021-10-07
KR20200036802A (ko) 2020-04-07
EP3858359A1 (en) 2021-08-04
WO2020067832A1 (ko) 2020-04-02
EP3858359B1 (en) 2024-03-06
EP3858359A4 (en) 2021-11-24
EP3858359C0 (en) 2024-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85997B1 (en)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herbal combina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diabetic peripheral neuropathy
EP2397039A1 (en) Compositions for delaying progression of diabetes using Salacia oblonga extract
US20240082213A1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Obesity or Lipid-Related Metabolic Disorders
KR20190106782A (ko) 옥촉서예 추출물의 수면장애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신규 용도
KR102239075B1 (ko) IF1 (ATPase inhibitory factor 1)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감소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EP2644198A1 (en) Antianxiety and sleep disorder improving use of albiflorin or metabolite thereof in
KR102294721B1 (ko) 티아민 유도체를 포함하는 고코르티솔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70055626A (ko) 특발성 폐섬유증의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약학적 조성물
Leibowitz et al. Neurochemical controls of appetite
RU2750201C1 (ru)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и лечения повреждения спинного мозга
EP3622949A1 (en) Composition for alleviating, preventing, or treating somnipathy or composition for suppressing resistance to benzodiazepine binding site agonist of gaba-a receptor or for alleviating side-effect of benzodiazepine binding site agonist of gaba-a receptor, each composition comprising phloroglucinol as effective ingredient
US20220288089A1 (en) Peripherally-restricted dual-acting kappa and delta opioid agonist for analgesia in pain states involving the inflammatory response
JP2012062275A (ja) 脂質燃焼促進剤
US10610556B2 (en) Compositions for regulation and control of appetite
KR101671008B1 (ko) TNP(N2-(m-Trifluorobenzyl), N6-(p-nitrobenzyl)purine)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욕억제용 약학적 조성물
KR102205054B1 (ko) 아연 및 nac를 포함하는 신경발생 촉진용 조성물
WO2008044848A1 (en) A composition comprising an extract of rhei rhizoma or physcion compound isolated therefrom for treating or preventing cognitive dysfunction and the use thereof
KR101783306B1 (ko) PDKs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러지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200144538A (ko) 아연 및 nac를 포함하는 신경계 질환을 예방하거나 치료하는 약학적 조성물
KR20140083866A (ko) 장대여뀌 함유 약학적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
KR101929353B1 (ko) 항우울 또는 항불안 활성을 갖는 쥐오줌풀 어린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KR102226052B1 (ko) 항스트레스, 항우울 및 항불안 효과를 갖는, 테아닌과 벌화분 배합물
JP5946636B2 (ja) イソフムロン類を含む自律神経調節剤
KR20120131956A (ko) 갑상선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US20240041964A1 (en) Method for preparing gynostemma pentaphyllum leaf extract and gynostemma pentaphyllum leaf extract prepared thereb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