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4479B1 - 살균 케이스 - Google Patents

살균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4479B1
KR102294479B1 KR1020200109160A KR20200109160A KR102294479B1 KR 102294479 B1 KR102294479 B1 KR 102294479B1 KR 1020200109160 A KR1020200109160 A KR 1020200109160A KR 20200109160 A KR20200109160 A KR 20200109160A KR 102294479 B1 KR102294479 B1 KR 1022944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sterilization
cover
sterilized
ma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91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성결
박형호
윤완수
김훈
최지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091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4479B1/ko
Priority to CN202110184702.XA priority patent/CN114099728B/zh
Priority to US17/244,683 priority patent/US20220062469A1/en
Priority to TW110117972A priority patent/TWI807324B/zh
Priority to JP2021090930A priority patent/JP7254117B2/ja
Priority to EP21182279.6A priority patent/EP396020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44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44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6Accessories or devices or components used for biocid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1Apparatus for generating biocidal substances, e.g. vaporisers, UV l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2Apparatus for isolating biocidal substances from the environment
    • A61L2202/121Sealings, e.g. doors, covers, valves, slu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2Apparatus for isolating biocidal substances from the environment
    • A61L2202/122Chambers for steril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6Mobile applications, e.g. portable devices, trailers, devices mounted on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62B18/025Halfmas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Zoology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 Transition And Organic Metals Composition Catalysts For Addition Polymeriz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살균 케이스는, 살균 대상물이 안착되는 안착면을 형성하는 케이스 바디; 상기 케이스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내부에 상기 살균 대상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 커버; 및 상기 케이스 바디에 설치되며 상기 살균 대상물을 살균하는 자외선 살균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 커버의 내면에는, 상기 자외선 살균모듈에 의해서 조사된 자외선 광을 반사시켜, 상기 살균 대상물의 상부로 조사시키기 위한 반사 패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살균 케이스{STERILIZING CASE}
본 발명은 자외선 살균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외선 살균 케이스는, 내부에 살균 대상물을 거치시킨 후, 자외선 광을 살균 대상물에 조사시켜서 살균 처리하는 장치이다.
이에 관련하여, 선행문헌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135840호(공개일:2018년12월21일)에는 "UV LED를 사용한 화장품 도구의 살균기"가 개시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선행문헌에 개시된 살균기는, 내주면에 UV LED가 설치되는 하부 케이스와, 상기 하부 케이스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상부 케이스와, 상기 하부 케이스의 내부에서 상기 UV LED의 상부에 수평하게 배치되며 화장품 도구를 지지하는 화장품 도구 홀더와, 상기 하부 케이스의 내부에서 상기 UV LED의 하부에 수평하게 배치되는 반사판(reflector)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화장품 도구 홀더는 투명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반사판은 울툴불퉁하거나 비정형 구조, 홀로그램 패턴 또는 반사되는 LED 광의 파장에 따라 회절각을 조절할 수 있는 그래이팅 패턴(gratting pattern) 구조의 형태로 이루어져, 난반사가 되어 화장품 도구를 자외선 살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UV LED에서 방출되는 자외선 광은 직접 또는 난반사되어 상기 화장품 도구의 하부를 조사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화장품 도구의 살균기는 살균 대상의 아랫면만 광조사가 가능하여 윗면의 살균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살균 대상 하부의 반사판은 비정형 패턴 구조로 난반사를 일으키도록 설계되어 있어 광원과 멀어질수록 광균일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광균일도가 떨어지면, 광원과 먼 살균 대상의 부분은 살균력이 현저히 떨어지고, 광원과 가까운 살균 대상의 부분은 자외선 노출에 의한 변색이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살균 대상물(예: 마스크, 휴대단말기 등)을 안정적으로 거치시킬 수 있고 살균 대상물의 표면을 살균할 수 있는 살균 케이스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마스크 및 휴대단말기가 효율적으로 살균되도록 하여 살균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살균 케이스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마스크 및 휴대단말기에 대한 광균일도를 향상시켜 살균 성능을 개선하고, 자외선 노출에 의한 변질을 최소화하는 살균 케이스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케이스 내부의 환기가 용이해져 건조가 빠르고 내부 전자부품들의 방열 성능이 향상되는 살균 케이스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살균 케이스는, 살균 대상물이 안착되는 안착면을 형성하는 케이스 바디; 상기 케이스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내부에 상기 살균 대상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 커버; 상기 케이스 커버의 저면에 배치되는 다수의 반사 패턴; 및 상기 안착면에 설치되어 상기 살균 대상물을 살균하는 자외선 살균 모듈을 포함하고, 기 케이스 바디는, 지면에 지지되고, 중앙부에 환풍구가 형성되는 외부 케이스와, 상기 외부 케이스의 상측에 결합되어 상기 안착면을 정의하는 내부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안착면은, 중심 부분이 하부로 소정 깊이 함몰되되, 경사면을 형성하면서 함몰되는 제 1 함몰부와, 상기 제1함몰부의 양 측단부에서 함몰되고, 상기 살균 대상물의 가장자리 부분이 놓이는 한 쌍의 제 2 함몰부와, 상기 한 쌍의 제 2 함몰부 각각의 가장자리에서 함몰되는 한 쌍의 제 3 함몰부, 및 상기 제 1 함몰부와 상기 제 2 함몰부의 경계 부위에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자외선 살균 모듈은, 상기 제 1 함몰부에 설치되어 자외선을 상향 조사하는 제 1 자외선 살균 모듈과, 상기 한 쌍의 제 3 함몰부에 각각 설치되어 자외선을 상향 조사하는 제 2 및 제 3 살균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살균 모듈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에 의하여 상기 살균 대상물의 저면이 살균되도록, 상기 살균 대상물의 가장자리가 상기 제 2 함몰부에 놓인 상태 또는 상기 살균 대상물이 상기 돌출부에 놓인 상태에서, 상기 제 1 함몰부는 상기 살균 대상물의 저면으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살균 대상물의 가장자리가 상기 제 2 함몰부에 놓인 상태에서, 상기 제 1 자외선 살균 모듈은 상기 살균 대상물의 저면을 살균하고, 상기 살균 대상물의 가장자리가 상기 제 2 함몰부에 놓인 상태에서, 상기 제 2 및 제 3 자외선 살균 모듈로부터 방출되는 자외선은, 상기 다수의 반사 패턴에 의하여 상기 살균 대상물의 상면으로 반사되어, 상기 살균 대상물의 상면을 살균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살균 케이스에는 마스크 장치와 휴대단말기가 겸용으로 거치되면서 살균 처리될 수 있으므로, 범용성 및 편의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둘째, 마스크 장치의 중심부(실링부)는 안착면의 돌출부에 지지되고, 마스크 장치의 양단부는 함몰부의 내측면에 지지되므로, 마스크 장치가 안정적으로 거치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케이스 커버의 내면에 형성된 반사 패턴에 의해서, 케이스 커버의 내면으로 조사된 광이 반사되어 살균 대상물의 상부로 조사될 수 있으므로, 살균 대상물에 대한 광균일도가 향상되고 살균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넷째, 반사 패턴의 돌기의 지름, 높이 및 피치(간격)를 다르게 하여, 반사각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살균 대상물의 살균 균일도가 좋아지고 광 집중에 따른 노출에 의한 변색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섯째, 살균 대상물이 지지되는 안착면의 일부에는, 공기가 통과하는 그릴부가 형성된 환풍 그릴이 제공되고, 환풍 그릴의 직하방에 해당하는 케이스 바디의 바닥면에는 환풍구가 형성되므로, 살균 케이스의 내부 공기순환이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 살균 케이스의 내부 통풍이 좋아지면, 살균 대상물의 건조가 빨라지고 살균 케이스의 내부 전자부품들의 방열 성능이 좋아지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살균 케이스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살균 케이스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살균 케이스가 개방된 상태에서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케이스 바디에서 내부 케이스가 제거된 상태의 외부 케이스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외부 케이스에 형성된 환풍구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케이스 커버의 저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케이스 커버의 단면 형상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살균 케이스에 마스크 장치가 보관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도 8의 살균 케이스의 수직 단면을 보여주는 단면도들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살균 케이스에 휴대단말기가 보관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의 살균 케이스의 수직 단면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케이스 커버의 저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케이스 커버의 단면 형상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 장치의 좌측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 장치의 우측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 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 장치의 저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살균 케이스의 전방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살균 케이스의 후방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살균 케이스가 개방된 상태에서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살균 케이스(60)는 내부에 마스크 장치(1)를 보관하여 살균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마스크 장치(1)는 사용자의 코와 입을 커버하고, 사용자의 코와 입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장치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살균 케이스(60)는 상기 마스크 장치(1)를 지지하는 케이스 바디(61)와, 상기 케이스 바디(61)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마스크 장치(1)를 커버하는 케이스 커버(6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바디(61)는 지면에 놓여서 상기 마스크 장치(1)를 지지하는 면을 형성하고, 상기 케이스 커버(62)는 상기 케이스 바디(61)에 결합되어 상기 살균 케이스(60)의 수용공간(601)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바디(62)는 전면 및 배면이 막히고 상면 및 양측면이 개방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 바디(62)에 상기 케이스 커버(62)가 결합되면, 상기 케이스 커버(62)의 상면 및 양측면에 의해서 상기 케이스 바디(62)의 내부가 밀폐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커버(62)는 상기 케이스 바디(61)의 상부에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케이스 커버(62)는 상기 케이스 바디(61)의 일측에 힌지(63)로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일례로, 상기 케이스 커버(62)는 상기 케이스 바디(61)의 상부 가장자리에 힌지(63)로 결합되어, 상기 수용공간(601)을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커버(62)는 상기 케이스 바디(61)의 상부의 일부 또는 전부를 모두 커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케이스 커버(62)는 내부가 비어있는 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커버(62)는 하단부 또는 하부 가장자리가 상기 케이스 바디(61)의 상단부 또는 상부 가장자리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 바디(61)의 상부에 안착 또는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케이스 커버(62)가 열리는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수용공간(601)이 노출되고, 상기 케이스 커버(62)가 닫히는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수용공간(601)이 밀폐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커버(62)에는 커버 결합부(621a)가 구비된다. 상기 커버 결합부(621a)는 상기 케이스 커버(62)를 상기 케이스 바디(61)에 안정적으로 결합시키기 위한 기능을 제공한다.
상기 커버 결합부(621a)에는 제1극성을 가지는 제1자석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 결합부(621a)에 대응하는 상기 케이스 바디(61)에는 제2극성을 가지는 제2자석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제1극성은 N극이 되고 상기 제2극성은 S극이 될 수 있다.
즉, 상기 케이스 커버(62)가 닫히는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커버 결합부(621a)의 제1자석이 상기 케이스 바디(61)의 제2자석에 가까워지면서 인력으로 인해 자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케이스 커버(62)의 닫힘이 용이해지고 잠금 기능이 부여될 수 있다.
상기 커버 결합부(621a)는 상기 케이스 커버(62)의 가장자리 부분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커버 결합부(621a)에는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걸릴 수 있는 홈이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 커버(62)를 열리는 방향으로 개방시키도록 도와줄 수 있다.
상기 케이스 커버(62)는 커버 외관을 형성하는 외부 커버(621)와, 상기 외부 커버(621)의 내측에 결합되는 내부 커버(6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 커버(621)는 상기 케이스 커버(62)의 외면을 형성하며, 상기 내부 커버(622)는 상기 케이스 커버(22)의 내면을 형성한다. 상기 내부 커버(622)는 상기 외부 커버(621)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외부 커버(621)의 내측에 포개어질 수 있다.
상기 내부 커버(622)에는 자외선 광을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 패턴(622a)이 구비된다. 상기 반사 패턴(622a)은 상기 케이스 바디(61)에 구비된 자외선 살균모듈(71,72,73)에 의해 조사된 자외선 광을 반사시켜, 마스크 장치(1)의 상부로 조사시키는 기능을 한다. 즉, 상기 반사 패턴(622a)은 패턴의 조사각을 조절하여 원하는 위치의 표면에 대한 조도 및 살균 효율을 조절하도록 거울 반사시키는 구성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반사 패턴(622a)은 상기 내부 커버(622)의 표면에서 돌출된 다수의 돌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기는 반구형 또는 육각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반사 패턴(622a)은 반구형의 돌기 패턴 또는 육각뿔의 돌기 패턴 이 상기 내부 커버(622)의 표면에 특정 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반사 패턴(622a)은 상기 내부 커버(622)의 표면에서 돌출된 다수의 선형 리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형 리브는 절단면이 반구형 또는 삼각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케이스 바디(61)는 상기 살균 케이스(1)의 전원을 온 또는 오프시키기 위한 전원스위치(611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스위치(611a)는 상기 케이스 바디(61)의 전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전원스위치(611a)가 온 되면, 상기 살균 케이스(1)에 구비된 자외선 살균모듈(71,72,73)이 구동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케이스 커버(62)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전원스위치(611a)가 온 되면, 상기 자외선 살균모듈(71,72,73)이 동작되고, 상기 케이스 커버(62)가 열린 상태에서는 상기 전원스위치(611a)가 온 되더라도, 상기 자외선 살균모듈(71,72,73)이 동작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케이스 바디(61)는 외부로부터 케이블 또는 전선이 연결되기 위한 커넥터 단자부(611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단자부(611b)는 상기 케이스 바디(61)의 후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외부의 전원공급부에 연결된 전선이 상기 커넥터 단자부(611b)에 접속되면, 상기 살균 케이스(60)의 전원이 충전될 수 있다.
방향을 정의한다. 도 1을 기준으로 상기 전원스위치(611a)가 외측을 향하는 방향을 "전방"으로 정의하고, 전방의 반대방향 즉, 상기 커넥터 단자부(611b)가 외측을 향하는 방향을 "후방"으로 정의한다.
도 1을 기준으로 상기 살균 케이스(60)는 전후방에 해당하는 길이를 가지는 폭(W)과, 양측방으로 길게 연장되는 길이(L)를 가지는 함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바디(61)는 케이스 외관을 형성하는 외부 케이스(611)와, 상기 외부 케이스(611)의 내측에 결합되는 내부 케이스(6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 케이스(611)는 상기 케이스 바디(61)의 외면을 형성하고, 상기 내부 케이스(612)는 상기 케이스 바디(61)의 내면을 형성한다.
상기 외부 케이스(611)는 지면에 지지되고, 상기 내부 케이스(612)는 상기 외부 케이스(611)의 내측에 결합되어 상기 마스크 장치(1)가 안착되는 안착면(64)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내부 케이스(612)는 상기 외부 케이스(611)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외부 케이스(611)의 내측에 포개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외부 케이스(611)와 상기 내부 케이스(611) 사이의 내부에는, 전자부품이 설치되는 설치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면(64)은 상기 마스크 장치(1)가 안착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마스크 장치(1)가 안정적으로 지지되기 위하여 다수의 곡면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안착면(64)은 상기 외부 케이스(611)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로 이격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안착면(64)은 중심 부분이 하부로 함몰되는 제1함몰부(641)와, 상기 제1함몰부(641)의 양측 가장자리 부분이 돌출되는 돌출부(642)와, 상기 돌출부(642)로부터 측방으로 연장되며 하부로 함몰되는 제2함몰부(643), 및 상기 제2함몰부(643)로부터 측방으로 연장되며 하부로 더 함몰되는 제3함몰부(644)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안착면(64)은 중심에 상기 제1함몰부(641)가 형성되고, 상기 제1함몰부(641)를 기준으로 양측으로 각각 돌출부(642), 제2함몰부(643) 및 제3함몰부(644)가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안착면(64)은 중심을 기준으로 좌우가 서로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함몰부(641)에는 환풍 그릴(65)이 설치되기 위한 개구부(641a)가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641a)는 상기 제1함몰부(641)의 중심부가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구부(641a)는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환풍 그릴(65)은 상기 제1함몰부(641)의 하부에 설치된다. 상기 환풍 그릴(65)은 상기 개구부(641a)의 내측에 고정되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환풍 그릴(65)은 상기 개구부(641a)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며, 공기가 통과하는 그릴부(651)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그릴부(651)의 중심에는 제1자외선 살균모듈(71)을 노출시키기 위한 제1노출구(65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노출구(652)는 다수 개로 형성되어 이격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노출구(652)는 2개로 형성되어, 상기 환풍 그릴(65)의 양측 방향(길이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642)는 상기 마스크 장치(1)의 중심 부분을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마스크 장치(1)가 상기 안착면(64)에 안착되면, 상기 마스크 장치(1)의 중심 부분이 상기 돌출부(642)에 접촉되어 지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돌출부(642)는, 상기 제1함몰부(641)의 전방 및 후방에서 제1높이로 돌출되는 제1돌출부(642a)와, 상기 제1함몰부(642)의 양측방에서 제2높이로 돌출되는 제2돌출부(642b)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돌출부(642a)의 돌출 높이는, 상기 제2돌출부(642b)의 돌출 높이보다 높게 형성된다. 즉, 상기 마스크 장치(1)가 상기 안착면(64)에 안착되면, 상기 마스크 장치(1)의 중심 부분은 상기 제1돌출부(642a)에 접촉되어 지지되고, 상기 제2돌출부(642b)와는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2돌출부(642b)로부터 상기 마스크 장치(1)를 이격시키는 이유는, 상기 마스크 장치(1)가 안착되는 부분의 하부에도 살균을 위한 자외선 광을 조사함과 동시에, 상기 환풍 그릴(65)에 의한 공기 순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2함몰부(643)는 상기 마스크 장치(1)의 양단부를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마스크 장치(1)가 상기 안착면(64)에 안착되면, 상기 마스크 장치(1)의 양단부가 상기 제2함몰부(643)의 내측에 안착되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제3함몰부(644)는, 상기 케이스 바디(61)에 구비된 양측 자외선 살균모듈(72,73)을 노출시키는 기능을 한다. 즉, 좌측에 위치된 제3함몰부(644)에는 제2자외선 살균모듈(72)을 노출시키기 위한 제2노출구(644a)가 형성되고, 우측에 위치된 제3함몰부(644)에는 제3자외선 살균모듈(73)을 노출시키기 위한 제3노출구(644b)가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케이스 바디에서 내부 케이스가 제거된 상태의 외부 케이스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외부 케이스에 형성된 환풍구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살균 케이스(60)는 마스크 장치(1)를 살균하기 위한 자외선 살균모듈(71,72,7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살균모듈(71,72,73)은 상기 케이스 바디(61)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케이스 바디(61)에 놓인 마스크 장치(1) 표면에 자외선을 조사시켜 살균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살균모듈(71,72,73)은 상기 외부 케이스(611)와 상기 내부 케이스(612)가 결합되어 형성된 내부 설치공간(도 9의 602 참조)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살균모듈(71,72,73)은 다수 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수의 자외선 살균모듈(71,72,73)은 동일한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부품 종류가 단일화되고 제품 단가가 낮아질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자외선 살균모듈(71,72,73)은 상기 케이스 바디(61)의 중심부에 위치되는 제1자외선 살균모듈(71)과, 상기 케이스 바디(61)의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 위치되는 제2자외선 살균모듈(72) 및 제3자외선 살균모듈(73)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자외선 살균모듈(71,72,73)은 일정 면적을 가지며 길게 형성되는 기판(711,721,731)과, 상기 기판(711,721,731)에 설치되는 다수의 엘이디 소자(712,713,722,723,732,733)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기판(711,721,731)은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고, 각 기판(711,721,731)에는 2개의 엘이디 소자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엘이디 소자는 자외선 광을 방출할 수 있다.
상기 제1자외선 살균모듈(71)은 상기 케이스 바디(61)의 중심부에 배치되어, 상기 마스크 장치(1)의 하부 또는 중심부를 집중적으로 살균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제1자외선 살균모듈(71)은 상기 환풍 그릴(65)의 하방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자외선 살균모듈(71)의 제1 및 제2엘이디 소자(712,713)는 상기 환풍 그릴(65)에 형성된 제1노출구(652)를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자외선 살균모듈(71)에서 발생된 자외선 광은 상방으로 향하면서 상기 마스크 장치(1)의 하부 및 중심부를 살균할 수 있다.
상기 제2자외선 살균모듈(72) 및 상기 제3자외선 살균모듈(73)은 상기 케이스 바디(61)의 좌측 및 우측 가장자리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마스크 장치(1)의 측방 및 상부를 집중적으로 살균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제2자외선 살균모듈(72) 및 상기 제3자외선 살균모듈(73)은 상기 안착면(64)의 제3함몰부(644)의 하방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자외선 살균모듈(72)의 제1 및 제2엘이디 소자(722,723) 및 상기 제3자외선 살균모듈(73)의 제1 및 제2엘이디 소자(732,733)는 상기 제3함몰부(644)에 형성된 제2노출구(644a) 및 제3노출구(644b)를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자외선 살균모듈(72) 및 상기 제3자외선 살균모듈(73)에서 발생된 자외선 광은 상방으로 향하면서 상기 케이스 커버(62)의 내면에 조사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 커버(62)의 내면에 조사된 광은 거울 반사되어 상기 마스크 장치(1)의 상면 또는 상부로 조사될 수 있다.
상기 살균 케이스(60)는 상기 내부 케이스(612)에 결합되는 환풍 그릴(6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환풍 그릴(65)은 타원형으로 형성되며, 공기가 통과하는 그릴부(651)를 포함한다. 상기 그릴부(651)는 반경방향 또는 방사형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그릴부(651)는 외측에서 중심 방향으로 갈수록 하부로 함몰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환풍 그릴(65)은 상기 내부 케이스(612)의 내측에 구비된 결합리브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환풍 그릴(65)은 상기 내부 케이스(612)의 개구부(641a)에 삽입되어, 상기 개구부(641a)를 커버할 수 있다.
상기 환풍 그릴(65)의 하부 또는 내측에는 상기 제1자외선 살균모듈(71)이 결합된다. 상기 환풍 그릴(65)의 중심부에는 상기 제1자외선 살균모듈(71)의 제1엘이디 소자(712) 및 제2엘이디 소자(713)가 노출되기 위한 제1노출구(652)가 형성된다.
상기 살균 케이스(60)는 상기 자외선 살균모듈(71,72,73) 및 살균 케이스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메인회로기판(6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제어기판(66)은 상기 케이스 바디(61)의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 메인제어기판(66)은 "ㄱ" 또는 "ㄷ"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제어기판(66)은 상기 내부 케이스(612)의 하방 중심부에 위치되며, 상기 환풍 그릴(65) 또는 상기 제1자외선 살균모듈(71)의 둘레를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메인제어기판(66)은 상기 자외선 살균모듈(71,72,73)로 전원을 제공하기 위한 배터리 또는 전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제어기판(66)은 상기 내부 케이스(612)의 하부에 결합되어 고정되거나 또는 상기 외부 케이스(611)의 내측에서 연장된 리브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바디(61)에는 공기가 통과되기 위한 환풍구(611c)가 형성된다. 상기 환풍구(611c)는 상기 외부 케이스(611)의 바닥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환풍구(611c)는 상기 외부 케이스(611)의 바닥면 중심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환풍구(611c)는 상기 환풍 그릴(65)의 직하방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환풍구(611c)로 흡입된 공기는 상기 환풍 그릴(65)의 그릴부(651)를 통과한 후, 상기 제1자외선 살균모듈(71)에 의해 살균되어 상기 케이스 바디(61)의 내부를 순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환풍구(611c)를 통해 흡입된 공기 유동에 의하여, 상기 자외선 살균모듈(71,72,73) 및 상기 메인제어기판(66)이 공랭 방식으로 냉각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케이스 커버의 저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케이스 커버의 단면 형상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케이스 커버(62)는 외면(외관)을 형성하는 외부 커버(621)와, 상기 외부 커버(621)의 내측에 결합되며 내면을 형성하는 내부 커버(622)를 포함한다.
상기 외부 커버(621)는 반원 또는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내부 커버(622)는 상기 외부 커버(621)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외부 커버(621)의 안쪽면에 결합된다.
상기 내부 커버(622)의 일측 가장자리에는, 상기 케이스 커버(62)를 상기 케이스 바디(61)에 안정적으로 결합시키기 위한 커버 결합부(621a)가 구비된다.
상기 커버 결합부(621a)에는 제1극성을 가지는 제1자석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 결합부(621a)에 대응하는 상기 케이스 바디(61)에는 제2극성을 가지는 제2자석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제1극성은 N극이 되고 상기 제2극성은 S극이 될 수 있다.
즉, 상기 케이스 커버(62)가 닫히는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커버 결합부(621a)의 제1자석이 상기 케이스 바디(61)의 제2자석에 가까워지면서 인력으로 인해 자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케이스 커버(62)의 닫힘이 용이해지고 잠금 기능이 부여될 수 있다.
상기 내부 커버(622)의 타측 가장자리에는, 상기 케이스 바디(61)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힌지(63)가 구비된다. 상기 커버 결합부(621a)와 상기 힌지(63)는 서로 반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내부 커버(622)에는 자외선 광을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 패턴(622a)이 구비된다. 상기 반사 패턴(622a)은 상기 자외선 살균모듈(71,72,73)에 의해 조사된 자외선 광을 반사시켜, 마스크 장치(1)의 상부로 조사시키는 기능을 한다.
상기 반사 패턴(622a)은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으며, 거울 반사(specular reflection)를 위해 나노스케일(nano-scale)에서 부드러운 표면거칠기를 가지며, 매크로 스케일(macro-scale) 혹은 마이크로 스케일(micro-scale)에서 특정 혹은 무작위 패턴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반사 패턴(622a)은 상기 내부 커버(622)의 표면에서 돌출된 다수의 돌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사 패턴(622a)은 격자 패턴 또는 엠보싱 패턴을 이룰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돌기 각각은 원형 또는 다각형의 수평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반사 패턴(622a)은 반구형 돌기 즉, 원형의 수평 단면을 가지는 무수한 돌기가 격자 형태로 각각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반사 패턴(622a)은 상기 내부 커버(622)의 표면에 전체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반사 패턴(622a)은 상기 내부 커버(622)의 가장자리로부터 중심부로 갈수록, 패턴 간격이 조밀해질 수 있다.
즉, 상기 반사 패턴(622a)은 상기 내부 커버(622)의 가장자리로부터 중심부로 갈수록, 인접하는 각 돌기들의 열 간격이 좁아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내부 커버(622)의 가장자리에 위치된 각 돌기들의 열 간격(d1) 보다, 상기 내부 커버(622)의 중심부에 위치된 각 돌기들의 열 간격(d3)이 더 좁게 형성된다.
상기 내부 커버(622)의 중심부에 해당하는 돌기들의 열 간격이 좁아지면, 상기 자외선 살균모듈(71,72,73)에서 발생된 자외선이 상기 내부 커버(622)의 중심부에 해당하는 돌기들에 조사되고, 돌기에 의해 거울 반사된 자외선은 상기 마스크 장치(1)의 상면에 집중적으로 조사될 수 있다.
이러한 반사 패턴(622a)의 거울 반사 원리에 의해서, 상기 반사 패턴(622a)의 조사각을 조절하여 원하는 위치의 표면에 대한 조도 및 살균 효율을 조절할 수 있다. 즉, 상대적으로 살균이 어려운 마스크 장치(1)의 상부 또는 상면에도 자외선 광이 균일하게 조사될 수 있으므로, 살균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자외선 노출에 의한 변질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자외선 파장에 대한 반사율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내부 커버(622) 및/또는 상기 반사 패턴(622a)은 코팅 또는 도금 처리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반사 패턴(622a)은 금속 재질로 코팅되거나 크롬(Cr) 도금 처리되어 반사율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상기 반구형 패턴은 상기 케이스 커버(62)의 형상에 따라 지름, 높이 및 피치(간격)를 조절하여 반사각을 설계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반구형 돌기의 직경은 3.5mm이고, 돌출 높이는 0.5mm일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살균 케이스에 마스크 장치가 보관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9 및 도 10은 도 8의 살균 케이스의 수직 단면을 보여주는 단면도들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살균 케이스(60)에는 마스크 장치(1)가 보관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장치(1)는 상기 케이스 바디(61)에 형성된 안착면(64)에 안착될 수 있고, 상기 케이스 커버(62)가 회전하여 닫히면 상기 마스크 장치(1)가 밀폐되어 보호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마스크 장치(1)가 상기 안착면(64)에 안착되면, 상기 마스크 장치(1)의 중심부(실링부)가 상기 안착면(64)의 돌출부(642)에 지지되고, 상기 마스크 장치(1)의 양단부가 상기 안착면(64)의 제2함몰부(643)에 지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돌출부(642)는 소정 높이로 돌출되어 상기 마스크 장치(1)의 실링부(50)의 내측을 지지하고, 상기 제2함몰부(643)는 상기 마스크 장치(1)의 양단부가 안착되도록 함몰되는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마스크 장치(1)가 상기 살균 케이스(60)의 내부에 용이하게 거치될 수 있고,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보관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장치(1)는 사람의 안면을 커버하는 마스크 몸체(10)와,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중심부에 결합되며, 사람의 안면에 밀착되어 내부에 호흡 공간을 형성하는 실링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장치(1)는 상기 마스크 몸체(10)에 결합되는 마스크 몸체 커버(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몸체 커버(40)는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제1면에 결합되고, 상기 실링부(40)는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제2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면과 상기 제2면은 서로 반대되는 방향을 가질 수 있다.
도 9를 기준으로, 상기 마스크 몸체 커버(40)는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상면에 배치되고, 상기 실링부(40)는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하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몸체(10)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고, 중심 부분이 상방으로 볼록하게 라운드질 수 있다. 상기 마스크 몸체(10)는 좌우가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40)는, 내부에 호흡 공간을 형성하도록 폐루프(closed loop)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실링부(40)는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하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장치(1)가 상기 안착면(64)에 안착되면, 상기 실링부(40)는 상기 돌출부(642)에 접촉되어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양단부는 상기 제2함몰부(643)에 접촉되어 지지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돌출부(642)는, 상기 제1함몰부(641)의 전방 및 후방에서 제1높이로 돌출되는 제1돌출부(642a)와, 상기 제1함몰부(642)의 양측방에서 제2높이로 돌출되는 제2돌출부(642b)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돌출부(642a)의 돌출 높이는, 상기 제2돌출부(642b)의 돌출 높이보다 높게 형성된다. 즉, 상기 마스크 장치(1)가 상기 안착면(64)에 안착되면, 상기 마스크 장치(1)의 실링부(40)는 상기 제1돌출부(642a)에 접촉되어 지지되고, 상기 제2돌출부(642b)와는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2돌출부(642b)로부터 상기 마스크 장치(1)를 이격시키는 이유는, 상기 마스크 장치(1)가 안착되는 부분의 하부에도 살균을 위한 자외선 광을 조사함과 동시에, 상기 환풍 그릴(65)에 의한 공기 순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실링부(40)가 상기 돌출부(642)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실링부(40)의 내부 즉, 상기 호흡 공간은 상기 제1함몰부(641) 또는 상기 환풍 그릴(65)과 마주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마스크 장치(1)가 상기 안착면(64)에 안착되면, 상기 다수의 자외선 살균모듈(71,72,73)이 구동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다수의 자외선 살균모듈(71,72,73)은 모두 동일한 높이로 제공될 수 있다.
먼저, 상기 환풍 그릴(65)에 배치된 제1자외선 살균모듈(71)이 구동되면, 상기 제1자외선 살균모듈(71)에서 발생된 자외선 광은 상부로 향하여 상기 마스크 장치(1)의 하부가 조사되도록 한다. 이 경우,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되는 실링부(40)의 표면 및 마스크 장치(1)의 내측 부분이 자외선 살균 처리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실링부(40)의 하부는 상기 돌출부(641)와 이격되는 이격 공간이 있기에, 상기 제1자외선 살균모듈(71)에서 발생된 자외선 광이 상기 이격 공간으로 향하여 상기 실링부(40)의 안착되는 부분까지 조사될 수 있다.
상기 제2자외선 살균모듈(72) 및 제3자외선 살균모듈(73)이 구동되면, 상기 제2자외선 살균모듈(72) 및 제3자외선 살균모듈(73)에서 발생된 자외선 광의 일부는 상기 마스크 장치(1)의 외면 또는 측방을 향하고, 다른 일부는 상기 케이스 커버(62)의 내면 또는 상부를 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케이스 커버(62)의 내면, 즉 상기 내부 커버(622)로 조사된 자외선 광은, 상기 반사 패턴(622a)에 의해 거울 반사되어 상기 마스크 장치(1)의 상부로 향하게 된다. 특히, 상기 반사 패턴(622a)은 상기 내부 커버(622)의 가장자리에서 중심부로 갈수록 돌기들이 조밀하게 배치되어, 상기 마스크 장치(1)의 상부(상면)에 집중적으로 조사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대적으로 살균이 어려운 마스크 장치(1)의 상부 또는 상면에도 자외선 광이 균일하게 조사될 수 있으므로, 살균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자외선 노출에 의한 변질을 최소화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를 제안한다.
상기 제2자외선 살균모듈(72) 및 상기 제3자외선 살균모듈(73)은, 상기 제1자외선 살균모듈(71)의 설치 높이보다 낮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자외선 살균모듈(72) 및 상기 제3자외선 살균모듈(73)의 설치 높이는 동일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살균 대상물의 측면 및 상기 케이스 커버(62)의 내면으로 자외선 광을 조사하는 제2자외선 살균모듈(72) 및 제3자외선 살균모듈(73)의 설치 높이가, 제1자외선 살균모듈(71)의 설치 높이 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배치되므로, 살균 대상물의 상부 또는 상면에 대한 광조사가 더욱 집중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살균 케이스에 휴대단말기가 보관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2는 도 11의 살균 케이스의 수직 단면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살균 케이스(60)에는 휴대단말기(80)가 보관될 수 있다. 상기 휴대단말기(80)는 좌우 방향의 길이를 가지는 사각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휴대단말기(80)는 상기 케이스 바디(61)에 형성된 안착면(64)에 안착될 수 있고, 상기 케이스 커버(62)가 회전하여 닫히면 상기 마스크 장치(1)가 밀폐되어 보호될 수 있다.
상기 휴대단말기(80)가 상기 안착면(64)에 안착되면, 상기 휴대단말기(80)의 중심부가 상기 안착면(64)의 돌출부(642)에 지지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돌출부(642)는, 상기 제1함몰부(641)의 전방 및 후방에서 제1높이로 돌출되는 제1돌출부(642a)와, 상기 제1함몰부(642)의 양측방에서 제2높이로 돌출되는 제2돌출부(642b)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돌출부(642a)의 돌출 높이는, 상기 제2돌출부(642b)의 돌출 높이보다 높게 형성된다. 즉, 상기 휴대단말기(80)가 상기 안착면(64)에 안착되면, 상기 휴대단말기(80)는 상기 제1돌출부(642a)에 접촉되어 지지되고, 상기 제2돌출부(642b)와는 이격될 수 있다.
상기 휴대단말기(80)가 상기 돌출부(642)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휴대단말기(80)의 하면은 상기 제1함몰부(641) 또는 상기 환풍 그릴(65)과 마주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휴대단말기(80)가 상기 안착면(64)에 안착되면, 상기 다수의 자외선 살균모듈(71,72,73)이 구동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다수의 자외선 살균모듈(71,72,73)은 모두 동일한 높이로 제공될 수 있다.
먼저, 상기 환풍 그릴(65)에 배치된 제1자외선 살균모듈(71)이 구동되면, 상기 제1자외선 살균모듈(71)에서 발생된 자외선 광은 상부로 향하여 상기 휴대단말기(80)의 하부가 조사되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휴대단말기(80)의 하면이 자외선 살균 처리될 수 있다.
상기 제2자외선 살균모듈(72) 및 제3자외선 살균모듈(73)이 구동되면, 상기 제2자외선 살균모듈(72) 및 제3자외선 살균모듈(73)에서 발생된 자외선 광의 일부는 상기 마스크 장치(1)의 하부 또는 측방을 향하고, 다른 일부는 상기 케이스 커버(62)의 내면 또는 상부를 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케이스 커버(62)의 내면, 즉 상기 내부 커버(622)로 조사된 자외선 광은, 상기 반사 패턴(622a)에 의해 거울 반사되어 상기 마스크 장치(1)의 상부로 향하게 된다. 특히, 상기 반사 패턴(622a)은 상기 내부 커버(622)의 가장자리에서 중심부로 갈수록 돌기들이 조밀하게 배치되어, 상기 휴대단말기(80)의 상부(상면)에 집중적으로 조사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마스크 장치뿐 아니라 휴대단말기 또한 살균 케이스에 보관되어 살균될 수 있다. 그리고 휴대단말기의 하부뿐 아니라 상부에도 균일한 자외선 광이 조사되므로, 살균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자외선 노출에 의한 변질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케이스 커버의 저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케이스 커버의 단면 형상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 예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앞서 설명된 실시 예와 동일하고, 다만 케이스 커버의 반사 패턴에 있어서 차이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 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하고, 앞서 설명된 실시 예와 동일한 부분은 이를 원용하기로 한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케이스 커버(62)는 외면(외관)을 형성하는 외부 커버(621)와, 상기 외부 커버(621)의 내측에 결합되며 내면을 형성하는 내부 커버(622)를 포함한다.
상기 외부 커버(621)는 반원 또는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내부 커버(622)는 상기 외부 커버(621)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외부 커버(621)의 안쪽면에 결합된다.
상기 내부 커버(622)의 일측 가장자리에는, 상기 케이스 커버(62)를 상기 케이스 바디(61)에 안정적으로 결합시키기 위한 커버 결합부(621a)가 구비된다.
상기 커버 결합부(621a)에는 제1극성을 가지는 제1자석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 결합부(621a)에 대응하는 상기 케이스 바디(61)에는 제2극성을 가지는 제2자석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제1극성은 N극이 되고 상기 제2극성은 S극이 될 수 있다.
즉, 상기 케이스 커버(62)가 닫히는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커버 결합부(621a)의 제1자석이 상기 케이스 바디(61)의 제2자석에 가까워지면서 자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케이스 커버(62)의 닫힘이 용이해지고 잠금 기능이 부여될 수 있다.
상기 내부 커버(622)의 타측 가장자리에는, 상기 케이스 바디(61)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힌지(63)가 구비된다. 상기 커버 결합부(621a)와 상기 힌지(63)는 서로 반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내부 커버(622)에는 자외선 광을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 패턴(622a)이 구비된다. 상기 반사 패턴(622a)은 상기 자외선 살균모듈(71,72,73)에 의해 조사된 자외선 광을 반사시켜, 마스크 장치(1)의 상부로 조사시키는 기능을 한다.
상기 반사 패턴(622a)은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으며, 거울 반사(specular reflection)를 위해 나노스케일(nano-scale)에서 부드러운 표면거칠기를 가지며, 매크로 스케일(macro-scale) 혹은 마이크로 스케일(micro-scale)에서 특정 혹은 무작위 패턴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반사 패턴(622a)은 상기 내부 커버(622)의 표면에서 돌출된 다수의 돌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기는 다각뿔 패턴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반사 패턴(622a)은 6각뿔 패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반사 패턴(622a)은 상기 내부 커버(622)의 표면에 전체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6각뿔 패턴은 돌기 측면이 6개의 삼각형으로 이루어져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내부 커버(622)로 향하는 자외선 광이 상기 6각뿔 패턴의 측면에 조사되면, 조사된 광은 거울 반사되어 상기 마스크 장치(1)의 상부로 조사될 수 있다.
상기 6각뿔 패턴은 각 돌기의 지름, 높이, 피치(간격)를 조절하여 원하는 위치의 표면에 대한 조도 및 살균 효율을 조절할 수 있다. 즉, 상대적으로 살균이 어려운 마스크 장치(1)의 상부 또는 상면에도 자외선 광이 균일하게 조사될 수 있으므로, 살균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자외선 노출에 의한 변질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자외선 파장에 대한 반사율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내부 커버(622) 및/또는 상기 반사 패턴(622a)은 코팅 또는 도금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반사 패턴(622a)은 크롬 도금 처리되어 반사율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 장치의 좌측 사시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 장치의 우측 사시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 장치의 배면도이고, 1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 장치의 저면도이다.
도 15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 장치(1)는 마스크 몸체(10)와, 상기 마스크 몸체(10)에 결합되는 마스크 몸체 커버(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몸체(10)와 상기 마스크 몸체 커버(20)는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몸체(10)와 상기 마스크 몸체 커버(20)를 결합하면, 상기 마스크 몸체(10)와 상기 마스크 몸체 커버(20)의 사이에는 내부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부 공간에는 상기 마스크 장치(1)를 구동하기 위한 구성들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내부 공간은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전면과 상기 마스크 몸체 커버(20)의 배면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몸체(10)는 상기 마스크 장치(1)의 배면을 형성하고, 상기 마스크 몸체 커버(20)는 상기 마스크 장치(1)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장치(1)의 후방은 사용자의 얼굴과 마주하는 마스크 장치(1)의 배면이 위치하는 방향을 정의하며, 상기 마스크 장치(1)의 전방은 외부로 노출되는 마스크 장치(1)의 전면이 위치하는 방향으로 상기 후방의 반대 방향으로 정의한다.
상기 마스크 장치(1)는 실링 브라켓(30)과 실링부(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링 브라켓(30)은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배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실링 브라켓(30)은 상기 실링부(40)를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배면에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실링 브라켓(30)을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배면으로부터 분리 시, 상기 실링부(40)는 상기 마스크 몸체(10)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40)는 상기 실링 브라켓(30)에 의해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배면에 지지되며, 상기 실링부(40)와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사이에 호흡을 위한 호흡 공간이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40)는 사용자의 얼굴에 밀착되며, 사용자의 코와 입을 감싸서 외부 공기가 상기 호흡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몸체 커버(20)에는 제1필터 장착부(21)와 제2필터 장착부(22)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필터 장착부(21)는 상기 마스크 몸체 커버(20)의 우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2필터 장착부(22)는 상기 마스크 몸체 커버(20)의 좌측에 위치할 수 있다. 사용자의 얼굴에 장착된 마스크 장치(1)를 기준으로, 좌측 방향(좌측)과 우측 방향(우측)을 정의한다. 또한, 사용자의 얼굴에 장착된 마스크 장치(1)를 기준으로, 상측 방향(상방)과 하측 방향(하방)을 정의한다.
상기 제1필터 장착부(21)에는 제1필터 커버(25)가 장착되고, 상기 제2필터 장착부(22)에는 제2필터 커버(26)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1필터 장착부(21)와 상기 제2필터 장착부(22)의 내측에는 필터가 배치되며, 상기 제1필터 커버(25)와 상기 제2필터 커버(26)는 상기 필터를 커버할 수 있다.
상기 제1필터 커버(25)와 상기 제2필터 커버(26)는 상기 제1필터 장착부(21)와 상기 제2필터 장착부(22)에 각각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필터 커버(25)와 상기 제2필터 커버(26)는 상기 제1필터 장착부(21)와 상기 제2필터 장착부(22)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필터 커버(25)에는 제1공기 유입구(25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필터 커버(26)에는 제2공기 유입구(26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공기 유입구(251) 및 상기 제2공기 유입구(261)는 다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필터 장착부(21)에 상기 제1필터 커버(25)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공기 유입구(251)는 외부 공간으로 노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필터 장착부(22)에 상기 제2필터 커버(26)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2공기 유입구(261)는 외부 공간으로 노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공기 유입구(251) 및 상기 제2공기 유입구(261)는 상기 제1필터 커버(25) 및 상기 제2필터 커버(26)의 상면 및 측면 중 하나 이상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 커버(25,26)를 기준으로, 상기 필터 장착부(21,22)를 마주하는 면을 저면으로 정의하고, 외부 공간으로 노출되는 면을 상면으로 정의하고, 상기 저면과 상기 상면을 연결하는 면을 측면으로 정의한다.
상기 제1공기 유입구(251) 및 상기 제2공기 유입구(261)가 상기 필터 커버(25,26)의 측면에 제공될 경우에, 상기 필터 커버(25,26)의 측면 하부는 상기 필터 장착부(21,22)에 지지되며, 상기 필터 커버(25,26)의 측면 상부에 상기 제1공기 유입구(251) 및 상기 제2공기 유입구(261)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1공기 유입구(251)는 상기 마스크 장치(1)의 상방을 향하는 제1필터 커버(25)의 측면에 제공되는 제1공기 유입구(251a), 상기 마스크 장치(1)의 전방을 향하는 제1필터 커버(25)의 측면에 제공되는 제1공기 유입구(251b), 및 상기 마스크 장치(1)의 하방을 향하는 제1필터 커버(25)의 측면에 제공되는 제1공기 유입구(251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공기 유입구(261)는 상기 마스크 장치(1)의 상방을 향하는 제2필터 커버(26)의 측면에 제공되는 제2공기 유입구(261a), 상기 마스크 장치(1)의 전방을 향하는 제2필터 커버(26)의 측면에 제공되는 제2공기 유입구(261b), 상기 마스크 장치(1)의 하방을 향하는 제2필터 커버(26)의 측면에 제공되는 제2공기 유입구(261c)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필터 커버(25) 및 상기 제2필터 커버(26)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마스크 장치(1)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부(195)를 설치하기 위한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195)는 상기 마스크 장치(1)의 전원을 온/오프 하는 조작 스위치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195)는 상기 필터 커버(25,26)의 개구를 통해 상기 마스크 장치(1)의 전방으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몸체(10)는 걸이 장착부(10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이 장착부(108)는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우측에 제공되는 걸이 장착부를 제1걸이 장착부(108a)라 정의하고,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좌측에 제공되는 걸이 장착부를 제2걸이 장착부(108b)라 정의한다.
상기 제1걸이 장착부(108a)와 상기 제2걸이 장착부(108b)는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게 다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걸이 장착부(108a)는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우측 상방 및 우측 하방에 제공되고, 상기 제2걸이 장착부(108b)는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좌측 상방 및 좌측 하방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걸이 장착부(108)에는 사용자의 얼굴에 상기 마스크 장치(1)를 착용하기 위한 끈 또는 줄 등이 장착될 수 있다. 끈 또는 줄 등은 상기 제1걸이 장착부(108a)와 상기 제2걸이 장착부(108b)를 연결하거나, 상하 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제1걸이 장착부(108a)와 상하 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제2걸이 장착부(108b) 각각을 연결할 수 있다.
상기 걸이 장착부(108)는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렇기에, 상기 걸이 장착부(108)를 통해서 상기 마스크 몸체(10)와 상기 마스크 몸체 커버(20)의 내부 공간으로 공기가 유입될 수도 있다. 상기 걸이 장착부(108)를 통해 상기 내부 공간으로 유입된 외부 공기는 상기 마스크 장치(1)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전자 부품들을 공기 냉각할 수 있다.
상기 걸이 장착부(108)를 통해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된 외부 공기는 상기 걸이 장착부(108)를 통해 다시 외부 공간으로 배출되며, 상기 외부 공기가 상기 호흡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해 상기 마스크 장치(1)의 내부는 밀봉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마스크 몸체(10)는 호흡 공간으로 여과된 공기를 토출하기 위한 공기 토출구(12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 토출구(129)로부터 상기 호흡 공간으로 공급되는 여과된 공기를 사용자가 들이마시며 호흡할 수 있다. 상기 공기 토출구(129)는 상기 제1공기 유입구(251)로 유입되어 여과된 공기를 상기 호흡 공간으로 토출하는 제1공기 토출구(129a)와, 상기 제2공기 유입구(261)로 유입되어 여과된 공기를 상기 호흡 공간으로 토출하는 제2공기 토출구(129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공기 토출구(129a)는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우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공기 토출구(129b)는 좌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공기 유입구(251)로 유입된 공기는 필터를 통과한 후 상기 제1공기 토출구(129a)로 유동할 수 있다. 상기 제2공기 유입구(261)로 유입된 공기는 필터를 통과한 후 상기 제2공기 유입구(261)로 유동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몸체(10)는 사용자가 내쉬는 공기를 외부 공간으로 배출하기 위한 공기 유출구(154,15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 유출구(154,155)는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공기 유출구(154,155)는 상기 마스크 몸체(10)가 개구되어 형성되는 제1공기 유출구(154)와,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저면에 형성되는 제2공기 유출구(15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몸체(10)와 상기 마스크 몸체 커버(20)의 사이에는 상기 제1공기 유출구(154)를 통과하여 상기 제2공기 유출구(155)를 향해 유동하는 공기가 통과하기 위한 유동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공기 유출구(154) 및 상기 제2공기 유출구(155) 중 하나 이상에는 체크 밸브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크 밸브에 의해 외부 공기가 상기 호흡 공간으로 역류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체크 밸브는 상기 제1공기 유출구(154)와 상기 제2공기 유출구(155)를 연결하는 유동 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몸체(10)는 센서 장착부(10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 장착부(109)에는 상기 호흡 공간으로부터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센서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센서 장착부(109)는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사용자가 호흡 시 상기 호흡 공간의 압력 변화가 일정하게 감지될 수 있는 위치를 고려하여 상기 센서 장착부(109)가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몸체(10)는 커넥터 홀(13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홀(135)은 상기 마스크 장치(1)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커넥터(미도시)가 설치되는 개구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홀(135)은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좌측 및 우측 중 어느 하나에 위치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조작부(195)와 상기 커넥터는 전원 모듈에 연결되어 있기에, 상기 커넥터 홀(135)은 상기 전원 모듈이 설치되는 위치에 해당되는 마스크 몸체(10)의 좌측 및 우측 중 어느 하나에 제공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마스크 장치의 작동 시 공기의 흐름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장치(1)는 필터 커버(25,26)에 형성되는 공기 유입구(251,261)를 통해 외부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장치(1)로 흡입되는 외부 공기의 유동 방향은 화살표 "A"로 나타낸다. 상기 공기 유입구(251,261)가 다양한 방향에서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다수로 구성되기에, 외부 공기의 유입량이 증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공기 유입구(251,261)는 상기 마스크 장치(1)의 상방에서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 유입구(251a,261a), 상기 마스크 장치(1)의 전방에서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 유입구(251b,261b), 상기 마스크 장치(1)의 하방에서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 유입구(251c,261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 유입구(251,261)가 형성되는 필터 커버(25,26)는 상기 마스크 장치(1)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기에, 외부 공기를 상기 마스크 장치(1)의 양측으로부터 원활하게 흡입할 수 있다.
상기 공기 유입구(251,261)를 통해 유입된 외부 공기는 상기 필터 커버(25,26)와 필터 장착부(21,22)의 내측에 위치하는 필터에 의해 이물질이 여과될 수 있다. 상기 필터는 상기 필터 커버(25,26)를 상기 마스크 장치(1)로부터 분리 시 교체 가능하다.
상기 필터를 통과한 공기는 팬 모듈 및 에어 덕트부를 통과한 후 공기 토출구(129)를 통해 호흡 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공기 토출구(129)를 통해 호흡 공간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동 방향을 화살표 "B"로 나타낸다. 상기 호흡 공간은 상기 마스크 몸체(10)와 상기 실링부(40)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몸체(10)를 사용자의 얼굴에 장착하면, 상기 실링부(40)가 상기 마스크 몸체(10)와 사용자의 얼굴에 밀착되어 외부 공간과 구분되는 독립된 호흡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공기 토출구(129)를 통해 공급되는 여과된 공기를 사용자가 들이쉬고, 사용자가 내쉬는 공기는 공기 유출구(154,155)를 통해 외부 공간으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공기 유출구(154,155)는 호흡 공간과 연통되는 제1공기 유출구(154)와 외부 공간과 연통되는 제2공기 유출구(155)를 포함하며, 상기 제1공기 유출구(154)와 상기 제2공기 유출구(155)는 유동 공간에 의해 서로 연통될 수 있다. 사용자가 내쉬는 공기는 제1공기 유출구(154)를 통해 상기 유동 공간으로 유동할 수 있다. 상기 제1공기 유출구(154)를 통해 상기 유동 공간으로 유동하는 공기의 유동 방향을 화살표 "C"로 나타낸다.
상기 제1공기 유출구(154)를 통해 상기 유동 공간으로 유동한 공기는 상기 제2공기 유출구(155)를 통해 외부 공간으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제2공기 유출구(155)를 통해 외부 공간으로 유동하는 공기의 유동 방향을 화살표 "D"로 나타낸다. 상기 제1공기 유출구(154) 및 상기 제2공기 유출구(155) 중 하나 이상에는 체크 밸브가 제공되며, 외부 공기가 상기 호흡 공간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설명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와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Claims (18)

  1. 살균 대상물이 안착되는 안착면을 형성하는 케이스 바디;
    상기 케이스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내부에 상기 살균 대상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 커버;
    상기 케이스 커버의 저면에 배치되는 다수의 반사 패턴; 및
    상기 안착면에 설치되어 상기 살균 대상물을 살균하는 자외선 살균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 바디는,
    지면에 지지되고, 중앙부에 환풍구가 형성되는 외부 케이스와,
    상기 외부 케이스의 상측에 결합되어 상기 안착면을 정의하는 내부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안착면은,
    중심 부분이 하부로 소정 깊이 함몰되되, 경사면을 형성하면서 함몰되는 제 1 함몰부와,
    상기 제1함몰부의 양 측단부에서 함몰되고, 상기 살균 대상물의 가장자리 부분이 놓이는 한 쌍의 제 2 함몰부와,
    상기 한 쌍의 제 2 함몰부 각각의 가장자리에서 함몰되는 한 쌍의 제 3 함몰부, 및
    상기 제 1 함몰부와 상기 제 2 함몰부의 경계 부위에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자외선 살균 모듈은,
    상기 제 1 함몰부에 설치되어 자외선을 상향 조사하는 제 1 자외선 살균 모듈과,
    상기 한 쌍의 제 3 함몰부에 각각 설치되어 자외선을 상향 조사하는 제 2 및 제 3 살균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살균 모듈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에 의하여 상기 살균 대상물의 저면이 살균되도록, 상기 살균 대상물의 가장자리가 상기 제 2 함몰부에 놓인 상태 또는 상기 살균 대상물이 상기 돌출부에 놓인 상태에서, 상기 제 1 함몰부는 상기 살균 대상물의 저면으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살균 대상물의 가장자리가 상기 제 2 함몰부에 놓인 상태에서, 상기 제 1 자외선 살균 모듈은 상기 살균 대상물의 저면을 살균하고,
    상기 살균 대상물의 가장자리가 상기 제 2 함몰부에 놓인 상태에서, 상기 제 2 및 제 3 자외선 살균 모듈로부터 방출되는 자외선은, 상기 다수의 반사 패턴에 의하여 상기 살균 대상물의 상면으로 반사되어, 상기 살균 대상물의 상면을 살균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케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패턴은, 상기 케이스 커버의 내면에서 돌출되어 격자 패턴 또는 엠보싱 패턴을 이루는 다수의 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의 횡단면은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케이스.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커버의 가장자리에서 중심부로 갈수록, 상기 다수의 반사 패턴의 간격이 조밀해지는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케이스.
  4. 삭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커버는,
    돔 또는 반구 형상의 외관을 형성하는 외부 케이스; 및
    상기 외부 케이스의 내측에 결합되는 내부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반사 패턴은, 상기 내부 케이스의 안쪽면에 제공되는 살균 케이스.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케이스의 적어도 일부분은 코팅 처리되거나, 도금 처리되는 살균 케이스.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함몰부에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에는 상기 환풍구를 통하여 유입되는 외부 공기가 상기 살균 대상물이 수용된 상기 수용 공간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환풍 그릴이 결합되고,
    상기 환풍 그릴은,
    상기 개구부에서 내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되고, 공기가 통과하는 그릴부와,
    상기 그릴부의 하단에서 평평하게 형성되고, 저면에 상기 제 1 자외선 살균 모듈이 결합되는 바닥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부에는 상기 제 1 자외선 살균 모듈의 광조사면이 수용되는 노출구가 형성되는 살균 케이스.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환풍구는, 상기 환풍 그릴의 직하방에 배치되는 살균 케이스.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및 제 3 함몰부에는 상기 제 2 및 제 3 자외선 살균 모듈의 광 조사면들이 장착되는 노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케이스.
KR1020200109160A 2020-08-28 2020-08-28 살균 케이스 KR1022944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9160A KR102294479B1 (ko) 2020-08-28 2020-08-28 살균 케이스
CN202110184702.XA CN114099728B (zh) 2020-08-28 2021-02-10 杀菌盒
US17/244,683 US20220062469A1 (en) 2020-08-28 2021-04-29 Sterilization case
TW110117972A TWI807324B (zh) 2020-08-28 2021-05-18 殺菌盒
JP2021090930A JP7254117B2 (ja) 2020-08-28 2021-05-31 殺菌ケース
EP21182279.6A EP3960207B1 (en) 2020-08-28 2021-06-29 Sterilization cas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9160A KR102294479B1 (ko) 2020-08-28 2020-08-28 살균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4479B1 true KR102294479B1 (ko) 2021-08-27

Family

ID=76708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9160A KR102294479B1 (ko) 2020-08-28 2020-08-28 살균 케이스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062469A1 (ko)
EP (1) EP3960207B1 (ko)
JP (1) JP7254117B2 (ko)
KR (1) KR102294479B1 (ko)
CN (1) CN114099728B (ko)
TW (1) TWI807324B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7854A (ko) * 2009-12-15 2011-06-22 (주)라눅스 엘이디 평판램프형 조명기구
KR101554664B1 (ko) * 2014-10-21 2015-09-21 박형순 손톱깎이 살균 케이스
KR20180135840A (ko) * 2018-12-13 2018-12-21 전용선 Uv led를 사용한 화장품 도구의 살균기
KR20200049490A (ko) * 2018-10-30 2020-05-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마스크 보관 장치
KR20200079925A (ko) * 2018-12-26 2020-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마스크 장치, 마스크 보관 장치 및 그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25012A (ja) * 1996-02-26 1997-09-02 Kyoji Aono 携帯できる紫外線殺菌装置
JP3077655U (ja) * 2000-11-13 2001-05-29 有限会社五福屋商事 殺菌機能を備えた移動式ボックス
JP4928691B2 (ja) * 2001-09-13 2012-05-09 スパンション エルエルシー 紫外線照射装置
JP2003322712A (ja) * 2002-04-30 2003-11-14 Omron Corp 反射板および反射板の製造方法、並びに反射型液晶表示装置
US20100329924A1 (en) * 2005-05-16 2010-12-30 Harris Debra J Fogel Sponge Sterilizer
JP4167271B2 (ja) * 2006-03-08 2008-10-15 エセンシア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携帯用歯ブラシ殺菌器
JP2011078678A (ja) * 2009-10-09 2011-04-21 Aroma Science Kk マスク用除菌器
US9024276B2 (en) * 2010-06-23 2015-05-05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Contact lens storage case surface disinfection
US9165756B2 (en) * 2011-06-08 2015-10-20 Xenex Disinfection Services, Llc Ultraviolet discharge lamp apparatuses with one or more reflectors
EP3164161B1 (en) * 2014-07-04 2019-03-13 Egohealth S.r.l. Device for the sterilisation of stethoscopes
CN105167366A (zh) * 2015-08-20 2015-12-23 张植强 一种智能文胸收纳盒
KR101849610B1 (ko) * 2016-07-27 2018-04-17 (주)에이치앤비이십일 퍼프 살균기
KR20180045934A (ko) * 2016-10-25 2018-05-08 코스맥스 주식회사 화장용 퍼프 이중 살균기
KR102023974B1 (ko) * 2017-02-07 2019-09-23 주식회사 미코 화장도구 건조장치
US20180318457A1 (en) * 2017-05-03 2018-11-08 3B Medical, Inc. Device for disinfecting cpap components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JP6863135B2 (ja) * 2017-06-29 2021-04-21 東芝ライテック株式会社 流体殺菌装置
US20200087031A1 (en) * 2018-09-19 2020-03-19 Lg Electronics Inc. Storage device
KR102065360B1 (ko) * 2018-09-27 2020-02-11 김성관 마스크 관리 디바이스
US11617806B2 (en) * 2018-10-30 2023-04-04 Lg Electronics Inc. Mask storage apparatus
KR101968876B1 (ko) * 2018-11-08 2019-04-12 이수찬 화장품 케이스의 uv살균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7854A (ko) * 2009-12-15 2011-06-22 (주)라눅스 엘이디 평판램프형 조명기구
KR101554664B1 (ko) * 2014-10-21 2015-09-21 박형순 손톱깎이 살균 케이스
KR20200049490A (ko) * 2018-10-30 2020-05-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마스크 보관 장치
KR20180135840A (ko) * 2018-12-13 2018-12-21 전용선 Uv led를 사용한 화장품 도구의 살균기
KR20200079925A (ko) * 2018-12-26 2020-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마스크 장치, 마스크 보관 장치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099728B (zh) 2023-08-29
CN114099728A (zh) 2022-03-01
EP3960207A1 (en) 2022-03-02
JP2022039953A (ja) 2022-03-10
TWI807324B (zh) 2023-07-01
JP7254117B2 (ja) 2023-04-07
US20220062469A1 (en) 2022-03-03
TW202207998A (zh) 2022-03-01
EP3960207B1 (en) 2023-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36913B1 (ko) 포충기
KR102504677B1 (ko) 가습공기청정기
KR102421560B1 (ko) 피부용 광 마스크 장치
KR20110099351A (ko) 젖병 살균기
KR102294479B1 (ko) 살균 케이스
BR102021009899A2 (pt) Sistema de desinfecção de ar e de superfície
CN113993579A (zh) 导光型发光二极管面罩装置
KR20200065803A (ko) 탈취 장치 및 공기정화 장치
KR102306067B1 (ko) 마스크 유닛
KR102320561B1 (ko) 다목적 조명구조
CN212382131U (zh) 具有紫外线杀菌功效的口罩
KR200421543Y1 (ko) 조명장치
KR20210151610A (ko) 마스크 장치
CN219868342U (zh) 杀菌组件和净化装置
JP7108875B2 (ja) 光照射型美容装置
CN110234398A (zh) 光治疗装置
KR20210008792A (ko) 피부관리용 마스크장치
JP7364660B2 (ja) 美顔器
KR20230171636A (ko) 포충기
JP7366405B2 (ja) 光触媒装置
CN213157959U (zh) 光线照射均匀的餐具消毒盒
KR20230126537A (ko) 살균 장치의 제어 방법
CN113557055A (zh) 美容器
JP2024046213A (ja) 遮光装置および空気処理装置
CN113508938A (zh) 具有紫外线杀菌功效的口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