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9351A - 젖병 살균기 - Google Patents

젖병 살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9351A
KR20110099351A KR1020100012859A KR20100012859A KR20110099351A KR 20110099351 A KR20110099351 A KR 20110099351A KR 1020100012859 A KR1020100012859 A KR 1020100012859A KR 20100012859 A KR20100012859 A KR 20100012859A KR 20110099351 A KR20110099351 A KR 201100993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le
ultraviolet
unit
sterilization
steriliz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28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충식
Original Assignee
최충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충식 filed Critical 최충식
Priority to KR10201000128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99351A/ko
Publication of KR201100993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93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4He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1Apparatus for generating biocidal substances, e.g. vaporisers, UV l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2Apparatus for isolating biocidal substances from the environment
    • A61L2202/121Sealings, e.g. doors, covers, valves, slu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 A61L2202/23Containers, e.g. vials, bottles, syringes, mai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젖병 살균기에 관한 것으로서, 젖병 살균기는 전면이 개방되는 동시에 외관을 이루는 본체, 상기 본체 내측 하부에 마련되는 베이스부, 상기 본체 내측에 형성되어 살균이 이루어지는 살균조, 상기 베이스부에 배치되고, 자외선을 발생시키는 자외선살균유닛, 상기 베이스부에 배치되고, 열풍을 발생시키는 건조유닛, 상기 살균조 내부에 구비되어 젖병이 수납되는 수납트레이, 및 상기 본체의 전면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도어와, 각종부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체 내부 살균조에 수납되는 젖병을 자외선과 열풍으로 빠른 시간에 살균 및 건조시키며, 보관상 오염을 방지하는 효율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살균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젖병 살균기{A BABY OF BOTTLE STERILIZER}
본 발명은 젖병 살균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 본체 내부의 살균조에 수납되는 젖병을 자외선과 열풍으로 빠른 시간에 살균 및 건조시키며, 보관상 오염을 방지하는 효율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살균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젖병 살균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자외선과 열풍으로 젖병을 빠른 시간에 살균 및 건조시키며, 보관상 오염을 방지하는 효율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살균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영유아들은 면역성이 약하므로, 이들이 사용하는 유아용품 가령 젖병, 젖꼭지, 식기, 노리개, 치아발육기 및 각종 완구들은 사용하기 전 또는 사용 후 항상 소독해줘야 한다.
특히 젖병 소독에는 끊는 물에 유아용품들을 일정시간 동안 담가 멸균처리 후 이를 자연 건조하는 방식으로 소독처리 하였으나, 이는 끊는 물에 화상을 입을 수 있다는 안전상의 문제와 꺼낸 후에 다시 유아용품에 묻은 물기를 닦아주어야 하므로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근래에는 열탕 소독시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젖병에서 환경호르몬이 발생해 유아의 건강을 해친다는 심각한 문제점이 대두대고 있다.
젖병을 소독하는 다른 방법으로는 증기를 발생시켜 그 증기에 의해 유아용품을 살균하는 소독기가 알려져 있다. 그러나 그 증기 살균방식의 소독기에 있어서는 소독을 하기 전에 소독기 내부에 증기를 얻기 위한 물을 매번 보충해야 하기 때문에 이 또한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점을 수반한다.
또 다른 젖병 소독방법으로는 자외선을 이용한 소독기다. 최근 살균 소독에는 냉음극형광램프(Cold cathode fluorecent lamp:CCFL) 자외선(UV)소자를 주로 이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소독기는 젖병을 소독할 목적으로 고안된 것이 아니라 생활용품을 살균할 목적으로 개시된 것이다. 생활용품으로는 손톱깍기, 면도기, 귀후비개, 모발용 빗 등이며, 비록 젖병도 살균시키는 것으로 되어 있지만, 그 구조상으로는 유아용품, 특히 젖병이나 젖꼭지를 소독할 수 있는 특유의 구조나 기능을 갖추고 있지 않다.
따라서, 실제로 젖병이나 젖꼭지를 소독하는 소독기로는 사용할 수 없으며, 사용이 가능하더라도 불편한 문제점을 수반한다.
또한, 젖병들이 일정한 공간에 수용될 때 서로 겹치거나 맞닿아 자외선에 직접 노출되지 않는 부분은 살균이 이루어지지 않으며, 또한 젖병에 물기가 묻어 있을 경우에는 자외선이 차단되어 완벽한 살균이 이루어지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 되었다.
다른 선행 기술로는 한국 특허청 등록번호 20-029330에 게시된 우유병 소독기이다. 이 소독기는 우유병을 수평으로 장착하도록 장착부를 설치하고 우유병을 살균하는 자외선살균램프를 벽채쪽으로 설치하여 낙수되는 물에 의한 누전등의 위험을 해소하고 젖병을 소독기 내부로 투입, 취출하는 행위가 편하도록 고안된 소독기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자외선 소독기는 자외선 살균 효과를 높이고자 젖병 입구에 대응하는 벽채쪽으로 자외선살균램프를 설치하여 젖병 살균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하였으나 젖병 외부의 살균 효과는 높으나 자외선살균램프의 자외선 광이 젖병내부에 정확하게 비추어지지 못하여 살균효과가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소자의 수명(약4000~5000시간)이 짧아서 자주 교체해 주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최근에는 저전력에 작동하고, 광의 휘도가 높은 자외선발광다이오드가(UV LED) 많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자외선발광다이오드는 점형태의 광학분포를 갖기 때문에 휘도 균일성이 낮고 이로 인해 살균력이 감소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그러므로, 젖병을 그 용도와 기능에 알맞도록 소독 및 보관할 수 있는 제품의 개발이 필요하게 되었으며, 이로 인해 과거 주부나 성인 생활을 중심으로 기획, 유통되던 소독기 제품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고, 새로운 고객 집단을 발굴함으로써 소독기의 새로운 사업 분야를 개척할 필요성을 가지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젖병 살균 및 건조를 현저하게 향상 시킬 수 있는 젖병 살균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젖병 보관상에서 재 오염이 되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육아 관련 젖병의 사용편리성을 증진시키고, 육아에 소요되는 불필요한 시간의 낭비를 방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본 발명가는 효과적으로 젖병을 살균할 수 있도록 종례의 살균기를 계량하고자 예의 연구 노력한 결과, 젖병 수납 방식과 자외선 광원 및 열풍토출구 배치 구조를 개선할 경우, 젖병에 기생하는 세균 등을 효과적으로 살균하고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젖병 살균기에 관한 것으로서, 젖병 살균기는 전면이 개방되는 동시에 외관을 이루는 본체(10), 상기 본체 내측 하부에 마련되는 베이스부(11), 상기 본체 내측에 형성되어 살균이 이루어지는 살균조(30), 상기 베이스부상에 배치되고, 자외선을 발생시키는 자외선살균유닛(20), 상기 베이스부에 배치되고, 열풍을 발생시키는 건조유닛(40), 상기 살균조 내부에 구비되어 젖병이 수납되는 수납트레이(50), 및 상기 본체의 전면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도어(60)와, 각종부품을 제어하는 제어부(70) 구비한 젖병 살균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젖병 소독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살균조 내에 구비되는 자외선이 투과되는 수납트레이에 젖병을 거꾸로 수납시킴에 따라, 수납트레이 하부에서 조사되는 자외선 및 열풍이 수납트레이에 수납된 젖병을 균일하게 살균 및 건조시킴으로써, 이로 인해 자외선이 차단됨이 없이 젖병 내외부에 조사되어 궁극적으로 살균 및 건조 효율을 향상시키게 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젖병 살균기의 도어를 개방시킨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은 도 1의 A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젖병 살균기를 나타낸 계략적인 분리 사시도.
도 4 은 본 발명에 따른 젖병 살균기의 실시 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 5 은 본 발명에 따른 열풍토출구를 나타낸 부분 확대도.
도 6 및 7 은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을 설명하기위한 도면.
도 8 내지 12 은 본 발명에 따른 면광원 기본 단위의 배치를 설명하기위한 도면.
도 13 내지 도 15 은 본 발명에 따른 여러 형상의 면광원 기본 단위의 평면 배치도.
도 16 (A), (B) 은 본 발명에 따른 원형, 타원형 형상의 면광원 기본 단위의 평면 배치도.
도 17 (A), (B) 은 본 발명에 따른 LED패키지의 배치 예를 나타낸 도면.
도 18 (A), (B)는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의 반사부를 설명하기위한 도면.
도 19 은 은 본 발명에 따른 수납트레이를 나타낸 사시도.
도 20 (A), (B)는 수납트레이 지지홀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0 (C)는 지지홀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0 (D)는 지지홀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21 은 실시 예 1에 따른 지지부재 사시도.
도 22 은 도 21의 A-A'부분을 나타낸 단면도.
도 23 은 실시 예 2에 따른 지지부재 사시도.
도 24 은 도 23에 따른 단면도.
도 25 은 도 23의 A-A'부분을 나타낸 단면도.
도 26 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홀과 지지부재가 결합된 단면도.
도 27 및 도 29는 실시 예 1에 따른 자외선 경로를 나타낸 도면.
도 28 및 도 30은 실시 예 2에 따른 자외선 경로를 나타낸 도면.
도 31 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의 블록도.
도 32 은 본 발명에 따른 젖병 살균기의 작동 순서도.
본 발명은 젖병 살균기에 관한 것으로서, 젖병 살균기는 전면이 개방되는 동시에 외관을 이루는 본체(10), 상기 본체 내측 하부에 마련되는 베이스부(11), 상기 본체 내측에 형성되어 살균이 이루어지는 살균조(30), 상기 베이스부상에 배치되고, 자외선을 발생시키는 자외선살균유닛(20), 상기 베이스부에 배치되고, 열풍을 발생시키는 건조유닛(40), 상기 살균조 내부에 구비되어 젖병이 수납되는 수납트레이(50), 및 상기 본체의 전면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도어(60)와, 각종부품을 제어하는 제어부(70)를 포함한다.
전면이 개방되는 동시에 외관을 이루는 본체, 자외선살균유닛이 배치되는 베이스부, 상기 본체 내측에 형성되어 젖병 살균이 이루어지는 살균조에 있어서, 상기 살균조 상면부는 곡면에 의해 구성되어 원형으로 형성된 것을 포함한다.
전면이 개방되는 동시에 외관을 이루는 본체, 자외선살균유닛이 배치되는 베이스부, 상기 본체 내측에 형성되어 젖병 살균이 이루어지는 살균조에 있어서, 상기 살균조 표면은 정육각형 형상이 규칙적으로 배치되는 반사면이 형성된 반사부를 포함한다.
상기 살균조 표면은 원형 또는 사각형, 마름모 형상이 규칙적으로 배치되는 반사면이 형성된 반사부를 포함한다.
상기 살균조는 젖병이 수납되는 수납트레이와, 동일한 반사면으로 이루어지는 반사부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레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효율적인 살균 목적은 기판과 상기 기판상에 복수의 점광원을 포함하며, 상기 점광원이 배치되어 있는 여러 형상의 자외선 공급 면광원 기본단위인 자외선살균유닛이 연속으로 배치되는 구조에 의해 달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면광원 기본단위는 상기 기판상에서 규칙적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면광원 기본단위의 각 변은 이웃하는 상기 면광원 기본단위의 어느 한변과 접해 있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면광원 기본 단위는 직사각형 또는 정육각형, 마름모 형상인 내부 셀을 포함한다.
상기 자외선살균유닛은 기판과, 상기 기판에 배치되는 복수의 점광원과, 상기 복수의 점광원을 수용하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상기 점광원은 LED인 것을 포함한다.
상기 자외선살균유닛은 상기 수납트레이에 향하도록 살균조 내의 수납트레이 하부에 배치된 것을 포함한다.
상기 자외선살균유닛은 평면상으로 보았을 때 복수개가 벌집형상 형태로 상기 베이스부상에 촘촘히 배치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자외선살균유닛은 평면상으로 보았을 때 복수개가 상기 베이스부상에 촘촘히 배치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자외선살균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자외선살균유닛는 상기 기판과 중심이 일치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LED패키지는 자외선을 발생시키는 자외선LED, 백색광을 발생시키는 백색LED,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LED패키지는 자외선LED, 백색LED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어느 하나 이상의 LED를 포함한다.
상기 LED패키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은 살균작용을 하는 것을 포함한다.
기판과, 상기 기판상에 복수의 점광원이 배열되고, 상기 복수의 점광원을 수용하는 하우징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복수의 점광원에서 발생된 자외선을 반사시키기 위한 미소 반사면이 형성되어 수납트레이로 반사하는 반사부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점광원에서 발생한 광의 방출이 이루어지는 정육각형의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와 수직을 이루는 6개의 측면들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은 직사각형 또는 정육각형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포함한다.
상기 LED패키지는 상기 하우징에 구비됨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은 자외선LED, 백색LED 중 어느 하나를 수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은 내경이 개구부로 갈수록 커지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하우징중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은 상기 측면들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이 이웃하는 다른 하우징의 측면과 평행하게 마주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반사부은 빛 반사물질로 되거나 그 빛 반사물질로 코팅된 것을 포함한다.
상기 반사부은 작은 미소 반사면 복수개를 비방사 형상으로 빈 틈 없이 밀접하게 배치한 것을 포함한다.
상기 미소 반사면의 형상은 정육각형, 사각형, 타원형, 원형, 다각형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형상을 포함한다.
상기 미소 반사면의 형상은 오목면 형상 및 블록면 형상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형상을 포함한다.
상기 미소 반사면의 오목면 형상 및 볼록면 형상은 0.01~3.0mm의 법위로 패어 있거나 또는 돌출하고 있는 것을 포한한다.
상기 미소 반사면의 크기는 전면에 걸쳐서 실질적으로 거의 동일한 것을 포함한다.
상기 미소 반사면의 크기는 세로 0,01~20mm, 가로 0.01~20mm의 범위인 것을 포함한다.
상기 미소 반사면의 크기는 개구부에서 수용부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축소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자외선살균유닛, 복수의 자외선살균유닛을 덮고 자외선살균유닛에서 발생된 자외선을 투과시키는 랜즈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자외선살균유닛 직상부에는 확산랜즈부 또는 프리즘랜즈부 중 어느 하나가 복수의 자외선살균유닛을 덮도록 더 구비된 것을 포함한다.
상기 랜즈부는 자외선이 투과되는 재질로 형성된 것을 포함한다.
상기 랜즈부는 석영으로 형성된 것을 포함한다.
상기 랜즈부는 투명 또는 반투명인 것을 포함한다.
상기 젖병이 거꾸로 수납되는 수납트레이, 상기 젖병 하측에 마련되는 베이스부, 베이스부에 배치되고 열풍을 발생시키는 건조유닛에 있어서, 상기 건조유닛은 집수부, 송풍펜, 히터, 덕트, 열풍토출구를 포함한다.
상기 젖병이 거꾸로 수납되는 수납트레이, 상기 젖병 하측에 마련되는 베이스부, 베이스부 좌우측에 배치되고 열풍이 토출되는 열풍토출구에 있어서, 상기 열풍토출구가 젖병 하부에 위치함에 의해 젖병으로 열풍을 직접 공급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열풍토출구는 베이스부 좌우측면에 수납트레이를 향하여 수납트레이 바닥부와 대응하는 길이와 방향으로 상면과 하면이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포함한다.
상기 열풍토출구는 내부에 상하로 회동하는 토출베인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전면이 개방되는 동시에 외관을 이루는 본체, 상기 본체 내측 하부에 마련되는 베이스부, 상기 본체 내측에 형성되어 살균이 이루어지는 살균조, 젖병이 거꾸로 수납되는 수납트레이에 있어서, 상기 수납트레이는 상기 살균조에 슬라이딩 착탈이 가능하게 구비된 것을 포함한다.
상기 수납트레이는 전면이 자외선이 투과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수납트레이는 투명 또는 반투명인 것을 포함 한다.
상기 수납트레이는 석영으로 형성된 것을 포함 한다.
상기 수납트레이는 자외선이 투과되는 재질로 형성된 것을 포함 한다.
상기 수납트레이는 바닥부에 정삼각형을 기본으로 하여,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규칙적인 패턴 구조를 갖는 지지홀이 형성된 것을 포함한다.
상기 수납트레이의 하부에 배치되는 자외선살균유닛, 상기 자외선살균유닛 직상부에 배치되는 랜즈부, 상기 수납트레이 지지홀에 구비되는 지지부재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복수개가 지지홀에 착탈되게 구비된 것을 포함한다.
상기 일실시예에서 지지부재는 지지부와 확산반사부와 착탈부로 이루어진 것을 포한한다.
상기 일실시예에서 지지부재는 빛 반사물질로 형성되거나 빛 반사물질로 피착된 것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재는 자외선살균유닛에서 발생된 자외선을 직접 젖병 내부로 조사 하도록한 것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재와 지지부재의 간격은 정삼각형을 기본으로 하여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규칙적인 패턴으로 변화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일실시예에서 지지부는 그 중심에 원형강재가 구비되고, 그 원형강재 외주변에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원형강재와 이루는 길이가 확장되도록 데이퍼형상 부분이 다단으로 연속하여 지지편이 형성되며, 그 단부에 단턱부를 포함한다.
상기 일실시예에서 지지편과 지지편 사이에 착탈부에서 반사부재에 이르기까지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자외선살균유닛에서 발생된 자외선을 반사부재로 유도하는 것을 포함 한다.
상기 일실시예에서 확산반사부는 자외선살균유닛에서 발생된 자외선을 상기 확산반사부의 반사면에서 반사시킴에 의해 자외선이 직접 조사되지 않는 부분으로 향하도록한 것을 포함한다.
상기 일실시예에서 확산반사부는, 자외선이 직접 조사되지 않는 방향을 향함에 따라 상기 자외선살균유닛과 마주보는 방향을 향하여 비스듬하게 경사져 있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수납트레이의 하부에 배치되는 자외선살균유닛, 상기 자외선살균유닛 직상부에 배치되는 랜즈부, 상기 수납트레이 지지홀에 구비되는 지지부재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복수개가 지지홀에 착탈되게 구비된 것을 포함한다.
상기 일실시예에서 지지부재는 제1확산랜즈부와 제2확산랜즈부와 확산패턴부를 포함하고, 지지부와 착탈부로 구성된 것을 포함한다.
상기 일실시예에서 지지부재는 석영으로 형성된 것을 포함한다.
상기 일실시예에서 지지부재는 투명 또는 반투명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일실시예에서 지지부는 내부에 소정의 직경으로 중공부가 형성되고 그 외경이 일정한 사이즈로 단계적으로 확대되어 다단으로 단턱부가 형성된 것을 포함한다.
상기 일실시예에서 중공부에 지지부재 내부 여러 방향으로 확산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제1확산랜즈부를 구비하고, 중공부 상부 최단부에 제1확산랜즈부에서 입사된 자외선을 지지부재 외부 여러 방향으로 확산시키는 역할을 하는 제2확산랜즈부가 구비된 것을 포함한다.
상기 일실시예에서 제1 제2 확산랜즈부는 자외선살균유닛에서 발생된 자외선을 상기 제1 제2 확산랜즈부에서 확산시킴에 의해 자외선을 여러 방향으로 확산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도어는 정육각형을 포함하는 벌집형태의 반사부가 형성된 것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하겠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로서 제공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 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1 은 본 발명에 따른 젖병 살균기의 도어를 개방시킨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 1의 A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젖병 살균기 계략적인 전체 분해 사시도 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젖병 살균기(100)는 상기 살균조의 수납트레이(50)에 젖병이 수납될 때, 살균을 가장 필요로 하는 부분은 수납트레이에 거꾸로 수납되는 젖병이므로 젖병을 살균시키는 살균조(30)하부에 자외선 공급 면광원 기본단위인 자외선살균유닛이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젖병을 균일하게 살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젖병 살균기를 제공 한다. 이는 수납트레이에 젖병을 거꾸로 수납하여 젖병 내부의 수분을 제거하고, 수납된 젖병 입구가 하방으로 자외선살균유닛(20)을 향하면, 자외선살균유닛(20)으로부터 발생되는 점광원이 면광원으로 변화되어 젖병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자외선이 조사되어 빠른 시간 안에 건조 및 살균이 이루어지는 살균기를 포함한다.
또한, 젖병 보관상에서 재 오염이 되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육아 관련 젖병의 사용편리성을 증진시키고, 육아에 소요되는 불필요한 시간의 낭비를 방지하는 젖병 살균기를 포함 한다.
이에 따라, 도 1, 도 2,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는 전면이 개방된 장방형상으로, 그 전면에 상기 도어(60)가 개폐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하부에 베이스부(11)가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부(11) 상에 상기 살균조(30)가 마련된다.
이때, 상기 본체(10)는 상기 살균조 내부로 자외선과 열풍을 발산할 수 있도록 베이스부(11) 내부에 자외선살균유닛(20)과 건조유닛(40)이 배치되며, 건조행정에서 상기 살균조 내부의 젖병을 열풍에 의해 건조시킨 다음, 습증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상면부에 증기배기홀(12)이 형성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자외선살균유닛(20)과 건조유닛(40)은 상기 젖병 하부, 즉 본체 베이스부(11)상에 배치되어 있어 상기 젖병 내부로 자외선과 열풍을 손쉽게 발산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 이때, 상기 자외선살균유닛(20)이 상기 본체 내부에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자외선살균유닛(20)으로부터 자외선이 발생되는 동안 상기 도어(60)가 개방되는 경우, 자외선이 외부로 누설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 베이스부(11)에는 상기 도어 개폐여부를 감지하는 도어개폐감지센서(64)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외선살균유닛(20)으로부터 자외선이 발생되는 동안 상기 도어개폐감지센서(64)로부터 상기 도어 개방신호가 상기 제어부(70)으로 전달되면,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자외선살균유닛(20)의 작동을 정지시켜 자외선 발생을 중단시키도록 제어한다.
다음, 상기 살균조(30)는 하면과 전면이 개방된다. 상기 살균조 배면부(35)는 상기 본체 베이스부(11)의 상에 상하로 배치되고, 상기 배면부 상측에는 상면부(36)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상면부(36)를 원형으로 형성하여 젖병의 살균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원형의 살균조 표면에 반사부를 형성하여 젖병을 입체적으로 살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살균조는 스테인레스 재질 또는 알루미늄 재질로 생성하여 상기 자외선살균유닛으로부터 자외선이 발생되더라도 반사되도록 하기 때문에 자외선이 상기 살균조(30) 내부의 모든 곳에 조사되도록 살균 영역을 보다 확장시킬 수 있도록 형성한다.
이때, 상기 상면부와 배면부는 내측면 전체에 규칙적인 패턴으로 자외선이 반사되는 반사면을 가지는 반사부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상변부에는 수증기를 배출하는 증기배출구(33)가 형성된다. 상기 증기배출구(33)는 상기 본체의 증기배기홀(12)과 대응되게 형성되는 동시에 그 내측에 송풍펜(미도시)을 내장하여 수증기가 손쉽게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상면부(36) 및 상기 배면부(35)의 반사부 역시 상기 도어(60)에 형성된 반사부(62)와 동일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하기의 도어 반사부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좌우측 가이드레일(34)은 상기 자외선살균유닛으로부터 소정의 거리가 이격되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래일(34)은 상기 수납트레이(50)가 슬라이딩 탈착될 수 있도록 가이드레일(34)이 마주보는 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배면부(35)는 그 좌,우측면부에 가이드레일만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살균조 내부를 보다 입체적으로 살균, 건조를 위해 자외선살균유닛(20)이 추가 설치될 수도 있다.
다음, 본 발명에 관한 효율적인 살균 목적은, 살균조 내에 젖병이 거꾸로 수납된 수납트레이가 구비되고, 젖병 하부에 점광원이 배치되어 있는 다양한 형상의 자외선공급 면광원 공급 단위(22)인 자외선살균유닛이 연속적으로 배치됨으로서, 자외선살균유닛에서 발생되는 점광원이 면광원으로 변화되어 수납트레이를 통과하면서 젖병에 균일하게 조사되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효율적인 다른 살균 목적은, 수납트레이에 대응하는 배이스부상에 다양한 형상의 면광원 기본 단위가 연속으로 배치되도록 점광원을 배치하는 것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자외선살균유닛의 점광원을 면광원으로 변화시킨 것을 이용하기 때문에, 균일하고 빠른 살균이 이루어져 달성될 수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자외선살균유닛(20)은 광원과 하우징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광원은 전원인가시 자외선을 발생시키는 발광수단으로서, 이러한 광원은 전원인가시 점광원 분포를 갖는 자외선을 발생시키는 발광다이오드인 자외선LED가 선택적으로 채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기판상에 복수개의 자외선LED가 전기적으로 탑재되는 것으로 도시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형광램프를 채용할 수도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자외선살균유닛(20) 구조는 기판(23)과, 상기 기판상에 복수의 점광원(21)이 배열되고, 상기 복수의 점광원을 수용하여 상기 점광원들로부터 발생되는 광을 상기 젖병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하우징(22)을 포함 한다.
상기 자외선 점광원으로는 자외선LED가 사용될 수 있으며, 살균이 가능한 형태의 점광원이라면 어떠한 형태이여도 좋다. 다만, 자외선은 그 파장에 따라 A(300~400nm), B(230~320nm), C(180~280nm)로 나눌 수 있으며, C(180~280nm)영역의 자외선이 미생물을 죽이는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자외선광원은 180~280nm의 파장을 가지는 자외선을 조사하는 것을 포함 한다.
상기 자외선살균유닛(20)은 상기 젖병에 향하도록 살균조(30) 내의 수납트레이 하측 베이스부(11)상에 배치된다. 이와 다르게 상기 자외선살균유닛은 상기 수납트레이에 향하도록 살균조 내의 수납트레이 하측 및 좌/우측에 입체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자외선살균유닛(20)의 전체적인 배치는 도 13, 도 14, 도 15와 같다. 자외선살균유닛(20)은 살균조의 살균영역에 해당하는 베이스부에 배치된다. 베이스부(11)는 살균조의 형태와 같이 장변(11a)과 단면(11b)을 가진 직사각형 형태이다. 자외선살균유닛은 배이스부(11) 전체에 걸쳐 규칙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베이스부(11)는 복수의 직사각형, 마른모형, 정육각형 등을 포함하는 여러 형상의 형태로 분할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여러 모양을 가지는 가상의 면광원 기본 단위가 마련된다. 면광원 기본 단위(22)는 가장자리 일부를 제외하고는 베이스부(11) 상부를 빈틈없이 채우고 있다. 인접한 셀(22)간의 거리인 발광거리(M1)는 자외선LED의 유효발광거리를 기초로 설정되며, 자외선LED는 이러한 면광원 기본 단위를 기초로 배치된다.
이하 자외선살균유닛(20)을 직사각형, 마른모형, 정육각형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로 배치하는 이유와 자외선LED의 유효발광거리를 도 8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자외선LED에서 발생되는 자외선은 직상부의 젖병으로 조사 된다. 상기 젖병에 조사된 자외선의 강도 분포는 도 6과 같은 가우스 분포를 이룬다. 즉, 젖병 중 자외선LED 바로 윗부분에 가장 강한 자외선이 공급되며, 거리가 멀어질수록 빛의 강도는 감소한다. 빛의 강도 그래프에서 표준편차에 해당하는 양 지점 사이의 거리(M1)를 유효발광거리라 한다, 유효발광거리는 자외선LED와 젖병과의 거리(도 9의 H1)에 따라 변화 한다. 자외선LED와 젖병과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유효발광거리는 커지는 반면, 휘도는 떨어진다. 자외선LED와 젖병과의 거리(도 7의 H1)는 자외선LED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기준으로 구할 수 있다. 유효발광거리는 하우징 개구부(22b)의 넓이(W-l, W-p), 하우징의 높이(H) 등 하우징의 자체 형상에 의하여 변화할 수 있다.
여기서, 하우징(22)은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 개구부(22b)의 넓이(W-l, W-p), 하우징의 높이 (H)및 젖병과의 거리(도 7의 H1)를 조절하여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하우징의 개구부(22b)의 넓이(W-l, W-p)를 크게 하는 경우, 베이스부상(11)에 자외선살균유닛(20)의 개수를 적게 배치하면서도 광이 넓게 퍼지는 효과가 있고, 하우징의 높이(H)를 높게 형성하는 경우, 광이 젖병으로 집광되는 효과가 있다. 각각의 하우징 개구부(22b)의 넓이(W-l, W-p), 높이(H)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도 9와 같이 동일한 유효발광거리를 가지는 자외선LED를 유효발광거리 만큼 일정하게 배치하면 젖병은 위치에 상관없이 일정한 강도의 자외선을 공급받는다.
이상의 도 8 및 도9는 1차원적인 것이고, 자외선LED를 유효발광거리와 함께 평면상에서 도시하면 도 10과 같다. 즉 하나의 자외선LED에서 발생되는 자외선은 자외선LED(21a)를 중심으로 하며 직경이 유효발광거리인 원(M1)으로 표현할 수 있다.
유효발광거리를 고려하여 자외선LED를 평면상에 밀집하여 나타내면 도 11과 같다. 인접한 원의 중심간의 거리는 유효조사거리(M1)에 해당한다. 도 11에서 도시한 삼각형의 각 꼭지점에는 각각 자외선LED가 존재한다.
도 11의 배치는 원과 원 사이에 빈 공간이 존재하므로, 모든 평면을 다 채울 수 있는 정육각형으로 평면을 분할하면 도 12(A)와 같이 된다. 도 12(A) 은 무한 평면에 배치한 것이고 실제의 배치평면은 일정한 사이즈를 갖는다. 배치 평면을 공간 없이 면광원 기본 단위(20)로 배치하기 위해서, 정육각형 도 12(B)로 배치하였지만 이에 한하지 않고, 도 13의 배치처럼 직사각형으로 평면을 분할해도 좋고, 도 14 (A), (B)처럼 정사각형으로 평면을 분할해도 좋고, 도 15와 같이 정삼각형으로 평면을 분할해도 좋다.
또한, 배치 평면 테두리에 면광원 기본 단위(22)가 배치되지 않는 빈공간(22g)은 면광원 기본 단위(22)가 배치되지 안해도 좋다. 즉 면광원 기본 단위가 배치되는 부분은 젖병이 수납되는 살균영역이므로 면광원 기본 단위가 배치되며, 빈공간(22g)은 수납트레이 테두리부분에 해당하는 젖병이 위치하지 않는 영역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도 12(B), 도 13, 도 14, 도 15에서 도시된 각각의 셀(22) 간의 마주보는 인접한 중심 간의 거리는 유효발광거리(M1)에 해당한다. 도 12(B), 도 13, 도 14, 도 15에서의 각각의 셀(22) 중심에 LED를 각각 위치시키면 젖병은 위치에 관계없이 일정한 강도의 자외선을 공급받을 수 있다. LED가 자외선을 발생시킨다면 젖병은 균일한 자외선을 공급받으며, LED가 백색광을 발한다면 젖병은 균일한 백색광을 공급 받는다.
한편, 도 12(B), 도 13, 도 14, 도 1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든 평면을 다 채울 수 있는 직사각형, 정사각형, 정육각형, 정삼각형 형상으로 배치 평면을 공간 없이 면광원 기본 단위(20)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도 16(A), (B)와 같이 원형, 타원형 형상으로 배치하여도 좋다.
여기서, 각 셀(22)내에 위치하는 LED는 각 셀(22)의 중심에 있지 않아도 무방하다. 단 LED의 거리가 유효발광거리에 대응해야 함으로 LED는 규칙적으로, 인접한 LED간의 거리가 일정하게 배치되어야 한다. 또한 각각의 셀내에는 자외선LED, 백색광LED가 각각 배치되어 광을 공급할 수도 있다. 이때 각각의 LED는 규칙적으로 배치되어야 한다.
상기 도 12(B), 도 13, 도 14, 도 15 의 배치 평면은 베이스부(11)와 대응하는 직사각형 형태로 길이가 11a인 장변과 길이가 11b인 단변을 갖는다. 배치 평면에 의해 면광원 기본 단위(22)는 변에 걸쳐있지 않은 내부셀(22e), 장변에 걸쳐있는 셀(22c), 단변에 걸쳐있는 셀(22d), 모서리에 걸쳐 있는 셀(22f)로 나누어진다.
그리고, 각각의 셀(22)내에는 LED패키지(21)가 위치한다. 셀의 마주보는 두 중심의 거리가 셀 거리(M1)이며 유효발광거리와 대응한다. LED의 유효발광거리와 셀 길이는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셀 거리(M1)는 유효발광거리의 80내지 120% 사이일 수 있다. 상기 LED패키지(21)는 각각 하나씩인 자외선을 발생시키는 자외선LED(21a), 백색광을 발생시키는 백색광LED(21b)로 구성되는데. 백색광LED(21b)은, 야간에 유아가 깨었을 때, 도어(60)가 오픈되면 살균조(30) 내부를 조광하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제품 사용 효율성을 높이고, 도어가 닫히면 구동을 멈추도록 제어할 수 있게 한다. 각각의 LED의 유효발광거리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실시 예에 따르면, LED패키지(21)는 규칙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LED패키지는 기판에 일정한 간격, 즉 셀거리(M1) 많큼의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으면 된다. 또한 하우징(22)도 규칙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품 적용에 따라 도 16(b)와 같이 자외선LED(21a), 백색광LED(21b), 청색광LED(21c), 을 기판위에 배열할 수도 있고, 도 16(a)와 같이 자외선LED(21a), 백색광LED(21c)를 기판 위에 배열할 수도 있다.
한편, 도 17 (a), (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은 상기 LED패키지(21)가 실장되는 기판(23)상에 마련되어 있다. 개구부(22b)를 가지며 각각 원하는 빛의 반사 내지 형태를 반사시키기 위한 광 반사막이 형성된 미소반사면(26a)을 가지는 반사부(26) 및 이 반사부에 이어 형성된 수용구(22a)를 가지며, 내경이 개구부(22b)로 갈수록 커지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각 수용구에는 LED패키지(21)가 위치할 수 있으며 수용구(22a)는 LED패키지에 비해 다소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LED패키지(21)는 수용구(22a)보다 높게 위치한다. 하우징(22)은 그 수용구(22a)에서 그 개구부(22b)에 이르기까지 반사부가 형성되고 반사부(26)는 발생되는 자외선을 반사시켜 상기 짖상부에 위치한 젖병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그 반사부(26)에는 높이 약 0.4mm의 돌출 굴곡된 형상으로 형성된 벌집형상(한변의 길이:2mm. 세로:4mm. 가로:3.8mm)으로 실질적으로 같은 미소반사면(26a) 복수개가 빈틈없이 겹쳐서 비방사형상으로 배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하우징 개구부(22b)에서 수용부(22a)로 갈수록 미소 반사면의 크기가 축소되어 복수개가 빈틈없이 겹쳐서 비방사형상으로 배치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미소반사면(26a)의 형상은 원형, 타원형, 직사각형 또는 다각형이여도 되고, 또 오목면 형상 또는 돌출면 형상의 어느 것으로 형성해도 된다.
또한, 도 12(b), 도 14,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육각형, 정사각형, 정삼각형 형상의 하우징은 원형의 발광 광원(22d)으로 설계 배치 할 수 있지만,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 형상의 하우징은 발광 광원(22d)을 타원형으로 설계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우징(22)을 성형할 때 미소반사면(26a)을 얻을 수 있도록 판재금형을 제작하여 이를 프레스 작업을 통해 스테인래스 및 알루미늄에 형성하거나, 몰드(금형)를 제작한 후, 이 몰드내에 폴리카보네이트(PC)를 유입해서 상기 미소반사면(26a)을 형성 할 수 있다. 이어서 고반사물질인 은이나 알루미늄을 피착하여 고반사막을 형성 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은 LED패키지(21)에서 발생하는 강한 열에 의해 변형되지 않도록 다소 두껍게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판(23)은 사각형상이며, 길이방향이 베이스부(11)의 장변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LED패키지에서는 열이 많이 발생하므로 기판(23)은 열전달율이 우수한 알루미늄을 주재료로 사용하여 만들어질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열방출을 용이하게 하기위해 기판(23)은 히트 파이프, 냉각팬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외선살균유닛(20)에 의하면, 광을 발생시키는 LED패키지와, LED패키지(21)에서 발생되는 광을 젖병 방향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하우징(22)으로 구성됨으로써 LED패키지가 위치한 부분과 LED패키지가 위치하지 않는 부분과의 광 휘도차를 감소시킨다.
또한, 살균조 내에 젖병이 거꾸로 수납되는 수납트레이가 구비되고 젖병 하부에 점광원이 배치되어 있는 다양한 형상의 자외선공급 면광원 공급 단위인 자외선살균유닛이 연속적으로 배치됨으로서, 자외선살균유닛에서 발생되는 점광원이 면광원으로 변화되어 수납트레이를 통과하면서 젖병에 균일하게 조사되기 때문에, 점광원과 젖병 사이에 휘도를 향상시켜 전체적인 광휘도를 균일하게 얻을 수 있고, 증가되는 광휘도 만큼 점광원에 구비되는 LED의 설치갯수를 줄여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얻어진다.
또한 미소반사면(26a)이 각 하우스마다 형성되어 있어 각 LED페키지에 필요한 방향이나 형태로 미소반사면을 형성할 수 있어 더욱 반사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되며, 더욱 높은 반사물질로 이루어질 때에는 더욱 그 반사 효율을 높을 수 있게 된다.
다음, 상기 자외선살균유닛(20) 직상부에는 랜즈부(25)가 설치된다.
상기 랜즈부(25)는 전원인가시 LED패키지(21)로부터 발생되는 자외선을 투과시킬 수 있도록 석영과 같은 투명 또는 반투명 소재로 이루어지는 반구형상의 판부재이다.
상기 랜즈부(25)는 소정의 두께를 가진 석영판으로 제작되므로 가벼운 충격에도 깨지기 쉬운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랜즈부가 상기 살균조 또는 베이스부에 안착되기 전에 그 전후면 둘레 부분에 한 쌍의 실링부재(미도시)가 결합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실링부재(미도시)들은 상기 살균조 또는 베이스부와 상기 랜즈부 사이에 맞닿도록 설치되는 고무재질의 링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랜즈부(25)는 젖병에서 떨어지는 수분을 건조유닛(40)으로 배수시킨다. 따라서, 좌/우 테두리 일측면에 배수공(미도시)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고, 상기 배수공에 수분의 배출을 위한 배수라인이 마련되고, 이 배수라인은 도2에 도시된 건조유닛(40)의 집수부(44)로 공급된다. 랜즈부(25) 내부 표면은 자외선살균유닛으로 향하며, 다른 표면은 살균조(30) 내부로 향한다. 본 발명에서 랜즈부(25)는 그 형상이 반구형으로 부가함으로서 젖병에서 떨어지는 수분을 배수공(25b)으로 신속히 배출시켜 그 표면의 청결성을 매우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실질적으로 모든 LED패키지(21)로부터 나오는 자외선은 젖병을 향하여 전방으로 출사되고 랜즈부(25)와 수납트레이(50)를 통과하여 벗어난다.
다음, 본 발명에 관한 젖병 건조 방법은, 본 발명의 열풍토출구를 젖병이 거꾸로 수납되는 수납트레이 하부 좌우측에 입체 배치시키고 상기 열풍토출구로부터 송풍된 열풍에 의해 전방을 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관한 건조 방법은 본 발명의 열풍토출구(46)를 젖병 하부에서 복수 배치시켜 젖병 입구로 정확하게 직접 공급하는 것을 이용하기 때문에, 균일하고 빠른 건조를 행할 수 있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 베이스부(11)에는 살균조 내부에 대한 건조를 위하여 건조유닛(40)이 마련된다. 건조유닛은 외측으로부터 살균조 내부로 공기통로를 제공하는 덕트(42)와 덕트상에 설치되어 열을 방출하는 히터(43)와, 상기 히터로부터 공급되는 열을 상기 살균조 내부공간으로 토출시키는 송풍펜(41)과, 열풍을 젖병으로 토출되는 열풀토출구(46)와, 배수라인에 의해 유입되는 수분이 송풍팬으로부터 방출되는 열풍에 의해 쉽게 증발되도록 집수부(44)를 포함 한다. 또한 건조유닛은 살균조 내부로 청정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본체에서 흡입덕트 상의 공기흡입측에 송풍펜으로 통과하는 공기에 포함되는 이물질이나 유해세균 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항균이나 미세먼지제거 기능을 가지는 필터(45)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집수부(44)는 히터로부터 방출되는 열이 송풍팬(41)의 송풍력에 위해 이동하는 경로, 즉 송풍펜으로부터 불어오는 열풍이 덕트(42)에 의해 열풍토출구(46)로 이동하는 경로 하측에 설치되어 배수라인에 위해 공급되는 수분이 송풍팬으로부터 방출되는 열풍에 의해 쉽게 증발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집수부(44)는 수분이 모이는 곳으로 살균과 건조가 이루어지도록 해야 하는데, 이와 같이 상기 집수부를 신속하게 살균을 하지 않으면 습기가 많기 때문에 시간이 경과할수록 세균이 증식되기도 한다.
따라서, 상기 집수부(44) 근접 위치에 보조자외선살균유닛(미도시)이 설치되어 상기 제어수단에 의해 그 작동이 제어 되되,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보조자외선살균유닛에서 살균효과가 뛰어난 180~280nm 파장의 자외선을 상기 집수부에 조사하여 살균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풍토출구(46)는, 송풍팬에 위해 열풍이 강제적으로 배출되는 덕트(42)의 끝단에 설치되어 살균조 내부에 위치한 젖병 하부 베이스부상의 좌우측에 마련됨으로써 히터에 의해 가열되는 공기를 송풍팬(41)에 의해 젖병으로 직접 공급함으로써 건조시간을 단축시킨다.
상기 좌/우측 열풍토출구(46)는 젖병으로 열풍을 직접 공급하기 위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젖병을 향하여 상부(46a)가 하부(46b)와 경사지게 형성됨과 아울러 그 끝단 내부에 열풍의 방향을 가이드하는 토출베인(46c)이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히터는 일정 온도 이상으로 과열시 전원공급을 중단시키기 위하여 바이메탈스위치 등과 같은 과열방지스위치(미도시)가 마련된다.
다음,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살균조(30) 내부에는 도 3,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젖병을 거꾸로 수납하기 위하여 수납트레이(50)가 구비된다. 상기 수납트레이는 바닥부를 구성하는 기본단위인 지지홀이 일정한 패턴으로 배열되고, 상기 지지홀에 별도의 지지부재가 착탈이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젖병에 대한 지지부재(55)의 접촉이 점접촉으로 이루어지고, 수납공간이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젖병이 거치되는 다수개의 지지부재(55)가 요구되는 임의의 위치에 요구되는 바에 따라 배열되어 그러한 수납공간의 형성이 가능함으로, 다양한 수납공간 형성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수납 트레이(50)는 상기 도어(60)로부터 상기 살균조(30) 내측방향으로 슬라이딩 삽입되도록 살균조 양측벽 가이드레일(34) 위에 설치되되, 그 위에 젖병을 거꾸로 수납한 후 상기 살균조 내부로 사용자가 손쉽게 슬라이딩 출입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19는 본 발명의 수납트레이(5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수납트레이는 크게 상측이 개구된 본체(52)와, 본체와 착탈되어 상기 본체 내에서 요구되는 임의의 위치에 서로 간의 간격이 요구되는 바에 따라 배열되는 다수개의 지지부재(55)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52)는 테두리부(54)와 그 테두리부(54) 하측에 일체로 형성되면서 테두리부 하측을 밀페시키는 바닥부(5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52)는 자외선이 투과되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석영재질으로 형성되며, 자외선이 투과되는 어떠한 재질로 형성하여도 좋다.
상기 테두리부(54)는,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어 상면이 개방된 장변과 단면을 갖는 직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테두리부(54)는 수납트레이(50)의 측면벽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테두리부(54)는 식기류가 빠지지 않도록 기능 한다. 아울러, 테두리부는 공기의 원활한 송풍을 위하여, 다수의 공기홈이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수납트레이(50)에는 바닥부(53)가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바닥부(53)는 상기 테두리부(54)와 일체로 이루어지되, 바닥부를 구성하는 기본단위인 지지홀(51)이 이웃하는 다른 복수의 지지홀(51)과 연결프레임(51a)으로 서로 연결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홀(51)은 테두리부(54) 형태와 같이 장변과 단변을 가진 직사각형 형태로 수납영역에 해당하는 테두리부내(內 )전체에 걸쳐 배열되어 있고, 상기 지지홀(51)에 별도의 지지부재(55)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상기 수납트레이(50)에 수납되는 여러 크기의 젖병을 점접촉이 이루어지도록 수납하고, 수납공간을 더욱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이하에서 도면과 함께 설명한다
도 20 (A)(B)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닥부를 구성하는 지지홀 배열을 설명하기위한 도면이고, 도 20 (C)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닥부를 구성하는 기본단위인 지지홀을 나타낸 사이도이고, 도 20 (D)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닥부를 구성하는 기본단위인 지지홀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바닥부(53)를 구성하는 기본단위인 지지홀(51)은 아래에서 설명될 지지부재(55)가 용이하게 탈부착이 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지지홀은 착탈부(58)가 인입되도록 안내하는 원형형상으로 이루어진 상부테두리(51')와 상기 상부테두리와 동일한 형상으로 일체로 형성되고, 수직을 이루는 하부테두리(51")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지지홀(51)은 착탈부(58) 외경보다 미세하게 크게 내경과 길이를 갖는 홀형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지지부재 착탈부(58)가 인입하면 착탈부를 압착함으로서, 상기 착탈부가 임의대로 상기 지지홀에서 이탈되지 않게 고정시킬 수 있다.
도 20(B)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지지홀(40) 배열은 정삼각형 모양을 갖는 배열을 기본으로 하기 때문에, 〔1-10〕〔1-20〕〔1-30〕방향들이 만나는 지점에 지지홀(51)이 형성된다. 따라서, 이런 정삼각형을 기본으로 하는 형태의 지지홀 배열로써, 바닥부(53)를 구성하는 것이 지지홀(51)과 지지홀(51)과의 간격을 규칙적이고 일정한 패턴으로 배열하는 효율적인 방법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지지홀(51) 배열을 형성함에 있어, 도 20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1-10]의 방향으로 제 1연결프레임(51a)을 형성하고, 역시 소정의 간격과 동일한 간격을 두고 상기[1-10]의 방향과 60°의 각도를 이루는[1-20]의 방향으로 제 2연결프레임(51b)을 형성하고, 다음에 상기와 동일한 간격을 두고 상기[1-10]방향 및[1-20]의 방향과 각각60°의 각도를 이루는[1-30]의 방향(도면상 수평방향)으로 제 3연결프레임(51c)을 형성하는 과정을 거친 후 이들 공정에 의해 형성된 연결프레임(51a,51b,51c)들을 따라 형성된 각 꼭지점에는 각각 지지홀(51)이 형성 배열되면 도 20 (B)와 같이 된다. 여기서, 상기 각각의 지지홀(51)은 형상과 크기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상기 복수의 지지홀(51)들은 정삼각형 구조로 배열되고, 상기 지지홀(51)중 적어도 하나의 지지홀은 이웃하는 다른 지지홀과 평행하게 마주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지지홀(51)중 하나의 지지홀(51)은 상기 수납영역과 중심이 일치하도록 배열된다. 그 하나의 지지홀(51)은 이웃하는 다른 모든 지지홀(51)과 평행하게 마주한다. 이는 도 20 (B)에 잘 도시되어 있다. 또한, 지지홀과 지지홀과의 간격은 규칙적이고 일정한 패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홀(51)과 연결프레임(51a,51b,51c)) 사이사이에는 공간부(51d)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정삼각형 모양의 배열을 갖는 지지홀(40)들 상호간의 간격은 상기한 제 1 및 제 2 제 3연결프레임(51a,51b,51c)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얼마든지 가능하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홀(51)은 상기 지지부재(55)가 용이하게 결합 또는 분리되어 상기 각각의 지지부재와 지지부재와의 간격이 일정한 패턴으로 조절될 수 있는 구조를 이루고, 지지부재(55)를 견고하게 지지하며, 젖병에서 떨어지는 수분이 배수되는 배수로 역할을 수행하며, 열풍토출구(46)에서 토출되는 열풍이 통과되는 열풍통로 역할을 동시에 수행한다.
본체 바닥부 지지홀(51) 패턴의 구체적인 형성 방법과 함께 이하에서 나누어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지지부재(55)에 대하여 도면과 함께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지지부재(55)는 상기 지지홀(51)에 필요에 따라 다수개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부재(55)는 다양한 크기의 입구를 갖는 젖병이 원활이 거치될 수 있도록 소정의 길이로 다수개가 동일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55)는 상기 지지홀(51)에 선택적으로 결합과 분리가 가능하고, 지지부재(55)와 지지부재(55)에 의해 만들어지는 간격을 규칙적인 패턴으로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크기와 형상이 서로 다른 젖병을 거꾸로 안정되게 거치가 이루어지는 구조를 이룬다.
또한, 젖병은 상기 지지부재 복수개를 이용하여 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1)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지지부재의 계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2는 도 21의 A-A‘의 단면도이다.
도 21 및 도 22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지지부재(55)는 확산반사부(56)와 지지부(57)와 착탈부(58)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55)는 전원 인가시 자외선을 반사시킬수 있도록 빛반사물질 또는 빛반사물질로 피착하여 이루어지는 반투명 또는 불투명의 구조물이다.
상기 지지부(57)는 그 중심에 소정의 직경으로 상부에서 하부로 길게 길이가 형성되는 원형강재(57a)가 구비되고, 그 원형강재 외주변에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원형강재와 이루는 길이가 확장되도록 데이퍼형상 부분이 다단으로 연속하여 지지편(57b)형성되어 있으며, 그 단부가 젖병에 접촉되어 젖병을 안정되게 지지하는 “ㄴ"형상으로 형성된 단턱부(57d)를 가지고 있다.
상기 지지편(57b)은 다양한 형태로 상기 원형강재에 형성될 수 있는데, 도 21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는 상기 지지편이 판부재로 형성되어 그 단면이 십자“+”형상으로 그 일단이 상기 원형강재 외주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편과 지지편 사이에는 착탈부(58)에서 확산반사부(56)에 이르기까지 수직방향으로 길게 공간부(59)가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편(57b) 전면에는 광의 반사율이 높은 반사면(57c)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원형강재에는 확산반사부(56)가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확산반사부는 원형강재 상부 최단부의 중앙에 형성된다.
상기 확산반사부(56)는, 예를 들면 전면에는 광의 반사율이 높은 사각형상의 미소 반사면(56a)을 갖고, 자외선살균유닛와 대응하는 미소 반사면은 자외선살균유닛와 마주보도록 비스듬하게 경사져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확산반사부(56)의 직경L1은 7mm~15mm 사이의 범위를 갖는다. 본 발명에서, 확산반사부의 직경L1은 10mm의 지름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확산반사부(56)의 직경L1 이 7mm보다 작을 경우에는 자외선의 반사율이 감소된다. 예를 들어, 확산반사부의 직경L1 이 7mm보다 작을 경우, LED패키지에서 발생된 자외선 중 일부가 확산반사부의 적은 면적의 반사면에 반사되어 그 결과 광 반사율이 감소된다.
반면, 확산반사부의 직경L1 이 15mm보다 클 경우, 확산반사부의 직경L1이 지지부재(55)의 지지편(57b) 외경보다 크게 되므로 젖병을 거꾸로 거치가 어렵게 된다. 따라서 확산반사부를 적당한 크기로 형성함으로써, LED페키지에서 발생된 자외선은 확산반사부(56)의 반사면에 반사된 후 자외선이 직접 조사되지 않는 부분에 효과적인 살균 작용을 하게된다.
상기 확산반사부(56)는, 예를들어, 평면상에서 보았을 때, 원형 형상을 갖는다. 이와 다르게 본 발명에 의한 확산반사부는 삼각형,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랜즈부 및 수납트레이로 입사되는 자외선은 상기 자외선살균유닛의 중심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는 광축을 중심으로 하여 ±90도 범위로 입사되며, 광의 세기의 최대값을 절반에 해당하는 세기의 자외선이 방출되는 방위각을 반치각이라 하는데, LED의 반치각은 약 45도 정도가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지지홀(51)에 상기 지지부재(55)가 결합되고 그 다단으로 형성된 지지편에 젖병이 안정되게 거꾸로 거치된 상태에서 자외선살균유닛에서 자외선이 발생되게 되면, 이때 발생된 자외선은 랜즈부(25)와 수납트레이(50)응 거쳐 젖병으로 입사된다.
여기서, 상기 랜즈부(25)는 살균조측으로 확산되어 출사되는 자외선을 여러 방향으로 확산시키는 확산랜즈로 구비되거나 확산 시트를 적층 배치하여 자외선을 여러 방향으로 확산시키도록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확산반사부와 지지편를 갖는 지지부재(55)는, 자외선이 실선으로 도시된 화살표 A방향으로 출사되어 도 29의 화살표 A1 방향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자외선살균유닛의 광축을 중심으로 상부로 수직하게 입사되는 자외선(A1)은 상기 확산랜즈부(25)를 거쳐 수직하게 출사되어 지지부재(55)에 그 단면 형상이 십자“+”로 형성된 공간부(59)를 통과 및 유도되면서 젖병 내부로 입사되어 직접 조사되거나 확산반사부(56)에 반사된다.
또한, 도 29의 화살표 A2 방향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자외선살균유닛의 광축을 중심으로 상부로 경사지게 출사되는 자외선(A2)은 상기 하우징(22)에 형성된 미소반사면(26a)에 반사되어 상기 확산랜즈부(25)를 거쳐 굴절되어 경사지게 젖병 내외부로 입사되거나 확산반사부에 반사되고, 화살표 A3 방향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자외선살균유닛의 광축을 중심으로 상부로 경사지게 출사되는 자외선(A3)은 상기 확산랜즈부(25)를 거쳐 굴절되어 경사지게 다른 젖병 내외부로 입사되거나 다른 지지부재의 지지편(57b)에 반사되어 살균조 전체로 난반사 되고, 다시 젖병으로 재 입사된다.
연속하여, 화살표 A1, A2, A3 방향으로 출사되는 자외선들은 확산반사부(56) 또는 지지편(57b)의 반사면에 반사되어 젖병 내부의 자외선이 직접 조사되지 않는 여러 방향으로 간접 조사되므로 자외선의 확산 및 반사가 크게 증대되어 살균 효율을 향상시킨다.
한편, 상기 지지부재(55)가 상기 지지홀(51)에 탈리되거나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부 재 하부 최단부에는 착탈부(58)가 형성된다. 도면에서는 상기 착탈부는 상기 지지부재에 형성된 지지편이 축소 턱지게 연장 형성되고 그 전체적인 외경은 상기 지지홀 내경보다 미세하게 작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편이 상기 원형강재(57a) 외주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구조에 의하여 상기 지지부가 상기 지지홀(51)에 억지 끼움식으로 착탈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부재(55)는 상기 지지홀(51)에 결합 또는 분리시 억지 끼움식으로 인한 약간의 힘이 필요하다.
(실시예 2)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지지부재의 계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4는 도 23에 따른 지지부재의 단면도이고 도 25는 도 23의 A-A‘의 단면도이다.
상기 지지부재(55)는 상기 지지홀(51)에 필요에 따라 다수개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부재(55)는 다양한 크기의 젖병이 원활이 거치될 수 있도록 소정의 길이로 다수개가 동일하게 형성된다.
도 23 및 도 24 도 25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지지부재는 제1확산랜즈부(56c)와 제2확산랜즈부(56d)와 확산패턴부(56e)를 포함 하고, 지지부(57)와 착탈부(58)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55)는 전원 인가시 자외선을 통과시킬 수 있도록 석영과 같은 투명 또는 반투명 소재로 이루어지는 원뿔형상의 구조물이다.
상기 지지부(57)는 내부에 소정의 직경으로 중공부(59)를 이루고, 그 단면이 원통(◎)형상으로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일정한 사이즈로 단계적으로 확대되어 다단으로 단턱부(57d)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중공부(59)는 착탈부(58)에서 제2확산랜즈부(56d)에 이르기까지 수직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이러한 지지부재(55)는 상기 착탈부의 중공부(59)에 자외선살균유닛(20)에서 발생된 자외선을 지지부재 내부 여러 방향으로 확산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제1확산랜즈부(56c)를 구비하고, 중공부 상부 최단부에 제1확산랜즈부에서 입사된 자외선을 지지부재 외부 여러 방향으로 확산시키는 역할을 하는 제2확산랜즈부(56d)가 구비 된다. 그리고, 상기 단턱부(57d)에는 제1확산랜즈부(56c)에서 입사된 광을 지지부재 외부 여러 방향으로 확산시키는 역할을 하는 확산패턴부(56e)가 형성된다.
따라서, 지지부재는 자외선을 지지부재 외부로 확산시킨다.
상기 단턱부(57d)는 그 단부가 젖병에 접촉되어 젖병을 안정되게 지지가 이루어지도록 “ㄴ”형상으로 형성되어지지부(57)에 복수개 마련된다.
한편, 상기 자외선살균유닛에 전원이 인가되어 상기자외선살균유닛가 발광되면, 이때 발생된 자외선은 자외선살균유닛와 수납트레이 사이에 배치된 랜즈부(25)를 거쳐 상기 수납트레이(50)에 입사된다.
여기서, 상기 랜즈부(25)는 살균조측으로 확산되어 출사되는 자외선을 상부면 유효조사거리 안으로 굴절시켜 모아주는 역할을 하는 프리즘랜즈로 구비되거나 프리즘시트를 적층 배치하여 자외선 강도를 향상시키도록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랜즈부 및 수납트레이로 입사되는 자외선은 상기 자외선살균유닛의 중심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는 광축을 중심으로 하여 ±90도 범위로 입사되며, 광의 세기의 최대값을 절반에 해당하는 세기의 자외선이 방출되는 방위각을 반치각이라 하는데, LED의 반치각은 약 45도 정도가 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제1확산랜즈부와 제2확산랜즈부와 확산패턴부를 갖는 지지부재는, 자외선이 실선(A)으로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출사되어 도 30의 화살표 A1 방향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자외선살균유닛의 광축을 중심으로 상부로 수직하게 입사되는 자외선(A1)은 상기 프리즘랜즈부(25)를 거쳐 수직하게 출사되어 젖병 내부로 입사되거나 지지부재 중공부로 입사되어 제1, 제2확산랜즈부를 통해 젖병 내부 여러 방향으로 확산 조사된다.
또한, 화살표 A2 방향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자외선살균유닛의 광축을 중심으로 상부로 경사지게 입사되는 자외선(A2)은 상기 하우징(22)에 형성된 미소반사면(26a)에 반사되어 상기 프리즘랜즈부(25)를 거쳐 굴절되어 수직하게 출사되어 젖병 내부로 입사되거나 지지부재 중공부로 입사되어 제1, 제2확산랜즈부를 통해 젖병 내부 여러 방향으로 확산 조사되고, 화살표 A3 방향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자외선살균유닛의 광축을 중심으로 상부로 경사지게 입사되는 자외선(A3)은 상기 확산랜즈부(25)를 거쳐 굴절되어 수직으로 살균조(30)로 출사되고, 살균조 반사부에 반사되어 다시 젖병 외부에 조사된다.
연속하여, 상기 수납트레이로 공급된 자외선중 일부는 수납트레이를 통과하면서 출광되고, 자외선중 다른 일부는 상기 지지부재(55) 중공부(59)에 구비된 제1확산랜즈부(56a)에 의해서 지지부재 중공부(59) 여러 방향으로 확산되는 동시에 지지부재를 통과하면서 외부 여러 방향으로 출광 되고, 중공부 상부 최단부에 형성된 제2확산랜즈부(56b)와 지지부의 단턱부(57d)에 형성된 확산패턴부(57c)에 의해서 상기 지지부재(55) 외부 여러 방향으로 확산 출광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랜즈부를 거쳐 수납트레이를 통과한 자외선중 일부는 상기 살균조(30) 반사부에 반사되어 젖병으로 재조사된다.
이러한 경우, 상기 자외선살균유닛로부터 젖병으로 공급되는 자외선을 보다 효율적으로 균일하게 전달함으로서, 상기 젖병의 외부뿐만 아니라 자외선이 직접 조사되지 않는 부분까지도 효과적으로 살균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지지부재(55)가 상기 지지홀(51)에 탈리되거나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부 하부 최단부에는 착탈부(58)가 형성된다.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착탈부는 상기 지지부가 축소 턱지게 연장 형성되고 그 전체적인 외경은 상기 지지홀(51) 내경보다 다소 작게 형성되고, 그 외주면이 지지홀에 용이한 착탈을 위해서 수직방향으로 돌기(58a)가 형성 된다. 따라서, 상기 착탈부(58)가 상기 지지홀(51)에 억지 끼움식으로 착탈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부재(55)는 상기 지지홀(51)에 결합 또는 분리시 억지 끼움식으로 인한 약간의 힘이 필요하다.
다음, 본 발명에 있어서, 도 1,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면 도어(60)는, 상기 본체(10)의 좌/우측 중 어느 일측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전면부 전면을 덮거나 개방하도록 개폐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도어(60)는 상기 본체의 하단에서 상단 사이의 높이와 같거나 비슷한 높이로 이루어지고, 우측과 좌측 테두리 사이의 폭과 같거나 비슷한 폭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도어가(60) 상기 본체의 전면과 맞닿는 둘레 부분에 고무재질의 실링부(61)가 형성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상기 도어(60)가 상기 본체(10)에 닫힌 상태에서 서로 밀착되어 상기 살균조(30)에 자외선이 조사되더라도 상기 본체와 도어 사이로 누설되지 않도록 한다.
이때, 상기 도어는 살균행정에서 상기 살균조 내부로 자외선을 반사 조사 효율을 높이기 위해 내측면에 반사부(62)가 설치된다.
물론, 상기 반사부(62)는 상기 살균조(30) 내부 방향으로 노출되어 있어 효율적으로 상기 살균조 내부로 자외선을 조사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 반사부(62)는 빛 반사가 우수한 스테인레스 재질 또는 알루미늄 재질로 생성하여 자외선이 전면부로 반사시키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반사부(62)은 동일한 반사면(62a)을 가지는 표면을 벌집형상으로 형성하여 자외선이 상기 살균조(30) 내부의 모든 곳에 조사되도록 살균 영역을 보다 확장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반사부(62)의 벌집형상 패턴은 벌집형상의 판재금형을 제작하여 이를 프레스 작업을 통해 표면이 민자인 스테인래스 및 알루미늄 반사부 표면에 형성하는 것이다. 프래스작업을 거친 반사부(62)는 전체적인 벌집형상을 이루는 패턴 중 하나의 형상을 예로 들어 설명하자면, 상기 반사부(62)는 그 반사부(62)에 높이 약 1mm의 돌출면 형상으로 형성된 벌집 형상(한 변의 길이:5mm, 가로:9.5mm, 세로:10mm, 반사면과 반사면과의 간격:3mm)으로 실질적으로 같은 크기의 상기 정육각형 형상의 반사면(62a) 복수개가 일정한 패턴으로 배치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 반사면(62a)의 형상은 원형, 타원형, 직사각형 또는 다각형이여도 되고, 또 오목면 형상 또는 돌출면 형상의 어느 것으로 형성해도 된다.
또한, 반사부(62)는, 빛 반사물질로 되거나 그 빛 반사물질로 코팅된 것이 반사효율을 높이기 위해 바람직하다.
그 외에도, 상기 도어(60)는 각종 구성부품의 작동을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설정할 수 있도록 조작부(미도시)가 전면에 노출되도록 설치되고, 상기와 같은 조작부는 상기 제어수단과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사용자에 의해 살균행정의 세부항목들을 선택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건조행정도 추가적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상기 도어(60)는 그 내측에 상기 반사부(62)가 설치될 수 있도록 안착부(미도시)이 형성되되, 상기 도어의 전면으로는 자외선이 누설되지 않지만, 상기 도어 내측면으로는 자외선이 조사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미설명부호(66)는 살균조 내부 공간을 육안으로 확인 할 수 있도록 도어에 설치된 글래스이다.
또한, 개폐도어 반사부(62)에는 다양한 그릴형 및 수납함 등의 적재수단(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도 31은 본 발명에 따른 젖병 살균기의 제어부가 도시된 블록도이고, 도 32는 본 발명에 따른 젖병 살균기의 살균수단의 살균제어방법이 도시된 순서도 인데,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살균기의 살균제어방법을 도 31 도 32를 참조로 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마이콤(70)은 젖병 살균기의 전체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이다. 디스플레이부(71)는 전원이 인가되었을 때 젖병 살균기의 구동 상태를 나타낸다. 입력부(72)는 사용자가 젖병 살균기의 구동 정보를 조절하기 위하여 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고, 자외선살균유닛과 건조유닛을 구동하여 살균하거나 건조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전원부(74)는 전원이 입력되는 장치를 말한다. 구동부(73)는 젖병 살균기의 살균기능을 위한 광원의 구동 등을 위한 구성이다.
먼저, 제1단계(B1, B2)는 사용자가 젖병을 수납트레이(50)에 수납한 후 살균조(30)로 투입한 다음, 살균코스를 설정하여 건조, 살균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여기서, 사용자는 상기 도어를 개방 시킨 상태에서 젖병이 수납된 수납트레이(50)를 가이드레일(34)에 투입하되, 살균행정에서 상기 자외선살균유닛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이 수납트레이를 통과하여 보다 효율적인 살균을 위하여 젖병을 지지부재(55)에 거꾸로 거치시킨 상태로 수납하는게 바람직하다.
이후, 상기 도어(60)를 상기 본체(10)에 닫고, 상기 조작부를 통하여 건조행정, 살균행정의 각 세부 항목을 조절하거나, 미리 입력된 과정에 따라 살균이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70) 상기 히터(43) 및 송풍팬(41)을 작동시켜 열풍이 열풍토출구(46)를 통해 젖병으로 직접 공급한 다음, 젖병 내외부로 열풍이 송풍되면서 습증기가 상기 살균조 상면부의 증기배기홀(33)을 통하여 빠져 나가도록 하면서 건조 행정이 이루어진다.
이후, 건조 행정이 완료되면, 상기 제어부(70)은 상기 자외선살균유닛을 작동시켜 상기 살균조(30) 내부로 자외선을 균일하게 발생시켜 살균 행정이 이루어진다.
제2단계(B3)는 상기 1단계에서 건조행정이 완료되기 전/후에 살균조 내부의 풍속을 고려하여 설정시간 동안 젖병 및 살균조 내부에 자외선이 균일하게 조사되면서 살균행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여기서 건조 행정이 진행되는 동안 상기 송풍팬(41)이 작동됨에 따라 상기 살균조(30) 내부에 공기의 유동이 발생하게 되는데, 보통 자외선은 그 주변의 공기 풍속 일정값(예를 들어, 2m/sec)이상인 경우 살균 효과가 떨어지기 때문에 건조 행정이 계속 중인 동안에는 자외선이 조사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여도 좋다. 물론, 작동 시간을 줄이기 위해서 건조 행정의 일부 또는 전부에 걸쳐 자외선을 조사하여도 좋다. 따라서, 살균조(30) 내의 풍속에 따라 자외선의 조사 여부를 결정하는 부가적인 단계를 포함하여도 좋다.
한편, 상기와 같이 살균행정이 진행되는 동안 상기 도어개폐감지센서(64)에 의해 상기 도어(60)가 개방된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어(60)가 개방되는 즉시 상기 자외선살균유닛(20)에서 자외선 발생을 중단 시켜 자외선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3단계(B4, B5, B6)는 상기 제2단계에서 살균행정이 완료된 다음, 젖병을 인출하지 않으면, 주기적으로 자외선이 설정시간 간격으로 조사되면서 보관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에 의해 모든 건조행정과 살균행정이 완료된 다음, 상기 도어개폐감지센서(64)를 통하여 젖병의 인출 여부를 판단하되, 설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도 젖병을 인출하지 않으면, 젖병을 그대로 방치하지 않고 주기적으로 자외선 설정시간 간격으로 조사하여 살균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제 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살펴보았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 범위 내에서 변형된 실시 예를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 범위는 청구 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에 있는 변형된 형태는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예컨대,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젖병 살균기를 예로 들었지만, 젖병 살균기와 비슷한 구조의 장치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0 젖병 살균기 10 본체 12 증기배기홀
11 베이스부 25 랜즈부 26a 프리즘랜즈
20 자외선살균유닛 21 LED패키지 21a 자외선LED
21b 백색광LED 22 하우징, 셀 22b 개구부
22c 장변 셀 22d 단변 셀 22e 내부 셀
22f 모서리 셀 23 기판
26 반사부 26a 미소반사면
30 살균조 33 배기홀 34 가이드레일
35 배면부 36 상면부 37 바닥부
40 건조유닛 41 송풍팬 42 덕트
43 히터 44 집수부 45 필터
46 열풍토출구 46a 상부 46c 토출베인
50 수납트레이 51 지지홀 52 본체
53 바닥부 54 테두리부 54a 단턱부
55 지지부재 56 확산반사부 56a 반사면
56d 제2확산랜즈부 57 지지부 57a 원형강재
57b 지지편 58 착탈부 59 공간부
60 도어 62 반사부 62a 반사면
64 도어계페감지센서 70 제어부

Claims (12)

  1. 전면이 개방되는 동시에 외관을 이루는 본체(10); 상기 본체 내측 하부에 마련되는 베이스부(11); 표면은 자외선을 반사시키는 반사면이 형성되고, 본체 내측에 형성되어 살균이 이루어지는 살균조(30); 상기 베이스부상에 배치되고, 자외선을 발생시키는 자외선살균유닛(20); 상기 베이스부에 배치되고, 열풍을 발생시키는 건조유닛(40); 상기 살균조 내부에 구비되어 젖병이 수납되는 수납트레이(50); 및 상기 본체의 전면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도어(60)와; 각종부품을 제어하는 제어부(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젖병 살균기.
  2. 제1항에 이어서,
    상기 자외선살균유닛(20)은 상기 수납트레이(50)에 향하도록 살균조 내의 수납트레이 하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젖병 살균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살균유닛(20)은 기판(23)과, 상기 기판에 배치되는 복수의 점광원과, 상기 복수의 점광원을 수용하는 하우징(2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젖병 살균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점광원은 LE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젖병 살균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LED는 적어도 하나 이상은 살균작용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젖병 살균기.
  6. 제3항에 있어서,
    기판(23)과, 상기 기판상에 복수의 점광원이 배열되고, 상기 복수의 점광원을 수용하는 하우징(22)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2)은 상기 복수의 점광원에서 발생된 자외선을 반사시키기 위한 미소 반사면이 형성되어 상부에 위치한 수납트레이(50)로 반사하는 반사부(2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젖병 살균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2)은 내경이 개구부로 갈수록 커지도록 형성되고, 자외선 반사물질로 되거나 자외선 반사물질로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젖병 살균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자외선살균유닛(20), 복수의 자외선살균유닛을 덮어 젖병에서 떨어지는 수분으로부터 자외선살균유닛(20)을 보호하고, 자외선살균유닛에서 발생된 자외선을 상부방향으로 투과시키기 위해 자외선이 투과되는 투명 또는 반투명인 재질로 형성되는 랜즈부(2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젖병 살균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트레이(50)의 하부에 배치되는 자외선살균유닛(20), 상기 자외선살균유닛 직상부에 배치되는 랜즈부(25), 상기 젖병이 수납하는 수납트레이(50)에 있어서, 상기 수납트레이(50)는 젖병 입구가 자외선살균유닛을 향하도록 하기 위해 젖병을 거꾸로 세워 수납할 수 있도록 구조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젖병 살균기.
  10. 제1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트레이(50)의 하부에 배치되는 자외선살균유닛(20), 상기 자외선살균유닛 직상부에 배치되는 랜즈부(25), 상기 수납트레이 지지홀(51)에 착탈되게 구비되는 지지부재(55)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55)는 젖병 입구가 자외선살균유닛(20)을 향하도록 젖병 입구를 통해 삽입되어 젖병을 거꾸로 세워 지지하도록 구조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젖병 살균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55)는 지지편(57b)과 지지편(57b) 사이에 자외선이 통과되는 경로인 공간부(59)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편(57b)은 자외선 반사물질로 되거나 자외선 반사물질로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젖병 살균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55)는 자외선이 투과되는 투명 또는 반투명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젖병 살균기.



KR1020100012859A 2010-02-11 2010-02-11 젖병 살균기 KR201100993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2859A KR20110099351A (ko) 2010-02-11 2010-02-11 젖병 살균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2859A KR20110099351A (ko) 2010-02-11 2010-02-11 젖병 살균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9351A true KR20110099351A (ko) 2011-09-08

Family

ID=44952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2859A KR20110099351A (ko) 2010-02-11 2010-02-11 젖병 살균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99351A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9793B1 (ko) * 2017-10-11 2019-01-18 (주)스마트브레인 유아용품 살균 소독장치
KR20190109934A (ko) * 2018-03-19 2019-09-27 (주)쿠첸 전기 소독기
KR20190109938A (ko) * 2018-03-19 2019-09-27 (주)쿠첸 전기 소독기
KR20190109937A (ko) * 2018-03-19 2019-09-27 (주)쿠첸 전기 소독기
CN110313730A (zh) * 2019-08-20 2019-10-11 杭州老板电器股份有限公司 碗篮和柜子
KR102219686B1 (ko) * 2020-05-28 2021-02-24 주식회사 블루케어 젖병 소독기
KR102219688B1 (ko) * 2020-05-28 2021-02-24 주식회사 블루케어 젖병 소독기
WO2022034617A1 (en) * 2020-08-13 2022-02-17 Log 9 Materials Scientific Private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disinfecting paper-type articles
WO2022049357A1 (fr) * 2020-09-07 2022-03-10 Meca4Care Dispositif et procede d´inactivation ou de destruction de germes, bacteries et virus
KR102441595B1 (ko) * 2022-03-30 2022-09-07 화신주방산업(주) 수저 살균기
US11992565B2 (en) 2020-04-03 2024-05-28 Redi Technology, Inc. Food or beverage container sanitizing system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9793B1 (ko) * 2017-10-11 2019-01-18 (주)스마트브레인 유아용품 살균 소독장치
KR20190109934A (ko) * 2018-03-19 2019-09-27 (주)쿠첸 전기 소독기
KR20190109938A (ko) * 2018-03-19 2019-09-27 (주)쿠첸 전기 소독기
KR20190109937A (ko) * 2018-03-19 2019-09-27 (주)쿠첸 전기 소독기
CN110313730A (zh) * 2019-08-20 2019-10-11 杭州老板电器股份有限公司 碗篮和柜子
US11992565B2 (en) 2020-04-03 2024-05-28 Redi Technology, Inc. Food or beverage container sanitizing system
KR102219686B1 (ko) * 2020-05-28 2021-02-24 주식회사 블루케어 젖병 소독기
KR102219688B1 (ko) * 2020-05-28 2021-02-24 주식회사 블루케어 젖병 소독기
WO2022034617A1 (en) * 2020-08-13 2022-02-17 Log 9 Materials Scientific Private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disinfecting paper-type articles
WO2022049357A1 (fr) * 2020-09-07 2022-03-10 Meca4Care Dispositif et procede d´inactivation ou de destruction de germes, bacteries et virus
KR102441595B1 (ko) * 2022-03-30 2022-09-07 화신주방산업(주) 수저 살균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99351A (ko) 젖병 살균기
KR101030583B1 (ko) 출입자 살균소독실
EP2928506B1 (en) Lamp and reflector arrangements for apparatuses with multiple germicidal lamps
JP2019517836A (ja) 紫外線表面照射システム
KR20150028162A (ko) Uv led를 이용한 휴대용 살균 장치
US20220125969A1 (en) UV Disinfection Device
KR102371733B1 (ko) 전기 소독기
EP3895741B1 (en) Light fixture having a fan and ultraviolet sterilization functionality
KR20200120484A (ko) 휴대용 자외선 소독 용기
KR20150120185A (ko) 자외선 난반사 구조를 갖는 자외선 살균기
KR101230339B1 (ko)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한 살균 기능을 가지는 비데
KR101767510B1 (ko) 조명 장치
KR20130116994A (ko) 칫솔 살균 장치
KR20160032068A (ko) 자외선 난반사 구조를 갖는 자외선 살균기
KR20200106420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1597453B1 (ko) 집중광학계를 탑재한 회전방식 영유아전용 스마트 살균기
KR101388644B1 (ko) 자외선 난반사 구조를 갖는 자외선 살균기
JP7251973B2 (ja) 紫外光照射装置、及びその紫外光照射装置を備える流体吐出装置
KR20170036435A (ko) 젖병 살균장치
KR102453773B1 (ko) 살균 소독기
KR102371732B1 (ko) 전기 소독기
CN209765452U (zh) 具有uv光杀菌装置的键盘
KR20150028157A (ko) Uv led를 이용한 살균 장치
KR102336122B1 (ko) 전기 소독기
KR20210141899A (ko) 다목적 자외선 살균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