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7453B1 - 집중광학계를 탑재한 회전방식 영유아전용 스마트 살균기 - Google Patents

집중광학계를 탑재한 회전방식 영유아전용 스마트 살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7453B1
KR101597453B1 KR1020140115069A KR20140115069A KR101597453B1 KR 101597453 B1 KR101597453 B1 KR 101597453B1 KR 1020140115069 A KR1020140115069 A KR 1020140115069A KR 20140115069 A KR20140115069 A KR 20140115069A KR 101597453 B1 KR101597453 B1 KR 1015974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rilizing
led
engine module
housing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50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식
정순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엘에프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엘에프하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엘에프하이텍
Priority to KR10201401150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74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74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74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9/00Feeding-bottles in gener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6Accessories or devices or components used for biocid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1Apparatus for generating biocidal substances, e.g. vaporisers, UV l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2Apparatus for isolating biocidal substances from the environment
    • A61L2202/122Chambers for sterilis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살균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하우징 내부의 상단부와 하단부 각각에 UV LED 살균엔진모듈이 장착되어 있으며, 살균대상물이 배치되는 선반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집중광학계를 탑재한 회전방식 영유아전용 스마트 살균기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집중광학계를 탑재한 회전방식 영유아전용 스마트 살균기는, 내부에 공간을 가지며, 개방된 전면에는 도어가 장착되어 있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의 상단부에 장착되어 있으며, 살균용 광을 출력하는 상부 UV LED 살균엔진모듈; 상기 상부 UV LED 살균엔진모듈과 대응되도록, 상기 하우징 내부의 하단부에 장착되어 있으며, 살균용 광을 출력하는 하부 UV LED 살균엔진모듈; 상기 하단부에 장착되어 있으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회전부; 상기 회전축에 장착되어 있으며, 살균대상물이 배치되는 선반; 및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상부 UV LED 살균엔진모듈, 상기 하부 UV LED 살균엔진모듈 및 상기 회전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집중광학계를 탑재한 회전방식 영유아전용 스마트 살균기{SMART STERILIZER}
본 발명은 살균기에 관한 것이다.
현재, 국내의 영유아용 UV Lamp 살균기들은, 온풍건조방식 또는 원적외선 램프를 같이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오히려 바이러스들이 살기 좋은 온도 및 습도를 유지하여, 미생물들이 증가하는 성장 환경을 제공하고 있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종래의 영유아용 UV Lamp 살균기는, 전력소모가 80W급 이상이고, UV Lamp를 자주 교체해주어야 한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종래의 영유아용 살균기에서는, 젖병의 입구방향(A type)을 아래쪽으로 할 경우, UV 파장의 투과율이 급격히 저하되어 살균효과가 떨어지며, 젖병의 입구방향(B type)을 위쪽으로 할 경우, 즉 UV Lamp 바로 아래에 젖병의 입구방향이 위치했을 경우, 젖병 입구 근처만 살균되고, 중간 및 아래 부분은 살균이 아주 미비하다.
또한, 종래의 제품들은 이층구조로 되어 있으나, 아래쪽은 자외선 빛이 사물들에 의해 투과가 되지 않으므로 거의 살균효과가 없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하우징 내부의 상단부와 하단부 각각에 UV LED 살균엔진모듈이 장착되어 있으며, 살균대상물이 배치되는 선반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집중광학계를 탑재한 회전방식 영유아전용 스마트 살균기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집중광학계를 탑재한 회전방식 영유아전용 스마트 살균기는, 내부에 공간을 가지며, 개방된 전면에는 도어가 장착되어 있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의 상단부에 장착되어 있으며, 살균용 광을 출력하는 상부 UV LED 살균엔진모듈; 상기 상부 UV LED 살균엔진모듈과 대응되도록, 상기 하우징 내부의 하단부에 장착되어 있으며, 살균용 광을 출력하는 하부 UV LED 살균엔진모듈; 상기 하단부에 장착되어 있으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회전부; 상기 회전축에 장착되어 있으며, 살균대상물이 배치되는 선반; 및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상부 UV LED 살균엔진모듈, 상기 하부 UV LED 살균엔진모듈 및 상기 회전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균일한 세기를 갖는 집중광학계가 탑재된 UV LED 살균엔진모듈을 장착하여, 살균대상물에 2,000uWmin/㎠ 에너지조사강도를 조사함으로써, 유해 세균을 완전히 살균처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살균기는, 직접 상하부에서 자외선을 조사하는 집중광학계와 수동 포커싱 기능을 탑재한 250nm 내지 270nm 사이의 UV LED 살균엔진모듈을 이용함으로써, 살균력 저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살균기는, 비대칭 비구면 집광렌즈를 탑재함으로써, 에너지의 조사강도를 최대로 하여 살균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살균기는, 물기가 있는 상태에서도 살균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살균기는 살균하고자 하는 살균대상물의 크기 및 거리에 상관없이, 동일한 광세기 및 균일한 빛을 동시에 조사함으로써, 살균대상물을 완전히 살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살균기는, 회전 방식을 이용하여 살균대상물을 살균함으로써, 공간 활용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살균기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살균기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살균기가 이용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살균기에 적용되는 UV LED 살균엔진모듈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살균기에 적용되는 UV LED 살균엔진모듈이 이용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살균기에 적용되는 UV LED 살균엔진모듈의 일실시예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UV LED 살균엔진모듈이 이용되는 또 다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살균기에 적용되는 UV LED 살균엔진모듈이 이용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또 다른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살균기에 적용되는 선반의 구성을 나타낸 다양한 예시도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살균기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살균기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살균기가 이용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집중광학계를 탑재한 회전방식 영유아전용 스마트 살균기(이하, 간단히 '스마트 살균기'라 함)은 종래의 수은 UV Lamp가 적용된 유아용 살균기를 대체하기 위한 것으로서, 균일한 세기를 갖는 집중광학계가 탑재된 UV LED(250nm 내지 270nm) 살균엔진모듈을 장착하여, 살균대상물에 2,000uWmin/㎠ 에너지조사강도를 조사함으로써, 유해 세균을 완전히 살균처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살균기는, 재살균을 위한 작동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살균기는, 종래의 제품들이 가지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이다. 종래의 살균기는 반사 및 산란방식을 이용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살균기는, 회전방식을 이용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살균기는, 직접 상하부에서 자외선을 조사하는 집중광학계와 수동 포커싱 기능을 탑재한 250nm 내지 270nm 사이의 UV LED 살균엔진모듈을 이용함으로써, 살균력 저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살균기는, 비대칭 비구면 집광렌즈를 탑재함으로써, 에너지의 조사강도를 최대로 하여 살균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살균기는, 집중광학계를 적용함으로써, 살균 에너지조사강도가 2,000uWmin/㎠ 이상이며, 물기가 있는 상태에서도 살균이 가능하다. 이에 반하여, 종래의 제품은 젖병에 물기가 있는 상태에서는 살균력이 없기 때문에 건조기능을 추가로 구비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살균기의 상부에는 집중광학계를 결합한 집광형 UV LED 살균엔진모듈이 장착되어 있다. 상부에 장착된 집광형 UV LED 살균엔진모듈 및 하부에 장착된 또 다른 집광형 UV LED 살균엔진모듈이, 살균하고자 하는 영유아용 대상물(젖병, 컵, 칫솔, 장난감, 과일 등)의 크기 및 거리에 상관없이, 동일한 광세기 및 균일한 빛을 동시에 조사함으로써, 영유아용 대상물을 완전히 살균할 수 있다.
종래에는 고가의 UV LED 살균엔진모듈이 여러 개 이용되어야 했기 때문에, 이를 이용한 살균기가 개발될 수 없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회전방식을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적은 갯수의 UV LED 살균엔진모듈만으로도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살균기는, 회전 방식을 이용하여 살균대상물을 살균함으로써, 공간 활용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살균기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공간을 가지며, 개방된 전면에는 도어가 장착되어 있는 하우징(90), 상기 하우징(90) 내부의 상단부에 장착되어 있으며, 살균용 광을 출력하는 상부 UV LED 살균엔진모듈(10), 상기 상부 UV LED 살균엔진모듈(10)과 대응되도록, 상기 하우징 내부의 하단부(91)에 장착되어 있으며, 살균용 광을 출력하는 하부 UV LED 살균엔진모듈(20), 상기 하단부에 장착되어 있으며, 회전축(31)을 회전시키는 회전부(30), 상기 회전축(31)에 장착되어 있으며, 살균대상물(1, 2, 3)이 배치되는 선반(40) 및 상기 하우징(90)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상부 UV LED 살균엔진모듈(10), 상기 하부 UV LED 살균엔진모듈(20) 및 상기 회전부(30)를 제어하는 제어부(60)를 포함한다.
우선, 상기 하우징(90)은, 내부에 공간을 가지며, 상기 내부 공간에는, 상기 상부 UV LED 살균엔진모듈(10), 상기 하부 UV LED 살균엔진모듈(10), 상기 회전축(31), 상기 선반(40)이 장착된다.
상기 하우징(90)의 개방된 전면에는 도어(80)가 장착된다.
상기 하우징 내부의 상단부에는 조명등(50)이 장착된다. 상기 조명등(50)은 상기 제어부(60)의 제어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된다. 예를 들어, 상기 도어(80)에는 센서(미도시)가 장착되고, 상기 도어(80)가 개방되면, 상기 센서로부터, 상기 도어가 개방되었음을 알리는 개방감지신호가 상기 제어부(60)로 전송된다.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개방감지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조명등(80)을 턴온시킨다. 반대로, 상기 도어(80)가 닫혀지면, 상기 센서로부터, 상기 도어가 닫혔음을 알리는 닫힘감지신호가 상기 제어부(60)로 전송된다.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닫힘감지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조명등(80)을 오프시킨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도어를 개방시키면, 상기 하우징 내부가 밝게 밝혀진다. 따라사, 사용자는 살균대상물(1, 2, 3)을 상기 선반에 올려놓거나 또는 상기 선반에 올려놓은 살균대상물을 외부로 반출시킬 수 있다.
다음, 상기 상부 UV LED 살균엔진모듈(10)은, 상기 하우징(90) 내부의 상단부에 장착되어 있으며, 살균용 광을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하부 UV LED 살균엔진모듈(20)은, 상기 상부 UV LED 살균엔진모듈(10)과 대응되도록, 상기 하우징 내부의 하단부(91)에 장착되어 있으며, 살균용 광을 출력한다.
상기 상부 UV LED 살균엔진모듈(10) 및 상기 하부 UV LED 살균엔진모듈(20)은, 상기 하우징(90) 내부의 위치에 따라 구분되는 것으로서, 실질적으로는 동일한 구성을 포함하고 있으며,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상기 상부 UV LED 살균엔진모듈(10) 및 상기 하부 UV LED 살균엔진모듈(20)을 총칭하여 간단히 UV LED 살균엔진모듈이라 한다.
상기 상부 UV LED 살균엔진모듈(10) 및 상기 하부 UV LED 살균엔진모듈(20)들 각각은, 상기 하우징(90) 내부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에 탈부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상부 UV LED 살균엔진모듈(10) 및 상기 하부 UV LED 살균엔진모듈(20)들 각각의 일측 끝단에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 탈부착될 수 있는 탈부착부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탈부착부는 나사산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하우징 내부의 상단부 및 하단부 각각에는, 상기 탈부착부와 체결될 수 있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장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장착부에는, 상기 UV LED 살균엔진모듈(10 또는 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단자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에서 설명된 상기 탈부착부 및 상기 장착부 이외에도, 상기 UV LED 살균엔진모듈(10 or 20)은 다양한 방법에 의해, 상기 하우징에 탈부착될 수 있다.
상기 상부 UV LED 살균엔진모듈(10) 및 상기 하부 UV LED 살균엔진모듈(20)들 각각으로부터 출력되는 광의 촛점은, 자동제어 또는 수동제어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상기 제어부(60)에 장착되어 있는 촛점 조절버튼을 선택하여 상기 광의 촛점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UV LED 살균엔진모듈(20)은, 상기 UV LED 살균엔진모듈에 장착되어 있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렌즈들 중 어느 하나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UV LED 살균엔진모듈(20)에는 상기 제어부(60)로부터 전송되어온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되어, 상기 렌즈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는 모터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 UV LED 살균엔진모듈을 구성하는 포커싱 조절부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수동으로 상기 광의 촛점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상부 UV LED 살균엔진모듈 및 상기 하부 UV LED 살균엔진모듈들 각각으로부터 출력되는 광의 살균조사거리는, 자동제어 또는 수동제어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렌즈의 위치가 조절됨으로써, 상기 광의 촛점의 위치가 조절될 수 있으며, 상기 광의 촛점이 조절됨에 따라, 상기 UV LED 살균엔진모듈로부터 출력되는 광의 살균조사거리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광의 살균조사거리가 조절됨에 따라, 상기 선반에 놓여지는 살균대상물의 높이가 다양하게 변경되더라도, 상기 살균대상물이 상기 UV LED 살균엔진모듈에 의해 완전하게 살균될 수 있다.
상기 상부 UV LED 살균엔진모듈(10) 및 상기 하부 UV LED 살균엔진모듈(20)의 구체적인 구성 및 기능은, 이하에서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다음, 상기 회전부(30)는, 상기 하단부(91)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축(31)을 회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UV LED 살균엔진모듈들(10, 2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 내부의 특정 위치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UV LED 살균엔진모듈들(10, 20)이 배치되어 있는 위치에, 살균대상물(1, 2, 3)이 배치되지 않으면, 상기 살균대상물은 살균처리될 수 없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상기 회전부(30)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회전부(30)에 의해 상기 회전축(31)이 회전하고, 상기 회전축(31)에 의해 상기 선반(40)이 회전된다.
이에 따라, 상기 선반(40)에 놓여져 있는 살균대상물이 순차적으로 상기 UV LED 살균엔진모듈들(10, 20)에 의해 살균될 수 있다.
다음, 상기 선반(40)은, 상기 회전축(31)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선반(40)에는 상기 살균대상물(1, 2, 3)이 배치된다.
상기 하부 UV LED 살균엔진모듈(20)로부터 출력된 광이 상기 선반(40)을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선반(40)에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광투과창(4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광투과창(41)은 투명한 패널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널은 상기 선반(40)으로부터 탈부착될 수 있다.
상기 광투과창(41)은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며, 상기 살균대상물들은, 상기 광투과창(41)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다음, 상기 하우징의 외부의 일측면에는, 상기 하우징 내부로 투입되어 살균될 살균대상물이 배치되며, 상기 살균대상물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담는 물받침대(70)가 장착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살균대상물을 상기 하우징(90) 내부로 투입하기 전에, 상기 물받침대(70)에 거치시킨다. 이 경우, 상기 살균대상물에 담겨져 있거나 상기 살균대상물에 뭍어있는 물이 상기 물받침대(70)로 빠진다. 사용자는 상기 물받침대(70)를 통해 물이 제거된 살균대상물을 상기 하우징(90) 내부의 상기 선반(40)에 배치시킨 후, 상기 제어부(60)를 구동시켜, 상기 살균대상물을 살균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하우징(90)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상부 UV LED 살균엔진모듈(10), 상기 하부 UV LED 살균엔진모듈(20) 및 상기 회전부(30)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60)는, 자동 살균 시작버튼, 다용도 설정버튼, 디스플레이(LCD), 정지버튼 및 상기 구성요소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상기 자동 살균 시작버튼을 선택하면, 상기 제어기가 상기 UV LED 살균엔진모듈들(10, 20) 및 상기 회전부(30)를 구동시킨다.
사용자는 상기 다용도 설정버튼을 이용하여, 살균시간, 상기 회전부(30)의 회전속도, 또는, 상기 UV LED 살균엔진모듈들(10, 20)의 구동시간 등을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살균기의 동작을 정지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정지버튼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살균기가 동작될 때, 다양한 정보들을 출력한다. 예를 들어,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살균기가 동작되고 있는 기간, 상기 살균기가 정지되도록 예약되어 있는 시각, 상기 하우징 내부의 온도, 상기 UV LED 살균엔진모듈들의 구동 주파수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기는, 상기 버튼들에 따라, 각종 제어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를 구동하여 각종 정보를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60), 특히, 상기 제어기는, 상기 회전축(31)의 회전각도를 제어하여 상기 선반(40)의 상기 광투과창(41)에 배치된 상기 살균대상물(1, 2, 4)이, 상기 상부 UV LED 살균엔진모듈(10) 및 상기 하부 UV LED 살균엔진모듈(20)이 배치되어 있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UV LED 살균엔진모듈들(10, 20)이 배치되어 있는 위치에, 살균대상물(1, 2, 3)이 배치되지 않으면, 상기 살균대상물은 살균처리될 수 없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상기 회전부(30)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회전부(30)에 의해 상기 회전축(31)이 회전하고, 상기 회전축(31)에 의해 상기 선반(40)이 회전된다.
이 경우, 상기 회전축(31)이 기 설정된 각도만큼 회전되어야, 상기 선반(40)에 놓여져 있는 살균대상물(1, 2, 3)이 상기 UV LED 살균엔진모듈들(10, 20)이 배치되어 있는 위치에 정확히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회전축(31)이 기 설정된 각도만큼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부(3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어부(60)가, 기 설정된 기간마다, 상기 회전부(30)를 구동하여, 상기 선반(40)을 일정한 각도만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선반(40)의 또 다른 위치가 상기 상부 UV LED 살균엔진모듈(10) 및 상기 하부 UV LED 살균엔진모듈(20)이 배치되어 있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하고 있다.
상기 회전부(30)가 지속적으로 회전하면, 많은 전력이 소모되며, 또한, 상기 살균대상물이 충분히 살균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회전부(30)를 기 설정된 기간마다 회전시킨 후 정지시키며, 상기 회전부(30)가 정지되는 동안, 상기 UV LED 살균엔진모듈(10)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 살균대상물이 살균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살균대상물이 상기 UV LED 살균엔진모듈들(10, 20)이 배치된 위치에 정확하게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60)가 상기 회전부(3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60)는 또 다른 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살균대상물들이 순차적으로, 상기 UV LED 살균엔진모듈들(10, 20)이 배치된 위치에 정확하게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광투과창(41)이 상기 선반(40)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고, 상기 살균대상물(1, 2, 3)이 상기 광투과창(41)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선반(40) 또는 상기 회전축(31)에는 일정 간격마다 걸림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하우징(90)의 내부면, 예를 들어, 상기 하우징의 측면 또는 하부면 또는 상기 회전축(31)과 밀착되는 면에는 상기 걸림부의 이동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부와 상기 차단부는, 상기 하단부(91)의 내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회전부(30)를 기 설정된 기간마다 구동시켜, 상기 회전축(31)을 일정한 각도로 회전시킨다. 특히,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회전부(30)를 기 설정된 기간마다, 최초로 구동할 때는 상기 걸림부가 상기 차단부를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부를 구동시키며, 이후에는 상기 걸림부가 또 다른 차단부를 통과하지 못하도록 상기 회전부를 구동시킬 수 있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제1걸림부가 상기 차단부에 걸려 있고, 상기 회전축(31) 및 상기 선반(40)이 회전하지 않는 동안, 상기 선반의 제1투과창에 배치되어 있는 살균대상물이 상기 UV LED 살균엔진모듈들(10, 20)에 의해 살균된다.
기 설정된 기간이 경과하면, 상기 제어부(60)는 다시 상기 회전부(30)를 회전시킨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60)가 상기 회전부(30)를 구동하는 초기에는, 상기 차단부에 걸려져 있는 상기 제1걸림부가 상기 차단부를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제어부(60)가 제1전력으로 상기 회전부(30)를 구동시킨다. 이 경우, 상기 회전축(31)에 강한 힘이 작용하며, 이에 따라, 제1걸림부가 상기 차단부를 통과한다.
이 후,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제1전력보다 낮은 제2전력으로 상기 회전부(30)를 구동시키며, 이에 따라, 상기 회전축(31) 및 상기 선반(40)의 회전력이 감소된다.
상기 회전축(31) 및 상기 선반(40)이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제1걸림부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있는 제2걸림부가, 상기 차단부에 맞닿게 된다. 그러나, 상기 회전축(31) 및 상기 선반(40)의 회전력이 약하기 때문에 상기 제2걸림부는 상기 차단부를 통과하지 못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회전부(30)의 회전을 차단시킨다.
상기 제2걸림부가 상기 차단부에 걸려 있고, 상기 회전축(31) 및 상기 선반(40)이 회전하지 않는 동안, 상기 선반의 제2투과창에 배치되어 있는 살균대상물이 상기 UV LED 살균엔진모듈들(10, 20)에 의해 살균된다.
즉, 본 발명은, 상기 선반(30)을 지속적으로 회전시키는 것이 아니라, 기 설정된 기간마다, 일정한 각도만큼 상기 선반(40)을 회전시킨 후, 상기 선반(30)의 특정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살균대상물만을 순차적으로 살균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 선반(30)을 지속적으로 회전시키면서, 상기 선반(40)에 배치되어 있는 살균대상물들을 연속적으로 살균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살균기에 적용되는 UV LED 살균엔진모듈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살균기에 적용되는 UV LED 살균엔진모듈이 이용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살균기에 적용되는 UV LED 살균엔진모듈의 일실시예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UV LED 살균엔진모듈이 이용되는 또 다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살균기에 적용되는 UV LED 살균엔진모듈이 이용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또 다른 예시도이다.
상기 상부 UV LED 살균엔진모듈(10) 및 상기 하부 UV LED 살균엔진모듈(20)들 각각은,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태의 케이스(15), 상기 케이스(15) 내부의 일측 끝단에 장착되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구동되어 자외선을 출력하는 광원(17), 상기 케이스(15) 내부에 장착되며, 상기 광원(17)을 커버하고 있는 제1렌즈(11), 상기 제1렌즈(11)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기 케이스 내부에 장착되는 제2렌즈(12), 상기 제2렌즈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기 케이스 내부에 장착되는 제3렌즈(13), 상기 케이스(15)에 장착되며,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케이스 내부로 삽입되거나 상기 케이스 외부로 돌출되는 포커싱 조절부(16) 및 상기 포커싱 조절부(16)에 장착되며, 상기 포커싱 조절부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제3렌즈와의 거리가 조절되는 제4렌즈(14)를 포함한다. 상기 광원(17)은 전원단자(18)를 통해 상기 제어부(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UV LED 살균엔진모듈들(10, 20) 각각은,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어 등록된 등록번호 10-1404851호에 기재되어 있는 구성들과 동일 또는 유사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포커싱 조절부(16)에 장착되어 있는 제4렌즈가 더 구비되어 있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UV LED 살균엔진모듈은, 상기 등록특허에 기재되어 있는 자외선 스팟 경화기와 동일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렌즈(11)는 볼록면을 갖는 집광렌즈일 수 있고, 상기 제2렌즈(12)는, 상기 제1렌즈와 인접되어 있는 상기 제2렌즈의 입사면이 볼록렌즈로 형성되고, 상기 입사면과 반대방향인 출사면이 비구면으로 형성된 집광렌즈일 수 있으며, 상기 제3렌즈(13)는 양면이 볼록한 형태로 형성되고, 양면의 곡률이 다른 집광렌즈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4렌즈는 상기 포커싱 조절부(16)로부터 외부로 출력되는 광의 촛점 거리를 조절하는 렌즈가 될 수 있다. 상기 제4렌즈는 포커싱 렌즈라고도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상부 UV LED 살균엔진모듈(10) 및 상기 하부 UV LED 살균엔진모듈(20)들 각각으로부터 출력되는 광의 촛점은, 자동제어 또는 수동제어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UV LED 살균엔진모듈(10) 및 상기 하부 UV LED 살균엔진모듈(20)들 각각으로부터 출력되는 광의 살균조사거리는, 자동제어 또는 수동제어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포커싱 조절부(16)를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제3렌즈(13)와 상기 제4렌즈(14)의 간격을 넓혀줌으로써, 상기 UV LED 살균엔진모듈(10, 20)로부터 출력되는 광의 촛점 및 살균조사거리를 제어할 수 있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상기 제3렌즈(13)와 상기 제4렌즈(14)의 간격이 넓어지면,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UV LED 살균엔진모듈(20)로부터 출력되는 광의 반경이 서서히 증가된다. 따라서, 살균대상물과 상기 UV LED 살균엔진모듈간의 거리가 먼 경우에는 상기 제3렌즈(13)와 상기 제4렌즈(14)의 간격이 넓어지도록, 상기 제4렌즈(14)의 위치가 제어된다. 이 경우, 살균대상물과 상기 UV LED 살균엔진모듈간의 거리가 멀더라도, 대상물로 향하는 광이 분산되지 않기 때문에, 동일한 광량이 살균대상물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포커싱 조절부(16)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제3렌즈(13)와 상기 제4렌즈(14)의 간격을 좁혀줌으로써, 상기 UV LED살균엔진모듈(10, 20)로부터 출력되는 광의 촛점 및 살균조사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상기 제3렌즈(13)와 상기 제4렌즈(14)의 간격이 좁아지면,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UV LED 살균엔진모듈(20)로부터 출력되는 광의 반경이 급격하게 증가된다. 따라서, 살균대상물과 상기 UV LED 살균엔진모듈간의 거리가 가까운 경우에는 상기 제3렌즈(13)와 상기 제4렌즈(14)의 간격이 좁아지도록, 상기 제4렌즈(14)의 위치가 제어된다. 이 경우, 살균대상물과 상기 UV LED 살균엔진모듈간의 거리가 가깝더라도, 대상물로 향하는 광이 분산되지 않기 때문에, 동일한 광량이 살균대상물로 전달될 수 있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사용자는, 도 6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살균대상물(1, 2)의 높이에 따라, 상기 포커싱 조절부(16)를 회전시켜, 상기 UV LED 살균엔진모듈(20)의 촛점 및 살균조사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UV LED 살균엔진모듈(10, 20)은 상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9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UV LED 살균엔진모듈(10, 20)을 싱크대(9)의 싱크대홀을 커버할 수 있는 싱크대홀 커버(19)에 장착시킬 수 있다.
상기 UV LED 살균엔진모듈(10, 20)에는, 상기 광원을 턴온 또는 턴오프시킬 수 있는 버튼이 장착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버튼을 조작하여 상기 광원을 턴온시킨 후, 상기 싱크대홀 커버(19)를 상기 싱크대홀에 배치시키면, 상기 싱크대홀이 살균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적용되는 상기 UV LED 살균엔진모듈은 다양한 용도로 이용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살균기에 적용되는 선반의 구성을 나타낸 다양한 예시도들로서, (a)는 선반의 평면을 나타내고, (b)는 선반의 우측면을 나타내고, (c)는 선반의 정면을 나타내며, (d)는 선반의 사시도이다.
상기 선반(40)은, 상기 회전축(31)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선반(40)에는 상기 살균대상물(1, 2, 3)이 배치된다.
상기 제어부(60)에 대한 설명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상기 선반(40)은 지속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선반(40)은 기 설정된 기간마다 일정각도씩 회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선반(40)을 기 설정된 기간마다 일정각도씩 회전시키기 위해, 본 발명에는 걸림부 및 차단부가 장착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학센서(42)가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선반(40)에는 센서홀(43)이 적어도 두 개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광학센서(42)는, 상기 선반(40)의 상단과 하단에 장착된 발광부와, 수광부로 구성될 수 있다. 발광부로부터 출력된 광이, 수광부로 수신되면, 상기 광학센서(42)는 광이 수신되었다는 정보를 상기 제어부(6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선반(40)에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센서홀(43)이 형성된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상기 선반(40)이 기 설정된 기간마다 회전을 하는 경우, 상기 센서홀(43)이 함께 회전된다. 이 경우, 상기 센서홀(43)이 상기 광학센서(42)가 장착되어 있는 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발광부로부터 출력된 광이 상기 센서홀(43)을 통해 상기 수광부로 수신된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광투과창(43)이, 상기 UV LED 살균엔진모듈(10, 20)들에 대응되는 위치에 놓여진 것으로 인식하여, 상기 회전부(30)의 구동을 중단한다.
따라서, 상기 광투과창(43)을 통해, 상기 광투과창에 놓여진 살균대상물이, 상기 UV LED 살균엔진모듈들에 의해 살균된다.
상기 광학센서(42)는 포토센서 및 적외선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상부 UV LED 살균엔진모듈 20 : 하부 UV LED 살균엔진모듈
30 : 회전부 40 : 선반
50 : 조명등 60 : 제어부
70 : 물받침대 80 : 도어
90 : 하우징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내부에 공간을 가지며, 개방된 전면에는 도어가 장착되어 있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의 상단부에 장착되어 있으며, 살균용 광을 출력하는 상부 UV LED 살균엔진모듈;
    상기 상부 UV LED 살균엔진모듈과 대응되도록, 상기 하우징 내부의 하단부에 장착되어 있으며, 살균용 광을 출력하는 하부 UV LED 살균엔진모듈;
    상기 하단부에 장착되어 있으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회전부;
    상기 회전축에 장착되어 있으며, 살균대상물이 배치되는 선반; 및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상부 UV LED 살균엔진모듈, 상기 하부 UV LED 살균엔진모듈 및 상기 회전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집중광학계가 탑재되고,
    상기 선반 또는 상기 회전축에는 일정 간격마다 걸림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걸림부의 이동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전부를 기 설정된 기간마다 구동시켜, 상기 회전축을 일정한 각도로 회전시키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전부를 기 설정된 기간마다, 최초로 구동할 때는 상기 걸림부가 상기 차단부를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부를 구동시키며, 이후에는 상기 걸림부가 또 다른 차단부를 통과하지 못하도록 상기 회전부를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중광학계를 탑재한 회전방식 영유아전용 스마트 살균기.
  5. 내부에 공간을 가지며, 개방된 전면에는 도어가 장착되어 있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의 상단부에 장착되어 있으며, 살균용 광을 출력하는 상부 UV LED 살균엔진모듈;
    상기 상부 UV LED 살균엔진모듈과 대응되도록, 상기 하우징 내부의 하단부에 장착되어 있으며, 살균용 광을 출력하는 하부 UV LED 살균엔진모듈;
    상기 하단부에 장착되어 있으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회전부;
    상기 회전축에 장착되어 있으며, 살균대상물이 배치되는 선반; 및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상부 UV LED 살균엔진모듈, 상기 하부 UV LED 살균엔진모듈 및 상기 회전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집중광학계가 탑재되고,
    상기 상부 UV LED 살균엔진모듈 및 상기 하부 UV LED 살균엔진모듈들 각각으로부터 출력되는 광의 촛점은, 자동제어 또는 수동제어에 의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중광학계를 탑재한 회전방식 영유아전용 스마트 살균기.
  6. 삭제
  7. 내부에 공간을 가지며, 개방된 전면에는 도어가 장착되어 있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의 상단부에 장착되어 있으며, 살균용 광을 출력하는 상부 UV LED 살균엔진모듈;
    상기 상부 UV LED 살균엔진모듈과 대응되도록, 상기 하우징 내부의 하단부에 장착되어 있으며, 살균용 광을 출력하는 하부 UV LED 살균엔진모듈;
    상기 하단부에 장착되어 있으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회전부;
    상기 회전축에 장착되어 있으며, 살균대상물이 배치되는 선반; 및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상부 UV LED 살균엔진모듈, 상기 하부 UV LED 살균엔진모듈 및 상기 회전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집중광학계가 탑재되고,
    상기 상부 UV LED 살균엔진모듈 및 상기 하부 UV LED 살균엔진모듈들 각각으로부터 출력되는 광의 살균조사거리는, 자동제어 또는 수동제어에 의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중광학계를 탑재한 회전방식 영유아전용 스마트 살균기.
  8. 삭제
  9. 내부에 공간을 가지며, 개방된 전면에는 도어가 장착되어 있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의 상단부에 장착되어 있으며, 살균용 광을 출력하는 상부 UV LED 살균엔진모듈;
    상기 상부 UV LED 살균엔진모듈과 대응되도록, 상기 하우징 내부의 하단부에 장착되어 있으며, 살균용 광을 출력하는 하부 UV LED 살균엔진모듈;
    상기 하단부에 장착되어 있으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회전부;
    상기 회전축에 장착되어 있으며, 살균대상물이 배치되는 선반; 및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상부 UV LED 살균엔진모듈, 상기 하부 UV LED 살균엔진모듈 및 상기 회전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집중광학계가 탑재되고,
    상기 상부 UV LED 살균엔진모듈 및 상기 하부 UV LED 살균엔진모듈들 각각은,
    원통형태의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의 일측 끝단에 장착되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구동되어 자외선을 출력하는 광원;
    상기 케이스 내부에 장착되며, 상기 광원을 커버하고 있는 제1렌즈;
    상기 제1렌즈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기 케이스 내부에 장착되는 제2렌즈;
    상기 제2렌즈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기 케이스 내부에 장착되는 제3렌즈;
    상기 케이스에 장착되며,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케이스 내부로 삽입되거나 상기 케이스 외부로 돌출되는 포커싱 조절부; 및
    상기 포커싱 조절부에 장착되며, 상기 포커싱 조절부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제3렌즈와의 거리가 조절되는 제4렌즈를 포함하는 집중광학계를 탑재한 회전방식 영유아전용 스마트 살균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는 볼록면을 갖는 집광렌즈이고,
    상기 제2렌즈는, 상기 제1렌즈와 인접되어 있는 상기 제2렌즈의 입사면이 볼록렌즈로 형성되고, 상기 입사면과 반대방향인 출사면이 비구면으로 형성된 집광렌즈이고,
    상기 제3렌즈는 양면이 볼록한 형태로 형성되고, 양면의 곡률이 다른 집광렌즈이며,
    상기 제4렌즈는 상기 포커싱 조절부로부터 외부로 출력되는 광의 촛점 거리를 조절하는 렌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중광학계를 탑재한 회전방식 영유아전용 스마트 살균기.
KR1020140115069A 2014-09-01 2014-09-01 집중광학계를 탑재한 회전방식 영유아전용 스마트 살균기 KR1015974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5069A KR101597453B1 (ko) 2014-09-01 2014-09-01 집중광학계를 탑재한 회전방식 영유아전용 스마트 살균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5069A KR101597453B1 (ko) 2014-09-01 2014-09-01 집중광학계를 탑재한 회전방식 영유아전용 스마트 살균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7453B1 true KR101597453B1 (ko) 2016-02-24

Family

ID=55449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5069A KR101597453B1 (ko) 2014-09-01 2014-09-01 집중광학계를 탑재한 회전방식 영유아전용 스마트 살균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745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0611B1 (ko) 2019-08-14 2020-01-29 (주)제이엔텍 고출력 양방향 다중 집광형 수질 살균시스템
CN114569754A (zh) * 2022-04-02 2022-06-03 北京大学东莞光电研究院 一种用于中药粉的紫外消毒灭菌装置及消毒灭菌方法
EP4122501A3 (en) * 2021-07-23 2023-05-31 Swanson Technologies Corporation Safe sterilization unit and double-surface sterilization device including same
US11992565B2 (en) 2020-04-03 2024-05-28 Redi Technology, Inc. Food or beverage container sanitizing syste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2985A (ko) * 2002-05-31 2003-12-06 김석구 유아용 젖병 및 유아용품 자외선 소독기
KR101115757B1 (ko) * 2010-06-03 2012-03-06 메디럭스(주) 의료용 기구 살균기
KR20120133467A (ko) * 2011-05-31 2012-12-11 김종석 책 소독장치
KR101404851B1 (ko) * 2012-09-13 2014-06-09 주식회사 씨엘에프하이텍 엘이디를 이용한 자외선 스팟 경화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2985A (ko) * 2002-05-31 2003-12-06 김석구 유아용 젖병 및 유아용품 자외선 소독기
KR101115757B1 (ko) * 2010-06-03 2012-03-06 메디럭스(주) 의료용 기구 살균기
KR20120133467A (ko) * 2011-05-31 2012-12-11 김종석 책 소독장치
KR101404851B1 (ko) * 2012-09-13 2014-06-09 주식회사 씨엘에프하이텍 엘이디를 이용한 자외선 스팟 경화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0611B1 (ko) 2019-08-14 2020-01-29 (주)제이엔텍 고출력 양방향 다중 집광형 수질 살균시스템
US11992565B2 (en) 2020-04-03 2024-05-28 Redi Technology, Inc. Food or beverage container sanitizing system
EP4122501A3 (en) * 2021-07-23 2023-05-31 Swanson Technologies Corporation Safe sterilization unit and double-surface sterilization device including same
CN114569754A (zh) * 2022-04-02 2022-06-03 北京大学东莞光电研究院 一种用于中药粉的紫外消毒灭菌装置及消毒灭菌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7453B1 (ko) 집중광학계를 탑재한 회전방식 영유아전용 스마트 살균기
KR102204085B1 (ko) 살균기능이 구비된 공기정화장치
KR101535242B1 (ko) 조명 및 살균기능을 구비한 조명유닛
US11617805B2 (en) Light and disinfection system with coincident illumination range
KR20110099351A (ko) 젖병 살균기
KR20180058884A (ko) 도마 살균기
KR20080008502A (ko) 실내 공기 살균기
KR20170120260A (ko) 살균 및 조명장치
KR20170041947A (ko) Uv 살균장치
KR101298733B1 (ko) 싱크대 살균장치
KR20130002604U (ko) 다목적 살균장치
KR20170036435A (ko) 젖병 살균장치
KR101678176B1 (ko) 유축기가 포함된 유아용품 살균기
KR101898133B1 (ko) 젖병 소독기
KR102523102B1 (ko) 자외선 난반사 및 온풍 회전기능을 갖는 소독장치
TWI670094B (zh) 紫外線殺菌裝置及其操控方法
WO2015015734A1 (ja) 殺菌装置
US20150328348A1 (en) Drying and disinfecting system, method and device for baby bottles and other items using infrared light and ultraviolet radiation
KR20030092985A (ko) 유아용 젖병 및 유아용품 자외선 소독기
KR200435151Y1 (ko) 살균장치
KR102463935B1 (ko) 사물인터넷 적용 신발 보관함
KR20100033564A (ko) 살균 기능이 내장된 도마
KR101857182B1 (ko) 싱크대 살균기
KR101211193B1 (ko) 살균 및 건조 기능이 구비된 주방용품 수납기구
KR200438002Y1 (ko) 식기 소독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90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10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121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2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2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8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2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1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