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1193B1 - 살균 및 건조 기능이 구비된 주방용품 수납기구 - Google Patents

살균 및 건조 기능이 구비된 주방용품 수납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1193B1
KR101211193B1 KR1020110020707A KR20110020707A KR101211193B1 KR 101211193 B1 KR101211193 B1 KR 101211193B1 KR 1020110020707 A KR1020110020707 A KR 1020110020707A KR 20110020707 A KR20110020707 A KR 20110020707A KR 101211193 B1 KR101211193 B1 KR 1012111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itchen utensils
kitchen
opening
light source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07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02851A (ko
Inventor
김영훈
Original Assignee
김영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훈 filed Critical 김영훈
Priority to KR10201100207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1193B1/ko
Publication of KR201201028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28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11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11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16Stands, or holders for kitchen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cro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 Devices For Warming Or Keeping Food Or Tableware Ho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주방용품(130)이 삽입되어 거치되는 하나 이상의 수납공이 상부에 형성되며 하부에는 일정 크기의 개구부(121)가 형성된 수납부(100); 및 상기 수납부(100)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수납부(100)가 거치되도록 지지하며, 내부에는 일정 크기의 내부공간이 형성된 받침부(200);를 포함하되, 상기 받침부(200)는, 상기 개구부(121)와 대응하는 상부면의 테두리에 상기 수납부(100)의 내부 및 삽입된 주방용품(130)을 가열하는 고리 형태의 히터필름(210)과, 상기 히터필름(210)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내부공간에서 발산하는 광을 투과시키는 투광창(240)이 구비되며, 상기 내부공간 내에는 PCB(260)에 실장되어 상기 수납부(100)의 내부 및 삽입된 주방용품(130)이 살균되도록 상기 투광창(240)을 통해 상기 개구부(121) 방향으로 자외선광을 발광하는 자외선 광원(23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및 건조 기능이 구비된 주방용품 수납기구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살균 및 건조 기능이 구비된 주방용품 수납기구{Container Of Kitchen Tools Having Function For Sterilizing And Drying}
본 발명은 살균 및 건조 기능이 구비된 주방용품 수납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납된 주방용품 및 수납부의 내부를 살균 및 건조할 수 있으며, 컴팩트하여 공간을 적게 차지하고 주방용품의 수납 및 인출이 편리하면서도 LED 광원을 통해 실내 인테리어 효과를 구현한 새로운 구조의 주방용품 수납기구에 관한 것이다.
주방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칼이나 가위, 집게 등의 주방용품이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이러한 주방용품은 상부가 개방된 직립한 수납케이스에 다수의 주방용품을 무작위로 세워서 보관하거나, 직립한 포스트의 둘레를 따라서 주방용품을 매달아서 보관하기도 한다. 상부가 개방된 수납케이스에 다수의 주방용품을 무작위로 세워서 보관하는 경우에는 여러 종류의 주방용품이 종류별로 정리되지 못하고 무질서하게 수납되므로, 주방이 단정하게 정리되지 못하고 원하는 주방용품을 신속하게 찾아서 꺼내어 쓰기가 불편하고, 또한 먼지 등의 이물질이 수납케이스로 침투되어 주방용품에 묻기 때문에 위생상 바람직스럽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직립한 포스트의 둘레를 따라서 주방용품을 매달아서 보관하는 경우에는 주방용품을 꺼내기 위해서 포스트의 상단의 회전부재를 회전시켜서 주방용품을 전방으로 오도록 위치조절한 후에 꺼내야 하므로 주방용품을 꺼내기가 다소 번거롭고 이물질이나 먼지가 부착될 가능성이 높아서 위생상으로 바람직스럽지 않았다.
한편, 복수개의 주방용 칼을 밀폐된 수납케이스의 상면에 형성된 다수의 슬릿을 통해 삽입하여 칼의 손잡이가 노출되도록 보관하여 두고, 필요시에 원하는 칼의 손잡이를 잡고 빼내도록 한 주방용 칼 수납케이스가 사용되고 있는데, 이것은 주방용품을 밀폐된 수납케이스에 보관하므로 이물질의 침투나 부착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주방용품을 평행하게 인접 배치된 다수의 슬릿 속에 삽입하므로, 인접하는 주방용품의 손잡이들이 서로 근접되어 배치되므로, 주방용품의 삽입시나 인출시에 사용자의 손과 주변의 주방용품이 서로 간섭되거나 공간이 협소하여 주방용품을 신속하게 삽입하거나 인출하는데 불편함이 있으며, 만일 삽입된 주방용품 간에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수납케이스가 커지거나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주방용품을 사용하고 세척한 후에 물기를 제거하지 않고 수납할 경우 상기 물기에 의해 부식되거나 세균이 증식하여 주방용품 및 수납케이스가 오염될 수 있기 때문에 주방용품별로 일일이 물기를 제거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주방용품을 세척한 후에 물기를 제거하지 않고 수납하더라도 히터필름에 의해 내부 및 주방용품이 가열되어 물기가 신속하게 제거됨은 물론, 자외선 광원에서 발광되는 자외선에 의해 살균할 수 있는 보다 위생적인 주방용품 수납기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주방용품(130)이 삽입되어 거치되는 하나 이상의 수납공이 상부에 형성되며 하부에는 일정 크기의 개구부(121)가 형성된 수납부(100); 및 상기 수납부(100)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수납부(100)가 거치되도록 지지하며, 내부에는 일정 크기의 내부공간이 형성된 받침부(200);를 포함하되, 상기 받침부(200)는, 상기 개구부(121)와 대응하는 상부면의 테두리에 상기 수납부(100)의 내부 및 삽입된 주방용품(130)을 가열하는 고리 형태의 히터필름(210)과, 상기 히터필름(210)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내부공간에서 발산하는 광을 투과시키는 투광창(240)이 구비되며, 상기 내부공간 내에는 PCB(260)에 실장되어 상기 수납부(100)의 내부 및 삽입된 주방용품(130)이 살균되도록 상기 투광창(240)을 통해 상기 개구부(121) 방향으로 자외선광을 발광하는 자외선 광원(23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및 건조 기능이 구비된 주방용품 수납기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받침부(200)는, 상기 PCB(260)에 실장되며, 상기 수납부(100)의 일측에 형성된 발광공(114)을 통해 외부로 조명광이 발산하도록, 상기 투광창(240)을 통해 개구부(121) 방향으로 발광하는 하나 이상의 LED 광원(22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및 건조 기능이 구비된 주방용품 수납기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주방용품(130)은, 칼날(132), 가위날(133) 또는 집게와 이에 연결되는 손잡이(131)로 구비되며, 상기 수납부(100)의 수납공은, 상부 둘레를 따라 방사상으로 배치되고 상부를 향해 외향 경사지게 개방된 복수 개의 둘레수납공(111)과 중앙부에 배치된 중앙수납공(112)을 포함하되, 상기 둘레수납공(111) 및 중앙수납공(112)은, 상기 주방용품(130)의 칼날(132), 가위날(133) 또는 집게가 삽입되면서 상기 손잡이(131)에 의해 폐쇄되도록 상기 주방용품(130)과 상호 체결되어, 상기 수납부(100)의 내부가 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및 건조 기능이 구비된 주방용품 수납기구가 제공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첫째, 주방용품을 세척한 후에 물기를 제거하지 않고 수납하더라도 히터필름에 의해 내부 및 주방용품이 가열되어 물기가 신속하게 제거됨은 물론, 상기 주방용품을 수납하는 수납부가 받침부로부터 분리되어 세척이 가능하며, 자외선 광원에서 발광되는 자외선에 의해 살균되므로 보다 위생적으로 주방용품을 관리 및 수납할 수 있다.
둘째, 수납부의 일측에는 복수 개의 발광공이 형성되며 상기 수납부 하부를 지지하는 받침부의 내부에는 상기 수납부의 내부를 향해 발광하는 LED 광원이 구비되어 상기 발광공을 통해 다양한 색상의 조명광이 발산되므로 실내 인테리어 효과를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 야간과 같이 주변이 어두운 상황에서 주방용품 수납기구의 위치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셋째, 하부용기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케이스의 상부 둘레를 따라서 방사상으로 배치되고 상부를 향해 외향 경사지게 개방된 복수개의 둘레수납공과 중앙수납공을 형성하고, 이들 수납공에 주방용품의 칼날, 가위날 또는 집게 등을 삽입하여 수납함으로써, 상기 둘레삽입공에 삽입된 주방용품의 손잡이가 상부케이스에 대하여 상향 및 외향 경사지게 방사상으로 배치되므로, 전체적으로 주방용품 수납기구가 컴팩트하면서도 주방용품의 손잡이가 충분한 간격을 갖도록 배열되므로, 손잡이를 쥐고 임의의 주방용품을 꺼내거나 삽입하는 경우에, 인접하는 주방용품과의 간섭이 최소화되므로, 주방용품의 인출과 삽입이 편리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살균 및 건조 기능이 구비된 주방용품 수납기구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살균 및 건조 기능이 구비된 주방용품 수납기구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살균 및 건조 기능이 구비된 주방용품 수납기구의 받침부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살균 및 건조 기능이 구비된 주방용품 수납기구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살균 및 건조 기능이 구비된 주방용품 수납기구(이하에서는 '주방용품 수납기구'라 함)는, 수납부(100) 및 받침부(200)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먼저, 상기 수납부(100)는, 주방용품(130)을 거치시켜 수납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주방용품(130)이 삽입되어 거치되는 하나 이상의 수납공(111,112)이 상부에 형성되며 하부에는 일정 크기의 개구부(121)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수납부(100)는, 상부에 체결부(122)가 형성된 하부용기(120)와, 상기 하부용기(120)의 체결부(12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케이스(110)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상부케이스(110)는 그 상부 둘레를 따라 방사상으로 배치되고 상부를 향해 외향 경사지게 개방되는 복수 개의 둘레수납공(111)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케이스(110)의 중앙부에는 중앙수납공(11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둘레수납공(111)의 내측에는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주방용품(130)의 칼날(132)이 통과되는 슬릿(113)이 둘레수납공(111)과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슬릿(113)은 모든 둘레수납공(111)의 내측에 형성되어, 주방용품(130)의 손잡이(131)에 비해 칼날(132)의 폭이 큰 주방용품(130)을 임의의 둘레수납공(111)의 위치에 용이하게 삽입하면서도 주방용품 수납기구 내에 컴팩트하게 수용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상부케이스(110)의 둘레수납공(111)에는 자루 형태의 손잡이(131)와, 상기 손잡이(131)에서 연장되는 다양한 형태의 칼날(132) 또는 집게로 이루어진 주방용품(130)이 삽입되어 거치된다. 이때, 상기 둘레수납공(111)이 상부케이스(110)의 상부 둘레를 따라 방사상으로 배치되면서 상부를 향해 외향 경사지게 개방되므로, 상기 주방용품(130)의 손잡이(131)도 외향하여 경사지게 상향 연장되며, 이로 인해 인접하는 손잡이(131)의 선단부 간격이 충분하게 이격되므로, 주방용품 수납기구에 수납된 상태에서 각 주방용품(130) 간의 거리를 충분하게 확보할 수 있어서, 주방용품(130)의 인출과 삽입시에 간섭을 최대한 줄여서 편리하고 용이하게 인출 및 삽입할 수 있고, 아울러 주방용품 수납기구를 전체적으로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어서 주방에서의 점유공간을 적게 차지하게 된다.
또한, 상부케이스(110)의 상부 중앙에는 중앙수납공(112)이 형성되는데, 상기 중앙수납공(112)에는 바람직하게는 주방용 가위를 삽입한다. 이는 다른 주방용품(130)은 대체로 손잡이가 자루형태이므로, 둘레수납공(111)에 삽입하면 외관의 통일성도 있고 손잡이(131) 간의 간격도 충분하게 확보할 수 있음에 비해, 가위의 손잡이는 납작하고 넓게 형성되어, 인접하는 주방용품(130)의 손잡이(131)에 근접하여 간섭될 가능성이 높고 외관상으로도 다른 주방용품(130)의 손잡이(131)와 다르므로, 상부케이스(110)의 중앙부에 배치함으로써, 따른 주방용품(130)의 손잡이(131)와의 간섭을 최대한 줄이면서 전체적으로 디자인의 통일성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더불어, 상기 상부케이스(110)의 둘레수납공(111)의 크기는 주방용품(130)의 손잡이(131)의 칼날(132)과의 연결부의 형태와 규격이 일치되도록 구성하여, 주방용품(130)이 둘레수납공(111)에 삽입되며, 손잡이(131)의 단부가 둘레수납공(111)을 폐쇄되도록 상기 주방용품(130)과 상호 체결되어, 상기 수납부(100)의 내부가 밀폐되도록 구비된다.
이로 인해, 주방용품 수납기구의 내부로 먼지나 이물질의 침투를 최소화하며, 상기 받침부(200)의 히터필름(210)에 의해 발열된 열이 외부로 쉽게 빠져나가지 않게 되므로, 위생적이고 주방용품(130)의 손잡이(131)와 하부용기(120) 또는 상부케이스(110)를 통일적인 형태와 칼라로 디자인하는 경우에, 상기 주방용품(130)과 주방용품 수납기구가 일체적으로 결합되어 단정하고 통일적인 외관형태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받침부(200)는, 상기 수납부(100)의 하부에서 상기 주방용품(130) 및 상기 수납부(100)의 내부를 가열 및 자외선광을 발산하여 상기 주방용품(130)에 묻어있는 물기를 제거하며 살균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수납부(100)의 하부에 배치되어 수납부(100)가 거치되도록 지지하며, 내부에는 일정 크기의 내부공간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받침부(200)는, 수납부(100)의 개구부(121)와 대응하는 상부면의 테두리에 상기 수납부(100)의 내부 및, 상기 수납공(111,112)에 삽입된 주방용품(130)을 가열하는 고리 형태의 히터필름(210)과, 상기 히터필름(210)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내부공간에서 발산하는 광을 투과시키는 투광창(240)이 구비되며, 상기 내부공간 내에는 PCB(260)에 실장되어 상기 수납부(100)의 내부 및 삽입된 주방용품(130)이 살균되도록 상기 투광창(240)을 통해 상기 수납부(100)의 개구부(121) 방향으로 자외선광을 발광하는 자외선 광원(230)이 구비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받침부(200)의 상부는 상기 수납부(100)가 안정적으로 거치될 수 있도록 평평한 상태로 형성되되, 상기 수납부(100)의 개구부(121)와 대응되는 상부면의 테두리에는 상기 히터필름(210)이 장착되어 물기를 제거할 수 있는 일정 크기의 온도로 발열되면서 상기 수납부(100)의 내부 및 주방용품(130)을 가열시킨다.
여기서, 상기 히터필름(210)은,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열을 발생시키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받침부(200)의 상부면에 장착되어 상기 수납부(100)의 개구부(121)를 통해 발생한 열을 가하여 수납부(100)의 내부 및 수납공(111,112)에 삽입된 주방용품(130)에 묻어 있는 물기를 제거한다.
따라서, 상기 히터필름(210)의 구동에 의해 발생되는 열은 상기 수납부(100)의 내부에서 대류하여 상기 수납부(100)의 내부공간과, 상기 내부공간에 삽입된 주방용품(130)의 삽입된 부분 즉, 칼날(132), 가위날(133) 및 집게 등의 온도를 상승시킴으로써 주방용품(130) 및 수납부(100)의 내부에 묻어있는 물기를 신속하게 건조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받침부(200)의 상부에 거치되는 상기 수납부(100)가 받침부(200)로부터 분리가 가능한 구조로 구비되었기 때문에 상기 주방용품(130)을 수납하는 수납부(100)를 물에 담그는 방식 등을 통해 세척할 수 있어 보다 위생적인 관리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품 수납기구는, 실내 인테리어 효과를 구현하기 위해 수납부(100)의 상측에 형성된 발광공(114)을 통해 외부로 조명광이 발산되도록 구비되는데, 이를 위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납부(100)의 상부에는 조명광이 발산되는 통로인 복수 개의 발광공(114)이 형성되며, 상기 받침부(200)의 내부에는 상기 발광공(114)을 통해 외부로 조명광이 발산하도록, 상기 투광창(240)을 통해 개구부(121) 방향으로 발광하는 하나 이상의 LED 광원(220)이 PCB(260)에 실장되어 받침부(200)의 내부공간 내에 장착된다.
상기 투광창(240)은, 상기 LED 광원(220)의 광은 상기 수납부(100)의 내부로 발산하되, 상기 수납부(100) 및 주방용품(130)에 묻어 있는 물기 및 이물질이 상기 받침부(200)의 내부로 흘러 유입되지 않도록 상기 받침부(200)의 내부를 밀폐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며, 유리 및 아크릴 재질과 같이 일정 크기의 강도 및 내구성을 갖되 상기 LED 광원(220)의 광 및 자외선 광원(230)의 자외선광을 투과시킬 수 있는 일정 크기의 투과율이 구비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투광창(240)의 하부에는 상기 LED 광원(220)의 조명광 및 자외선 광원(230)의 자외선광이 투과되는 부분 이외의 나머지 부분을 커버함으로써 상기 받침부(200)의 내부 형상이 외부로 보여지지 않도록 차단하는 판형상의 차단판(250)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LED 광원(220)은 개별적인 색상을 갖는 다수의 LED 단자로 이루어지거나 다수의 색상으로 변색되는 LED 단자로 이루어짐으로써 보다 다양한 색상의 이미지를 연출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받침부(200)는, 상기 수납부(100)의 내부 및 상기 내부에 삽입된 주방용품(130)이 살균되도록 수납부(100)의 내부를 향해 자외선광을 발광하는 자외선 광원(230)이 상기 LED 광원(220)과 함께 PCB(260)에 실장되어 내부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투광창(240)은 상기 자외선 광원(230)에서 발광되는 자외선광은 외부로 발산되도록 투과시키며, 상기 자외선 광원(230)의 자외선광이 투과되는 부분 이외의 나머지 부분은 상기 차단판(250)에 의해 커버되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LED 광원(220) 및 자외선 광원(230)이 실장된 PCB(260)에는 상기 LED 광원(220) 및 자외선 광원(23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261)와, 외부 전원을 적절한 크기의 전압으로 변압하여 상기 LED 광원(220) 및 자외선 광원(230)에 인가하는 전원공급부(262)가 회로구성되어 구비되며, 상기 받침부(200)의 외부에는 상기 PCB(260)와 신호연결되어 상기 제어부(261)에 사용자 입력신호를 입력하는 스위치(270)가 장착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261)에는 타이머가 내장되어 미리 설정된 시간에 따라 상기 LED 광원(220) 또는 자외선 광원(230)을 개별적으로 또는 함께 구동되도록 프로그램밍되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261)는, 상기 스위치(27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신호에 따라 히터필름(210)을 구동시키는 건조모드, 자외선 광원(230)을 구동시키는 살균모드 및 상기 히터필름(210)과 자외선 광원(230)을 동시에 구동시키는 건조 및 살균모드로 구분하여 동작시킬 수 있으며, 각 모드별로 히터필름(210) 및 자외선 광원(230)이 구동되는 시간을 조절하여 제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품 수납기구의 각 구성에 의해, 주방용품(130)을 세척한 후에 물기를 제거하지 않고 수납하더라도 히터필름(210)에 의해 내부 및 주방용품(130)이 가열되어 물기가 제거됨은 물론, 자외선 광원(230)에서 발광되는 자외선에 의해 살균되므로 보다 위생적으로 주방용품을 관리 및 수납할 수 있다.
또한, 수납부(100)의 일측에는 복수 개의 발광공(114)이 형성되며 상기 수납부(100)의 하부를 지지하는 받침부(200)의 내부에는 상기 수납부(100)의 내부를 향해 발광하는 LED 광원(220)이 구비되어 상기 발광공(114)을 통해 다양한 색상의 조명광이 발산되므로 실내 인테리어 효과를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 야간과 같이 주변이 어두운 상황에서 주방용품 수납기구의 위치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더불어, 수납부(100)의 하부용기(12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케이스(110)의 상부 둘레를 따라서 방사상으로 배치되고 상부를 향해 외향 경사지게 개방된 복수 개의 둘레수납공(111)을 형성하여, 상기 둘레수납공(111)에 주방용품의 칼날(132), 집게 등을 삽입하여 수납함으로써, 삽입된 주방용품(130)의 손잡이(131)가 상부케이스(110)에 대하여 상향 및 외향 경사지게 방사상으로 배치되므로, 전체적으로 주방용품 수납기구가 컴팩트하면서도 주방용품(130)의 손잡이(131)가 충분한 간격을 갖도록 배열되므로, 손잡이(131)를 쥐고 임의의 주방용품(130)을 꺼내거나 삽입하는 경우에, 인접하는 주방용품(130)과의 간섭이 최소화되므로 주방용품(130)의 인출과 삽입이 편리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0...수납부 110...상부케이스
111...둘레수납공 112...중앙수납공
114...발광공 120...하부용기
130...주방용품 200...받침부
210...히터필름 220...LED 광원
230...자외선 광원

Claims (3)

  1. 주방용품(130)이 삽입되어 거치되는 하나 이상의 수납공이 상부에 형성되며 하부에는 일정 크기의 개구부(121)가 형성된 수납부(100); 및
    상기 수납부(100)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수납부(100)가 거치되도록 지지하며, 내부에는 일정 크기의 내부공간이 형성된 받침부(200);를 포함하되,
    상기 받침부(200)는, 상기 개구부(121)와 대응하는 상부면의 테두리에 상기 수납부(100)의 내부 및 삽입된 주방용품(130)을 가열하는 고리 형태의 히터필름(210)과, 상기 히터필름(210)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내부공간에서 발산하는 광을 투과시키는 투광창(240)이 구비되며, 상기 내부공간 내에는 PCB(260)에 실장되어 상기 수납부(100)의 내부 및 삽입된 주방용품(130)이 살균되도록 상기 투광창(240)을 통해 상기 개구부(121) 방향으로 자외선광을 발광하는 자외선 광원(23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및 건조 기능이 구비된 주방용품 수납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200)는,
    상기 PCB(260)에 실장되며, 상기 수납부(100)의 일측에 형성된 발광공(114)을 통해 외부로 조명광이 발산하도록, 상기 투광창(240)을 통해 개구부(121) 방향으로 발광하는 하나 이상의 LED 광원(22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및 건조 기능이 구비된 주방용품 수납기구.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주방용품(130)은, 칼날(132), 가위날(133) 또는 집게와 이에 연결되는 손잡이(131)로 구비되며,
    상기 수납부(100)의 수납공은, 상부 둘레를 따라 방사상으로 배치되고 상부를 향해 외향 경사지게 개방된 복수 개의 둘레수납공(111)과 중앙부에 배치된 중앙수납공(112)을 포함하되,
    상기 둘레수납공(111) 및 중앙수납공(112)은, 상기 주방용품(130)의 칼날(132), 가위날(133) 또는 집게가 삽입되면서 상기 손잡이(131)에 의해 폐쇄되도록 상기 주방용품(130)과 상호 체결되어, 상기 수납부(100)의 내부가 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및 건조 기능이 구비된 주방용품 수납기구.
KR1020110020707A 2011-03-09 2011-03-09 살균 및 건조 기능이 구비된 주방용품 수납기구 KR1012111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0707A KR101211193B1 (ko) 2011-03-09 2011-03-09 살균 및 건조 기능이 구비된 주방용품 수납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0707A KR101211193B1 (ko) 2011-03-09 2011-03-09 살균 및 건조 기능이 구비된 주방용품 수납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2851A KR20120102851A (ko) 2012-09-19
KR101211193B1 true KR101211193B1 (ko) 2012-12-11

Family

ID=47111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0707A KR101211193B1 (ko) 2011-03-09 2011-03-09 살균 및 건조 기능이 구비된 주방용품 수납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119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7685B1 (ko) * 2013-11-14 2015-06-09 김영훈 모듈화 수납기구
CN105877561A (zh) * 2015-01-26 2016-08-24 韦翔鹏 一种厨房刀具
KR102393493B1 (ko) * 2021-08-09 2022-05-02 안창선 다용도 주방 용품 살균 건조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4678Y1 (ko) 2002-11-18 2003-02-15 김대윤 주방용 칼집
JP2009095621A (ja) 2007-10-12 2009-05-07 Yaeko Kodama 調理器具等の殺菌装置
KR100984397B1 (ko) 2010-05-07 2010-09-29 김영훈 주방용품 수납기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4678Y1 (ko) 2002-11-18 2003-02-15 김대윤 주방용 칼집
JP2009095621A (ja) 2007-10-12 2009-05-07 Yaeko Kodama 調理器具等の殺菌装置
KR100984397B1 (ko) 2010-05-07 2010-09-29 김영훈 주방용품 수납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2851A (ko) 2012-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4265B1 (ko) Uv led를 사용한 화장품 도구의 살균기
JP5745828B2 (ja) 調理器具用殺菌装置
US20230372568A1 (en) Uv sanitizing apparatus
KR20180015801A (ko) 스마트형 식기 보관 및 위생처리장치
KR20180114405A (ko) 주방용품 살균 장치
KR101688044B1 (ko) 숟가락 및 젓가락 살균기
KR101768306B1 (ko) 도마 및 식칼 살균장치
KR20200002082A (ko) Uv led를 이용한 밀폐용기 자외선살균기
KR101211193B1 (ko) 살균 및 건조 기능이 구비된 주방용품 수납기구
KR20180058884A (ko) 도마 살균기
KR101171508B1 (ko) 음식 보관용기 건조 장치
US20220008583A1 (en) Ultraviolet Sterilization Device
KR20160107036A (ko) 내부 살균기능을 갖는 음료용기
KR20170022190A (ko) 자외선 살균 기능을 갖는 싱크대
KR200436595Y1 (ko) 나이프 살균기
KR20130002604U (ko) 다목적 살균장치
KR20110070267A (ko) 휴대용 자외선 소독기
KR20130000919U (ko) 살균함
US20120234309A1 (en) Foldable cooking device
KR200435151Y1 (ko) 살균장치
KR101320051B1 (ko) 사용자의 안정성 및 위생을 향상시키는 조명 장치가 구비된 조리 위생 장치
KR200487385Y1 (ko) 살균 장치
KR20180110739A (ko) 광원 탈부착이 가능한 젖병 살균기
KR20210141899A (ko) 다목적 자외선 살균기
KR101117330B1 (ko) 근적외선 전기 오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