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6420A -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106420A KR20200106420A KR1020190024958A KR20190024958A KR20200106420A KR 20200106420 A KR20200106420 A KR 20200106420A KR 1020190024958 A KR1020190024958 A KR 1020190024958A KR 20190024958 A KR20190024958 A KR 20190024958A KR 20200106420 A KR20200106420 A KR 2020010642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tank
- disposed
- water
- ultraviolet
- module
- Prior art dat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6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0000001954 sterilis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10453 quartz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VYPSYNLAJGMNEJ-UHFFFAOYSA-N silicon dioxide Inorganic materials O=[Si]=O VYPSYNLAJGMNEJ-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5286 illumin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1678 irradi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8236 heating water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9000003507 refrige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3229 poly(methyl methacry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926 polymethyl methacry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139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020 polyethylene terephtha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780 transparen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NIXOWILDQLNWCW-UHFFFAOYSA-N acrylic acid group Chemical group C(C=C)(=O)O NIXOWILDQLNWC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845 discol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47 exhibi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997 soju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8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humidification mea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C02F1/3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light
- C02F1/325—Irradiation devices or lamp construc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04—Optical desig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8—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air-humidifica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25—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electrical heating mea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6—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with water treatment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oxi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후방으로 흡입구를 형성하는 상부캐비닛과 상기 상부캐비닛을 지지하도록 상기 상부캐비닛 하측에 배치되는 베이스부를 포함하는 캐비닛 어셈블리; 상기 베이스부 내측에 배치되고,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수조; 상기 수조에서 물을 공급받아 가열하는 히팅부; 상기 히팅부에서 히팅된 가습공기를 상기 캐비닛 어셈블리 외부로 토출하는 가습노즐; 상기 상부캐비닛과 상기 베이스부의 전면 일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캐비닛 어셈블리의 전방에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수조의 전방에 배치되거나, 상기 수조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도어패널; 상기 도어패널의 이동으로 상기 수조가 외부로 노출될 때, 상기 수조를 전방으로 기울이는 틸팅모듈; 상기 베이스부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수조로부터 상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수조에 저장된 물을 살균하는 자외선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도어패널이 상기 수조의 전방에 배치될 때, 상기 자외선모듈이 작동되어, 상기 수조를 살균한다.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후방으로 흡입구를 형성하는 상부캐비닛과 상기 상부캐비닛을 지지하도록 상기 상부캐비닛 하측에 배치되는 베이스부를 포함하는 캐비닛 어셈블리; 상기 베이스부 내측에 배치되고,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수조; 상기 수조에서 물을 공급받아 가열하는 히팅부; 상기 히팅부에서 히팅된 가습공기를 상기 캐비닛 어셈블리 외부로 토출하는 가습노즐; 상기 상부캐비닛과 상기 베이스부의 전면 일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캐비닛 어셈블리의 전방에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수조의 전방에 배치되거나, 상기 수조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도어패널; 상기 도어패널의 이동으로 상기 수조가 외부로 노출될 때, 상기 수조를 전방으로 기울이는 틸팅모듈; 상기 베이스부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수조로부터 상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수조에 저장된 물을 살균하는 자외선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도어패널이 상기 수조의 전방에 배치될 때, 상기 자외선모듈이 작동되어, 상기 수조를 살균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습장치를 포함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냉매와 열교환된 공기를 실내로 배출하여, 요구되는 실내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흡입구로 실내공기를 흡입하고, 냉매와 열교환하여, 토출구로 열교환된 공기를 배출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는, 실내 공간의 습도를 조절하기 위한 가습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가습을 위해 물을 저장하는 수조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서 가습을 통해 토출되는 공기는 사용자가 생활하는 실내공간으로 토출되어, 사용자의 호흡기로 유입되므로, 수조의 물을 안전하게 살균하는 것이 요구된다.
수조에 저장된 물을 살균하기 위해 자외선 램프를 사용할 수 있으나, 자외선램프로 조사된 빛이 사용자에게 노출될 경우, 인체에 유해하게 작용될 수 있으므로, 자외선램프에서 조사된 빛이 수조를 살균하는 데에만 사용할 것이 요구된다. 특히, 실내기의 구조에 의해 수조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는 구조에서는 자외선램프이 더욱 주의될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 10-2017-0051181에서도, 자외선램프로 수조를 살균하는 내용을 개시하고 있으며, 수조의 하측으로 자외선램프가 배치되는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다만, 개시된 구조에서는, 수조가 실내기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는 구조가 아니므로, 상기의 문제를 여전히 해결할 수 없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제1과제는 외부로 노출될 수 있는 수조가 배치되는 구조의 실내기에서 자외선램프의 작동을 위한 수조의 노출시기를 파악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수조에 저장된 물의 량은 센서 등을 통해 대략적인 량을 감지할 수 있으나, 실제 구체적인 수위는 육안으로 인한 식별이 요구될 수 있다. 다만, 실내기의 내부 어두운 공간에서 배치되는 수조의 수위를 육안으로 감지하기 위해, 사용자에게 근접관찰이 요구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제2과제는, 수조의 수위의 육안식별이 용이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수조의 수위감지 등을 위한 사용자의 식별의 편의를 위해 조명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조명과 자외선램프의 계속적인 사용은, 불필요한 전력소비를 유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과제는, 자외선램프와 조명의 작동시기를 조절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 것?濱?.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후방으로 흡입구를 형성하는 상부캐비닛과 상기 상부캐비닛을 지지하도록 상기 상부캐비닛 하측에 배치되는 베이스부를 포함하는 캐비닛 어셈블리; 상기 베이스부 내측에 배치되고,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수조; 상기 수조에서 물을 공급받아 가열하는 히팅부; 상기 히팅부에서 히팅된 가습공기를 상기 캐비닛 어셈블리 외부로 토출하는 가습노즐; 상기 상부캐비닛과 상기 베이스부의 전면 일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캐비닛 어셈블리의 전방에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수조의 전방에 배치되거나, 상기 수조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도어패널; 상기 베이스부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수조로부터 상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수조에 저장된 물을 살균하는 자외선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도어패널이 상기 수조의 전방에 배치될 때, 상기 자외선모듈이 작동되어, 상기 수조를 살균한다.
상기 도어패널의 이동으로 상기 수조가 외부로 노출될 때, 상기 수조를 전방으로 기울이는 틸팅모듈; 및 상기 수조가 전방으로 틸팅될 때, 상기 수조에 빛을 조사하는 조명램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조명램프는, 상기 자외선모듈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수조가 전방으로 틸팅될 때, 수조의 후방면으로 빛을 조사한다.
상기 베이스부의 전면 일측을 커버하고, 상기 수조가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수조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수조하우징의 상측으로 자외선모듈이 배치되며, 상기 수조하우징의 상부면에는, 상기 자외선모듈에서 조사된 빛이 투과되도록 투과홀이 형성된다.
상기 수조하우징의 상부면에는, 상기 조명램프에서 조사된 빛이 투과되는 조명램프홀이 형성되고, 상기 조명램프홀은, 상기 투과홀로부터 후방으로 일정간격 이격 배치된다.
상기 자외선모듈은,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램프; 상기 자외선램프가 거치되는 자외선모듈하우징; 상기 자외선램프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자외선램프로 전원을 공급하는 자외선기판; 상기 자외선램프 주변에 배치되며, 오목한 반사면이 형성되는 반사판커버; 및 상기 반사판커버 하측에 배치되며, 투명한 석영창을 포함한다.
상기 수조는,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수조바디; 상기 수조바디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측으로 유입구를 형성하는 상측커버; 및 상기 수조바디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히팅부로 물을 공급하는 하측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하측커버의 일측에는, 상기 틸팅모듈과 맞물려 상기 수조바디의 배치를 조절하는 수조틸팅기어가 배치된다.
상기 투과홀은, 상기 상측커버의 상기 유입구 상측에 배치된다.
상기 자외선모듈의 작동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어패널이 이동하여, 상기 수조의 전방이 외부로 노출될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외선모듈의 작동을 중지시킨다.
상기 수조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위센서에서 감지되는 상기 수조의 수위를 바탕으로 자외선램프의 작동주기를 조절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도어의 이동으로 수조가 노출될 때와 노출되지 않는 수조의 전방으로 도어패널이 배치될 때를 구분하고, 도어패널이 수조의 전방으로 배치될 때, 자외선모듈을 작동하여, 수조에 저장된 물을 살균할 수 있음과 동시에 사용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수조가 외부로 노출될 때, 자외선램프와 별도의 조명램프를 작동시켜, 사용자가 용이하게 수조의 수위를 파악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셋째, 도어의 배치에 따라 조명램프와 자외선모듈의 작동을 조절하여, 불필요한 전력소비를 최소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전방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패널이 이동하는 상태의 실내기의 전방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패널이 이동한 상태에서, 수조가 틸팅되는 상태의 실내기의 전방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부, 하부캐비닛 및 가습 어셈블리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조하우징과 틸팅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후방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조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조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틸팅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모듈과 수조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서 수조가 틸팅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9의 A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 및 관련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패널이 이동하는 상태의 실내기의 전방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패널이 이동한 상태에서, 수조가 틸팅되는 상태의 실내기의 전방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부, 하부캐비닛 및 가습 어셈블리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조하우징과 틸팅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후방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조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조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틸팅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모듈과 수조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서 수조가 틸팅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9의 A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 및 관련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 전체에 걸쳐 ‘제 1, 제 2, …’의 표현은 구성요소의 구분을 위한 것으로서, 구성요소간의 우선순위 또는 중요도 등과는 무관하다.도면에 표시된 상(U), 하(D), 좌(Le), 우(Ri), 전(F) 및 후(R)의 방향표시는, 발명의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따라서, 기준이 변경되면, 상기의 방향도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전체구성>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외형을 형성하고, 전면이 개구된 캐비닛 어셈블리(Ⅰ), 캐비닛 어셈블리(Ⅰ)의 개구된 전면을 커버하는 도어 어셈블리(Ⅱ), 캐비닛 어셈블리(Ⅰ) 내측에 배치되어, 공기의 유동을 형성하는 송풍팬 어셈블리(Ⅲ), 송풍팬 어셈블리(Ⅲ)에 의해 유동하는 공기를 냉매와 열교환하는 열교환 어셈블리(미도시), 캐비닛 어셈블리(Ⅰ) 내측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 어셈블리(Ⅵ), 필터 어셈블리(Ⅵ)의 일측면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청소 어셈블리(Ⅶ), 및 캐비닛 어셈블리(Ⅰ) 외부로 가습된 공기를 배출시키는 가습 어셈블리(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캐비닛 어셈블리(Ⅰ)는 후방으로 흡입구를 형성하고, 내측에 열교환기(미도시)가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상부캐비닛(11), 상부캐비닛(11) 하측에 배치되고, 가습 어셈블리(Ⅴ)의 일부 구성이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베이스부(12), 베이스부(12)의 후방 및 측방을 커버하는 하부캐비닛(13), 및 상부캐비닛(11)과 도어 어셈블리(Ⅱ) 사이에 배치되고, 공기가 토출되는 측면토출구(141)를 형성하는 측면토출부재(14a)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캐비닛 어셈블리(Ⅰ)는 도어어셈블리(Ⅱ)가 일부 개방될 때, 상부캐비닛(11)의 전면과 베이스부(12)의 전면 일부를 커버하는 내부커버(15)를 포함한다. 내부커버(15)는, 가습어셈블리(Ⅴ)의 수조(51)가 노출되도록 도어어셈블리(Ⅱ)가 좌측 또는 우측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이동할 때, 노출되는 상부캐비닛(11)의 전면과 베이스부(12)의 전면 일부를 커버하도록 배치된다.
내부패널(15)에는, 전방송풍모듈(31)이 배치되는 부분에서 전방으로 개구된 전방홀(151)이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부(12)는 전면이 개구된 박스형상을 가질 수 있다. 베이스부(12)의 외둘레에는 하부캐비닛(13)과 측면토출부재(14a)의 일부가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부(13)에는 이하에서 설명할 가습어셈블리(Ⅴ)의 일부구성이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하로 배치되는 베이스부(12)와 상부캐비닛(11)이 결합된 상태에서, 베이스부(12)와 상부캐비닛(11)의 전면에 도어 어셈블리(Ⅱ)가 배치된다.
하부캐비닛(13)은 베이스부(12)의 측면과 후방을 커버할 수 있다.
도어 어셈블리(Ⅱ)는 실내기의 전면을 커버하고, 일측에 전방토출구(211a)가 형성된 도어패널(21), 도어패널(21)을 좌우로 이동시키는 도어무빙모듈(23, 도 12참조), 도어패널(21)에 형성되는 전방토출구(211a)를 개폐하는 토출구커버(25), 토출구커버(25)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토출구커버무빙모듈(미도시), 및 실내기의 작동상태를 표시하거나, 사용자의 명력을 입력받는 하는 디스플레이모듈(29), 실내공간의 조건을 감지하는 카메라모듈(22)를 포함한다.
도어무빙모듈은, 도어패널(21)을 좌우로 이동시킨다. 도어무빙모듈은, 도어패널(21)을 일측으로 이동시켜, 수조(51)를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다. 즉, 도어패널(21)은, 도어무빙모듈에 의해 도 1 또는 도 2의 상태로 이동할 수 있다.
송풍팬 어셈블리(Ⅲ)는 실내기의 전방으로 공기를 토출시키는 전방송풍모듈(31), 실내기의 양 측면방향으로 공기를 토출시키는 측방송풍모듈(미도시)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송풍팬 어셈블리(Ⅲ)는 하나의 전방송풍모듈(31)과 3개의 측방송풍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전방송풍모듈(31)과 측방송풍모듈은 열교환 어셈블리(Ⅳ)의 전방에 배치된다.
전방송풍모듈(31)은 측방송풍모듈의 상측에 배치된다. 전방송풍모듈(31)은 도어판(21)에 형성된 전방토출구(22)로 공기를 토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방송풍모듈(31)은 전방토출구(22)가 개방될 때, 전방으로 이동하여, 토출구가 향하는 방향이 상, 하, 좌, 우 또는 대각방향으로 회전가능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측방송풍모듈은 전방송풍모듈(31)의 하측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측방송풍모듈은 복수개가 상하로 배치될 수 있다. 측방송풍모듈 각각은 토출되는 공기를 측면토출구(14a)를 통해 배출할 수 있다.
열교환 어셈블리(미도시)는 상부캐비닛(11) 내부로 흡입된 실내공기를 냉매와 열교환시킨다. 열교환 어셈블리는 실내공기와 열교환하는 냉매가 유동하는 열교환기(미도시)와, 열교환기로 냉매가 유입되거나 배출되도록 냉매유로를 형성하는 냉매관(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열교환기는 송풍팬 어셈블리(Ⅲ)의 후방에 배치된다. 열교환기는 흡입구와 토출구(22, 141) 사이에 배치되어, 실내기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를 열교환시킬 수 있다. 열교환기는 필터 어셈블리(Ⅵ)와 송풍팬 어셈블리(Ⅲ) 사이에 배치된다. 열교환기는 복수의 측방송풍모듈과, 전방송풍모듈(31)가 상하로 배치되는 높이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가습 어셈블리(Ⅴ)는 수조(51)에 저장된 물을 히팅하여, 가습된 공기를 실내기 외부로 토출한다. 가습어셈블리(Ⅴ)의 구성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필터 어셈블리(Ⅵ)는 흡입구로 유입되는 공기의 이물질을 제거한다. 필터 어셈블리(Ⅵ)는 상부캐비닛(11)의 후방에서 이동가능하게 배치된다. 필터 어셈블리(Ⅵ)는 상부캐비닛(11)의 후방에 형성되는 흡입구에 배치되어, 흡입구(미도시)로 유입되는 실내공기를 필터링할 수 있다. 필터 어셈블리(Ⅵ)는 상부캐비닛(11)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필터 어셈블리(Ⅵ)는 흡입구로 흡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모듈(61)를 포함한다. 필터 어셈블리(Ⅵ)는 필터모듈(61)을 흡입구에 배치시키거나, 상부캐비닛(11)의 측방면의 외측으로 배치시킬 수 있다. 필터모듈(61)은, 흡입구가 형성되는 상부캐비닛(11)의 후방에서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필터 어셈블리(Ⅵ)는 유동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모듈(61), 필터모듈(61)이 장착되는 필터장착부재(미도시) 및 필터장착부재의 위치를 변경시키는 이동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필터모듈(61)은, 필터장착부재 및 이동부재에 의해 배치가 변경될 수 있다. 즉, 필터모듈(61)은, 필터장착부재 및 이동부재에 의해 상부캐비닛(11)의 후방에 형성된 흡입구에 배치되거나, 상부캐비닛(11)의 측면의 외측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필터청소 어셈블리(Ⅶ)는 필터 어셈블리(Ⅵ)의 후방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되어, 필터 어셈블리(Ⅵ) 외측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필터청소 어셈블리(Ⅶ)는 상부캐비닛(11)의 후방에 배치되는 가이드레일(미도시)을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필터청소 어셈블리(Ⅶ)는 가이드레일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며, 필터 어셈블리(Ⅵ) 외측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털어내고, 흡입하여, 필터모듈(61)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필터청소 어셈블리(Ⅶ)는,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며, 필터모듈(61)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청소기(71)와, 필터청소기(71)로 전원선(미도시)로 연결되며, 필터청소기(71)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가습 어셈블리>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가습어셈블리의 구성을 설명한다.
가습 어셈블리(Ⅴ)는 실내기 외부로 가습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습 어셈블리(Ⅴ)는, 외부에서 유입된 공기를 히팅부(56)에서 가열한 수증기와 함께 외부로 토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습 어셈블리(Ⅴ)는 물을 저장하는 수조(51), 베이스부(12)의 전면 일측을 커버하고, 수조(51)가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수조하우징(52), 수조(51) 하측에 배치되고, 수조(51)가 안착되는 수조베이스(53), 수조베이스(53)의 상측에 배치되는 수조(51)를 전방으로 기울이는 틸팅모듈(54), 수조(51)의 상측에 배치되고, 수조(51)에 저장된 물을 살균하는 자외선모듈(55), 수조(51)의 물을 공급받아 가열하는 히팅부(56), 히팅된 가습공기를 토출하는 가습토출구가 형성된 가습노즐(57), 히팅부(56)에서 히팅된 가습공기를 가습토출노즐로 가이드하는 가습유로관(58)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습 어셈블리(Ⅴ)는 수조(51)가 전방으로 틸팅될 때, 수조(51)에 빛을 조사하는 조명램프(5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가습 어셈블리(Ⅴ)는,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고, 가습된 공기가 토출되도록 공기유동을 형성하는 가습팬(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수조(51)는, 히팅부(56)로 공급되어 가열되는 물을 일시적으로 저장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수조(51)는, 베이스부(12)의 내측공간에 착탈가능하게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수조(51)는, 수조하우징(52)의 내부에 형성되는 수조배치공간(522a)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수조(51)는 틸팅모듈(54)에 의해 전방으로 기울어지게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수조(51)는 수조베이스(53)의 상측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수조(51)는, 틸팅모듈(54)에 의해 수조베이스(53) 상측에서의 배치가 변경될 수 있다.
도 1, 도 9를 참조하면, 수조(51)는, 도어패널(21)에 의해 수조(51)의 전방이 가려진 상태에서, 틸팅되지 않은 기본배치를 유지한다. 도 2, 도 10을 참조하면, 수조(51)는 도어팬러(21)에 의해 수조(51)의 전방이 노출된 상태에서, 전방으로 틸팅된 틸팅배치로 변경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수조(51)는, 자외선모듈(55)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수조(51)는,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수조바디(511), 수조바디(511)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측으로 유입구(5121)가 형성되는 상측커버(512), 수조바디(511) 하측에 배치되고, 하측으로 배출구(미도시)가 형성되는 하측커버(513)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수조(51)는, 상측커버(512)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손잡이(5122), 하측커버(513)의 일측으로 배치되고, 틸팅모듈(54)과 맞물려 수조바디(511)의 배치를 조절하는 수조틸팅기어(5131), 하측커버(513)에 형성되는 배출구(미도시)를 개폐하는 물공급밸브(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조바디(511)는, 투명한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PMMA(Polymethyl methacrylate), 또는 아크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수조바디(511)는, 자외선에 의한 변색을 방지할 수 있는 PMMA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푸른빛을 띄는 투명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가시광선의 450nm 내지 550nm 영역대의 푸른빛을 띄는 투명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수조바디(511)는, 대략 사각기둥형상을 가지고, 내부가 중공을 형성한다. 수조바디(511)는 상하방향으로 개구되며, 상측으로 상측커버(512)가 배치되고, 하측으로 하측커버가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수조바디(511)는, 수조(51)의 높이방향에 수직한 단면적의 넓이가 일정하게 형성되는 하부바디(5112)와, 하부바디(5112)의 상측에 배치되고, 수조(51)의 높이방향에 수직한 단면적의 넓이가 상측으로 갈수록 줄어드는, 상부바디(5111)를 포함한다.
여기서 수조(51)의 높이방향은, 수조(51)가 기본배치 상태로 배치된 상태에서, 상하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하부바디(5112)의 높이(H2)는, 수조바디(511) 전체높이(H3)의 2/3 내지 3/4로 형성될 수 있다. 하부바디(5112)의 높이(H2)와 상부바디(5111)의 높이(H1) 간의 비율은, 2:1 내지 3:1로 형성될 수 있다. 하부바디(5112)의 높이(H2)는, 하부바디(5112)의 전후방향의 길이(L2)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부바디(5111)는, 상측으로 갈수록 후방단부가 전방으로 이동하는 형상을 가진다. 상부바디(5111)의 후면(5111a)은, 하부바디(5112)의 후면(5112a)에서 전방으로 기울어진 경사각(θ1)을 형성할 수 있다.
상부바디의 후면(5111a)이 하부바디의 후면(5112a)의 가상의 연장선과 형성하는 경사각(θ1)은, 수조바디(511)가 전방으로 기울어지는 경사각(θ2)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수조바디(511)가 전방으로 기울어질 때, 상부바디의 후면(5111a)이 지면과 평행하도록, 상부바디의 후면(5111a)이 하부바디의 후면(5112a)의 가상의 연장선과 형성하는 경사각(θ1)을 조절할 수 있다.
상부바디(5111) 상단의 전후방향 길이(L1)는, 하부바디(5112)의 전후방향 길이(L2)의 2/3 내지 3/4로 형성될 수 있다.
상측커버(512)는, 수조바디(511)의 상측에서 수조바디(511)와 결합되고, 수조바디(511)의 상측일부를 커버한다. 상측커버(512)의 내측에는, 상하방향으로 개구되고, 수조바디(511) 내부와 연통하는 유입구통로(5121a)가 형성된다. 유입구통로(5121a)의 단면적은, 수조바디(511)의 상단부에 개구된 단면적의 크기보다 좁은 면적을 가진다. 유입구통로(5121a)는, 하측단부의 면적이 상측단부의 면적보다 좁게 형성된다. 즉, 유입구통로(5121a)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넓어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특히, 유입구통로(5121a)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전면이 전방으로 경사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는, 수조바디(511)가 전방으로 기울어지도록 배치될 때, 수조바디(511) 내측에 저장된 물이 전방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측커버(512)의 외측전면에는, 손잡이(5122)가 배치된다. 손잡이(5122)는 ‘ㄷ’자 형상을 가지고, 상측커버(512)의 외측 양측면에 양단부가 회전가능하게 배치된다.
하측커버(513)는 수조바디(511)의 하단부와 결합되어, 수조바디(511)로 물이 저장될 수 있게 한다. 하측커버(513)에는, 수조바디(511)에 저장된 물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된다. 수조바디(511)에 저장된 물은 배출구를 통해 배수되어 히팅부(56)로 공급될 수 있다.
하측커버(513)의 배출구에는, 배출구를 개폐하는 물공급밸브(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물공급밸브는 히팅부(56)에 저장된 물의 높이에 따라 배출구를 개폐할 수 있다.
수조틸팅기어(5131)는, 하측커버(513)의 후방에 형성된다. 수조틸팅기어(5131)는,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며, 후방면으로 틸팅모듈(54)의 틸팅기어(543)와 맞물리는 치형이 형성된다. 수조틸팅기어(5131)의 치형이 형성되는 후방면은 후방으로 볼록한 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수조틸팅기어(5131)에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수조베이스(53)에 형성되는 틸팅가이더(533)가 삽입되는 가이드홈(5131a)이 형성된다. 가이드홈(5131a)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고, 후방으로 볼록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수조하우징(52)은, 베이스부(12)의 내측에서 배치되는 수조(51)를 베이스부(12)의 내측공간과 구분한다. 수조하우징(52)은, 베이스부(12)의 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수조하우징(52)은, 베이스부(12)의 전면 일측을 커버하는 전방커버(521)와, 수조(51)의 적어도 일측면을 감싸는 수조커버(522)를 포함한다.
수조하우징(52)에는 수조(51)가 배치되는 수조배치공간(522a)을 형성하고, 수조배치공간(522a)은, 수조(51)의 상면, 양측면 및 후면을 커버할 수 있다. 수조커버(522)는 수조(51)가 배치되는 수조배치공간(522a)을 형성한다. 수조배치공간(522a)은, 수조(51)의 전면방향으로 개구된다. 따라서, 수조(51)는, 수조배치공간(522a)의 전방으로 인입되거나 인출될 수 있다.
수조커버(522)는, 수조(51)의 상면을 커버하는 상면커버(5221)와 수조의 둘레면을 커버하는 둘레면커버(5222)를 포함한다. 둘레면커버(5222)는 수조의 양측면 및 후면을 커버할 수 있다.
상면커버(5221)에는 자외선램프(552)에서 조사된 빛이 투과되도록 형성된 투과홀(5221a)이 형성된다. 상면커버(5221)에는 조명램프(59)에서 조사된 빛이 수조(51)로 전달되도록 개구된 조명램프홀(5221b)이 형성된다. 조명램프홀(5221b)은, 상면커버(5221)에서, 투과홀(5221a)의 후방에 배치된다.
수조베이스(53)는, 수조(51)가 안착되는 구조를 가진다. 수조(51)는 수조베이스(53)의 상측에서 수직하게 배치되거나, 전방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수조베이스(53)는 수조(51)의 하측에 배치되는 베이스바디(531), 베이스바디(531)의 후방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수조하우징(52) 후방으로 배치되는 수조하우징 지지부(532) 및 베이스바디(531)의 후방에서 상측으로 연장되고, 가이드홈(5131a)에 삽이되어 수조(51)가 틸팅을 가이드하는 틸팅가이더(533)를 포함한다.
수조베이스(53)는 히팅부(56)와 연결되어, 수조(51)에서 배출된 물을 히팅부(56)로 보낼 수 있다. 소주베이스(53)의 내측에는 물공급밸브(5133)로부터 유입되는 물을 히팅부(56)로 보내는 물공급부재(5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틸팅모듈(54)은, 틸팅모터(542), 틸팅모터(542)에 의해 구동하며, 수조틸팅기어(5131)와 맞물리는 복수의 틸팅기어(543), 및 틸팅모터(542)와 복수의 틸팅기어(543)의 외형을 둘러싸는 틸팅모듈 하우징(541)을 포함한다. 복수의 틸팅기어(543)는, 틸팅모터(542)와 동일한 회전축을 가지고, 회전하는 제1틸팅기어(5431)와, 제1틸팅기어(5431)와 맞물려 회전하고, 수조틸팅기어(5131)와 맞물리는 제2틸팅기어(5432)를 포함한다. 제2틸팅기어(5432)는, 서로 다른 반경을 가지는 복수의 기어를 가질 수 있다. 제2틸팅기어(5432)는, 제1틸팅기어(5431)와 맞물리는 제2-1틸팅기어(5432a)와, 수조틸팅기어(5131)와 맞물리는 제2-2틸팅기어(5432b)를 포함한다. 제2-1틸팅기어(5432a)와 제2-2틸팅기어(5432b)는 동일한 회전축을 가지고, 같이 회전하고, 서로 다른 반경을 가질 수 있다.
자외선모듈(55)은,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램프(552), 수조하우징(52) 상측에 배치되고, 자외선램프(552)가 거치되는 자외선모?뽀臼貽?(551), 자외선램프(552)의 상측에 배치되어 자외선램프(552)로 전원을 공급하는 자외선기판(553), 자외선램프(552)의 주변에 배치되며, 오목한 반사면이 형성되는 반사판커버(554), 반사판커버(554)의 하측에 배치되며, 투명한 석영창(555)을 포함한다.
자외선모?뽀臼貽?(551)은, 수조하우징(52)의 상측에 배치된다. 자외선모?뽀臼貽?(551)의 하단부는 수조하우징(52)의 상면과 접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자외선모?뽀臼貽?(551)에는, 수조하우징(52)의 투과홀(5221a) 상측에서 자외선램프홀(551a)이 형성된다. 자외선램프홀(551a)의 상측에 석영창(555) 및 자외선램프(552)가 배치된다.
자외선모?뽀臼貽?(551)에는 자외선램프홀(551a)이 형성되는 부분에서 반사판커버(554)와 결합하도록 상측으로 돌출된 램프홀리브(551b)가 형성된다. 램프홀리브(551b)는 상단에서 반사판커버(554)와 결합된다. 램프홀리브(551b)와 결합되는 반사판커버(554)의 하단부에는 석영창(555)이 배치된다. 석영창(555)은 원판형상을 가지고, 투명하게 형성될 수 있다.
반사판커버(554)는 자외선램프(552)가 배치된 부분으로부터 하측방향으로 직경이 넓어지는 원뿔형태를 가질 수 있다. 반사판커버(554) 자외선램프(552)로부터 멀어지는 단면 사이에 형성되는 경사각이 자외선램프(552)가 빛을 조사하는 각도범위(θ3)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자외선램프(552)는, 수조(51)가 배치된 하측방향으로 빛을 조사한다. 자외선램프(552)는 수조(51)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다. 자외선램프(552)가 수조(51)의 상단부로부터 이격된 간격(G1)은, 자외선모?뽀臼貽?(551)에 형성되는 자외선램프홀(551a)의 직경(D1)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자외선램프(552)가 수조(51)의 상단부로부터 이격된 간격(G1)은, 자외선모?뽀臼貽?(551)에 형성되는 자외선램프홀(551a)의 직경(D1)에 1/2배 내지 2/3배의 간격을 가질 수 있다.
자외선램프(552)는 일정각도의 조사각(θ3)을 가지고, 수조(51)를 향해 빛을 조사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램프(552)의 조사각(θ3)은 110도 내지 130도 범위로 형성될 수 있다.
자외선램프(552)는, 상측커버(512)가 형성하는 유입구(5121)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자외선램프(552)의 하측에 배치되는 자외선램프홀(551a) 및 투과홀(5221a)도 유입구(5121)의 상측으로 배치될 수 있다.
자외선램프(552)에서 조사된 자외선은 석영창(555)을 투과하여 자외선램프홀(551a) 및 투과홀(5221a) 통과한다. 자외선은 수조(51)의 상측커버(512)에 형성된 유입구통로(5121a)를 통과하여 수조바디(511)에 저장된 물에 조사된다.
조명램프(59)는, 자외선램프(552)의 후방에 배치된다. 수조(51)가 전방으로 틸팅되지 않을 때, 조명램프(59)는, 상측커버(512)의 개구되지 않은 부분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조명램프(59)는, 수조(51)가 전방으로 틸팅될 때, 수조(51)의 후방면으로 빛을 조사할 수 있다. 사용자는 틸팅된 상태에서 조명램프(59)에 조사된 빛으로 수조(51) 내부에 저장된 물의 량을 확인할 수 있다. 조명램프(59)는, LED램프를 사용할 수 있다.
히팅부(56)는 수조(51)에서 배출된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생성할 수 있다. 히팅부에서 생성된 스팀은 가습팬의 작동으로 유입되는 공기와 혼합되어 가습노즐(57)로 배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습노즐(57)은 측면토출구(14a) 방향으로 가습된 공기를 배출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가습유로관(58)은, 히팅부(56)와 가습노즐(57)을 연결하여, 히팅부(56)에서 생성된 가습공기를 가습노즐(57)로 보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습 어셈블리(Ⅴ)는, 수조(51)에 저장된 물의 량을 측정하는 수위센서(810, 도 12 참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위센서(810)는, 수조(51)에 저장된 물에 의한 수압을 바탕으로 수위를 감지하거나, 수조의 일측에 배치되는 홀세서를 통해 수위를 감지하거나, 수조(51) 내측에 배치되는 플로터의 위치를 기준으로 감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수위센서(810)는 수조(51)에 저장된 수위를 복수단계로 감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수위센서(810)는 수조(51)에 물이 모두 빠진 상태를 감지하거나, 수조(51)에 물이 저장된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수위센서(810)는 수조(51)에 물이 저장된 경우, 복수의 구간으로 구분된 수위를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 관련구성>
이하에서는 도 12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 및 그 관련 구성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자외선램프(552)를 작동을 조절하는 제어부(80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도어패널(21)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센서(8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위치센서(820)는, 도 2와 같이, 도어패널(21)이 수조(51)를 전방으로 노출시킨 상태나, 도 1과 같이, 도어패널(21)이 수조(51)의 전방을 가리는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800)는, 자외선램프(552)를 온/오프 시킬 수 있다. 제어부(800)는, 수조(51)에 물이 존재하는 경우, 자외선램프(552)를 작동시킬 수 있다. 제어부(800)는, 수조(51)에 물이 존재하는 경우, 일정주기로 자외선램프(552)를 작동시킬 수 있다. 제어부(800)는, 수위센서(810)에서 감지되는 수조(51)에 존재하는 수위에 따라 자외선램프(552)를 작동 주기를 조절할 수 있다. 제어부(800)는, 수위센서(810)에서 감지되는 수조(51)에 물이 존재유무를 바탕으로 자외선램프(552)를 작동을 조절할 수 있다.
제어부(800)는, 수조(51)의 배치에 따라 자외선램프(552)를 작동시킬 수 있다. 제어부(800)는, 수조(51)가 전방으로 틸팅되지 않은, 기본배치 상태에서 자외선램프(552)가 온 상태가 되도록 설정하고, 수조(51)가 전방으로 틸팅된 틸팅배치 상태에서, 자외선램프(552)가 오프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800)는 도어패널(21)의 위치에 따라 자외선램프(552)를 작동시킬 수 있다. 제어부(800)는, 도 1과 같이, 도어패널(21)이 수조(51)의 전방을 가린 상태에서 자외선램프(552)가 온 상태를 유지하고, 도어패널(21)이 수조(51)의 전방을 노출시킨 상태에서 자외선램프(552)가 오프상태를 유지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800)는, 수조(51)에 저장된 수위를 바탕으로 자외선램프(552)의 작동주기를 조절할 수 있다. 제어부(800)는, 수조(51)의 수위가 일정수위를 초과하는 경우, 자외선램프(552)의 작동주기의 간격을 좁히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800)는, 수조(51)의 수위가 일정수위 이하 일때에는, 일정수위를 초과하는 경우보다 상대적으로 자외선램프(552)의 작동주기의 간격을 넓게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800)는, 조명램프(59)를 온/오프 시킬 수 있다. 제어부(800)는, 수조(51)가 틸팅될 때, 조명램프(59)를 작동시킬 수 있다. 제어부(800)는, 수조(51)가 전방으로 틸팅된 틸팅상태에서 조명램프(59)가 온 상태가 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800)는, 수조배치공간 (522a) 내측에 배치된 기본배치 상태에서 조명램프(59)가 오프 상태가 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800)는, 자외선램프(552)와 조명램프(59)가 상호적으로 작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수조(51)가 전방으로 틸팅된 틸팅배치 상태에서, 자외선램프(552)가 오프되고, 조명램프(59)가 온 상태가 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수조(51)가 수조배치공간(522a) 내측에 배치된 기본배치 상태에서 조명램프(59)가 오프 상태를 유지하고, 자외선램프(552)가 온 상태를 유지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Ⅰ : 캐비닛 어셈블리
Ⅱ : 도어 어셈블리
Ⅲ : 송풍팬 어셈블리 Ⅴ : 가습 어셈블리
11 : 상부캐비닛 12 : 베이스부
21 : 도어패널 211a : 전방토출구
25 : 토출구커버 51 : 수조
511 : 수조바디 512 : 상측커버
513 : 하측커버 52 : 수조하우징
522a : 수조배치공간 53 : 수조베이스
533 : 틸팅가이더 54 : 틸팅모듈
55 : 자외선모듈 551 : 자외선모듈 하우징
552 : 자외선램프 553 : 자외선기판
554 : 반사판커버 555 : 석영창
56 : 히팅부 57 : 가습노즐
Ⅲ : 송풍팬 어셈블리 Ⅴ : 가습 어셈블리
11 : 상부캐비닛 12 : 베이스부
21 : 도어패널 211a : 전방토출구
25 : 토출구커버 51 : 수조
511 : 수조바디 512 : 상측커버
513 : 하측커버 52 : 수조하우징
522a : 수조배치공간 53 : 수조베이스
533 : 틸팅가이더 54 : 틸팅모듈
55 : 자외선모듈 551 : 자외선모듈 하우징
552 : 자외선램프 553 : 자외선기판
554 : 반사판커버 555 : 석영창
56 : 히팅부 57 : 가습노즐
Claims (10)
- 후방으로 흡입구를 형성하는 상부캐비닛과 상기 상부캐비닛을 지지하도록 상기 상부캐비닛 하측에 배치되는 베이스부를 포함하는 캐비닛 어셈블리;
상기 베이스부 내측에 배치되고,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수조;
상기 수조에서 물을 공급받아 가열하는 히팅부;
상기 히팅부에서 히팅된 가습공기를 상기 캐비닛 어셈블리 외부로 토출하는 가습노즐;
상기 상부캐비닛과 상기 베이스부의 전면 일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캐비닛 어셈블리의 전방에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수조의 전방에 배치되거나, 상기 수조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도어패널;
상기 베이스부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수조로부터 상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수조에 저장된 물을 살균하는 자외선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도어패널이 상기 수조의 전방에 배치될 때, 상기 자외선모듈이 작동되어, 상기 수조를 살균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패널의 이동으로 상기 수조가 외부로 노출될 때, 상기 수조를 전방으로 기울이는 틸팅모듈; 및
상기 수조가 전방으로 틸팅될 때, 상기 수조에 빛을 조사하는 조명램프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램프는, 상기 자외선모듈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수조가 전방으로 틸팅될 때, 수조의 후방면으로 빛을 조사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의 전면 일측을 커버하고, 상기 수조가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수조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수조하우징의 상측으로 자외선모듈이 배치되며,
상기 수조하우징의 상부면에는, 상기 자외선모듈에서 조사된 빛이 투과되도록 투과홀이 형성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하우징의 상부면에는, 상기 조명램프에서 조사된 빛이 투과되는 조명램프홀이 형성되고,
상기 조명램프홀은, 상기 투과홀로부터 후방으로 일정간격 이격 배치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모듈은,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램프;
상기 자외선램프가 거치되는 자외선모듈하우징;
상기 자외선램프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자외선램프로 전원을 공급하는 자외선기판;
상기 자외선램프 주변에 배치되며, 오목한 반사면이 형성되는 반사판커버; 및
상기 반사판커버 하측에 배치되며, 투명한 석영창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는,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수조바디;
상기 수조바디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측으로 유입구를 형성하는 상측커버; 및
상기 수조바디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히팅부로 물을 공급하는 하측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하측커버의 일측에는, 상기 틸팅모듈과 맞물려 상기 수조바디의 배치를 조절하는 수조틸팅기어가 배치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투과홀은, 상기 상측커버의 상기 유입구 상측에 배치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모듈의 작동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어패널이 이동하여, 상기 수조의 전방이 외부로 노출될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외선모듈의 작동을 중지시키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위센서에서 감지되는 상기 수조의 수위를 바탕으로 자외선램프의 작동주기를 조절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24958A KR102702483B1 (ko) | 2019-03-04 | 2019-03-04 |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24958A KR102702483B1 (ko) | 2019-03-04 | 2019-03-04 |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06420A true KR20200106420A (ko) | 2020-09-14 |
KR102702483B1 KR102702483B1 (ko) | 2024-09-03 |
Family
ID=72471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24958A KR102702483B1 (ko) | 2019-03-04 | 2019-03-04 |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702483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110947A (zh) * | 2021-11-17 | 2022-03-01 | 海信(山东)空调有限公司 | 控制空调杀菌的方法、空调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
KR20230072979A (ko) * | 2021-11-18 | 2023-05-25 | 오텍캐리어 주식회사 | 에어컨디셔너용 가습기 모듈 |
KR20230072980A (ko) * | 2021-11-18 | 2023-05-25 | 오텍캐리어 주식회사 | 가습기 모듈을 구비하는 에어컨디셔너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70047102A (ko) * | 2005-11-01 | 2007-05-0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제습기 |
KR101424733B1 (ko) * | 2007-07-05 | 2014-08-0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공기조화기 |
KR101588126B1 (ko) * | 2014-07-09 | 2016-01-2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제습기 |
KR20160044881A (ko) * | 2014-10-16 | 2016-04-2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에어워셔의 제어방법 |
KR20170051181A (ko) * | 2015-10-30 | 2017-05-1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공기조화기 |
-
2019
- 2019-03-04 KR KR1020190024958A patent/KR10270248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70047102A (ko) * | 2005-11-01 | 2007-05-0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제습기 |
KR101424733B1 (ko) * | 2007-07-05 | 2014-08-0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공기조화기 |
KR101588126B1 (ko) * | 2014-07-09 | 2016-01-2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제습기 |
KR20160044881A (ko) * | 2014-10-16 | 2016-04-2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에어워셔의 제어방법 |
KR20170051181A (ko) * | 2015-10-30 | 2017-05-1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공기조화기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110947A (zh) * | 2021-11-17 | 2022-03-01 | 海信(山东)空调有限公司 | 控制空调杀菌的方法、空调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
KR20230072979A (ko) * | 2021-11-18 | 2023-05-25 | 오텍캐리어 주식회사 | 에어컨디셔너용 가습기 모듈 |
KR20230072980A (ko) * | 2021-11-18 | 2023-05-25 | 오텍캐리어 주식회사 | 가습기 모듈을 구비하는 에어컨디셔너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702483B1 (ko) | 2024-09-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200106420A (ko) |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
US11414313B2 (en) | Water purifier | |
KR20110099351A (ko) | 젖병 살균기 | |
KR102064218B1 (ko) | 공기조화기 | |
US10926990B2 (en) | Liquid dispensor | |
KR101560084B1 (ko) | 살균 효과를 증가시키는 살균 디퓨저 및 이를 포함하는 실내 살균 시스템 | |
KR20090076092A (ko) | 공기조화기 | |
JP5569017B2 (ja) | 空気調和機 | |
KR100942549B1 (ko) |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 |
KR101482132B1 (ko) | 벽걸이형 증발식 가습기 | |
KR102655280B1 (ko) | 가습어셈블리 | |
KR20230105505A (ko) | 옷걸이 장치 | |
KR20230105753A (ko) | 옷걸이 장치 | |
KR101868371B1 (ko) | 스텐드형 공기조화기 | |
KR20230105500A (ko) | 옷걸이 장치 | |
TWI823038B (zh) | 內藏式紫外線殺菌裝置 | |
KR20200002749A (ko) | 공기조화기 | |
KR101507812B1 (ko) | 공기조화기 | |
KR101514004B1 (ko) | 공기조화기 | |
JP2002213779A (ja) | 加湿機 | |
JP2024013246A (ja) | 貯水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加湿装置 | |
KR20230105501A (ko) | 옷걸이 장치 | |
KR20230105504A (ko) | 옷걸이 장치 | |
KR102391587B1 (ko) | 공기조화장치 | |
KR20230105747A (ko) | 옷걸이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X091 | Application refused [patent]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