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4733B1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4733B1
KR101424733B1 KR1020070067600A KR20070067600A KR101424733B1 KR 101424733 B1 KR101424733 B1 KR 101424733B1 KR 1020070067600 A KR1020070067600 A KR 1020070067600A KR 20070067600 A KR20070067600 A KR 20070067600A KR 101424733 B1 KR101424733 B1 KR 1014247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water
unit
water supply
humid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76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3870A (ko
Inventor
강제남
이주연
반재광
이정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676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4733B1/ko
Publication of KR200900038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38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47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47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24F1/0014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having two or more outlet ope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9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the supplied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공조 공기가 토출되는 공기 토출 유닛과, 상기 공기 토출 유닛을 통해 공기를 송풍시키는 팬을 포함하는 공조부와; 상기 공조부에 설치된 가습기와; 상기 가습기로 물을 공급하도록 급수원에 연결된 급수 기구를 포함하여, 가습기와 공조부가 일체로 구성되므로, 가습기와 공조부가 실내에 별도로 설치될 때 보다 실내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고, 냉방과 동시에 실내를 가습 할 수 있어 실내의 쾌적성을 높일 수 있으며, 실내의 온도와 함께 습도를 최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고, 가습기에 급수원에 연결된 급수기구가 연결되어 가습에 필요한 물을 계속하여 공급할 수 있으므로, 가습기로 물을 수시로 채울 필요가 없고 사용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이점이 있다.
공기조화기, 공기 토출 유닛, 팬, 공조부, 가습기, 급수원, 급수 기구

Description

공기조화기{Air cond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공조부에 가습기가 설치되고 가습기에 급수원에 연결된 급수 기구가 연결된 공기조화기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압축기와 응축기와 팽창기구와 증발기를 포함하는 냉동 사이클을 이용하여 실내를 냉방 또는 난방시키는 장치이다.
상기 공기조화기는 실내의 방이나 거실에 상시 설치되어 한쪽 벽면의 공간을 차지하면서 실제 사용에 있어서 냉방 및 난방만을 주 기능으로 사용하므로, 계절적으로 한시적으로 사용하게, 타 가전제품에 비해서 그 이용기간이 짧은 문제점이 있고, 냉방시 실내 공기를 제습하는 기능만을 할 뿐 실내를 가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실내에 공기조화기와 통상적인 가습기를 별도로 설치할 경우 실내 공간 활용이 용이하지 못하고, 가습기로 물을 수시로 채워넣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냉방과 동시에 실내를 가습 할 수 있어 실내의 쾌적성을 높일 수 있고 실내의 온도와 함께 습도를 최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습을 위한 물 저장통이 불필요하고 위생적인 가습이 가능하며 사용의 편의성이 증대된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분이 함유된 냉기가 토출될 수 있어 사용자에게 시원함과 촉촉함을 함께 제공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공조 공기가 토출되는 공기 토출 유닛과, 상기 공기 토출 유닛을 통해 공기를 송풍시키는 팬을 포함하는 공조부와; 상기 공조부에 설치된 가습기와; 상기 가습기로 물을 공급하도록 급수원에 연결된 급수 기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습기는 저수조와, 상기 저수조의 물을 펌핑시키도록 설치된 펌프와; 상기 펌프에서 펌핑된 물이 흐르도록 설치된 가습 패널을 포함한다.
상기 가습 패널은 상기 공조부의 전방에 설치된 실내 분수대이거나, 복사열 패널로 이루어진다.
상기 공기 토출 유닛은 상기 가습 패널을 향하는 면에 제 1 공기 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면 이외의 면에 제 2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다.
상기 가습 패널의 상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공기 토출구는 상기 공기 토출구 유닛의 하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 2 공기 토출구는 상기 공기 토출구 유닛의 전면에 형성된다.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공기 토출 유닛을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풍향 조절기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풍향 조절기구는 상기 제 1 공기 토출구를 개폐함과 아울러 풍향을 조절하는 제 1 풍향 조절기구와, 상기 제 2 공기 토출구를 개폐함과 아울러 풍향을 조절하는 제 2 풍향 조절기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는 저수조와, 상기 저수조의 물을 가열하는 스팀 발생기와; 상기 스팀 발생기에 의해 발생된 스팀을 상기 공조부에 형성된 공조 유로로 안내하는 스팀 유로를 포함한다.
상기 급수원은 수도 배관이고, 상기 급수기구는 상기 수도 배관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가습기에 연결된 물 공급 호스를 포함한다.
상기 급수기구는 상기 물 공급 호스에 설치된 정수 필터를 더 포함한다.
상기 급수기구는 상기 물 공급 호스를 통해 급수되는 물을 단속하는 급수 밸브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저수조의 물을 배수하는 배수기구를 더 포함한다.
상기 공조부는 실내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 흡입 유닛과, 상기 공기 흡입 유 닛로 흡입된 공기를 상기 공기 토출 유닛으로 안내하는 공조 유로와, 상기 공기 흡입 유닛으로 흡입된 공기를 냉매와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를 더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가습기가 공조부에 설치되어 가습기와 공조부가 일체로 구성되므로, 가습기와 공조부가 실내에 별도로 설치될 때 보다 실내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고, 냉방과 동시에 실내를 가습 할 수 있어 실내의 쾌적성을 높일 수 있으며, 실내의 온도와 함께 습도를 최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고, 가습기에 급수원에 연결된 급수기구가 연결되어 가습에 필요한 물을 계속하여 공급할 수 있으므로, 가습기로 물을 수시로 채울 필요가 없고 사용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공조부가 저수조와, 저수조의 물을 펌핑시키도록 설치된 펌프와; 펌프에서 펌핑된 물이 흐르도록 설치된 가습 패널로 이루어져, 간단하고 안전한 구성으로 실내를 가습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가습 패널이 공조부의 전방에 설치된 실내 분수대로 이루어져, 가습 패널이 공기조화기의 전면부 미관을 형성하므로 장식미가 향상됨과 아울러 공기조화기가 실내 인테리어를 향상시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가습 패널이 복사열 패널로 이루어져, 공조부의 미작동시에도 실내를 직접 냉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공기 토출 유닛 중에서 가습 패널을 향하는 면에 제 1 공기 토출구가 형성되어 실내를 송풍 가습할 수 있으므로 실내의 습도를 신속하고 효율좋게 높일 수 있고, 공기 토출 유닛 중에서 제 1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면 이외의 면에 제 2 공기 토출구가 형성되어 공조 공기 즉, 냉기를 실내로 신속하게 토출되게 할 수 있으므로 실내를 신속하게 공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공기 토출 유닛을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풍향 조절기구를 포함하여, 공기를 가습 패널과 공기조화기의 전방 중 어느 일측을 향해 집중 토출할 수 있어, 사용자 등의 요구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가습기가 저수조와, 저수조의 물을 가열하는 스팀 발생기와, 스팀 발생기에 의해 발생된 스팀을 상기 공조부에 형성된 공조 유로로 안내하는 스팀 유로를 포함하여, 자연 가습이나 송풍 가습 보다 다량의 수분을 실내로 신속하게 공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급수기구가 수도 배관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가습기에 연결된 물 공급 호스를 포함하여, 별도의 물 저장통 없이 실내를 지속적으로 가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물 공급 호스에 설치된 정수 필터를 더 포함하여, 위생적인 가습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물 공급 호스를 통해 급수되는 물을 단속하는 급수 밸브를 더 포함하여, 사용자가 수도 배관 등을 수동으로 조작할 필요가 없으므로, 사용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저수조의 물을 배수하는 배수기구를 더 포함 하여, 가습 기능의 미사용시 저수조로 비울 수 있으므로, 저수조 내에 물이 장시간 남아 있을 때 발생될 수 있는 세균 등의 번식을 방지할 수 있고, 위생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계절이나 기후에 무관하게 실내를 편리하게 제습과 가습할 수 있고, 냉방병 등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수분 송풍 모드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일반 공조 모드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수분 공조 모드시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운전 정지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습기(10)와 공조부(50)가 일체로 구성되고, 가습기(10)에 의해 실내가 가습되는 수분 송풍 모드로 작동되거나, 공조부(50)를 통해서 실내가 공조되는 일반 공조 모드로 작동되거나, 가습기(10)와 공조부(50)에 의해 실내가 가습되면서 동시에 공조되는 수분 공조 모드로 작동된다.
가습기(10)는 공조부(50)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고, 공조부(50)의 외부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하 공조부(50)의 전방부에 설치되어 공기조화기 의 전면부 전체 혹은 일부의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가습기(10)는 저수조(12)와, 저수조(12)의 물을 펌핑시키도록 설치된 펌프(14)와; 펌프(14)에서 펌핑된 물이 흐르도록 설치된 가습 패널(16)을 포함한다.
저수조(12)는 대략 상면이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고, 공조부(50)의 전방 하부에 위치되게 설치된다.
펌프(14)는 저수조(12)의 후방이나 옆이나 하측에 설치된다.
가습 패널(16)은 가습 패널(16)에서 흘러내린 물이 저수조(12)로 낙하되도록 저수조(12)의 상측에 위치되게 설치된다.
가습 패널(16)은 장식미를 갖는 실내 분수판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고, 공조부(50)의 미작동시 직접 냉방에 이용될 수 있도록 복사열 패널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펌프(14)에는 펌핑된 물을 가습 패널(16)의 상부로 안내하는 유로인 가습 호스(15)가 연결된다.
가습 호스(15)는 외부에서 보이지 않거나 보이는 부분이 최소화되도록 가습 패널(16)의 후방에 상하로 길게 배치된다.
가습 호스(15)는 일단이 펌프(14)에 연결되고, 가습 패널(16)의 상부를 넘거나 가습 패널(16)의 상부에 형성된 호스 관통홀을 관통하여, 타단이 가습 패널(16)의 상부 전방에 배치되게 설치된다.
가습기(10)에는 급수원(20)과 연결되어 급수원(20)에서 급수되는 물을 가습기(10)로 급수하는 급수기구(22)가 연결된다.
급수원(20)은 통상적으로 주택 등의 건축물에 설치되어 외부에서 공급되는 물을 주택 등에 공급하는 수도 배관으로서, 아파트와 같은 건축물의 경우에는 공조부(10)가 설치되는 실내(I)와 구획된 베란다(B)에 설치되는 수도 배관이고, 이하 베란다에 설치된 수도 배관인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급수기구(22)는 수도 배관에 일단이 연결되고 실내(I)와 베란다(B) 사이의 벽을 관통하며, 타단이 공기조화기 특히 가습기(10)에 연결된 물 공급 호스(24)를 포함한다.
급수기구(22)는 수도 배관을 통해 공급된 물을 정수하는 정수 필터(26)와 소비자 등이 기호에 따라 방향액체 등이 담겨지는 방향통 등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정수 필터(26) 등은 가습기(10)와 공조부(50)를 분해하지 않고도 그 내부의 필터나 방양액체를 교체/보충할 수 있도록 가습기(10)와 공조부(50)의 외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물 공급 호스(24) 중에서 베란다에 위치하는 부분에 설치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급수기구(22)는 물 공급 호스(24)를 통해 급수되는 물을 단속하는 급수 밸브(28)를 더 포함하는 바, 가습기(10)의 작동시 사용자 등이 급수원(20)인 수도 배관을 열고, 가습기(10)의 미작동시 사용자 등이 급수원(20)인 수도 배관을 잠그는 것도 가능하나, 급수 밸브(28)가 포함되어 가습기(10)의 작동시 급수 밸브(28)가 물을 통과시키고, 가습기(10)의 미작동시 급수 밸브(28)가 물의 공급을 차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저수조(12)의 물을 배수하는 배수기 구(30)를 더 포함한다.
배수기구(30)는 공기조화기 특히 가습기(10)의 미사용시 저수조(12) 내에 물이 남아 있게 되면, 저수조(12) 내에 인체에 유해한 세균 등이 번식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저수조(12)의 물을 베란다(B)나 실외(O)로 안내하는 배수 호스(32)와, 배수 호스(32)를 통해 배수되는 물을 단속하는 배수 밸브(34)를 포함한다.
배수 호스(32)는 일단이 저수조(12)에 연결되고 실내(I)와 베란다(B) 사이의 벽을 관통하며, 타단이 베란다(B)나 실외(O)로 연장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배수 호스(32)는 타단이 후술하는 드레인 팬(76)이나 드레인 호스(78)에 연결되어 드레인 호스(78)를 통해 물이 배수되게 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가습기(10)는 저수조(12)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 센서(36)를 포함한다.
한편, 공조부(50)는 냉동 사이클을 이용하여 실내를 냉방시키거나 난방시키는 부분으로서, 벽걸이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나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이거나 스탠드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고 일체형 공기조화기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고, 이하 벽걸이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공조부(50)는 실내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 흡입 유닛(52)과, 공조 공기가 토출되는 공기 토출 유닛(54)과; 공기 흡입 유닛(52)을 통해 실내의 공기를 흡 입하여 공기 토출 유닛(54)을 통해 토출시키는 팬(62)과; 공기 흡입 유닛(52)로 흡입된 공기를 공기 토출 유닛(54)로 안내하는 공조 유로(64)를 형성하는 케이스(65)와, 공기 흡입 유닛(52)을 통해 흡입된 공기를 냉매와 열교환기시키는 실내 열교환기(68)를 포함한다.
공기 흡입 유닛(52)은 실내의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 흡입구(51)가 형성되고, 공기 흡입구에서 실내에서 흡입되는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 등의 공기정화유닛(53)이 설치된다.
공기 흡입 유닛(52)은 가습기(10)의 하측에 위치되게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고, 공조부(50)의 전,후,상,하,좌,우측부 중 일측을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하 공기 토출 유닛(54)에 의해 토출된 공기가 실내(I)로 확산되지 않고 공조부(50) 내부로 곧바로 흡입되는 것이 최소화되도록 공조부(50)의 하측부를 구성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공기 토출 유닛(54)은 공조부(50)의 전,후,상,하,좌,우측부 중 일측을 구성하는데, 가습기(10)가 공기조화기의 전면부 전체의 외관을 형성할 경우, 공조부(10)의 상측부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가습기(10)가 공기조화기의 전면부 일부의 외관을 형성할 경우, 가습 패널(16)을 향해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도록 공조부(10)의 전방 상부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기 토출 유닛(54)은 가습 패널(16)을 향하는 면에 제 1 공기 토출구(55)가 형성되고, 제 1 공기 토출구(55)가 형성된 면 이외의 면에 제 2 공기 토출구(56)가 형성된다.
공기 토출 유닛(54)은 하면 특히 가습패널의 전방 상측 위치에 제 1 공기 토출구(55)가 상하로 개구되게 형성되고, 전면에 제 2 공기 토출구(56)가 전후로 개구되게 형성된다.
공기조화기는 공기 토출 유닛(54)을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풍향 조절기구를 더 포함한다. 풍향 조절기구는 제 1 공기 토출구(55)와 제 2 공기 토출구(56)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하나의 풍향 조절기구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고, 제 1 공기 토출구(55)를 개폐함과 아울러 풍향을 조절하는 제 1 풍향 조절기구(57)(58)와, 제 2 공기 토출구(56)를 개폐함과 아울러 풍향을 조절하는 제 2 풍향 조절기구(59)(60)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하 가습기(10)와 공조부(50) 모두의 미사용시 제 1 공기 토출구(55)와 제 2 공기 토출구(56)를 모두 밀폐하도록 제 1 풍향 조절기구(57)(58)와 제 2 풍향 조절기구(59)(60)로 이루어진 것으로 설명한다.
제 1 풍향 조절기구(57)(58)는 제 1 공기 토출구(55)를 개폐함과 아울러 제 1 공기 토출구(55)를 통과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제 1 베인(57)과, 제 1 베인(57)을 회전시키도록 공기 토출 유닛(54)의 하면판 설치된 제 1 베인모터(58)를 포함한다.
제 2 풍향 조절기구(59)(60)는 제 2 공기 토출구(56)를 개폐함과 아울러 제 2 공기 토출구(56)를 통과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제 2 베인(59)과, 제 2 베인(59)을 회전시키도록 공기 토출 유닛(54)의 전면판에 설치된 제 2 베인모터(60)를 포함한다.
팬(62)은 공기 흡입 유닛(52)와 공기 토출 유닛(54)의 사이에 설치된 실내 팬으로서, 공조부(50)의 내부에 설치된 실내 팬모터(미도시)에 연결된다.
케이스(65)는 벽에 스크류 등으로 체결수단으로 직접 고정되거나 벽에 설치된 플레이트 등의 설치부재에 장착된다.
케이스(65)는 전면이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공기 흡입 유닛(52)이 공조부(50)의 하측을 구성할 경우 전면 및 하면이 개방되어 공기 흡입 유닛(52)에 의해 그 하면이 덮혀지게 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전체적으로 공기 토출 유닛(54)을 제외한 나머지 공조부(50)가 후방에 배치하고, 공조부(50)의 전방 상,하,중앙 중에서 전방 하부에 저수조(12)가 배치되고, 공조부(50)의 전방 중앙에 가습 패널(16)이 위치되며, 공조부(50)의 전방 상부에 공기 토출 유닛(54)이 배치된다.
공조부(50)는 케이스(65)의 전면을 막는 별도의 차폐 패널이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나, 저수조(12)가 케이스(65)의 전방 하부를 막고, 가습 패널(16)이 케이스(65)의 전방 중앙을 막고, 가습 패널(16)이 케이스(65)의 전방 상부와 통하도록 형성될 경우, 별도의 차폐 패널이 불필요한 구조가 된다.
한편, 공조부(50)는 실외(O)나 베란다(B)에 설치되는 실외기(70)와 냉매배관(71)으로 연결되고, 이하, 실내의 열을 빼앗아 실외기(70)를 통해 배출하는 냉방기로 이루어진 것으로 설명한다. 냉매배관(71)은 실내(I)와 베란다(R) 사이의 벽을 관통하여 배치된다.
실외기(70)에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72)와, 압축기(72)에서 압축된 냉매 가 응축되는 실외 열교환기(73)와, 실외 열교환기(73)에서 응축된 냉매가 팽창되는 팽창기구(미도시)와, 실외 공기가 실외 열교환기(73)와 열교환되게 송풍시키는 실외 팬(74) 및 실외 팬모터(75)를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급수 호스(24)와 배수 호스(32) 등이 냉매배관(71)이 관통하도록 벽에 형성되는 배관 관통홀을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참조부호 76는 열교환기(68)에서 낙하된 응축수를 받는 드레인 팬이고, 참조부호 78은 드레인 팬에 낙하된 응축수를 베란다(R)나 실외(O)로 안내하는 드레인 호스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제어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등이 수분 송풍 모드와 일반 공조 모드와 수분 공조 모드 등의 모드를 입력하는 입력부(80)와, 입력부(80)의 입력에 따라 펌프(14)와 급수 밸브(28)와 배수 밸브(34)와 제 1 베인모터(58)와 제 2 베인 모터(60)와 실내 팬모터(63)와 압축기(72)와 실외 팬모터(75) 등을 제어하는 제어부(90)를 포함한다.
제어부(90)는 수분 송풍 모드의 초기인 경우나, 수본 공조 모드의 초기인 경우 등과 같이 저수조(12)로의 급수가 필요할 경우, 저수조(12)로의 급수를 설정시간 동안만 실시한 후 단수하는 것도 가능하고, 수위 센서(36)에서 감지된 수위에 따라 실시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제어부(90)가 수분 송풍 모드의 초기인 경우나, 수본 공조 모드의 초기인 경우나, 저수조(12)의 물이 기준치 미만으로 낮아진 경우 등과 같이 저수조(12)로의 급수가 필요할 경우, 수위 센서(36)에서 감지된 수위가 설정치 미만이면 급수 밸브(28)가 물을 급수하도록 급수 밸브(28)를 급수 모드로 제어하고, 수위 센서(36)에서 감지된 수위가 설정치 이상이면 급수 밸브(28)가 물을 급수를 중지하도록 급수 밸브를 단수 모드로 제어하는 것도 가능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입력부(80)를 통해 수분 송풍 모드가 입력되면, 제어부(9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 팬모터(63)를 구동시키고, 제 1 베인모터(58)를 개방모드로 제어함과 아울러 제 2 베인모터(60)를 밀폐모드로 제어하며, 급수 밸브(34)를 급수 모드로 제어하며 펌프(14)를 구동시킨다.
급수 밸브(34)의 급수 모드 제어시, 수도 배관(20)의 물은 급수 호스(24)를 통해 실내측으로 이동되면서 정수 필터(26)를 통과여서 정수되고, 실내측으로 이동된 후 급수 밸브(34)를 통과하여 저수조(12)에 담겨진다. 제어부(90)는 수위 센서(36)에서 감지된 수위가 설정치 이상이면 급수 밸브(28)가 물을 급수를 중지하도록 급수 밸브(28)를 단수 모드로 제어한다.
그리고, 펌프(14)의 구동시 저수조(12) 내의 물은 가습 호스(15)를 통해 가 습 패널(16)의 전면 상부로 펌핑되어 가습 패널(16)의 전면을 따라 흐른 후 저수조(12) 내로 낙하되고, 물은 저수조(12)와 가습 호스(15)와 가습 패널(15)의 전면을 순환한다.
그리고, 제 1 베인모터(58)의 개방 모드시 제 1 베인(57)은 대략 수직하게 배치되도록 회전되어 제 1 공기 토출구(55)를 개방하고, 제 2 베인모터(58)의 밀폐 모드시 제 2 베인(59)는 대략 수직하게 배치되어 제 2 공기 토출구(56)를 밀폐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제어된 상태에서, 실내 팬모터(63)가 구동되면, 실내 공기는 공조부(50)의 공기 흡입 유닛(52)을 통과하여 공조부(50)의 내부로 흡입되고 실내 열교환기(68)를 열교환없이 통과한 후 제 1 공기 토출구(55)를 통해 토출된다. 제 1 공기 토출구(55)를 통해 토출된 공기는 가습기(10)의 가습 패널(16)의 전면에 부딪히면서 가습 패널(16)의 전면을 따라 흐르는 물과 접촉되고, 물의 수분을 실내(I)로 운반하고 실내(I)에는 수분이 다량 함유된 공기가 넓게 퍼지며, 실내의 습도는 상승된다.
한편, 입력부(80)를 통해 수분 송풍 모드의 정지가 입력되면, 실내 팬모터(63)를 구동 정지시키고, 제 1 베인모터(58)를 밀폐모드로 제어하며, 배수 밸브(34)를 배수 모드로 제어하며, 펌프(14)를 구동 정지시킨다.
상기와 같은 제어시 실내(I)에는 더 이상 수분이 다량 함유된 공기가 토출되지 않고, 저수조(12) 내의 물은 배수 호스(32)를 통해 베란다(R)나 실외(O)로 배수된다.
반면에, 입력부(80)를 통해 일반 공조 모드가 입력되면, 제어부(9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 팬모터(63)를 구동시키고, 제 1 베인모터(58)와 제 2 베인 모터(60) 중 적어도 하나를 개방모드로 제어하며, 압축기(72)를 구동시키고, 실외 팬모터(73)를 구동시킨다.
이하, 제어부(90)는 일반 공조 모드시 제 1 베인모터(58)를 개방 모드로 제어함과 아울러 제 2 베인 모터(60)를 밀폐모드로 제어하여 공조 공기가 실내의 하부로 신속하게 퍼지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고, 제 1 베인모터(58)를 밀폐 모드로 제어함과 아울러 제 2 베인 모터(60)를 개방모드로 제어하여 공조 공기가 실내의 상부로 신속하게 퍼지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하 제 1 베인모터(58)를 밀폐 모드로 제어함과 아울러 제 2 베인 모터(60)를 개방모드로 제어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압축기(72)의 구동시 압축기(72)에서 토출된 냉매는 실외 열교환기(73)을 통과하면서 응축되고, 이후 팽창기구를 통과하면서 팽창되며, 냉매 배관(71)을 통해 실내측으로 이동된다. 실내측으로 이동된 냉매는 공조부(50) 내부의 실내 열교환기(68)을 통과하면서 증발된 후 실외측으로 이동되고 압축기(72)로 순환된다.
그리고, 실내 팬모터(63)가 구동되면, 실내 공기는 공조부(50)의 공기 흡입 유닛(52)을 통과하여 공조부(50)의 내부로 흡입되고 실내 열교환기(68)와 열교환되어 냉각된 후 제 2 공기 토출구(56)를 통과해 공기조화기의 전방으로 토출된다. 이때, 실내(I)의 공기 중의 수분은 실내 열교환기(68) 표면에 응축된 후 드레인 팬(76)과 드레인 호스(78)를 통해 베란다(B)나 실외(O)로 배출되고, 실내의 습도는 낮아진다.
반면에, 입력부(80)를 통해 수분 공조 모드가 입력되면, 제어부(9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습기(10)를 수분 송풍 모드 시와 같이 제어하고, 공조부(50)를 일반 공조 모드 시와 같이 제어한다.
즉, 제어부(90)는 실내 팬모터(63)를 구동시키고, 압축기(72)를 구동시키며, 실외 팬모터(73)를 구동시키고, 급수 밸브(34)를 급수 모드로 제어하며 펌프(14)를 구동시킨다.
그리고, 제어부(90)는 수분 공조 모드시 제 1 베인모터(58)만을 개방 모드로 제어하고 제 2 베인 모터(60)를 밀폐모드로 제어하여 실내로 고습의 냉기가 토출되게 하는 것도 가능하고, 제 1 베인모터(58)와 제 2 베인 모터(60)를 모두를 개방모드로 제어하여, 실내의 하부로 수분이 다량 함유된 공기를 토출되게 하면서 공조 공기가 실내의 상부로 신속하게 퍼지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하 제 1 베인모터(58)와 제 2 베인 모터(60)를 모두를 개방모드로 제어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급수 밸브(34)의 급수 모드 제어시, 저수조(12)에는 물이 담겨지고, 펌프(14)의 구동시 저수조(12) 내의 물은 가습 호스(15)와 가습 패널(15)의 전면과 저수조(12)를 순환하며, 압축기(72)의 구동시 냉매는 실내 열교환기(68)는 주변의 공기를 냉각시키고, 제 1 베인모터(58)의 개방 모드시 제 1 공기 토출구(55)는 개 방되며, 제 2 베인모터(58)의 개방 모드시 제 2 공기 토출구(56)는 개방된다.
그리고, 실내 팬모터(63)의 구동시 실내 공기는 공조부(50)의 공기 흡입 유닛(52)을 통과하여 공조부(50)의 내부로 흡입되고 실내 열교환기(68)와 열교환되어 냉각된 후 제 1 공기 토출구(55)와 제 2 공기 토출구(56)를 통해 토출된다. 이때, 제 1 공기 토출구(55)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는 가습기(10)의 가습 패널(16)의 전면에 부딪히면서 가습 패널(16)의 전면을 따라 흐르는 물과 접촉되어 물의 수분을 실내(I)로 운반하면서 실내(I)로 넓게 퍼지고, 제 2 공기 토출구(56)를 통과해 토출되는 공기는 공기조화기의 전방으로 토출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다른 일실시예의 개략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다른 일실시예의 수분 송풍 모드시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다른 일실시예의 일반 공조 모드시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다른 일실시예의 수분 공조 모드시 단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다른 일실시예의 운전 정지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가습기(10′)가 습도가 높은 수증기 즉, 스팀을 발생하여 공조부(50′)의 공기 토출 유닛(54)을 통해 토출되게 하고, 급수원(20)과 급수기구(22)와 배수기구(30) 등의 기본적인 구성 및 작용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동일 부호를 사용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공조부(50′)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와 같이, 공기 흡 입 유닛(52)과, 공기 토출 유닛(54)과; 팬(62)과; 케이스(65)와, 실내 열교환기(68)를 포함하되, 적어도 하나의 위치 등이 상위하게 구성될 수 있는 바, 케이스(65)의 전방에 공기 흡입 유닛(52)이 배치되고, 케이스(65)의 상,하,좌,우 중 일측에 공기 토출 유닛(55)이 배치된다.
공기 토출 유닛(54)은 공조 공기가 토출되는 공기 토출구와, 스팀이 토출되는 공기 토출구가 각각 별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하나의 공기 토출구(55′)를 통해 공조 공기와 스팀이 함께 토출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하 하나의 공기 토출구(55′)를 통해 공조 공기와 스팀 중 적어도 하나가 토출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공기 토출 유닛(54)에는 공기 토출구(55′)를 개폐함과 아울러 공기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베인(57′)과, 베인을 회전시키는 베인모터(58′)가 설치된다.
한편, 가습기(10′)는 저수조(112)와, 저수조(112)의 물을 가열하는 스팀 발생기(114)와; 스팀 발생기(114)에 의해 발생된 스팀을 공조부(50′)에 형성된 공조 유로로 안내하는 스팀 유로(115)를 포함한다.
저수조(112)는 상면이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고, 저수조(112)에는 내부에서 생성된 스팀이 스팀 유로(115)를 통해서 유출되도록 저수조(112)의 상면을 덮는 덮개(116)가 결합된다.
여기서, 스팀 발생기(114)는 저수조(112)의 물을 수증기가 발생되는 온도 이상으로 가열하는 히터로서, 저수조(112) 내의 물에 잠길수 있게 설치된다.
스팀 유로(115)는 저수조(112) 내에서 발생된 수증기를 케이스(65)의 내부나 공기 토출 유닛(54)으로 안내하는 유로로서, 호스나 관 등에 의해 형성되고, 단부에는 분사 노즐(116)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된 참조 부호 52′는 공기 흡입구(51)를 개폐하는 흡입구 패널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다른 일실시예의 제어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제어부(90′)가 입력부(80)의 입력에 따라 급수 밸브(28)와 배수 밸브(34)와 실내 팬모터(63)와 압축기(72)와 실외 팬모터(75) 등을 제어하고, 스팀 발생기(114)와 베인모터(58′)를 제어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다른 실시예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입력부(80)를 통해 수분 송풍 모드가 입력되면, 제어부(90′)는 베인모터(58′)를 개방모드로 제어하고, 급수 밸브(34)를 급수 모드로 제어하며, 스팀 발생기(114)를 구동시키고, 실내 팬모터(63)를 구동시킨다.
베인모터(58′)의 개방 모드시 베인(57′)은 공기 토출구(55)를 개방하고, 급수 밸브(34)의 급수 모드 제어시 수도 배관(20)의 물은 저수조(12)에 담겨지며, 스팀 발생기(114)에는 전원이 인가되어 저수조(112) 내의 물을 가열하고, 저수조(112) 내부에서는 스팀이 발생되어 스팀 유로(115)의 분사 노즐(116)을 통해 분사된다.
그리고, 실내 팬모터(63)가 구동되면, 실내 공기는 공조부(50)의 공기 흡입 유닛(52)을 통과하여 공조부(50)의 내부로 흡입되고 실내 열교환기(68)를 열교환없이 통과한 후 공기 토출구(55)를 통해 토출되면서 스팀 유로(115)에서 분사된 스팀을 실내(I)로 운반하고 실내(I)에는 스팀 공기가 넓게 퍼지며, 실내의 습도는 상승된다.
한편, 입력부(80)를 통해 수분 송풍 모드의 정지가 입력되면, 제어부(90′)는 실내 팬모터(63)를 구동 정지시키고, 베인모터(58)를 밀폐모드로 제어하며, 배수 밸브(34)를 배수 모드로 제어하며, 스팀 발생기(114)로 인가되던 전원을 차단한다.
상기와 같은 제어시 실내(I)에는 더 이상 수분이 다량 함유된 공기가 토출되지 않고, 저수조(12) 내의 물은 배수 호스(32)를 통해 베란다(R)나 실외(O)로 배수된다.
반면에, 입력부(80)를 통해 일반 공조 모드가 입력되면, 제어부(90′)는 실내 팬모터(63)를 구동시키고, 베인모터(58′)를 개방모드로 제어하며, 압축기(72)를 구동시키고, 실외 팬모터(73)를 구동시킨다.
베인모터(58′)의 개방 모드시 베인(57′)은 공기 토출구(55)를 개방하고, 압축기(72)의 구동시 압축기(72)에서 토출된 냉매는 실외 열교환기(73)을 통과하면서 응축되고, 이후 팽창기구를 통과하면서 팽창되며, 냉매 배관(71)을 통해 실내측으로 이동된다. 실내측으로 이동된 냉매는 공조부(50) 내부의 실내 열교환기(68)를 통과하면서 증발된 후 실외측으로 이동되고 압축기(72)로 순환된다.
그리고, 실내 팬모터(63)가 구동되면, 실내 공기는 공조부(50)의 공기 흡입 유닛(52)을 통과하여 공조부(50)의 내부로 흡입되고 실내 열교환기(68)와 열교환되어 냉각된 후 공기 토출구(55′)를 통과해 실내로 토출된다. 이때, 실내(I)의 공기 중의 수분은 실내 열교환기(68) 표면에 응축되고, 실내의 습도는 낮아진다.
반면에, 입력부(80)를 통해 수분 공조 모드가 입력되면, 제어부(90′)는 가습기(10′)를 수분 송풍 모드 시와 같이 제어하고, 공조부(50)를 일반 공조 모드 시와 같이 제어하되,
즉, 제어부(90)는 베인모터(58)만을 개방 모드로 제어하고, 실내 팬모터(63)를 구동시키며, 압축기(72)를 구동시키고, 실외 팬모터(73)를 구동시키며, 급수 밸브(34)를 급수 모드로 제어하고, 스팀 발생기(114)를 구동시킨다.
급수 밸브(34)의 급수 모드 제어시, 저수조(12)에는 물이 담겨지고, 스팀 발생기(114)에는 전원이 인가되어 저수조(112) 내의 물을 가열하고, 저수조(112) 내부에서는 스팀이 발생되어 스팀 유로(115)의 분사 노즐(116)을 통해 분사된다.
그리고, 압축기(72)의 구동시 냉매는 실내 열교환기(68)는 주변의 공기를 냉각시키고, 베인모터(58′)의 개방 모드시 공기 토출구(55′)는 개방된다.
그리고, 실내 팬모터(63)의 구동시 실내 공기는 공조부(50)의 공기 흡입 유닛(52)을 통과하여 공조부(50)의 내부로 흡입되고 실내 열교환기(68)와 열교환되어 냉각된 후 공기 토출구(55′)를 통해 토출된다. 이때, 공기 토출구(55)를 통해 토 출되는 냉기는 스팀 유로(115)에서 분사된 스팀을 실내(I)로 운반하고 실내(I)에는 스팀 공기가 넓게 퍼지며, 실내는 온도가 하강되면서 습도가 상승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공조부(50) 중에서 공기 토출 유닛(54)만이 가습기(10)와 일체로 구성되어 가습기(10)와 함께 실내에 설치되고, 공기 토출 유닛(54)과 가습기(10)가 설치된 실내 이외에 별도의 공조 유닛이 설치됨과 아울러 공조 유닛과 공기 토출 유닛이 덕트로 연결되는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며,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적 범주 내에서 다양한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가습기가 공조부에 설치되어 가습기와 공조부가 일체로 구성되므로, 가습기와 공조부가 실내에 별도로 설치될 때 보다 실내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고, 냉방과 동시에 실내를 가습 할 수 있어 실내의 쾌적성을 높일 수 있으며, 실내의 온도와 함께 습도를 최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고, 가습기에 급수원에 연결된 급수기구가 연결되어 가습에 필요한 물을 계속하여 공급할 수 있으므로, 가습기로 물을 수시로 채울 필요가 없고 사용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공기조화기에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수분 송풍 모드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일반 공조 모드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수분 공조 모드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운전 정지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제어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다른 일실시예의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다른 일실시예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다른 실시예의 운전 정지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다른 일실시예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가습기 12: 저수조
14: 펌프 16: 가습패널
20: 급수원 22: 급수기구
24: 급수 호스 26: 수 필터
28: 급수 밸브 30: 배수기구
32: 배수 호스 34: 배수 밸브
50: 공조부 51: 공기 흡입구
52: 공기 흡입 유닛 54: 공기 토출 유닛
55: 제 1 공기 토출구 56: 제 2 공기 토출구
57: 제 1 베인 58: 제 1 베인모터
59: 제 2 베인 60: 제 2 베인모터
62: 실내팬 63: 실내 팬모터
64: 공조 유로 65: 케이스
68: 실내 열교환기 70: 실외기
72: 압축기 73: 실외 열교환기
74: 실외팬 75: 실외 팬모터
80: 입력부 90: 제어부
112: 저수조 114: 스팀 발생기
115: 스팀 유로

Claims (14)

  1. 공조 공기가 토출되는 공기 토출 유닛과, 상기 공기 토출 유닛을 통해 공기를 송풍시키는 팬을 포함하는 공조부와;
    상기 공조부에 설치된 가습기와;
    상기 가습기로 물을 공급하도록 급수원에 연결된 급수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가습기는 저수조와,
    상기 저수조의 물을 펌핑시키도록 설치된 펌프와;
    상기 펌프에서 펌핑된 물이 흐르도록 설치된 가습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공기 토출 유닛은 상기 가습 패널을 향하는 면에 제 1 공기 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면 이외의 면에 제 2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공기조화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 패널은 상기 저수조의 상측에 설치되고,
    상기 펌프에는 상기 가습 패널의 상부로 물을 안내하는 가습 호스가 연결된 공기조화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 패널은 복사열 패널인 공기조화기.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토출 유닛은 상기 가습 패널의 상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공기 토출구는 상기 공기 토출구 유닛의 하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 2 공기 토출구는 상기 공기 토출구 유닛의 전면에 형성된 공기조화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토출 유닛을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풍향 조절기구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풍향 조절기구는 상기 제 1 공기 토출구를 개폐함과 아울러 풍향을 조절하는 제 1 풍향 조절기구와, 상기 제 2 공기 토출구를 개폐함과 아울러 풍향을 조절하는 제 2 풍향 조절기구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기는
    상기 저수조의 물을 가열하는 스팀 발생기와;
    상기 스팀 발생기에 의해 발생된 스팀을 상기 공조부에 형성된 공조 유로로 안내하는 스팀 유로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원은 수도 배관이고,
    상기 급수기구는 상기 수도 배관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가습기에 연결된 물 공급 호스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기구는 상기 물 공급 호스에 설치된 정수 필터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기구는 상기 물 공급 호스를 통해 급수되는 물을 단속하는 급수 밸브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조의 물을 배수하는 배수기구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4. 제 1 항 및 제 6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조부는 실내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 흡입 유닛과, 상기 공기 흡입 유닛로 흡입된 공기를 상기 공기 토출 유닛으로 안내하는 공조 유로와, 상기 공기 흡입 유닛으로 흡입된 공기를 냉매와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KR1020070067600A 2007-07-05 2007-07-05 공기조화기 KR1014247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7600A KR101424733B1 (ko) 2007-07-05 2007-07-05 공기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7600A KR101424733B1 (ko) 2007-07-05 2007-07-05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3870A KR20090003870A (ko) 2009-01-12
KR101424733B1 true KR101424733B1 (ko) 2014-08-04

Family

ID=40486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7600A KR101424733B1 (ko) 2007-07-05 2007-07-05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473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6420A (ko) * 2019-03-04 2020-09-1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045376A (zh) * 2023-02-27 2023-05-02 海信空调有限公司 空调器及其控制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44526U (ko) * 1987-03-16 1988-09-22
JPH024147U (ko) * 1988-06-17 1990-01-11
KR20000033608A (ko) * 1998-11-25 2000-06-15 전주범 냉난방 겸용 에어컨의 가습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421625Y1 (ko) * 2006-04-24 2006-07-14 에어컨뉴스닷컴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가습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44526U (ko) * 1987-03-16 1988-09-22
JPH024147U (ko) * 1988-06-17 1990-01-11
KR20000033608A (ko) * 1998-11-25 2000-06-15 전주범 냉난방 겸용 에어컨의 가습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421625Y1 (ko) * 2006-04-24 2006-07-14 에어컨뉴스닷컴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가습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6420A (ko) * 2019-03-04 2020-09-1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2702483B1 (ko) * 2019-03-04 2024-09-0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3870A (ko) 2009-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39788B2 (en) Ventilating and air conditioning apparatus
JP5092647B2 (ja) 換気空調装置
JP5272360B2 (ja) 換気空調装置
JP2017106724A (ja) 空気調和方法及び空気調和機
JP5228344B2 (ja) 換気空調装置
KR101424733B1 (ko) 공기조화기
KR20180128608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JP2006162173A (ja) 空気調和機
CN216953282U (zh) 空调室内机及空调器
KR20010026764A (ko) 가습장치 및 이를 구비한 공조기기
JP2009058220A (ja) 空気調和方法及び空気調和機
KR101192002B1 (ko) 가습 환기 장치 및 이를 갖춘 공기 조화기
JP5567542B2 (ja) 空気調和方法及び空気調和機
JP4851629B2 (ja) 空気調和方法及び空気調和機
JP2015099009A (ja) 空気調和方法及び空気調和機
JP6329584B2 (ja) 空気調和方法及び空気調和機
KR101710166B1 (ko) 벽걸이형 가습기
KR20030055738A (ko) 가습기 일체형 팬코일유닛
JP5469211B2 (ja) 空気調和方法及び空気調和機
KR19980060350U (ko) 공기조화기의 가습장치
JP5789029B2 (ja) 空気調和機
CN217685808U (zh) 用于空调机组的接水盘及空调机组
JP3781176B2 (ja) 吸着除湿空調機を用いた店舗の空調システム
KR100546658B1 (ko) 공조시스템
KR19980052882U (ko) 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