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8157A - Uv led를 이용한 살균 장치 - Google Patents

Uv led를 이용한 살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8157A
KR20150028157A KR20130106877A KR20130106877A KR20150028157A KR 20150028157 A KR20150028157 A KR 20150028157A KR 20130106877 A KR20130106877 A KR 20130106877A KR 20130106877 A KR20130106877 A KR 20130106877A KR 20150028157 A KR20150028157 A KR 201500281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cover
light emitting
sterilizing
sid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68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주
손영환
이성민
Original Assignee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1068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28157A/ko
Publication of KR201500281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81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20Light sources comprising attachment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1Apparatus for generating biocidal substances, e.g. vaporisers, UV l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2Apparatus for isolating biocidal substances from the environment
    • A61L2202/121Sealings, e.g. doors, covers, valves, slu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6Mobile applications, e.g. portable devices, trailers, devices mounted on vehic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개시의 UV LED를 이용한 살균 장치는, 측벽부 및 상부면으로 구성된 케이스; 케이스 외부 표면상에 배치되어 살균용 자외선을 제공하는 발광 다이오드부; 및 측벽부의 테두리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고 살균용 자외선의 반사율을 높이는 물질이 표면에 형성된 커버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UV LED를 이용한 살균 장치{Disinfector using UV LED}
본 개시(disclosure)는 살균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커버부를 구비하는 UV LED를 이용한 살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살균은 바이러스, 박테리아, 세균류 또는 미생물을 사멸시키는 것으로 일반적인 살균 방법은 살균 대상물을 열 또는 증기를 이용하여 가열하여 살균하는 가열방식을 포함하는 물리적 방법과 살균제, 살균성 가스 등을 이용하여 살균하는 화학적 방법이 있다. 최근 일반인들 사이에서 세균 등에 대한 인식도가 높아지고,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살균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는 장치 또는 방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바이러스, 박테리아, 세균류 또는 미생물을 제거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방법으로 사용되고 있는 물리적 방법은 살균 대상물에 고온의 온도를 가지는 열 또는 증기를 인가하여 미생물 등을 제거하는 방법이나, 고온의 온도를 확보하기 위한 시간 및 연료 등이 필요하여 살균하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고온의 온도를 가지는 열 또는 증기에 다치는 경우가 있어 다루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살균제, 살균성 가스 등을 이용하는 화학적 방법은 살균제가 일반적으로 화학 물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살균제 또는 살균성 가스를 이용하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유독 물질에 노출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최근 일반인들 사이에서 세균 등에 대한 인식도가 높아지고,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휴대폰 등과 같은 각종 휴대물품에 대한 살균을 필요로 하는 사람이 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살균 장치는 대형화되어 있어 가정에서 사용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개인 휴대물품을 용이하게 살균할 수 있는 커버부를 구비하는 살균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고정된 공간에서만 적용하지 않고 이동이 가능하고, 살균이 어려운 공간에서도 살균이 가능한 UV LED를 이용한 살균 장치를 제공한다.
아울러, 커버부를 이용하여 원하는 부분에 UV 광원을 조사할 수 있고, 사용하지 않을 때는 UV 광원부를 보호할 수 있는 UV LED를 이용한 살균 장치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UV LED를 이용한 살균 장치는, 측벽부 및 상부면으로 구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 외부 표면상에 배치되어 살균용 자외선을 제공하는 발광 다이오드부; 및 상기 측벽부의 테두리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살균용 자외선의 반사율을 높이는 물질을 표면에 포함하는 커버부를 포함한다.
본 개시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한 변의 길이가 다른 변의 길이보다 긴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는 상기 발광 다이오드부의 발광면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개구부를 더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발광 다이오드부는 100nm 내지 280nm 파장대의 자외선을 제공한다.
상기 반사율을 높이는 물질은 알루미늄(Al) 등을 포함한다.
상기 커버부의 후면부는 상기 살균용 자외선을 차단하는 불투명 물질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커버부는 상기 케이스의 좌측 측벽부의 테두리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좌측 커버부 및 상기 케이스의 우측 측벽부의 테두리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우측 커버부를 포함한다.
상기 좌측 커버부 또는 우측 커버부는 각각 상, 하 이동이 가능하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UV LED를 이용한 살균 장치는, 측벽부 및 상부면으로 구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 외부 표면상에 배치되어 살균용 자외선을 제공하는 발광 다이오드부; 및 상기 측벽부의 테두리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제1 경사를 가지게 기울어진 제1 커버부 및 상기 제1 커버부로부터 연장되면서 상기 제1 경사와 상이한 제2 경사를 가지게 기울어진 제2 커버부를 포함하는 다중 접철식 커버부를 포함한다.
상기 다중 접철식 커버부의 표면에는 알루미늄(Al) 등을 포함하는 물질이 형성된다.
상기 다중 접철식 커버부는 상기 케이스의 좌측 측벽부의 테두리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좌측 커버부 및 상기 케이스의 우측 측벽부의 테두리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우측 커버부를 포함한다.
상기 좌측 커버부 또는 우측 커버부는 각각 상, 하 이동이 가능하고, 다중 접철식 커버부는 상기 제1 커버부 또는 제2 커버부가 각각 별개로 상, 하 이동이 가능하다.
본 개시에 따르면, UV LED를 이용한 살균 장치가 휴대가 가능함에 따라 살균이 필요한 어느 곳이든 살균이 가능하도록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살균 장치에 구비된 커버부를 이용하여 원하는 부분에 UV 광원을 조사할 수 있고, 사용하지 않을 때는 커버부로 차단하여 UV 광원부를 보호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UV LED를 이용한 살균 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내보인 도면이다.
도 3는 본 개시에 따른 UV LED를 이용한 살균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내보인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개시에 따른 UV LED를 이용한 살균 장치의 광원의 진행방향을 나타내보인 도면들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UV LED를 이용한 살균 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내보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에서 각 장치의 구성요소를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상기 구성요소의 폭이나 두께 등의 크기를 다소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전체적으로 도면 설명시 관찰자 시점에서 설명하였고, 일 요소가 다른 요소 위에 위치하는 것으로 언급되는 경우, 이는 상기 일 요소가 다른 요소 위에 바로 위치하거나 또는 그들 요소들 사이에 추가적인 요소가 개재될 수 있다는 의미를 모두 포함한다.
복수의 도면들 상에서 동일 부호는 실질적으로 서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또,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기술되는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UV LED를 이용한 살균 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내보인 도면이다. 여기서 도 1은 살균 장치의 커버부가 오픈된 형상을 나타내고, 도 2는 살균 장치가 커버부로 덮여 있는 형상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개시에 따른 UV LED를 이용한 살균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내보인 도면이다. 그리고 도 4a 및 도 4b는 본 개시에 따른 UV LED를 이용한 살균 장치의 광원의 진행방향을 나타내보인 도면들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살균 장치(100)는 살균 장치(100)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105)와, 케이스(105) 표면상에 배치되면서 복수 개가 배열된 살균용 발광다이오드부(123)와, 케이스(105)의 측면부에 형성된 커버부(cover, 110) 및 제어부(10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살균 장치(100)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105)는 한 변의 길이가 다른 변의 길이보다 긴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105)의 전면부(107)에는 살균용 발광다이오드부(123)가 배치된다. 살균용 발광 다이오드부(123)는 케이스(105)의 전면부(107) 상에 하나 이상의 복수 개의 UV LED 칩(115)들이 서로 평행하게 간격을 두고 적어도 두 열로 배치될 수 있다. 케이스(105)의 전면부(107) 상에 배치된 UV LED칩(115)은 광원을 상부 방향으로 발광하도록 발광면(120)이 배치될 수 있다. UV LED칩(115)은 개구부가 형성된 케이스(105)의 내부에 배치되고,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발광면(120)이 노출하게 형성될 수 있다.
UV LED칩(115)을 포함하는 살균용 발광 다이오드부(123)는 UV-C 영역대의 자외선을 발광하며, 구체적으로, 100nm 내지 280nm 파장대의 살균용 자외선을 제공하여 주변에 존재할 수 있는 세균, 박테리아, 미생물 등을 살균할 수 있다.
케이스(105)의 전면부(107)에 배치된 살균용 발광다이오드부(123)로부터 조사되는 자외선은 UV LED칩(115)가지고 있는 지향각에 따라 살균용 자외선이 조사되지 않는 사각지대가 존재한다. 특히, 살균 장치의 측면부에는 살균용 자외선이 조사되지 않는 영역이 발생된다. 살균 장치의 측면 방향으로 살균용 자외선을 조사하기 위해서는 살균 장치를 세워야 하나 불편한 점이 있다. 이에 따라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는 사각지대까지 살균용 자외선을 도달시키기 위해 살균 장치에 커버부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구체적으로, 케이스(105)는 양 측벽부의 테두리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커버부(1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커버부(110)는 측벽부의 상단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즉, 커버부(110)의 끝단은 소정 각도의 경사(α1)를 가지게 기울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살균용 발광 다이오드부(123)와 동일한 평면상에 배치된 커버부(110)의 전면부는 알루미늄(Al) 등의 반사율이 높은 물질을 포함하여 반사판부(113)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커버부(110)의 후면부(114)는 UV-C 영역대의 자외선을 차단하는 불투명 물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커버부(110)는 도 3의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 커버부(110a) 또는 우측 커버부(110b)가 각각 별개로 상, 하 이동이 가능하다. 좌측 커버부(110a) 또는 우측 커버부(110b)는 상, 하로 이동하는 각도를 조절하여 단계별로 경사(α1, α2, α3)를 조절함으로써 살균용 자외선이 반사되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살균 작용은 살균 대상물에 조사되는 살균용 자외선(UV)의 양이 높을수록 살균 효과가 증가하면서 살균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본 개시에 따른 살균 장치는 살균용 발광 다이오드부(123)로부터 방출된 살균용 자외선이 반사판부(113)에 도달한 후, 반사되어 인접하는 살균용 발광 다이오드부(123)로부터 방출된 살균용 자외선들과 중첩되면서 UV 선의 세기가 증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살균 작용에 소요되는 시간은 감소시키면서 살균 효과는 증가시킬 수 있다.
광원의 진행 방향을 나타내보인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본 개시에 따른 살균 장치는 일정 부위에 살균용 자외선을 집중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좌측 커버부(110a) 및 우측 커버부(110b)를 모두 이용하여 경사를 조절함으로써(도 4a 참조) 살균용 자외선을 집중시킬 수 있다. 또한, 살균용 발광 다이오드부(123)의 지향각 범위를 벗어나는 위치에 살균용 자외선을 조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좌측 커버부(110a) 또는 우측 커버부(110b) 가운데 하나의 커버부만을 조절하여 사각지대가 발생하지 않게 살균용 자외선이 조사되는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도 4b 참조). 도 4a 및 도 4b에서 광 경로 L1, L2 및 L3는 좌측 커버부(110a) 또는 우측 커버부(110b)의 반사판부(113)에 의해 반사되어 진행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한편, 살균 장치를 사용하지 않는 동안에 살균용 발광 다이오드부(123)가 외부에 노출되어 있는 경우, 외부 충격에 쉽게 노출되어 파손될 수 있다. 이에 살균 장치를 사용하지 않는 동안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 커버부(110a, 도 3 참조) 및 우측 커버부(110b, 도 3 참조)가 서로 접촉하게 결합시켜 커버부(110)로 살균 장치의 살균용 발광 다이오드부(123)를 덮는다. 이 경우, UV-C 영역대의 자외선을 차단하는 불투명 물질을 포함하여 구성된 커버부(110)의 후면부(114)가 외부로 노출됨에 따라, UV-C 영역대의 자외선이 사용자에게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어부(101)는 케이스(105)의 외측 표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어부(101)는 비록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전원의 온-오프(ON-OFF) 버튼, 살균용 발광 다이오드부(123)의 동작 시간을 제어하는 타이머(Timer)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UV LED를 이용한 살균 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내보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살균 장치(200)는 살균 장치(200)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205)와, 케이스(205) 표면상에 배치된 살균용 발광다이오드부(223)와, 케이스(205)의 측면부에 형성된 다중 접철식 커버부(210a, 210b) 및 제어부(20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케이스(205)는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205)의 전면부(207)에는 하나 이상의 복수 개의 UV LED 칩(215)들이 서로 평행하게 간격을 두고 적어도 두 열로 배치된 살균 발광 다이오드부(223)가 배치된다. UV LED칩(215)은 광원을 상부 방향으로 발광하도록 발광면(220)이 배치될 수 있다. UV LED칩(215)을 포함하는 살균용 발광 다이오드부(223)는 UV-C 영역대의 자외선을 발광하며, 구체적으로, 100nm 내지 280nm 파장대의 살균용 자외선을 제공하여 주변에 존재할 수 있는 세균, 박테리아, 미생물 등을 살균할 수 있다.
케이스(205)는 양 측벽부의 테두리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다중 접철식 커버부(210a, 210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다중 접철식 커버부(210a, 210b)는 제1 경사를 가지게 기울어진 제1 커버부(211a, 211b) 및 제1 커버부(211a, 211b)로부터 연장되면서 제1 커버부(211a, 211b)와 상이한 제2 경사를 가지게 기울어진 제2 커버부(212a, 212b)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다중 접철식 커버부(210a, 210b)는 좌측 커버부(210a) 또는 우측 커버부(210b)가 각각 별개로 상, 하 이동이 가능하고, 또한, 제1 커버부(211a, 211b) 또는 제2 커버부(212a, 212b)가 각각 별개로 상, 하 이동이 가능하다. 살균용 발광 다이오드부(223)와 동일한 평면상에 배치된 다중 접철식 커버부(210a, 210b)의 전면부는 알루미늄(Al) 등의 반사율이 높은 물질을 포함하여 반사판부(213a, 213b)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다중 접철식 커버부(210a, 210b)의 후면부(214a, 214b)는 UV-C 영역대의 자외선을 차단하는 불투명 물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살균 장치(200)는 다중 접철식 커버부(210a, 210b)는 좌측 커버부(210a) 또는 우측 커버부(210b)가 각각 별개로 상, 하 이동이 가능하고, 또한, 제1 커버부(211a, 211b) 또는 제2 커버부(212a, 212b)가 각각 별개로 상, 하 이동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살균용 자외선이 도달하지 않는 사각지대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살균용 자외선의 세기가 증가하여 살균 효과가 증가하면서 살균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100, 200 : 살균 장치
105, 205 : 케이스 123, 223 : 살균용 발광 다이오드부
110 : 커버부 113, 213a, 213b : 반사판부
210a, 210b : 다중 접철식 커버부
114, 214a, 214b : 후면부

Claims (15)

  1. 측벽부 및 상부면으로 구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 외부 표면상에 배치되어 살균용 자외선을 제공하는 발광 다이오드부; 및
    상기 측벽부의 테두리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살균용 자외선의 반사율을 높이는 물질을 표면에 포함하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UV LED를 이용한 살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한 변의 길이가 다른 변의 길이보다 긴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형성된 UV LED를 이용한 살균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발광 다이오드부의 발광면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개구부를 더 포함하여 형성된 UV LED를 이용한 살균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다이오드부는 100nm 내지 280nm 파장대의 자외선을 제공하는 UV LED를 이용한 살균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율을 높이는 물질은 알루미늄(Al) 등을 포함하는 UV LED를 이용한 살균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의 후면부는 상기 살균용 자외선을 차단하는 불투명 물질을 포함하여 형성된 UV LED를 이용한 살균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케이스의 좌측 측벽부의 테두리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좌측 커버부 및 상기 케이스의 우측 측벽부의 테두리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우측 커버부를 포함하는 UV LED를 이용한 살균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커버부 또는 우측 커버부는 각각 상, 하 이동이 가능한 UV LED를 이용한 살균 장치.
  9. 측벽부 및 상부면으로 구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 외부 표면상에 배치되어 살균용 자외선을 제공하는 발광 다이오드부; 및
    상기 측벽부의 테두리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제1 경사를 가지게 기울어진 제1 커버부 및 상기 제1 커버부로부터 연장되면서 상기 제1 경사와 상이한 제2 경사를 가지게 기울어진 제2 커버부를 포함하는 다중 접철식 커버부를 포함하는 UV LED를 이용한 살균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발광 다이오드부의 발광면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개구부를 더 포함하여 형성된 UV LED를 이용한 살균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다이오드부는 100nm 내지 280nm 파장대의 자외선을 제공하는 UV LED를 이용한 살균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접철식 커버부의 표면에는 알루미늄(Al) 등을 포함하는 물질이 형성된 UV LED를 이용한 살균 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접철식 커버부는 상기 케이스의 좌측 측벽부의 테두리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좌측 커버부 및 상기 케이스의 우측 측벽부의 테두리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우측 커버부를 포함하는 UV LED를 이용한 살균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커버부 또는 우측 커버부는 각각 상, 하 이동이 가능한 UV LED를 이용한 살균 장치.
  15. 제9항에 있어서,
    다중 접철식 커버부는 상기 제1 커버부 또는 제2 커버부가 각각 별개로 상, 하 이동이 가능한 UV LED를 이용한 살균 장치.
KR20130106877A 2013-09-05 2013-09-05 Uv led를 이용한 살균 장치 KR201500281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6877A KR20150028157A (ko) 2013-09-05 2013-09-05 Uv led를 이용한 살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6877A KR20150028157A (ko) 2013-09-05 2013-09-05 Uv led를 이용한 살균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8157A true KR20150028157A (ko) 2015-03-13

Family

ID=53023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06877A KR20150028157A (ko) 2013-09-05 2013-09-05 Uv led를 이용한 살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2815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505298A (ja) * 2017-12-11 2021-02-18 ダブリュ.エル.ゴア アンド アソシエイツ,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W.L. Gore & Associates, Incorporated 可撓性紫外光生成シート及びシステム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
KR20220036379A (ko) * 2020-09-14 2022-03-23 주식회사 유니크 차량용 살균 장치
KR20220071702A (ko) 2020-11-24 2022-05-31 주식회사 송백이엔에스 마스크 살균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505298A (ja) * 2017-12-11 2021-02-18 ダブリュ.エル.ゴア アンド アソシエイツ,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W.L. Gore & Associates, Incorporated 可撓性紫外光生成シート及びシステム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
US11654207B2 (en) 2017-12-11 2023-05-23 W. L. Gore & Associates, Inc. Methods for producing flexible ultraviolet light generation sheets and systems
US11857689B2 (en) 2017-12-11 2024-01-02 W.L. Gore & Associates, Inc. Methods for producing flexible ultraviolet light generation sheets and systems
KR20220036379A (ko) * 2020-09-14 2022-03-23 주식회사 유니크 차량용 살균 장치
KR20220071702A (ko) 2020-11-24 2022-05-31 주식회사 송백이엔에스 마스크 살균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7700B1 (ko) Uv led를 이용한 휴대용 살균 장치
US10588335B2 (en) Movable ultraviolet radiation beam
JP6950522B2 (ja) 微生物の不活化処理装置および細胞活性化処理装置、並びに微生物の不活化処理方法
JP7119534B2 (ja) 乾燥殺菌装置および乾燥殺菌方法
JP7074675B2 (ja) 狭帯域システムにおいて工学的照射パターンを生成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US1030912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anitizing door knobs or door handles
KR101883587B1 (ko) 소독 장치
KR101596653B1 (ko) 자외선 광 방출용 장치
US20220125963A1 (en) Sterilization apparatus using uv light source harmless to human body
JP6607623B1 (ja) 紫外線照射装置
US20080253941A1 (en) Ultraviolet (uv) radiation source-based surface disinfection system
KR102233270B1 (ko) Uv led를 이용한 휴대용 살균 장치
KR20110099351A (ko) 젖병 살균기
JP2021514286A (ja) 紫外線屈曲型殺菌機
KR20150028157A (ko) Uv led를 이용한 살균 장치
KR20170003860A (ko) 휴대용 다용도 살균장치
WO2015167319A1 (en) Self-sterilizing cover for mobile electronic devices
KR20190023890A (ko) 거리 측정 기반 시력 보호 기능을 구비하는 자외선 조사 장치
KR101736221B1 (ko) 자외선 살균기
EP1849497A1 (en) Tanning apparatus
KR102233129B1 (ko) 자외선 살균 모듈이 구비된 가구
JP3230753U (ja) 紫外線照射機能付きのデシケーター
KR20170037736A (ko) 선도유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KR102634765B1 (ko) 승강기용 입력버튼
WO2018167760A2 (en) Device for detecting and eliminating harmful elements in growing environm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