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3462B1 - 구속 철물 및 구조 몸체의 구속 방법 - Google Patents
구속 철물 및 구조 몸체의 구속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93462B1 KR102293462B1 KR1020197009662A KR20197009662A KR102293462B1 KR 102293462 B1 KR102293462 B1 KR 102293462B1 KR 1020197009662 A KR1020197009662 A KR 1020197009662A KR 20197009662 A KR20197009662 A KR 20197009662A KR 102293462 B1 KR102293462 B1 KR 10229346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ardware
- panel
- pair
- shaped
- ti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56—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 E04B2/70—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with elongated members of wood
- E04B2/706—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with elongated members of wood with supporting function
- E04B2/707—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with elongated members of wood with supporting function obturation by means of panel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5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1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wood, e.g. with reinforcements, with tensioning members
- E04C3/18—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wood, e.g. with reinforcements, with tensioning members with metal or other reinforcements or tensioning member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6—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wood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6—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wood
- E04B1/2604—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2001/2644—Brackets, gussets or joining plate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6—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wood
- E04B1/2604—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2001/268—Connection to foundations
- E04B2001/2684—Connection to foundations with metal conne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평행하게 배치된 2개의 구조 몸체가 서로 이간하는 것을 억제하는 구속 철물은 장척형상의 금속제의 베이스 부재와, 베이스 부재의 길이방향의 양단부로부터 길이방향의 외방으로 각각 연장되고, 적어도 선단부의 외주에 수나사가 형성된 금속제의 볼트 부재와, 볼트 부재의 수나사에 나사결합가능한 체결구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평행하게 배치된 2개의 구조 몸체가 서로 이간하는 것을 억제하는 구속 철물 및 구조 몸체의 구속 방법에 관한 것이다.
목조 축조 구법에서는 콘크리트 기초에 대하여, 토대나 보 등의 횡가재와 기둥 등의 수직재를 적당히 조합시킴으로써 문형 형상 또는 직사각형 형상의 골조가 구축된다. 이 골조에는 지진이나 태풍 등에 의한 수평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평행사변형적 변형이 생기기 쉽다. 이 때문에, 문형 형상 또는 직사각형 형상의 골조에 단판 적층재(LVL; Laminated Veneer Lumber), 직교 집성재(CTL; Cross Laminated Timber) 등의 패널을 끼워 넣어 평행사변형적 변형을 억제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이 경우, 문형 형상 또는 직사각형 형상의 골조가 패널에 접촉함으로써, 예를 들면 토대와 보 등 평행하게 배치된 2개의 구조 몸체가 서로 이간하는 떠오름이 발생해버린다. 이 떠오름을 억제하기 위해서, 일본 특허 공개 2015-151668호 공보(특허문헌 1)에 기재되는 바와 같은, 홀드 다운 철물을 사용하는 것이 고려된다.
그러나, 홀드 다운 철물은 기둥의 측면에 못이나 볼트 등으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떠오름의 크기에 따라서는 못이나 볼트 등에 과대한 전단력이 작용하여 파단되어 떠오름을 억제하는 것이 곤란하게 되어버릴 우려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평행하게 배치된 2개의 구조 몸체가 서로 이간하는 것을 억제 가능한, 구속 철물 및 구조 몸체의 구속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때문에, 평행하게 배치된 2개의 구조 몸체가 서로 이간하는 것을 억제하는 구속 철물은 장척 형상의 금속제의 베이스 부재와, 베이스 부재의 길이방향의 양단부로부터 그 외부방향으로 각각 연장되고, 적어도 선단부의 외주에 수나사가 형성된 금속제의 볼트 부재와, 볼트 부재의 수나사에 나사결합 가능한 체결구를 구비한다. 그리고, 이러한 구속 철물을 사용하여 평행하게 배치된 2개의 구조 몸체를 연결해서, 이들이 서로 이간하는 것을 억제한다. 여기에서, 구조 몸체란 구조 내력상 주요한 부분이고, 예를 들면 콘크리트 기초, 토대나 보 등의 횡가재, 기둥 등의 수직재를 포함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평행하게 배치된 2개의 구조 몸체가 서로 이간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수직재 접합 철물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연결 철물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타이 다운 철물의 일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타이 다운 철물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상자형 철물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상자형 철물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스페이서 철물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제 1 전단 철물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제 2 전단 철물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제 3 전단 철물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제 4 전단 철물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목제 건축 부재에 의해 구축한 구조체의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3은 보강 철물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 1 변형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5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 2 변형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6은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 3 변형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7은 목제 건축 부재에 의해 구축한 구조체의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8은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 1 변형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9는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 2 변형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연결 철물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타이 다운 철물의 일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타이 다운 철물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상자형 철물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상자형 철물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스페이서 철물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제 1 전단 철물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제 2 전단 철물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제 3 전단 철물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제 4 전단 철물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목제 건축 부재에 의해 구축한 구조체의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3은 보강 철물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 1 변형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5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 2 변형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6은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 3 변형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7은 목제 건축 부재에 의해 구축한 구조체의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8은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 1 변형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9는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 2 변형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상술한다.
목조 축조 구법에서는 목제 건축 부재로서의 횡가재와 목제의 수직재를 적당히 조합하여, 문형 형상 또는 직사각형 형상의 골조가 구축된다. 이러한 골조를 구축하기 위해서, 이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각종 철물이 사용된다. 또한, 횡가재 및 수직재는 무구재 및 집성재 중 어느 것이어도 좋다.
1. 수직재 접합 철물
수직재 접합 철물(100)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사각형 형상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접합 부재(110)와, 직사각형 형상의 금속판을 적당히 접합하여 형성되는 고정 부재(120)를 갖는다. 접합 부재(110)는 기둥의 하부면에 형성된 슬릿에 감합 가능한 부재이고, 드리프트 핀의 축부가 관통 가능한 관통구멍(110A)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 부재(120)는 앵커 볼트에 의해 콘크리트 기초에 체결 가능한 부재이고, 대향하는 2면이 개구한 상자형 형상의 제 1 부재(122)와, 제 1 부재(122)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어 제 1 부재(122)를 보강하는 제 2 부재(124)를 갖는다.
여기에서, 직사각형 형상 및 상자형 형상으로서는 외형으로 직사각형 형상 및 상자형 형상으로 인식할 수 있는 정도가 좋다. 따라서, 이들의 형상을 형성하는 부재의 일부에 노치, 작은 구멍 등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다른 형상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제 1 부재(122)의 바닥판에는 콘크리트 기초로부터 돌출하는 앵커 볼트의 축부가 관통 가능한 관통구멍(122A)이 복수 형성되어 있다. 도시의 예에서는, 제 1 부재(122)의 바닥판에는 내부 공간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2열, 이것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2열의 계 4개의 관통구멍(122A)이 형성되어 있지만, 그 개수 및 위치는 임의이다. 제 2 부재(124)는 직사각형 형상의 금속판을 격자상으로 조합시킨 부재이고, 제 1 부재(122)의 내면에 용접 등으로 고착되어 있다. 그리고, 접합 부재(110)의 하단부는 고정 부재(120)의 상부면에 용접 등으로 고착되어 있다. 여기에서, 접합 부재(110)는 제 1 부재(122)의 횡단면 상에 판면이 위치하도록 고착되어 있다. 또한, 각 부의 치수 등은, 예를 들면 수직재 접합 철물(100)의 사용 개소, 접합 대상물 등에 따라 적당히 결정할 수 있다(이하 동일).
2. 연결 철물
연결 철물(150)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사각형 형상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지고, 그 길이방향의 양단부 근방에 드리프트 핀의 축부가 관통 가능한 관통구멍(150A)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연결 철물(150)은 횡가재에 형성된 슬릿과 수직재에 형성된 슬릿에 감합되어, 이들을 서로 접합한다.
3. 타이 다운 철물
타이 다운 철물(200)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면으로 볼 때에, 장척의 직사각형 형상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베이스 부재(210)와, 베이스 부재(210)의 길이방향의 양단부로부터 그 길이방향의 외방으로 연장되는 금속제의 볼트 부재(220)와, 도시하지 않은 체결구를 갖는다. 볼트 부재(220)는 베이스 부재(210)에 기단부가 용접 등으로 고착되고, 적어도 선단부의 외주에 수나사(220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 부재(210)의 판면에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드리프트 핀의 축부가 관통 가능한 관통구멍(210A)을 복수 형성할 수도 있다. 체결구는 평 와셔, 스프링 와셔 및 더블 너트를 포함하고, 볼트 부재(220)의 수나사(220A)에 착탈 가능하게 나사결합된다. 또한, 타이 다운 철물(200)은 상세를 후술하는 바와 같이, 수직재로서의 기둥의 슬릿, 패널의 슬릿에 감합된다.
수직재로서의 기둥의 슬릿, 패널의 슬릿에 타이 다운 철물(200)을 감합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베이스 부재(210)는 임의의 단면 형상, 예를 들면 정사각형, 원형, 삼각형 등을 갖는 부재로 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타이 다운 철물(200)이 평행하게 배치된 2개의 구조 몸체, 즉 콘크리트 기초, 토대나 보 등의 횡가재, 기둥 등의 수직재를 포함하는, 구조 내력상의 주요한 부분이 서로 이간하는 것을 억제하는 구속 철물의 일례로서 들 수 있다.
4. 상자형 철물
상자형 철물(250)은 직사각형 형상의 금속판을 적당히 접합하여 형성된,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일면만이 개구하는 상자형 형상의 철물이다. 그리고, 개구에 인접하면서 대향하는 2면에 콘크리트 기초로부터 돌출하는 앵커 볼트의 축부, 타이 다운 철물(200)의 볼트 부재(220)의 축부가 관통 가능한 관통구멍(250A)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자형 철물(250)로서는 직사각형 형상의 금속판을 적당히 접합하여 형성된,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대향하는 2면이 개구하는 상자형 형상의 제 1 부재(252)와, 제 1 부재(252)의 개구의 상부 및 하부를 폐쇄하여 보강하는 직사각형 형상의 제 2 부재(254)를 갖고 있어도 좋다. 이 상자형 철물(250)에 있어서는, 제 1 부재(252)의 천장판 및 바닥판에 콘크리트 기초로부터 돌출하는 앵커 볼트의 축부, 타이 다운 철물(200)의 볼트 부재(220)의 축부가 관통 가능한 관통구멍(250A)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5. 스페이서 철물
스페이서 철물(300)은 상자형 철물(250)과 협동하여 콘크리트 기초에 대하여 타이 다운 철물(200)이 일체화된 수직재를 접합하는 철물이다. 스페이서 철물(300)은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사각형 형상의 금속판을 적당히 접합하여 형성된, 대향하는 2면이 개구하는 상자형 형상을 하는 제 1 부재(310)와, 제 1 부재(310)의 내부 공간의 횡단면 상에 판면이 위치하는 직사각형 형상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제 2 부재(320)를 갖는다. 제 1 부재(310)의 바닥판에는 그 내부 공간이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콘크리트 기초로부터 돌출하는 앵커 볼트의 축부가 관통 가능한 관통구멍(310A)이 2개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제 1 부재(310)의 바닥판에 형성되는 관통구멍(310A)은 2개에 한정되지 않고, 임의의 개수로 할 수 있다. 제 2 부재(320)는 제 1 부재(310)의 내부 공간을 균등하게 2분할하는 위치에 설치되고, 제 1 부재(310)의 내면에 용접 등으로 고착되어 있다.
6. 제 1 전단 철물
제 1 전단 철물(350)은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사각형 형상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접합 부재(360)와, 직사각형 형상의 금속판을 적당히 접합하여 형성된 고정 부재(370)를 갖는다. 접합 부재(360)는 패널에 형성된 슬릿에 감합 가능한 부재이고, 드리프트 핀의 축부가 관통 가능한 관통구멍(360A)이 복수 형성되어 있다. 도시의 예에서는, 관통구멍(360A)은 접합 부재(360)의 길이방향을 따른 3열의 지그재그 격자상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그 개수 및 위치는 임의이다. 고정 부재(370)는 앵커 볼트에 의해 콘크리트 기초에 체결 가능한 부재이고, 대향하는 2면이 개구한 상자형 형상의 제 1 부재(372)와, 제 1 부재(372)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어 제 1 부재(372)를 보강하는 제 2 부재(374)를 갖는다.
제 1 부재(372)의 바닥판에는 콘크리트 기초로부터 돌출하는 앵커 볼트의 축부가 관통 가능한 관통구멍(372A)이 복수 형성되어 있다. 도시의 예에서는, 제 1 부재(372)의 바닥판에는 내부 공간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2열, 이것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6열의 계 12개의 관통구멍(372A)이 형성되어 있지만, 그 개수 및 위치는 임의이다. 제 2 부재(374)는 제 1 부재(372)의 관통구멍(372A)를 직교하는 세방향으로부터 둘러싸도록 직사각형 형상의 금속판을 격자상으로 조합시킨 부재이고, 제 1 부재(372)의 내면에 용접 등으로 고착되어 있다. 그리고, 접합 부재(360)의 하단부는 고정 부재(370)의 상부면에 용접 등으로 고착되어 있다. 여기에서, 접합 부재(360)는 제 1 부재(372)의 횡단면 상에 판면이 위치하도록 고착되어 있다.
7. 제 2 전단 철물
제 2 전단 철물(400)은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사각형 형상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베이스 부재(410)와, 금속 원통으로 이루어지는 2개의 원통 부재(420)와, 직사각형 형상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접합 부재(430)를 갖는다.
베이스 부재(410)는 골조와 패널 사이에 설치되는 부재이다. 원통 부재(420)는 토대, 보 또는 패널에 형성된 원형구멍에 감합 가능한 부재이다. 원통 부재(420)는 베이스 부재(410)의 일면으로서, 그 길이방향을 따라 이간한 2위치에 용접 등으로 각각 고착(고정)되어 있다. 여기에서, 원통 부재(420)는 베이스 부재(410)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그 판면을 균등하게 2분할하는 위치에 고착되어 있다. 원통 부재(420)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서, 원통 부재(420)의 내주면에 직사각형 형상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보강 부재(422)를 용접 등으로 고착해서 일체화할 수도 있다.
접합 부재(430)는 토대, 보 또는 패널에 형성된 슬릿에 감합 가능한 부재이고, 드리프트 핀의 축부가 관통 가능한 관통구멍(430A)이 복수 형성되어 있다. 도시의 예에서는, 관통구멍(430A)은 접합 부재(430)의 길이방향을 따른 3열의 지그재그 격자상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그 개수 및 위치는 임의이다. 그리고, 접합 부재(430)는 베이스 부재(4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것과 직교하도록 베이스 부재(410)의 타면에 용접 등으로 고착(고정)되어 있다.
8. 제 3 전단 철물
제 3 전단 철물(450)은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금속 원통으로 이루어지는 2개의 원통 부재(460)와, 직사각형 형상의 금속판을 적당히 접합하여 형성된 고정 부재(470)를 갖는다.
원통 부재(460)는 패널에 형성된 원형구멍에 감합 가능한 부재이고, 고정 부재(470)의 상부면에 있어서 그 길이방향을 따라 이간한 2위치에 용접 등으로 각각 고착(고정)되어 있다. 여기에서, 원통 부재(460)는 고정 부재(470)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그 상부면을 균등하게 2분할하는 위치에 고착되어 있다. 원통 부재(460)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서, 원통 부재(460)의 내주면에 직사각형 형상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보강 부재(462)를 용접 등으로 고착해서 일체화할 수도 있다.
고정 부재(470)는 앵커 볼트에 의해 콘크리트 기초에 체결 가능한 부재이고, 대향하는 2면이 개구한 상자형 형상의 제 1 부재(472)와, 제 1 부재(472)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어 제 1 부재(472)를 보강하는 제 2 부재(474)를 갖는다. 제 1 부재(472)의 바닥판에는 콘크리트 기초로부터 돌출하는 앵커 볼트의 축부가 관통 가능한 관통구멍(472A)이 복수 형성되어 있다. 도시의 예에서는, 제 1 부재(472)의 바닥판에는 내부 공간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2열, 이것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6열의 계 12개의 관통구멍(472A)이 형성되어 있지만, 그 개수 및 위치는 임의이다. 제 2 부재(474)는 제 1 부재(472)의 관통구멍(472A)을 직교하는 세방향으로부터 둘러싸도록 직사각형 형상의 금속판을 격자상으로 조합시킨 부재이고, 제 1 부재(472)의 내면에 용접 등으로 고착되어 있다.
또한, 고정 부재(470)는 콘크리트 기초로부터 돌출하는 앵커 볼트를 통해서 콘크리트 기초에 체결되는 부재이고, 적어도 상부면이 직사각형 형상의 수평면을 이루고 있으면 좋다.
9. 제 4 전단 철물
제 4 전단 철물(500)은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사각형 형상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베이스 부재(510)와, 금속 원통으로 이루어지는 4개의 원통 부재(520)를 갖는다.
베이스 부재(510)는 골조와 패널 사이에 설치되는 부재이다. 원통 부재(520)는 토대, 보 또는 패널에 형성된 원형구멍에 감합 가능한 부재이다. 원통 부재(520)는 베이스 부재(510)의 양면이고, 그 길이방향을 따라 이간한 2위치에 용접 등으로 고착(고정)되어 있다. 여기에서, 원통 부재(520)는 베이스 부재(510)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그 판면을 균등하게 2분할하는 위치에 고착되어 있다. 원통 부재(520)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서, 원통 부재(520)의 내주면으로 직사각형 형상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보강 부재(522)를 용접 등으로 고착해서 일체화할 수도 있다.
다음에, 횡가재와 수직재를 적당히 조합하여 구축한 문형 형상 또는 직사각형 형상의 골조에 대하여 각종 철물을 사용하고, 단판 적층재, 직교 집성재 등의 패널을 끼워 넣어 접합한 구조체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
도 12는 목조 건축물의 1층을 전제로 한 구조체의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구조체에서는 2개의 수직재 접합 철물(100) 및 2개의 연결 철물(150)을 사용하여 콘크리트 기초(BS)에 대하여 2개의 기둥(PT) 및 1개의 보(BM)로 이루어지는 문형 형상의 골조가 구축된다. 그리고, 2개의 타이 다운 철물(200), 4개의 상자형 철물(250), 1개의 제 1 전단 철물(350) 및 1개의 제 2 전단 철물(400)을 사용하여 문형 형상의 골조에 대하여 끼워 넣어지는 직사각형 형상의 패널(PN)이 접합된다.
기둥(PT)의 상부면 및 하부면의 중앙에는 콘크리트 기초(BS)의 이어 설치방향을 따라, 연결 철물(150) 및 수직재 접합 철물(100)의 접합 부재(110)가 감합 가능한 슬릿(SL1)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기둥(PT)의 일측면에는 연결 철물(150)의 관통구멍(150A) 및 접합 부재(110)의 관통구멍(110A)에 드리프트 핀을 박기 위한 작은 구멍(도시하지 않음)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패널(PN)의 좌우 측면의 중앙에는 그 상단부로부터 하단부에 걸쳐서, 타이 다운 철물(200)이 감합 가능한 슬릿(SL2)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패널(PN)의 슬릿(SL2)의 상단부 및 하단부는 타이 다운 철물(200)의 볼트 부재(220)가 감합 가능하도록, 그 폭이 중앙부보다 확폭(擴幅)하는 계단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패널(PN)의 상부면 및 하부면의 중앙에는 그 판면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제 2 전단 철물(400)의 접합 부재(430) 및 제 1 전단 철물(350)의 접합 부재(360)가 각각 감합 가능한 슬릿(SL3) 및 슬릿(SL4)이 형성되어 있다.
보(BM)의 하부면의 소정 위치에는 그 축선이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연결 철물(150)이 감합 가능한 2개의 슬릿(SL5), 및 제 2 전단 철물(400)의 원통 부재(420)가 감합 가능한 2개의 원형구멍(CH1)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보(BM)의 소정 위치에는 그 상부면으로부터 하부면으로 관통하도록 타이 다운 철물(200)의 볼트 부재(220)의 축부가 관통 가능한 2개의 관통구멍(TH1)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패널(PN)의 슬릿(SL2)에 타이 다운 철물(200)이 감합되고, 예를 들면 접착제 등에 의해 일체화되어 있다. 여기에서, 타이 다운 철물(200)의 베이스 부재(210)에 관통구멍(210A)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접착제 등 대신에, 패널(PN)의 일면으로부터 드리프트 핀을 박아 그 축부를 관통구멍(210A)에 관통시킴으로써 패널(PN)과 타이 다운 철물(200)을 일체화할 수 있다. 또한, 패널(PN)의 슬릿(SL3)에 제 2 전단 철물(400)의 접합 부재(430)가 감합되어 패널(PN)의 일면으로부터 드리프트 핀을 막고, 그 축부를 관통구멍(430A)에 관통시킴으로써 패널(PN)과 제 2 전단 철물(400)을 일체화할 수 있다. 또한, 패널(PN)에 대한 타이 다운 철물(200) 및 제 2 전단 철물(400)의 일체화는 구조체를 구축할 때에 행해도 좋다.
콘크리트 기초(BS)의 상부면에는 그 상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는 앵커 볼트(AB), 및 그 선단부에 나사결합하는 평 와셔, 스프링 와셔 및 더블 너트를 포함하는 체결구(FM)를 통해서, 도 중의 우방으로부터 좌방에 걸쳐서 수직재 접합 철물(100), 상자형 철물(250), 제 1 전단 철물(350), 상자형 철물(250) 및 수직재 접합 철물(100)이 이 순서로 체결되어 있다. 즉, 수직재 접합 철물(100), 상자형 철물(250) 및 제 1 전단 철물(350)은 그 관통구멍(122A), 관통구멍(250A) 및 관통구멍(372A)이 앵커 볼트(AB)의 축부를 관통한 상태에서 콘크리트 기초(BS)의 상부면에 각각 적재되어, 그 바닥판으로부터 돌출하는 앵커 볼트(AB)의 축부에 체결구(FM)를 나사결합함으로써 체결되어 있다.
수직재 접합 철물(100)에는 그 접합 부재(110)가 기둥(PT)의 하부면에 형성된 슬릿(SL1)에 감합함으로써 기둥(PT)의 하부면이 접합되어 있다. 이 때, 수직재 접합 철물(100)에 대한 기둥(PT)의 접합을 확실하게 하기 위해서, 기둥(PT)의 일측면으로부터 드리프트 핀이 박혀 그 축부가 접합 부재(110)의 관통구멍(110A)에 관통되어 있다.
상자형 철물(250) 및 제 1 전단 철물(350)에는 타이 다운 철물(200)이 일체화된 패널(PN)의 하부면이 접합되어 있다. 즉, 상자형 철물(250)에는 그 관통구멍(250A)에 타이 다운 철물(200)의 볼트 부재(220)의 축부가 관통하고, 그 수나사(220A)에 체결구(FM)가 나사결합함으로써 타이 다운 철물(200)의 하단부가 접합되어 있다. 또한, 제 1 전단 철물(350)에는 그 접합 부재(360)가 패널(PN)의 하부면에 형성된 슬릿(SL4)에 감합되고, 패널(PN)의 일면으로부터 드리프트 핀을 박아 그 축부를 관통구멍(360A)에 관통시킴으로써 제 1 전단 철물(350)에 패널(PN)의 하부면이 접합되어 있다.
좌우의 기둥(PT) 및 패널(PN)의 상부면에는 연결 철물(150) 및 제 2 전단 철물(400)을 통해서 보(BM)의 하부면이 접합되어 있다. 즉, 기둥(PT)의 상부면에 형성된 슬릿(SL1)과, 보(BM)의 하부면에 형성된 슬릿(SL5)에 걸쳐서 연결 철물(150)이 감합되고, 기둥(PT) 및 보(BM)의 일면으로부터 드리프트 핀이 각각 박혀 그 축부가 연결 철물(150)의 관통구멍(150A)에 각각 관통되어 있다. 또한, 패널(PN)과 일체화된 제 2 전단 철물(400)의 원통 부재(420)가 보(BM)의 원형구멍(CH1)에 감합되어 있다. 또한, 패널(PN)과 일체화된 타이 다운 철물(200)의 볼트 부재(220)의 축부가 보(BM)의 관통구멍(TH1)에 관통되고, 보(BM)의 상부면으로부터 돌출한 볼트 부재(220)가 상자형 철물(250)의 바닥면에 형성된 관통구멍(250A)에 관통되어 있다. 상자형 철물(250)의 바닥판으로부터 돌출한 볼트 부재(220)의 수나사(220A)에는 체결구(FM)가 나사결합되어 있다.
또한, 체결구(FM)를 체결할 때, 보(BM)에 대하여 상자형 철물(250)이 박히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서, 상자형 철물(250)과 보(BM) 사이에 상자형 철물(250)의 바닥판보다 큰 평면을 갖는, 예를 들면 직사각형 형상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플레이트(와셔)(PT)를 개재시켜도 좋다. 또한, 보(BM)에 대한 타이 다운 철물(200)의 체결은 상자형 철물(250)에 한정하지 않고, 플레이트(PT)만, 바닥판에만 관통구멍이 형성된 스페이서 철물(300) 등으로 행해도 좋다.
이러한 구조체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하면, 2개의 기둥(PT) 및 보(BM)로 이루어지는 문형 형상의 골조에, 예를 들면 지진이나 태풍에 의한 수평력이 작용하면, 이것이 평행사변형적으로 변형하려고 한다. 문형 형상의 골조가 변형할 때, 그 골조에는 직사각형 형상의 패널(PN)이 끼워 넣어져 있기 때문에, 기둥(PT)이 패널(PN)의 측면에 접촉하여 그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이 경우, 패널(PN)의 상부면과 보(BM) 사이에는 보(BM)의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전단력이 작용하지만, 그 전단력은 제 2 전단 철물(400)의 원통 부재(420)로 받아내어 골조의 변형이 과도하게 커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문형 형상의 골조에 상하방향의 하중이 작용한 경우, 제 2 전단 철물(400)의 원통 부재(420)와 보(BM)의 원형구멍(CH1)이 상대 변위 가능함으로써 보(BM)로부터 패널(PN)에 작용하는 하중이 차단된다. 이 때문에, 패널(PN)에서 하중을 지지할 필요가 없고, 문형 형상의 골조의 구조 설계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문형 형상의 골조가 평행사변형적 변형이 발생할 때, 이것이 패널(PN)에 접촉함으로써 평행하게 배치된 콘크리트 기초(BS)와 보(BM)가 서로 이간하는, 떠오름이 발생해버린다. 그러나, 패널(PN)과 일체화된 타이 다운 철물(200)을 통해서 콘크리트 기초(BS)와 보(BM)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콘크리트 기초(BS)에 대한 보(BM)의 상대 변위가 억제되어 콘크리트 기초(BS)와 보(BM)가 서로 이간하는, 보(BM)의 떠오름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타이 다운 철물(200)은 콘크리트 기초(BS)와 보(BM)를 연결하는 구성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토대와 보, 2개의 보, 2개의 기둥 등 평행하게 배치된 2개의 구조 몸체를 연결할 수도 있다.
그런데, 수평력의 작용에 의해 문형 형상의 골조에 평행사변형적 변형이 발생할 때, 타이 다운 철물(200)에 의해 콘크리트 기초(BS)에 대한 보(BM)의 변위가 억제되어 있기 때문에, 보(BM)의 상부면에 위치하는 상자형 철물(250) 등이 보(BM)에 박혀버릴 우려가 있다. 그래서,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보강 철물(550)을 사용하여 상자형 철물(250) 등의 보(BM)에의 박힘을 억제한다.
보강 철물(550)은 평면으로 볼 때에 직사각형 형상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제 1 판 부재(560)와, 금속 원통으로 이루어지는 원통 부재(570)와, 평면으로 볼 때에 직사각형 형상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제 2 판 부재(580)와, 체결구(FM)를 갖는다. 제 1 판 부재(560)는 그 판면에 타이 다운 철물(200)의 볼트 부재(220)의 축부가 관통 가능한 관통구멍(560A)이 형성되고, 그 일변(단변)이 하방을 향해서 90° 구부릴 수 있는 형상을 하고 있다. 또한, 제 1 판 부재(560)는 단순한 직사각형 형상, 원형 형상, 다각 형상 등 임의의 형상이어도 좋다. 원통 부재(570)는 보(BM)의 상하방향의 치수(높이)와 동일한 전체 길이를 갖고 있다. 제 2 판 부재(580)는 그 판면에 타이 다운 철물(200)의 볼트 부재(220)의 축부가 관통 가능한 관통구멍(580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판 부재(560)는 볼트 부재(220)의 축부가 관통구멍(560A)에 관통된 상태에서, 패널(PN)과 보(BM)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이 때, 제 1 판 부재(560)의 일변이 하방을 향해서 구부려져 있기 때문에, 이 부분이 패널(PN)의 어깨부에 록킹되어 패널(PN)에 대하여 제 1 판 부재(560)가 회전하는 것이 억제된다. 또한, 원통 부재(570)는 보(BM)의 관통구멍(TH1)에 삽입된 상태에서, 그 내경에 볼트 부재(220)의 축부가 관통되어 있다. 제 2 판 부재(580)는 원통 부재(570)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한 볼트 부재(220)의 축부가 관통구멍(580A)에 관통된 상태에서, 보(BM)의 상부면에 적재되어 있다. 여기에서, 보(BM)에 대한 제 2 판 부재(580)의 회전을 억제하기 위해서, 보(BM)의 상부면에 제 2 판 부재(580)가 감합하는 직사각형 형상의 오목부(CP)를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 2 판 부재(580)로부터 돌출한 볼트 부재(220)의 수나사(220A)에, 예를 들면 평 와셔, 스프링 와셔 및 더블 너트를 포함하는 체결구(FM)가 나사결합되어 있다. 또한, 제 1 판 부재(560)가 단순한 직사각형 형상을 하고 있는 경우, 보(BM)의 하부면에 제 1 판 부재(560)가 감합하는 직사각형 형상의 오목부(도시하지 않음)를 형성하여 제 1 판 부재(560)의 회전을 억제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하면, 보(BM)의 관통구멍(TH1)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은 제 1 판 부재(560), 원통 부재(570) 및 제 2 판 부재(580)에 의해 보강되기 때문에, 타이 다운 철물(200)의 체결력이 작용해도 보(BM)의 상부면에 위치하는 체결구(FM)가 보(BM)에 박혀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자형 철물(250) 등을 통해서 제 2 판 부재(580)로부터 돌출한 볼트 부재(220)를 체결하는 경우에도, 보강 철물(550)을 사용함으로써 상자형 철물(250) 등이 보(BM)에 박혀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보강 철물(550)은 도 12에 나타내는 구조체에 한정하지 않고, 다른 구조체에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보강 철물(550)은 보(BM)에 한정하지 않고, 기둥(PT) 등의 목제 건축 부재에도 사용할 수 있다.
패널(PN)의 상부면과 보(BM)의 하부면을 접합하는 제 2 전단 철물(400)은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설치할 수도 있다. 즉, 보(BM)의 하부면에는 원형구멍(CH1) 대신에, 제 2 전단 철물(400)의 접합 부재(430)가 감합 가능한 슬릿(SL6)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패널(PN)의 상부면에는 슬릿(SL3) 대신에, 제 2 전단 철물(400)의 원통 부재(420)가 감합하는 2개의 원형구멍(CH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 2 전단 철물(400)의 접합 부재(430)가 보(BM)의 슬릿(SL6)에 감합된 상태에서, 보(BM)의 일면으로부터 드리프트 핀이 박혀 그 축부가 접합 부재(430)의 관통구멍(430A)이 관통됨으로써 보(BM)와 제 2 전단 철물(400)이 일체화되어 있다. 또한, 제 2 전단 철물(400)의 원통 부재(420)는 그 하방에 위치하는 패널(PN)의 원형구멍(CH2)에 감합함으로써 패널(PN)에 작용하는 전단력을 받고 있다. 또한, 상기 구성의 작용 및 효과는 앞에 설명한 예와 같으므로, 그 설명은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이하 동일).
타이 다운 철물(200)은 패널(PN)과 일체화되는 구성에 한정하지 않고,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둥(PT)과 일체화되어도 좋다. 즉, 기둥(PT)의 일측면에는 그 전체 길이에 걸쳐서 타이 다운 철물(200)이 감합 가능한 계단 형상의 슬릿(SL7)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기둥(PT)의 슬릿(SL7)에는 타이 다운 철물(200)이 감합되고, 예를 들면 접착제 또는 드리프트 핀에 의해 기둥(PT)과 타이 다운 철물(200)이 일체화되어 있다.
이 경우, 기둥(PT)의 하부면은 타이 다운 철물(200)이 감합된 돌출 부분과, 타이 다운 철물(200)이 감합되어 있지 않는 평탄 부분으로 2분할된다. 이 때문에, 기둥(PT)의 하부면을 지지하기 위해서 수직재 접합 철물(100) 대신에, 상자형 철물(250) 및 스페이서 철물(300)을 사용한다. 즉, 기둥(PT)의 평탄 부분은 스페이서 철물(300)로 지지되고, 그 돌출 부분은 상자형 철물(250)을 통해서 콘크리트 기초(BS)에 체결되어 있다. 또한, 콘크리트 기초(BS)에 대한 스페이서 철물(300)의 체결 순서는 상자형 철물(250)의 체결 순서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이하 동일). 또한, 기둥(PT)의 평탄 부분은 스페이서 철물(300) 대신에, 상자형 철물(250)로 지지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하면, 타이 다운 철물(200)은 기둥(PT)의 내부에 매립할 수 있다. 그리고, 기둥(PT)의 외주면은 평탄하게 되기 때문에, 예를 들면 기둥(PT)의 횡단면을 형성하는 4개의 측면을, 예를 들면 내화 성능이 우수한 석고보드로 덮고, 그 주위를 목제의 피복재로 더 덮음으로써 외형이 좋고, 내화 성능을 갖는 건축 부재로 할 수 있다. 기둥(PT)의 상부면과 보(BM)의 하부면은 기둥(PT)과 일체화된 타이 다운 철물(200)로 접합되기 때문에, 연결 철물(150)이 불필요하게 되어 기둥(PT) 및 보(BM)에 슬릿(SL1) 및 슬릿(SL5)을 형성하는 공수를 삭감할 수 있다.
또한, 콘크리트 기초(BS)에 대하여 패널(PN)의 하부면을 접합하는 접합 철물로서는 제 1 전단 철물(350) 대신에,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3 전단 철물(450)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패널(PN)의 하부면에는 슬릿(SL4) 대신에, 제 3 전단 철물(450)의 원통 부재(460)가 감합 가능한 2개의 원형구멍(CH3)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패널(PN)의 원형구멍(CH3)이 제 3 전단 철물(450)의 원통 부재(460)에 감합함으로써 패널(PN)의 하부면이 콘크리트 기초(BS)에 접합되어 있다. 또한, 이 경우, 제 3 전단 철물(450)은 패널(PN) 상하방향의 하중을 받으면서, 이것이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려고 하는 수평력을 받을 수 있다.
패널(PN)의 상부면과 보(BM)의 하부면을 접합하는 접합 철물로서는 제 2 전단 철물(400) 대신에,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4 전단 철물(500)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패널(PN)의 상부면에는 슬릿(SL3) 대신에, 제 4 전단 철물(500)의 원통 부재(520)가 감합 가능한 2개의 원형구멍(CH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패널(PN)의 상부면에 형성된 원형구멍(CH2)이 제 4 전단 철물(500)의 원통 부재(520)에 감합함으로써 패널(PN)의 상부면과 보(BM)의 하부면이 접합되어 있다.
[제 2 실시형태]
도 17은 목조 건축물의 2층을 전제로 한 구조체의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구조체에서는 4개의 연결 철물(150)을 사용하여 2개의 보(BM) 및 2개의 기둥(PT)으로 이루어지는 직사각형 형상의 골조가 구축된다. 그리고, 2개의 타이 다운 철물(200), 4개의 상자형 철물(250) 및 2개의 제 2 전단 철물(400)을 사용하여 직사각형 형상의 골조에 대하여 끼워 넣어지는 직사각형 형상의 패널(PN)이 접합된다.
기둥(PT)의 상부면 및 하부면의 중앙에는 보(BM)의 축방향을 따라 연결 철물(150)이 감합 가능한 슬릿(SL1)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기둥(PT)의 일측면에는 연결 철물(150)의 관통구멍(150A)에 드리프트 핀을 박기 위한 작은 구멍(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하방에 위치하는 보(BM)의 상부면 및 상방에 위치하는 보(BM)의 하부면이 있는 소정 위치에는 연결 철물(150) 및 제 2 전단 철물(400)의 접합 부재(430)가 감합 가능한, 슬릿(SL5) 및 슬릿(SL6)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패널(PN)의 좌우 측면에는 앞의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타이 다운 철물(200)이 일체화되어 있고, 또한 패널(PN)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는 제 2 전단 철물(400)의 원통 부재(420)가 감합 가능한 2개의 원형구멍(CH2)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하방에 위치하는 보(BM)의 상부면이 있는 소정 위치에는 그 상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는 앵커 볼트(AB), 및 그 선단부에 나사결합하는 평 와셔, 스프링 와셔 및 더블 너트를 포함하는 체결구(FM)를 통해서 2개의 상자형 철물(250)이 체결되어 있다. 즉, 상자형 철물(250)은 그 관통구멍(250A)이 앵커 볼트(AB)의 축부를 관통한 상태에서 보(BM)의 상부면에 적재되어 그 바닥판으로부터 돌출하는 앵커 볼트(AB)의 축부에 체결구(FM)를 나사결합함으로써 체결되어 있다.
하방에 위치하는 보(BM)의 상부면과 기둥(PT)의 하부면은 보(BM)의 슬릿(SL5)과 기둥(PT)의 슬릿(SL1)에 연결 철물(150)이 감합함으로써 접합되어 있다. 이 때, 보(BM)에 대한 기둥(PT)의 접합을 확실하게 하기 위해서, 보(BM) 및 기둥(PT)의 일측면으로부터 드리프트 핀이 박혀 그 축부가 연결 철물(150)의 관통구멍(150A)에 관통되어 있다.
상자형 철물(250) 및 보(BM)의 상부면에는 타이 다운 철물(200)이 일체화된 패널(PN)의 하부면이 접합되어 있다. 즉, 상자형 철물(250)의 관통구멍(250A)에는 타이 다운 철물(200)의 볼트 부재(220)의 축부가 관통하여 그 수나사(220A)에 체결구(FM)가 나사결합함으로써 상자형 철물(250)에 대하여 타이 다운 철물(200)의 하단부가 접합되어 있다. 이 때, 패널(PN)의 하방에 위치하는 양쪽 모퉁이부와 상자형 철물(250)이 간섭하지 않도록, 패널(PN)의 하방의 양쪽 모퉁이부가 직사각형 형상으로 노치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방에 위치하는 보(BM)의 상부면에는 그 슬릿(SL6)에 제 2 전단 철물(400)의 접합 부재(430)가 감합함으로써 제 2 전단 철물(400)이 접합되어 있다. 이 때, 보(BM)에 대한 제 2 전단 철물(400)의 접합을 확실하게 하기 위해서, 보(BM)의 일면으로부터 드리프트 핀이 박혀 그 축부가 접합 부재(430)의 관통구멍(430A)에 관통되어 있다. 또한, 제 2 전단 철물(400)에는 그 원통 부재(420)가 패널(PN)의 하부면에 형성된 원형구멍(CH2)에 감합함으로써 패널(PN)의 하단부가 접합되어 있다.
좌우의 기둥(PT) 및 패널(PN)의 상부면에는 연결 철물(150) 및 제 2 전단 철물(400)을 통해서 상방에 위치하는 보(BM)의 하부면이 접합되어 있다. 즉, 기둥(PT)의 상부면에 형성된 슬릿(SL1)과, 보(BM)의 하부면에 형성된 슬릿(SL5)에 걸쳐서 연결 철물(150)이 감합되고, 기둥(PT) 및 보(BM)의 일면으로부터 드리프트 핀이 각각 박혀 그 축부가 연결 철물(150)의 관통구멍(150A)에 각각 관통되어 있다. 또한, 보(BM)와 일체화된 제 2 전단 철물(400)의 원통 부재(420)가 패널(PN)의 원형구멍(CH2)에 감합되어 있다. 또한, 패널(PN)과 일체화된 타이 다운 철물(200)의 볼트 부재(220)의 축부가 보(BM)의 관통구멍(TH1)에 관통되고, 보(BM)의 상부면으로부터 돌출한 볼트 부재(220)가 상자형 철물(250)의 바닥면에 형성된 관통구멍(250A)에 관통되어 있다. 상자형 철물(250)의 바닥판으로부터 돌출한 볼트 부재(220)의 수나사(220A)에는 체결구(FM)가 나사결합되어 있다.
또한, 체결구(FM)를 체결할 때, 보(BM)에 대하여 상자형 철물(250)이 깊이 박히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서, 상자형 철물(250)과 보(BM) 사이에 상자형 철물(250)의 바닥판보다 큰 평면을 갖는, 예를 들면 직사각형 형상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플레이트(와셔)(PT)를 개재시켜도 좋다. 또한, 보(BM)에 대한 타이 다운 철물(200)의 체결은 상자형 철물(250)에 한정하지 않고, 플레이트(PT)만, 바닥판에만 관통구멍이 형성된 스페이서 철물(300) 등으로 행해도 좋다. 또한, 보(BM)의 관통구멍(TH1)을 보강하기 위해서, 앞의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보강 철물(550)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조체의 제 2 실시형태에 의하면, 2개의 기둥(PT) 및 2개의 보(BM)로 이루어지는 직사각형 형상의 골조에, 예를 들면 지진이나 태풍에 의한 수평력이 작용하면 이것이 평행사변형적으로 변형하려고 한다. 직사각형 형상의 골조가 변형할 때, 그 골조에는 직사각형 형상의 패널(PN)이 끼워 넣어져 있기 때문에, 기둥(PT)이 패널(PN)의 측면에 접촉하여 그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이 경우, 패널(PN)의 상부면과 보(BM) 사이에는 보(BM)의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전단력이 작용하지만, 그 전단력은 제 2 전단 철물(400)의 원통 부재(420)로 받아내어 골조의 변형이 과도하게 커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직사각형 형상의 골조에 상하방향의 하중이 작용했을 경우, 제 2 전단 철물(400)의 원통 부재(420)와 패널(PN)의 원형구멍(CH2)이 상대 변위 가능하기 때문에, 보(BM)로부터 패널(PN)에 작용하는 하중이 차단된다. 이 때문에, 패널(PN)에서 하중을 지지할 필요가 없어 문형 형상의 골조의 구조 설계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전단 철물(400) 상하방향을 반전시킬 수 있다. 또한, 보(BM)와 패널(PN)을 접합하는 접합 철물로서 제 2 전단 철물(400) 대신에,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BM)의 원형구멍(CH1) 및 패널(PN)의 원형구멍(CH2)에 4개의 원통 부재(520)가 감합 가능한 제 4 전단 철물(500)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타이 다운 철물(200)은 패널(PN)과 일체화되는 구성에 한정하지 않고,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둥(PT)과 일체화할 수도 있다.
또한, 제 1 실시형태 및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문형 형상 또는 직사각형 형상의 골조에 대하여 패널(PN)을 접합하는 접합 철물은 패널(PN)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한정하지 않고, 패널(PN)의 좌우 측면에 설치할 수도 있다.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콘크리트 기초(BS)의 상부면에 횡가재로서의 토대를 체결하고, 제 2 실시형태로 사용한 각종 철물을 사용하여 직사각형 형상의 골조를 구축할 수도 있다. 또한, 제 1 실시형태 및 제 2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기술적 특징에 대해서, 이들을 적당히 조합시키거나 임의로 치환할 수도 있다.
200 타이 다운 철물(구속 철물) 210 베이스 부재
210A 관통구멍 220 볼트 부재
220A 수나사 BS 콘크리트 기초(구조 몸체)
BM 보(구조 몸체) FM 체결구
PT 기둥(구조 몸체)
210A 관통구멍 220 볼트 부재
220A 수나사 BS 콘크리트 기초(구조 몸체)
BM 보(구조 몸체) FM 체결구
PT 기둥(구조 몸체)
Claims (4)
- 평행하게 배치된 한 쌍의 제 1 구조 몸체와, 상기 한 쌍의 제 1 구조 몸체 사이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 1 구조 몸체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치된 한 쌍의 제 2 구조 몸체를 조합시켜 구축된 직사각형 형상의 골조에 직사각형 형상의 패널이 끼워 넣어진 개소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 1 구조 몸체가 서로 이간하는 것을 억제하는 구속 철물로서,
상기 제 2 구조 몸체와 상기 패널이 대면하는 개소에 있어서, 상기 제 2 구조 몸체 또는 상기 패널에 형성된 판상의 슬릿에 감합 가능한 장척 형상 또한 직사각형 형상의 평탄한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베이스 부재와,
상기 베이스 부재의 길이방향의 양단부로부터 상기 길이방향의 외방으로 각각 연장되어 상기 한 쌍의 제 1 구조 몸체에 형성된 관통구멍에 관통 가능한, 적어도 선단부의 외주에 수나사가 형성된 금속제의 볼트 부재와,
상기 한 쌍의 제 1 구조 몸체로부터 돌출하는 상기 볼트 부재의 상기 수나사에 나사결합가능한 체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속 철물.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의 판면에, 드리프트 핀이 관통 가능한 관통구멍이 복수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속 철물.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는 평 와셔, 스프링 와셔 및 더블 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속 철물.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구속 철물을 사용하여 상기 한 쌍의 제 1 구조 몸체를 연결하고, 상기 한 쌍의 제 1 구조 몸체가 서로 이간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 몸체의 구속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6204718A JP6282709B1 (ja) | 2016-10-18 | 2016-10-18 | 拘束金物及び構造躯体の拘束方法 |
JPJP-P-2016-204718 | 2016-10-18 | ||
PCT/JP2017/037590 WO2018074487A1 (ja) | 2016-10-18 | 2017-10-17 | 拘束金物及び構造躯体の拘束方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67785A KR20190067785A (ko) | 2019-06-17 |
KR102293462B1 true KR102293462B1 (ko) | 2021-08-25 |
Family
ID=61231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7009662A KR102293462B1 (ko) | 2016-10-18 | 2017-10-17 | 구속 철물 및 구조 몸체의 구속 방법 |
Country Status (11)
Country | Link |
---|---|
US (1) | US11168473B2 (ko) |
EP (1) | EP3530827B1 (ko) |
JP (1) | JP6282709B1 (ko) |
KR (1) | KR102293462B1 (ko) |
CN (1) | CN109790709A (ko) |
AU (1) | AU2017346914B2 (ko) |
CA (1) | CA3040844A1 (ko) |
DK (1) | DK3530827T3 (ko) |
NZ (1) | NZ752842A (ko) |
TW (1) | TWI751206B (ko) |
WO (1) | WO2018074487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7082100B2 (ja) * | 2019-09-12 | 2022-06-07 | 三菱地所ホーム株式会社 | 接続金具 |
JP7475639B2 (ja) * | 2020-03-09 | 2024-04-30 | 株式会社ポラス暮し科学研究所 | 面材の取付構造 |
US20240093483A1 (en) * | 2022-09-19 | 2024-03-21 | Cetres Holdings, Llc | Hollow metal plate for hold down systems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9068256A (ja) * | 2007-09-13 | 2009-04-02 | Tokyo Institute Of Technology | 木造家屋の構造 |
KR101263078B1 (ko) * | 2008-01-24 | 2013-05-09 | 신닛테츠스미킨 카부시키카이샤 | 접합 철물 및 이것을 구비한 건축물 |
Family Cites Families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448861A (en) * | 1994-07-19 | 1995-09-12 | Lawson; Donald L. | Method and apparatus for securing parts of a building to each other and to a foundation |
TW328793U (en) * | 1996-02-09 | 1998-03-21 | Lin-Da You | Easily detachable assembled wall panels |
JP3282984B2 (ja) * | 1997-01-27 | 2002-05-20 | 松下電工株式会社 | 柱補強金具 |
JPH10311110A (ja) * | 1997-05-13 | 1998-11-24 | Sugimoto Kenchiku Kenkyusho:Kk | 建築物の接合構造 |
FR2802951B1 (fr) * | 1999-12-24 | 2004-10-29 | Xavier Batiste | Dispositif d'ossature relatif aux murs porteurs des constructions en rez-de-chaussee ou a etages, avec ou sans combles amenageables |
US7150132B2 (en) | 2003-08-12 | 2006-12-19 | Commins Alfred D | Continuous hold-down system |
JP2001323568A (ja) * | 2000-05-12 | 2001-11-22 | Kowa:Kk | 木造建築物における金属製筋かいプレート |
CA2663322C (en) * | 2006-09-12 | 2015-06-02 | Thomas M. Espinosa | Hold down system and building using the same |
GB2457711B (en) * | 2008-02-22 | 2010-04-14 | Simpson Strong Tie Co Inc | Tension device for connection and tensioning of means connected to construction elements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tension device |
WO2011111087A1 (ja) * | 2010-03-08 | 2011-09-15 | Taneichi Kaoru | 付勢具 |
WO2014190054A1 (en) * | 2013-05-23 | 2014-11-27 | Espinosa Thomas M | Reinforced building wall |
JP2015151668A (ja) | 2014-02-10 | 2015-08-24 | 株式会社カネシン | ホールダウン金物 |
KR101520002B1 (ko) * | 2015-01-05 | 2015-05-14 | (주)세종알앤디 | 조립식 플레이트와 정착 채널을 구비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 |
US11603656B2 (en) * | 2018-05-17 | 2023-03-14 | Centres Holdings, Llc | Compression and tension reinforced wall |
-
2016
- 2016-10-18 JP JP2016204718A patent/JP6282709B1/ja active Active
-
2017
- 2017-10-16 TW TW106135362A patent/TWI751206B/zh active
- 2017-10-17 WO PCT/JP2017/037590 patent/WO2018074487A1/ja unknown
- 2017-10-17 DK DK17861466.5T patent/DK3530827T3/da active
- 2017-10-17 KR KR1020197009662A patent/KR102293462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7-10-17 EP EP17861466.5A patent/EP3530827B1/en active Active
- 2017-10-17 US US16/341,725 patent/US11168473B2/en active Active
- 2017-10-17 CN CN201780061796.3A patent/CN109790709A/zh active Pending
- 2017-10-17 CA CA3040844A patent/CA3040844A1/en active Pending
- 2017-10-17 AU AU2017346914A patent/AU2017346914B2/en active Active
- 2017-10-17 NZ NZ752842A patent/NZ752842A/en unknow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9068256A (ja) * | 2007-09-13 | 2009-04-02 | Tokyo Institute Of Technology | 木造家屋の構造 |
KR101263078B1 (ko) * | 2008-01-24 | 2013-05-09 | 신닛테츠스미킨 카부시키카이샤 | 접합 철물 및 이것을 구비한 건축물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3530827B1 (en) | 2021-03-31 |
AU2017346914B2 (en) | 2022-12-15 |
TWI751206B (zh) | 2022-01-01 |
WO2018074487A1 (ja) | 2018-04-26 |
DK3530827T3 (da) | 2021-04-26 |
JP6282709B1 (ja) | 2018-02-21 |
EP3530827A4 (en) | 2020-07-15 |
EP3530827A1 (en) | 2019-08-28 |
CA3040844A1 (en) | 2018-04-26 |
US20210025160A1 (en) | 2021-01-28 |
TW201825750A (zh) | 2018-07-16 |
CN109790709A (zh) | 2019-05-21 |
US11168473B2 (en) | 2021-11-09 |
KR20190067785A (ko) | 2019-06-17 |
AU2017346914A1 (en) | 2019-05-02 |
JP2018066161A (ja) | 2018-04-26 |
NZ752842A (en) | 2021-12-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397592B1 (ko) | 접합 철물 및 패널의 접합 방법 | |
KR102293462B1 (ko) | 구속 철물 및 구조 몸체의 구속 방법 | |
JP6554692B2 (ja) | パネルの接合方法 | |
KR102374876B1 (ko) | 보강 철물 및 목제 건축 부재의 보강 방법 | |
JP6554691B2 (ja) | パネルの接合方法 | |
JP4602031B2 (ja) | 壁用パネル | |
JP6713908B2 (ja) | 耐震補強フレー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