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4876B1 - 보강 철물 및 목제 건축 부재의 보강 방법 - Google Patents

보강 철물 및 목제 건축 부재의 보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4876B1
KR102374876B1 KR1020197009669A KR20197009669A KR102374876B1 KR 102374876 B1 KR102374876 B1 KR 102374876B1 KR 1020197009669 A KR1020197009669 A KR 1020197009669A KR 20197009669 A KR20197009669 A KR 20197009669A KR 102374876 B1 KR102374876 B1 KR 1023748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rdware
hole
plate
panel
shap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96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7786A (ko
Inventor
히로유키 아다치
Original Assignee
쉘터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쉘터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쉘터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900677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77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48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48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6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wood
    • E04B1/2604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6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woo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5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56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 E04B2/70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with elongated members of wood
    • E04B2/706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with elongated members of wood with supporting function
    • E04B2/707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with elongated members of wood with supporting function obturation by means of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18Increasing or restoring the load-bearing capacity of building constructio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1Bearing, supporting or connecting construct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02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 E04B1/10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the elements consisting of woo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6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wood
    • E04B1/2604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2001/2644Brackets, gussets or joining pl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6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wood
    • E04B1/2604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2001/268Connection to foundations
    • E04B2001/2684Connection to foundations with metal connec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6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wood
    • E04B2001/2696Shear bracing

Abstract

목제 건축 부재의 일면으로부터 타면에 걸쳐 형성된 관통공을 보강하는 보강 철물은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제 1 판 부재와, 금속 원통으로 이루어지는 원통 부재와,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제 2 판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제 1 판 부재는 목제 건축 부재의 일면에 배치되고, 막대 형상의 체결구가 관통가능한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원통 부재는 목제 건축 부재의 관통공의 전체 길이에 걸쳐 감합 삽입되어 막대 형상의 체결구가 관통가능하다. 제 2 판 부재는 목제 건축 부재의 타면에 배치되고, 막대 형상의 체결구가 관통가능한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보강 철물 및 목제 건축 부재의 보강 방법
본 발명은 목제 건축 부재의 관통공을 보강하는 보강 철물 및 목제 건축 부재의 보강 방법에 관한 것이다.
목조 축조 구법에서는 콘크리트 기초에 대하여 토대나 보 등의 횡가재와 기둥 등의 수직재를 적당히 조합함으로써 문형 형상 또는 직사각형 형상의 골조가 구축된다. 문형 형상 또는 직사각형 형상의 골조를 구축할 때, 일본특허공개 2008-255658호 공보(특허문헌 1)에 기재되는 바와 같이, 보의 관통공을 상하로 관통하는 볼트를 사용하여 기둥의 상면과 보의 하면을 접합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일본특허공개 2008-255658호 공보
그런데, 문형 형상 또는 직사각형 형상의 골조에 지진이나 태풍 등에 의한 수평력이 작용하면 평행사변형적 변형이 생기고, 기둥으로부터 보를 떼어 놓으려고 하는 힘이 발생해버린다. 기둥으로부터 보를 떼어 놓으려고 하는 힘이 발생하면, 보를 상하로 관통하고 있는 볼트에 인장력이 작용하고, 보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볼트에 체결되어 있는 철물 등이 보의 방향을 향해 압박되고, 이것이 보의 상면에 깊이 들어가버릴 우려가 있다. 철물 등이 보의 상면에 깊이 들어가버리면, 예를 들면 보의 강도가 저하하거나, 기둥과 보의 접합 강도가 저하하거나 해버린다. 또한 철물 등의 깊이 들어감은 문형 형상 또는 직사각형 형상의 골조를 구축하는 다른 목제 건축 부재에도 생길 수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목제 건축 부재의 관통공을 보강하는 보강 철물 및 목제 건축 부재의 보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때문에 목제 건축 부재의 일면으로부터 타면에 걸쳐 형성된 관통공을 보강하는 보강 철물은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제 1 판 부재와, 금속 원통으로 이루어지는 원통 부재와,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제 2 판 부재를 구비한다. 제 1 판 부재는 목제 건축 부재의 일면에 배치되고, 막대 형상의 체결구가 관통가능한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원통 부재는 목제 건축 부재의 관통공의 전체 길이에 걸쳐 감합 삽입되고, 막대 형상의 체결구가 관통가능하다. 제 2 판 부재는 목제 건축 부재의 다른 면에 배치되고, 막대 형상의 체결구가 관통가능한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보강 철물을 사용하여 목제 건축 부재의 일면으로부터 타면에 걸쳐 형성된 관통공을 보강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목제 건축 부재의 관통공을 보강할 수 있다.
도 1은 수직재 접합 철물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연결 철물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타이다운 철물의 일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타이다운 철물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상자형 철물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상자형 철물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스페이서 철물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제 1 전단 철물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제 2 전단 철물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제 3 전단 철물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제 4 전단 철물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목제 건축 부재에 의해 구축한 구조체의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3은 보강 철물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 1 변형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5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 2 변형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6은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 3 변형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7은 목제 건축 부재에 의해 구축한 구조체의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8은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 1 변형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9는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 2 변형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목조 축조 구법에서는 목제 건축 부재로서의 횡가재와 목제의 수직재를 적당히 조합하여 문형 형상 또는 직사각형 형상의 골조가 구축된다. 이러한 골조를 구축하기 위해서 이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각종 철물이 사용된다. 또한, 횡가재 및 수직재는 무구재 및 집성재 중 어느 것이어도 좋다.
1. 수직재 접합 철물
수직재 접합 철물(100)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사각형 형상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접합 부재(110)와, 직사각형 형상의 금속판을 적당히 접합해서 형성되는 고정 부재(120)를 갖는다. 접합 부재(110)는 기둥의 하면에 형성된 슬릿에 감합가능한 부재이며, 드리프트 핀의 축부가 관통가능한 관통공(110A)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 부재(120)는 앵커 볼트에 의해 콘크리트 기초에 체결가능한 부재이며, 대향하는 2면이 개구된 상자형 형상의 제 1 부재(122)와, 제 1 부재(122)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어 제 1 부재(122)를 보강하는 제 2 부재(124)를 갖는다.
여기서, 직사각형 형상 및 상자형 형상으로서는 겉보기에 직사각형 형상 및 상자형 형상으로 인식할 수 있을 정도가 좋다. 따라서, 이들의 형상을 형성하는 부재의 일부에 노치, 소공 등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다른 형상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제 1 부재(122)의 바닥판에는 콘크리트 기초로부터 돌출되는 앵커 볼트의 축부가 관통가능한 관통공(122A)이 복수 형성되어 있다. 도시의 예에서는 제 1 부재(122)의 바닥판에는 내부 공간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2열, 이것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2열의 합계 4개의 관통공(122A)이 형성되어 있지만, 그 개수 및 위치는 임의이다. 제 2 부재(124)는 직사각형 형상의 금속판을 격자 형상으로 조합한 부재이며, 제 1 부재(122)의 내면에 용접 등으로 고착되어 있다. 그리고, 접합 부재(110)의 하단부는 고정 부재(120)의 상면에 용접 등으로 고착되어 있다. 여기서, 접합 부재(110)는 제 1 부재(122)의 횡단면 상에 판면이 위치하도록 고착되어 있다. 또한, 각 부의 치수 등은 예를 들면, 수직재 접합 철물(100)의 사용 개소, 접합 대상물 등에 따라 적당히 결정할 수 있다(이하 동일).
2. 연결 철물
연결 철물(150)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사각형 형상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지고, 그 길이방향의 양단부 근방에 드리프트 핀의 축부가 관통가능한 관통공(150A)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연결 철물(150)은 횡가재에 형성된 슬릿과 수직재에 형성된 슬릿에 감합되어 이들을 서로 접합한다.
3. 타이다운 철물
타이다운 철물(200)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면으로 볼 때에 장척의 직사각형 형상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베이스 부재(210)와, 베이스 부재(210)의 길이방향의 양단부로부터 그 길이방향의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금속제의 볼트 부재(220)와, 도시하지 않은 체결구를 갖는다. 볼트 부재(220)는 베이스 부재(210)에 기단부가 용접 등으로 고착되고, 적어도 선단부의 외주에 수나사(220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 부재(210)의 판면에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드리프트 핀의 축부가 관통가능한 관통공(210A)을 복수 형성할 수도 있다. 체결구는 평와셔, 스프링 와셔 및 더블 너트를 포함하고, 볼트 부재(220)의 수나사(220A)에 착탈가능하게 나사 결합된다. 또한, 타이다운 철물(200)은 상세를 후술하는 바와 같이 수직재로서의 기둥의 슬릿, 패널의 슬릿에 감합된다.
수직재로서의 기둥의 슬릿, 패널의 슬릿에 타이다운 철물(200)을 감합할 필요가 없을 경우에는 베이스 부재(210)는 임의의 단면 형상, 예를 들면 정사각형, 원형, 삼각형 등을 갖는 부재로 할 수도 있다.
4. 상자형 철물
상자형 철물(250)은 직사각형 형상의 금속판을 적당히 접합해서 형성된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일면만이 개구되는 상자형 형상의 철물이다. 그리고, 개구에 인접하면서 대향하는 2면에 콘크리트 기초로부터 돌출되는 앵커 볼트의 축부, 타이다운 철물(200)의 볼트 부재(220)의 축부가 관통가능한 관통공(250A)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자형 철물(250)로서는 직사각형 형상의 금속판을 적당히 접합해서 형성된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대향하는 2면이 개구되는 상자형 형상의 제 1 부재(252)와, 제 1 부재(252)의 개구의 상부 및 하부를 폐색해서 보강하는 직사각형 형상의 제 2 부재(254)를 갖고 있어도 좋다. 이 상자형 철물(250)에 있어서는 제 1 부재(252)의 천판 및 바닥판에 콘크리트 기초로부터 돌출되는 앵커 볼트의 축부, 타이다운 철물(200)의 볼트 부재(220)의 축부가 관통가능한 관통공(250A)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5. 스페이서 철물
스페이서 철물(300)은 상자형 철물(250)과 협동해서 콘크리트 기초에 대하여 타이다운 철물(200)이 일체화된 수직재를 접합하는 철물이다. 스페이서 철물(300)은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사각형 형상의 금속판을 적당히 접합해서 형성된 대향하는 2면이 개구되는 상자형 형상을 이루는 제 1 부재(310)와, 제 1 부재(310)의 내부 공간의 횡단면 상에 판면이 위치하는 직사각형 형상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제 2 부재(320)를 갖는다. 제 1 부재(310)의 바닥판에는 그 내부 공간이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콘크리트 기초로부터 돌출되는 앵커 볼트의 축부가 관통가능한 관통공(310A)이 2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 1 부재(310)의 바닥판에 형성되는 관통공(310A)은 2개에 한정되지 않고, 임의의 개수로 할 수 있다. 제 2 부재(320)는 제 1 부재(310)의 내부 공간을 균등하게 2분할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제 1 부재(310)의 내면에 용접 등으로 고착되어 있다.
6. 제 1 전단 철물
제 1 전단 철물(350)은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사각형 형상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접합 부재(360)와, 직사각형 형상의 금속판을 적당히 접합해서 형성된 고정 부재(370)를 갖는다. 접합 부재(360)는 패널에 형성된 슬릿에 감합가능한 부재이며, 드리프트 핀의 축부가 관통가능한 관통공(360A)이 복수 형성되어 있다. 도시의 예에서는 관통공(360A)은 접합 부재(360)의 길이방향을 따른 3열의 지그재그 격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그 개수 및 위치는 임의이다. 고정 부재(370)는 앵커 볼트에 의해 콘크리트 기초에 체결가능한 부재이며, 대향하는 2면이 개구된 상자형 형상의 제 1 부재(372)와, 제 1 부재(372)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어 제 1 부재(372)를 보강하는 제 2 부재(374)를 갖는다.
제 1 부재(372)의 바닥판에는 콘크리트 기초로부터 돌출되는 앵커 볼트의 축부가 관통가능한 관통공(372A)이 복수 형성되어 있다. 도시의 예에서는 제 1 부재(372)의 바닥판에는 내부 공간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2열, 이것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6열의 합계 12개의 관통공(372A)이 형성되어 있지만, 그 개수 및 위치는 임의이다. 제 2 부재(374)는 제 1 부재(372)의 관통공(372A)을 직교하는 삼방으로부터 둘러싸도록 직사각형 형상의 금속판을 격자 형상으로 조합한 부재이며, 제 1 부재(372)의 내면에 용접 등으로 고착되어 있다. 그리고, 접합 부재(360)의 하단부는 고정 부재(370)의 상면에 용접 등으로 고착되어 있다. 여기서, 접합 부재(360)는 제 1 부재(372)의 횡단면 상에 판면이 위치하도록 고정되어 있다.
7. 제 2 전단 철물
제 2 전단 철물(400)은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사각형 형상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베이스 부재(410)와, 금속 원통으로 이루어지는 2개의 원통 부재(420)와, 직사각형 형상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접합 부재(430)를 갖는다.
베이스 부재(410)는 골조와 패널 사이에 배치되는 부재이다. 원통 부재(420)는 토대, 보 또는 패널에 형성된 원공에 감합가능한 부재이다. 원통 부재(420)는 베이스 부재(410)의 일면이며, 그 길이방향을 따라 이간된 2위치에 용접 등으로 각각 고착(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원통 부재(420)는 베이스 부재(410)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그 판면을 균등하게 2분할하는 위치에 고착되어 있다. 원통 부재(420)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원통 부재(420)의 내주면에 직사각형 형상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보강 부재(422)를 용접 등으로 고착해서 일체화할 수도 있다.
접합 부재(430)는 토대, 보 또는 패널에 형성된 슬릿에 감합가능한 부재이며, 드리프트 핀의 축부가 관통가능한 관통공(430A)이 복수 형성되어 있다. 도시의 예에서는 관통공(430A)은 접합 부재(430)의 길이방향을 따른 3열의 지그재그 격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그 개수 및 위치는 임의이다. 그리고, 접합 부재(430)는 베이스 부재(4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것과 직교하도록 베이스 부재(410)의 타면에 용접 등으로 고착(고정)되어 있다.
8. 제 3 전단 철물
제 3 전단 철물(450)은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금속 원통으로 이루어지는 2개의 원통 부재(460)와, 직사각형 형상의 금속판을 적당히 접합해서 형성된 고정 부재(470)를 갖는다.
원통 부재(460)는 패널에 형성된 원공에 감합가능한 부재이며, 고정 부재(470)의 상면에 있어서, 그 길이방향을 따라 이간된 2위치에 용접 등으로 각각 고착(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원통 부재(460)는 고정 부재(470)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그 상면을 균등하게 2분할하는 위치에 고착되어 있다. 원통 부재(460)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원통 부재(460)의 내주면에 직사각형 형상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보강 부재(462)를 용접 등으로 고착해서 일체화할 수도 있다.
고정 부재(470)는 앵커 볼트에 의해 콘크리트 기초에 체결가능한 부재이며, 대향하는 2면이 개구된 상자형 형상의 제 1 부재(472)와, 제 1 부재(472)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어 제 1 부재(472)를 보강하는 제 2 부재(474)를 갖는다. 제 1 부재(472)의 바닥판에는 콘크리트 기초로부터 돌출되는 앵커 볼트의 축부가 관통가능한 관통공(472A)이 복수 형성되어 있다. 도시의 예에서는 제 1 부재(472)의 바닥판에는 내부 공간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2열, 이것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6열의 합계 12개의 관통공(472A)이 형성되어 있지만, 그 개수 및 위치는 임의이다. 제 2 부재(474)는 제 1 부재(472)의 관통공(472A)을 직교하는 삼방으로부터 둘러싸도록 직사각형 형상의 금속판을 격자 형상으로 조합한 부재이며, 제 1 부재(472)의 내면에 용접 등으로 고착되어 있다.
또한, 고정 부재(470)는 콘크리트 기초로부터 돌출되는 앵커 볼트를 통해 콘크리트 기초에 체결되는 부재이며, 적어도 상면이 직사각형 형상의 수평면을 이루고 있으면 좋다.
9. 제 4 전단 철물
제 4 전단 철물(500)은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사각형 형상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베이스 부재(510)와, 금속 원통으로 이루어지는 4개의 원통 부재(520)를 갖는다.
베이스 부재(510)는 골조와 패널 사이에 배치되는 부재이다. 원통 부재(520)는 토대, 보 또는 패널에 형성된 원공에 감합가능한 부재이다. 원통 부재(520)는 베이스 부재(510)의 양면이며, 그 길이방향을 따라 이간된 2위치에 용접 등으로 고착(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원통 부재(520)는 베이스 부재(510)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그 판면을 균등하게 2분할하는 위치에 고착되어 있다. 원통 부재(520)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원통 부재(520)의 내주면에 직사각형 형상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보강 부재(522)를 용접 등으로 고착해서 일체화할 수도 있다.
이어서, 횡가재와 수직재를 적당히 조합해서 구축한 문형 형상 또는 직사각형 형상의 골조에 대하여 각종 철물을 사용하여 단판 적층재, 직교 집성재 등의 패널을 끼워 넣어서 접합한 구조체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
도 12는 목조 건축물의 1층을 전제로 한 구조체의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구조체에서는 2개의 수직재 접합 철물(100) 및 2개의 연결 철물(150)을 사용하여 콘크리트 기초(BS)에 대하여 2개의 기둥(PT) 및 1개의 보(BM)로 이루어지는 문형 형상의 골조가 구축된다. 그리고, 2개의 타이다운 철물(200), 4개의 상자형 철물(250), 1개의 제 1 전단 철물(350) 및 1개의 제 2 전단 철물(400)을 사용하여 문형 형상의 골조에 대하여 끼워 넣어지는 직사각형 형상의 패널(PN)이 접합된다.
기둥(PT)의 상면 및 하면의 중앙에는 콘크리트 기초(BS)의 연장 설치 방향을 따라 연결 철물(150) 및 수직재 접합 철물(100)의 접합 부재(110)가 감합가능한 슬릿(SL1)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기둥(PT)의 일측면에는 연결 철물(150)의 관통공(150A) 및 접합 부재(110)의 관통공(110A)에 드리프트 핀을 박아 넣기 위한 소공(도시하지 않음)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패널(PN)의 좌우 측면의 중앙에는 그 상단부로부터 하단부에 걸쳐 타이다운 철물(200)이 감합가능한 슬릿(SL2)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패널(PN)의 슬릿(SL2)의 상단부 및 하단부는 타이다운 철물(200)의 볼트 부재(220)가 감합가능하도록 그 폭이 중앙부로부터 확폭되는 단차가 형성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패널(PN)의 상면 및 하면의 중앙에는 그 판면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제 2 전단 철물(400)의 접합 부재(430) 및 제 1 전단 철물(350)의 접합 부재(360)가 각각 감합가능한 슬릿(SL3) 및 슬릿(SL4)이 형성되어 있다.
보(BM)의 하면의 소정 위치에는 그 축선이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연결 철물(150)이 감합가능한 2개의 슬릿(SL5), 및 제 2 전단 철물(400)의 원통 부재(420)가 감합가능한 2개의 원공(CH1)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보(BM)의 소정 위치에는 그 상면으로부터 하면으로 관통하도록 타이다운 철물(200)의 볼트 부재(220)의 축부가 관통가능한 2개의 관통공(TH1)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패널(PN)의 슬릿(SL2)에 타이다운 철물(200)이 감합되고, 예를 들면 접착제 등에 의해 일체화되어 있다. 여기서, 타이다운 철물(200)의 베이스 부재(210)에 관통공(210A)이 형성되어 있을 경우에는 접착제 등을 대신하여 패널(PN)의 일면으로부터 드리프트 핀을 박아 넣고, 그 축부를 관통공(210A)에 관통시킴으로써 패널(PN)과 타이다운 철물(200)을 일체화할 수 있다. 또한, 패널(PN)의 슬릿(SL3)에 제 2 전단 철물(400)의 접합 부재(430)가 감합되고, 패널(PN)의 일면으로부터 드리프트 핀을 박아 넣고, 그 축부를 관통공(430A)에 관통시킴으로써 패널(PN)과 제 2 전단 철물(400)을 일체화할 수 있다. 또한, 패널(PN)에 대한 타이다운 철물(200) 및 제 2 전단 철물(400)의 일체화는 구조체를 구축할 때에 행해도 좋다.
콘크리트 기초(BS)의 상면에는 그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앵커 볼트(AB), 및 그 선단부에 나사 결합하는 평와셔, 스프링 와셔 및 더블 너트를 포함하는 체결구(FM)를 통해 도면 중의 우방으로부터 좌방에 걸쳐 수직재 접합 철물(100), 상자형 철물(250), 제 1 전단 철물(350), 상자형 철물(250) 및 수직재 접합 철물(100)이 이 순서로 체결되어 있다. 즉, 수직재 접합 철물(100), 상자형 철물(250) 및 제 1 전단 철물(350)은 그 관통공(122A), 관통공(250A) 및 관통공(372A)이 앵커 볼트(AB)의 축부를 관통한 상태에서 콘크리트 기초(BS)의 상면에 각각 적재되고, 그 바닥판으로부터 돌출되는 앵커 볼트(AB)의 축부에 체결구(FM)를 나사 결합함으로써 체결되어 있다.
수직재 접합 철물(100)에는 그 접합 부재(110)가 기둥(PT)의 하면에 형성된 슬릿(SL1)에 감합됨으로써 기둥(PT)의 하면이 접합되어 있다. 이 때, 수직재 접합 철물(100)에 대한 기둥(PT)의 접합을 확실하게 하기 위해서 기둥(PT)의 일측면으로부터 드리프트 핀이 박아 넣어지고, 그 축부가 접합 부재(110)의 관통공(110A)에 관통되어 있다.
상자형 철물(250) 및 제 1 전단 철물(350)에는 타이다운 철물(200)이 일체화된 패널(PN)의 하면이 접합되어 있다. 즉, 상자형 철물(250)에는 그 관통공(250A)에 타이다운 철물(200)의 볼트 부재(220)의 축부가 관통하고, 그 수나사(220A)에 체결구(FM)가 나사 결합함으로써 타이다운 철물(200)의 하단부가 접합되어 있다. 또한, 제 1 전단 철물(350)에는 그 접합 부재(360)가 패널(PN)의 하면에 형성된 슬릿(SL4)에 감합되고, 패널(PN)의 일면으로부터 드리프트 핀을 박아 넣고, 그 축부를 관통공(360A)에 관통시킴으로써 제 1 전단 철물(350)에 패널(PN)의 하면이 접합되어 있다.
좌우의 기둥(PT) 및 패널(PN)의 상면에는 연결 철물(150) 및 제 2 전단 철물(400)을 통해 보(BM)의 하면이 접합되어 있다. 즉, 기둥(PT)의 상면에 형성된 슬릿(SL1)과, 보(BM)의 하면에 형성된 슬릿(SL5)에 걸쳐 연결 철물(150)이 감합되고, 기둥(PT) 및 보(BM)의 일면으로부터 드리프트 핀이 각각 박아 넣어지고, 그 축부가 연결 철물(150)의 관통공(150A)에 각각 관통되어 있다. 또한, 패널(PN)과 일체화된 제 2 전단 철물(400)의 원통 부재(420)가 보(BM)의 원공(CH1)에 감합되어 있다. 또한, 패널(PN)과 일체화된 타이다운 철물(200)의 볼트 부재(220)의 축부가 보(BM)의 관통공(TH1)에 관통되고, 보(BM)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볼트 부재(220)가 상자형 철물(250)의 바닥면에 형성된 관통공(250A)에 관통되어 있다. 상자형 철물(250)의 바닥판으로부터 돌출된 볼트 부재(220)의 수나사(220A)에는 체결구(FM)가 나사 결합되어 있다.
또한, 체결구(FM)를 체결할 때, 보(BM)에 대하여 상자형 철물(250)이 깊이 들어가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서 상자형 철물(250)과 보(BM) 사이에 상자형 철물(250)의 바닥판보다 큰 평면을 갖는, 예를 들면 직사각형 형상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플레이트(좌금)(PT)를 개재시켜도 좋다. 또한, 보(BM)에 대한 타이다운 철물(200)의 체결은 상자형 철물(250)에 한정되지 않고, 플레이트(PT)만, 바닥판에만 관통공이 형성된 스페이서 철물(300) 등에 의해 행해도 좋다.
이러한 구조체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하면, 2개의 기둥(PT) 및 보(BM)로 이루어지는 문형 형상의 골조에 예를 들면, 지진이나 태풍에 의한 수평력이 작용하면, 이것이 평행사변형적으로 변형되려고 한다. 문형 형상의 골조가 변형될 때, 그 골조에는 직사각형 형상의 패널(PN)이 감합되어 있기 때문에 기둥(PT)이 패널(PN)의 측면에 접촉하여 그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이 경우, 패널(PN)의 상면과 보(BM) 사이에는 보(BM)의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전단력이 작용하지만, 그 전단력은 제 2 전단 철물(400)의 원통 부재(420)에 의해 받아들여져서 골조의 변형이 과도하게 커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문형 형상의 골조에 상하방향의 하중이 작용했을 경우, 제 2 전단 철물(400)의 원통 부재(420)와 보(BM)의 원공(CH1)이 상대 변위 가능한 점에서 보(BM)로부터 패널(PN)에 작용하는 하중이 차단된다. 이 때문에 패널(PN)에서 하중을 지지할 필요가 없어 문형 형상의 골조의 구조 설계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문형 형상의 골조가 평행사변형적 변형을 발생시킬 때, 이것이 패널(PN)에 접촉함으로써 평행하게 배치된 콘크리트 기초(BS)와 보(BM)가 서로 이간되는 들뜸이 발생해버린다. 그러나, 패널(PN)과 일체화된 타이다운 철물(200)을 통해 콘크리트 기초(BS)와 보(BM)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콘크리트 기초(BS)에 대한 보(BM)의 상대 변위가 억제되어 콘크리트 기초(BS)와 보(BM)가 서로 이간되는 보(BM)의 들뜸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타이다운 철물(200)은 콘크리트 기초(BS)와 보(BM)를 연결하는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토대와 보, 2개의 보, 2개의 기둥 등 평행하게 배치된 2개의 구조 몸체를 연결할 수도 있다.
그런데, 수평력의 작용에 의해 문형 형상의 골조에 평행사변형적 변형이 생겼을 때, 타이다운 철물(200)에 의해 콘크리트 기초(BS)에 대한 보(BM)의 변위가 억제되어 있기 때문에 보(BM)의 상면에 위치하는 상자형 철물(250) 등이 보(BM)에 깊이 들어가버릴 우려가 있다. 그래서,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보강 철물(550)을 사용하여 상자형 철물(250) 등의 보(BM)에 깊이 들어감을 억제한다.
보강 철물(550)은 평면으로 볼 때에 직사각형 형상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제 1 판 부재(560)와, 금속 원통으로 이루어지는 원통 부재(570)와, 평면으로 볼 때에 직사각형 형상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제 2 판 부재(580)와, 체결구(FM)를 갖는다. 제 1 판 부재(560)는 그 판면에 타이다운 철물(200)의 볼트 부재(220)의 축부가 관통가능한 관통공(560A)이 형성되고, 그 일변(단변)이 하방을 향해 90° 구부러진 형상을 이루고 있다. 또한, 제 1 판 부재(560)는 단순한 직사각형 형상, 원형 형상, 다각형 형상 등 임의의 형상이어도 좋다. 원통 부재(570)는 보(BM)의 상하방향의 치수(높이)와 동일한 전체 길이를 갖고 있다. 제 2 판 부재(580)는 그 판면에 타이다운 철물(200)의 볼트 부재(220)의 축부가 관통가능한 관통공(580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2 판 부재(580)는 원형 형상, 다각형 형상 등 임의의 형상이어도 좋다. 여기서, 타이다운 철물(200)의 볼트 부재(220)를 막대 형상의 체결구의 일례로서 들 수 있다.
그리고, 제 1 판 부재(560)는 볼트 부재(220)의 축부가 관통공(560A)에 관통된 상태에서 패널(PN)과 보(BM)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 제 1 판 부재(560)의 일변이 하방을 향해 구부러져 있기 때문에 이 부분이 패널(PN)의 견부에 로킹되어 패널(PN)에 대하여 제 1 판 부재(560)가 회전하는 것이 억제된다. 또한, 원통 부재(570)는 보(BM)의 관통공(TH1)에 감합 삽입된 상태에서 그 내경에 볼트 부재(220)의 축부가 관통되어 있다. 제 2 판 부재(580)는 원통 부재(570)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볼트 부재(220)의 축부가 관통공(580A)에 관통된 상태에서 보(BM)의 상면에 적재되어 있다. 여기서, 보(BM)에 대한 제 2 판 부재(580)의 회전을 억제하기 위해서 보(BM)의 상면에 제 2 판 부재(580)가 감합되는 직사각형 형상의 오목부(CP)를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 2 판 부재(580)로부터 돌출된 볼트 부재(220)의 수나사(220A)에, 예를 들면 평와셔, 스프링 와셔 및 더블 너트를 포함하는 체결구(FM)가 나사 결합되어 있다. 또한, 제 1 판 부재(560)가 단순한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고 있을 경우, 보(BM)의 하면에 제 1 판 부재(560)가 감합되는 직사각형 형상의 오목부(도시하지 않음)를 형성하여 제 1 판 부재(560)의 회전을 억제할 수도 있다.
이렇게 하면, 보(BM)의 관통공(TH1)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은 제 1 판 부재(560), 원통 부재(570) 및 제 2 판 부재(580)에 의해 보강되기 때문에 타이다운 철물(200)의 체결력이 작용해도 보(BM)의 상면에 위치하는 체결구(FM)가 보(BM)에 깊이 들어가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자형 철물(250) 등을 통해 제 2 판 부재(580)로부터 돌출된 볼트 부재(220)를 체결할 경우에도 보강 철물(550)을 사용함으로써 상자형 철물(250) 등이 보(BM)에 깊이 들어가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보강 철물(550)은 도 12에 나타내는 구조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구조체에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보강 철물(550)은 보(BM)에 한정되지 않고, 기둥(PT) 등의 목제 건축 부재에도 사용할 수 있다.
패널(PN)의 상면과 보(BM)의 하면을 접합하는 제 2 전단 철물(400)은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치할 수도 있다. 즉, 보(BM)의 하면에는 원공(CH1)을 대신하여 제 2 전단 철물(400)의 접합 부재(430)가 감합가능한 슬릿(SL6)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패널(PN)의 상면에는 슬릿(SL3)을 대신하여 제 2 전단 철물(400)의 원통 부재(420)가 감합되는 2개의 원공(CH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 2 전단 철물(400)의 접합 부재(430)가 보(BM)의 슬릿(SL6)에 감합된 상태에서 보(BM)의 일면으로부터 드리프트 핀이 박아 넣어지고, 그 축부가 접합 부재(430)의 관통공(430A)이 관통됨으로써 보(BM)와 제 2 전단 철물(400)이 일체화되어 있다. 또한, 제 2 전단 철물(400)의 원통 부재(420)는 그 하방에 위치하는 패널(PN)의 원공(CH2)에 감합됨으로써 패널(PN)에 작용하는 전단력을 받고 있다. 또한, 상기 구성의 작용 및 효과는 앞서 설명한 예와 마찬가지이므로 그 설명은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이하 동일).
타이다운 철물(200)은 패널(PN)과 일체화되는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둥(PT)과 일체화되어도 좋다. 즉, 기둥(PT)의 일측면에는 그 전체 길이에 걸쳐 타이다운 철물(200)이 감합가능한 단차가 형성된 형상의 슬릿(SL7)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기둥(PT)의 슬릿(SL7)에는 타이다운 철물(200)이 감합되고, 예를 들면 접착제 또는 드리프트 핀에 의해 기둥(PT)과 타이다운 철물(200)이 일체화되어 있다.
이 경우, 기둥(PT)의 하면은 타이다운 철물(200)이 감합된 돌출 부분과, 타이다운 철물(200)이 감합되어 있지 않은 평탄 부분으로 2분할된다. 이 때문에 기둥(PT)의 하면을 지지하기 위해서 수직재 접합 철물(100)을 대신하여 상자형 철물(250) 및 스페이서 철물(300)을 사용한다. 즉, 기둥(PT)의 평탄 부분은 스페이서 철물(300)에 의해 지지되고, 그 돌출 부분은 상자형 철물(250)을 통해 콘크리트 기초(BS)에 체결되어 있다. 또한, 콘크리트 기초(BS)에 대한 스페이서 철물(300)의 체결 순서는 상자형 철물(250)의 체결 순서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이하 동일). 또한, 기둥(PT)의 평탄 부분은 스페이서 철물(300)을 대신하여 상자형 철물(250)에 의해 지지할 수도 있다.
이렇게 하면, 타이다운 철물(200)은 기둥(PT)의 내부에 메워 넣을 수 있다. 그리고, 기둥(PT)의 외주면은 평탄해지기 때문에 예를 들면, 기둥(PT)의 횡단면을 형성하는 4개의 측면을 예를 들면, 내화 성능이 우수한 석고 보드로 덮고, 그 주위를 목제의 피복재로 더 덮음으로써 겉보기가 좋고, 내화 성능을 갖는 건축 부재로 할 수 있다. 기둥(PT)의 상면과 보(BM)의 하면은 기둥(PT)과 일체화된 타이다운 철물(200)에 의해 접합되기 때문에 연결 철물(150)이 불필요해져 기둥(PT) 및 보(BM)에 슬릿(SL1) 및 슬릿(SL5)을 형성하는 공정수를 삭감할 수 있다.
또한, 콘크리트 기초(BS)에 대하여 패널(PN)의 하면을 접합하는 접합 철물로서는 제 1 전단 철물(350)을 대신하여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3 전단 철물(450)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패널(PN)의 하면에는 슬릿(SL4)을 대신하여 제 3 전단 철물(450)의 원통 부재(460)가 감합가능한 2개의 원공(CH3)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패널(PN)의 원공(CH3)이 제 3 전단 철물(450)의 원통 부재(460)에 감합됨으로써 패널(PN)의 하면이 콘크리트 기초(BS)에 접합되어 있다. 또한, 이 경우, 제 3 전단 철물(450)은 패널(PN)의 상하방향의 하중을 받으면서 이것이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려고 하는 수평력을 받을 수 있다.
패널(PN)의 상면과 보(BM)의 하면을 접합하는 접합 철물로서는 제 2 전단 철물(400)을 대신하여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4 전단 철물(500)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패널(PN)의 상면에는 슬릿(SL3)을 대신하여 제 4 전단 철물(500)의 원통 부재(520)가 감합가능한 2개의 원공(CH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패널(PN)의 상면에 형성된 원공(CH2)이 제 4 전단 철물(500)의 원통 부재(520)에 감합됨으로써 패널(PN)의 상면과 보(BM)의 하면이 접합되어 있다.
[제 2 실시형태]
도 17은 목조 건축물의 2층을 전제로 한 구조체의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구조체에서는 4개의 연결 철물(150)을 사용하여 2개의 보(BM) 및 2개의 기둥(PT)으로 이루어지는 직사각형 형상의 골조가 구축된다. 그리고, 2개의 타이다운 철물(200), 4개의 상자형 철물(250) 및 2개의 제 2 전단 철물(400)을 사용하여 직사각형 형상의 골조에 대하여 끼워 넣어지는 직사각형 형상의 패널(PN)이 접합된다.
기둥(PT)의 상면 및 하면의 중앙에는 보(BM)의 축방향을 따라 연결 철물(150)이 감합가능한 슬릿(SL1)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기둥(PT)의 일측면에는 연결 철물(150)의 관통공(150A)에 드리프트 핀을 박아 넣기 위한 소공(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하방에 위치하는 보(BM)의 상면 및 상방에 위치하는 보(BM)의 하면의 소정 위치에는 연결 철물(150) 및 제 2 전단 철물(400)의 접합 부재(430)가 감합가능한 슬릿(SL5) 및 슬릿(SL6)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패널(PN)의 좌우 측면에는 앞선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타이다운 철물(200)이 일체화되어 있고, 또한 패널(PN)의 상면 및 하면에는 제 2 전단 철물(400)의 원통 부재(420)가 감합가능한 2개의 원공(CH2)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하방에 위치하는 보(BM)의 상면의 소정 위치에는 그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앵커 볼트(AB), 및 그 선단부에 나사 결합하는 평와셔, 스프링 와셔 및 더블 너트를 포함하는 체결구(FM)를 통해 2개의 상자형 철물(250)이 체결되어 있다. 즉, 상자형 철물(250)은 그 관통공(250A)이 앵커 볼트(AB)의 축부를 관통한 상태에서 보(BM)의 상면에 적재되고, 그 바닥판으로부터 돌출되는 앵커 볼트(AB)의 축부에 체결구(FM)를 나사 결합함으로써 체결되어 있다.
하방에 위치하는 보(BM)의 상면과 기둥(PT)의 하면은 보(BM)의 슬릿(SL5)과 기둥(PT)의 슬릿(SL1)에 연결 철물(150)이 감합됨으로써 접합되어 있다. 이 때, 보(BM)에 대한 기둥(PT)의 접합을 확실하게 하기 위해서 보(BM) 및 기둥(PT)의 일측면으로부터 드리프트 핀이 박아 넣어지고, 그 축부가 연결 철물(150)의 관통공(150A)에 관통되어 있다.
상자형 철물(250) 및 보(BM)의 상면에는 타이다운 철물(200)이 일체화된 패널(PN)의 하면이 접합되어 있다. 즉, 상자형 철물(250)의 관통공(250A)에는 타이다운 철물(200)의 볼트 부재(220)의 축부가 관통하고, 그 수나사(220A)에 체결구(FM)가 나사 결합함으로써 상자형 철물(250)에 대하여 타이다운 철물(200)의 하단부가 접합되어 있다. 이 때, 패널(PN)의 하방에 위치하는 양 모서리부와 상자형 철물(250)이 간섭하지 않도록 패널(PN)의 하방의 양 모서리부가 직사각형 형상으로 노치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방에 위치하는 보(BM)의 상면에는 그 슬릿(SL6)에 제 2 전단 철물(400)의 접합 부재(430)가 감합됨으로써 제 2 전단 철물(400)이 접합되어 있다. 이 때, 보(BM)에 대한 제 2 전단 철물(400)의 접합을 확실하게 하기 위해서 보(BM)의 일면으로부터 드리프트 핀이 박아 넣어지고, 그 축부가 접합 부재(430)의 관통공(430A)에 관통되어 있다. 또한, 제 2 전단 철물(400)에는 그 원통 부재(420)가 패널(PN)의 하면에 형성된 원공(CH2)에 감합됨으로써 패널(PN)의 하단부가 접합되어 있다.
좌우의 기둥(PT) 및 패널(PN)의 상면에는 연결 철물(150) 및 제 2 전단 철물(400)을 통해 상방에 위치하는 보(BM)의 하면이 접합되어 있다. 즉, 기둥(PT)의 상면에 형성된 슬릿(SL1)과, 보(BM)의 하면에 형성된 슬릿(SL5)에 걸쳐 연결 철물(150)이 감합되고, 기둥(PT) 및 보(BM)의 일면으로부터 드리프트 핀이 각각 박아 넣어지고, 그 축부가 연결 철물(150)의 관통공(150A)에 각각 관통되어 있다. 또한, 보(BM)와 일체화된 제 2 전단 철물(400)의 원통 부재(420)가 패널(PN)의 원공(CH2)에 감합되어 있다. 또한, 패널(PN)과 일체화된 타이다운 철물(200)의 볼트 부재(220)의 축부가 보(BM)의 관통공(TH1)에 관통되고, 보(BM)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볼트 부재(220)가 상자형 철물(250)의 바닥면에 형성된 관통공(250A)에 관통되어 있다. 상자형 철물(250)의 바닥판으로부터 돌출된 볼트 부재(220)의 수나사(220A)에는 체결구(FM)가 나사 결합되어 있다.
또한, 체결구(FM)를 체결할 때, 보(BM)에 대하여 상자형 철물(250)이 깊이 들어가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서 상자형 철물(250)과 보(BM) 사이에 상자형 철물(250)의 바닥판보다 큰 평면을 갖는, 예를 들면 직사각형 형상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플레이트(좌금)(PT)를 개재시켜도 좋다. 또한, 보(BM)에 대한 타이다운 철물(200)의 체결은 상자형 철물(250)에 한정되지 않고, 플레이트(PT)만, 바닥판에만 관통공이 형성된 스페이서 철물(300) 등에 의해 행해도 좋다. 또한, 보(BM)의 관통공(TH1)을 보강하기 위해서 앞선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보강 철물(550)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조체의 제 2 실시형태에 의하면, 2개의 기둥(PT) 및 2개의 보(BM)로 이루어지는 직사각형 형상의 골조에 예를 들면, 지진이나 태풍에 의한 수평력이 작용하면, 이것이 평행사변형적으로 변형되려고 한다. 직사각형 형상의 골조가 변형될 때, 그 골조에는 직사각형 형상의 패널(PN)이 끼워 넣어져 있기 때문에 기둥(PT)이 패널(PN)의 측면에 접촉하여 그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이 경우, 패널(PN)의 상면과 보(BM) 사이에는 보(BM)의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전단력이 작용하지만, 그 전단력은 제 2 전단 철물(400)의 원통 부재(420)에 의해 받아들여져서 골조의 변형이 과도하게 커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직사각형 형상의 골조에 상하방향의 하중이 작용했을 경우, 제 2 전단 철물(400)의 원통 부재(420)와 패널(PN)의 원공(CH2)이 상대 변위가능한 점에서 보(BM)로부터 패널(PN)에 작용하는 하중이 차단된다. 이 때문에 패널(PN)에 의해 하중을 지지할 필요가 없어 문형 형상의 골조의 구조 설계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전단 철물(400)의 상하방향을 반전시킬 수 있다. 또한, 보(BM)와 패널(PN)을 접합하는 접합 철물로서 제 2 전단 철물(400)을 대신하여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BM)의 원공(CH1) 및 패널(PN)의 원공(CH2)에 4개의 원통 부재(520)가 감합가능한 제 4 전단 철물(500)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타이다운 철물(200)은 패널(PN)과 일체화되는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둥(PT)과 일체화할 수도 있다.
또한, 제 1 실시형태 및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문형 형상 또는 직사각형 형상의 골조에 대하여 패널(PN)을 접합하는 접합 철물은 패널(PN)의 상면 및 하면에 한정되지 않고, 패널(PN)의 좌우 측면에 배치할 수도 있다.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콘크리트 기초(BS)의 상면에 횡가재로서의 토대를 체결하고, 제 2 실시형태에서 사용한 각종 철물을 사용하고, 직사각형 형상의 골조를 구축할 수도 있다. 또한, 제 1 실시형태 및 제 2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기술적 특징에 대하여 이들을 적당히 조합하거나 임의로 치환할 수도 있다.
220 볼트 부재(막대 형상의 체결구) 550 보강 철물
560 제 1 판 부재 560A 관통공
570 원통 부재 580 제 2 판 부재
580A 관통공 BM 보(목제 건축 부재)
CP 오목부 PT 기둥(목제 건축 부재) TH1 관통공

Claims (8)

  1. 목제 건축 부재로서의 횡가재 및 수직재를 조합하여 구축되는 문형 형상 또는 직사각형 형상의 골조에 대하여, 막대 형상의 체결구가 일체화된 패널을 끼워 넣어 접합할 때, 상기 횡가재 또는 상기 수직재의 일면으로부터 타면에 걸쳐 형성된, 상기 막대 형상의 체결구가 관통하는 관통공을 보강하는 보강 철물로서,
    상기 횡가재 또는 상기 수직재의 일면에 배치되고, 막대 형상의 체결구가 관통가능한 관통공이 형성된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제 1 판 부재와,
    상기 횡가재 또는 상기 수직재의 관통공의 전체 길이에 걸쳐 감합 삽입되고, 상기 막대 형상의 체결구가 관통가능한 금속 원통으로 이루어지는 원통 부재와,
    상기 횡가재 또는 상기 수직재의 타면에 배치되고, 상기 막대 형상의 체결구가 관통가능한 관통공이 형성된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제 2 판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 철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판 부재 및 상기 제 2 판 부재는 평면으로 볼 때에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 철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판 부재는 상기 횡가재 또는 상기 수직재의 일면에 형성된 직사각형 형상의 오목부에 감합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 철물.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판 부재는 상기 횡가재 또는 상기 수직재의 타면에 형성된 직사각형 형상의 오목부에 감합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 철물.
  5. 목제 건축 부재로서의 횡가재 및 수직재를 조합하여 구축되는 문형 형상 또는 직사각형 형상의 골조에 대하여, 볼트가 일체화된 패널을 끼워 넣어 접합할 때, 상기 횡가재 또는 상기 수직재의 일면으로부터 타면에 걸쳐 형성된, 상기 볼트가 관통하는 관통공을 보강하는 목제 건축 부재의 보강 철물로서,
    상기 횡가재 또는 상기 수직재의 일면과 이것에 대면하는 상기 패널 사이에 상기 패널로부터 돌출되는 볼트가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된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제 1 판 부재를 배치하고,
    상기 횡가재 또는 상기 수직재의 관통공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상기 볼트가 관통하는 금속 원통으로 이루어지는 원통 부재를 감합 삽입하고,
    상기 횡가재 또는 상기 수직재의 타면에 상기 볼트가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된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제 2 판 부재를 배치하고,
    상기 제 2 판 부재로부터 돌출되는 상기 볼트에 와셔를 통해 너트를 나사 결합해서 상기 횡가재 또는 상기 수직재의 관통공을 보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제 건축 부재의 보강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판 부재 및 상기 제 2 판 부재는 평면으로 볼 때에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제 건축 부재의 보강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판 부재를 상기 횡가재 또는 상기 수직재의 일면에 형성된 직사각형 형상의 오목부에 감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목제 건축 부재의 보강 방법.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판 부재를 상기 횡가재 또는 상기 수직재의 타면에 형성된 직사각형 형상의 오목부에 감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제 건축 부재의 보강 방법.
KR1020197009669A 2016-10-18 2017-10-17 보강 철물 및 목제 건축 부재의 보강 방법 KR1023748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204719A JP6339150B2 (ja) 2016-10-18 2016-10-18 木製建築部材の補強方法
JPJP-P-2016-204719 2016-10-18
PCT/JP2017/037593 WO2018074488A1 (ja) 2016-10-18 2017-10-17 補強金物及び木製建築部材の補強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7786A KR20190067786A (ko) 2019-06-17
KR102374876B1 true KR102374876B1 (ko) 2022-03-16

Family

ID=62018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9669A KR102374876B1 (ko) 2016-10-18 2017-10-17 보강 철물 및 목제 건축 부재의 보강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10961697B2 (ko)
EP (1) EP3530829B1 (ko)
JP (1) JP6339150B2 (ko)
KR (1) KR102374876B1 (ko)
CN (2) CN116641481A (ko)
AU (1) AU2017346915B2 (ko)
CA (1) CA3040642A1 (ko)
NZ (1) NZ752889A (ko)
TW (1) TWI763723B (ko)
WO (1) WO201807448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60324B2 (en) * 2019-01-10 2020-09-01 Schlage Lock Company Llc Masonry ancho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98036A (ja) * 2003-09-26 2005-04-14 Sekisui House Ltd 木質部材の接合構造
JP2012087556A (ja) * 2010-10-21 2012-05-10 Ps Mitsubishi Construction Co Ltd 木質部材を用いたプレストレスト構造物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17567A (en) * 1936-12-23 1938-05-17 Timber Engineering Co Flanged plate timber connecter
US2524911A (en) * 1944-11-22 1950-10-10 Horatschke Francisco Jose Timber joint
GB987168A (en) * 1963-12-03 1965-03-24 Conch Int Methane Ltd A method of mounting metal sheets
US3497170A (en) * 1968-01-02 1970-02-24 Madison Furniture Ind Furniture pedestal construction
US3730568A (en) * 1971-03-15 1973-05-01 F Giovannetti Connector
US3946532A (en) * 1974-09-20 1976-03-30 Simpson Manufacturing Company, Inc. Truss structure with fastener plate joint assembly
US3989226A (en) * 1975-09-08 1976-11-02 Burgess Allen L Post-mounted fence board support brackets
DE3302044C3 (de) * 1983-01-22 1993-11-18 August Eich Feuerschutz-Trennwand
SE447287B (sv) * 1985-03-22 1986-11-03 Kindberg Bengt Ake Balk och sett for framstellning derav
US4934887A (en) * 1987-03-27 1990-06-19 Sharp Terrell L Bolt guard
US4787793A (en) * 1987-03-27 1988-11-29 Terrell Lee Sharp Bolt guard
US5230191A (en) * 1991-05-28 1993-07-27 Paul Mayrand Precast insulated concrete panel for prefabricated building structure
JP2583433Y2 (ja) * 1992-12-09 1998-10-22 繁 呉屋 建築物の接合金具
US5515655A (en) * 1994-09-08 1996-05-14 Sloan Enterprises, Inc. Adjustable, telescoping structural support system
US6074327A (en) * 1997-08-05 2000-06-13 Black Diamond Equipment, Ltd. Climbing hold with reinforcing sleeve
WO1999015739A2 (en) * 1997-09-24 1999-04-01 Schuyler, Peter, W. Hold down device and method
JP2000073446A (ja) * 1998-08-28 2000-03-07 Sumitomo Forestry Co Ltd 沓金物式筋交金物
JP3367018B2 (ja) * 2000-03-09 2003-01-14 広島県 金属複合木質梁材
US6761001B2 (en) * 2000-08-18 2004-07-13 Lee W. Mueller Frame shear assembly for walls
US6460308B1 (en) * 2001-02-05 2002-10-08 John Armstrong Foundation bolt rework kit and method of using same
US6578342B2 (en) * 2001-06-19 2003-06-17 Paul Milan Faynor Barrier cable end bracket assembly
US6668508B2 (en) * 2001-08-28 2003-12-30 Weyerhaeuser Company Shear panel assembly
US6908254B2 (en) * 2003-09-30 2005-06-21 Spx Corporation Cam nut adjustment apparatus and method
US7716887B2 (en) * 2004-12-30 2010-05-18 Weyerhaeuser Nr Company Shear wall attachment assembly and method of use
US20060236627A1 (en) * 2005-04-01 2006-10-26 Messenger Harold G Combination lift and anchor connector for fabricated wall and floor panels
US20080060296A1 (en) * 2006-09-12 2008-03-13 Espinosa Thomas M Building having a hold down system
TW200815652A (en) * 2006-09-22 2008-04-01 Univ Nat Taipei Technology Method for reinforcing wooden structure
US7584578B2 (en) * 2006-10-21 2009-09-08 Hilmy Said I Seismic energy damping apparatus
US7743563B2 (en) * 2006-10-21 2010-06-29 Hilmy Said I Seismic energy damping system
JP5002308B2 (ja) * 2007-04-04 2012-08-15 大和ハウス工業株式会社 木質ラーメン構造における接合構造
US8356954B2 (en) * 2007-07-13 2013-01-22 Jon Russell Koch Assembly apparatus for modular components especially for upholstered furniture
TWM410084U (en) * 2008-05-16 2011-08-21 Eg Intellectual Asset Creative Dev Co Ltd Rod composite structure
US8458972B1 (en) * 2011-03-31 2013-06-11 Matthew Stodola Method and apparatus for securing non-load bearing walls
JP6448538B2 (ja) * 2013-07-09 2019-01-09 旭化成ホームズ株式会社 制振装置
WO2015161344A1 (en) 2014-04-23 2015-10-29 Timber Inventions Pty Ltd Timber connection arrangement
JP6339149B2 (ja) * 2016-10-18 2018-06-06 株式会社シェルター パネルの接合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98036A (ja) * 2003-09-26 2005-04-14 Sekisui House Ltd 木質部材の接合構造
JP2012087556A (ja) * 2010-10-21 2012-05-10 Ps Mitsubishi Construction Co Ltd 木質部材を用いたプレストレスト構造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3040642A1 (en) 2018-04-26
CN116641481A (zh) 2023-08-25
KR20190067786A (ko) 2019-06-17
TW201829883A (zh) 2018-08-16
EP3530829C0 (en) 2023-11-15
CN109891034A (zh) 2019-06-14
AU2017346915A1 (en) 2019-05-02
WO2018074488A1 (ja) 2018-04-26
AU2017346915B2 (en) 2022-11-24
EP3530829B1 (en) 2023-11-15
JP2018066162A (ja) 2018-04-26
US10961697B2 (en) 2021-03-30
TWI763723B (zh) 2022-05-11
US20190382996A1 (en) 2019-12-19
EP3530829A1 (en) 2019-08-28
EP3530829A4 (en) 2020-05-27
JP6339150B2 (ja) 2018-06-06
NZ752889A (en) 2021-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97592B1 (ko) 접합 철물 및 패널의 접합 방법
KR102293462B1 (ko) 구속 철물 및 구조 몸체의 구속 방법
KR102374876B1 (ko) 보강 철물 및 목제 건축 부재의 보강 방법
JP6554692B2 (ja) パネルの接合方法
JP2006316611A (ja) 柱梁接合構造
JP6554691B2 (ja) パネルの接合方法
JP6713908B2 (ja) 耐震補強フレー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