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2026B1 - 착탈식 워터젯 분사 건 및, 이를 구비하는 워터젯 분사장치 - Google Patents

착탈식 워터젯 분사 건 및, 이를 구비하는 워터젯 분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2026B1
KR102292026B1 KR1020200150802A KR20200150802A KR102292026B1 KR 102292026 B1 KR102292026 B1 KR 102292026B1 KR 1020200150802 A KR1020200150802 A KR 1020200150802A KR 20200150802 A KR20200150802 A KR 20200150802A KR 102292026 B1 KR102292026 B1 KR 1022920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ay gun
rail
support
backward
pede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0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규
허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형건설
김정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형건설, 김정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형건설
Priority to KR10202001508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20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20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20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9/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 B05B9/01Spray pistols, discharge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05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mounted on vehicles or designed to apply a liquid on a very large surface, e.g. on the road, on the surface of larg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4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 B05B13/0405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with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spray heads
    • B05B13/041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with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spray heads with spray heads reciprocating along a straight l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9/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 B05B9/03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B9/0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with pump
    • B05B9/0403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with pump with pumps fo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B28D1/22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cutting, e.g. inci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7/00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achines or devices of the preceding gro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30Spraying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2Platforms; Open load compartments
    • B62D33/0207Connections of movable or detachable racks or stanchions to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워터젯 분사장치는, (i) 분사 건이 받침대 또는 행거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고, (ii) 분사 건이 받침대 또는 행거에 설치된 상태에서 자유롭게 회전 및 이동될 수 있으며, (iii) 워터젯 분사시 발생하는 반력이 효과적으로 지지될 수 있고, (iv) 고소 작업 차량에 설치될 수 있으며, (v) 이동식 작업차량에 설치되어 이동하면서 작업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Description

착탈식 워터젯 분사 건 및, 이를 구비하는 워터젯 분사장치 {Detachable waterjet gun, and waterjet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워터젯 분사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i) 분사 건이 지지유닛 또는 행거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고, (ii) 분사 건이 지지유닛 또는 행거에 설치된 상태에서 자유롭게 회전 및 이동될 수 있으며, (iii) 워터젯 분사시 발생하는 반력이 효과적으로 지지될 수 있고, (iv) 고소 작업 차량에 설치될 수 있으며, (v) 이동식 작업차량에 설치되어 이동하면서 작업을 할 수 있는 워터젯 분사장치에 대한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이러한 워터젯 분사장치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워터젯 분사 건에 대한 것이기도 하다.
일반적으로, 워터젯(water jet) 기술은 초고압 펌프로부터 배출되는 고압의 물(이하, '고압수'라고 함)이 노즐을 통과하도록 하여 고압 수류를 형성하고, 이를 목적에 맞게 활용하는 기술이다.
이러한 워터젯은 금속, 플라스틱과 같은 각종 재료의 절삭이나 천공과 같은 절단 및 가공분야, 코팅 또는 금속표면의 녹이나 부착물을 제거하는 세정분야 등에 사용되었고, 안구수술, 치아세척 등과 같은 의료분야에도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워터젯 기술이 도로 보수 작업, 노후 콘크리트의 선별적 제거와 건물 해체 등에도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기술의 일 예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73969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등록특허는 크레인 등의 장비에 작업자가 탑승하고 작업자가 워터젯 분사 건을 직접 파지한 상태에서 고압수를 분사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워터젯 분사 건을 작업자가 이동시키므로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콘크리트 제거 작업의 품질이 좌우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워터젯 분사로 인한 반력을 작업자가 지지해야 하므로 작업자의 피로와 부상 위험이 크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분사 건이 지지유닛 또는 행거에 설치된 상태에서 자유롭게 회전 및 이동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거하고자 하는 콘크리트의 위치에 따라 분사 건이 이동 및 회전될 수 있는 워터젯 분사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을 갖고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워터젯 분사시 발생하는 반력을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작업자의 피로와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는 워터젯 분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분사 건을 받침대 또는 행거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는 워터젯 분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고소 작업 차량에 설치 가능하고, 이동식 작업차량에 설치되어 이동하면서 작업을 할 수 있는 워터젯 분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러한 워터젯 분사장치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워터젯 분사 건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따른 워터젯 분사 건(100)은,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내부 공간을 갖는 커버(101); 내부 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레일(110); 레일(110)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로 이동되는 상,하부 브라켓(130)(135); 및, 상,하부 브라켓(130)(135)에 설치되고, 상,하부 브라켓(130)(135)이 전,후로 이동됨에 따라 함께 전,후로 이동되는 분사관(140);을 포함할 수 있다.
워터젯 분사 건(100)은 분사관(140)과 상,하부 브라켓(130)(135)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전후 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후 이동부는, 모터(171); 모터(171)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는 리드 스크류(172); 및, 레일(110)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리드 스크류(172)의 회전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는 너트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브라켓(130)은 너트부(160)의 상부에 연결되고 하부 브라켓(135)은 너트부(160)의 하부에 연결될 수 있다.
분사 건(100)의 커버(101)에는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장공(102)이 형성되고 상,하부 브라켓(130)(135)은 장공(102)을 관통하여 분사관(140)에 연결되며, 분사관(140)은 커버(101)의 바깥에 위치될 수 있다.
레일(110)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평행하게 설치된 제1,2 레일을 포함하고, 리드 스크류(172)와 너트부(160)는 제1,2 레일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보강 파이프(145)가 분사관(140)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분사관(140)과 평행하게 설치되되, 보강 파이프(145)는 분사관(140) 보다 더 바깥쪽에서 상,하부 브라켓(130)(135)에 설치될 수 있다.
커버(101)의 선단에는 가이드 브라켓(147)이 설치될 수 있다. 가이드 브라켓(147)은 분사관(140)과 보강 파이프(145)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인 워터젯 분사장치(1)는, 분사 건(100); 기둥(210)과 지지대를 구비하고, 분사 건(100)의 하중과 반력을 지지하는 지지유닛(200); 기둥(210)에 설치된 레일 브라켓(410)과, 레일 브라켓(410)에 좌우 방향으로 설치된 메인 레일(420)과, 기둥(210)을 따라 레일 브라켓(410)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상하 이동부를 포함하는 메인 레일부(400); 및, 메인 레일(420)에 설치되고, 분사 건(100)이 그 상면에 설치되는 받침대와, 메인 레일(420)을 따라 받침대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좌우 이동부를 구비하는 받침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유닛(200)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수직으로 설치된, 적어도 두 개의 기둥(210); 기둥(210)을 지지하기 위하여 수평으로 설치된 지지대(220)(230)(240);를 포함할 수 있다.
기둥(210)에는 수직 레일(211)이 상하 방향으로 설치되고 레일 브라켓(410)은 수직 레일(211)을 따라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받침대는, 메인 레일(420)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된 하부 받침대(340); 분사 건(100)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 받침대(310); 및, 상,하부 받침대(310)(340)를 연결하도록 설치된 회전축(347);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받침대(310)는 회전축(347)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하부 받침대(340)에 설치되고 이에 따라 분사 건(100)은 회전축(347)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부 받침대(310)는 선택적으로 하부 받침대(340)에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부 받침대(310)과 하부 받침대(340) 중 어느 하나에는 소정 각도 간격으로 제1 핀홀(315)이 다수 개 형성되고 상부 받침대(310)과 하부 받침대(340) 중 나머지 어느 하나에는 제2 핀홀(343)이 형성되며, 핀(344)이 제1,2 핀홀(315)(343)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것에 의해 분사 건(100)의 분사 각도가 고정될 수 있다.
분사 건(100)의 측면에는 체결공(103)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부 받침대(310)는, 회전축(347)과 연결된 수평판(312); 및, 수평판(312)에 수직으로 설치된 수직판(311);을 포함할 수 있다.
수직판(311)은, 수직판(311)의 상단에서 아래로 요입되어 형성된 수직홈(313); 및, 수직홈(313)의 하단에서 분사 건(100)의 후단을 향해 형성된 수평홈(314);을 포함할 수 있다.
체결공(103)에 설치된 체결핀이 수평홈(314)에 삽입되거나 체결핀이 수평홈(314)을 관통하여 체결공(103)에 체결되는 것에 의해 분사 건(100)이 상부 받침대(310)에 결합되고 분사 건(100)의 하중이 수평판(312)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워터젯 분사장치(1)는 승하강 유닛(7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승하강 유닛(700)은 분사 건(100)과 지지유닛(200)과 받침부(300) 및 메인 레일부(400)를 승하강시키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승하강 유닛(700)은, 유압실린더(712)의 신장과 수축에 의해 회동되는 복수 개의 회동 바(710); 복수 개의 회동 바(710) 중에서 최상단의 회동 바(710)에 설치된 난간(730); 최하단의 회동 바(710)에 설치된 이동용 대차;를 포함할 수 있다. 분사 건(100)과 지지유닛(200)과 받침부(300) 및 메인 레일부(400)은 난간(730)의 내측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워터젯 분사장치(2)는, 분사 건(100); 분사 건(100)을 매달기 위한 행거(500); 및, 분사 건(100)과 행거(500)의 하중과 반력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유닛(200);을 포함할 수 있다. 행거(500)는 상부 지지대(220)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부 지지대(220)에 설치되며, 행거(500)의 하단에는 분사 건(100)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행거(500)는, 상부 지지대(220)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부 지지대(220)에 설치된 연결부(510); 연결부(510)에 수직으로 설치된 제1 연결재(520); 제1 연결재(520)를 중심으로 수평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제1 연결재(520)의 하단에 설치된 제2 연결재(530); 및, 제2 연결재(530)에 수직으로 아래쪽으로 설치된 제3 연결재(540);를 포함하고, 분사 건(100)이 제3 연결재(540)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제3 연결재(540)의 하단에는 연결용 평판(541)이 회전 가능하도록 수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연결용 평판(541)은, 연결용 평판(541)의 상단에서 아래로 요입되어 형성된 수직홈(543); 및, 수직홈(543)의 하단에서 수평으로 분사 건(100)의 후단을 향해 형성된 수평홈(544);을 포함할 수 있다.
분사 건(100)의 체결공(103)에 체결된 체결핀이 수평홈(544)에 삽입되거나 체결핀이 수평홈(544)을 관통하여 체결공(103)에 체결되는 것에 의해 분사 건(100)이 연결용 평판(54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워터젯 분사장치(2)는 승하강 유닛(7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승하강 유닛(700)은 분사 건(100)과 지지유닛(200) 및 행거(500)를 승하강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워터젯 분사장치(3)는, 분사 건(100); 및, 분사 건(100)을 차량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 브라켓(600);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브라켓(600)은 차량의 측면 또는 후면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 브라켓(600)은, 제1 연결바(610); 및, 제1 연결바(610)의 상단에 연결된 제2 연결바(6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바(610)의 하단은 차량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제2 연결바(620)의 하단에는 분사 건(100)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분사 건(100)이 받침대(310)(340) 또는 행거(500)에 설치된 상태에서 자유롭게 회전 및 이동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거하고자 하는 콘크리트의 위치에 따라 분사 건(100)을 이동 및 회전시킬 수 있다.
둘째, 워터젯 분사시 발생하는 반력을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작업자의 피로와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
셋째, 분사 건(100)을 받침대(310)(340) 또는 행거(50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작업 형태에 따라 분사 건(100)을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다.
넷째, 고소 작업 차량에 설치 가능하므로 교각 콘크리트, 고층 건물의 외벽 콘크리트 제거 등에 이용될 수 있다.
다섯째, 이동식 작업차량에 설치되어 이동하면서 작업을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워터젯 분사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워터젯 분사장치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분사 건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커버가 제거된 상태의 분사 건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상,하부 브라켓, 너트부, 리드 스크류, 롤, 분사관, 및 보강 파이프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받침부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워터젯 분사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8은 행거와 분사 건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9a는 도 8의 IXa 부분을 확대한 도면.
도 9b는 도 8의 IXb 부분을 확대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워터젯 분사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워터젯 분사장치가 작업을 위해서 전개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워터젯 분사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서 x, y, z축은 카르테시안 좌표계의 세 축으로서 서로에 대해 직각을 이룬다. 상하 방향은 z축, 좌우 방향은 y축, 전후 방향은 x축을 나타낸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워터젯 분사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워터젯 분사장치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워터젯 분사장치(1)는 분사 건(100)과, 지지유닛(200)과, 받침부(300) 및 메인 레일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분사 건(100)은 고압수 탱크(도면에 미도시)로부터 공급된 고압수를 분사하여 그 앞에 위치한 노후 콘크리트(도면에 미도시)를 제거한다. 구체적으로, 도 3~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분사 건(100)은 커버(101), 커버(101)의 내부에 설치된 레일(110), 레일(110)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는 분사관(140)과 보강 파이프(145), 분사관(140)과 보강 파이프(145)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전후 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101)는 그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빈 내부 공간을 갖는다. 내부 공간에는 분사 건(100)의 구성 요소 중 일부가 설치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레일(110), 너트부(160) 및 리드 스크류(172) 등이 내부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
커버(101)의 일측면에는 길이방향으로 두 개의 장공(102)이 형성되고, 이 장공(102)을 관통하여 상,하부 브라켓(130)(135)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일측면과 마주보는 타측면에는 복수 개의 체결공(103)이 형성되는데, 이 체결공(103)에는 분사 건(100)을 상부 받침대(도 6의 310)에 고정시키는 체결핀(도면에 미도시)이 설치된다.
커버(101)의 선단에는 가이드 브라켓(147)이 설치된다. 가이드 브라켓(147)에는 소정 개수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이 관통공에는 분사관(140)과 보강 파이프(145)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커버(101)의 후단에는 손잡이(150)와 각종 스위치(151) 및 포트(port, 152)가 설치된다. 손잡이(150)는 작업자가 분사 건(100)을 조작하기 위해 잡는 부분이고 포트(152)는 호스를 연결하기 위한 부분이다. 좌측의 압축공기 공급 스위치(151)를 잡아당기면 압축공기 모터(171)가 역회전을 하여 분사관(140)이 후진하고 우측의 압축공기 공급 스위치를 잡아당기면 압축공기 모터(171)가 정회전을 하여 분사관(140)이 전진한다. 아울러, 고압수 공급밸브를 개폐하면 고압수가 분사관(140)으로 공급되거나 차단된다.
레일(110)은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제1,2 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제1,2 레일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평행하게 설치되는데, 제1,2 레일 사이에는 너트부(160)와 리드 스크류(172)가 설치될 수 있다.
전후 이동부는 압축공기에 의해 정,역 회전되는 압축공기 모터(171)와, 압축공기 모터(171)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는 리드 스크류(172), 및 레일(110)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리드 스크류(172)의 회전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는 너트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압축공기 모터(171)는 호스(도면에 미도시)를 통해 공급된 압축공기에 의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된다. 압축공기 모터(171)의 회전력은 기어 조립체 및/또는 구동벨트 등에 의해 리드 스크류(172)에 전달되고, 리드 스크류(172)는 압축공기 모터(171)의 정,역 회전에 의해서 정,역으로 회전된다.
리드 스크류(172)는 그 외주면에 나사산(도면에 미도시)이 형성된 봉으로서, 너트부(160)를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너트부(160)는 몸체(161)와, 몸체(161)의 양측에 각각 설치된 가이드 파이프(162)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161)의 내부에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관통공에는 리드 스크류(172)의 나사산과 형합하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그리고, 관통공과 가이드 파이프(162)에는 리드 스크류(172)가 삽입되어 설치된다. 따라서, 리드 스크류(172)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면 너트부(160)는 전진 또는 후진된다.
바람직하게, 가이드 파이프(162)에는 샤프트(163)가 상,하 방향으로 구비되고, 샤프트(163)에는 롤(165)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샤프트(163)의 상단에는 상부 브라켓(130)이 연결되고 샤프트(163)의 하단에는 하부 브라켓(135)이 연결된다. 더욱 바람직하게, 롤(165)은 몸체(161)의 양측에 각각 설치된다. 롤(165)은 레일(110)에 접한 상태에서 샤프트(163)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므로, 너트부(160)의 전후 이동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하부 브라켓(130)(135)은 장공(102)을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하부 브라켓(130)(135)의 중간 부분에는 분사관(140)이 설치되고 상,하부 브라켓(130)(135)의 끝부분에는 보강 파이프(145)가 설치된다. 즉, 분사관(140)을 중심으로 보강 파이프(145)는 너트부(160)의 반대쪽에 설치된다. 상,하부 브라켓(130)(135)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면 분사관(140)과 보강 파이프(145)가 함께 전후 방향으로 이동된다.
상부 브라켓(130)이 샤프트(163)의 상단에 연결되고 하부 브라켓(135)이 샤프트(163)의 하단에 연결된 구조는, 분사관(140)과 보강 파이프(145)가 하나의 브라켓에 연결된 구조에 비해, 하중 지지력과 휨 저항성이 크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가이드 브라켓(147)이 커버(101)의 선단에 설치되고 가이드 브라켓(147)이 분사관(140)과 보강 파이프(145)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지지하므로, 상,하부 브라켓(130)(135)은 분사관(140)과 보강 파이프(145)의 후단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사관(140)의 후단은 고압수 공급호스(도면에 미도시)에 연결된다. 그리고, 분사관(140)의 선단에는 튐방지용 커버(142)가 설치될 수 있다. 튐방지용 커버(142)는 워터젯에 의해 파쇄된 콘크리트 등이 주변으로 튀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지지유닛(200)은 분사 건(100)의 하중과, 워터젯 분사시 발생하는 반력을 지지한다.
지지유닛(200)은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수직으로 설치된 두 개의 기둥(210)과, 기둥(210)을 지지하기 위해 수평으로 설치된 지지대를 포함한다.
기둥(210)에는 상하방향(z 방향)으로 수직레일(211)이 설치된다. 수직레일(211)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두 개의 레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기둥(210)의 상,하단에는 메인 레일부(400)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가 설치될 수 있다.
지지대는 두 기둥(210)의 상단을 연결하는 상부 지지대(220)와, 두 기둥(210)의 하단을 연결하는 제1 하부 지지대(230) 및, 기둥 하단에서 전후 방향(x 방향)으로 설치된 제2 하부 지지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지지대(220)에는 레일(221)이 설치될 수 있다. 레일(221)은 제2 실시예의 행거를 이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레일(221)과 행거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설명될 것이다.
메인 레일부(400)는 레일 브라켓(410)과, 레일 브라켓(410)에 좌우 방향(y 방향)으로 설치된 메인 레일(420)과, 기둥(210)을 따라 레일 브라켓(410)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상하 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레일 브라켓(410)은 두 기둥(210)을 연결하도록 수평으로 설치된다. 레일 브라켓(410)의 윗면에는 두 쌍의 메인 레일(420)이 서로 평행하도록 설치되고, 레일 브라켓(410)의 양쪽 측면에는 롤(432)이 설치된다.
상하 이동부는, 레일 브라켓(410)의 양 측면 중 어느 한 측면에 설치된 구동모터(430)와, 구동모터(430)의 회전력을 반대쪽 측면으로 전달하는 구동 샤프트(434)와, 구동모터(430)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는 롤(432)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모터(430)는 전기 등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구동모터(430)가 회전되면 롤(432)이 회전되는 것에 의해 레일 브라켓(410)이 승하강될 수 있다.
받침부(300)는, 도 2 및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메인 레일(420)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하부 받침대(340)와, 분사건(100)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 받침대(310)와, 상,하부 받침대(310)(340)를 연결하도록 설치된 회전축(347) 및, 받침부(300)를 좌우 방향(y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좌우 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받침대(340)의 아랫면에는 다수 개의 가이드 롤(342)이 설치된다. 가이드 롤(342)은 좌우 이동용 모터(341)에 의해 회전된다. 좌우 이동용 모터(341)가 구동되면 가이드 롤(342)이 회전되고, 이에 따라 받침부(300)가 메인 레일(420)을 따라 좌우 방향(y 방향)으로 이동된다.
상부 받침대(310)는 회전축(347)과 연결된 수평판(312) 및, 수평판(312)에 수직으로 설치된 수직판(311)을 포함할 수 있다.
수평판(312)은 분사 건(100)의 아랫면과 접하고, 이에 따라 분사 건(100)의 하중을 지지한다. 수평판(312)은 회전축(347)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수직판(311)은 커버(101)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수직판(311)의 상단이 아래로 요입되어 수직홈(313)이 형성되고, 수직홈(313)의 하단에서 수평으로 분사건(100)의 후단을 향해 수평홈(314)이 형성된다. 체결핀(도면에 미도시)이 커버(101)의 체결공(102)에 설치된 상태에서 체결핀이 수직홈(313)에 삽입되면 분사 건(100)의 아랫면이 수평판(312)에 닿으므로 분사 건(100)의 하중이 수평판(312)에 의해 지지된다. 이어서, 분사 건(100)을 후방쪽으로 약간 밀면 체결핀이 수평홈(314)에 삽입된다.
워터젯이 분사되면 반력이 후방(작업자쪽)으로 작용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체결핀이 수평홈(314)의 끝단을 가압하게 되므로 체결핀이 수평홈(314)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작업이 완료된 경우, 체결핀을 제거하기만 하면 분사 건(100)을 분리할 수 있으므로 분사 건(100)의 설치 및 제거가 편리하다.
받침부(300)는 분사 건(100)의 분사 각도를 조절한 후 고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부 받침대(310)와 하부 받침대(340) 중 어느 하나에는 소정 각도 간격으로 제1 핀홀(315)이 다수 개 형성되고 상부 받침대(310)과 하부 받침대(340) 중 나머지 어느 하나에는 제2 핀홀(343)이 형성된다. 따라서, 핀(344)이 제1,2 핀홀(315)(343)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것에 의해 분사 건(100)의 분사각도가 고정된다.
그러면, 워터젯 분사장치(1)의 작동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분사 건(100)의 체결공(102)에 체결핀을 설치한 후, 체결핀이 수직홈(313)에 삽입되도록 분사 건(100)을 상부 받침대(310)에 위치시킨다. 이어서, 분사 건(100)을 후방쪽으로 약간 밀어서 체결핀이 수평홈(314)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이어서, 상부 받침대(310)를 회전축(347)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분사 건(100)의 분사 각도를 선택한 후, 핀(344)을 제1,2 핀홀(315)(343)에 삽입하여 상부 받침대(310)의 방향을 고정한다.
다음으로, 구동모터(430)를 작동하여 분사 건(100)의 높이를 조절한다.
분사 건(100)의 높이를 조절한 후에는 좌우 이동용 모터(341)를 작동하여 분사 건(100)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워터젯(고압수)을 분사하여 노후 콘크리트를 제거한다. 이 때, 압축공기 모터(171)를 작동하여 분사관(140)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 분사 건(100)이 메인 레일(420)의 한쪽 끝단에서 다른쪽 끝단까지 이동 완료하면 구동모터(430)를 작동하여 분사 건(100)의 높이를 변경한 후 좌우 이동용 모터(341)를 작동하여 분사 건(100)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노후 콘크리트를 제거한다.
[제2 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워터젯 분사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8은 행거와 분사 건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워터젯 분사장치(2)는 제1 실시예의 워터젯 분사장치(1)에서 받침부(300)와 메인 레일부(400)를 제거하는 대신에 행거(500)를 지지유닛(200)에 설치하고 분사 건(100)을 행거(500)에 설치한 것이다. 물론, 작업상 필요에 따라 받침부(300)와 메인 레일부(400)를 제거하지 않고 그대로 둘 수도 있다.
워터젯 분사장치(2)의 구성 요소 중에서 분사 건(100)과 지지유닛(200)은 제1 실시예의 분사 건(100) 및 지지유닛(200)과 각각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행거(500)는 상부 지지대(220)를 따라 슬라이딩(이동) 가능하도록 상부 지지대(220)에 설치된다. 행거(500)는 연결부(510)와, 연결부(510)에 수직으로 설치된 제1 연결재(520)와, 제1 연결재(520)를 중심으로 수평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제1 연결재(520)에 하단에 설치된 제2 연결재(530) 및, 제2 연결재(530)에 수직으로 아래쪽으로 설치된 제3 연결재(540)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510)는 상부 지지대(220)의 레일(221)을 따라 이동한다. 이를 위해, 연결부(510)는 레일(221)을 따라 이동되는 롤(511)과, 상부 지지대(220)의 양쪽 끝단에 위치한 경우 이를 감지하는 센서(515)를 구비할 수 있다. 비록,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연결부(510)의 좌우 이동을 자동화하기 위한 모터를 구비할 수도 있다.
제1 연결재(520)는 연결부(510)의 하단에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제1 연결재(520)의 상단은 연결부(510)의 하단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1 연결재(520)의 하단에는 제2 연결재(530)가 z축(상하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또는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한편, 선택적으로, 제2 연결재(530)의 방향을 고정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연결재(520)의 하단에는 다수 개의 핀홀(524)이 소정 각도 간격으로 형성되고 제2 연결재(530)의 한쪽 끝단에는 하나의 핀홀(534)이 형성된다. 제2 연결재(530)를 회전시켜서 제2 연결재(530)의 방향을 선택한 후 핀홀(524)(534)을 관통하도록 핀(532)을 삽입함으로써 제2 연결재(530)의 방향을 고정할 수 있다.
제3 연결재(540)는 제2 연결재(530)에 수직으로 아래쪽으로 설치되고, 바람직하게는 제2 연결재(530)의 끝단에서 아래쪽으로 수직으로 설치된다.
제3 연결재(540)의 하단 측면에는 연결용 평판(541)이 수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연결용 평판(541)은 회전축(542)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회전축(542)은 제2 연결재(5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3 연결재(540)의 하단 측면에 설치된 축이다.
그리고, 연결용 평판(541)에는 수직홈(543)과 수평홈(544)이 형성될 수 있는데, 수직홈(543)은 연결용 평판(541)의 상단에서 아래로 요입되어 형성되고 수평홈(544)은 수직홈(543)의 하단에서 수평으로 분사 건(100)의 후단을 향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연결용 평판(541)에는 다수 개의 핀홀(545)이 소정 각도 간격으로 형성되고 제3 연결재(540)의 하단 측면에는 하나의 핀홀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연결용 평판(541)을 회전축(542)을 중심으로 회전시킨 후 핀홀(545)을 관통하여 핀(546)을 하단 측면의 핀홀에 삽입하면 연결용 평판(541)이 고정되고 이에 따라 분사 건(100)의 상하방향 분사 각도를 고정할 수 있다.
한편, 체결핀(도면에 미도시)을 분사 건(100)의 체결공(103)에 설치한 후, 체결핀이 수직홈(543)에 삽입되도록 분사 건(100)을 위치시키고, 이어서 분사 건(100)을 후방으로 약간 밀어서 체결핀이 수평홈(544)에 삽입되도록 하면 분사 건(100)과 행거(500)를 착탈 가능하게 체결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워터젯이 분사되면 반력이 후방(작업자쪽)으로 작용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체결핀이 수평홈(544)의 끝단을 가압하게 되므로 체결핀이 수평홈(544)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작업이 완료된 경우, 체결핀을 제거하기만 하면 분사 건(100)을 분리할 수 있으므로 분사 건(100)의 설치 및 제거가 편리하다.
워터젯 분사장치(2)는 분사 건(100)의 하중이 행거(500)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분사 건(100)의 전후 및 좌우 이동과 회전 및 회동이 자유롭게 가능하므로 콘크리트 제거 작업 효율성이 제고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제3 실시예]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워터젯 분사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1은 상기 워터젯 분사장치가 작업을 위해서 전개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워터젯 분사장치(3)는 차량의 후방(또는 측면 등)에 설치될 수 있다. 워터젯 분사장치(3)는 분사 건(100)과, 분사 건(100)을 차량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 브라켓(600)을 포함할 수 있다. 분사 건(100)은 제1,2 실시예의 분사 건(100)과 동일하다.
연결 브라켓(600)은 제1 연결바(610)와 제2 연결바(620) 및 지지부(64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640)는 차량의 후방(또는 측면 등)에서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제1 연결바(610)의 한쪽 끝단은 지지부(640)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제1 연결바(610)의 다른쪽 끝단은 제2 연결바(620)에 연결된다. 제1 연결바(610)는 제1 회전용 모터(도면에 미도시)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제1 회전용 모터는 지지부(640)의 아랫면에 설치될 수 있다.
제1,2 연결바(610)(620)는 프레임(63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제2 연결바(620)의 다른쪽 끝단은 분사 건(100)에 연결된다. 제2 연결바(620)와 분사 건(100)의 연결 각도는 제2 회전용 모터(624)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회전용 모터(624)와 분사 건(100) 사이에는 연결용 평판(541)과 체결핀을 이용하여 그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연결용 평판(541)과 체결핀을 이용한 각도 조절은 상술한 바 있으므로 여기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위와 같이, 워터젯 분사장치(3)는 분사 건(100)이 차량 후방(또는 차량 측면 등)에 설치되므로, 차량이 이동하면서 노후 콘크리트 예를 들어 노후 콘크리트 포장에 대해 작업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차량 후방 또는 측면에 카메라(도면에 미도시)를 설치하고 이 카메라를 통해서 운전석 또는 조수석의 작업자가 작업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도 있다.
[제4 실시예]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워터젯 분사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워터젯 분사장치(4)는 교각 콘크리트 제거 작업, 고층 건물의 외벽 콘크리트 제거 작업 등과 같이 높은 위치에서 작업할 수 있다. 워터젯 분사장치(4)는 분사 건(100)과, 지지유닛(200)과, 받침부(300)와, 메인 레일부(400)와, 행거(500), 및 승하강 유닛(7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 중 승하강 유닛(700)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요소는 상술한 바 있으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승하강 유닛(700)은 유압실린더(712)의 신장과 수축에 의해 회동되는 복수 개의 회동 바(710)와, 복수 개의 회동 바(710) 중에서 최상단의 회동 바(710)에 설치된 난간(730)과, 회동 바(710)를 적재한 이동용 대차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분사건(100)과 행거(500) 등은 난간(730)의 내측에 설치된다.
한편, 도면에서는 받침부(300)와 메일 레일부(400) 및 행거(500)가 모두 지지유닛(200)에 설치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필요에 따라 행거(500)를 제거하거나 받침부(300)와 메일 레일부(400)를 제거할 수도 있다.
1, 2, 3, 4 : 워터젯 분사장치 100 : 분사 건
101 : 커버 102 : 장공 103 : 체결공
110 : 레일 130 : 상부 브라켓 135 : 하부 브라켓
140 : 분사관 142 : 튐방지dyd 커버 145 : 보강 파이프
147 : 가이드 브라켓 150 : 손잡이 151 : 압축공기 공급 스위치
152 : 포트(port) 160 : 너트부 161 : 몸체
162 : 가이드 파이프 163 : 샤프트 165 : 롤
171 : 압축공기 모터 172 : 리드 스크류 200 : 지지유닛
210 : 기둥 211 : 수직 레일 220 : 상부 지지대
221 : 레일 230 : 제1 하부 지지대 240 : 제2 하부 지지대
300 : 받침부 310 : 상부 받침대 311 : 수직판
312 : 수평판 313 : 수직홈 314 : 수평홈
315 : 제1 핀홀 340 : 하부 받침대 341 : 좌우 이동용 모터
342 : 롤 343 : 제2 핀홀 344 : 핀
347 : 회전축 400 : 메인 레일부 410 : 레일 브라켓
420 : 메인 레일 430 : 구동모터 432 : 롤
434 : 구동 샤프트 500 : 행거 510 : 연결부
511 : 롤 515 : 센서 520 : 제1 연결재
524 : 핀홀 530 : 제2 연결재 532 : 핀
534 : 핀홀 540 : 제3 연결재 541 : 연결용 평판
542 : 회전축 543 : 수직홈 544 : 수평홈
545 : 핀홀 546 : 핀 600 : 연결 브라켓
610 : 제1 연결바 620 : 제2 연결바 624 : 모터
630 : 프레임 640 : 지지부 700 : 승하강 유닛
710 : 회동바 712 : 유압 실린더

Claims (14)

  1.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내부 공간을 갖는 커버(101);
    내부 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레일(110);
    레일(110)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로 이동되는 상,하부 브라켓(130)(135);
    상,하부 브라켓(130)(135)에 설치되고, 상,하부 브라켓(130)(135)이 전,후로 이동됨에 따라 함께 전,후로 이동되는 분사관(140); 및,
    분사관(140)과 상,하부 브라켓(130)(135)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전후 이동부;를 포함하고,
    전후 이동부는,
    모터(171);
    모터(171)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는 리드 스크류(172); 및
    레일(110)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리드 스크류(172)의 회전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는 너트부(160);를 포함하고,
    상부 브라켓(130)은 너트부(160)의 상부에 연결되고 하부 브라켓(135)은 너트부(160)의 하부에 연결되며,
    커버(101)에는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장공(102)이 형성되고 상,하부 브라켓(130)(135)은 장공(102)을 관통하여 분사관(140)에 연결되고, 분사관(140)은 커버(101)의 바깥에 위치하며,
    레일(110)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평행하게 설치된 제1,2 레일을 포함하고, 리드 스크류(172)와 너트부(160)는 제1,2 레일 사이에 설치되며,
    보강 파이프(145)가 분사관(140)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분사관(140)과 평행하게 설치되되, 보강 파이프(145)는 분사관(140) 보다 더 바깥쪽에서 상,하부 브라켓(130)(135)에 설치되고,
    커버(101)의 선단에는 가이드 브라켓(147)이 설치되고, 가이드 브라켓(147)은 분사관(140)과 보강 파이프(145)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젯 분사 건.
  2. 삭제
  3. 삭제
  4. 분사 건(100);
    기둥(210)과 지지대를 구비하고, 분사 건(100)의 하중과 반력을 지지하는 지지유닛(200);
    기둥(210)에 설치된 레일 브라켓(410)과, 레일 브라켓(410)에 좌우 방향으로 설치된 메인 레일(420)과, 기둥(210)을 따라 레일 브라켓(410)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상하 이동부를 포함하는 메인 레일부(400); 및,
    메인 레일(420)에 설치된 받침대와, 메인 레일(420)을 따라 받침대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좌우 이동부를 구비하는 받침부(300);를 포함하고,
    분사 건(100)은 받침대에 설치되며,
    분사 건(100)은,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내부 공간을 갖는 커버(101);
    내부 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레일(110);
    레일(110)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로 이동되는 상,하부 브라켓(130)(135); 및,
    상,하부 브라켓(130)(135)에 설치되고, 상,하부 브라켓(130)(135)이 전,후로 이동됨에 따라 함께 전,후로 이동되는 분사관(1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젯 분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지지유닛(200)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수직으로 설치된, 적어도 두 개의 상기 기둥(210);
    기둥(210)을 지지하기 위하여 수평으로 설치된 지지대(220)(230)(240);를 포함하며,
    기둥(210)에는 수직 레일(211)이 상하 방향으로 설치되고 레일 브라켓(410)은 수직 레일(211)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젯 분사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받침대는,
    메인 레일(420)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된 하부 받침대(340);
    분사 건(100)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 받침대(310); 및,
    상,하부 받침대(310)(340)를 연결하도록 설치된 회전축(347);을 포함하고,
    상부 받침대(310)는 회전축(347)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하부 받침대(340)에 설치되고 이에 따라 분사 건(100)은 회전축(347)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젯 분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부 받침대(310)과 하부 받침대(340) 중 어느 하나에는 소정 각도 간격으로 제1 핀홀(315)이 다수 개 형성되고 상부 받침대(310)과 하부 받침대(340) 중 나머지 어느 하나에는 제2 핀홀(343)이 형성되며,
    핀(344)이 제1,2 핀홀(315)(343)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것에 의해 분사 건(100)의 분사 각도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젯 분사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분사 건(100)의 측면에는 체결공(103)이 형성되고,
    상부 받침대(310)는,
    회전축(347)과 연결된 수평판(312); 및,
    수평판(312)에 수직으로 설치된 수직판(311);을 포함하고,
    수직판(311)은,
    수직판(311)의 상단에서 아래로 요입되어 형성된 수직홈(313); 및,
    수직홈(313)의 하단에서 분사 건(100)의 후단을 향해 형성된 수평홈(314);을 포함하며,
    체결공(103)에 설치된 체결핀이 수평홈(314)에 삽입되거나 체결핀이 수평홈(314)을 관통하여 체결공(103)에 체결되는 것에 의해 분사 건(100)이 상부 받침대(310)에 결합되고 분사 건(100)의 하중이 수평판(312)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젯 분사장치.
  9. 제4항에 있어서,
    분사 건(100)과 지지유닛(200)과 받침부(300) 및 메인 레일부(400)를 승하강시키기 위한 승하강 유닛(700)을 더 포함하고,
    승하강 유닛(700)은,
    유압실린더(712)의 신장과 수축에 의해 회동되는 복수 개의 회동 바(710);
    복수 개의 회동 바(710) 중에서 최상단의 회동 바(710)에 설치된 난간(730);
    최하단의 회동 바(710)에 설치된 이동용 대차;를 포함하고,
    분사 건(100)과 지지유닛(200)과 받침부(300) 및 메인 레일부(400)은 난간(730)의 내측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젯 분사장치.
  10. 분사 건(100);
    분사 건(100)을 매달기 위한 행거(500); 및,
    분사 건(100)과 행거(500)의 하중과 반력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유닛(200);을 포함하고,
    지지유닛(200)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설치된, 적어도 두 개의 기둥(210); 및,
    기둥(210)의 상부를 서로 연결하도록 수평으로 설치된 상부 지지대(220);를 포함하고,
    행거(500)는 상부 지지대(220)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부 지지대(220)에 설치되며, 행거(500)의 하단에는 분사 건(100)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분사 건(100)은,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내부 공간을 갖는 커버(101);
    내부 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레일(110);
    레일(110)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로 이동되는 상,하부 브라켓(130)(135); 및,
    상,하부 브라켓(130)(135)에 설치되고, 상,하부 브라켓(130)(135)이 전,후로 이동됨에 따라 함께 전,후로 이동되는 분사관(1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젯 분사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행거(500)는,
    상부 지지대(220)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부 지지대(220)에 설치된 연결부(510);
    연결부(510)에 수직으로 설치된 제1 연결재(520);
    제1 연결재(520)를 중심으로 수평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제1 연결재(520)의 하단에 설치된 제2 연결재(530); 및,
    제2 연결재(530)에 수직으로 아래쪽으로 설치된 제3 연결재(540);를 포함하고,
    분사 건(100)이 제3 연결재(540)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젯 분사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분사 건(100)의 측면에는 체결공(103)이 형성되고,
    제3 연결재(540)의 하단 측면에는 연결용 평판(541)이 회전 가능하도록 수직으로 설치되며,
    연결용 평판(541)은,
    연결용 평판(541)의 상단에서 아래로 요입되어 형성된 수직홈(543); 및,
    수직홈(543)의 하단에서 수평으로 분사 건(100)의 후단을 향해 형성된 수평홈(544);을 포함하며,
    체결공(103)에 체결된 체결핀이 수평홈(544)에 삽입되는 것에 의해 분사 건(100)이 연결용 평판(541)에 결합되고,
    분사 건(100)의 하중이 행거(500)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분사 건(100)의 전후 및 좌우 이동과 회전 및 회동이 자유로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젯 분사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분사 건(100)과 지지유닛(200) 및 행거(500)를 승하강시키기 위한 승하강 유닛(700)을 더 포함하고,
    승하강 유닛(700)은,
    유압실린더(712)의 신장과 수축에 의해 회동되는 복수 개의 회동 바(710);
    복수 개의 회동 바(710) 중에서 최상단의 회동 바(710)에 설치된 난간(730);
    최하단의 회동 바(710)에 설치된 이동용 대차;를 포함하고,
    분사 건(100)과 지지유닛(200) 및 행거(500)는 난간(730)의 내측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젯 분사장치.
  14. 분사 건(100); 및,
    분사 건(100)을 차량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 브라켓(600);을 포함하고,
    연결 브라켓(600)은 차량의 측면 또는 후면에 설치되며,
    연결 브라켓(600)은,
    제1 연결바(610); 및,
    제1 연결바(610)의 상단에 연결된 제2 연결바(620);를 포함하고,
    제1 연결바(610)의 하단은 차량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제2 연결바(620)의 하단에는 분사 건(100)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분사 건(100)은,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내부 공간을 갖는 커버(101);
    내부 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레일(110);
    레일(110)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로 이동되는 상,하부 브라켓(130)(135); 및,
    상,하부 브라켓(130)(135)에 설치되고, 상,하부 브라켓(130)(135)이 전,후로 이동됨에 따라 함께 전,후로 이동되는 분사관(1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젯 분사장치.
KR1020200150802A 2020-11-12 2020-11-12 착탈식 워터젯 분사 건 및, 이를 구비하는 워터젯 분사장치 KR1022920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0802A KR102292026B1 (ko) 2020-11-12 2020-11-12 착탈식 워터젯 분사 건 및, 이를 구비하는 워터젯 분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0802A KR102292026B1 (ko) 2020-11-12 2020-11-12 착탈식 워터젯 분사 건 및, 이를 구비하는 워터젯 분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2026B1 true KR102292026B1 (ko) 2021-08-23

Family

ID=77499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0802A KR102292026B1 (ko) 2020-11-12 2020-11-12 착탈식 워터젯 분사 건 및, 이를 구비하는 워터젯 분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202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64396A (ja) * 1993-12-14 1995-06-27 Maruma Jusharyo Kk ウォータージェット機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64396A (ja) * 1993-12-14 1995-06-27 Maruma Jusharyo Kk ウォータージェット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79344B2 (en) System and method for painting a structure
JP2014505616A (ja) メンテナンスシステム
WO1995004203A1 (en) Method for surface treatment, means for carrying out the method and the use thereof
KR102366621B1 (ko) 고압살수를 이용하여 교각의 노후 콘크리트를 제거하는 장치
KR102292026B1 (ko) 착탈식 워터젯 분사 건 및, 이를 구비하는 워터젯 분사장치
CN201361623Y (zh) 自动清洗设备
JP5480051B2 (ja) コンクリート壁面の表面研掃処理装置
CN1931447A (zh) 集装箱内壁自动喷漆机
US4911188A (en) Hydraulic ceiling-concrete remover
JP3192958U (ja) 車両用洗浄装置
KR101388651B1 (ko) 프레임 젯 및, 이를 구비하고 건물의 해체 또는 리모델링에 사용되는 워터젯 장치
US5022927A (en) Method for hydraulic ceiling-concrete removal
CN111962827A (zh) 自行走喷涂作业车
US5417765A (en) Apparatus for cleaning a powder coating booth
JP6900085B1 (ja) パイプ状部材の洗浄装置
CN112317198A (zh) 一种户外劣质土壤高效修复设备
CN114473800A (zh) 一种钢筋打磨除锈装置
CN109356619B (zh) 一种新型混凝土模喷设备
KR200349304Y1 (ko) 블라스트 작업을 위한 분사노즐 지지 및 조작장치
JP3144811U (ja) 構造物破砕装置
JP3148097U (ja) 構造物破砕装置
JP4285961B2 (ja) 目地部の塗装装置
KR102212655B1 (ko) 치핑장치
CN109322681B (zh) 一种模喷用喷头移动总成机构
KR101922836B1 (ko) 지지버팀보용 강관 연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