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1935B1 - 철판 이송용 진공 흡착장치 - Google Patents

철판 이송용 진공 흡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1935B1
KR102291935B1 KR1020200049472A KR20200049472A KR102291935B1 KR 102291935 B1 KR102291935 B1 KR 102291935B1 KR 1020200049472 A KR1020200049472 A KR 1020200049472A KR 20200049472 A KR20200049472 A KR 20200049472A KR 102291935 B1 KR102291935 B1 KR 1022919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justment connecting
connecting member
longitudinal direction
guide member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94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주훈
Original Assignee
(주)대성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성사 filed Critical (주)대성사
Priority to KR10202000494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19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19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19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02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 B21D43/18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by means in pneumatic or magnetic engagement with the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30Feeding material to pr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1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 B65G47/918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with at least two picking-up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14Articles of special size, shape or weigh
    • B65G2201/022Fla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길이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복수의 연결홈이 관통 형성된 직선형의 가이드 부재, 가이드 부재의 외측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양단이 개방된 관 형태를 가지며, 길이방향으로는 상호 이격되게 복수의 체결홈이 관통 형성된 전후조절 연결부재, 전후조절 연결부재의 하부에 수직상태로 엇갈리도록 복수개를 연결 배치하며, 길이방향으로는 상호 이격되게 복수의 결합홈이 관통 형성된 직선형의 좌우조절 연결부재, 체결홈과 연결홈 및 결합홈에 연결상태로 체결되면서 가이드 부재 상에서의 전후조절 연결부재의 위치 고정 및, 전후조절 연결부재 상에서의 좌우조절 연결부재의 위치를 고정되게 하는 고정부재, 길이방향 일단을 좌우조절 연결부재의 길이방향 양단 테두리에 각각 연결 설치하며, 상하방향과 좌우방향 및 전후방향으로의 움직임이 가능한 플렉시블 암, 플렉시블 암의 길이방향 타단에 연결 설치하며, 외부에서 내부공간의 공기를 강제로 배출되게 하면서 발생된 진공압을 통해 이송 대상물의 표면에 흡착되는 흡착패드를 포함하는 철판 이송용 진공 흡착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철판 이송용 진공 흡착장치{Vacuum adsorption device for iron plate transfer}
본 발명은 자동차 공장에서 사용되는 철판과 같은 이송 대상물을 진공압으로 흡착시켜 이동되게 하는 철판 이송용 진공 흡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공장에서는 철판과 같은 이송 대상물을 프레스 라인에 공급하여, 필요한 부품으로 성형한다. 이때, 이송 대상물은 산업용 로봇이나 별도의 크레인이나 호이스트와 같은 이송수단에 연결된 진공 흡착장치를 통해 흡착상태로 이송되게 한다.
이러한, 진공 흡착장치는, 진공흡착패드에 진공압을 가하여 이송 대상물을 진공흡착패드로 흡착되게 한 후, 이송수단을 통해 프레스 라인으로 공급되게 한다.
그러나, 종래의 진공 흡착장치는, 프레스 라인의 프레스 금형 변경에 따라 이송 대상물의 형태, 즉 이송 대상물의 크기나 형상을 달리하여 공급하게 되는데, 진공흡착패드가 안정적으로 이송 대상물에 밀착되도록 배치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에는 프레스 금형의 교체시 이에 대응되게 흡착장치도 교체 사용해야 함으로 인해 작업공수 및 비용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흡착장치의 교체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에는 이송 대상물의 안정적인 흡착상태를 유지할 수 없어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진공 흡착장치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40939호(2008.07.03)에 제시된다.
본 발명은, 이송 대상물의 크기나 형상에 상관없이 안정적인 흡착을 가능하게 하는 위치에 흡착패드를 위치할 수 있게 하면서 이송 대상물을 안정적으로 흡착 이송할 수 있게 하는 철판 이송용 진공 흡착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길이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복수의 연결홈이 관통 형성된 직선형의 가이드부재, 상기 가이드부재의 외측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양단이 개방된 관 형태를 가지며, 길이방향으로는 상호 이격되게 복수의 체결홈이 관통 형성된 전후조절 연결부재, 상기 전후조절 연결부재의 하부에 수직상태로 엇갈리도록 복수개를 연결 배치하며, 길이방향으로는 상호 이격되게 복수의 결합홈이 관통 형성된 직선형의 좌우조절 연결부재, 상기 체결홈과 연결홈 및 결합홈에 연결상태로 체결되면서 가이드부재 상에서의 전후조절 연결부재의 위치 고정 및, 전후조절 연결부재 상에서의 좌우조절 연결부재의 위치를 고정되게 하는 고정부재, 길이방향 일단을 상기 좌우조절 연결부재의 길이방향 양단 테두리에 각각 연결 설치하며, 상하방향과 좌우방향 및 전후방향으로의 움직임이 가능한 플렉시블 암, 상기 플렉시블 암의 길이방향 타단에 연결 설치하며, 외부에서 내부공간의 공기를 강제로 배출되게 하면서 발생된 진공압을 통해 이송 대상물의 표면에 흡착되는 흡착패드를 포함하는 철판 이송용 진공 흡착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전후조절 연결부재는, 가이드부재의 외측에 복수개를 삽입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체결홈과 연결홈 및 결합홈에 축 부분을 삽입한 상태로 전후조절 연결부재에 헤드 부분을 걸림 배치하는 고정볼트, 상기 고정볼트의 축 부분 단부에 체결하는 고정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철판 이송용 진공 흡착장치는, 이송 대상물의 형태에 따라 가이드 부재 상에서 전후조절 연결부재를 슬라이딩 이동시키면서 위치를 조절하고, 좌우조절 연결부재도 전후조절 연결부재 하부에서 위치를 조절한 후, 고정부재를 통해 전후조절 연결부재와 가이드 부재 및 좌우조절 연결부재가 연결상태로 고정 결합되게 하면서 흡착패드가 이송 대상물의 전체 부분에 대해 골고루 배열되게 한다. 그리고, 플렉시블 암의 자유로운 움직임을 통해 흡착패드가 이송 대상물의 표면 형태에 상관없이 안정적인 밀착상태로 흡착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여 이송 대상물의 형태나 크기에 상관없이 안정적인 이송을 가능하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판 이송용 진공 흡착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판 이송용 진공 흡착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나타낸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철판 이송용 진공 흡착장치는, 가이드 부재(100), 전후조절 연결부재(200), 좌우조절 연결부재(300), 고정부재(400), 플렉시블 암(500), 흡착패드(600)를 구비한 상태로 산업용 로봇이나 크레인 또는 호이스트와 같은 이송수단에 연결 설치되면서 진공압을 가하는 흡입수단과 연결한다.
상기 가이드 부재(100)는 이후 설명될 전후조절 연결부재(200)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가이드한 상태로 지지하는 직선형의 프레임 부재이다. 이러한, 가이드 부재(100)에는 길이방향으로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게 복수의 연결홈(110)이 상하측을 관통하게 형성된다. 여기서, 연결홈(110)은 이후 설명될 고정부재(400)의 고정볼트(410)를 삽입 체결되게 하면서 가이드 부재(100)가 전후조절 연결부재(200) 및 좌우조절 연결부재(300)와 고정상태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더불어, 연결홈(110)은 가이드 부재(100)의 길이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복수개가 형성된 바, 전후조절 연결부재(200)를 가이드 부재(100) 상에서 가이드 부재(100)의 길이방향으로 위치를 변경시킨 상태에서 고정볼트(410)를 통한 체결을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부재(100)의 일측에는 산업용 로봇이나 크레인 또는 호이스트와 같은 이송수단과 연결상태로 결합되게 하는 연결브라켓(도면미도시)을 결합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전후조절 연결부재(200)는 이후 설명될 흡착패드(600)의 위치를 가이드 부재(100) 상에서 가이드 부재(10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변경 가능하게 함과 더불어 가이드 부재(100)의 강도를 보강하는 부재이다. 이러한, 전후조절 연결부재(200)는 가이드 부재(100)의 외측에 삽입된 상태로 가이드 부재(100)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도록 양단을 개방시키는 관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전후조절 연결부재(200)에는 길이방향으로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게 복수의 체결홈(210)이 상하측을 관통하게 형성된다. 여기서, 체결홈(210)은 고정부재(400)의 고정볼트(410)를 삽입 체결되게 하면서 전후조절 연결부재(200)가 가이드 부재(100) 및 좌우조절 연결부재(300)와 고정상태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체결홈(210)은 전후조절 연결부재(200)의 길이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복수개가 형성된 바, 좌우조절 연결부재(300)를 전후조절 연결부재(200)의 하부에서 전후조절 연결부재(200)의 길이방향으로 위치를 변경시킨 상태에서 고정볼트(410)를 통한 체결을 가능하게 한다.
여기서, 상기 전후조절 연결부재(200)는 가이드 부재(100) 상에 복수개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 설치할 수 있다. 이같이, 전후조절 연결부재(200)가 가이드 부재(100) 상에 복수개를 설치할 경우, 가이드 부재(100) 상에서 전후조절 연결부재(200)의 위치를 다르게 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좌우조절 연결부재(300)의 위치도 변경 가능하게 한다.
상기 좌우조절 연결부재(300)는 플렉시블 암(500)을 연결 지지하는 직선형의 프레임 부재이다. 즉, 좌우조절 연결부재(300)의 길이방향 양단에는 플렉시블 암(500)의 길이방향 일단을 연결 상태로 지지한다.
이러한, 상기 좌우조절 연결부재(300)는 전후조절 연결부재(200)의 하부에 수직상태로 엇갈리도록 복수개를 연결 배치한다. 그리고, 좌우조절 연결부재(300)의 길이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복수의 결합홈(310)이 상하측을 관통하게 형성된다. 여기서, 결합홈(310)은 고정부재(400)의 고정볼트(410)를 삽입 체결되게 하면서 좌우조절 연결부재(300)가 가이드 부재(100) 및 전후조절 연결부재(200)와 고정상태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결합홈(310)은 좌우조절 연결부재(300)의 길이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복수개가 형성된 바, 좌우조절 연결부재(300)를 전후조절 연결부재(200)의 하부에서 전후조절 연결부재(200)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의 위치를 변경시킨 상태에서 고정볼트(410)를 통한 체결을 가능하게 한다.
이같이, 상기 좌우조절 연결부재(300)가 전후조절 연결부재(200)의 길이방향으로 복수개를 연결 배치시, 좌우조절 연결부재(30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한 상태에서 결합홈(310) 및 연결홈(110)에 고정볼트(410)를 삽입 체결되게 하면서 가이드 부재(100)의 길이방향 및 가이드 부재(100)의 수직한 방향으로 흡착패드(600)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상기 좌우조절 연결부재(300)는 양단을 개방시킨 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좌우조절 연결부재(300)의 양측에는 좌우조절 연결부재(300)의 내측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좌우이동 연장부재(320)를 연결 구비하며, 고정볼트(410)가 체결된 결합홈(310)을 제외한 적어도 하나의 결합홈(310)에 체결상태로 좌우이동 연장부재(320)를 가압하면서 좌우이동 연장부재(320)의 위치를 고정되게 하는 위치고정볼트(33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좌우이동 연장부재(320)는 직선형의 봉 구조를 가지면서 좌우조절 연결부재(300)의 양측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삽입 배치할 수 있으며, 좌우이동 연장부재(320)를 좌우조절 연결부재(300)의 내측에 삽입시키는 정도에 따라 좌우조절 연결부재(300)의 양단으로부터 연장되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한다.
상기 고정부재(400)는 가이드 부재(100) 상에서 이동된 전후조절 연결부재(200)의 위치를 고정되게 함과 더불어, 전후조절 연결부재(200) 상에서 이동 배치된 좌우조절 연결부재(300)의 위치를 고정되게 하는 부재이다. 즉, 고정부재(400)는 전후조절 연결부재(200)의 체결홈(210)과 가이드 부재(100)의 연결홈(110) 및 좌우조절 연결부재(300)의 결합홈(310)에 연결상태로 체결되게 하면서 가이드 부재(100)와 전후조절 연결부재(200) 및 좌우조절 연결부재(300)를 고정상태로 결합 유지되게 한다. 이러한, 고정부재(400)는 고정볼트(410), 고정너트(420)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볼트(410)는 전후조절 연결부재(200)의 체결홈(210)과 가이드 부재(100)의 연결홈(110) 및 좌우조절 연결부재(300)의 결합홈(310)에 축 부분을 삽입하고, 헤드 부분은 전후조절 연결부재(200)의 상측에 걸림되게 배치한다. 이같이, 고정볼트(410)는 전후조절 연결부재(200)와 가이드 부재(100) 및 좌우조절 연결부재(300)를 연결상태로 고정되게 한다.
상기 고정너트(420)는 고정볼트(410)의 축 단부에 삽입 체결되면서, 고정볼트(410)가 체결홈(210)과 연결홈(110) 및 결합홈(310)에 삽입된 상태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전후조절 연결부재(200)와 가이드 부재(100) 및 좌우조절 연결부재(300)를 고정볼트(410)에 의해 연결시킨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고정되게 한다.
이같이, 상기 고정부재(400)의 고정볼트(410)가 체결홈(210)과 연결홈(110) 및 결합홈(310)에 삽입되는 위치에 따라 가이드 부재(100) 상에서 전후조절 연결부재(200)의 위치 및 전후조절 연결부재(200)의 하부에서 좌우조절 연결부재(300)의 위치를 조절한 상태로 고정되게 할 수 있다.
상기 플렉시블 암(500)은 이후 설명될 흡착패드(600)를 좌우조절 연결부재(300)에 연결 지지하는 부재이다. 이러한, 플렉시블 암(500)은 상하방향과 좌우방향 및 전후방향으로의 자유로운 움직임을 가능하게 하는 자바라 구조를 가지는 바, 흡착패드(600)의 위치를 이에 대응되게 변환되게 하면서 이송 대상물의 형태에 상관없이 이송 대상물의 표면에 안정적인 흡착을 가능하게 한다. 여기서, 플렉시블 암(500)은 각각의 좌우조절 연결부재(300) 길이방향 양단에 각각 연결 배치되도록 복수개를 구비한다. 이때, 플렉시블 암(500)의 길이방향 일단은 좌우조절 연결부재(300)의 길이방향 양단에 결합하며, 플렉시블 암(500)의 길이방향 타단은 흡착패드(600)와 결합한다.
상기 흡착패드(600)는 외부에서 발생된 펌프(도면미도시)의 흡입력을 통해 내부공간의 공기를 강제로 배출되게 하면서 발생된 진공압을 통해 이송 대상물의 표면에 흡착되는 부분이다. 이러한, 흡착패드(600)는 반원형의 컵 형태를 가지며, 플렉시블 암(500)의 길이방향 타단에 연결되게 설치한다. 그리고, 흡착패드(600)는 펌프와 배기라인을 통해 연결되게 한다.
이와 같이, 일 실시예의 철판 이송용 진공 흡착장치는, 이송 대상물의 형태에 따라 가이드 부재(100) 상에서 전후조절 연결부재(200)를 슬라이딩 이동시키면서 위치를 조절하고, 좌우조절 연결부재(300)도 전후조절 연결부재(200)의 하부에서의 위치를 조절한 후, 고정부재(400)를 통해 전후조절 연결부재(200)와 가이드부재(100) 및 좌우조절 연결부재(300)가 연결상태로 고정 결합되게 하면서 흡착패드(600)가 이송 대상물의 전체 부분에 대해 골고루 배열되게 한다. 그리고, 플렉시블 암(500)의 자유로운 움직임을 통해 흡착패드(600)가 이송 대상물의 표면 형태에 상관없이 안정적인 밀착상태로 흡착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여 이송 대상물의 형태나 크기에 상관없이 안정적인 이송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가이드 부재 110: 연결홈
200: 전후조절 연결부재 210: 체결홈
300: 좌우조절 연결부재 310: 결합홈
400: 고정부재 410: 고정볼트
420: 고정너트 500: 플렉시블 암
600: 흡착패드

Claims (3)

  1. 길이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복수의 연결홈이 관통 형성된 직선형의 가이드 부재와;
    상기 가이드 부재의 외측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양단이 개방된 관 형태를 가지며, 길이방향으로는 상호 이격되게 복수의 체결홈이 관통 형성된 전후조절 연결부재와;
    상기 전후조절 연결부재의 하부에 수직상태로 엇갈리도록 복수개를 연결 배치하며, 길이방향으로는 상호 이격되게 복수의 결합홈이 관통 형성된 직선형의 좌우조절 연결부재와;
    상기 체결홈과 연결홈 및 결합홈에 연결상태로 체결되면서 가이드 부재 상에서의 전후조절 연결부재의 위치 고정 및, 전후조절 연결부재 상에서의 좌우조절 연결부재의 위치를 고정되게 하는 고정부재와;
    길이방향 일단을 상기 좌우조절 연결부재의 길이방향 양단 테두리에 각각 연결 설치하며, 상하방향과 좌우방향 및 전후방향으로의 움직임이 가능한 플렉시블 암; 및
    상기 플렉시블 암의 길이방향 타단에 연결 설치하며, 외부에서 내부공간의 공기를 강제로 배출되게 하면서 발생된 진공압을 통해 이송 대상물의 표면에 흡착되는 흡착패드;를 포함하며,
    상기 플렉시블 암은 흡착패드의 위치를 이송 대상물의 형태에 상관없이 이송 대상물의 표면에 안정적인 흡착을 가능하게 하는 위치로 움직이면서 배치될 수 있도록 자바라 구조를 가지며,
    상기 좌우조절 연결부재는 양단을 개방시킨 관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좌우조절 연결부재의 양측에는 좌우조절 연결부재의 내측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좌우이동 연장부재를 연결 구비하며, 결합홈에 체결상태로 좌우이동 연장부재를 가압하면서 좌우이동 연장부재의 위치를 고정되게 하는 위치고정볼트를 구비하여, 좌우이동 연장부재를 좌우조절 연결부재의 내측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위치고정볼트로 고정하는 위치에 따라 좌우조절 연결부재의 양단으로부터 연장되는 길이를 조절하는 철판 이송용 진공 흡착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후조절 연결부재는, 가이드 부재의 외측에 복수개를 삽입 배치하는 철판 이송용 진공 흡착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체결홈과 연결홈 및 결합홈에 축 부분을 삽입한 상태로 전후조절 연결부재에 헤드 부분을 걸림 배치하는 고정볼트와,
    상기 고정볼트의 축 부분 단부에 체결하는 고정너트를 포함하는 철판 이송용 진공 흡착장치.


KR1020200049472A 2020-04-23 2020-04-23 철판 이송용 진공 흡착장치 KR1022919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9472A KR102291935B1 (ko) 2020-04-23 2020-04-23 철판 이송용 진공 흡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9472A KR102291935B1 (ko) 2020-04-23 2020-04-23 철판 이송용 진공 흡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1935B1 true KR102291935B1 (ko) 2021-08-23

Family

ID=77499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9472A KR102291935B1 (ko) 2020-04-23 2020-04-23 철판 이송용 진공 흡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19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9715B1 (ko) 2022-05-26 2022-12-21 주식회사 대성사 철판 안전 이송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6341U (ja) * 1992-07-31 1994-03-01 セントラル硝子株式会社 板状体の吸着装置
JP2000343124A (ja) * 1999-04-01 2000-12-12 Kyoshin Kogyo Kk ヘアピン管の局部変形修正具
JP2005134602A (ja) * 2003-10-30 2005-05-26 Kikuchi Kogaku:Kk アーム型保持装置およびアーム付き装置
JP2007012720A (ja) * 2005-06-28 2007-01-18 Tokyo Electron Ltd 基板処理装置,搬送装置,搬送装置の制御方法
KR20140001186U (ko) * 2012-08-16 2014-02-27 (주) 엔텍인더스트리 진공 흡착기
KR20170033129A (ko) * 2015-09-16 2017-03-24 주식회사 로보테크 판상물용 이송로봇시스템
CN206915328U (zh) * 2017-06-01 2018-01-23 江苏凡润电子有限公司 一种用于夹取液晶显示屏的吸盘型工业机械手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6341U (ja) * 1992-07-31 1994-03-01 セントラル硝子株式会社 板状体の吸着装置
JP2000343124A (ja) * 1999-04-01 2000-12-12 Kyoshin Kogyo Kk ヘアピン管の局部変形修正具
JP2005134602A (ja) * 2003-10-30 2005-05-26 Kikuchi Kogaku:Kk アーム型保持装置およびアーム付き装置
JP2007012720A (ja) * 2005-06-28 2007-01-18 Tokyo Electron Ltd 基板処理装置,搬送装置,搬送装置の制御方法
KR20140001186U (ko) * 2012-08-16 2014-02-27 (주) 엔텍인더스트리 진공 흡착기
KR20170033129A (ko) * 2015-09-16 2017-03-24 주식회사 로보테크 판상물용 이송로봇시스템
CN206915328U (zh) * 2017-06-01 2018-01-23 江苏凡润电子有限公司 一种用于夹取液晶显示屏的吸盘型工业机械手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9715B1 (ko) 2022-05-26 2022-12-21 주식회사 대성사 철판 안전 이송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227729B (zh) 夹持装置
EP2168727B1 (en) Substrate conveying arm
KR101084296B1 (ko) 디스태킹 행거 장치
KR102291935B1 (ko) 철판 이송용 진공 흡착장치
KR20210151347A (ko) 차량의 글라스 장착 장치 및 방법
KR20190108952A (ko) 서스펜션암의 부시 조립장치
KR100992814B1 (ko) 프론트 플로어 이송용 그립장치
KR101318045B1 (ko) 패널이동용 진공 흡착기
JP6877272B2 (ja) ロボットハンド及び曲げロボット
KR101883428B1 (ko) 파노라마 선루프 글라스 장착 행거
CN107235402B (zh) 电梯暂设支承装置
KR101074488B1 (ko) 파이프 이송 엔드 포밍 장치
GB2332012A (en) Installing window glasses on a motor vehicle body
KR101688890B1 (ko) 차량용 범퍼커버 취출용 공용그리퍼
JP2018196891A (ja) プレスブレーキ
KR101898062B1 (ko) 셔틀 및 그를 가지는 기판처리장치
KR20130020506A (ko) 이송셔틀이 구비된 프레스 장치
TWM635027U (zh) 錐筒成形機
CN208929556U (zh) 一种制动底板组对工装
KR101868460B1 (ko) 기판처리장치의 선형구동장치 및 그를 가지는 기판처리장치
JP3905066B2 (ja) ホイールアーチフランジの曲げ加工装置
KR102446120B1 (ko) 프레스 성형 시스템용 소재 공급장치
CN219837071U (zh) 一种弯管机送料夹持防松装置
KR102479715B1 (ko) 철판 안전 이송장치
CN219469612U (zh) 一种夹抱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