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1605B1 - 탄성과 열수축 특성이 우수한 고무 혼합물을 이용한 고탄성의 사출용 신발 발포창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탄성과 열수축 특성이 우수한 고무 혼합물을 이용한 고탄성의 사출용 신발 발포창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1605B1
KR102291605B1 KR1020200077829A KR20200077829A KR102291605B1 KR 102291605 B1 KR102291605 B1 KR 102291605B1 KR 1020200077829 A KR1020200077829 A KR 1020200077829A KR 20200077829 A KR20200077829 A KR 20200077829A KR 102291605 B1 KR102291605 B1 KR 1022916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manufacturing
rubber
in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78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규형
엄기용
전준하
Original Assignee
(주)코린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코린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코린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2000778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16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16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16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3/00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3/02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of vinyl-aromatic monomers and conjugated dien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7Resiliency achieved by the features of the material, e.g. foam, non liquid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29C44/3442Mixing, kneading or conveying the foamabl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29C44/36Feeding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C44/38Feeding the material to be shaped into a closed space, i.e. to make articles of definite length
    • B29C44/42Feeding the material to be shaped into a closed space, i.e. to make articles of definite length using pressure difference, e.g. by injection or by vacu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5/00Producing footwear
    • B29D35/12Producing parts thereof, e.g. soles, heels, uppers, by a moulding technique
    • B29D35/122So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061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characterized by the use of several polymeric compon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066Use of inorganic compounding ingredi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 C08J9/06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chemical blowing agent
    • C08J9/1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chemical blowing agent developing nitrogen, the blowing agent being a compound containing a nitrogen-to-nitrogen bond
    • C08J9/102Azo-compounds
    • C08J9/103Azodicarbonam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9Carboxylic acids; Metal salts thereof; Anhydrid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4Per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46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containing other atoms than carbon or hydrogen atoms
    • C08L23/0853Vinylacet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njugated diene hydrocarb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09/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njugated diene hydrocarb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5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5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of vinyl aromatic monomers and conjugated dienes

Abstract

본 발명은 탄성과 열수축 특성이 우수한 고무 혼합물을 이용한 고탄성의 사출용 신발 발포창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PE(polyethylene)에 비해 열안정성이 높은 스타이렌계 열가소성 탄성체(thermoplastic styrenic, TPS)에 탄성이 우수한 부타디엔 고무(butadiene rubber)를 물리적/화학적 공법으로 미세분산시킨 고무 혼합물을 제공함으로써 저경도와 고탄성 특성 뿐만 아니라 열안정성을 동시에 확보하되, 상기와 같은 고무 혼합물을 이용한 사출용 신발 발포창 제조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사출 성형 시 우수한 고탄성과 치수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탄성과 열수축 특성이 우수한 고무 혼합물을 이용한 고탄성의 사출용 신발 발포창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탄성과 열수축 특성이 우수한 고무 혼합물을 이용한 고탄성의 사출용 신발 발포창 제조 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HIGH RESILIENCE SHOES FOAM SOLE FOR INJECTION MOULDING TYPE USING THE RUBBER BLENDS HAVING EXCELLENT RESILIENCE AND THERMAL SHRINKAGE PROPERTY}
본 발명은 저경도와 고탄성 특성 뿐만 아니라 열안정성 및 치수안정성 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고무 혼합물을 이용한 사출용 신발 발포창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신발창의 경우 착화시 편안함을 부여하기 위해 경도는 낮으면서도, 보행시 추진력 개선을 위해 탄성은 높은 발포체가 최근 많이 요구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저경도와 고탄성을 가지는 발포체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연질 고분자로 발포체를 제조해야 되지만 자체 강도(green strength)가 매우 낮기 때문에 신발에서 요구되는 기본 물성 확보 및 치수안정성 등의 특성 문제로 저경도화와 고탄성화에 한계가 있다.
특히, 연질 고분자의 큰 문제점인 열안정성이 낮아 사출 성형 등으로 발포체 제조시 열수축에 의한 치수 불량이 많이 발생되고 접착라인 등에서도 열에 노출시 형태와 치수가 쉽게 변형되어 신발을 제조하지 못하는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된다.
현재 일반적으로 신발용 발포체는 PE(polyethylene)에 VA(vinyl acetate)나 부텐(butene), 옥텐(octene)과 같은 연질부분이 공중합 되어있는 EVA(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나 POE(poly olefin elastomer) 등의 PE계 고분자 수지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런 PE계 고분자 수지의 경우 흐름성이 양호하며 발포 특성이 우수하지만 강도 및 열안정성이 낮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특허문헌 1에서는 저경도 및 고탄성을 가지는 발포체 조성물로써, 에틸렌계 고분자 또는 스타이렌계 고분자 100 중량부에 대하여, 산화아연 4 ~ 6 중량부, 스테아린산 아연 0.5 ~ 1.5 중량부, 단섬유 마스터배치 2 ~ 10 중량부, 가교제 0.1 ~ 2.0 중량부 및 발포제 2 ~ 10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발포체 조성물을 제안하였다.
하지만, 상기 특허문헌 1의 경우 저경도 특성과 고탄성 특성을 일부 확보할 수 있으나 열수축 특성이 매우 미비한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50070호 "저경도 및 고탄성을 가지는 발포체 조성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PE(polyethylene)에 비해 열안정성이 높은 스타이렌계 열가소성 탄성체(thermoplastic styrenic, TPS)에 탄성이 우수한 부타디엔 고무(butadiene rubber)를 물리적/화학적 공법으로 미세분산시킨 고무 혼합물을 통해 저경도와 고탄성 특성 뿐만 아니라 열안정성을 동시에 확보하되, 상기와 같은 고무 혼합물을 이용한 사출용 신발 발포창 제조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사출 성형 시 우수한 고탄성과 치수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함을 과제로 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은 PE(polyethylene)에 비해 열안정성이 높은 스타이렌계 열가소성 탄성체(thermoplastic styrenic, TPS)에 탄성이 우수한 부타디엔 고무(butadiene rubber)를 물리적/화학적 공법으로 미세분산시킨 고무 혼합물을 이용한 사출용 신발 발포창 제조 시 필요한 가교 밸런스 확보 및 발포 특성 개선을 위한 발포시스템 확보 등을 통해 사출 성형이 가능하도록 하는 고탄성의 사출용 신발 발포창 제조 방법을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은 PE(polyethylene)에 비해 열안정성이 높은 스타이렌계 열가소성 탄성체(thermoplastic styrenic, TPS)에 탄성이 우수한 부타디엔 고무(butadiene rubber)를 물리적/화학적 공법으로 미세분산시킨 고무 혼합물을 통해 저경도와 고탄성 특성 뿐만 아니라 열안정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도록 하되, 상기와 같은 고무 혼합물을 이용한 사출용 신발 발포창 제조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사출 성형 시 우수한 고탄성과 치수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탄성의 사출용 신발 발포창 제조 방법을 나타낸 공정 흐름도
상기의 효과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탄성과 열수축 특성이 우수한 고무 혼합물을 이용한 고탄성의 사출용 신발 발포창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탄성과 열수축 특성이 우수한 고무 혼합물을 이용한 고탄성의 사출용 신발 발포창 제조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탄성과 열수축 특성이 우수한 고무 혼합물은 스타이렌계 열가소성 탄성체(thermoplastic styrenic, TPS)에 부타디엔 고무(butadiene rubber)를 미세분산시켜 이루어진다.
상기 흐름상이 되는 스타이렌계 열가소성 탄성체는 스타이렌-에틸렌-프로필렌-스타이렌 공중합체 구조를 가지면서 스타이렌 함량이 45 중량%이상이며 MI(melt index)가 20g/10min.(200℃, 10kg) 이상인 수지를 사용한다. 여기서 스타이렌-에틸렌-프로필렌-스타이렌 공중합체 구조가 아닌 다른 TPS는 반응압출시 TPS가 가교될 위험성이 높다. 아울러, 스타이렌 함량이 45중량%미만인 경우 내열성 개선 효과가 낮을 우려가 있으며, MI가 20g/10min. 이하인 경우 사출 성형에 필요한 흐름성 확보가 어려워 사출 성형을 통한 발포체 제조가 어려워질 우려가 있다.
한편, 상기 부타디엔 고무는 탄성 및 저경도 부여를 위해 혼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보다 구체적으로 SEPS(Styrene ethylene propylene styrene block copolymer) 40 ~ 70 중량% 및 BR(butadiene rubber) 30 ~ 60 중량%로 이루어진 기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디(t-부틸퍼옥시이소프로필)벤젠(di-(tert-butylperoxyisopropyl)benzene) 0.2 ~ 0.3 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SEPS의 함량이 40 중량% 미만이고 BR의 함량이 60 중량%를 초과할 경우 흐름성이 낮고 발포체 제조시 내구성 및 열안정이 낮아질 우려가 있으며, SEPS의 함량이 70 중량%를 초과하고 BR의 함량이 30 중량% 미만일 경우 발포체 제조시 경도가 높고 탄성이 낮아질 우려가 있다.
상기 디(t-부틸퍼옥시이소프로필)벤젠의 경우 가교제로써 그 함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날 경우 가교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탄성의 사출용 신발 발포창 제조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타이렌계 열가소성 탄성체(thermoplastic styrenic, TPS)에 부타디엔 고무(butadiene rubber)를 분산시킨 고무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S100) 및 상기 제조된 고무 혼합물에 EVA(ethylene vinyl acetate)를 혼합한 후, 사출 성형하여 신발 발포창을 제조하는 단계(S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S100 단계는 SEPS(Styrene ethylene propylene styrene block copolymer) 40 ~ 70 중량% 및 BR(butadiene rubber) 30 ~ 60 중량%로 이루어진 기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디(t-부틸퍼옥시이소프로필)벤젠(di-(tert-butylperoxyisopropyl)benzene) 0.2 ~ 0.3 중량부를 120 ~ 130℃로 설정된 밀폐형 혼련기에서 10 ~ 15분간 혼련하고, 135 ~ 140℃까지 승온 후 배출한 다음 펠렛형의 조성물을 제조하고, 상기 제조된 펠렛형 조성물을 180 ~ 200℃온도로 설정된 L/D(Length to Diameter Ratio) 40 ~ 60인 이축압출기에 투입해 동적가교를 통해 고무가 분산된 고무 혼합물을 제조한다.
여기서 상기 조성물의 임계적 의의는 상술하였으로 생략한다. 한편, 상기 혼련 조건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거나 동적가교 온도가 180℃ 미만에서는 동적가교 효율이 떨어져 흐름성 개선 및 충격흡수 특성 개선 효과가 저하될 우려가 있으며, 상기 혼련 조건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거나 동적가교 온도가 200℃를 초과할 경우 고무의 노화가 심하게 발생될 우려가 있다.
상기 S200 단계는 S100 단계에서 제조된 고무 혼합물 60 ~ 70 중량% 및 EVA(ethylene vinyl acetate) 30 ~ 40 중량%로 이루어지는 기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산화아연 2 ~ 5 중량부, 스테아리산 0.5 ~ 1 중량부를 밀폐형 혼합기에서 혼합 후, 롤밀에서 가교제인 DCP(dicumylperoxide) 0.2 ~ 0.6 중량부 및 발포제인 ADCA(azodicarbonamide) 2 ~ 3 중량부를 혼합하고, 이를 사출금형에 사출성형하여 신발 발포창을 제조한다.
여기서, 상기 고무 혼합물의 함량이 60 중량% 미만이고 EVA의 함량이 40 중량%를 초과할 경우 발포체 제조시 내구성 및 열안정이 낮아질 우려가 있으며, 고무 혼합물의 함량이 70 중량%를 초과하고 EVA의 함량이 30 중량% 미만일 경우 발포체 제조시 경도가 높고 탄성이 낮아질 우려가 있다.
한편, 상기 발포체용 첨가제의 함량은 통상적인 범위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반드시 상기 범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해당 신발의 종류나 사용 환경 등에 따라 가변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아래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고무 혼합물의 제조
(제조예 1)
SEPS(Styrene ethylene propylene styrene block copolymer) 70 중량% 및 BR(butadiene rubber) 30 중량%로 이루어진 기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디(t-부틸퍼옥시이소프로필)벤젠(di-(tert-butylperoxyisopropyl)benzene) 0.3 중량부를 120℃로 설정된 밀폐형 혼련기에서 10분간 혼련하고, 140℃까지 승온 후 배출한 다음 펠렛형의 조성물을 제조하고, 상기 제조된 펠렛형 조성물을 180℃온도로 설정된 L/D(Length to Diameter Ratio) 60인 이축압출기에 투입해 동적가교를 통해 고무가 분산된 고무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2)
SEPS(Styrene ethylene propylene styrene block copolymer) 40 중량% 및 BR(butadiene rubber) 60 중량%로 이루어진 기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디(t-부틸퍼옥시이소프로필)벤젠(di-(tert-butylperoxyisopropyl)benzene) 0.2 중량부를 130℃로 설정된 밀폐형 혼련기에서 15분간 혼련하고, 135℃까지 승온 후 배출한 다음 펠렛형의 조성물을 제조하고, 상기 제조된 펠렛형 조성물을 200℃온도로 설정된 L/D(Length to Diameter Ratio) 40인 이축압출기에 투입해 동적가교를 통해 고무가 분산된 고무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2. 신발 발포창의 제조
(실시예 1)
상기 제조예 1에 따른 고무 혼합물 70 중량% 및 EVA(MI 3g/10min., VA 28%) 30 중량%로 이루어지는 기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산화아연 5 중량부, 스테아리산 1 중량부를 밀폐형 혼합기에서 혼합 후, 롤밀에서 가교제인 DCP(dicumylperoxide) 0.6 중량부 및 발포제인 ADCA(azodicarbonamide) 3 중량부를 혼합하고, 이를 사출금형에 사출성형하여 신발 발포창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제조예 1에 따른 고무 혼합물 60 중량% 및 EVA(MI 3g/10min., VA 28%) 40 중량%로 이루어지는 기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산화아연 5 중량부, 스테아리산 1 중량부를 밀폐형 혼합기에서 혼합 후, 롤밀에서 가교제인 DCP(dicumylperoxide) 0.6 중량부 및 발포제인 ADCA(azodicarbonamide) 3 중량부를 혼합하고, 이를 사출금형에 사출성형하여 신발 발포창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되, 기재로써 EVA(MI 3g/10min., VA 33%) 100 중량부를 사용하였다.
(비교예 2)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제조하되, 기재로써 EVA (MI 3g/10min., VA 40%) 100 중량부를 사용하였다.
3. 신발 발포창의 평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신발 발포창에 대해 아래와 같은 특성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1]과 같다.
(1) 경도
KS M6518에 준하여 쇼아(Shore) C형 경도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2) 비중
KS M6519에 준하여 우에시마(Ueshima)사의 자동 비중 측정 장치인 모델 DMA-3을 이용하여 5회 측정하여 그 평균치를 취하였다.
(3) 영구압축줄음률
ASTM D3754에 준하여 발포체를 약 10mm 두께로 지름 300±0.5mm인 원기둥 형태로 제조한 시험편을 시험편 두께의 50% 압축시켜 50±0.1℃에서 약 6시간 동안 열처리 한 후 실온에서 30분간 냉각시킨 후 두께를 측정하였다. 시험편은 3개로 하였으며 값은 평균치를 나타내었다.
(4) 열수축률
발포체를 약 10mm 두께로 가로, 세로 길이가 각각 100, 200mm로 제조한 시험편을 70℃에서 1시간 방치한 후 상온에서 30분간 냉각시켜 두께를 측정하였다. 열수축률은 가로, 세로, 두께 방향 변화율의 평균치를 나타내었다.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경도 (C type, skin on) 36 33 45 32
비중 (skin off) 0.202 0.199 0.205 0.201
탄성 (%) 62 60 54 59
열수축 (70℃×1시간, %) 1.0 2.0 3.5 5.0
영구압축줄음율
(50℃×6시간, %)
45 52 60 63
상기 [표 1]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발포창은 비교예에 따른 EVA와 유사한 경도 및 탄성에서 우수한 열수축 및 영구압축줄음율 특성을 갖는 등 저경도와 고탄성 특성 뿐만 아니라 열안정성 및 치수안정성 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탄성과 열수축 특성이 우수한 고무 혼합물을 이용한 고탄성의 사출용 신발 발포창 제조 방법을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설명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3)

  1. 삭제
  2. 삭제
  3. 사출용 신발 발포창 제조 방법에 있어서,
    SEPS(Styrene ethylene propylene styrene block copolymer) 40 ~ 70 중량% 및 BR(butadiene rubber) 30 ~ 60 중량%로 이루어진 기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디(t-부틸퍼옥시이소프로필)벤젠(di-(tert-butylperoxyisopropyl)benzene) 0.2 ~ 0.3 중량부를 120 ~ 130℃로 설정된 밀폐형 혼련기에서 10 ~ 15분간 혼련하고, 135 ~ 140℃까지 승온 후 배출한 다음 펠렛형의 조성물을 제조하고, 상기 제조된 펠렛형 조성물을 180 ~ 200℃온도로 설정된 L/D(Length to Diameter Ratio) 40 ~ 60인 이축압출기에 투입해 동적가교를 통해 고무가 분산된 고무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S100); 및
    상기 제조된 고무 혼합물 60 ~ 70 중량% 및 EVA(ethylene vinyl acetate) 30 ~ 40 중량%로 이루어지는 기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산화아연 2 ~ 5 중량부, 스테아리산 0.5 ~ 1 중량부를 밀폐형 혼합기에서 혼합 후, 롤밀에서 가교제인 DCP(dicumylperoxide) 0.2 ~ 0.6 중량부 및 발포제인 ADCA(azodicarbonamide) 2 ~ 3 중량부를 혼합하고, 이를 사출금형에 사출성형하여 신발 발포창을 제조하는 단계(S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탄성의 사출용 신발 발포창 제조 방법.
KR1020200077829A 2020-06-25 2020-06-25 탄성과 열수축 특성이 우수한 고무 혼합물을 이용한 고탄성의 사출용 신발 발포창 제조 방법 KR1022916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7829A KR102291605B1 (ko) 2020-06-25 2020-06-25 탄성과 열수축 특성이 우수한 고무 혼합물을 이용한 고탄성의 사출용 신발 발포창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7829A KR102291605B1 (ko) 2020-06-25 2020-06-25 탄성과 열수축 특성이 우수한 고무 혼합물을 이용한 고탄성의 사출용 신발 발포창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1605B1 true KR102291605B1 (ko) 2021-08-19

Family

ID=77492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7829A KR102291605B1 (ko) 2020-06-25 2020-06-25 탄성과 열수축 특성이 우수한 고무 혼합물을 이용한 고탄성의 사출용 신발 발포창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160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28708A (ja) * 1997-09-24 1999-08-24 Sumitomo Rubber Ind Ltd ゴム組成物、該ゴム組成物を用いたゴムローラ及び該ゴム組成物の製造方法
KR20130096501A (ko) * 2012-02-22 2013-08-30 한국신발피혁연구원 데브리스가 개선된 동적 가교형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신발 겉창
KR20200050070A (ko) 2018-10-31 2020-05-11 박병훈 저경도 및 고탄성을 가지는 발포체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28708A (ja) * 1997-09-24 1999-08-24 Sumitomo Rubber Ind Ltd ゴム組成物、該ゴム組成物を用いたゴムローラ及び該ゴム組成物の製造方法
KR20130096501A (ko) * 2012-02-22 2013-08-30 한국신발피혁연구원 데브리스가 개선된 동적 가교형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신발 겉창
KR20200050070A (ko) 2018-10-31 2020-05-11 박병훈 저경도 및 고탄성을 가지는 발포체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245183B (zh) 一种用于制备运动鞋底用复合发泡材料的组合物及制备方法
US20050288440A1 (en) Polyolefin foams for footwear foam applications
CN108774378B (zh) 一种高弹缓震橡塑材料、缓震高弹鞋底及其制备工艺
CN110982166A (zh) 一种高弹性耐磨eva发泡鞋材及其制备方法
KR101346824B1 (ko) 데브리스가 개선된 동적 가교형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신발 겉창
KR100931028B1 (ko) 실란 그라프트된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신발 중창용 발포체의 제조방법
US11396591B2 (en) Composition for manufacturing lightweight footwear having improved heat-resistance and lightweight footwear manufactured using the same
KR101075070B1 (ko)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수지와 실리콘 고무가 함유된 발포체 제조용 조성물을 이용한 발포체의 제조방법
CN109135039B (zh) 植物微粉高分子发泡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2291605B1 (ko) 탄성과 열수축 특성이 우수한 고무 혼합물을 이용한 고탄성의 사출용 신발 발포창 제조 방법
KR101206348B1 (ko) 내열수축특성이 우수한 발포체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10028731A (zh) 一种吸震回弹的鞋底材料及其制备方法
CN110003561B (zh) 用于制备发泡材料的组合物、发泡材料及其制备方法、发泡材料制品和应用
CN105419119B (zh) 一种橡塑发泡材料及其制备方法
KR100216999B1 (ko) 신발중창용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조성물
KR102170652B1 (ko) 내열수축 특성이 우수한 연질 고탄성 발포 소재 및 이의 제조방법
JPS6155126A (ja) 架橋発泡体
KR102631510B1 (ko) 내구성이 우수한 경량 신발 중창용 발포체 조성물
JP5271055B2 (ja) 積層ゴムマットのソリを防止するための方法とその関連技術
CN113214560A (zh) 一种rp橡塑射出发泡大底及其制作工艺
KR20230168831A (ko) 고내구성을 가지는 경량 신발 중창용 발포체 조성물
KR20230070648A (ko) 신발 미드솔용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신발 미드솔
KR102300608B1 (ko) 실란 수가교용 가교제 마스터배치 조성물
TWI780526B (zh) 高功能發泡用樹脂組合物及其製備方法
KR102111505B1 (ko) 저경도, 고탄성, 내마모성이 우수한 휠체어 바퀴 발포 내장재와 그 내장재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