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1337B1 - 카울 크로스바 용접지그 - Google Patents

카울 크로스바 용접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1337B1
KR102291337B1 KR1020210071854A KR20210071854A KR102291337B1 KR 102291337 B1 KR102291337 B1 KR 102291337B1 KR 1020210071854 A KR1020210071854 A KR 1020210071854A KR 20210071854 A KR20210071854 A KR 20210071854A KR 102291337 B1 KR102291337 B1 KR 1022913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upport
pressure
clamp
air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18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오익
Original Assignee
권오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오익 filed Critical 권오익
Priority to KR10202100718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13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13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13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426Fixtures for other work
    • B23K37/0435Clamps
    • B23K37/0443Ji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02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mounting on a work-table, tool-slide, or analogous part
    • B23Q3/06Work-clamping means
    • B23Q3/08Work-clamping means other than mechanically-actuated
    • B23Q3/088Work-clamping means other than mechanically-actuated using vacuum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006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2703/00Work clamping
    • B23Q2703/02Work clamping means
    • B23Q2703/04Work clamping means using fluid means or a vacuu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울 크로스바를 더욱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카울 크로스바 용접지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가 부재(1)를 클램프(20)의 지지부(21a)에 올려놓으면, 자동으로 클램프(20)의 고정부재(22)가 하측으로 회동되어 부재(1)를 가고정함으로, 작업자가 다른 부재(1)를 클램프(20)의 지지부(21a)에 올려놓을 때, 지지부(21a)에 미리 올려진 부재(1)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부재(1)가 모두 클램프(20)의 지지부(21a)에 올려지면, 클램프(20)의 고정부재(22)가 부재(1)를 강한 힘으로 가압고정함으로, 부재(1)를 고정하는 작업이 매우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카울 크로스바 용접지그{welding jig}
본 발명은 카울 크로스바를 더욱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카울 크로스바 용접지그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에 구비되는 카울 크로스바의 일예를 도시한 것으로, 복수개의 부재(1)를 상호 용접하여 제작한다.
이러한 카울 크로스바를 용접하여 제작하는데 사용되는 카울 크로스바 용접지그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상면에 구비되며 상기 부재(1)를 고정할 수 있도록 된 복수개의 클램프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클램프는 상기 부재(1)를 올려놓을 수 있도록 지지부가 형성된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에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화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회동구동수단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회동되어 상기 지지부에 올려진 부재(1)를 가압하여 고정하도록 된 고정부재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대와 고정부재의 형상은 고정하고자 하는 부재(1)의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된다.
상기 회동구동수단은 에어가 공급되면 신축되어 상기 고정부재가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하는 에어실린더를 이용한다.
따라서,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상기 부재(1)를 상기 지지대의 지지부에 올려놓은 후, 상기 회동구동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고정부재가 하측으로 회동되도록 하면, 상기 고정부재가 상기 지지대의 지지부에 올려진 부재(1)를 가압하여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한다.
이때, 각각의 부재(1)는 용접부위가 상호 밀착되도록 고정된다.
따라서, 수작업 또는 용접로봇을 이용하여 각각의 부재(1)를 상호 용접하여 카울 크로스바를 제작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카울 크로스바 용접지그를 이용하여 카울 크로스바를 고정할 때는 각각의 클램프에 구비된 고정부재를 상측으로 회동시켜 지지대의 지지부가 개방되도록 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부재(1)를 모두 지지부에 올려놓고, 상기 회동구동수단을 작동시켜 고정부재를 하측으로 하강시킴으로써, 각각의 부재(1)가 동시에 고정되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카울 크로스바를 구성하는 부재(1)는 복잡한 형태로 구성됨으로, 지지대의 지지부에 부재를 올려놓으면, 나머지 부재를 모두 지지부에 올려놓기 전에, 지지부에 미리 올려진 부재(1)가 자신의 무게에 의해 유동되며, 이에 따라, 상기 고정부재를 하강시킬 때, 각각의 부재(1)가 정확히 지지부에 고정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되었다.
따라서, 작업자가 부재(1)를 상기 지지대의 지지부에 부재(1)를 올려놓고 상기 고정부재를 하강시키기 전까지, 작업자가 손으로 각각의 부재(1)를 잡고 있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등록특허 10-2240608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카울 크로스바를 더욱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카울 크로스바 용접지그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지판(10)과, 상기 지지판(10)의 상면에 구비되며 상기 부재(1)를 고정할 수 있도록 된 복수개의 클램프(20)를 포함하며, 상기 클램프(20)는 상기 부재(1)를 올려놓을 수 있도록 지지부(21a)가 형성된 지지대(21)와, 상기 지지대(21)에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화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회동구동수단(A)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회동되어 상기 지지부(21a)에 올려진 부재(1)를 가압하여 고정하도록 된 고정부재(22)를 포함하는 카울 크로스바 용접지그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21)의 내부에는 상기 지지부(21a)로 개방된 흡기공(21b)이 형성되고, 상기 회동구동수단(A)은 상기 고정부재(22)에 연결되어 신장시 상기 고정부재(22)가 하측으로 회동되어 지지부(21a)에 올려진 부재(1)를 고정하도록 하는 에어실린더(30)와, 상기 에어실린더(30)에 연결된 급기관(40)과, 상기 급기관(40)에 연결되어 급기관(40)을 통해 에어실린더(30)에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컴프레서(50)를 포함하고, 상기 급기관(40)은 상기 에어실린더(30)에 연결되는 복수개의 분기부(41)와, 상기 분기부(41)의 후단부에 동시에 연결된 제1 공급관부(42)와, 상기 제1 공급관부(42)의 후단부에 동시에 연결된 고압관부(43) 및 저압관부(44)와, 상기 고압관부(43)와 저압관부(44)의 후단부에 동시에 연결되고 후단부에 상기 에어컴프레서(50)가 연결된 연결되는 제2 공급관부(45)와, 상기 분기부(41)에 각각 구비되어 분기부(41)를 통해 각각의 에어실린더(30)로 공급되는 공기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1 제어밸브(46)와, 상기 고압관부(43) 및 저압관부(44)에 각각 구비되어 고압관부(43)와 저압관부(44)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2 및 제3 제어밸브(47,48)와, 상기 저압관부(44)에 구비되어 상기 저압관부(44)를 통과하는 공기의 압력을 상기 고압관부(43)를 통과하는 공기의 압력에 비해 낮게 조절하는 압력조절기(49)를 포함하며, 상기 흡기공(21b)에 연결되는 복수개의 분기부(61a)가 형성된 흡기관(61)과, 상기 흡기관(61)에 연결된 진공펌프(62)와, 상기 지지대(21)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부(21a)에 부재(1)가 올려지는 것을 감지하기 위한 부재감지수단(63)과, 상기 분기부(61a)에 구비되어 각 분기부(61a) 내부의 기압을 측정하는 복수개의 기압센서(64)와, 상기 부재감지수단(63)과 기압센서(64)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진공펌프(62)와 회동구동수단(A)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65)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65)은 상기 부재감지수단(63)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지지대(21)에 부재(1)가 올려진 것이 감지되면, 상기 제3 제어밸브(48)와 제1 제어밸브(46)를 개방하여 부재(1)가 올려진 클램프(20)의 에어실린더(30)가 신장되고 이에 따라 고정부재(22)가 부재(1)를 약한 힘으로 가압하여 부재(1)를 가고정하도록 하고, 상기 진공펌프(62)를 작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기압센서(64)의 신호를 수신하여, 부재(1)가 모든 클램프(20)의 지지부(21a)에 정확히 안착된 것이 감지되면, 상기 제2 제어밸브(47)와 제1 제어밸브(46)를 개방하여, 각각의 클램프(20)에 구비된 에어실린더(30)에 고압의 공기가 공급되도록 하여 고정부재(22)가 부재(1)를 강한 힘으로 가압하여 완전히 고정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울 크로스바 용접지그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카울 크로스바 용접지그는 사용자가 부재(1)를 클램프(20)의 지지부(21a)에 올려놓으면, 자동으로 클램프(20)의 고정부재(22)가 하측으로 회동되어 부재(1)를 가고정함으로, 작업자가 다른 부재(1)를 클램프(20)의 지지부(21a)에 올려놓을 때, 지지부(21a)에 미리 올려진 부재(1)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부재(1)가 모두 클램프(20)의 지지부(21a)에 올려지면, 클램프(20)의 고정부재(22)가 부재(1)를 강한 힘으로 가압고정함으로, 부재(1)를 고정하는 작업이 매우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카울 크로스바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카울 크로스바 용접지그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카울 크로스바 용접지그에 카울 크로스바를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카울 크로스바 용접지그에 카울 크로스바를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카울 크로스바 용접지그에 카울 크로스바를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카울 크로스바 용접지그의 클램프를 도시한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카울 크로스바 용접지그를 도시한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카울 크로스바 용접지그의 회로구성도,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카울 크로스바 용접지그의 작용을 도시한 참고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12는 카울 크로스바 용접지그를 도시한 것으로, 지지판(10)과, 상기 지지판(10)의 상면에 구비되며 상기 부재(1)를 고정할 수 있도록 된 복수개의 클램프(20)와, 상기 클램프(2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65)으로 구성된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이때, 상기 클램프(20)는 상기 부재(1)를 올려놓을 수 있도록 지지부(21a)가 형성된 지지대(21)와, 상기 지지대(21)에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화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회동구동수단(A)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회동되어 상기 지지부(21a)에 올려진 부재(1)를 가압하여 고정하도록 된 고정부재(22)로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지지부(21a)는 상기 부재(1)의 하측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지지부(21a)에 부재(1)를 올려놓으면, 부재(1)의 하측면이 지지부(21a)에 밀착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대(21)의 내부에는 상기 지지부(21a)로 개방된 흡기공(21b)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회동구동수단(A)은 상기 고정부재(22)에 연결되어 신장시 상기 고정부재(22)가 하측으로 회동되어 지지부(21a)에 올려진 부재(1)를 고정하도록 하는 에어실린더(30)와, 상기 에어실린더(30)에 연결된 급기관(40)과, 상기 급기관(40)에 연결되어 급기관(40)을 통해 에어실린더(30)에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컴프레서(50)로 구성된다.
상기 에어실린더(30)는 상기 급기관(40)에 의해 공기가 공급되면 신장되어 상기 고정부재(22)가 하측으로 회동되도록, 도시 안된 보조급기관(40)을 통해 공기가 공급되면 축소되어 상기 고정부재(22)가 상측으로 회동되도록 한다.
상기 급기관(40)은 상기 에어실린더(30)에 연결되는 복수개의 분기부(41)와, 상기 분기부(41)의 후단부에 동시에 연결된 제1 공급관부(42)와, 상기 제1 공급관부(42)의 후단부에 동시에 연결된 고압관부(43) 및 저압관부(44)와, 상기 고압관부(43)와 저압관부(44)의 후단부에 동시에 연결되고 후단부에 상기 에어컴프레서(50)가 연결된 연결되는 제2 공급관부(45)와, 상기 분기부(41)에 각각 구비되어 분기부(41)를 통해 각각의 에어실린더(30)로 공급되는 공기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1 제어밸브(46)와, 상기 고압관부(43) 및 저압관부(44)에 각각 구비되어 고압관부(43)와 저압관부(44)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2 및 제3 제어밸브(47,48)와, 상기 저압관부(44)에 구비되어 상기 저압관부(44)를 통과하는 공기의 압력을 상기 고압관부(43)를 통과하는 공기의 압력에 비해 낮게 조절하는 압력조절기(49)로 구성된다.
상기 제1 내지 제3 제어밸브(48)는 후술하는 제어수단(65)에 의해 작동제어되어 상기 분기부(41)와 고압관부(43) 및 저압관부(44)의 중간부를 개폐하는 솔레노이드밸브를 이용한다.
상기 압력조절기(49)는 상기 저압관부(44)를 통과하는 공기의 압력을 작업자가 입력한 압력으로 조절하는 레귤레이터를 이용한다.
따라서, 상기 에어컴프레서(50)에 의해 급기관(40)으로 고압의 공기가 공급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제어밸브(47)를 개방하면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에어컴프레서(50)에 의해 공급된 고압의 공기가 상기 고압관부(43)를 통과하여 상기 제1 공급관부(42)로 공급되며, 상기 제3 제어밸브(48)를 개방하면 도 10 및 도 11에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에어컴프레서(50)에 의해 공급된 고압의 공기가 저압관부(44)를 통과하면서 압력조절기(49)에 의해 압력이 낮아지도록 조절된 후 상기 제1 공급관부(42)로 공급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제1 공급관부(42)로 공기가 공급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제어밸브(46)를 선택적으로 개방하면, 각각의 분기부(41)를 통해 각각의 클램프(20)에 구비된 에어실린더(30)로 선택적으로 공기가 공급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흡기공(21b)에 연결되는 분기부(61a)가 형성된 흡기관(61)과, 상기 흡기관(61)에 연결된 진공펌프(62)와, 상기 지지대(21)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부(21a)에 부재(1)가 올려지는 것을 감지하기 위한 부재감지수단(63)과, 상기 분기부(61a)에 구비되어 각 분기부(61a) 내부의 기압을 측정하는 복수개의 기압센서(64)와, 상기 부재감지수단(63)과 기압센서(64)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진공펌프(62)와 회동구동수단(A)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65)이 더 구비된다.
상기 부재감지수단(63)은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21a)의 내부에 매립되도록 구비되며 상측으로 초음파를 출력하여 상기 부재(1)가 지지부(21a)에 올려지면 이를 감지하는 초음파센서를 이용한다.
상기 기압센서(64)는 상기 진공펌프(62)의 작동시 상기 분기부(61a)의 기압을 측정함으로서, 각각의 클램프(20)에 구비된 지지부(21a)에 부재(1)가 정확히 올려져 있는 지를 감지한다.
즉, 상기 진공펌프(62)가 작동되면 상기 흡기공(21b) 상부의 공기가 흡기공(21b)을 통해 흡입되는데, 상기 부재(1)가 지지부(21a)의 상면에 정확히 결합되면 상기 흡기공(21b)이 부재(1)에 의해 막혀 공기가 흡입되지 못하게 됨으로, 상기 흡기공(21b)과 흡기공(21b)에 연결된 분기부(61a) 내부의 기압이 저하된다.
즉, 상기 기압센서(64)에 측정된 분기부(61a) 내부의 기압이 대기압 이하로 저하된다고 하는 것은, 상기 부재(1)가 지지부(21a)에 정확히 안착된 것을 의미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기압센서(64)를 이용하여 각각의 클램프(20)에 구비된 에어실린더(30)에 연결된 분기부(41)의 기압을 측정함으로써, 각각의 클램프(20)에 구비된 지지부(21a)에 부재(1)가 정확히 올려졌을 경우 이를 즉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카울 크로스바 용접지그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6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동구동수단(A)의 작용에 의해 각각의 클램프(20)에 구비된 고정부재(22)가 상측으로 회동된 상태에서, 도 7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여러개의 부재(1)중에서 어느 하나를 정해진 클램프(20)의 지지부(21a)에 올려놓으면, 상기 제어수단(65)은 상기 부재감지수단(63)의 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확인하고, 상기 제어수단(65)은 부재(1)가 정확히 안착된 클램프(20)에 연결된 지지대(21)에 구비된 제1 제어밸브(46)와 상기 제3 제어밸브(48)를 개방하여, 부재(1)가 정확히 안착된 클램프(20)에 구비된 에어실린더(30)에 저압의 공기가 공급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저압의 공기가 에어실린더(30)로 공급되면 에어실린더(30)는 약한 압력을 신장되며, 이에 따라, 상기 고정부재(22)가 하측으로 회동되어 지지부(21a)에 올려진 부재(1)를 가압하게 된다.
즉, 부재(1)가 올려진 클램프(20)만 선택적으로 작동되어 부재(1)를 고정한다.
이때, 상기 고정부재(22)는 에어실린더(30)에 의해 약한 힘으로 하측으로 회동되어, 부재(1)가 자중에 의해 움직이지 않을 정도로 약하게 가고정함으로써, 부재(1)가 지지부(21a)에 정확히 안착되지 않았을 경우, 수작업으로 상기 고정부재(22)를 상측으로 들어올리고 부재(1)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작업자가 나머지 부재(1)를 다른 클램프(20)의 지지부(21a)에 올려놓으면, 상기 제어수단(65)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술한 과정을 반복하여, 각각의 클램프(20)에 구비된 에어실린더(30)에 약한 압력의 공기가 공급되어 에어실린더(30)가 신장되도록 하며, 이에 따라, 각각의 클램프(20)에 구비된 각각의 고정부재(22)가 모두 하측으로 회동되어 부재(1)를 모두 가압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진공펌프(62)를 작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기압센서(64)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흡입관(61)의 분기부(61a) 내부의 기압을 측정함으로써, 상기 부재(1)가 각각의 클램프(20)에 구비된 지지부(21a)에 정확하게 올려졌는지를 감지한다.
그리고, 모든 부재(1)가 각각의 지지부(21a)에 정확하게 올려진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수단(65)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3 제어밸브(47)를 밀폐하고, 제2 제어밸브(47)와 제1 제어밸브(46)를 개방하여, 각각의 클램프(20)에 구비된 에어실린더(30)에 모두 고압의 공기가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각각의 클램프(20)에 구비된 에어실린더(30)가 강한 압력으로 신장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에어실린더(30)가 강한 압력으로 신장되면, 상기 고정부재(22)가 강한 압력으로 부재(1)를 가압하여, 부재(1)가 움직이지 않도록 강하게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클램프(20)에 고정된 각 부재(1)의 용접부위를 수작업 또는 용접로봇을 이용하여 용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카울 크로스바 용접지그는 사용자가 부재(1)를 클램프(20)의 지지부(21a)에 올려놓으면, 자동으로 클램프(20)의 고정부재(22)가 하측으로 회동되어 부재(1)를 가고정함으로, 작업자가 다른 부재(1)를 클램프(20)의 지지부(21a)에 올려놓을 때, 지지부(21a)에 미리 올려진 부재(1)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부재(1)가 모두 클램프(20)의 지지부(21a)에 올려지면, 클램프(20)의 고정부재(22)가 부재(1)를 강한 힘으로 가압고정함으로, 부재(1)를 고정하는 작업이 매우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부재(1)를 지지부(21a)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부재(1)가 약한힘으로 가고정됨으로, 부재(1)가 지지부(21a)에 잘못 올려진 경우, 작업자가 손쉽게 고정부재(22)를 상측으로 들어올려 부재(1)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면의 경우, 각각의 클램프(20)가 동일한 형태로 구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도면에 나타난 클램프(20)의 형상은 클램프(20)의 일예를 도시한 것이며, 각각의 클램프(20)의 형상은 각 클램프(20)가 고정할 부재(1)의 형상이나 크기에 따라 서로 다른 형태로 구성된다.
또한, 도면에는 상기 클램프가 3개만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클램프의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10. 지지판 20. 클램프
A. 회동구동수단 30. 에어실린더
40. 급기관 50. 에어컴프레서
61. 흡기관 62. 진공펌프
63. 감지수단 64. 기압센서
65. 제어수단

Claims (1)

  1. 지지판(10)과,
    상기 지지판(10)의 상면에 구비되며 부재(1)를 고정할 수 있도록 된 복수개의 클램프(20)를 포함하며,
    상기 클램프(20)는
    상기 부재(1)를 올려놓을 수 있도록 지지부(21a)가 형성된 지지대(21)와,
    상기 지지대(21)에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화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회동구동수단(A)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회동되어 상기 지지부(21a)에 올려진 부재(1)를 가압하여 고정하도록 된 고정부재(22)를 포함하는 카울 크로스바 용접지그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21)의 내부에는 상기 지지부(21a)로 개방된 흡기공(21b)이 형성되고,
    상기 회동구동수단(A)은
    상기 고정부재(22)에 연결되어 신장시 상기 고정부재(22)가 하측으로 회동되어 지지부(21a)에 올려진 부재(1)를 고정하도록 하는 에어실린더(30)와,
    상기 에어실린더(30)에 연결된 급기관(40)과,
    상기 급기관(40)에 연결되어 급기관(40)을 통해 에어실린더(30)에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컴프레서(50)를 포함하고,
    상기 급기관(40)은
    상기 에어실린더(30)에 연결되는 복수개의 분기부(41)와,
    상기 분기부(41)의 후단부에 동시에 연결된 제1 공급관부(42)와,
    상기 제1 공급관부(42)의 후단부에 동시에 연결된 고압관부(43) 및 저압관부(44)와,
    상기 고압관부(43)와 저압관부(44)의 후단부에 동시에 연결되고 후단부에 상기 에어컴프레서(50)가 연결된 연결되는 제2 공급관부(45)와,
    상기 분기부(41)에 각각 구비되어 분기부(41)를 통해 각각의 에어실린더(30)로 공급되는 공기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1 제어밸브(46)와,
    상기 고압관부(43) 및 저압관부(44)에 각각 구비되어 고압관부(43)와 저압관부(44)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2 및 제3 제어밸브(47,48)와,
    상기 저압관부(44)에 구비되어 상기 저압관부(44)를 통과하는 공기의 압력을 상기 고압관부(43)를 통과하는 공기의 압력에 비해 낮게 조절하는 압력조절기(49)를 포함하며,
    상기 흡기공(21b)에 연결되는 복수개의 분기부(61a)가 형성된 흡기관(61)과,
    상기 흡기관(61)에 연결된 진공펌프(62)와,
    상기 지지대(21)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부(21a)에 부재(1)가 올려지는 것을 감지하기 위한 부재감지수단(63)과,
    상기 분기부(61a)에 구비되어 각 분기부(61a) 내부의 기압을 측정하는 복수개의 기압센서(64)와,
    상기 부재감지수단(63)과 기압센서(64)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진공펌프(62)와 회동구동수단(A)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65)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65)은 상기 부재감지수단(63)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지지대(21)에 부재(1)가 올려진 것이 감지되면, 상기 제3 제어밸브(48)와 제1 제어밸브(46)를 개방하여 부재(1)가 올려진 클램프(20)의 에어실린더(30)가 신장되고 이에 따라 고정부재(22)가 부재(1)를 약한 힘으로 가압하여 부재(1)를 가고정하도록 하고, 상기 진공펌프(62)를 작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기압센서(64)의 신호를 수신하여, 부재(1)가 모든 클램프(20)의 지지부(21a)에 정확히 안착된 것이 감지되면, 상기 제2 제어밸브(47)와 제1 제어밸브(46)를 개방하여, 각각의 클램프(20)에 구비된 에어실린더(30)에 고압의 공기가 공급되도록 하여 고정부재(22)가 부재(1)를 강한 힘으로 가압하여 완전히 고정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울 크로스바 용접지그.
KR1020210071854A 2021-06-03 2021-06-03 카울 크로스바 용접지그 KR1022913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1854A KR102291337B1 (ko) 2021-06-03 2021-06-03 카울 크로스바 용접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1854A KR102291337B1 (ko) 2021-06-03 2021-06-03 카울 크로스바 용접지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1337B1 true KR102291337B1 (ko) 2021-08-18

Family

ID=77464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1854A KR102291337B1 (ko) 2021-06-03 2021-06-03 카울 크로스바 용접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13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5737A (ko) 2022-03-17 2023-09-26 주식회사 앤트 레이저 심 스테퍼를 위한 용접 지그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0903B1 (ko) * 2013-02-15 2013-07-29 김용근 센터링 기능이 구비된 자동 스터드 용접 시스템
JP2015217415A (ja) * 2014-05-16 2015-12-07 川崎重工業株式会社 吸着定盤及び溶接ロボットシステム
KR20190115958A (ko) * 2018-04-04 2019-10-14 일신실업(주) 냉동기기용 동파이프의 자동퍼지용접장치
KR102148916B1 (ko) * 2020-02-17 2020-08-28 주식회사 우리기계 샤시 용접장치 및 그 용접방법
KR102240608B1 (ko) 2020-12-18 2021-04-15 주식회사 다올이엔지 용접 지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0903B1 (ko) * 2013-02-15 2013-07-29 김용근 센터링 기능이 구비된 자동 스터드 용접 시스템
JP2015217415A (ja) * 2014-05-16 2015-12-07 川崎重工業株式会社 吸着定盤及び溶接ロボットシステム
KR20190115958A (ko) * 2018-04-04 2019-10-14 일신실업(주) 냉동기기용 동파이프의 자동퍼지용접장치
KR102148916B1 (ko) * 2020-02-17 2020-08-28 주식회사 우리기계 샤시 용접장치 및 그 용접방법
KR102240608B1 (ko) 2020-12-18 2021-04-15 주식회사 다올이엔지 용접 지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5737A (ko) 2022-03-17 2023-09-26 주식회사 앤트 레이저 심 스테퍼를 위한 용접 지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1337B1 (ko) 카울 크로스바 용접지그
SI1739221T1 (sl) Ĺ ivalni stroj
TWI649820B (zh) 半導體製造裝置及半導體裝置的製造方法
US20070295697A1 (en) Method for Controlling a Compensation Cylinder Unit, in Particular for a Welding Device and Associated Compensation Cylinder Unit
JP4131164B2 (ja) 基板固定方法および表示装置製造方法
KR20160146846A (ko) 자동 픽업 높이 조정을 이용하는 픽 앤 플레이스 장치와, 픽 앤 플레이스 장치의 픽업 높이를 자동으로 조정하는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JPH06201046A (ja) 空気流量センサのoリング試験装置
JP4559122B2 (ja) テープ接着装置およびテープ接着方法
WO2013035854A1 (ja) 密着露光装置及び密着露光方法
KR102278653B1 (ko) 유압밸브 성능시험장치
JP2003231032A (ja) ワークの位置決めクランプ装置
JP6353418B2 (ja) 基板吸着方法、トップリングおよび基板研磨装置
JPH09145519A (ja) 仕切弁の水圧試験方法及び水圧試験装置
JP2001221707A (ja) 漏れ検査方法とその装置
KR102221703B1 (ko) 다이 이젝터 및 이를 포함하는 다이 픽업 장치
US5113788A (en) Screen printing machine for through hole printing an electric conductor
JP4371313B2 (ja) 生産装置及び生産方法
CN207717347U (zh) 多功能涡轮增压器壳体检测装置
JP2005088014A (ja) クランプ機構及びクランプ機構を有するレーザ加工機
JP3726927B2 (ja) シリンダ式ワーク押付け固定装置
JPH07297600A (ja) プリント基板吸着装置
JPWO2018051495A1 (ja) 基板矯正方法,基板矯正システム
CN114632839B (zh) 校正设备及校正方法
CN212844236U (zh) 一种带折角通道的堵孔快速检测的仪器
KR200493390Y1 (ko) 수평다관절로봇의 배선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