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8653B1 - 유압밸브 성능시험장치 - Google Patents

유압밸브 성능시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8653B1
KR102278653B1 KR1020190144688A KR20190144688A KR102278653B1 KR 102278653 B1 KR102278653 B1 KR 102278653B1 KR 1020190144688 A KR1020190144688 A KR 1020190144688A KR 20190144688 A KR20190144688 A KR 20190144688A KR 102278653 B1 KR102278653 B1 KR 1022786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aulic valve
hydraulic
module
valve
t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46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57912A (ko
Inventor
조재문
설효준
오상민
Original Assignee
한국도키멕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도키멕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도키멕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446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8653B1/ko
Publication of KR202100579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79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86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86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3/00Testing of machine parts
    • G01M13/003Machine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7/00Special means in or on valves or other cut-off apparatu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operation thereof, or for enabling an alarm to be given
    • F16K37/0025Electrical or magnetic means
    • F16K37/005Electrical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fluid parame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7/00Special means in or on valves or other cut-off apparatu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operation thereof, or for enabling an alarm to be given
    • F16K37/0075For recording or indicating the functioning of a valve in combination with test equi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sting Of Devices, Machine Parts, Or Other Structures Thereof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압밸브 성능시험장치에 관한 발명으로, 조립된 유압밸브를 공급하는 공급장치(100)와, 양품 및 불량품을 선별 배출하는 제1배출장치(300) 및 제2배출장치(400)를 포함하는 유압밸브 검사시스템에 탑재되는 유압밸브 성능시험장치(200)에 있어서, 성능시험장치(200)는, 공급장치(100)의 일측에서 유압밸브를 감지하여 모델의 종류 및 규격을 인식하는 인식모듈과, 공급장치(100)에서 유압밸브를 픽업하여 시험모듈(230)로 투입 및 반출하는 이송모듈(220)과, 인식모듈에 인식된 유압밸브의 모델의 종류에 따라서 유압밸브의 시험위치를 세팅하고 유압공급모듈과 연동하여 유압 성능을 시험하는 시험모듈(230)과, 시험모듈(230)의 일측에서 유압밸브의 외부 누유를 검사하는 누유검사모듈(250)을 포함하여 구성함에 따라 다양한 유압밸브 모델을 적용하여 전자동으로 유압 성능시험을 실시하도록 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유압밸브 성능시험장치{PERFORMANCE TESTING APPARATUS FOR OIL PRESSURE VALVE}
본 발명은 유압밸브 성능시험장치에 관한 발명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압밸브의 검사시스템에 탑재되어 유압 성능을 시험하기 위한 장치를 구성함으로써 다양한 유압밸브 모델을 적용하여 자동으로 시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기계 및 공작기계용 유압부품인 압력과 유량 모듈라 밸브(이하, 유압밸브)는 작동유의 압력, 유량, 흐름 방향을 제어하는 밸브이다. 유압밸브는 대표적인 예로 압력제어밸브, 유량제어밸브, 감압밸브, 체크밸브, 파이로트 체크밸브 등이 있다.
압력제어밸브는 1차압 설정용 릴리프밸브, 2차압 설정용 감압밸브 등 유압회로에서 압력을 제어하는 밸브로서 유압회로 내의 유압 유지, 최고압을 제어, 유압회로 내의 압력으로 유압 액추에이터의 작동 순서를 제한하는 등의 기능을 하는 밸브이다. 유량제어밸브는 밸브 내의 통과 유량을 제어하여 액추에이터의 속도, 밸브개폐 속도 등 조정 기능을 수행하는 밸브이다. 체크밸브는 유체를 일방향으로만 유통시키는 밸브이며 파이로트 체크밸브는 파이로트 신호에 의해 체크밸브를 개폐하는 밸브이다.
공지된 기술을 참고하여 유압밸브의 개략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일례로서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0 - 0256371 호에는 밸브몸체의 내측에 유체관로와 이에 연결되는 조절관로가 상호 관통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개체의 본체부가 상호 적층연결되어 모듈러 밸브를 구성하며, 유체관로의 유체 이동량을 제어하도록 조절관로의 양단에 솔레노이드밸브와 릴리프밸브가 각각 결합되는 압력조절용 모듈러 밸브를 구성한다.
다른 예로서, 한국등록특허공부 제 10 - 0937884 호에는 원통형으로 내주면 가운데부분에 밸브시트가 돌출형성되고 일측에는 유입구가 형성되며 타측에는 배출구가 형성된 밸브몸체와, 밸브몸체의 내측에 삽입설치되는 밸브스템과, 디스크와, 형상기억스프링과, 복원스프링이 구비된 유량조절밸브에 있어서, 밸브몸체는 유입구와 배출구가 형성된 부분의 원통형 외주면에 숫나사부가 형성된 유입구캡과 배출구캡이 유입구와 배출구에 각각 나사체결식으로 끼움 결합되며, 유입구캡과 배출구캡은 외주면에 밀폐링이 각각 끼워져 있어 누수방지되도록 이루어진 유량조절밸브를 구성한다.
한편, 이와 같은 유압밸브는 조립이 완료된 후 유압 성능시험 공정을 통해 정상 및 불량품으로 선별된 후 포장 공정을 거쳐 출하된다. 유압밸브의 성능시험은 크게 외관검사, 회로검사, 내/외부누유, 압력검사 등이 있으며 소정의 성능시험장치를 이용하여 자동 및 수동으로 시험공정을 진행한다.
예컨대, 한국등록특허공보 제 10 - 1221631 호에는 파이롯트 구동역지밸브의 동작 상태를 시험하는 시험블록부와, 시험블록부에 설치된 공기구동식 유압 펌프로 기설정된 시험압력까지 유압회로 내부를 가압하여 초기 일정압력으로 질소를 충입하는 어큐뮬레이터부와, 어큐뮬레이터와 균형압력을 유지하면서 니들밸브 및 4-way 매니폴드를 통과한 유로를 솔레노이드 밸브가 파이롯트 구동역지밸브의 파이롯트 유로를 통해 실린더 내부로 압력을 가압한 후, 가압된 시험압력이 누설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누설판단부를 포함하는 파이롯트 구동역지밸브의 성능시험장치를 구성한다.
다른 예로서, 한국공개특허공보 제 10 - 2011 - 0027613 호에는 측정하고자 하는 유압서보밸브에 의해 구동되는 유압실린더에 유압을 공급하기 위한 S1라인과 S2라인과 연통되는 유로가 형성되고 유로를 차단하기 위한 밸브가 설치된 매니폴드를 유압서보밸브에 설치하는 단계와, 유압서보밸브에 유압을 공급하기 위한 라인을 밸브를 이용하여 차단하는 단계와, 진단유닛을 연결하는 단계와, 라인을 오픈하여 압력을 변화시키면서 유로의 압력을 측정하여 밸브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압서보밸브의 성능진단 방법을 구성한다.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0 - 0256371 호 (2001.12.14) 한국등록특허공부 제 10 - 0937884 호 (2010.01.21) 한국등록특허공보 제 10 - 1221631 호 (2013.01.14) 한국공개특허공보 제 10 - 2011 - 0027613 호 (2011.03.16)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이 적용되는 유압밸브 성능시험장치는 유압밸브에 모장치와 동일한 조건의 유량 및 압력을 가하고 작동유가 누설되는지 등의 여부를 진단하기 위한 일련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유압밸브는 정밀한 부품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성능시험의 전 과정을 완전히 자동화하기가 쉽지 않다. 특히, 압력이나 유량을 조절나사 등을 이용하여 수동으로 조작하도록 이루어지는 모듈라 유압밸브의 경우 유압 성능시험 메커니즘을 전자동으로 구현하기는 사실상 어려운 실정이다.
이는 결국, 유압밸브의 생산성을 저해하고 작업자의 피로도 상승은 물론 숙련도에 따른 품질 불균일 문제로 인해 제조경쟁력을 하락하며 인건비를 상승하여 가격경쟁력을 악화하는 등의 문제를 야기한다.
따라서, 유압밸브의 성능시험공정에서 시험대상을 로딩 및 언로딩하고 시험공정 일체의 전자동화를 실현하기 위한 유압밸브 성능시험장치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조립된 유압밸브를 공급하는 공급장치(100)와, 양품 및 불량품을 선별 배출하는 제1배출장치(300) 및 제2배출장치(400)를 포함하는 유압밸브 검사시스템에 탑재되는 유압밸브 성능시험장치(200)에 있어서,
상기 성능시험장치(200)는,
공급장치(100)의 일측에서 유압밸브를 감지하여 모델의 종류 및 규격을 인식하는 인식모듈과,
공급장치(100)에서 유압밸브를 픽업하여 시험모듈(230)로 투입 및 반출하는 이송모듈(220)과,
인식모듈에 인식된 유압밸브의 모델의 종류에 따라서 유압밸브의 시험위치를 세팅하고 유압공급모듈과 연동하여 유압 성능을 시험하는 시험모듈(230)과,
시험모듈(230)의 일측에서 유압밸브의 외부 누유를 검사하는 누유검사모듈(250)을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다양한 유압밸브 모델을 적용하여 전자동으로 유압 성능시험을 실시할 수 있는 목적 달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유압밸브의 성능시험 전공정을 자동화하도록 구현하여 생산성을 현저히 증대하도록 하는 유압밸브 성능시험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압력이나 유량을 조절나사를 이용해 수동 조절하도록 이루어지는 모듈라 유압밸브와 같이 시험공정의 자동화가 어려운 유압밸브를 그 모델에 따라 간편하게 적용하여 조절나사를 자동으로 조정하여 시험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으로써 공정을 효율화하고 검사 누락 및 오류를 방지하여 품질 균일화를 실현함은 물론, 인건비를 절감하여 대외경쟁력을 강화하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압밸브 성능시험장치가 탑재된 검사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도 1의 우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압밸브 성능시험장치의 이송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도 4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압밸브 성능시험장치의 시험모듈의 거치대 및 고정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
도 7은 도 6의 우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압밸브 성능시험장치의 시험모듈의 일측 회전부 및 제1,2조정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9는 도 8의 정면도.
도 10은 도 8의 우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압밸브 성능시험장치의 오링누락검사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
이하, 본 발명의 유압밸브 성능시험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구성과 작용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의 설명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부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압밸브 성능시험장치가 탑재된 검사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도 1의 우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압밸브 성능시험장치의 이송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도 4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압밸브 성능시험장치의 시험모듈의 거치대 및 고정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 도 7은 도 6의 우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압밸브 성능시험장치의 시험모듈의 일측 회전부 및 제1,2조정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9는 도 8의 정면도, 도 10은 도 8의 우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압밸브 성능시험장치의 오링누락검사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되는 유압밸브 성능시험장치는 유압밸브 검사시스템에 탑재되어 유압 성능을 시험하기 위한 장치를 구성함으로써 다양한 유압밸브 모델을 적용하여 자동으로 시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장치에 관한 것임을 주지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유압밸브 성능시험장치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립된 유압밸브를 공급하는 공급장치(100)와, 양품 및 불량품을 선별 배출하는 제1배출장치(300) 및 제2배출장치(400)를 포함하는 유압밸브 검사시스템에 탑재되는 유압밸브 성능시험장치(200)를 구성하며 구체적으로는 하기와 같다.
상기 유압밸브 검사시스템은 조립시스템에서 조립이 완료된 유압밸브를 성능시험장치(200)로 자동으로 공급하고 일련의 성능시험을 거친 후 양품과 불량품을 각각 배출하여 포장장치 및 수거장치 등으로 공급하도록 이루어진 시스템이다.
상기 공급장치(100)는 조립된 유압밸브를 컨베이어를 이용해 성능시험장치(200)로 정렬 및 공급한다. 상기 공급장치(100) 및 후술하게 될 제1배출장치(300) 및 제2배출장치(400)에 마련되는 컨베이어의 하측에는 이물받이를 적용하여 유압밸브에 잔류하는 작동유 등의 유출에 대응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성능시험장치(200)는 공급장치(100)로부터 유압밸브를 공급받아 유압 성능을 시험하고 양품은 제1배출장치(300)로, 불량품은 제2배출장치(400)로 배출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성능시험장치(200)는 크게 인식모듈과, 이송모듈(220)과, 시험모듈(230)과, 누유검사모듈(250)을 포함한다.
상기 인식모듈은 공급장치(100)의 일측에서 유압밸브를 감지하여 모델의 종류 및 규격을 인식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인식모듈에는 모델감지센서를 구비하여 유압밸브의 모델을 식별하고 해당 모델의 종류별 규격에 따라 후술하게 될 시험모듈(230)에 의한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구비한다.
상기 이송모듈(220)은 공급장치(100)에서 유압밸브를 픽업하여 시험모듈(230)로 투입 및 반출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이송모듈(220)은 공급장치(100)로부터 유압밸브를 한 단위씩 픽업하여 하기 시험모듈(230)에 투입하는 기능과, 시험모듈(230)에서 시험을 마친 유압밸브를 한 단위씩 반출하는 기능을 일괄적으로 진행하도록 구성하며, 도 4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투입셔틀(222)과, 픽업부(223)와, 이송부(224)를 구비한다.
상기 투입셔틀(222)은 복수의 전자석(221)을 탑재하여 공급장치(100)에서 공급되는 유압밸브 및 시험모듈(230)에서 반출되는 유압밸브를 각각 부착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투입셔틀(222)은 하기 픽업부(223)에 의해 중심부를 기점으로 양측 전자석(221)을 180도씩 회전하도록 구비하여 공급장치(100)와 시험모듈(230) 간에 유압밸브의 위치 교환이 이루어지도록 구비한다.
상기 픽업부(223)는 상기 투입셔틀(222)을 승강 및 회전하여 유압밸브를 픽업하고 투입 및 배출 방향으로 전환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픽업부(223)는 투입셔틀(222)의 상측 중심부를 축결합하되 상, 하 일정 높이로 종동하는 실린더를 탑재하여 상기 투입셔틀(222)의 전자석(221)에 부착되는 유압밸브의 픽업을 위한 승강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구비한다.
상기 이송부(224)는 공급장치(100)와 시험모듈(230) 간에 구비되어 상기 투입셔틀(222) 및 픽업부(223)를 이송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이송부(224)는 상기 픽업부(223)의 일측을 결합하되 수평방향 일정 거리로 횡동하는 실린더를 탑재하여 유압밸브가 픽업된 픽업부(223) 일체를 이송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이송부(224)는 별도 마련된 제어모듈과 연동하여 공급장치(100)와 시험모듈(230), 및 시험모듈(230)과 제1배출장치(300) 사이에 유압밸브의 이송이 제어되도록 구성한다.
한편, 상기 시험모듈(230)은 인식모듈에 인식된 유압밸브의 모델의 종류에 따라서 유압밸브의 시험위치를 세팅하고 유압공급모듈과 연동하여 유압 성능을 시험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시험모듈(230)은 라인과 연결되는 소켓을 일측에 구비하는 싱글타입 유압밸브 또는 소켓을 양측에 구비하는 더블타입 유압밸브를 자동으로 적용하여 스플과 연동하는 조절나사를 조정하면서 유압 성능을 시험하도록 구성하며, 도 6 내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거치대(231)와, 고정부(232)와, 회전부(233)와, 제1조정부(234)와, 제2조정부(235)를 구비한다.
상기 거치대(231)는 상기 이송모듈(220)에 의해 시험모듈(230)로 이송되는 유압밸브를 안착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거치대(231)의 양측에는 후술하게 될 회전부(233)와 제1조정부(234) 및 제2조정부(235)가 한 세트씩 상호 대향하도록 구비되는바, 상기 거치대(231)는 유압밸브의 일측 또는 양측 소켓이 회전부(233)를 향하는 자세로 안착되도록 구비한다.
상기 고정부(232)는 거치대(231)의 상측에서 유압밸브를 가압하여 고정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고정부(232)는 가이드레일 및 실린더를 구비하여 상기 거치대(231)에 안착된 유압밸브의 상측면을 향해 승강하도록 마련하여 성능시험 시 하기 회전부(233)에 의한 요동을 방지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회전부(233)는 유압밸브의 일측 또는 양측 소켓에 마련되는 조절나사에 치합하여 스플을 잠금 또는 잠금해제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회전부(233)는 유압밸브의 조절나사의 단부에 형성되는 홈에 치합하는 스핀들을 구비하여 후술하게 될 제2조정부(235)에 의해 내측으로 출입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회전부(233)는 서보모터를 탑재하여 스핀들의 정방향 및 역방향 회전 토크가 제어 가능하도록 구비하여 상기 조절나사와 연동하는 유압밸브의 스플을 자동으로 잠금하거나 잠금해제, 즉 풀림 작동함으로써 유압 검사가 이루어지도록 구성한다.
상기 회전부(233)는 거치대(231)의 양측에서 상호 대향하는 한 쌍이 구비되는바, 상기 인식모듈의 인식 결과에 따라 싱글타입 유압밸브의 경우 일측 회전부(233)의 작동만 이루어지도록 자동 제어되며, 더블타입 유압밸브의 경우 양측에 마련된 조절나사 각각의 잠금방향 및 풀림방향에 따라 회전이 제어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제1조정부(234)는 회전부(233)를 승강하여 상기 거치대(231)에 안착된 유압밸브의 조절나사에 상응하는 높이로 회전부(233)의 높이를 설정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제1조정부(234)는 서모모터를 탑재하여 상기 거치대(231)에 유압밸브가 안착되는 작동 전, 후로 회전부(233)를 승강하여 회전부(233) 및 하기 제2조정부(235)의 작동 위치를 설정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제1조정부(234)는 회전부(233)와 같이 거치대(231)의 양측에서 상호 대향하는 한 쌍이 구비되는바, 상기 인식모듈의 인식 결과에 따라 싱글타입 유압밸브의 경우 일측 제1조정부(234)의 작동만 이루어지도록 자동 제어되며, 더블타입 유압밸브의 경우 양측에 마련된 조절나사 각각에 상응하는 높이로 동시에 제어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제2조정부(235)는 제1조정부(234)를 전, 후진하여 유압밸브의 조절나사에 상응하는 위치에 회전부(233)를 위치하거나 이격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제2조정부(235)는 서보모터를 탑재하여 상기 거치대(231)의 양측에 구비되는 회전부(233)를 유압밸브의 조절나사에 접근 또는 이격하여 스핀들이 나사에 개재되도록 구비한다.
상기 제2조정부(235) 역시 회전부(233)와 같이 거치대(231)의 양측에서 상호 대향하는 한 쌍이 구비되는바, 상기 인식모듈의 인식 결과에 따라 싱글타입 유압밸브의 경우 일측 제2조정부(235)의 작동만 이루어지도록 자동 제어되며, 더블타입 유압밸브의 경우 양측에 마련된 조절나사에 대한 전, 후진 작동이 동시에 제어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누유검사모듈(250)은 시험모듈(230)의 일측에서 유압밸브의 외부 누유를 검사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누유검사모듈(250)은 상기 거치대(231)의 일측에 비전 시스템을 구비하여 유압밸브의 외부를 검사하고 오일 색상에 따라서 누유 여부를 감지하도록 구비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성능시험장치에는 유압밸브에 구비되는 오링의 누락 여부를 검사하는 오링누락검사모듈(260)을 더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오링누락검사모듈(260)은 제1배출장치(300)의 일측에 구비하여 유압 성능시험을 거친 후 상기 이송모듈(220)에 의해 시험모듈(230)에서 제1배출장치(300)로 배출되는 유압밸브의 하측에 마련되는 솔레노이드 밸브용 4개소의 홀에 오링의 정상탑재 유무를 검사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오링누락검사모듈(260)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 하 일정 높이로 종동하는 실린더에 근접센서를 탑재하여 상기 제1배출장치(300)로 이송되는 유압밸브의 홀을 감지함으로써 오링의 누락 여부를 검사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오링누락검사모듈(260)에 의한 검사 정확도를 위해 오링노락검사모듈의 일측에는 에어샤워모듈을 탑재하여 홀에 에어를 불어넣어 불순물을 제거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배출장치(300)는 성능시험장치(200)를 거친 유압밸브를 컨베이어를 이용해 배출하되 양품은 양품 이동 컨베이어를 거쳐 포장장치로 배출되도록 구성하며, 불량품은 제2배출장치(400)의 컨베이어로 배출하도록 구성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유압밸브 성능시험장치의 작동 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하의 설명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하기 실시 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제공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유압밸브 검사시스템은 공정진행 방향에 따라서 공급장치(100), 성능시험장치(200), 제1배출장치(300) 및 제2배출장치(400), 포장장치로 이루어지며, 상기 공급장치(100), 제1배출장치(300) 및 제2배출장치(400)에는 컨베이어가 탑재된다.
조립 완료된 유압밸브가 공급장치(100)의 컨베이어를 통해 성능시험장치(200)로 공급되면, 인식모듈은 유압밸브의 모델을 인식하여 예컨대 싱글타입 또는 더블타입, 규격 등의 스펙을 인식하고 성능시험장치(200)는 인식된 데이터에 따라서 각 모듈을 자동으로 제어하도록 대기한다.
상기 이송모듈(220)의 픽업부(223)는 유압밸브의 상측면을 향해 투입셔틀(222)을 하강하고 투입셔틀(222)의 일측 전자석(221)이 유압밸브를 부착하면 투입셔틀(222)을 상승한다.
상기 이송모듈(220)의 이송부(224)는 픽업부(223) 및 투입셔틀(222) 일체를 시험모듈(230)의 거치대(231) 상측으로 이동한다.
상기 거치대(231) 상에 이미 시험을 마친 유압모듈이 기 안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픽업부(223)가 투입셔틀(222)을 하강하여 투입셔틀(222)의 타측 전자석(221)에 기 안착된 유압밸브를 부착하고 투입셔틀(222)을 상승하는 과정을 거친 후, 픽업부(223)가 투입셔틀(222)을 180도 회전한 후 하강하여 투입셔틀(222)의 일측 전자석(221)에 부착된 유압밸브를 거치대(231)에 안착하고 전자석(221)을 OFF한다.
상기 거치대(231)에 유압밸브가 안착되면 고정부(232)가 하강하여 유압밸브의 상측면을 가압 고정한다.
상기 거치대(231)의 양측에 상호 대향하도록 마련되는 회전부(233), 제1조정부(234), 제2조정부(235)는 싱글타입 또는 더블타입 유압밸브의 종류에 따라서 일측 또는 양측을 작동한다.
상기 제1조정부(234)는 거치대(231)에 안착된 유압밸브의 조절나사의 높이에 상응하는 높이에 회전부(233)의 스핀들이 정확하게 위치하도록 회전부(233)를 상승 또는 하강하여 위치를 설정한다.
상기 제1조정부(234)는 거치대(231)에 안착된 유압밸브의 조절나사에 마련된 홈에 회전부(233)의 스핀들이 삽입되도록 전진한다.
상기 회전부(233)의 스핀들은 유압밸브의 조절나사를 잠금 방향으로 회전 및 풀림 방향으로 회전하고, 동시에 시험모듈(230)의 일측에 탑재되는 유압공급모듈이 유압을 공급하여 스플의 유압성능을 시험한다.
아울러, 시험모듈(230)의 일측에 마련되는 누유검사모듈(250)은 비전 시스템을 이용해 유압밸브의 작동유 누유 여부를 검사한다.
유압밸브의 유압 성능시험이 완료되면 회전부(233), 제1조정부(234), 제2조정부(235), 및 고정부(232)는 상술한 과정의 역순으로 유압밸브로부터 분리된다.
또한, 이송모듈(220)은 상술한 바와 같이 픽업부(223)는 투입셔틀(222)을 거치대(231)로 하강하여 투입셔틀(222)의 타측 전자석(221)에 유압밸브를 부착하고 투입셔틀(222)을 상승한 후 투입셔틀(222)을 180도 회전하여 일측 전자석(221)에 새로 공급된 유압밸브를 거치대(231)에 안착하며, 시험을 마친 유압밸브는 제1배출장치(300)의 일측에 마련된 오링누락검사모듈(260)로 이송된다.
우선, 에어샤워모듈에 의해 유압밸브의 하측에 형성된 솔레노이드 밸브용 홀에 불순물을 제거한 후, 오링누락검사모듈(260)이 근접센서를 작동하여 오링의 누락 여부를 검사한다.
상기 제1배출장치(300)는 성능시험이 완료된 유압밸브를 컨베이어를 이용해 배출하되 양품은 양품 이동 컨베이어를 거쳐 포장장치로 배출되어 비닐 열접합 방식으로 최종제품을 포장 배출하고, 불량품은 제2배출장치(400)의 컨베이어를 통해 별도 수거하여 성능검사를 위한 일련의 공정을 마무리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압밸브 성능시험장치는 유압밸브 검사시스템에 의한 성능시험 전공정을 자동화할 수 있는 성능시험장치를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은 압력이나 유량을 조절나사를 이용해 수동 조절하도록 이루어지는 모듈라 유압밸브와 같이 시험공정의 자동화가 어려운 유압밸브를 그 모델에 따라 간편하게 적용하여 조절나사를 자동으로 조정하여 시험이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유압밸브 성능시험장치는 종래 기술에 비해 유압밸브 성능시험공정을 최적화하여 밸브당 공정 사이클을 종래 약 120초에서 80초로 33% 가량 단축함으로써 생산성을 현저히 증대하고, 기존의 수동 작업시 빈번히 발생하는 검사 누락 및 오류를 방지하여 품질 균일화를 실현하고 불량 검출률을 종래 95%에서 98% 이상으로 극대화함으로써 제품경쟁력을 강화하는 등의 다양한 효과를 도모할 수 있으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매우 클 것으로 기대된다.
100: 공급장치 200: 성능시험장치
220: 이송모듈 221: 전자석
222: 투입셔틀 223: 픽업부
224: 이송부 230: 시험모듈
231: 거치대 232: 고정부
233: 회전부 234: 제1조정부
235: 제2조정부 250: 누유검사모듈
260: 오링누락검사모듈 300: 제1배출장치
400: 제2배출장치

Claims (4)

  1. 조립된 유압밸브를 공급하는 공급장치(100)와, 양품 및 불량품을 선별 배출하는 제1배출장치(300) 및 제2배출장치(400)를 포함하는 유압밸브 검사시스템에 탑재되는 유압밸브 성능시험장치(200)에 있어서,
    상기 성능시험장치(200)는,
    공급장치(100)의 일측에서 유압밸브를 감지하여 모델의 종류 및 규격을 인식하는 인식모듈과,
    공급장치(100)에서 유압밸브를 픽업하여 시험모듈(230)로 투입 및 반출하는 이송모듈(220)과,
    인식모듈에 인식된 유압밸브의 모델의 종류에 따라서 유압밸브의 시험위치를 세팅하고 유압공급모듈과 연동하여 유압 성능을 시험하는 시험모듈(230)과,
    시험모듈(230)의 일측에서 유압밸브의 외부 누유를 검사하는 누유검사모듈(250)과,
    유압밸브에 구비되는 오링의 누락 여부를 검사하는 오링누락검사모듈(260)을 포함하고,
    상기 시험모듈(230)은,
    유압밸브를 안착하는 거치대(231)와,
    거치대(231)의 상측에서 유압밸브를 가압하여 고정하는 고정부(232)와,
    유압밸브의 일측 또는 양측 소켓에 마련되는 조절나사에 치합하여 스플을 잠금 또는 잠금해제하는 회전부(233)와,
    회전부(233)를 승강하여 상기 거치대(231)에 안착된 유압밸브의 조절나사에 상응하는 높이로 회전부(233)의 높이를 설정하는 제1조정부(234)
    제1조정부(234)를 전, 후진하여 유압밸브의 조절나사에 상응하는 위치에 회전부(233)를 위치하거나 이격하는 제2조정부(235)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밸브 성능시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모듈(220)은,
    복수의 전자석(221)을 탑재하여 공급장치(100)에서 공급되는 유압밸브 및 시험모듈(230)에서 반출되는 유압밸브를 각각 부착하는 투입셔틀(222)과,
    투입셔틀(222)을 승강 및 회전하여 유압밸브를 픽업하고 투입 및 배출 방향으로 전환하는 픽업부(223)와,
    공급장치(100)와 시험모듈(230) 간에 구비되어 상기 투입셔틀(222) 및 픽업부(223)를 이송하는 이송부(224)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밸브 성능시험장치.
  3. 삭제
  4. 삭제
KR1020190144688A 2019-11-13 2019-11-13 유압밸브 성능시험장치 KR1022786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4688A KR102278653B1 (ko) 2019-11-13 2019-11-13 유압밸브 성능시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4688A KR102278653B1 (ko) 2019-11-13 2019-11-13 유압밸브 성능시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7912A KR20210057912A (ko) 2021-05-24
KR102278653B1 true KR102278653B1 (ko) 2021-07-16

Family

ID=76153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4688A KR102278653B1 (ko) 2019-11-13 2019-11-13 유압밸브 성능시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86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39990B (zh) * 2021-08-03 2023-10-03 哈尔滨电气动力装备有限公司 核主泵推力轴承推力瓦高压止逆阀的压力测试工艺
KR102459760B1 (ko) * 2022-07-27 2022-10-27 주식회사 비츠로앤 밸브 리크 검사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8550B1 (ko) * 2009-12-22 2011-01-14 효원테크(주) 실린더헤드 누설검사장치
KR101572181B1 (ko) * 2015-08-24 2015-12-04 송준석 오링이 조립된 볼트의 자동 검사장치 및 그 방법
KR101975905B1 (ko) * 2017-08-10 2019-08-28 주식회사 세창산업 프레스 성형물 검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6371Y1 (ko) 2001-09-14 2001-12-14 주식회사 조광정밀 압력조절용 모듈러 밸브
KR100889235B1 (ko) * 2007-05-30 2009-03-16 주식회사 엔케이 고압가스용기 내압 시험장치
KR100937884B1 (ko) 2007-10-05 2010-01-21 오완호 자동유량조절밸브
KR20110027613A (ko) 2009-09-08 2011-03-16 주식회사 누리텍 유압 서보 밸브 성능 진단방법 및 그 장치
KR101221631B1 (ko) 2011-01-31 2013-01-14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파이롯트 구동역지밸브의 성능 시험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8550B1 (ko) * 2009-12-22 2011-01-14 효원테크(주) 실린더헤드 누설검사장치
KR101572181B1 (ko) * 2015-08-24 2015-12-04 송준석 오링이 조립된 볼트의 자동 검사장치 및 그 방법
KR101975905B1 (ko) * 2017-08-10 2019-08-28 주식회사 세창산업 프레스 성형물 검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7912A (ko) 2021-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8653B1 (ko) 유압밸브 성능시험장치
KR20110038411A (ko) 화장품 용기용 씨브이 밸브 조립 장치
KR20120108642A (ko) 볼체크밸브 내장형 에이비에스용 솔레노이드밸브의 필터조립체 조립장치 및 이의 조립방법
KR102120747B1 (ko) 고압가스통의 자동 교체방법
CN105583164A (zh) 一种药瓶真空在线检漏机及应用于检漏机的真空检漏系统
KR20110038412A (ko) 화장품 용기용 씨브이 밸브 조립 장치의 실캡/실린더 조립장치
CN104454493B (zh) 一种水泵测试系统及其测试方法
CN109443747B (zh) 一种二位二通螺纹插装阀自动测试设备及其工作方法
CN103335796B (zh) 全自动两通气密性检测装置
KR20120122817A (ko) 정수기필터용 리크 검사방법 및 장치
CN107695792A (zh) 一种智能夹具的控制方法
US20040214513A1 (en) Method for assembling a polishing hea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ir leakage in the polishing head while assembling the same
KR101725338B1 (ko) 연료압력조절기용 다이어프램 조립장치
KR20140005084A (ko) 반송 지그 및 기판 제조 방법
JPH06201046A (ja) 空気流量センサのoリング試験装置
KR102408752B1 (ko) 피팅류 리크테스트 장치
CN111433510B (zh) 高压气罐的自动校准方法
CN101178334A (zh) 汽车油箱盖泄漏流量检测方法
KR200434946Y1 (ko) 연료압력 레귤레이터의 유량 압력셋팅장치
CN215931212U (zh) 用于铸件零件气体密封试漏的检测工装
KR102588731B1 (ko) 웨이퍼 검사 및 세정 장치
KR101182818B1 (ko) 리크 검사 장치 및 방법
CN104815409B (zh) 用于室内栓的半自动试压机及其试压方法
KR102130639B1 (ko) 압력 조절용 캡의 검사 장치
KR100478154B1 (ko) 오일제트용 개변압 시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