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8725B1 - 대두 배아를 이용한 폴리아민 고함유 발효물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대두 배아를 이용한 폴리아민 고함유 발효물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8725B1
KR102288725B1 KR1020190017108A KR20190017108A KR102288725B1 KR 102288725 B1 KR102288725 B1 KR 102288725B1 KR 1020190017108 A KR1020190017108 A KR 1020190017108A KR 20190017108 A KR20190017108 A KR 20190017108A KR 102288725 B1 KR102288725 B1 KR 1022887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amine
present
soybean
spermidine
m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71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99308A (ko
Inventor
이해익
김희웅
Original Assignee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171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8725B1/ko
Publication of KR202000993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93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87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87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50Fermented pulses or legumes; Fermentation of pulses or legumes based on the addition of 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30Removing undesirable substances, e.g. bitter substances
    • A23L11/34Removing undesirable substances, e.g. bitter substances using chemical treatment, adsorption or absorp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30Artificial sweetening age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Botan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두 배아를 이용한 폴리아민 고함유 발효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폴리아민 고생산 균주인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EE5로 발효시킨 대두 배아는 대두로 발효시킨 발효물에 비하여 약 2배 이상의 폴리아민을 함유하고 있으며, 기존의 콩이나 밀 배아 추출물은 다량의 푸트레신(putrescine)을 함유하여 불쾌취를 유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배양물은 스페르미딘(spermidine)과 스페르민(spermine)이 폴리아민의 주성분이므로 기호성 높은 폴리아민 고함유 기능성 조성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대두 배아를 이용한 폴리아민 고함유 발효물의 제조 방법{Production method of polyamine-rich fermentation product using soybean embryo}
본 발명은 폴리아민 고함유 발효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대두 배아를 고체 배지로 하여 배양하거나, 대두 배아에 당을 첨가하여 폴리아민 생산성을 높인 배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생체 아민(Biogenic amines)은 일반적으로 단백질이나 아미노산이 미생물에의해 대사되는 과정에서 생기는 아민류로서 식품부패의 지표가 되는 부패 아민도 포함한다. 생체 아민중에서 식중독을 일으키는 부패 아민은 아미노기를 1~2개를 갖는데 비하여 아미노기를 3~4개 갖는 아민은 폴리아민이라 하여 부패 아민과 구별한다. Putrescine은 아미노기를 2개 갖는 디아민이나 대사에 의해 폴리아민의 전구체가 되므로 폴리아민으로 분류한다.
최근 폴리아민의 여러 가지 생리적 의미가 구명되고 있다. 폴리아민 섭취에 의해 기대되는 생리 작용으로는 발모촉진, 피부 노화억제, 수명 연장, 항염증, 세포부활 작용 등이 알려져 폴리아민 또는 폴리아민 조성물은 건강보조식품, 화장품 등의 용도로 이용되고 있다.
공업적으로 폴리아민을 제조하는 기술로는 어류의 정소(特開平8-238094公報), 효모 균체(特開2001-8663公報, 特開2001-95483公報), 대두 또는 쌀 배아(特開平10-101624公報, 特開2007-291027公報)로부터 효율있게 추출하는 방법이 제시되고 있다. 이들의 공통점은 폴리아민의 함량이 비교적 높은 식품원료로부터 효율적으로 추출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추출 원료의 폴리아민 함량에 따라 추출 효율이 달라지므로 추출원료의 폴리아민 함량을 높일 방법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0001) 대한민국 등록 특허 KR 10-1794772
이에 본 발명자는 상기에서 나타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발효에 의해 원료 중의 폴리아민 함량을 증가시켜 생산성 향상을 위한 배양 방법을 모색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발효에 의해 원료 중의 폴리아민 함량을 높여 폴리아민 고생산성의 달성이라는 기술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1) 곡물 및 물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2) 상기 제조된 혼합물을 멸균시키는 단계;
3) 상기 멸균된 혼합물에 폴리아민 고생산균을 접종시키는 단계; 및
4) 상기 폴리아민 고생산균이 접종된 혼합물을 배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폴리아민 고함유 발효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의 곡물 및 물을 혼합 비율은 1:1 내지 1:5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의 곡물은 대두 배아, 서리태 또는 백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의 혼합물에 발효 보조제를 추가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발효 보조제는 올리고당, 요리당, 물엿 또는 설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계 3)의 폴리아민 고생산균은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us subtilis)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민은 스페르미딘(spermidine) 및 스페르민(spermine)이 주성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폴리아민 고생산 균주인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EE5로 발효시킨 대두 배아는 대두로 발효시킨 발효물에 비하여 약 2배 이상의 폴리아민을 함유하고 있으며, 기존의 콩이나 밀 배아의 폴리아민 추출물은 다량의 푸트레신(putrescine)을 함유하여 불쾌취를 유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배양물은 스페르미딘(spermidine)과 스페르민(spermine)이 폴리아민의 주성분이므로 기호성 높은 폴리아민 고함유 기능성 조성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대두 배아 발효물의 폴리아민을 TLC에 의해 분석한 결과이다:
1: 대두 배아 발효물; 2: 물엿첨가 대두 배아 발효물; 3: 폴리아민 표준품.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자들은 폴리아민을 다량 함유하는 발효 식품을 생산할 목적으로 볏짚으로부터 폴리아민을 다량 생산하는 균주를 스크리닝하고 이를 폴리아민 생산성을 높일 목적으로 폴리아민 고생산 균주를 돌연변이 육종하여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EE5로 명명하고 “폴리아민 고생산 신균주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EE5 균주”로 한국과 일본에서 특허(한국 특허 10-1794772, 일본 특허 6054052)를 이미 등록받은 바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 폴리아민 고생산 균주를 이용하여 콩을 18시간 발효시키면 일반 균주의 발효물보다 폴리아민의 함유량을 약 5배 증가 되는 효과를 볼 수 있으며 발효 배지를 대두 배아로 하면 기존의 미발효 대두 배아보다 약 2~3배 높은 폴리아민이 축적되어, 단순한 대두 배아보다 훨씬 높은 폴리아민 함량이 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균주를 이용하여 대두와 대두 배아를 24시간 발효시키면 각각 280~320mg/kg(wet), 450~500mg/kg(wet)의 폴리아민을 함유하게 되므로 발효 기질로 대두 배아를 사용하는 것이 매우 유리해 짐을 알 수 있다. 한편 건조 대두 배아 1kg을 직접 산으로 추출하는 경우 폴리아민인 푸트레신(putrescine), 스페르미딘(spermidine) 및 스페르민(Spermine)이 각각 220mg, 165mg, 35mg을 추출하여 총 폴리아민이 420mg이 추출되나, 대두 배아를 발효할 경우 스페르미딘(spermidine) 및 스페르민(Spermine)이 각각 542mg, 520mg이 추출된다. 폴리아민 중에서 푸트레신(putrescine)은 체내에서 소화작용에 의해 쉽게 분해되어 약 30% 가 체내에서 이용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푸트레신(putrescine)은 특유의 고기 썩는 냄새를 내므로 폴리아민으로서의 이용성은 낮아 추출물 중의 농도를 낮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다양한 식품의 소재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푸트레신(putrescine) 냄새가 강한 대두 또는 소맥 배아 추출물이 아니라 냄새가 나지 않고 체내 이용율이 높은 폴리아민 추출물을 개발할 필요가 있음을 인지하였다. 대두 배아를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EE5 균주의 발효 기질로 할 경우 푸트레신(putrescine)의 함유량을 크게 경감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높은 폴리아민 함량을 갖는 발효물을 획득할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대두 배아를 고체 배지로 하여 미생물을 배양하여 스페르미딘(spermidine) 및 스페르민(Spermine)을 주성분으로 하는 폴리아민 고함유 발효물을 배양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대두 배아 이외에 올리고 당 등을 첨가한 고체 배지에 미생물을 배양하여 폴리아민을 다량 함유하는 발효물을 배양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 및 효과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다.
(i) 본 발명은 발효에 의한 폴리아민 생산을 위한 배양 방법에 관한 것이다.
(ii) 본 발명의 배양 방법을 이용하는 폴리아민을 다량 함유하는 발효물을 대량 생산하는 것이 가능하다.
(iii) 본 발명의 배양 방법을 이용하면 생산되는 폴리아민의 주성분은 스페르미딘(spermidine) 및 스페르민(Spermine)이므로 종래 대두 및 소맥 배아 추출물에서 발생하는 불쾌취의 주된 원인 물질인 푸트레신(putrescine)의 다량 함유하는 문제를 극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은
1) 곡물 및 물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2) 상기 제조된 혼합물을 멸균시키는 단계;
3) 상기 멸균된 혼합물에 폴리아민 고생산균을 접종시키는 단계; 및
4) 상기 폴리아민 고생산균이 접종된 혼합물을 배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폴리아민 고함유 발효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의 곡물 및 물을 혼합 비율은 1:1 내지 1:5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곡물은 대두 배아, 서리태 또는 백태일 수 있다.
상기 대두 배아와 물을 혼합하는 과정에서 대두 배아와 물의 혼합 비율은 1:1 내지 1:5 중량부로 조절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대두 배아와 물의 비율은 약 1:2의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대두 배아와 물의 비율은 폴리아민 생산균이 증식하는데 중요한 요소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대두 배아와 물의 혼합물을 트레이에 담는다. 트레이는 금속이나 플라스틱 등 오토클레이브(autoclave)가 가능한 재질의 것이면 가능하며 하나의 실시예로 30cm x 24cm x 6cm의 스테인리스 트레이를 선택할 수 있다.
트레이에 담긴 대두 배아와 물의 혼합물에 폴리아민 생산균을 접종하기 전에 멸균 공정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멸균 공정은 오토클레이브(autoclave) 공정을 수행하는 것이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저온 살균법에 의한 공정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오토클레이브(autoclave) 공정은 가압증기를 사용하는 고압멸균장치를 지칭하며, 재료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약 120℃, 20~60분 동안 가압증기를 쐬어 멸균을 완료시킬 수 있으나 상기의 온도와 시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충분히 멸균될 수 있는 조건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트레이에 담긴 대두 배아와 물의 혼합물은 그 두께를 약 1~2 ㎝ 내외로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더 두껍게 넣는 경우 차후 발효에 영향을 미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폴리아민 생산균은 멸균한 대두 배아와 물의 혼합물 1g 당 포자 또는 영양 세포를 103 내지 105마리가 되도록 접종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폴리아민 생산균이 접종된 대두 배아와 물의 혼합물을 배양시키는 단계에서, 배양온도는 30 내지 40℃에서, 배양시간은 12시간 내지 120시간 동안 배양시킬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배양시간은 24시간 내지 72시간 동안 배양시킨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의 혼합물에 발효 보조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발효 보조제는 올리고당, 요리당, 물엿 또는 설탕일 수 있다.
상기의 물엿 및 요리당을 물에 녹인 혼합액은 발효 보조제로 이용될 수 있으며, 대두 배아와 물의 혼합물에 첨가시켜 배양시키면 폴리아민의 생산량이 현저하게 증가된다.
상기의 물엿 및 요리당으로 구성된 발효보조제는 선택된 단독 또는 2 이상의 혼합물의 농도는 0.1 내지 10%일 수 있다. 첨가물의 농도는 1%가 바람직하며 발효 보조제를 첨가시킨 후에 균주가 접종된 배지를 배양시키는 배양시간은 12시간 내지 72시간에서 배양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계 3)의 폴리아민 고생산균은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us subtilis)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민은 스페르미딘(spermidine) 및 스페르민(spermine)이 주성분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폴리아민 대량생산을 위한 최적 배양 원료 선정
미생물을 이용한 폴리아민을 대량생산 하는 방법의 검토는 기본적으로 식품으로 이용 가능한 원료를 이용하여 고체 배양을 수행하였다. 액체 배양의 경우 전문적인 발효시설 및 시간이 많이 소비되는 건조과정을 거치게 되므로 미생물을 이용한 폴리아민의 생산에는 효율성이 낮다. 폴리아민 생산균이 이용할 수 있는 경제적인 원료를 탐색할 목적으로 대두류 이외의 값이 싸고 대량 공급이 가능한 곡류를 대상으로 발효 후 폴리아민의 주성분인 스페르미딘(spermidine) 생산성이 높은 원료를 선발하였다.
폴리아민 생산균으로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us subtilis) EE5(수탁번호 KCTC13019BP, 2016.05.03)를 사용하였다.
<1-1> 단일 곡물
백태, 서리태, 렌틸콩, 선비콩, 약콩, 대두 배아 및 콩비지 등 두류 및 두류 가공품, 압맥, 찰보리, 귀리, 쌀, 밀가루 등 곡물 및 그 가공품을 각각 시료로 하였다. 각각의 시료 1부에 2부의 물을 가하고 121℃에서 20분간 오토클레이브(autoclave) 하였다. 오토클레이브(autoclave) 처리한 곡물을 90℃ 내외의 온도 조건에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us subtilis) EE5균의 포자액을 배지 1g당 1000마리가 되게 분무하여 접종한 후 스테인리스 트레이에 두께가 1~2㎝가 되도록 고르게 깔고, 비닐 피막을 하여 37℃에서 24시간 동안 각각 배양하였다.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us subtilis) EE5균 이외의 균에 대한 적용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백태 및 대두 배아를 원료로 하여 위의 방법과 동일하게 배지를 만든 후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바 낫토(Bacillus subtilis var. natto)를 각각의 원료에 접종한 후 위의 방법과 동일하게 배양하였다.
<1-2> 발효 보조제를 첨가한 곡물
발효 보조제로 사탕수수 원당, 올리고 당, 알룰로스 올리고당, 요리당, 물엿, 타가토스, 결정과당, 설탕 등 각각의 성분을 물에 1% 내지 5% 되게 녹였다. 대두 배아 1부에 발효보조제가 들어간 용액 2부를 각각 가하고 121℃에서 20분간 오토클레이브(autoclave) 하였다. 오토클레이브(autoclave) 처리한 대두 배아를 95℃ 내외의 온도 조건에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us subtilis)EE5 균의 포자액을 배지 1g당 1000마리가 되게 분무하여 접종한 후 스테인리스 트레이에 두께가 1㎝가 되도록 고르게 깔고, 비닐 피막을 하여 37℃에서 24시간 동안 각각 배양하였다.
< 실시예 2> 폴리아민 대량 생산 방법
<2-1> 폴리아민 함유 발효물의 제조
대두류, 대두 배아 등 100g에 대하여 물 200g을 가하고 121℃에서 20분간 고압 멸균(autoclave)하였다. 고압 멸균한 시료가 냉각되기 전에 1g당 104마리의 Bacillus subtilis EE5 포자를 접종한 후 50g씩 직경 100mm, 높이 50mm의 원형 식물 세포 배양용 용기에 넣고 비닐 피막을 한 다음, 37℃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2-2> 폴리아민의 정량
배양이 끝난 고체배지 3g에 5% HClO4 30 ml를 가하고 폴리트론으로 미세균질 분쇄하고 6시간 진탕한 후 원심분리하였다. 상등액 1 ml를 취하여 포화 Na2HCO3 2 ml, 1% 단실클로라이드(dansyl chloride) 2 ml를 가하고 70℃에서 1시간 반응시켰다. 여기에 1% 프롤린(proline) 2 ml를 첨가하고 70℃에서 30분간 반응시켰다. 반응액 0.5 ml에 톨루엔 0.5 ml를 가하여 와류교반(voltex)한 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TLC 분석시료로 하였다. TLC(고정상 : 실리카겔[silica gel])를 이용한 분석은 전개용매로 시클로헥산(cyclohexane) : 에틸아세테이트(ethylacetate)(3 : 2 v/v)을사용하였으며, 단실처리 한 시료 1 ~ 3 μl와 폴리아민 표준물질(standard) 1 ~ 3 μl를 로딩하여 전개한 후, 자외선하에서 촬영하고 덴시토미터(densitometer) 로 스팟(spot)의 강도를 측정하여 검량선(standard curve)으로부터 스퍼미딘의 양을 구하였다.
HPLC(Shiseido SP-LC [Shiseido, Japan])를 이용한 분석은, 단실유도체를 HPLC 컬럼(ImtaktUnison UK-C18 Column, 75 X 2 mm, particle size 3 μm)으로 25℃에서 H2O:MeOH을 이동상으로 0.2 ml/min의 유속으로 50:50 → 0:100 농도 구배용출(gradient elution)하였으며,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조건에서 HPLC를 수행하였다.
시간
(분)
유량
(mL/minute)
이동상 A %
(H2O)
이동상 B %
(Methanol containing 0.1% Formic acid )
시작 0.20 50.0 50.0
1.5 0.20 35.0 65.0
3.0 0.20 20.0 80.0
4.5 0.20 20.0 80.0
6.0 0.20 0.0 100.0
7.0 0.20 0.0 100.0
8.0 0.20 50.0 50.0
10.0 0.20 50.0 50.0
주입 용량 10㎕
펌프 압력 Pump A: 25 MPa, Pump B: 25 MPa
온도 35℃
< 실시예 3> 폴리아민 생산량 분석
<3-1> 곡물의 종류에 따른 폴리아민 중 스페르미딘의 생산량 분석
상기 실시예 2의 방법으로 각종 곡물을 발효 기질로 하여 폴리아민 중 스페르미딘의 생산량을 분석하여 판단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두류 등 고체 발효 기질에 따라 폴리아민의 함량은 상이하며 특히 대두 배아, 백태 및 서리태와 같은 일부의 기질에서 스페르미딘의 생산량이 높았다.
곡물 스페르미딘 mg/kg(wet)
백태 182
서리태 182
선비콩 95
약콩 192
렌틸콩 75
대두 배아 341
콩비지 73
밀가루 N.D
귀리-1 5
귀리-2 15
율무 9
압맥 N.D
찰보리 N.D
쌀(인디카) N.D
쌀(자포니카) N.D
<3-2> 탄소원의 종류에 따른 폴리아민 생산량 분석
상기 실시예 2의 방법으로 탄소원의 종류에 따라 대표적으로 스페르미딘의 생산량을 분석하여 판단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탄소원을 첨가하지 않는 것보다 첨가하는 것이 스페르미딘의 생산이 높았으며, 백태, 서리태, 대두 배아를 발효기질로 사용하였을 때 각각 스페르미딘의 생산량을 가장 우수한 탄소원은 조금씩 다른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스페르미딘을 최대로 생산할 수 있는 조합을 확인하였다.
Figure 112019015571812-pat00001
<3-3> 질소원의 종류에 따른 폴리아민 생산량 분석
상기 실시예 2의 방법으로 질소원의 종류에 따라 대표적으로 스페르미딘의 생산량을 분석하여 판단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질소원을 첨가하지 않는 것보다 첨가하는 것이 스페르미딘의 생산이 높았으며, 백태, 서리태, 대두 배아를 발효 기질로 사용하였을 때 각각 스페르미딘의 생산량을 가장 우수한 탄소원은 조금씩 다른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스페르미딘을 최대로 생산할 수 있는 조합을 확인하였다.
Figure 112019015571812-pat00002
<3-4> 추출 소재에 따른 폴리아민 조성 변화 분석
추출 소재에 따른 폴리아민 조성 변화를 분석하였다. 스페르민(Spermine)과 스페르미딘(spermidine)은 소화작용을 받지 않고 그대로 흡수되며, 소화작용으로 분해되기 쉬운 푸트레신(putrescine)은 약 30%가 체내에서 이용되는 것으로 알려져 체내에서 이용성이 있는 실제적인 총 폴리아민의 양은 감소된다.
또한, 푸트레신(putrescine)은 고기 썩는 냄새를 내므로 필요에 따라서는 제거해야 하는 번거롭다. 추출물에 함유된 푸트레신(putrescine)을 제거하여 폴리아민 조성물을 제조하게 되면 제조 비용의 상승을 가져온다.
그 결과, 하기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발효시키지 않은 대두 배아, 밀 배아 또는 쌀 배아는 푸트레신(putrescine)이 다량 함유되어 있으나, 대두 배아 발효물에 포함된 폴리아민은 스페르미딘(spermidine)과 스페르민(spermine)이 주성분이였다.
Figure 112019015571812-pat00003

Claims (7)

1) 대두 배아 및 물을 혼합하고, 물엿을 1 ~ 5% 농도로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2) 상기 제조된 혼합물을 멸균시키는 단계;
3) 상기 멸균된 혼합물에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us subtilis) EE5(수탁번호 KCTC13019BP)를 접종시키는 단계; 및
4) 상기 바실러스 서브틸리스가 접종된 혼합물을 배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배양시키는 단계는 푸트레신(putrescine) 함량을 저감시키고, 스페르미딘(spermidine)과 스페르민(spermine)의 함량을 증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민 고함유 발효물의 제조 방법.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의 대두배아 및 물을 혼합 비율은 1:1 내지 1:5인 것인 폴리아민 고함유 발효물의 제조 방법.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KR1020190017108A 2019-02-14 2019-02-14 대두 배아를 이용한 폴리아민 고함유 발효물의 제조 방법 KR1022887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7108A KR102288725B1 (ko) 2019-02-14 2019-02-14 대두 배아를 이용한 폴리아민 고함유 발효물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7108A KR102288725B1 (ko) 2019-02-14 2019-02-14 대두 배아를 이용한 폴리아민 고함유 발효물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9308A KR20200099308A (ko) 2020-08-24
KR102288725B1 true KR102288725B1 (ko) 2021-08-11

Family

ID=72235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7108A KR102288725B1 (ko) 2019-02-14 2019-02-14 대두 배아를 이용한 폴리아민 고함유 발효물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87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10582A (ko) 2022-07-13 2024-01-24 이해익 폴리아민 고생산 바실러스 코아귤란스 균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91988A1 (ja) 2012-12-11 2014-06-19 キッコーマン株式会社 豆乳発酵エキスおよび胚軸発酵エキス
JP2014177465A (ja) * 2014-04-21 2014-09-25 Toyobo Co Ltd 植物からのポリアミン組成物の調製方法
JP2016123395A (ja) 2015-01-08 2016-07-11 学校法人加計学園 テンペ発酵物の製造方法
KR101794772B1 (ko) * 2016-06-08 2017-12-01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폴리아민 고생산 신균주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ee5 균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91988A1 (ja) 2012-12-11 2014-06-19 キッコーマン株式会社 豆乳発酵エキスおよび胚軸発酵エキス
JP2014177465A (ja) * 2014-04-21 2014-09-25 Toyobo Co Ltd 植物からのポリアミン組成物の調製方法
JP2016123395A (ja) 2015-01-08 2016-07-11 学校法人加計学園 テンペ発酵物の製造方法
KR101794772B1 (ko) * 2016-06-08 2017-12-01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폴리아민 고생산 신균주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ee5 균주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IOSCIENCE, BIOTECHNOLOGY, AND BIOCHEMISTRY 제18권 제3호, 587_594쪽, 2017년 01월 05일.
Bioscience, Biotechnology, and Biochemistry, Vol.81, No.3, pp.587-594 (2017)*
FOOD SCIENCE AND TECHNOLOGY RESEARCH 제22권 제1호, 153_157쪽, 온라인 공개일: 2016년 03월 01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10582A (ko) 2022-07-13 2024-01-24 이해익 폴리아민 고생산 바실러스 코아귤란스 균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9308A (ko) 2020-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23318B2 (ja) γ‐アミノ酪酸の含量が増加された大豆の発酵物の製造方法
JP7417964B2 (ja) サッカロポリスポラ、及び当該サッカロポリスポラの、生体アミンの低減における使用
Alrosan et al. Effects of fermentation on the quality, structure, and nonnutritive contents of lentil (Lens culinaris) proteins
JP4137349B2 (ja) γ−アミノ酪酸を高含有した食品素材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により得られる食品素材
JP2005312438A (ja) γ−アミノ酪酸高含有食品素材及びその製造方法
CN109123647B (zh) 一种有效富集γ-氨基丁酸及多酚的黑大麦酵素制备方法
KR101793123B1 (ko) 생리활성물질이 증진된 콩발효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생리활성물질이 증진된 콩발효물
US20090258110A1 (en) Seed Koji for Brewing, Koji for Brewing, Brewed Foods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CN107022467B (zh) 一种高游离态氨基酸食醋的酿造方法
CN115812936A (zh) 一种乳酸菌直投式发酵豇豆及其制备方法
KR102288725B1 (ko) 대두 배아를 이용한 폴리아민 고함유 발효물의 제조 방법
KR101248171B1 (ko) 대추 발효 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im et al. Characterization of soybean fermented by aflatoxin non-producing Aspergillus oryzae and γ-aminobutyric acid producing Lactobacillus brevis
CN107988090B (zh) 一种功能微生物组合菌剂及其应用
KR101894423B1 (ko) L 카르니틴 함유 발효 산물을 이용한 l 카르니틴 함유 버섯의 재배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재배된 l 카르니틴 함유 기능성 버섯
JP7403096B2 (ja) Gaba及びオルニチンを高含有する飼料の製造方法
KR102353394B1 (ko) 신규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tsd 균주를 이용한 귀리 된장 제조방법
CN113875887A (zh) 柑橘渣基发酵制剂及其制备方法与应用
JPH0217143B2 (ko)
KR102547999B1 (ko) 대두 부산물의 다단발효를 포함하는 유리아미노산 함량이 증진된 발효물의 제조방법
JP7329221B2 (ja) サッカロポリスポラ組成物及びその食品における使用
JP7190405B2 (ja) ノンアルコールビールテイスト飲料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6180789A (ja) 雑穀類を用いる液体麹の製造法
KR900001718B1 (ko) 발효 식품의 제조방법
KR101171401B1 (ko) 액체국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