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8689B1 - 플랜지를 수직재에 일체화시킨 시스템 비계 모듈 및 그 조립장치 - Google Patents

플랜지를 수직재에 일체화시킨 시스템 비계 모듈 및 그 조립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8689B1
KR102288689B1 KR1020210001123A KR20210001123A KR102288689B1 KR 102288689 B1 KR102288689 B1 KR 102288689B1 KR 1020210001123 A KR1020210001123 A KR 1020210001123A KR 20210001123 A KR20210001123 A KR 20210001123A KR 102288689 B1 KR102288689 B1 KR 1022886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member
flange
circumferential surface
outer circumferential
w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11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주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선경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선경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선경시스템
Priority to KR10202100011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86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86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86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30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 E04G7/32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with coupling elements using we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30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 E04G7/34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with coupling elements using positive engagement, e.g. hooks or p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랜지를 수직재에 일체화시킨 시스템 비계 모듈 및 그 조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를 위해 플랜지를 수직재에 일체화시킨 시스템 비계 모듈의 조립장치(100)에 관한 것으로,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수직재(150); 수직재(150)의 외주면에 조립되며, 플랜지(120)를 수직재(150)의 외주면에 일체로 고정 설치하는 쐐기접합부재(110); 중앙 구멍(122)을 통해 수직재(150)에 끼워지고, 쐐기접합부재(110)의 일측외주면을 밀어 수직재(150)에 고정시키는 플랜지(120); 쐐기접합부재(110)의 일측과 수직재(150)의 외주면에 구비되며, 쐐기접합부재(110)를 이동없이 고정시키는 고정금형(130); 및 쐐기접합부재(110)의 타측과 수직재(150)의 외주면에 구비되며, 플랜지(120)를 밀어서 쐐기접합부재(110)를 수직재(150)의 외주면에 긴밀히 고정시키는 가동금형(135);이 포함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용접 없이 플랜지를 수직재에 일체형으로 부착시켜 결과적으로 종래의 용접 후 발생하는 취성이나 녹 발생을 억제시킬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생산성 향상, 작업환경 개선 및 내구성 향상을 꾀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이로 인해 시스템 비계 모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키므로 사용자인 작업자들의 다양한 욕구(니즈)를 충족시켜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플랜지를 수직재에 일체화시킨 시스템 비계 모듈 및 그 조립장치{System scaffolding module in which flange is integrated with vertical member and assembly device thereof}
본 발명의 실시예는 플랜지를 수직재에 일체화시킨 시스템 비계 모듈 및 그 조립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용접 없이 플랜지를 수직재에 일체형으로 부착시켜 결과적으로 종래의 용접 후 발생하는 취성이나 녹 발생을 억제시킬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생산성 향상, 작업환경 개선 및 내구성 향상을 꾀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이로 인해 시스템 비계 모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키므로 사용자인 작업자들의 다양한 욕구(니즈)를 충족시켜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건축물이나 교량 등과 같은 토목 및 건축 구조물 공사 시에는 구조물 본체를 형성하기 위한 거푸집을 지지하거나 외부 공사를 위한 외부 작업용 발판이나 외부 작업 중 이물질이나 작업 도구 등이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망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비계(System scaffolding)가 사용된다.
즉, 상기 시스템 비계는 수직재, 수평재, 가새재 등 각각의 부재를 공장에서 제작하고 현장에서 조립하여 사용하는 조립형 비계로 고소작업에서 작업자가 작업장소에 접근하여 작업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작업대를 지지하는 가설 구조물을 말하기도 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시스템 비계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즉, 종래 기술은 수직재에 플랜지를 부착시킬 때 용접(CO2) 등의 방법으로 부착시켰다.
그러나 보니 용접 작업에 따른 작업시간이 늘어나게 되고, 특히 용접 작업시에 발생되는 공기오염이 심각하여 작업자의 건강에도 해롭고, 용접 후 녹 방지를 위해 용접부위에 별도의 페인팅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도 있고, 아울러 용접 부위의 취성 발생 및 녹이 발생하게 되는 커다란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또한 상기 종래 기술은 우수 등에 의해 용접부위 전체에 녹물이 발생되어 오손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고, 그로 인해 수직재의 외관이 지저분해지고, 사용수명을 단축시키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 종래 기술은 단순히 용접이나 끼움 결합시킨 구조로서, 외부 충격에 의해 홈으로부터 쉽게 이탈될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또한 종래 기술은 단순한 용접 이외의 다른 기술로 부착시킬 수 없기 때문에 접합강도 및 내구성 향상을 기대할 수 없다는 커다란 문제점도 발생 되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아래와 같은 선행기술문헌들이 개발되었으나, 여전히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일거에 해결하지 못하는 커다란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2064603호(2020. 01. 03)가 등록된바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2007665호(2019. 07. 31)가 등록된바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635931호(2016. 06. 28)가 등록된바 있다. 대한민국 등록공개공보 제2014-0062386호(2014. 05. 23)가 공개된바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시스템 비계 모듈(System scaffolding module)에 쐐기접합부재, 플랜지, 고정금형, 가동금형 및 수직재가 구비됨을 제1목적으로 한 것이고, 상기한 기술적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제2목적은 용접 없이 플랜지를 수직재에 일체형으로 부착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제3목적은 결과적으로 종래의 용접 후 발생하는 취성이나 녹 발생을 억제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제4목적은 따라서 생산성 향상, 작업환경 개선 및 내구성 향상을 꾀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제5목적은 표면 장력을 활용한 쐐기 방식의 체결로 접합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로 한 것이고, 제6목적은 작업자의 안전과 건강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제7목적은 녹물이나 오손되는 경우가 없기 때문에 외관이 깨끗하고 사용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제8목적은 접합강도 향상으로 외부 충격에 의해 플랜지가 쉽게 이탈됨이 없도록 한 것이고, 제9목적은 이로 인해 시스템 비계 모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키므로 사용자인 작업자들의 다양한 욕구(니즈)를 충족시켜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플랜지를 수직재에 일체화시킨 시스템 비계 모듈 및 그 조립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은 플랜지를 수직재에 일체화시킨 시스템 비계 모듈의 조립장치에 관한 것으로,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수직재; 수직재의 외주면에 조립되며, 플랜지를 수직재의 외주면에 일체로 고정 설치하는 쐐기접합부재; 중앙 구멍을 통해 수직재에 끼워지고, 쐐기접합부재의 일측외주면을 밀어 수직재에 고정시키는 플랜지; 쐐기접합부재의 일측과 수직재의 외주면에 구비되며, 쐐기접합부재를 이동없이 고정시키는 고정금형; 및 쐐기접합부재의 타측과 수직재의 외주면에 구비되며, 플랜지를 밀어서 쐐기접합부재를 수직재의 외주면에 긴밀히 고정시키는 가동금형;이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플랜지를 수직재에 일체화시킨 시스템 비계 모듈의 조립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플랜지를 수직재에 일체화시킨 시스템 비계 모듈의 조립장치를 이용한 것으로, 수직재의 외주면과 플랜지의 구멍 내주면 사이에 쐐기접합부재가 끼워지되, 쐐기접합부재의 제1물림부가 수직재의 외주면을 파고 들어가 긴밀이 고정 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플랜지를 수직재에 일체화시킨 시스템 비계 모듈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시스템 비계 모듈(System scaffolding module)에 쐐기접합부재, 플랜지, 고정금형, 가동금형 및 수직재가 구비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용접 없이 플랜지를 수직재에 일체형으로 부착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결과적으로 종래의 용접 후 발생하는 취성이나 녹 발생을 억제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생산성 향상, 작업환경 개선 및 내구성 향상을 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표면 장력을 활용한 쐐기 방식의 체결로 접합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로 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작업자의 안전과 건강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녹물이나 오손되는 경우가 없기 때문에 외관이 깨끗하고 사용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더하여 본 발명은 접합강도 향상으로 외부 충격에 의해 플랜지가 쉽게 이탈됨이 없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효과로 인해 시스템 비계 모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키므로 사용자인 작업자들의 다양한 욕구(니즈)를 충족시켜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효과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에 적용된 플랜지를 수직재에 일체화시킨 시스템 비계 모듈
및 그 조립장치의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적용된 쐐기접합부재의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적용된 쐐기접합부재의 정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적용된 플랜지를 수직재에 일체화시킨 시스템 비계 모듈
및 그 조립장치의 접합 전의 상태도.
도 5 는 본 발명에 적용된 플랜지를 수직재에 일체화시킨 시스템 비계 모듈
및 그 조립장치의 접합 후의 상태도.
도 6 은 본 발명에 적용된 플랜지를 수직재에 일체화시킨 시스템 비계 모듈
및 그 조립장치의 단면도.
본 발명에 적용된 플랜지를 수직재에 일체화시킨 시스템 비계 모듈 및 그 조립장치은 도 1 내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먼저, 본 발명은 플랜지(120)를 수직재(150)에 일체화시킨 시스템 비계 모듈의 조립장치(100)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시스템 비계 모듈의 조립장치(100)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은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수직재(150)가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수직재(150)의 외주면에 조립되며, 플랜지(120)를 수직재(150)의 외주면에 일체로 고정 설치하는 쐐기접합부재(110)가 구비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중앙 구멍(122)을 통해 수직재(150)에 끼워지고, 쐐기접합부재(110)의 일측외주면을 밀어 수직재(150)에 고정시키는 플랜지(120)가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쐐기접합부재(110)의 일측과 수직재(150)의 외주면에 구비되며, 쐐기접합부재(110)를 이동없이 고정시키는 고정금형(130)이 구비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쐐기접합부재(110)의 타측과 수직재(150)의 외주면에 구비되며, 플랜지(120)를 밀어서 쐐기접합부재(110)를 수직재(150)의 외주면에 긴밀히 고정시키는 가동금형(135)이 구비된 플랜지를 수직재에 일체화시킨 시스템 비계 모듈의 조립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고정금형(130)의 일측에는 쐐기접합부재(110)의 단턱부(111)가 삽입되어 밀착되도록 한 요입홈(131)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동금형(135)의 일측에는 쐐기접합부재(110)의 말림부(116)가 말려지도록 곡면홈(136)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가동금형(135)의 일측면에는 플랜지(120)의 핀구멍(121)에 삽입되어 플랜지(120)를 수직재(150)의 중심 센터에 위치하도록 해주는 복수개의 걸림핀(137)이 돌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 쐐기접합부재(110)의 내주면에는 수직재(150)의 외주면을 파고들어가 밀착되도록 제1물림부(113)가 돌출 구비되고, 제1물림부(113)의 일측으로는 쐐기접합부재(110)가 수직재(150)의 외주면에서 기울어진 상태로 위치하도록 해주는 경사면(114)이 형성되고, 경사면(114)의 선단에는 끝부분이 말려서 플랜지(120)의 이탈을 방지하는 말림부(116)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쐐기접합부재(110)는 하나의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복수개로 이루어져 플랜지(120)를 수직재(150)의 외주면에 일체로 고정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쐐기접합부재(110)의 일측 내주면에는 수직재(150)의 외주면을 파고들어가 밀착되도록 제2물림부(113)가 돌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쐐기접합부재(110)의 외주면에는 플랜지(120)의 일측 밀음 이동시 쉽게 미끄럼 작용이 발생되도록 코팅층(115)이 도포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말림부(116)의 내주면에는 곡면홈(136)에 의해 쉽게 말리도록 요철홈(117)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쐐기접합부재(110)의 일단에는 조립 후 플랜지(120)의 이탈을 방지하는 단턱부(111)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의 구성부를 적용함에 있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플랜지를 수직재에 일체화시킨 시스템 비계 모듈 및 그 조립장치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은 용접 없이 플랜지를 수직재에 일체형으로 부착시켜 결과적으로 종래의 용접 후 발생하는 취성이나 녹 발생을 억제시킬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생산성 향상, 작업환경 개선 및 내구성 향상을 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적용된 도 1 은 플랜지(120)를 쐐기접합부재(110)를 이용하여 수직재(150)에 일체화시킨 시스템 비계 모듈 및 그 조립장치(100)의 사시도로, 일측의 고정금형(130)과 타측의 가동금형(135)이 구비된 것을 보인 것이다.
또한 도 2 는 본 발명에 적용된 쐐기접합부재(110)의 사시도를 보인 것으로, 이때 상기 쐐기접합부재(110)는 하나의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복수개로 이루어져 플랜지(120)를 수직재(150)의 외주면에 일체로 고정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도 3 은 본 발명에 적용된 쐐기접합부재(100)의 정면도를 보인 것이다.
특히 도 4 는 본 발명에 적용된 플랜지(120)를 수직재(150)에 일체화시킨 시스템 비계 모듈 및 그 조립장치의 접합 전의 상태도이고, 도 5 는 본 발명에 적용된 플랜지(120)를 수직재(150)에 일체화시킨 시스템 비계 모듈 및 그 조립장치의 접합 후의 상태도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플랜지를 수직재에 일체화시킨 시스템 비계 모듈의 조립장치(100)를 이용하여 수직재(150)의 외주면과 플랜지(120)의 구멍(122) 내주면 사이에 쐐기접합부재(110)가 끼워지되, 쐐기접합부재(110)의 제1물림부(113)가 수직재(150)의 외주면을 파고 들어가 긴밀이 고정 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플랜지를 수직재에 일체화시킨 시스템 비계 모듈(100a)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쐐기접합부재(110)의 일측에 구비된 제2물림부(112)도 수직재(150)의 외주면을 파고 들어가 긴밀히 고정 부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상기 쐐기접합부재(110)가 수직재(150)의 외주면에 고정 설치되되, 일단은 단턱부(111)에 의해, 타단은 말림부(116)에 의해 플랜지(120)의 이탈을 방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플랜지를 수직재에 일체화시킨 시스템 비계 모듈(100a)을 제공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보다 구체적인 작용 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작업자가 수직재(150)의 외주면 원하는 위치에 쐐기접합부재(110)를 조립한다.
이후 상기 쐐기접합부재(110)의 타측에 플랜지(120)를 위치시키되, 상기 플랜지(120)는 중앙 구멍(122)을 통해 수직재(150)의 이주면에 끼우게 된다.
이어서 상기 쐐기접합부재(110)의 일측 수직재(150)의 외주면과 플랜지(120)의 타측 수직재(150)의 외주면에는 고정금형(130)과 가동금형(135)이 각각 조립된다.
이때 상기 플랜지(120)의 핀구멍(121)은 가동금형(135)의 걸림핀(137)에 걸려지도록 하여 플랜지(120)가 수직재(150)의 중앙 센터에 위치하도록 서포트 해주게 된다.
상기한 상태에서 도 4 와 같이 쐐기접합부재(110)를 일측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위치한 후 가동금형(135)을 쐐기접합부재(110)쪽으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상기 쐐기접합부재(110)와 함께 플랜지(120)가 일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플랜지(120)의 중앙 구멍(122)이 쐐기접합부재(110)의 외주면을 타고 이동하면서 쐐기접합부재(110)를 압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쐐기접합부재(110)의 외주면에는 코팅층(115)이 도포되어 플랜지(120)가 일측으로 용이하게 미끄럼 이동할 수 있도록 서포트 해주게 된다.
상기 과정에서 쐐기접합부재(110)의 내주면에 돌출 형성된 제1물림부(113)는 가동금형(135)의 강한 밀착 압력과 플랜지(120)가 쐐기접합부재(110)의 외주면을 강하게 누름으로 해서 표면 장력이 발생되어 결과적으로 제1물림부(113)가 수직재(150)의 표면을 파고들어가면서 긴밀히 압착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과정에서 플랜지(120)가 단턱부(111) 까지 밀고 들어오면 제2물림부(112)도 상기한 작동에 따라 수직재(150)의 표면을 파고 들어가면서 긴밀히 압축되고 따라서 플랜지(120)의 상단 입구를 긴밀히 밀착시키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더하여 본 발명은 상기 과정에서 쐐기접합부재(110)의 단턱부(111)는 고정금형(130)의 요입홈(131)에 끼워져 맞닿게 되고, 경사면(114)에 의해 끌단으로 갈수록 얇게 형성되는 말림부(116)는 가동금형(135)의 곡면홈(136)에 맞닿으면서 끝단부부터 바깥쪽으로 말리게 된다.(도5)
이때 상기 말림부(116)의 내주면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요철홈(117)은 말림부(116)가 용이하게 외측으로 말리도록 서포트 해주게 된다.
상기와 같은 작용에 의해 본 발명은 도 6 과 같이 플랜지를 수직재에 일체화시킨 시스템 비계 모듈(100a)을 제조하게 된다.
상기한 결과 본 발명은 용접 없이 플랜지를 수직재에 일체형으로 부착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또한 결과적으로 종래의 용접 후 발생하는 취성이나 녹 발생을 억제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고, 따라서 생산성 향상, 작업환경 개선 및 내구성 향상을 꾀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또한 표면 장력을 활용한 쐐기 방식의 체결로 접합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로 한 것이고, 또한 작업자의 안전과 건강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고, 또한 녹물이나 오손되는 경우가 없기 때문에 외관이 깨끗하고 사용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고, 또한 접합강도 향상으로 외부 충격에 의해 플랜지가 쉽게 이탈됨이 없도록 한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 플랜지를 수직재에 일체화시킨 시스템 비계 모듈 및 그 조립장치의 기술적 사상은 실제로 동일결과를 반복 실시 가능한 것으로, 특히 이와 같은 본원발명을 실시함으로써 기술발전을 촉진하여 산업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어 보호할 가치가 충분히 있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시스템 비계 모듈의 조립장치
100a: 시스템 비계 모듈(System scaffolding module)
110: 쐐기접합부재
120: 플랜지
130; 고정금형
135: 가동금형
150: 수직재

Claims (5)

  1. 플랜지를 수직재에 일체화시킨 시스템 비계 모듈의 조립장치(100)에 관한 것으로,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수직재(150);
    수직재(150)의 외주면에 조립되며, 플랜지(120)를 수직재(150)의 외주면에 일체로 고정 설치하는 쐐기접합부재(110);
    중앙 구멍(122)을 통해 수직재(150)에 끼워지고, 쐐기접합부재(110)의 일측외주면을 밀어 수직재(150)에 고정시키는 플랜지(120);
    쐐기접합부재(110)의 일측과 수직재(150)의 외주면에 구비되며, 쐐기접합부재(110)를 이동없이 고정시키는 고정금형(130); 및
    쐐기접합부재(110)의 타측과 수직재(150)의 외주면에 구비되며, 플랜지(120)를 밀어서 쐐기접합부재(110)를 수직재(150)의 외주면에 긴밀히 고정시키는 가동금형(135);이 포함되고,
    상기 수직재(150)의 외주면과 플랜지(120)의 구멍(122) 내주면 사이에 쐐기접합부재(110)가 끼워지되, 쐐기접합부재(110)의 제1물림부(113)가 수직재(150)의 외주면을 파고 들어가 긴밀이 고정 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플랜지를 수직재에 일체화시킨 시스템 비계 모듈의 조립장치.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쐐기접합부재(110)의 내주면에는 수직재(150)의 외주면을 파고들어가 밀착되도록 제1물림부(113)가 돌출 구비되고,
    제1물림부(113)의 일측으로는 쐐기접합부재(110)가 수직재(150)의 외주면에서 기울어진 상태로 위치하도록 해주는 경사면(114)이 형성되고,
    경사면(114)의 선단에는 끝부분이 말려서 플랜지(120)의 이탈을 방지하는 말림부(116)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플랜지를 수직재에 일체화시킨 시스템 비계 모듈의 조립장치.
  3. 청구항 2 에 있어서,
    상기 쐐기접합부재(110)의 일단에는 조립 후 플랜지(120)의 이탈을 방지하는 단턱부(111)가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플랜지를 수직재에 일체화시킨 시스템 비계 모듈의 조립장치.
  4. 청구항 1 의 플랜지를 수직재에 일체화시킨 시스템 비계 모듈의 조립장치(100)를 이용한 것으로,
    수직재(150)의 외주면과 플랜지(120)의 구멍(122) 내주면 사이에 쐐기접합부재(110)가 끼워지되, 쐐기접합부재(110)의 제1물림부(113)가 수직재(150)의 외주면을 파고 들어가 긴밀이 고정 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플랜지를 수직재에 일체화시킨 시스템 비계 모듈.
  5. 청구항 4 에 있어서,
    상기 쐐기접합부재(110)가 수직재(150)의 외주면에 고정 설치되되, 일단은 단턱부(111)에 의해, 타단은 말림부(116)에 의해 플랜지(120)의 이탈을 방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플랜지를 수직재에 일체화시킨 시스템 비계 모듈.
KR1020210001123A 2021-01-05 2021-01-05 플랜지를 수직재에 일체화시킨 시스템 비계 모듈 및 그 조립장치 KR1022886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1123A KR102288689B1 (ko) 2021-01-05 2021-01-05 플랜지를 수직재에 일체화시킨 시스템 비계 모듈 및 그 조립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1123A KR102288689B1 (ko) 2021-01-05 2021-01-05 플랜지를 수직재에 일체화시킨 시스템 비계 모듈 및 그 조립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8689B1 true KR102288689B1 (ko) 2021-08-11

Family

ID=77314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1123A KR102288689B1 (ko) 2021-01-05 2021-01-05 플랜지를 수직재에 일체화시킨 시스템 비계 모듈 및 그 조립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8689B1 (ko)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430Y2 (ja) * 1989-07-19 1995-01-18 中央ビルト工業株式会社 つかみ金具
JPH11229621A (ja) * 1998-02-19 1999-08-24 Nippon Light Metal Co Ltd 連結金具を備えた作業足場用支柱
KR20030075970A (ko) * 2002-03-22 2003-09-26 한라공조주식회사 플랜지를 구비한 파이프 및 이의 성형방법
KR200339869Y1 (ko) * 2003-10-06 2004-01-28 김만덕 건축용 비계의 수직 파이프와 연결브라켓 연결 구조
KR20130094419A (ko) * 2012-02-16 2013-08-26 백주현 거푸집 간격유지부재 성형용 프레스 금형의 모재 가이드 장치
KR20140062386A (ko) 2012-11-14 2014-05-23 호리코리아 주식회사 시스템비계
EP2638223B1 (en) * 2010-11-08 2015-07-22 Alustar As Method for locking a support ring to a scaffolding column
KR101635931B1 (ko) 2015-11-20 2016-07-04 이장섭 안전성과 기능성을 향상시킨 시스템 틀비계
KR102007665B1 (ko) 2018-11-06 2019-08-06 주식회사 엠유스틸테크 시스템 비계용 수평재 연결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064603B1 (ko) 2019-07-11 2020-01-10 가설나라 주식회사 시스템 비계
KR20200068956A (ko) * 2018-12-06 2020-06-16 주식회사 클라썸테크 조립형 콘크리트 구조물의 연결장치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430Y2 (ja) * 1989-07-19 1995-01-18 中央ビルト工業株式会社 つかみ金具
JPH11229621A (ja) * 1998-02-19 1999-08-24 Nippon Light Metal Co Ltd 連結金具を備えた作業足場用支柱
KR20030075970A (ko) * 2002-03-22 2003-09-26 한라공조주식회사 플랜지를 구비한 파이프 및 이의 성형방법
KR200339869Y1 (ko) * 2003-10-06 2004-01-28 김만덕 건축용 비계의 수직 파이프와 연결브라켓 연결 구조
EP2638223B1 (en) * 2010-11-08 2015-07-22 Alustar As Method for locking a support ring to a scaffolding column
KR20130094419A (ko) * 2012-02-16 2013-08-26 백주현 거푸집 간격유지부재 성형용 프레스 금형의 모재 가이드 장치
KR20140062386A (ko) 2012-11-14 2014-05-23 호리코리아 주식회사 시스템비계
KR101635931B1 (ko) 2015-11-20 2016-07-04 이장섭 안전성과 기능성을 향상시킨 시스템 틀비계
KR102007665B1 (ko) 2018-11-06 2019-08-06 주식회사 엠유스틸테크 시스템 비계용 수평재 연결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00068956A (ko) * 2018-12-06 2020-06-16 주식회사 클라썸테크 조립형 콘크리트 구조물의 연결장치
KR102064603B1 (ko) 2019-07-11 2020-01-10 가설나라 주식회사 시스템 비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8118B1 (ko) 건축물 마감 패널의 연결구조
KR101750037B1 (ko) 원터치 탈착 방식의 커튼 월 마감커버
EP1136231A3 (de) Verbindungsanordnung zum Anbringen eines Befestigungselementes an einem Bauteil
GB2200678A (en) Making rail-to-rung joints for ladders
JPS63217059A (ja) タイルブロツク外装壁
KR102288689B1 (ko) 플랜지를 수직재에 일체화시킨 시스템 비계 모듈 및 그 조립장치
DE19721478A1 (de) Druckfügeverfahren und damit hergestellte Rahmen
KR20180097055A (ko) 승강기 카의 복수의 패널 결합 구조체 및 방법
AU652806B2 (en) Lining board with marginal flat strips at its edges
US4537003A (en) Elastomeric sectional strip for expansion joints
KR100512075B1 (ko) 건축용 조립식 강재 거푸집
JP6860970B2 (ja) 建具と建具の製造方法
EP0006245B1 (de) Fassadenunterkonstruktion
JP6274613B2 (ja) シーリング工法、及び、目地隙間部の構造
DE102012101989A1 (de) Auflager, insbesondere für zwei zueinander positionierbare Bauteile
JP6831076B2 (ja) 建具
JP3808065B2 (ja) 建築用連結材
KR101962885B1 (ko) 난간용 조립식 파이프 결합구조
JP7019146B2 (ja) 枠組足場用の幅木取付金具
DE19758007A1 (de) Dachleiste für einen Dachkanal in der Dachkontur einer Fahrzeugkarosserie
JP6742169B2 (ja) ガスケット挿入方法及びガスケット挿入用治具
JP3064834B2 (ja) 橋梁桁カバーの取付構造
JPH0622007Y2 (ja) エキスパンションジョイント
KR20180085963A (ko) 케이블 트레이에서 렁의 구조를 이용한 4단 체결구조
JP4933316B2 (ja) 軒樋内継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