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8564B1 - 횡단보도용 자동접이식 파라솔 - Google Patents

횡단보도용 자동접이식 파라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8564B1
KR102288564B1 KR1020210088809A KR20210088809A KR102288564B1 KR 102288564 B1 KR102288564 B1 KR 102288564B1 KR 1020210088809 A KR1020210088809 A KR 1020210088809A KR 20210088809 A KR20210088809 A KR 20210088809A KR 102288564 B1 KR102288564 B1 KR 1022885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rical actuator
crosswalks
self
cylindrical
vertical colum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8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두병록
Original Assignee
두병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병록 filed Critical 두병록
Priority to KR10202100888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85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85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85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3/00Other umbrella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3/00Other umbrellas
    • A45B2023/0012Ground supported umbrellas or sunshades on a single post, e.g. resting in or on a surface there below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3/00Other umbrellas
    • A45B2023/0031Cantilever umbrellas or sunshades with a support arm

Landscapes

  • Building Awnings And Sunshad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횡단보도용 자동접이식 파라솔에 관한 것으로, 수직컬럼(10); 수직컬럼(10)의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 실린더형 액추에이터(20); 제1 실린더형 액추에이터(20)의 선단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제1 실린더형 액추에이터(20)의 전·후진동작에 따라 연동되는 제2 실린더형 액추에이터(30); 제2 실린더형 액추에이터(30)와 연결 설치되어, 제2 실린더형 액추에이터(30)의 전·후진동작에 따라 접혀지거나 펼쳐지는 차양부재(40)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횡단보도용 자동접이식 파라솔의 기능성 및 사용성을 상대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횡단보도용 자동접이식 파라솔 {AUTOMATIC FOLDING PARATHOLE FOR PEDESTRIAN CROSSING}
본 발명은 횡단보도용 자동접이식 파라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횡단보도와 인접 설치되어 보행자에게 대기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횡단보도용 자동접이식 파라솔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들어 보행자의 편의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각종 편의시설이 설치되고 있으며, 횡단보도와 인접한 인도에 설치되는 횡단보도용 자동접이식 파라솔도 그 중의 하나이다.
이러한 횡단보도용 자동접이식 파라솔은 그 사용목적에 따라 여러 다양한 형태로 구분된다.
그리고 횡단보호용 자동접이식 파라솔은 햇빛이나 눈비 등을 일시적으로 피할 수 있는 보행자의 대기공간으로 자리잡아 가고 있으며, 그 수요가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종래의 횡단보도용 자동접이식 파라솔은 수직고정부, 경사부 및 살대연결부가 형성되는 지주; 살대연결부의 내부에 설치되고, 푸시로드가 구비되어 있는 전기실린더; 살대연결부의 상부 외측에 설치되는 고정형 살대허브; 고정형 살대허브에 방사상으로 회전자유롭게 연결되는 메인살대; 푸시로드의 하단에 결합되는 이동형 살대허브; 일측은 이동형 살대허브에 방사상으로 연결되고, 타측은 메인살대에 회전자유롭게 연결되는 받침살대로 이루어진다.
특히 전기실린더는 이동형 살대허브를 상하로 이동시켜 차양을 자동으로 접거나 펼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횡단보도용 자동접이식 파라솔은 등록특허공보 제10-1862798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구성의 횡단보도용 자동접이식 파라솔은 전기실린더를 통해 차양을 간편하게 접거나 펼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차양의 펼침공간을 충분히 확보하기 위하여 경사부가 수직고정부로부터 측방향으로 일정 거리 돌출 형성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차양이 접혀져 있을 경우에도 상대적으로 많은 공간을 차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체적인 부피가 커 운반이나 보관 등에 따른 여러 불편함이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결국, 횡단보도용 자동접이식 파라솔의 기능성 및 사용성을 저하시키는 결과를 초래한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차양부재를 자동으로 간편하게 접거나 펼 수 있음은 물론이고 차양부재가 접혀져 있을 경우 그 부피를 줄임으로써 설치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운반/보관이 용이한 횡단보도용 자동접이식 파라솔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있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횡단보도용 자동접이식 파라솔은, 수직컬럼; 상기 수직컬럼의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 실린더형 액추에이터; 상기 제1 실린더형 액추에이터의 선단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제1 실린더형 액추에이터의 전·후진동작에 따라 연동되는 제2 실린더형 액추에이터; 상기 제2 실린더형 액추에이터와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2 실린더형 액추에이터의 전·후진동작에 따라 접혀지거나 펼쳐지는 차양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횡단보도용 자동접이식 파라솔은 그 구성적 특징으로 인해, 차양부재를 자동으로 간편하게 접거나 펼 수 있음은 물론이고 차양부재가 접혀져 있을 경우 그 부피를 줄임으로써 설치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운반/보관이 용이하다.
그로 인해, 횡단보도용 자동접이식 파라솔의 기능성 및 사용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횡단보도용 자동접이식 파라솔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횡단보도용 자동접이식 파라솔의 제1 실린더형 액추에이터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횡단보도용 자동접이식 파라솔의 차양부재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횡단보도용 자동접이식 파라솔의 제3 실린더형 액추에이터 및 구속부재의 폐쇄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횡단보도용 자동접이식 파라솔의 제3 실린더형 액추에이터 및 구속부재의 개방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횡단보도용 자동접이식 파라솔의 미사용시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횡단보도용 자동접이식 파라솔을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횡단보도용 자동접이식 파라솔은 수직컬럼(10); 수직컬럼(10)의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 실린더형 액추에이터(20); 제1 실린더형 액추에이터(20)의 선단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 실린더형 액추에이터(30); 제2 실린더형 액추에이터(30)와 연결 설치되는 차양부재(40); 수직컬럼(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3 실린더형 액추에이터(50); 제3 실린더형 액추에이터(50)와 연결 설치되는 구속부재(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수직컬럼(10)은 보도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며, 물적 특성이 우수한 금속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원형 또는 각형(사각/육각/팔각)의 파이프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수직컬럼(10)의 하부 일측에는 내부점검을 위한 점검도어(12) 및 접이식 의자(T)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수직컬럼(10)의 내부에는 외부전원을 필요에 따라 이용하기 위한 외부전원연결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으며, 그 표면에는 홍보물부착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실린더형 액추에이터(20)는 그 전·후진 동작을 통해 제2 실린더형 액추에이터(30)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차양부재(40)의 미사용 시, 즉 차양부재(40)가 접혀져 있을 경우에는 제1 실린더형 액추에이터(20)를 후진 동작시켜 횡단보도용 자동접이식 파라솔의 부피를 줄임으로써 그 설치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운반/보관이 용이하다.
이와 같은 제1 실린더형 액추에이터(20)는 전기실린더가 사용되며, 도 2에서와 같이 실린더(22) 및 실린더(22)에 전·후진 동작 가능하게 설치되는 피스톤부(24)로 이루어진다. 특히 피스톤부(24)는 횡단보도용 자동접이식 파라솔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2∼3단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1 실린더형 액추에이터(20)는 수직컬럼(10)의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안착되는 수평컬럼(70)의 내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제1 실린더형 액추에이터(20)의 설치상태를 보다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유지시킴과 아울러 외부환경으로부터 제1 실린더형 액추에이터(20)를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함이다.
또한 수평컬럼(50)은 물적 특성이 우수한 금속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원형 또는 각형의 파이프 구조로 이루어지며, 그 상부에는 제1·2·3 실린더형 액추에이터(20, 30, 50)의 구동을 위한 전기를 공급하는 태양광모듈(S)이 구비되어 있다.
제2 실린더형 액추에이터(30)는 차양부재(40)를 자동으로 접거나 펴는 역할을 수행하며, 제1 실린더형 액추에이터(20)의 전·후진동작에 따라 연동되어 그 위치가 이동된다. 이러한 제2 실린더형 액추에이터(30)는 전기실린더이며, 그 구성은 제1 실린더형 액추에이터(2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제2 실린더형 액추에이터(30)의 상부에는 커버(C)가 구비되고, 이러한 커버(C)가 제1 실린더형 액추에이터(20)에 의해 연동됨으로써 제2 실린더형 액추에이터(30)가 함께 이동된다.
물론, 커버(C)없이 제2 실린더형 액추에이터(30)를 제1 실린더형 액추에이터(20)에 직접 연결시킬 수도 있다.
차양부재(40)는 제2 실린더형 액추에이터(30)의 전·후진 동작에 따라 접혀지거나 펼쳐진다.
이러한 차양부재(40)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2 실린더형 액추에이터(50)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허브(41); 제2 실린더형 액추에이터(50)의 전·후진 동작에 따라 연동되는 유동허브(42); 고정허브(41)에 힌지 결합되는 복수의 메인살대(43); 일단은 메인살대(43)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은 유동허브(42)에 힌지 결합되는 복수의 서브살대(44); 복수의 메인살대(43) 및 복수의 서브살대(44)에 설치되는 차양막(45)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차양부재(40)에는 강풍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중 구조에 의한 통기구(V)가 구비되어 있으며, 차양부재(40)의 크기는 소형이나 대형 등 필요에 다라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제3 실린더형 액추에이터(50)는 구속부재(60)의 개폐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제3 실린더형 액추에이터(50)는 전기실린더이며, 그 구성은 제1·2 실린더형 액추에이터(20, 3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구속부재(60)는 제3 실린더형 액추에이터(50)의 전·후진 동작에 따라 연동되어 차양부재(40)의 접힘상태를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구속부재(60)는 제2 실린더형 액추에이터(30)의 오작동이나 외부충격 등에 의해 접혀져 있는 상태의 차양부재(40)가 임의적으로 펼쳐지는 것을 간편하게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구속부재(6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3 실린더형 액추에이터(50)와 연결되어, 제3 실린더형 액추에이터(50)의 전·후진 동작에 따라 회전 개폐되는 한 쌍의 구속고리부(62a, 62b); 수직컬럼(10)에 연결 설치되며, 한 쌍의 구속고리부(62a, 62b)가 핀결합되는 한 쌍의 고리지지부(64a, 64b)로 이루어진다.
한 쌍의 구속고리부(62a, 62b)는 차양부재(40)를 외측에서 완전히 감쌀 수 있도록 반원 형상을 가지며, 회전동작이 가능하도록 서로 핀결합된다. 그리고 구속고리부(64a, 64b)의 선단에는 접촉에 따른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충격완화패드(미도시)가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 쌍의 고리지지부(64a, 64b)는 대략 바 형상을 가지며, 한 쌍의 구속고리부(64a, 64b)를 안정적으로 지지한 상태에서 그 회전동작을 원활하게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위에서 설명한 구속부재(60)는 차양부재(40)의 구속상태를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나란하게 복수 개 구비될 수 있으며, 이때 복수 개의 구속부재(60)는 제3 실린더형 액추에이터(50)의 전·후진동작에 의해 서로 연동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미설명 도면부호 66은 제3 실린더형 액추에이터(50) 및 한 쌍의 구속고리부(62a, 62b) 사이에 연결되는 연결링크를 나타낸 것이고, 제1·2·3 실린더형 액추에이터(20, 30, 50)의 구동은 관리자가 수직컬럼(10)에 설치되는 컨트롤패널(미도시)에서 제어하거나 또는 리모컨/통신기기 등을 이용하여 원거리에서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횡단보도용 자동접이식 파라솔의 사용상태를 도 6을 참조하여 간단하게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먼저, 횡단보도용 자동접이식 파라솔의 사용 시에는 수직컬럼(10) 상부의 수평컬럼(70)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제1 실린더형 액추에이터(20)가 전진 동작됨과 아울러 제2 실린더형 액추에이터(30)도 전진 동작되어 차양부재(40)가 완전히 펼쳐진다.
이때, 구속부재(60)는 제3 실린더형 액추에이터(50)에 의해 개방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횡단보도용 자동접이식 파라솔의 미사용 시에는 제2 실린더형 액추에이터(30)가 후진 동작되어 차양부재(40)가 접혀지고, 아울러 제1 실린더형 액추에이터(20)가 후진 동작되어 차양부재(40)가 개방된 상태의 구속부재(60) 내부로 삽입됨과 동시에 제3 실린더형 액추에이터(50)가 작동되어 차양부재(40)가 구속부재(60)에 구속된다.
10 : 수직컬럼 20 : 제1 실린더형 액추에이터
22 : 실린더부 24 : 피스톤부
30 : 제2 실린더형 액추에이터 40 : 차양부재
50 : 제3 실린더형 액추에이터 60 : 구속부재
62a, 62b: 구속고리부 64a, 64b: 고리지지부
70 : 수평컬럼

Claims (6)

  1. 수직컬럼(10);
    상기 수직컬럼(10)의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 실린더형 액추에이터(20);
    상기 제1 실린더형 액추에이터(20)의 선단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제1 실린더형 액추에이터(20)의 전·후진동작에 따라 연동되는 제2 실린더형 액추에이터(30);
    상기 제2 실린더형 액추에이터(30)와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2 실린더형 액추에이터(30)의 전·후진동작에 따라 접혀지거나 펼쳐지는 차양부재(40);
    상기 수직컬럼(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3 실린더형 액추에이터(50);
    상기 제3 실린더형 액추에이터(50)의 전·후진동작에 따라 연동되어 상기 차양부재(40)의 접힘상태를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구속부재(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용 자동접이식 파라솔.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2·3 실린더형 액추에이터(20, 30, 50)는 전기실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용 자동접이식 파라솔.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속부재(60)는,
    상기 제3 실린더형 액추에이터(50)와 연결되어, 상기 제3 실린더형 액추에이터(50)의 전·후진동작에 따라 회전 개폐되는 한 쌍의 구속고리부(62a, 62b); 상기 수직컬럼(10)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한 쌍의 구속고리부(62a, 62b)가 핀결합되는 한 쌍의 고리지지부(64a, 64b)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용 자동접이식 파라솔.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실린더형 액추에이터(20)는,
    실린더부(22); 상기 실린더부(22)에 전·후진 동작 가능하게 설치되는 피스톤부(24)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용 자동접이식 파라솔.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직컬럼(10)의 상부에 안착되는 수평컬럼(7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실린더형 액추에이터(20)는 상기 수평컬럼(70)의 내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용 자동접이식 파라솔.
KR1020210088809A 2021-07-07 2021-07-07 횡단보도용 자동접이식 파라솔 KR1022885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8809A KR102288564B1 (ko) 2021-07-07 2021-07-07 횡단보도용 자동접이식 파라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8809A KR102288564B1 (ko) 2021-07-07 2021-07-07 횡단보도용 자동접이식 파라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8564B1 true KR102288564B1 (ko) 2021-08-10

Family

ID=77316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8809A KR102288564B1 (ko) 2021-07-07 2021-07-07 횡단보도용 자동접이식 파라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856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5248B1 (ko) 2023-05-30 2023-10-05 (주)젠텍 체인 구동형 파라솔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3741U (ja) * 1993-02-18 1994-09-09 株式会社技研製作所 屋外作業用遮蔽装置
CN109820309A (zh) * 2017-11-23 2019-05-31 西北农林科技大学 一种简易式遮阳伞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3741U (ja) * 1993-02-18 1994-09-09 株式会社技研製作所 屋外作業用遮蔽装置
CN109820309A (zh) * 2017-11-23 2019-05-31 西北农林科技大学 一种简易式遮阳伞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5248B1 (ko) 2023-05-30 2023-10-05 (주)젠텍 체인 구동형 파라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51485A (ko) 프리 암 차양막
KR102288564B1 (ko) 횡단보도용 자동접이식 파라솔
US5630572A (en) Retractable fence system for swimming pool or the like
KR100761454B1 (ko) 자동 우산식 캐노피 텐트
KR101492038B1 (ko) 전동 접이식 파라솔
AU2009100314B4 (en) Foldable and portable carport
KR101215137B1 (ko) 복합 지주구조를 갖춘 파라솔
CN2503705Y (zh) 具有简单、快速开合结构的农作物遮物网
KR102266162B1 (ko) 차량용 팝업루프 텐트
CN201953140U (zh) 一种调节顶部开窗的帐篷
KR102117017B1 (ko) 전동 접이식 대형 파라솔
JP2018050744A (ja) パラソル
KR20120109703A (ko) 높이 조절 및 폴딩이 가능한 천막
US20150351505A1 (en) Cantilevered umbrella
CN109505454A (zh) 一种具有自动挑檐结构的折叠帐篷
ES2817553T3 (es) Sombrilla, en particular parasol o paraguas, y dispositivo para el guardado para una sombrilla de este tipo
CN209468942U (zh) 一种可折叠大跨度硬质活动雨棚
CN209687380U (zh) 竖向旋转的栅栏门
KR102055787B1 (ko) 다축 회동 어닝
KR101131933B1 (ko) 높이조절용 주차장 진출입 조절장치
JP2008075323A (ja) 上向き伸縮屋根装置
KR20230139809A (ko) 우산 및 양산(파라솔)용 승강장치
CN217975002U (zh) 一种开合采光屋面装置
JP3151194U (ja) クロスゲート
CN109118952A (zh) 园林景区的可调节式的多功能指示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