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8058B1 - 마늘 쪽 분리 및 박피 시스템 - Google Patents

마늘 쪽 분리 및 박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8058B1
KR102288058B1 KR1020190092766A KR20190092766A KR102288058B1 KR 102288058 B1 KR102288058 B1 KR 102288058B1 KR 1020190092766 A KR1020190092766 A KR 1020190092766A KR 20190092766 A KR20190092766 A KR 20190092766A KR 102288058 B1 KR102288058 B1 KR 1022880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rlic
body case
main body
rubber roller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27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14545A (ko
Inventor
백성기
백도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기계
백성기
백도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기계, 백성기, 백도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기계
Priority to KR10201900927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8058B1/ko
Publication of KR202100145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45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80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80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5/00Machines or apparatus for other treatment of fruits or vegetables for human purposes; Machines or apparatus for topping or skinning flower bul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conveyors of the same kind, or of different kind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or use in particular manufactur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02Agricultural and processed food products
    • B65G2201/0211Fruits and veget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14Combination of convey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의 케이스의 내부에 쪽 분리와 이물질 제거 및 박피 장비를 구비하여 설치 및 시공이 간편해지도록 하고 설치 면적이 현저히 줄어들면서 유지관리가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마늘 쪽 분리 및 박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시스템은 본체케이스(10)와, 상기 본체케이스(10)의 상면에서 내측으로 설치되는 제1 이물질제거기(20)와, 상기 제1 이물질제거기(20)의 타측 하부로 상기 본체케이스(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1 이송컨베이어(30)와, 상기 제1 이송컨베이어(30)의 타측 하부로 상기 본체케이스(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수직쪽분리기(40)와, 상기 수직쪽분리기(40)의 하부로 상기 본체케이스(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2 이송컨베이어(50)와, 상기 제2 이송컨베이어(50)의 일측 하부로 상기 본체케이스(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1 경사쪽분리기(60)와, 상기 제1 경사쪽분리기(60)의 하부로 상기 본체케이스(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2 이물질제거기(70)와, 상기 제2 이물질제거기(70)의 타측 하부로 상기 본체케이스(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2 경사쪽분리기(80)와, 상기 제2 경사쪽분리기(80)의 하부로 상기 본체케이스(10)의 내부에 설치되는 마늘박피기(9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마늘 쪽 분리 및 박피 시스템{GARLIC SEPARATING AND PEELING SYSTEM}
본 발명은 마늘 쪽 분리 및 박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나의 케이스의 내부에 쪽 분리와 이물질 제거 및 박피 장비를 구비하여 설치 및 시공이 간편해지도록 하고 설치 면적이 현저히 줄어들면서 유지관리가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마늘 쪽 분리 및 박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년생 초본인 마늘은 마늘쪽을 직접 파종하여 재배하는 것으로, 독특한 맛과 향이 있어 각종 음식의 양념재료 또는 강장제로 사용되고 있으며, 그 자체로도 널리 식용되고 있다.
이러한 마늘은 마늘 파종을 위한 종자용으로 사용하기 위해서 우선, 건조된 통마늘을 쪽마늘로 일일이 분리시킨 뒤, 분리된 마늘쪽을 크기별로 선별ㅇ분류하는 작업을 거치게 되는데, 개별 농가에서는 이러한 대부분의 작업을 작업자들의 노동력에만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작업성이 떨어지게 되는 단점이 있었으며, 농업 인력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개별 농가에서는 생산성 저하로 인한 경제성 상실의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쪽마늘에 대한 분리 작업을 자동으로 처리할 수 있는 장치들이 다수 고안되어 실용화됨에 따라서, 자동화처리에 따른 노동력의 절감 및 작업시간의 단축등과 같은 여러 가지의 이점을 제공하고 있다.
이와 같이 통마늘을 쪽마늘로 분리하는 마늘 쪽 분리 장치는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수평으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1쌍의 회전롤러들을 수직되게 다열로 배치하여 그 열들을 따라 순차로 통마늘을 비틀면서 압착하여 쪽마늘로 분리하는 장치가 널리 알려져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롤러는 통상적으로 회전축과 이 회전축의 둘레에 장착되는 고무재질의 롤러로 구성된다.
한편, 마늘은 특유의 매운 맛과 향이 나는 취식이 가능한 식물로, 우리나라에서는 한국 고유음식의 특성상 대부분 마늘을 넣어 음식을 조리하고 또한 취식을 한다. 이에 따라, 가정이나 식당 등에서는 마늘의 껍질을 손으로 일일이 벗겨내어 음식을 만드는데 사용하였다.
특히, 마늘은 모든 음식물에 양념으로 적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그 약리효과가 과학적으로 입증됨에 따라 우리나라 이외에도 일본, 미국 등에서 마늘을 이용한 식품의 개발에 많은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마늘은 몸체의 주위를 보호층인 껍질이 감싸고 있으므로 이를 마늘의 몸체로부터 분리하여 사용해야 하며, 이와 같이 마늘로부터 껍질을 분리해내는 것을 통상 마늘을 박피(剝皮)한다고 한다.
마늘을 박피할 때에는 마늘의 표면 왁스층이 손상되지 않게 해야 하며, 만일 마늘의 왁스층이 손상되어 몸체 내부까지 패이게 되면 마늘로부터 끈끈한 액이 나와 작업성이 떨어지고 그 독성으로 손이 부르트며, 주위가 지저분해지고 마늘에 세균이 침투할 수 있어 쉽게 썩는 문제가 있다.
최근에는 대형 식당뿐만 아니라 대형 마트, 건강식품 제조 회사 등에서 대량의 마늘을 사용하게 되고, 이러한 추세에 발맞추어 마늘을 대량으로 박피하여 마트 등에 공급하는 대형 마늘공장들이 등장하였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의 마늘 쪽 분리 장치나 마늘 박피 장치는 개별 장치로 구분되게 설치하여 사용되고 컨베이어를 통해 쪽이 분리된 마늘을 박피 장치로 이송하는 등 쪽의 분리와 흙 등의 이물질 제거 및 박피 등의 일련의 작업이 순차적으로 수행되도록 연속식 설비로 구성됨으로써, 전체 설비의 설치 및 시공이 복잡하고 설치 면적이 상대적으로 많이 소요되며 유지관리가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 제1648541호 "마늘 쪽 분리 장치"(2016.08.09.)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케이스의 내부에 쪽 분리와 이물질 제거 및 박피 장비를 구비하여 설치 및 시공이 간편해지도록 하고 설치 면적이 현저히 줄어들면서 유지관리가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마늘 쪽 분리 및 박피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마늘 쪽 분리 및 박피 시스템"은, 내부가 빈 본체케이스와; 상기 본체케이스의 상면 일측을 관통하여 상면이 노출되게 설치되고, 상부로 공급되는 통마늘을 받아서 이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고 통마늘을 상기 본체케이스의 내측 하부로 배출시키는 제1 이물질제거기와; 상기 본체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이물질제거기에서 배출되는 통마늘을 받아서 타측으로 이송시키는 제1 이송컨베이어와; 상기 본체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이송컨베이어에서 이송되어 낙하하는 통마늘을 받아서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쪽으로 1차 분리하는 수직쪽분리기와; 상기 수직쪽분리기의 하부로 상기 본체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수직쪽분리기에서 배출되는 마늘을 받아서 일측으로 이송시키는 제2 이송컨베이어와; 상기 제2 이송컨베이어의 일측 하부로 상기 본체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2 이송컨베이어에서 이송되어 낙하하는 마늘을 받아서 하부를 향해 경사진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쪽으로 2차 분리하는 제1 경사쪽분리기와; 상기 제1 경사쪽분리기의 하부로 상기 본체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 경사쪽분리기에서 배출되는 마늘과 이물질을 받아서 이물질을 걸러내고 마늘을 타측 하부로 배출시키는 제2 이물질제거기와; 상기 본체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2 이물질제거기에서 배출되어 낙하하는 마늘을 받아서 하부를 향해 경사진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쪽으로 3차 분리하는 제2 경사쪽분리기와; 상기 본체케이스의 내부에서 타측면으로 관통되게 설치되고, 상기 제2 경사쪽분리기에서 배출되는 마늘을 받아서 타측으로 이송시키면서 마늘의 껍질을 벗긴 후에 상기 본체케이스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마늘박피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마늘 쪽 분리 및 박피 시스템"은, 상기 마늘박피기의 하부로 상기 본체케이스의 내부 하면에 따라 설치되고, 일측단이 상기 본체케이스의 일측면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상기 마늘박피기를 포함하는 제반기기에서 낙하하는 이물질을 상기 본체케이스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이물질배출컨베이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마늘 쪽 분리 및 박피 시스템"은, 상기 본체케이스의 타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본체케이스의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먼지를 필터링하는 집진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집진기는, 상기 본체케이스의 타측 외면에 수직으로 장착되고 하단이 상기 본체케이스의 내부와 연통되는 수직관과, 상기 수직관의 내부에 설치되고 먼지를 필터링하는 다수의 원통필터와, 상기 원통필터의 상부로 상기 수직관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원통필터를 통해 상기 수직관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상기 수직관의 상부를 배출시키는 흡입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마늘 쪽 분리 및 박피 시스템"은, 상기 본체케이스의 일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본체케이스의 내부와 연통되게 연통관이 설치되며, 상기 연통관을 통해 상기 본체케이스의 내부로 열풍을 분사하여 온도를 유지하는 열풍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마늘 쪽 분리 및 박피 시스템"의 상기 수직쪽분리기는, 상기 본체케이스의 내부에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고 일측에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의 타측으로 원호형의 호형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호형장공의 타측으로 수직장공이 형성되는 한 쌍의 설치판과, 상기 설치판의 내측에 구비되고 양단으로 돌출되는 축이 상기 관통공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는 제1 고무롤러와, 상기 제1 고무롤러의 타측으로 배치되고 양단으로 돌출되는 축이 상기 호형장공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는 제2 고무롤러와, 상기 설치판의 외면에 장착되고 상기 제1 고무롤러의 양단의 축에 각각 장착되어 상기 제1 고무롤러를 회전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한 쌍의 제1 베어링과, 상기 호형장공의 상부로 상기 설치판의 외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고무롤러의 양단의 축을 외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걸어서 고정하는 한 쌍의 회전브래킷과, 상기 회전브래킷을 상기 호형장공의 상부로 상기 설치판의 외면에 힌지결합시키는 한 쌍의 힌지핀과, 상기 회전브래킷의 외면에 장착되고 상기 제2 고무롤러의 양단의 축에 각각 장착되어 상기 제2 고무롤러를 회전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한 쌍의 제2 베어링과, 상기 수직장공에 대응하여 상기 설치판의 외면에 설치되고 상기 힌지핀을 중심으로 상기 회전브래킷을 회전시켜 상기 제2 고무롤러의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조절부와, 상기 제1 고무롤러와 제2 고무롤러의 축에 각각 연결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마늘 쪽 분리 및 박피 시스템"의 상기 위치조절부는, 상기 각각의 회전브래킷의 하단에 일단이 연결되는 한 쌍의 탄성스프링과, 상기 각각의 탄성스프링의 타단에 일단이 장착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나선봉과, 상기 수직장공의 양측으로 상기 설치판에 장착되고 상기 나선봉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관통되는 한 쌍의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사이로 배치되고 상기 나선봉이 중심을 관통하여 나사결합되는 나선스프로킷과, 상기 설치판의 외측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상기 나선스프로킷에 양단이 상기 수직장공을 관통하여 걸리는 무한궤도의 체인을, 포함하고, 상기 수직쪽분리기는, 상기 설치판의 외면에 설치되고, 상기 제1 고무롤러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간격조절부는, 상기 설치판의 외면에 수평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고 일측에 사각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사각통공의 상부와 하부에 수평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고무롤러의 축이 회전 가능하게 관통되며 상기 제1 베어링이 외면에 장착되는 한 쌍의 간격조정판과, 상기 사각통공의 내측으로 상기 설치판의 외면에 장착되는 지지브래킷과, 상기 간격조정판의 일측단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타단이 상기 지지브래킷에 나사 결합되는 상태로 관통되는 조절볼트와, 상기 각각의 수평슬롯을 관통하여 상기 설치판의 외면에 장착되고 상기 간격조정판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는 한 쌍의 지지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하나의 케이스의 내부에 쪽 분리와 이물질 제거 및 박피 장비를 구비하여 설치 및 시공이 간편해지고, 설치 면적이 현저히 줄어들면서 유지관리가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쪽 분리 및 박피 시스템의 개략적인 전체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쪽 분리 및 박피 시스템의 제1 이물질제거기를 보인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쪽 분리 및 박피 시스템의 수직쪽분리기를 보인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쪽 분리 및 박피 시스템의 제1 경사쪽분리기를 보인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쪽 분리 및 박피 시스템의 제2 이물질제거기를 보인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쪽 분리 및 박피 시스템의 제2 경사쪽분리기를 보인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쪽 분리 및 박피 시스템의 마늘박피기를 보인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쪽 분리 및 박피 시스템의 수직쪽분리기를 보인 개략적인 요부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쪽 분리 및 박피 시스템의 수직쪽분리기를 보인 개략적인 요부 분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쪽 분리 및 박피 시스템의 수직쪽분리기를 보인 개략적인 일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쪽 분리 및 박피 시스템의 수직쪽분리기를 보인 개략적인 타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쪽 분리 및 박피 시스템의 수직쪽분리기의 작동 상태를 보인 개략적인 종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쪽 분리 및 박피 시스템의 제1 경사쪽분리기의 작동 상태를 보인 개략적인 종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쪽 분리 및 박피 시스템의 제2 경사쪽분리기의 작동 상태를 보인 개략적인 종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내지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쪽 분리 및 박피 시스템의 개략적인 도면들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마늘 쪽 분리 및 박피 시스템은 본체케이스(10)와, 상기 본체케이스(10)의 상면에서 내측으로 설치되는 제1 이물질제거기(20)와, 상기 제1 이물질제거기(20)의 타측 하부로 상기 본체케이스(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1 이송컨베이어(30)와, 상기 제1 이송컨베이어(30)의 타측 하부로 상기 본체케이스(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수직쪽분리기(40)와, 상기 수직쪽분리기(40)의 하부로 상기 본체케이스(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2 이송컨베이어(50)와, 상기 제2 이송컨베이어(50)의 일측 하부로 상기 본체케이스(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1 경사쪽분리기(60)와, 상기 제1 경사쪽분리기(60)의 하부로 상기 본체케이스(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2 이물질제거기(70)와, 상기 제2 이물질제거기(70)의 타측 하부로 상기 본체케이스(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2 경사쪽분리기(80)와, 상기 제2 경사쪽분리기(80)의 하부로 상기 본체케이스(10)의 내부에 설치되는 마늘박피기(9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케이스(10)는 내부가 빈 사각입방체로써, 상기 제1 이물질제거기(20)를 포함하는 전체 기기들을 둘러싸서 일체로 구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제1 이물질제거기(20)는 상기 본체케이스(10)의 상면 일측을 관통하여 상면이 노출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경사컨베이어 등을 통해 상부로 공급되는 통마늘을 받아서 이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고 통마늘을 상기 본체케이스(10)의 내측 하부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상기 제1 이물질제거기(20)는 진동모터(22)에 의해 진동되는 타공판(21)이 타측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타공판에 마늘이 올려진 상태로 상기 타공판의 진동에 의해 마늘에 묻은 흙과 같은 이물질이 떨려서 상기 타공판의 구멍을 통해 하부로 배출되고 마늘은 상기 타공판을 따라 타측으로 이동되어 낙하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제1 이송컨베이어(30)는 상기 본체케이스(10)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제1 이물질제거기(20)에서 배출되는 통마늘을 받아서 타측으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 이송컨베이어(30)는 양단에서 회전되는 롤러에 의해 벨트가 무한궤도로 회전되면서 상기 벨트의 상면에 올려진 마늘을 일측에서 타측으로 상부를 향해 이송시킨 후에 하부로 배출시키는 것이다.
상기 수직쪽분리기(40)는 상기 본체케이스(10)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제1 이송컨베이어(30)에서 이송되어 낙하하는 통마늘을 받아서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쪽으로 1차 분리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상기 수직쪽분리기(40)는 상기 본체케이스(10)의 내부에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고 일측에 관통공(411)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411)의 타측으로 원호형의 호형장공(412)이 형성되고 상기 호형장공(412)의 타측으로 수직장공(413)이 형성되는 한 쌍의 설치판(41)과, 상기 설치판(41)의 내측에 구비되고 양단으로 돌출되는 축이 상기 관통공(411)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는 제1 고무롤러(42)와, 상기 제1 고무롤러(42)의 타측으로 배치되고 양단으로 돌출되는 축이 상기 호형장공(412)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는 제2 고무롤러(43)와, 상기 설치판(41)의 외면에 장착되고 상기 제1 고무롤러(42)의 양단의 축에 각각 장착되어 상기 제1 고무롤러(42)를 회전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한 쌍의 제1 베어링(44)과, 상기 호형장공(412)의 상부로 상기 설치판(41)의 외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고무롤러(43)의 양단의 축을 외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걸어서 고정하는 한 쌍의 회전브래킷(45)과, 상기 회전브래킷(45)을 상기 호형장공(412)의 상부로 상기 설치판(41)의 외면에 힌지결합시키는 한 쌍의 힌지핀(46)과, 상기 회전브래킷(45)의 외면에 장착되고 상기 제2 고무롤러(43)의 양단의 축에 각각 장착되어 상기 제2 고무롤러(43)를 회전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한 쌍의 제2 베어링(47)과, 상기 수직장공(413)에 대응하여 상기 설치판(41)의 외면에 설치되는 위치조절부(48)와, 상기 제1 고무롤러(42)와 제2 고무롤러(43)의 축에 각각 연결되는 구동모터(48a)를 포함한다.
상기 설치판(41)은 상기 제1 고무롤러(42)와 제2 고무롤러(43)의 양단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관통공(411)은 상기 제1 고무롤러(42)의 양단의 축이 회전 가능하게 관통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호형장공(412)은 상기 제2 고무롤러(43)가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는 장소를 제공하면서 상기 제2 고무롤러(43)가 호형 형상을 따라 이동되면서 그 위치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수직장공(413)은 상기 위치조절부(48)가 관통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 고무롤러(42)와 제2 고무롤러(43)는 각각 상기 구동모터(48a)에 의해 개별적으로 상호 다른 회전속도로 회전되는, 즉 상기 제1 고무롤러(42)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제2 고무롤러(43)는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제1 고무롤러(42)와 제2 고무롤러(43)의 사이를 통과하는 통마늘을 눌러서 쪽으로 분리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상기 제1 고무롤러(42)와 제2 고무롤러(43)는 그 외면이 고무 재질로 형성되어 있고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홈이 형성된다.
상기 제1 베어링(44)은 상기 제1 고무롤러(42)의 양단의 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상태로 상기 설치판(41)의 외면에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회전브래킷(45)은 상기 제2 고무롤러(43)의 양단의 축이 걸린 상태로 상기 힌지핀(46)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호형장공(412)을 따라 상기 제2 고무롤러(43)의 위치가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힌지핀(46)은 상기 회전브래킷(45)이 상기 설치판(41)의 외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고, 상기 제2 베어링(47)은 상기 제2 고무롤러(43)의 양단의 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상태로 상기 회전브래킷(45)의 외면에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위치조절부(48)는 상기 힌지핀(46)을 중심으로 상기 회전브래킷(45)을 회전시켜 상기 제2 고무롤러(43)의 위치를 조절하는 사용자가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기 위치조절부(48)는 상기 각각의 회전브래킷(45)의 하단에 일단이 연결되는 한 쌍의 탄성스프링(481)과, 상기 각각의 탄성스프링(481)의 타단에 일단이 장착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나선봉(482)과, 상기 수직장공(413)의 양측으로 상기 설치판(41)에 장착되고 상기 나선봉(482)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관통되는 한 쌍의 지지부재(483)와, 상기 지지부재(483)의 사이로 배치되고 상기 나선봉(482)이 중심을 관통하여 나사결합되는 나선스프로킷(484)과, 상기 설치판(41)의 외측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상기 나선스프로킷(484)에 양단이 상기 수직장공(413)을 관통하여 걸리는 무한궤도의 체인(485)을 포함한다.
상기 위치조절부(48)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또는 모터 등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상기 체인(485)을 회전시키면 상기 지지부재(483)의 사이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나선스프로킷(484)이 정회전 또는 역회전되면서 상기 나선봉(482)이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동되고, 그에 따라 상기 나선봉(482)에 연결된 상기 탄성스프링(481)과 이에 연결된 상기 회전브래킷(45)이 상기 힌지핀(46)을 중심으로 일측 또는 타측으로 각회전되면서 상기 제2 고무롤러(43)의 위치를 이동시켜 상기 제1 고무롤러(42)와의 배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탄성스프링(481)은 상기 나선봉(482)과 상기 회전브래킷(45)을 탄성적으로 연결하면서 동시에 상기 제2 고무롤러(43)가 탄성적인 거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구동모터(48a)는 상기 제1 고무롤러(42)와 제2 고무롤러(43)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제1 고무롤러(42)와 제2 고무롤러(43)를 개별적으로 회전시키는 공지의 모터구동장치이다.
상기 수직쪽분리기(40)는 상기 설치판(41)의 외면에 설치되는 간격조절부(49)를 더 포함한다. 상기 간격조절부(49)는 상기 제1 고무롤러(42)의 설치 간격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상기 간격조절부(49)는 상기 설치판(41)의 외면에 수평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고 일측에 사각통공(492)이 형성되며 상기 사각통공(492)의 상부와 하부에 수평슬롯(493)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고무롤러(42)의 축이 회전 가능하게 관통되며 상기 제1 베어링(44)이 외면에 장착되는 한 쌍의 간격조정판(491)과, 상기 사각통공(492)의 내측으로 상기 설치판(41)의 외면에 장착되는 지지브래킷(494)과, 상기 간격조정판(491)의 일측단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타단이 상기 지지브래킷(494)에 나사 결합되는 상태로 관통되는 조절볼트(495)와, 상기 각각의 수평슬롯(493)을 관통하여 상기 설치판(41)의 외면에 장착되고 상기 간격조정판(491)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는 한 쌍의 지지핀(496)을 포함한다.
상기 간격조절부(49)는 사용자가 상기 지지브래킷(494)에 지지된 상기 조절볼트(495)를 회전시켜 상기 지지핀(496)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상기 수평슬롯(493)을 따라 상기 간격조정판(491)이 이동되면서 상기 제1 고무롤러(42)의 설치 간격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기 수직쪽분리기(40)는 상기 제1 고무롤러(42)와 제2 고무롤러(43)를 하나의 세트로 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방향으로 적어도 2개의 세트를 형성함으로써, 통마늘이 적어도 2회에 걸쳐 눌려져 쪽으로 분리된다.
상기 제2 이송컨베이어(50)는 상기 수직쪽분리기(40)의 하부로 상기 본체케이스(10)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수직쪽분리기(40)에서 배출되는 마늘을 받아서 일측으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상기 제2 이송컨베이어(50)는 양단에서 회전되는 롤러에 의해 벨트가 무한궤도로 회전되면서 상기 벨트의 상면에 올려진 마늘을 상기 제1 이송컨베이어(30)와 반대 방향으로 타측에서 일측으로 상부를 향해 이송시킨 후에 하부로 배출시키는 것이다.
상기 제1 경사쪽분리기(60)는 상기 제2 이송컨베이어(50)의 일측 하부로 상기 본체케이스(10)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제2 이송컨베이어(50)에서 이송되어 낙하하는 마늘을 받아서 하부를 향해 경사진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쪽으로 2차 분리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상기 제1 경사쪽분리기(60)는 상하로 배치되는 한 쌍의 고무롤러(81)가 타측 상부에서 일측 하부로 경사지게 다단으로 배치되어(도시된 바에 따르면 5단으로 배치되어) 1차 쪽 분리된 마늘을 2차에 걸쳐 경사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고무롤러로 눌러서 다단으로 쪽 분리를 하는 것이다.
상기 제2 이물질제거기(70)는 상기 제1 경사쪽분리기(60)의 하부로 상기 본체케이스(10)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제1 경사쪽분리기(60)에서 배출되는 마늘과 이물질을 받아서 이물질을 걸러내고 마늘을 타측 하부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상기 제2 이물질제거기(70)는 진동모터(72)에 의해 진동되는 타공판(71)이 타측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타공판의 상면으로 상기 제1 경사쪽분리기(60)에서 낙하하는 이물질을 받아 배출시키고 동시에 상기 타공판에 마늘이 올려진 상태로 상기 타공판의 진동에 의해 마늘에 묻은 흙과 같은 이물질이 떨려서 상기 타공판의 구멍을 통해 하부로 배출되고 마늘은 상기 타공판을 따라 타측으로 이동되어 낙하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제2 경사쪽분리기(80)는 상기 본체케이스(10)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제2 이물질제거기(70)에서 배출되어 낙하하는 마늘을 받아서 하부를 향해 경사진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쪽으로 3차 분리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상기 제2 경사쪽분리기(80)는 상하로 배치되는 한 쌍의 고무롤러(81)가 일측 상부에서 타측 하부로 경사지게 다단으로 배치되어(도시된 바에 따르면 4단으로 배치되어) 2차 쪽 분리된 마늘을 3차에 걸쳐 경사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고무롤러로 눌러서 다단으로 완전히 쪽 분리를 하는 것이다.
상기 마늘박피기(90)는 상기 본체케이스(10)의 내부에서 타측면으로 관통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제2 경사쪽분리기(80)에서 배출되는 마늘을 받아서 타측으로 이송시키면서 마늘의 껍질을 벗긴 후에 상기 본체케이스(10)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상기 마늘박피기(90)는 상기 제2 경사쪽분리기(80)의 하부로 설치되는 체인이송기(91)를 통해 마늘을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송시키고, 이 상태에서 상기 체인이송기의 상부에 설치되는 공기분사원판(92)을 회전시키면서 상기 공기분사원판의 하면의 타공을 통해 마늘에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여 마늘의 껍질을 벗기는 것이다.
본 마늘 쪽 분리 및 박피 시스템은 상기 마늘박피기(90)의 하부로 상기 본체케이스(10)의 내부 하면에 따라 설치되고 일측단이 상기 본체케이스(10)의 일측면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이물질배출컨베이어(1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이물질배출컨베이어(100)는 상기 마늘박피기(90)를 포함하는 제반기기에서 낙하하는 이물질을 받아서 상기 본체케이스(10)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본 마늘 쪽 분리 및 박피 시스템은 상기 본체케이스(10)의 타측면에 설치되는 집진기(11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집진기(110)는 상기 본체케이스(10)의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먼지를 필터링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상기 집진기(110)는 상기 본체케이스(10)의 타측 외면에 수직으로 장착되고 하단이 상기 본체케이스(10)의 내부와 연통되는 수직관(111)과, 상기 수직관(111)의 내부에 설치되고 먼지를 필터링하는 다수의 원통필터(112)와, 상기 원통필터(112)의 상부로 상기 수직관(111)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원통필터(112)를 통해 상기 수직관(111)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상기 수직관(111)의 상부를 배출시키는 흡입팬(113)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집진기(110)는 상기 흡입팬(113)을 구동시켜 상기 수직관(111)을 통해 상기 본체케이스(10)의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중에 흡입된 공기가 상기 원통필터(112)를 통과하면서 먼지가 필터링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마늘 쪽 분리 및 박피 시스템은 상기 본체케이스(10)의 일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본체케이스(10)의 내부와 연통되게 연통관(121)이 설치되는 열풍기(12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열풍기(120)는 상기 연통관(121)을 통해 상기 본체케이스(10)의 내부로 열풍을 분사하여 상기 본체케이스(10)의 내부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동절기에는 마늘이 냉각되면서 단단해져 쪽 분리 중에 쉽게 파손될 수 있는데, 상기 열풍기(120)는 상기 본체케이스(10)의 내부를 상온 정도로 일정하게 유지하여 이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마늘 쪽 분리 및 박피 시스템은 하나의 상기 본체케이스(10)의 내부에서 마늘을 상부에서 하부로 지그재그로 이동시키면서 다단으로 쪽을 분리하면서 다단으로 이물질을 제거하고 최종적으로 박피를 하는 획기적인 발명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할 것이다.
10 : 본체케이스
20 : 제1 이물질제거기
21 : 타공판 22 : 진동모터
30 : 제1 이송컨베이어
40 : 수직쪽분리기
41 : 설치판
411 : 관통공 412 : 호형장공
413 : 수직장공
42 : 제1 고무롤러 43 : 제2 고무롤러
44 : 제1 베어링 45 : 회전브래킷
46 : 힌지핀 47 : 제2 베어링
48 : 위치조절부
481 : 탄성스프링 482 : 나선봉
483 : 지지부재 484 : 나선스프로킷
485 : 체인
48a : 구동모터
49 : 간격조절부
491 : 간격조정판 492 : 사각통공
493 : 수평슬롯 494 : 지지브래킷
495 : 조절볼트 496 : 지지핀
50 : 제2 이송컨베이어
60 : 제1 경사쪽분리기
61 : 고무롤러
70 : 제2 이물질제거기
71 : 타공판 72 : 진동모터
80 : 제2 경사쪽분리기
81 : 고무롤러
90 : 마늘박피기
91 : 체인이송기 92 : 공기분사원판
100 : 이물질배출컨베이어
110 : 집진기
111 : 수직관 112 : 원통필터
113 : 흡입팬
120 : 열풍기
121 : 연통관

Claims (6)

  1. 내부가 빈 본체케이스(10)와;
    상기 본체케이스(10)의 상면 일측을 관통하여 상면이 노출되게 설치되고, 상부로 공급되는 통마늘을 받아서 이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고 통마늘을 상기 본체케이스(10)의 내측 하부로 배출시키는 제1 이물질제거기(20)와;
    상기 본체케이스(10)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이물질제거기(20)에서 배출되는 통마늘을 받아서 타측으로 이송시키는 제1 이송컨베이어(30)와;
    상기 본체케이스(10)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이송컨베이어(30)에서 이송되어 낙하하는 통마늘을 받아서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쪽으로 1차 분리하는 수직쪽분리기(40)와;
    상기 수직쪽분리기(40)의 하부로 상기 본체케이스(10)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수직쪽분리기(40)에서 배출되는 마늘을 받아서 일측으로 이송시키는 제2 이송컨베이어(50)와;
    상기 제2 이송컨베이어(50)의 일측 하부로 상기 본체케이스(10)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2 이송컨베이어(50)에서 이송되어 낙하하는 마늘을 받아서 하부를 향해 경사진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쪽으로 2차 분리하는 제1 경사쪽분리기(60)와;
    상기 제1 경사쪽분리기(60)의 하부로 상기 본체케이스(10)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 경사쪽분리기(60)에서 배출되는 마늘과 이물질을 받아서 이물질을 걸러내고 마늘을 타측 하부로 배출시키는 제2 이물질제거기(70)와;
    상기 본체케이스(10)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2 이물질제거기(70)에서 배출되어 낙하하는 마늘을 받아서 하부를 향해 경사진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쪽으로 3차 분리하는 제2 경사쪽분리기(80)와;
    상기 본체케이스(10)의 내부에서 타측면으로 관통되게 설치되고, 상기 제2 경사쪽분리기(80)에서 배출되는 마늘을 받아서 타측으로 이송시키면서 마늘의 껍질을 벗긴 후에 상기 본체케이스(10)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마늘박피기(90)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쪽분리기(40)는,
    상기 본체케이스(10)의 내부에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고 일측에 관통공(411)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411)의 타측으로 원호형의 호형장공(412)이 형성되고 상기 호형장공(412)의 타측으로 수직장공(413)이 형성되는 한 쌍의 설치판(41)과,
    상기 설치판(41)의 내측에 구비되고 양단으로 돌출되는 축이 상기 관통공(411)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는 제1 고무롤러(42)와,
    상기 제1 고무롤러(42)의 타측으로 배치되고 양단으로 돌출되는 축이 상기 호형장공(412)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는 제2 고무롤러(43)와,
    상기 설치판(41)의 외면에 장착되고 상기 제1 고무롤러(42)의 양단의 축에 각각 장착되어 상기 제1 고무롤러(42)를 회전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한 쌍의 제1 베어링(44)과,
    상기 호형장공(412)의 상부로 상기 설치판(41)의 외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고무롤러(43)의 양단의 축을 외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걸어서 고정하는 한 쌍의 회전브래킷(45)과,
    상기 회전브래킷(45)을 상기 호형장공(412)의 상부로 상기 설치판(41)의 외면에 힌지결합시키는 한 쌍의 힌지핀(46)과,
    상기 회전브래킷(45)의 외면에 장착되고 상기 제2 고무롤러(43)의 양단의 축에 각각 장착되어 상기 제2 고무롤러(43)를 회전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한 쌍의 제2 베어링(47)과,
    상기 수직장공(413)에 대응하여 상기 설치판(41)의 외면에 설치되고 상기 힌지핀(46)을 중심으로 상기 회전브래킷(45)을 회전시켜 상기 제2 고무롤러(43)의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조절부(48)와,
    상기 제1 고무롤러(42)와 제2 고무롤러(43)의 축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구동모터(48a)를, 포함하며,
    상기 위치조절부(48)는,
    상기 각각의 회전브래킷(45)의 하단에 일단이 연결되는 한 쌍의 탄성스프링(481)과,
    상기 각각의 탄성스프링(481)의 타단에 일단이 장착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나선봉(482)과,
    상기 수직장공(413)의 양측으로 상기 설치판(41)에 장착되고 상기 나선봉(482)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관통되는 한 쌍의 지지부재(483)와,
    상기 지지부재(483)의 사이로 배치되고 상기 나선봉(482)이 중심을 관통하여 나사결합되는 나선스프로킷(484)과,
    상기 설치판(41)의 외측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상기 나선스프로킷(484)에 양단이 상기 수직장공(413)을 관통하여 걸리는 무한궤도의 체인(485)을, 포함하고,
    상기 수직쪽분리기(40)는,
    상기 설치판(41)의 외면에 설치되고, 상기 제1 고무롤러(42)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부(49)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간격조절부(49)는,
    상기 설치판(41)의 외면에 수평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고 일측에 사각통공(492)이 형성되며 상기 사각통공(492)의 상부와 하부에 수평슬롯(493)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고무롤러(42)의 축이 회전 가능하게 관통되며 상기 제1 베어링이 외면에 장착되는 한 쌍의 간격조정판(491)과,
    상기 사각통공(492)의 내측으로 상기 설치판(41)의 외면에 장착되는 지지브래킷(494)과,
    상기 간격조정판(491)의 일측단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타단이 상기 지지브래킷(494)에 나사 결합되는 상태로 관통되는 조절볼트(495)와,
    상기 각각의 수평슬롯(493)을 관통하여 상기 설치판(41)의 외면에 장착되고 상기 간격조정판(491)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는 한 쌍의 지지핀(49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 쪽 분리 및 박피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늘 쪽 분리 및 박피 시스템은,
    상기 마늘박피기(90)의 하부로 상기 본체케이스(10)의 내부 하면에 따라 설치되고, 일측단이 상기 본체케이스(10)의 일측면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상기 마늘박피기(90)를 포함하는 제반기기에서 낙하하는 이물질을 상기 본체케이스(10)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이물질배출컨베이어(1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 쪽 분리 및 박피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늘 쪽 분리 및 박피 시스템은,
    상기 본체케이스(10)의 타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본체케이스(10)의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먼지를 필터링하는 집진기(11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집진기(110)는,
    상기 본체케이스(10)의 타측 외면에 수직으로 장착되고 하단이 상기 본체케이스(10)의 내부와 연통되는 수직관(111)과,
    상기 수직관(111)의 내부에 설치되고 먼지를 필터링하는 다수의 원통필터(112)와,
    상기 원통필터(112)의 상부로 상기 수직관(111)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원통필터(112)를 통해 상기 수직관(111)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상기 수직관(111)의 상부를 배출시키는 흡입팬(11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 쪽 분리 및 박피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늘 쪽 분리 및 박피 시스템은,
    상기 본체케이스(10)의 일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본체케이스(10)의 내부와 연통되게 연통관(121)이 설치되며, 상기 연통관(121)을 통해 상기 본체케이스(10)의 내부로 열풍을 분사하여 온도를 유지하는 열풍기(1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 쪽 분리 및 박피 시스템.
  5. 삭제
  6. 삭제
KR1020190092766A 2019-07-30 2019-07-30 마늘 쪽 분리 및 박피 시스템 KR1022880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2766A KR102288058B1 (ko) 2019-07-30 2019-07-30 마늘 쪽 분리 및 박피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2766A KR102288058B1 (ko) 2019-07-30 2019-07-30 마늘 쪽 분리 및 박피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4545A KR20210014545A (ko) 2021-02-09
KR102288058B1 true KR102288058B1 (ko) 2021-08-12

Family

ID=74559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2766A KR102288058B1 (ko) 2019-07-30 2019-07-30 마늘 쪽 분리 및 박피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805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9806B1 (ko) * 2021-05-05 2024-01-30 주식회사 한국기계 마늘 박피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9267Y1 (ko) * 2000-07-29 2001-01-15 백성기 마늘 박피기의 예비박피장치
JP3153489B2 (ja) * 1997-03-04 2001-04-09 俊幸 新村 書籍端面研磨装置
KR101648541B1 (ko) * 2014-10-02 2016-08-16 백성기 마늘 쪽 분리 장치
KR101653244B1 (ko) * 2014-12-15 2016-09-01 백성기 마늘 박피 시스템
KR101908282B1 (ko) * 2017-07-11 2018-10-17 한영린 씨쪽파 분리 및 탈피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3489U (ja) * 2009-05-27 2009-09-10 株式会社ムラコシ 集塵機
KR20150053660A (ko) * 2013-11-08 2015-05-18 장회식 마늘 껍질 박피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3489B2 (ja) * 1997-03-04 2001-04-09 俊幸 新村 書籍端面研磨装置
KR200209267Y1 (ko) * 2000-07-29 2001-01-15 백성기 마늘 박피기의 예비박피장치
KR101648541B1 (ko) * 2014-10-02 2016-08-16 백성기 마늘 쪽 분리 장치
KR101653244B1 (ko) * 2014-12-15 2016-09-01 백성기 마늘 박피 시스템
KR101908282B1 (ko) * 2017-07-11 2018-10-17 한영린 씨쪽파 분리 및 탈피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4545A (ko) 2021-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29845A (en) Apparatus for waterless hulling of nuts and the like
KR101653244B1 (ko) 마늘 박피 시스템
CN108057620A (zh) 一种农用高效翻转扬谷装置
US3811000A (en) Peeling machine and method
KR102288058B1 (ko) 마늘 쪽 분리 및 박피 시스템
NO175345B (no) Fremgangsmåte og innretning for dekking av et næringsmiddel med granulert materiale
CN109043577B (zh) 一种埃塞俄比亚咖啡豆去皮机
KR20130001190A (ko) 야채류 가공장치
CN210988122U (zh) 一种酸梨汁生产用水果清洗机
KR102288061B1 (ko) 마늘 쪽 분리 시스템
US887628A (en) Steaming apparatus.
US6776087B1 (en) Food processing machine
KR101600814B1 (ko) 마늘 껍질 제거 장치
ES2826698B2 (es) Máquina integrada para procesado de frutos de cáscara dura o blanda
KR102629804B1 (ko) 마늘 박피 시스템
KR102084069B1 (ko) 아몬드 가공방법 및 아몬드 내피 탈피장치
CN206443110U (zh) 一种自动坚果剥壳装置
KR20030009623A (ko) 습식 마늘박피장치
CN110583244B (zh) 鲜莲莲蓬剥粒机
KR102629806B1 (ko) 마늘 박피 시스템
US1474566A (en) Apparatus for separating fibrous and nonfibrous materials in food products
US2406842A (en) Grading machine
US3141484A (en) Pea piercing machine
US3799338A (en) Leaf separator
CN109007883A (zh) 一种芋子自动去皮清皮清洗一体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