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6947B1 - 레이더를 이용하여 주차장에서의 차량의 주차를 관리하는 서버, 시스템,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레이더를 이용하여 주차장에서의 차량의 주차를 관리하는 서버, 시스템,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6947B1
KR102286947B1 KR1020200020308A KR20200020308A KR102286947B1 KR 102286947 B1 KR102286947 B1 KR 102286947B1 KR 1020200020308 A KR1020200020308 A KR 1020200020308A KR 20200020308 A KR20200020308 A KR 20200020308A KR 102286947 B1 KR102286947 B1 KR 1022869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vehicle
information
parking lot
l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03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7812A (ko
Inventor
손창현
김계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드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드웍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드웍스
Publication of KR202100078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78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69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69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4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using optical or ultrasonic detecto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서버에서 수행하는 레이더 기반의 주차 관리 방법은 주차장에 설치되어 전파의 송수신에 따라 주차장 내 차량을 감지하는 레이더로부터 감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감지 정보를 기초로 주차장에서 차량의 이동을 추적하는 단계, 추적한 차량의 주차 여부를 판단하고, 차량이 주차로 판단되면 차량의 주차 관리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레이더를 이용하여 주차장에서의 차량의 주차를 관리하는 서버, 시스템,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SERVER, SYSTEM, METHOD, COMPUTER PROGRAM,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MANAGING PARKING OF VEHICLE IN PARKING LOT BY USING RADAR}
본 발명은 레이더를 이용하여 주차장에서의 차량의 주차를 관리하는 서버, 시스템,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차량이 일반적인 이동수단이 되면서 차량은 현대 사회를 살아가는 사람들의 필수적인 존재로 자리잡고 있고, 차량을 소유하는 소유자도 점차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이에 따라, 차량을 주차하기 위한 주차 공간에 대한 중요성도 커지고 있고, 백화점이나 관공서 아파트 등과 같은 대형건물이나 주차전용빌딩 등에는 다수의 주차 공간을 구비한 주차장이 필수적으로 구비되고 있다.
최근에는 운전자에게 보다 효율적인 주차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여러 관리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그 일 예로, 출입의 확인 및 통제가 필요한 유료 주차장,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거시설, 보안시설의 주차장에는 차량 출입의 확인 및 통제를 위해 주차 관제 시스템이 개발되어 적용되고 있다.
또한, 주차장은 한정된 공간에 제한된 수량의 차량만이 주차 가능하기 때문에 주차 공간 유무를 사전에 인지하지 못한다면 불필요한 시간 및 연료소모를 유발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주차 유도 시스템이 개발되어 적용되고 있다.
여기서, 주차 유도 시스템은 유료 주차장, 아파트 등의 공동주거시설의 주차장, 또는 상업 시설의 주차장 등에서 현재 차량이 주차 가능한 위치가 어디인지 알려주거나 현재 차량이 주차된 위치를 알려주는 등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주차 유도 시스템 관련하여, 종래에는 주로 주차 유도 시스템에 루프코일 방식, 초음파 방식을 적용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고 있다.
루프코일 방식은 주차 공간의 콘크리트 바닥 밑에 루프코일을 매설하여, 자기장의 변화를 검출하여 차량의 유무를 판단하는 방식이다. 다만, 루프코일 방식은 콘크리트 바닥면의 설치에 따라, 매설 및 표면 재코팅 등으로 시공의 번거로움이 있고, 주차 공간 각각에 루프코일을 설치함에 따라 주차공간이 늘어날수록 공사비가 크게 늘어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초음파 방식은 주차 공간의 천장에 초음파 센서를 부착하고, 바닥을 향해 초음파를 방사하여 바닥에서 반사되는 초음파를 감지함으로써 차량의 유무를 판단하는 방식이다. 다만, 초음파 방식은 기후와 주변 환경에 민감하고, 차량 이외의 다른 사물이나 사람을 구별할 수 없어서 제대로 된 판단을 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초음파 센서는 설치를 위한 천장이 필요함으로, 실외의 주차장에는 적용하려면 추가적인 구조물을 설치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의 루프코일 방식 및 초음파 센서 방식의 단점을 극복하고, 동시에 보다 정확하게 차량의 추적, 차량의 주차 위치 판단, 주차 가능한 주차면 관리 등을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주차장에 설치된 레이더를 이용해 주차장에 진입 또는 주차장으로부터 진출하는 차량의 추적, 차량의 주차 위치 판단, 주차 가능한 주차면 관리를 수행하고, 주차장에 대한 주차 관리 정보를 기초로 주차장 내 차량에 대한 주차 유도를 수행할 수 있는 서버, 시스템,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에서 수행하는 레이더 기반의 주차 관리 방법은, 주차장에 설치되어 전파의 송수신에 따라 상기 주차장 내 차량을 감지하는 레이더로부터 감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감지 정보를 기초로 상기 주차장에서 차량의 이동을 추적하는 단계, 상기 추적한 차량의 주차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차량이 주차로 판단되면 상기 차량의 주차 관리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주차 관리 정보는 상기 차량의 이동 경로 정보, 상기 차량이 주차한 주차면 위치 정보 및 상기 주차장의 주차 가능한 주차면 위치 정보 중 적어도 두 개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차장에 진입 및/또는 진출하는 차량에 대한 차량 번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주차 관리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차량 번호를 상기 주차 관리 정보에 매칭시켜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주차장에 진입 및/또는 진출하는 차량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차량 이미지에 대한 이미지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주차 관리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검출된 이미지 정보를 상기 주차 관리 정보에 매칭시켜 저장하고, 상기 이미지 정보는 촬영 카메라 정보, 촬영 시간 정보 및 상기 이미지에 포함된 차량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차장에 신규 차량이 진입하면, 상기 신규 진입 차량의 이동 경로를 예측하는 단계, 상기 주차 관리 정보를 기초로 상기 주차장의 주차 가능한 주차면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예측된 이동 경로와 상기 주차장의 주차 가능한 주차면 위치를 이용하여 주차 유도 안내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주차장에 신규 차량이 진입하면, 상기 신규 진입 차량 운전자의 과거 주차 이력을 기초로 상기 신규 진입 차량 운전자의 선호 주차면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주차 관리 정보를 기초로 상기 주차장의 주차 가능한 주차면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선호 주차면 위치와 상기 주차장의 주차 가능한 주차면 위치를 비교하여 현재 주차장의 주차 환경에서 상기 신규 차량이 이동할 가능성이 높은 주차면 위치 후보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된 후보를 기초로 차량의 이동 경로를 예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차 유도 안내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예측된 이동 경로와 상기 주차장의 주차 가능한 주차면 위치를 비교하여 상기 예측된 이동 경로로 주행 시 주차가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에 따라 상기 신규 진입 차량의 운전자에게 주차가 가능한 주차면으로 유도하기 위한 안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안내 정보를 주차 안내 표시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주차안내 표시장치는 상기 주차장에 설치된 진입표시장치, 진출표시장치, 주차위치 안내장치 및 사용자 단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안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예측된 이동 경로에 타차량이 진입하거나, 또는 장애물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타차량 및 상기 장애물을 고려하여 안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주차 관리 정보를 기초로 주차장 지도를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주차장 지도 상에 상기 예측 경로와 상기 신규 진입 차량의 현재 위치를 함께 표시되도록 하는 안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주차 관리 서버는, 주차장에 설치되어 전파의 송수신에 따라 상기 주차장 내 차량을 감지하는 레이더로부터 감지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수신된 감지 정보를 기초로 상기 주차장에서 차량의 이동을 추적하는 위치추적부, 상기 추적한 차량의 주차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차량이 주차로 판단되면 상기 차량의 주차 관리 정보를 생성하는 주차 관리 정보 생성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주차장에 신규 차량이 진입하면, 상기 신규 진입 차량의 이동 경로를 예측하는 이동 경로 예측부, 상기 예측된 이동 경로와 상기 주차장의 주차 가능한 주차면 위치를 이용하여 주차 유도 안내를 수행하는 안내 정보 생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차장에 신규 차량이 진입하면, 상기 신규 진입 차량 운전자의 과거 주차 이력을 기초로 상기 신규 진입 차량 운전자의 선호 주차면 위치를 판단하는 선호 주차 위치 판단부, 상기 획득된 선호 주차면 위치와 상기 주차장의 주차 가능한 주차면 위치를 비교하여 현재 주차장의 주차 환경에서 상기 신규 차량이 이동할 가능성이 높은 주차면 위치 후보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후보를 기초로 차량의 이동 경로를 예측하는 이동 경로 예측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안내 정보 생성부는, 상기 예측된 이동 경로와 상기 주차장의 주차 가능한 주차면 위치를 비교하여 상기 예측된 이동 경로로 주행 시 주차가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에 따라 상기 신규 진입 차량의 운전자에게 주차가 가능한 주차면으로 유도하기 위한 안내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통신부는 상기 차량의 운전자가 주차 공간으로 주차하도록 유도하기 위한 주차안내 표시장치로 상기 생성된 안내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주차안내 표시장치는 상기 주차장에 설치된 진입표시장치, 진출표시장치, 주차위치 안내장치 및 사용자 단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되어 주차 관리 방법을 실행시키는 저장 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주차 관리 서버의 주차 관리 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 코드가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주차장의 소정 영역에 설치된 레이더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주차장에 진ㆍ출입 하는 차량의 이동 경로를 추적하고, 차량의 주차 위치 판단 및 주차장의 복수의 주차면에 각각에 대한 차량의 주차 유무 등을 판단할 수 있기에, 주차면마다 차량을 감지를 위한 장치(루프코일 또는 초음파센서)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 시공이 용이하며, 비용 절감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주차장의 가장자리에 레이더를 설치하는 경우, 하나의 레이더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주차장 전 범위에 대한 관리를 수행할 수 있기에, 관리 효과 및 비용 절감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주차장에 설치된 레이더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주차장 내의 다양한 객체들(예를 들어, 사람, 차량, 시설물 등) 의 타입을 분류하여 인식할 수 있기에, 인식 오차를 최소화하고 주차장의 주차 관리를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주차장에 설치된 레이더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주차장 내에서 이동 중인 다수 차량에 대하여 주차유도를 동시에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빅데이터 기반으로 운전자가 선호하는 주차 위치를 분석하여 주차 유도를 수행함으로써, 운전자의 성향을 고려한 주차 유도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인공 신경망 모델 기반으로 주차장에 진입한 차량의 미래 이동 경로를 예측하여 주차 유도를 수행함으로써, 주차장 내에서 차량의 주차 유도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레이더와 카메라를 동시에 이용하여 주차장 내 다양한 객체들 중 모니터링이 필요한 대상에 대한 정확하고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가능하기에, 주차장 내의 보안 문제도 효과적으로 해결할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 번호를 이용하여 해당 차량 번호에 대응되는 차량의 주차 위치를 판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레이더 기반의 주차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레이더 기반의 주차 관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일부 모듈이 설치된 주차장을 나타내는 예시도 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레이더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 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주차 관리 서버를 나타낸 블록도 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주차장에서의 차량의 이동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 이다.
도 6은 내지 7을 본 발명의 일 실시 에에 따른 주차 유도 안내 방법을 나타내는 예시도 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주차 관리 시스템의 전반적인 동작을 나타내는 타이밍도 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주차 관리 서버의 주차 관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호 주차 위치를 기반으로 이동 경로 예측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주차 유도 안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이다.
이하의 내용은 단지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 되지 않았지만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 예들은 원칙적으로,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 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 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더 기반의 주차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레이더 기반의 주차 관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일부 모듈이 설치된 주차장을 나타내는 예시도 이다.
도 1 내지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주차 관리 시스템(1000)은 레이더(300)를 이용해 주차장에 진입 또는 주차장으로부터 진출하는 차량의 추적, 차량의 주차 위치 판단, 주차 가능한 주차면 등의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주차 관리 시스템(1000)은 주차장에 대한 주차 관리 정보를 기초로 주차장 내 차량에 대한 주차 유도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레이더의 특성상 실내 주차장에서는 성능이 제한될 수 있기에, 본 발명에 따른 주차 관리 시스템(1000)이 적용되는 주차장은 바람직하게는 실외 주차장일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주차 관리 시스템(1000)은 주차 관리 서버(100), 주차관제장치(200), 레이더(300), 카메라(400) 및 주차안내 표시장치(500)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주차 관리 서버(100)는 주차관제장치(200), 레이더(300), 카메라(400) 및 주차안내 표시장치(500)와 유무선 통신하여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레이더 기반의 주차 관리 시스템(10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 및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주차 관리 서버(100)는 레이더(30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주차장에 진입 또는 주차장으로부터 진출하는 차량의 추적, 차량의 주차 위치 판단, 주차 가능한 주차면 등을 판단하고, 이를 기초로 주차장에 대한 주차 관리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주차 관리 서버(100)는 주차장에 대한 주차 관리 정보를 기초로 주차장 내 진입한 차량에 대한 주차 유도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주차 관리 서버(10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주차관제장치(200)는 주차장에 진입 및/또는 진출하는 차량을 통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주차관제장치(200)는 촬영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촬영부(미도시)를 통해서 주차장에 진입 및/또는 진출하는 차량을 촬영할 수 있다. 여기서, 촬영된 영상은 유무선을 통해서 주차 관리 서버(100)로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주차관제장치(200)는 영상처리를 통해서, 촬영된 영상에서 차량 번호를 검출할 수 있으며, 검출된 차량 번호를 유무선을 통하여 주차 관리 서버(100)로 송수신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주차관제장치(200)는 도 2와 같이 주차장의 출입구에 위치할 수 있으며, 주차장의 출입구의 개수에 따라 복수 개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레이더(RADAR(RAdio Detection And Ranging)(300)는 주차장에 설치되어 주차장에 레이더 송신 신호를 송출하고 송출된 레이더 송신 신호가 주차장 내에 존재할 수 있는 다양한 객체들(예를 들어, 차량, 사람, 각종 주차장 시설물 등)로부터 반사되어 수신된 레이더 수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레이더(300)는 레이더 수신 신호를 기초로 감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레이더 신호, 전파, RF(Radio Frequency) 신호는 모두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차량은 주차장에 주차가 필요한 모든 운송수단, 예를 들어, 자동차, 오토바이 등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감지 정보는 레이더 수신 신호 그 자체를 나타내는 정보이거나, 레이더 수신 신호의 분석에 따라 생성된 객체 정보를 의미할 수도 있다. 여기서, 객체 정보는 객체의 존재 유무, 객체의 종류, 객체의 크기, 객체의 모양, 객체의 위치 정보, 객체의 속도 정보 및 객체의 이동 경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객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레이더(300)는 생성된 감지 정보를 주차 관리 서버(100)로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이더(300)는 반사되어 수신되는 신호 정보를 주차 관리 서버(100)로 송신하거나, 레이더(300)는 신호 정보를 분석하여 객체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객체 정보를 주차 관리 서버(100)로 송신할 수도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레이더(300)는, 도 2와 같이, 주차장의 모서리에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주차장의 가장자리에 레이더를 설치하는 경우, 하나의 레이더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주차장 전 범위에 대한 관리를 수행할 수 있기에, 관리 효과 및 비용 절감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다만, 레이더(300)의 설치 위치는 일 예시이며, 레이더 안테나의 송수신 각도, 주차장의 크기, 전파의 감지 범위 등을 고려하여, 복수 개가 설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주차장의 크기에 따라 주차장 전 영역에 대한 감지가 불가능한 경우, 넓은 영역에 전방향으로 레이더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주차장 모서리에 각각 설치되거나, 주차장 중앙에 복수 개가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카메라(400)는 주차장에 설치되어, 주차장 내에 차량을 촬영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카메라(400)는 주차 관리 서버(100)의 제어 명령에 따라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카메라(400)에서 촬영된 영상 데이터는 주차 관리 서버(100) 또는 기타 다른 외부 서버 등으로 전송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카메라(400)는, 도 2와 같이, 레이더(300)와 인접하게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주차 안내 표시장치(500)는 주차장에 진입하거나 주차장으로부터 진출한 차량의 운전자에게 유의미한 각종 안내 데이터를 표출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일 예로, 주차 안내 표시장치(500)는 음성안내, 경고음, 디스플레이 등을 통해서, 차량의 운전자에게 주차장에서 차량이 현재 주차 가능한 위치가 어디인지 안내하거나 또는 차량이 현재 주차된 위치를 안내하거나 또는 주차장에 진입한 차량이 주차를 위하여 올바른 경로로 이동하지 않는 경우 올바른 경로로 유도하도록 안내하는 주차 유도 안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주차안내 표시장치(500)에는 스마트폰(501), 태블릿(502) 및 주차장에 설치된 전광판(503)이 포함될 수 있다.
다만, 주차안내 표시장치(500)는 상술한 예시에 제한되지 않으며, 주차 관리 서버(100)와 통신 가능한 다양한 전자 기기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차안내 표시장치(500)는 유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하여 주차 관리 서버(100)에 접속하여 각종 안내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는 노트북 컴퓨터, PC(Personal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내비게이션 등으로 구현되거나, 사용자의 몸에 착용 가능한 스마트 글래스, 스마트 워치 등의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후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레이더 기반의 주차 관리 시스템(1000)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레이더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 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레이더 장치(300)는 송신부(310), 수신부(320), 신호 처리부(330)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레이더 장치(300)는 주차장의 일 영역에 설치되어 주차장에 레이더 송신 신호를 송출하고 송출된 레이더 송신 신호가 주차장 내에 존재할 수 있는 다양한 객체들로부터 반사되어 수신된 레이더 수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송신부(310)는 레이더 송신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그리고, 수신부(320)는 송신부(310)에서 송출된 레이더 송신 신호가 주변에서 반사되어 수신된 레이더 수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신호 처리부(330)는 수신부(320)에 수신된 레이더 수신 신호를 기초로 감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예로, 신호 처리부(330)에서 생성된 감지 정보는 수신부(320)에서 수신된 레이더 수신 신호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신호 처리부(330)는 수신부(320)에서 수신된 레이더 수신 신호를 분석하여 레이더 수신 신호로부터 주차장에 위치하는 객체들의 정보를 생성하는 분석 단계를 수행하지 않고, 레이더 수신 신호의 파형 등과 같은 레이더 수신 신호 자체에 대한 정보를 감지 정보로 생성할 수 있다. 단, 이 경우, 신호 처리부(330)에서 생성된 레이더 수신 신호의 정보는 신호에 대한 노이즈 제거 등의 전처리가 수행된 신호이거나 또는 수행되지 않은 신호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신호 처리부(330)에서 생성된 감지 정보는 수신부(320)에서 수신된 레이더 수신 신호의 분석 결과로 생성된 객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신호 처리부(330)는 수신부(320)에서 수신된 레이더 수신 신호를 분석하여 레이더 수신 신호로부터 주차장에 위치하는 객체들의 정보를 생성하는 분석 단계를 수행하고, 신호 처리부(330)는 분석에 따라 객체의 존재 유무, 객체의 종류, 객체의 크기, 객체의 모양, 객체의 위치 정보, 객체의 속도 정보 및 객체의 이동 경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객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레이더 장치(300)는 신호 처리부(330)에서 생성된 감지 정보를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주차 관리 서버(100)에 전송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 예에 따른 주차 관리 서버(100)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주차 관리 서버(100)는 통신부(110), 위치 추적부(120), 주차 관리 정보 생성부(130), 검출부(140), 선호 주차 위치 판단부(150), 이동 경로 예측부(160), 주차 유도 안내 정보 생성부(170), 카메라 제어부(180), 저장부(190) 및 제어부(195)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주차 관리 서버(100)가 다른 장치들과 통신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부(110)는 주차관제장치(200), 레이더(300), 카메라(400), 주차안내 표시장치(500), 외부 장치 및 외부 서버의 전부 또는 일부와 통신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부(110)는 주차장에 설치되어 전파의 송수신에 따라 주차장 내 차량을 감지하거나 및/또는 차량의 이동을 감지하는 레이더(300)로부터 감지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10)는 주차 관제 장치(200)로부터 주차장에 진입 및/또는 진출하는 차량에 대한 차량 번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10)는 차량의 운전자에게 주차 유도 안내를 위한 정보를 주차 안내 표시 장치(5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통신부(110)는 카메라(400)로 카메라(4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10)는 주차관제장치(200)나 카메라(400)로부터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수신 받을 수도 있다.
여기서 통신부(110)는 근거리 통신망(LAN : Local Area Network) 및 인터넷망을 통해 무선 또는 유선방식으로 접속되는 형태, USB(Universal Serial Bus)포트를 통하여 접속되는 형태, 3G, 4G와 같은 이동 통신망을 통해 접속되는 형태, NFC(Near Field Communication,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Wi-Fi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방식을 통해 접속되는 형태 등과 같이 다양한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위치 추적부(120)는 수신된 감지 정보를 기초로 주차장에서 차량의 이동을 추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위치 추적부(120)는 레이더(300)로부터 수신된 감지 정보가 객체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객체 정보를 기초로 해당 객체가 차량인지 차량이 아닌지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수신된 객체 정보가 차량이라고 판단된 경우, 위치추적부(120)는 객체 정보에 포함된 위치 정보의 변화를 기초로 주차장 내 차량의 이동을 추적할 수 있으며, 해당 차량의 주차장 내 이동 속도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위치추적부(120)는 레이더(300)로부터 수신된 감지 정보가 객체 정보를 포함하지 않고 레이더 수신 신호의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위치추적부(120)는 레이더 수신 신호 정보를 분석하여 레이더 수신 신호로부터 주차장에 위치하는 객체들의 정보를 생성하는 분석 단계를 수행하고, 분석에 따라 객체의 존재 유무, 객체의 종류, 객체의 크기, 객체의 모양, 객체의 위치 정보, 객체의 속도 정보 및 객체의 이동 경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객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위치추적부(120)는 객체 정보가 차량이라고 판단된 경우, 위치추적부(120)는 객체 정보에 포함된 위치 정보의 변화를 기초로 주차장 내 차량의 이동을 추적할 수 있으며, 해당 차량의 주차장 내 이동 속도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위치추적부(120)는 필요에 따라 차량이 아닌 대상의 이동을 추적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외부인이 출입 불가능한 주차장의 경우에는 위치추적부(120)는 사람의 이동을 추적할 수도 있다.
한편, 주차 관리 정보 생성부(130)는 차량에 대한 주차 관리 정보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주차 관리 정보 생성부(130)는 위치 추적부(120)에서 추적한 차량의 주차 여부를 판단하고, 차량이 주차로 판단되면 해당 차량의 주차 위치가 포함된 주차 관리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주차 관리 정보는 위치 추적부(120)에서 추적한 차량의 이동 경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주차 관리 정보 생성부(130)는 주차 관제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차량 번호 정보를 주차 관리 정보에 매칭시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주차 관리 정보 생성부(130)는 주차 관리 정보에 차량의 주차면 위치 정보 및 주변 환경 정보를 매칭시켜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주변 환경 정보는 차량이 주차한 주차면 위치에 인접한 주차면에 주차된 차량의 존재 유무, 날씨 및 차량 종류, 주차 위치의 주차면 크기, 주변 밝기 및 출입구와의 거리 등이 포함된 정보이며, 이는 기 저장된 주차장 정보이거나 공공기관서버로부터 수신 받은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주변 환경 정보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운전자가 주차위치를 선정할 때, 고려하는 추가적인 사항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표 1과 같이 주차 관리 정보 생성부(130)는 차량의 이동 경로 정보, 차량이 주차한 주차면 위치 정보, 차량의 번호 정보, 차량 이미지 및 촬영된 시간 정보 등을 매칭하여 주차 관리 정보를 생성하며, 생성된 주차 관리 정보를 저장부(190)에 저장할 수 있다.
주차 관리 정보 이동경로 주차면 위치 차량번호 차량이미지 촬영 시간 주변 환경 정보
a . b-1 1가1111 Image1 PM 2시 30분 .
b . a-5 1나1111 Image2 PM 3시 30분 .
한편, 주차 관리 정보 생성부(130)는 생성된 주차 관리 정보를 분석하여, 주차장에 구비된 복수의 주차면들 중 공석으로 주차가 가능한 주차면의 위치를 판단하고, 생성된 주차 관리 정보에 해당 주차장의 주차 가능한 주차면 위치를 포함시켜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주차 관리 정보 생성부(130)는 차량이 주차하지 않은 경우에도 주차 관리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차량이 주차한 주차면의 위치만을 포함하지 않은 주차 관리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한편, 검출부(140)는 주차관제장치(200)나 카메라(400)로부터 수신된 차량 이미지에서 이미지 정보를 검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이미지 정보는 촬영 카메라가 무엇인지(예를 들어, 카메라 스펙, 카메라 설치 위치, 카메라 종류 등)를 나타내는 촬영 카메라 정보, 이미지의 촬영 시간을 나타내는 촬영 시간, 이미지에 포함된 차량이 무엇인지(예를 들어, 차량의 종류)나타내는 차량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검출된 영상 정보는 주차 관리 정보 생성부(130)에 의해 주차 관리 정보에 매칭되어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저장부(190)는 주차 관리 서버(100)의 동작에 필요한 다양한 데이터 및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190)에는 주차 관리 정보, 기 저장된 차량 번호, 주차장 지도 정보, 주차 위치 데이터 세트, 선호 위치 데이터 세트 및 주차 관리 서버의 주차 관리 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저장부(190)는 RAM(Random Access Memory), 플레시메모리,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on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레지스터, 하드디스크, 리무버블 디스크, 메모리 카드,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등과 같은 내장된 형태의 저장소자는 물론, USB 메모리 등과 같은 착탈가능한 형태의 저장소자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저장부(190)는 주차 관리 서버(100) 내에 구현되거나 또는 주차 관리 서버(100)와 연결된 외부 데이터 베이스(DB) 서버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검출부(140)는 특정 조건에 해당하는 차량을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특정 조건은 기 저장된 차량 번호에 대응하는 경우나 주차장 내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기 저장된 차량 번호는 범죄나 기타 이유로 주차 관리 서버(100)에 저장되어 있거나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된 차량 번호를 의미할 수 있고, 주차장 내 사고는 주차장 내 이동하면서 발생한 교통사고를 의미할 수 있다 즉, 특정 조건에 해당하는 차량은 기 저장된 차량 번호에 대응하는 차량이거나 주차장 내 발생한 교통사고에 연관된 차량을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검출부(140)는 주차 관제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차량 번호와 기 저장된 차량 번호를 비교하여 특정 조전에 해당하는 차량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검출부(140)는 레이더(300)로부터 수신된 감지 정보를 기초로 주차장 내 사고가 발생한 차량을 검출할 수 있다. 검출부(140)는 객체 정보에 포함된 객체의 위치를 기초로, 주차장 내 사고가 발생한 차량을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출부(140)는 복수의 객체 정보에 포함된 객체의 위치 정보가 서로 인접하게 되는 경우, 주차장 내 사고가 발생했다고 인식하고, 해당 차량을 인식할 수 있으며, 복수의 객체 정보에 포함된 객체 종류에 따라, 차량 간 교통사고 인지 차량과 사람 간의 교통사고인지를 판단할 수도 있다.
한편, 선호 주차 위치 판단부(150)는 차량 운전자의 주차 정보를 기초로 선호하는 주차 위치로 이루어진 선호 주차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호 주차 위치 판단부(150)는 차량 운전자의 과거 주차 이력 정보를 기초로 해당 운전자의 과거 주차 위치, 주차 시 인접 차량의 존재 유무, 차량의 종류, 주차 위치의 주차면의 크기, 입출구와의 거리 등 각종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그리고, 선호 주차 위치 판단부(150)는 상기 수집된 정보들을 분석하여 해당 운전자의 선호 주차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선호 주차 위치 판단부(150)는 주차 관리 정보에 포함된 주변 환경 정보를 고려하여 선호 주차 위치를 판단할 수도 있다.
한편, 이동 경로 예측부(160)는 주차장에 진입한 차량의 이동 경로를 예측할 수 있다. 이렇게 예측된 이동 경로는 해당 차량에 대한 주차 유도 안내 시 유의미한 데이터로 활용될 수 있다.
일 예로, 이동 경로 예측부(160)는 주차관제장치(200)나 카메라(400)로부터 주차장에 진입하는 차량에 대한 이미지를를 수신하고, 수신된 차량 이미지를 를 분석하여 차량의 이동 경로를 예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좌우측으로 양 방향으로 주행 가능한 주차장에 운전자가 진입하면, 운전자는 좌측으로 주행하여 주차장의 좌측의 주차면에 차량을 주차할지 또는 우측으로 주행하여 주차장의 우측의 주차면에 차량을 주차할지 판단하고, 판단에 따라 차량 핸들을 회전시켜 이동을 준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차량의 예상 이동 경로는 차량 이미지에서 차량 바퀴, 턴 시그널 또는 차량의 핸들로부터 판단될 수 있다.
이동 경로 예측부(160)는 수신된 차량 이미지로부터 차량의 바퀴, 턴 시그널 또는 차량의 핸들을 검출하고, 검출된 바퀴의 방향, 턴 시그널의 지시 방향 또는 차량의 핸들 회전 방향을 기초로 차량의 이동 경로(예를 들어, 좌측, 우측, 직진 등)를 예측할 수 있다. 또한, 예측부(160)는 레이더(300)로부터 수신된 감지 정보를 분석하여, 차량의 이동 경로를 예측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이동 경로 예측부(160)는 레이더(300)로부터 수신된 감지 정보를 분석하여, 차량의 이동 경로를 예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좌우측으로 양 방향으로 주행 가능한 주차장에 운전자가 진입하면, 운전자는 좌측으로 주행하여 주차장의 좌측의 주차면에 차량을 주차할지 또는 우측으로 주행하여 주차장의 우측의 주차면에 차량을 주차할지 판단하고, 판단에 따라 차량 핸들을 회전시켜 소정 거리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차량의 예상 이동 경로는 차량이 이동 궤적이 어느 방향을 향하고 있는지 로부터 판단될 수 있다.
이동 경로 예측부(160)는 소정 시간 간격 동안 수신된 감지 정보로부터 주차장에 진입한 차량의 제1 시점의 제1 위치와 소정 시간 후인 제2 시점의 제2 위치를 판단하고, 제1 위치와 제2 위치를 기초로 차량의 이동 궤적이 어느 방향을 향하고 있는지 판단하고, 이를 기초로 차량의 이동 경로를 예측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이동 경로 예측부(160)는 선호 주차 위치 판단부(150)에서 판단된 운전자의 선호 주차 위치 데이터와 해당 주차장의 주차 가능한 주차면의 위치로 이루어진 주차 가능 위치 데이터를 비교하여 차량의 이동 경로를 예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동 경로 예측부(160)는 저장부(190)에 저장된 주차 관리 정보를 기초로 주차장에서 공석으로 주차가 가능한 주차면의 위치로 이루어진 주차 가능 위치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 저장된 주차장의 전체 주차면의 위치와 현재 주차 관리 정보에 매칭된 차량이 주차한 주차면 위치를 비교하여, 주차장의 현재 주차 가능한 주차면의 위치를 판단하여 주차 가능 위치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경로 예측부(160)는 선호 주차 위치 판단부(150)에서 판단된 운전자의 선호 주차 위치 데이터와 해당 주차장의 주차 가능한 위치로 이루어진 주차 가능 위치 데이터를 비교하여, 현재 주차장의 주차 환경에서 차량의 운전자가 이동할 가능성이 높은 주차면 위치 후보를 검출하고, 검출된 후보 리스트를 기초로 차량의 이동 경로를 예측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이동 경로 예측부(160)는 인공 신경망 네트워크(artifical neural network)를 이용하여 주차장에 진입한 차량의 이동 경로를 미리 예측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이동 경로 예측부(160)는 차량의 예상 이동 경로를 예측할 수 있는 차량 바퀴, 턴 시그널 또는 차량의 핸들 이미지로 이루어진 이미지 세트를 이동 경로의 방향(좌측, 우측, 직진 등)으로 라벨링 한 학습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경로 예측부(160)는 학습 데이터에 대해 딥러닝(deep learning)을 수행하여 이동 경로 예측 모델을 구축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 경로 예측부(160)는 주차장에 진입한 차량의 이미지가 수신되면, 해당 이미지로부터 상기 이동 경로 예측 모델을 통해 차량의 이동 경로를 예측할 수 있다. 여기서, 딥러닝(deep learning)은 신경망 모델 중 하나인 CNN(Convolution Neural Network) 알고리즘이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딥 러닝은 차량 이미지의 다양한 조건을 가정하여 증식(augmentation)된 데이터를 통해 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조건이란 신경망 모델의 학습을 위한 데이터의 생성을 위해 학습 데이터로 수집된 영상을 변환하기 위한 조건을 정의한다. 구체적으로 차량 이미지는 증식 조건으로 영상 내에서 위치 이동(shift), 회전(rotation), 밝기(brightness) 변화, 번짐(blur) 등의 요소들에 의해 다양한 양상을 보일 수 있으므로 이를 고려하여 데이터를 증식할 수 있다.
한편, 주차 유도 안내 정보 생성부(170)는 차량의 주차유도를 위한 안내 정보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주차 유도 안내 정보 생성부(170)는 주차장에서 차량이 현재 주차 가능한 위치가 어디인지 안내하거나 또는 차량이 현재 주차된 위치를 안내하거나 또는 주차장에 진입한 차량이 주차를 위하여 올바른 경로로 이동하지 않는 경우 올바른 경로로 유도하도록 안내하는 주차 유도 안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예로, 주차 유도 안내 정보 생성부(170)는 이동 경로 예측부(160)에 의해 예측된 이동 경로와 주차장의 주차 가능한 주차면 위치를 비교하여 예측된 이동 경로로 주행 시 주차가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주차장에서 발생 가능한 시나리오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주차장에서의 차량의 이동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 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주차장에 신규 진입한 차량의 이동 경로가 이동 경로 예측부(160)에 의하여 우측으로 예측 되었는데, 현재 주차장의 우측에는 주차 가능한 주차면이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이 상황에서 차량이 주차장에서 우측으로 주행하는 경우, 차량의 운전자는 주차 공간을 찾지 못하고, 한바퀴 돌고 나온 후 다시 좌측 주차 공간으로 주행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안내 정보 생성부(170)는 예측된 이동 경로와 주차장의 주차 가능한 주차면 위치를 비교하여 예측된 이동 경로로 주행 시 주차가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에 따라 신규 진입 차량의 운전자에게 주차가 가능한 주차면으로 유도하기 위한 안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예로, 우측 주차 공간에는 주차 공간이 없는데 차량이 우측으로 주행이 예상되는 경우, 우측으로 주행하는 경우 주차가 불가능함을 안내하는 안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우측 주차 공간에는 주차 공간이 있는데 차량이 우측으로 주행이 예상되는 경우, 우측으로 주행하는 경우 주차가 가능함을 안내하는 안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안내 정보 생성부(170)에서 생성된 안내 정보는 주차안내 표시장치(500)에 전송될 수 있고, 주차안내 표시장치(500)는 생성된 안내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즉, 내 정보는 주차안내 표시장치(500)의 알람이 울리도록 하는 제어 명령 또는 메시지가 표시되도록 하는 UI 정보일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에에 따른 전광판에 표시된 안내 정보를 나타내는 예시도 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주차 관리 서버(100)는 좌측 주차 공간에는 주차 공간이 없는데 차량이 좌측으로 주행이 예상되는 경우, 좌측으로 주행하는 경우 주차가 불가능함을 안내하도록 주차장에 설치된 전광판(503)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주차 관리 서버(100)는 안내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안내 정보를 전광판(503)에 전송하여, 전광판(503)에서 “좌측에는 주차 공간이 없습니다. 우측으로 이동하시기 바랍니다.”와 같이 주차 유도 안내 정보를 표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안내 정보 생성부(170)는 선호 주차 위치와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를 기초로, 차량의 운전자에게 선호 주차 위치로 주차하도록 유도하기 위한 안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7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7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에 표시된 안내 정보를 나타내는 예시도 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안내 정보 생성부(170)는 주차안내 표시장치(500) 중 하나인 테블릿(502)의 디스플레이에 주차장의 현재 주차면을 나타내는 주차장 지도를 (ㄱ)와 같이 표시되고, 표시된 주차장 지도 상에 운전자가 선호하는 주차 위치(ㄴ)가 표시되며, 운전자가 선호 주차 위치(ㄴ)로 주차할 수 있도록 선호 주차 위치까지의 이동 경로(ㄷ)가 표시되도록 주차 주차 유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안내 정보 생성부(170)는 현재 차량의 위치(ㄹ)도 함께 주차안내 표시장치(500)에 표시되도록 주차 안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현재 차량의 위치는 레이더(300)를 이용해 판단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원 발명은 운전자가 선호하는 주차 위치에 주차할 수 있도록 주차 유도를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레이더(300)를 이용해 주차장에 차량의 현재 위치를 표시함으로써, 인접한 주차면들 사이에서 선호 주차 위치까지 정확하게 차량유도를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주차 유도 안내 정보 생성부(170)는 선호 주차면 위치까지의 이동 경로 및/또는 선호 주차면 위치에 타차량이 진입하거나, 장애물이 있는 존재하여 차량의 이동에 영향을 주는 경우에 타차량 및 장애물을 고려하여 주차 유도 안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주차 유도 안내 정보 생성부(170)는 주차 주차 유도 정보를 생성한 이후에, 주차 주차 유도 정보에 포함된 이동 경로나 선호 주차면 위치에 타차량이나 장애물이 존재하는 경우, 선호 주차면 위치까지의 이동 경로를 수정하거나 선호 주차면 위치를 수정하여 주차 주차 유도 정보를 재생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본 발명은 실시간으로 변동하는 주차장 상황을 반영하여 운전자에게 주차 유도 안내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카메라 제어부(180)는 카메라(400)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카메라 제어부(180)는 레이더(300)의 감지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의 이동에 따라 카메라(400)의 촬영 방향을 제어하도록 제어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제어부(180)는 차량과 카메라(400)간의 거리에 기초하여 카메라(400)의 줌인(ZOOM-IN) 또는 줌아웃(ZOOM-OUT)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명령을 생성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특정 객체의 영상을 지속적으로 촬영할 수 있으며, 특정 객체가 카메라(400)와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더라도 해당 객체에 대한 영상을 일정하게 촬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레이더와 카메라를 동시에 이용하여 주차장 내 다양한 객체들 중 모니터링이 필요한 대상에 대한 정확하고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가능하기에, 주차장 내의 보안 문제도 효과적으로 해결할 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95)는 통신부(110), 위치 추적부(120), 주차 관리 정보 생성부(130), 검출부(140), 선호 주차 위치 판단부(150), 이동 경로 예측부(160), 주차 유도 안내 정보 생성부(170), 카메라 제어부(180) 저장부(190)의 전부 또는 일부를 제어하여, 상술한 동작이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8 내지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주차 관리 방법에 대해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주차 관리 시스템의 전반적인 동작을 나타내는 타이밍도 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먼저 주차장에 설치되어 전파의 송수신에 따라 상기 주차장 내 차량을 감지하는 레이더(300)가 주차장에 대한 감지 정보를 주차 관리 서버(100)에 전송할 수 있다(S11).
이 경우, 주차 관리 서버(100)는 레이더(300)로부터 수신된 감지 정보를 기초로 주차장에서 차량의 이동을 추적할 수 있다(S12).
그리고, 주차 관리 서버(100)는 추적한 차량의 주차 여부를 판단하고(S13), 상기 차량이 주차로 판단되면 상기 차량의 주차 관리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14).
한편, 상기 주차장에 신규 차량이 진입하면, 주차 관리 서버(100)는 신규 진입 차량의 이동 경로를 예측할 수 있다(S15).
그리고, 주차 관리 서버(100)는 예측된 이동 경로와 주차장의 주차 가능한 주차면 위치를 이용하여 주차 유도 안내 정보를 생성하고(S16). 생성된 주차 유도 안내 정보를 주차 안내 표시 장치(5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주차 안내 표시 장치(500)는 주차 유도 안내 정보를 기초로 주차 유도 안내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주차 관리 시스템(1000)에서 주차 관리 서버(100)의 동작은 도 9 내지 11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주차 관리 서버의 주차 관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주차 관리 서버(100)는 주차장에 설치되어 전파의 송수신에 따라 주차장 내 차량을 감지하는 레이더(300)로부터 감지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110). 여기서, 수신한 감지 정보는 레이더 수신 신호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수신한 감지 정보는 레이더 수신 신호의 분석 결과로 생성된 객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주차 관리 서버(100)는 수신된 감지 정보를 기초로 주차장에서 차량의 이동을 추적할 수 있다(S120).
구체적으로, 레이더(300)로부터 수신된 감지 정보가 객체 정보를 포함하지 않고 레이더 수신 신호의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주차 관리 서버(100)는 레이더 수신 신호 정보를 분석하여 레이더 수신 신호로부터 주차장에 위치하는 객체들의 정보를 생성하는 분석 단계를 수행하고, 분석에 따라 객체의 존재 유무, 객체의 종류, 객체의 크기, 객체의 모양, 객체의 위치 정보, 객체의 속도 정보 및 객체의 이동 경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객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위치추적부(120)는 객체 정보가 차량이라고 판단된 경우, 위치추적부(120)는 객체 정보에 포함된 위치 정보의 변화를 기초로 주차장 내 차량의 이동을 추적할 수 있으며, 해당 차량의 주차장 내 이동 속도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수신된 감지 정보가 객체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주차 관리 서버(100)는 객체 정보를 기초로 객체가 차량인지 차량이 아닌지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수신된 객체 정보가 차량이라고 판단된 경우, 주차 관리 서버(100)는 객체 정보에 포함된 위치 정보의 변화를 기초로 주차장 내 차량의 이동을 추적할 수 있으며, 해당 차량의 주차장 내 이동 속도도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주차 관리 서버(100)는 추적한 차량의 주차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30). 구체적으로, 주차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30)에서 주차 관리 서버(100)는 위치 정보의 변화량을 기초로 차량의 주차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차 관리 서버(100)는 객체 정보에 포함된 위치 정보가 일정 시간 동안 변화가 없는 경우, 해당 차량은 현재 위치에 주차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주차 관리 서버(100)는 차량이 주차한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차량의 주차 관리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140). 구체적으로, 주차 관리 서버(100)는 기 저장된 주차장 지도로 주차 관리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생성된 주차 관리 정보는 주차 관리 서버(100)의 저장부(190)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주차 정보는 해당 차량의 이동 경로 정보, 주차면 위치 정보, 주차장의 주차 가능한 주차면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본 발명은 주차장에 주차된 차량들의 주차된 위치, 이동 경로를 파악할 수도 있다.
한편, 도 9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주차 관리 서버(100)는 주차장에 진입 및/또는 진출하는 차량에 대한 차량 번호를 수신 받을 수 있다. 여기서, 차량 번호는 주차관제장치(200) 또는 카메라(400)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또한, 주차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140)에서 주차 관리 서버(100)는 수신된 차량 번호를 해당 차량의 주차 정보에 함께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수신된 차량 번호는 차량의 이동을 추적하는 단계(S120)에서도 이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차량 번호를 이용하여 해당 차량 번호에 대응되는 차량의 주차 위치를 판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9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주차 관리 서버(100)는 주차관제장치(200) 또는 카메라(400)로부터 주차장에 진입 및/또는 진출하는 차량 이미지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주차 관리 서버(100)는 수신한 차량 이미지에 대한 이미지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미지 정보는 촬영 카메라 정보, 촬영 시간 정보 및 상기 이미지에 포함된 차량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주차 관리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140)에서 주차 관리 서버(100)는 검출된 이미지 정보를 해당 차량의 주차 관리 정보에 함께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주차된 차량의 이미지 또는 주차 시간 등과 같은 추가적인 정보를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어서, 도 10을 참조하여 주차 관리 서버(100)의 차량의 선호 주차 위치를 이용한 이동 경로 예측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주차 관리 서버(100)는 주차장에 신규 차량이 진입하면, 신규 진입 차량 운전자의 과거 주차 이력을 기초로 신규 진입 차량 운전자의 선호 주차면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S210). 구체적으로, 주차 관리 서버(100)는 차량 운전자의 과거 주차 이력 정보를 기초로 해당 운전자의 과거 주차 위치, 주차 시 인접 차량의 존재 유무, 차량의 종류, 주차 위치의 주차면의 크기, 입출구와의 거리, 주변 환경 정보 등 각종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그리고, 주차 관리 서버(100)는 상기 수집된 정보들을 분석하여 해당 운전자의 선호 주차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주차 관리 서버(100)는 주차 관리 정보를 기초로 주차장의 주차 가능한 주차면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S220). 구체적으로, 주차 관리 서버(100)는 저장부(190)에 저장된 주차 관리 정보를 기초로 주차장에서 공석으로 주차가 가능한 주차면의 위치로 이루어진 주차 가능 위치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 저장된 주차장의 전체 주차면의 위치와 현재 주차 관리 정보에 매칭된 차량이 주차한 주차면 위치를 비교하여, 주차장의 현재 주차 가능한 주차면의 위치를 판단하여 주차 가능 위치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그리고, 주차 관리 서버(100)는 획득된 선호 주차면 위치와 주차장의 주차 가능한 주차면 위치를 비교하여 현재 주차장의 주차 환경에서 신규 차량이 이동할 가능성이 높은 주차면 위치 후보를 검출할 수 있다(S230). 그리고, 주차 관리 서버(100)는 검출된 후보를 기초로 차량의 이동 경로를 예측할 수 있다(S240).
한편, 주차 관리 서버(100)의 이동 경로 예측 방법은 위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 주차 관리 서버(100)는 주차관제장치(200)나 카메라(400)로부터 주차장에 진입하는 차량에 대한 이미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차량 이미지의 차량 바퀴, 턴 시그널 또는 차량의 핸들을 분석하여 를 분석하여 차량의 이동 경로를 예측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주차 관리 서버(100)는 레이더(300)로부터 수신된 감지 정보를 분석하여, 차량의 이동 경로를 예측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주차 관리 서버(100)는 인공 신경망 네트워크(artifical neural network)를 이용하여 주차장에 진입한 차량의 이동 경로를 미리 예측할 수도 있다.
이어서, 도 11을 참조하여 주차 관리 서버(100)의 이동 경로 예측에 따른 주차 유도 안내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주차 관리 서버(100)는 주차장에 신규 차량이 진입하면, 신규 진입 차량의 이동 경로를 예측할 수 있다(S310).
그리고, 주차 관리 서버(100)는 주차 관리 정보를 기초로 주차장의 주차 가능한 주차면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S320).
그리고, 주차 관리 서버(100)는 예측된 이동 경로와 주차장의 주차 가능한 주차면 위치를 비교하여 예측된 이동 경로로 주행 시 주차가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S330).
그리고, 주차 관리 서버(100)는 판단에 따라 신규 진입 차량의 운전자에게 주차가 가능한 주차면으로 유도하기 위한 안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340).
그리고, 주차 관리 서버(100)는 생성된 안내 정보를 주차 안내 표시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S350). 여기서, 주차안내 표시장치는 주차장에 설치된 진입표시장치, 진출표시장치, 주차위치 안내장치 및 사용자 단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주차 안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340)에서 주차 관리 정보를 기초로 주차장 지도를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주차장 지도 상에 상기 예측 경로와 상기 신규 진입 차량의 현재 위치를 함께 표시되도록 하는 안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주차 안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340)에서 주차 관리 서버(100)는 예측된 이동 경로에 타차량이 진입하거나, 또는 장애물이 감지되는 경우, 타차량 및 상기 장애물을 고려하여 안내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또한, 주차 안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340)에서 주차 관리 서버(100)는 주차 안내 정보를 생성한 이후에, 주차 안내 정보에 포함된 이동 경로나 선호 주차 위치에 타차량이나 장애물이 존재하는 경우, 선호 주차 위치까지의 이동 경로를 수정하거나 선호 주차 위치를 수정하여 주차 안내 정보를 재생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본원 발명은 실시간으로 변동하는 주차장 상황을 반영하여 운전자에게 주차유도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차량의 이동 경로를 예측한 예측 경로 정보를 통해 주차유도를 수행함으로써, 보다 신속하게 차량유도를 수행할 수 있으며, 운전자가 잘못된 경로로 이동하여 연료 및 시간을 낭비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면에는 개시하지 않았으나, 주차 관리 서버(100)는 차량의 이동에 따라 카메라(400)를 제어할 수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주차 관리 서버(100)는 특정 조건에 해당하는 차량을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특정 조건은 기 저장된 차량 번호에 대응하는 경우나 주차장 내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주차 관리 서버(100)는 주차관제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차량 번호와 기 저장된 차량 번호를 비교하여 특정 조전에 해당하는 차량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주차 관리 서버(100)는 레이더(300)로부터 수신된 감지 정보를 기초로 주차장 내 사고가 발생한 차량을 인식할 수 있다. 즉, 주차 관리 서버(100)는 주차 관리 서버(100)는 객체 정보에 포함된 객체의 위치를 기초로, 주차장 내 사고가 발생한 차량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주차 관리 서버(100)는 인식된 차량의 이동에 따라 카메라(4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주차 관리 서버(100)는 인식된 차량의 이동에 따라 카메라(400)의 촬영 방향을 제어하거나, 주차 관리 서버(100)는 차량과 카메라(400)간의 거리에 기초하여 카메라(400)의 줌인(ZOOM-IN) 또는 줌아웃(ZOOM-OUT) 영상을 확대하거나 축소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주차관제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차량 번호가 기 저장된 차량 번호인 경우, 해당 차량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주차 관리 서버(100)는 해당 차량의 영상이 일정하게 촬영되도록 카메라(400)의 촬영 방향 및 줌인/아웃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주차장의 소정 영역에 설치된 레이더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주차장에 진ㆍ출입 하는 차량의 이동 경로를 추적하고, 차량의 주차 위치 판단 및 주차장의 복수의 주차면에 각각에 대한 차량의 주차 유무 등을 판단할 수 있기에, 주차면마다 차량을 감지를 위한 장치(루프코일 또는 초음파센서)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 시공이 용이하며, 비용 절감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주차장의 가장자리에 레이더를 설치하는 경우, 하나의 레이더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주차장 전 범위에 대한 관리를 수행할 수 있기에, 관리 효과 및 비용 절감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주차장에 설치된 레이더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주차장 내의 다양한 객체들(예를 들어, 사람, 차량, 오토바이 등) 의 타입을 분류하여 인식할 수 있기에, 인식 오차를 최소화하고 주차장의 주차 관리를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주차장에 설치된 레이더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주차장 내에서 이동 중인 다수 차량에 대하여 주차유도를 동시에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빅데이터 기반으로 운전자가 선호하는 주차 위치를 분석하여 주차 유도를 수행함으로써, 운전자의 성향을 고려한 주차 유도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인공 신경망 모델 기반으로 주차장에 진입한 차량의 미래 이동 경로를 예측하여 주차 유도를 수행함으로써, 주차장 내에서 차량의 주차 유도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레이더와 카메라를 동시에 이용하여 주차장 내 다양한 객체들 중 모니터링이 필요한 대상에 대한 정확하고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가능하기에, 주차장 내의 보안 문제도 효과적으로 해결할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 번호를 이용하여 해당 차량 번호에 대응되는 차량의 주차 위치를 판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제 1", "제 2", "제 3" 및 "제 4" 등의 용어는, 만약 있는 경우, 유사한 구성요소 사이의 구분을 위해 사용되며, 반드시 그렇지는 않지만 특정 순차 또는 발생 순서를 기술하기 위해 사용된다. 그와 같이 사용되는 용어는 여기에 기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가, 예컨대, 여기에 도시 또는 설명된 것이 아닌 다른 시퀀스로 동작할 수 있도록 적절한 환경하에서 호환 가능한 것이 이해될 것이다. 마찬가지로, 여기서 방법이 일련의 단계를 포함하는 것으로 기술되는 경우, 여기에 제시된 그러한 단계의 순서는 반드시 그러한 단계가 실행될 수 있는 순서인 것은 아니며, 임의의 기술된 단계는 생략될 수 있고/있거나 여기에 기술되지 않은 임의의 다른 단계가 그 방법에 부가 가능할 것이다.
또한 명세서 및 청구범위의 "왼쪽", "오른쪽", "앞", "뒤", "상부", "바닥", "위에", "아래에" 등의 용어는, 설명을 위해 사용되는 것이며, 반드시 불변의 상대적 위치를 기술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그와 같이 사용되는 용어는 여기에 기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가, 예컨대, 여기에 도시 또는 설명된 것이 아닌 다른 방향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적절한 환경하에서 호환 가능한 것이 이해될 것이다. 여기서 사용된 용어 "연결된"은 전기적 또는 비 전기적 방식으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속되는 것으로 정의된다. 여기서 서로 "인접하는" 것으로 기술된 대상은, 그 문구가 사용되는 문맥에 대해 적절하게, 서로 물리적으로 접촉하거나, 서로 근접하거나, 서로 동일한 일반적 범위 또는 영역에 있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일실시예에서"라는 문구의 존재는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지만 동일한 실시예를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연결된다', '연결하는', '체결된다', '체결하는', '결합된다', '결합하는' 등과 이런 표현의 다양한 변형들의 지칭은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주차 관리 서버 110 : 통신부
120 : 위치추적부 130 : 주차 관리 정보 생성부
140 : 검출부 150 : 선호 주차 위치 판단부
160 : 이동 경로 예측부 170 : 주차 유도 안내 정보 생성부
180 : 카메라 제어부 190 : 저장부
195 : 제어부 200 : 주차관제장치 300 : 레이더 400 : 카메라
500 : 주차안내 표시장치

Claims (15)

  1. 서버에서 수행하는 레이더 기반의 주차 관리 방법에 있어서,
    주차장에 설치되어 전파의 송수신에 따라 상기 주차장 내 차량을 감지하는 레이더로부터 감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감지 정보를 분석하여 레이더 수신 신호로부터 주차장에 위치하는 객체들에 대한 객체 종류 정보 및 객체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객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객체 종류 정보를 기초로 객체가 차량이라고 판단된 경우, 상기 객체 위치 정보에 따른 상기 차량의 위치 변화를 기초로 주차장 내 차량의 이동을 추적하고, 해당 차량의 주차장 내 이동 속도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추적한 차량의 주차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차량이 주차로 판단되면 상기 차량의 주차 관리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주차 관리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 관리 정보는 상기 차량의 이동 경로 정보, 상기 차량이 주차한 주차면 위치 정보 및 상기 주차장의 주차 가능한 주차면 위치 정보 중 적어도 두 개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관리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장에 진입 및/또는 진출하는 차량에 대한 차량 번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주차 관리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차량 번호를 상기 주차 관리 정보에 매칭시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관리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장에 진입 및/또는 진출하는 차량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차량 이미지에 대한 이미지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주차 관리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검출된 이미지 정보를 상기 주차 관리 정보에 매칭시켜 저장하고,
    상기 이미지 정보는 촬영 카메라 정보, 촬영 시간 정보 및 상기 이미지에 포함된 차량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관리 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장에 신규 차량이 진입하면, 상기 신규 진입 차량의 이동 경로를 예측하는 단계;
    상기 주차 관리 정보를 기초로 상기 주차장의 주차 가능한 주차면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예측된 이동 경로와 상기 주차장의 주차 가능한 주차면 위치를 이용하여 주차 유도 안내를 수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관리 방법.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장에 신규 차량이 진입하면, 상기 신규 진입 차량 운전자의 과거 주차 이력을 기초로 상기 신규 진입 차량 운전자의 선호 주차면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주차 관리 정보를 기초로 상기 주차장의 주차 가능한 주차면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선호 주차면 위치와 상기 주차장의 주차 가능한 주차면 위치를 비교하여 현재 주차장의 주차 환경에서 상기 신규 차량이 이동할 가능성이 높은 주차면 위치 후보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된 후보를 기초로 차량의 이동 경로를 예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관리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 유도 안내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예측된 이동 경로와 상기 주차장의 주차 가능한 주차면 위치를 비교하여 상기 예측된 이동 경로로 주행 시 주차가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에 따라 상기 신규 진입 차량의 운전자에게 주차가 가능한 주차면으로 유도하기 위한 안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안내 정보를 주차 안내 표시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주차안내 표시장치는 상기 주차장에 설치된 진입표시장치, 진출표시장치, 주차위치 안내장치 및 사용자 단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관리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예측된 이동 경로에 타차량이 진입하거나, 또는 장애물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타차량 및 상기 장애물을 고려하여 안내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관리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주차 관리 정보를 기초로 주차장 지도를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주차장 지도 상에 상기 예측 경로와 상기 신규 진입 차량의 현재 위치를 함께 표시되도록 하는 안내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관리 방법.
  10. 주차 관리 서버에 있어서,
    주차장에 설치되어 전파의 송수신에 따라 상기 주차장 내 차량을 감지하는 레이더로부터 감지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수신된 감지 정보를 분석하여 레이더 수신 신호로부터 주차장에 위치하는 객체들에 대한 객체 종류 정보 및 객체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객체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객체 종류 정보를 기초로 객체가 차량이라고 판단된 경우, 상기 객체 위치 정보에 따른 상기 차량의 위치 변화를 기초로 주차장 내 차량의 이동을 추적하고, 해당 차량의 주차장 내 이동 속도를 판단하는 위치추적부;
    상기 추적한 차량의 주차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차량이 주차로 판단되면 상기 차량의 주차 관리 정보를 생성하는 주차 관리 정보 생성부;를 포함하는 주차 관리 서버.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장에 신규 차량이 진입하면, 상기 신규 진입 차량의 이동 경로를 예측하는 이동 경로 예측부;
    상기 예측된 이동 경로와 상기 주차장의 주차 가능한 주차면 위치를 이용하여 주차 유도 안내를 수행하는 안내 정보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관리 서버.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장에 신규 차량이 진입하면, 상기 신규 진입 차량 운전자의 과거 주차 이력을 기초로 상기 신규 진입 차량 운전자의 선호 주차면 위치를 판단하는 선호 주차 위치 판단부;
    상기 획득된 선호 주차면 위치와 상기 주차장의 주차 가능한 주차면 위치를 비교하여 현재 주차장의 주차 환경에서 상기 신규 차량이 이동할 가능성이 높은 주차면 위치 후보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후보를 기초로 차량의 이동 경로를 예측하는 이동 경로 예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관리 서버.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정보 생성부는,
    상기 예측된 이동 경로와 상기 주차장의 주차 가능한 주차면 위치를 비교하여 상기 예측된 이동 경로로 주행 시 주차가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에 따라 상기 신규 진입 차량의 운전자에게 주차가 가능한 주차면으로 유도하기 위한 안내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통신부는 상기 차량의 운전자가 주차 공간으로 주차하도록 유도하기 위한 주차안내 표시장치로 상기 생성된 안내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주차안내 표시장치는 상기 주차장에 설치된 진입표시장치, 진출표시장치, 주차위치 안내장치 및 사용자 단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관리 서버.
  14.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되어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주차 관리 방법을 실행시키는 저장 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
  15.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주차 관리 서버의 주차 관리 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 코드가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200020308A 2019-07-12 2020-02-19 레이더를 이용하여 주차장에서의 차량의 주차를 관리하는 서버, 시스템,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2869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084383 2019-07-12
KR1020190084383 2019-07-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7812A KR20210007812A (ko) 2021-01-20
KR102286947B1 true KR102286947B1 (ko) 2021-08-06

Family

ID=74304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0308A KR102286947B1 (ko) 2019-07-12 2020-02-19 레이더를 이용하여 주차장에서의 차량의 주차를 관리하는 서버, 시스템,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69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0567B1 (ko) * 2021-03-23 2021-10-08 아마노코리아 주식회사 주차장 내 차량을 감지하는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서버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7731A (ko) * 2002-05-09 2003-11-15 주식회사 제온시스템 진출입차량 보안 통제시스템 및 그 통제방법
KR101094153B1 (ko) * 2010-03-18 2011-12-14 이원석 주차 안내 및 주차장 관리를 위한 통합 시스템
KR20150068680A (ko) * 2013-12-12 2015-06-22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스마트 주차 안내 단말기 및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주차 안내 방법
KR20170012714A (ko) * 2015-07-22 2017-02-03 주식회사 경신 Cctv카메라를 이용한 주차정보 제공 장치
KR20170106615A (ko) * 2016-03-12 2017-09-21 배동진 레이저 거리측정 장치를 이용한 주차차량 감지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7812A (ko) 2021-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709961B (zh) 道路障碍物检测方法、装置及自动驾驶汽车
US9275547B2 (en) Prediction of free parking spaces in a parking area
CN110706506B (zh) 一种泊车的方法、系统、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08172021B (zh) 一种基于摄像机和电子车牌读写器的路侧停车管理系统
KR101525364B1 (ko) 전방위 카메라를 사용하는 차량번호 인식 노상주차 시스템
CN110461675A (zh) 用于基于感测信息控制驾驶的方法和设备
CN109342999B (zh) 基于rfid识别的车库内定位系统及定位方法
CN111845723A (zh) 一种全自动泊车方法及系统
CN110609288A (zh) 一种自动泊车系统的性能测试方法及装置
CN112597807B (zh) 一种违章检测系统、方法、装置、图像采集设备及介质
Dokur et al. Embedded system design of a real-time parking guidance system
US20200107208A1 (en) Arrangement For, And Method Of, Analyzing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Field Coverage in a Venue
KR102286947B1 (ko) 레이더를 이용하여 주차장에서의 차량의 주차를 관리하는 서버, 시스템,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N110942662A (zh) 一种停车场实时反向寻车系统及其方法
KR20100090020A (ko) 알에프아이디 및 유에스엔을 이용한 실시간 주차면 관리와 3차원 가시화 기반의 주차 관리 시스템과 방법
CN111361550A (zh) 车位的识别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09559541B (zh) 一种无人驾驶交通工具路线管理系统
CN111833637A (zh) 车辆监控方法、装置、设备和系统
CN113012199A (zh) 运动目标追踪的系统和方法
Hou et al. Demo abstract: Building a smart parking system on college campus
CN114545424A (zh) 障碍物识别、模型训练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08898886B (zh) 一种停车场车位管理方法、系统和服务器
KR101183138B1 (ko) 레이저 센서를 사용한 주차확인장치 및 방법
US20240020855A1 (en) Multiple sensor handover system for tracking moving object and method of providing parking service in the same
US11812182B1 (en) Field of view handoff for home secur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