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6896B1 - 정류장 시스템 - Google Patents

정류장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6896B1
KR102286896B1 KR1020180151087A KR20180151087A KR102286896B1 KR 102286896 B1 KR102286896 B1 KR 102286896B1 KR 1020180151087 A KR1020180151087 A KR 1020180151087A KR 20180151087 A KR20180151087 A KR 20180151087A KR 102286896 B1 KR102286896 B1 KR 1022868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stop
entrance
unit
guide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10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64689A (ko
Inventor
윤태순
전성준
박현수
임상섭
이선영
Original Assignee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1510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6896B1/ko
Publication of KR202000646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46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68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68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 E04H1/1211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9/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 B60Q9/002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for parking purposes, e.g. for warning the driver that his vehicle has contacted or is about to contact an obstacle
    • B60Q9/007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for parking purposes, e.g. for warning the driver that his vehicle has contacted or is about to contact an obstacle providing information about the distance to an obstacle, e.g. varying sound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05D1/023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optical position detecting means
    • G05D1/0234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optical position detecting means using optical markers or beac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20Monitoring the location of vehicles belonging to a group, e.g. fleet of vehicles, countable or determined number of vehicles
    • G08G1/205Indicating the location of the monitored vehicles as destination, e.g. accidents, stolen, rental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20Monitoring the location of vehicles belonging to a group, e.g. fleet of vehicles, countable or determined number of vehicles
    • G08G1/207Monitoring the location of vehicles belonging to a group, e.g. fleet of vehicles, countable or determined number of vehicles with respect to certain areas, e.g. forbidden or allowed areas with possible alerting when inside or outside bounda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3Bu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류장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버스정류장에 인접된 차도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정차선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식별태그와, 상기 식별태그를 검출할 수 있도록 상기 버스정류장에 접근하는 버스에 설치되는 태그 검출부와, 상기 태그 검출부에서 상기 식별태그가 검출될 경우, 상기 버스가 상기 정차선에 인접된 것으로 판단하여 승객이 승하차하기 위한 상기 버스의 출입구가 개방되도록 상기 출입구를 개폐하는 상기 버스의 개폐유닛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정류장 시스템은 버스 정류장의 정차선에 설치된 식별태그를 버스에 설치된 태그 검출부가 검출시에만 버스의 출입구를 개방하므로 버스가 정차선에 근접할 경우, 승객들이 승하차할 수 있어 승객의 승하차시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정류장 시스템{Bus stop system}
본 발명은 정류장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정류장 근처의 정차선에 근접한 위치에 버스가 정차시 버스의 출입구가 개방될 수 있는 정류장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대도시는 택시, 버스, 경전철, 지하철 등과 같은 다양한 대중교통 시설이 마련되어 있다. 이중 버스는 지상을 운행하는 다인승 차량을 이용한 대중교통으로, 지상에서 운행되므로, 지하철과 같이 지하로 내려가야 하는 불편함이 없으며, 다양한 운행구간이 마련되므로, 시민이 원하는 지점으로 이동하기 위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버스는 정해진 버스 정류장에서만 정차하기 때문에, 최근에는 버스 정류장에 다양한 편이 시설을 설치하여 탑승객의 편의를 도모하고 있다. 예컨대, 전광판을 통해 운행 중인 버스의 도착시간을 예보하여 주기도 하며, 매연으로부터 탑승객을 보호하기 위해 부스 형태의 버스 정류장을 설치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버스 정류장은 승객이 버스의 승차를 위하여 대기하는 장소이면서 버스로부터 승객이 하차하는 장소이기도 하다.
그런데, 최근 들어, 버스 정류장에 정차하는 버스가 정차선으로부터 멀리 이격되게 정차하므로 승객들이 차도로 들어와 버스를 탑승하거나 버스와 인도 사이 공간으로 오토바이나 자전거가 진입하여 승객가 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18464호: 버스 정류장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버스가 정류량의 정차선에 근접할 경우에만, 승객이 버스에 승하차할 수 있게 버스의 출입구를 개방시킬 수 있는 정류장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정류장 시스템은 버스정류장에 인접된 차도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정차선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식별태그와, 상기 식별태그를 검출할 수 있도록 상기 버스정류장에 접근하는 버스에 설치되는 태그 검출부와, 상기 태그 검출부에서 상기 식별태그가 검출될 경우, 상기 버스가 상기 정차선에 인접된 것으로 판단하여 승객이 승하차하기 위한 상기 버스의 출입구가 개방되도록 상기 출입구를 개폐하는 상기 버스의 개폐유닛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정류장 시스템은 상기 버스에 설치되어 상기 버스의 속도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수집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정보수집부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토대로 상기 버스가 정지한 상태에서 상기 태그검출부에서 상기 식별태그가 검출되면, 상기 버스의 출입구가 개방되도록 상기 버스의 개폐유닛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버스의 출입구가 개방되도록 상기 버스의 개폐유닛을 제어시 판별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정차선에 인접된 위치의 상기 차도에 설치되어 알림광을 발생하는 적어도 하나의 알림램프와, 상기 알림램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어모듈에서 상기 판별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제1통신모듈을 구비하되, 상기 판별신호를 수신시 상기 버스의 출입구가 개방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알림광이 발생되도록 상기 알림램프를 제어하는 램프 제어부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버스의 출입구가 개방되도록 상기 버스의 개폐유닛을 제어시 판별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정차선과 인도 사이의 차도에 형성된 인출구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외력이 인가시 구부러질 수 있도록 소정의 탄성을 갖는 안내판넬과, 상기 안내판넬에 설치되어 상기 안내판넬을 상기 차도 상면의 상측으로 이동시키거나 상기 인출구 내측으로 이동시키는 구동유닛과, 상기 구동유닛을 제어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어모듈에서 상기 판별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제2통신모듈을 구비하되, 상기 판별신호를 수신시 상기 버스의 출입부가 개방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버스와 인도사이에 이동수단이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안내판넬이 상기 차도의 상면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구동유닛을 작동시키는 안내 제어부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정류장 시스템은 상기 안내판넬에 충돌하는 상기 이동수단을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안내판넬의 외측면에 설치되는 접촉센서와, 상기 안내판넬에 설치되어 상기 안내판넬에 진동을 인가하는 바이브레이터를 더 구비하고, 상기 안내 제어부는 상기 접촉센서로부터 제공된 감지정보를 토대로 상기 안내판넬에 상기 이동수단이 충돌시 상기 이동수단으로 진동이 전달될 수 있도록 상기 바이브레이터를 작동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정류장 시스템은 버스 정류장의 정차선에 설치된 식별태그를 버스에 설치된 태그 검출부가 검출시에만 버스의 출입구를 개방하므로 버스가 정차선에 근접할 경우, 승객들이 승하차할 수 있어 승객의 승하차시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류장 시스템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정류장 시스템에 대한 후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정류장 시스템에 대한 블럭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정류장 시스템에 대한 후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정류장 시스템에 대한 후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정류장 시스템에 대한 후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류장 시스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정류장 시스템(10)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정류장 시스템(10)은 버스정류장에 인접된 차도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정차선(20)에 설치된 다수의 식별태그(11)와, 상기 식별태그(11)를 검출할 수 있도록 상기 버스정류장에 접근하는 버스(25)에 설치되는 태그 검출부(12)와, 상기 태그 검출부(12)에서 상기 식별태그(11)가 검출될 경우, 상기 버스(25)가 상기 정차선(20)에 인접된 것으로 판단하여 승객이 승하차하기 위한 상기 버스(25)의 출입구가 개방되도록 상기 출입구를 개폐하는 상기 버스(25)의 개폐유닛(26)을 제어하는 제어모듈(14)을 구비한다.
상기 버스(25)는 내부에 승객이 탑승할 수 있는 탑승공간이 마련되며, 우측면 전후방에, 각각 승객이 승하차하기 위한 출입구가 마련된 바디와, 상기 바디에 설치되어 운전사의 조작에 따라 상기 바디를 운행시키는 차량 구동부와, 상기 출입구를 개폐하는 개폐유닛(26)을 구비한다. 상기 개폐유닛(26)은 상기 출입구들을 각각 개폐할 수 있게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바디에 각각 설치된 출입문과, 상기 출입구가 개폐되도록 상기 출입문을 슬라이딩 시키는 개폐 구동부를 구비한다. 상기 버스(25)는 대중교통수단으로서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버스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식별태그(11)는 버스정류장의 버스 안내 표시판(22)을 기준으로 소정 범위에 위치한 정차선(20)에 설치된다. 상기 정차선(20)은 차도의 가장자리에, 차량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전후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식별태그(11)는 다수개가 정차선(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식별태그(11)는 RFID 태그 또는 NFC 태그가 적용되며, 버스 정류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버스 정류장에 대한 정보에는, 해당 버스 정류장에 정차하기로 설정된 버스 정보 즉, 버스 번호가 포함된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다수의 식별태그(11)가 정차선(20)에 설치된 구조가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식별태그(11)는 도시된 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버스 정류장의 크기에 따라 1개가 정차선(20)에 설치될 수도 있다.
태그 검출부(12)는 버스 정류장 인근의 정차선(20)에 설치된 식별태그(11)들을 검출할 수 있도록 버스(25)의 측면에 설치된다.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상기 태그 검출부(12)는 버스(25)의 우측면에, 바퀴에 인접된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태그 검출부(12)는 RFID 태그 또는 NFC 태그가 적용된 식별태그(11)를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도록 RFID 리더기 또는 NFC 리더기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태그 검출부(12)는 식별태그(11)에 포함된 버스 정류장에 대한 정보를 인식하고, 인식한 버스 정류장에 대한 정보를 제어모듈(14)로 전송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정류장 시스템(10)은 상기 버스(25)에 설치되어 상기 버스(25)의 속도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수집부(13)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정보수집부(13)는 버스(25)의 OBD(On Board Diagnostics)에 연결되어 버스(25)의 운행정보 즉, 버스(25)의 속력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 상기 OBD(On Board Diagnostics)는 버스(25)와 같은 차량에 미리 구비되어 있는 차량 내부 센서로서, 예컨대, 속도 센서, 가속도 센서, 도어 개폐센서, 급정차 감지 센서, 브레이크 페달 조작 감지 센서 등을 통해서 차량의 감속도 및 감가속도를 포함한 차량 내 모든 주행정보를 감지할 뿐 아니라, 운행시간, 운행거리, 사고감지, 일정 운전 기간 중의 시간 및 거리, 급가속 및 급제동의 여부 등의 정보나 냉각수, 브레이크 오일, 엔진 오일, 엔진의 RPM, 진동, 소리, 타이어 공기압, 차량의 가속도, 감가속도, 평균속도, ABS 및 에어백 등 안전 장비 이상 유무, 배터리 전압 등를 수집할 수 있는 장치일 수 있다. 상기 정보수집부(13)는 수집된 해당 버스(25)의 속도정보를 제어모듈(14)로 전송한다.
제어모듈(14)은 상기 버스(25)에 설치되며, 태그 검출부(12)에서 제공되는 검출정보를 토대로 버스(25)의 개폐유닛(26)을 제어한다. 즉, 제어모듈(14)은 상기 태그 검출부(12)에서 상기 식별태그(11)가 검출될 경우, 상기 버스(25)가 상기 정차선(20)에 인접된 것으로 판단하여 승객이 승하차하기 위한 상기 버스(25)의 출입구가 개방되도록 상기 출입구를 개폐하는 상기 버스(25)의 개폐유닛(26)을 제어한다. 이때, 제어모듈(14)은 상기 정보수집부(13)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토대로 상기 버스(25)가 정지한 상태에서 상기 태그 검출부(12)에서 상기 식별태그(11)가 검출되면, 버스(25)가 정차선(20) 인근에서 완전히 정차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버스(25)의 출입구가 개방되도록 상기 버스(25)의 개폐유닛(26)을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모듈(14)은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외부로 음성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스피커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14)은 버스(25)가 정차선(20) 인근에서 완전히 정차한 것으로 판단하면, 스피커를 통해 출입구의 개방에 대한 안내 메세지를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피커를 통해 안내 메세지를 출력하므로 노약자나 청각 장애인과 같이 청력이 약한 승객에게 출입구의 개방에 대한 정보를 보다 용이하게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제어모듈(14)은 태그 검출부(12)에서, 식별태그(11)에 포함된 버스 정류장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정보를 토대로 해당 버스(25)가 해당 버스 정류장에 정차하기로 설정된 버스(25) 중 하나 인지 판별한다. 이때, 제어모듈(14)은 버스(25) 내부에 설치되어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정보표시패널(미도시)을 더 구비하는데, 해당 버스(25)가 버스 정류장에 정차하기로 설정된 버스(25)가 아닐 경우, 상기 정보표시패널을 통해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여 운전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정류장 시스템(10)의 작동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버스 정류장에 버스(25)가 정차하기 위해 버스 정류장의 정차선(20)에 인접하게 이동한다. 버스(25)가 정차선(20)에 인접되게 버스 정류장에 정차할 경우, 버스(25)에 설치된 태그 검출부(12)는 정차선(20)에 설치된 식별태그(11)를 검출하고, 검출된 정보를 제어모듈(14)에 전송한다. 제어모듈(14)은 태그 검출부(12)로부터 식별태그(11)에 대한 검출 정보를 수신하면, 버스(25)가 정차선(20)에 정차된 것으로 판단하여 버스(25)의 출입구가 개방되도록 버스(25)의 개폐유닛(26)을 제어한다.
이때, 버스(25)가 버스 정류장의 정차선(20)에 대해 비교적 먼 위치에 정차할 경우, 태그 검출부(12)에서 식별태그(11)가 미검출되며, 제어모듈(14)은 태그 거물부에서 식별태그(11)의 미검출 정보를 제공받아 출입구가 폐쇄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개폐유닛(26)을 제어한다. 여기서, 버스(25)의 운전자는 태그 검출부(12)가 식별태그(11)를 검출할 수 있도록 버스(25)를 정차선(20)에 인접되게 이동시킨다.
한편, 승객의 승하차가 완료되면, 버스(25)의 운전자는 버스(25) 내부에 마련된 출입구 폐쇄스위치를 조작하고, 출입구 폐쇄스위치는 운전자가 조작시 작동신호를 개폐유닛(26)에 전송한다. 상기 개폐유닛(26)은 작동신호를 수신하면, 출입구를 폐쇄시킨다.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정류장 시스템(10)은 버스 정류장의 정차선(20)에 설치된 식별태그(11)를 버스(25)에 설치된 태그 검출부(12)가 검출시에만 버스(25)의 출입구를 개방하므로 버스(25)가 정차선(20)에 근접할 경우, 승객들이 승하차할 수 있어 승객의 승하차시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4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정류장 시스템(110)이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정류장 시스템(110)은 상기 정차선(20)에 인접된 위치의 상기 차도에 설치되어 알림광을 발생하는 다수의 알림램프(111)와, 상기 알림램프(111)의 작동을 제어하는 램프 제어부(112)를 더 구비한다. 이때, 제어모듈(14)은 통신장치(미도시)를 구비하고, 상기 버스(25)의 출입구가 개방되도록 상기 버스(25)의 개폐유닛(26)을 제어시 즉, 상기 버스(25)가 버스 정류장의 정차선(20)에 인접되게 정차된 것으로 판별되면, 상기 통신장치를 통해 판별신호를 외부로 전송한다.
상기 알림램프(111)는 정차선(20)과 인도(21) 사이의 차도에 설치되며, 다수개가 정차선(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열된다. 상기 알림램프(111)는 알림광을 발생시킬 수 있는 엘이디 램프가 적용된다. 이때, 알림램프(111)는 알림광으로, 적색 또는 녹색의 광을 발생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알림램프(111)는 다수개가 배열된다고 상술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버스 정류장의 크기에 따라 1개가 차도에 설치될 수도 있다.
램프 제어부(112)는 알림램프(111)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어모듈(14)에서 상기 판별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제1통신모듈(미도시)을 구비하되, 상기 판별신호를 수신시 상기 버스(25)의 출입구가 개방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알림광이 발생되도록 상기 알림램프(111)를 제어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정류장 시스템(110)은 버스(25)의 출입구가 개방시 알림램프(111)를 작동시켜 알림광을 발생시키므로 정류장에 대기 중인 승객들이 보다 신속하게 출입구를 통해 버스(25)에 승차할 수 있고, 버스(25)의 후방에서 버스(25)로 접근하는 이동수단에게 버스(25)의 출입구로 승객의 하차를 경고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정류장 시스템(120)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정류장 시스템(120)은 버스(25)의 출입구가 개방시 버스(25)와 인도(21) 사이에 이동수단이 진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진입방지유닛(121)을 더 구비한다.
상기 진입방지유닛(121)은 상기 정차선(20)과 인도(21) 사이의 차도에 형성된 인출구(125)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외력이 인가시 구부러질 수 있도록 소정의 탄성을 갖는 안내판넬(122)과, 상기 안내판넬(122)에 설치되어 상기 안내판넬(122)을 상기 차도 상면의 상측으로 이동시키거나 상기 인출구(125) 내측으로 이동시키는 구동유닛(123)과, 상기 구동유닛(123)을 제어하는 안내 제어부(124)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인출구(125)는 차도의 상면에 대해 하방으로 소정 깊이 인입되게 형성된다.
안내판넬(122)은 상하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된 사각 구조물로 형성되며, 소정의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된다. 또한, 안내판넬(122)은 후방 외측면에, 외부로 경고광을 발생시킬 수 있는 경고램프(12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경고램프(126)는 안내 제어부(124)에 의해 제어되며, 안내판넬(122)이 차도 상측으로 돌출시 작동된다.
구동유닛(123)은 상단이 안내판넬(122)의 하단부에 설치되고, 하단은 인출구(125)의 바닥면에 고정되며, 인가된 전기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신축되는 잭 스크류가 적용된다. 상기 구동유닛(123)은 안내 제어부(124)에 의해 제어된다.
안내 제어부(124)는 상기 구동유닛(123)을 제어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어모듈(14)에서 상기 판별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제2통신모듈(미도시)을 구비하되, 상기 판별신호를 수신시 상기 버스(25)의 출입구가 개방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버스(25)와 인도(21)사이에 이동수단이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안내판넬(122)이 상기 차도의 상면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구동유닛(123)을 작동시킨다.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진입방지유닛(121)의 작동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버스(25)가 정차선(20)에 인접되게 버스 정류장에 정차할 경우, 버스(25)에 설치된 태그 검출부(12)는 정차선(20)에 설치된 식별태그(11)를 검출하고, 검출된 정보를 제어모듈(14)에 전송한다. 제어모듈(14)은 태그 검출부(12)로부터 식별태그(11)에 대한 검출 정보를 수신하면, 버스(25)가 정차선(20)에 정차된 것으로 판단하여 버스(25)의 출입구가 개방되도록 버스(25)의 개폐유닛(26)을 제어하는데, 이때, 통신장치를 통해 판별신호를 전송한다.
안내 제어부(124)는 제2통신모듈(미도시)을 통해 상기 판별신호가 수신되면, 안내판넬(122)이 차도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구동유닛(123)을 작동시켜 안내판넬(122)을 상측으로 이동시킨다. 또한, 안내 제어부(124)는 버스(25)의 이동에 따라 판별신호가 미수신되면, 안내판넬(122)이 차도 상면에 대해 하방으로 인입되도록 안내판넬(122)이 하측으로 이동되게 구동유닛(123)을 제어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정류장 시스템(120)은 진입방지유닛(121)에 의해 버스(25)의 출입구가 개방시 안내판넬(122)이 상승하여 버스(25)와 인도(21)사이로 자전거나 오토바이와 같이 이동수단이 진입하는 것을 차단하여 승객의 승하차시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6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진입방지유닛(130)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진입방지유닛(130)은 상기 안내판넬(122)에 충돌하는 상기 이동수단을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안내판넬(122)의 외측면에 설치되는 접촉센서(131)와, 상기 안내판넬(122)에 설치되어 상기 안내판넬(122)에 진동을 인가하는 바이브레이터(132)를 더 구비한다.
상기 접촉센서(131)는 안내판넬(122)의 후방면 하측에 설치되며, 자전거와 같이 이동수단의 충돌을 감지한다. 여기서, 접촉센서(131)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외력을 감지하기 위해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감지센서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접촉센서(131)는 감지정보를 안내 제어부(124)로 전송한다.
바이브레이터(132)는 안내판넬(122)의 측면에 설치되며, 편심축을 회전시켜 진동을 발생시킨다. 한편, 바이브레이터(132)는 진동을 발생시키기 위해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진동발생수단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때, 안내 제어부(124)는 상기 접촉센서(131)로부터 제공된 감지정보를 토대로 상기 안내판넬(122)에 상기 이동수단이 충돌시 상기 이동수단으로 진동이 전달될 수 있도록 상기 바이브레이터(132)를 작동시킨다. 즉, 안내 제어부(124)는 접촉센서(131)에서 이동수단의 접촉이 감지되면 바이브레이터(132)를 작동시킨다. 바이브레이터(132)에서 발생된 진동은 안내판넬(122)을 통해 자전거와 같은 이동수단에 전달되고, 상기 진동은 이동수단을 운행하는 운전자에게 전달되어 해당 운전자에게 버스(25)와 인도(21) 사이 공간으로의 진입을 경고한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정류장 시스템
11: 식별태그
12: 태그 검출부
13: 정보수집부
14: 제어모듈

Claims (5)

  1. 버스정류장에 인접된 차도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정차선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식별태그;
    상기 식별태그를 검출할 수 있도록 상기 버스정류장에 접근하는 버스에 설치되는 태그 검출부;
    상기 태그 검출부에서 상기 식별태그가 검출될 경우, 상기 버스가 상기 정차선에 인접된 것으로 판단하여 승객이 승하차하기 위한 상기 버스의 출입구가 개방되도록 상기 출입구를 개폐하는 상기 버스의 개폐유닛을 제어하되, 상기 버스의 출입구가 개방되도록 상기 버스의 개폐유닛을 제어시 판별신호를 전송하는 제어모듈;
    상기 정차선과 인도 사이의 차도에 형성된 인출구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외력이 인가시 구부러질 수 있도록 소정의 탄성을 갖는 안내판넬;
    상기 안내판넬에 설치되어 상기 안내판넬을 상기 차도 상면의 상측으로 이동시키거나 상기 인출구 내측으로 이동시키는 구동유닛; 및
    상기 구동유닛을 제어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어모듈에서 상기 판별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제2통신모듈을 구비하되, 상기 판별신호를 수신시 상기 버스의 출입부가 개방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버스와 인도사이에 이동수단이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안내판넬이 상기 차도의 상면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구동유닛을 작동시키는 안내 제어부;를 구비하는,
    정류장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에 설치되어 상기 버스의 속도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수집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정보수집부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토대로 상기 버스가 정지한 상태에서 상기 태그검출부에서 상기 식별태그가 검출되면, 상기 버스의 출입구가 개방되도록 상기 버스의 개폐유닛을 제어하는,
    정류장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버스의 출입구가 개방되도록 상기 버스의 개폐유닛을 제어시 판별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정차선에 인접된 위치의 상기 차도에 설치되어 알림광을 발생하는 적어도 하나의 알림램프; 및
    상기 알림램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어모듈에서 상기 판별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제1통신모듈을 구비하되, 상기 판별신호를 수신시 상기 버스의 출입구가 개방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알림광이 발생되도록 상기 알림램프를 제어하는 램프 제어부;를 더 구비하는,
    정류장 시스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판넬에 충돌하는 상기 이동수단을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안내판넬의 외측면에 설치되는 접촉센서; 및
    상기 안내판넬에 설치되어 상기 안내판넬에 진동을 인가하는 바이브레이터;를 더 구비하고,
    상기 안내 제어부는 상기 접촉센서로부터 제공된 감지정보를 토대로 상기 안내판넬에 상기 이동수단이 충돌시 상기 이동수단으로 진동이 전달될 수 있도록 상기 바이브레이터를 작동시키는,
    정류장 시스템.
KR1020180151087A 2018-11-29 2018-11-29 정류장 시스템 KR1022868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1087A KR102286896B1 (ko) 2018-11-29 2018-11-29 정류장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1087A KR102286896B1 (ko) 2018-11-29 2018-11-29 정류장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4689A KR20200064689A (ko) 2020-06-08
KR102286896B1 true KR102286896B1 (ko) 2021-08-05

Family

ID=71090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1087A KR102286896B1 (ko) 2018-11-29 2018-11-29 정류장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6896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8464A (ko) 2014-04-14 2015-10-22 김동현 버스 정류장
KR101598953B1 (ko) * 2014-04-17 2016-03-14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노선버스 정차 및 출입문 개폐 안전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78815A (ko) * 2016-12-30 2018-07-10 에스엘 주식회사 버스 도어 제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4689A (ko) 2020-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70888B2 (en) Door system with sensor unit and communication element
US10494853B2 (en) Door system with sensor unit for contactless passenger compartment monitoring
CN103101476B (zh) 使用图形光投影的乘客保护装置及其方法
CN1990321B (zh) 智慧型车辆侧边防撞警示系统及其方法
US7528704B2 (en) Method and device for preventing injuries and material damage caused by motor vehicle doors
KR101776167B1 (ko) 승하차 안전 게이트 시스템
KR101489808B1 (ko) 대중 교통 시스템용 정거장의 차량 정차 유도 시스템
CN101357622A (zh) 汽车的运行方法和控制装置
US20110307146A1 (en) Safety detection apparatus for exiting a vehicle
CN1436148A (zh) 电梯门的安全装置
CN105636829A (zh) 车辆辅助系统以及车辆
CN107415820A (zh) 一种基于全景影像的开门安全系统
CN110406468A (zh) 一种智能车门开启预警方法及系统
CN106672767A (zh) 一种汽车电梯的汽车位置检测装置及检测方法
KR20200058613A (ko) 관제시스템을 이용한 자율주행차량의 교차로 통과지원장치 및 방법
KR102286896B1 (ko) 정류장 시스템
CN104859574A (zh) 客车被动安全控制系统及控制方法
KR200457930Y1 (ko) 차량사고예방용 유도비상등 시스템
CN202782906U (zh) 一种校车防超员自动控制系统
CN109476305B (zh) 存在后部碰撞风险的处于停止的运输工具的安全装置
KR20200024485A (ko) 어린이보호차량 안전 도우미 장치
CN109191621B (zh) 智能物联网门禁
KR20180078815A (ko) 버스 도어 제어 장치
KR200436200Y1 (ko) 승강장 안전 관리 장치
CN219969355U (zh) 一种带有安全装置的车门结构及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