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6200Y1 - 승강장 안전 관리 장치 - Google Patents

승강장 안전 관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6200Y1
KR200436200Y1 KR2020070003326U KR20070003326U KR200436200Y1 KR 200436200 Y1 KR200436200 Y1 KR 200436200Y1 KR 2020070003326 U KR2020070003326 U KR 2020070003326U KR 20070003326 U KR20070003326 U KR 20070003326U KR 200436200 Y1 KR200436200 Y1 KR 2004362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assenger
platform
signal
de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33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홍주
서우석
Original Assignee
(주)커런트인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커런트인포 filed Critical (주)커런트인포
Priority to KR20200700033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620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62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620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00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platforms, or sidings; Railway networks; Rail vehicle marshalling systems
    • B61B1/02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and platforms including protection devices for the passeng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00Construction of station or like platforms or refuge islands or like islands in traffic areas, e.g. intersection or filling-station islands; Kerbs specially adapted for islands in traffic area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Abstract

본 고안은 저비용으로 승강장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승강장 안전 관리 장치를 개시한다. 본 고안의 승강장 안전 관리 장치는, 승강장에 설치되어 승객의 접근 여부를 감지하고, 승객의 접근도에 따라서 제 1 감지 신호 및 제 2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승객 감지부; 소정의 제어 신호를 입력받아 소정의 경광 램프를 구동하는 발광부; 소정의 제어 신호를 입력받아 소정의 경고 음향을 생성하는 알람부; 및 승객 감지부로부터 제 1 감지 신호 또는 제 2 감지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발광부 및 알람부 중 적어도 하나로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본 고안에 따르면, 승강장에 승객을 감지할 수 있는 감지부를 설치하고, 승객이 승강장과 선로 또는 차도가 인접한 부분으로 접근함에 따라서, 1차로 경광 램프를 작동시키고 경고음을 출력하여 승객의 주의를 환기시키고, 승객이 승강장의 끝부분까지 접근한 경우에는 사고 발생 위험이 높은 것으로 인지하여 연속적으로 경광 램프를 작동시키고 경고음을 출력함과 동시에, 사고 발생의 위험성을 상황실 및 승강장에 진입하는 차량에 통지함으로써, 저비용으로 승강장 사고를 효율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Description

승강장 안전 관리 장치{Apparatus for station safety management}
도 1 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승강장 안전 관리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 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본 고안의 승강장 안전 관리 장치가 지하철역에 설치된 경우를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 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승객 감지부 및 알람부의 구현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 는 도 1 에 도시된 제 2 서브 발광부의 설치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 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승강장 안전 관리 장치가 동작되는 순서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본 고안은 승강장 안전 관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고안은 승객의 승강장 경계의 접근도에 따라서 위험도를 차별화하고, 위험도에 따라서 안전 조치를 강구할 수 있는 안전관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지하철 승강장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지하철 승강장 사고는 승객의 고의 또는 부주의로 인하여 승객이 승강장에서 선로로 추락하여 진입하는 열차와 충돌함으로써 부상을 당하거나 사망에 이르게 된다. 이러한 승강장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 각 지하철역마다 스크린 도어를 설치하고자 하는 논의가 진행중이고, 일부 지하철 역에서 시범적으로 설치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스크린 도어는 그 설치 비용이 과다하여 모든 지하철역에 설치하기에는 현실적 어려움이 있고, 따라서 현재로서는 적절한 비용으로 지하철 승강장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구체적인 대책이 마련되지 못한 상태이다.
한편, 이러한 승강장 사고는 비단 지하철역에만 한정되어 발생하는 것이 아니고, 승객들로 붐비는 버스 승강장에서도 승객이 도로에 인접하게 위치하여 진입하는 버스와 부딪치는 사고가 발생할 수 있으며, 모든 버스 승강장에 상술한 바와 같은 스크린 도어를 설치하는 것은 지하철역과 마찬가지로 과다한 비용이 소요되어 현실적으로 구현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저비용으로 승강장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승강장 안전 관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고안의 승강장 안전 관리 장치는, 승강장에 설치되어 승객의 접근 여부를 감지하고, 승객의 접근도에 따라서 제 1 감지 신호 및 제 2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승객 감지부; 소정의 제어 신호를 입력받아 소정의 경광 램프를 구동하는 발광부; 소정의 제어 신호를 입력받아 소정의 경고 음 향을 생성하는 알람부; 및 승객 감지부로부터 제 1 감지 신호 또는 제 2 감지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발광부 및 알람부 중 적어도 하나로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술한 승객 감지부는 승강장 경계부로부터 제 1 소정 거리까지 승객이 근접하면 제 1 감지 신호를 생성하고, 제어부는 제 1 감지 신호가 입력되면 소정 시간동안 램프가 구동되고 음향이 생성되도록 발광부 및 알람부를 제어하는 제 1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승객 감지부는 승강장 경계부로부터 제 2 소정 거리까지 승객이 근접하면 제 2 감지 신호를 생성하고, 제어부는 제 2 감지 신호가 입력되면 지속적으로 램프가 구동되고 음향이 생성되도록 발광부 및 알람부를 제어하는 제 2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고, 상술한 제어부는 제 2 감지 신호가 입력되면 사고 발생 신호를 생성하여 상황실 서버로 전송하고, 상황실 서버로부터 해지 설정 신호를 수신하면, 발광부 및 알람부로 하여금 램프 구동 및 음향 생성을 중단하도록 해지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발광부 및 알람부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승강장 안전 관리 장치는 승강장에 진입 예정 차량과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승객 감지부는 승강장 경계부로부터 제 2 소정 거리까지 승객이 근접하면 제 2 감지 신호를 생성하며, 제어부는 제 2 제어 신호를 소정의 상황실 서버로 전송하고, 상황실 서버로부터 승강장을 촬영하여 생성된 승강장 영상 신호를 수신하여 무선 통신부로 출력하며, 무선 통신부는 승강장 영상 신호를 진입 예정 차량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승강장 안전 관리 장치는 차량이 승강장으로 진입하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제어부로 차량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차량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술한 제어부는 차량 감지 신호가 입력되면, 승객 감지부의 작동을 중지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경고 음향은 소정의 음성 경고 메시지일 수 있고, 상술한 승객 감지부는 적외선 센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승강장 경계로부터 제 1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설치되고, 제 1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제 1 서브 승객 감지부, 및 승강장 경계부에 설치되어 제 2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제 2 서브 승객 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승객 감지부는 승강장에 소정 간격으로 설치된 복수개의 감지 센서로 구성되고, 상술한 발광부는 승강장에 소정 간격으로 복수개 설치된 경광 램프로 구성되며, 상술한 제어부는 승객의 접근을 감지한 감지 센서에 인접한 경광 램프가 구동되도록 제 1 제어 신호 및 제 2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1 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승강장 안전 관리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 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승강장 안전 관리 장치는 상황실 서버 장치(100), 안전 관리 장치(200), 및 차량 장치(300)로 구성된다.
상황실 서버 장치(100)는 상황실 서버(110) 및 승강장에 설치된 영상 촬영부(120)를 포함한다.
안전 관리 장치(200)는 승객 감지부(210), 차량 감지부(220), 알람부(250), 발광부(240), 제 1 무선 통신부(230), 및 제어부(260)를 포함한다.
차량 장치(300)는 제 2 무선 통신부(310), 차량 알람부(330), 및 표시부(320)를 포함한다.
이하, 각각의 구성 요소의 기능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황실 서버 장치(100)의 영상 촬영부(120)는 승강장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승강장을 촬영하여 승강장 영상 신호를 생성하고, 승강장 영상 신호를 상황실 서버(110)로 전송한다.
상황실 서버(110)는 제어부(260)로부터 사고 발생 신호를 수신하면, 영상 촬영부(120)로부터 입력된 승강장 영상 신호를 제어부(260)로 출력하고, 사고가 수습된 후 관리자로부터 해지 설정 명령을 입력 받으면, 해지 설정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260)로 출력한다.
한편, 안전 관리 장치(200)의 승객 감지부(210)는 승강장에 설치되어 승객의 승강장 경계부까지의 접근 여부를 감지하고, 승객의 접근 정도에 따라서 승객이 승강장의 안전선 위치까지 접근한 경우에는 제 1 감지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260)로 출력하고, 승객이 승강장과 차로 또는 선로의 경계부까지 접근한 경우에는 제 2 감지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260)로 출력한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승객 감지부(210)는 제 1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제 1 서브 승객 감지부(212), 및 제 2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제 2 서브 승객 감지부(214)를 포함한다.
차량 감지부(220)는 승강장으로 차량이 진입하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제어 부(260)로 차량 감지 신호를 출력한다.
발광부(240)는 제어부(260)로부터 제어 신호를 입력받아 소정의 경광 램프를 구동하고, 알람부(250)는 제어부(260)로부터 제어 신호를 입력받아 싸이렌과 같은 경고 음향을 생성한다. 이 때, 발광부(240)는 승강장내에 설치된 제 1 서브 발광부(242) 및 진입 차량에 위급 상황을 알리기 위해서 승강장으로 차량이 진입하기에 앞선 소정 거리에 설치된 제 2 서브 발광부(244)로 구성된다.
제 1 무선 통신부(230)는 제어부(260)로부터 입력되는 승강장 영상 신호를 차량 장치로 전송하거나, 제어부(260)를 통해서 상황실 서버(110)로부터 수신된 음성 신호를 차량 장치로 무선 전송하고, 차량 장치로부터 수신된 음성 신호를 제어부(260)를 통해서 상황실 서버(11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260)는 감지부로부터 제 1 감지 신호 및/또는 제 2 감지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발광부(240) 및 알람부(250)로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60)는 제 1 감지 신호가 입력되면 발광부(240) 및 알람부(250)로 하여금 약 2~3 초간 경광 램프를 구동하고 싸이렌과 같은 경고음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 1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알람부(250) 및 발광부(240)로 출력한다.
제어부(260)는 제 2 감지 신호가 입력되면 발광부(240) 및 알람부(250)로 하여금 연속적으로 경광 램프를 구동하고 싸이렌과 같은 경고음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 2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알람부(250) 및 발광부(240)로 출력하는 동시에, 사고 발생 신호를 생성하여 상황실 서버(110)로 전송한다.
그 후, 사고가 수습되고 상황실 서버(110)로부터 해지 설정 신호를 수신하거나 제어부(260)에 연결된 스위치등을 통하여 직접 해지 설정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260)는 해지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발광부(240) 및 알람부(250)로 출력하여, 발광부(240) 및 알람부(250)로 하여금 경광 램프 구동 및 경고음 생성을 중단하도록 한다.
한편, 차량 장치의 제 2 무선 통신부(310)는 안전 관리 장치로부터 승강장 영상 신호를 수신하여 표시부(320)로 출력하고, 표시부(320)는 승강장 영상 신호를 차량의 운전자에게 표시한다. 또한, 차량 알람부(330)는 승강장 영상 신호가 수신되면 승강장 내에 사고 또는 위험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인식하고, 차량 운전자의 주의를 환기시키기 위해서 경고음을 생성하여 출력한다.
도 2 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본 고안의 승강장 안전 관리 장치가 지하철역에 설치된 경우를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3a 및 도 3b 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승객 감지부(210) 및 알람부(250)의 구현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 와 도 3a 및 도 3b 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안전 관리 장치의 설치 예를 설명하면, 먼저, 종래의 지하철 승강장과 마찬가지로 복수의 안전 펜스가 승강장을 따라서 설치되어 있다. 다만, 이러한 안전 펜스는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승객 감지부(210)는 승강장을 따라서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개가 설치된다. 설치되는 승객 감지부(210)의 숫자는 승객 감지부(210)의 감지 거리 및 승강장의 구조에 따라서 적절하게 결정된다. 도 2 에서는 약 55m 마다 승객 감지부(210)를 설치하였으나, 승객 감지 거리가 더 긴 경우에는 설치 간격을 더 확장할 수 있으며, 감지 거리가 더 짧거나 승각장이 곡선으로 형성된 경우에는 더 짧은 길이 간격으로 더 많은 감지부가 설치된다.
한편, 제 1 서브 승객 감지부(21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지하철 안전선에 설치되어 승객이 안전선까지 접근하는 것을 감지하여 제 1 감지 신호를 생성하고, 제 2 서브 승객 감지부(214)는 선로와 맞닿는 승강장 경계부에 설치되어, 승객이 승강장 끝까지 접근하거나, 승객이 승강장 아래로 추락하는 것을 감지하여 제 2 감지 신호를 생성한다.
본 고안의 승객 감지부(210)는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구현되고, 승객을 감지할 수 있는 감지 센서로는 적외선 센서, 초음파 센서 등 다양한 센서들이 승강장의 구조 및 사용 환경에 따라서 선택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승객 감지부(210)로서 적외선 센서가 사용된 경우를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승객 감지부(210)는 기둥 형태로 설치되고, 그 내부에 승강장 지면으로부터 각각 약 50cm 및 80cm 높이의 2개의 적외선 감지 센서를 포함한다. 승객 감지부(210)의 적외선 센서는 인접하는 승객 감지부(210)로 적외선을 방사하는 발광부(미도시 됨)와 인접한 감지부에서 방사된 적외선을 수신하는 수광부(미도시 됨)를 포함한다. 구현 방식에 따라서, 승객 감지부(210)의 일측면에는 발광부만을 배치하고, 반대편 일측면에는 수광부만을 배치하여 구성할 수 있고, 각각의 측면에 인접한 감지부에 대응되도록 발광부와 수광부를 배치할 수도 있다.
한편, 발광부(240)는 특정 색깔의 경광 램프로 구현되고, 일정한 간격으로 안전 펜스의 상부에 복수개가 설치되거나, 승객 감지부(210)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발광부(240)는 2200cd 이상의 빛의 밝기를 나타내는 적색의 경광 램프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서브 발광부(242)는 상술한 바와 같이, 안전 펜스 또는 원통형 감지부의 상단에 설치되어 승객들에게 위험을 알리는 기능을 수행하고, 제 2 서브 발광부(244)는 진입하는 차량에 승강장 내의 위험 상황을 알릴 수 있도록 승강장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진 터널 내부 벽에 설치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승강전 진입전 약 150m 및 약 250m 지점에 두 개의 경광 램프가 제 2 서브 발광부(244)로서 설치된다. 도 4 는 이러한 제 2 서브 발광부(244)의 설치예를 도시한다.
알람부(250)는 승객 감지부(210)가 설치된 위치에 대응되도록 승강장의 벽면에 설치되거나, 승객 감지부(210)들의 중간 위치에 대응되도록 승강장의 벽면에 설치될 수 있으며, 90dB 이상의 사이렌과 같은 높은 음량의 경고음을 생성한다.
차량 감지부(220)는 차량이 승강장에 진입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차량이 승강장에 진입하여 승객을 승차시키는 경우에 승객 감지부(210)는 승객을 감지하지 않도록 제어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차량 감지부(220)는 차량이 승강장에 진입하면 이를 감지하여 차량 감지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260)로 출력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 감지부(220)는 승객 감지부(210)와 마찬가 지로 상황에 따라서 다양한 종류의 감지 센서가 이용될 수 있고,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 감지부(220)는 초음파 센서로 구현되었다.
제 1 무선 통신부(230)는 제어부(260)로부터 수신된 승강장 영상 신호 또는 음성 신호 등을 진입하는 차량으로 전송하는 등의 진입 차량과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본 고안의 제 1 무선 통신부(230)는 다양하게 구현이 가능하고,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무선랜을 이용하여 제 1 무선 통신부(230)가 구현된다.
제어부(260)는 승강장의 일측면에 콘트롤 박스의 형태로 설치되어, 승객 감지부(210), 차량 감지부(220), 알람부(250), 발광부(240), 및 제 1 무선 통신부(230)와 각각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서브 승객 감지부(212)로부터 제 1 감지 신호가 입력되면 제 1 서브 발광부(242) 및 알람부(250)를 구동하여 승객에게 경고 신호를 보내고, 제 2 서브 승객 감지부(214)로부터 제 2 감지 신호가 입력되면, 제 1 서브 발광부(242)와 제 2 서브 발광부(244) 및 알람부(250)를 구동하여 승객 및 진입하는 차량에게 경고 신호를 보내고, 상황실 서버(110)로 사고 발생 신호를 전송하는 한편, 상황실 서버(110)로부터 승강장 영상 신호를 수신하면, 수신된 승강장 영상 신호를 제 1 무선 통신부(230)를 통해서 차량으로 전송한다.
한편, 차량에 설치된 제 2 무선 통신부(310)는 제 1 무선 통신부(230)와 마찬가지로 무선랜을 이용하여 구현되며, 제 1 무선 통신부(230)로부터 수신된 승강장 영상 신호를 수신하여 표시부(320)로 출력한다.
표시부(320)는 CRT 모니터 또는 LCD 모니터로 구현되어 제 2 무선 통신 부(310)로부터 입력되는 승강장 영상을 차량의 운전자에게 실시간으로 표시하여, 차량의 운전자로 하여금 사고 상황에 대처하게 한다.
차량 알람부(330)는 상술한 알람부(250)와 동일한 경광 램프로 구현되거나, 상대적으로 작은 음량의 음향을 출력하는 부저등으로 구현되며, 제 2 무선 통신부(310)로 승강장 영상 신호가 입력되면 차량의 운전자의 주의를 환기시키는 경고음을 출력한다.
도 5a 및 도 5b 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승강장 안전 관리 장치가 동작되는 순서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5a 및 도 5b 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승강장 안전 관리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본 고안의 승강장 안전 관리 장치가 가동되면, 차량 감지부(220)가 작동되어 승강장에 차량이 진입했는지 여부를 조사하여 차량이 감지되면 차량 감지 신호를 제어부(260)로 출력하고(S500), 제어부(260)는 차량 감지부(220)로부터 차량 감지 신호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조사한다(S502).
차량이 감지되지 않은 경우에 제어부(260)는 승객 감지부(210)를 가동시키고(S510), 승객 감지부(210)는 구동되어 자신이 설치된 위치까지 승객이 근접하여 승객이 감지되면, 감지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260)로 출력한다(S512). 상술한 바와 같이, 승객 감지부(210)는 승강장을 따라서 복수개가 설치되므로, 승객 감지부(210)는 각각의 위치에 따라서 자신의 고유 식별자를 부여받고, 승객이 감지되면 승객 감지 신호에 자신의 식별자를 포함시켜 제어부(260)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260)는 제 1 서브 승객 감지부(212)로부터 제 1 감지 신호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조사하고(S520), 제 1 감지 신호가 입력되었으면, 제어부(260)는 제 1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알람부(250) 및 제 1 서브 발광부(242)로 출력한다(S522). 이 때, 제어부(260)는 제 1 제어 신호를 승강장에 설치된 전체 알람부(250) 및 전체 제 1 서브 발광부(242)로 출력할 수 있고, 제 1 감지 신호에 포함된 승객 감지부(210)의 식별자를 조사하여 승객이 감지된 승객 감지부(210)에 인접한 알람부(250) 및 제 1 서브 발광부(242)로만 제 1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제 1 제어 신호를 수신한 제 1 서브 발광부(242)는 약 2 내지 3 초 동안 경광 램프를 점등하고, 제 1 제어 신호를 수신한 알람부(250)는 약 2 내지 3 초 동안 사이렌 음향과 같은 경고음을 출력한다(S524).
한편, 상술한 제 S512 단계에서 생성된 승객 감지 신호가 제 2 감지 신호이거나, 제 1 감지 신호가 생성된 후, 승객이 선로와 인접한 승강장의 경계 부분, 즉, 제 2 서브 승객 감지부(214)가 설치된 위치까지 접근하여 제 2 서브 승객 감지부(214)가 제 2 감지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260)로 출력하는 제어부(260)로 출력한 경우에, 제어부(260)는 승객 감지부(210)로부터 입력된 승객 감지 신호가 제 2 감지 신호로 확인되면(S530), 제어부(260)는 제 2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제 1 서브 발광부(242) 및 알람부(250)로 출력하고(S532), 제 2 제어 신호를 수신한 제 1 서브 발광부(242)는 경광 램프를 연속적으로 점등시키고, 알람부(250) 역시 연속적으로 경고음을 생성하여 출력한다(S534). 이 경우에도, 제 S512 단계와 마찬가지로, 복수개의 제 2 서브 감지부 중 승객이 접근을 감지한 제 2 서브 감지부는 자신 의 식별자를 제 2 감지 신호에 포함시켜 제어부(260)로 출력할 수 있고, 승객의 접근을 감지한 제 2 서브 승객 감지부(214)에 대응되는 알람부(250) 및 발광부(240)에만 제 2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또한, 제 S532 단계에서 제어부(260)는 승강장에 진입하는 차량의 운전자가 주의할 수 있도록, 차량의 승강장 진입 전 약 150m 및 약 250m 지점에 설치된 제 2 서브 발광부(244)로 제 2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제 S534 단계에서 제 2 제어 신호를 수신한 제 2 서브 발광부(244)는 경광 램프를 연속적으로 점등한다.
한편, 제어부(260)는 제 2 감지 신호가 입력되면, 승객이 승강장 아래로 추락할 위험이 있거나, 승객이 추락하는 사고가 발생했다고 판단하여, 제 2 제어 신호를 생성함과 동시에 사고 발생 신호를 생성하여 상황실 서버(110)로 전송한다(S540).
사고 발생 신호를 수신한 상황실 서버(110)는 상황실 관리자에게 사고 발생 여부를 경고음등의 수단을 이용하여 알리고(S550), 영상 촬영부(120)에서 촬영한 승강장 영상 신호를 상황실 관리자에게 표시하며 승강장 영상 신호를 실시간으로 제어부(260)로 전송한다(S552).
제어부(260)는 수신된 승강장 영상 신호를 제 1 무선 통신부(230)로 출력하고, 제 1 무선 통신부(230)는 승강장 영상 신호를 승강장에 진입하고자 하는 차량으로 실시간 전송한다(S560).
제 1 무선 통신부(230)로부터 승강장 영상 신호를 수신한 제 2 무선 통신부(310)는 수신된 승강장 영상 신호를 표시부(320)에 출력하여 차량의 운행자에게 승강장의 상황을 표시하고(S570), 차량 알람부(330)는 소정의 경고음을 출력하여 승강장 영상 신호가 수신되었음을 차량 운행자에게 알린다(S572).
한편, 추락한 승객이 구조되는 등, 사고 상황이 종료되면, 승강장 관리자는 상황실 서버(110)를 통해서, 또는 제어부(260)에 연결된 스위치를 이용하여 해지 설정 신호를 제어부(260)로 출력한다(S580).
해지 설정 신호를 수신한 제어부(260)는 해지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알람부(250) 및 발광부(240)로 각각 출력하고(S590), 해지 제어 신호를 수신한 발광부(240)는 연속적으로 점등하던 경광 램프의 점등을 중단하고, 해지 제어 신호를 수신한 알람부(250)는 연속적으로 생성하여 출력하던 경고음의 출력을 중단한다(S592).
한편, 차량이 승강장에 진입하여 차량 감지부(220)가 차량 감지 신호를 제어부(260)로 출력하고, 상술한 제 S502 단계에서 조사 결과 차량 감지 신호가 입력된 경우에, 제어부(260)는 차량 감지부(220)를 제외한 승객 감지부(210)의 작동을 중지시킨다(S504).
그 후, 차량이 승강장을 벗어남으로써 차량 감지부(220)로부터의 차량 감지 신호의 입력이 중단되면 제 S510 단계로 진행하여 승객 감지부(210)를 가동시킨다(S506).
지금까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승강장 안전 관리 장치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상술한 승강장 안전 관리 장치에는 본 고안의 기본적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예가 도출될 수 있음을 당업자는 알 수 있을 것이 다.
예컨대,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승객이 승강장의 경계 부분까지 접근한 경우에 승강장 영상 신호를 진입하는 차량으로 전송하여 표시하는 것으로 구성하였으나, 승강장 진입 차량의 운행자가 승강장의 상황을 사전에 파악하기 위해서 제어부(260)로 승강장 영상 신호를 요청하고, 승강장 영상 신호를 요청받은 제어부(260)가 상황실 서버(110)로부터 승강장 영상 신호를 수신하여 차량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알람부(250)는 싸이렌 음향과 같은 경고음만을 출력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안전선 밖으로 물러서 주시기 바랍니다"와 같은 음성 경고 메시지를 경고음과 함께 출력할 수 도 있다.
또한, 상술한 발광부(240) 및 알람부(250) 이외에 안전 펜스에 LED 전광판을 설치하고, 승객이 접근한 경우에는 경광 램프 및 알람과 함께 경고 문구를 표시할 수 도 있다.
본 고안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장치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라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장치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고안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고안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승강장에 승객을 감지할 수 있는 감지부를 설치하고, 승객이 승강장과 선로 또는 차도가 인접한 부분으로 접근함에 따라서, 1차로 경광 램프를 작동시키고 경고음을 출력하여 승객의 주의를 환기시키고, 승객이 승강장의 끝부분까지 접근한 경우에는 사고 발생 위험이 높은 것으로 인지하여 연속적으로 경광 램프를 작동시키고 경고음을 출력함과 동시에, 사고 발생의 위험성을 상황실 및 승강장에 진입하는 차량에 통지함으로써, 저비용으로 승강장의 안전을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승강장에 설치되어 승객의 접근 여부를 감지하고, 승객의 접근도에 따라서 제 1 감지 신호 및 제 2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승객 감지부;
    제어 신호를 입력받아 소정의 경광 램프를 구동하는 발광부;
    제어 신호를 입력받아 소정의 경고 음향을 생성하는 알람부; 및
    상기 승객 감지부로부터 상기 제 1 감지 신호 또는 제 2 감지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발광부 및 상기 알람부 중 적어도 하나로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 안전 관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객 감지부는 상기 승강장 경계부로부터 제 1 소정 거리까지 승객이 근접하면 상기 제 1 감지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감지 신호가 입력되면 소정 시간동안 상기 램프가 구동되고 상기 음향이 생성되도록 상기 발광부 및 상기 알람부를 제어하는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 안전 관리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객 감지부는 상기 승강장 경계부로부터 제 2 소정 거리까지 승객이 근접하면 상기 제 2 감지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감지 신호가 입력되면 지속적으로 상기 램프가 구동되고 상기 음향이 생성되도록 상기 발광부 및 상기 알람부를 제어하는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 안전 관리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감지 신호가 입력되면 사고 발생 신호를 생성하여 상황실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상황실 서버로부터 해지 설정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발광부 및 상기 알람부로 하여금 상기 램프 구동 및 상기 음향 생성을 중단하도록 해지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발광부 및 상기 알람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 안전 관리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에 진입 예정 차량과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승객 감지부는 상기 승강장 경계부로부터 제 2 소정 거리까지 승객이 근접하면 상기 제 2 감지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감지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제어 신호를 소정의 상황실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상황실 서버로부터 상기 승강장을 촬영하여 생성된 승강장 영상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무선 통신부로 출력하며,
    상기 무선 통신부는 상기 승강장 영상 신호를 상기 진입 예정 차량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 안전 관리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차량이 승강장으로 진입하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차량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차량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 감지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승객 감지부의 작동을 중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 안전 관리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 음향은 소정의 음성 경고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 안전 관리 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객 감지부는 적외선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 안전 관리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객 감지부는
    상기 승강장 경계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설치되고, 상기 제 1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제 1 서브 승객 감지부, 및
    상기 승강장 경계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 2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제 2 서브 승객 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 안전 관리 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객 감지부는 상기 승강장에 소정 간격으로 설치된 복수개의 감지 센서로 구성되고,
    상기 발광부는 상기 승강장에 소정 간격으로 복수개 설치된 경광 램프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승객의 접근을 감지한 감지 센서에 인접한 경광 램프가 구동되도록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 안전 관리 장치.
KR2020070003326U 2007-02-27 2007-02-27 승강장 안전 관리 장치 KR2004362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3326U KR200436200Y1 (ko) 2007-02-27 2007-02-27 승강장 안전 관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3326U KR200436200Y1 (ko) 2007-02-27 2007-02-27 승강장 안전 관리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9115 Division 2005-12-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6200Y1 true KR200436200Y1 (ko) 2007-06-29

Family

ID=41633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3326U KR200436200Y1 (ko) 2007-02-27 2007-02-27 승강장 안전 관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620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9317B1 (ko) 2007-08-06 2008-02-12 (주)한일에스티엠 차량 승강장 안전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110386154A (zh) * 2018-04-20 2019-10-29 比亚迪股份有限公司 站台安全防控系统和安全防控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9317B1 (ko) 2007-08-06 2008-02-12 (주)한일에스티엠 차량 승강장 안전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110386154A (zh) * 2018-04-20 2019-10-29 比亚迪股份有限公司 站台安全防控系统和安全防控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7296B1 (ko) 보행안전시스템
KR101554971B1 (ko) 횡단보도의 보행자안전시스템
EP2002415B1 (en) Warning apparatus and method
KR102168689B1 (ko) 차량높이 감지시스템
KR101679304B1 (ko) 횡단보도 안내 시스템
KR101561668B1 (ko) 주차장의 충돌 방지 장치 및 시스템
WO2008014026A1 (en) Door signaling system
US8256581B2 (en) Landing door proximity warning system
KR100799317B1 (ko) 차량 승강장 안전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750008B1 (ko) 과속 및 신호위반에 의한 횡단보도 교통사고 예방 방법
JP4982138B2 (ja) 車両遮断装置
JP2006298041A (ja) 車両の運転支援システム
KR102361656B1 (ko) 딥러닝을 이용한 대기 승객 안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대기 승객 안내 방법
KR20100076157A (ko) 지하철 안전시스템
KR200436200Y1 (ko) 승강장 안전 관리 장치
KR101644179B1 (ko) 횡단보도의 보행자안전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489836Y1 (ko) 주차장용 입출고 경보 시스템
KR101819420B1 (ko) 졸음쉼터 진출입 알림 시스템
KR101693262B1 (ko) 자동차 운행 가이드 시스템
KR100327676B1 (ko) 철도 건널목 보안장치
KR102008966B1 (ko) 철도 승강장 추락사고 대응 시스템
KR101211676B1 (ko) 철도 승강장의 추락사고 대응 시스템
KR102639751B1 (ko) 적외선 센서를 이용한 자율주행 트램의 저전력 측방 위험검지 시스템 및 방법
KR102458852B1 (ko) 휴게소의 역주행 방지시스템
KR100753117B1 (ko) 승강장의 추락방지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