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6584B1 -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적층체 및 포장봉지 - Google Patents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적층체 및 포장봉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6584B1
KR102286584B1 KR1020187037403A KR20187037403A KR102286584B1 KR 102286584 B1 KR102286584 B1 KR 102286584B1 KR 1020187037403 A KR1020187037403 A KR 1020187037403A KR 20187037403 A KR20187037403 A KR 20187037403A KR 102286584 B1 KR102286584 B1 KR 1022865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layer
polyester
fold
m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7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1260A (ko
Inventor
신타로 이시마루
마사유키 하루타
Original Assignee
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212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12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65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65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specially treated, e.g. irradi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form at particular places, e.g. in edge regions
    • B32B3/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form at particular places, e.g. in edge regions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layer folded at the edge, e.g. over another layer ;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layer enveloping or enclosing a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263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having non-uniform thick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2Mechan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40Applications of laminates for particular packag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33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24All layers being polymeric
    • B32B2250/244All polymers belonging to those covered by group B32B27/3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02Synthetic macromolecular particles
    • B32B2264/0214Particles made of 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02Synthetic macromolecular particles
    • B32B2264/0214Particles made of 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32B2264/0228Vinyl resin particles, e.g. polyvinyl acetate, polyvinyl alcohol polymers or 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s
    • B32B2264/0235Aromatic vinyl resin, e.g. styren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02Synthetic macromolecular particles
    • B32B2264/0214Particles made of 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32B2264/025Acrylic resin particles, e.g. polymethyl methacrylate or ethylene-acrylate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10Inorganic particles
    • B32B2264/102Oxide or hydrox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10Inorganic particles
    • B32B2264/104Oxysalt, e.g. carbonate, sulfate, phosphate or nitrate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70/00Resin or rubber layer containing a blend of at least two different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08Heat stabi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2Transpa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14Oriented
    • B32B2307/516Oriented mono-axi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14Oriented
    • B32B2307/518Oriented bi-axi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46Flexural strength; Flexion stiff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02Amorpho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4Permeability to gases, adsorption
    • B32B2307/7242Non-permeable
    • B32B2307/7248Odour barri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32Dimension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32Dimensional properties
    • B32B2307/734Dimensional stability
    • B32B2307/736Shrink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5Printabi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32B2439/02Open containers
    • B32B2439/06Bags, sacks, sach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32B2439/40Closed containers
    • B32B2439/46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53/00Packaging equipment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Wrappers (AREA)
  • Shaping By String And By Release Of Stress In Plastic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수한 접힘 유지성을 갖고, 열수축성이 작으며, 보향성, 투명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은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주된 구성 성분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형성되며, 아래 요건 (1)~(4)를 충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 적어도 1층의 접힘 유지층을 갖는 둘 이상의 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필름 면의 적어도 어느 한쪽의 표층에 그 접힘 유지층을 갖는다.
(2) 상기 접힘 유지층은 전체 모노머 성분 중, 비정질 성분이 될 수 있는 1종 이상의 모노머 성분의 합계(비결정 성분량)가 12 몰% 이상 30 몰% 이하이고, 접힘 유지층의 비결정 성분량에서 그 이외의 층의 비결정 성분량을 뺀 비결정 성분량의 차가 4 몰% 이상 30 몰% 이하이다.
(3) 접힘 유지 각도가 20도 이상 70도 이하이다.
(4) 80℃ 온탕 중에서 10초간에 걸쳐 처리했을 때의 열수축률이 길이방향, 폭방향 모두 0% 이상 15% 이하이다.

Description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적층체 및 포장봉지{POLYESTER-BASED FILM, LAMINATED ARTICLE, AND PACKAGING BAG}
본 발명은 포장재, 쇼핑백, 종이접기용 종이 등으로서 사용 가능한 접힘 유지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관한 것으로, 내수성, 고온 환경하에서의 저수축성, 보향성, 투명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필름, 이를 사용한 적층체 및 포장봉지에 관한 것이다.
종이는 우수한 접힘 유지성을 가짐으로써, 각종 포장지, 쇼핑백, 종이접기용 종이 등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이는 내수성이 떨어져, 비 등에 젖은 경우에 찢어짐이 발생하거나 인쇄가 변색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종이에는 투명성이 없기 때문에, 봉지 등의 포장용으로 제공한 경우에는 내용물이 보이지 않는다는 문제도 있었다. 이 때문에 종이의 대체로서 플라스틱 필름이 과거부터 검토되어 왔다.
접힘 유지성이 우수한 필름으로서 과거에는 투명성이 있는 셀로판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셀로판은 흡습성을 갖기 때문에 특성이 계절에 따라 변동되어, 제품의 품질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공급하는 것이 곤란하며, 또한 두께의 불균일성에 기인하는 가공성의 좋지 못함이 결점으로 여겨져 왔다.
한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은 강인성, 내수성, 투명성 등이 우수한 특성의 좋은 점이 있는 반면, 접힘 유지성이 떨어진다는 결점이 있었다.
이러한 결점을 해소하는 방법으로서, 필름의 밀도를 저하시킴으로써 접힘 유지성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이 개시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그러나, 특허문헌 1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경우는 열수축성이 큰 것을 과제로서 들 수 있다. 이러한 필름을 사용한 봉지 등을 한여름의 차 안이나 온도조절 관리가 없는 창고 안 등에 방치해두면, 필름이 수축·변형되어 사용할 수 없게 되는 점이 지적된다. 또한, 필름으로의 인쇄공정 등의 고온을 필요로 하는 가공공정에 있어서는, 필름의 수축에 의해 가공할 수 없게 되는 문제도 있었다.
또한, 접힘 유지성이 우수한 필름을 봉지 형상으로 가공하여 사용하는 경우, 봉지의 입구부를 비트는 것만으로 닫을 수 있기 때문에, 입구부를 묶는 등의 수고가 필요 없게 되는 이점이 있다. 폴리에틸렌 필름은 접힘 유지성이 우수한 필름으로서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2 참조). 그러나, 특허문헌 2의 폴리에틸렌 필름은 보향성이 충분하지 않은 결점이 있다. 봉지의 내용물에 냄새가 있는 경우, 설령 입구부를 닫았다고 하더라도 냄새가 폴리에틸렌 필름을 통과해 버린다.
일본국 특허 제4308662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고 평7-5762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즉, 우수한 접힘 유지성을 갖고, 열수축성이 작으며, 보향성, 투명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아래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1.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주된 구성 성분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형성되며, 아래 요건 (1)~(4)를 충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1) 적어도 1층의 접힘 유지층을 갖는 둘 이상의 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필름 면의 적어도 어느 한쪽의 표층에 그 접힘 유지층을 갖는다.
(2) 상기 접힘 유지층은 전체 모노머 성분 중, 비정질 성분이 될 수 있는 1종 이상의 모노머 성분의 합계(비결정 성분량)가 12 몰% 이상 30 몰% 이하이고, 접힘 유지층의 비결정 성분량에서 그 이외의 층의 비결정 성분량을 뺀 비결정 성분량의 차가 4 몰% 이상 30 몰% 이하이다.
(3) 접힘 유지 각도가 20도 이상 70도 이하이다.
(4) 80℃ 온탕 중에서 10초간에 걸쳐 처리했을 때의 열수축률이 길이방향, 폭방향 모두 0% 이상 15% 이하이다.
2. 헤이즈가 1% 이상 12%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에 기재된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3. 길이방향과 폭방향의 두께 편차가 모두 18%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또는 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4. 일축연신 필름 또는 이축연신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5. 상기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을 적어도 일부에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봉지.
6. 상기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을 적어도 1층으로서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
7. 상기 6에 기재된 적층체를 적어도 일부에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봉지.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은 우수한 접힘 유지성을 갖고, 열수축률이 작으며, 투명성이 우수하다. 이뿐 아니라,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은 보향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을 적어도 1층으로서 포함하는 적층체와, 이를 사용한 포장봉지로 했을 때의 보향성이 우수하다.
도 1은 접힘 유지 각도의 측정방법의 모식도이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은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주된 구성 성분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형성되며, 아래 요건 (1)~(4)를 충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이다.
(1) 적어도 1층의 접힘 유지층을 갖는 둘 이상의 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필름 면의 적어도 어느 한쪽의 표층에 그 접힘 유지층을 갖는다.
(2) 상기 접힘 유지층은 전체 모노머 성분 중, 비정질 성분이 될 수 있는 1종 이상의 모노머 성분의 합계(비결정 성분량)가 12 몰% 이상 30 몰% 이하이고, 접힘 유지층의 비결정 성분량에서 그 이외의 층의 비결정 성분량을 뺀 비결정 성분량의 차가 4 몰% 이상 30 몰% 이하이다.
(3) 접힘 유지 각도가 20도 이상 70도 이하이다.
(4) 80℃ 온탕 중에서 10초간에 걸쳐 처리했을 때의 열수축률이 길이방향, 폭방향 모두 0% 이상 15% 이하이다.
상기 요건을 충족시키는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은 접힘 유지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이다. 또한 필름이 양호한 보향성을 갖기 때문에, 포장봉지로 했을 때의 보향성이 우수하다. 또한 필름을 가열했을 때의 수축이 적기 때문에, 고온 환경하에서도 그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이뿐 아니라,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은 두께 정밀도가 좋기 때문에 인쇄 가공성이 양호함과 동시에, 높은 투명성을 갖는다.
특히, 상기 접힘 유지성과 저수축성, 및 양호한 두께 정밀도는 각각 이율배반적인 특성으로, 이들 특성을 모두 만족할 수 있는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은 종래에는 없었다. 아래에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에 대해서 설명한다.
1.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의 층 구성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은 저수축성과 접힘 유지성을 양립시키기 위해 필름의 층수를 둘 이상으로 하고, 적어도 표층의 어느 한쪽의 층은 접힘 유지층으로 해야만 한다. 접힘 유지층과 그 이외의 층에 관한 구성 요건은 후술한다. 바람직한 층 구성은 양 표층 모두 접힘 유지층으로 하고, 중심층을 그 이외의 층으로 한 2종 3층 구성이다.
접힘 유지층의 층 비율은 20% 이상~8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접힘 유지층 비율이 20%보다 적은 경우, 필름의 접힘 유지성이 저하되어 버리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접힘 유지층의 층 비율이 80%보다도 높아지면, 필름의 접힘 유지성은 향상되어 바람직해지나, 수축률이 15%보다도 높아져 버리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접힘 유지층의 층 비율은 30% 이상~7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접힘 유지층과 그 이외의 층은 필름 표면의 접착성을 양호하게 하기 위해 코로나 처리, 코팅 처리나 화염 처리 등을 실시한 층을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여, 본 발명의 요건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임의로 설치할 수 있다.
2.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을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 원료
2. 1. 폴리에스테르 원료의 종류
본 발명에 사용하는 폴리에스테르는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유닛을 주된 구성 성분으로 하는 것이다.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유닛을 주된 구성 성분으로 한다는 것은, 폴리에스테르의 구성 유닛 100 몰% 중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유닛을 50 몰% 함유하는 것을 가리킨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하는 폴리에스테르에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유닛 이외의 성분으로서, 비결정 성분이 될 수 있는 1종 이상의 모노머 성분(이하, 간단하게 비결정 성분으로 기재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비결정 성분이 존재함으로써 필름의 접힘 유지성이 향상되기 때문이다. 각 성분의 함유량은 접힘 유지층과 그 이외의 층이 상이하기 때문에, 후술한다. 비결정 성분이 될 수 있는 카르복실산 성분의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면 이소프탈산, 1,4-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을 들 수 있다.
또한 비결정 성분이 될 수 있는 디올 성분의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면 네오펜틸글리콜,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2,2-디에틸 1,3-프로판디올, 2-n-부틸-2-에틸-1,3-프로판디올, 2,2-이소프로필-1,3-프로판디올, 2,2-디-n-부틸-1,3-프로판디올, 헥산디올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이소프탈산, 네오펜틸글리콜,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중 어느 1종 이상을 사용함으로써 필름의 비결정성을 높여 접힘 유지 각도를 70도 이하로 하기 쉬워진다. 네오펜틸글리콜,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중 어느 1종 이상을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네오펜틸글리콜을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나 비결정 성분 이외의 성분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폴리에스테르를 구성하는 디카르복실산 성분으로서는, 오르토프탈산 등의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아디프산, 아젤라산, 세바스산, 데칸디카르복실산 등의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및 지환식 디카르복실산 등을 들 수 있다. 다만, 3가 이상의 다가 카르복실산(예를 들면 트리멜리트산, 피로멜리트산 및 이들의 무수물 등)은 폴리에스테르 중에 함유시키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폴리에스테르를 구성하는 에틸렌글리콜 이외의 디올 성분으로서는, 디에틸렌글리콜이나 1,4-부탄디올 등의 장쇄 디올, 헥산디올 등의 지방족 디올, 비스페놀 A 등의 방향족계 디올 등을 들 수 있다. 다만, 폴리에스테르에는 탄소수 8개 이상의 디올(예를 들면 옥탄디올 등), 또는 3가 이상의 다가 알코올(예를 들면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틸올에탄, 글리세린, 디글리세린 등)을 함유시키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폴리에스테르를 구성하는 성분으로서, ε-카프로락톤이나 테트라메틸렌글리콜 등을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는 필름의 유연성을 올려서 접힘 유지 각도를 저하시키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특히 접힘 유지층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중에는, 필요에 따라 각종 첨가제, 예를 들면 왁스류, 산화방지제, 대전방지제, 결정핵제, 감점제, 열안정제, 착색용 안료, 착색방지제, 자외선흡수제 등을 첨가할 수 있다. 또한, 필름의 미끄러짐성을 양호하게 하는 윤활제로서의 미립자를 적어도 필름의 표층에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립자로서는 임의의 것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무기계 미립자로서는 실리카, 알루미나, 이산화티탄, 탄산칼슘, 카올린, 황산바륨 등을 들 수 있고, 유기계 미립자로서는 아크릴계 수지 입자, 멜라민 수지 입자, 실리콘 수지 입자, 가교 폴리스티렌 입자 등을 들 수 있다. 미립자의 평균 입경은 콜터 카운터로 측정했을 때 0.05~3.0 ㎛의 범위 내에서 필요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중에 입자를 배합하는 방법으로서,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제조하는 임의의 단계에 있어서 첨가할 수 있는데, 에스테르화의 단계, 또는 에스테르 교환반응 종료 후, 중축합반응 개시 전의 단계에서 에틸렌글리콜 등에 분산시킨 슬러리로서 첨가하여 중축합반응을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벤트 부착 혼련 압출기를 사용하여 에틸렌글리콜이나 물, 그 밖의 용매에 분산시킨 입자의 슬러리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원료를 블렌딩하는 방법이나, 건조시킨 입자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원료를 혼련 압출기를 사용하여 블렌딩하는 방법 등도 들 수 있다.
아래에 접힘 유지층에서 바람직한 비결정 성분에 대해서 설명한다.
2. 2. 접힘 유지층에 포함되는 폴리에스테르 원료의 비결정 성분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접힘 유지층이란, 본 발명의 필름을 구성하는 각층 중 아래의 비결정 성분량이 가장 많은 층을 가리키는 것이다. 그 비결정 성분량이 가장 많은 층을 2층 이상 갖는 경우는, 그 어느 층도 접힘 유지층이라 칭한다. 본 발명의 접힘 유지층에 사용하는 폴리에스테르는 비결정 성분량이 12 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3 몰%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며, 14 몰% 이상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비결정 성분량의 상한은 30 몰%이고, 바람직하게는 28 몰% 이하이다. 여기에서의 비결정 성분량이란, 비결정 성분이 될 수 있는 카르복실산, 또는 디올 모노머 성분량의 총합을 가리킨다. 이것은 에스테르 성분 1 유닛(카르복실산 모노머와 디올 모노머가 에스테르 결합에 의해 연결된 1 단위)에 대해, 산성분 또는 디올 성분 중 어느 한쪽이 비결정 성분이 될 수 있는 모노머라면, 그 에스테르 유닛은 비정질이라고 간주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접힘 유지층의 비결정 성분량이 12 몰%보다 낮은 경우, 용융 수지를 다이로부터 압출한 후에 설령 급랭 고화했다고 하더라도, 그 후의 연신 및 열고정공정에서 결정화되어 버리기 때문에, 접힘 유지 각도를 70도 이하로 하는 것이 곤란해져 버려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접힘 유지층의 비결정 성분량의 합계가 30 몰% 이상인 경우, 필름의 접힘 유지 각도를 낮게 할 수 있지만, 필름의 두께 편차가 악화되기 때문에 인쇄성이 나빠지게 된다. 또한, 접힘 유지층의 비결정 성분량이 30 몰% 이상이면, 필름의 수축률이 15%를 초과해 버리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접힘 유지층에 포함되는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유닛은 폴리에스테르의 구성 유닛 100 몰% 중 50 몰% 이상 85 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유닛이 50 몰%보다 적으면, 필름의 기계강도나 내열성 등이 불충분해질 우려가 있다. 한편,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유닛이 85 몰%보다 많으면, 상대적으로 비결정 성분량이 적어지게 되기 때문에 접힘 유지 각도를 70도 이하로 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접힘 유지층에 포함되는 비결정 성분량은 접힘 유지층 이외의 층에 포함되는 비결정 성분량보다도 4 몰% 이상 30 몰% 이하의 범위에서 많이 포함되는(접힘 유지층에 포함되는 비결정 성분량에서 접힘 유지층 이외의 층에 포함되는 비결정 성분량을 뺐을 때의 차가 4 몰%~30 몰%의 범위) 것이 바람직하다. 그 비결정 성분량의 차가 4 몰%보다 적은 경우, 각층의 원료 조성이 단일에 근접해지게 된다. 설령 각층의 원료 조성이 동일한, 즉 단층 구성의 필름을 상정하여, 접힘 유지 각도를 70도 이하로 하기 위해 비결정 성분량이 12 몰% 이상 30 몰% 이하인 단층 필름으로 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필름의 수축률이 15%를 초과하여 두께 편차가 악화되어 버린다. 반대로 수축률을 15% 이하, 두께 편차를 소정의 범위로 하기 위해 비결정 성분량을 12 몰% 이하로 하면, 필름의 접힘 유지 각도가 70도를 초과해 버린다. 이와 같이, 필름의 층 구성이 단일에 근접하면, 필요한 필름의 물성을 모두 만족시킬 수 없게 되어 버린다. 접힘 유지층과 그 이외의 층의 비결정 성분량의 차는 4.5 몰% 이상이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접힘 유지층에 포함되는 비결정 성분량의 상한은 30 몰%이기 때문에 비결정 성분량 차의 상한은 30 몰%이다.
접힘 유지층 이외의 층에 사용하는 폴리에스테르는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유닛을 주된 구성 성분으로 하고, 전술한 비결정 성분량의 비결정 성분을 함유하는 것인데, 폴리에스테르의 구성 유닛 100 몰% 중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유닛이 60 몰%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65 몰%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3.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의 특성
다음으로,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에 필요한 특성을 설명한다.
3. 1. 접힘 유지 각도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후술하는 방법으로 측정되는 접힘 유지 각도가 20도 이상 70도 이하인 것이 필요하다. 접힘 유지 각도가 70도 이하면, 종이접기용 종이나 포장 등으로 접었을 때 접은 금이 펼쳐져 깨끗한 미관을 얻을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한 접힘 유지 각도의 상한은 65도이고, 상한이 60도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접힘 유지 각도는 작으면 작을수록 바람직하나, 본 발명이 커버할 수 있는 범위는 20도가 하한으로, 접힘 유지 각도가 25도 이상이더라도 실용상은 바람직한 것이라 할 수 있다.
3. 2. 수축률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80℃의 온탕 중에서 10초간에 걸쳐 처리한 경우에 있어서의 폭방향, 길이방향의 온탕 열수축률이 모두 0% 이상 15% 이하여야만 한다.
수축률이 15%를 초과하면, 예를 들면 필름을 다른 소재와 라미네이팅하거나 하여 고온에 노출되면, 필름의 수축이 커지기 때문에 원래의 형상을 유지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되어 버린다. 온탕 열수축률의 상한은 14%면 바람직하고, 상한이 13%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온탕 열수축률이 제로를 밑도는 경우, 필름이 신장하는 것을 의미하고 있어, 수축률이 높은 경우와 마찬가지로 필름이 원래의 형상을 유지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3. 3. 길이방향의 두께 편차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은 길이방향에서 측정길이를 10 m로 한 경우의 두께 편차가 18%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길이방향의 두께 편차가 18%를 초과하는 값이면, 필름을 인쇄할 때 인쇄 불량이 발생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길이방향의 두께 편차는 16% 이하면 보다 바람직하고, 14% 이하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길이방향의 두께 편차는 작을수록 바람직하나, 그 하한은 제막장치의 성능으로부터 1% 정도가 한계라고 생각하고 있다.
3. 4. 폭방향의 두께 편차
또한, 폭방향에 있어서는 측정길이를 1 m로 한 경우의 두께 편차가 18%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폭방향의 두께 편차가 18%를 초과하는 값이면, 필름을 인쇄할 때 인쇄 불량이 발생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폭방향의 두께 편차는 16% 이하면 보다 바람직하고, 14% 이하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폭방향의 두께 편차는 0%에 가까울수록 바람직하나, 하한은 제막장치의 성능과 생산의 용이함으로부터 1%가 타당하다고 생각하고 있다.
3. 5. 헤이즈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은 헤이즈가 1% 이상 1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헤이즈가 15%를 초과하면 필름의 투명성이 나빠지기 때문에, 봉지 등의 포장재로 한 경우에 내용물의 시인성이 떨어지게 된다. 헤이즈의 상한은 13% 이하면 보다 바람직하고, 11% 이하면 특히 바람직하다. 헤이즈는 낮으면 낮을수록 투명성이 높아져 바람직하나, 현재 기술수준에서는 1%가 하한으로, 2% 이상이더라도 실용상 충분하다 할 수 있다.
3. 6. 두께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의 두께는 3 ㎛ 이상 20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필름의 두께가 3 ㎛보다 얇으면, 인쇄 등의 가공이 곤란해지기(핸들링성이 나빠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필름 두께가 200 ㎛보다 두꺼워지면, 필름의 접힘 유지성이 저하될 뿐 아니라, 필름의 사용중량이 증가하여 케미컬 코스트가 높아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필름의 두께는 5 ㎛ 이상 160 ㎛ 이하면 바람직하고, 7 ㎛ 이상 120 ㎛ 이하면 보다 바람직하다.
4.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의 제막 조건
4. 1. 용융 압출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은 상기 2.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을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 원료」에서 기재한 폴리에스테르 원료를 접힘 유지층과 그 이외의 층에서 각각의 압출기에 의해 용융시키고, 공압출함으로써 미연신의 적층 필름을 형성하여, 이것을 아래에 나타내는 소정의 방법으로 일축연신 또는 이축연신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이축연신에 의해 얻어진 필름(이축연신 필름)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폴리에스테르는 상기한 바와 같이 비정질 성분이 될 수 있는 모노머를 적량 함유하도록, 디카르복실산 성분과 디올 성분의 종류와 양을 선정하여 중축합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또한, 칩형상의 폴리에스테르를 2종 이상 혼합하여 필름의 원료로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원료 수지를 용융 압출할 때, 각층의 폴리에스테르 원료를 호퍼 드라이어, 패들 드라이어 등의 건조기, 또는 진공 건조기를 사용하여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각층의 폴리에스테르 원료를 건조시킨 후, 압출기를 이용하여 200~300℃의 온도에서 용융하여 적층 필름으로서 압출한다. 압출은 T 다이법, 튜블러법 등, 기존의 임의의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그 후, 압출로 용융된 적층 필름을 급랭함으로써 미연신의 적층 필름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용융 수지를 급랭하는 방법으로서는, 용융 수지를 구금으로부터 회전 드럼 상에 캐스팅하여 급랭 고화함으로써 실질적으로 미배향의 수지 시트를 얻는 방법을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다. 필름은 세로(길이)방향, 가로(폭)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한쪽으로 연신되어 있으면 된다. 아래에서는 먼저 종연신, 다음으로 횡연신을 행하는 축차 이축연신법에 대해서 설명하나, 차례를 반대로 하는 횡연신―종연신이더라도 주 배향방향이 바뀔 뿐이기 때문에 상관없다. 또한 동시 이축연신법이어도 상관없다.
4. 2. 종연신
세로방향의 연신은 무연신 필름을 복수의 롤군을 연속적으로 배치한 종연신기로 도입하면 된다. 종연신에 있어서는 예열 롤로 필름온도가 65℃~90℃가 될 때까지 예비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름온도가 65℃보다 낮으면, 세로방향으로 연신할 때 연신하기 어려워져 파단이 발생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90℃보다 높으면, 필름이 롤에 점착하기 쉬워져 롤에 필름이 감기거나 롤 오염이 발생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필름온도가 65℃~90℃가 되면 종연신을 행한다. 종연신배율은 1배 이상 5배 이하로 하면 된다. 1배는 종연신을 하지 않았다는 것이기 때문에, 가로 일축연신 필름을 얻으려면 세로의 연신배율을 1배로, 이축연신 필름을 얻으려면 1.1배 이상의 종연신이 된다. 또한 종연신배율의 상한은 몇 배여도 상관없으나, 지나치게 높은 종연신배율이면 횡연신하기 어려워져 파단이 발생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5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종연신 후에 필름을 길이방향으로 이완시키는 것(길이방향으로의 릴랙스)에 의해, 종연신으로 발생한 필름 길이방향의 수축률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길이방향으로의 릴랙스에 의해, 텐터 내에서 일어나는 보잉현상(변형)을 저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은 비결정 원료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종연신에 의해 발생한 길이방향으로의 수축성이 보잉 변형에 대해 지배적이라고 생각된다. 후공정인 횡연신이나 최종 열처리에서는 필름 폭방향의 양단이 파지된 상태에서 가열되어, 필름의 중앙부만이 길이방향으로 수축되기 때문이다. 길이방향으로의 릴랙스율은 0% 이상 70% 이하(릴랙스율 0%는 릴랙스를 행하지 않는 것을 가리킴)인 것이 바람직하다. 길이방향으로의 릴랙스율의 상한은 사용하는 원료나 종연신 조건에 의해 결정되고, 이를 초과하여 릴랙스를 실시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에 있어서는 길이방향으로의 릴랙스율은 70%가 상한이다. 길이방향으로의 릴랙스는 종연신 후의 필름을 65℃~100℃ 이하의 온도에서 가열하여 롤의 속도차를 조정함으로써 실시할 수 있다. 가열수단은 롤, 근적외선, 원적외선, 열풍 히터 등의 어느 것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길이방향으로의 릴랙스는 종연신 직후가 아니더라도, 예를 들면 횡연신(예열 구역 포함)이나 최종 열처리에서도 길이방향의 클립 간격을 좁힘으로써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여(이 경우는 필름 폭방향의 양단도 길이방향으로 릴랙스되기 때문에, 보잉 변형은 감소됨), 임의의 타이밍에 실시할 수 있다.
길이방향으로의 릴랙스(릴랙스를 행하지 않는 경우는 종연신) 후에는 일단 필름을 냉각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표면온도가 20~40℃인 냉각 롤로 냉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4. 3. 횡연신
종연신 후, 텐터 내에서 필름 폭방향의 양끝 가장자리를 클립으로 파지한 상태로, 65℃~110℃에서 3.5~5배 정도의 연신배율로 횡연신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로방향의 연신을 행하기 전에는 예비 가열을 행해두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비 가열은 필름 표면온도가 75℃~120℃가 될 때까지 행하면 된다.
횡연신 후에는 필름을 적극적인 가열조작을 실행하지 않는 중간 구역을 통과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텐터의 횡연신 구역에 대해 그 다음의 최종 열처리 구역에서는 온도가 높기 때문에, 중간 구역을 설치하지 않으면 최종 열처리 구역의 열(열풍 그 자체나 복사열)이 횡연신공정으로 흘러들어가 버린다. 이 경우, 횡연신 구역의 온도가 안정되지 않기 때문에, 필름의 두께 정밀도가 악화될 뿐 아니라 히트 실링 강도나 수축률 등의 물성에도 편차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 횡연신 후의 필름은 중간 구역을 통과시켜서 소정 시간 경과시킨 후, 최종 열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중간 구역에 있어서는, 필름을 통과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가늘고 긴 종잇조각을 늘어뜨렸을 때, 그 종잇조각이 거의 완전하게 연직방향으로 아래로 드리워지도록, 필름의 주행에 수반되는 수반류, 횡연신 구역이나 최종 열처리 구역으로부터의 열풍을 차단하는 것이 중요하다. 중간 구역의 통과시간은 1초~5초 정도면 충분하다. 1초보다 짧으면, 중간 구역의 길이가 불충분해져 열의 차단효과가 부족하다. 한편 중간 구역은 긴 편이 바람직하나, 지나치게 길면 설비가 커져 버리기 때문에 5초 정도면 충분하다.
4. 4. 최종 열처리
중간 구역의 통과 후에는 최종 열처리 구역에서 횡연신온도 이상 180℃ 이하에서 열처리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처리온도는 횡연신온도 이상이어야만 열처리로서의 효과를 발휘한다. 이 경우, 필름의 80℃ 온탕 수축률이 15%보다도 높아져 버리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열처리온도가 높아질수록 필름의 수축률은 저하되는데, 180℃보다도 높아지면 필름의 헤이즈가 15%보다도 높아져 투명성을 유지할 수 없게 되어 버리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최종 열처리 시, 텐터의 클립간 거리를 임의의 배율로 좁히는 것(폭방향으로의 릴랙스)에 의해 폭방향의 수축률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최종 열처리에서는, 0% 이상 10% 이하의 범위에서 폭방향으로의 릴랙스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릴랙스율 0%는 릴랙스를 행하지 않는 것을 가리킨다). 폭방향으로의 릴랙스율이 높을수록 폭방향의 수축률은 내려가지만, 릴랙스율의 상한은 사용하는 원료나 폭방향으로의 연신 조건, 열처리온도에 의해 결정되고, 이것을 초과하여 릴랙스를 실시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에 있어서는 폭방향으로의 릴랙스율은 10%가 상한이다.
또한, 최종 열처리 구역의 통과시간은 2초 이상 20초 이하가 바람직하다. 통과시간이 2초 이하면, 필름의 표면온도가 설정온도에 도달하지 않은 채 열처리 구역을 통과해 버리기 때문에, 열처리의 의미를 이루지 못하게 된다. 통과시간은 길면 길수록 열처리 효과가 올라가기 때문에, 2초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5초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다만, 통과시간을 길게 하려고 하면 설비가 거대화되어 버리기 때문에, 실용상 20초 이하면 충분하다.
다음은 필름 양단부를 재단 제거하면서 감으면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롤이 얻어진다.
실시예
다음으로, 실시예 및 비교예를 사용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의 태양에 조금도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필름의 평가방법은 아래와 같다. 또한, 필름의 면적이 작은 등의 이유로 길이방향과 폭방향을 바로 특정할 수 없는 경우는, 임시로 길이방향과 폭방향을 정하여 측정하면 되고, 임시로 정한 길이방향과 폭방향이 진짜 방향에 대해 90도 다르다고 해서 특별히 문제를 발생시키지는 않는다.
<필름의 평가방법>
[접힘 유지 각도]
28℃ 50%RH 환경의 항온실에서 필름을 24시간 방치했다. 그 후 바로 각각의 필름을 20℃ 65%RH 환경에서 10 ㎝×10 ㎝의 정사각형으로 재단하고, 둘로 접기를 두번 행하여 넷으로 접었다(2.5 ㎝×2.5 ㎝의 정사각형). 필름을 접을 때는, 처음의 둘로 접어 생긴 직사각형의 짧은 변이 세로방향이 되도록 했다. 그 후, 바닥면의 크기가 3 ㎝×3 ㎝인 5 ㎏의 추를 20초간 넷으로 접은 필름에 올렸다. 추를 제거한 후, 접힌 필름이 펼쳐진 각도를 측정하여 구했다. 또한, 필름이 완전히 접힌 상태는 0도, 필름이 완전히 펼쳐진 각도는 180도이다.
[온탕 열수축률]
필름을 10 ㎝×10 ㎝의 정사각형으로 재단하고, 80±0.5℃의 온수 중에 무하중 상태로 10초간 침지하여 수축시킨 후, 25℃±0.5℃의 수중에 10초간 침지하고, 수중에서 꺼냈다. 그 후, 필름의 세로 및 가로방향의 치수를 측정하여, 아래 식 1에 따라 각 방향의 수축률을 구했다. 또한 측정은 2회 행하여, 그 평균값을 구했다.
Figure 112019008549213-pct00001
[헤이즈]
JIS-K-7136에 준거하여 헤이즈 미터(닛폰 덴쇼쿠 공업주식회사 제조, 300A)를 사용해서 측정했다. 또한 측정은 2회 행하여, 그 평균값을 구했다.
[길이방향의 두께 편차]
필름을 길이방향 11 m×폭방향 40 ㎜의 롤형상으로 샘플링하고, 미크론 측정기 주식회사 제조의 연속 접촉식 두께계를 사용하여 측정속도 5 m/min.로 필름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두께를 측정했다(측정길이는 10 m). 측정 시 최대 두께를 Tmax., 최소 두께를 Tmin., 평균 두께를 Tave.로 하여, 아래 식 2로부터 필름 길이방향의 두께 편차를 산출했다.
Figure 112019008549213-pct00002
[폭방향의 두께 편차]
필름을 길이 40 ㎜×폭 1.2 m의 폭이 넓은 띠형상으로 샘플링하고, 미크론 측정기 주식회사 제조의 연속 접촉식 두께계를 사용하여, 측정속도 5 m/min.로 필름 시료의 폭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두께를 측정했다(측정길이는 1 m). 측정 시 최대 두께를 Tmax., 최소 두께를 Tmin., 평균 두께를 Tave.로 하여, 위 식 2로부터 필름 폭방향의 두께 편차를 산출했다.
[보향성]
필름을 사용하여 봉지의 안치수가 50 ㎜×50 ㎜가 되도록 필름 내층면끼리를 히트 실링(3방향 실링)하여 봉지를 제작했다. 그 봉지 속에 아래에 나타내는 시험용 각 향료 0.2 cc를 함침시킨 탈지면을 삽입하고 밀폐 포장했다. 이어서 이 봉지를 100 ㎖ 유리병에 넣고, 뚜껑을 덮어 밀폐했다. 이 유리병을 25℃의 상온 조건하에 방치하고, 1시간 후에 뚜껑을 열어 유리병 속의 취기 관능시험을 행했다. 취기 관능시험은 동일 패널 5인에 의해 향료의 향기 감지 유무에 대해서 아래 3단계의 관능평가를 행했다.
○:향기의 감지 없음
△:약간 향기를 감지
×:향기를 감지
향료로서는 고바야시 향료사 제조의 스트로베리 에센스, 오렌지 에센스, 애플 에센스 및 바닐라 에센스, 나칼라이 테스크사 제조의 멘톨, 리모넨의 합계 6종류의 향기 성분을 사용하여, 각각에 대해서 보향효과를 평가했다.
<폴리에스테르 원료의 조제>
[합성예 1]
교반기, 온도계 및 부분 환류식 냉각기를 구비한 스테인리스스틸제 오토클레이브에, 디카르복실산 성분으로서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DMT) 100 몰%와 다가 알코올 성분으로서 에틸렌글리콜(EG) 100 몰%를 에틸렌글리콜이 몰비로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의 2.2배가 되도록 넣고, 에스테르 교환 촉매로서 초산아연을 0.05 몰%(산성분에 대해) 사용하여, 생성되는 메탄올을 계외로 증류 제거하면서 에스테르 교환반응을 행했다. 그 후, 중축합 촉매로서 삼산화안티몬 0.225 몰%(산성분에 대해)를 첨가하고, 280℃에서 26.7 ㎩의 감압 조건하 중축합반응을 행하여, 고유점도 0.75 ㎗/g의 폴리에스테르(A)를 얻었다. 이 폴리에스테르(A)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이다.
[합성예 2]
합성예 1과 동일한 절차로 모노머를 변경한 폴리에스테르(B)~(E)를 얻었다. 각 폴리에스테르의 조성을 표 1에 나타낸다. 표 1에 있어서 TPA는 테레프탈산, BD는 1,4-부탄디올, NPG는 네오펜틸글리콜, CHDM은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DEG는 디에틸렌글리콜이다. 또한, 폴리에스테르(E)의 제조 시에는 윤활제로서 SiO2(후지 실리시아사 제조 사일리시아 266)를 폴리에스테르에 대해 7,000 ppm의 비율로 첨가했다. 각 폴리에스테르는 적당히 칩형상으로 했다. 폴리에스테르(B)~(E)의 조성을 표 1에 나타낸다.
Figure 112019008549213-pct00003
[실시예 1]
접힘 유지층(A층)의 원료로서 폴리에스테르 A와 폴리에스테르 B와 폴리에스테르 D와 폴리에스테르 E를 질량비 5:60:30:5로 혼합하고, 그 이외의 층(B층)의 원료로서 폴리에스테르 A와 폴리에스테르 E를 질량비 95:5로 혼합했다.
A층 및 B층의 혼합원료는 각각 별도의 이축 스크류 압출기에 투입하고 모두 270℃에서 용융시켰다. 각각의 용융 수지는 유로의 도중에 피드블록에 의해 접합시켜서 T 다이로부터 토출하고, 표면온도 30℃로 설정한 칠롤 상에서 냉각함으로써 미연신의 적층 필름을 얻었다. 적층 필름의 양 표층은 A층, 중심층은 B층(A층/B층/A층의 2종 3층 구성)이 되도록 용융 수지의 유로를 설정하고, A층과 B층의 두께 비율이 50:50이 되도록 토출량을 조정했다.
냉각 고화하여 얻은 미연신의 적층 필름을 복수의 롤군을 연속적으로 배치한 종연신기에 도입하고, 예열 롤 상에서 필름온도가 80℃가 될 때까지 예비 가열한 후에 4.1배로 연신했다. 종연신 직후의 필름을 열풍 히터로 100℃로 설정된 가열로에 통과시켜, 가열로의 입구와 출구의 롤간 속도차를 이용하여 길이방향으로 20% 릴랙스 처리를 행했다. 그 후, 종연신한 필름을 표면온도 25℃로 설정된 냉각 롤에 의해 강제적으로 냉각했다.
릴랙스 처리 후의 필름을 횡연신(텐터)에 도입하여 표면온도가 95℃가 될 때까지 5초간의 예비 가열을 행한 후, 폭방향(횡방향)으로 4.0배 연신했다. 횡연신 후의 필름은 그대로 중간 구역에 도입하여 1.0초에 통과시켰다. 또한 텐터의 중간 구역에 있어서는, 필름을 통과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가늘고 긴 종잇조각을 늘어뜨렸을 때, 그 종잇조각이 거의 완전하게 연직방향으로 아래로 드리워지도록, 최종 열처리 구역으로부터의 열풍과 횡연신 구역으로부터의 열풍을 차단했다.
그 후, 중간 구역을 통과한 필름을 최종 열처리 구역에 도입하고 115℃에서 5초간 열처리했다. 이때, 열처리를 행하는 동시에 필름 폭방향의 클립 간격을 좁힘으로써 폭방향으로 3% 릴랙스 처리를 행했다. 최종 열처리 구역을 통과한 후에는 필름을 냉각하고, 양 가장장리부를 재단 제거하여 폭 500 ㎜로 롤형상으로 감음으로써, 두께 20 ㎛의 이축연신 필름을 소정 길이에 걸쳐 연속적으로 제조했다. 얻은 필름의 특성은 상기 방법으로 평가했다. 제조 조건을 표 2에, 평가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실시예 2~8]
원료의 배합비율, 수지의 압출 조건, 횡연신, 중간 열처리, 종연신, 최종 열처리 조건을 여러 가지 변경한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을 제막해서 평가했다. 실시예 2~8의 필름 제조 조건과 특성을 표 2, 3에 나타낸다.
[비교예 1]
A층, B층 모두 원료로서 폴리에스테르 A와 폴리에스테르 B와 폴리에스테르 D와 폴리에스테르 E를 질량비 5:60:30:5로 혼합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에서 미연신의 적층 필름을 얻었다. 그 후,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에서 필름의 종연신을 행하고, 종연신 후의 필름은 가열로를 통과시키지 않고 냉각했다(즉, 길이방향으로의 릴랙스율은 0%이다). 종연신 후의 필름을 텐터로 도입하고, 최종 열처리온도를 96℃, 폭방향으로의 릴랙스율을 0%로 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에서 횡연신과 최종 열처리를 행하여, 폭 500 ㎜, 두께 20 ㎛의 이축연신 필름을 얻었다. 제조 조건을 표 2에, 평가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비교예 2]
A층의 원료로서 폴리에스테르 A와 폴리에스테르 B와 폴리에스테르 E를 질량비 65:30:5로 혼합하고, B층의 원료는 실시예 8과 동일한 폴리에스테르 원료를 혼합했다. 그 후, 최종 열처리온도를 180℃로 한 이외는, 실시예 8과 동일한 조건에서 필름을 제막하여, 폭 500 ㎜, 두께 20 ㎛의 이축연신 필름을 얻었다. 제조 조건을 표 2에, 평가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Figure 112019008549213-pct00004
Figure 112019008549213-pct00005
[필름의 평가 결과]
표 3으로부터, 실시예 1부터 8까지의 필름은 모두 접힘 각도, 수축률, 헤이즈, 두께 편차, 보향성이 우수하여, 양호한 평가 결과가 얻어졌다.
한편, 비교예 1의 필름은 접힘 각도, 헤이즈, 보향성은 우수하나, 수축률이 높고, 두께 편차가 나쁜 점에서는 사용에 견딜 수 있는 필름이 아니었다.
또한, 비교예 2의 필름은 수축률, 두께 편차, 보향성은 우수하나, 헤이즈가 13.2%로 높고, 접힘 각도가 82도였다. 이 필름은 투명성이 나쁠 뿐 아니라 접힘 용도에는 부적합하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은 우수한 접힘 유지성을 갖고, 고온 환경하에서의 열수축성이 매우 작으며, 투명성이 우수하다. 이뿐 아니라,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은 보향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을 적어도 1층으로서 포함하는 적층체와, 이것을 사용한 포장봉지로 했을 때의 보향성이 우수하다.

Claims (7)

  1.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주된 구성 성분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형성되며, 아래 요건 (1)~(4)를 충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1) 적어도 1층의 접힘 유지층을 갖는 둘 이상의 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필름 면의 적어도 어느 한쪽의 표층에 그 접힘 유지층을 갖는다.
    (2) 상기 접힘 유지층은 전체 모노머 성분 중, 비정질 성분이 될 수 있는 1종 이상의 모노머 성분의 합계(비결정 성분량)가 12 몰% 이상 30 몰% 이하이고, 접힘 유지층의 비결정 성분량에서 그 이외의 층의 비결정 성분량을 뺀 비결정 성분량의 차가 4 몰% 이상 30 몰% 이하이고, 상기 접힘 유지층 이외의 층은 폴리에스테르의 구성 유닛 100 몰% 중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유닛이 60 몰% 이상인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3) 접힘 유지 각도가 20도 이상 70도 이하이다.
    (4) 80℃ 온탕 중에서 10초간에 걸쳐 처리했을 때의 열수축률이 길이방향, 폭방향 모두 0% 이상 15% 이하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의 헤이즈가 1% 이상 12%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길이방향과 폭방향의 두께 편차가 모두 18%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은 상기 접힘 유지층과 상기 접힘 유지층 이외의 층의 적층 필름의 일축연신 필름 또는 이축연신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5.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을 적어도 1층으로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봉지.
  6.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을 적어도 1층으로서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
  7. 제6항에 기재된 적층체를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봉지.
KR1020187037403A 2016-06-30 2017-06-20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적층체 및 포장봉지 KR1022865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129859 2016-06-30
JP2016129859A JP6772590B2 (ja) 2016-06-30 2016-06-30 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積層体及び包装袋
PCT/JP2017/022661 WO2018003598A1 (ja) 2016-06-30 2017-06-20 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積層体及び包装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1260A KR20190021260A (ko) 2019-03-05
KR102286584B1 true KR102286584B1 (ko) 2021-08-04

Family

ID=60786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7403A KR102286584B1 (ko) 2016-06-30 2017-06-20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적층체 및 포장봉지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766237B2 (ko)
JP (1) JP6772590B2 (ko)
KR (1) KR102286584B1 (ko)
CN (1) CN109414921B (ko)
MX (1) MX2018015987A (ko)
TW (1) TWI744345B (ko)
WO (1) WO201800359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08682A4 (en) * 2018-06-12 2022-03-23 Toyobo Co., Ltd. FRESHNESS POLYESTER FILM AND PACKAGING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12481A (ja) * 2008-09-08 2009-01-22 Mitsubishi Plastics Inc 熱折り曲げ成形用ポリ乳酸系積層シート
JP2015160375A (ja) * 2014-02-27 2015-09-07 東洋紡株式会社 印刷製品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762B2 (ja) 1989-05-23 1995-01-25 三井東圧化学株式会社 ひねり包装用フィルム
JPH10226030A (ja) * 1997-02-17 1998-08-25 Kanebo Ltd 滑り性、制電性に優れるポリエステル多層シート及び成形品
FR2774078B1 (fr) * 1998-01-29 2000-03-03 Soplaril Sa Film pour l'enveloppement d'objets
US6319587B1 (en) * 1998-09-24 2001-11-20 Toray Industries, Inc. Biaxially-oriented polyester film
KR100541230B1 (ko) 2001-12-11 2006-01-10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이축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
JP2004174970A (ja) * 2002-11-28 2004-06-24 Mitsubishi Polyester Film Copp 二軸配向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4411556B2 (ja) * 2006-06-14 2010-02-10 東洋紡績株式会社 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809419B2 (ja) * 2007-12-13 2011-11-09 東洋紡績株式会社 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2206755A (ja) * 2011-03-30 2012-10-25 Sumitomo Chemical Co Ltd 蓋材、蓋及び密閉容器
US10421835B2 (en) * 2013-04-26 2019-09-24 Toyobo Co., Ltd. Polyester film for sealant use, laminate, and packaging bag
KR102142394B1 (ko) * 2013-06-11 2020-08-07 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및 포장체
JP6515522B2 (ja) * 2014-02-05 2019-05-22 東洋紡株式会社 折畳み保持性、低収縮性及び透明性に優れた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WO2016002488A1 (ja) * 2014-07-04 2016-01-07 東洋紡株式会社 折畳み保持性、低収縮性及び隠蔽性に優れた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12481A (ja) * 2008-09-08 2009-01-22 Mitsubishi Plastics Inc 熱折り曲げ成形用ポリ乳酸系積層シート
JP2015160375A (ja) * 2014-02-27 2015-09-07 東洋紡株式会社 印刷製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1260A (ko) 2019-03-05
US20190315107A1 (en) 2019-10-17
TW201815587A (zh) 2018-05-01
CN109414921B (zh) 2021-08-20
WO2018003598A1 (ja) 2018-01-04
JP2018001533A (ja) 2018-01-11
TWI744345B (zh) 2021-11-01
MX2018015987A (es) 2019-09-13
JP6772590B2 (ja) 2020-10-21
CN109414921A (zh) 2019-03-01
US10766237B2 (en) 2020-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50679B2 (ja) ポリエステル系シーラントフィルム、積層体及び包装体
KR102459356B1 (ko)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및 포장체
KR102409402B1 (ko)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적층체 및 포장체
JP6724447B2 (ja) シーラント用途の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積層体及び包装体
KR102291804B1 (ko) 백색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적층체 및 포장봉지
KR102023237B1 (ko)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및 포장체
JP6724448B2 (ja) 積層フィルム、積層体及び包装体
KR102500307B1 (ko)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및 포장체
JP6107321B2 (ja) 紙の代替使用が可能な折畳み保持性に優れた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及び紙代替用途のフィルム製物品
JP6759758B2 (ja) 積層フィルム、積層体及び包装体
KR102286584B1 (ko)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적층체 및 포장봉지
JP6641999B2 (ja) 折畳み保持性、低収縮性及び隠蔽性に優れた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6947249B2 (ja) シーラント用途の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積層体及び包装体
JP6337981B2 (ja) 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ロ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