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6043B1 - 재활운동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재활운동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6043B1
KR102286043B1 KR1020160001246A KR20160001246A KR102286043B1 KR 102286043 B1 KR102286043 B1 KR 102286043B1 KR 1020160001246 A KR1020160001246 A KR 1020160001246A KR 20160001246 A KR20160001246 A KR 20160001246A KR 102286043 B1 KR102286043 B1 KR 1022860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habilitation
rehabilitation exercise
user
sensory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12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82076A (ko
Inventor
오현우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600012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6043B1/ko
Publication of KR201700820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20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60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60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54Circuit arrangements not adapted to a particular application of the switching device and for which no provision exists elsewhe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32Driving mechanisms, i.e. for transmitting driving force to the contacts
    • H01H3/46Driving mechanisms, i.e. for transmitting driving force to the contacts using rod or lever linkage, e.g. togg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59Circuit arrangements not adapted to a particular application of the switc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for ensuring operation of the switch at a predetermined point in the ac cyc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Abstract

재활운동 관리 장치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재활운동 관리 장치는, 재활운동을 수행할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는 사용자 정보 입력부, 상기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재활운동에 관한 콘텐츠인 실감 재활 미디어를 재가공하는 재가공부, 사용자 맞춤형으로 재가공된 상기 실감 재활 미디어를 재생하는 재생부, 상기 사용자의 재활운동을 감지하여 바디 스캔 데이터 및 무게중심 데이터를 포함하는 운동 결과 데이터를 생성하는 재활운동 감지부, 그리고 상기 운동 결과 데이터와 상기 실감 재활 미디어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의 재활운동 결과를 분석하는 결과 분석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재활운동 관리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REHABILITATION EXERCISE}
본 발명은 사용자의 재활운동을 관리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 맞춤형 재활운동 컨텐츠를 실감효과와 함께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의 재활운동 결과를 분석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의료기술의 발달로 평균 수명이 늘어나고, 사고 후 환자의 회생률이 증가함에 따라 고령화와 사고로 인한 신경계 관련 질환 환자수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저출산으로 인하여 노인이나 장애우를 돌볼 수 있는 젊은 인력이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따라서 신체 기능 복원과 재활 기술의 발달에 대한 사회적인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신경계 관련 질환 중 전정기관이 손상된 경우, 어지럼증을 보이고, 똑바로 서거나 똑바로 걷기 어려운 균형 장애가 나타난다. 또한, 불안정, 구토 증상, 흔들거리거나 빙글빙글 도는 느낌이 동반되기도 하며, 움직임과 이동이 힘들다. 그러나, 기존의 전정재활 치료는 병원이나 재활센터까지 환자가 직접 방문하여, 대기 순서를 기다려야 한다. 그리고 한 발로 서기나 제자리에서 걷기 등과 같은 의사의 운동 동작 지시에 따라 환자가 운동 동작을 취하고, 환자의 운동 상태를 간호사가 직접 눈으로 확인하고, 기록하는 방식으로 전정재활 치료가 진행된다. 일부 병원 및 재활센터에서는 의료기기로 등록된 재활기구를 이용하여 환자의 재활치료를 돕고 있고, 일부 대형 병원에서는 테스트 프로그램을 이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기존의 전정재활 치료에 있어서 가장 큰 문제점은 환자가 지속적으로 수행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매번 병원이나 재활센터를 방문하는 것이 몸이 불편한 환자에게는 쉽지 않은 일이며, 재활 의료기기를 구매하여 가정에서 재활운동을 수행하기에는 재활 의료기기가 너무 고가이므로 일반인들이 사용하기에는 어려움이 많다.
또한, 재활 의료기기를 사용하여 재활운동을 하는 경우, 재활치료의 정도와 재활운동의 정확도 및 환자의 상태에 맞는 재활운동 강도를 가이드해주는 사람이 없으면 재활운동의 효과가 없을 뿐만 아니라 오히려 역효과가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전정재활운동을 비롯한 각종 재활운동이 필요한 환자가 병원이나 재활센터를 직접 방문하지 않고도 재활운동을 할 수 있으며, 환자의 상태에 따라 재활운동의 종류 및 강도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그리고 환자가 재활운동을 지속적으로 재미있게 할 수 있도록하며, 환자의 재활운동 결과를 체계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기술의 필요성이 절실하게 대두된다.
한국 공개 특허 제10-2013-0036569호, 2013년 04월 12일 공개(명칭: 재활 훈련 보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유헬스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본 발명의 목적은 재활운동을 필요로 하는 환자가 병원이나 재활센터를 직접 방문하지 않고도 편리하게 재활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환자의 상태에 적합한 재활운동 콘텐츠를 환자 맞춤형으로 제공하고, 환자의 재활운동 결과를 분석하여 병원이나 재활센터의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환자의 재활운동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환자의 기호에 맞는 실감효과를 제공함으로써 환자가 지루해하지 않고 재미있게 재활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환자의 상태 및 재활운동의 종류를 고려하여 환자의 재활운동 결과를 분석함으로써 환자의 재활운동을 보다 정확하게 모니터링하고, 환자에게 맞는 재활운동을 추천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재활운동 관리 장치는, 재활운동을 수행할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는 사용자 정보 입력부, 상기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재활운동에 관한 콘텐츠인 실감 재활 미디어를 재가공하는 재가공부, 사용자 맞춤형으로 재가공된 상기 실감 재활 미디어를 재생하는 재생부, 상기 사용자의 재활운동을 감지하여 바디 스캔 데이터 및 무게중심 데이터를 포함하는 운동 결과 데이터를 생성하는 재활운동 감지부, 그리고 상기 운동 결과 데이터와 상기 실감 재활 미디어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의 재활운동 결과를 분석하는 결과 분석부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실감 재활 미디어는, 재활운동 모션데이터 및 실감효과 메타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결과 분석부는, 상기 사용자의 상기 운동 결과 데이터와 상기 재활운동 모션데이터에 상응하는 참조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의 재활운동 결과를 분석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참조데이터는, 상기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맞춤형으로 변환된 것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결과 분석부는, 상기 재활운동 결과를 분석하기 위한 기준 골격을 선정하고, 상기 재활운동 모션데이터의 종류 또는 상기 사용자 정보에 상응하는 골격 데이터별 중요도 가중치를 부여하며, 상기 기준 골격에 상응하도록 추출된 상기 운동 결과 데이터와 상기 참조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재활운동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결과 분석부는, 상기 골격 데이터별 평균값을 연산하고, 연산된 상기 평균값을 기준으로 표준편차를 연산하며, 각각의 상기 골격 데이터에 상기 표준편차와 상기 평균값의 차이에 상응하는 정확도 보정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결과 분석부는, 선정된 상기 기준골격 또는 상기 재활운동 모션데이터의 종류를 이용하여 상기 재활운동 결과를 생성하기 위하여 사용할 상기 골격 데이터를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재가공부는, 상기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재활운동 모션데이터에 상응하는 재활운동의 종류, 레벨, 횟수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설정하거나, 상기 실감효과 메타데이터에 상응하는 실감효과의 종류, 패턴 및 강도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재생부는,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재활운동 모션데이터를 재생하고, 바람, 향기, 촉감, 온도, 조도 및 진동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실감 재현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실감효과 메타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바디 스캔 데이터는, 재생되는 상기 실감 재활 미디어의 종류에 따라 일반 모드 또는 근접 모드로 촬영되어 생성된 것 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사용자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 정보, 건강 정보, 재활운동 이력 정보, 선호도 정보, 실감 재현 장치 정보, 재활운동 환경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실감 재활 미디어를 미디어 전송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미디어 전송 서버는 상기 실감 재활 미디어를 MPEG-2 TS 방식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활운동 관리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재활운동 관리 방법은, 재활운동을 수행할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재활운동에 관한 콘텐츠인 실감 재활 미디어를 재가공하는 단계, 사용자 맞춤형으로 재가공된 상기 실감 재활 미디어를 재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재활운동을 감지하여 바디 스캔 데이터 및 무게중심 데이터를 포함하는 운동 결과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운동 결과 데이터와 상기 실감 재활 미디어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의 재활운동 결과를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재활운동을 필요로 하는 환자가 병원이나 재활센터를 직접 방문하지 않고도 편리하게 재활운동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환자의 상태에 적합한 재활운동 콘텐츠를 환자 맞춤형으로 제공하고, 환자의 재활운동 결과를 분석하여 병원이나 재활센터의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환자의 재활운동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환자의 기호에 맞는 실감효과를 제공함으로써 환자가 지루해하지 않고 재미있게 재활운동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환자의 상태 및 재활운동의 종류를 고려하여 환자의 재활운동 결과를 분석함으로써 환자의 재활운동을 보다 정확하게 모니터링하고, 환자에게 맞는 재활운동을 추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활운동 관리 장치 및 재활운동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활운동 관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활운동 관리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활운동 관리 시스템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활운동 결과 분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활운동 관리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활운동 관리 장치 및 재활운동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재활운동 관리 장치(200)는 재활운동 관리 시스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재활운동 관리 시스템은 재활 미디어 전송 서버(100), 실감효과 추천 서버(150), 재활운동 관리 장치(200),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310), 실감 재현 장치(320), 다중 카메라 센서(330), 발판 센서(340) 및 외부 병원 서버(400)를 포함한다.
먼저, 재활 미디어 전송 서버(100)는 복수의 실감 재활 미디어를 저장하고, 저장된 실감 재활 미디어를 재활운동 관리 장치(200)로 전송한다. 여기서, 실감 재활 미디어는 환자가 병원이나 재활센터를 방문하지 않고도 재활운동을 따라 할 수 있도록 제작된 재활운동 모션데이터를 포함하며, 재활운동 모션데이터는 다양한 각도에서 촬영된 트레이너의 재활운동 시험 영상을 기반으로 제작된 것일 수 있다.
이때, 재활 미디어 전송 서버(100)는 실감 재활 미디어를 IPTV 채널로 전송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MPEG-2 TS 포맷으로 변환하여 재활운동 관리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재활운동 관리 시스템이 실감효과 추천 서버(150)를 포함하지 않을 경우, 재활 미디어 전송 서버(100)는 실감효과 메타데이터가 포함된 실감 재활 미디어를 재활운동 관리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재활 미디어 전송 서버(100)는 재활운동을 수행할 환자의 정보에 상응하는 실감 재활 미디어를 재활운동 관리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재활 미디어 전송 서버(100)는 외부 병원 서버(400)로부터 사용자에게 제공할 재활운동 모션데이터 또는 실감효과 메타데이터를 입력받아 실시간으로 재활운동 관리 장치(2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실감효과 추천 서버(150)는 사용자가 재활운동을 재미있고, 지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사용자 맞춤형으로 설정된 실감효과 메타데이터를 재활운동 관리 장치(200)로 추천한다. 또한, 실감효과 추천 서버(150)는 사용자 맞춤형으로 설정된 실감효과 메타데이터를 재활 미디어 전송 서버(100)로 전송하여 재활 미디어 전송 서버(100)가 실감효과 메타데이터를 포함하는 실감 재활 미디어를 재활운동 관리 장치(200)로 전송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재활운동 관리 장치(200)는 사용자 맞춤형 실감 재활 미디어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때, 재활운동 관리 장치(200)는 직접 실감 재활 미디어를 출력하고, 사용자의 재활운동을 감지하여 운동 결과 데이터를 생성하며, 사용자의 재활운동 결과를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재활운동 관리 장치(200)는 재활 미디어 전송 서버(100) 또는 실감효과 추천 서버(150)로부터 재활운동 모션데이터 및 실감효과 메타데이터를 수신하지 않고, 재활운동 관리 장치(200)가 직접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기 저장된 실감 재활 미디어를 재가공하여 출력할 수도 있다.
반면, 재활운동 관리 장치(200)가 실감 재활 미디어를 직접 출력하지 않는 경우, 재활운동 관리 장치(200)는 별도의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310) 및 실감 재현 장치(320)를 이용하여 각각 재활운동 모션데이터 및 실감효과 메타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재활운동 관리 장치(200)는 재활 미디어 전송 서버(100)로부터 다수의 실감 재활 미디어를 수신하고, 수신된 다수의 실감 재활 미디어 중에서 하나의 실감 재활 미디어만 재생하고, 다른 실감 재활 미디어는 다른 사용자의 단말로 릴레이 할 수도 있으며, 재활운동 관리 장치(200)는 다수의 실감 재활 미디어간 동기화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복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실감 재활 미디어를 시청하면서 재활운동을 실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310)는 사용자가 다각도에서 재활운동 모션데이터를 시청할 수 있도록,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각각의 각도에 상응하는 재활운동 모션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으며, 재활운동 모션데이터는 시범을 보이는 트레이너의 정면, 좌측, 우측, 후방 및 클로즈업 등과 같이 다양한 각도에서 각각 촬영된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실감 재현 장치(320)는 사용자가 지루함을 느끼지 않으면서 재미있게 재활운동을 실시할 수 있도록 다양한 실감효과를 출력한다. 이때, 실감효과는 바람이 불고, 의자가 움직이며, 향기가 나는 것과 같은 실감체험 효과를 의미하며, 특히, 바람, 조명, 발열, 발향, 진동, 모션 등과 같이 MPEG-Ⅴ에서 표준화된 실감효과일 수 있으며, 실감 재현 장치(320)는 바람을 재현할 수 있는 선풍기, 에어컨, 발열을 재현할 수 있는 히터, 온풍기, 발향을 재현할 수 있는 발향기, 진동을 재현할 수 있는 진동 팔찌, 진동 패드, 빛을 재현할 수 있는 LED 조명, 패턴 조명, 디밍 조명, 모션을 재현할 수 있는 4D 모션 의자 등 일 수 있다.
또한, 재활운동 관리 장치(200)가 사용자의 재활운동을 직접 감지하지 않는 경우, 재활운동 관리 장치(200)는 별도의 다중 카메라 센서(330) 및 발판 센서(340)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재활운동을 감지할 수 있다.
하나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재활운동을 하는 사용자를 촬영할 경우, 오차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활운동 관리 시스템은 복수개의 깊이 및 모션 캡쳐 카메라로 구성된 다중 카메라 센서(330)를 사용하여 오차를 최소화한다. 또한, 다중 카메라 센서(330)를 이용하여 감지된 모션 스캔 데이터의 평균을 기반으로 표준편차를 연산하고, 표준편차가 임계치 이하인 값만 사용하여 모션 스캔의 정확도를 높일 수도 있다.
그리고 다중 카메라 센서(330)는 출력되고 있는 재활운동 모션데이터에 대응되도록 사용자의 부위와 범위를 설정하여 촬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활운동 모션데이터가 전정재활운동의 동작일 경우, 전정재활운동은 상지 전정재활운동과 하지 전정재활운동으로 세분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정재활운동은 머리를 움직이는 운동과 상체 몸통을 움직이는 운동 및 눈동자를 움직이는 운동으로 분류된다.
사용자가 목운동이나 고개운동, 상체 몸통 운동을 수행할 경우, 깊이 및 모션 캡쳐 카메라는 사용자와 일정 거리를 유지한 상태에서 촬영하면 된다. 그러나, 눈동자를 움직이는 운동의 경우, 깊이 및 모션 캡쳐 카메라는 근거리에서 사용자의 눈동자 움직임을 촬영해야 한다.
따라서, 다중 카메라 센서(330)는 일반 모드와 근접모드를 포함하는 두 가지 모드를 지원하며, 사용자가 수행하는 재활운동 즉, 재활운동 모션데이터에 상응하는 모드로 사용자를 촬영하여 바디스캔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발판 센서(340)는 사용자의 무게중심 이동을 측정한다. 이때, 발판 센서(340)는 CoM(Center of Mass) 발판센서일 수 있으며, 사용자는 두 발로 발판 센서(340) 위에 올라서거나, 엉덩이를 대고 앉을 수 있다. 그리고 발판 센서(340)는 사용자의 두 발의 무게중심이 어떻게 분포되었는지, 또는 엉덩이의 눌림에 대한 무게중심이 어떻게 분포되었는지 등을 감지하여, 사용자의 평형 감각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발판 센서(340)는 두 발 또는 엉덩이의 좌우측 위치뿐만 아니라 눌림의 정도를 무게 값으로 측정할 수 있다. 발판 센서(340)는 다중의 압전센서 또는 로드 셀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각 센서들의 값을 통합하여 위치와 눌림에 대한 정도, 무게중심의 이동 등을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감지된 위치 정보, 눌림 정도, 무게중심 이동 정보 등을 포함하는 무게중심 데이터를 재활운동 관리 장치(200) 또는 별도의 재활운동 분석 서버로 전송한다.
이 때, 발판 센서(340)는 발판 센서(340)에 전원이 인가된 순간부터 센싱을 시작하지만, 재활운동 관리 장치(200) 또는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310)가 실감 재활 미디어에 상응하는 재활운동 모션데이터를 출력하는 순간부터 감지된 무게중심 데이터를 유효한 무게중심 데이터로 판단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상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310) 및 실감 재현 장치(320)를 각각의 장치로 구분하여 설명하였으나, 디스플레이 기능과 실감효과 재현 기능을 모두 구비한 하나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다중 카메라 센서(330) 및 발판 센서(340)도 바디 스캔 기능과 무게중심 이동 감지 기능을 구비하는 하나의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외부 병원 서버(400)는 재활운동 관리 장치(200)로부터 사용자의 재활운동 결과를 수신하고, 사용자의 재활운동 결과에 상응하는 피드백을 재활운동 관리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외부 병원 서버(400)는 사용자에게 제공하고자 하는 실감 재활 미디어를 재활 미디어 전송 서버(1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활운동 관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활운동 관리 장치(200)는 사용자 정보 입력부(210), 재가공부(220), 재생부(230), 재활운동 감지부(240), 결과 분석부(250) 및 통신부(260)를 포함한다.
먼저, 사용자 정보 입력부(210)는 재활운동을 수행할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는다.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의 나이, 성별, 건강상태, 재활운동 처방 내역 등을 포함하는 사용자의 프로파일, 사용자가 재활운동을 실시하는 환경에 관한 환경정보, 사용자가 선호하는 실감효과 정보, 실감효과를 출력하는 외부의 디바이스 성능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재가공부(220)는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재활운동에 관한 콘텐츠인 실감 재활 미디어를 재가공한다.
이때, 재가공부(220)는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재활운동 모션데이터에 상응하는 재활운동의 종류, 레벨, 횟수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설정하거나, 실감효과 메타데이터에 상응하는 실감효과의 종류, 패턴 및 강도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설정하여 실감 재활 미디어를 재가공 할 수 있다.
재가공부(220)에서 재가공된 실감 재활 미디어는 사용자 정보에 상응하는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실감 재활 미디어를 의미하며, 재가공된 실감 재활 미디어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재활운동 관리 장치(200)는 사용자가 최적의 재활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재생부(230)는 사용자 맞춤형으로 재가공된 실감 재활 미디어를 재생한다. 이때, 재생부(230)는 재활운동 관리 장치(200)에 구비된 기능을 이용하여 실감 재활 미디어를 재생하거나, 외부의 출력 장치를 이용하여 실감 재활 미디어를 재생할 수 있다.
특히, 외부의 출력 장치를 이용하여 실감 재활 미디어를 재생할 경우, 재생부(230)는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재활운동 모션데이터를 재생하고, 실감 재현 장치를 이용하여 실감효과 메타데이터를 재생한다. 여기서, 실감 재현 장치는 바람, 향기, 촉감, 온도, 조도 및 진동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출력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그리고 재활운동 감지부(240)는 사용자의 재활운동을 감지하여 바디 스캔 데이터 및 무게중심 데이터를 포함하는 운동 결과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때, 재활운동 감지부(240)는 다중 카메라 센서 및 발판 센서와 같은 외부의 감지 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재활운동을 감지하거나, 재활운동 감지부(240)에 구비된 각종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재활운동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결과 분석부(250)는 생성된 운동 결과 데이터와 재활운동 모션데이터에 상응하는 참조데이터를 비교하여, 사용자의 재활운동 결과를 분석할 수 있다.
이때, 결과 분석부(250)는 재활운동 결과를 분석하기 위한 기준 골격을 선정하고, 재활운동 모션데이터의 종류 또는 사용자 정보에 상응하는 골격 데이터별 중요도 가중치를 부여하며, 기준 골격에 상응하도록 추출된 운동 결과 데이터와 참조 데이터를 비교하여 재활운동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골격 데이터는 선정된 기준 골격 또는 재활운동 모션데이터의 종류를 기반으로 설정된 것일 수 있다.
또한, 결과 분석부(250)는 보다 정확하게 재활운동 결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골격 데이터별 평균값을 연산하고, 연산된 평균값을 기준으로 표준편차를 연산하며, 각각의 골격 데이터에 상응하는 표준편차와 평균값의 차이에 상응하는 정확도 보정 가중치를 부여하여 재활운동 결과를 분석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통신부(260)는 사용자에게 제공할 실감 재활 미디어를 미디어 전송 서버로부터 수신한다. 이때, 실감 재활 미디어는 MPEG-2 TS 방식으로 전송되는 것 일수 있다. 또한, 통신부(260)는 외부 병원 서버 또는 재활센터 서버로 사용자의 재활운동 결과를 전송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5를 통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활운동 관리 장치에 의한 재활운동 관리 방법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활운동 관리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활운동 관리 시스템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재활운동 관리 장치(200)는 실감 재활 미디어를 수신한다(S310).
재활운동 관리 장치(200)는 재활 미디어 전송 서버(100)로부터 사용자가 수행할 재활운동에 상응하는 실감 재활 미디어를 수신한다. 여기서, 재활 미디어 전송 서버(100)는 MPEG-2 TS 포맷으로 실감 재활 미디어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실감 재활 미디어는 트레이너의 재활운동을 정면, 좌측, 우측, 후면, 클로즈업 등 다양한 각도에서 촬영한 영상인 재활운동 모션데이터를 의미하며, 재활운동의 종류, 레벨, 강도 등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실감 재활 미디어는 실감효과 메타데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실감효과란 재활운동을 수행하는 사용자가 실감체험을 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것을 의미하며, 실감효과는 MPEG-Ⅴ에서 표준화된 바람, 조명, 발열, 발향, 진동, 모션 등 일 수 있다.
재활운동 관리 장치(200)는 재활 미디어 전송 서버(100)로부터는 재활운동 모션데이터를 수신하고, 실감효과 추천 서버(150)로부터 실감효과 메타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의사 또는 재활치료사로부터 입력받은 실감 재활 미디어를 외부 병원 서버(400)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
그리고 재활운동 관리 장치(200)는 S310 단계를 생략하여 외부로부터 실감 재활 미디어를 수신하지 않고, 재활운동 관리 장치(200)의 저장부에 저장된 실감 재활 미디어를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재활운동 관리 장치(200)는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는다(S320).
재활운동 관리 장치(200)는 사용자로부터 직접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거나, 외부 병원 서버(300)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의 프로파일, 환경정보, 선호도, 디바이스 성능 등을 포함하며, 사용자의 프로파일은 사용자의 나이, 성별, 건강상태, 재활운동 처방 내역 등의 정보를 의미하고, 선호도는 사용자가 선호하는 실감효과 정보를 의미한다. 또한, 디바이스 성능은 재활운동 관리 장치(200)가 출력할 수 있는 실감효과의 정보 또는 재활운동 관리 장치(200)와 연결된 외부의 출력 장치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재활운동 관리 장치(200)는 S320 단계에서 입력받은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실감 재활 미디어를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흥미를 가지고 지속적으로 재활운동을 실시하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재활운동 관리 장치(200)는 실감 재활 미디어를 재가공하고(S330), 재가공된 실감 재활 미디어를 재생한다(S340).
재활운동 관리 장치(200)는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재활운동 모션데이터에 상응하는 재활운동의 종류, 레벨, 횟수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설정하거나, 실감효과 메타데이터에 상응하는 실감효과의 종류, 패턴 및 강도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설정하여 실감 재활 미디어를 재가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여름날의 해변을 좋아한다고 사용자 정보를 입력한 경우, 재활운동 관리 장치(200)는 사용자가 여름날의 해변과 유사한 환경에서 재활운동을 실시할 수 있도록, 파도 소리와 갈매기 소리를 출력하고, 바닷바람과 유사한 습도 높은 바람이 불도록 하며, 바다내음을 발향하는 실감효과 메타데이터를 생성하여 실감 재활 미디어를 재가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재활운동 관리 장치(200)는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실감 재활 미디어를 재가공함으로써, 사용자의 건강 상태 및 취향에 맞는 맞춤형 재활운동을 제시할 수 있고, 사용자가 재미있게 재활운동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재활운동 관리 장치(200)는 내장된 각종 출력 모듈을 이용하여 실감효과 메타데이터에 상응하는 바람, 조명, 발열, 발향, 진동, 모션 등을 출력하거나, 스피커, 팬, 진동 패드 등과 같은 외부의 출력 장치가 실감효과 메타데이터에 상응하는 실감효과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재활운동 관리 장치(200)는 운동 결과 데이터를 생성한다(S350).
운동 결과 데이터는 사용자의 재활운동 동작을 다양한 각도 및 다양한 거리에서 촬영한 바디 스캔 데이터와 발판 센서를 이용하여 감지한 무게중심 데이터를 포함한다.
이때, 재활운동 관리 장치(200)는 내장된 각종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재활운동을 감지하거나, 다중 카메라 센서 또는 CoM 발판 센서와 같은 외부의 감지 장치로부터 재활운동 감지 데이터를 수신하여 운동 결과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재활운동 관리 장치(200)는 재활운동 결과를 분석한다(S360).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활운동 결과 분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재활운동 관리 장치(200)는 재활운동 결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기준 골격을 선정한다. 재활운동 관리 장치(200)는 실감 재활 미디어의 재활운동 모션데이터에 상응하는 운동패턴을 이용하여 바디 스캔 데이터로부터 골격을 추출하는 과정에서 기준이 되는 기준 골격을 선정한다.
예를 들어, 재활운동 모션데이터가 상지 전정재활운동인 경우, 하지의 운동은 재활운동 결과 분석에 영향이 없어야 한다. 사용자의 재활운동을 감지하여 운동 결과 데이터를 생성할 때, 트레이너가 똑바로 선 자세에서 재활운동을 수행하여 재활운동 모션데이터를 생성한 반면, 사용자는 한 발을 들고 재활운동을 수행할 경우 재활운동 결과 분석시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재활운동 관리 장치(200)는 재활운동 모션데이터가 상지 전정재활운동인 경우, 상지의 골격을 기준골격으로 선정하고, 재활운동 결과 분석시 사용자의 하지 부분의 운동을 제외한다. 즉, 재활운동 관리 장치(200)는 재활운동 모션데이터에 상응하는 재활운동의 종류 및 패턴에 적합한 골격을 기준으로 기준 골격을 선정한다.
그리고 재활운동 관리 장치(200)는 트레이너의 재활운동 모션데이터(참조데이터)를 로딩하고,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로딩된 참조데이터를 변환하며, 변환된 참조데이터의 골격 부위에 중요도 가중치를 부여한다.
재활운동 관리 장치(200)는 로딩된 재활운동 모션데이터에 상응하는 움직임의 강도, 움직임의 각도 등을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변환한다. 재활운동 관리 장치(200)는 사용자의 키, 몸무게, 체형 등의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를 이용하여 재활운동 모션데이터를 변환한다. 또한, 재활운동 관리 장치(200)는 사용자의 재활운동 이력을 고려하여 재활운동 모션데이터를 사용자 맞춤형으로 변환할 수도 있다. 재활운동을 처음 실시하는 경우와 재활운동을 장기간 수행해온 경우를 구분하여, 재활운동 관리 장치(200)는 각각의 사용자에 맞춤형으로 재활운동 모션데이터를 변환할 수 있다.
또한, 재활운동 관리 장치(200)는 재활운동시 강조되어야 하는 골격 부위에 가중치를 부여한다. 사용자가 재활운동을 할 때, 다른 부위에 비하여 더욱 정확하게 따라 해야 하는 부위가 있다. 따라서, 재활운동 관리 장치(200)는 재활운동의 종류 및 패턴에 따라 강조되어야 하는 골격 부위에 중요도 가중치를 부여하여 재활운동 결과를 분석한다.
예를 들어, 재활운동 모션데이터가 허리를 회전하는 동작인 경우, 재활운동 관리 장치(200)는 허리 골격 부위에 중요도 가중치를 부여하여 재활운동 동작에 대한 정확도를 분석한다.
또한, 재활운동 관리 장치(200)는 사용자의 과거 재활운동 이력 또는 사용자의 재활 상태를 이용하여 보다 중요하게 운동을 수행해야 하는 부위에 중요도 가중치를 부여할 수도 있다. 이처럼, 재활운동 관리 장치(200)는 사용자의 특성 및 재활운동 이력을 고려하여 사용자가 사용자 맞춤형 재활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재활운동 관리 장치(200)는 사용자의 재활운동 결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다중 카메라 센서로부터 수신한 바디 스캔 데이터의 골격 데이터를 처리한다. 골격 데이터 처리를 위하여 재활운동 관리 장치(200)는 바디 스캔 데이터의 각 골격별 평균치를 연산한다. 이때 연산된 골격별 평균치에는 다중 카메라 센서가 사용자의 재활운동을 감지하여 바디 스캔 데이터를 생성할 때, 촬영 환경에 장애물이 존재하거나, 사용자의 주변에 움직이는 물체 또는 사람이 포함되어, 오차범위를 벗어나는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재활운동 관리 장치(200)는 연산된 골격별 평균치를 기준으로 표준편차를 연산하고, 표준편자의 임계범위를 벗어나는 값들을 오차 범위를 벗어나는 값으로 판단하며, 오차 범위를 벗어난 골격 데이터들을 전후의 골격 데이터 값을 고려하여 새로운 값으로 변경한다.
재활운동 결과 분석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하여, 재활운동 관리 장치(200)는 골격 데이터 값이 표준편차에 가까울수록 높은 정확도 보정 가중치를 부여하여 보다 정확하게 사용자의 운동 결과 데이터를 보정할 수 있다.
또한, 재활운동 관리 장치(200)는 보정된 사용자의 운동 결과 데이터를 사용자 맞춤형으로 변환된 재활운동 모션데이터와 비교하여 사용자의 재활운동 결과를 분석한다.
그리고 재활운동 관리 장치(200)는 변환된 트레이너의 재활운동 모션데이터인 참조데이터와 보정된 사용자의 운동 결과 데이터를 비교하여 유사도를 분석한다. 이때, 변환된 트레이너의 재활운동 모션데이터는 골격 부위에 중요도 가중치가 부여된 것이므로 사용자별로 중요하게 재활해야 하는 부위와 재활운동의 종류 및 패턴에 대하여 유사도가 분석된다.
유사도 분석 결과는 사용자가 재활운동을 얼마나 정확하게 따라 했는지에 대한 판단 기준이 되며, 재활운동 관리 장치(200)는 유사도 분석 결과를 그래프 형태로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재활운동 관리 장치(200)는 재활운동에 대한 전체적인 정확도, 신체 부위별 재활운동 정확도, 운동 결과 기록 등을 실시간으로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다.
무게중심 데이터도 바디 스캔 데이터와 동일한 과정으로 처리될 수 있다. 재활운동 관리 장치(200)는 무게중심 이동에 대한 트레이너의 재활운동 모션데이터를 로딩하고,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로딩된 재활운동 모션데이터를 변환한다. 그리고 발판 센서로부터 수신한 무게중심 데이터를 처리한다. 이때, 무게중심 데이터 처리는 다중의 압전 센서 또는 로드셀 센싱 데이터를 기반으로 왼발, 오른발 또는 좌측 엉덩이 및 우측 엉덩이의 위치와 눌림 정도, 무게중심 이동 정보를 계산한다. 또한, 재활운동 관리 장치(200)는 데이터 처리된 무게중심 데이터와 재활운동 모션데이터를 비교하여 사용자의 재활운동 정확도를 분석하고, 유사도를 분석하며, 유사도 그래프를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재활운동 관리 장치(200)는 분석된 재활운동 결과를 외부의 병원 서버 또는 재활센터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의사는 사용자의 재활운동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고, 사용자의 재활운동 이력 정보를 관리하며, 사용자에게 원격으로 재활운동을 처방할 수도 있다. 즉, 재활운동 관리 장치(200)는 의사로부터 사용자에게 부족한 재활운동, 추가적으로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재활운동 처방을 수신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필요한 실감 재활 미디어를 추천 받을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활운동 관리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재활운동 관리 장치(200)는 외부의 장치 및 서버를 이용하여 시스템 형태로 재활운동을 관리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재활운동 관리 장치(200)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다른 장치들로 실감 재활 미디어를 릴레이 할 수 있으며, 실감 재활 미디어 재생을 동기화하며, 게이트웨이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재활운동 관리 장치(200)는 재활 미디어 전송 서버(100)로부터 전정재활운동 스트림과 같은 실감 재활 미디어를 수신하고, 실감 재활 미디어에 상응하는 운동 패턴 정보를 재활운동 분석 서버(350)로 전송한다. 그리고 재활운동 관리 장치(200)는 실감 효과 추천 서버(150)로부터 사용자에 상응하는 실감 선호도 데이터를 수신하며, 실감 선호도 데이터에 상응하는 실감 효과가 출력되도록 실감 재현 장치(320)를 제어한다.
재활운동 관리 장치(200)가 전정재활운동 스트림을 출력하거나, 외부의 출력 장치가 전정재활운동 스트림에 상응하는 재활운동 모션데이터를 출력할 경우, 다중 카메라 센서(330)와 발판센서(340)는 사용자의 재활운동을 감지하여 각각 바디 센싱 데이터와 무게중심 이동데이터를 생성하여 재활운동 분석 서버(330)로 전송한다.
그리고 재활운동 분석 서버(350)는 바디 센싱 데이터와 무게중심 이동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재활운동을 분석하고, 재활운동 분석 결과를 병원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재활운동 분석 서버(350)는 재활운동 분석 결과를 재활운동 관리 장치(200)로 전송하여, 재활운동 관리 장치(200)가 사용자에게 재활운동 분석 결과를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재활운동을 할 때, 다중 카메라 센서(330)는 사용자의 제스처를 인식하여, 인터렉션 데이터를 실감효과 추천 서버(15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인터렉션 데이터는 사용자가 실감효과의 강도 조절이나, 선호도 등을 제시하기 위하여 입력한 제스처를 인식하여 생성한 것으로, 다중 카메라 센서(330)는 인터렉션 데이터를 재활운동 분석 서버(350) 및 실감 재현 장치(320)로 전송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병원 서버(300)는 재활운동 분석 서버(350)로부터 재활운동 분석 결과를 수신할 수 있으며, 재활 미디어 전송 서버(100)로 실감 재활 미디어를 전송하여 재활운동 미디어를 업데이트 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재활운동 관리 장치 및 그 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재활 미디어 전송 서버
150: 실감효과 추천 서버
200: 재활운동 관리 장치
210: 사용자 정보 입력부
220: 재가공부
230: 재생부
240: 재활운동 감지부
250: 결과 분석부
260: 통신부
310: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
320: 실감 재현 장치
330: 다중 카메라 센서
340: 발판 센서
400: 외부 병원 서버

Claims (20)

  1. 재활운동을 수행할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는 사용자 정보 입력부,
    상기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재활운동에 관한 콘텐츠인 실감 재활 미디어를 재가공하는 재가공부,
    사용자 맞춤형으로 재가공된 상기 실감 재활 미디어를 재생하는 재생부,
    상기 사용자의 재활운동을 감지하여 바디 스캔 데이터 및 무게중심 데이터를 포함하는 운동 결과 데이터를 생성하는 재활운동 감지부, 그리고
    상기 운동 결과 데이터와 상기 실감 재활 미디어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의 재활운동 결과를 분석하는 결과 분석부를 포함하고
    상기 실감 재활 미디어는
    재활운동 모션데이터 및 실감효과 메타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결과 분석부는
    상기 재활운동 결과를 분석하기 위한 기준 골격을 선정하고, 상기 재활운동 모션데이터의 종류 또는 상기 사용자 정보에 상응하는 골격 데이터별 중요도 가중치를 부여하며, 상기 기준 골격에 상응하도록 추출된 상기 운동 결과 데이터와 상기 재활운동 모션데이터에 상응하는 참조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재활운동 결과를 생성하는 재활운동 관리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데이터는,
    상기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맞춤형으로 변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운동 관리 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과 분석부는,
    상기 골격 데이터별 평균값을 연산하고, 연산된 상기 평균값을 기준으로 표준편차를 연산하며, 각각의 상기 골격 데이터에 상기 표준편차와 상기 평균값의 차이에 상응하는 정확도 보정 가중치를 부여하는 재활운동 관리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과 분석부는,
    선정된 상기 기준골격 또는 상기 재활운동 모션데이터의 종류를 이용하여 상기 재활운동 결과를 생성하기 위하여 사용할 상기 골격 데이터를 설정하는 재활운동 관리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가공부는,
    상기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재활운동 모션데이터에 상응하는 재활운동의 종류, 레벨, 횟수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설정하거나, 상기 실감효과 메타데이터에 상응하는 실감효과의 종류, 패턴 및 강도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설정하는 재활운동 관리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부는,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재활운동 모션데이터를 재생하고, 바람, 향기, 촉감, 온도, 조도 및 진동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실감 재현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실감효과 메타데이터를 재생하는 재활운동 관리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 스캔 데이터는,
    재생되는 상기 실감 재활 미디어의 종류에 따라 일반 모드 또는 근접 모드로 촬영되어 생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운동 관리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 정보, 건강 정보, 재활운동 이력 정보, 선호도 정보, 실감 재현 장치 정보, 재활운동 환경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재활운동 관리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감 재활 미디어를 미디어 전송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미디어 전송 서버는 상기 실감 재활 미디어를 MPEG-2 TS 방식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운동 관리 장치.
  13. 재활운동 관리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재활운동 관리 방법에 있어서,
    재활운동을 수행할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재활운동에 관한 콘텐츠인 실감 재활 미디어를 재가공하는 단계,
    사용자 맞춤형으로 재가공된 상기 실감 재활 미디어를 재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재활운동을 감지하여 바디 스캔 데이터 및 무게중심 데이터를 포함하는 운동 결과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운동 결과 데이터와 상기 실감 재활 미디어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의 재활운동 결과를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실감 재활 미디어는
    재활운동 모션데이터 및 실감효과 메타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의 재활운동 결과를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재활운동 결과를 분석하기 위한 기준 골격을 선정하는 단계,
    상기 재활운동 모션데이터의 종류 또는 상기 사용자 정보에 상응하는 골격 데이터별 중요도 가중치를 부여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기준 골격에 상응하도록 추출된 상기 운동 결과 데이터와 상기 재활운동 모션데이터에 상응하는 참조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재활운동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재활운동 관리 방법.
  14. 삭제
  15. 삭제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데이터는,
    상기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맞춤형으로 변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운동 관리 방법.
  17. 삭제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골격 데이터별 평균값을 연산하고, 연산된 상기 평균값을 기준으로 표준편차를 연산하며, 각각의 상기 골격 데이터에 상기 표준편차와 상기 평균값의 차이에 상응하는 정확도 보정 가중치를 부여하는 재활운동 관리 방법.
  19. 제13항에 있어서,
    선정된 상기 기준골격 또는 상기 재활운동 모션데이터의 종류를 이용하여 상기 재활운동 결과를 생성하기 위하여 사용할 상기 골격 데이터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재활운동 관리 방법.
  20.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실감 재활 미디어를 미디어 전송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미디어 전송 서버는 상기 실감 재활 미디어를 MPEG-2 TS 방식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운동 관리 방법.
KR1020160001246A 2016-01-05 2016-01-05 재활운동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KR1022860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1246A KR102286043B1 (ko) 2016-01-05 2016-01-05 재활운동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1246A KR102286043B1 (ko) 2016-01-05 2016-01-05 재활운동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2076A KR20170082076A (ko) 2017-07-13
KR102286043B1 true KR102286043B1 (ko) 2021-08-05

Family

ID=59352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1246A KR102286043B1 (ko) 2016-01-05 2016-01-05 재활운동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604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0198B1 (ko) * 2017-07-17 2019-09-30 주식회사 엠비젼 촬영장치를 구비한 재활 치료 기기, 시스템 및 제어방법
KR20190061910A (ko) 2017-11-28 2019-06-05 수상에스티(주) 3차원 영상 모션인식 기반 재활훈련 운동 댄스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190061911A (ko) 2017-11-28 2019-06-05 수상에스티(주) 3차원 영상 모션 인식 기반 관심부위 측정 방법 및 시스템
KR102053448B1 (ko) * 2019-08-28 2019-12-06 최민혁 환자 맞춤형 복합 물리 치료 시스템
CN113542378A (zh) * 2021-07-02 2021-10-22 杭州市第一人民医院 面向远程康复服务的交互式运动训练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6960B1 (ko) * 2011-02-25 2013-01-02 디게이트 주식회사 네츄럴 인터렉션 기반 건강 및 재활 기능성 게임시스템의 운동정보 가이드 장치
KR101287130B1 (ko) 2011-10-04 2013-07-17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재활 훈련 보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유헬스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KR20130067839A (ko) * 2011-12-14 2013-06-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모션 효과 데이터 생성장치 및 생성방법
KR101416282B1 (ko) * 2012-02-29 2014-08-12 디게이트 주식회사 네추럴 인터렉션 기반 건강 및 재활운동 기능성 측정 평가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2076A (ko) 2017-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6043B1 (ko) 재활운동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JP6773190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制御方法、および記憶媒体
JP3469410B2 (ja) ウェルネスシステム
CN104298722B (zh) 多媒体交互系统及其方法
US20220314078A1 (en) Virtual environment workout controls
KR101909693B1 (ko) 증강현실 기반의 가상 피트니스 트레이너가 제공되는 피트니스 시스템
KR101860753B1 (ko) 사용자 인식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US20120194648A1 (en) Video/ audio controller
US2022034576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media content for an exhibit or display
Ueoka et al. Emotion hacking VR: Amplifying scary VR experience by accelerating actual heart rate
US20180199861A1 (en) Interactive Physical Therapy
EP2482935B1 (en) System for supporting a user to do exercises
CN103830822A (zh) 通过具有反馈调节机制的运动系统进行心理引导的方法
JP5049819B2 (ja) 運動支援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19024579A (ja) リハビリテーション支援システム、リハビリテーション支援方法及びプログラム
TWM551505U (zh) 休閒裝置
JP2009285086A (ja) 運動支援装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運動支援方法
Lai et al. Fun and accurate static balance training to enhance fall prevention ability of aged adults: A preliminary study
JP2004056161A (ja) マルチメディア通信システム
JP2009219508A (ja) 歩行訓練方法及び歩行訓練システム
Braga et al. GiroJampa: A serious game prototype for wheelchairs rehabilitation
KR102033513B1 (ko) Vr 컨텐츠 기반의 사용자 운동제공을 위한 좌식 시스템
US2020002187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media content for an exhibit or display
JPWO2009040947A1 (ja) 運動処方提案装置
Oh et al. Implementation of CoM footboard sensor for lower limb rehabilit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