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9693B1 - 증강현실 기반의 가상 피트니스 트레이너가 제공되는 피트니스 시스템 - Google Patents

증강현실 기반의 가상 피트니스 트레이너가 제공되는 피트니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9693B1
KR101909693B1 KR1020170071010A KR20170071010A KR101909693B1 KR 101909693 B1 KR101909693 B1 KR 101909693B1 KR 1020170071010 A KR1020170071010 A KR 1020170071010A KR 20170071010 A KR20170071010 A KR 20170071010A KR 101909693 B1 KR101909693 B1 KR 1019096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iner
fitness
virtual
operation data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10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기
Original Assignee
(주)앤트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앤트로스 filed Critical (주)앤트로스
Priority to KR10201700710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96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96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96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03Analysing the course of a movement or motion sequences during an exercise or trainings sequence, e.g. swing for golf or tennis
    • A63B24/0006Computerised comparison for qualitative assessment of motion sequences or the course of a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87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groups A63B21/00 - A63B23/00, e.g. controlling loa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87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groups A63B21/00 - A63B23/00, e.g. controlling load
    • A63B2024/0096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groups A63B21/00 - A63B23/00, e.g. controlling load using performance related parameters for controlling electronic or video games or avata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06Video camera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50Wireless data transmission, e.g. by radio transmitters or telemetr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피트니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가상현실로 구현된 가상 피트니스 트레이너를 포함하는 증강현실을 출력하는 출력부; 상기 가상 피트니스 트레이너를 제어하여 상기 출력부에 상기 가상 피트니스 트레이너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가상 피트니스 트레이너 제어부; 카메라 모듈을 통해 피트니스 시 사용자의 운동 동작을 감지하는 동작 감지부; 상기 동작 감지부에서 감지한 상기 사용자의 운동 동작으로부터 3차원의 사용자 동작 데이터를 추출하는 동작 데이터 추출부; 및 상기 동작 데이터 추출부에서 추출된 상기 사용자 동작 데이터를 기준이 되는 트레이너 동작 데이터와 비교하는 동작 비교부를 포함하되, 상기 가상 피트니스 트레이너 제어부는, 상기 동작 비교부에서 실시간으로 비교한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가상 피트니스 트레이너가 상기 사용자 동작 데이터와 상기 트레이너 동작 데이터가 일치하지 않는 신체 부위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증강현실 기반의 가상 피트니스 트레이너가 제공되는 피트니스 시스템에 따르면, 사용자의 피트니스를 돕는 가상 피트니스 트레이너가 제공됨으로써, 가상 피트니스 트레이너가 사용자에게 피트니스를 코칭할 수 있고, 증강현실을 통해 사용자가 가상 트레이너의 운동 동작을 따라하며 정확하게 운동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가상 피트니스 트레이너가 사용자와 상호작용하여 피드백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운동 자세를 교정하며, 사용자에게 맞춤형으로 피트니스 코스를 제안하고, 사용자가 피트니스를 지속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Description

증강현실 기반의 가상 피트니스 트레이너가 제공되는 피트니스 시스템{FITNESS SYSTEM PROVIDING VIRTUAL FITNESS TRAINER BASED ON AUGMENTED REALITY}
본 발명은 피트니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증강현실을 기반으로 가상 피트니스 트레이너와 함께 피트니스를 할 수 있는, 증강현실 기반의 가상 피트니스 트레이너가 제공되는 피트니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과학이 발달하면서 현대인의 신체 활동이 감소하고, 대다수의 현대인에게서 운동 부족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특히, 비만과 같은 성인병에 해당하는 인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신체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 피트니스(Fitness)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일반적으로 피지컬 피트니스(Physical Fitness) 또는 피트니스(Fitness)는 밸런스가 잡힌 건강한 신체를 만들어내는 일, 또는 그것을 위한 운동을 말한다. 이러한 피트니스는 전문 장비가 구비된 피트니스 센터에서 전문 트레이너의 개인 지도(Personal Training)를 통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현대인은 바쁜 일상 때문에 피트니스 센터에 찾아가 정기적으로 전문 트레이너의 지도를 받기 어렵고, 비싼 강습료로 인해 피트니스를 지속하기가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위와 같은 어려움 때문에 스마트 디바이스(Smart Device)를 이용하여 전문 트레이너 없이 가정에서 사용자가 혼자 운동을 할 수 있는 스마트 피트니스(Smart Fitness)가 도입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스마트 피트니스는, 일괄적으로 정해진 피트니스 코스를 수행하게 되므로 실질적인 운동 효과를 보기 어렵고, 잘못된 운동으로 인해 오히려 부상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피트니스는 피트니스를 지속할 수 있도록 돕는 전문 트레이너 없이 정해진 코스만을 반복하게 되므로, 사용자가 피트니스를 중도에 포기해버리는 경우가 많은 문제점이 있다.
한편, 스마트 피트니스 시스템과 관련된 선행기술로, 한국 공개특허 제10-2011-0112523호 ‘개인맞춤 운동프로그램 제공을 위한 모니터링 운동처방 시스템’ 등이 제시된 바 있다.
본 발명은 기존에 제안된 방법들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사용자의 피트니스를 돕는 가상 피트니스 트레이너가 제공됨으로써, 가상 피트니스 트레이너가 사용자에게 피트니스를 코칭할 수 있고, 증강현실을 통해 사용자가 가상 트레이너의 운동 동작을 따라하며 정확하게 운동할 수 있는, 증강현실 기반의 가상 피트니스 트레이너가 제공되는 피트니스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가상 피트니스 트레이너가 사용자와 상호작용하여 피드백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운동 자세를 교정하며, 사용자에게 맞춤형으로 피트니스 코스를 제안하고, 사용자가 피트니스를 지속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는, 증강현실 기반의 가상 피트니스 트레이너가 제공되는 피트니스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증강현실 기반의 가상 피트니스 트레이너가 제공되는 피트니스 시스템은,
가상현실로 구현된 가상 피트니스 트레이너를 포함하는 증강현실을 출력하는 출력부;
상기 가상 피트니스 트레이너를 제어하여 상기 출력부에 상기 가상 피트니스 트레이너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가상 피트니스 트레이너 제어부;
카메라 모듈을 통해 피트니스 시 사용자의 운동 동작을 감지하는 동작 감지부;
상기 동작 감지부에서 감지한 상기 사용자의 운동 동작으로부터 3차원의 사용자 동작 데이터를 추출하는 동작 데이터 추출부; 및
상기 동작 데이터 추출부에서 추출된 상기 사용자 동작 데이터를 기준이 되는 트레이너 동작 데이터와 비교하는 동작 비교부를 포함하되,
상기 가상 피트니스 트레이너 제어부는,
상기 동작 비교부에서 실시간으로 비교한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가상 피트니스 트레이너가 상기 사용자 동작 데이터와 상기 트레이너 동작 데이터가 일치하지 않는 신체 부위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동작 비교부는,
상기 동작 데이터 추출부에서 추출한 사용자 동작 데이터를 기반으로 3D 인체 모델을 생성하여 사용자 동작 데이터와 트레이너 동작 데이터를 비교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동작 비교부는,
상기 3D 인체 모델 상에서 트레이너 동작 데이터와 관절의 각도, 떨림 및 유지 간격을 비교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피트니스 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버로부터 가상 피트니스 트레이너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상 피트니스 트레이너 데이터는,
상기 가상 피트니스 트레이너가 제공하는 피트니스 동작, 가상 피트니스 트레이너의 성별 정보, 모델링 정보, 피트니스 동작별 트레이너 동작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상 피트니스 트레이너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동작 데이터와 상기 가상 피트니스 트레이너 데이터의 피트니스 동작을 이용하여 상기 가상 피트니스 트레이너가 제공하는 피트니스 코스를 생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상 피트니스 트레이너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동작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출력부에 상기 트레이너 동작 데이터와 일치하도록 유도하는 교정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출력부는,
상기 동작 감지부에서 감지한 사용자의 동작을 실시간으로 반영한 증강현실을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증강현실 기반의 가상 피트니스 트레이너가 제공되는 피트니스 시스템에 따르면, 사용자의 피트니스를 돕는 가상 피트니스 트레이너가 제공됨으로써, 가상 피트니스 트레이너가 사용자에게 피트니스를 코칭할 수 있고, 증강현실을 통해 사용자가 가상 트레이너의 운동 동작을 따라하며 정확하게 운동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가상 피트니스 트레이너가 사용자와 상호작용하여 피드백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운동 자세를 교정하며, 사용자에게 맞춤형으로 피트니스 코스를 제안하고, 사용자가 피트니스를 지속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기반의 가상 피트니스 트레이너가 제공되는 피트니스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기반의 가상 피트니스 트레이너가 제공되는 피트니스 시스템에서 출력부에 의해 출력되는 증강현실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기반의 가상 피트니스 트레이너가 제공되는 피트니스 시스템에서 동작 감지부 및 동작 데이터 추출부에 의해 사용자 동작 데이터를 추출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기반의 가상 피트니스 트레이너가 제공되는 피트니스 시스템에서 동작 비교부에 의해 사용자 동작 데이터와 트레이너 동작 데이터를 비교하는 모습을 예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기반의 가상 피트니스 트레이너가 제공되는 피트니스 시스템에서 가상 피트니스 트레이너가 피드백을 제공하는 모습을 예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기반의 가상 피트니스 트레이너가 제공되는 피트니스 시스템에서 가상 피트니스 트레이너를 편집하는 모습을 예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 또는 유사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기반의 가상 피트니스 트레이너가 제공되는 피트니스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기반의 가상 피트니스 트레이너가 제공되는 피트니스 시스템(100)은, 출력부(110), 가상 피트니스 트레이너 제어부(120), 동작 감지부(130), 동작 데이터 추출부(140) 및 동작 비교부(150)를 포함하며, 수신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기반의 가상 피트니스 트레이너가 제공되는 피트니스 시스템(100)의 각각의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기반의 가상 피트니스 트레이너가 제공되는 피트니스 시스템(100)에서 출력부(110)에 의해 출력되는 증강현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부(110)는 가상현실로 구현된 가상 피트니스 트레이너를 포함하는 증강현실을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가상 피트니스 트레이너는 3D 그래픽으로 구현된 가상의 피트니스 트레이너를 의미한다. 즉, 출력부(110)는 카메라 모듈을 통해 사용자와 배경을 촬영한 영상을 출력하며, 해당 영상에 가상 피트니스 트레이너가 겹쳐진 증강현실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출력부(110)는 후술하는 동작 감지부(130)에서 감지한 사용자의 동작을 실시간으로 반영한 증강현실을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실제 공간에서 가상 피트니스 트레이너와 함께 피트니스를 하는 현실감을 제공할 수 있다.
가상 피트니스 트레이너 제어부(120)는, 가상 피트니스 트레이너를 제어하여 출력부(110)에 가상 피트니스 트레이너를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가상 피트니스 트레이너 제어부(120)는, 가상 피트니스 트레이너를 3D 렌더링하고, 가상 피트니스 트레이너가 현실에 겹쳐진 그래픽을 합성하여 출력부(11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가상 피트니스 트레이너 제어부(120)는, 가상 피트니스 트레이너의 3D 그래픽을 연산하여 가상 피트니스 트레이너가 피트니스 동작에 따라 움직이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가상 피트니스 트레이너의 동작을 따라하며 피트니스를 할 수 있다.
동작 감지부(130)는, 카메라 모듈을 통해 피트니스 시 사용자의 운동 동작을 감지할 수 있다. 동작 감지부(130)는, 카메라 모듈을 통해 입력되는 영상에서 사용자의 신체 부위가 등록되면, 등록된 신체 부위를 트래킹하여 사용자의 운동 동작을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별도의 마커 없이도 사용자의 운동 동작을 감지할 수 있다. 그러나 실시 예에 따라서는, 보다 정확한 운동 동작 감지를 위해 마커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운동 동작을 감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기반의 가상 피트니스 트레이너가 제공되는 피트니스 시스템에서 동작 감지부(130) 및 동작 데이터 추출부(140)에 의해 사용자 동작 데이터를 추출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작 데이터 추출부(140)는, 동작 감지부(130)에서 감지한 사용자의 운동 동작으로부터 3차원의 사용자 동작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작 감지부(130)에서 카메라 모듈을 통해 감지되는 사용자의 운동 동작은 2차원의 영상 정보에 해당한다. 그러나 보다 정확하게 사용자의 운동 동작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3차원의 데이터가 요구된다.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작 데이터 추출부(140)는, 신체 주요 부위에 대한 공간상의 x, y, z값을 추출하여 3차원의 사용자 동작 데이터를 추출한다. 카메라 입력 영상을 이용하여 3차원의 데이터를 추출하는 방법에 대한 기술은 대한민국 특허 출원번호 제10-2016-0023271호, ‘단일 카메라 입력 영상을 이용한 실측 사이즈의 3차원 모델링 제작 기술 및 방법’에 개시되어 있으므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해당 특허는 본 출원인이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으로부터 기술이전을 받은 특허이다.
동작 비교부(150)는, 동작 데이터 추출부(140)에서 추출된 사용자 동작 데이터를 기준이 되는 트레이너 동작 데이터와 비교할 수 있다. 여기서, 트레이너 동작 데이터는, 동작 감지부(130)와 동작 데이터 추출부(140)를 통해 전문 트레이너의 운동 동작을 3차원의 동작 데이터로 추출한 것이다. 따라서 피트니스 시스템(100)은, 사용자의 동작 데이터와 트레이너의 동작 데이터의 일치도에 따라 사용자가 정확한 자세로 운동을 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기반의 가상 피트니스 트레이너가 제공되는 피트니스 시스템에서 동작 비교부(150)에 의해 사용자 동작 데이터와 트레이너 동작 데이터를 비교하는 모습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작 비교부(150)는, 동작 데이터 추출부(140)에서 추출한 사용자 동작 데이터를 기반으로 3D 인체 모델을 생성하여 사용자 동작 데이터와 트레이너 동작 데이터를 비교할 수 있다. 이때, 동작 비교부(150)는, 3D 인체 모델 상에서 트레이너 동작 데이터와 관절의 각도, 떨림 및 유지 간격을 비교할 수 있다. 관절의 각도, 떨림 및 유지 간격은 사용자가 올바른 자세로 운동을 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판단 요소가 된다.
한편, 전문 트레이너와 사용자는 성별이나 체형이 상이할 수 있다. 이러한 성별과 체형의 차이점으로 인해, 사용자가 올바른 자세로 운동을 하더라도 사용자 동작 데이터와 트레이너 동작 데이터가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 동작 비교부(150)는, 트레이너 동작 데이터를 기반으로 3D 인체 모델을 생성하여 사용자의 체형에 맞게 스케일을 조정한 후, 사용자 동작 데이터와 비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문 트레이너의 키가 180㎝이고, 사용자의 키가 170㎝인 경우, 동작 비교부(150)는, 180㎝ 인 전문 트레이너로부터 추출한 트레이너 동작 데이터에서 3D 인체 모델을 생성하여 키가 170㎝가 되도록 스케일을 조정한 후, 사용자 동작 데이터와 비교할 수 있다. 따라서 더욱 정확하게 사용자가 올바른 자세로 운동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기반의 가상 피트니스 트레이너가 제공되는 피트니스 시스템에서 가상 피트니스 트레이너가 피드백을 제공하는 모습을 예시한 도면이다. 가상 피트니스 트레이너 제어부(120)는, 동작 비교부(150)에서 실시간으로 비교한 결과를 이용하여 가상 트레이너가 사용자 동작 데이터와 트레이너 동작 데이터가 일치하지 않는 신체 부위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동작 데이터와 트레이너 동작 데이터가 무릎의 각도에서 차이가 발생하는 경우, 동작 비교부(150)는 일치하지 않는 신체 부위(무릎)와 차이에 대한 정도(각도)에 대한 일치도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가상 피트니스 트레이너 제어부(120)는, 동작 비교부(150)로부터 일치도 데이터를 수신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상 피트니스 트레이너가 사용자에게 ‘무릎을 좀 더 굽혀 주세요!’라는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가상 피트니스 트레이너의 피드백을 통해 피트니스 코칭을 받을 수 있다.
한편, 수신부(160)는 피트니스 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버로부터 피트니스 트레이너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피트니스 콘텐츠는 피트니스 트레이너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운동을 하는데 필요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피트니스 트레이너 데이터는, 가상 피트니스 트레이너가 제공하는 피트니스 동작, 가상 피트니스 트레이너의 성별 정보, 모델링 정보 및 피트니스 동작별 트레이너 동작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음성 데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상 피트니스 트레이너 제어부(120)는, 사용자 동작 데이터와 가상 피트니스 트레이너 데이터의 피트니스 동작을 이용하여 가상 피트니스 트레이너가 제공하는 피트니스 코스를 생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피트니스 트레이너 제어부(120)는, 가상 피트니스 트레이너 데이터에 포함된 피트니스 동작을 탐색함으로써, 가상 피트니스 트레이너가 제공할 수 있는 피트니스 동작을 포함하여 피트니스 코스를 생성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 동작 데이터를 통해 사용자에게 보완이 필요한 피트니스 동작이 특정될 수 있다. 그러면 피트니스 트레이너 제어부(120)는, 보완이 필요한 피트니스 동작에 우선권을 부여하여 피트니스 코스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가상 피트니스 트레이너는 사용자에게 맞춤형으로 피트니스 코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가상 피트니스 트레이너 제어부(120)는, 사용자의 동작 데이터를 이용하여 출력부(110)에 트레이너 동작 데이터와 일치하도록 유도하는 교정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출력부(110)에 제공되는 교정 정보를 보며 스스로 자세를 교정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기반의 가상 피트니스 트레이너가 제공되는 피트니스 시스템에서 가상 피트니스 트레이너를 편집하는 모습을 예시한 도면이다. 가상 피트니스 트레이너는 모델링과 모델링 표면에 적용되는 텍스쳐(Texture)를 편집하여 사용자가 선호하는 성별과 외형으로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서버에서 피트니스 콘텐츠가 업데이트됨에 따라, 피트니스 트레이너 데이터 또한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가상 피트니스 트레이너를 설정할 수 있는 범위가 다양해질 수 있으며, 사용자가 선호하는 피트니스 트레이너에 의해 피트니스를 지속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피트니스 트레이너 데이터가 업데이트됨에 따라 가상 피트니스 트레이너가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피트니스 동작 및 피트니스 코스 또한 다양해질 수 있으며, 보다 정교하게 사용자 맞춤형 피트니스 코스가 제공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증강현실 기반의 가상 피트니스 트레이너가 제공되는 피트니스 시스템에 따르면, 사용자의 피트니스를 돕는 가상 피트니스 트레이너가 제공됨으로써, 가상 피트니스 트레이너가 사용자에게 피트니스를 코칭할 수 있고, 증강현실을 통해 사용자가 가상 트레이너의 운동 동작을 따라하며 정확하게 운동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가상 피트니스 트레이너가 사용자와 상호작용하여 피드백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운동 자세를 교정하며, 사용자에게 맞춤형으로 피트니스 코스를 제안하고, 사용자가 피트니스를 지속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피트니스 시스템
110: 출력부
120: 가상 피트니스 트레이너 제어부
130: 동작 감지부
140: 동작 데이터 추출부
150: 동작 비교부
160: 수신부

Claims (8)

  1. 가상현실로 구현된 가상 피트니스 트레이너를 포함하는 증강현실을 출력하는 출력부;
    상기 가상 피트니스 트레이너를 제어하여 상기 출력부에 상기 가상 피트니스 트레이너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가상 피트니스 트레이너 제어부;
    카메라 모듈을 통해 피트니스 시 사용자의 운동 동작을 감지하는 동작 감지부;
    상기 동작 감지부에서 감지한 상기 사용자의 운동 동작으로부터 3차원의 사용자 동작 데이터를 추출하는 동작 데이터 추출부; 및
    상기 동작 데이터 추출부에서 추출된 상기 사용자 동작 데이터를 기준이 되는 트레이너 동작 데이터와 비교하는 동작 비교부를 포함하되,
    상기 가상 피트니스 트레이너 제어부는,
    상기 동작 비교부에서 실시간으로 비교한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가상 피트니스 트레이너가 상기 사용자 동작 데이터와 상기 트레이너 동작 데이터가 일치하지 않는 신체 부위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동작 비교부는,
    상기 동작 데이터 추출부에서 추출한 사용자 동작 데이터를 기반으로 3D 인체 모델을 생성하여 사용자 동작 데이터와 트레이너 동작 데이터를 비교하되, 상기 3D 인체 모델 상에서 트레이너 동작 데이터와 관절의 각도, 떨림 및 유지 간격을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기반의 가상 피트니스 트레이너가 제공되는 피트니스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피트니스 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버로부터 가상 피트니스 트레이너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기반의 가상 피트니스 트레이너가 제공되는 피트니스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피트니스 트레이너 데이터는,
    상기 가상 피트니스 트레이너가 제공하는 피트니스 동작, 가상 피트니스 트레이너의 성별 정보, 모델링 정보, 피트니스 동작별 트레이너 동작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기반의 가상 피트니스 트레이너가 제공되는 피트니스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피트니스 트레이너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동작 데이터와 상기 가상 피트니스 트레이너 데이터의 피트니스 동작을 이용하여 상기 가상 피트니스 트레이너가 제공하는 피트니스 코스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기반의 가상 피트니스 트레이너가 제공되는 피트니스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피트니스 트레이너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동작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출력부에 상기 트레이너 동작 데이터와 일치하도록 유도하는 교정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기반의 가상 피트니스 트레이너가 제공되는 피트니스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동작 감지부에서 감지한 사용자의 동작을 실시간으로 반영한 증강현실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기반의 가상 피트니스 트레이너가 제공되는 피트니스 시스템.
KR1020170071010A 2017-06-07 2017-06-07 증강현실 기반의 가상 피트니스 트레이너가 제공되는 피트니스 시스템 KR1019096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1010A KR101909693B1 (ko) 2017-06-07 2017-06-07 증강현실 기반의 가상 피트니스 트레이너가 제공되는 피트니스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1010A KR101909693B1 (ko) 2017-06-07 2017-06-07 증강현실 기반의 가상 피트니스 트레이너가 제공되는 피트니스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9693B1 true KR101909693B1 (ko) 2018-10-24

Family

ID=64132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1010A KR101909693B1 (ko) 2017-06-07 2017-06-07 증강현실 기반의 가상 피트니스 트레이너가 제공되는 피트니스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9693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8546B1 (ko) * 2019-08-27 2019-11-25 이연화 가상현실을 이용한 재활 훈련 시스템 및 방법
KR102071532B1 (ko) * 2018-10-29 2020-01-30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딥러닝을 이용한 운동자세 교정 장치 및 방법
KR102112236B1 (ko) * 2019-09-26 2020-05-18 주식회사 홀로웍스 모션 디텍팅 기반의 가상 품새 에스티메이팅 시스템
KR20200074609A (ko) * 2018-12-17 2020-06-25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홈 트레이닝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2259011B1 (ko) * 2020-11-10 2021-06-01 주식회사 조이펀 사용자 동작 교정 지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55225A (ko) * 2020-10-26 2022-05-03 재단법인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 3차원 모델링을 통한 홈 트레이닝 모니터링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서버
WO2022092589A1 (ko) * 2020-10-27 2022-05-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공지능 기반의 운동 코칭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2497B1 (ko) * 2006-10-09 2007-11-01 박찬애 골프 클리닉 시스템 및 그것의 운용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2497B1 (ko) * 2006-10-09 2007-11-01 박찬애 골프 클리닉 시스템 및 그것의 운용방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1532B1 (ko) * 2018-10-29 2020-01-30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딥러닝을 이용한 운동자세 교정 장치 및 방법
KR20200074609A (ko) * 2018-12-17 2020-06-25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홈 트레이닝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2141288B1 (ko) * 2018-12-17 2020-08-04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홈 트레이닝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2048546B1 (ko) * 2019-08-27 2019-11-25 이연화 가상현실을 이용한 재활 훈련 시스템 및 방법
KR102112236B1 (ko) * 2019-09-26 2020-05-18 주식회사 홀로웍스 모션 디텍팅 기반의 가상 품새 에스티메이팅 시스템
KR20220055225A (ko) * 2020-10-26 2022-05-03 재단법인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 3차원 모델링을 통한 홈 트레이닝 모니터링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서버
KR102423421B1 (ko) * 2020-10-26 2022-07-21 재단법인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 3차원 모델링을 통한 홈 트레이닝 모니터링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서버
WO2022092589A1 (ko) * 2020-10-27 2022-05-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공지능 기반의 운동 코칭 장치
KR102259011B1 (ko) * 2020-11-10 2021-06-01 주식회사 조이펀 사용자 동작 교정 지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9693B1 (ko) 증강현실 기반의 가상 피트니스 트레이너가 제공되는 피트니스 시스템
KR101970687B1 (ko) 개인화 증강현실 기술을 이용한 피트니스 코칭 시스템
KR101931784B1 (ko) 복수의 사용자 대결 구도의 가상 피트니스 시스템
KR101687252B1 (ko) 맞춤형 개인 트레이닝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979750B1 (ko) 댄스 트레이닝 콘텐츠 저작 시스템
JP6045139B2 (ja) 映像生成装置、映像生成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989447B1 (ko) 증강현실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영상 피드백을 제공하는 댄스 모션 피드백 시스템
KR20180103280A (ko) 관절 사이의 거리 유사성을 토대로 자세인식을 수행하는 노인전용 운동안내 시스템
WO2019082376A1 (ja) 動作状態評価システム、動作状態評価装置、動作状態評価サーバ、動作状態評価方法、および動作状態評価プログラム
CN111228752B (zh) 用于自动配置传感器的方法、电子设备和记录介质
EP2203896B1 (en) Method and system for selecting the viewing configuration of a rendered figure
KR102049096B1 (ko) 혼합 현실 기반의 운동 시스템
US11426099B2 (en) Mobile device avatar generation for biofeedback to customize movement control
KR102251315B1 (ko) 운동 트레이닝 시스템
KR20170010157A (ko) 인터랙티브 운동프로그램을 통한 사용자의 운동동작 유도 방법 및 그 장치
KR101521025B1 (ko) 승마자의 3차원 모션분석기반 실시간 코칭시스템
KR101950412B1 (ko) 승마 시뮬레이터 및 승마 시뮬레이션 방법
KR102320960B1 (ko) 사용자 신체 맞춤형 홈 트레이닝 동작 안내 및 교정 시스템
CN110404243A (zh) 一种基于体态测量的康复方法及康复系统
KR102058547B1 (ko) 사용자 대전 방식의 혼합 현실 기반 운동 시스템
KR20170140705A (ko) 연상카드 맞추기 게임을 이용한 인지능력 재활훈련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22034771A1 (ja) プログラム、方法、情報処理装置
KR20170082076A (ko) 재활운동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JP6884306B1 (ja) システム、方法、情報処理装置
KR102051004B1 (ko) 최적화된 음향을 제공하는 혼합 현실 기반 운동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