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2236B1 - 모션 디텍팅 기반의 가상 품새 에스티메이팅 시스템 - Google Patents

모션 디텍팅 기반의 가상 품새 에스티메이팅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2236B1
KR102112236B1 KR1020190143206A KR20190143206A KR102112236B1 KR 102112236 B1 KR102112236 B1 KR 102112236B1 KR 1020190143206 A KR1020190143206 A KR 1020190143206A KR 20190143206 A KR20190143206 A KR 20190143206A KR 102112236 B1 KR102112236 B1 KR 1021122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ion
poomsae
unit
evalu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32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요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홀로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홀로웍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홀로웍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22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22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03Analysing the course of a movement or motion sequences during an exercise or trainings sequence, e.g. swing for golf or tennis
    • A63B24/0006Computerised comparison for qualitative assessment of motion sequences or the course of a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69Score-keepers or score display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20Analysis of mo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03Analysing the course of a movement or motion sequences during an exercise or trainings sequence, e.g. swing for golf or tennis
    • A63B24/0006Computerised comparison for qualitative assessment of motion sequences or the course of a movement
    • A63B2024/0012Comparing movements or motion sequences with a registered reference
    • A63B2024/0015Comparing movements or motion sequences with computerised simulations of movements or motion sequences, e.g. for generating an ideal template as reference to be achieved by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44/00Sports without balls
    • A63B2244/10Combat s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mage Analy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션 디텍팅 기반의 가상 품새 에스티메이팅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품새를 평가받는 평가 대상자의 신체 정보가 입력되는 피지컬 인풋 유닛(physical input unit); 평가 대상자의 품새 모션을 스캔하는 모션 스캔 유닛(motion scan unit); 모션 스캔 유닛으로부터 스캔된 품새 모션을 수신하여, 평가 대상자의 품새 모션을 디텍팅 하는 모션 디텍팅 유닛(motion detecting unit); 모션 디텍팅 유닛으로부터 디텍팅 된 평가 대상자의 품새 모션을 기준 품새 모션과 비교하여 평가 정보를 산출하는 모션 에스티메이팅 유닛(motion estimating unit); 및 모션 에스티메이팅 유닛으로부터 산출된 평가 정보를 수신하여 가상의 영상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모션 아웃풋 유닛(motion output unit)을 포함하는 기술적 사상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모션 디텍팅 기반의 가상 품새 에스티메이팅 시스템{Virtual system for estimating Poomsae based on detection of motion}
본 발명은 모션 디텍팅 기반의 가상 품새 에스티메이팅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평가 대상자의 품새 모션을 스캔하고 디텍팅하여 평가 대상자의 품새 모션과 기준 품새 모션을 오버랩하여 비교 및 평가하고, 평가된 정보를 가상의 영상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시스템에 관한 기술분야이다.
태권도는 무기 없이 언제 어디서나 손과 발을 이용해 공격 또는 방어하는 무도로 빠르고 강력한 발차기 기술을 특징으로 하는 현대창작의 무술이다. 그중에서도 태권도 품새는 기술체계로써 공격과 방어의 기술을 형식에 맞추어 일정 순서로 배열하여 수련함으로써 가상의 상대와 겨루는 연습을 의미하며, 품새는 기본 기술에 숙달하고 동작의 응용력을 배양하여 겨루기 기술을 향상해주며 기본 동작에서 익힐 수 없는 특수기술을 연마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품새는 품새를 할 때 발의 위치와 그 이동 방향을 선으로 표시한 품새선에 따라 수련하며 태극(1장부터 8장까지), 고려, 금강, 태백, 평원, 십진, 지태, 천권, 한수, 일여의 10가지 종류가 있으며, 품새의 종류에 따라서 동작을 정확하게 수행하는지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품새의 평가 방식은 심사위원에 따라서 주관적으로 평가를 하게 되면서, 심사위원에 따라서 채점의 정확도와 공정성이 떨어지며, 오류와 심판 판정에 따를 시비가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최근에는 공정하게 태권도 품새 평가를 할 수 있도록 각 심사위원들이 서버 컴퓨터와 통신 접속된 통신 단말기를 사용하여 편리하고 공정하게 태권도 품새 경기의 평가하고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태권도 품새 평가 방법이 개시되고 있다.
이와 관련된 선행 특허문헌의 예로서 “태권도 품새 채점방법 및 그 장치 (공개번호 제10-2011-0103037호, 이하 특허문헌1이라 한다.)”이 존재한다.
특허문헌1에 따른 발명의 경우, 개시된 내용은 네트워크 기반의 태권도 품새 채점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서버 컴퓨터는 태권도 품새 경기에 사용되는 채점 기록지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여 각 심판들이 사용하는 통신단말기에 저장하고, 각 통신 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아이디, 비밀번호의 로그인 정보를 토대로 태권도 품새 경기의 심판 인증을 수행한 후, 심판들의 채점 조작에 따라 입력되는 각 선수별 태권도 품새 경기의 채점 정보를 집계하여 태권도 품새 경기의 순위를 결정하고, 태권도 품새 경기의 채점 정보를 각 선수별, 심판별, 대회별로 구분하여 데이터베이스에 누적, 저장하며, 채점 정보를 원하는 사용자들에게 제공한다.
또 다른 특허문헌의 예로서 "동작인식을 통한 태권도 품새 평가 시스템 및 방법 (공개번호 제10-2016-0100753호, 이하 특허문헌2이라 한다.)”이 존재한다.
특허문헌2에 따른 발명의 경우, 동작 인식을 통한 태권도 품새 평가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동작 인식을 통한 태권도 품새 평가 시스템은 각각의 태권도 도장에 포함된 평가 보조 장치, 평가 보조 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네트워크 및 네트워크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서버를 포함하고, 평가 보조 장치는, 평가 대상자의 품새 동작을 촬영하는 검출부, 검출부에서 입력받은 신호를 데이터로 변환하는 변환부, 변환된 데이터를 기준 품새와 비교하여 각 구간별, 각 동작별 일치도를 수치화하는 평가부, 검출부를 통하여 촬영된 영상과 평가부의 결과 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부, 출력부에서 출력된 정보를 암호화하여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버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허문헌의 예로서 "웨어러블 기반의 모션 센싱 기술을 이용한 태권도 품새 평가 시스템 (공개번호 제10-2019-0089568호, 이하 특허문헌3이라 한다.)"
특허문헌3에 따른 발명의 경우, 웨어러블 기반의 모션 센싱 기술을 이용한 태권도 품새 평가 시스템을 개시한 것으로, 이러한 특허문헌3에 따른 발명의 경우, 평가 대상자의 신체특정부위에 착용한 스마트 밴드를 기반으로 실시간으로 태권도 품새의 동작 데이터를 측정한 후 이를 표준 데이터와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또한, "깊이 카메라를 이용한 인체골격 기반의 태권도 품새 인식 및 승단 심사 장치와 그 방법(등록번호 제10-1576106호, 이하 특허문헌4라 한다.)"이 존재한다.
특허문헌4에 따른 발명의 경우, 깊이 카메라로부터 입력된 오브젝트의 특징을 추출하는 오브젝트 특징 추출부, 오브젝트의 다양한 동작들을 정의하기 위한 동작 정의부, 오브젝트 특징 추출부와 동작 정의부를 통해 얻어진 정보를 이용하여 오브젝트의 행동을 인식하는 동작 인식부, 동작 인식부에서 확정된 오브젝트의 동작의 정확도를 판정하는 판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태권도 품새 판독 및 교육 장치 및 그 방법(등록번호 제10-1555863호, 이하 특허문헌5라 한다.)"가 존재한다.
특허문헌5의 경우, 본 발명은 태권도 품새 판독 및 교육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움직임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 모듈; 상기 카메라 모듈이 획득한 사용자 움직임 영상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부위의 관절 움직임 정보를 수집하는 관절 움직임 정보 수집 모듈; 미리 설정된 표준 관절 움직임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 모듈; 및 관절 움직임 정보 수집 모듈이 수집한 사용자 관절 움직임 정보와, 저장 모듈에 저장된 미리 설정된 표준 관절 움직임 정보를 비교하여 차이를 나타내는 정도를 점수로 환산하는 점수 환산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키넥트 센서를 이용한 실시간 태권도 동작 분석 장치 및 방법(등록번호 제10-1644022호, 이하 특허문헌 6이라 한다.)"이 존재한다.
특허문헌6의 경우, 키넥트 센서를 이용한 실시간 태권도 동작 분석 장치 및 방법을 개시한다. 사용자의 태권도 품새를 감지하여 품새 영상을 생성하는 키넥트 센서(kinect sensor); 키넥트 센서에서 생성된 품새 영상을 송신하고, 품새 영상에 따른 품새의 채점 결과를 피드백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사용자 단말; 사용자 단말로부터 품새 영상을 수신하고, 수신된 품새 영상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품새의 정확도를 판단하여 채점하고, 채점 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피드백하여 송신하며, 채점 결과에 따라 승급 또는 승단 여부를 판단하여 사용자단말로 통지하는 서버; 서버에 의한 상기 사용자의 채점 결과가 소정의 승급 커트라인(cutline) 또는 승단 커트라인으로부터 소정 범위 내에 있는 경우, 품새의 정확도를 심사위원에 의해 육안으로 다시 판단하여 승급 또는 승단 여부를 정정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심사위원 단말을 포함하고, 서버는 품새 영상에서 사용자의 머리, 어깨, 팔, 다리의 관절과 손, 발의 동작의 정확도와 동작의 크기, 기합 소리의 크기를 통해 품새의 정확도를 판단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특허문헌1은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채점을 입력하여 정보를 제공하지만, 여전히 품새를 채점하는데 있어서 심사위원의 주관적인 판단이 개입되기 때문에 문제점 해결되지 않고 있다.
특허문헌 2는 품새 평가 대상자가 원거리에 있는 공식 평가장에 가지 않고 거주지 인근의 도장 등 근거리의 장소에서 시간의 제약 없이 품새 평가를 받아볼 수 있게 되는데, 품새 평가를 받기 위해서는 평가 보조 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장소에서만 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특허문헌 3은 신체 특정 부위에 착용한 스마트 밴드를 기반으로 실시간으로 태권도 품새 동작 데이터를 측정하고 분석하게 되는데, 이때 스마트 밴드는 평가 대상자의 양 팔목과 양 발목에 각각 착용하여 최소 4대의 스마트 밴드가 필요하게 되기 때문에, 품새 평가 대상자가 늘어남에 따라서 품새 평가 진행에 필요한 비용이 크게 증가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특허문헌 4 내지 6의 경우, 표준 품새의 동작과 획득된 품새 동작의 비교를 하는 면에서 진일보한 측면은 있으나, 품새 동작의 시작과 끝에 대한 동작의 정확도에 대한 분석만 있고, 그 과정에서의 절도나 템포 등에 대한 평가를 수행할 수 없는 한계가 존재하였다.
공개번호 제10-2011-0103037호 공개번호 제10-2016-0100753호 공개번호 제10-2019-0089568호 등록번호 제10-1576106호 등록번호 제10-1555863호 등록번호 제10-1644022호
본 발명에 따른 모션 디텍팅 기반의 가상 품새 에스티메이팅 시스템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제시한다.
첫째, 국기원이나 태권도 도장에 직접 가지 않더라도 시간과 장소의 제약없이 품새 평가를 진행하고자 한다.
둘째, 정확하고 공정한 품새 모션 평가를 위해 평가 대상자의 신체 정보를 입력하고 품새 모션을 스캔하여 평가 대상자의 품새 모션을 디텍팅하고자 한다.
셋째, 평가 대상자의 신체 부위에 미리 결정된 복수 개의 포인트를 설정하고 평가 대상자의 품새 모션과 기준 품새 모션을 오버랩하여 비교, 평가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해결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모션 디텍팅 기반의 가상 품새 에스티메이팅 시스템은 상기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과제 해결 수단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모션 디텍팅 기반의 가상 품새 에스티메이팅 시스템은 새를 평가받는 평가 대상자의 신체 정보가 입력되는 피지컬 인풋 유닛(physical input unit); 상기 평가 대상자의 품새 모션을 스캔하는 모션 스캔 유닛(motion scan unit); 상기 모션 스캔 유닛으로부터 스캔된 상기 품새 모션을 수신하여, 상기 평가 대상자의 상기 품새 모션을 디텍팅 하는 모션 디텍팅 유닛(motion detecting unit); 상기 모션 디텍팅 유닛으로부터 디텍팅 된 상기 평가 대상자의 상기 품새 모션을 기준 품새 모션과 비교하여 평가 정보를 산출하는 모션 에스티메이팅 유닛(motion estimating unit); 및 상기 모션 에스티메이팅 유닛으로부터 산출된 상기 평가 정보를 수신하여 가상의 영상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모션 아웃풋 유닛(motion output unit)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션 디텍팅 기반의 가상 품새 에스티메이팅 시스템의 상기 피지컬 인풋 유닛은 상기 평가 대상자의 상기 신체 정보는 몸무게, 키, 팔 길이, 다리 길이, 발 사이즈, 몸통 길이, 머리 둘레 또는 신체 비율 사이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션 디텍팅 기반의 가상 품새 에스티메이팅 시스템의 상기 모션 스캔 유닛은 상기 평가 대상자의 상기 품새 모션을 촬영하여, 상기 품새 모션을 획득하는 촬영부; 및 상기 촬영부로부터 수신된 상기 품새 모션과 상기 피지컬 인풋 유닛으로부터 입력된 상기 신체 정보를 상호 매칭하는 매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션 디텍팅 기반의 가상 품새 에스티메이팅 시스템의 상기 모션 디텍팅 유닛은, 상기 평가 대상자의 신체 부위에 미리 결정된 복수 개의 포인트를 설정하고, 상기 모션 스캔 유닛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품새 모션을 상기 미리 결정된 복수 개의 포인트를 기준으로 디텍팅 하는 포인트 디텍팅부; 상기 포인트 디텍팅부로부터 상기 미리 결정된 복수 개의 포인트에 기초하여, 상기 평가 대상자의 상기 품새 모션의 개별 모션에 따른 상기 신체 부위별 속도, 시간, 템포를 디텍팅 하는 속도 디텍팅부; 상기 포인트 디텍팅부로부터 상기 미리 결정된 복수 개의 포인트에 기초하여, 상기 평가 대상자의 상기 품새 모션의 상기 개별 모션에 따른 상기 신체 부위별 각도를 디텍팅 하는 앵글 디텍팅부; 및 상기 포인트 디텍팅부로부터 상기 미리 결정된 복수 개의 포인트에 기초하여, 상기 신체 부위별 무게중심을 산출하여 상기 평가 대상자의 상기 품새 모션에 따른 상기 신체 부위별 무게중심이동을 디텍팅 하는 무게중심 디텍팅부를 포함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션 디텍팅 기반의 가상 품새 에스티메이팅 시스템의 상기 모션 에스티메이팅 유닛은, 상기 기준 품새 모션을 미리 저장하며, 상기 기준 품새 모션을 레퍼런스 정보로 지정하는 스탠다드 모션부; 및 상기 모션 디텍팅 유닛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평가 대상자의 상기 품새 모션을 저장하며, 상기 품새 모션을 평가 대상 정보로 지정하는 서브젝트 모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션 디텍팅 기반의 가상 품새 에스티메이팅 시스템의 상기 모션 에스티메이팅 유닛은, 상기 품새 모션의 상기 개별 모션에 기초하여, 상기 레퍼런스 정보와 상기 평가 대상 정보를 오버랩하여 각각의 상기 개별 모션을 평가하는 싱글모션 평가부; 및 상기 품새 모션의 상기 개별 모션 각각의 상호간의 연결성에 기초하여, 상기 레퍼런스 정보와 상기 평가 대상 정보를 오버랩하여 상호 연결된 상기 품새 모션을 평가하는 커넥팅모션 평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션 디텍팅 기반의 가상 품새 에스티메이팅 시스템의 상기 모션 에스티메이팅 유닛은, 상기 포인트 디텍팅부로부터 디텍팅된 상기 미리 결정된 복수 개의 포인트에 기초하여, 상기 레퍼런스 정보와 상기 평가 대상 정보를 오버랩하여 상기 품새 모션을 평가하는 포인트 평가부; 상기 속도 디텍팅부로부터 디텍팅된 상기 개별 모션에 따른 상기 속도, 상기 시간, 상기 템포에 기초하여, 상기 레퍼런스 정보와 상기 평가 대상 정보를 오버랩하여 상기 품새 모션을 평가하는 속도 평가부; 상기 앵글 디텍팅부로부터 디텍팅된 상기 개별 모션에 따른 상기 신체 부위별 각도에 기초하여, 상기 레퍼런스 정보와 상기 평가 대상 정보를 오버랩하여 상기 품새 모션의 평가하는 앵글 평가부; 및 상기 무게중심 디텍팅부로부터 디텍팅된 상기 신체 부위별 상기 무게중심이동에 기초하여, 상기 레퍼런스 정보와 상기 평가 대상 정보를 오버랩하여 상기 품새 모션을 평가하는 무게중심 평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션 디텍팅 기반의 가상 품새 에스티메이팅 시스템의 상기 모션 에스티메이팅 유닛은, 상기 레퍼런스 정보와 상기 평가 대상 정보로부터 상기 미리 결정된 복수 개의 포인트를 오버랩하여, 상기 기준 품새 모션과 상기 평가 대상자의 상기 품새 모션에서의 상기 미리 결정된 복수 개의 포인트의 일치도를 채점하는 모션 스코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션 디텍팅 기반의 가상 품새 에스티메이팅 시스템의 상기 모션 아웃풋 유닛은, 상기 모션 에스티메이팅 유닛으로부터 산출된 상기 평가 정보를 가상의 영상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데 있어서, 상기 기준 품새 모션을 1 영역으로 출력하는 스탠다드 아웃풋부; 및 상기 평가 대상자의 상기 품새 모션을 타 영역으로 출력하는 서브젝트 아웃풋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션 디텍팅 기반의 가상 품새 에스티메이팅 시스템의 상기 모션 아웃풋 유닛은, 상기 모션 에스티메이팅 유닛에서 평가된 정보를 파일로 생성하여 생성된 상기 파일을 하위 파일로 분할하고, 분할된 상기 하위 파일에 공통적인 랜덤함수를 부여하고 분할된 상기 하위 파일에 동일한 랜덤 넘버로 공유하여, 분할된 상기 하위 파일은 물리적으로 분할된 공간에 분산하여 배치하는 분할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모션 디텍팅 기반의 가상 품새 에스티메이팅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태권도 도장에 직접 가지 않더라도 시간과 장소의 제약없이 언제 어디서나 품새 평가를 진행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둘째, 정확하고 공정한 품새 모션 평가를 위해 평가 대상자의 신체 정보를 입력하고 품새 모션을 스캔하여 평가 대상자의 품새 모션을 디텍팅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셋째, 평가 대상자의 신체 부위에 미리 결정된 복수 개의 포인트를 설정하고 평가 대상자의 품새 모션과 기준 품새 모션을 오버랩하여, 품새 모션을 세분화하여 개별 모션, 연결 모션별로 비교 및 평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션 디텍팅 기반의 가상 품새 에스티메이팅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션 디텍팅 기반의 가상 품새 에스티메이팅 시스템의 피지컬 인풋 유닛의 개념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션 디텍팅 기반의 가상 품새 에스티메이팅 시스템의 모션 스캔 유닛의 블록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션 디텍팅 기반의 가상 품새 에스티메이팅 시스템의 모션 디텍팅 유닛의 블록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션 디텍팅 기반의 가상 품새 에스티메이팅 시스템의 포인트 디텍팅부의 개념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션 디텍팅 기반의 가상 품새 에스티메이팅 시스템의 모션 에스티메이팅 유닛의 블록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션 디텍팅 기반의 가상 품새 에스티메이팅 시스템의 싱글모션 평가부의 개념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션 디텍팅 기반의 가상 품새 에스티메이팅 시스템의 커넥팅모션 평가부의 개념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션 디텍팅 기반의 가상 품새 에스티메이팅 시스템의 모션 스코어부의 개념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션 디텍팅 기반의 가상 품새 에스티메이팅 시스템의 모션 아웃풋 유닛의 개념도이다.
도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션 디텍팅 기반의 가상 품새 에스티메이팅 시스템의 싱글모션 평가부의 신체 부위를 영역별로 구획하여 할당한 것에 대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모션 디텍팅 기반의 가상 품새 에스티메이팅 시스템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션 디텍팅 기반의 가상 품새 에스티메이팅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션 디텍팅 기반의 가상 품새 에스티메이팅 시스템의 피지컬 인풋 유닛의 개념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션 디텍팅 기반의 가상 품새 에스티메이팅 시스템의 모션 스캔 유닛의 블록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션 디텍팅 기반의 가상 품새 에스티메이팅 시스템의 모션 디텍팅 유닛의 블록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션 디텍팅 기반의 가상 품새 에스티메이팅 시스템의 포인트 디텍팅부의 개념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션 디텍팅 기반의 가상 품새 에스티메이팅 시스템의 모션 에스티메이팅 유닛의 블록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션 디텍팅 기반의 가상 품새 에스티메이팅 시스템의 싱글모션 평가부의 개념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션 디텍팅 기반의 가상 품새 에스티메이팅 시스템의 커넥팅모션 평가부의 개념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션 디텍팅 기반의 가상 품새 에스티메이팅 시스템의 모션 스코어부의 개념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션 디텍팅 기반의 가상 품새 에스티메이팅 시스템의 모션 아웃풋 유닛의 개념도이다. 도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션 디텍팅 기반의 가상 품새 에스티메이팅 시스템의 싱글모션 평가부의 신체 부위를 영역별로 구획하여 할당한 것에 대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모션 디텍팅 기반의 가상 품새 에스티메이팅 시스템의 경우,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품새를 평가받고자 하는 평가 대상자의 품새 모션(10)을 스캔하고 디텍팅하여 평가 대상자의 품새 모션(10)과 기준 품새 모션(20)을 오버랩하여 비교 및 평가하고, 평가된 정보를 가상의 영상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모션 디텍팅 기반의 가상 품새 에스티메이팅 시스템은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Head Mounted Display, HMD)를 머리 부분에 착용한 후, 평가 대상자의 모션을 스캔한 후 디텍팅하고, 평가 대상자의 품새 모션(10)과 기준 품새 모션(20)을 오버랩하여 평가하고, 평가된 정보를 가상의 영상으로 변환하여 착용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여 눈 앞에 직접 평가 영상을 제시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션 디텍팅 기반의 가상 품새 에스티메이팅 시스템은 피지컬 인풋 유닛(100)(physical input unit), 모션 스캔 유닛(200)(motion scan unit), 모션 디텍팅 유닛(300)(motion detecting unit), 모션 에스티메이팅 유닛(400)(motion estimating unit) 및 모션 아웃풋 유닛(500)(motion output unit)을 포함하게 된다.
먼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지컬 인풋 유닛(100)은 품새를 평가받는 평가 대상자의 신체 정보가 입력되게 된다.
이때 피지컬 인풋 유닛(100)에 입력되는 평가 대상자의 신체 정보에는 몸무게, 키, 팔 길이, 다리 길이, 발 사이즈, 몸통 길이, 머리 둘레 또는 신체 비율 사이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입력되게 되며, 각각의 신체 부위별 사이즈와 더불어 신체의 머리, 몸통, 팔 다리 등의 관절 위치를 파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션 스캔 유닛(200)은 품새 평가 대상자의 품새 모션(10)을 스캔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모션 디텍팅 기반의 가상 품새 에스티메이팅 시스템의 모션 스캔 유닛(200)은 촬영부(210) 및 매칭부(220)를 포함하게 된다.
촬영부(210)는 평가 대상자의 품새 모션(10)을 촬영하여 품새 모션(10)을 획득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에 부착된 카메라를 통해 촬영하여 품새 모션(10)을 스캔할 수 있으며, 스마트폰에 장착된 카메라, 디지털 카메라 또는 스마트 카메라를 통해서도 촬영이 가능하며 이에 제한되지 않고 촬영을 위한 모든 장비를 지칭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매칭부(220)는 촬영부(210)로부터 수신된 품새 모션과 피지컬 인풋 유닛(100)으로부터 입력된 신체 정보를 상호 매칭하게 된다.
촬영부(210)를 통해 촬영하여 평가 대상자의 신체를 비교적 정확하게 스캔할 수 있지만, 일부 카메라의 렌즈의 경우 화면에 왜곡을 일으켜 디테일한 신체 정보를 스캔하는데 한계가 있을 수 있으며, 평가 대상자의 성별, 나이, 체격, 체형에 따라 신체 정보가 상이하므로, 피지컬 인풋 유닛(100)에서 입력된 평가 대상자의 신체 정보와 상호 매칭 시켜 평가 대상자의 정확한 신체 정보를 얻고자 한다.
따라서, 매칭부(220)에서는 촬영을 통해 획득된 2d영상의 품새 모션(10)에 신체 정보를 적용하여 상호 매칭을 통해, 품새 모션(10)의 스케일을 변환하여 밸런스를 맞춰 주고 3d 입체의 가상의 영상으로 출력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션 디텍팅 유닛(300)은 모션 스캔 유닛(200)으로부터 스캔된 품새 모션(10)을 수신하여, 평가 대상자의 품새 모션(10)을 디텍팅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모션 디텍팅 기반의 가상 품새 에스티메이팅 시스템의 모션 디텍팅 유닛(300)은 포인트 디텍팅부(310), 속도 디텍팅부(320), 앵글 디텍팅부(330) 및 무게중심 디텍팅부(340)를 포함하게 된다.
먼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인트 디텍팅부(310)는 평가 대상자의 신체 부위에 미리 결정된 복수 개의 포인트(30)를 설정하고, 모션 스캔 유닛(200)으로부터 수신된 품새 모션(10)을 미리 결정된 복수 개의 포인트(30)를 기준으로 디텍팅하게 된다.
여기서 미리 결정된 복수 개의 포인트(30)는 머리, 몸통, 어깨, 팔, 손목, 무릎, 발목 등의 관절 위치를 파악하고 관절 정보에 기초하여 신체 부위의 각각에 복수 개의 포인트를 설정하는데, 이는 관절의 유연성과 숙력도를 바탕으로 부드러우면서 크게 움직여 큰 힘과 빠른 속도를 내는 것이 품새의 바람직한 모션이기 때문에, 신체의 관절을 중심으로 복수 개의 포인트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속도 디텍팅부(320)는 포인트 디텍팅부(310)로부터 미리 결정된 복수 개의 포인트(30)에 기초하여, 평가 대상자의 품새 모션(10)의 개별 동작에 따른 신체 부위별 속도, 시간 템포를 디텍팅하게 된다.
예컨대, 품새 모션(10)을 평가하는데 있어서 모션의 속도는 가장 중요한 요소이며, 품새 모션(10)의 특성과 기술적 맥락에 따라 지르기와 치기 등의 공격 기술에서 요구되는 속도와 막기에서 요구되는 속도의 특성이 다르며, 특수한 모션에서는 의도적으로 느린 속도가 요구되기 때문에 각 개별모션이 갖는 속도에 대한 요구와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개별 모션에 따른 신체 부위별 속도, 시간 템포를 디텍팅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개별 동작과 개별 동작 간의 적절한 속도 배합이 이상적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중요하기 때문에 연결 동작에 따른 신체부위별 속도, 시간, 템포를 디텍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앵글 디텍팅부(330)는 포인트 디텍팅부(310)로부터 미리 결정된 복수 개의 포인트(30)에 기초하여, 평가 대상자의 품새 모션(10)의 개별 모션에 따른 상기 신체 부위별 각도를 디텍팅하게 된다.
품새 모션(10)에 있어서, 각 모션에 따른 규정된 서기 자세, 손기술, 발차기의 정확성 (앞 축, 발날, 차는 높이, 속도, 힘 균형), 품새 선, 시선 등을 평가하기 위해 개별 모션에 따른 상기 신체 부위별 각도를 디텍팅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속도 디텍팅부(320)에는 가속도 센서, 앵글 디텍팅부(330)에는 회전하는 운동의 각속도를 측정하여 각도를 산출하는 자이로스코프 센서가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에 장착되어 이를 통해 속도와 각도를 디텍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무게중심 디텍팅부(340)는 포인트 디텍팅부(310)로부터 미리 결정된 복수 개의 포인트(30)에 기초하여, 신체 부위별 무게중심을 산출하여 평가 대상자의 품새 모션(10)에 따른 신체 부위별 무게중심이동을 디텍팅하게 된다.
무게중심은 몸의 균형을 유지하고 자연스럽게 모션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핵심적인 요인이다. 평가 대상자의 무게중심의 위치는 품새 모션(10)에 따라서 수시로 변하게 되며, 인종과 성별 체형에 따라서 무게중심의 위치가 변하기 때문에, 평가 대상자의 정확한 무게중심을 산출하기 위해서는 포인트 디텍팅부(310)를 통해 무게중심은 미리 결정된 복수 개의 포인트(30)에 기초하여 분절법을 통해 산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션 에스티메이팅 유닛(400)은 모션 디텍팅 유닛(300)으로부터 디텍팅 된 평가 대상자의 품새 모션(10)을 기준 품새 모션(20)과 비교하여 평가 정보를 산출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모션 디텍팅 기반의 가상 품새 에스티메이팅 시스템의 모션 에스티메이팅 유닛(400)은 스탠다드 모션부(410), 서브젝트 모션부(420), 싱글모션 평가부(430), 커넥팅모션 평가부(440), 포인트 평가부(450), 속도 평가부(460), 앵글 평가부(470), 무게중심 평가부(480) 및 모션 스코어부(490)를 포함하게 된다.
먼저, 스탠다드 모션부(410)는 기준 품새 모션(20)을 미리 저장하며, 기준 품새 모션(20)을 레퍼런스 정보로 지정하게 된다.
여기서 미리 저장된 기준 품새 모션(20)은 국기원의 품새 교본이나 대한태권도협회와 세계태권도연맹의 중진위원으로 구성된 편찬위원회가 전문지식과 실무적인 체험을 토대로 엮은 공인 품새 지도서에 따라 수행된 품새를 데이터화 한 것을 뜻하며, 이를 레퍼런스 정보로 지정되도록 한다.
또한, 기준 품새 모션(20) 데이터는 서버와의 연동을 통해 실시간으로 또는 주기적으로 자동 업데이트가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서브젝트 모션부(420)는 모션 디텍팅 유닛(300)으로부터 수신된 평가 대상자의 품새 모션(10)을 저장하며, 품새 모션(10)을 평가 대상 정보로 지정하게 된다.
아울러, 스탠다드 모션부(410)와 기준 품새 모션(20)과 서브젝트 모션부(420)의 평가 대상자의 품새 모션(10)을 오버랩하여 기준 품새 모션(20)과 품새 모션을 비교하여 정확한 평가를 할 수 있게 된다.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싱글모션 평가부(430)는 품새 모션(10)의 개별 모션에 기초하여, 레퍼런스 정보와 평가 대상 정보를 오버랩하여 각각의 개별 모션을 평가하게 된다.
보다 자세하게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싱글모션 평가부(430)는 품새 평가 대상자의 개별 모션을 평가하는데 있어서, 신체 부위를 머리, 몸통, 팔, 다리의 영역으로 나누어 영역별로 구획하고, 구획된 머리(ad03), 몸통(ad04), 팔(ad02, ad05), 다리(ad01, ad06)영역에 주소를 할당하고, 주소가 할당된 영역을 분할하여 개별적으로 평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분할된 영역별로 모션을 평가하여 신체 부위별로 정량적인 점수를 산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의 각 신체 부위에 대하여 개별 모션을 평가하는데 있어서, 각 신체 영역별 할당된 주소에 따라 각각의 개별 모션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는 파일은 DB에 분산저장 되되, 이들 각각은 개별적으로 호출되어, 별도로 디스플레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특정 신체 부위에 대한 부분만의 개별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한다.
기존에는 전체적인 품새의 정량적인 평가만을 지향하였으나, 손동작이나 하체의 동작 혹은 몸통의 동작 간의 개별적인 동작 평가가 미시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고, 이에 따라 분할된 영역의 개별적 평가 산출이 가능하게 된다.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팅모션 평가부(440)는 품새 모션(10)의 개별 모션 각각의 상호간의 연결성에 기초하여, 레퍼런스 정보와 평가 대상 정보를 오버랩하여 상호 연결된 품새 모션(10)을 평가하게 된다.
품새 모션(10)을 평가하는데 있어서 개별 모션에 대한 정확성도 중요하지만, 품새의 평가 기준에는 개별 모션의 시점과 종점, 이어지는 연결 모션의 정확성, 처음부터 끝까지 완결하였는지에 대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개별 모션의 연결성에 기초하여 연결된 품새 모션(10)을 평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포인트 평가부(450)는 포인트 디텍팅부(310)로부터 디텍팅된 미리 결정된 복수 개의 포인트(30)에 기초하여, 레퍼런스 정보와 평가 대상 정보를 오버랩하여 품새 모션(10)을 평가하게 된다.
이 경우, 레퍼런스 정보에 지정된 기준 품새 모션(20)에서 미리 결정된 복수 개의 포인트(30)와 포인트 디텍팅부(310)로부터 미리 결정된 평가 대상자의 품새 모션(10)의 미리 결정된 복수 개의 포인트(30)를 오버랩하여 포인트 위치에 따라서 품새 모션(10)의 정확성을 평가하게 되며, 각 포인트의 위치가 일치할 경우 품새 모션(10)이 정확한 것으로 평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속도 평가부(460)는 속도 디텍팅부(320)로부터 디텍팅된 개별 모션에 따른 사용자 신체 각 부위별 동작시 발생되는 속도 및 가속도, 동작이 이루어지는 시간, 동작과 동작 간에 이어지는 템포에 기초하여, 레퍼런스 정보와 평가 대상 정보를 오버랩하여 품새 모션(10)을 평가하게 된다.
태권도의 품새 평가에 있어서 종래 기술들은 동작 자체의 매칭에 대한 것을 통해 정량적인 평가가 이루어진 것인데 반해, 본 발명은 동작과 동작 상호간에 이어지는 템포, 즉, 절도(節度)있는 동작의 평가가 가능하도록 한다.
태권도 품새에 있어서 절도는 동작이 시작되는 템포와, 시작 후에 특정 중간 동작까지의 속도, 가속도 및 시간의 측정을 통해 평가 할 수 있고, 최종 동작이 마무리되는 타이밍까지의 동작의 시작과 끊김에 대한 평가를 통해 정량적으로 평가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할 것이다.
앵글 평가부(470)는 앵글 디텍팅부(330)로부터 디텍팅된 개별 모션에 따른 신체 부위별 각도에 기초하여, 레퍼런스 정보와 평가 대상 정보를 오버랩하여 품새 모션(10)의 평가하게 된다.
무게중심 평가부(480)는 무게중심 디텍팅부(340)로부터 디텍팅된 신체 부위별 무게 중심 이동에 기초하여, 레퍼런스 정보와 평가 대상 정보를 오버랩하여 품새 모션(10)을 평가하게 된다.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션 스코어부(490)는 레퍼런스 정보와 평가 대상 정보로부터 미리 결정된 복수 개의 포인트(30)를 오버랩하여, 기준 품새 모션(20)과 평가 대상자의 품새 모션(10)에서의 미리 결정된 복수 개의 포인트(30)의 일치도를 채점하게 된다.
모션 스코어부(490)의 경우, 각 각의 신체 부위별 기준 품새 모션(20)의 미리 결정된 복수 개의 포인트(30)와 평가 대상자의 미리 결정된 복수 개의 포인트(30)의 각 위치에서 일치하는 포인트의 개수, 불일치하는 포인트의 개수를 카운팅하여, 품새 모션(10)의 일치도를 정량적으로 산출하여 채점하도록 한다.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션 아웃풋 유닛(500)은 모션 에스티메이팅 유닛(400)으로부터 산출된 평가 정보를 수신하여 가상의 영상으로 변환하여 출력하게 된다.
모션 아웃풋 유닛(500)은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를 통해 변환된 가상의 영상이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션 디텍팅 기반의 가상 품새 에스티메이팅 시스템의 모션 에스티메이팅 유닛(400)은 스탠다드 아웃풋부(510), 서브젝트 아웃풋부(520) 및 분할 처리부(530)를 포함하게 된다.
먼저, 스탠다드 아웃풋 유닛은 모션 에스티메이팅 유닛(400)으로부터 산출된 상기 평가 정보를 가상의 영상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데 있어서, 기준 품새 모션(20)을 1 영역으로 출력하게 된다.
스탠다드 아웃풋부(510)의 경우, 가상의 영상이 출력될 때,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의 분할하여 한 쪽 영역을 1영역으로 설정하고, 1영역을 통해서 기준 품새 모션(20)을 출력하게 하도록 한다.
서브젝트 아웃풋부(520)는 모션 에스티메이팅 유닛(400)으로부터 산출된 평가 정보를 가상의 영상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데 있어서, 평가 대상자의 품새 모션(10)을 타 영역으로 출력하게 된다.
서브젝트 아웃풋부(520)의 경우,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의 1영역외의 타 영역을 통해서 변환된 가상의 영상을 출력하게 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의 1영역에 스탠다드 아웃풋부(510)와 타영역에 서브젝트 아웃풋부(520)가 동시에 출력됨에 따라, 기준 품새 모션(20)과 평가 대상자의 품새 모션(10)에 대한 평가 정보를 시각적으로도 비교하기 쉽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할 처리부(530)는 모션 에스티메이팅 유닛(400)에서 평가된 정보를 파일로 생성하여 생성된 파일을 하위 파일로 분할하고, 분할된 하위 파일에 공통적인 랜덤함수를 부여하고 분할된 하위 파일에 동일한 랜덤 넘버로 공유하여, 분할된 하위 파일은 물리적으로 분할된 공간에 분산하여 배치하게 된다.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결정되며, 특허 청구범위에 사용된 괄호는 선택적 한정을 위해 기재된 것이 아니라, 명확한 구성요소를 위해 사용되었으며, 괄호 내의 기재도 필수적 구성요소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품새 모션
20: 기준 품새 모션
30: 포인트
100: 피지컬 인풋 유닛
200: 모션 스캔 유닛
210: 촬영부
220: 매칭부
300: 모션 디텍팅 유닛
310: 포인트 디텍팅부
320: 속도 디텍팅부
330: 앵글 디텍팅부
340: 무게중심 디텍팅부
400: 모션 에스티메이팅 유닛
410: 스탠다드 모션부
420: 서브젝트 모션부
430: 싱글모션 평가부
440: 커넥팅모션 평가부
450: 포인트 평가부
460: 속도 평가부
470: 앵글 평가부
480: 무게중심 평가부
490: 모션 스코어부
500: 모션 아웃풋 유닛
510: 스탠다드 아웃풋부
520: 서브젝트 아웃풋부
530: 분할 처리부

Claims (10)

  1. 품새를 평가받는 평가 대상자의 신체 정보가 입력되는 피지컬 인풋 유닛(physical input unit);
    상기 평가 대상자의 품새 모션을 스캔하는 모션 스캔 유닛(motion scan unit);
    상기 모션 스캔 유닛으로부터 스캔된 상기 품새 모션을 수신하여, 상기 평가 대상자의 상기 품새 모션을 디텍팅 하는 모션 디텍팅 유닛(motion detecting unit);
    상기 모션 디텍팅 유닛으로부터 디텍팅 된 상기 평가 대상자의 상기 품새 모션을 기준 품새 모션과 비교하여 평가 정보를 산출하는 모션 에스티메이팅 유닛(motion estimating unit); 및
    상기 모션 에스티메이팅 유닛으로부터 산출된 상기 평가 정보를 수신하여 가상의 영상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모션 아웃풋 유닛(motion output unit)을 포함하되,
    상기 모션 디텍팅 유닛은,
    상기 평가 대상자의 신체 부위에 미리 결정된 복수 개의 포인트를 설정하고, 상기 모션 스캔 유닛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품새 모션을 상기 미리 결정된 복수 개의 포인트를 기준으로 디텍팅 하는 포인트 디텍팅부;
    상기 포인트 디텍팅부로부터 상기 미리 결정된 복수 개의 포인트에 기초하여, 상기 평가 대상자의 상기 품새 모션의 개별 모션에 따른 상기 신체 부위별 속도, 시간, 템포를 디텍팅 하는 속도 디텍팅부;
    상기 포인트 디텍팅부로부터 상기 미리 결정된 복수 개의 포인트에 기초하여, 상기 평가 대상자의 상기 품새 모션의 상기 개별 모션에 따른 상기 신체 부위별 각도를 디텍팅 하는 앵글 디텍팅부; 및
    상기 포인트 디텍팅부로부터 상기 미리 결정된 복수 개의 포인트에 기초하여, 상기 신체 부위별 무게중심을 산출하여 상기 평가 대상자의 상기 품새 모션에 따른 상기 신체 부위별 무게중심이동을 디텍팅 하는 무게중심 디텍팅부를 포함하며,
    상기 모션 에스티메이팅 유닛은,
    상기 기준 품새 모션을 미리 저장하며, 상기 기준 품새 모션을 레퍼런스 정보로 지정하는 스탠다드 모션부;
    상기 모션 디텍팅 유닛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평가 대상자의 상기 품새 모션을 저장하며, 상기 품새 모션을 평가 대상 정보로 지정하는 서브젝트 모션부;
    상기 품새 모션의 상기 개별 모션에 기초하여, 상기 레퍼런스 정보와 상기 평가 대상 정보를 오버랩하여 각각의 상기 개별 모션을 평가하는 싱글모션 평가부;
    상기 품새 모션의 상기 개별 모션 각각의 상호간의 연결성에 기초하여, 상기 레퍼런스 정보와 상기 평가 대상 정보를 오버랩하여 상호 연결된 상기 품새 모션을 평가하는 커넥팅모션 평가부;
    상기 포인트 디텍팅부로부터 디텍팅된 상기 미리 결정된 복수 개의 포인트에 기초하여, 상기 레퍼런스 정보와 상기 평가 대상 정보를 오버랩하여 상기 품새 모션을 평가하는 포인트 평가부;
    상기 속도 디텍팅부로부터 디텍팅된 상기 개별 모션에 따른 상기 속도, 상기 시간, 상기 템포에 기초하여, 상기 레퍼런스 정보와 상기 평가 대상 정보를 오버랩하여 상기 품새 모션을 평가하는 속도 평가부;
    상기 앵글 디텍팅부로부터 디텍팅된 상기 개별 모션에 따른 상기 신체 부위별 각도에 기초하여, 상기 레퍼런스 정보와 상기 평가 대상 정보를 오버랩하여 상기 품새 모션의 평가하는 앵글 평가부; 및
    상기 무게중심 디텍팅부로부터 디텍팅된 상기 신체 부위별 상기 무게중심이동에 기초하여, 상기 레퍼런스 정보와 상기 평가 대상 정보를 오버랩하여 상기 품새 모션을 평가하는 무게중심 평가부를 포함하며,
    상기 모션 아웃풋 유닛은,
    상기 모션 에스티메이팅 유닛에서 평가된 정보를 파일로 생성하여 생성된 상기 파일을 하위 파일로 분할하고, 분할된 상기 하위 파일에 공통적인 랜덤함수를 부여하고 분할된 상기 하위 파일에 동일한 랜덤 넘버로 공유하여, 분할된 상기 하위 파일은 물리적으로 분할된 공간에 분산하여 배치하는 분할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션 디텍팅 기반의 가상 품새 에스티메이팅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지컬 인풋 유닛은,
    상기 평가 대상자의 상기 신체 정보는 몸무게, 키, 팔 길이, 다리 길이, 발 사이즈, 몸통 길이, 머리 둘레 또는 신체 비율 사이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션 디텍팅 기반의 가상 품새 에스티메이팅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션 스캔 유닛은,
    상기 평가 대상자의 상기 품새 모션을 촬영하여, 상기 품새 모션을 획득하는 촬영부; 및
    상기 촬영부로부터 수신된 상기 품새 모션과 상기 피지컬 인풋 유닛으로부터 입력된 상기 신체 정보를 상호 매칭하는 매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션 디텍팅 기반의 가상 품새 에스티메이팅 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션 에스티메이팅 유닛은,
    상기 레퍼런스 정보와 상기 평가 대상 정보로부터 상기 미리 결정된 복수 개의 포인트를 오버랩하여, 상기 기준 품새 모션과 상기 평가 대상자의 상기 품새 모션에서의 상기 미리 결정된 복수 개의 포인트의 일치도를 채점하는 모션 스코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션 디텍팅 기반의 가상 품새 에스티메이팅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션 아웃풋 유닛은,
    상기 모션 에스티메이팅 유닛으로부터 산출된 상기 평가 정보를 가상의 영상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데 있어서,
    상기 기준 품새 모션을 1 영역으로 출력하는 스탠다드 아웃풋부; 및
    상기 평가 대상자의 상기 품새 모션을 타 영역으로 출력하는 서브젝트 아웃풋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션 디텍팅 기반의 가상 품새 에스티메이팅 시스템.
  10. 삭제
KR1020190143206A 2019-09-26 2019-11-11 모션 디텍팅 기반의 가상 품새 에스티메이팅 시스템 KR1021122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119050 2019-09-26
KR1020190119050 2019-09-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2236B1 true KR102112236B1 (ko) 2020-05-18

Family

ID=70912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3206A KR102112236B1 (ko) 2019-09-26 2019-11-11 모션 디텍팅 기반의 가상 품새 에스티메이팅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223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4641B1 (ko) * 2020-12-15 2021-09-24 (주)나노아이티 인공지능형 태권도 품새 판독 및 교육 시스템
KR102331162B1 (ko) * 2021-06-21 2021-11-24 최중구 전자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태권도 동작 평가 및 분석 방법
US11758259B2 (en) 2020-08-31 2023-09-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2630799B1 (ko) * 2023-07-26 2024-01-29 주식회사 에이아이태권도 인공지능을 이용한 음성 인식 기반 태권도 동작 평가방법 및 장치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5031A (ko) * 2008-04-01 2009-10-07 박찬애 영상처리기법을 이용한 골프 클리닉 시스템 및 그것의운용방법
KR20110103037A (ko) 2010-03-12 2011-09-20 조효종 태권도 품새 채점방법 및 그 장치
KR101521025B1 (ko) * 2013-11-14 2015-05-19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승마자의 3차원 모션분석기반 실시간 코칭시스템
KR101555863B1 (ko) 2014-02-27 2015-09-30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태권도 품새 판독 및 교육 장치 및 그 방법
KR101576106B1 (ko) 2014-10-14 2015-12-10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깊이 카메라를 이용한 인체골격 기반의 태권도 품새 인식 및 승단 심사 장치 와 그 방법
KR101644022B1 (ko) 2014-10-13 2016-07-29 주식회사 진스튜디오 키넥트 센서를 이용한 실시간 태권도 동작 분석 장치 및 방법
KR20160100753A (ko) 2015-02-16 2016-08-24 (주)콘텐츠비젼 동작 인식을 통한 태권도 품새 평가 시스템 및 방법
KR101909693B1 (ko) * 2017-06-07 2018-10-24 (주)앤트로스 증강현실 기반의 가상 피트니스 트레이너가 제공되는 피트니스 시스템
KR20190006305A (ko) * 2017-07-10 2019-01-18 모젼스랩(주) 대상체 인식비율에 따른 이용자 모션분석 시스템
KR20190089568A (ko) 2018-01-23 2019-07-31 노호성 웨어러블 기반의 모션 센싱 기술을 이용한 태권도 품새 평가 시스템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5031A (ko) * 2008-04-01 2009-10-07 박찬애 영상처리기법을 이용한 골프 클리닉 시스템 및 그것의운용방법
KR20110103037A (ko) 2010-03-12 2011-09-20 조효종 태권도 품새 채점방법 및 그 장치
KR101521025B1 (ko) * 2013-11-14 2015-05-19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승마자의 3차원 모션분석기반 실시간 코칭시스템
KR101555863B1 (ko) 2014-02-27 2015-09-30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태권도 품새 판독 및 교육 장치 및 그 방법
KR101644022B1 (ko) 2014-10-13 2016-07-29 주식회사 진스튜디오 키넥트 센서를 이용한 실시간 태권도 동작 분석 장치 및 방법
KR101576106B1 (ko) 2014-10-14 2015-12-10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깊이 카메라를 이용한 인체골격 기반의 태권도 품새 인식 및 승단 심사 장치 와 그 방법
KR20160100753A (ko) 2015-02-16 2016-08-24 (주)콘텐츠비젼 동작 인식을 통한 태권도 품새 평가 시스템 및 방법
KR101909693B1 (ko) * 2017-06-07 2018-10-24 (주)앤트로스 증강현실 기반의 가상 피트니스 트레이너가 제공되는 피트니스 시스템
KR20190006305A (ko) * 2017-07-10 2019-01-18 모젼스랩(주) 대상체 인식비율에 따른 이용자 모션분석 시스템
KR20190089568A (ko) 2018-01-23 2019-07-31 노호성 웨어러블 기반의 모션 센싱 기술을 이용한 태권도 품새 평가 시스템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58259B2 (en) 2020-08-31 2023-09-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2304641B1 (ko) * 2020-12-15 2021-09-24 (주)나노아이티 인공지능형 태권도 품새 판독 및 교육 시스템
KR102331162B1 (ko) * 2021-06-21 2021-11-24 최중구 전자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태권도 동작 평가 및 분석 방법
KR102474279B1 (ko) * 2021-06-21 2022-12-05 최중구 태권도 동작 심사 시스템
KR20220169870A (ko) * 2021-06-21 2022-12-28 최중구 태권도 동작에 관한 세부 항목 별 분석 및 평가 장치
KR102490071B1 (ko) 2021-06-21 2023-01-18 최중구 태권도 동작에 관한 세부 항목 별 분석 및 평가 장치
KR102630799B1 (ko) * 2023-07-26 2024-01-29 주식회사 에이아이태권도 인공지능을 이용한 음성 인식 기반 태권도 동작 평가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2236B1 (ko) 모션 디텍팅 기반의 가상 품새 에스티메이팅 시스템
US1113253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reating target motion, capturing motion, analyzing motion, and improving motion
US10803762B2 (en) Body-motion assessment device, dance assessment device, karaoke device, and game device
US8371989B2 (en) User-participating type fitness lecture system and fitness train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1581594B1 (ko) 실시간 당구 보조 시스템
US8282481B2 (en) System and method for cyber training of martial art on network
CA2830497C (en) Virtual golf simulation apparatus and sensing device and method used for the same
KR102377561B1 (ko) 미러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태권도 동작 코칭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399655B1 (ko) 체형별 스윙분석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골프레슨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2014508625A (ja) 仮想ゴルフシミュレーション装置と、これに用いられるセンシング装置及びセンシング方法
CN109908589B (zh) 基于ar技术的游戏实现方法、游戏系统、及存储介质
KR20210128943A (ko)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스포츠 자세를 비교 및 교정하는 장치 및 방법
CN111639574A (zh) 坐姿纠正方法及电子设备、存储介质
KR20140127092A (ko) 양궁 전자표적 시스템 및 양궁 전자표적 시스템의 제어 방법
CN113743237A (zh) 跟随动作的准确度判定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102268954B1 (ko) 골프 공 타격을 감지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골프 스윙 모션 분석 장치
KR102097033B1 (ko) 보디 포인트 인터액션 센싱을 통한 모션 추정 시스템
KR102095647B1 (ko)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동작 비교장치 및 동작 비교장치를 통한 댄스 비교방법
RU2736259C1 (ru) Сенсор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читывания информации о броске игрока в гольф и способ измерения, использующий систему
KR102363435B1 (ko) 골프 스윙 동작 피드백 제공 장치 및 방법
Chong et al. A photogrammetric application in virtual sport training
JP2021099666A (ja) 学習モデルの生成方法
KR101078954B1 (ko)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와, 이에 이용되는 센싱장치 및 센싱방법
US10282770B2 (en) Calculating a degree of fit of a golf product based on captured swing data
EP4080466A1 (en) Ball position identification system, ball position identification method, and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