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3037A - 태권도 품새 채점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태권도 품새 채점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3037A
KR20110103037A KR1020100022141A KR20100022141A KR20110103037A KR 20110103037 A KR20110103037 A KR 20110103037A KR 1020100022141 A KR1020100022141 A KR 1020100022141A KR 20100022141 A KR20100022141 A KR 20100022141A KR 20110103037 A KR20110103037 A KR 201101030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oring
taekwondo poomsae
poomsae
taekwondo
g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21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효종
정지성
Original Assignee
조효종
정지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효종, 정지성 filed Critical 조효종
Priority to KR10201000221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03037A/ko
Publication of KR201101030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30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8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providing for individual presentation of information to a plurality of student st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네트워크 기반의 태권도 품새 채점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서버 컴퓨터는 태권도 품새 경기에 사용되는 채점 기록지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여 각 심판들이 사용하는 통신단말기에 저장하고, 각 통신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아이디, 비밀번호의 로그인 정보를 토대로 태권도 품새 경기의 심판 인증을 수행한 후, 심판들의 채점 조작에 따라 입력되는 각 선수별 태권도 품새 경기의 채점 정보를 집계하여 태권도 품새 경기의 순위를 결정하고, 태권도 품새 경기의 채점 정보를 각 선수별, 심판별, 대회별로 구분하여 데이터베이스에 누적, 저장하며, 채점 정보를 원하는 사용자들에게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태권도 품새 경기의 판정 시비를 줄이고, 공정성을 높이며, 데이터 관리의 효율성을 높인다.

Description

태권도 품새 채점방법 및 그 장치{Grading method and apparatus for poomsae of taekwondo}
본 발명은 태권도 품새 채점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태권도는 한국에서 독자적으로 발전하여 국제 스포츠로 인정받은 무도 중 하나로서, 상대를 물리치기 위해 맨주먹과 발을 사용하는 자유대련 스포츠이다. 특히, 2000년 시드니 하계올림픽에서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면서 전 세계적으로 널리 보급되고 있다.
태권도는 크게 품새와 겨루기로 나눌 수 있는데, 태권도 품새의 품 하나하나는 생존에 따른 실전적 기술을 바탕으로 만들어졌으며, 동작을 통해 정신수양, 신체건강, 호신을 목적으로 만들어진 과학적인 기술의 결정체이다. 기술적인 측면에서 보면 품새가 곧 태권도이며 기본동작은 품새 동작의 바탕이 되는 동작이고, 겨루기는 품새의 실전 응용동작이다. 태권도 정신은 문자로 표현되는 상징적이고 추상적인 정신철학 속에 있지 않고 품새에 의한 행동 속에서 찾아진다. 따라서 품새는 태권도 정신과 기술의 정수를 모아 심신수양과 공방원리를 직접 또는 간접으로 나타낸 행동양식이다.
이러한 태권도의 품새는 태극, 고려, 금강, 태백, 평원, 십진, 지태, 천권, 한수, 일여 등으로 구분되며, 각 개인들은 특정 대회에 참여하여 심판들의 심사를 통해 타인들과 태권도 품새를 경쟁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태권도 품새 경기의 채점방식은, 각 대회마다 심판들이 품새 경기를 보는 과정에서 버튼 조작 등을 통해 즉시 채점을 진행하거나, 메모지에 점수를 기록하여 채점하는 등의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채점의 정확도가 떨어지는 것은 물론, 각 심판의 편견이나 오류로 심판 판정에 시비가 따를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각 선수별, 심판별 등으로 태권도 품새 경기의 데이터 관리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각 심판별로 경기판정에 따른 시비가 계속 발생될 수 있으며, 공정성이 보장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도록, 각 심판들이 서버 컴퓨터와 통신 접속된 통신단말기를 사용하여 편리하고 공정하게 태권도 품새 경기의 채점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태권도 품새 채점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선수별, 심판별, 대회별 등 태권도 품새 경기의 각종 채점관련 데이터를 서버 컴퓨터 측에서 지속적으로 관리함으로써, 발생될 수 있는 판정 시비를 줄이고 공정성을 높이도록 하는 태권도 품새 채점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태권도 품새 채점방법은, (1) 서버 컴퓨터는, 태권도 품새 경기에 사용되는 채점 기록지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고, 이를 태권도 품새 경기의 각 심판들이 사용하는 통신단말기에 저장하는 단계와, (2) 서버 컴퓨터는,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통신 접속된 복수의 통신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아이디, 비밀번호의 로그인 정보를 토대로 태권도 품새 경기의 심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와, (3) 서버 컴퓨터는, (2) 단계를 통해 심판 인증을 수행한 각 통신단말기로 태권도 품새 경기를 수행하는 각 선수별 채점을 요청하고, 심판들의 채점 조작에 따라 입력되는 각 선수별 태권도 품새 경기의 채점 정보를 집계하여 태권도 품새 경기의 순위를 결정하는 단계와, (4) 서버 컴퓨터는, (3) 단계를 통해 집계된 태권도 품새 경기의 채점 정보를 각 선수별, 심판별, 대회별로 구분하여 데이터베이스에 누적, 저장하는 단계, 그리고 (5) 서버 컴퓨터는, (4) 단계를 통해 각 선수별, 심판별, 대회별로 구분하여 집계한 태권도 품새 경기의 채점 정보를 원하는 사용자들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3) 단계에서 각 심판들이 수행하는 태권도 품새 경기의 채점은, 통신단말기의 화면상에 표시되는 채점 기록지의 각 항목별 점수의 마우스 클릭 조작을 통해 수행되거나, 또는 통신단말기의 화면상에 표시되는 채점 기록지의 각 항목별 점수 입력을 통해 수행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태권도 품새 채점장치는, 불특정 다수의 통신회선을 연결하여 상호간에 태권도 품새 경기의 채점과 관련된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네트워크 통신망과,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통신 접속된 서버 측으로부터 데이터베이스로 구축된 태권도 품새 경기에 사용되는 채점 기록지를 전송받아 저장하고 있으며, 인증을 수행한 심판의 조작에 따라 각 선수별 태권도 품새 경기의 채점 정보를 서버 측으로 전송하는 복수의 통신단말기와, 태권도 품새 경기에 사용되는 채점 기록지의 데이터베이스 구축과 상기 복수의 통신단말기로의 저장을 제어하고,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통신 접속된 복수의 통신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아이디, 비밀번호의 로그인 정보를 토대로 태권도 품새 경기의 심판 인증을 수행하고, 심판 인증을 수행한 복수의 통신단말기로부터 심판들의 채점 조작에 따라 입력되는 각 선수별 태권도 품새 경기의 채점 정보를 집계하여 태권도 품새 경기의 순위를 결정하고, 태권도 품새 경기의 채점 정보를 각 선수별, 심판별, 대회별로 구분하여 데이터베이스에 누적, 저장하며, 각 선수별, 심판별, 대회별로 구분하여 집계한 태권도 품새 경기의 채점 정보를 원하는 대상자들에게 제공하는 서버 컴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서버 컴퓨터는,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통신 접속된 복수의 통신단말기와 태권도 품새 경기의 심판 인증, 각 선수별 태권도 품새 경기의 채점 정보의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데이터 통신부와, 데이터 통신부를 통해 복수의 통신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아이디, 비밀번호의 로그인 정보를 토대로 태권도 품새 경기의 심판 인증을 수행하고, 데이터 통신부를 통해 복수의 통신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심판들의 채점 조작에 따른 각 선수별 태권도 품새 경기의 채점 정보를 토대로 태권도 품새 경기의 순위를 결정하고, 각 선수별, 심판별, 대회별 구분에 따른 태권도 품새 경기의 채점 정보의 데이터베이스 누적, 관리를 제어하며, 각 선수별, 심판별, 대회별로 구분된 태권도 품새 경기의 채점 정보를 원하는 대상자들에게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채점 관리부와, 태권도 품새 경기에 사용되는 채점 기록지 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며, 채점 관리부에서 수행하는 각 선수별, 심판별, 대회별 구분에 따른 태권도 품새 경기의 채점 정보를 누적,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태권도 품새 채점방법 및 그 장치에 따르면, 각 심판들이 서버 컴퓨터와 통신 접속된 통신단말기를 사용하여 편리하고 공정하게 태권도 품새 경기의 채점을 수행하며, 서버 컴퓨터 측에서 이를 토대로 선수별, 심판별, 대회별 등 태권도 품새 경기의 채점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관리함으로써, 태권도 품새 경기의 판정 시비를 줄일 수 있음은 물론, 공정성을 높일 수 있으며, 태권도 품새 경기에 대한 데이터 관리의 효율성을 크게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태권도 품새 채점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태권도 품새 채점방법의 동작과정을 상세하게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태권도 품새 경기의 채점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태권도 품새 채점방법 및 그 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태권도 품새 채점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태권도 품새 채점장치는, 네트워크 통신망(100), 복수의 통신단말기(200), 서버 컴퓨터(300) 등으로 구성된다.
네트워크 통신망(100)은 유/무선 인터넷 등의 통신망으로서, 복수의 통신단말기(200)와 서버 컴퓨터(300) 사이의 통신회선을 연결하여 상호간에 태권도 품새 경기의 채점과 관련된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복수의 통신단말기(200)는 태권도 품새 경기의 심판들이 사용하는 단말기로서, 네트워크 통신망(100)을 통해 통신 접속된 서버 컴퓨터(300)로부터 데이터베이스로 구축된 태권도 품새 경기에 사용되는 채점 기록지를 전송받아 저장하고 있으며, 심판 인증을 수행한 심판의 조작에 따라 각 선수별 태권도 품새 경기의 채점 정보를 서버 컴퓨터(300)로 전송한다.
이때 심판들은 통신단말기(200)의 화면상에 표시되는 채점 기록지의 각 항목별 점수의 마우스 클릭 조작을 수행하거나, 또는 통신단말기(200)의 화면상에 표시되는 채점 기록지의 각 항목별 점수 입력을 수행하여 각 선수들의 태권도 품새 경기를 채점한다.
서버 컴퓨터(300)는 태권도 품새 경기에 사용되는 채점 기록지의 데이터베이스 구축과 복수의 통신단말기(200)의 저장을 제어하며, 네트워크 통신망(100)을 통해 통신 접속된 복수의 통신단말기(200)로부터 입력되는 아이디, 비밀번호의 로그인 정보를 토대로 태권도 품새 경기의 심판 인증을 수행한다. 그리고, 심판 인증을 수행한 복수의 통신단말기(200)로부터 심판들의 채점 조작에 따라 입력되는 각 선수별 태권도 품새 경기의 채점 정보를 집계하여 태권도 품새 경기의 순위를 결정하고, 태권도 품새 경기의 채점 정보를 각 선수별, 심판별, 대회별로 구분하여 데이터베이스에 누적, 저장하며, 각 선수별, 심판별, 대회별로 구분하여 집계한 태권도 품새 경기의 채점 정보를 원하는 대상자들에게 제공한다.
이때 서버 컴퓨터(300)는 데이터 통신부(310), 채점 관리부(320), 데이터베이스(330) 등으로 구성된다.
데이터 통신부(310)는 네트워크 통신망(100)을 통해 서버 컴퓨터(300)와 통신 접속된 복수의 통신단말기(200)와 태권도 품새 경기의 심판 인증, 각 선수별 태권도 품새 경기의 채점 정보의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한다.
채점 관리부(320)는 데이터 통신부(310)를 통해 복수의 통신단말기(200)로부터 입력되는 아이디, 비밀번호의 로그인 정보를 토대로 태권도 품새 경기의 심판 인증을 수행하고, 데이터 통신부(310)를 통해 심판 인증이 수행된 복수의 통신단말기(200)로부터 입력되는 심판들의 채점 조작에 따른 각 선수별 태권도 품새 경기의 채점 정보를 토대로 태권도 품새 경기의 순위를 결정하고, 각 선수별, 심판별, 대회별 구분에 따른 태권도 품새 경기의 채점 정보를 데이터베이스(330)에 누적, 관리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채점 관리부(320)는 특정 사용자(예를 들어, 선수나 관계자 등)의 요청에 따라 서버 컴퓨터(300) 측에서 각 선수별, 심판별, 대회별로 구분하여 누적, 관리하는 태권도 품새 경기의 채점 정보를 데이터 통신부(310)를 통해 해당 대상자의 통신단말기로 제공한다.
데이터베이스(330)는 태권도 품새 경기에 사용되는 채점 기록지 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며, 채점 관리부(320)에서 수행하는 각 선수별, 심판별, 대회별 구분에 따른 태권도 품새 경기의 채점 정보를 누적, 저장한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태권도 품새 채점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태권도 품새 채점방법의 동작과정을 상세하게 나타낸 순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태권도 품새 경기의 채점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우선, 서버 컴퓨터(300)는 태권도 품새 경기에 사용되는 채점 기록지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고, 이를 태권도 품새 경기의 심판들이 사용하는 복수의 통신단말기(200)에 저장한다(S10).
이후 특정 일시, 장소에서 태권도 품새 경기가 시작되면, 서버 컴퓨터(300)는 네트워크 통신망(100)을 통해 통신 접속된 복수의 통신단말기(200)로부터 아이디, 비밀번호의 로그인 정보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한다(S20).
복수의 통신단말기(200)로부터 아이디, 비밀번호의 로그인 정보가 입력되면, 서버 컴퓨터(300)는 해당 로그인 정보를 기 저장된 데이터와 비교하여 태권도 품새 경기에 참여하는 심판의 인증을 수행한다(S30).
S30 단계를 통해 각 통신단말기(200)를 사용하는 심판들의 인증을 수행한 이후, 서버 컴퓨터(300)는 각 통신단말기(200)로 태권도 품새 경기를 수행하는 각 선수별 채점을 요청하고, 심판들의 채점 조작에 따라 입력되는 각 선수별 태권도 품새 경기의 채점 정보를 집계하여 태권도 품새 경기의 순위를 결정한다(S40).
즉 서버 컴퓨터(300)에서는 태권도 품새 경기를 수행하는 각 선수별 채점 정보를 각 심판들이 사용하는 통신단말기(200)로부터 자동으로 신속하게 제공받고, 각 심판들의 채점 정보를 토대로 태권도 품새 경기의 순위를 결정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태권도 품새 경기에서 수행하던 종래 방식의 수동적인 채점방식을 탈피하여 자동화된 채점을 토대로 공정하고 신속한 채점 결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때 상술한 S40 단계에서 각 심판들이 수행하는 태권도 품새 경기의 채점은, 통신단말기(200)의 화면상에 표시되는 채점 기록지의 각 항목별 점수의 마우스 클릭 조작을 통해 수행되거나, 또는 통신단말기(200)의 화면상에 표시되는 채점 기록지의 각 항목별 점수 입력을 통해 수행된다.
이후 서버 컴퓨터(300)는 S40 단계를 통해 집계된 태권도 품새 경기의 채점 정보를 각 선수별, 심판별, 대회별로 구분하여 데이터베이스에 누적, 저장한다(S50).
그리고 서버 컴퓨터(300)는 특정 사용자(예를 들어, 선수나 관계자 등)의 요청에 따라 S50 단계를 통해 각 선수별, 심판별, 대회별로 구분하여 집계한 태권도 품새 경기의 채점 정보를 이를 원하는 사용자들에게 제공한다(S60).
이에 따라 태권도 품새 경기를 수행하는 선수들은 물론, 관계자들이 태권도 품새 경기의 심판별, 대회별 채점 정보를 언제 어디서나 손쉽게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에 빈번하게 발생되었던 판정 시비를 줄일 수 있음은 물론, 공정성을 높일 수 있으며, 태권도 품새 경기에 대한 채점 정보의 체계적 관리를 통해 태권도 품새 경기의 데이터 관리가 용이한 이점을 제공한다.
여기에서, 상술한 본 발명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네트워크 통신망 200 : 통신단말기
300 : 서버 컴퓨터 310 : 데이터 통신부
320 : 채점 관리부 330 : 데이터베이스

Claims (5)

  1. (1) 서버 컴퓨터는, 태권도 품새 경기에 사용되는 채점 기록지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고, 이를 태권도 품새 경기의 각 심판들이 사용하는 통신단말기에 저장하는 단계,
    (2) 상기 서버 컴퓨터는,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통신 접속된 복수의 통신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아이디, 비밀번호의 로그인 정보를 토대로 태권도 품새 경기의 심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3) 상기 서버 컴퓨터는, 상기 (2) 단계를 통해 심판 인증을 수행한 각 통신단말기로 태권도 품새 경기를 수행하는 각 선수별 채점을 요청하고, 심판들의 채점 조작에 따라 입력되는 각 선수별 태권도 품새 경기의 채점 정보를 집계하여 태권도 품새 경기의 순위를 결정하는 단계,
    (4) 상기 서버 컴퓨터는, 상기 (3) 단계를 통해 집계된 태권도 품새 경기의 채점 정보를 각 선수별, 심판별, 대회별로 구분하여 데이터베이스에 누적, 저장하는 단계, 그리고
    (5) 상기 서버 컴퓨터는, 상기 (4) 단계를 통해 각 선수별, 심판별, 대회별로 구분하여 집계한 태권도 품새 경기의 채점 정보를 원하는 사용자들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태권도 품새 채점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3) 단계에서 각 심판들이 수행하는 태권도 품새 경기의 채점은,
    상기 통신단말기의 화면상에 표시되는 채점 기록지의 각 항목별 점수의 마우스 클릭 조작을 통해 수행되거나, 또는 상기 통신단말기의 화면상에 표시되는 채점 기록지의 각 항목별 점수 입력을 통해 수행되는 태권도 품새 채점방법.
  3. 제 1 항과 제 2 항의 방법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로 실행시킬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4. 불특정 다수의 통신회선을 연결하여 상호간에 태권도 품새 경기의 채점과 관련된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네트워크 통신망,
    상기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통신 접속된 서버 측으로부터 데이터베이스로 구축된 태권도 품새 경기에 사용되는 채점 기록지를 전송받아 저장하고 있으며, 인증을 수행한 심판의 조작에 따라 각 선수별 태권도 품새 경기의 채점 정보를 서버 측으로 전송하는 복수의 통신단말기, 그리고
    태권도 품새 경기에 사용되는 채점 기록지의 데이터베이스 구축과 상기 복수의 통신단말기로의 저장을 제어하고, 상기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통신 접속된 상기 복수의 통신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아이디, 비밀번호의 로그인 정보를 토대로 태권도 품새 경기의 심판 인증을 수행하고, 심판 인증을 수행한 상기 복수의 통신단말기로부터 심판들의 채점 조작에 따라 입력되는 각 선수별 태권도 품새 경기의 채점 정보를 집계하여 태권도 품새 경기의 순위를 결정하고, 태권도 품새 경기의 채점 정보를 각 선수별, 심판별, 대회별로 구분하여 데이터베이스에 누적, 저장하며, 각 선수별, 심판별, 대회별로 구분하여 집계한 태권도 품새 경기의 채점 정보를 원하는 대상자들에게 제공하는 서버 컴퓨터를
    포함하는 태권도 품새 채점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컴퓨터는,
    상기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통신 접속된 상기 복수의 통신단말기와 태권도 품새 경기의 심판 인증, 각 선수별 태권도 품새 경기의 채점 정보의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데이터 통신부,
    상기 데이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복수의 통신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아이디, 비밀번호의 로그인 정보를 토대로 태권도 품새 경기의 심판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데이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복수의 통신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심판들의 채점 조작에 따른 각 선수별 태권도 품새 경기의 채점 정보를 토대로 태권도 품새 경기의 순위를 결정하고, 각 선수별, 심판별, 대회별 구분에 따른 태권도 품새 경기의 채점 정보의 데이터베이스 누적, 관리를 제어하며, 각 선수별, 심판별, 대회별로 구분된 태권도 품새 경기의 채점 정보를 원하는 대상자들에게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채점 관리부, 그리고
    태권도 품새 경기에 사용되는 채점 기록지 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채점 관리부에서 수행하는 각 선수별, 심판별, 대회별 구분에 따른 태권도 품새 경기의 채점 정보를 누적,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태권도 품새 채점장치.
KR1020100022141A 2010-03-12 2010-03-12 태권도 품새 채점방법 및 그 장치 KR201101030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2141A KR20110103037A (ko) 2010-03-12 2010-03-12 태권도 품새 채점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2141A KR20110103037A (ko) 2010-03-12 2010-03-12 태권도 품새 채점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3037A true KR20110103037A (ko) 2011-09-20

Family

ID=44954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2141A KR20110103037A (ko) 2010-03-12 2010-03-12 태권도 품새 채점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03037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56677A1 (ko) * 2016-09-22 2018-03-29 우하성 태권도 승품 및 승단 심사 전산화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CN109785692A (zh) * 2019-01-22 2019-05-21 合肥状元郎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数字化教学展示系统
KR20190089568A (ko) 2018-01-23 2019-07-31 노호성 웨어러블 기반의 모션 센싱 기술을 이용한 태권도 품새 평가 시스템
KR102112236B1 (ko) 2019-09-26 2020-05-18 주식회사 홀로웍스 모션 디텍팅 기반의 가상 품새 에스티메이팅 시스템
KR102331162B1 (ko) 2021-06-21 2021-11-24 최중구 전자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태권도 동작 평가 및 분석 방법
KR20220074166A (ko) 2020-11-27 2022-06-03 마이스포 주식회사 채점 센서를 포함하는 스마트 의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56677A1 (ko) * 2016-09-22 2018-03-29 우하성 태권도 승품 및 승단 심사 전산화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20190089568A (ko) 2018-01-23 2019-07-31 노호성 웨어러블 기반의 모션 센싱 기술을 이용한 태권도 품새 평가 시스템
CN109785692A (zh) * 2019-01-22 2019-05-21 合肥状元郎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数字化教学展示系统
KR102112236B1 (ko) 2019-09-26 2020-05-18 주식회사 홀로웍스 모션 디텍팅 기반의 가상 품새 에스티메이팅 시스템
KR20220074166A (ko) 2020-11-27 2022-06-03 마이스포 주식회사 채점 센서를 포함하는 스마트 의류
KR102331162B1 (ko) 2021-06-21 2021-11-24 최중구 전자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태권도 동작 평가 및 분석 방법
KR102474279B1 (ko) 2021-06-21 2022-12-05 최중구 태권도 동작 심사 시스템
KR20220169870A (ko) 2021-06-21 2022-12-28 최중구 태권도 동작에 관한 세부 항목 별 분석 및 평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22213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ategorizing and presenting performance assessment data
JP5612634B2 (ja) ゲーム管理装置、ゲーム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5323967B1 (ja) ゲーム管理装置、ゲームシステム、ゲーム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10103037A (ko) 태권도 품새 채점방법 및 그 장치
US20180161673A1 (en) Using telemetry data in a distributed computing environment to address complex problems
US20150018988A1 (en) System and method for player performance evaluation
McGown et al. The perceptual, heart rate and technical-tactical characteristics of 3× 3 basketball
US10625119B2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measurement and storage of standardized physical fitness data
KR20120072364A (ko) 카테고리에 의한 지각 테스트 데이터 분석
KR20210139021A (ko) 회원간에 이루어지는 스포츠 게임 관리 시스템
US20160247119A1 (en) Rating system characterizing athletes based on skillset
He Predicting market value of soccer players using linear modeling techniques
KR101779503B1 (ko) 매칭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JP2020168556A (ja) デジタルゴルフアシスタント
JP5997736B2 (ja) ゲーム管理装置、ゲーム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US20130053147A1 (en) Recommendation component for assisted electronic information processing
US9586143B2 (en) Game control device, game control method, program, recording medium, and game system
Shoval et al. A probabilistic approach to the analysis of a volleyball set performance
Nibali The data game: analyzing our way to better sport performance
US20200188754A1 (en) System for training lacrosse mechanics using sensors
KR101160111B1 (ko) 골프 핸디캡 산출 장치
Bunn et al. How much does experience matter in NCAA division I volleyball? A retrospective study
KR20210114155A (ko) 딥 러닝을 활용한 스마트 점수 표시 시스템 및 동작 방법
JP2007236769A (ja) 対戦情報処理システム、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サーバー装置、それらを実行するプログラム並びに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Lin Application of computer technology in sport data statist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