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1004B1 - 최적화된 음향을 제공하는 혼합 현실 기반 운동 시스템 - Google Patents

최적화된 음향을 제공하는 혼합 현실 기반 운동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1004B1
KR102051004B1 KR1020190052547A KR20190052547A KR102051004B1 KR 102051004 B1 KR102051004 B1 KR 102051004B1 KR 1020190052547 A KR1020190052547 A KR 1020190052547A KR 20190052547 A KR20190052547 A KR 20190052547A KR 102051004 B1 KR102051004 B1 KR 1020510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ion
exercise
user
sound
vo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25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한종
문영아
권희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마이베네핏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마이베네핏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마이베네핏
Priority to KR10201900525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10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10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10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75Means for generating exercise programs or schemes, e.g. computerized virtual trainer, e.g. using expert databa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62Monitoring athletic performances, e.g. for determining the work of a user on an exercise apparatus, the completed jogging or cycling di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87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groups A63B21/00 - A63B23/00, e.g. controlling loa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63B2071/0625Emitting sound, noise or music
    • A63B2071/063Spoken or verbal instru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63B2071/0638Displaying moving images of recorded environment, e.g. virtual environ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70Measuring or simulating ambient conditions, e.g. weather, terrain or surface cond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06Video camera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최적화된 음향을 제공하는 혼합 현실 기반 운동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의 전면에서 운동 동작을 위한 정보를 혼합 현실 기반으로 출력하는 영상 출력부; 상기 운동 동작에 따라 바닥면을 포함하는 미리 정해진 위치에 운동 동작을 위한 정보를 투사하는 영상 투사부; 상기 영상 출력부 및 영상 투사부를 통해 운동 동작을 제공하는 운동 제공부; 카메라 모듈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운동 동작을 감지하는 동작 감지부; 상기 동작 감지부에서 감지한 상기 사용자의 운동 동작으로부터 사용자 동작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사용자 동작 데이터를 이용해 상기 사용자의 운동 동작을 평가하는 동작 평가부; 및 상기 동작 감지부에서 감지한 상기 사용자의 운동 동작 및 상기 동작 평가부의 실시간 평가 결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따라 최적화된 음향을 제공하는 음향 제공부를 포함하며, 상기 음향 제공부는, 상기 동작 감지부에서 감지한 상기 사용자의 운동 동작 및 상기 동작 평가부의 실시간 평가 결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해 트레이너 음성을 선택하는 음성 선택 모듈; 및 상기 운동 제공부와 연동하여, 운동 동작 제공 시에 제공되는 음성 정보를 상기 음성 선택 모듈에서 선택된 트레이너 음성으로 처리하여 제공하는 음성 처리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최적화된 음향을 제공하는 혼합 현실 기반 운동 시스템에 따르면, 동작 감지부에서 감지한 사용자의 운동 동작 및 운동 동작의 실시간 평가 결과 등을 이용해 선택된 트레이너 음성으로 음성 정보를 처리하여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운동하고 있는 동작이나 성취도 등에 따라 최적화된 음성이 제공되어, 사용자가 운동에 집중하면서도 재미를 느끼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최적화된 음향을 제공하는 혼합 현실 기반 운동 시스템에 따르면, 환경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환경정보에 따른 음향 및 영상을 제공함으로써, 제공되는 콘텐츠를 다양화하고 동일한 운동 동작에 대해서도 새로운 느낌을 받을 수 있으며, 환경정보를 처리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최적화 환경 컨셉을 설정하여 최적화 환경 컨셉에 따라 음향을 제공함으로써, 제공되는 음성을 포함하는 다양한 음향이 최적화 환경 컨셉에 맞게 일관성 있게 제공될 수 있고, 사용자에게 개인화된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어 사용자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최적화된 음향을 제공하는 혼합 현실 기반 운동 시스템{MIXED REALITY BASED EXERCISE SYSTEM PROVIDING OPTIMIZED SOUND}
본 발명은 혼합 현실 기반 운동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최적화된 음향을 제공하는 혼합 현실 기반 운동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과학이 발달하면서 현대인의 신체 활동이 감소하고, 대다수의 현대인에게서 운동 부족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특히, 비만과 같은 성인병에 해당하는 인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또한, 급격한 날씨 변화와 환경오염, 미세먼지 등으로 야외 활동이 제한되면서, 실내에서 충분한 신체 활동을 할 수 있는 운동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실내에서 할 수 있는 가장 일반적인 운동으로 피트니스(Fitness)가 있는데, 피트니스는 밸런스가 잡힌 건강한 신체를 만들어내는 일, 또는 그것을 위한 운동을 말한다. 이러한 피트니스는 전문 장비가 구비된 피트니스 센터에서 전문 트레이너의 개인 지도(Personal Training)를 통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현대인은 바쁜 일상 때문에 피트니스 센터에 찾아가 정기적으로 전문 트레이너의 지도를 받기 어렵고, 비싼 강습료로 인해 피트니스를 지속하기가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한편, 통상의 피트니스는 장비를 이용해 운동을 하게 되므로, 잘못된 운동으로 인한 부상의 위험이 있고, 전문 장비를 이용해 할 수 있는 운동이 제한되어 있으므로, 쉽게 싫증을 느끼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유산소 운동을 위한 트레드밀과 같은 장비는, 운동 과정이 단조롭고 정해진 코스만을 반복하게 되므로, 사용자가 운동을 중도에 포기해버리는 경우가 많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운동의 지루함을 이겨내기 위해 이어폰으로 음악을 듣거나, 트레드밀이나 자전거 이용 시 영상물을 보는 등, 별도의 콘텐츠를 직접 활용하는 사람도 많다. 그러나 이같이 이어폰을 착용하거나 콘텐츠를 활용하는 것은, 운동에 집중하지 못하도록 하므로 활용 가능한 운동에 제한이 있고, 부상의 위험이 커질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실내에서도 다양한 운동을 할 수 있어서 사용자가 재미를 느끼면서 꾸준히 운동할 수 있도록 하고, 단조로운 패턴 대신 다양한 사운드를 활용하여 최적화된 음향을 제공하고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기술로, 한국 공개특허 제10-2018-0099399호(발명의 명칭: 증강현실 가상트레이너를 적용한 피트니스 센터 및 운동시설 시스템, 공개일자: 2018년 09월 05일) 등이 개시된 바 있다.
본 발명은 기존에 제안된 방법들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동작 감지부에서 감지한 사용자의 운동 동작 및 운동 동작의 실시간 평가 결과 등을 이용해 선택된 트레이너 음성으로 음성 정보를 처리하여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운동하고 있는 동작이나 성취도 등에 따라 최적화된 음성이 제공되어, 사용자가 운동에 집중하면서도 재미를 느끼도록 할 수 있는, 최적화된 음향을 제공하는 혼합 현실 기반 운동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환경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환경정보에 따른 음향 및 영상을 제공함으로써, 제공되는 콘텐츠를 다양화하고 동일한 운동 동작에 대해서도 새로운 느낌을 받을 수 있으며, 환경정보를 처리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최적화 환경 컨셉을 설정하여 최적화 환경 컨셉에 따라 음향을 제공함으로써, 제공되는 음성을 포함하는 다양한 음향이 최적화 환경 컨셉에 맞게 일관성 있게 제공될 수 있고, 사용자에게 개인화된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어 사용자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최적화된 음향을 제공하는 혼합 현실 기반 운동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최적화된 음향을 제공하는 혼합 현실 기반 운동 시스템은,
사용자의 전면에서 운동 동작을 위한 정보를 혼합 현실 기반으로 출력하는 영상 출력부;
상기 운동 동작에 따라 바닥면을 포함하는 미리 정해진 위치에 운동 동작을 위한 정보를 투사하는 영상 투사부;
상기 영상 출력부 및 영상 투사부를 통해 운동 동작을 제공하는 운동 제공부;
카메라 모듈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운동 동작을 감지하는 동작 감지부;
상기 동작 감지부에서 감지한 상기 사용자의 운동 동작으로부터 사용자 동작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사용자 동작 데이터를 이용해 상기 사용자의 운동 동작을 평가하는 동작 평가부; 및
상기 동작 감지부에서 감지한 상기 사용자의 운동 동작 및 상기 동작 평가부의 실시간 평가 결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따라 최적화된 음향을 제공하는 음향 제공부를 포함하며,
상기 음향 제공부는,
상기 동작 감지부에서 감지한 상기 사용자의 운동 동작 및 상기 동작 평가부의 실시간 평가 결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해 트레이너 음성을 선택하는 음성 선택 모듈; 및
상기 운동 제공부와 연동하여, 운동 동작 제공 시에 제공되는 음성 정보를 상기 음성 선택 모듈에서 선택된 트레이너 음성으로 처리하여 제공하는 음성 처리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동작 평가부의 실시간 평가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영상 출력부 및 영상 투사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통해 피드백을 제공하는 피드백 제공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음성 처리 모듈은, 상기 피드백 제공부와 연동하여, 피드백으로 제공되는 음성 정보를 상기 음성 선택 모듈에서 선택된 트레이너 음성으로 처리하여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음성 선택 모듈은,
상기 운동 제공부에서 제공되는 운동 동작에 따라 트레이너 음성을 선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음향 제공부는,
계절 정보, 날씨 정보, 주변 환경정보 및 사용자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환경정보를 수집하는 환경정보 수집 모듈; 및
상기 수집된 환경정보를 처리하여, 상기 환경정보에 따른 음향을 제공하는 환경 음향 처리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음향 제공부는,
상기 수집된 환경정보를 처리하여, 상기 환경정보에 따른 영상을 상기 영상 출력부 및 영상 투사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통해 제공하는 환경 영상 처리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음향 제공부는,
상기 환경정보 수집 모듈에서 수집된 환경정보를 처리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최적화 환경 컨셉을 설정하는 컨셉 설정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환경 음향 처리 모듈은, 상기 설정된 최적화 환경 컨셉에 따라 음향을 제공할 수 있다.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음성 선택 모듈은,
상기 컨셉 설정 모듈에서 설정된 최적화 환경 컨셉을 더 이용해 상기 트레이너 음성을 선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운동 제공부에서 제공하는 운동 동작에 따라, 정확한 동작을 위한 사용자의 신체 부위의 위치를 나타내는 동작 가이드를 상기 영상 출력부 및 영상 투사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통해 제공하는 동작 가이드 제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최적화된 음향을 제공하는 혼합 현실 기반 운동 시스템에 따르면, 동작 감지부에서 감지한 사용자의 운동 동작 및 운동 동작의 실시간 평가 결과 등을 이용해 선택된 트레이너 음성으로 음성 정보를 처리하여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운동하고 있는 동작이나 성취도 등에 따라 최적화된 음성이 제공되어, 사용자가 운동에 집중하면서도 재미를 느끼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최적화된 음향을 제공하는 혼합 현실 기반 운동 시스템에 따르면, 환경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환경정보에 따른 음향 및 영상을 제공함으로써, 제공되는 콘텐츠를 다양화하고 동일한 운동 동작에 대해서도 새로운 느낌을 받을 수 있으며, 환경정보를 처리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최적화 환경 컨셉을 설정하여 최적화 환경 컨셉에 따라 음향을 제공함으로써, 제공되는 음성을 포함하는 다양한 음향이 최적화 환경 컨셉에 맞게 일관성 있게 제공될 수 있고, 사용자에게 개인화된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어 사용자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최적화된 음향을 제공하는 혼합 현실 기반 운동 시스템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최적화된 음향을 제공하는 혼합 현실 기반 운동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최적화된 음향을 제공하는 혼합 현실 기반 운동 시스템에서, 운동 동작이 제공되는 영상 출력부를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최적화된 음향을 제공하는 혼합 현실 기반 운동 시스템의 실행 모습을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최적화된 음향을 제공하는 혼합 현실 기반 운동 시스템에서, 운동 동작이 제공되는 영상 출력부를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최적화된 음향을 제공하는 혼합 현실 기반 운동 시스템에서, 음향 제공부의 세부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최적화된 음향을 제공하는 혼합 현실 기반 운동 시스템에서, 최적화 환경 컨셉에 따른 음향 및 영상의 처리를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 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최적화된 음향을 제공하는 혼합 현실 기반 운동 시스템(100)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최적화된 음향을 제공하는 혼합 현실 기반 운동 시스템(1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최적화된 음향을 제공하는 혼합 현실 기반 운동 시스템(100)은, 영상 출력부(110), 영상 투사부(120), 운동 제공부(140), 동작 감지부(160), 동작 평가부(170) 및 음향 제공부(19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 인증부(130), 동작 가이드 제공부(150) 및 피드백 제공부(18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영상 출력부(110)는, 사용자의 전면에서 운동 동작을 위한 정보를 혼합 현실 기반으로 출력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출력부(110)는, 운동 시스템(100)의 전면에 구비되어, 디스플레이를 통해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영상 출력부(110)는,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사용자로부터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특히, 영상 출력부(110)는, 혼합 현실 기반으로 운동 동작을 출력할 수 있는데, 보다 구체적으로는, 운동 시스템(100)의 전면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모습을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미도시)과 연동하여, 카메라 모듈에서 촬영된 사용자의 모습을 실시간으로 출력하면서, 각종 운동 동작을 위한 정보를 혼합 현실로 출력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최적화된 음향을 제공하는 혼합 현실 기반 운동 시스템(100)에서, 운동 동작이 제공되는 영상 출력부(110)를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최적화된 음향을 제공하는 혼합 현실 기반 운동 시스템(100)의 영상 출력부(110)는, 혼합 현실 기반으로 사용자의 모습과 함께 운동 동작을 위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운동 동작을 위한 정보는, 운동 동작을 설명하는 레퍼런스 동작 이미지(도 3의 영상 출력부(110)의 하단에 표시), 정확한 운동 동작을 하는 트레이너 영상(도 3의 좌측 상단에 표시), 추후 상세히 설명할 동작 가이드 제공부(150)에 의해 제공되는 동작 가이드(20), 운동 동작 횟수(도 3의 우측 상단에 표시) 등을 출력할 수 있다. 그밖에, 영상 출력부(110)는, 사용자 정보, 추후 상세히 설명할 동작 감지부(160)에 의해 감지된 사용자의 신체 부위, 피드백으로 제공되는 운동 동작의 정확도(도 3의 상단에 Excellent 표시), 점수(도 3의 좌측 하단에 Score 표시), 성취도 등을 혼합 현실로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영상 출력부(110)가 출력하는 운동 동작을 위한 정보는, 출력되는 운동 동작의 제공 이유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심폐기능 강화를 위한 운동, 척추 측만이 있는 사용자의 척추 교정을 위한 코어 강화 운동 등, 제공되는 운동 동작에 대한 이유를 출력함으로써, 운동을 더욱 적극적으로 하도록 할 수 있다.
영상 투사부(120)는, 운동 동작에 따라 바닥면을 포함하는 미리 정해진 위치에 운동 동작을 위한 정보를 투사할 수 있다. 영상 투사부(120)는, 프로젝터로 구현될 수 있으며, 운동 시스템(100)의 전면의 바닥면 등에 영상을 투사하여, 사용자의 운동을 보조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최적화된 음향을 제공하는 혼합 현실 기반 운동 시스템(100)의 실행 모습을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최적화된 음향을 제공하는 혼합 현실 기반 운동 시스템(100)의 영상 투사부(120)는, 운동 시스템(100)의 전면의 바닥면에 투사 영역(10)에 해당하는 영상 정보를 투사할 수 있다. 투사 영역(10)은, 미리 설정된 크기와 형태일 수 있으며, 사용자가 운동 동작을 하면서 움직이는 영역으로 동작 감지부(160)에 의해 감지 가능한 영역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영상 투사부(120)는 바닥면 뿐 아니라 벽면에도 영상을 투사할 수 있다.
또한, 영상 투사부(120)는, 사용자의 발 위치, 손 위치 등에 동작 가이드(20)를 투사하여 운동을 도울 수 있다. 이때, 영상 투사부(120)는, 사용자 정보를 활용하여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에 맞도록 스케일링을 하여, 정확한 동작이 가능하도록 위치 등이 조절된 동작 가이드(20)를 투사할 수 있다.
사용자 인증부(130)는, 사용자 식별 정보를 입력받고 사용자를 인증할 수 있다. 사용자 식별 정보는, QR 코드, RFID 태그, NFC 태그 등을 통해 입력받을 수 있으며, 회원 번호 등일 수 있다. 사용자 인증부(130)는, 사용자에게 제공된 회원 코드, 회원 카드 등을 이용하거나, 사용자의 스마트폰, 스마트 워치 등 휴대 단말을 이용하여 사용자 식별 정보를 입력받고 사용자 인증을 할 수 있다. 다만, 나열한 바와 같은 사용자 식별 정보의 종류나 입력 방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 인증을 위해 사용자 인증부(130)는 사용자의 휴대 단말, 예를 들어 스마트폰이 거치될 만한 공간을 가질 수 있다. 사용자 인증부(130)를 통해 사용자 인증이 이루어지면, 인증된 사용자별 개인화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운동 제공부(140)는, 영상 출력부(110) 및 영상 투사부(120)를 통해 운동 동작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동 제공부(140)는, 영상 출력부(110) 및 영상 투사부(120)와 연동하여, 운동 동작을 위한 정보를 혼합 현실 기반으로 출력함으로써, 운동 동작을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운동 제공부(140)는, 사용자 인증부(130)에서 인증된 사용자별로 처방된 맞춤형 운동 프로그램에 따른 운동 동작을 영상 출력부(110), 영상 투사부(120) 및 동작 가이드 제공부(150)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맞춤형 운동 프로그램은, 사용자의 신체 측정 결과, 건강 상태, 자세, 체력, 운동 목적 등을 고려하여 처방된 것으로서, 복수의 세부 운동 동작들로 각 사용자에 맞도록 최적화하여 구성된 것일 수 있다.
한편, 운동 제공부(140)는, 맞춤형 운동 프로그램에 포함되는 운동 동작의 제공 시, 해당 운동 동작의 제공 이유를 영상 출력부(110) 또는 추후 상세히 설명할 음향 제공부(190)를 통해 이미지, 영상, 텍스트, 음향 특히, 트레이너 음성 등으로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해당 운동 동작을 하는 목적이나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를 파악하고, 더욱 적극적으로 운동 동작을 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동작 가이드 제공부(150)는, 운동 제공부(140)에서 제공하는 운동 동작에 따라, 정확한 동작을 위한 사용자의 신체 부위의 위치를 나타내는 동작 가이드(20)를 영상 출력부(110) 및 영상 투사부(12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즉, 동작 가이드 제공부(15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출력부(110)를 통해 동작 가이드(20)를 출력할 수 있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투사부(120)를 통해 바닥면 등에 동작 가이드(20)를 출력할 수 있으며, 운동 동작의 특징에 따라 영상 출력부(110)와 영상 투사부(120) 모두를 통해 동작 가이드(20)를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동작 가이드 제공부(150)는, 운동 동작에 따라 정확한 운동 동작을 위한 사용자의 발, 손, 몸통 및 관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체 부위의 위치를 나타내는 동작 가이드(20)를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동작 가이드(20)에 따라 정확한 동작을 하고 운동 효과를 극대화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트레이너 영상이나 레퍼런스 동작 이미지를 참조하여, kick here라고 표시된 동그라미로 구현된 동작 가이드(20)에 무릎이 닿도록 운동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동작 가이드 제공부(150)는, 사용자의 신장 및 신체 부위별 길이를 포함하는 신체 측정 데이터를 기초로, 동작 가이드(20)의 위치를 조절하여 제공할 수 있다. 즉, 사용자마다 신체 크기나 비율 등은 상이할 수 있으므로, 동작 가이드 제공부(150)는 동작 가이드(20)를 신체 사이즈에 맞게 스케일링하여 구체적인 출력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사용자가 운동 동작을 하기 위해 무리한 자세를 하지 않고, 부상 위험을 최소화하여 안전하게 운동을 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면에서, 동작 가이드(20)의 높이와 좌우 위치는 사용자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사용자의 신체 측정 데이터 이외에도, 나이와 건강 상태 등을 고려하여, 관절염이 있는 사용자의 경우 무리가 되지 않는 위치에 동작 가이드(20)를 출력하는 등, 동작 가이드(20)의 구체적인 위치를 조절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동작 가이드 제공부(150)는, 운동 제공부(140)에서 제공되는 운동 동작의 순서에 따라 차례대로 동작 가이드(20)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면에서, 화면에서 우측에 위치한 동작 가이드(20)는 현재의 동작 시에 사용되는 동작 가이드(20)이고, 좌측에 위치한 동작 가이드(20)는 다음 동작 시에 사용되는 동작 가이드(20)로서, 동작 순서에 따라 차례대로 제공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두 개의 동작 가이드(20) 중에서 현재 동작 시에 사용되는 동작 가이드(20)는 명도, 채도, 깜박임 등을 조절하여 가시성이 높아지도록 함으로써, 직관적으로 쉽게 운동할 수 있도록 동작 가이드(20)를 제공할 수 있다.
동작 감지부(160)는, 카메라 모듈을 통해 사용자의 운동 동작을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동작 감지부(160)는, 키넥트(Kinect) 장치와 같은 동작 인식 카메라, 3D 카메라 등을 이용해 사용자의 운동 동작을 감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동작 감지부(160)는, 사용자의 자세를 감지하여 사용자의 스켈레톤 정보를 획득하고, 스켈레톤 정보로부터 손, 발 및 주요 관절 등 25개의 신체 부위를 감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동작 감지부(160)는, 사용자가 별도의 장치를 신체에 착용 또는 부착할 필요 없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최적화된 음향을 제공하는 혼합 현실 기반 운동 시스템(100)의 앞에 있는 것만으로 동작 감지를 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편하게 운동 동작을 할 수 있고, 별도의 장치에 소요되는 비용이나 분실의 위험이 없어 경제적이다. 물론, 더욱 정확한 사용자 운동 측정을 위하여 관성 센서, 심박수 측정 센서 등, 각종 센서가 구비된 동작 감지 장치 또는 스마트밴드 등을 추가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동작 감지부(160)는, 사용자의 신체 부위를 트래킹하여 사용자의 운동 동작을 감지하되, 미리 정해진 비율 이상 트래킹에 실패하면, 사용자의 신체 부위 트래킹을 위해 미리 설정된 준비 자세의 요청을 출력할 수 있다. 즉, 동작 감지부(160)는, 사용자의 신체 부위가 감지되면, 감지된 신체 부위를 트래킹하여 운동 동작을 지속적으로 감지할 수 있는데, 동작 감지부(160)가 사용자의 신체 부위를 감지하지 못한 상태에서, 바닥면에 엎드리거나 누운 자세를 취하는 경우에는, 동작 감지부(160)가 사용자 신체 부위를 트래킹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동작 감지부(160)가 획득한 스켈레톤 정보에서 미리 정해진 비율 이상 트래킹에 실패하면, 운동 시스템(100) 앞에서 정면 자세 등, 미리 설정된 준비 자세를 취해달라는 요청을 영상 출력부(110), 영상 투사부(120) 및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작 가이드(20)와 음향 제공부(190)를 통해, 미리 설정된 준비 자세를 요청할 수 있다.
동작 평가부(170)는, 동작 감지부(160)에서 감지한 사용자의 운동 동작으로부터 사용자 동작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사용자 동작 데이터를 이용해 사용자의 운동 동작을 평가할 수 있다. 여기서, 동작 평가부(170)는, 동작 가이드 제공부(150)에 의해 제공되는 동작 가이드(20)의 기준 범위와 사용자 동작 데이터를 비교하여, 일치하면 운동 동작을 수행 완료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즉, 추출된 사용자 동작 데이터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동작 가이드(20)의 표시 범위 내에 위치하여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운동 동작을 수행 완료한 것으로 평가하고 다음 운동 동작으로 넘어갈 수 있다.
또한, 동작 평가부(170)는, 추출된 사용자 동작 데이터를 이용해, 미리 저장된 운동 동작에 대한 레퍼런스 동작 데이터와 비교하여 실시간으로 평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동작 평가부(170)는, 동작 감지부(160)에서 스켈레톤 정보로부터 감지한 손, 발 및 주요 관절 등 25개의 신체 부위의 위치, 상대적 위치, 각도 등을, 트레이너 등의 동작 감지를 통해 미리 저장된 레퍼런스 동작 데이터와의 비교를 통해, 실시간 평가를 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신장 및 신체 부위별 길이를 포함하는 신체 측정 데이터를 기초로, 레퍼런스 동작 데이터를 스케일링하여 사용자 운동 동작과 비교함으로써, 정확한 비교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피드백 제공부(180)는, 동작 평가부(170)의 실시간 평가 결과를 이용하여, 영상 출력부(110) 및 영상 투사부(12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통해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피드백 제공부(180)는, 동작 평가부(170)의 동작 가이드(20)를 이용한 수행 완료 평가와 레퍼런스 동작 데이터와의 비교를 통해 실시간 평가를 모두 이용하여, 수행 여부, 수행 정확도, 레퍼런스 동작 데이터와 차이나는 신체 부위 등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피드백은, 영상 출력부(110)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으로 제공될 수 있으나, 음향 제공부(190) 등을 통해 트레이너 음성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착용한 스마트 워치, 스마트 밴드 등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음향 또는 햅틱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특히, 무릎을 더 굽히세요 등과 같은 구체적인 지시사항을 트레이너 음성으로 피드백을 제공하면, 운동에 집중한 사용자가 즉각적으로 피드백 내용을 운동 동작에 반영할 수 있다. 또한, 영상 출력부(110) 또는 영상 투사부(120)를 통해, 텍스트, 이미지, 색상 등으로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고, 동작 수정이 필요한 사용자의 신체 부위에 표시하여 피드백을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Excellent라는 수행 정확도를 표시하거나, 수행 여부 및 수행 정확도를 이용해 점수를 피드백으로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최적화된 음향을 제공하는 혼합 현실 기반 운동 시스템(100)에서, 운동 동작이 제공되는 영상 출력부(110)를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최적화된 음향을 제공하는 혼합 현실 기반 운동 시스템(100)의 피드백 제공부(180)는, 무릎을 더 굽히세요!와 같이, 사용자 동작 데이터와 레퍼런스 동작 데이터가 불일치하는 부분을 텍스트로 영상 출력부(110)에 표시하여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음향 제공부(190)를 통해 트레이너 음성으로 동일한 내용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동작 가이드 제공부(150)는, 동작 평가부(170)의 실시간 평가 결과에 따라, 동작 가이드(20)의 위치, 표시 속도 및 표시 형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조절하여 제공할 수 있다. 즉, 동작 가이드(20)의 위치를 조절하거나, 동작 가이드(20)를 차례대로 표시할 때 그 표시 속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동작 가이드(20)의 크기를 좀 더 크거나 작게, 또는 상이한 모양을 사용하는 등 표시 형태를 변경하여 난이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예에서, 동작 가이드(20)의 위치까지 무릎을 굽히는데 미리 정해진 횟수 이상 실패한 사용자에게는, 동작 가이드(20)의 위치를 상향 조절하여 제공함으로써, 계속적인 수행 실패에 따른 운동 의욕 저하를 방지하고, 무리한 운동이 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음향 제공부(190)는, 동작 감지부(160)에서 감지한 사용자의 운동 동작 및 동작 평가부(170)의 실시간 평가 결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따라 최적화된 음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최적화된 음향을 제공하는 혼합 현실 기반 운동 시스템(100)에서, 음향 제공부(190)의 세부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최적화된 음향을 제공하는 혼합 현실 기반 운동 시스템(100)의 음향 제공부(190)는, 음성 선택 모듈(191) 및 음성 처리 모듈(19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환경정보 수집 모듈(193), 환경 음향 처리 모듈(194), 환경 영상 처리 모듈(195) 및 컨셉 설정 모듈(196)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음성 선택 모듈(191)은, 동작 감지부(160)에서 감지한 사용자의 운동 동작 및 동작 평가부(170)의 실시간 평가 결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해 트레이너 음성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성 선택 모듈(191)은, 사용자의 현재 운동 동작에 따라 트레이너 음성을 선택할 수 있고, 동작 평가부(170)의 실시간 평가 결과에 따라 사용자 동작이 정확할 때와 정확하지 않을 때 서로 다른 트레이너 음성을 선택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음성 선택 모듈(191)은, 운동 제공부(140)에서 제공되는 운동 동작에 따라 트레이너 음성을 선택할 수 있다. 즉, 음성 선택 모듈(191)은, 운동 제공부(140)에서 제공되는 운동 동작의 종류에 따라 트레이너 음성을 선택할 수 있다.
한편, 음성 선택 모듈(191)이 선택하는 트레이너 음성은, 성별, 연령대, 톤의 높이, 속도, 음색 등 음성을 구성하는 각 항목을 선택함으로써, 각 항목이 조합된 트레이너 음성이 선택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운동 동작이나 실시간 평가 결과에 따라, 빠른 속도감의 운동 동작이나 사용자 동작의 정확도가 낮을 때에는, 톤의 높이가 높고 빠른 속도의 음성이 선택될 수 있으며, 스트레칭 운동 동작이나 사용자 동작의 정확도가 높을 때는, 편안한 음색의 느린 속도의 음성이 선택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예에서, 사용자가 운동 타이밍이 늦어 동작 정확도가 떨어지는 경우, 톤의 높이가 높고 빠른 속도의 여성 음성이 선택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미리 저장된 유명인의 목소리 등을 트레이너 음성을 선택할 수도 있다.
음성 처리 모듈(192)은, 운동 제공부(140)와 연동하여, 운동 동작 제공 시에 제공되는 음성 정보를 음성 선택 모듈(191)에서 선택된 트레이너 음성으로 처리하여 제공할 수 있다. 즉, 운동 콘텐츠 등에서 트레이너 음성 제공이 필요한 때에, 음성 처리 모듈(192)은 음성 정보를 처리하여 선택된 트레이너 음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예에서, 운동 동작에 따라 왼쪽 무릎으로 킥 하세요!, 왼쪽! 오른쪽! 등과 같은 음성 정보가 제공될 수 있는데,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운동 타이밍이 늦어 동작 정확도가 떨어지는 경우 선택된 톤의 높이가 높고 빠른 속도의 여성 트레이너 음성으로 음성 정보를 처리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음성 처리 모듈(192)은, 미리 저장된 다수의 음편들을 조합하여 다양한 음색과 톤으로 된 트레이너 음성을 합성할 수 있다.
한편, 음성 처리 모듈(192)은, 피드백 제공부(180)와 연동하여, 피드백으로 제공되는 음성 정보를 음성 선택 모듈(191)에서 선택된 트레이너 음성으로 처리하여 제공할 수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예에서, 무릎을 더 굽히세요!와 같은 음성 정보를 제공할 때에, 음성 선택 모듈(191)에서 선택된 트레이너 음성으로 음성 정보를 처리하여 제공할 수 있다.
환경정보 수집 모듈(193)은, 계절 정보, 날씨 정보, 주변 환경정보 및 사용자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환경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환경정보 수집 모듈(193)은, 외부 서버로부터 날씨 정보 등을 수집할 수 있으나, 혼합 현실 기반 운동 시스템(100)이 위치한 실내에 설치된 IoT 센서로부터, 온도, 습도, 미세먼지 등 공기 질 정보, 소음도 등의 주변 환경정보를 수집할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영상 출력부(110) 또는 영상 투사부(120)를 통해 사용자의 컨디션, 기분 등의 상태 정보를 환경정보로 입력받을 수도 있다.
환경 음향 처리 모듈(194)은, 수집된 환경정보를 처리하여, 환경정보에 따른 음향을 제공할 수 있다. 환경정보에 따른 음향은, 음악, 효과음 등일 수 있으며, 새소리, 바람 소리, 파도 소리 등 배경 음향 등일 수도 있다.
환경 영상 처리 모듈(195)은, 수집된 환경정보를 처리하여, 환경정보에 따른 영상을 영상 출력부(110) 및 영상 투사부(12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집된 환경정보에서, 계절 정보가 봄이고 날씨 정보가 맑음이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출력부(110)로 출력되는 혼합 현실 화면에, 들판과 꽃, 구름 등의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컨셉 설정 모듈(196)은, 환경정보 수집 모듈(193)에서 수집된 환경정보를 처리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최적화 환경 컨셉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최적화 환경 컨셉은, 화남 모드, 신남 모드, 릴렉싱 모드, 에너제틱 모드 등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환경정보에서 날씨 정보가 흐리고 비가 오는 날씨이면, 릴렉싱 모드로 최적화 환경 컨셉을 설정하여, 기분전환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환경정보 수집 모듈(193)이 영상 출력부(110) 또는 영상 투사부(120)를 통해 입력받은 사용자의 컨디션, 기분 등의 상태 정보를 이용해 최적화 환경 컨셉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환경 음향 처리 모듈(194)은, 설정된 최적화 환경 컨셉에 따라 음향을 제공하고, 환경 영상 처리 모듈(195)은, 최적화 환경 컨셉에 따라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음성 선택 모듈(191)은, 컨셉 설정 모듈(196)에서 설정된 최적화 환경 컨셉을 더 이용해 트레이너 음성을 선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컨셉 설정 모듈(196)이 설정한 최적화 환경 컨셉에 따라, 환경 음향, 환경 영상 및 트레이너 음성이 제공되므로, 일관성 있는 컨셉에 따른 음향 및 영상의 제공을 통해 운동 과정에서 사용자에게 재미를 주고 기분전환이 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운동 그 자체로도 기분전환 및 스트레스 해소 효과가 있는데, 최적화 환경 컨셉에 따른 영상 및 음향의 제공을 통해, 기분전환 및 스트레스 해소 효과가 극대화되도록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최적화된 음향을 제공하는 혼합 현실 기반 운동 시스템(100)에서, 최적화 환경 컨셉에 따른 음향 및 영상의 처리를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최적화된 음향을 제공하는 혼합 현실 기반 운동 시스템(100)에서는, 영상 출력부(110)를 통해 사용자가 컨디션을 입력하면(화남 선택), 환경정보 수집 모듈(193)이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수집하고, 컨셉 설정 모듈(196)은 수집된 사용자의 상태 정보에 따라 화남 모드로 최적화 환경 컨셉을 설정할 수 있다. 환경 음향 처리 모듈(194), 환경 영상 처리 모듈(195) 및 음성 선택 모듈(191)은, 설정된 최적화 환경 컨셉에 따라 음향, 영상 및 트레이너 음성을 선택하고 처리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경 음향 처리 모듈(194)은, 화남 모드의 최적화 환경 컨셉에 대응하여, 스트레스 해소용 음악이나, 타악기 소리, 비트가 빠른 음악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운동 동작이 제공될 때, 사용자의 무릎 위치가 kick here에 터치될 때, 타악기 소리를 제공하는 등으로 음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환경 영상 처리 모듈(195)은, 화남 모드의 최적화 환경 컨셉에 대응하여, 스트레스 해소용 영상, 강렬하고 신나는 영상, 클럽 조명 효과가 삽입된 영상 등을 영상 출력부(110) 또는 영상 투사부(120)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음성 선택 모듈(191)은, 화남 모드의 최적화 환경 컨셉에 대응하여, 톤이 높고, 속도가 빠른 음성으로, 왼쪽! 오른쪽! 등 빠른 템포로 운동 동작 지시나 피드백 제공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스트레스 해소에 도움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최적화된 음향을 제공하는 혼합 현실 기반 운동 시스템(100)에 따르면, 동작 감지부(160)에서 감지한 사용자의 운동 동작 및 운동 동작의 실시간 평가 결과 등을 이용해 선택된 트레이너 음성으로 음성 정보를 처리하여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운동하고 있는 동작이나 성취도 등에 따라 최적화된 음성이 제공되어, 사용자가 운동에 집중하면서도 재미를 느끼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환경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환경정보에 따른 음향 및 영상을 제공함으로써, 제공되는 콘텐츠를 다양화하고 동일한 운동 동작에 대해서도 새로운 느낌을 받을 수 있으며, 환경정보를 처리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최적화 환경 컨셉을 설정하여 최적화 환경 컨셉에 따라 음향을 제공함으로써, 제공되는 음성을 포함하는 다양한 음향이 최적화 환경 컨셉에 맞게 일관성 있게 제공될 수 있고, 사용자에게 개인화된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어 사용자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투사 영역
20: 동작 가이드
100: 운동 시스템
110: 영상 출력부
120: 영상 투사부
130: 사용자 인증부
140: 운동 제공부
150: 동작 가이드 제공부
160: 동작 감지부
170: 동작 평가부
180: 피드백 제공부
190: 음향 제공부
191: 음성 선택 모듈
192: 음성 처리 모듈
193: 환경정보 수집 모듈
194: 환경 음향 처리 모듈
195: 환경 영상 처리 모듈
196: 컨셉 설정 모듈

Claims (8)

  1. 사용자의 전면에서 운동 동작을 위한 정보를 혼합 현실 기반으로 출력하는 영상 출력부(110);
    상기 운동 동작에 따라 바닥면을 포함하는 미리 정해진 위치에 운동 동작을 위한 정보를 투사하는 영상 투사부(120);
    상기 영상 출력부(110) 및 영상 투사부(120)를 통해 운동 동작을 제공하는 운동 제공부(140);
    카메라 모듈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운동 동작을 감지하는 동작 감지부(160);
    상기 동작 감지부(160)에서 감지한 상기 사용자의 운동 동작으로부터 사용자 동작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사용자 동작 데이터를 이용해 상기 사용자의 운동 동작을 평가하는 동작 평가부(170); 및
    상기 동작 감지부(160)에서 감지한 상기 사용자의 운동 동작 및 상기 동작 평가부(170)의 실시간 평가 결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따라 최적화된 음향을 제공하는 음향 제공부(190)를 포함하며,
    상기 음향 제공부(190)는,
    상기 동작 감지부(160)에서 감지한 상기 사용자의 운동 동작 및 상기 동작 평가부(170)의 실시간 평가 결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해 트레이너 음성을 선택하는 음성 선택 모듈(191);
    상기 운동 제공부(140)와 연동하여, 운동 동작 제공 시에 제공되는 음성 정보를 상기 음성 선택 모듈(191)에서 선택된 트레이너 음성으로 처리하여 제공하는 음성 처리 모듈(192);
    계절 정보, 날씨 정보, 주변 환경정보 및 사용자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환경정보를 수집하는 환경정보 수집 모듈(193);
    상기 수집된 환경정보를 처리하여, 상기 환경정보에 따른 음향을 제공하는 환경 음향 처리 모듈(194); 및
    상기 환경정보 수집 모듈(193)에서 수집된 환경정보를 처리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최적화 환경 컨셉을 설정하는 컨셉 설정 모듈(196)을 포함하며,
    상기 환경 음향 처리 모듈(194)은, 상기 설정된 최적화 환경 컨셉에 따라 음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적화된 음향을 제공하는 혼합 현실 기반 운동 시스템(10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평가부(170)의 실시간 평가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영상 출력부(110) 및 영상 투사부(12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통해 피드백을 제공하는 피드백 제공부(18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음성 처리 모듈(192)은, 상기 피드백 제공부(180)와 연동하여, 피드백으로 제공되는 음성 정보를 상기 음성 선택 모듈(191)에서 선택된 트레이너 음성으로 처리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적화된 음향을 제공하는 혼합 현실 기반 운동 시스템(100).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선택 모듈(191)은,
    상기 운동 제공부(140)에서 제공되는 운동 동작에 따라 트레이너 음성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적화된 음향을 제공하는 혼합 현실 기반 운동 시스템(100).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제공부(190)는,
    상기 수집된 환경정보를 처리하여, 상기 환경정보에 따른 영상을 상기 영상 출력부(110) 및 영상 투사부(12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통해 제공하는 환경 영상 처리 모듈(195)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적화된 음향을 제공하는 혼합 현실 기반 운동 시스템(100).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선택 모듈(191)은,
    상기 컨셉 설정 모듈(196)에서 설정된 최적화 환경 컨셉을 더 이용해 상기 트레이너 음성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적화된 음향을 제공하는 혼합 현실 기반 운동 시스템(100).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 제공부(140)에서 제공하는 운동 동작에 따라, 정확한 동작을 위한 사용자의 신체 부위의 위치를 나타내는 동작 가이드(20)를 상기 영상 출력부(110) 및 영상 투사부(12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통해 제공하는 동작 가이드 제공부(1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적화된 음향을 제공하는 혼합 현실 기반 운동 시스템(100).
KR1020190052547A 2019-05-03 2019-05-03 최적화된 음향을 제공하는 혼합 현실 기반 운동 시스템 KR1020510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2547A KR102051004B1 (ko) 2019-05-03 2019-05-03 최적화된 음향을 제공하는 혼합 현실 기반 운동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2547A KR102051004B1 (ko) 2019-05-03 2019-05-03 최적화된 음향을 제공하는 혼합 현실 기반 운동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1004B1 true KR102051004B1 (ko) 2019-12-03

Family

ID=68838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2547A KR102051004B1 (ko) 2019-05-03 2019-05-03 최적화된 음향을 제공하는 혼합 현실 기반 운동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100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1575B1 (ko) * 2020-08-05 2021-09-13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선 이어폰과 스마트 폰을 활용한 음악 변조 청각 피드백 시스템
KR102603914B1 (ko) * 2023-08-21 2023-11-21 (주)아힘사 이미지 분석 기반 사용자 맞춤형 해부학을 활용한 요가 운동 가이드 및 커리큘럼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97069A (ko) * 2009-02-24 2010-09-02 파나소닉 전공 주식회사 운동 장치
KR20100113945A (ko) * 2009-04-14 2010-10-22 유선기 가상환경을 갖춘 런닝 운동시스템
KR20170140726A (ko) * 2016-06-13 2017-12-21 (주)블루클라우드 사용자 인식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97069A (ko) * 2009-02-24 2010-09-02 파나소닉 전공 주식회사 운동 장치
KR20100113945A (ko) * 2009-04-14 2010-10-22 유선기 가상환경을 갖춘 런닝 운동시스템
KR20170140726A (ko) * 2016-06-13 2017-12-21 (주)블루클라우드 사용자 인식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1575B1 (ko) * 2020-08-05 2021-09-13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선 이어폰과 스마트 폰을 활용한 음악 변조 청각 피드백 시스템
WO2022030708A1 (ko) * 2020-08-05 2022-02-10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선 이어폰과 스마트 폰을 활용한 음악 변조 청각 피드백 시스템
KR102603914B1 (ko) * 2023-08-21 2023-11-21 (주)아힘사 이미지 분석 기반 사용자 맞춤형 해부학을 활용한 요가 운동 가이드 및 커리큘럼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8333B1 (ko) 혼합 현실 기반 운동 장치를 이용한 팀 트레이닝 시스템
KR101687252B1 (ko) 맞춤형 개인 트레이닝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049096B1 (ko) 혼합 현실 기반의 운동 시스템
KR101970687B1 (ko) 개인화 증강현실 기술을 이용한 피트니스 코칭 시스템
KR102054134B1 (ko) 교감형 운동 머신 기반의 운동 코칭 방법 및 시스템
CN108479044B (zh) 一种穿戴设备的运动方法和系统
KR101931784B1 (ko) 복수의 사용자 대결 구도의 가상 피트니스 시스템
KR101909693B1 (ko) 증강현실 기반의 가상 피트니스 트레이너가 제공되는 피트니스 시스템
CN111228752B (zh) 用于自动配置传感器的方法、电子设备和记录介质
KR102066001B1 (ko) 운동 지수기반의 운동 코칭 방법 및 시스템
KR102058547B1 (ko) 사용자 대전 방식의 혼합 현실 기반 운동 시스템
KR102088335B1 (ko) 학습과 운동이 동시에 가능한 혼합 현실 기반의 학습 게임 제공 시스템
US20160372002A1 (en) Advice generation method, advice generation program, advice generation system and advice generation device
KR102051004B1 (ko) 최적화된 음향을 제공하는 혼합 현실 기반 운동 시스템
KR102481501B1 (ko) 스마트 골프 운동 장치, 시스템 및 제어방법
US20230116624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assisted fitness
US11983962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JP6884306B1 (ja) システム、方法、情報処理装置
JP2023168557A (ja) プログラム、方法、情報処理装置
TW201900248A (zh) 移動式運動器材控制器、結合於運動器材之資訊傳輸收集裝置、以及所組成之運動器材與控制方法
KR102060016B1 (ko) 바닥 체크에 의한 동작 인식 보정 방법 및 장치
JP6811349B1 (ja) 情報処理装置、方法、プログラム
US20220277663A1 (en) Guided Learning Systems, Devices, and Methods
JP6741892B1 (ja) 測定システム、方法、プログラム
JP6774582B1 (ja) 測定システム、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