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5060B1 - 가방 - Google Patents

가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5060B1
KR102285060B1 KR1020200074784A KR20200074784A KR102285060B1 KR 102285060 B1 KR102285060 B1 KR 102285060B1 KR 1020200074784 A KR1020200074784 A KR 1020200074784A KR 20200074784 A KR20200074784 A KR 20200074784A KR 102285060 B1 KR102285060 B1 KR 1022850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ommodating
main
bag
fastening member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47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민구
Original Assignee
(주)쿨파인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쿨파인더 filed Critical (주)쿨파인더
Priority to KR10202000747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50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50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50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7/00Collapsible or extensible purses, luggage, bags or the like
    • A45C7/0018Rigid or semi-rigid luggage
    • A45C7/0045Rigid or semi-rigid luggage comprising a plurality of separable elements which can be used independently of one anoth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1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2Interior fittings; Means, e.g. inserts, for holding and packing articles
    • A45C13/03Means for holding garmen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8Decorative devices for handbags or purses
    • A45C13/083Decorative devices for handbags or purses of articulated coverings, e.g. meshwork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 A45C13/1069Arrangement of fasteners magnetic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 A45C13/12Arrangement of fasteners of press-button or turn-button fasteners
    • A45C13/126Arrangement of fasteners of press-button or turn-button fasteners of turn-butt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7/00Collapsible or extensible purses, luggage, bags or the like
    • A45C7/0018Rigid or semi-rigid luggage
    • A45C7/0022Rigid or semi-rigid luggage comprising an integrated expansion device
    • A45C7/0027Rigid or semi-rigid luggage comprising an integrated expansion device with slide fastener strip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3/00Flexible luggage; Handbags
    • A45C3/001Flexible materials therefor
    • A45C2003/002Mesh materials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방은, 일면이 개구된 제1 함체 및 제2 함체를 구비하는 가방 케이스로서, 상기 제1 함체 및 제2 함체는 개폐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1 함체와 상기 제2 함체 사이에서 수납 공간이 형성되는 가방 케이스; 및 상기 가방 케이스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물품을 수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수납부를 갖는 메인 수납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방{LUGGAGE}
본 발명은 가방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여러가지 물품을 수납할 수 있는 여행용 가방에 관한 것이다.
세계화에 따라 여행이나 출장이 빈번해지고 이로 인한 여행과 출장에 필요한 물품을 소지할 수 있는 다양한 가방이 요구되고 있다. 소지해야 하는 물품의 양이 증대될 경우 많은 양의 물품을 이송하기 위하여 여행용 가방 또는 캐리어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여행용 가방은 많은 물품을 넣을 수 있는 수납 공간과, 끌거나 밀며 이동시킬 수 있도록 저면에 설치한 바퀴와, 이동 시에 편리하게 손으로 잡을 수 있게 한 손잡이를 구비한다.
여행용 가방의 수납 공간에는 세면 도구, 옷, 의약품, 공구 등의 각종 여행 물품을 수납하도록 복수의 수납 주머니가 설치되어 있고, 지퍼 또는 탄성 밴드와 같은 고정 수단에 의해 이동시에 여행 용품이 들어 있는 주머니를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여행용 가방은 여행 또는 비지니스에 필요한 물품들을 수납한 후 목적지에 도착하면 수납된 물품들을 현지의 숙소 내의 옷장 등의 수납 공간에 다시 정리해야 했다. 이에 따라, 여행용 가방의 사용자는 여행 또는 비즈니스에 사용할 시간을 물품 정리에 할애해야 하므로, 물품 정리 및 관리가 귀찮고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여행 물품의 정리를 신속하고 간단하게 할 수 있고, 물품 정리에 필요한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가방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방은, 일면이 개구된 제1 함체 및 제2 함체를 구비하는 가방 케이스로서, 상기 제1 함체 및 제2 함체는 개폐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1 함체와 상기 제2 함체 사이에서 수납 공간이 형성되는 가방 케이스; 및 상기 가방 케이스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물품을 수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수납부를 갖는 메인 수납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함체 또는 상기 제2 함체는 하나의 벽과 상기 벽으로부터 돌출된 하나 이상의 측벽에 의해 한정되는 내부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방 케이스는 제1 체결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메인 수납 부재는 상기 가방 케이스의 상기 제1 체결 부재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체결 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체결 부재는 상기 가방 케이스의 제1 면에 결합된 2개의 암 체결 부재 및 상기 가방 케이스의 제1 면과 대향하는 제2 면에 결합된 2개의 암 체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체결 부재는 상기 메인 수납 부재의 일단부에 결합된 2개의 수 체결 부재 및 상기 메인 수납 부재의 타단부에 결합된 2개의 수 체결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암 체결 부재는 오목 홈을 포함하고, 상기 수 체결 부재는 상기 암 체결 부재의 오목 홈에 끼워지는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메인 수납 부재는 플레이트 형상이고, 상기 메인 수납 부재에 의해 상기 제1 함체와 상기 제2 함체 사이의 수납 공간이 2개로 나누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메인 수납 부재는 일단부에 결합되고 후크 형상을 갖는 걸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메인 수납 부재의 제1 면은, 상부에 위치하고 물품을 수납하기 위한 메쉬 타입의 주머니 형상의 제1 수납부; 및 하부에 위치하고 물품을 수납하기 위한 메쉬 타입의 주머니 형상의 제2 수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수납부가 물품을 수납하기 위한 용량이 상기 제2 수납부가 물품을 수납하기 위한 용량보다 크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메인 수납 부재의 제2 면은, 상부 좌측에 위치하고, 물품을 수납하기 위한 메쉬 타입의 주머니 형상의 제3 수납부; 상부 우측에 위치하고, 물품을 수납하기 위한 메쉬 타입의 주머니 형상의 제4 수납부; 및 하부에 위치하고, 물품을 수납하기 위한 메쉬 타입의 주머니 형상의 제5 수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메인 수납 부재의 타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물품을 수납하기 위한 서브 수납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브 수납 부재는 플레이트 형상이고, 일측변이 상기 메인 수납 부재의 타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 체결 부재는, 상기 메인 수납 부재의 표면에 결합된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돌출되고 측면 홈을 포함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로부터 연장되고, 단면이 원 형상이며, 자석을 구비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돌출부의 중심축에 수직한 단면의 직경이 상기 연결부에 가까워질수록 커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암 체결 부재는, 오목 홈 및 자석을 구비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두께 방향으로 상기 바디부의 양측면에 끼워지는 제1 손잡이부와 제2 손잡이부; 및 상기 제1 손잡이부와 상기 제2 손잡이부 사이에 끼워지고, 가압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오목 홈의 측면으로부터 상기 오목 홈의 중심을 향하여 복수의 방향으로 돌출하고, 상기 바디부의 측면으로부터 가압되는 경우에 상기 오목 홈의 외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가방 케이스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물품을 수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수납부를 갖는 메인 수납 부재를 포함함으로써, 여행 물품의 정리를 신속하고 간단하게 할 수 있고, 물품 정리에 필요한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가방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방의 사시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수납 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수납 부재의 배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 체결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 체결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 체결 부재의 평면도, 저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손잡이부, 제2 손잡이부 및 걸림부의 가압 전후의 구성 요소들의 형상 변화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방(1)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가방(1)은 제1 함체(3) 및 제2 함체(4)를 구비하는 가방 케이스(3, 4) 및 메인 수납 부재(2)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수납 부재(2)는 가방 케이스(3, 4)의 제1 함체(3) 또는 제2 함체(4)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 함체(3) 및 제2 함체(4)는 하나의 벽과 이 벽으로부터 돌출된 하나 이상의 측벽에 의해 한정되는 내부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함체(3) 및 제2 함체(4)는 일면이 개구되고, 지퍼 등의 개폐 부재에 의해 결합되거나 결합해제될 수 있다. 제1 함체(3)와 제2 함체(4)가 개폐 부재에 의해 패쇄되는 경우에 제1 함체(3)와 제2 함체(4) 사이에서 수납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메인 수납 부재(2)는 제1 함체(3) 및 제2 함체(4)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메인 수납 부재(2)는 다양한 물품들을 수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수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함체(3)는 메인 수납 부재(2)와 결합하기 위한 제1 체결 부재(22)를 구비할 수 있다. 메인 수납 부재(2)는 제1 함체(3)의 제1 체결 부재(22)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체결 부재(26)를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체결 부재(22)는 제1 함체(3)의 상면에 벨트(40)를 통하여 결합된 2개의 암 체결 부재(22) 및 제1 함체(3)의 하면에 벨트(40)를 통하여 결합된 2개의 암 체결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1 체결 부재(22)는 벨트(40) 대신 고리 또는 스트랩 등의 고정 부재를 통하여 제1 함체(3)에 결합될 수 있다.
도 1에는 도시되지 않지만, 가방(1)은 끌거나 밀며 이동시킬 수 있도록 저면에 설치한 바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가방(1)은 이동 시에 편리하게 손으로 잡을 수 있게 하는 손잡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는, 제1 함체(3)에 메인 수납 부재(2)가 결합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2 함체(4)에 메인 수납 부재(2)가 결합되는 것, 제1 함체(3) 및 제2 함체(4)에 각각 메인 수납 부재(2)가 결합되는 것 등 다양한 실시예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수납 부재(2)의 정면도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메인 수납 부재(2)는 제1 함체(3)의 4개의 제1 체결 부재(22)와 결합하기 위한 4개의 제2 체결 부재(26)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체결 부재(26)는 오목 홈을 포함하는 암 체결 부재를 포함하고, 제1 체결 부재(22)는 오목 홈에 끼워지는 돌기를 포함하는 수 체결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암 체결 부재(22)와 수 체결 부재(26)의 각각에는 서로 인력이 작용하도록 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수납 부재(2)의 상단부에 2개의 수 체결 부재(26)가 배치되고, 메인 수납 부재(2)의 하단부에 2개의 수 체결 부재(26)가 배치될 수 있다. 상단부의 2개의 수 체결 부재(26)는 제1 함체(3)의 상단부의 2개의 암 체결 부재(22)와 결합되고, 하단부의 2개의 수 체결 부재(26)는 제1 함체(3)의 하단부의 2개의 암 체결 부재(22)와 결합될 수 있다.
메인 수납 부재(2)는 사각형의 플레이트 또는 판 형상일 수 있다. 메인 수납 부재(2)에 의해 제1 함체(3)와 제2 함체(4) 사이의 수납 공간이 2개로 나누어질 수 있다.
메인 수납 부재(2)는 상단부에 결합되고 후크 형상을 갖는 걸이부(21)를 포함할 수 있다. 후크 형상의 걸이부(21)를 포함함으로써, 메인 수납 부재(2)를 제1 함체(3)로부터 결합을 해제한 후에, 물품이 수납되어 있는 상태로 그대로 못 또는 옷장 등에 걸어둘 수 있다.
메인 수납 부재(2)는 제1 수납부(41) 및 제2 수납부(42)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수납부(41) 및 제2 수납부(42)는 물품을 수납하기 위해 메쉬 타입의 주머니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수납부(41) 및 제2 수납부(42)는 물품을 수납하기 위해 메쉬 타입 이외의 표면에 개구가 없는 솔리드 타입의 주머니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수납부(41)은 메인 수납 부재(2)이 상부에 배치되고, 제2 수납부(42)는 메인 수납 부재(2)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부에 배치된 제1 수납부(41)가 물품을 수납하기 위한 용량이 하부에 배치된 제2 수납부(42)가 물품을 수납하기 위한 용량보다 크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이한 용량의 제1 수납부(41)와 제2 수납부(42)를 이용하여 다양한 크기의 물품을 수납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수납부(41)은 메인 수납 부재(2)의 좌측부에 배치되고, 제2 수납부(42)는 메인 수납 부재(2)의 우측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외에도 제1 수납부(41)와 제2 수납부(42)의 위치는 다양하게 변형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서, 수납부(41, 42)는 지퍼 등의 개폐 부재(31, 32)에 의해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개폐 부재(31, 32)는 지퍼에 한정되지 않고, 지퍼 대신 벨크로 등과 같이 수납부(41, 42)의 입구를 개폐 가능한 여하의 수단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의 범위에 포함된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수납 부재(2)의 배면도이다.
도 2b를 참조하면, 메인 수납 부재(2)의 배면에는 제3 수납부(43), 제4 수납부(44), 제5 수납부(45) 및 서브 수납 부재(25)가 배치될 수 있다.
제3 수납부(43)는 메인 수납 부재(2)의 배면의 상부 좌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4 수납부(44)는 메인 수납 부재(2)의 배면의 상부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5 수납 부재(45)는 메인 수납 부재(2)의 배면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3 수납부(43)은 메인 수납 부재(2)의 배면의 하부 좌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4 수납부(44)는 메인 수납 부재(2)의 배면의 하부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5 수납 부재(45)는 메인 수납 부재(20)의 배면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외에도 제3 수납부(43), 제4 수납부(44) 및 제5 수납부(45)의 위치는 다양하게 변형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서, 수납부(43, 44, 45)는 물품을 수납하기 위해 메쉬 타입의 주머니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수납부(43, 44, 45)는 물품을 수납하기 위해 메쉬 타입 이외의 표면에 개구가 없는 솔리드 타입의 주머니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수납부(43, 44, 45)는 지퍼 등의 개폐 부재(33, 34)에 의해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개폐 부재(33, 34)는 지퍼에 한정되지 않고, 지퍼 대신 벨크로 등과 같이 수납부(43, 44, 45)의 입구를 개폐 가능한 여하의 수단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의 범위에 포함된다.
일 실시예에서, 물품을 수납하기 위한 서브 수납 부재(25)는 사각형 플레이트 또는 판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서브 수납 부재(25)는 메인 수납 부재(2)의 배면의 하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서브 수납 부재(25)의 상단 배면에는 암 벨크로가 결합되어 있고, 대응하는 메인 수납 부재(2)의 배면 위치에는 수 벨크로가 결합될 수 있다. 벨크로를 이용하여 서브 수납 부재(25)와 메인 수납 부재(2) 간의 결합이 체결 또는 해제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서브 수납 부재(25)는 도 2a에 도시된 메인 수납 부재(2)의 정면의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서브 수납 부재(25)의 배치 위치는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메인 수납 부재(2)의 다양한 위치에 서브 수납 부재(25)가 배치될 수 있다.
서브 수납 부재(25)를 가방(1) 내에 수납할 경우에는 도 2b의 상방으로 메인 수납 부재(2)의 외측부를 벗어나지 않도록 접어서 가방(1) 내에 수납 가능하다. 서브 수납 부재(25)를 제1 함체(3)로부터 결합해제하여 걸이부(21)를 벽에 설치된 못 등에 걸어놓는 경우에, 서브 수납 부재(25)는 중력에 의하여 펴지면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수납 부재(2)의 외측부를 벗어날 수 있다.
서브 수납 부재(25)는 물품을 수납하기 위한 제6 수납부(46)를 포함할 수 있다. 제6 수납부(46)는 물품을 수납하기 위해 메쉬 타입의 주머니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6 수납부(46)는 물품을 수납하기 위해 메쉬 타입 이외의 표면에 개구가 없는 솔리드 타입의 주머니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6 수납부(46)는 지퍼 등의 개폐 부재(35)에 의해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개폐 부재(35)는 지퍼에 한정되지 않고, 지퍼 대신 벨크로 등과 같이 제6 수납부(46)의 입구를 개폐 가능한 여하의 수단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의 범위에 포함된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 체결 부재(26)의 사시도이고, 도 3b는 수 체결 부재(26)의 단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수 체결 부재(26)는 베이스부(26a), 연결부(26b) 및 돌출부(26c)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베이스부(26a)는 메인 수납 부재(2)의 표면에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베이스부(26a)는 메인 수납 부재(2)의 표면에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베이스부(26a)는 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베이스부(26a)는 삼각형, 원형, 타원형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연결부(26b)는 베이스부(26a)로부터 돌출되는 원기둥 형상에 측면 홈(26d)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26b)의 측면홈(26d)에는 후술하는 암 체결 부재(22)의 걸림부(22d)가 끼워질 수 있다. 연결부(26b)에 형성된 측면 홈(26d)의 개수는 암 체결 부재(22)에 형성된 걸림부(22d)의 개수와 동일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연결부(26b)에 형성된 측면 홈(26d)의 개수는 암 체결 부재(22)에 형성된 걸림부(22d)의 개수 보다 많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돌출부(26c)는 연결부(26b)로부터 연장되고, 단면이 원 형상이며, 그 내부에 자석을 구비할 수 있다. 돌출부(26c)는 후술하는 암 체결 부재(22)의 오목 홈으로 삽입될 수 있다.
돌출부(26c)는 그 중심축에 수직한 단면의 직경이 연결부(26b)에 가까워질수록 커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돌출부(26c)가 암 체결 부재(22)의 오목 홈으로 삽입될 때, 걸림부(22d)를 외측으로 미는 힘이 작용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돌출부(26c)의 삽입이 용이해진다.
돌출부(26c)가 암 체결 부재(22)의 오목 홈에 삽입된 후에는 연결부(26b)의 측면 홈(26d)에 걸림부(22d)가 삽입되기 때문에, 암 체결 부재(22)와 수 체결 부재(26)의 결합이 유지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 체결 부재(22)의 평면도, 저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면, 암 체결 부재(22)는 바디부(22a), 제1 손잡이부(22b), 제2 손잡이부(22c), 걸림부(22d) 및 자석(22e)을 포함할 수 있다.
암 체결 부재(22)의 바디부(22a)는 벨트(40)의 단부와 결합하며, 오목 홈 및 자석(22e)을 구비할 수 있다.
암 체결 부재(22)의 제1 손잡이부(22b)와 제2 손잡이부(22c)는 바디부(22a)의 두께 방향으로 바디부(22a)의 양측면으로부터 끼워질 수 있다. 제1 손잡이부(22b)와 제2 손잡이부(22c) 사이에는 걸림부(22d)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손잡이부(22b)와 제2 손잡이부(22c)를 측면으로부터 가압하면 걸림부(22d)의 형태가 변형되고, 가압을 해제하면 걸림부(22d)의 형태가 원래대로 돌아올 수 있다. 즉, 제1 손잡이부(22b)와 제2 손잡이부(22c) 사이에는 탄성력이 존재할 수 있다.
암 체결 부재(22)의 걸림부(22d)는 제1 손잡이부(22b)와 제2 손잡이부(22c) 사이에 끼워지고, 가압되지 않는 경우에 바디부(22a)의 오목 홈의 측면으로부터 오목 홈의 중심을 향하여 복수의 방향으로 돌출할 수 있다. 걸림부(22d)는 바디부(22a)의 측면으로부터 가압되는 경우에 오목 홈의 외측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수 체결 부재(26)와 암 체결 부재(22)가 결합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수 체결 부재(26)를 암 체결 부재(22)의 자석(22e)에 접근시키면 수부재(26, 28)의 돌출부(26c) 내의 자석과 인력이 작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돌출부(26c)는 걸림부(22d)와 접촉하고, 인력에 의해 돌출부(26c)가 걸림부(22d)를 외측 방향으로 밀어낼 수 있다. 돌출부(26c)가 암부재(22, 24)의 자석(22e)에 접촉하면, 걸림부(22d)의 복원력에 의해 연결부(26b)의 측면 홈(26d) 내로 걸림부(22d)가 끼워지고, 수 체결 부재(26)와 암 체결 부재(22)의 결합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수 체결 부재(26)와 암 체결 부재(22)의 결합을 해제하기 위해서 제1 손잡이부(22b)와 제2 손잡이부(22c)를 양쪽에서 가압하면, 걸림부(22d)의 단부가 오목 홈의 외측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수부재(26, 28)을 암부재(22, 24)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당기면 수 체결 부재(26)와 암 체결 부재(22)의 결합이 해제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손잡이부(22b), 제2 손잡이부(22c) 및 걸림부(22d)의 가압 전후의 구성 요소들의 형상 변화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제1 손잡이부(22b) 및 제2 손잡이부(22c)를 측면에서 가압 전에는 바디부(22a)의 오목 홈(R)의 안쪽으로 걸림부(22d)가 돌출될 수 있다. 걸림부(22d)는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구성되므로, 제1 손잡이부(22b)와 제2 손잡이부(22c)를 양쪽에서 가압하면 걸림부(22d)의 형상이 변형될 수 있다.
제1 손잡이부(22b)와 제2 손잡이부(22c)를 양쪽에서 가압하게 되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부(22d)의 형상이 변형될 수 있다. 즉, 가압 후에는 걸림부(22d)가 바디부(22a)의 오목 홈(R)의 바깥쪽에 위치하게 되고, 바디부(22a)의 오목 홈(R)은 빈 공간으로 남게 된다. 가압을 해제하면, 도 5a에 도시된 걸림부(22d)의 형상으로 다시 돌아올 수 있다.
상술한 수 체결 부재(26)와 암 체결 부재(22)의 결합 구조에 의하면, 자석에 의해 원터치 방식으로 결합이 가능하고, 한손으로 제1 손잡이부(22b)와 제2 손잡이부(22c)를 양쪽에서 가압하는 경우에 간단히 결합 해제가 가능하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한손으로도 메인 수납 부재(2)를 가방 케이스(3, 4)에 결합 또는 결합 해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장치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 가방 2: 메인 수납 부재
3: 제1 함체 4: 제2 함체
40: 벨트 22: 암 체결 부재
26: 수 체결 부재 41~46: 수납부
31~35: 지퍼 21: 걸이부
27: 벨크로 25: 보조 수납 부재
26a: 베이스부 26b: 연결부
26c: 돌출부 22a: 바디부
22b: 제1 손잡이부 22c: 제2 손잡이부
22d: 걸림부 22e: 자석

Claims (11)

  1. 일면이 개구된 제1 함체 및 제2 함체를 구비하는 가방 케이스로서, 상기 제1 함체 및 제2 함체는 개폐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1 함체와 상기 제2 함체 사이에서 수납 공간이 형성되는 가방 케이스; 및
    상기 가방 케이스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물품을 수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수납부를 갖는 메인 수납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가방 케이스는 제1 체결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메인 수납 부재는 상기 가방 케이스의 상기 제1 체결 부재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체결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체결 부재는 상기 가방 케이스의 제1 면에 결합된 2개의 암 체결 부재 및 상기 가방 케이스의 제1 면과 대향하는 제2 면에 결합된 2개의 암 체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체결 부재는 상기 메인 수납 부재의 일단부에 결합된 2개의 수 체결 부재 및 상기 메인 수납 부재의 타단부에 결합된 2개의 수 체결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암 체결 부재는 오목 홈을 포함하고,
    상기 수 체결 부재는 상기 암 체결 부재의 오목 홈에 끼워지는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암 체결 부재는,
    오목 홈 및 자석을 구비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두께 방향으로 상기 바디부의 양측면에 끼워지는 제1 손잡이부와 제2 손잡이부; 및
    상기 제1 손잡이부와 상기 제2 손잡이부 사이에 끼워지고, 가압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오목 홈의 측면으로부터 상기 오목 홈의 중심을 향하여 복수의 방향으로 돌출하고, 상기 바디부의 측면으로부터 가압되는 경우에 상기 오목 홈의 외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걸림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손잡이부와 상기 제2 손잡이부 사이의 상기 걸림부는 탄성력을 갖는 재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손잡이부와 상기 제2 손잡이부가 양쪽에서 가압되는 경우에 상기 걸림부의 형상이 변형되어 상기 걸림부가 상기 바디부의 오목 홈의 외측 방향으로 이동하고, 가압이 해제되는 경우에 상기 걸림부의 형상이 상기 바디부의 오목 홈의 안쪽으로 돌출되는 형상으로 복원되는 가방.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함체 또는 상기 제2 함체는 하나의 벽과 상기 벽으로부터 돌출된 하나 이상의 측벽에 의해 한정되는 내부 공간을 포함하는 가방.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수납 부재는 플레이트 형상이고,
    상기 메인 수납 부재에 의해 상기 제1 함체와 상기 제2 함체 사이의 수납 공간이 2개로 나누어지는 가방.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수납 부재는 일단부에 결합되고 후크 형상을 갖는 걸이부를 포함하는 가방.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수납 부재의 제1 면은,
    상부에 위치하고 물품을 수납하기 위한 메쉬 타입의 주머니 형상의 제1 수납부; 및
    하부에 위치하고 물품을 수납하기 위한 메쉬 타입의 주머니 형상의 제2 수납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수납부가 물품을 수납하기 위한 용량이 상기 제2 수납부가 물품을 수납하기 위한 용량보다 크도록 구성되는 가방.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수납 부재의 제2 면은,
    상부 좌측에 위치하고, 물품을 수납하기 위한 메쉬 타입의 주머니 형상의 제3 수납부;
    상부 우측에 위치하고, 물품을 수납하기 위한 메쉬 타입의 주머니 형상의 제4 수납부; 및
    하부에 위치하고, 물품을 수납하기 위한 메쉬 타입의 주머니 형상의 제5 수납부
    를 포함하는 가방.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수납 부재의 타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물품을 수납하기 위한 서브 수납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브 수납 부재는 플레이트 형상이고, 일측변이 상기 메인 수납 부재의 타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방.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 체결 부재는,
    상기 메인 수납 부재의 표면에 결합된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돌출되고 측면 홈을 포함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로부터 연장되고, 단면이 원 형상이며, 자석을 구비하는 돌출부
    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돌출부의 중심축에 수직한 단면의 직경이 상기 연결부에 가까워질수록 커지도록 구성되는 가방.
  11. 삭제
KR1020200074784A 2020-06-19 2020-06-19 가방 KR1022850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4784A KR102285060B1 (ko) 2020-06-19 2020-06-19 가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4784A KR102285060B1 (ko) 2020-06-19 2020-06-19 가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5060B1 true KR102285060B1 (ko) 2021-08-03

Family

ID=77314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4784A KR102285060B1 (ko) 2020-06-19 2020-06-19 가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506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23896A (ja) * 2004-05-17 2005-11-24 Sanshu Kogyo Kk 鞄用摘み錠
KR20120122488A (ko) * 2011-04-29 2012-11-07 (주)트래블매니아 분리가 가능한 물품수납부를 구비한 여행용 가방
JP3208659U (ja) * 2016-11-15 2017-02-02 株式会社ティーアンドエス
JP2019098192A (ja) * 2017-12-07 2019-06-24 ワンダーランド スイツァーランド アーゲー 磁性バックル・アセンブリ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23896A (ja) * 2004-05-17 2005-11-24 Sanshu Kogyo Kk 鞄用摘み錠
KR20120122488A (ko) * 2011-04-29 2012-11-07 (주)트래블매니아 분리가 가능한 물품수납부를 구비한 여행용 가방
JP3208659U (ja) * 2016-11-15 2017-02-02 株式会社ティーアンドエス
JP2019098192A (ja) * 2017-12-07 2019-06-24 ワンダーランド スイツァーランド アーゲー 磁性バックル・アセンブリ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31751B2 (ja) 拡張機能を有する旅行鞄
US10315103B2 (en) Modular game case
US10420703B1 (en) Pill container
KR100437376B1 (ko) 소형 물품케이스
JP6600130B2 (ja) 内部保持部材を有する手荷物ケース
US20210177698A1 (en) Pill container
JP2017523098A (ja) 仕分け箱用の挿入体
CZ20002785A3 (cs) Zabezpečovací skříňka pro ploché předměty
CA1240298A (en) Locking trolley for hangers
US4618058A (en) Locking trolley for garment bag
KR102285060B1 (ko) 가방
KR200488381Y1 (ko) 여행용 캐리어
JP3805462B2 (ja) 展開可能な組立容器及び組立容器の係止構造
TW583122B (en) Method and device for holding reclosable thermoplastic slider bags
KR20120122488A (ko) 분리가 가능한 물품수납부를 구비한 여행용 가방
KR102325519B1 (ko) 가방
US5099989A (en) Garment bag clothes hanger mounting apparatus
KR200339392Y1 (ko) 접철식 운반 상자
WO2020152562A1 (en) Expandable trolley suitcase
KR200426281Y1 (ko) 카트형 화구용 박스
JP4191179B2 (ja) 組鞄
KR20180000609U (ko) 가방용 파티션커버
JP3000380U (ja) 収納ケース
KR102580924B1 (ko) 컵 홀더를 구비한 여행용 캐리어
CN219447618U (zh) 可折叠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