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0924B1 - 컵 홀더를 구비한 여행용 캐리어 - Google Patents

컵 홀더를 구비한 여행용 캐리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0924B1
KR102580924B1 KR1020230072558A KR20230072558A KR102580924B1 KR 102580924 B1 KR102580924 B1 KR 102580924B1 KR 1020230072558 A KR1020230072558 A KR 1020230072558A KR 20230072558 A KR20230072558 A KR 20230072558A KR 102580924 B1 KR102580924 B1 KR 1025809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holder
main plate
handle
holder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725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영오
Original Assignee
(주)인큐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인큐원 filed Critical (주)인큐원
Priority to KR10202300725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09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09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09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5/00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1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26Special adaptations of handles
    • A45C13/28Combinations of handles with other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5/00Rigid or semi-rigid luggage
    • A45C5/03Suitcas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5/00Rigid or semi-rigid luggage
    • A45C5/04Trunks; Travelling baske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5/00Rigid or semi-rigid luggage
    • A45C5/14Rigid or semi-rigid luggage with built-in roll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26Special adaptations of handles
    • A45C13/262Special adaptations of handles for wheeled luggage
    • A45C2013/267Special adaptations of handles for wheeled luggage the handle being slidable, extractable and lockable in one or more positions

Landscapes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컵 홀더를 구비한 여행용 캐리어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컵 홀더를 구비한 여행용 캐리어는, 수납 본체, 수납 본체의 손잡이 수용공간에 내장되어 인출 가능하게 장착되는 손잡이, 손잡이에 장착되는 컵 홀더, 일단은 컵 홀더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고, 타단은 손잡이의 수직 프레임에 각각 연결되어, 컵 홀더를 상기 손잡이에 고정하는 한 쌍의 고정부를 포함하며, 컵 홀더는, 메인 플레이트, 거치홀이 형성되고, 일단이 메인 플레이트의 상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거치대, 일단이 메인 플레이트의 하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받침대, 및 일단은 메인 플레이트와 상기 거치대의 연결부위에 연결되고, 타단은 메인 플레이트와 받침대의 연결부위에 연결되어, 거치대 및 받침대가 연동되도록 하는 링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컵 홀더를 구비한 여행용 캐리어 {TRAVEL CARRIER WITH CUP HOLDER}
본 발명은 컵 홀더를 구비한 여행용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여행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하기 위한 컵 홀더를 구비한 여행용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행시에는 다양한 종류의 가방을 이용하여 여행 중 필요한 물품을 챙기게 된다. 여행 기간이 짧은 여행 혹은 일인 여행 등의 경우에는 챙겨야 할 물품이 많지 않으므로, 간단히 배낭, 및 손가방 등을 이용하여 물품을 챙길 수 있다.
하지만, 여행 기간이 길어지거나 동반인이 많은 가족 여행과 같은 상황에서는 여행시 필요로 하는 물품이 많아져 여행용 캐리어를 사용하게 된다. 여행용 캐리어는, 여행지에서의 물품 보관 및 이동이 용이하도록 특화된 것으로, 많은 물품의 보관을 위해 다양한 크기의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인출 가능한 손잡이와 바퀴가 장착되어 수용된 물품의 무게와 상관없이 손쉽게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국내 여행 및 해외 여행이 증가하고, 가족 단위의 여행객들이 증가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한 가정 내에서도 구성원별로 각자의 물품을 별도로 챙겨야 하는 필요성이 있음에 따라, 여행용 캐리어에 대한 수요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초기에는 단순히 물품을 수용하던 용도의 여행용 캐리어가 사용되었다. 이를 변형하여, 한정된 크기에서 보다 많은 물품을 수용하기 위해, 물품 수용공간이 확장 가능하도록 구성된 여행용 캐리어도 등장하였다.
그런데, 여행 출발 시 혹은 여행중에는 다양한 상황이 발생한다. 상황에 따라서, 모든 물품을 여행용 캐리어에 담을 수 없어 손가방을 소지하여야 할 수도 있고, 텀블러나 컵 등을 들고 있어야 하는 상황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여행자는 여행용 캐리어를 포함한 여러 물품을 동시에 소지하여야 하여 매우 불편함을 느낄 수 있으므로, 여행자의 여행용 캐리어 소지에 따른 불편함을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20-0002562호(2020. 11. 25. 공개)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여행용 캐리어에 장착되어 선택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컵 홀더에 의해 편의성을 향상한 컵 홀더를 구비한 여행용 캐리어를 제시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컵 홀더를 구비한 여행용 캐리어는, 수납 본체, 수납 본체의 손잡이 수용공간에 내장되어 인출 가능하게 장착되는 손잡이, 손잡이에 장착되는 컵 홀더, 일단은 컵 홀더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고, 타단은 손잡이의 수직 프레임에 각각 연결되어, 컵 홀더를 상기 손잡이에 고정하는 한 쌍의 고정부를 포함하며, 컵 홀더는, 메인 플레이트, 거치홀이 형성되고, 일단이 메인 플레이트의 상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거치대, 일단이 메인 플레이트의 하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받침대, 및 일단은 메인 플레이트와 상기 거치대의 연결부위에 연결되고, 타단은 메인 플레이트와 받침대의 연결부위에 연결되어, 거치대 및 받침대가 연동되도록 하는 링크를 포함한다.
상기 거치대 및 상기 받침대는 회전하여 메인 플레이트의 일면을 덮는 형태로 접히고, 상기 손잡이와 함께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양 측면에 형성되는 제1 고정돌기, 거치대의 측면 내부에 제1 고정돌기와 대응하는 부위에 형성되는 제2 고정돌기를 더 포함하고, 거치대 및 받침대가 접힌 상태에서, 제1 고정돌기 및 상기 제2 고정돌기에 의해 거치대 및 받침대가 접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컵 홀더는, 중심부에서 메인 플레이트의 배면과 회전축을 통해 연결되어 컵 홀더를 회전시키고, 양측부는 한 쌍의 고정부에 각각 연결되는 회전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고정부의 타단에는 수직 프레임의 외주와 대응하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반오픈 구조로 수직 프레임에 착탈이 가능한 착탈용 고정부재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의 수직 프레임에는 컵 홀더의 장착 위치에 받침대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의 이동레일이 형성되고, 고정부는, 바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단은 메인 플레이트의 하단부에 연결되고, 타단에는 이동레일에 삽입되어 이동하는 슬라이더를 포함하며, 슬라이더는, 고정부의 타단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오픈 가능한 커버를 포함하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메인 플레이트의 배면에 연결되는 수납 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수납 본체의 손잡이 수용공간은, 손잡이에 장착된 컵 홀더 및 수납 케이스가 수용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전면에서 받침대가 접혔을 때 접하는 부위에 상기 받침대와 접촉될 수 있는 두께로 형성되고, 양단에 고정홈이 형성되며, 탄성 재질로 형성되어 받침대를 누르는 힘에 의해 압박되는 누름부, 일단이 메인 플레이트의 전면에서 누름부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스프링, 및 한 쌍의 스프링의 타단에 연결되고, 고정홈과 대응하는 측면에 걸림부재가 형성된 스프링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 커버는, 일면이 개방되어 내부 수용공간에 스프링을 수용하고, 측면의 두께는 누름부의 두께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컵 홀더를 구비한 여행용 캐리어는, 일면 외부에 일정 크기의 수용홈이 형성된 수납 본체, 수납 본체에서 수용홈이 형성된 부위에 장착되며, 접힌 상태에서 상기 수용홈에 수용되는 컵 홀더를 포함하며, 컵 홀더는 메인 플레이트, 거치홀이 형성되고, 일단이 메인 플레이트의 상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거치대, 일단이 메인 플레이트의 하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받침대, 일단은 메인 플레이트와 거치대의 연결부위에 연결되고, 타단은 메인 플레이트와 받침대의 연결부위에 연결되어, 거치대 및 받침대가 연동되도록 하는 링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여행용 캐리어에 접이식 컵 홀더를 장착함으로써, 사용시에는 펼쳐 컵을 거치하고,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접어 둘 수 있는 컵 홀더를 구비한 여행용 캐리어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상 원하는 방향에 따라 컵 홀더의 위치 및 각도를 변경할 수 있음에 따라, 캐리어의 사용 방향에 따른 영향 없이 언제든지 컵 홀더를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 홀더를 구비한 여행용 캐리어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컵 홀더 및 고정부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컵 홀더 및 고정부의 배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한 고정부의 상세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고정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6a 및 도 6b는 고정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도 2에 도시한 컵 홀더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8은 도 1에 도시한 컵 홀더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컵 홀더를 구비한 여행용 캐리어의 사시도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된 경우,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 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 예들도 포함한다.
또한, 제1 엘리먼트 (또는 구성요소)가 제2 엘리먼트(또는 구성요소) 상(ON)에서 동작 또는 실행된다고 언급될 때, 제1 엘리먼트(또는 구성요소)는 제2 엘리먼트(또는 구성요소)가 동작 또는 실행되는 환경에서 동작 또는 실행되거나 또는 제2 엘리먼트(또는 구성요소)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상호 작용을 통해서 동작 또는 실행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 홀더를 구비한 여행용 캐리어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 홀더를 구비한 여행용 캐리어(이하, '여행용 캐리어'라 한다)(10)를 살펴보면, 여행용 캐리어(10)는 수납 본체(100), 손잡이(200), 컵 홀더(300), 및 고정부(400)를 포함한다.
수납 본체(100)는 여행시 필요한 물품을 수납하기 위한 수용공간이 형성된 것으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일반적인 형태인 직육면체 형상의 수납 본체(100)를 도시하였으나, 이는 여기에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예를 들면, 수납 본체(100)는 정육면체 형상일 수도 있다.
수납 본체(100)에서 손잡이(200)가 장착되는 부분에 대응하는 일측에는 물품을 수납하기 위한 수용공간과는 별도로 손잡이(200), 컵 홀더(300), 및 고정부(400)를 수용하기 위한 손잡이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수납 본체(100)에서 손잡이(200)가 장착된 일측과 반대방향의 타측에는 이동용 바퀴(120)가 장착된다. 이동용 바퀴(120)는 여행용 캐리어(10)의 하단에 장착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장착되는 면의 모서리 부분에 한 쌍 혹은 두 쌍이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수납 본체(100)의 소정 부위에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손잡이(140)가 장착될 수도 있다.
손잡이(200)는 수납 본체(100)의 손잡이 수용공간에 내장되어 인출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으로, 여행용 캐리어(10)의 보관 혹은 미이동시에는 손잡이 수용공간에 내장되고, 여행용 캐리어(10)를 이동시킬 때에는 손잡이(200)를 인출하여 사용자가 몸을 숙이지 않고도 여행용 캐리어(10)를 쉽게 이동시킬 수 있다.
손잡이(200)는 손잡이(200)에 구비된 버튼(미도시)을 누른 상태에서 손잡이(200)를 당기면 외부로 인출되는 형태가 일반적이며, 2단계 혹은 3단계로 길이가 확장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손잡이(200)는 공기 유압 방식에 의해 길이의 조절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형태도 제공된다. 이외에도, 다양한 손잡이(200)에 대한 인출 형태가 있을 수 있으며, 손잡이(200)의 인출 형태는 어떠한 것이라도 무관하다.
컵 홀더(300)는 컵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손잡이(200)의 수직 프레임 사이에 장착된다. 이에 의해, 손잡이(200)가 손잡이 수용공간으로 삽입되면 컵 홀더(300)도 손잡이 수용공간에 함께 수용되고, 손잡이(200)가 인출되어 수납 본체(100) 외부에 위치하면 컵 홀더(300)도 함께 수납 본체(100) 외부에 위치하게 된다. 컵 홀더(300)에 관하여는 후술하는 도 2 내지 도 7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고정부(400)는 컵 홀더(300)를 손잡이(200)의 수직 프레임에 장착하기 위한 것으로, 컵 홀더(300)가 손잡이(200)의 수직 프레임의 중간에 위치하도록 컵 홀더(300)의 양측에 한 쌍이 구비된다. 고정부(400)에 관하여는 후술하는 도 2 내지 도 4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컵 홀더 및 고정부의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여행용 캐리어(10)에 장착된 컵 홀더(300) 및 고정부(400)의 구조를 살펴본다.
컵 홀더(300)는 컵 혹은 텀블러 등을 여행용 캐리어(10)에 거치하기 위한 것으로, 접이식 형태로 수납 본체(100)의 손잡이(200) 수납공간에 손잡이(200)와 함께 수용될 수 있다. 컵 홀더(300)는 메인 플레이트(310), 거치대(320), 받침대(330), 및 링크(340)를 포함한다.
메인 플레이트(310)는 손잡이(200)의 수직 프레임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으로, 거치대(320) 및 받침대(330)가 연결되는 부분에 해당한다. 메인 플레이트(310)는 직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메인 플레이트(310)의 양 측면 하부에는 제1 고정돌기(326)가 형성된다.
거치대(320)는 컵 등이 삽입되는 거치홀(322)이 형성되고, 일단이 메인 플레이트(310)의 상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때, 거치대(320)의 회전은 메인 플레이트(310)와 수평이 되는 방향으로 90도의 범위 및 메인 플레이트(310)와 수직이 되는 방향으로 90도의 범위에서 이루어진다. 즉, 컵 홀더(300)가 접혀진 상태에서는 거치대(320)가 메인 플레이트(310)와 수평 방향이고, 컵 홀더(300)가 펼쳐진 상태에서는 거치대(320)가 메인 플레이트(310)와 수직 방향을 이룬다.
거치대(320)의 테두리에는 하부를 향해 연장된 테두리부(324)가 형성된다. 테두리부(324)는 거치대(320)의 양 측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컵 홀더(300)가 접힌 상태가 되면 받침대(330)를 감싸는 형태가 된다.
거치대(320)의 테두리부(324)의 측면 내부에서 제1 고정돌기(326)와 대응하는 부위에 제2 고정돌기(311)가 형성된다. 거치대(320) 및 받침대(330)가 접힌 상태에서, 제1 고정돌기(326)와 제2 고정돌기(311)가 서로 걸린 상태가 되어 거치대(320) 및 받침대(330)가 접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고정될 수 있다.
받침대(330)는 일단이 메인 플레이트(310)의 하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컵 등을 받치는 역할을 한다. 거치대(320)는 메인 플레이트(310)의 상단부에 연결되고, 받침대(330)는 메인 플레이트(310)의 하단부에 연결됨으로써, 컵 홀더(300)가 펼쳐진 상태에서는 거치대(320)와 받침대(330)가 메인 플레이트(310)를 개재하여 서로 수평을 이루는 형상이 된다. 즉, 메인 플레이트(310), 거치대(320), 및 받침대(330)는 'ㄷ'자 형상일 수 있다.
받침대(330)는 메인 플레이트(310)의 하단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데, 이때 메인 플레이트(310)와 수평이 되는 방향으로 90도의 범위 및 메인 플레이트(310)와 수직이 되는 방향으로 90도의 범위에서 회전된다. 받침대(330)는 거치대(320)와 마찬가지로 컵 홀더(300)가 접혀진 상태에서는 메인 플레이트(310)와 수평 방향이고, 컵 홀더(300)가 펼쳐진 상태에서는 메인 플레이트(310)와 수직 방향을 이룬다.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컵이 음용을 위한 부분은 직경이 크고, 받침 부분은 직경이 작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받침대(330)는 거치대(320)보다 그 크기가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받침대(330)의 테두리에는 받침대(330)와 직각인 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부(332)가 형성될 수 있다. 받침대(330)에 형성된 연장부(332)에 의해, 컵 홀더(300)에 수용된 컵 등이 받침대(330)의 측면으로 떨어지는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링크(340)는 받침대(330)와 거치대(320)가 동시에 회전할 수 있도록 연결하기 위한 부분으로, 일단은 메인 플레이트(310)와 거치대(320)의 연결부위에 연결되고, 타단은 메인 플레이트(310)와 받침대(330)의 연결부위에 연결된다.
즉, 받침대 및 거치대(320)는 회전 가능하여야 하므로, 메인 플레이트(310)와의 연결 부위에서 힌지를 통해 연결된다. 그러므로, 링크(340)는 받침대(330)와 메인 플레이트(310)를 연결하는 힌지, 및 거치대(320)와 메인 플레이트(310)를 연결하는 힌지에 연결된다.
이러한 구조의 링크(340)에 의해, 거치대(320) 및 받침대(330)가 연동하여 회전될 수 있다. 링크(340)는 바 형상일 수 있으며, 한 쌍의 링크(340)가 메인 플레이트(310)의 양측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링크(340)를 통해 서로 연결된 거치대(320)와 받침대(330)는 서로를 향해 기울어지는 방향으로 회전되어 최종적으로 메인 플레이트(310)와 수평이 되게 접힌다. 이때, 거치대(320) 및 받침대(330)의 링크(340)와의 연결구조에 의해, 받침대(330)가 메인 플레이트(310)와 인접하게 되고, 받침대(330) 위에 거치대(320)가 놓이는 형태로 된다.
고정부(400)는 컵 홀더(300)를 여행용 캐리어(10)의 손잡이(200)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컵 홀더(300)가 손잡이(200)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하기 위하여 한 쌍이 구비되어 컵 홀더(300)의 양측에 연결된다.
고정부(400)는 일단은 메인 플레이트(310)의 일측에 연결되고, 타단은 여행용 캐리어(10)의 손잡이(200)의 수직 프레임에 연결된다. 고정부(400)의 형상은 메인 플레이트(310)와 손잡이(200)와의 연결 방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고정부(400)의 일단의 형상은 메인 플레이트(310)의 측면 형상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즉, 메인 플레이트(310)가 직사각형 형상이라면, 고정부(400)도 직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만약, 메인 플레이트(310)가 원판 형상일 경우, 고정부(400)는 원형의 일부를 감싸는 형상일 수 있다.
고정부(400)의 타단은 여행용 캐리어(10)의 손잡이(200)의 수직 프레임에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부(400)의 타단에 착탈용 고정부재(410)를 형성하여 손잡이(200)의 수직 프레임에 연결하는 구조를 도시하였다.
착탈용 고정부재(410)는 고정부(400)의 타단에 형성되는 것으로, 손잡이(200)의 수직 프레임의 외주와 대응하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반오픈 구조로 손잡이(200)의 수직 프레임에 착탈이 가능하다. 착탈용 고정부재(410)에 의해, 컵 홀더(300)가 여행용 캐리어(10)의 손잡이(200)에 장착될 수 있는 구조임에 따라, 사용자는 손잡이(200)의 어느 위치에도 자유롭게 컵 홀더(300)를 장착할 수 있다.
여행용 캐리어(10)의 손잡이(200)의 수직 프레임이 원통 형상일 경우에는 착탈용 고정부재(410)는 원형의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수직 프레임이 직육면체 형상일 경우에는 착탈용 고정부재(410)는 사각의 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착탈용 고정부재(410)의 형태에 관하여는 후술하는 도 4에서 다시 살펴보도록 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컵 홀더 및 고정부의 배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에서 도시한 컵 홀더(300) 및 고정부(400)의 구조는 컵 홀더(300)와 고정부(400)가 연결된 상태에서 각도가 고정된 상태의 실시예이고, 본 실시예에서는 컵 홀더(300)의 회전이 가능한 상태의 실시예를 보인다.
고정부(400)가 여행용 캐리어(10)에 연결된 상태에서 컵 홀더(300)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메인 플레이트(310)의 배면에 설치되는 회전 플레이트(350)를 더 포함한다. 회전 플레이트(350)는 중심의 회전축을 통해 메인 플레이트(310)의 배면에 설치되고, 양측부에서 고정부(400)와 연결된다. 이때, 컵 홀더(300)는 초기 설치 위치를 기준으로, 화살표와 같이 좌측 혹은 우측으로 90도의 범위에서만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이전 실시예에서는 고정부(400)가 메인 플레이트(310)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는 구조였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컵 홀더(300)의 회전을 위해 고정부(400)가 회전 플레이트(350)에 연결되는 구조를 보인다. 또한, 원판 형상의 회전 플레이트(350)를 예로 들었음에 따라, 고정부(400)의 일단은 원판 형상의 일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여행용 캐리어(10)는 도 1의 상태 즉, 세로 방향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이동된다. 하지만, 여행용 캐리어(10)를 가로 방향으로 돌려 측면 손잡이(미도시)를 사용하여 이동하는 경우 혹은 가로 방향으로 돌려 바닥에 놓는 경우 등의 상황에서는 도 2에 도시한 고정 상태의 컵 홀더(300)는 사용할 수 없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상황에서도 컵 홀더(300)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여행용 캐리어(10)를 가로 방향으로 돌렸을 때 여행용 캐리어(10)가 회전된 방향에 따라 컵 홀더(300)도 회전시켜 사용이 가능하다.
도 4는 도 2에 도시한 고정부의 상세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2에 도시한 고정부(400)의 착탈용 고정부재(410)의 구조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한 쌍의 고정부(400) 중 하나에 대하여만 도시하였다.
고정부(400)의 일단(A)은 메인 플레이트(310)에 연결되고, 타단(B)에는 착탈용 고정부재(410)가 형성된다. 착탈용 고정부재(410)는 컵 홀더(300)의 길이와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으나, 그 단면은 링 형상이다.
이때, 착탈용 고정부재(410)의 링 형상은 여행용 캐리어(10)의 손잡이(200)의 수직 프레임의 단면과 동일한 형상이어야 한다. 또한, 착탈용 고정부재(410)는 내부에 손잡이(200)의 수직 프레임을 개재한 상태에서 서로 결착되어 상하로 이동되지 않도록 수직 프레임을 조일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착탈용 고정부재(410)의 내측에는 고정패드(420)가 부착될 수 있다. 고정패드(420)는 착탈용 고정부재(410)가 여행용 캐리어(10)의 손잡이(200)의 수직 프레임에 보다 더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미끄럼 방지가 가능하고 유연하여 착탈용 고정부재와 손잡이(200)의 수직 프레임 간에 공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고정패드(420)로는 통상의 실리콘 패드를 적용할 수 있다. 실리콘 패드는 유연하고 점성이 있어, 착탈용 고정부재(410)가 손잡이(200)의 수직 프레임과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보조할 수 있다. 또한, 접착성 실란트(Sealant)를 적용할 수도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착탈용 고정부재(410)는 반오픈 형태이므로, 화살표 방향으로 개폐가 가능하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고정부(400)와 연결된 컵 홀더(300)를 여행용 캐리어(10)로부터 분리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 다시 연결할 수도 있다.
착탈용 고정부재(410)의 중간 지점에는 분리되었던 몸체를 결착시키는 결착부재(430)가 더 형성된다. 결착부재(430)는 사용자가 힘을 가하면 분리시킬 수 있고, 원터치 형식으로 누르는 힘이 가해지면 몸체가 서로 결착되는 형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착탈용 고정부재(410)의 외부로 돌출된 결착부재(430)의 형태를 도시하였으나, 이를 변경하여 외부로 돌출되는 것이 없이 착탈용 고정부재(410)의 반오픈 구조의 분리된 몸체 자체에 형성될 수도 있다.
도 5a 및 도 5b는 고정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여행용 캐리어(10)의 손잡이(200)에 장착되는 컵 홀더(300)의 위치를 변경하기 위하여, 손잡이(200)의 수직 프레임에 이동레일(500a, 500b)을 형성한 예를 보인다.
여행용 캐리어(10)의 손잡이(200)의 수직 프레임의 소정 위치에 받침대(330)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의 이동레일(500a, 500b)을 형성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이동레일(500a, 500b)을 손잡이(200)의 수직 프레임에 매립되는 형태로 형성하였다.
이동레일(500a, 500b)이 손잡이(200)의 수직 프레임에 매립되는 형태일 경우, 이동레일(500a, 500b)은 손잡이(200)의 인입 및 인출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경우에 따라서, 이동레일(500a, 500b)은 수직 프레임에 매립되지 않고, 수직 프레임의 외주에 부착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여행용 캐리어(10)의 손잡이(200)의 수직 프레임에 이동레일(500a, 500b)을 형성하는 경우, 컵 홀더(300)는 이동레일(500a, 500b)을 따라 이동하는 구조가 되어야 하므로, 고정부(400a', 400b')를 바 형상으로 형성한다. 고정부(400a', 400b')의 일단은 메인 플레이트(310)에 연결되고, 타단에는 이동레일(500a, 500b)을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더(510)가 형성되어 이동레일(500a, 500b)에 끼워진다. 슬라이더(510)는 바퀴형 일 수 있다.
슬라이더(510)는 고정부(400a', 400b')의 타단에 연결된 상태에서 이동레일(500a, 500b)에 끼워진다. 이때, 슬라이더(510)는 고정부(400a', 400b')의 타단에 90도 범위에서 회전이 가능한 힌지를 통해 연결된다. 여기서, 힌지는 직각으로 세우거나 원래의 상태로 복귀할 수 있는 범위에서의 회전만 가능한 형태이다.
손잡이(200)의 수직 프레임에 이동레일(500a, 500b)이 설치됨에 따라, 고정부(400a', 400b') 및 컵 홀더(300)는 화살표 방향으로 C와 D 사이를 이동할 수 있다. 컵 홀더(300)가 D의 위치로 이동한 이후에는 컵 홀더(300)를 90도 각도로 회전시켜 컵 홀더(300)를 세울 수 있다.
여행용 캐리어(10)를 눕혀 두었을 때, 손잡이(200)와 컵 홀더(300)도 동일하게 눕혀지게 됨에 따라, 컵 홀더(300)를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여행용 캐리어(10)를 눕힌 상태에서도 컵 홀더(300)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여행용 캐리어(10)를 눕힌 상태에서는 컵 홀더(300)를 세워 사용할 수 있고, 수납 본체(100)를 열어 사용하는 중에도 종이컵과 같은 류의 컵이 쓰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고정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에서는 고정부(400)가 메인 플레이트(310)의 높이와 대응되는 높이로 형성되고, 고정부(400)에 형성된 착탈용 고정부재(410)에 의해 손잡이(200)의 수직 프레임에 장착된 예를 설명하였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부(400)의 구조를 변경하여, 메인 플레이트(310)의 양측에 연결되되, 측부의 상단 및 하부와 각각 연결되는 형태의 고정부(400a'', 400b'')를 도시하였으며, 착탈용 고정부재(410) 없이 손잡이(200)의 수직 프레임에 직접 연결되는 예를 도시하였다.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부(400a'', 400b'')는 두 쌍의 바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단은 메인 플레이트(310)의 양 측부의 상단과 하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손잡이(200)의 수직 프레임에 나사 결합 등을 통해 연결된다.
도 6b는 메인 플레이트(310)의 배면에 회전 플레이트(350)가 장착된 것으로, 고정부(400a'', 400b'')의 일단은 회전 플레이트(350)에 연결된다. 이에 의해, 컵 홀더(300)는 좌우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에는, 여행용 캐리어(10)를 가로 방향으로 사용하는 상황에 컵 홀더(300)를 회전시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7은 도 2에 도시한 컵 홀더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이다.
(a)는 컵 홀더(300)가 접힌 상태에서의 전면을 도시한 것이고, (b)는 메인 플레이트(310)의 전면에 해당하는 것으로 (a)의 내측에 해당한다.
(b)를 참조하여, 메인 플레이트(310)의 전면에서 받침대(330)가 접혔을 때 접하는 부위에 받침대(330)와 접촉될 수 있는 두께의 누름부(312)가 형성된다. 누름부(312)는 탄성 재질로 형성되어 받침대(330)를 누르는 힘에 의해 압박되고, 양단에는 고정홈(313)이 형성된다.
Ⅰ 및 Ⅰ'의 단면을 확대한 확대도를 참조하면, 누름부(312)의 양측부에는 한 쌍의 스프링(314)이 각각 장착된다. 스프링(314)의 일단은 메인 플레이트(310)의 소정 위치에 연결되고, 타단에는 고정홈(313)과 대응하는 걸림부재(316)가 형성된 스프링 커버(315)가 장착된다. 스프링 커버(315)는 일면이 개방되어 내부 수용공간에 스프링(314)을 수용하고, 측면의 두께는 누름부(312)의 두께와 동일하게 형성한다.
(a)와 같이, 컵 홀더(300)가 접힌 상태에서 사용자가 받침대(330)의 중앙 즉, 'PUSH' 부분을 누르면, 누름부(312)에 힘이 전달되고, 걸림부재(316)가 고정홈(313)을 이탈하여 분리된다. 이에 의해, 스프링(314)은 압축된 상태에서 해제되어 스프링 커버(315)가 거치대(320)를 밀어내게 된다.
거치대(320)와 받침대(330)는 링크(340)로 연결되어 있어 연동 작용하므로, 거치대(320)에 밀어내는 힘이 가해지면, 거치대(320)와 받침대(330)가 함께 펼쳐지게 되고, 결과적으로 'PUSH' 부분을 누르는 원터치 동작에 의해 컵 홀더(300)가 펼쳐지게 된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메인 플레이트(310)의 배면에는 접이식 걸쇠(미도시)를 더 장착할 수 있다. 접이식 걸쇠는 여행용 캐리어(10)를 소지하고 이동하는 중에 사용자가 더 소지하게 되는 비닐봉투 혹은 쇼핑백 등을 걸어 두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접이식 걸쇠는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접어 둘 수 있는 형태여서, 사용상의 불편함을 최소화한다.
도 8은 도 1에 도시한 컵 홀더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컵 홀더(300)의 배면에 수납 케이스(600)를 더 장착한 예를 도시하였다. 수납 케이스(600)는 오픈 가능한 커버를 포함하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메인 플레이트(310)의 배면에 장착될 수 있다.
수납 케이스(600)는 사용상의 편의를 위하여 전면을 누르면 전면의 커버(610)가 열리는 원터치 형으로, 이러한 구조는 기공지된 사항이므로 구체적인 구조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수납 케이스(600)의 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부가 오픈되어 오픈된 상부에 별도의 커버가 장착되는 형태일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커버의 분실을 방지하기 위해, 커버를 수납 케이스(600)와 연결하는 수단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본 발명에 따른 여행용 캐리어(10)에 구비된 컵 홀더(300)는 수납 본체(100)의 측면에 돌출되는 형태가 아님에 의해, 여행용 캐리어(10)의 외부로 돌출됨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여행용 캐리어(10)는 세로 방향으로 세워진 상태에서만 사용하는 것이 아니므로,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그 방향이 변경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적절하게 컵 홀더(300)의 방향도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여행용 캐리어
100 : 수납 본체
200 : 손잡이
300 : 컵 홀더
400 : 고정부

Claims (10)

  1. 수납 본체;
    상기 수납 본체의 손잡이 수용공간에 내장되어 인출 가능하게 장착되는 손잡이;
    상기 손잡이에 장착되는 컵 홀더;
    일단은 상기 컵 홀더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손잡이의 수직 프레임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컵 홀더를 상기 손잡이에 고정하는 한 쌍의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컵 홀더는,
    메인 플레이트;
    거치홀이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상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거치대;
    일단이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하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받침대;
    일단은 상기 메인 플레이트와 상기 거치대의 연결부위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메인 플레이트와 상기 받침대의 연결부위에 연결되어, 상기 거치대 및 상기 받침대가 연동되도록 하는 링크; 및
    중심부에서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배면과 회전축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컵 홀더를 회전시키고, 양측부는 상기 한 쌍의 고정부에 각각 연결되는 회전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홀더를 구비한 여행용 캐리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 및 상기 받침대는 회전하여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일면을 덮는 형태로 접히고, 상기 손잡이와 함께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홀더를 구비한 여행용 캐리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양 측면에 형성되는 제1 고정돌기;
    상기 거치대의 측면 내부에 상기 제1 고정돌기와 대응하는 부위에 형성되는 제2 고정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거치대 및 상기 받침대가 접힌 상태에서, 상기 제1 고정돌기 및 상기 제2 고정돌기에 의해 상기 거치대 및 상기 받침대가 접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홀더를 구비한 여행용 캐리어.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고정부의 타단에는 상기 수직 프레임의 외주와 대응하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반오픈 구조로 상기 수직 프레임에 착탈이 가능한 착탈용 고정부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홀더를 구비한 여행용 캐리어.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의 수직 프레임에는 상기 컵 홀더의 장착 위치에 상기 받침대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의 이동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는, 바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단은 메인 플레이트의 하단부에 연결되고, 타단에는 상기 이동레일에 삽입되어 이동하는 슬라이더를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고정부의 타단에 힌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홀더를 구비한 여행용 캐리어.
  7. 제 1 항에 있어서,
    오픈 가능한 커버를 포함하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배면에 연결되는 수납 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납 본체의 손잡이 수용공간은, 상기 손잡이에 장착된 상기 컵 홀더 및 상기 수납 케이스가 수용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홀더를 구비한 여행용 캐리어.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전면에서 상기 받침대가 접혔을 때 접하는 부위에 상기 받침대와 접촉될 수 있는 두께로 형성되고, 양단에 고정홈이 형성되며, 탄성 재질로 형성되어 받침대를 누르는 힘에 의해 압박되는 누름부;
    일단이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전면에서 상기 누름부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스프링; 및
    상기 한 쌍의 스프링의 타단에 연결되고, 상기 고정홈과 대응하는 측면에 걸림부재가 형성된 스프링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홀더를 구비한 여행용 캐리어.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커버는, 일면이 개방되어 내부 수용공간에 상기 스프링을 수용하고, 측면의 두께는 상기 누름부의 두께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홀더를 구비한 여행용 캐리어.
  10. 삭제
KR1020230072558A 2023-06-07 2023-06-07 컵 홀더를 구비한 여행용 캐리어 KR1025809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2558A KR102580924B1 (ko) 2023-06-07 2023-06-07 컵 홀더를 구비한 여행용 캐리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2558A KR102580924B1 (ko) 2023-06-07 2023-06-07 컵 홀더를 구비한 여행용 캐리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0924B1 true KR102580924B1 (ko) 2023-09-20

Family

ID=88191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72558A KR102580924B1 (ko) 2023-06-07 2023-06-07 컵 홀더를 구비한 여행용 캐리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092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110202A1 (en) * 2011-11-23 2014-04-24 Mark Vesterby Apparatus for carrying drinks and articles on moving luggage
US9241554B1 (en) * 2015-04-02 2016-01-26 Joy Tong Combination luggage and drink holder assembly
CN205757869U (zh) * 2016-01-08 2016-12-07 嘉兴爵利商贸有限公司 一种拉杆箱
KR20200002562U (ko) 2020-08-18 2020-11-25 (주)에다스 여행용 캐리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110202A1 (en) * 2011-11-23 2014-04-24 Mark Vesterby Apparatus for carrying drinks and articles on moving luggage
US9241554B1 (en) * 2015-04-02 2016-01-26 Joy Tong Combination luggage and drink holder assembly
CN205757869U (zh) * 2016-01-08 2016-12-07 嘉兴爵利商贸有限公司 一种拉杆箱
KR20200002562U (ko) 2020-08-18 2020-11-25 (주)에다스 여행용 캐리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306358C (en) Portable display stand
US6206224B1 (en) Shopping caddy and bag system
US7147243B2 (en) Accessories for a collapsible rolling caddy
WO2019060155A1 (en) BACKPACK - BAG
US20050284906A1 (en) Multi-positionable caddy and organizer system
AU2015203783A1 (en) Case
US5680914A (en) Portable lap office assembly having internal desktop writing surface
US20170341674A1 (en) Stroller with a secondary attachment
CN113556958A (zh) 形成支架的行李箱
JPH045423Y2 (ko)
KR200492292Y1 (ko) 접이식 상자용 카트
US9247829B2 (en) Portable diaper changing station
US6609599B1 (en) Extensible handle system for carrying container
CN217065590U (zh) 一种托杆机构及多功能行李箱
KR102580924B1 (ko) 컵 홀더를 구비한 여행용 캐리어
US20230270217A1 (en) Carrier also usable as wagon
KR20100120010A (ko) 휴대가 용이한 책상
RU2499538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хранения бюстгальтеров
KR200492687Y1 (ko) 소방관 휴대용 캐리어 가방
JP2001112556A (ja) テーブル装置
KR20110061702A (ko) 어깨에 멜 수 있는 휴대용 운반장치
CN212972003U (zh) 一种多用途便携式拉杆箱
KR200248107Y1 (ko) 절첩식 운반수레
KR200229134Y1 (ko) 접철식 서류대를 구비한 백팩
KR200477609Y1 (ko) 휴대 가능한 다용도 포켓 카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