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7609Y1 - 휴대 가능한 다용도 포켓 카트 - Google Patents

휴대 가능한 다용도 포켓 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7609Y1
KR200477609Y1 KR2020150002617U KR20150002617U KR200477609Y1 KR 200477609 Y1 KR200477609 Y1 KR 200477609Y1 KR 2020150002617 U KR2020150002617 U KR 2020150002617U KR 20150002617 U KR20150002617 U KR 20150002617U KR 200477609 Y1 KR200477609 Y1 KR 2004776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cket
support
storage
pocket portion
c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26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병규
Original Assignee
최병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병규 filed Critical 최병규
Priority to KR20201500026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760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76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7609Y1/ko
Priority to PCT/KR2016/003794 priority patent/WO201617142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1/00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 가능한 다용도 포켓 카트에 관한 것으로서, 지지포켓부(111)와 받침포켓부(112)로 구성하되 일단이 연결되어 연결부분을 기준으로 양자간에 접고 펼침이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잠금수단(113)을 가지며, 내부에 수납 가능한 공간을 보유하도록 구비되는 보관 포켓(110); 상기 지지포켓부(110)의 내측에 위치하여 결합 고정되고 상하방향으로 접고 펼침이 가능한 다단 구조로 형성되며 상단에 견인손잡이(122)가 구비되는 지지프레임(121)과, 상기 지지프레임(121)의 하단에 결합되어 구비되는 바퀴(123)와, 상기 받침포켓부(112)의 내측에 내재되고 보관 포켓(110)을 펼쳐 사용시 받침포켓부(112)의 하부를 받쳐주기 위한 받침대(124)를 포함하는 카트 구조물(120); 상기 보관 포켓(110) 내에 비치되며, 물품을 수납하여 저장할 수 있는 수납공간을 갖는 물품수납포장재(130);를 포함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포켓용으로 소형화한 구조로서 언제 어디서나 휴대가 가능하고 외부 출타시에도 간편하게 휴대하여 지니고 다닐 수 있으며, 시장 장보기의 물건 수납 및 운반용이나 쓰레기의 분리 수거 및 운반용 또는 여행시 보조도구용 등으로 필요에 따라 다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 가능한 다용도 포켓 카트{POCKET CART FOR MULTI PURPOSE AND PORTABLE TYPE}
본 고안은 물건을 수납 및 운반 기능을 갖는 포켓타입 카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포켓용으로 소형화하여 언제 어디서나 휴대 가능토록 하며 시장 장보기의 물건 수납 및 운반용, 쓰레기의 분리 수거 및 운반용, 여행시 보조도구용 등 필요에 따라 다용도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휴대 가능한 다용도 포켓 카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카트는 물건을 수납하는 수납기능과 운반할 수 있는 운반기능을 갖는 운반장치 또는 이동장치로서, 손으로 잡아 밀거나 당기면서 이동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카트는 대형 마트 또는 중소형 마트에서 쇼핑용으로 사용하고 있는 쇼핑용 대형 카트와, 손으로 들고다니는 플라스틱 바구니 형태의 쇼핑용 카트, 가정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2~3단 접이식 가정용 핸드 카트, 및 회사에서 산업용으로 사용하는 중량의 산업용 운반 카트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쇼핑용 대형 카트와 산업용 운반 카트는 일반 가정에서 사용하는데 불편함이 있고, 상기 바구니형 쇼핑용 카트는 경량으로 손으로 들고다닐 수 있으나 접이식 구조가 아니므로 몸체의 부피를 줄이는데 어려움이 있고 구조상 휴대가 불가능함은 물론 불편함이 있으며, 상기 가정용 핸드 카트는 2~3단의 접이식 구성으로 몸체의 부피를 줄일 수 있으나 이 역시 휴대가 불가능하고 수납주머니가 없으므로 별도의 수납주머니가 요구됨은 물론 물건을 재포장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카트들은 단순하게 물건을 싣고 운반하는 기능을 위한 제품으로서, 이동장치로서의 기능 이외에 기타 여러 용도로 활용하는데 따른 어려움 및 한계가 있다.
한편, 종래 선행기술문헌에 있어서는 가정용 카트이면서 휴대를 용이하게 하는 용도의 포켓형 카트를 쉽게 찾아볼 수가 없었으며, 외부 출타시에도 언제 어디서나 가볍게 휴대하여 지니고 다닐 수 있는 구조설계를 갖는 카트 제품 또한 찾아볼 수가 없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062408호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 및 이를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포켓용으로 소형화하여 언제 어디서나 휴대가 가능토록 하며, 시장 장보기의 물건 수납 및 운반용이나 쓰레기의 분리 수거 및 운반용 또는 여행시 보조도구용 등 필요에 따라 다용도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휴대 가능한 다용도 포켓 카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물품수납포장재를 포함하는 접이식 구성으로 하여 휴대가 용이한 포켓형 경량 및 소형 카트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통해 별도의 수납용기를 구비할 필요가 없도록 하고 운반용 카트의 이동성과 사용 편리함을 동시에 만족시켜줄 수 있도록 한 휴대 가능한 다용도 포켓 카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케이스에 포장되는 타입의 포켓형 구조설계로 핸드백처럼 어깨에 메고 다닐 수 있도록 하는 등 외부 출타시에도 언제 어디서나 가볍게 휴대하여 지니고 다닐 수 있도록 한 휴대 가능한 다용도 포켓 카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지지포켓부와 받침포켓부로 구성하되 일단이 연결되어 양자간에 접고 펼침이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잠금수단을 가지며, 내부에 수납 가능한 공간을 보유하도록 구비되는 보관 포켓; 상기 지지포켓부의 내측에 위치하여 결합 고정되고 상하방향으로 접고 펼침이 가능한 다단 구조로 형성되며 상단에 견인손잡이가 구비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단에 결합되어 구비되는 바퀴와, 상기 받침포켓부의 내측에 내재되고 보관 포켓을 펼쳐 사용시 받침포켓부의 하부를 받쳐주기 위한 받침대를 포함하는 카트 구조물; 상기 보관 포켓 내에 비치되며, 물품을 수납하여 저장할 수 있는 수납공간을 갖는 물품수납포장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휴대 가능한 다용도 포켓 카트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지지포켓부와 받침포켓부는, 한쌍 구비되는 제1 링크결합체와 제2 링크결합체를 대칭되게 배치하고 각각의 일단에 편심 형성된 제1 및 제2 편심 힌지결합부를 서로 포개어 공통으로 힌지 결합하되, 상기 제1 링크결합체의 타단을 상기 지지포켓부의 내면 하부에 힌지 고정하고, 상기 제2 링크결합체의 타단을 상기 받침포켓부의 내면 하부에 힌지 고정함으로써 펼치고 접는 작업이 가능하며; 상기 지지포켓부와 받침포켓부에 대해 직각으로 배치되게 펼친 상태를 고정할 수 있고, 외력이 작용하기 전까지 고정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휴대 가능한 다용도 포켓 카트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바퀴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단에서 상하방향으로 인입과 인출 동작이 가능하도록 구비할 수 있고, 또는 보관 포켓의 내측으로 접어 보관하고 외측에 위치되게 펼쳐 사용하도록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보관 포켓의 하부에는 바퀴의 인입과 인출 또는 바퀴의 접고 펼침이 가능하도록 개구가 형성되는 휴대 가능한 다용도 포켓 카트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받침대는, 상기 받침포켓부의 내면에 위치하여 양단부를 고정 배치하되 회동(回動)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회동에 의해 지면에 닿도록 형성되는 절곡형 구조의 몸체이며; 상기 받침포켓부에는 상기 받침대가 배치된 대향 위치에 받침대를 회동시 외측에 위치 및 지면으로 향하게 하는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받침대는 회동(回動)을 통해 개구부를 통과하여 상기 받침포켓부의 내면에서 외측으로 배치함으로써 지면에 닿게 하여 받침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휴대 가능한 다용도 포켓 카트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지지포켓부와 받침포켓부의 내면에는 각각 상기 물품수납포장대를 보관 포켓 내에 고정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벨크로부재가 부착되며; 상기 물품수납포장대는, 방수직물로 이루어지되 격벽에 의해 분리 공간을 갖는 구성이고, 접힌 상태로 보관 포켓 내에 비치되며, 보관 포켓을 펼칠 때 함께 펼쳐지도록 구비되는 휴대 가능한 다용도 포켓 카트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포켓용으로 소형 경량화할 수 있고 언제 어디서나 가볍게 휴대하여 손으로 들고다니거나 핸드백처럼 어깨에 메고 다닐 수 있으며, 시장 장보기의 물건 수납 및 운반용이나 쓰레기의 분리 수거 및 운반용 또는 여행시 보조도구용 등 필요에 따라 다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본 고안은 별도의 수납용기를 구비할 필요가 없고 물건을 비닐봉투나 종이박스에 재포장하지 않고 운반할 수 있으며, 가정에서는 쓰레기를 미리 분리 수거한 상태로 운반할 수 있으며, 여행시 여행용 가방의 운반용 또는 물건 구입시 수납용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운반용 카트의 이동성과 사용 편리함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가능한 다용도 포켓 카트에 있어 평상시 포켓 형태로 축소시킨 상태를 나타낸 일 유형의 외형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가능한 다용도 포켓 카트에 있어 보관 포켓을 펼쳐 개방한 상태일 때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개략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가능한 다용도 포켓 카트에 있어 수납용 포장재까지 셋팅 완료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개략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가능한 다용도 포켓 카트에 있어 물건수납포장재를 나타낸 일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가능한 다용도 포켓 카트에 있어 보관 포켓과 링크형 힌지결합부재와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개략 구성도이다.
본 고안에 대해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이와 같은 상세한 설명을 통해서 본 고안의 목적과 구성 및 그에 따른 특징들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가능한 다용도 포켓 카트(100)는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관 포켓(110)과 카트 구조물(120) 및 물품수납포장재(13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보관 포켓(110)은 카트 구조물(120)과 물품수납포장대(130)를 내부에 수납하여 보관하기 위한 소형 케이스로서, 대략 장방형 구조의 핸드백이나 가방과 같은 형태로 구비되며,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경질(硬質)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관 포켓(110)은 동일한 크기를 갖는 지지포켓부(111)와 받침포켓부(112)로 구성하되 서로 마주하는 일단이 연결되어 양자간에 접고 펼침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내부에 수납 가능한 공간을 보유하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지지포켓부(111)와 받침포켓부(112)는 합성수지재나 금속재 또는 목재 등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할 것인데, 생산성이나 가격 및 중량 등을 고려할 때 합성수지재가 가장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
상기 지지포켓부(111)와 받침포켓부(112)에는 보관 포켓(110)에 대한 접은 상태에서의 고정성을 유지하게 함은 물론 펼침 사용을 위해 지퍼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잠금수단(113)이 장착된다.
상기 지지포켓부(111)와 받침포켓부(112)에는 접은 상태의 보관 포켓(110)을 손으로 들 수 있도록 휴대손잡이를 구비하거나, 어깨에 멜 수 있도록 어깨띠(101)를 장착하여 구비할 수 있으며, 휴대손잡이와 어깨띠를 모두 구비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상기 지지포켓부(111)와 받침포켓부(112)는 포켓 카트(100)의 사용을 위해 펼칠 때 직각으로 펼침을 가능하게 하면서 그 펼친 상태를 고정시켜 유지할 수 있도록 도 5에서와 같은 링크형 힌지결합부재가 사용될 수 있으며, 2개가 사용된다 할 것이다.
즉, 링크형 힌지결합부재는 한쌍으로 구비되며, 각 링크형 힌지결합부재에 있어 제1 링크결합체(141)와 제2 링크결합체(143)를 대칭되게 배치하고 각각의 일단에 편심 형성된 제1 및 제2 편심 힌지결합부(142)(144)를 서로 포개어 공통으로 힌지 결합하며, 상기 제1 링크결합체(141)의 타단을 상기 지지포켓부(111)의 내면 하부에 힌지 고정하고, 상기 제2 링크결합체(143)의 타단을 상기 받침포켓부(112)의 내면 하부에 힌지 고정한다.
이때, 상기 제1 링크결합체(141)와 제2 링크결합체(143)는 회동각에 따라 일단이 서로 맞닿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하부를 절곡 형성함에 의해 제1 및 제2의 각 편심 힌지결합부(142)(144)와 동일직선상으로 배치되지 않고 약간 돌출되는 구조로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지지포켓부(111)와 받침포켓부(112)는 보관 포켓(110)을 펼치는 작업을 수행할 때, 제1 링크결합체(141)와 제2 링크결합체(143)가 함께 회동(回動)되어 펼쳐짐에 따라 일단이 서로 맞닿게 되고, 이때 완전하게 펼친 상태를 형성하게 되며, 제1 링크결합체(141)와 제2 링크결합체(143)의 작용에 의해 서로 간에 직각을 이루도록 펼쳐진 상태를 고정할 수 있고 고정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부연하여, 서로 포개어 공통으로 힌지 결합된 상태에 있는 제1 및 제2 편심 힌지결합부(142)(144)를 손가락으로 눌러 외력을 가하면, 회동(回動)에 의해 제1 링크결합체(141)와 제2 링크결합체(143)의 서로 맞닿는 부분이 해제되면서 접히게 되며, 상기 지지포켓부(111)와 받침포켓부(112)를 접을 수 있게 된다.
상기 카트 구조물(120)은 포켓 카트(100)를 견인 및 움직이는데 사용하기 위한 구조물로서, 상기 지지포켓부(110)의 내측에 위치하여 결합 고정되며 링크형 힌지결합부재와 간섭되지 않도록 배치되는 지지프레임(121)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지지프레임(121)은 알루미늄 등의 금속재나 경질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하방향으로 접고 펼침이 가능한 다단 구조로 형성함이 바람직한데, 2단 내지 4단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다단 구조를 통해 상기 지지포켓부(111) 내부에 용이하게 수납 배치 및 부피를 줄일 수 있고 필요시 외부로 꺼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121)의 상단에는 그 중심부에 견인손잡이(122)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카트 구조물(120)은 상기 지지프레임(121)의 하단에 결합되어 구비되고 포켓 카트(100)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바퀴(123)와, 상기 받침포켓부(112)의 내측에 내재되고 보관 포켓(110)을 펼쳐 사용시 받침포켓부(112)의 하부를 받쳐주는데 사용하기 위한 받침대(124)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바퀴(123)는 상기 지지프레임(121)의 하단에서 상하방향으로 인입과 인출 동작이 가능하도록 구비할 수 있으며, 때로는 상기 지지프레임(121)의 하단에 결합하되 보관 포켓(110)의 내측으로 접어 보관하고 외측에 위치되게 펼쳐 사용하도록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바퀴(123)에 대한 이러한 구성을 위해 상기 보관 포켓(110)의 하부에는 바퀴(123)의 인입과 인출 방식 또는 바퀴(123)의 접고 펼침이 가능하게 한 절첩 방식을 위해 개구가 형성된다 할 것이다.
상기 받침대(124)는 상기 받침포켓부(112)의 내부에서 꺼낸 후 받침포켓부(112)의 외면에 위치되게 양단을 끼움 결합하여 받침기능을 하도록 고정 배치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받침포켓부(112)에는 받침대 고정공이 형성될 수 있다.
때로는, 상기 받침대(124)를 회동(回動) 방식으로 상기 받침포켓부(112)에 구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받침대(124)는 절곡형 구조의 몸체로 구성하며, 상기 받침포켓부(112)의 내면에 위치하여 양단부를 고정 배치하되 회동(回動) 가능하도록 구비하고, 회동시 받침포켓부(112)의 외측에 위치 및 지면에 닿을 수 있도록 구비할 수 있다.
덧붙여, 상기 받침포켓부(112)에는 상기 받침대(124)가 배치된 대향 위치에 회동되는 받침대(124)를 지면에 닿게 할 수 있도록 개구부가 형성된다 할 것이다.
즉, 상기 받침대(124)는 회동(回動)을 통해 개구부(102)를 통과하여 상기 받침포켓부(112)의 내면에서 외측으로 배치함으로써 지면에 닿게 하여 받침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물품수납포장재(130)는 상기 보관 포켓(110) 내에 비치되는데, 물품을 수납하여 저장할 수 있는 수납공간을 갖도록 구비되고, 손잡이가 마련된다.
이때, 상기 물품수납포장대(130)는 가볍고 질긴 나일론 등 방수직물로 구성할 수 있고, 다용도로 활용할 수 있도록 칸막이에 의해 분리되는 분리형 다수 수납공간을 갖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물품수납포장대(130)는 접은 상태로 보관 포켓(110) 내에 비치된다 할 것인데, 다수의 수납공간을 위한 칸막이는 암수 벨크로부재를 사용하여 자유롭게 개폐 조절 가능하도록 구비할 수 있다.
덧붙여, 상기 물품수납포장대(130)는 접은 상태로 보관 포켓(110) 내에 비치하되 벨크로부재의 접목을 통해 보관 포켓(110)을 펼칠 때 함께 펼쳐지도록 구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지지포켓부(111)와 받침포켓부(112)의 내면에는 각각 벨크로부재(150)가 부착되며, 상기 물품수납포장대(130)의 대응 부위에도 상기 벨크로부재(150)에 대응하는 벨크로부재가 부착된다.
즉, 암수형 벨크로부재가 사용된다 할 것이다.
이와 같은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휴대 가능한 다용도 포켓 카트(100)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포켓 카트(100)의 미 사용시에는 카트 구조물(120)과 물건수납포장대(130)를 지지포켓부(111)와 받침포켓부(112)로 이루어진 보관 포켓(110) 내에 수납하여 보관할 수 있다.
이때, 포켓 카트(100)는 가방이나 핸드백 형태를 갖는 포켓형 몸체를 갖게 되고, 각종 구성요소가 내재되므로 외관이 깔끔해지고 부피를 줄일 수 있어 보관이 용이할 뿐더러 장소를 많이 차지하지 않으며, 외출시에도 가볍게 휴대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며 필요시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보관 포켓(110) 상에 구비되는 휴대손잡이나 어깨띠를 이용하여 손으로 들고다니거나 어깨에 메고 다닐 수 있다.
포켓 카트(100)의 사용시에는 보관 포켓(110) 상에 장착된 지퍼 등의 잠금수단(113)을 잠금 해제한 후 보관 포켓(110)을 펼친 상태에 지지포켓부(111) 측에 고정 배치된 카트 구조물(120)의 지지프레임(121)에 대해 상측방향으로 길이를 신장시키고, 바퀴(123)를 하측방향으로 빼내 보관 포켓(110)의 하부 외측으로 돌출 배치하며, 받침대(124)를 받침포켓부(112)의 외측방향에 배치하여 지면에 닿게 함으로써 받침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이때, 보관 포켓(110)을 펼칠 때, 벨크로부재(150)가 접목된 경우에는 물건수납용포장재(130)가 함께 펼쳐진다.
그리하여, 지지프레임(121)의 상단에 구비된 견인손잡이(122)를 잡고 견인하면, 포켓 카트(100)를 이동 및 물건수납용포장재(130)에 물건이 수납된 경우 운반할 수 있다.
덧붙여, 가정에서는 보관 포켓(110)을 펼쳐 분리 수거용으로 활용할 수 있는데, 칸막이에 의해 다수의 분리형 수납공간을 갖는 물건수납포장재(130)에 쓰레기를 분리 수거할 수 있고, 이렇게 쓰레기를 미리 분리 수거한 상태로 운반하여 배출할 수 있다.
덧붙여, 여행시 보관 포켓(110)을 펼친 상태에 여행용 가방의 운반용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여행용 가방에 수납하여 가지고 다니다가 물건을 구입시 물건수납 및 운반용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대해 구체적인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할 것이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이내에서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10: 보관 포켓 111: 지지포켓부
112: 받침포켓부 120: 카트 구조물
121: 지지프레임 122: 견인손잡이
123: 바퀴 124: 받침대
130: 물품수납포장대 141: 제1 링크결합체
142: 제1 편심 힌지결합부 143: 제2 링크결합체
144: 제2 편심 힌지결합부 150: 벨크로부재

Claims (5)

  1. 지지포켓부(111)와 받침포켓부(112)로 구성하되 일단이 연결되어 양자간에 접고 펼침이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잠금수단(113)을 가지며, 내부에 수납 가능한 공간을 보유하도록 구비되는 보관 포켓(110);
    상기 지지포켓부(110)의 내측에 위치하여 결합 고정되고 상하방향으로 접고 펼침이 가능한 다단 구조로 형성되며 상단에 견입손잡이(122)가 구비되는 지지프레임(121)과, 상기 지지프레임(121)의 하단에 결합되어 구비되는 바퀴(123)와, 상기 받침포켓부(112)의 내측에 내재되고 보관 포켓(110)을 펼쳐 사용시 받침포켓부(112)의 하부를 받쳐주기 위한 받침대(124)를 포함하는 카트 구조물(120);
    상기 보관 포켓(110) 내에 비치되며, 물품을 수납하여 저장할 수 있는 수납공간을 갖는 물품수납포장재(130); 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대(124)는,
    상기 받침포켓부(112)의 내면에 위치하여 양단부를 고정 배치하되 회동(回動)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회동에 의해 지면에 닿도록 형성되는 절곡형 구조의 몸체이며;
    상기 받침포켓부(112)에는 상기 받침대(124)가 배치된 대향 위치에 받침대(124)를 회동시 외측에 위치 및 지면으로 향하게 하는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받침대(124)는 회동(回動)을 통해 개구부를 통과하여 상기 받침포켓부(112)의 내면에서 외측으로 배치함으로써 지면에 닿게 하여 받침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가능한 다용도 포켓 카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포켓부(111)와 받침포켓부(112)는,
    한쌍 구비되는 제1 링크결합체(141)와 제2 링크결합체(143)를 대칭되게 배치하고 각각의 일단에 편심 형성된 제1 및 제2 편심 힌지결합부(142)(144)를 서로 포개어 공통으로 힌지 결합하되,
    상기 제1 링크결합체(141)의 타단을 상기 지지포켓부(111)의 내면 하부에 힌지 고정하고, 상기 제2 링크결합체(143)의 타단을 상기 받침포켓부(112)의 내면 하부에 힌지 고정함으로써 펼치고 접는 작업이 가능하며;
    상기 지지포켓부(111)와 받침포켓부(112)에 대해 직각으로 배치되게 펼친 상태를 고정할 수 있고, 외력이 작용하기 전까지 고정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가능한 다용도 포켓 카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퀴(123)는,
    상기 지지프레임(121)의 하단에서 상하방향으로 인입과 인출 동작이 가능하도록 구비할 수 있고,
    또는 보관 포켓(110)의 내측으로 접어 보관하고 외측에 위치되게 펼쳐 사용하도록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보관 포켓(110)의 하부에는 바퀴(123)의 인입과 인출 또는 바퀴(123)의 접고 펼침이 가능하도록 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가능한 다용도 포켓 카트.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포켓부(111)와 받침포켓부(112)의 내면에는 각각 상기 물품수납포장대(130)를 보관 포켓(110) 내에 고정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벨크로부재(150)가 부착되며;
    상기 물품수납포장대(130)는,
    방수직물로 이루어지되 격벽에 의해 분리 공간을 갖는 구성이고, 접힌 상태로 보관 포켓(110) 내에 비치되며, 보관 포켓(110)을 펼칠 때 함께 펼쳐지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가능한 다용도 포켓 카트.
KR2020150002617U 2015-04-22 2015-04-22 휴대 가능한 다용도 포켓 카트 KR2004776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2617U KR200477609Y1 (ko) 2015-04-22 2015-04-22 휴대 가능한 다용도 포켓 카트
PCT/KR2016/003794 WO2016171423A1 (ko) 2015-04-22 2016-04-11 휴대 가능한 다용도 포켓 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2617U KR200477609Y1 (ko) 2015-04-22 2015-04-22 휴대 가능한 다용도 포켓 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7609Y1 true KR200477609Y1 (ko) 2015-07-09

Family

ID=53795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2617U KR200477609Y1 (ko) 2015-04-22 2015-04-22 휴대 가능한 다용도 포켓 카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77609Y1 (ko)
WO (1) WO201617142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3962B1 (ko) 2019-03-27 2019-05-29 이지식 가방형 핸드카트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5052U (ja) * 1993-01-20 1995-12-19 太持 榎 キャスターバッグ
KR20030050377A (ko) * 2001-12-18 2003-06-25 유지호 절첩식 운반수레
US20050023096A1 (en) * 2003-08-01 2005-02-03 500 Group, Inc. Bag and method of moving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9641A (ko) * 2011-01-05 2012-07-13 김숙경 쇼핑 가방을 구비한 접이식 쇼핑카트
KR101418564B1 (ko) * 2012-10-09 2014-07-09 롯데쇼핑 주식회사 장바구니용 카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5052U (ja) * 1993-01-20 1995-12-19 太持 榎 キャスターバッグ
KR20030050377A (ko) * 2001-12-18 2003-06-25 유지호 절첩식 운반수레
US20050023096A1 (en) * 2003-08-01 2005-02-03 500 Group, Inc. Bag and method of movi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3962B1 (ko) 2019-03-27 2019-05-29 이지식 가방형 핸드카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71423A1 (ko) 2016-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75376B2 (en) Collapsible bag
US7849984B2 (en) Collapsible bag mounting structure and collapsible bag associated therewith
US10226108B2 (en) Collapsible containers
US20090080808A1 (en) Grocery bag with pockets
US20030038008A1 (en) Cart-separable traveling bag
US9233700B1 (en) Portable cart with removable shopping bag
US20060228051A1 (en) Collapsible bag
US20150173475A1 (en) Storage assembly
CA2867710C (en) Support structure for luggage
US7140479B2 (en) Luggage bag having a removable garment bag
US10098431B2 (en) Frames for luggage items
US20110000754A1 (en) Luggage With Tow Handle
US20150342318A1 (en) Wheeled assembly
US8162348B2 (en) Folding cart
KR200477609Y1 (ko) 휴대 가능한 다용도 포켓 카트
KR20120119230A (ko) 절첩 가능한 여행용 가방
KR101635930B1 (ko) 복층 구조의 산업용 또는 가정용 핸드카트
JP3173347U (ja) ショッピングカー
US9914468B2 (en) Collapsible cart
TWM508237U (zh) 手提袋
KR200445766Y1 (ko) 크기가 조절되는 장바구니
US20210016144A1 (en) Collapsible rolling travel cover for a golf bag
KR20130001439U (ko) 휴대가 간편한 배낭
KR101869079B1 (ko) 보조수납실을 갖는 여행용 가방
KR101457768B1 (ko) 캐리어형 장바구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