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3636B1 - 천 제품 수납함 - Google Patents
천 제품 수납함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83636B1 KR102283636B1 KR1020200144154A KR20200144154A KR102283636B1 KR 102283636 B1 KR102283636 B1 KR 102283636B1 KR 1020200144154 A KR1020200144154 A KR 1020200144154A KR 20200144154 A KR20200144154 A KR 20200144154A KR 102283636 B1 KR102283636 B1 KR 10228363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se
- tray
- cloth product
- storage box
- attach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Abstract
[과제] 탁상에 놓을 필요가 없고, 수용된 천 제품이 눈에 띄지 않도록 구성된 천 제품 수납함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 천 제품 수납함(1)은 케이스(2)와 트레이(3)를 구비한다. 케이스(2)는 연직면을 따른 설치면(5)에 대하여 부착 가능하게 구성되고, 설치면(5)을 따르고 수평면을 따르는 방향을 향하는 개구면(25)을 갖는다. 트레이(3)는 천 제품이 실리도록 구성되고, 케이스(2) 내에 위치하여 천 제품(6)이 수납 스페이스(11)에 들어가는 제 1 위치와 개구면(25)을 통해서 인출된 제 2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케이스(2)에 부착된다. 케이스(2) 및 트레이(3)는, 트레이(3)가 제 1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수납 스페이스(11)와 케이스(2)의 바깥을 상하 방향으로 통하게 하는 취출 구멍(28, 36)을 갖고 있다.
[해결 수단] 천 제품 수납함(1)은 케이스(2)와 트레이(3)를 구비한다. 케이스(2)는 연직면을 따른 설치면(5)에 대하여 부착 가능하게 구성되고, 설치면(5)을 따르고 수평면을 따르는 방향을 향하는 개구면(25)을 갖는다. 트레이(3)는 천 제품이 실리도록 구성되고, 케이스(2) 내에 위치하여 천 제품(6)이 수납 스페이스(11)에 들어가는 제 1 위치와 개구면(25)을 통해서 인출된 제 2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케이스(2)에 부착된다. 케이스(2) 및 트레이(3)는, 트레이(3)가 제 1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수납 스페이스(11)와 케이스(2)의 바깥을 상하 방향으로 통하게 하는 취출 구멍(28, 36)을 갖고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천 제품 수납함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는 종래의 타올 보관함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 기재의 타올 보관함은 탁상에 놓고 사용된다. 타올 보관함은 외부 상자와, 외부 상자 내에 수납되는 내부 상자를 구비한다. 외부 상자는 앞 방향으로 개구되어 있고, 내부 상자는 앞뒤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외부 상자에 대하여 부착되어 있다.
외부 상자의 상면판에는 제 1 취출구(取出口; taking-out port)가 형성되어 있고, 내부 상자의 상면판에는 제 2 취출구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내부 상자의 앞면판에는 내부 상자의 안팎을 관통하는 창구가 형성되어 있다. 유저는 창구에 손을 넣어 내부 상자를 앞 방향으로 인출함으로써, 제 1 취출구와 제 2 취출구를 일치시켜, 내부 상자 내에 수납된 타올을 위에서부터 뽑아낼 수 있다.
그런데, 상기 특허문헌 1 기재의 타올 보관함에서는 탁상에 놓고 사용되기 때문에, 타올 보관함을 놓기 위한 스페이스가 필요하다. 또한, 탁상에 둔 상태에서는 취출구가 위를 향하여, 유저에 대하여 눈에 띄는 위치에 배치되기 때문에, 취출구를 통해서 수용된 타올이 보여 볼품이 없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져, 탁상에 놓을 필요가 없고, 수용된 천 제품이 눈에 띄지 않도록 구성된 천 제품 수납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형태의 천 제품 수납함은 연직면을 따른 설치면에 대하여 부착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설치면을 따르고 또한 수평면을 따르는 방향으로 향하는 개구면을 갖는 케이스와, 천 제품이 실리도록 구성되고, 상기 케이스 내에 위치하여 상기 천 제품이 수납 스페이스에 들어가는 제 1 위치와 상기 개구면을 통해서 인출된 제 2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상기 케이스에 부착된 트레이를 구비한다. 상기 케이스 및 상기 트레이는, 상기 트레이가 상기 제 1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수납 스페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바깥을 상하 방향으로 통하게 하는 취출 구멍을 갖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형태의 천 제품 수납함은 탁상에 놓을 필요가 없고, 수용된 천 제품이 눈에 띄지 않는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천 제품 수납함의 아래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는 상동의 천 제품 수납함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a는 상동의 천 제품 수납함과, 훅을 분해한 사시도이다. 도 3b는 상동의 훅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a는 트레이가 제 2 위치에 있는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4b는 트레이가 제 1 위치에 있는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5a 내지 5c는 상동의 천 제품 수납함에서, 천 제품을 인출하는 것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상동의 천 제품 수납함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a는 상동의 천 제품 수납함과, 훅을 분해한 사시도이다. 도 3b는 상동의 훅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a는 트레이가 제 2 위치에 있는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4b는 트레이가 제 1 위치에 있는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5a 내지 5c는 상동의 천 제품 수납함에서, 천 제품을 인출하는 것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1) 실시형태
이하, 본 실시형태에 따른 천 제품 수납함(1)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1.1) 전체 구성
본 실시형태에 따른 천 제품 수납함(1)은, 복수의 천 제품(6)을 내부에 수납한 상태에서,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직면을 따른 설치면(5)에 부착된다. 천 제품 수납함(1)은 케이스(2)와, 케이스(2)에 대하여 인출 가능하게 부착된 트레이(3)를 구비한다.
여기에서 「설치면(5)」이란, 천 제품 수납함(1)이 부착되는 면을 의미한다. 설치면(5)으로서는, 예를 들어, 방의 벽면, 복도의 벽면, 탈의실의 벽면, 거실의 벽면, 문의 면, 칸막이 등을 들 수 있다. 설치면(5)을 구성하는 재료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예를 들어, 벽지, 합판, 콘크리트, 펀칭 메탈, 그물, 유리, 코르크 보드, 자착(磁着; 자석 부착) 가능한 금속 등의 판재 등을 들 수 있고, 평면에 한정되지 않고, 요철면 또는 단차가 있는 면으로 구성되어도 좋다.
천 제품 수납함(1)에 의해서 수납되는 천 제품(6)(도 4)은 유연성을 갖는 제품인 것이 바람직하다. 천 제품(6)으로서는, 예를 들면, 타올, 배스 타올, 핸드 타올, 손수건, 수건, 보자기, 보호대, 속옷, T셔츠 등을 들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천 제품(6)은 타올이다.
이하에서는, 설치면(5)을 따르고 수평면을 따르는 2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하고, 설치면(5)과 정면으로 대했을 때의 「우」「좌」를 기준으로, 「오른쪽 방향」과 「왼쪽 방향」을 정의한다. 또한, 연직면을 따르는 2 방향을 「상하 방향」으로 하여 정의한다. 또한, 도면 중의 각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는 설명을 위해서 표기하고 있는 것에 지나지 않고, 실체를 수반하지 않는다.
(1.2) 케이스
케이스(2)는 트레이(3)와, 트레이(3)에 실린 복수의 천 제품(6)을 담는 상자이다. 케이스(2)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앞판(21), 바닥판(22), 천판(天板)(23) 및 배판(背板)(24)을 갖는 통상체(筒狀體)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좌우 방향의 양쪽 단면에 한 쌍의 개구면(25)이 형성되어 있다. 각 개구면(25)은 좌우 방향 중 어느 하나를 향해 있고, 한 쌍의 개구면(25)은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해 있다. 각 개구면(25)은 길이 방향이 상하 방향으로 평행한 모서리가 둥근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2)의 재료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예를 들면, 합성 수지, 고무, 카본, 금속판, 목재, 종이, 골판지 등에 의해 구성되지만, 제조성 및 비용의 관점에서, 합성 수지에 의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케이스(2)는, 설치면(5)에 대하여 분리 가능하게 부착된다. 설치면(5)에 대한 케이스(2)의 부착은, 예를 들어, 고착구에 의한 부착, 접착, 끼워 넣기, 지지대에 의한 부착 등을 들 수 있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설치면(5)에 부착된 훅(4)에 대하여 부착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케이스(2)는 훅(4)에 대하여 부착되는 훅 부착부(26)를 갖고 있다.
여기서, 훅(4)은,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설치면(5)에 고정되는 고정부(41)와, 고정부(41)에 대하여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는 훅 본체부(42)를 구비한다. 설치면(5)에 대한 고정부(41)의 고정은, 예를 들어, 나사 고정, 핀 고정, 접착 등에 의해 실현된다. 고정부(41)에는 훅 본체부(42)를 얹은 상태에서 앞뒤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는 재치부(載置部; Placement part)(411)가 형성되어 있다. 훅 본체부(42)의 뒷면에는 걸기부(421)가 형성되어 있고, 재치부(411)에 대하여 걸기부(421)가 위에서 아래로 삽입됨으로써, 훅 본체부(42)는 고정부(41)에 대하여 부착된다. 훅 본체부(42)의 상단에는 삽입편(422)이 형성되어 있다.
훅 부착부(26)는, 도 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2)의 배판(24)에 형성되어 있다. 훅 부착부(26)는 설치면(5)에 고정된 훅(4)이 수용되는 오목 개소(261)와, 오목 개소(261) 내에 설치된 훅(4)의 삽입편(422)이 삽입되는 삽입 구멍(262)을 구비한다. 오목 개소(261)는 훅 본체부(42)의 외형에 적합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정면에서 볼 때 대략 U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삽입 구멍(262)은 오목 개소(261)의 내측벽 중의 상단벽에 슬릿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삽입 구멍(262)에 대하여 아래에서 위를 향해서 삽입편(422)이 삽입되어, 훅(4)에 대하여 케이스(2)가 부착된다.
케이스(2)의 내면에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트레이(3)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27)가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부(27)는 케이스(2)의 하단부에 형성된 한 쌍의 홈(271)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앞판(21)에 형성된 홈(271)은 케이스(2)의 내면으로부터 앞 방향으로 움푹 패여 있다. 배판(24)에 형성된 홈(271)은 케이스(2)의 내면에서 뒷 방향으로 움푹 패여 있다. 한 쌍의 홈(271) 끼리는 대향하고 있고, 대향하는 홈(271) 내에 트레이(3)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다.
케이스(2)의 바닥판(22)에는 취출 구멍(28)이 형성되어 있다. 취출 구멍(28)으로부터는 트레이(3)에 실린 천 제품(6)이 인출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트레이(3)에도 취출 구멍(36)이 형성되어 있고, 케이스(2) 내에 트레이(3)가 들어가면, 트레이(3)의 취출 구멍(36)과 케이스(2)의 취출 구멍(28)이 상하 방향으로 통하고, 이로써, 트레이(3)에 실린 천 제품(6)이 인출 가능해진다.
케이스(2)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취출 구멍(28)의 개구 가장자리를 따라서 솟아오른 솟아오름편(281)을 갖는다. 솟아오름편(281)은 개구 가장자리의 전체 둘레에 걸쳐서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환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솟아오름편(281)에 의하면, 취출 구멍(36)이 형성됨으로써 저하된 케이스(2)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2)의 한 쌍의 개구면(25)의 하단부에는 리브(29)가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케이스(2)는 트레이(3)로부터 가해지는 중량을 적절하게 받을 수 있다.
(1.3) 트레이
트레이(3)는 천 제품(6)이 실리도록 구성된 부재이다. 트레이(3)는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에서, 좌우 방향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케이스(2)에 부착되어 있다. 「제 1 위치」는,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2) 내에 위치하여 천 제품(6)이 수납 스페이스(11)에 들어가는 트레이(3)의 위치를 의미한다. 「제 2 위치」는, 도 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위치에서 개구면(25)을 통해서 인출된 트레이(3)의 위치를 의미한다. 제 2 위치에 있는 트레이(3)에는 위에서 천 제품(6)을 실을 수 있다.
트레이(3)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닥벽(31), 앞벽(32), 뒷벽(33), 우벽(34) 및 좌벽(35)을 갖고, 편평한 용기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트레이(3)는 케이스(2) 내에 배치되고, 가이드부(27)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평행 이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트레이(3)의 앞벽(32), 바닥벽(31) 및 뒷벽(33)으로 이루어지는 코너 부분은 케이스(2)의 앞판(21), 바닥판(22) 및 배판(24)으로 이루어지는 코너 부분의 둥근 모서리 형상에 적합하도록, 원호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트레이(3)의 바닥벽(31)에는 복수의 천 제품(6)이 실린다(바닥벽(31)의 상면을 「재치면」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 트레이(3)의 바닥벽(31)은, 상술한 바와 같이, 트레이(3)가 제 1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하 방향으로 통하는 취출 구멍(36)을 갖는다. 따라서, 제 1 위치에 있는 트레이(3)의 취출 구멍(36)은 케이스(2)의 취출 구멍(28)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포개져, 재치면에 면하는 수납 스페이스(11)와 케이스(2)의 바깥을 상하 방향으로 통하게 한다. 이로써, 트레이(3)에 천 제품(6)이 실린 상태에서, 트레이(3)가 제 1 위치에 위치하면, 취출 구멍(28, 36)을 통해서, 천 제품(6)을 아래 방향으로 뽑아낼 수 있다.
취출 구멍(36)의 개구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원형(長圓形)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말하는 「장원형」이란 단축과 장축을 갖는 일방향으로 연장된 원형상을 의미하고, 장원형에는 타원형을 포함한다. 취출 구멍(36)의 장축은 좌우 방향에 대략 평행하고, 단축이 앞뒤 방향에 대략 평행하다. 트레이(3)의 취출 구멍(36)의 개구의 형상은 케이스(2)의 취출 구멍(28)의 개구의 형상과 비교하여,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트레이(3)의 바닥벽(31)은 취출 구멍(36)에 가까워짐에 따라서 아래 방향에 위치하도록, 수평면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따라서, 천 제품(6)이 실린 트레이(3)에서, 취출 구멍(36)으로부터 천 제품(6)을 인출할 때, 스무스하게 천 제품(6)을 인출할 수 있다.
(1.4) 사용예
이러한 구성의 천 제품 수납함(1)은,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해서 사용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설치면(5)에 대하여 케이스(2)를 설치하고, 도 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트레이(3)를 제 2 위치로 인출한다. 유저는, 이 상태에서, 트레이(3)에 복수의 천 제품(6)을 싣고, 트레이(3)를 제 1 위치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천 제품(6)은 케이스(2) 내의 수납 스페이스(11)에 수납된다.
이어서, 유저는, 도 5a 내지 도 5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납 스페이스(11)에 수납된 복수의 천 제품(6) 중 가장 아래측의 하나를 취출 구멍(28, 36)을 통해서 인출하여, 하나의 천 제품(6)을 취출한다. 이것에 의해서, 유저는 천 제품 수납함(1)으로부터 천 제품(6)을 취출할 수 있다.
(2) 변형예
상기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형태 중 하나에 불과하다.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으면, 설계 등에 따라서 여러모로 변경이 가능하다. 이하, 실시형태의 변형예를 열거한다. 이하에 설명하는 변형예는 적절히 조합하여 적용 가능하다.
케이스(2)는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대략 각통상(角筒狀)으로 형성되었지만, 본 발명에서는 원통상으로 형성되어도 좋다. 또한, 케이스(2)는 좌우 방향의 양측을 향하도록 양측에 개구면(25)을 구비했지만, 본 발명에서는 개구면(25)은 좌우 방향 중 어느 한쪽만을 향하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훅 부착부(26)의 삽입 구멍(262)은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관통 구멍이었지만, 본 발명에서는 움푹한 곳이면 좋고 관통 구멍이 아니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케이스(2)는 설치면(5)에 부착된 훅(4)에 대하여 부착되는 훅 부착부(26)를 갖고 있다고 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 이외의 부착 방법이라도 좋고, 예를 들면, 케이스(2)는 설치면(5)에 대하여 자착(磁着)할 수 있는 자착부를 갖도록 구성해도 좋다. 케이스(2)의 자착부는 자석, 금속 등의 재료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케이스(2)에는 판상의 자석이 부착되고, 접지면(5)은 자착 가능한 금속 등의 판재(예: 세탁기 등의 장치의 측면, 금속 등으로 이루어진 수납 선반 등)인 구성이라도 좋다. 이 경우에는, 케이스(2)의 자석이 자착 가능한 접지면(5)에 자착됨으로써, 케이스(2)는 접지면(5)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2)가 금속 등의 재료로 성형되고, 접지면(5)에 자석 등이 부착되어 있도록 구성해도 좋다. 어느 경우라도, 케이스(2)와 접지면(5)은 자착 가능하다.
다른 예를 나타내면, 케이스(2)에 부착되어 있는 것이 자석이 아니고, 접지면(5)에 흡착 가능한 흡반(吸盤) 등이라도 좋고, 케이스(2)는 접지면(5)에 흡반을 통해서 흡착하여 부착되도록 구성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케이스(2)는 앞판(21), 바닥판(22), 천판(23) 및 배판(24)을 갖는 통상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고 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적어도 앞판(21)은 불투명한 재료, 투명한 재료 또는 투광성을 갖는 재료 중 어느 하나로 구성할 수 있다. 앞판(21)이 불투명한 재료의 경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정면에서 천 제품(6)이 보이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앞판(21)이 투명한 재료 또는 투광성을 갖는 재료의 경우, 정면에서 타올의 남은 수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앞판(21)뿐만 아니라, 바닥판(22), 천판(23) 및 배판(24)을 포함한 케이스(2) 전체가 불투명한 재료, 투명한 재료 또는 투광성을 갖는 재료 중 어느 하나로 구성하도록 해도 좋다.
본 명세서에서, 「대략 평행」 또는 「대략 직교」와 같이 「대략」을 수반한 표현이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대략 평행」이란 실질적으로 「평행」인 것을 의미하고, 엄밀하게 「평행」인 상태뿐만 아니라, 몇 %정도의 오차를 포함하는 의미이다. 다른 「대략」을 수반한 표현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전단부」 및 「전단」 등과 같이, 「…부」의 유무로 구별한 표현이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전단부」란 「전단」을 포함하는 일정의 범위를 갖는 부분을 의미한다. 다른 「…부」를 수반한 표현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3) 형태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형태에 따른 천 제품 수납함(1)은 케이스(2)와 트레이(3)를 구비한다. 케이스(2)는 연직면을 따른 설치면(5)에 대하여 부착 가능하게 구성되고, 설치면(5)을 따르고 수평면을 따르는 방향을 향하는 개구면(25)을 갖는다. 트레이(3)는 천 제품(6)이 실리도록 구성되고, 케이스(2) 내에 위치하여 천 제품(6)이 수납 스페이스(11)에 들어가는 제 1 위치와 개구면(25)을 통해서 인출된 제 2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케이스(2)에 부착된다. 케이스(2) 및 트레이(3)는, 트레이(3)가 제 1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수납 스페이스(11)와 케이스(2)의 바깥을 상하 방향으로 통하게 하는 취출 구멍(28, 36)을 갖고 있다.
이 형태에 따르면, 개구면(25)이 설치면(5)을 따르고 또한 수평면을 따르는 방향을 향해 있기 때문에, 천 제품(6)의 수납 상태를 즉시 확인할 수 있는 한편, 정면에서는 천 제품(6)이 보이기 어렵기 때문에, 외관상 좋다. 또한, 천 제품 수납함(1)은 설치면(5)에 부착되기 때문에, 예를 들어 탁상에 놓을 필요가 없고, 공간을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 게다가, 트레이(3)를 설치면(5)을 따라서 인출할 수 있기 때문에, 천 제품(6)의 수납이나 취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천 제품(6)을 포개어 쌓은 상태에서 트레이(3)에 실을 수 있기 때문에, 한번에 많은 천 제품(6)을 수납 스페이스(11)에 수납할 수 있다.
제 2 형태에 따른 천 제품 수납함(1)에서는, 제 1 형태에서, 케이스(2)는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는 한 쌍의 개구면(25)을 갖는 통상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형태에 따르면, 설치면(5)의 형상이나 유저의 주 사용 손에 따라서 트레이(3)를 인출하는 방향을 결정할 수 있어,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 3 형태에 따른 천 제품 수납함(1)에서는, 제 1 또는 제 2 형태에서, 케이스(2)는 설치면(5)에 부착된 훅(4)에 대하여 부착되는 훅 부착부(26)를 갖는다.
이 형태에 따르면, 설치면(5)에 대한 부착 및 분리를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
제 4 형태에 따른 천 제품 수납함(1)에서는, 제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의 형태에서, 트레이(3)의 취출 구멍(36)의 개구는 장원형이다.
이 형태에 따르면, 취출 구멍(36)을 통해서 천 제품(6)을 인출하기 쉽게 할 수 있다.
제 5 형태에 따른 천 제품 수납함(1)에서는, 제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의 형태에서, 트레이(3)의 수납 스페이스(11)를 향하는 재치면은 취출 구멍(36)에 가까워짐에 따라서 아래 방향에 위치하도록 수평면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이 형태에 의하면, 취출 구멍(36)을 통해서 천 제품(6)을 인출할 때, 천 제품(6)이 스무스하게 이동할 수 있어, 천 제품(6)을 뽑아내기 쉽다.
제 2 내지 제 5 형태에 따른 구성에 대해서는, 천 제품 수납함(1)에 필수의 구성은 아니고, 적절히 생략 가능하다.
1 천 제품 수납함
11 수납 스페이스
2 케이스
25 개구면
26 훅 부착부
27 가이드부
28 취출 구멍
3 트레이
36 취출 구멍
4 훅
5 설치면
6 천 제품
11 수납 스페이스
2 케이스
25 개구면
26 훅 부착부
27 가이드부
28 취출 구멍
3 트레이
36 취출 구멍
4 훅
5 설치면
6 천 제품
Claims (6)
- 연직면을 따른 설치면에 대하여 부착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설치면을 따르고 또한 수평면을 따르는 방향으로 향하는 개구면을 갖는 케이스와,
천 제품이 실리도록 구성되고, 상기 케이스 내에 위치하여 상기 천 제품이 수납 스페이스에 들어가는 제 1 위치와 상기 개구면을 통해서 인출된 제 2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상기 케이스에 부착되는 트레이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 및 상기 트레이는, 상기 트레이가 상기 제 1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수납 스페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바깥을 상하 방향으로 통하게 하는 취출 구멍을 갖고,
상기 케이스는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는 한 쌍의 상기 개구면을 갖는 통상체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천 제품 수납함.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설치면에 부착된 훅에 대하여 부착되는 훅 부착부를 갖는, 천 제품 수납함.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설치면에 대하여 자착(磁着)할 수 있는 자착부를 갖는, 천 제품 수납함.
-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의 상기 취출 구멍의 개구는 장원형(長圓形)인, 천 제품 수납함.
-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의 상기 수납 스페이스를 향하는 재치면(載置面)은 상기 취출 구멍에 가까워짐에 따라서 아래 방향에 위치하도록 수평면에 대해서 경사져 있는, 천 제품 수납함.
-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내면에는 상기 트레이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가 형성되어 있는, 천 제품 수납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9-204240 | 2019-11-11 | ||
JP2019204240A JP6741281B1 (ja) | 2019-11-11 | 2019-11-11 | 布製品収納具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56907A KR20210056907A (ko) | 2021-05-20 |
KR102283636B1 true KR102283636B1 (ko) | 2021-08-02 |
Family
ID=72047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44154A KR102283636B1 (ko) | 2019-11-11 | 2020-11-02 | 천 제품 수납함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JP (1) | JP6741281B1 (ko) |
KR (1) | KR102283636B1 (ko) |
CN (1) | CN112773236B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089640A (ja) * | 2002-08-29 | 2004-03-25 | Takafumi Terasaki | ポケットティッシュ収容具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2150471U (ko) * | 1976-05-08 | 1977-11-15 | ||
JPH062936Y2 (ja) * | 1988-03-01 | 1994-01-26 | 十條キンバリー株式会社 | 紙葉体のディスペンサー用補助部材 |
JP3104761U (ja) | 2004-04-21 | 2004-10-14 | 新田タオル株式会社 | タオル入れ |
US20070023565A1 (en) * | 2005-07-18 | 2007-02-01 | Dikran Babikian | Modular paper towel dispenser |
CN203419338U (zh) * | 2013-07-01 | 2014-02-05 | 刘喜军 | 一种卫生用品储存盒 |
JP5973515B2 (ja) * | 2014-09-29 | 2016-08-23 | 大王製紙株式会社 | ペーパータオルディスペンサー |
-
2019
- 2019-11-11 JP JP2019204240A patent/JP6741281B1/ja active Active
-
2020
- 2020-09-28 CN CN202011040320.1A patent/CN112773236B/zh active Active
- 2020-11-02 KR KR1020200144154A patent/KR10228363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089640A (ja) * | 2002-08-29 | 2004-03-25 | Takafumi Terasaki | ポケットティッシュ収容具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21074353A (ja) | 2021-05-20 |
CN112773236B (zh) | 2021-11-23 |
KR20210056907A (ko) | 2021-05-20 |
JP6741281B1 (ja) | 2020-08-19 |
CN112773236A (zh) | 2021-05-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173488B1 (en) | Combination drawer assembly | |
KR102283636B1 (ko) | 천 제품 수납함 | |
US20050264147A1 (en) | Adaptable partitioned organizer | |
JP2016096912A (ja) | 収納部材および該収納部材を備えたキャビネット | |
US11350733B1 (en) | Reversibly mounted sliding surface extension tray | |
JP7048959B2 (ja) | 収納ケース | |
JP5835974B2 (ja) | 机システム | |
KR101331715B1 (ko) | 수납공간의 활용이 용이한 수납가구 | |
KR200480587Y1 (ko) | 자석이 부착된 자동차 트렁크 수납함 | |
KR200411326Y1 (ko) | 가변 책상판을 가진 책상장 | |
JP2018136669A (ja) | テーブル | |
CN216161361U (zh) | Led箱体组件 | |
US3185536A (en) | Dresser | |
JP2017029378A (ja) | 机上用棚装置及び家具用補助棚 | |
KR200211948Y1 (ko) | 책상서랍 | |
KR200355113Y1 (ko) | 다용도 서랍이 구비된 장롱 | |
KR20120040027A (ko) | 서랍장착구조 | |
JP3219772U (ja) | 引出付収容器 | |
CN208392006U (zh) | 一种便携式mbr膜架 | |
JP6595802B2 (ja) | 収納家具 | |
KR100553189B1 (ko) | 다용도 수납장 | |
KR200486255Y1 (ko) | 인출 서랍 | |
JP3212465U (ja) | 収納棚 | |
KR20240141146A (ko) | 조립 가능한 수납 기구 | |
JP2000197532A (ja) | 収納具の引き出し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