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1979B1 - 유체 막음용 플러그 - Google Patents

유체 막음용 플러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1979B1
KR102281979B1 KR1020180165682A KR20180165682A KR102281979B1 KR 102281979 B1 KR102281979 B1 KR 102281979B1 KR 1020180165682 A KR1020180165682 A KR 1020180165682A KR 20180165682 A KR20180165682 A KR 20180165682A KR 102281979 B1 KR102281979 B1 KR 1022819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ing
fluid
head
plug
central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56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76530A (ko
Inventor
차재옥
김종기
배형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모트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모트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모트롤
Priority to KR10201801656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1979B1/ko
Priority to CN201911317501.1A priority patent/CN111336159B/zh
Priority to JP2019229020A priority patent/JP6924254B2/ja
Publication of KR202000765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65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19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19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0Means for stopping flow from or in pipes or hoses
    • F16L55/11Plugs
    • F16L55/1108Plugs fixed by screwing or by means of a screw-threaded 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1/00Common features of fluid actuator systems; Fluid-pressure actuator systems or details thereof, not covered by any other group of this subcla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0/00Safety arrangements for fluid actuator systems; Applications of safety devices in fluid actuator systems; Emergency measures for fluid actuator systems
    • F15B20/005Leakage; Spillage; Hose bur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Pressure Vessels And Lids Thereof (AREA)
  • Gasket Se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유체 막음용 플러그는, 유압기기에 형성되는 유체홀에 결합되는 유체 막음용 플러그에 있어서, 일정한 직경을 갖고 둘레에 나사부가 형성되는 헤드부; 및 상기 헤드부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유체홀의 내주면에 압접되는 실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실링부는 상기 헤드부의 중심축과 수직인 평면에 대하여 일정한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되는 제1실링부와 상기 제1실링부와 상기 헤드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2실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체 막음용 플러그 {PLUG FOR FLUID BLOCKING}
본 발명은, 유체 막음용 플러그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유압기기의 유체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유체 막음용 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유체력을 사용하는 대부분의 기기 또는 기계장치는 장치의 내부에 유체를 보관하는 구조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높은 유압을 사용하는 유압기기나 기계에서는 가공 된 유체 유도용 구멍을 차단하기 위한 막음용 마개를 구비하여 내부 유체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그러나, 나사 방식의 마개의 경우, 나사산에 전달되는 체결 토크에 의해 부품에 추력(thrustload)이 발생되고, 더 큰 기밀성을 위한 체결 토크 상승에는 구조적 한계가 있다. 또한 나사산의 가공 정밀도에 따라 기밀 성능에 편차를 갖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 제10-0783547호(2007.12.03)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유압기기의 누유를 방지하기 위한 유체 막음용 플러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유체 막음용 플러그는, 유압기기에 형성되는 유체홀에 결합되는 유체 막음용 플러그에 있어서, 일정한 직경을 갖고 둘레에 나사부가 형성되는 헤드부; 및 상기 헤드부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유체홀의 내주면에 압접되는 실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실링부는 상기 헤드부의 중심축과 수직인 평면에 대하여 일정한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되는 제1실링부와 상기 제1실링부와 상기 헤드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2실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실링부가 상기 헤드부의 중심축과 수직인 평면에 대하여 이루는 각도는 상기 제1실링부가 상기 헤드부의 중심축과 수직인 평면에 대하여 이루는 각도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헤드부의 나사부에 도포되는 코팅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실링부는 하단면의 중앙부로부터 상방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되는 오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헤드부는 공구 결합 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구 결합 홈부는 횡단면이 여섯개의 모서리부를 포함하는 대체로 별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여섯개의 모서리부를 각각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체홀은 상기 헤드부와 나사결합하는 내측 나사부 및 상기 내측 나사부의 하단부에 형성되고 상광하협의 내주면을 구비하는 압접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 나사부에 형성되는 나사산을 따라 상기 헤드부가 조여짐에 따라 상기 제1실링부 및 상기 제2실링부가 각각 상기 압접부의 내주면에 압접됨으로써 상기 유체홀을 밀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유압기기 밀폐 구조는, 제1항 내지 제6항에 따른 유체 막음용 플러그를 포함하는 유압기기 밀폐 구조에 있어서, 상기 압접부가 중심축과 이루는 각도는 상기 제1경사부 및 상기 제2경사부가 각각 상기 중심축과 이루는 각도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유체 막음용 플러그는 제1실링부 및 제2실링부를 통해 밀폐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헤드부에 나사산을 구비함으로써 헤드부를 통한 체결력이 커질수록 밀폐효과가 증대될 수 있다.
또한, 헤드부의 직경과 실링부의 직경이 대체로 유사하게 형성됨에 따라 결합 공구 홈부의 깊이를 깊게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유체 막음용 플러그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유체 막음용 플러그의 공구 결합 홈부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유체 막음용 플러그의 실링부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유체 막음용 플러그와 결합되는 유체홀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를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기재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또는 '결합'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결합될 수 있지만,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또는 '결합'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헤드부(100)에 공구가 삽입되는 방향을 상방 또는 상측으로 설명할 수 있고, 이와 반대되는 방향 즉, 유체홀(301)의 내측으로 향하는 방향을 하방 또는 하측으로 설명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유체 막음용 플러그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유체 막음용 플러그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유체 막음용 플러그의 공구 결합 홈부(150)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유체 막음용 플러그의 실링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유체 막음용 플러그와 결합되는 유체홀(301)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유체 막음용 플러그는, 유체기기(300)의 형성되는 유체(오일 또는 기체)의 유로 중에서 유체기기(300)의 내부 또는 외부로 개방되는 구멍(유체홀(301))을 밀봉하기 위한 것이다. 유체력을 사용하는 대부분의 기기 또는 기계장치 분야에 적용 가능하며 특히 높은 유압력을 사용하는 유압기기(300)나 기계에서 외부에서 가공 된 유체 유도용 구멍을 차단하기 위해 사용하는 막음용 마개로 내부 유체가 외부로 노출 되지 않도록 하는 기계요소 기술 분야에 적용 가능하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유체 막음용 플러그는 헤드부(100)와 실링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유체 막음용 플러그는 헤드부(100)와 실링부를 포함하여 축방향(상하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유체 막음용 플러그의 축방향 길이(L)는, 유체 막음용 플러그의 축방향 길이(L)를 헤드부(100)의 나사부 호칭경(M)으로 나누어 얻어지는 유체 막음용 플러그의 축방향 길이(L)의 무차원 값이 0.1 내지 1.0이 될 때 이 무차원 값에 후술할 실링부의 축방향 길이(L1)를 더한 값으로 형성될 수 있다.
헤드부(100)는 유체 막음용 플러그의 상단부 소정의 영역을 이루는 것이다. 헤드부(100)의 둘레에는 나사부(110)가 형성될 수 있다. 헤드부(100)에 형성되는 나사부(110)는 수나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헤드부(100)의 나사부(110)가 유체홀(301)의 내측 나사부(310)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헤드부(100)는 일정한 직경(M)을 갖는 원기둥 형상일 수 있다.
나사부(110)에는 코팅부재(미도시)가 도포될 수 있다. 이러한 코팅부재를 통해 제1실링부(210,220) 및 제2실링부(230,240)와 함께 추가적인 밀봉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코팅부재는 에틸렌 글리콜 디메타아킬레이트(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EGDMA) 재질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헤드부(100)의 상단면에는 하방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되는 공구 결합 홈부(150)가 배치될 수 있다. 공구 결합 홈부(150)에 공구가 삽입될 수 있고, 공구를 소정의 토크로 조임으로써 헤드부(100)의 나사부(110)와 유체홀(301)의 내측 나사부(310)간의 나사결합을 위한 체결력을 부여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공구 결합 홈부(150)의 횡단면은, 6개의 모서리부(151)를 구비하여 대체로 별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공구의 조임시 면압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이 때, 각 모서리부(151)는 일정한 곡률 반경(R2)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고, 각 모서리부(151) 사이에는 일정한 곡률 반경(R1)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골부(152)가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서로 대칭되는 모서리부(151) 사이의 거리(A1)는, 서로 대칭되는 모서리부(151) 사이의 거리(A1)를 나사부의 호칭경(M)으로 나누어 얻어지는 서로 대칭되는 모서리부(151) 사이의 거리(A1)의 무차원 값이 0.15 내지 0.96이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만약 모서리부(151) 사이의 거리(A1) 값이 0.15미만인 경우, 플러그가 충분한 기밀 성능 유지를 위한 체결 토크력을 유지하기 어렵고, 0.96을 초과하는 경우, 원활한 공구 결합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 때, 서로 대칭되는 골부(152) 사이의 거리(A2)는, 서로 대칭되는 골부(152) 사이의 거리(A2)를 위에서 산출된 A1 값으로 나누어 얻어지는 서로 대칭되는 골부(152) 사이의 거리(A2)의 무차원 값이 0.21 내지 1.2가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공구 결합 홈부(150)의 깊이(H)는, 공구 결합 홈부(150)의 깊이(H)를 상기 A1 값으로 나누어 얻어지는 공구 결합 홈부(150)의 깊이(H)의 무차원 값이 0.15 내지 1.5가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골부(152)의 곡률 반경(R1)은, 골부(152)의 곡률 반경(R1)을 상기 A1 값으로 나누어 얻어지는 골부(152)의 곡률 반경(R1)의 무차원 값이 0.10 내지 0.31 값이 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모서리부(151)의 곡률 반경(R2)는, 모서리부(151)의 곡률 반경(R2)을 상기 A1 값으로 나누어 얻어지는 모서리부(151)의 곡률 반경(R2)의 무차원 값이 0.01 내지 0.2가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헤드부(100)에 형성되는 공구 결합 홈부(150)를 대체로 별 모양으로 형성하고, 가장 긴 거리(모서리부(151) 사이의 거리, A1)를 기준으로 깊이(H) 과 형상의 곡률 반경(R1, R2)을 설정함으로써, 최대 조임 토크를 한정할 수 있고, 공구의 조임 시 면압을 최소화할 수 있다.
공구에 의해 헤드부(100)의 나사부(110)가 유체홀(301)의 내측 나사부(310)에 조여짐에 따라 후술할 바와 같이 제1실링부 및 제2실링부가 유체홀(301)의 압접부(330)에 압착되어 소성변형 또는 상호 접촉을 유도 할 수 있고, 이러한 변형에 따라 제1실링부 및 제2실링부와 압접부(330)의 내주면 사이에 적어도 면접촉 또는 선접촉이 형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유체 막음용 플러그는 실링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실링부(200)는 헤드부(100)의 하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실링부는 헤드부(100)와 동축상에 배치될 수 있다. 실링부(200)는 대체로 상광하협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실링부(200)는 버퍼부(260), 제1실링부(210,220) 및 제2실링부(230,2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실링부(210,220) 및 제2실링부(230,240)는 헤드부(100)가 공구에 의해 조여짐에 따라 유체홀(301)의 압접부(330)에 압착되어 소성변형 또는 접촉이 일어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실링부(200)의 축방향 길이(L1)은, 실링부(200)의 축방향 길이(L1)를 헤드부(100)의 나사부(110) 호칭경(M)으로 나누어 얻어지는 실링부(200)의 축방향 길이(L1)의 무차원 값이 0.1 내지 0.9가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버퍼부(260)는 헤드부(100)의 하단부로부터 일정한 길이로 연장형성 될 수 있다. 버퍼부(260)는 일정한 직경의 원기둥 형상일 수 있다. 버퍼부(260)의 직경(D)은 헤드부(100)의 나사부(110)의 호칭경(M)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버퍼부(260)의 직경(D)은 버퍼부(260)의 직경(D)을 헤드부(100)의 나사부(110) 호칭경(M)으로 나누어 얻어지는 버퍼부(260) 직경(D)의 무차원 값이 0.5 내지 0.9가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버퍼부(260)의 아래로 제2실링부(230,240)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2실링부(230,240)는 제2경사부(240) 및 제2실링면(2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경사부(240)는 아래로 갈수록 반경 방향 내측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실링부(230,240)의 상단부의 직경은 버퍼부(260)의 직경과 대응되고, 아래로 갈수록 상광하협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실링부(230,240)의 측면을 제2경사부(240)로 설명할 수 있다.
제2경사부(240)는 중심축(CL)에 대해 기 설정된 각도(θ4)만큼 기울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제2실링부가 압접부(330)에 접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일 실시예에서, 제2경사부(240)는 중심축에 대해 대략 15도만큼 기울어게 형성될 수 있다.
제2실링부(230,240)는 제2실링면(2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실링면(230)은 제2실링부(230,240)의 하단면을 의미할 수 있다. 제2실링면(230)은 중심축(CL)과 수직하는 평면에 대해 기 설정된 각도(θ2)만큼 기울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기밀 성능 유지를 위한 제2실링부(230,240)가 압접부(330)에 접촉 시 제2실링부(230,240)의 소성 변형량 또는 선접촉 시기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제2실링면(230)이 중심축(CL)과 수직하는 평면과 이루는 각도(θ2)는 제1실링면(210)이 중심축(CL)과 수직하는 평면과 이루는 각도(θ1)보다 작거나 같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실링면(230)은 중심축(CL)과 수직하는 평면에 대해 5도 내지 25도의 각도를 이루도록 기울어질 수 있다. 만약, 기울어진 각도(θ2)가 5도 미만이거나 25도를 초과하는 경우 제2실링부(230,240)의 소성 변형량 및 접촉 시기의 문제로 기밀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제2실링부(230,240)가 유체홀(301)의 압접부(330)에 압착되는 경우, 제2실링면(230) 및/또는 제2경사부(240)의 적어도 일부 영역이 소성 변형됨으로써, 압접부(330)와 면접촉 또는 선접촉이 될 수 있다. 제2실링부(230,240)의 아래로 제1실링부(210,220)가 연장형성 될 수 있다.
제1실링부(210,220)는 제1경사부(220) 및 제1실링면(21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경사부(220)는 아래로 갈수록 반경 방향 내측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1실링부(210,220)의 상단부의 직경은 제2실링부의 하단부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고, 아래로 갈수록 상광하협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실링부(210,220)의 측면을 제1경사부(220)로 설명할 수 있다.
제1경사부(220)는 중심축(CL)에 대해 기 설정된 각도만큼 기울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압접부(330)에 제2실링부(230,240)가 초기 접촉하는 시기에 따라 제1실링부(210,220)의 초기 접촉 시기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일 실시예에서, 제1경사부(220)는 중심축에 대해 대략 18도만큼 기울어게 형성될 수 있다.
제1실링부(210,220)는 제1실링면(21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실링면(210)은 제1실링부의 하단면을 의미할 수 있다. 제1실링면(210)은 중심축(CL)과 수직하는 평면에 대해 기 설정된 각도(θ1)만큼 기울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제1실링부(210,220)가 압접부(330)에 접촉시 소성변형량과 선접촉 시기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제1실링면(210)이 중심축(CL)과 수직하는 평면과 이루는 각도(θ1)는 제2실링면(230)이 중심축(CL)과 수직하는 평면과 이루는 각도(θ2)보다 크거나 같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제1 및 제2실링부가 동일한 기밀 성능을 유지하기 위해 일정한 변형량 또는 선접촉 시기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일 실시예에서, 제1실링면(210)은 중심축(CL)과 수직하는 평면에 대해 5도 내지 25도의 각도를 이루도록 기울어질 수 있다. 만약, 기울어진 각도(θ1)가 5도 미만이거나 25도를 초과하는 경우 제1실링부(210,220)의 소성 변형량 또는 접촉 시기의 문제로 기밀 성능 유지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제1실링부(210,220)의 축방향 길이(L2)는, 제1실링부(210,220)의 축방향 길이(L2)를 헤드부(100)의 나사부 호칭경(M)으로 나누어 얻어지는 제1실링부(210,220)의 축방향 길이(L2)의 무차원 값이 0.05 내지 0.3이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경사부(220)의 상단부 직경(d2)는, 제1경사부(220)의 상단부 직경(d2)을 헤드부(100)의 나사부 호칭경(M)으로 나누어 얻어지는 제1경사부(220)의 상단부 직경(d2)의 무차원 값이 0.16 내지 0.98이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제1경사부(220)의 하단부 직경(d1)은, 제2경사부(240)와 제2실링면(230)의 모서리(F) 및 제1경사부(220)와 제1실링면(210)의 모서리(E)를 연결하는 가상의 선이 중심선(CL)수직인 평면과 이루는 각이 30도 내지 90도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압접부(330)와 동일 각 또는 상이 각으로 하여 제1 및 제2실링부가 동시 접촉 또는 제1 및 제2실링부의 소성 변형량 비율을 예를 들어 5:5 또는 6:4, 7:3으로 변경 가능하기 때문이다. 여기서는 제1경사부(220)와 제1실링면(210) 사이의 모서리(E)를 제1모서리로 설명하고, 제2경사부(240)와 제2실링면(230) 사이의 모서리(F)를 제2모서리로 설명할 수 있다.
제1실링부(210,220)가 유체홀(301)의 압접부(330)에 압착되는 경우, 제1실링면(210) 및/또는 제1경사부(220)의 적어도 일부 영역이 소성 변형됨으로써, 압접부(330)와 면접촉 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실링부(200)는 하단면의 중앙부로부터 상방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되는 오목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방을 향해 작용하는 유압이 오목부(250)의 내주면을 가압함에 따라 제1실링부 및/또는 제2실링부가 이러한 유압에 의해 반경 방향 외측으로 가압될 수 있다. 따라서, 별도의 추가적인 체결력을 부여하지 않더라도 유압에 의해 실링부의 실링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오목부(250)는 V 자형 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도 3과 같이 단면이 U자 또는 반구형으로 형성될 수 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유체 막음용 플러그는 유압기기(300)에 형성되는 유체홀(301)에 삽입되어 유체홀(301)을 밀폐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유체홀(301)은 유체 막음용 플러그의 헤드부(100)의 나사부와 나사 결합되기 위한 내측 나사부(310)를 포함할 수 있다. 내측 나사부(310)의 내주면에는 헤드부(100)의 나사부(110)에 대응되는 암나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내측 나사부(310)의 축방향 길이(L3)는, 내측 나사부(310)의 축방향 길이(L3)를 헤드부(100)의 나사부(110) 호칭경(M)으로 나누어 얻어지는 내측 나사부(310)의 축방향 길이(L3)의 무차원 값이 0.3 내지 1.25가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유체 막음용 플러그가 유체홀에 체결시 충분한 체결력 유지와 체결간 간섭 방지를 유도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내측 나사부(310)의 하단부에는 아래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상광하협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압접부(330)가 배치될 수 있다. 공구에 의해 헤드부(100)가 조여짐에 따라 압접부(330)에는 상술한 실링부(200)의 제1실링부(210,220) 및 제2실링부(230,240)가 압착될 수 있다. 제1실링부(210,220) 및 제2실링부(230,240)가 각각 소성 변형됨에 따라 압착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과 면접촉 또는 선접촉 됨으로써 실링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압접부가 중심축과 이루는 각도는 상기 제1경사부 및 상기 제2경사부보다 작거나 같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압접부(330)의 내주면의 각도(θ5)는 중심축(CL)에 수직한 평면에 대해 대략 25도 내지 95도만큼 기울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제1 및 제2실링부의 소성 변형량 비율과 접촉 시기를 해당 각 조정으로 변경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유체 막음용 플러그의 헤드부(100)가 공구에 의해 유체홀(301)의 내측 나사부(310)에 대해 조여질 수 있다.
헤드부(100)의 나사부가 내측 나사부(310)와 나사 결함함에 따라 실링부(200)의 하단부가 하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공구에 의해 조여질수록 제1실링부(210,220) 및 제2실링부(230,240)의 적어도 일부가 압접부(330)에 압착될 수 있다. 압착되는 힘이 일정량을 초과하면, 제1실링부(210,220) 및 제2실링부(230,240)의 적어도 일부 영역이 소성변형을 일으킬 수 있고, 소성변형을 일으킨 부분과 압접부(330)의 내측면이 면접촉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유체와 가장 가까운 부분에 제1실링부(210,220)를 구비하여, 제1실링부(210,220)의 소성변형을 통해 1차적으로 실링할 수 있다. 또한, 제1실링부(210,220)의 상측으로 제2실링부(230,240)를 구비함으로써, 제2실링부(230,240)의 소성변형을 통해 2차적으로 실링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실링부의 상측에 배치되는 헤드부(100)의 나사부(110)에 코팅 부재를 도포함으로써 제1실링부(210,220) 및 제2실링부(230,240)를 통해 누출된 유체를 최종적으로 실링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제1실링부(210,220)의 하단부에 오목부(250)를 구비함으로써 유체의 압력이 오목부(250)의 내주면을 직접 가압하게 되고, 이로써 제1실링부(210,220) 또는 제2실링부(230,240)에 대해 반경방향 외측으로 가압력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공구의 조임에 따라 체결력이 작용하는 나사부가 헤드부(100)에 배치됨으로써, 체결력이 계속적으로 증가하더라도 헤드부(100)와 실링부 사이에 인장력이 발생되지 않기 때문에 파단의 우려가 없다.
즉, 공구의 조임에 따라 발생되는 토크뿐만 아니라, 아니라 유압에 의한 추가적인 가압력이 제1 및/또는 제2실링부에 작용할 수 있기 때문에, 실링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헤드부
110: 나사부
150: 공구 결합 홈부
151: 모서리부
152: 골부
200: 실링부
260: 버퍼부
220: 제1경사부
210: 제1실링면
240: 제2경사부
230: 제2실링면
250: 오목부
300: 유압기기
301: 유체홀
310: 내측 나사부
330: 압접부

Claims (7)

  1. 유압기기에 형성되는 유체홀에 결합되는 유체 막음용 플러그에 있어서,
    일정한 직경을 갖고 둘레에 나사부가 형성되는 헤드부; 및
    상기 헤드부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유체홀의 내주면에 압접되는 실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실링부는 상기 헤드부와 동축상에 배치되는 제1실링부 및 상기 제1실링부와 상기 헤드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2실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실링부는 제1모서리를 기준으로 상기 헤드부의 중심축에 대해 서로 다른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제1경사부 및 제1실링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실링부는 상기 제1모서리의 상측에 형성되는 제2모서리를 기준으로 상기 헤드부의 중심축에 대해 서로 다른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제2경사부 및 제2실링면을 포함하는 유체 막음용 플러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실링면이 상기 헤드부의 중심축과 수직인 평면에 대하여 이루는 각도는 상기 제1실링면이 상기 헤드부의 중심축과 수직인 평면에 대하여 이루는 각도보다 작거나 같은 유체 막음용 플러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의 나사부에 도포되는 코팅부재를 포함하는 유체 막음용 플러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는 하단면의 중앙부로부터 상방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되는 오목부를 포함하는 유체 막음용 플러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공구 결합 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구 결합 홈부는 횡단면이 여섯개의 모서리부를 포함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여섯개의 모서리부는 각각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유체 막음용 플러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홀은 상기 헤드부와 나사결합하는 내측 나사부 및 상기 나사부의 하단부에 형성되고 상광하협의 내주면을 구비하는 압접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 나사부에 형성되는 나사산을 따라 상기 헤드부가 조여짐에 따라 상기 제1실링부 및 상기 제2실링부가 각각 상기 압접부의 내주면에 압접됨으로써 상기 유체홀을 밀폐시키는 유체 막음용 플러그.
  7. 제6항에 따른 유체 막음용 플러그를 포함하는 유압기기 밀폐 구조에 있어서,
    상기 압접부가 중심축과 이루는 각도는 상기 제1경사부 및 상기 제2경사부가 각각 상기 중심축과 이루는 각도 보다 작게 형성되는 유압기기 밀폐 구조.


KR1020180165682A 2018-12-19 2018-12-19 유체 막음용 플러그 KR1022819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5682A KR102281979B1 (ko) 2018-12-19 2018-12-19 유체 막음용 플러그
CN201911317501.1A CN111336159B (zh) 2018-12-19 2019-12-19 流体阻塞用插塞
JP2019229020A JP6924254B2 (ja) 2018-12-19 2019-12-19 流体閉塞用プラ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5682A KR102281979B1 (ko) 2018-12-19 2018-12-19 유체 막음용 플러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6530A KR20200076530A (ko) 2020-06-29
KR102281979B1 true KR102281979B1 (ko) 2021-07-27

Family

ID=71139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5682A KR102281979B1 (ko) 2018-12-19 2018-12-19 유체 막음용 플러그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924254B2 (ko)
KR (1) KR102281979B1 (ko)
CN (1) CN11133615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502928A (zh) * 2022-08-23 2022-12-23 惠州市鑫瑞科源医疗科技有限公司 呼吸机用水箱组装封胶一体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66336A (ja) * 2002-08-09 2004-03-04 Mitsubishi Heavy Ind Ltd 摩擦圧接方法および継手
JP2006132644A (ja) * 2004-11-05 2006-05-25 Nissin Kogyo Co Ltd プラグキャップ
JP2017203484A (ja) 2016-05-11 2017-11-16 株式会社 加島 栓体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27942A (en) * 1991-06-18 1994-07-12 Trebor Corporation Sealing plug for apertures
JP3479462B2 (ja) * 1998-12-22 2003-12-15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プラグ
US6494463B1 (en) * 2000-11-06 2002-12-17 Kurt J. Rank Plug for sealing more than one size of hole
JP4415214B2 (ja) * 2003-10-15 2010-02-17 カヤバ工業株式会社 ポートプラグ
AU2005203743B1 (en) * 2005-01-21 2006-02-02 Jody Horan A Plug for a Hydraulic Fitting
JP2006283825A (ja) * 2005-03-31 2006-10-19 Gosho Seisakusho:Kk メタルシールプラグ装置
KR100783547B1 (ko) 2006-12-14 2007-1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오일팬용 드레인 플러그
JP5364045B2 (ja) * 2010-06-11 2013-12-11 川崎重工業株式会社 油圧機器用埋め栓
US9216325B2 (en) * 2013-03-14 2015-12-22 Karsten Manufacturing Corporation Shaft plugs for golf clubs and methods to manufacture golf clubs
CN205048069U (zh) * 2015-10-26 2016-02-24 卓碧钦 一种管接头的丝堵
DE202015007695U1 (de) * 2015-11-07 2017-02-08 Gretsch-Unitas GmbH Baubeschläge Ventileinsatz für ein Regulierventil, Regulierventil und Türschließer
CN205824475U (zh) * 2016-07-25 2016-12-21 温州市三诚不锈钢标准件有限公司 密封堵头
JP2018044472A (ja) * 2016-09-13 2018-03-2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ドレンプラグ及びその製造方法
JP3214881U (ja) * 2017-11-30 2018-02-08 Smc株式会社 流体圧機器用封止プラグ及びそれを用いた封止構造
CN207729130U (zh) * 2018-01-07 2018-08-14 广东新力通实业有限公司 管塞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66336A (ja) * 2002-08-09 2004-03-04 Mitsubishi Heavy Ind Ltd 摩擦圧接方法および継手
JP2006132644A (ja) * 2004-11-05 2006-05-25 Nissin Kogyo Co Ltd プラグキャップ
JP2017203484A (ja) 2016-05-11 2017-11-16 株式会社 加島 栓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336159A (zh) 2020-06-26
JP2020101285A (ja) 2020-07-02
JP6924254B2 (ja) 2021-08-25
KR20200076530A (ko) 2020-06-29
CN111336159B (zh) 2022-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78344B2 (en) Threaded connector
JP4330030B1 (ja) ネジ、締結システム、管継手および該ネジの製造方法
US5266258A (en) Method of sealingly seating a metal insert in a thermoplastic component
US6896299B1 (en) Resin pipe joint
EA020930B1 (ru) Резьбовое соединение для бурения и эксплуатации углеводородных скважин
KR20140008353A (ko) 튜브 이음매
KR101960617B1 (ko) 수지제관 이음매 구조
KR102281979B1 (ko) 유체 막음용 플러그
JP6689888B2 (ja) オイルパイプおよびガスパイプなどのパイプ用のねじ接続部
KR20160025500A (ko) 관 접속 장치
KR20160024847A (ko) 관 접속 장치
EP3179147A1 (en) Pipe joint
KR20220000914A (ko) 프리미엄 연결부의 토크 숄더
US7614667B2 (en) Pipe connection
KR200393425Y1 (ko) 냉각파이프 마개
JP5509219B2 (ja) 石油産業で用いられる密閉管状接続部
US10641574B2 (en) Multiple flange crush washer
CN104934913B (zh) 具有双材料双楔形夹头的电缆限制装置
KR101980544B1 (ko) 주름관 연결장치
JPS58160687A (ja) 金属管用管結合部
US11692655B2 (en) Connection coupling
KR101616353B1 (ko) 파이프의 연결을 위한 연결 구조체
KR101555593B1 (ko) 원통형 구조물 섹션체결장치
EP3971460B1 (en) Pipe retaining device for pipe joint
KR102507004B1 (ko) 주름관과 일반배관을 매개하는 이종관 연결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