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1904B1 - 밀착력을 향상한 롤러 표면의 이물질 제거날 - Google Patents

밀착력을 향상한 롤러 표면의 이물질 제거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1904B1
KR102281904B1 KR1020190084058A KR20190084058A KR102281904B1 KR 102281904 B1 KR102281904 B1 KR 102281904B1 KR 1020190084058 A KR1020190084058 A KR 1020190084058A KR 20190084058 A KR20190084058 A KR 20190084058A KR 102281904 B1 KR102281904 B1 KR 1022819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eign material
removal blade
roller
material removal
improved adhe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40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7491A (ko
Inventor
한성무
한범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케이디 하이테크
주식회사 지인프로테크
한범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케이디 하이테크, 주식회사 지인프로테크, 한범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케이디 하이테크
Priority to KR10201900840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1904B1/ko
Publication of KR202100074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74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19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19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5/00Lubricating, cleaning, or clearing devices
    • B65G45/10Cleaning devices
    • B65G45/12Cleaning devices comprising scrapers
    • B08B1/005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6Rigid blades, e.g. scrapers; Flexible blades, e.g. wipers
    • B08B1/165Scrap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하는 롤러(A)의 표면에 밀착하여 이물질(B)을 제거하기 위한 이물질 제거날(100)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제거날(100)이 롤러(A)의 표면 및 마모공간(C)의 내측면에 밀착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변형 유도부(200);를 포함하는 밀착력을 향상한 롤러 표면의 이물질 제거날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물질 제거날을 롤러 표면 및 마모공간의 내부로 긴밀하게 밀착시켜 이물질의 제거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특히 본 발명은 이물질 제거날을 롤러 표면 및 마모공간의 내부로 밀착할 수 있도록 휘어지는 변형을 유발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이물질 제거날의 떨림을 방지하여 이물질 제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밀착력을 향상한 롤러 표면의 이물질 제거날{Foreign matter removal blade on roller surface that improved adhesion}
본 발명은 밀착력을 향상한 롤러 표면의 이물질 제거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롤러 표면에 긴밀하게 밀착하여 이물질을 남김없이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밀착력을 향상한 롤러 표면의 이물질 제거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소 및 철강공장 등에서 강판을 이송하는 롤러 표면에 남아있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서 이물질 제거날을 사용한다.
이러한 상기 이물질 제거날(20)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물질 제거장치(10)의 전방에 설치하여 회전하는 롤러(A)의 표면에 밀착한 상태로 이물질(B)을 제거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롤러(A)의 표면을 강판이 통과하면서 마찰로 인한 일정깊이의 마모공간(C)이 발생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이물질 제거날(20)이 롤러(A)와 밀착상태에서 마모공간(C)의 내부로 진입 및 밀착할 수 없으므로 이물질(B)을 남김없이 제거할 수 없는 심각한 문제를 갖게 되었다.
특히 종래에는 이물질(B)이 마모공간(C)의 내부에 그대로 남아있게 되므로 강판의 오염을 유발하여 생산품질을 저하시키는 문제를 갖게 되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07483호(2006.01.31)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91730호(2012.08.20) 한국등록특허 제10-1487619호(2015.01.29)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043713호(2015.04.23)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043715호(2015.04.23)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물질 제거날을 롤러 표면에 긴밀하게 밀착시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밀착력을 향상한 롤러 표면의 이물질 제거날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이물질 제거날을 롤러 표면의 마모공간의 내부로 밀착시킬 수 있도록 휘어지는 변형을 유도할 수 있는 밀착력을 향상한 롤러 표면의 이물질 제거날을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물질 제거날의 떨림을 방지할 수 있는 밀착력을 향상한 롤러 표면의 이물질 제거날을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회전하는 롤러(A)의 표면에 밀착하여 이물질(B)을 제거하기 위한 이물질 제거날(100)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제거날(100)이 롤러(A)의 표면 및 마모공간(C)의 내측면에 밀착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변형 유도부(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이물질 제거날(100)의 후방에 길이방향을 따라서 일정간격 떨어지도록 형성하는 다수개의 이탈 방지구(1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이탈 방지구(110)는 상기 이물질 제거날(100)의 표면에서 상부 및 하부방향으로 돌출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변형 유도부(200)는 상기 이물질 제거날(100)의 후면에서 전방을 향하도록 일정길이와 넓이를 갖도록 절개하는 다수개의 절개부(2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절개부(210)는 상기 이물질 제거날(100)의 후면에서 전방을 향하도록 직선방향 또는 일측으로 기울어질 수 있도록 사선방향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변형 유도부(200)는 상기 이물질 제거날(100)의 후방 또는 중간에 길이방향을 따라서 일정간격 떨어질 수 있도록 일정길이와 넓이를 갖도록 절개하는 다수개의 절개부(2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절개부(210)의 내측에 삽입하여 떨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떨림 방지구(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떨림 방지구(220)의 상부 및 하부에 상기 절개부(210)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맞닿아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고정돌기(22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절개부(210)의 내측에 상기 떨림 방지구(220)를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고정홈(21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물질 제거날을 롤러 표면 및 마모공간의 내부로 긴밀하게 밀착시켜 이물질의 제거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특히 본 발명은 이물질 제거날을 롤러 표면 및 마모공간의 내부로 밀착할 수 있도록 휘어지는 변형을 유발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이물질 제거날의 떨림을 방지하여 이물질 제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종래 롤러 표면의 이물질 제거날의 작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측면도.
도 2는 종래 롤러 표면의 이물질 제거날의 작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 밀착력을 향상한 롤러 표면의 이물질 제거날에 대한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 밀착력을 향상한 롤러 표면의 이물질 제거날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서 변형 유도부의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부분 확대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 밀착력을 향상한 롤러 표면의 이물질 제거날에 대한 작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 밀착력을 향상한 롤러 표면의 이물질 제거날에 대한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 밀착력을 향상한 롤러 표면의 이물질 제거날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서 변형 유도부의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부분 확대도이고,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 밀착력을 향상한 롤러 표면의 이물질 제거날에 대한 작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회전하는 롤러(A)의 표면에 밀착하여 이물질(B)을 제거하기 위한 이물질 제거날(100)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제거날(100)이 롤러(A)의 표면 및 마모공간(C)의 내측면에 밀착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변형 유도부(200);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이물질 제거날(100)은 얇은 두께의 판재형상으로 롤러(A)의 표면에 길이방향을 따라서 밀착하여 회전하는 롤러(A)의 표면에 남아있는 이물질(B)을 긁어내어 제거한다.
또한, 상기 이물질 제거날(100)은 이물질 제거장치(10)의 전방에 설치하여 롤러(A)의 표면에 밀착하는 위치 및 밀착력을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물질 제거장치(10)의 구성 및 작동원리는 본 발명자가 출원한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91730호에 기재되어 있으므로 상세한 서술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이물질 제거날(100)의 후방에 길이방향을 따라서 일정간격 떨어지도록 형성하는 다수개의 이탈 방지구(1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탈 방지구(110)는 상기 이물질 제거날(100)의 표면에서 상부 및 하부방향으로 돌출할 수 있도록 형성하여 상기 이물질 제거장치(10)의 일측에 형성하는 삽입홈(미 도시함)의 내부에 삽입한 상태로 전방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맞닿아 지지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변형 유도부(200)는 상기 이물질 제거날(100)을 롤러(A)의 표면은 물론 마모공간(C)의 내측면에 남아있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서 쉽게 휘어질 수 있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상기 이물질 제거날(100)은 직사각형의 일체형이므로 롤러(A)의 표면에 밀착한 상태에서 롤러(A)의 표면에서 더 깊게 형성된 마모공간(C)에는 긴밀하게 밀착되지 않고 일정간격 떠 있는 상태를 유지하므로,
결과적으로 상기 이물질 제거날(100)가 롤러(A)의 표면에 남아있는 이물질(B)은 제거할 수 있으나 마모공간(C)의 내부에 남아있는 이물질(B)은 제거할 수 없기 때문에 상기 변형 유도부(200)를 통해서 상기 이물질 제거날(100)가 마모공간(C)의 내측면에 밀착할 수 있도록 휘어지는 변형을 유도한다.
여기서 상기 변형 유도부(200)의 실시예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이물질 제거날(100)의 후면에서 전방을 향하도록 일정길이와 넓이를 갖도록 절개하는 다수개의 절개부(210);를 포함한다.
따라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절개부(210)는 상기 이물질 제거날(100)의 후면에서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 떨어지도록 다수개를 배열하여 롤러(A)의 표면 및 마모공간(C)의 내측면에 밀착하여 이물질(B)을 원활하게 제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절개부(21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이물질 제거날(100)의 후면에서 전방을 향하도록 직선방향 또는 일측으로 기울어질 수 있도록 사선방향으로 형성하여 롤러(A)의 표면 및 마모공간(C)의 내측면에 밀착할 수 있도록 휘어지는 변형각도 및 방향을 유도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변형 유도부(200)의 다른 실시예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이물질 제거날(100)의 후방 또는 중간에 길이방향을 따라서 일정간격 떨어질 수 있도록 일정길이와 넓이를 갖도록 절개하는 다수개의 절개부(210);를 포함한다.
따라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절개부(210)를 기준으로 상기 이물질 제거날(100)의 전방이 하부방향으로 휘어지면서 롤러(A)의 표면 및 마모공간(C)의 내측면에 밀착하여 이물질(B)을 원활하게 제거할 수 있다.
아울러,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절개부(210)의 내측에 삽입하여 이물질(B)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떨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떨림 방지구(2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떨림 방지구(220)는 실리콘 또는 고무 및 합성수지 등과 같은 다양한 재질로 형성하여 상기 이물질 제거날(100)의 떨림을 최소화할 수 있다.
특히,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떨림 방지구(220)의 상부 및 하부에 상기 절개부(210)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맞닿아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고정돌기(22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개부(210)의 내측에 상기 떨림 방지구(220)를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고정홈(211);을 포함하여 상기 떨림 방지구(22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이처럼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포함되는 것은 당연하다.
100: 이물질 제거날 110: 이탈 방지구
200: 변형 유도부 210: 절개부
211: 고정홈 220: 떨림 방지구
221: 고정돌기
A: 롤러 B: 이물질
C: 마모공간

Claims (9)

  1. 회전하는 롤러(A)의 표면에 밀착하여 이물질(B)을 제거하기 위한 이물질 제거날(100)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제거날(100)이 롤러(A)의 표면 및 마모공간(C)의 내측면에 밀착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변형 유도부(200);를 포함하되, 상기 변형 유도부(200)는 상기 이물질 제거날(100)의 후면에서 전방을 향하도록 일정길이와 넓이를 갖도록 절개하는 다수개의 절개부(210);를 포함하고, 상기 절개부(210)의 내측에 삽입하여 떨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떨림 방지구(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착력을 향상한 롤러 표면의 이물질 제거날.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제거날(100)의 후방에 길이방향을 따라서 일정간격 떨어지도록 형성하는 다수개의 이탈 방지구(1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착력을 향상한 롤러 표면의 이물질 제거날.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이탈 방지구(110)는 상기 이물질 제거날(100)의 표면에서 상부 및 하부방향으로 돌출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착력을 향상한 롤러 표면의 이물질 제거날.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210)는 상기 이물질 제거날(100)의 후면에서 전방을 향하도록 직선방향 또는 일측으로 기울어질 수 있도록 사선방향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착력을 향상한 롤러 표면의 이물질 제거날.
  6. 삭제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떨림 방지구(220)의 상부 및 하부에 상기 절개부(210)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맞닿아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고정돌기(22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착력을 향상한 롤러 표면의 이물질 제거날.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210)의 내측에 상기 떨림 방지구(220)를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고정홈(21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착력을 향상한 롤러 표면의 이물질 제거날.
KR1020190084058A 2019-07-11 2019-07-11 밀착력을 향상한 롤러 표면의 이물질 제거날 KR1022819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4058A KR102281904B1 (ko) 2019-07-11 2019-07-11 밀착력을 향상한 롤러 표면의 이물질 제거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4058A KR102281904B1 (ko) 2019-07-11 2019-07-11 밀착력을 향상한 롤러 표면의 이물질 제거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7491A KR20210007491A (ko) 2021-01-20
KR102281904B1 true KR102281904B1 (ko) 2021-07-26

Family

ID=74304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4058A KR102281904B1 (ko) 2019-07-11 2019-07-11 밀착력을 향상한 롤러 표면의 이물질 제거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190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7619B1 (ko) * 2013-10-15 2015-01-29 주식회사 에스케이디 하이테크 블레이드 수평도를 조절할 수 있는 롤러표면의 이물질 제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93220A (ja) * 1997-01-08 1998-07-28 Nippon Steel Corp ドクターブレード及びロール付着物除去装置
KR200407483Y1 (ko) 2005-10-31 2006-01-31 한성무 블레이드 및 부직포를 구비한 롤러표면의 이물질 제거장치
KR20120091730A (ko) 2011-02-10 2012-08-20 주식회사 에스케이디 하이테크 이물질 차단부재가 구비된 롤러표면의 이물질 제거장치
AT514351B1 (de) * 2013-05-17 2015-02-15 Haas Food Equipment Gmbh Walzenanordnung umfassend einen Abstreifer
KR101574852B1 (ko) 2013-10-15 2015-12-07 주식회사 에스케이디 하이테크 사용수명이 향상된 롤러표면의 이물질 제거장치
KR20150043713A (ko) 2013-10-15 2015-04-23 주식회사 에스케이디 하이테크 완충기능을 갖는 롤러표면의 이물질 제거장치용 블레이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7619B1 (ko) * 2013-10-15 2015-01-29 주식회사 에스케이디 하이테크 블레이드 수평도를 조절할 수 있는 롤러표면의 이물질 제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7491A (ko) 2021-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20915B2 (ja) ガラス板の切断方法及びガラス板の製造方法
JP5193141B2 (ja) ブレイクユニット及びブレイク方法
KR102281904B1 (ko) 밀착력을 향상한 롤러 표면의 이물질 제거날
JP5717570B2 (ja) 搬送ベルトクリーナおよび搬送ベルトクリーナ構造
JP6620987B2 (ja) 余白断裁片の断裁機刃物への貼り付きを防止する機構を備えた枚葉紙搬送断裁装置
JP6283178B2 (ja) シート断裁装置
JP5217247B2 (ja) カム装置
JP2008006324A (ja) 表面清掃装置
EP2914519B1 (en) Tapered scraper for a conveyor belt
JP5307639B2 (ja) 罫線形成用面板
JP4442725B2 (ja) ネジ供給装置
KR102084319B1 (ko) 프레임 절곡방법
KR100601129B1 (ko) 주편의 절단설 제거장치
JP3189569U (ja) 抜屑分離装置に装着される抜屑離脱部材
JP3181813U (ja) 抜屑離脱部材および抜屑分離装置
JP6300308B2 (ja) 抜きカス除去装置
JP2016168659A (ja) 切断加工用刃物
JP2016531766A (ja) フィルタ装置
JP2001088092A (ja) 紙材打抜における打抜屑除去方法及び装置
US20120299994A1 (en) Ink jet printer wiper blade
KR100690018B1 (ko) 벨트 콘베이어용 클리너
KR200361279Y1 (ko) 롤러 표면 이물질 제거장치
JP5911540B2 (ja) エスカレータ踏段清掃具
JP6933371B2 (ja) 分離装置
JP6307671B1 (ja) 加工部材とその位置決め治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