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1276B1 - 평판형 변압기 - Google Patents

평판형 변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1276B1
KR102281276B1 KR1020190037470A KR20190037470A KR102281276B1 KR 102281276 B1 KR102281276 B1 KR 102281276B1 KR 1020190037470 A KR1020190037470 A KR 1020190037470A KR 20190037470 A KR20190037470 A KR 20190037470A KR 102281276 B1 KR102281276 B1 KR 1022812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coil element
primary
primary side
air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7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14909A (ko
Inventor
한택수
이정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텀
한택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텀, 한택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텀
Priority to KR10201900374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1276B1/ko
Priority to PCT/KR2020/004002 priority patent/WO2020204437A1/ko
Priority to KR1020200114195A priority patent/KR102500130B1/ko
Publication of KR202001149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49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12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12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823Wires
    • H01F27/2828Construction of conductive connections, of lea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2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without magnetic co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2Insulating of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2Insulating of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 H01F27/323Insulation between winding turns, between winding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34Special means for preventing or reducing unwanted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e.g. no-load losses, reactive currents, harmonics, oscillations, leakage fiel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34Special means for preventing or reducing unwanted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e.g. no-load losses, reactive currents, harmonics, oscillations, leakage fields
    • H01F27/346Preventing or reducing leakage fields

Abstract

본 발명은 평판형 변압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평판상의 1차측 상부 코일소자(110)와, 상기 1차측 상부 코일소자(110)로부터 하방으로 접촉되거나 또는 이격되어서 위치하는 평판상의 1차측 하부 코일소자(120)와, 상기 1차측 상부 코일소자(110)와 1차측 하부 코일소자(120)에 인가되는 전류에 의해서 유도전류가 발생되는 평판상의 2차측 코일소자(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이에 의하면 손실 자계의 발생이 작아져서 1차측에서 2차측으로의 효율이 높아지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평판형 변압기{A PLANAR TRANSFORMER}
본 발명은 변압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충전기나 어댑터에 사용되는 평판형 변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변압기(transformer)는 1차측 코일(primary coil)과 2차측 코일(secondary coil)를 가지며 일반적으로 1차측 코일은 입력단으로 이용되고 2차 측 코일은 출력단으로 이용된다.
변압기 중에서 휴대전화 충전기 등에서 이용되는 소형의 변압기와 관련하여서 제안된 기술이 등록특허 제10-1579427호(공고일: 2015년 12월 22일)에 의한 "트랜스포머)가 개시되어 있다.
위 제10-1579427호에 의한 변압기의 경우에는 변압기용 1차측 코일소자를 절연기판에 도전성 재료를 패턴화하여서 구현되는 소위 "PCB형 1차측 코일소자"로 구성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PCB형 1차측 코일소자는 절연기판에 동박을 입히고 에칭 등의 방법으로 코일 회로 패턴을 형성하는 방법으로 제작되고 있다.
그러나, 위 제10-1579427호에 의한 변압기는 2 개의 2차측 코일소자 사이에 1차측 코일소자를 인서트하는 구조를 채택하고 있어서, 손실 자계의 발생과 1차측에서 2차측으로의 효율의 문제가 있었다. 또한 2차측 코일소자가 아래 위로 분리되어 있어서 전체적으로 제품[변압기]의 높이가 높아진다는 것도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그리고, 종래 기술에 의한 PCB형 1차측 코일 소자는 PCB기판에 회로 패턴을 형성하므로 기본적으로 제작 기간이 길어서 단납기 제작에는 부적합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PCB형 1차측 코일 소자는 기본적으로 PCB기판에 패턴화하므로 설계 다변화(제품 튜닝)에 대처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회로 패턴의 턴수가 많아지는 경우 층(LAYER)가 많아지고 PCB기판의 두께가 커져서 1차측 코일 소자의 부피가 커지는 문제가 있었고, PCB기판의 가격이 상승하여서 제품의 코스트가 올라가는 문제가 있었다.
문헌1: 등록특허공보 10-1579427(공고일: 2015. 12. 22.) 문헌2: 공개특허공보 10-2016-0041837(공개일: 2016.04.18.)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평판형 변압기의 목적은,
첫째, 1차측 코일소자를 1차측 상부 코일소자와 1차측 하부 코일소자로 분리 구성함으로써, 1차측 코일소자(100)가 2차측 코일소자(200)에 밀착되는 면적을 넓혀서 손실(leakage)을 줄일 수 있고 효율을 더 높일 수 있도록 하고,
둘째, 1차측 코일소자와 2차측 코일소자를 교번적으로(지그재그 방식으로) 배치함으로써 누설 자계를 현격하게 줄일 수 있도록 하여서 1차측 코일소자에서 2차측 코일소자로의 효율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며,
셋째, 절연 코팅된 와이어를 권취하여서 1차측 코일소자를 구성함으로써 제품[변압기]의 높이를 낮추고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도록 하며,
넷째, 와이어 권취형으로 구성되는 1차측 코일소자를 1차측 단자핀에 결선하는 와이어 결선 작업을 간편하고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와이어 결선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며,
다섯째, 절연코팅된 와이어가 서로 접촉하면서 평판형으로 권선되도록 1차측 코일소자를 구현함으로써, 종래의 PCB기판 타입의 1차측 코일소자와는 달리, 저항이 낮아져서 발열이 적고(발열 특성 우수), 또한 2차측 코일 소자로의 전달효율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며,
여섯째, 보빈을 이용하지 않고 공심의 평판형으로 1차측 코일소자를 제작함으로써, 1차측 코일소자 자체의 사이즈를 줄일 수 있도록 하며,
일곱째, 종래의 PCB 기판에 구현되는 변압기용 1차측 코일소자(소위 "PCB형 1차측 코일소자")를 대체 또는 대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종래의 "PCB형 1차측 코일소자"의 문제점인 제품의 제작 단가가 높다는 점과, 제작 시간이 길고 개발기간이 길다는 점과, 설계 튜닝의 대처가 용이하지 않다는 점과, 코일의 턴수가 많으면 제품의 부피가 커진다는 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하며,
여덟째, 내측 돌기와 외측 돌기의 사이에 1차측 코일소자를 삽입 구비함으로써 1차측 코일소자의 유동이나 유격을 예방하고 안정된 실장을 할 수 있도록 하며,
아홉째, 상하의 2 개의 1차측 상부 코일소자와 1차측 하부 코일소자의 사이에 2차측 코일소자를 삽입 구성함으로써, 손실 자계의 발생이 작아져서 1차측에서 2차측으로의 효율이 높아질 수 있도록 하고,
열번 째, 2 개의 연결부를 내측으로 U자형으로 벤딩 형성함으로써 1차측 코일소자와 2차측 코일소자 간의 거리를 더욱더 좁게 할 수 있도록 하며,
열한 번째, 금속재질의 연결핀의 구성에 의해서 1차측 상부 코일소자와 1차측 하부 코일소자를 직렬 연결함으로써, 2 개의 이격된 1차측 코일소자의 연결을 간편하고 쉽게 그리고 신뢰성 있게 할 수 있도록 하며,
열두 번째, 1차측 코일소자를 절연 코팅된 와이어를 권취하여서 구성한 와이어 권취형과 PCB기판에 구현한 PCB 기판형의 혼합형으로 구성함으로써 다양한 설계 환경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며,
열세 번째, 1차측 코일소자를 알파코일로 구성함으로써 결선 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코일을 횡단하여서 결선하지 않아도 되어서 제품의 두께를 상대적으로 얇게 할 수 있도록 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평판형 변압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평판형 변압기는, 평판상의 1차측 상부 코일소자와, 상기 1차측 상부 코일소자로부터 하방으로 접촉되거나 또는 이격되어서 위치하는 평판상의 1차측 하부 코일소자와, 상기 1차측 상부 코일소자와 1차측 하부 코일소자에 인가되는 전류에 의해서 유도전류가 발생되는 평판상의 2차측 코일소자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인 평판형 변압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1차측 코일소자를 1차측 상부 코일소자와 1차측 하부 코일소자로 분리 구성함으로써, 1차측 코일소자(100)가 2차측 코일소자(200)에 밀착되는 면적을 넓혀서 손실(leakage)을 줄일 수 있고 효율을 더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1차측 코일소자와 2차측 코일소자를 교번적으로(지그재그 방식으로) 배치함으로써 누설 자계를 현격하게 줄일 수 있도록 하여서 1차측 코일소자에서 2차측 코일소자로의 효율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절연 코팅된 와이어를 권취하여서 1차측 코일소자를 구성함으로써 제품[변압기]의 높이를 낮추고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와이어 권취형으로 구성되는 1차측 코일소자를 1차측 단자핀에 결선하는 와이어 결선 작업을 간편하고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와이어 결선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절연코팅된 와이어가 서로 접촉하면서 평판형으로 권선되도록 1차측 코일소자를 구현함으로써, 종래의 PCB기판 타입의 1차측 코일소자와는 달리, 저항이 낮아져서 발열이 적고(발열 특성 우수), 또한 2차측 코일 소자로의 전달효율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섯째, 보빈을 이용하지 않고 공심의 평판형으로 1차측 코일소자를 제작함으로써, 1차측 코일소자 자체의 사이즈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일곱째, 종래의 PCB 기판에 구현되는 변압기용 1차측 코일소자(소위 "PCB형 1차측 코일소자")를 대체 또는 대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종래의 "PCB형 1차측 코일소자"의 문제점인 제품의 제작 단가가 높다는 점과, 제작 시간이 길고 개발기간이 길다는 점과, 설계 튜닝의 대처가 용이하지 않다는 점과, 코일의 턴수가 많으면 제품의 부피가 커진다는 점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덟째, 내측 돌기와 외측 돌기의 사이에 1차측 코일소자를 삽입 구비함으로써 1차측 코일소자의 유동이나 유격을 예방하고 안정된 실장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홉째, 상하의 2 개의 1차측 상부 코일소자와 1차측 하부 코일소자의 사이에 2차측 코일소자를 삽입 구성함으로써, 손실 자계의 발생이 작아져서 1차측에서 2차측으로의 효율이 높아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열 번째, 2 개의 연결부를 내측으로 U자형으로 벤딩 형성함으로써 1차측 코일소자와 2차측 코일소자 간의 거리를 더욱더 좁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열한 번째, 금속재질의 연결핀의 구성에 의해서 1차측 상부 코일소자와 1차측 하부 코일소자를 직렬 연결함으로써, 2 개의 이격된 1차측 코일소자의 연결을 간편하고 쉽게 그리고 신뢰성 있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열두 번째, 1차측 코일소자를 절연 코팅된 와이어를 권취하여서 구성한 와이어 권취형과 PCB기판에 구현한 PCB 기판형의 혼합형으로 구성함으로써 다양한 설계 환경에 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열세 번째, 1차측 코일소자를 알파코일로 구성함으로써 결선 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코일을 횡단하여서 결선하지 않아도 되어서 제품의 두께를 상대적으로 얇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평판형 변압기에 있어서 1차측 상부 코일소자(110)와 1차측 하부 코일소자(120)의 구성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1차측 하부 코일소자(120)의 분리 구성 개념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1차측 상하부코일소자(110,120)의 변형된 실시예의 분리 구성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평판형 변압기에 있어서, 1차측 코일소자(100)의 다른 변형된 실시예의 분리 구성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평판형 변압기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 상부 덮개(310)가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평판형 변압기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의 전후방 방향으로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평판형 변압기의 주요부를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평판형 변압기에 있어서 2차측 코일소자(200)의 펼쳐진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평판형 변압기에 있어서, 제1 코일체(210)와 제2 코일체(220)가 펼쳐진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평판형 변압기에 있어서, 제1 코일(211)과 제2 코일(221)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평판형 변압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평판형 변압기의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평판형 변압기에 있어서 2차측 코일소자(200)의 펼쳐진 상태의 사시도로서, 도 15의 는 평면 사시도이고 도 15의 (b)는 저면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평판형 변압기에 있어서 2차측 코일소자(200)의 변형된 실시예의 제1 코일체(210)와 제2 코일체(220)가 펼쳐진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평판형 변압기에 있어서 1차측 코일소자로서 구성될 수 있는 알파코일의 예시 사진이다.
도 18은 도 17에 개시된 알파코일의 요부 횡다면도이다.
다음은 본 발명인 평판형 변압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평판형 변압기는 충전기나 어댑터의 메인PCB에 실장되어서 충전기나 어댑터용으로 사용되는 변압기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평판형 변압기는, 평판상의 1차측 상부 코일소자(110)와, 상기 1차측 상부 코일소자(110)로부터 하방으로 접촉되거나 또는 이격되어서 위치하는 평판상의 1차측 하부 코일소자(120)와, 상기 1차측 상부 코일소자(110)와 1차측 하부 코일소자(120)에 인가되는 전류에 의해서 유도전류가 발생되는 평판상의 2차측 코일소자(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1차측 상부 코일소자(110)와 1차측 하부 코일소자(120)는 직렬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하면, 1차측 코일이 병렬 연결되는 경우에 비하여, 권선수를 줄여서 제품[변압기]의 높이를 낮출 수 있고 제품의 사이즈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1차측 상부 코일소자(110)와 1차측 하부 코일소자(120)에는 예컨대 4 개의 1차측 단자핀(P1)이 구비되어 있는데, 이 1차측 단자핀(P1)이 변압기가 실장되는 완제품[예컨대 충전기 또는 어댑터]의 메인 PCB(미도시)에 결선되어서 전류를 공급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평판형 변압기에 있어서, 상기 1차측 상부 코일소자(110)와 1차측 하부 코일소자(120) 중의 어느 하나는, 상부 공심(110a)이 중앙에 형성되어 있고, 절연 코팅된 도전성의 와이어를 서로 접촉하여서 평판형으로 권선하여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1차측 코일소자(110,120)를 1차측 상부 코일소자(110)와 1차측 하부 코일소자(120)로 분리 구성함으로써, 1차측 코일소자(100)가 2차측 코일소자(200)에 밀착되는 면적을 넓혀서 손실(leakage)을 줄일 수 있고 효율을 더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1차측 코일소자(110,120)를 PCB형의 코일소자가 아닌 절연 코팅된 도전성의 와이어로서 형성함으로써, 예컨대 1차측 코일소자가 종래에는 16 레이어의 PCB층으로 구성되던 것을 8 레이어의 2 개의 코일로 구성할 수 있어서, 1차측 코일소자의 제품의 제작 비용을 확실하게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1차측 상부 코일소자(110)와 1차측 하부 코일소자(120) 중의 어느 하나는 절연 코팅된 와이어를 평판상으로 권취한 와이어 권취형 코일소자로 구성하고, 상기 1차측 상부 코일소자(110)와 1차측 하부 코일소자(120) 중의 나머지 하나는 금속재질의 도체패턴이 나선상으로 형성된 절연기판(미도시)이 복수로 적층 구비된 PCB형 코일소자[다층 인쇄회로기판(MLB: multilayer printed circuit board)]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이 실시예의 경우에는 1차측 코일소자가 와이어 권취형 코일소자와 PCB형 코일소자의 혼합(Hybrid)형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PCB형 코일소자[다층 인쇄회로기판(MLB: multilayer printed circuit board)] 그 자체는 본원발명의 출원 전에 공지된 구성이므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1차측 상부 코일소자(110)는, 상부 공심(110a)이 중앙에 형성되어 있고, 절연 코팅된 도전성의 와이어를 서로 접촉하여서 평판형으로 권선하여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1차측 하부 코일소자(120)는 상기 상부 공심(110a)과 연통하는 하부 공심(120a)이 중앙에 형성되고, 절연 코팅된 도전성 와이어를 서로 접촉하여서 평판형으로 권선하여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평판형 변압기에 있어서, 상기 1차측 상부 코일소자(110)와 1차측 하부 코일소자(120)가 각각 결선되는 연결핀(Pn)이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고, 상기 1차측 상부 코일소자(110)와 1차측 하부 코일소자(120)는 상기 연결핀(Pn)에 의해서 직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제 1차측 코일소자(100: 110,120)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1차측 하부 코일소자(120)는, 상기 1차측 상부 코일소자(110)와 직렬 연결되고 제1 공심(121a)이 중앙에 형성되어 있으며 절연 코팅된 도전성의 와이어를 서로 접촉하여서 평판형으로 권선하여 형성된 메인 공심 코일부(121)[주권선]와, 상기 메인 공심 코일부(121)의 위 또는 아래에 구비되고 상기 메인 공심 코일부(121)의 제1 공심(121a)과 연통하도록 제2 공심(122a)이 중앙에 형성되어 있으며 절연 코팅된 도전성의 와이어를 서로 접촉하여서 평판형으로 권선하여 형성되어서 상기 메인 공심 코일부(121)와 전자기 유도에 의해 유도 전압을 발생시켜서 출력하는 보조 코일부(12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1차측 상부 코일소자(110)는 상기 1차측 하부 코일소자(120)의 메인 공심 코일부(121)와 직렬 연결되는 메인 공심 코일부[주권선]로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보조 코일부(122)로부터 출력된 유도 전압은 메인 기판(미도시)에 실장되는 IC 소자 등을 구동(driving)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1차측 하부 코일소자(120)는, 상기 메인 공심 코일부(121)에 접촉 구비되고 상기 제1 공심(121a)과 연통하도록 중앙공(123a,124a)이 형성되어 있으며 평판상으로 형성되어서 EMI를 차폐하는 도전성의 차폐부재(123,124)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차폐부재(123,124)는, 메인 공심 코일부(121)의 상측에 구비되고, 제1 공심(121a)과 연통하도록 중앙공(123a)이 중앙에 형성되어 있으며, 평판상으로 형성되어서 EMI를 차폐하는 도전성의 상부 차폐부재(123)와, 상기 메인 공심 코일부(121)의 하측에 구비되고 제1 공심(121a)과 연통하도록 중앙공(124a)이 중앙에 형성되어 있으며 평판상으로 형성되어서 EMI를 차폐하는 도전성의 하측 차폐부재(124)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보조 코일부(122)는 상기 메인 공심 코일부(121)와 상측 차폐부재의 사이에 접촉 구비되거나 또는 상기 메인 공심 코일부(121)와 하측 차폐부재의 사이에 접촉 구비되어서, 상기 메인 공심 코일부(121)와 전자기 유도에 의해 유도 전압을 발생시켜서 출력하게 된다.
상기 상측 차폐 부재(123)는 상기 메인 공심 코일부(121)의 상측에 구비되고, 제1 공심(121a)과 연통하도록 제1 중앙공(123a)이 중앙에 형성되어 있으며, 절연 코팅된 와이어를 서로 접촉하여서 평판형으로 권선하여 형성되는 EMI를 차폐하는 상측 차폐 코일부(123)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측 차폐부재(124)는 상기 메인 공심 코일부(121)의 하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1 공심(121a)과 연통하도록 제2 중앙공(124a)이 중앙에 형성되어 있으며 절연 코팅된 와이어를 서로 접촉하여서 평판형으로 권선하여 형성되는 EMI를 차폐하는 하측 차폐 코일부(124)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측 차폐 부재와 하측 차폐 부재는 상기와 같이 절연 코팅된 와이어를 평판으로 권취하여서 형성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컨대, 중앙에 중앙공이 형성되어 있고 EMI를 차폐하는 차폐 동박시트[예컨대, 박형의 동판이나 동테이프[동박테이프)]로 구성되거나, 또는 중앙공이 형성되어 있고 EMI를 차폐하는 차폐 섬유시트(미도시)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1차측 하부 코일소자(120)는, 상기 메인 공심 코일부(121)와 상측 차폐부재의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제1 공심(121a)과 연통하는 통공이 중앙에 형성되는 상측 절연시트(C1)와, 상기 메인 공심 코일부(121)와 하측 차폐부재의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제1 공심(121a)과 연통하는 통공이 중앙에 형성되는 하측 절연시트(C2)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보조 코일부(122)는 상기 상측 절연시트(C1)와 상측 차폐부재의 사이에 접촉 구비되거나 또는 상기 하측 절연시트(C2)와 하측 차폐부재의 사이에 접촉 구비되어서, 상기 메인 공심 코일부(121)와 전자기 유도에 의해 유도 전압을 발생시켜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본드를 이용하여 적층 결합하는 경우보다도 절연내압이 더욱더 커져서 코일부(121,122,123,124) 간의 간격을 더욱더 좁힐 수 있고, 제품의 사이즈를 더욱더 소형화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상하측 절연시트(C1,C2)에는 위아래에 적층되는 코일부(121,122,123,124)들 간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점착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상하측 절연시트(C1,C2)는 상면과 하면에 각각 점착층이 형성된 양면 점착 필름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측 차폐부재(123)와 보조 코일부(122) 사이에도 절연시트(미도시)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상하측 절연 시트(C1,C2)는 합성수지재의 절연 필름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에는 1차측 코일소자(100:110,120)의 변형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1차측 상부 코일소자(110)는, 1차측 하부 코일소자(120)의 메인 공심 코일부(121)와 직렬 연결되고 제1 공심(111a)이 중앙에 형성되어 있으며 절연 코팅된 도전성의 와이어를 서로 접촉하여서 평판형으로 권선하여 형성된 메인 공심 코일부(111)[1차측 하부 코일소자(110)에 구비된 메인 공심 코일부(121)와는 구별되어야 함]와, 상기 메인 공심 코일부(111)의 위 또는 아래에 구비되고, 상기 메인 공심 코일부(111)의 제1 공심(111a)과 연통하도록 제2 공심(112a)이 중앙에 형성되어 있으며 절연 코팅된 도전성의 와이어를 서로 접촉하여서 평판형으로 권선하여 형성되는 보조 코일부(11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1차측 하부 코일소자(120)는 상기 1차측 상부 코일소자(110)의 메인 공심 코일부(112)와 직렬 연결되는 메인 공심 코일부(121)로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1차측 상부 코일소자(110)는 제2 공심(112a)과 연통하도록 제1 중앙공(123a)이 중앙에 형성되어 있고 절연 코팅된 와이어를 서로 접촉하여서 평판형으로 권선하여 형성되는 EMI를 차폐하는 상측 차폐 코일부(113)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실시예에 따라서는 1차측 하부 코일소자(120)는 메인 공심 코일부(121)에 부가적으로 제1 공심(121a)과 연통하도록 제2 중앙공(124a)이 중앙에 형성되어 있고 절연 코팅된 와이어를 서로 접촉하여서 평판형으로 권선하여 형성되는 EMI를 차폐하는 하측 차폐 코일부(124)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그리고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기 상하측 절연 시트(C1,C2)가 코일부(111,112,113) 사이에 구비될 수도 있고, 또는 코일부(121,124) 사이에 부가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1차측 코일소자(100:110,120)의 변형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1차측 상부 코일소자(110)는, 제2 공심(112a)이 중앙에 형성되어 있으며, 절연 코팅된 도전성의 와이어를 서로 접촉하여서 평판형으로 권선하여 형성되는 보조 코일부(112)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1차측 하부 코일소자(120)는, 제1 공심(121a)이 중앙에 형성되어 있으며, 절연 코팅된 도전성의 와이어를 서로 접촉하여서 평판형으로 권선하여 형성된 메인 공심 코일부(121)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후술하는 제1 실시예의 경우와 같이 보조 코일부(122)가 2차측 코일소자(200)의 중간에 배치되는 경우에는 아래위의 2차측 코일소자(210,220) 사이에 배치되는 1차측 하부 코일소자(120)의 두께가 보조 코일부(122)의 두께만큼 두꺼워져서 손실(leakage)이 커져서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보조 코일부(112)를 메인 공심 코일부(121)와 분리하여서 1차측 상부 코일소자(110)에 구비하게 되는 것이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1차측 상부 코일소자(110)는 제2 공심(112a)과 연통하도록 제1 중앙공(123a)이 중앙에 형성되어 있고 절연 코팅된 와이어를 서로 접촉하여서 평판형으로 권선하여 형성되는 EMI를 차폐하는 상측 차폐 코일부(113)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1차측 하부 코일소자(120)는 메인 공심 코일부(121)에 부가적으로 제1 공심(121a)과 연통하도록 제2 중앙공(124a)이 중앙에 형성되어 있고 절연 코팅된 와이어를 서로 접촉하여서 평판형으로 권선하여 형성되는 EMI를 차폐하는 하측 차폐 코일부(124)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상하측 절연 시트(C1,C2)가 코일부(112,113) 사이에 구비될 수도 있고, 또는 코일부(121,124) 사이에 부가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평판형 변압기에 있어서, 상기 1차측 상하부 코일소자(110,120)는 알파코일(도 17의 사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1차측 상부 코일소자(110)는 공심이 중앙에 형성되어 있고, 절연 코팅된 도전성의 와이어를 서로 접촉하여서 평판형으로 권선하되, 절연 코팅된 와이어의 양단을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중으로 권취하여서 평판형으로 권선되는 알파코일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1차측 하부 코일소자(120)는, 공심이 중앙에 형성되고, 절연 코팅된 도전성 와이어를 서로 접촉하여서 평판형으로 권선하되, 절연 코팅된 와이어의 양단을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중으로 권취하여서 평판형으로 권선하는 알파코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알파코일은 동수권선을 사용하고 있어서 고르게 정렬될 수 있고, 또한 권선이 고르게 정렬되므로 권선의 두께를 낮출수 있으며 EMI 특성을 훨씬 좋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평판형 변압기에 있어서, 1차측 상부 코일소자(110) 및 1차측 하부 코일소자(120)와 결선하기 위한 1차측 단자핀(P1)이 구비되고, 이 1차측 단자핀(P1)을 설치하기 위한 1차측 단자블록(240)이 하기의 제1 코일체(210) 또는 제2 코일체(220) 중의 어느 하나에 형성된다.
상기 1차측 단자블록(240)에는 1차측 단자핀(P1)으로 와이어를 결선하기 위해서 와이어를 통과시키기 위한 와이어 통과홈(240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핀(Pn)은 상기 1차측 단자블록(240)에 구비되어서 1차측 상부 코일소자(110)와 1차측 하부 코일소자(120)를 직렬로 연결하게 된다.
그리고, 제1 코일체의 제1 단자(211a) 및 제2 코일체의 제2 단자(221a)에 각각 결선되어서 변압기가 실장되는 완제품[예컨대 충전기 또는 어댑터]의 메인 PCB(미도시)에 연결되는 2차측 단자핀(P2)이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평판형 변압기에 있어서, 상기 2차측 코일소자(200)는, 2차측 코일(211,221)을 사출금형(미도시)의 캐비티(미도시)에 인서트한 상태에서 성형 수지를 주입하여서 절연부(212,222)를 형성함과 동시에 2차측 코일(211,221)을 내장하는 인서트 몰딩에 의해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2차측 코일(211,221)은, 평판의 나선상 패턴으로 형성되는 코일패턴부(211b,221b)와, 상기 코일패턴부(211b,221b)의 일측 종단에서 U자형으로 벤딩되는 연결부(211c,221c)와, 상기 연결부(211c,221c)의 종단에 형성되는 단자(211a,221a)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연결부(211c,221c)는 코일패턴부(211b,221b)의 일측 종단에서 내측으로 절곡된 후에 다시 후방[단자가 있는 방향]으로 절곡되는 U자형으로 벤딩되고, 상기 2차측 코일소자(200)의 상면(212b)과 하면(220c)은 돌출부가 없는 평탄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연결부(211c,221c)를 U자형으로 벤딩 형성하고 2차측 코일소자(200)의 상면(212b)과 하면(220c)을 돌출부가 없는 평탄형으로 형성함으로써, 1차측 코일소자(110,120)와 2차측 코일소자(200)가 면접촉됨과 동시에 밀착될 수 있고, 그 결과 1차측 코일소자(110,120)와 2차측 코일소자(200) 간의 거리가 매우 좁아져서 자기 결합력이 우수해지고 또한 제품의 높이가 낮아지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절연부(212,222)는 단자(211a,221a)를 제외하고 2차측 코일소자의 코일(211,212)을 내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2차측 코일소자(200)는, 제1 코일체(210)와 상기 제1 코일체(210)로부터 아래로 이격되는 제2 코일체(220)로 구성되는데, 이 제1 코일체(210)와 제2 코일체(22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제1 코일체(210)는 평판의 나선상 패턴으로 형성되는 제1 코일패턴부(211b)와, 상기 제1 코일패턴부(211b)의 일측 종단에서 하방으로 절곡된 후에 다시 후방으로 절곡되어서 U자형으로 벤딩되는 제1 연결부(211c)와, 상기 제1 연결부(211c)의 종단에 형성되는 제1 단자(211a)로 구성되는 제1 코일(211)과, 중앙에는 제1 중앙통공(210a)이 형성되도록 제1 단자(211a)를 제외한 상기 제1 코일(211)을 내장하는 합성수지 재질의 제1 절연부(2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2 코일체(220)는 평판의 나선상 패턴으로 형성되는 제2 코일패턴부(221b)와, 상기 제2 코일패턴부(221b)의 일측 종단에서 상방으로 절곡된 후에 다시 후방으로 절곡되어서 U자형으로 벤딩되는 제2 연결부(221c)와, 상기 제2 연결부(221c)의 종단에 형성되는 제2 단자(221a)로 구성되는 제2 코일(221)과, 중앙에는 제2 중앙통공(220a)이 형성되도록 제2 단자(221a)를 제외한 상기 제2 코일(221)을 내장하는 합성수지 재질의 제2 절연부(21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방으로 U 벤딩되는 제1 연결부(211c)와, 상방으로 U 벤딩되는 제2 연결부(221c)는 서로 겹치지 않도록 U 벤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2차측 코일소자(200)의 두께를 낮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제1 연결부(211c)는 하방으로 U 절곡된 후에 사선으로 후방 절곡 형성되고, 제2 연결부(221c)는 후방으로 U 벤딩 형성됨으로써, 제1 연결부(211c)와 제2 연결부(221c)는 서로 겹치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좁은 면적에서도 제1 연결부(211c)와 제2 연결부(221c)가 서로 겹치지 않도록 제작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음은 도 5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평판형 변압기 특유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평판형 변압기는 1차측 코일소자와 2차측 코일소자가 지그재그로 배치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평판형 변압기는, 상기 1차측 하부 코일소자(120)는 상기 1차측 상부 코일소자(110)로부터 하방으로 이격되어서 위치하여서 1차측 상부 코일소자(110)와의 사이에 삽입공간(S1)을 형성하고, 상기 2차측 코일소자(200)는, 제1 코일체(210)와, 상기 제1 코일체(210)로부터 이격되어서 위치하는 제2 코일체(22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2차측 코일소자(200)의 제1 코일체(210)와 제2 코일체(220) 중에서 어느 하나의 코일체(210,220)가 상기 삽입공간(S1)에 삽입 구비되어서, 상기 1차측 상하부 코일소자(110,120)와 2차측 코일소자(200)가 상하방향[수직방향]에 대해서 교번적으로(지그재그) 위치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교번적으로 구비"된다는 것은 상기 1차측 상부 코일소자(110)와 1차측 하부 코일소자(120) 중의 하나는 서로 마주보는 상기 제1 코일체(210)와 제2 코일체(220)의 사이에 구비되고, 나머지 하나는 제1 코일체(210)의 상면 또는 제2 코일체(220)의 하면에 배치되는 것을 의미한다.
예컨대, 위에서 아래로의 방향으로, 1차측 상부 코일소자(110), 제1 코일체(210), 1차측 하부 코일소자(120) 및 제2 코일체(220)의 순서로 배치하거나[도 5 내지 도 12 참조], 또는 제1 코일체(210), 1차측 상부 코일소자(110), 제2 코일체(220) 및 1차측 하부 코일소자(120)의 순서로 배치하는 경우이다.
상기와 같이 1차측 상하부 코일소자(110,120)와 2차측 코일소자(200)를 교번적으로 배치하는 구성에 의하면, 손실 자계의 발생이 현격하게 작아져서 1차측에서 2차측으로의 효율이 현격하게 높아지는 이점이 있다.
종래 기술에서와 같이 2차측 코일소자의 상측과 하측의 사이에 1차측 코일소자를 배치하게 되면, 2차측 코일소자의 2면(2차측 코일소자의 총 4 면 즉, 상측 위와 아래의 2 면과 하측의 위와 아래의 2 면 중에서 상측 아래의 한면과 하측 아래의 한면 총 2면에 접함)에 1차코일이 접하게 되지만, 상기와 같이 1차측 코일소자와 2차측 코일소자를 지그재그로 배치하면 3면에 1차측 코일소자가 접하게 된다.
즉, 종래와 같이 2차측 코일의 중간에 2개의 면이 접하고, 2차측 코일의 상측이나 하측의 바깥쪽에 1면이 추가로 접하게 되어서 총 3면이 접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3면이 접하게 되면 상대적으로 1차측 코일소자와 2차측 코일소자 간에 접하는 면적이 넓어져서 손실(leakage)을 훨씬 더 줄일 수 있게 되고 효율이 더 좋아지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평판형 변압기에 있어서, 상기 제1 코일체(210) 또는 제2 코일체(220)의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어서 상기 1차측 상부 코일소자(110)와 1차측 하부 코일소자(120)를 잡아주기 위한 홀딩 부재(231,232,233,234)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홀딩 부재(231,232,233,234)는, 제1 코일체(210) 및 제2 코일체(220)의 일면(예컨대 상면 또는 하면)에서 외향으로 돌출 형성되어서 상기 1차측 상부 코일소자(110)와 1차측 하부 코일소자(120)를 잡아준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평판형 변압기에 있어서, 상기 홀딩 부재(231,232,233,234)는 상기 제1 코일체(210)의 상면 또는 하면 중에서 일면(도시된 예에서는 상면)에서 수직방향의 일방(예컨대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어서 이탈이나 유격이 없이 구비되도록 1차측 상부 코일소자(110)를 잡아주기 위한 제1 홀딩 부재(231,232)와, 상기 제2 코일체(220)의 일면(예컨대 상면)에서 제1 홀딩 부재(231,232)와 동일한 돌출 방향인 수직방향의 일방(예컨대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어서 이탈이나 유격이 없이 구비되도록 1차측 하부 코일소자(120)를 잡아주기 위한 제2 홀딩 부재(233,23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제1 코일체(210)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어서 1차측 상부 코일소자(110)를 잡아주기 위한 제1 홀딩 부재(231,232)와, 상기 제2 코일체(220)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어서 1차측 하부 코일소자(120)를 잡아주기 위한 하부 홀딩 부재(233,234)로 구성될 수도 있는데, 이러한 실시예는 도 5 내지 도 12에 개시된 제1,2 코일체(210,220)를 상하로 뒤집는 경우와 동일한 구성이므로, 이 경우에도 본원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됨은 물론이다.
즉, 1차측 상부 코일소자(110)와 1차측 하부 코일소자(120)가 상기 제1 코일체(210) 및 제2 코일체(220)의 상측에 위치하여서 교번적으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면에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1차측 상부 코일소자(110)와 1차측 하부 코일소자(120)가 상기 제1 코일체(210) 및 제2 코일체(220)의 하측에 위치하여서 교번적으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하면에서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는데 어느 경우에나 본원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한다.
상기 제1 홀딩 부재(231,232)는 상기 제1 코일체(210)의 일면[예컨대 상면(210b)]에서 수직방향의 일방(예컨대 상방)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1차측 상부 코일소자(110)의 상부 공심(110a)의 내주면에 접촉하여서 1차측 상부 코일소자(110)의 상부 공심(110a)의 내주면을 잡아주는 제1 내측 돌기(231)와, 상기 제1 내측 돌기(231)에서 수평방향의 외향으로 이격되어서 상기 제1 코일체(210)의 일면[예컨대 상면(210b)]에서 제1 내측 돌기(231)의 돌출 방향과 동일한 방향인 수직방향의 일방(예컨대 상방)으로 돌출형성되고, 1차측 상부 코일소자(110)의 외주면(110b)에 접촉하여서 1차측 상부 코일소자(110)의 외주면(110b)을 잡아주는 제1 외측 돌기(2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2 홀딩 부재(233,234)는 상기 제2 코일체(220)의 일면[예컨대 상면(222b)]에서 수직방향의 일방(예컨대 상방)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1차측 하부 코일소자(120)의 하부 공심(120a)의 내주면에 접촉하여서 1차측 하부 코일소자(120)의 하부 공심(120a)의 내주면을 잡아주는 제2 내측 돌기(233)와, 상기 제2 내측 돌기(233)에서 수평방향의 외향으로 이격되어서 상기 제2 코일체(220)의 일면[예컨대 상면(222b)]에서 제1 내측 돌기(231)의 돌출 방향과 동일한 방향인 수직방향의 일방(예컨대 상방)으로 돌출형성되고, 1차측 하부 코일소자(120)의 외주면(120b)에 접촉하여서 1차측 하부 코일소자(120)의 외주면(120b)을 잡아주는 제2 외측 돌기(2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1차측 상부 코일소자(110)는 상기 제1 코일체(210)의 상면(212b)에 재치되고, 상기 1차측 하부 코일소자(120)는 상기 제2 코일체(220)의 상면(222b)에 재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1 내측 돌기(231)는 상기 제1 절연부(212)의 상면(212b)[즉, 제1 코일체의 상면(212b)]에서 돌출형성되고, 상기 1차측 상부 코일소자(110)의 상부 공심(110a)의 내주면(110a')에 접촉하여서 1차측 상부 코일소자(110)의 상부 공심(110a)의 내주면을 잡아주게 된다.
상기 제1 외측 돌기(232)는 제1 내측 돌기(231)에서 외향으로 이격되어서 상기 제1 절연부(212)의 상면에서 돌출형성되고, 1차측 하부 코일소자(120)의 외주면(120b)에 접촉하여서 1차측 하부 코일소자(120)의 외주면(120b)을 잡아준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평판형 변압기에 있어서, 1차측 상부 코일소자(110)와 1차측 하부 코일소자(120)의 와이어를 1차측 단자핀(P1)으로 결선하기 위해서, 제1 코일체(210)의 제1 중앙공(210a) 또는 제2 코일체(220)의 제2 중앙공(220a)으로부터 상기 1차측 단자블록(240)으로 와이어를 안내하기 위한 와이어 삽입채널(251,252)이 요입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메인 공심 코일부(121)의 내측에서 종단되어서 1차측 단자핀(P1)에 결선하기 위해서 메인 공심 코일부(121)의 와이어는 상기 와이어 삽입채널(251,252)을 따라서 와이어 삽입채널(251,252)에 삽입되어서 상기 1차측 단자핀(P1)에 결선된다.
상기 보조 코일부(122)의 내측에서 종단되어서 1차측 단자핀(P1)에 결선하기 위한 보조 코일부(122)의 와이어는 상기 와이어 삽입채널(251,252)을 따라서 와이어 삽입채널(251,252)에 삽입되어서 상기 1차측 단자핀(P1)에 결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내측 돌기(231)에는 상기 와이어 삽입채널(251,252)과 연통되도록 통과 슬릿(261,26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메인 공심 코일부(121)의 와이어 및 보조 코일부(122)의 와이어는 상기 통과 슬릿(261,262)에 끼워져서 상기 와이어 삽입채널(251,252)에 삽입되어서 결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통과 슬릿(261,262)은 메인 공심 코일부(121)의 와이어와 보조 코일부(122)의 와이어를 각각 끼우기 위한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평판형 변압기에 있어서, 중앙공(310a)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홀딩 부재(231,232)에 의해서 홀딩되어서 상기 제1 코일체(210)의 일면에 안착되는 1차측 상부 코일소자(110)를 덮도록(커버하도록) 제1 코일체(210)에 결합하는 상부 덮개(310)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제1 내측 돌기(231)와 제1 외측 돌기(232)와 상부 덮개(310)가 형성하는 공간에 1차측 상부 코일소자(110)를 장입할 수 있어서 더욱더 안정적으로 실장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코일체(210)의 일면에는 제1 체결돌기(215)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 덮개(310)에는 상기 제1 체결돌기(215)에 체결되는 제1 체결공(310b)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상부 덮개(310)가 제1 코일체(210)의 일면에 결합된다.
상부 덮개(310)를 체결하는 방법으로는 위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접착제에 의한 방법이거나 또는 테이핑에 의한 방법으로도 체결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은 도 13 내지 도 1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평판형 변압기의 구성과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3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평판형 변압기는 1차측 코일소자의 사이에 2차측 코일소자가 삽입 구비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평판형 변압기는, 상기 1차측 하부 코일소자(120)는 상기 1차측 상부 코일소자(110)로부터 하방으로 이격되어서 위치하여서 1차측 상부 코일소자(110)와의 사이에 삽입공간(S1)을 형성하고, 상기 2차측 코일소자(200)는, 상기 1차측 상부 코일소자(110)와 1차측 하부 코일소자(120)의 사이에 형성되는 삽입공간(S1)에 삽입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상하의 2 개의 1차측 상부 코일소자(110)와 1차측 하부 코일소자(120)의 사이에 2차측 코일소자(200)를 삽입(insert)하는 구성에 의하면, 종래의 기술 즉, 2 개의 2차측 코일소자의 사이에 하나의 1차측 코일소자를 구성하는 기술에 비하여 손실 자계의 발생이 작아져서 1차측에서 2차측으로의 효율이 높아지는 이점이 있다.
상기 2차측 코일소자(200)는, 평판형으로 나선상 패턴으로 형성된 도전성 재질의 2차측 코일(211,221)과, 중앙에는 중앙통공(210a,220a)이 형성되도록 상기 2차측 코일(211,221)을 내장하여서 평판형으로 형성되는 합성수지 재질의 절연부(212,222)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2차측 코일소자(200)의 상면(212b)이 상기 1차측 상부 코일소자(110)에 접촉되고, 상기 2차측 코일소자(200)의 하면(222c)이 상기 1차측 하부 코일소자(120)에 접촉되어서, 상기 2차측 코일소자(200)가 상기 1차측 상부 코일소자(110)와 1차측 하부 코일소자(120)의 삽입공간(S1)에 삽입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1차측과 2차측 간의 결합력이 커지는 이점이 있다.
2차측 코일소자(200)는 하나의 2차측 코일소자(210)[ 또는 2차측 코일소자(220)]로 구성될 수도 있고, 또는 2 개의 2차측 코일소자(210,220)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이는 변압기의 출력에 따른 설계 사양에 의해서 결정되는 것이며, 어느 경우에나 본원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한다. 또한, 설계 사양에 따라서는 2차측 코일소자(210,220)가 3 개 이상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도 본원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평판형 변압기에 있어서는 상기 2차측 코일소자(200)이 2개로 구성되는 경우의 예를 들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1차측 상부 코일소자(110)는 제1 코일체(210)의 상면(212b)에 재치되고, 상기 제2 코일체(220)의 하면(222c)은 상기 1차측 하부 코일소자(120)의 상측이 밀착되도록 접촉된다.
상기 2차측 코일소자(200)의 상면(212b) 또는 하면(222c)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되어서 상기 상기 1차측 상부 코일소자(110)와 1차측 하부 코일소자(120)를 잡아주기 위한 홀딩 부재(235,236,237,238)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형 변압기.
상기 홀딩 부재(235,236,237,238)는, 제1 코일체(210)의 상면(212b)에서 상방으로 돌출되어서 형성되고, 제2 코일체(220)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어서 상기 1차측 상부 코일소자(110)와 1차측 하부 코일소자(120)를 잡아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홀딩 부재(235,236,237,238)는, 상기 제1 코일체(210)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어서 이탈이나 유격이 없이 구비되도록 1차측 상부 코일소자(110)를 잡아주기 위한 제1 홀딩 부재(235,236)와, 상기 제2 코일체(220)의 하면에서 제1 홀딩 부재(235,236)와 반대의 돌출 방향인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어서 이탈이나 유격이 없이 구비되도록 1차측 하부 코일소자(120)를 잡아주기 위한 제2 홀딩 부재(237,238)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홀딩 부재(235,236)는, 상기 제1 코일체(210)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1차측 상부 코일소자(110)의 상부 공심(110a)의 내주면에 접촉하여서 1차측 상부 코일소자(110)의 상부 공심(110a)의 내주면을 잡아주는 제1 내측 돌기(235)와, 상기 제1 내측 돌기(235)에서 수평방향의 외향으로 이격되어서 상기 제1 코일체(210)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돌출형성되고 1차측 상부 코일소자(110)의 외주면(110b)에 접촉하여서 1차측 상부 코일소자(110)의 외주면(110b)을 잡아주는 제1 외측 돌기(23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반대로, 상기 제2 홀딩 부재(237,238)는 상기 제2 코일체(220)의 타면[예컨대 하면(222c)]에서 수직방향의 타방(예컨대 하방)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1차측 하부 코일소자(120)의 하부 공심(120a)의 내주면에 접촉하여서 1차측 하부 코일소자(120)의 하부 공심(120a)의 내주면을 잡아주는 제2 내측 돌기(237)와, 상기 제2 내측 돌기(237)에서 수평방향의 외향으로 이격되어서 상기 제2 코일체(220)의 일면[예컨대 하면(222c)]에서 제2 내측 돌기(237)의 돌출 방향과 동일한 방향인 수직방향의 타방(예컨대 하방)으로 돌출형성되고, 1차측 하부 코일소자(120)의 외주면(120b)에 접촉하여서 1차측 하부 코일소자(120)의 외주면(120b)을 잡아주는 제2 외측 돌기(238)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변압기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211c)를 수용하기 위한 제2 수용홈(227)이 상기 제2 코일체(220)의 상면(222b)에 요입 형성되며, 상기 제2 연결부(221c)를 수용하기 위한 제1 수용홈(217)이 상기 제1 코일체(210)의 하면(212c)에 요입 형성되며, 상기 제1 코일체(210)의 하면(212c)과 상기 제2 코일체(220)의 상면(222b)은 밀착되도록 면접촉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2차측 코일소자(200)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홀딩 부재(235,236)에 의해서 홀딩되어서 상기 제1 코일체(210)의 일면에 안착되는 1차측 상부 코일소자(110)를 덮도록(커버하도록) 제1 코일체(210)에 결합하는 상부 덮개(310)가 더 포함됨은 전술한 제1 실시예와 같다.
그리고, 제2 실시예의 경우에는, 중앙공(320a)이 형성되고, 상기 제2 홀딩 부재(237,238)에 의해서 홀딩되어서 상기 제2 코일체(220)의 일면에 안착되는 1차측 하부 코일소자(120)를 덮도록(커버하도록) 제2 코일체(220)에 결합되는 하부 덮개(320)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코일체(220)의 일면에는 제2 체결돌기(225)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부 덮개(320)에는 상기 제2 체결돌기(225)에 체결되는 제2 체결공(320b)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하부 덮개(320)가 제2 코일체(220)의 일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변압기에 있어서, 상기 1차측 상부 코일소자(110)와 상기 1차측 하부 코일소자(120)의 와이어의 단면은 사각형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와이어가 밀집되어서 효율이 높아지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제1 코일체(210)와 제2 코일체(2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직렬 연결될 수 있다. 직렬 연결되는 경우에는 브릿지(Br)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된다.
한편, 제1 코일패턴부(212)와 제2 코일패턴부(222)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브릿지(Br)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될 수도 있는데, 이 브릿지(Br)에 의해서 제1 코일체(210)와 제2 코일체(220)는 직렬 구성되게 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제1 코일체(210)와 제2 코일체(220)가 브릿지(Br)에 의해서 연결되어서 직렬 구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물론 아니며, 제1 코일체(210)와 제2 코일체(220)가 연결 없이 병렬적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도 본원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해당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1차측 코일소자
110 : 1차측 상부 코일소자 110a : 상부 공심
110a' : 1차측 상부 코일소자의 내주면
110b : 1차 하부 코일소자의 외주면
120 : 1차측 하부 코일소자 120a : 하부 공심
120a' : 1차측 상부 코일소자의 내주면
120b : 1차측 하부 코일소자의 외주면
Pn : 연결핀 S1 : 삽입공간
111,121 : 메인 공심 코일부 111a,121a : 제1 공심
C1 : 상측 절연시트 C2 : 하측 절연시트
112,122 : 보조 코일부 112a,122a : 제2 공심
123 : 상측 차폐 코일부 123a : 제1 중앙공
124 : 하측 차폐 코일부 124a : 제2 중앙공
200 : 2차측 코일소자 210 : 제1 코일체
210 : 제1 코일체 211 : 제1 평판형 코일
211a : 제1 단자 211b : 제1 코일패턴부
211c : 제1 연결부 210a : 제1 중앙공
212 : 제1 절연부 212b : 제1 코일체의 상면
212c : 제1 코일체의 하면 215 : 제1 체결돌기
217 : 제1 수용홈 Br : 브릿지
220 : 제2 코일체 221 : 제2 평판형 코일
221a : 제2 단자 221b : 제2 코일패턴부
221c : 제2 연결부 220a : 제2 중앙공
222 : 제2 절연부 222b : 제2 코일체의 상면
222c : 제2 코일체의 하면 225 : 제2 체결돌기
227 : 제2 수용홈 231 : 제1 내측 돌기
232 : 제1 외측 돌기 233 : 제2 내측 돌기
234 : 제2 외측 돌기 235 : 제1 내측 돌기
236 : 제1 외측 돌기 237 : 제2 내측 돌기
238 : 제2 외측 돌기 P1 : 1차측 단자핀
P2 : 2차측 단자핀 240 : 1차측 단자블록
240a : 와이어 통과홈 251,252 : 와이어 삽입채널
261,262 : 통과 슬릿 310 : 상부 덮개
310a : 중앙공 310b : 제1 체결공
320 : 하부 덮개 320a : 중앙공
320b : 제2 체결공

Claims (10)

  1. 평판상의 1차측 상부 코일소자(110)와,
    상기 1차측 상부 코일소자(110)로부터 하방으로 접촉되거나 또는 이격되어서 위치하는 평판상의 1차측 하부 코일소자(120)와,
    상기 1차측 상부 코일소자(110)와 1차측 하부 코일소자(120)에 인가되는 전류에 의해서 유도전류가 발생되는 평판상의 2차측 코일소자(2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1차측 하부 코일소자(120)는, 상기 1차측 상부 코일소자(110)로부터 이격되어서 위치하여서 1차측 상부 코일소자(110)와의 사이에 삽입공간(S1)을 형성하고,
    상기 2차측 코일소자(200)는, 제1 코일체(210)와, 상기 제1 코일체(210)로부터 이격되는 제2 코일체(22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2차측 코일소자(200)의 제1 코일체(210)와 제2 코일체(220) 중에서 어느 하나의 코일체가 상기 삽입공간(S1)에 삽입 구비되며,
    상기 1차측 상하부 코일소자와 2차측 코일소자(200)가 상하방향에 대해서 교번적으로 위치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1차측 상부 코일소자(110)와 1차측 하부 코일소자(120)가 각각 결선되는 연결핀(Pn)이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고, 상기 1차측 상부 코일소자(110)와 1차측 하부 코일소자(120)는 상기 연결핀(Pn)에 의해서 직렬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1차측 하부 코일소자(120)는,
    상기 1차측 상부 코일소자(110)와 직렬 연결되고, 제1 공심(121a)이 중앙에 형성되어 있으며, 절연 코팅된 도전성의 와이어를 서로 접촉하여서 평판형으로 권선하여 형성된 메인 공심 코일부(121)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1차측 상부 코일소자(110)는,
    상기 1차측 하부 코일소자(120)의 메인 공심 코일부(121)와 직렬 연결되고 제1 공심(111a)이 중앙에 형성되어 있으며 절연 코팅된 도전성의 와이어를 서로 접촉하여서 평판형으로 권선하여 형성된 메인 공심 코일부(111)와,
    상기 메인 공심 코일부(111)의 위 또는 아래에 구비되고, 상기 메인 공심 코일부(111)의 제1 공심(111a)과 연통하도록 제2 공심(112a)이 중앙에 형성되어 있으며 절연 코팅된 도전성의 와이어를 서로 접촉하여서 평판형으로 권선하여 형성되는 보조 코일부(11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1차측 상부 코일소자(110)는, 제2 공심(112a)과 연통하도록 제1 중앙공(123a)이 중앙에 형성되어 있고 절연 코팅된 와이어를 서로 접촉하여서 평판형으로 권선하여 형성되는 EMI를 차폐하는 상측 차폐 코일부(113)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1차측 하부 코일소자(120)는, 상기 메인 공심 코일부(121)에 제1 공심(121a)과 연통하도록 제2 중앙공(124a)이 중앙에 형성되어 있고 절연 코팅된 와이어를 서로 접촉하여서 평판형으로 권선하여 형성되는 EMI를 차폐하는 하측 차폐 코일부(124)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며,
    상기 제1 코일체(210) 또는 제2 코일체(220)의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어서 상기 1차측 상부 코일소자(110)와 1차측 하부 코일소자(120)를 잡아주기 위한 홀딩 부재(231,232,233,234)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고,
    상기 홀딩 부재는,
    상기 제1 코일체(210) 및 제2 코일체(220)의 일면에서 외향으로 돌출 형성되어서 상기 1차측 상부 코일소자(110)와 1차측 하부 코일소자(120)를 잡아주며,
    상기 홀딩 부재는,
    상기 제1 코일체(210)의 일면에서 수직방향의 일방으로 돌출 형성되어서 이탈이나 유격이 없이 구비되도록 1차측 상부 코일소자(110)를 잡아주기 위한 제1 홀딩 부재(231,232)와,
    상기 제2 코일체(220)의 일면에서 제1 홀딩부재와 동일한 돌출 방향인 수직방향의 일방으로 돌출 형성되어서 이탈이나 유격이 없이 구비되도록 1차측 하부 코일소자(120)를 잡아주기 위한 제2 홀딩 부재(233,234)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 홀딩 부재(231,232)는,
    상기 제1 코일체(210)의 일면에서 수직방향의 일방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1차측 상부 코일소자(110)의 상부 공심(110a)의 내주면에 접촉하여서 1차측 상부 코일소자(110)의 상부 공심(110a)의 내주면을 잡아주는 제1 내측 돌기(231)와,
    상기 제1 내측 돌기(231)에서 수평방향의 외향으로 이격되어서 상기 제1 코일체(210)의 일면에서 수직방향의 일방으로 돌출형성되고, 1차측 상부 코일소자(110)의 외주면(110b)에 접촉하여서 1차측 상부 코일소자(110)의 외주면(110b)을 잡아주는 제1 외측 돌기(232)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 홀딩 부재(233,234)는,
    상기 제2 코일체(220)의 일면에서 수직방향의 일방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1차측 하부 코일소자(120)의 하부 공심(120a)의 내주면에 접촉하여서 1차측 하부 코일소자(120)의 하부 공심(120a)의 내주면을 잡아주는 제2 내측 돌기(233)와,
    상기 제2 내측 돌기(233)에서 수평방향의 외향으로 이격되어서 상기 제2 코일체(220)의 일면에서 수직방향의 일방으로 돌출형성되고, 1차측 하부 코일소자(120)의 외주면(120b)에 접촉하여서 1차측 하부 코일소자(120)의 외주면(120b)을 잡아주는 제2 외측 돌기(234)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 코일체(210)는,
    평판의 나선상 패턴으로 형성되는 제1 코일패턴부(211b)와, 상기 제1 코일패턴부(211b)의 일측에서 후방으로 U자형으로 벤딩되는 제1 연결부(211c)와, 상기 제1 연결부(211c)의 종단에 형성되는 제1 단자(211a)로 구성되는 제1 코일(211)과,
    중앙에는 제1 중앙통공(210a)이 형성되도록 제1 단자(211a)를 제외한 상기 제1 코일(211)을 내장하는 합성수지 재질의 제1 절연부(212)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 코일체(220)는,
    평판의 나선상 패턴으로 형성되는 제2 코일패턴부(221b)와, 상기 제2 코일패턴부(221b)의 일측에서 후방으로 U자형으로 벤딩되는 제2 연결부(221c)와, 상기 제2 연결부(221c)의 종단에 형성되는 제2 단자(221a)로 구성되는 제2 코일(221)과,
    중앙에는 제2 중앙통공(220a)이 형성되도록 제2 단자(221a)를 제외한 상기 제2 코일(221)을 내장하는 합성수지 재질의 제2 절연부(21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 코일체(210)의 상면(212b)은 상기 1차측 상부 코일소자(110)의 하면(110c)에 밀착가능하도록 면접촉되고, 상기 제2 코일체(220)의 하면(222c)은 상기 1차측 하부 코일소자(120)의 상면(120b)에 밀착가능하도록 면접촉되며,
    상기 제1 연결부(211c)는 상기 제1 코일패턴부(211b)의 일측 종단에서 하방으로 절곡된 후에 다시 후방으로 절곡되어서 U자형으로 벤딩되고, 상기 제2 연결부(221c)는 상기 제2 코일패턴부(221b)의 일측 종단에서 상방으로 절곡된 후에 다시 후방으로 절곡되어서 U자형으로 벤딩되어 있으며,
    상기 1차측 상부 코일소자(110)는 상기 제1 코일체(210)의 상면(212b)에 재치되고, 상기 1차측 하부 코일소자(120)는 상기 제2 코일체(220)의 상면(222b)에 재치되며,
    상기 제1 내측 돌기(231)는 상기 제1 절연부(212)의 상면(212b)에서 돌출형성되고, 상기 1차측 상부 코일소자(110)의 상부 공심(110a)의 내주면(110a')에 접촉하여서 1차측 상부 코일소자(110)의 상부 공심(110a)의 내주면을 잡아주며,
    상기 제1 외측 돌기(232)는 제1 내측 돌기(231)에서 외향으로 이격되어서 상기 제1 절연부(212)의 상면에서 돌출형성되고, 1차측 하부 코일소자(120)의 외주면(120b)에 접촉하여서 1차측 하부 코일소자(120)의 외주면(120b)을 잡아주며,
    상기 1차측 상부 코일소자(110)와 1차측 하부 코일소자(120)의 와이어를 1차측 단자핀(P1)으로 결선하기 위해서, 상기 제1 코일체(210)의 제1 중앙공(210a) 또는 제2 코일체(220)의 제2 중앙공(220a)으로부터 1차측 단자블록(240)으로 와이어를 안내하기 위한 와이어 삽입채널(251,252)이 요입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내측 돌기(231)에는 상기 와이어 삽입채널(251,252)과 연통되도록 통과 슬릿(261,26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메인 공심 코일부(121)의 와이어 및 보조 코일부(122)의 와이어는 상기 통과 슬릿(261,262)에 끼워져서 상기 와이어 삽입채널(251,252)에 삽입되어서 결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형 변압기.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홀딩 부재(231,232)에 의해서 홀딩되어서 상기 제1 코일체(210)의 일면에 안착되는 1차측 상부 코일소자(110)를 덮도록 제1 코일체(210)에 결합하는 상부 덮개(310)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형 변압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코일체(210)의 일면에는 제1 체결돌기(215)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 덮개(310)에는 상기 제1 체결돌기(215)에 체결되는 제1 체결공(310b)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상부 덮개(310)가 제1 코일체(210)의 일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형 변압기.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90037470A 2019-03-29 2019-03-29 평판형 변압기 KR1022812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7470A KR102281276B1 (ko) 2019-03-29 2019-03-29 평판형 변압기
PCT/KR2020/004002 WO2020204437A1 (ko) 2019-03-29 2020-03-24 평판형 변압기
KR1020200114195A KR102500130B1 (ko) 2019-03-29 2020-09-07 평판형 변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7470A KR102281276B1 (ko) 2019-03-29 2019-03-29 평판형 변압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4195A Division KR102500130B1 (ko) 2019-03-29 2020-09-07 평판형 변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4909A KR20200114909A (ko) 2020-10-07
KR102281276B1 true KR102281276B1 (ko) 2021-07-23

Family

ID=72666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7470A KR102281276B1 (ko) 2019-03-29 2019-03-29 평판형 변압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81276B1 (ko)
WO (1) WO202020443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7358B1 (ko) * 2020-12-08 2021-03-11 이지윤 평판형 변압기
KR102260817B1 (ko) * 2021-04-07 2021-06-07 주식회사 신라공업 자동차 차동제한장치 코일 앗세이용 절연지, 절연지를 이용한 자동차 차동제한장치 코일 앗세이 및 절연지를 이용한 자동차 차동제한장치 코일 앗세이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37416A (ja) * 2001-02-08 2002-08-23 Fuji Electric Co Ltd 電源トランスおよび電源トランスの製造方法
US20140292471A1 (en) 2013-04-02 2014-10-02 Bao Hui Science & Technology Co., Ltd. Transformer
KR101590132B1 (ko) * 2015-07-31 2016-02-01 삼성전기주식회사 트랜스포머, 및 판상 코일 성형체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6351B1 (ko) * 2007-01-24 2009-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변압기 및 밸룬
JP4800451B1 (ja) * 2011-06-10 2011-10-26 株式会社精電製作所 高周波トランス
KR101825222B1 (ko) 2015-10-21 2018-03-14 주식회사 에이텀 보호 코일 및 그를 이용하는 변압기
KR101579427B1 (ko) 2015-10-28 2015-12-22 주식회사 에이치에스씨 트랜스포머
KR20180110331A (ko) * 2017-03-28 2018-10-10 유원용 변압기용 평판형 2차 코일 소자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37416A (ja) * 2001-02-08 2002-08-23 Fuji Electric Co Ltd 電源トランスおよび電源トランスの製造方法
US20140292471A1 (en) 2013-04-02 2014-10-02 Bao Hui Science & Technology Co., Ltd. Transformer
KR101590132B1 (ko) * 2015-07-31 2016-02-01 삼성전기주식회사 트랜스포머, 및 판상 코일 성형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204437A1 (ko) 2020-10-08
KR20200114909A (ko) 2020-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09627B2 (en) Wireless power supply system and multi-layer shim assembly
KR102024849B1 (ko) 변압기용 평판형 2차 코일 소자 어셈블리
KR102281276B1 (ko) 평판형 변압기
KR102000249B1 (ko) 변압기용 1차 코일 소자 및 1,2차 코일 소자 일체형 변압기
KR101958648B1 (ko) 변압기용 평판형 2차 코일 소자 어셈블리 제조 방법
KR102227360B1 (ko) 변압기용 평판형 2차 코일소자
KR102159315B1 (ko) 평판형 변압기
KR102281274B1 (ko) 평판형 변압기
KR102500130B1 (ko) 평판형 변압기
KR102109367B1 (ko) 변압기
KR102226375B1 (ko) 평판형 변압기
KR102024851B1 (ko) 변압기
CN111083934B (zh) 变压器
JPH1154345A (ja) トランス
KR102359291B1 (ko) 평판형 변압기
KR102644201B1 (ko) 평판형 변압기용 1차측 코일 소자 및 평판형 변압기
KR102421596B1 (ko) 교차 삽입형 평판형 변압기
KR102281278B1 (ko) 변압기용 직렬 연결형 2차 코일 소자
US20220285069A1 (en) Base and transformer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500111B1 (ko) 평판형 변압기
KR102009434B1 (ko) 변압기용 평판형 2차 코일 소자 어셈블리
KR102256547B1 (ko) 변압기용 직렬 연결형 2차 코일 소자
JP5941717B2 (ja) 樹脂モールドコイル装置
KR102262613B1 (ko) 평판형 변압기용 코일체 어셈블리 및 평판형 변압기
KR20220067813A (ko) 변압기용 직렬 연결형 2차 코일 소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