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6375B1 - 평판형 변압기 - Google Patents

평판형 변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6375B1
KR102226375B1 KR1020190054099A KR20190054099A KR102226375B1 KR 102226375 B1 KR102226375 B1 KR 102226375B1 KR 1020190054099 A KR1020190054099 A KR 1020190054099A KR 20190054099 A KR20190054099 A KR 20190054099A KR 102226375 B1 KR102226375 B1 KR 1022263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mary
coil
substrate
upper substrate
coil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40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9538A (ko
Inventor
김은식
이준규
권창용
유동균
지상근
한택수
이정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솔루엠
주식회사 에이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솔루엠, 주식회사 에이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솔루엠
Priority to KR10201900540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6375B1/ko
Priority to US16/697,914 priority patent/US11783989B2/en
Publication of KR202001295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95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63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63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2Casings
    • H01F27/027Casing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of signal type inductors or transformers with electronic circuits, e.g. mounting on printed circuit boar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804Printed wind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847Sheets; Strips
    • H01F27/2852Construction of conductive connections, of lea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9Terminals; Tapping arrangements for signal induct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0Fastening or clamping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together; Fastening or mounting coils or windings on core, casing, or other support
    • H01F27/306Fastening or mounting coils or windings on core, casing or other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2Insulating of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2Insulating of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 H01F27/327Encapsulating or impregna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34Special means for preventing or reducing unwanted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e.g. no-load losses, reactive currents, harmonics, oscillations, leakage fields
    • H01F27/346Preventing or reducing leakage fiel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0/00Fixed transformers not covered by group H01F19/00
    • H01F30/06Fixed transformers not covered by group H01F19/00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6Mounting, supporting or suspend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not being of the signal type
    • H01F2027/065Mounting on printed circuit boar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804Printed windings
    • H01F2027/2809Printed windings on stacked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9Terminals; Tapping arrangements for signal inductances
    • H01F2027/297Terminals; Tapping arrangements for signal inductances with pin-like terminal to be inserted in hole of printed pat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4Magnetic co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ils Of Transformers For General Uses (AREA)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평판형 변압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도체패턴이 나선상으로 형성된 절연기판이 복수로 적층 구비되어 있는 1차측 상부 기판(110)과, 상기 1차측 상부 기판(110)의 하방에서 상기 1차측 상부 기판(110)과 접촉하거나 또는 이격되도록 위치하며, 도체패턴이 나선상으로 형성된 절연기판이 복수로 적층 구비되어 있는 1차측 하부 기판(120)과, 상기 1차측 상부 기판(110)과 1차측 하부 기판(120)에 인가되는 전류에 의해서 유도전류가 발생되는 평판상의 2차측 코일소자(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이에 의하면 손실 자계의 발생이 작아져서 1차측에서 2차측으로의 효율이 높아지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평판형 변압기{A PLANAR TRANSFORMER}
본 발명은 변압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충전기나 어댑터에 사용되는 평판형 변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변압기(transformer)는 1차측 코일(primary coil)과 2차측 코일(secondary coil)을 가지며 일반적으로 1차측 코일은 입력단으로 이용되고 2차 측 코일은 출력단으로 이용된다.
변압기 중에서 휴대전화 충전기 등에서 이용되는 소형의 변압기와 관련하여서 제안된 기술이 등록특허 제10-1579427호(공고일: 2015년 12월 22일)에 의한 "트랜스포머)가 개시되어 있다.
위 제10-1579427호에 의한 변압기의 경우에는 변압기용 1차측 상하부 기판을 절연기판에 도전성 재료를 패턴화하여서 구현되는 소위 "PCB형 1차측 상하부 기판"으로 구성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PCB형 1차측 상하부 기판은 절연기판에 동박을 입히고 에칭 등의 방법으로 코일 회로 패턴을 형성하는 방법으로 제작되고 있다.
그러나, 위 제10-1579427호에 의한 변압기는 2 개의 2차측 코일소자 사이에 1차측 상하부 기판을 인서트하는 구조를 채택하고 있어서, 손실 자계의 발생과 1차측에서 2차측으로의 효율의 문제가 있었다. 또한 2차측 코일소자가 아래 위로 분리되어 있어서 전체적으로 제품[변압기]의 높이가 높아진다는 것도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그리고, 종래 기술에 의한 PCB형 1차측 코일 소자는 PCB기판에 회로 패턴을 형성하므로 기본적으로 제작 기간이 길어서 단납기 제작에는 부적합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PCB형 1차측 코일 소자는 기본적으로 PCB기판에 패턴화하므로 설계 다변화(제품 튜닝)에 대처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회로 패턴의 턴수가 많아지는 경우 층(LAYER)이 많아지고 PCB기판의 두께가 커져서 1차측 코일 소자의 부피가 커지는 문제가 있었고, PCB기판의 가격이 상승하여서 제품의 코스트가 올라가는 문제가 있었다.
문헌1: 등록특허공보 10-1579427(공고일: 2015. 12. 22.) 문헌2: 공개특허공보 10-2016-0041837(공개일: 2016.04.18.)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평판형 변압기의 목적은,
첫째, 1차측 기판을 1차측 상부 기판과 1차측 하부 기판으로 분리 구성함으로써, 1차측 상하부 기판이 2차측 코일소자에 밀착되는 면적을 넓혀서 손실(leakage)을 줄일 수 있고 효율을 더 높일 수 있도록 하고,
둘째, 1차측 상하부 기판과 2차측 코일소자를 교번적으로(지그재그 방식으로) 배치함으로써 누설 자계를 현격하게 줄일 수 있도록 하여서 1차측 상하부 기판에서 2차측 코일소자로의 효율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며,
셋째, 상하의 2 개의 1차측 상부 기판과 1차측 하부 기판의 사이에 2차측 코일소자를 삽입 구성함으로써, 손실 자계의 발생이 작아져서 1차측에서 2차측으로의 효율이 높아질 수 있도록 하고,
넷째, 2 개의 연결부를 U자형으로 벤딩 형성함으로써 1차측 상하부 기판과 2차측 코일소자 간의 거리를 더욱더 좁게 할 수 있도록 하며,
다섯째, 금속재질의 연결핀의 구성에 의해서 1차측 상부 기판과 1차측 하부 기판을 직렬 연결함으로써, 2 개의 이격된 1차측 상하부 기판의 연결을 간편하고 쉽게 그리고 신뢰성 있게 할 수 있도록 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평판형 변압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평판형 변압기는, 도체패턴이 나선상으로 형성된 절연기판이 복수로 적층 구비되어 있는 1차측 상부 기판과, 상기 1차측 상부 기판의 하방에서 상기 1차측 상부 기판과 접촉하거나 또는 이격되도록 위치하며, 도체패턴이 나선상으로 형성된 절연기판이 복수로 적층 구비되어 있는 1차측 하부 기판과, 상기 1차측 상부 기판과 1차측 하부 기판에 인가되는 전류에 의해서 유도전류가 발생되는 평판상의 2차측 코일소자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인 평판형 변압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1차측 기판을 1차측 상부 기판과 1차측 하부 기판으로 분리 구성함으로써, 1차측 상하부 기판이 2차측 코일소자에 밀착되는 면적을 넓혀서 손실(leakage)을 줄일 수 있고 효율을 더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1차측 상하부 기판과 2차측 코일소자를 교번적으로(지그재그 방식으로) 배치함으로써 누설 자계를 현격하게 줄일 수 있도록 하여서 1차측 상하부 기판에서 2차측 코일소자로의 효율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상하의 2 개의 1차측 상부 기판과 1차측 하부 기판의 사이에 2차측 코일소자를 삽입 구성함으로써, 손실 자계의 발생이 작아져서 1차측에서 2차측으로의 효율이 높아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2 개의 연결부를 U자형으로 벤딩 형성함으로써 1차측 상하부 기판과 2차측 코일소자 간의 거리를 더욱더 좁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금속재질의 연결핀의 구성에 의해서 1차측 상부 기판과 1차측 하부 기판을 직렬 연결함으로써, 2 개의 이격된 1차측 상하부 기판의 연결을 간편하고 쉽게 그리고 신뢰성 있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평판형 변압기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있어서 1차측 상하부 기판(100:110,120)과 2차측 코일소자(200)의 분리도이다.
도 4는 도 1의 전후방 방향으로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평판형 변압기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 있어서 1차측 상하부 기판(100:110,120)과 2차측 코일소자(200)의 분리도이다.
도 7은 도 6의 전후방 방향으로의 단면도이다.
도 8은 2차측 코일소자(200)에 있어서 제1 코일체(210)와 제2 코일체(220)가 펼쳐진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9는 2차측 코일소자(200)에 있어서 제1 코일(211)과 제2 코일(221)의 사시도이다.
다음은 본 발명인 평판형 변압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평판형 변압기는 충전기나 어댑터의 메인PCB에 실장되어서 충전기나 어댑터용으로 사용되는 변압기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변압기는, 도체패턴이 나선상으로 형성된 절연기판이 복수로 적층 구비되어 있는 1차측 상부 기판(110)과, 상기 1차측 상부 기판(110)의 하방에서 상기 1차측 상부 기판(110)과 접촉하거나 또는 이격되도록 위치하며, 도체패턴이 나선상으로 형성된 절연기판이 복수로 적층 구비되어 있는 1차측 하부 기판(120)과, 상기 1차측 상부 기판(110)과 1차측 하부 기판(120)에 인가되는 전류에 의해서 유도전류가 발생되는 평판상의 2차측 코일소자(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1차측 상부 기판(110)과 1차측 상부 기판(120)을 포함하는 구성을 1차측 기판(110)이라고 한다.
상기 1차측 상부 기판(110)과 1차측 하부 기판(120)은 금속재질의 도체패턴이 나선상으로 형성된 절연기판(미도시)이 복수로 적층 구비된 다층 인쇄회로기판(MLB: multilayer printed circuit board)이다.
상기 1차측 상부 기판(110)과 1차측 하부 기판(120)의 중앙에는 각각 제1 중앙공(110a)과 제2 중앙공(120a)이 형성되어 있어서, 자기코어가 삽입되도록 하고 있다.
상기 1차측 상부 기판(110)과 1차측 하부 기판(120)은 직렬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1차측 코일이 병렬 연결되는 경우에 비하여, 권선수를 줄여서 제품[변압기]의 높이를 낮출 수 있고 제품의 사이즈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1차측 상부 기판(110)과 1차측 하부 기판(120)에는 예컨대 4 개의 1차측 단자핀(P1)이 연결되어 있는데, 이 1차측 단자핀(P1)이 변압기가 실장되는 완제품[예컨대 충전기 또는 어댑터]의 메인 PCB(미도시)에 결선되어서 전류를 공급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변압기는, 상기 1차측 상부 기판(110)의 비어(via) 단자(Ta)와 1차측 하부 기판(120)의 비어 단자(Tb)에 접속하는 금속재질의 도전성 연결핀(130)에 의해서 상기 1차측 상부 기판(110)과 1차측 하부 기판(120)이 직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1차측 상부 기판(110)과 2차측 상부 코일소자(120)의 직렬 연결을 편리하고 간단하고 구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평판형 변압기에 있어서, 상기 2차측 코일소자(200)는, 2차측 코일(211,221)을 사출금형(미도시)의 캐비티(미도시)에 인서트한 상태에서 성형 수지를 주입하여서 절연부(212,222)를 형성함과 동시에 2차측 코일(211,221)을 내장하는 인서트 몰딩에 의해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2차측 코일(211,221)은, 평판의 나선상 패턴으로 형성되는 코일패턴부(211b,221b)와, 상기 코일패턴부(211b,221b)의 일측 종단에서 U자형으로 벤딩되는 연결부(211c,221c)와, 상기 연결부(211c,221c)의 종단에 형성되는 단자(211a,221a)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연결부(211c,221c)는 코일패턴부(211b,221b)의 일측 종단에서 내측으로 절곡된 후에 다시 후방[단자가 있는 방향]으로 절곡되는 U자형으로 벤딩되고, 상기 2차측 코일소자(200)의 상면(210b)과 하면(220c)은 돌출부가 없는 평탄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연결부(211c,221c)를 U자형으로 벤딩 형성하고 2차측 코일소자(200)의 상면(210b)과 하면(220c)을 돌출부가 없는 평탄형으로 형성함으로써, 1차측 코일소자(110,120)와 2차측 코일소자(200)가 면접촉됨과 동시에 밀착될 수 있고, 그 결과 1차측 코일소자(110,120)와 2차측 코일소자(200) 간의 거리가 매우 좁아져서 자기 결합력이 우수해지고 또한 제품의 높이가 낮아지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절연부(212,222)는 단자(211a,221a)를 제외하고 2차측 코일소자의 코일(211,212)을 내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2차측 코일소자(200)는, 제1 코일체(210)와 상기 제1 코일체(210)로부터 아래로 이격되는 제2 코일체(220)로 구성되는데, 이 제1 코일체(210)와 제2 코일체(22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제1 코일체(210)는 평판의 나선상 패턴으로 형성되는 제1 코일패턴부(211b)와, 상기 제1 코일패턴부(211b)의 일측 종단에서 절곡된 후에 다시 후방으로 절곡되어서 U자형으로 벤딩되는 제1 연결부(211c)와, 상기 제1 연결부(211c)의 종단에 형성되는 제1 단자(211a)로 구성되는 제1 코일(211)과, 중앙에는 제1 중앙통공(210a)이 형성되도록 제1 단자(211a)를 제외한 상기 제1 코일(211)을 내장하는 합성수지 재질의 제1 절연부(2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2 코일체(220)는 평판의 나선상 패턴으로 형성되는 제2 코일패턴부(221b)와, 상기 제2 코일패턴부(221b)의 일측 종단에서 절곡된 후에 다시 후방으로 절곡되어서 U자형으로 벤딩되는 제2 연결부(221c)와, 상기 제2 연결부(221c)의 종단에 형성되는 제2 단자(221a)로 구성되는 제2 코일(221)과, 중앙에는 제2 중앙통공(220a)이 형성되도록 제2 단자(221a)를 제외한 상기 제2 코일(221)을 내장하는 합성수지 재질의 제2 절연부(21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후방으로 U 벤딩되는 제1 연결부(211c)와 제2 연결부(221c)는 서로 겹치지 않도록 U 벤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2차측 코일소자(200)의 두께를 낮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음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평판형 변압기 특유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평판형 변압기는 1차측 코일소자와 2차측 코일소자가 지그재그로 배치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평판형 변압기는, 상기 1차측 하부 기판(120)은, 상기 1차측 상부 기판(110)으로부터 하방으로 이격되어서 위치하여서 1차측 상부 기판(110)과의 사이에 삽입공간(S1)을 형성하고, 상기 2차측 코일소자(200)는, 제1 코일체(210)와, 상기 제1 코일체(210)로부터 이격되어서 위치하는 제2 코일체(22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2차측 코일소자(200)의 제1 코일체(210)와 제2 코일체(220) 중에서 어느 하나의 코일체(210,220)가 상기 삽입공간(S1)에 삽입 구비되어서, 상기 1차측 상하부 기판(110,120)과 2차측 코일소자(200)가 상하방향[수직방향]에 대해서 교번적으로(지그재그) 배열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교번적으로 구비된다"는 것은 상기 1차측 상부 기판(110)과 1차측 하부 기판(120) 중의 하나는 서로 마주보는 상기 제1 코일체(210)와 제2 코일체(220)의 사이에 접하여서 구비되고, 나머지 하나는 제1 코일체(210)의 상면 또는 제2 코일체(220)의 하면에 접하여서 배치되는 것을 의미한다.
예컨대, 위에서 아래로의 방향으로 1차측 상부 기판(110), 제1 코일체(210), 1차측 하부 기판(120) 및 제2 코일체(220)의 순서로 배치하거나[도 1 내지 도 4 참조], 또는 제1 코일체(210), 1차측 상부 기판(110), 제2 코일체(220) 및 1차측 하부 기판(120)의 순서로 배치하는 경우이다.
상기와 같이 1차측 상하부 기판(110,120)과 2차측 코일소자(200)를 교번적으로 배치하는 구성에 의하면 손실 자계의 발생이 현격하게 작아져서 1차측에서 2차측으로의 효율이 현격하게 높아지는 이점이 있다.
종래 기술에서와 같이 2차측 코일소자의 상측과 하측의 사이에 1차측 코일소자를 배치하게 되면, 2차측 코일소자의 2면(2차측 코일소자의 총 4 면 즉, 상측 위와 아래의 2 면과 하측의 위와 아래의 2 면 중에서 상측 아래의 한면과 하측 위의 한면 총 2면에 접함)에 1차코일이 접하게 되지만, 상기와 같이 1차측 코일소자와 2차측 코일소자를 지그재그로 배치하면 3면에 1차측 코일소자가 접하게 된다.
즉, 종래와 같이 2차측 코일의 중간에 2개의 면이 접하고, 2차측 코일의 상측이나 하측의 바깥쪽에 1면이 추가로 접하게 되어서 총 3면이 접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3면이 접하게 되면 상대적으로 1차측 코일소자와 2차측 코일소자 간에 접하는 면적이 넓어져서 손실(leakage)을 훨씬 더 줄일 수 있게 되고 효율이 더 좋아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평판형 변압기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211c)는 상기 제1 코일패턴부(211b)의 일측 종단에서 내향[하방]으로 절곡된 후에 다시 후방으로 절곡되어서 U자형으로 벤딩되고, 상기 제2 연결부(221c)는 제2 코일패턴부(221b)의 일측 종단에서 내향[상방]으로 절곡된 후에 다시 후방으로 절곡되어서 U자형으로 벤딩되어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실시예에 따라서는, 제1 연결부(211c)와 제2 연결부(221c)는 모두 동일한 방향 예컨대 모두 상방향이나 하방향으로 절곡된 후에 다시 후방으로 절곡되어서 U자형으로 벤딩되어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에 의하면, 1차측 기판과 지지그재로 배치되는 구조에서 제1 연결부(211c)와 제2 연결부(221c)가 서로 겹치지 않도록 제작할 수 있어서 높이를 최대한 낮출 수 있게 된다.
다음은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평판형 변압기의 구성과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평판형 변압기는 1차측 상하부 기판의 사이에 2차측 코일소자가 삽입 구비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평판형 변압기는, 상기 1차측 하부 기판(120)은 상기 1차측 상부 기판(110)로부터 하방으로 이격되어서 위치하여서 1차측 상부 기판(110)과의 사이에 삽입공간(S1)을 형성하고, 상기 2차측 코일소자(200)는 상기 1차측 상부 기판(110)과 1차측 하부 기판(120)의 사이에 형성되는 삽입공간(S1)에 삽입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상하의 2 개의 1차측 상부 기판(110)과 1차측 하부 기판(120)의 사이에 2차측 코일소자(200)를 삽입(insert)하는 구성에 의하면, 종래의 기술 즉, 2 개의 2차측 코일소자의 사이에 하나의 1차측 코일소자를 구성하는 기술에 비하여 손실 자계의 발생이 작아져서 1차측에서 2차측으로의 효율이 높아지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평판형 변압기에 있어서, 2차측 코일소자(200)는 하나의 2차측 코일소자(210)[ 또는 2차측 코일소자(220)]로 구성될 수도 있고, 또는 2 개의 2차측 코일소자(210,220)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이는 변압기의 출력에 따른 설계 사양에 의해서 결정되는 것이며, 어느 경우에나 본원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한다. 또한, 설계 사양에 따라서는 2차측 코일소자(210,220)가 3 개 이상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도 본원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평판형 변압기에 있어서는 상기 2차측 코일소자(200)가 2개로 구성되는 경우의 예를 들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제2 코일체(220)의 하면(220c)은 상기 1차측 하부 기판(120)의 상면(120b)에 밀착가능하도록 면접촉되며, 상기 2차측 코일소자(200)가 상기 1차측 상부 기판(110)과 1차측 하부 기판(120)의 삽입공간(S1)에 삽입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1차측과 2차측 간의 결합력이 커지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평판형 변압기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211c)는 상기 제1 코일패턴부(211b)의 일측 종단에서 하방으로 절곡된 후에 다시 후방으로 절곡되어서 U자형으로 벤딩되고, 상기 제2 연결부(221c)는 상기 제2 코일패턴부(221b)의 일측 종단에서 상방으로 절곡된 후에 다시 후방으로 절곡되어서 U자형으로 벤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1 연결부(211c)는 제1 코일패턴부(211b)의 일측 종단에서 하방으로 U 절곡된 후에 사선으로 후방 절곡 형성되어서 U자형으로 벤딩되고, 상기 제2 연결부(221c)는 제2 코일패턴부(221b)의 일측 종단에서 상방으로 절곡된 후에 직선으로 후방 절곡되어서 U자형으로 벤딩됨으로써, 제1 연결부(211c)와 제2 연결부(221c)는 서로 겹치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좁은 면적에서도 제1 연결부(211c)와 제2 연결부(221c)가 서로 겹치지 않도록 제작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1차측 상하부 기판(110,120) 사이에 2차측 코일소자(200)를 삽입 배치하는 제2 실시예의 경우에는 연결부(211c,221c)가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하면서 동시에 제1,2 연결부(211c,221c)를 내향으로 절곡함으로써 제품의 두께를 낮출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제1 단자(211a) 및 제2 단자(221a)에 각각 결선되어서 변압기가 실장되는 완제품[예컨대 충전기 또는 어댑터]의 메인 PCB(미도시)에 연결되는 2차측 단자핀(P2)이 구비된다.
그리고, 제1 코일체(210)와 제2 코일체(2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직렬 연결될 수 있다. 직렬 연결되는 경우에는 브릿지(Br)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된다.
한편, 제1 코일패턴부(212)와 제2 코일패턴부(222)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브릿지(Br)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될 수도 있는데, 이 브릿지(Br)에 의해서 제1 코일체(210)와 제2 코일체(220)는 직렬 구성되게 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제1 코일체(210)와 제2 코일체(220)가 브릿지(Br)에 의해서 연결되어서 직렬 구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물론 아니며, 제1 코일체(210)와 제2 코일체(220)가 연결 없이 병렬적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도 본원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해당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1차측 기판 S1 : 1차측 기판의 삽입공간
110 : 1차측 상부 기판 110a : 제1 중앙공
110c : 1차측 상부 기판의 하면 120 : 1차측 하부 기판
120a : 제2 중앙공 120b : 1차측 하부 기판의 상면
130 : 연결핀
Ta : 1차측 상부 기판의 비어 단자
Tb : 1차측 하부 기판의 비어 단자
200 : 2차측 코일소자 210 : 제1 코일체
210a : 제1 중앙통공 210b : 2차측 코일소자의 상면
211 : 제1 코일 211a : 제1 단자
211b : 제1 코일패턴부 211c : 제1 연결부
212 : 제1 절연부 220 : 제2 코일체
220a : 제2 중앙통공 220c : 2차측 코일소자의 하면
221 : 제2 코일 221a : 제2 단자
221b : 제2 코일패턴부 221c : 제2 연결부
222 : 제2 절연부 P1 : 1차측 단자핀
P2 : 2차측 단자핀

Claims (7)

  1. 도체패턴이 나선상으로 형성된 절연기판이 복수로 적층 구비되어 있는 1차측 상부 기판(110)과,
    상기 1차측 상부 기판(110)의 하방에서 상기 1차측 상부 기판(110)과 접촉하거나 또는 이격되도록 위치하며, 도체패턴이 나선상으로 형성된 절연기판이 복수로 적층 구비되어 있는 1차측 하부 기판(120)과,
    상기 1차측 상부 기판(110)과 1차측 하부 기판(120)에 인가되는 전류에 의해서 유도전류가 발생되는 평판상의 2차측 코일소자(2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1차측 하부 기판(120)은, 상기 1차측 상부 기판(110)으로부터 하방으로 이격되어서 위치하여서 1차측 상부 기판(110)과의 사이에 삽입공간(S1)을 형성하고,
    상기 2차측 코일소자(200)는, 제1 코일체(210)와, 상기 제1 코일체(210)로부터 이격되어서 위치하는 제2 코일체(22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2차측 코일소자(200)의 제1 코일체(210)와 제2 코일체(220) 중에서 어느 하나의 코일체(210,220)가 상기 삽입공간(S1)에 삽입 구비되어서, 상기 1차측 상하부 기판(110,120)과 상기 제1 코일체(210) 및 제2 코일체(220)가 상하방향에 대해서 지그재그 배열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1차측 상부 기판(110)과 1차측 하부 기판(120) 중의 하나는 서로 마주보는 상기 제1 코일체(210)와 제2 코일체(220)의 사이에 접하여서 구비되고, 상기 1차측 상부 기판(110)과 1차측 하부 기판(120) 중의 나머지 하나는 상기 제1 코일체(210)의 상면 또는 제2 코일체(220)의 하면에 접하여서 지그재그로 배치되며,
    상기 제1 코일체(210)는,
    평판의 나선상 패턴으로 형성되는 제1 코일패턴부(211b)와, 상기 제1 코일패턴부(211b)의 일측 종단에서 절곡된 후에 다시 후방으로 절곡되어서 U자형으로 벤딩되는 제1 연결부(211c)와, 상기 제1 연결부(211c)의 종단에 형성되는 제1 단자(211a)로 구성되는 제1 코일(211)과,
    중앙에는 제1 중앙통공(210a)이 형성되도록 제1 단자(211a)를 제외한 상기 제1 코일(211)을 내장하는 합성수지 재질의 제1 절연부(212)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 코일체(220)는,
    평판의 나선상 패턴으로 형성되는 제2 코일패턴부(221b)와, 상기 제2 코일패턴부(221b)의 일측 종단에서 절곡된 후에 다시 후방으로 절곡되어서 U자형으로 벤딩되는 제2 연결부(221c)와, 상기 제2 연결부(221c)의 종단에 형성되는 제2 단자(221a)로 구성되는 제2 코일(221)과,
    중앙에는 제2 중앙통공(220a)이 형성되도록 제2 단자(221a)를 제외한 상기 제2 코일(221)을 내장하는 합성수지 재질의 제2 절연부(21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후방으로 U 벤딩되는 제1 연결부(211c)와 제2 연결부(221c)는 서로 겹치지 않도록 U 벤딩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연결부(211c)는, 상기 제1 코일패턴부(211b)의 일측 종단에서 내향으로 절곡된 후에 다시 후방으로 절곡되어서 U자형으로 벤딩되고,
    상기 제2 연결부(221c)는, 상기 제2 코일패턴부(221b)의 일측 종단에서 내향으로 절곡된 후에 다시 후방으로 절곡되어서 U자형으로 벤딩되어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형 변압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1차측 상부 기판(110)과 1차측 하부 기판(120)은 직렬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형 변압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1차측 상부 기판(110)의 비어(via) 단자(Ta)와 1차측 하부 기판(120)의 비어 단자(Tb)에 접속하는 도전성 연결핀(130)에 의해서 상기 1차측 상부 기판(110)과 1차측 하부 기판(120)이 직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형 변압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1차측 상부 기판(110)과 1차측 하부 기판(120)에는 4 개의 1차측 단자핀(P1)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1차측 단자핀(P1)이 변압기가 실장되는 완제품의 메인 PCB에 결선되어서 전류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형 변압기.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90054099A 2019-05-09 2019-05-09 평판형 변압기 KR1022263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4099A KR102226375B1 (ko) 2019-05-09 2019-05-09 평판형 변압기
US16/697,914 US11783989B2 (en) 2019-05-09 2019-11-27 Transform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4099A KR102226375B1 (ko) 2019-05-09 2019-05-09 평판형 변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9538A KR20200129538A (ko) 2020-11-18
KR102226375B1 true KR102226375B1 (ko) 2021-03-11

Family

ID=73046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4099A KR102226375B1 (ko) 2019-05-09 2019-05-09 평판형 변압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783989B2 (ko)
KR (1) KR10222637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9129260B4 (de) * 2019-10-30 2021-06-10 Infineon Technologies Ag Schaltung mit Transformator und entsprechendes Verfahr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10653A (ja) * 1999-10-04 2001-04-20 Taida Electronic Ind Co Ltd 変圧器
KR101590132B1 (ko) * 2015-07-31 2016-02-01 삼성전기주식회사 트랜스포머, 및 판상 코일 성형체
KR101958648B1 (ko) * 2018-03-15 2019-07-02 주식회사 에이텀 변압기용 평판형 2차 코일 소자 어셈블리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86628A (ja) * 2002-12-06 2004-07-02 Koito Mfg Co Ltd トランス
US7872560B2 (en) * 2007-03-19 2011-01-18 Abc Taiwan Electronics Corp. Independent planar transformer
US20160225514A1 (en) * 2015-02-04 2016-08-04 Astec International Limited Power transformer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ransformers and windings
KR101825222B1 (ko) 2015-10-21 2018-03-14 주식회사 에이텀 보호 코일 및 그를 이용하는 변압기
KR101579427B1 (ko) 2015-10-28 2015-12-22 주식회사 에이치에스씨 트랜스포머
KR20180110331A (ko) * 2017-03-28 2018-10-10 유원용 변압기용 평판형 2차 코일 소자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10653A (ja) * 1999-10-04 2001-04-20 Taida Electronic Ind Co Ltd 変圧器
KR101590132B1 (ko) * 2015-07-31 2016-02-01 삼성전기주식회사 트랜스포머, 및 판상 코일 성형체
KR101958648B1 (ko) * 2018-03-15 2019-07-02 주식회사 에이텀 변압기용 평판형 2차 코일 소자 어셈블리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357564A1 (en) 2020-11-12
US11783989B2 (en) 2023-10-10
KR20200129538A (ko) 2020-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33774B2 (en) Method for making magnetics assembly including transformer
US20120049991A1 (en) Wireless power supply system and multi-layer shim assembly
US20080232078A1 (en) Electrical component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KR101958648B1 (ko) 변압기용 평판형 2차 코일 소자 어셈블리 제조 방법
KR102226375B1 (ko) 평판형 변압기
KR102281276B1 (ko) 평판형 변압기
JPH06163266A (ja) 薄型トランス
KR102159315B1 (ko) 평판형 변압기
KR102500130B1 (ko) 평판형 변압기
KR100951785B1 (ko) 코일제품의 세퍼레이터 결합구조
KR102359291B1 (ko) 평판형 변압기
KR102281274B1 (ko) 평판형 변압기
KR102024851B1 (ko) 변압기
KR102281278B1 (ko) 변압기용 직렬 연결형 2차 코일 소자
US20220285069A1 (en) Base and transformer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009434B1 (ko) 변압기용 평판형 2차 코일 소자 어셈블리
KR102256547B1 (ko) 변압기용 직렬 연결형 2차 코일 소자
KR102421596B1 (ko) 교차 삽입형 평판형 변압기
KR101009650B1 (ko) 집약형 평면 트랜스포머
KR20220067813A (ko) 변압기용 직렬 연결형 2차 코일 소자
KR102352174B1 (ko) 코일 부품
KR102233041B1 (ko) 전력 변환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83096B1 (ko) 평판형 변압기
CN210805472U (zh) 磁感应元件
TWI705465B (zh) 磁感應線圈模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