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6547B1 - 변압기용 직렬 연결형 2차 코일 소자 - Google Patents

변압기용 직렬 연결형 2차 코일 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6547B1
KR102256547B1 KR1020190138281A KR20190138281A KR102256547B1 KR 102256547 B1 KR102256547 B1 KR 102256547B1 KR 1020190138281 A KR1020190138281 A KR 1020190138281A KR 20190138281 A KR20190138281 A KR 20190138281A KR 102256547 B1 KR102256547 B1 KR 1022565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il
series
pattern part
coil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82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52828A (ko
Inventor
한택수
이정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텀
한택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텀, 한택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텀
Priority to KR10201901382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6547B1/ko
Priority to KR1020200080227A priority patent/KR102281278B1/ko
Priority to CN202011145846.6A priority patent/CN112786288A/zh
Publication of KR202100528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28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65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65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823Wires
    • H01F27/2828Construction of conductive connections, of lea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847Sheets; Strip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2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without magnetic co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847Sheets; Strips
    • H01F27/2852Construction of conductive connections, of lea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9Terminals; Tapping arrangements for signal induct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34Special means for preventing or reducing unwanted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e.g. no-load losses, reactive currents, harmonics, oscillations, leakage fie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ils Of Transformers For General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변압기용 직렬 연결형 2차 코일 소자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서로 접촉되지 않는 금속라인이 평면 스파이럴 패턴으로 형성된 하부 코일패턴부(111)와, 상기 하부 코일패턴부(111)의 일단에 형성되고 하부 단자공(112a)이 형성되어서 완제품의 메인PCB에 2차측 단자연결핀에 의해서 연결되는 하부 메인단자(112)와, 상기 하부 코일패턴부(111)의 타단에 형성되는 하부 직렬단자(11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하부 평판형 코일(110); 서로 접촉되지 않는 금속라인이 평면 스파이럴 패턴으로 형성된 상부 코일패턴부(121)와, 상기 상부 코일패턴부(121)의 일단에 형성되고 상부 단자공(122a)이 형성되어서 완제품의 메인PCB에 2차측 단자연결핀에 의해서 연결되는 상부 메인단자(122)와, 상기 상부 코일패턴부(121)의 타단에 형성되는 상부 직렬단자(12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상부 평판형 코일(12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하부 직렬단자(113)와 상부 직렬단자(123)가 서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하부 평판형 코일(110)과 상부 평판형 코일(120)이 직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이에 의하면 서로 다른 별개의 구성인 상하부 평판 코일을 간편하게 직렬 연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변압기용 직렬 연결형 2차 코일 소자{PLANARY SECONDARY COIL ASSEMBLY FOR TRANSFORMER}
본 발명은 변압기용 코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서로 다른 별개의 구성인 상하부 평판 코일을 간편하게 직렬 연결할 수 있도록 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변압기용 평판형 2차 코일 소자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변압기(transformer)는 1차 측(primary)과 2차 측(secondary)를 가지며 일반적으로 1차 측은 입력단으로 이용되고 2차 측은 출력단으로 이용된다.
변압기 중 휴대전화 충전기 등에서 이용되는 소형의 변압기는 코일로서 삼중 절연 전선(triple insulated wire)를 감은 코일을 이용(특히, 2차 측으로 이용함)한다.
그러나, 삼중 절연 전선으로 감은 코일은 전선의 피복을 사람이 직접 벗겨야 하는 등 대량 생산에 어려움이 있고, 삼중 절연 전선이 균일하게 감기지 않아 불량률이 높은 문제가 있었는데, 이러한 삼중 절연 전선을 감은 코일의 일부 문제를 해결한 코일로서, 인쇄 회로 기판(PCB : Printed Circuit Board)에 프린팅된 코일이 있는데, 이 인쇄 회로 기판 코일은, 대량 생산이 용이하지만, 좁은 면적으로 인해 전류 용량이 낮고, 충분하게 절연되지 않아 삼중 절연 전선을 이용한 코일에 비해 절연 내압이 좋지 않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기술이 공개특허공보 10-2016-0041837(공개일: 2016.04.18.)에 의한 "보호 코일 및 그를 이용하는 변압기와, 등록특허공보 10-1579427(공고일: 2012.12.22.)에 의한 "트랜스포머"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들은 1차코일 PCB와 2차 코일 간에 조립을 작업자가 일일이 수작업으로 하여야 했으므로 조립 작업성이 나쁘고 인건비가 많이 소요되었으며, 한 쌍의 2차 코일 간의 센터 정렬을 위한 정밀 정렬 작업이 필요했으며, 2 차 코일의 상하측 위치를 구별하여서 조립하여야 하는 등 조립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에는 한 쌍의 2차 코일을 4 권선(turn)으로 병렬 연결하였다. 이와 같이 병렬 연결하면 권선수가 많아지게 되고, 권선수가 많아지면 차지하는 넓이가 정해져 있는 상황에서 코일의 폭이 좁아지고 단면적이 작아져서 전류의 크기가 제한되는 문제가 있었다.
문헌1: 등록특허공보 10-1579427(공고일: 2012.12.22.) 문헌2: 공개특허공보 10-2016-0041837(공개일: 2016.04.18.)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변압기용 직렬 연결형 2차 코일 소자의 목적은,
첫째, 상하부 코일 소자를 직렬 연결 형성함으로써, 권선수가 종래에 비하여 절반으로 줄일 수 있도록 하고,
둘째, 권선수를 종래에 비하여 절반으로 줄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넓이가 정해져 있는 상황에서 코일의 폭과 단면적을 넓혀서 큰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하며,
셋째, 권선수를 절반으로 줄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변압기 제품의 높이를 낮출 수 있어서 충전기나 어댑터의 케이스와 이격 거리를 더 확보할 수 있도록 하고, 제품 발열을 개선시킬 수 있도록 하며, 누설 자계(leakage magnetic flux)를 줄이고 또한 효율이 개선되도록 하며,
넷째, 메인단자를 편측으로 형성함으로써, 메인단자의 옆으로는 활용 가치가 높은 부품 실장공간을 매우 넓게 확보할 수 있도록 하며,
다섯째, 변압기가 내장되는 완제품(충전기 또는 어댑터)의 공간활용도를 높여서 완제품의 소형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하며,
여섯째, 상하부 평판형 코일을 각각 별개로 제작한 후에 이들을 직렬 연결함으로써, 코일 제품의 조립성이 향상되고, 후공정인 절연 내압 검사시에 자동 내압 검사장비로 피딩하기 위한 자동 피딩기가 작동하기가 용이하며,
일곱째, 상하부 평판형 코일을 각각 별개로 제작한 후에 이들을 직렬 연결함으로써, 제품의 취급이 쉽고 용이하며, 적층 형태로 바로 연결하는 것이 훨씬 편리할 수 있도록 하며,
열덟째, 상하부 평판형 코일을 각각 별개로 제작한 후에 이들을 직렬 연결하되, 상하부 접속단자를 접속 연결하는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직렬 연결의 안정성과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며,
아홉째, 상하부 직렬단자를 직렬 접속핀을 이용하여 연결함으로써 상하부 평판형 코일의 거리에 관계없이 편리하고 간편하게 직렬 연결할 수 있도록 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변압기용 직렬 연결형 2차 코일 소자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변압기용 직렬 연결형 2차 코일 소자는, 서로 접촉되지 않는 금속라인이 평면 스파이럴 패턴으로 형성된 하부 코일패턴부와, 상기 하부 코일패턴부의 일단에 형성되고 하부 단자공이 형성되어서 완제품의 메인PCB에 2차측 단자연결핀에 의해서 연결되는 하부 메인단자와, 상기 하부 코일패턴부의 타단에 형성되는 하부 직렬단자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하부 평판형 코일;
서로 접촉되지 않는 금속라인이 평면 스파이럴 패턴으로 형성된 상부 코일패턴부와, 상기 상부 코일패턴부의 일단에 형성되고 상부 단자공이 형성되어서 완제품의 메인PCB에 2차측 단자연결핀에 의해서 연결되는 상부 메인단자와, 상기 상부 코일패턴부의 타단에 형성되는 상부 직렬단자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상부 평판형 코일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하부 직렬단자와 상부 직렬단자가 서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하부 평판형 코일과 상부 평판형 코일이 직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인 변압기용 직렬 연결형 2차 코일 소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상하부 코일 소자를 직렬 연결 형성함으로써, 권선수가 종래에 비하여 절반으로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권선수를 종래에 비하여 절반으로 줄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넓이가 정해져 있는 상황에서 코일의 폭과 단면적을 넓혀서 큰 전류가 흐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권선수를 절반으로 줄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변압기 제품의 높이를 낮출 수 있어서 충전기나 어댑터의 케이스와 이격 거리를 더 확보할 수 있도록 하고, 제품 발열을 개선시킬 수 있고, 누설 자계(leakage magnetic flux)를 줄이고 또한 효율이 개선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메인단자를 편측으로 형성함으로써, 메인단자의 옆으로는 활용 가치가 높은 부품 실장공간을 매우 넓게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변압기가 내장되는 완제품(충전기 또는 어댑터)의 공간활용도를 높여서 완제품의 소형화를 이룰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섯째, 상하부 평판형 코일을 각각 별개로 제작한 후에 이들을 직렬 연결함으로써, 코일 제품의 조립성이 향상되고, 후공정인 절연 내압 검사시에 자동 내압 검사장비로 피딩하기 위한 자동 피딩기가 작동하기가 용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일곱째, 상하부 평판형 코일을 각각 별개로 제작한 후에 이들을 직렬 연결함으로써, 제품의 취급이 쉽고 용이하며, 적층 형태로 바로 연결하는 것이 훨씬 편리할 수 있도록 하여서 조립 공정의 편리함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열덟째, 상하부 평판형 코일을 각각 별개로 제작한 후에 이들을 직렬 연결하되, 상하부 접속단자를 접속 연결하는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직렬 연결의 안정성과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홉째, 상하부 직렬단자를 직렬 접속핀을 이용하여 연결함으로써 상하부 평판형 코일의 거리에 관계없이 편리하고 간편하게 직렬 연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변압기용 직렬 연결형 2차 코일 소자(100)의 사시도로서, 하부 직렬단자(113)와 상부 직렬단자(123)가 접속되어서 하부 평판형 코일(110)과 상부 평판형 코일(120)이 직결 연결된 경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변압기용 직렬 연결형 2차 코일 소자(100)에 있어서 상부 평판형 코일(120)의 제작 공정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변압기용 직렬 연결형 2차 코일 소자(100)에 있어서 하부 평판형 코일(110)의 제작 공정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하부 평판형 코일(110)과 상부 평판형 코일(120)에 각각 하부 몰딩부(M1)와 상부 몰딩부(M2)가 형성된 경우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하부 평판형 코일(110)과 상부 평판형 코일(120)이 직렬 연결된 경우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변압기용 직렬 연결형 2차 코일 소자(100)의 사시도로서, 하부 평판형 코일(110)과 상부 평판형 코일(120)이 직결 연결된 경우의 사시도이다.
도 8는 도 7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변압기용 직렬 연결형 2차 코일 소자(100)의 사시도로서, 하부 평판형 코일(110)과 상부 평판형 코일(120)이 직결 연결된 경우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변압기용 직렬 연결형 2차 코일 소자(100)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변압기용 직렬 연결형 2차 코일 소자(100)의 분리 사시도이다.
다음은 본 발명인 변압기용 직렬 연결형 2차 코일 소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변압기용 직렬 연결형 2차 코일 소자(100)는, 서로 접촉되지 않는 금속라인이 평면 스파이럴 패턴으로[도시된 도면에서는 2회 권회, 2 턴(turn)] 형성된 하부 코일패턴부(111)와, 상기 하부 코일패턴부(111)의 일단에 형성되고 하부 단자공(112a)이 형성되어서 완제품(충전기 또는 어댑터)의 메인PCB에 2차측 단자연결핀에 의해서 연결되는 하부 메인단자(112)와, 상기 하부 코일패턴부(111)의 타단에 형성되는 하부 직렬단자(11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하부 평판형 코일(110);
서로 접촉되지 않는 금속라인이 평면 스파이럴 패턴으로[도시된 도면에서는 2회 권회, 2 턴(turn)] 형성된 상부 코일패턴부(121)와, 상기 상부 코일패턴부(121)의 일단에 형성되고 상부 단자공(122a)이 형성되어서 완제품(충전기 또는 어댑터)의 메인PCB에 2차측 단자연결핀에 의해서 연결되는 상부 메인단자(122)와, 상기 상부 코일패턴부(121)의 타단에 형성되는 상부 직렬단자(12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상부 평판형 코일(12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하부 직렬단자(113)와 상부 직렬단자(123)가 서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하부 평판형 코일(110)과 상부 평판형 코일(120)이 직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각각 별개의 구성인 상하부 평판형 코일(110)에 상하부 직렬단자(123,113)를 각각 형성한 후에, 이 상하부 직렬단자(123,113)를 연결함으로써 하부 평판형 코일(110)과 상부 평판형 코일(120)이 직렬 연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변압기용 직렬 연결형 2차 코일 소자(100)에 있어서, 상기 하부 평판형 코일(110)에는, 상기 하부 코일패턴부(111)가 내장되도록 외포하는 합성수지 재질의 하부 몰딩부(M1)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상부 평판형 코일(120)에는, 상기 상부 코일패턴부(121)가 내장되도록 외포하는 합성수지 재질의 상부 몰딩부(M2)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변압기용 직렬 연결형 2차 코일 소자(100)에 있어서, 하부 몰딩부(M1)에는 절연거리를 확보하기 위한 하부 차폐막(117)이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부 차폐막(117)에는 하부 메인단자(112)와 상부 메인단자(122)를 메인PCB에 접속하기 위한 단자핀(미도시)을 안착 가이드하기 위한 하부 가이드홈(117a)이 하부 코일패턴부(111) 쪽으로 요입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상부 몰딩부(M2)에는 절연거리를 확보하기 위한 상부 차폐막(127)이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 차폐막(127)에는 하부 메인단자(112)와 상부 메인단자(122)를 메인PCB에 접속하기 위한 단자핀(미도시)을 안착 가이드하기 위한 상부 가이드홈(127a)이 상부 코일패턴부(121) 쪽으로 요입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상하부 평판형 코일(120,110)의 사이 공간에는 1차코일(미도시)이 삽입 구비된다.
상기 1차코일 삽입공간(S1)에 삽입되는 1차코일은 그 형태나 이름에 관계 없이 상부 코일 소자(120) 및 하부 코일 소자(110)와 각각 전자기적 상호작용을 하는 코일은 모두 포함됨은 물론이다.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변압기용 직렬 연결형 2차 코일 소자(100)에 있어서, 상기 하부 직렬단자(113)는 상기 하부 코일패턴부(111)의 안쪽 종단에서 하부 코일패턴부(111)를 가로질러서 U 자로 절곡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 직렬단자(123)는 상기 상부 코일패턴부(121)의 내측에서 상부 코일패턴부(121)를 가로질러서 U 자로 절곡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은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변압기용 직렬 연결형 2차 코일 소자(10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변압기용 직렬 연결형 2차 코일 소자(100)에 있어서, 상기 하부 직렬단자(113)는, 상기 하부 코일패턴부(111)의 안쪽 종단에서 바깥으로 절곡되어서[U자 벤딩되어서] 하부 코일패턴부(111)의 아래를 가로질러서 형성되는 하부 횡단부(113a)와, 상기 하부 횡단부(113a)의 종단에서 상부 평판형 코일(120) 쪽으로(도시된 실시예를 기준으로는 상방으로) 절곡된 하부 접속단자(113b)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상부 직렬단자(123)는, 상기 상부 코일패턴부(121)의 안쪽 종단에서 바깥으로 절곡되어서[U자 벤딩되어서] 상부 코일패턴부(121)의 위를 가로질러서 형성되는 상부 횡단부(123a)와, 상기 하부 접속단자(113b)와 연결되도록, 상기 상부 횡단부(123a)의 종단에서 하부 평판형 코일(110) 쪽으로(도시된 실시예를 기준으로는 하방으로) 절곡된 상부 접속단자(123b)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하부 접속단자(113b)와 상부 접속단자(123b)가 접속되어서 하부 평판형 코일(110)과 상부 평판형 코일(120)이 직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 접속단자(113b)의 끝에는 끼움홈(113c)이 요입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 접속단자(123b)의 끝에는 끼움돌기(123c)이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끼움홈(113c)과 끼움돌기(123c)가 끼움 결함되어서 상기 하부 접속단자(113b)와 상부 접속단자(123b)가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하부 접속단자(113b)와 상부 접속단자(123b) 간의 연결이 유동이나 유격 없이 견고하고 확실하게 되어서 직렬 연결의 접촉불량을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음은 도 7 내지 도 10 그리고 도 12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변압기용 직렬 연결형 2차 코일 소자(10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 내지 도 10,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변압기용 직렬 연결형 2차 코일 소자(100)에 있어서, 상기 하부 직렬단자(113)와 상부 직렬단자(123)를 전기적으로 직렬 연결하기 위해서 하단이 상기 하부 직렬단자(113)에 연결되고 상단이 상기 상부 직렬단자(123)에 연결되는 직렬 연결핀(131,132)이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도 7 및 도 8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변압기용 직렬 연결형 2차 코일 소자(100)에 있어서, 상기 하부 직렬단자(113)의 단부에는 하부 접속공(113e,113h)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 직렬단자(123)의 단부에는 상부 접속공(123e,123h)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직렬 연결핀(131)은, 그 하단이 상기 하부 접속공(113e,113h)에 접속되어서 연결되고, 그 상단이 상기 상부 접속공(123e,123h)에 접속되어서 연결됨으로써, 상기 하부 평판형 코일(110)과 상부 평판형 코일(120)이 직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변압기용 직렬 연결형 2차 코일 소자(100)에 있어서, 상기 하부 직렬단자(113)의 단부에는 하부 끼움홈(113g)가 요입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 직렬단자(123)의 단부에는 상부 끼움홈(123g)가 요입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직렬 연결핀(132)의 하단에는 상기 하부 끼움홈(113g)과 끼움 결합하는 하부 끼움돌기(132a)이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직렬 연결핀(132)의 상단에는 상기 상부 끼움홈(123g)과 끼움 결합하는 상부 끼움돌기(132b)이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 끼움돌기(132a)가 상기 하부 끼움홈(113g)에 끼워지고, 상기 상부 끼움돌기(132b)가 상기 상부 끼움홈(123g)에 끼워져서, 상기 직렬 연결핀(132)이 각각 하부 직렬단자(113) 및 상부 직렬단자(123)에 끼움 결합되고, 상기 직렬 연결핀(132)이 각각 하부 직렬단자(113) 및 상부 직렬단자(123)에 끼움 결합됨으로써, 상기 하부 평판형 코일(110)과 상부 평판형 코일(120)이 직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내지 도 1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변압기용 직렬 연결형 2차 코일 소자(100)에 있어서, 상기 하부 메인단자(112)와 상부 메인단자(122)는, 상기 하부 직렬단자(113) 및 상부 직렬단자(123)를 기준으로 일측으로 편향[편측](좌측 또는 우측)으로 위치(일측으로 치우쳐서 위치하도록)하도록 절곡되어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편측으로 위치하도록 형성된다는 것은,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는, 하부 메인단자(112)와 상부 메인단자(122) 모두가 상하부 직렬단자(123,113)를 기준으로 모두 왼쪽에 치우쳐서 위치하도록 형성되거나, 또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는, 하부 메인단자(112)와 상부 메인단자(122) 모두가 상하부 직렬단자(123,113)를 기준으로 모두 오른쪽에 치우쳐서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는 의미이다.
상기와 같이, 일측으로 편향되어서 형성되면, 상하부 직렬단자(123,113) 및 상하부 메인단자(112)의 타측의 옆으로 활용 가치가 높아서 부품 실장공간을 매우 넓게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발생한다.
이 부품 실장공간에 예컨대 충전기 등과 같은 완제품에 실장되는 경우의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고, 또한 충전기 등과 같은 완제품의 소형화가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에는, 상부 직렬단자(123) 및 하부 직렬단자(113)가 각각 상하부 코일 패턴부(121,111)를 가로질러서 U 벤딩 형성되어 있고, 하부 메인단자(112)와 상부 메인단자(122)는 각각 상하부 코일 패턴부(121,111)와 동일한 평면에 위치하는 것을 예를 들어서 설명하고 있으나, 그 역의 경우, 즉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메인단자(122)와 하부 메인단자(112)가 각각 상하부 코일 패턴부(121,111)를 가로질러서 U 벤딩 형성되어 있고, 상부 직렬단자(123) 및 하부 직렬단자(113)가 각각 상하부 코일 패턴부(121,111)와 동일한 평면에 위치하는 실시예의 경우도 본원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함은 물론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변압기용 직렬 연결형 2차 코일 소자(100)에 있어서, 상기 하부 직렬단자(113)는, 하부 코일패턴부(111)의 바깥 끝에서 동일 평면 상에서 연장 형성되는 하부 연장부(113-1)와, 상기 하부 연장부(113-1)의 끝에서 상방으로 절곡된 하부 접속단자(113-2)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상부 직렬단자(123)는, 상부 코일패턴부(121)의 바깥 끝에서 동일 평면 상에서 연장 형성되는 상부 연장부(123-1)와, 상기 상부 연장부(123-1)의 끝에서 하방으로 절곡된 상부 접속단자(123-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하부 접속단자(113-2)와 상부 접속단자(123-2)가 접속되어서 하부 평판형 코일(110)과 상부 평판형 코일(120)이 직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변압기용 직렬 연결형 2차 코일 소자(100)에 있어서, 상기 하부 접속단자(113-2)의 끝에는 끼움홈(113-3)이 요입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 접속단자(123-2)의 끝에는 끼움돌기(123-3)가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끼움홈(113-3)과 끼움돌기(123-3)가 끼움 결함되어서 상기 하부 접속단자(113b)와 상부 접속단자(123b)가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하부 접속단자(113b)와 상부 접속단자(123b) 간의 연결이 유동이나 유격 없이 견고하고 확실하게 되어서 직렬 연결의 접촉불량을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음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변압기용 직렬 연결형 2차 코일 소자(100)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기술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변압기용 직렬 연결형 2차 코일 소자(100)의 제조 방법은, 상부 평판형 코일(120)과 하부 평판형 코일(110)을 각각 제작하는 단계와, 상기 상부 평판형 코일(120) 하부 평판형 코일(110)을 직렬 연결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평판형 코일(120)을 제작하는 단계는, 금속시트(미도시)를 프레스 타발하여서 상부 코일패턴부(121)와 상부 코일패턴부(121)의 내측 끝에서 연장된 상부 내측 금속라인(T2)과 상부 메인단자(122)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부 내측 금속라인(T2)을 U자로 절곡하여서 상부 횡단부(123a)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부 횡단부(123a)를 하방으로 절곡하여서 상부 접속단자(123b)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평판형 코일(110)을 제작하는 단계는, 금속시트(미도시)를 프레스 타발하여서 하부 코일패턴부(111)와 하부 코일패턴부(111)의 내측 끝에서 연장된 하부 내측 금속라인(T1)과 하부 메인단자(112)를 형성하는 단계와, 하부 내측 금속라인(T1)을 U자로 절곡하여서 하부 횡단부(113a)를 형성하는 단계와, 하부 횡단부(113a)를 하방으로 절곡하여서 하부 접속단자(113b)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 평판형 코일(120) 하부 평판형 코일(110)을 직렬 연결하는 단계는, 상부 접속단자(123b)와 하부 접속단자를 접속(연결)함으로써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해당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변압기용 직렬 연결형 2차 코일 소자
110 : 하부 평판형 코일 T1 : 하부 내측 금속라인
111 : 하부 코일패턴부 112 : 하부 메인단자
112a : 하부 단자공 113 : 하부 직렬단자
113a : 하부 횡단부 113b,113-2 : 하부 접속단자
113c,113-3 : 끼움홈 113e,113h : 하부 접속공
113g : 하부 끼움홈 113-1 : 하부 연장부
117 : 하부 차폐막 117a : 하부 가이드홈
M1 : 하부 몰딩부
120 : 상부 평판형 코일 T2 : 상부 내측 금속라인
121 : 상부 코일패턴부 122 : 상부 메인단자
122a : 상부 단자공 123 : 상부 직렬단자
123a : 상부 횡단부 123b,123-2 : 상부 접속단자
123c : 끼움돌기 123e,123h : 상부 접속공
123g : 상부 끼움홈 123-1 : 상부 연장부
127 : 상부 차폐막 127a : 상부 가이드홈
M2 : 상부 몰딩부
131,132 : 직렬 접속핀
132a : 하부 끼움돌기 132b : 상부 끼움돌기

Claims (8)

  1. 서로 접촉되지 않는 금속라인이 평면 스파이럴 패턴으로 형성된 하부 코일패턴부(111)와,
    상기 하부 코일패턴부(111)의 일단에 형성되고 하부 단자공(112a)이 형성되어서 완제품의 메인PCB에 2차측 단자연결핀에 의해서 연결되는 하부 메인단자(112)와,
    상기 하부 코일패턴부(111)의 타단에 형성되는 하부 직렬단자(11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하부 평판형 코일(110);
    서로 접촉되지 않는 금속라인이 평면 스파이럴 패턴으로 형성된 상부 코일패턴부(121)와,
    상기 상부 코일패턴부(121)의 일단에 형성되고 상부 단자공(122a)이 형성되어서 완제품의 메인PCB에 2차측 단자연결핀에 의해서 연결되는 상부 메인단자(122)와,
    상기 상부 코일패턴부(121)의 타단에 형성되는 상부 직렬단자(12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상부 평판형 코일(12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하부 직렬단자(113)와 상부 직렬단자(123)가 서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하부 평판형 코일(110)과 상부 평판형 코일(120)이 직렬 연결되며,
    상기 하부 직렬단자(113)는 상기 하부 코일패턴부(111)의 안쪽 종단에서 하부 코일패턴부(111)를 가로질러서 U 자로 절곡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 직렬단자(123)는 상기 상부 코일패턴부(121)의 내측에서 상부 코일패턴부(121)를 가로질러서 U 자로 절곡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 직렬단자(113)는, 상기 하부 코일패턴부(111)의 안쪽 종단에서 바깥으로 절곡되어서 하부 코일패턴부(111)의 아래를 가로질러서 형성되는 하부 횡단부(113a)와, 상기 하부 횡단부(113a)의 종단에서 상부 평판형 코일(120) 쪽으로 절곡된 하부 접속단자(113b)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상부 직렬단자(123)는, 상기 상부 코일패턴부(121)의 안쪽 종단에서 바깥으로 절곡되어서 상부 코일패턴부(121)의 위를 가로질러서 형성되는 상부 횡단부(123a)와, 상기 하부 접속단자(113b)와 연결되도록, 상기 상부 횡단부(123a)의 종단에서 하부 평판형 코일(110) 쪽으로 절곡된 상부 접속단자(123b)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하부 접속단자(113b)와 상부 접속단자(123b)가 접속되어서 하부 평판형 코일(110)과 상부 평판형 코일(120)이 직렬 연결되며,
    상기 하부 접속단자(113b)의 끝에는 끼움홈(113c)이 요입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 접속단자(123b)의 끝에는 끼움돌기(123c)이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끼움홈(113c)과 끼움돌기(123c)가 끼움 결함되어서 상기 하부 접속단자(113b)와 상부 접속단자(123b)가 접속됨으로써 상기 하부 평판형 코일(110)과 상부 평판형 코일(120)이 직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용 직렬 연결형 2차 코일 소자.
  2. 서로 접촉되지 않는 금속라인이 평면 스파이럴 패턴으로 형성된 하부 코일패턴부(111)와,
    상기 하부 코일패턴부(111)의 일단에 형성되고 하부 단자공(112a)이 형성되어서 완제품의 메인PCB에 2차측 단자연결핀에 의해서 연결되는 하부 메인단자(112)와,
    상기 하부 코일패턴부(111)의 타단에 형성되는 하부 직렬단자(11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하부 평판형 코일(110);
    서로 접촉되지 않는 금속라인이 평면 스파이럴 패턴으로 형성된 상부 코일패턴부(121)와,
    상기 상부 코일패턴부(121)의 일단에 형성되고 상부 단자공(122a)이 형성되어서 완제품의 메인PCB에 2차측 단자연결핀에 의해서 연결되는 상부 메인단자(122)와,
    상기 상부 코일패턴부(121)의 타단에 형성되는 상부 직렬단자(12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상부 평판형 코일(12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하부 직렬단자(113)와 상부 직렬단자(123)가 서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하부 평판형 코일(110)과 상부 평판형 코일(120)이 직렬 연결되며,
    상기 하부 직렬단자(113)는,
    상기 하부 코일패턴부(111)의 바깥 끝에서 동일 평면 상에서 연장 형성되는 하부 연장부(113-1)와, 상기 하부 연장부(113-1)의 끝에서 상방으로 절곡된 하부 접속단자(113-2)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상부 직렬단자(123)는,
    상부 코일패턴부(121)의 바깥 끝에서 동일 평면 상에서 연장 형성되는 상부 연장부(123-1)와, 상기 상부 연장부(123-1)의 끝에서 하방으로 절곡된 상부 접속단자(123-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하부 접속단자(113-2)와 상부 접속단자(123-2)가 접속되어서 하부 평판형 코일(110)과 상부 평판형 코일(120)이 직렬 연결되며,
    상기 하부 접속단자(113-2)의 끝에는 끼움홈(113-3)이 요입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 접속단자(123-2)의 끝에는 끼움돌기(123-3)가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끼움홈(113-3)과 끼움돌기(123-3)가 끼움 결함되어서 상기 하부 접속단자(113-2)와 상부 접속단자(123-2)가 접속됨으로써 상기 하부 평판형 코일(110)과 상부 평판형 코일(120)이 직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용 직렬 연결형 2차 코일 소자.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부 평판형 코일(110)에는, 상기 하부 코일패턴부(111)가 내장되도록 외포하는 합성수지 재질의 하부 몰딩부(M1)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고,
    상기 상부 평판형 코일(120)에는, 상기 상부 코일패턴부(121)가 내장되도록 외포하는 합성수지 재질의 상부 몰딩부(M2)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며,
    상기 하부 몰딩부(M1)에는 절연거리를 확보하기 위한 하부 차폐막(117)이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부 차폐막(117)에는 하부 메인단자(112)와 상부 메인단자(122)를 메인PCB에 접속하기 위한 단자핀을 안착 가이드하기 위한 하부 가이드홈(117a)이 하부 코일패턴부(111) 쪽으로 요입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 몰딩부(M2)에는 절연거리를 확보하기 위한 상부 차폐막(127)이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 차폐막(127)에는 하부 메인단자(112)와 상부 메인단자(122)를 메인PCB에 접속하기 위한 단자핀을 안착 가이드하기 위한 상부 가이드홈(127a)이 상부 코일패턴부(121) 쪽으로 요입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용 직렬 연결형 2차 코일 소자.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부 메인단자(112)와 상부 메인단자(122)는, 상기 하부 직렬단자(113) 및 상부 직렬단자(123)를 기준으로 일측으로 치우쳐서 위치하도록 절곡되어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용 직렬 연결형 2차 코일 소자.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90138281A 2019-11-01 2019-11-01 변압기용 직렬 연결형 2차 코일 소자 KR1022565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8281A KR102256547B1 (ko) 2019-11-01 2019-11-01 변압기용 직렬 연결형 2차 코일 소자
KR1020200080227A KR102281278B1 (ko) 2019-11-01 2020-06-30 변압기용 직렬 연결형 2차 코일 소자
CN202011145846.6A CN112786288A (zh) 2019-11-01 2020-10-23 变压器用串联次级线圈组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8281A KR102256547B1 (ko) 2019-11-01 2019-11-01 변압기용 직렬 연결형 2차 코일 소자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0227A Division KR102281278B1 (ko) 2019-11-01 2020-06-30 변압기용 직렬 연결형 2차 코일 소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2828A KR20210052828A (ko) 2021-05-11
KR102256547B1 true KR102256547B1 (ko) 2021-05-26

Family

ID=75750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8281A KR102256547B1 (ko) 2019-11-01 2019-11-01 변압기용 직렬 연결형 2차 코일 소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56547B1 (ko)
CN (1) CN112786288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0132B1 (ko) * 2015-07-31 2016-02-01 삼성전기주식회사 트랜스포머, 및 판상 코일 성형체
KR102024844B1 (ko) 2018-08-22 2019-09-24 주식회사 에이텀 변압기용 2차 코일 소자
KR102024849B1 (ko) 2018-11-16 2019-09-24 주식회사 에이텀 변압기용 평판형 2차 코일 소자 어셈블리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5222B1 (ko) 2015-10-21 2018-03-14 주식회사 에이텀 보호 코일 및 그를 이용하는 변압기
KR101579427B1 (ko) 2015-10-28 2015-12-22 주식회사 에이치에스씨 트랜스포머
KR20180110331A (ko) * 2017-03-28 2018-10-10 유원용 변압기용 평판형 2차 코일 소자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0132B1 (ko) * 2015-07-31 2016-02-01 삼성전기주식회사 트랜스포머, 및 판상 코일 성형체
KR102024844B1 (ko) 2018-08-22 2019-09-24 주식회사 에이텀 변압기용 2차 코일 소자
KR102024849B1 (ko) 2018-11-16 2019-09-24 주식회사 에이텀 변압기용 평판형 2차 코일 소자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2828A (ko) 2021-05-11
CN112786288A (zh) 2021-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4849B1 (ko) 변압기용 평판형 2차 코일 소자 어셈블리
JP5699133B2 (ja) 表面実装磁性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
US8183967B2 (en) Surface mount magnetic component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
US8188824B2 (en) Surface mount magnetic component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958648B1 (ko) 변압기용 평판형 2차 코일 소자 어셈블리 제조 방법
KR102000249B1 (ko) 변압기용 1차 코일 소자 및 1,2차 코일 소자 일체형 변압기
WO2004032158A1 (en) Coil form
KR102024844B1 (ko) 변압기용 2차 코일 소자
KR102256547B1 (ko) 변압기용 직렬 연결형 2차 코일 소자
KR102281276B1 (ko) 평판형 변압기
KR102281278B1 (ko) 변압기용 직렬 연결형 2차 코일 소자
US20190139697A1 (en) Magnetic element, metal annular winding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220067813A (ko) 변압기용 직렬 연결형 2차 코일 소자
US9536652B2 (en) Inductor
KR102159315B1 (ko) 평판형 변압기
KR102226375B1 (ko) 평판형 변압기
KR20190124167A (ko) 평판형 트랜스포머의 코일부품 및 그 제조방법
CN111083934B (zh) 变压器
KR102281274B1 (ko) 평판형 변압기
KR102009434B1 (ko) 변압기용 평판형 2차 코일 소자 어셈블리
KR20200022304A (ko) 변압기용 2차 코일 소자
WO2006054452A1 (ja) 高圧トランス
TWI447759B (zh) 表面安裝磁性元件總成
KR102394410B1 (ko) 변압기용 평판형 코일 소자의 제조 방법
CN201378491Y (zh) 具埋入式线圈的磁性组件及其绕线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