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9243B1 - 노인 모니터링 전자액자 - Google Patents

노인 모니터링 전자액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9243B1
KR102279243B1 KR1020200186388A KR20200186388A KR102279243B1 KR 102279243 B1 KR102279243 B1 KR 102279243B1 KR 1020200186388 A KR1020200186388 A KR 1020200186388A KR 20200186388 A KR20200186388 A KR 20200186388A KR 102279243 B1 KR102279243 B1 KR 1022792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control module
elderly
modul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63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화석
안재훈
Original Assignee
에프엔에스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프엔에스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프엔에스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863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92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92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92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222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 G08B5/223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using wireless transmission
    • G08B5/224Paging receivers with visible signalling details
    • G08B5/225Display details
    • G08B5/226Display details with alphanumeric or graphic display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인 모니터링 전자액자에 관한 것으로, 이미지 또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10)와 상기 디스플레이부(110)의 후면에 구비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10)가 소정의 각도로 세워지도록 지지하는 지지부(1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전자액자에 노인 모니터링 기능을 포함하여 홀로 사는 노인을 모니터링하고 돌보는데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위급 상황시 빠른 대처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노인 모니터링 전자액자{Elderly monitoring electronic photo frame}
본 발명은 노인 모니터링 전자액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노인 모니터링 기능이 있는 노인 모니터링 전자액자에 관한 것이다.
전자액자는 디지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장치를 말하며, 여러 장의 사진을 넣으면 자동으로 슬라이드되는 효과가 있어 사진을 인화하지 않고 볼 수 있으며 언제나 새로운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고 인테리어 기능도 있다.
한편, 가족과 떨어져 혼자 사는 노인들이 많다. 노령 1인 가구의 문제점은 건강상 위급 혹은 긴급 상황이 벌어졌을 때 대처하기가 힘들다는 것이다. 물론 자주 전화를 걸어 확인하면 되겠지만 현실적으로는 어려운 일이다. 이런 상황에서 홀로 사는 노인을 모니터링하고 돌보는데 도움을 주는 물건이 필요한 실정이다.
특허문헌 1: 공개특허 제2020-0110498호(2020.09.24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자액자에 노인 모니터링 기능을 포함하여 홀로 사는 노인을 모니터링하고 돌보는데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한 노인 모니터링 전자액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인 모니터링 전자액자는 이미지 또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후면에 구비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소정의 각도로 세워지도록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제1 정보를 표시하는 제1 디스플레이와 제2 정보를 표시하는 제2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듀얼 타입이다.
상기 제1 정보와 상기 제2 정보는 달력, 시계, 사진, 동영상, 라디오, 음악, 비상연락 및 설정에 해당하는 다수의 앱 아이콘 및 상기 앱 아이콘에 해당하는 화면이며, 상기 제1 디스플레이와 상기 제2 디스플레이는 각각 상기 다수의 앱 아이콘을 구비하고, 상기 다수의 앱 아이콘 중 선택된 앱 아이콘에 해당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제1 디스플레이와 상기 제2 디스플레이는 개별 동작된다.
상기 앱 아이콘은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실행된다.
상기 제1 디스플레이와 상기 제2 디스플레이는 선택버튼, 방향이동버튼 및 슬라이드실행버튼을 더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지지부는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에는 SD 메모리카드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SD카드슬롯과 USB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USB메모리슬롯과 전원을 연결하기 위한 전원 어댑터 포트와 이어폰을 연결하기 위한 이어폰 단자와 라디오를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가 포함된다.
상기 노인 모니터링 전자액자는 사진, 동영상 및 음악 파일이 저장되는 메모리부와 터치에 의해 앱 아이콘을 실행하는 입력모듈과 상기 입력모듈의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사진, 동영상 및 음악 파일을 재생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모듈과 상기 제어모듈의 출력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디스플레이와 상기 제2 디스플레이에 화면을 출력하는 재생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입력모듈의 신호에 응답하여 라디오 수신, 달력 표시, 시계 표시 신호를 더 출력한다.
상기 제어모듈의 출력 신호에 응답하여 라디오를 동작시키는 라디오수신모듈과 상기 제어모듈의 출력 신호에 응답하여 달력을 표시하는 달력표시모듈과 상기 제어모듈의 출력 신호에 응답하여 시계를 표시하는 시계표시모듈을 더 포함한다.
상기 입력모듈은 노인 모니터링을 위한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감지센서는 빛 감지센서, 온도센서, 움직임감지센서 및 진동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감지센서가 감지한 감지신호는 상기 제어모듈로 전송한다.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빛 감지센서, 상기 온도센서, 상기 움직임감지센서 및 진동감지센서의 감지 결과를 통해 노인의 활동을 파악하고 현재 활동 중인 방의 상태를 파악하며 평상시와 다른 변화가 감지되는지 판단하며, 판단결과 평상시와 다른 변화가 감지되면 이상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제어모듈에서 이상 신호를 출력하면 상기 제어모듈의 이상 신호에 응답하여 기 등록된 비상연락처로 이상 신호를 전송하는 전송모듈과 노인과 기 등록된 비상연락처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모듈을 더 포함한다.
상기 통신은 유선 통화 또는 화상 통화 중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나의 화면에 2가지 다른 화면을 표시할 수 있는 듀얼 타입이므로 하나의 화면에 시계와 사진, 또는 달력과 사진, 또는 2개의 사진 표시와 같이 전자액자를 좀 더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라디오 청취 기능과 음악 재생 기능을 제공하므로 사진을 표시함과 아울러 음악이 흐르도록 하여 따뜻한 집안 분위기를 만드는데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액자에 노인 모니터링 기능을 포함하여 실시간으로 직접 모니터링할 수도 있고 위급 상황시에만 이상 신호를 전송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사생활 보호와 함께 위급사항시 빠르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노인 모니터링 전자액자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노인 모니터링 전자액자를 보인 후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노인 모니터링 전자액자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사용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노인 모니터링 전자액자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노인 모니터링 전자액자를 복지관 또는 동사무소와 연계한 모습을 보인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노인 모니터링 전자액자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노인 모니터링 전자액자(이하, '전자액자'라 칭함)(100)는 디스플레이부(110)와 지지부(120)를 포함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디스플레이부(110)는 이미지 또는 영상을 표시한다. 이미지는 달력, 시계, 그림 이미지 및 사진 이미지를 포함하고, 영상은 동영상을 포함한다.
지지부(120)는 디스플레이부(110)의 후면에 구비되고 디스플레이부(110)가 소정의 각도로 세워지도록 지지한다. 디스플레이부(110)와 지지부(120)는 일체로 형성된다. 지지부(120)는 디스플레이부(110)의 안정적인 지지를 위하여 바닥면이 소정의 면적으로 가지고 평평한 형상이며 상부는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디스플레이부(110)의 후면 중앙까지 연장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실시예에서 지지부(120)는 단면이 소정의 각도를 갖는 원호 형상을 형성된다.
디스플레이부(110)는 하나의 화면에 2가지 다른 화면을 표시할 수 있는 듀얼 타입이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110)는 제1 정보를 표시하는 제1 디스플레이(111)와 제2 정보를 표시하는 제2 디스플레이(112)를 포함하는 듀얼 타입이다.
하나의 화면에 하나의 정보만 표시하는 것에 비해 하나의 화면에 2가지 정보를 표시할 수 있도록 구성하면 전자액자(100)를 좀 더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111)와 제2 디스플레이(112)에 표시되는 제1 정보와 제2 정보는 달력, 시계, 사진, 동영상, 라디오, 음악, 비상연락 및 설정에 해당하는 다수의 앱 아이콘과 앱 아이콘이 실행될 상기 앱 아이콘에 해당하는 화면일 수 있다.
일 예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디스플레이(111)에는 달력을 표시하고 제2 디스플레이(112)에는 사진을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액자(100)의 기능과 달력을 함께 제공하여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또는, 도 2를 참조하면, 제1 디스플레이(111)에는 시계를 표시하고 제2 디스플레이(112)는 사진을 표시할 수 있다. 사진은 슬라이딩 방식으로 설정시간마다 변화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하나의 사진을 설정하여 해당 사진만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제1 디스플레이(111)에는 시계를 표시하고 제2 디스플레이(112)에는 사진을 표시하면 전자액자(100)의 기능과 시계의 기능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
시계는 날짜, 요일, 날씨 정보도 함께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전자액자(100)는 전자액자의 전원을 온/오프할 수 있는 전원버튼(110a), 볼륨을 조절할 수 있는 볼륨조절버튼(110b), 통신시 대화를 주고 받기 위한 마이크부(110c)를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전원버튼(110a)과 볼륨조절버튼(110b)은 상면 가장자리에 구비되고 마이크부(110c)는 전면 하부 일측에 구비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노인 모니터링 전자액자를 보인 후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지지부(120)는 디스플레이부(110)와 일체로 형성된다.
지지부(120)에는 SD 메모리카드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SD카드슬롯(131)과 USB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USB메모리슬롯(133)과 전원을 연결하기 위한 전원 어댑터 포트(135)와 이어폰을 연결하기 위한 이어폰 단자(137)가 포함된다.
노인 모니터링 전자액자(100)는 기본 메모리를 포함하며, 추가로 SD메모리카드와 USB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노인 모니터링 전자액자(100)는 스마트폰과 블루투스로 연동하여 사진 또는 동영상을 전송받을 수 있고, SD메모리카드나 USB를 연결하여 SD메모리카드나 USB에 있는 사진 또는 동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120)에는 라디오를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139)가 더 포함된다. 노인 모니터링 전자액자(100)는 라디오를 수신할 수 있도록 안테나(139)가 포함된다.
노인 모니터링 전자액자(100)를 구성하는 지지부(120)는 바닥면을 포함한 하측 부분이 디스플레이부(110)와 전자적으로 연결되고 일체화된 부분이고, 그 상부는 스피커(121)로 구성하여 라디오 수신이나 동영상 재생시 보다 선명한 음질을 제공할 수 있다. 노인 모니터링 전자액자(100)는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해 촬영용 카메라는 동작하지 않는다. 그러나. 화상통화를 위한 카메라는 동작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노인 모니터링 전자액자를 보인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사용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노인 모니터링 전자액자(100)는 제1 디스플레이(111)에 제1 정보로 시계를 표시하고 제2 디스플레이(112)에 제2 정보로 사진을 표시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111)와 제2 디스플레이(112)에 각각 표시되는 제1 정보와 제2 정보는 달력, 시계, 사진, 동영상, 라디오, 음악, 비상연락 및 설정에 해당하는 다수의 앱 아이콘일 수 있고, 또는 달력, 시계, 사진, 동영상, 라디오, 음악, 비상연락 및 설정 중 어느 하나의 앱 아이콘에 해당하는 실행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제1 디스플레이(111)와 제2 디스플레이(112)는 개별 동작되며, 앱 아이콘은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111)와 제2 디스플레이(112)는 선택버튼(113), 방향이동버튼(114,115) 및 슬라이드실행버튼(116)을 더 포함한다. 선택버튼(113), 방향이동버튼(114,115) 및 슬라이드실행버튼(116)은 제1 디스플레이(111)와 제2 디스플레이(112)에 필요에 따라 표시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인 모니터링 전자액자(100)는 제1 디스플레이(111)에 시계를 표시하고 제2 디스플레이(112)에 사진을 표시하며, 이때 제1 디스플레이(111)와 제2 디스플레이(112)에는 각각 선택버튼(113), 방향이동버튼(114,115)이 표시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방향이동버튼(114,115)은 이전의 이미지 또는 기 설정된 이후의 이미지가 순차적으로 표시되도록 하는 버튼일 수 있다. 또한 선택버튼(113)은 누르면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앱 아이콘들이 나타나 사용자가 실행하고자 하는 앱 아이콘을 선택하도록 할 수 있게 한다.
도 4의 (a)와 같이 앱 아이콘들이 표시된 상태에서 사진 앱 아이콘을 터치하면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된 다수 개의 사진이 보여지고 사용자는 이 사진들 중 하나를 선택하여 제1 디스플레이부(110)에 해당 사진이 표시되게 할 수 있다. 또는 방향이동버튼(152)을 터치하여 이전 페이지의 사진 또는 다음 페이지의 사진을 확인할 수 있고 해당 사진을 터치하여 터치한 사진을 제1 디스플레이(111)에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아래의 슬라이드실행버튼(116)을 터치하면 저장된 사진들이 설정시간마다 변경되면서 다양한 사진을 표시할 수 있다. 하나의 사진들이 표시되고 슬라이딩되는 시간 간격은 설정 앱 아이콘을 터치하여 들어간 다음 설정 가능하다.
설정 앱 아이콘에서는 슬라이딩식으로 표시하고자 하는 사진의 범위를 설정할 수도 있고, 원하는 사진을 특정 폴더에 저장하고 특정 폴더에 저장된 사진만 슬라이딩 방식으로 표시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다.
동영상의 경우도 사진과 마찬가지로 동영상 앱 아이콘을 터치한 다음, 저장된 다수 개의 동영상 중에서 원하는 동영상을 터치하여 재생할 수 있다. 동영상이 재생되는 횟수 및 순차적 반복 등의 설정은 설정 앱 아이콘을 터치하고 들어가면 설정 가능하다.
도면에서는 제1 디스플레이(111)에서 앱 아이콘을 터치하고 사진 또는 동영상을 재생하는 것을 예로 들어 보여주고 있으나, 이는 제2 디스플레이(112)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제2 디스플레이(112)도 제1 디스플레이(111)와 유사하게 앱 아이콘을 터치하여 사진과 동영상의 재생이 가능하다. 단, 제2 디스플레이(112)에는 음악 재생 및 라디오 청취 설정 기능이 없고 나머지는 동일하다. 음악 재생 및 라디오 청취 설정 기능은 제1 디스플레이(111)에서만 실행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노인 모니터링 전자액자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노인 모니터링 전자액자(100)는 메모리부(140), 입력모듈(150), 제어모듈(160), 재생모듈(170), 라디오수신모듈(180), 달력표시모듈(190), 시계표시모듈(210)을 포함한다.
메모리부(140)는 사진, 동영상 및 음악 파일이 저장된다. 메모리부(140)는 디스플레이부(110)의 내부에 포함된 기본 메모리와 SD카드슬롯(131)에 끼워지는 SD메모리카드와 USB메모리슬롯(133)에 연결되는 USB를 포함한다.
입력모듈(150)은 앱 아이콘(151)과 버튼(152)을 포함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앱 아이콘(151)은 달력 앱 아이콘, 시계 앱 아이콘, 사진 앱 아이콘, 동영상 재생 앱 아이콘, 라디오 청취 앱 아이콘, 음악 재생 앱 아이콘, 비상연락 앱 아이콘, 설정 아이콘을 포함한다. 앱 아이콘(151)은 제1 디스플레이(111)와 제2 디스플레이(112)에 각각 나타낼 수 있다. 버튼(152)은 선택버튼(113), 방향이동버튼(114,115) 및 슬라이드실행버튼(116)을 포함한다.
달력 앱 아이콘은 달력을 실행하고 시계 앱 아이콘은 시계를 실행한다.
사진 앱 아이콘은 사진을 실행하기 위한 것이다. 사진은 하나의 사진만 표시되게 실행하거나 다수 개의 사진을 슬라이딩 방식으로 표시되게 실행할 수 있다.
동영상 재생 앱 아이콘은 동영상 재생을 위한 것으로, 반복 재생, 순환 재생 등을 선택하여 실행할 수 있다.
비상연락 앱 아이콘은 비상호출이 가능하도록 한 아이콘이다. 비상연락 앱 아이콘을 터치하면 기 설정된 비상연락처로 비상호출신호가 전송된다.
설정 앱 아이콘에서는 사진의 슬라이딩시 슬라이딩되는 시간 간격, 화면 밝기 설정, 통신 연결 등을 설정할 수 있다.
제어모듈(160)은 입력모듈(150)의 신호에 응답하여 메모리부(140)에 저장된 사진, 동영상 및 음악 파일을 재생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재생모듈(170)은 제어모듈(160)의 출력 신호에 응답하여 제1 디스플레이(111)와 제2 디스플레이(112)에 화면을 출력한다.
제어모듈(160)은 입력모듈(150)의 신호에 응답하여 라디오 수신, 달력 표시, 시계 표시 신호를 더 출력한다. 일 예로, 제어모듈(160)은 시계 앱 아이콘을 터치한 신호에 응답하여 라디오 수신 신호를 출력하고, 제어모듈(160)의 출력 신호에 응답하여 라디오수신모듈(180)이 라디오를 동작할 수 있다.
또는, 제어모듈(160)은 달력 앱 아이콘을 터치한 신호에 응답하여 달력 표시 신호를 출력하고, 제어모듈(160)의 출력 신호에 응답하여 달력표시모듈(190)이 디스플레이에 달력을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제어모듈(160)은 시계 앱 아이콘을 터치한 신호에 응답하여 시계 표시 신호를 출력하고, 제어모듈(160)의 출력 신호에 응답하여 시계표시모듈(210)이 디스플레이에 시계를 표시할 수 있다.
입력모듈(150)은 노인 모니터링을 위한 감지센서를 더 포함한다. 이는 가족과 떨어져 혼자사는 노인의 안부를 체크하고 비상시 또는 위기시 기등록된 비상연락처 또는 119가 긴급출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일 예로 움직임이 없는 노인을 파악할 수 있으므로 위험상황이 발생되면 기등록된 비상연락처(생활관리사 또는 복지사)에서 1차적으로 확인하고, 대처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감지센서는 빛 감지센서(153), 온도센서(154), 움직임감지센서(155) 및 진동감지센서(156)를 포함한다.
빛 감지센서(153)는 빛의 변화를 전압의 변화로 감지하여 빛의 변화를 감지하는 센서로 형광등의 점등여부로 외출상태인지 아닌지를 파악할 수 있다. 온도센서(154)는 온도를 감지하고, 움직임감지센서(155)는 사람을 감지하며, 진동감지센서(156)는 진동을 감지한다. 빛 감지센서(153), 온도센서(154), 움직임감지센서(155) 및 진동감지센서(156)가 감지한 감지신호는 제어모듈(160)로 전송된다.
제어모듈(160)은 빛 감지센서(153), 온도센서(154), 움직임감지센서(155) 및 진동감지센서(156)의 감지 결과를 통해 노인의 활동을 파악하고 현재 활동 중인 방의 상태를 파악하며 평상시와 다른 변화가 감지되는지 판단한다. 제어모듈(160)은 판단결과 평상시와 다른 변화가 감지되면 이상 신호를 출력한다.
제어모듈(160)에서 이상 신호를 출력하면 제어모듈(160)의 이상 신호에 응답하여 기 등록된 비상연락처로 이상 신호를 전송하는 전송모듈(220)을 더 포함한다. 전송모듈(220)을 통해 이상 신호를 전송받은 비상연락처의 가족 또는 생활관리사는 통신모듈(230)을 사용하여 해당 노인과 통화를 시도하여 1차적으로 확인하고 반응이 없거나 위급 상황인 경우 119와 연계하여 대처할 수 있도록 한다. 통신모듈(230)은 디스플레이부(110)에 내장된 양방향 인터콤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노인 모니터링 전자액자를 복지관 또는 동사무소와 연계한 모습을 보인 구성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노인 모니터링 전자액자에 IoT를 설치하고 복지관 또는 동사무소, 또는 가족과 연계할 수 있다. 일 예로 동사무소의 담당 생활관리사는 노인 모니터링 전자액자에서 감지한 조도, 온도, 움직임 및 진동의 자료를 수집하여 노인의 활동량을 체크하여 관리할 수 있고, 이상 신호를 빠르게 수집하여 1차적으로 해당 노인과 화상통화함으로써 이상 유무를 확인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비상 상황시 119와 연계하여 신속히 대처할 수 있다.
상술한 노인 모니터링 전자액자(100)는 야간에는 수면을 방해하지 않을 정도의 불빛으로 조절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노인 모니터링 전자액자(100)는 음악재생 기능과 라디오 청취 기능은 사진 실행, 달력 실행, 시계 실행과 동시 실행 가능하다. 일 예로, 사진을 보여주면서 음악도 동시에 재생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은 전자액자에 노인 모니터링 기능을 포함하여 실시간으로 직접 모니터링할 수도 있고 위급 상황시에만 이상 신호를 전송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사생활 보호와 함께 위급사항시 빠르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전자액자는 홀로 사는 노인을 모니터링 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홀로 사는 노인 뿐만 아니라 1인 가구에도 적용 가능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0: 노인 모니터링 전자액자 110: 디스플레이부
111: 제1 디스플레이 112: 제2 디스플레이
113: 선택버튼 114,115: 방향이동버튼
115: 슬라이드실행버튼 120: 지지부
121: 스피커 131: SD카드슬롯
133: USB메모리슬롯 135: 전원 어댑터 포트
137: 이어폰 단자 139: 안테나
140: 메모리부 150: 입력모듈
151: 앱 아이콘 152: 버튼
153: 빛 감지센서 154: 온도센서
155: 움직임감지센서 156: 진동감지센서
170: 재생모듈 180: 라디오수신모듈
190: 달력표시모듈 210: 시계표시모듈
220: 전송모듈 230: 통신모듈

Claims (2)

  1. 노인 모니터링 전자액자에 있어서,
    이미지 또는 영상을 표시하고, 제 1 정보를 표시하는 제 1 디스플레이와 제2 정보를 표시하는 제2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듀얼 타입이며, 상기 제1 정보와 상기 제2 정보는, 달력, 시계, 사진, 동영상, 라디오, 음악, 비상연락 및 설정에 해당하는 다수의 앱 아이콘 및 상기 앱 아이콘에 해당하는 화면이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와 상기 제2 디스플레이는 각각 상기 다수의 앱 아이콘을 구비하고, 상기 다수의 앱 아이콘 중 선택된 앱 아이콘에 해당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제1 디스플레이와 상기 제2 디스플레이는 개별동작되고, 상기 앱 아이콘은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실행되며, 상기 제1 디스플레이와 상기 제2 디스플레이는 선택버튼, 방향이동버튼 및 슬라이드실행버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실행버튼(116)은, 저장된 사진 및 동영상이 설정시간마다 변경되고, 하나의 사진 및 동영상들이 표시될 때, 슬라이딩되는 시간 간격 설정 가능하며, 원하는 사진 및 동영상을 특정 폴더에 저장하고, 특정 폴더에 저장된 사진 및 동영상만 슬라이딩 방식으로 표시할 수 있도록 설정 가능한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후면에 구비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소정의 각도로 세워지도록 지지하며, SD 메모리카드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SD카드슬롯과, USB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USB메모리슬롯과, 전원을 연결하기 위한 전원 어댑터 포트와, 이어폰을 연결하기 위한 이어폰 단자 및 라디오를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를 구비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지지부는 일체로 형성되며,
    사진, 동영상 및 음악 파일이 저장되는 메모리부와, 터치에 의해 앱 아이콘을 실행하는 입력모듈과, 상기 입력모듈의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사진, 동영상 및 음악 파일을 재생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모듈 및 상기 제어모듈의 출력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디스플레이와 상기 제2 디스플레이에 화면을 출력하는 재생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입력모듈의 신호에 응답하여 라디오 수신, 달력 표시, 시계 표시 신호를 더 출력하고, 상기 제어모듈의 출력 신호에 응답하여 라디오를 동작시키는 라디오수신모듈과, 상기 제어모듈의 출력 신호에 응답하여 달력을 표시하는 달력표시모듈 및 상기 제어모듈의 출력 신호에 응답하여 시계를 표시하는 시계표시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입력모듈은 노인 모니터링을 위한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감지센서는 빛 감지센서, 온도센서, 움직임감지센서 및 진동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감지센서가 감지한 감지신호는 상기 제어모듈로 전송하고, 상기 빛 감지센서는 빛의 변화를 전압의 변화로 감지하여 빛의 변화를 감지하는 센서로 형광등의 점등여부로 외출상태인지 아닌지를 파악하고,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빛 감지센서, 상기 온도센서, 상기 움직임감지센서 및 진동감지센서의 감지 결과를 통해 노인의 활동을 파악하고 현재 활동 중인 방의 상태를 파악하며 평상시와 다른 변화가 감지되는지 판단하며, 판단결과 평상시와 다른 변화가 감지되면 이상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제어모듈에서 이상 신호를 출력하면 상기 제어모듈의 이상 신호에 응답하여 기 등록된 비상연락처로 이상 신호를 전송하는 전송모듈 및 노인과 기 등록된 비상연락처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통신은 유선 통화 또는 화상 통화 중 선택되는,
    노인 모니터링 전자액자.
  2. 삭제
KR1020200186388A 2020-12-29 2020-12-29 노인 모니터링 전자액자 KR1022792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6388A KR102279243B1 (ko) 2020-12-29 2020-12-29 노인 모니터링 전자액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6388A KR102279243B1 (ko) 2020-12-29 2020-12-29 노인 모니터링 전자액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9243B1 true KR102279243B1 (ko) 2021-07-20

Family

ID=77127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6388A KR102279243B1 (ko) 2020-12-29 2020-12-29 노인 모니터링 전자액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924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33135A (ja) * 2008-07-25 2010-02-12 Sanyo Electric Co Ltd 画像表示装置
KR20160071897A (ko) * 2014-12-12 2016-06-2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 및 전자장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KR102077594B1 (ko) * 2019-06-12 2020-02-17 아바드(주) 스마트단말기 기반의 IoT 지능형 독거노인 안심서비스 시스템.
KR20200110498A (ko) 2019-03-13 2020-09-24 (주)아이티엔제이 스마트 독거 노인 모니터링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33135A (ja) * 2008-07-25 2010-02-12 Sanyo Electric Co Ltd 画像表示装置
KR20160071897A (ko) * 2014-12-12 2016-06-2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 및 전자장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KR20200110498A (ko) 2019-03-13 2020-09-24 (주)아이티엔제이 스마트 독거 노인 모니터링 시스템
KR102077594B1 (ko) * 2019-06-12 2020-02-17 아바드(주) 스마트단말기 기반의 IoT 지능형 독거노인 안심서비스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42168B2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controlling smart device
KR101779916B1 (ko) 알람에 기초한 알림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US10219100B2 (en) Determining proximity for devices interacting with media devices
KR101808967B1 (ko) 싱글핸드 모드에서의 버튼 조작 처리 방법, 장치, 전자 디바이스,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EP3035738A1 (en) Method for connecting appliance to network and device for the same
KR20160122629A (ko) 애플리케이션 메시지 표시 방법, 장치, 단말기,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EP1574045A1 (en) Digital camera with a detachable display usable as remote control
JP6004190B2 (ja) スピーカ装置
EP2166706A1 (en) Method of changing status of instant message software
EP3823251A1 (en) Function control method, function control device,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CN114500442A (zh) 消息管理方法和电子设备
US20140194159A1 (en) Hand activated mode setting
KR102279243B1 (ko) 노인 모니터링 전자액자
CN105513506B (zh) 显示终端
KR102302994B1 (ko) 터치를 통한 스마트폰 보조 입력장치
JP5549060B2 (ja) デジタルフォトフレーム及びデジタルフォトフレームシステム
JP2014241524A (ja) 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通信装置の使用方法
US10063770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JP5572971B2 (ja) 表示装置、デジタルフォトフレーム及び表示システム
JP2016127498A (ja) 表示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ES2884206T3 (es) Objeto conectado provisto con un medio de comunicación por radio y un micrófono de a bordo que se puede colocar en al menos dos posiciones estables
JP2005328180A (ja) 集合住宅用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JP2010055359A (ja) 画像表示装置
JP2011205227A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US20230007125A1 (en) Conference device having a configurable control butt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