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8967B1 - 싱글핸드 모드에서의 버튼 조작 처리 방법, 장치, 전자 디바이스,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싱글핸드 모드에서의 버튼 조작 처리 방법, 장치, 전자 디바이스,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08967B1 KR101808967B1 KR1020167001459A KR20167001459A KR101808967B1 KR 101808967 B1 KR101808967 B1 KR 101808967B1 KR 1020167001459 A KR1020167001459 A KR 1020167001459A KR 20167001459 A KR20167001459 A KR 20167001459A KR 101808967 B1 KR101808967 B1 KR 10180896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utton
- physical button
- terminal
- physical
- hand mod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8—Programmable keyboards
-
- H04M1/72519—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6—Zoom, i.e. interaction techniques or interactors for controlling the zooming operation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79—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 H04M1/0281—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for providing single handed use or left/right hand convers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context-related or environment-related condi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싱글핸드 모드에서의 버튼 조작 처리 방법, 장치, 전자 디바이스,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며, 당해 방법은 단말기가 싱글핸드 모드로 전환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와, 단말기가 싱글핸드 모드로 전환 되었을 경우, 상기 단말기의 싱글핸드 조작 범위 내에 있는 물리버튼인 근접물리버튼에 대한 제1 예정된 조작을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근접물리버튼에 대한 제1 예정된 조작을 수신하였을 경우, 상기 단말기의 상기 싱글핸드 조작 범위를 벗어난 물리버튼인 이격물리버튼에 대응하는 조작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기술방안을 통해, 단말기상의 물리버튼을 싱글핸드 모드에 적용시켜, 싱글핸드 모드의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본원은 출원 번호가 201510290025.4이며, 출원일이 2015년 5월 29일자인 중국 특허 출원에 근거하여, 우선권을 주장하며, 해당 중국 특허 출원의 모든 내용을 본원에 원용한다.
본 발명은 단말기의 조작 기술분야에 관한 것이며, 특히 싱글핸드 모드에서의 버튼 조작 처리 방법, 장치, 전자 디바이스,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시각에 대한 사용자 요구가 높아 짐에 따라, 단말기의 스크린 사이즈는 점점 커져가며, 사용자는 단말기를 싱글핸드로 쥐고 조작할 수 없으며, 양손을 사용하여 조작하지 않으면 안되어, 사용자의 사용이 불편하게 되어 버렸다. 사용자의 사용체험을 높이기 위해, 관련기술에서는 "싱글핸드 모드"를 제공하였다. 예를 들면 표시 인터페이스에 대해 줌 처리(Zoom)하는 것을 통해, 표시 인터페이스가 사용자의 싱글핸드 조작 범위 내에 위치하도록 하여, 대형 스크린 단말기를 싱글핸드로 쥐고 조작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발명은 관련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싱글핸드 모드에서의 버튼 조작 처리 방법, 장치, 전자 디바이스,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1 양태에 의하면,
단말기가 싱글핸드 모드로 전환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와,
단말기가 싱글핸드 모드로 전환되었을 경우, 상기 단말기의 싱글핸드 조작 범위 내에 있는 물리버튼인 근접물리버튼에 대한 제1 예정된 조작을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근접물리버튼에 대한 제1 예정된 조작을 수신하였을 경우, 상기 단말기의 상기 싱글핸드 조작 범위를 벗어난 물리버튼인 이격물리버튼에 대응하는 조작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싱글핸드 모드에서의 버튼 조작 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싱글핸드 모드에 대응하는 조작 핸드의 방향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조작 핸드의 방향이 왼손일 경우, 상기 이격물리버튼은 상기 단말기의 우측에 위치하는 물리버튼임을 확정하고, 상기 조작 핸드의 방향이 오른손일 경우, 상기 이격물리버튼은 상기 단말기의 좌측에 위치하는 물리버튼임을 확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근접물리버튼에 대한 제1 예정된 조작을 수신하였을 경우, 상기 이격물리버튼에 대응하는 조작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는, 임의의 근접물리버튼에 대한 제1 예정된 조작을 수신하였을 경우, 상기 이격물리버튼에 대응하는 조작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방법은, 각 근접물리버튼에 대한 최초의 트리거 조작을 수신하였을 경우, 대응하는 최초의 조작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근접물리버튼에 대한 제1 예정된 조작을 수신하였을 경우, 상기 이격물리버튼에 대응하는 조작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는, 임의의 근접물리버튼에 대한 제1 예정된 조작을 수신하였을 경우, 상기 이격물리버튼에 대응하는 조작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방법은, 다른 근접물리버튼에 대한 제2 예정된 조작을 수신하였을 경우, 상기 임의의 근접물리버튼에 대응하는 조작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격물리버튼에 대한 트리거 조작을 검출하였을 경우, 상기 싱글핸드 모드로부터 탈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2 양태에 의하면,
단말기가 싱글핸드 모드로 전환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모드 검출 유닛과,
단말기가 싱글핸드 모드로 전환되었을 경우, 상기 단말기의 싱글핸드 조작 범위 내에 있는 물리버튼인 근접물리버튼에 대한 제1 예정된 조작을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조작 검출 유닛과,
상기 근접물리버튼에 대한 제1 예정된 조작을 수신하였을 경우, 상기 단말기의 상기 싱글핸드 조작 범위를 벗어난 물리버튼인 이격물리버튼에 대응하는 조작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실행 유닛을 포함하는 싱글핸드 모드에서의 버튼 조작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싱글핸드 모드에 대응하는 조작 핸드의 방향을 검출하기 위한 방향 검출 유닛과,
상기 방향 검출 유닛에 의해 상기 조작 핸드의 방향이 왼손인 것이 검출되었을 경우, 상기 이격물리버튼은 상기 단말기의 우측에 위치하는 물리버튼임을 확정하고, 상기 방향 검출 유닛에 의해 상기 조작 핸드의 방향이 오른손인 것이 검출되었을 경우, 상기 이격물리버튼은 상기 단말기의 좌측에 위치하는 물리버튼임을 확정하는 버튼 확정 유닛을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실행 유닛은 임의의 근접물리버튼에 대한 제1 예정된 조작을 수신하였을 경우, 상기 이격물리버튼에 대응하는 조작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제 1 실행 서브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장치는, 각 근접물리버튼에 대한 최초의 트리거 조작을 수신하였을 경우, 대응하는 최초의 조작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제 1 조작 유닛을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실행 유닛은, 임의의 근접물리버튼에 대한 제1 예정된 조작을 수신하였을 경우, 상기 이격물리버튼에 대응하는 조작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제 2 실행 서브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장치는, 다른 근접물리버튼에 대한 제2 예정된 조작을 수신하였을 경우, 상기 임의의 근접물리버튼에 대응하는 조작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제 2 조작 유닛을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격물리버튼에 대한 트리거 조작을 검출하였을 경우, 상기 싱글핸드 모드로부터 탈퇴하기 위한 탈퇴 유닛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3 양태에 의하면,
프로세서와,
프로세서가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단말기가 싱글핸드 모드로 전환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하고,
단말기가 싱글핸드 모드로 전환되었을 경우, 상기 단말기의 싱글핸드 조작 범위 내에 있는 물리버튼인 근접물리버튼에 대한 제1 예정된 조작을 수신 하였는지 여부를 검출하며,
상기 근접물리버튼에 대한 제1 예정된 조작을 수신하였을 경우, 상기 단말기의 상기 싱글핸드 조작 범위를 벗어난 물리버튼인 이격물리버튼에 대응하는 조작기능을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4 양태에 의하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며 상기 싱글핸드 모드에서의 버튼 조작 처리 방법을 실현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5 양태에 의하면, 상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4 양태에 의하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며 상기 싱글핸드 모드에서의 버튼 조작 처리 방법을 실현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5 양태에 의하면, 상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기술방안은 아래와 같은 유익한 효과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로부터 알 수 있는 바, 본 발명은 단말기의 물리버튼을 근접물리버튼과 이격물리버튼으로 나누는 것을 통해, 근접물리버튼으로 이격물리버튼의 기능을 모의하는 것을 통해, 사용자가 근접물리버튼에 대해서만 조작 하는 것으로 모든 물리버튼의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물리버튼도 마찬가지로 싱글핸드 모드에 적용될 수 있어, 싱글핸드 모드의 사용성의 향상에 도움이 된다.
상기 일반적인 설명 및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예시 및 해석에 지나지 않고,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표시된 도면은 명세서에 포함되며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하고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도시하였으며, 명세서와 함께 본 발명의 원리의 해석에 사용된다.
도 1은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싱글핸드 모드의 단말기 인터페이스의 모식도이다.
도 2는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싱글핸드 모드에서의 버튼 조작 처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싱글핸드 모드의 버튼 조작의 모식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싱글핸드 모드의 버튼 조작의 모식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싱글핸드 모드의 버튼 조작의 모식도이다.
도6-10은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싱글핸드 모드에서의 버튼 조작 처리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1은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싱글핸드 모드에서의 버튼 조작 처리를 위한 장치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1은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싱글핸드 모드의 단말기 인터페이스의 모식도이다.
도 2는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싱글핸드 모드에서의 버튼 조작 처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싱글핸드 모드의 버튼 조작의 모식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싱글핸드 모드의 버튼 조작의 모식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싱글핸드 모드의 버튼 조작의 모식도이다.
도6-10은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싱글핸드 모드에서의 버튼 조작 처리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1은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싱글핸드 모드에서의 버튼 조작 처리를 위한 장치의 구조 모식도이다.
여기에서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 예시를 도면에 표시한다. 특별히 설명하지 않는 한 다른 도면에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요소를 나타낸다. 다음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언급한 실시예는 본 발명에 일치하는 모든 실시 형태를 대표하는 것은 아니다. 반대로, 그들은 단지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어떤 방향과 일치한 장치 및 방법의 일례에 불과하다.
도 1은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싱글핸드 모드의 단말기 인터페이스의 모식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가 싱글핸드 모드를 부팅하였을 경우, 단말기의 최초의 인터페이스는 예정된 비율에 따라 대응하는 주밍 인터페이스(Zooming Interface)를 가지며, 당해 주밍 인터페이스를 사용자가 잡고 있는 위치에 표시한다. 예를 들면 도 1에서, 사용자는 오른손으로 단말기를 잡고 있으며 단말기는 직립 상태에 놓여 있기에, 사용자가 잡고 있는 위치는 단말기의 오른쪽 아래이다. 따라서, 주밍 인터페이스를 당해 사용자가 잡고 있는 위치에 표시하여, 사용자의 싱글핸드 조작 구역 내에 위치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단말기를 잡는 동시에, 오른손 엄지 등에 의해 조작을 실행하도록 한다.
동시에, 주밍 인터페이스를 커버하는 것 외에, 싱글핸드 조작 구역은 단말기의 일부 물리버튼도 커버하고 있다. 예를 들면 도 1의 각각 단말기의 하부 중앙, 우측에 위치하는 "홈 버튼", "리턴 버튼"이다. 하지만, 단말기의 하부 좌측에 위치하는 "메뉴 버튼"은 싱글핸드 조작 구역 외에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당해 물리버튼을 싱글핸드로 조작하지 못한다. 따라서, "싱글핸드 모드"는 스크린 표시 내용에 대하여 조정할 수 밖에 없으므로, 단말기의 물리버튼에 대해서는 유효한 적용성 처리를 실시하지 못하여, "싱글핸드 모드"의 사용성을 저하시켰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싱글핸드 모드에서의 버튼 조작 처리 방법을 제출하고, 물리버튼의 조작을 조정하는 것을 통해, "싱글핸드 모드"의 사용성을 향상시킨다.
도 2는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싱글핸드 모드에서의 버튼 조작 처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당해 방법은 단말기에 사용되며 하기와 같은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202에서, 단말기가 싱글핸드 모드로 전환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한다.
본 실시예에서, 단말기는 스크린의 가상 버튼 또는 단말기의 물리버튼에 대한 사용자의 트리거를 검출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잡는 자세 및 조작 방식을 자동으로 검출하는 것을 통해, 싱글핸드 모드로의 전환을 실현할 수 있다. 여기서, 싱글핸드 모드에서, 사용자는 단말기를 싱글핸드로 잡아 조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잡는 손의 엄지는 대응하는 싱글핸드 조작 구역 내에 있고, 스크린 표시 인터페이스의 표시에 대한 단말기의 조정(예를 들면 표시 인터페이스에 대한 줌 처리 등)에 기초하여, 스크린 인터페이스 전체를 유효하게 조작할 수 있다.
물론, 당업자는 다른 방법에 의해 싱글핸드 모드로 전환할 수도 있다. 한편 싱글핸드 모드에서도, 복수 종류의 서로 다른 스크린 표시 인터페이스의 조정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모두 본 발명의 기술방안에 적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대하여 한정하지 않는다.
단계 204에서, 단말기가 싱글핸드 모드로 전환 되었을 경우, 상기 단말기의 싱글핸드 조작 범위 내에 있는 물리버튼인 근접물리버튼(proximal physical button)에 대한 제1 예정된 조작을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검출한다.
본 실시예에서, 단말기는 상기 싱글핸드 모드에 대응하는 조작 핸드(조작에 참여하는 핸드)의 방향을 확정할 수 있으며, 상기 단말기 상에서, 수평 방향에 따라 배열된 복수의 물리버튼 중에서, 상기 조작 핸드 방향으로부터 떨어진 물리버튼을 이격물리버튼(distal physical button)으로 선택하며, 다른 물리버튼은 상기 근접물리버튼으로 한다. 조작 핸드의 방향을 확정(예를 들면, 자동 검출 또는 사용자 설치)하는 것을 통해, 물리버튼의 조작 방식을 정확하게 배치할 수 있으며, 혼동을 피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로서, 예를 들면 단말기 상에 수평 방향에 따라 배열된 세 개의 물리버튼이 포함되는 경우, 조작 핸드의 방향이 왼손일 경우, 좌측과 중앙의 물리버튼은 상기 근접물리버튼이며, 우측의 물리버튼은 상기 이격물리버튼이며, 조작 핸드의 방향이 오른손일 경우, 우측과 중앙의 물리버튼이 상기 근접물리버튼이며, 좌측의 물리버튼이 상기 이격물리버튼이다.
단계 206에서, 상기 근접물리버튼에 대한 제1 예정된 조작을 수신하였을 경우, 상기 단말기의 상기 싱글핸드 조작 범위를 벗어난 물리버튼인 이격물리버튼에 대응하는 조작기능을 실행한다.
본 실시예에서, 나아가 하나의 근접물리버튼으로 이격물리버튼에 대하여 모의(Simulation)할 수 있으며, 다른 하나 근접물리버튼으로 당해 근접물리버튼을 모의할 수 있다. 따라서, 동일한 물리버튼이 동시에 이격물리버튼과 근접물리버튼의 조작기능과 관련되는 것을 피하고, 사용자의 사용체험의 향상에 도움이 된다.
상술한 실시예로부터 알 수 있는 바, 본 발명은 단말기의 물리버튼을 근접물리버튼과 이격물리버튼으로 나누는 것을 통해, 근접물리버튼으로 이격물리버튼의 기능을 모의하는 것을 통해, 사용자가 근접물리버튼에 대해서만 조작하는 것으로 모든 물리버튼의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물리버튼도 마찬가지로 싱글핸드 모드에 적용될 수 있어, 싱글핸드 모드의 사용성의 향상에 도움이 된다.
아래에서, 도면에 결부하여, 상술한 단계 204및 단계 206의 처리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1. 물리버튼의 분류
한편, 단말기상에 있는 싱글핸드 모드의 적용에 필요한 물리버튼의 상황, 예를 들면 물리버튼의 위치, 수량, 배열형태 등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리버튼이 단말기의 하부에 일렬로 배열된 세 개의 물리버튼일 경우, 사용자가 수직(도 3에 나타나는 자세)으로 당해 단말기를 잡았을 경우, 싱글핸드 조작 구역이 물리버튼 전체를 커버할 수 없을 경우도 있다.
한편, 단말기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 핸드의 방향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조작 핸드의 방향이 왼손일 경우, 이격물리버튼은 단말기의 우측에 위치하는 물리버튼, 즉, 단말기 상의 좌우로 배열된 복수의 물리버튼 중의 가장 우측의 물리버튼인 것을 확정하고, 조작 핸드의 방향이 오른손일 경우, 이격물리버튼은 단말기의 좌측에 위치하는 물리버튼, 즉, 단말기 상의 좌우로 배열된 복수의 물리버튼 중의 가장 좌측의 물리버튼인 것을 확정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른손으로 잡을 경우, 대응하는 싱글핸드 조작 구역은 중앙과 우측의 물리버튼 밖에 커버하지 못하고, 좌측의 물리버튼을 커버할 수 없을 가능성이 있다. 때문에, 중간과 가장 우측의 물리버튼을 근접물리버튼으로 설정하고, 가장 좌측의 물리버튼을 이격물리버튼으로 설정할 수 있다.
2. 버튼기능의 모의
도 3에 나타나는 실시예를 기초로, 중앙 또는 우측의 물리버튼으로 좌측의 물리버튼을 모의할 수 있다. 중앙의 물리버튼으로 좌측의 물리버튼을 모의하는 것을 예로 들면,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가 중앙의 홈 버튼에 대해 예를 들면 길게 누르는(가압시간 T≥예정된 시간 t0) 조작과 같은 제1 예정된 조작을 실행하였을 경우, 단말기는 메뉴 버튼에 대응하는 조작기능을 실행하고,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 인터페이스에 "조작메뉴"를 호출한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로서 임의의 하나의 근접물리버튼에 대한 제1 예정된 조작을 수신하였을 경우, 상기 이격물리버튼에 대응하는 조작기능을 실행하고, 각 근접물리버튼에 대한 최초의 트리거 조작을 수신하였을 경우, 대응하는 최초의 조작기능을 실행한다.
바꾸어 말하면, 근접물리버튼이 이격물리버튼에 대하여 모의할 수 있을 경우, 근접물리버튼은 자신의 최초의 조작기능도 실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편, 사용자는 길게 누르는 등의 제1 예정된 조작을 통해, 홈 버튼으로 메뉴 버튼의 조작기능을 실현할 수 있으며, 한편, 사용자가 홈 버튼에 대해 예를 들어 클릭 조작과 같은 최초의 트리거 조작을 실행하였을 경우, 여전히 홈 버튼의 최초의 조작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예정된 홈 페이지로 직접 교체되는 등이다.
당해 실시예에서, 이격물리버튼에 대하여 모의함과 동시에 근접물리버튼의 조작기능을 변경할 필요는 없으며, 사용자는 이격물리버튼에 대한 모의 방법만 파악하면 되며, 사용자의 학습 코스트를 내릴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형태로서 임의의 하나의 근접물리버튼에 대한 제1 예정된 조작을 수신하였을 경우, 상기 이격물리버튼에 대응하는 조작기능을 실행하며, 다른 근접물리버튼에 대한 최초의 트리거 조작을 수신하였을 경우, 대응하는 최초의 조작기능을 실행하며, 다른 하나의 근접물리버튼에 대한 제2 예정된 조작을 수신하였을 경우, 상기 임의의 하나의 근접물리버튼에 대응하는 조작기능을 실행한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당해 "다른 하나의 근접물리버튼"과 「임의의 하나의 근접물리버튼」은 예를 들면 동일한 물리버튼일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예를 들면 단말기 상에 복수의 근접물리버튼이 존재할 경우, 어느 하나의 물리버튼은 이격물리버튼의 모의에만 사용될 수 있으며, 기타 근접물리버튼으로 당해 근접물리버튼의 조작기능을 모의한다. 예를 들면,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홈 버튼과 리턴 버튼은 모두 근접물리버튼이고, 메뉴 버튼은 이격물리버튼일 경우, 단말기의 조작 핸드의 방향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떨어진 근접물리버튼을 선택하여 이격물리버튼에 대하여 모의한다. 즉, 홈 버튼으로 메뉴 버튼을 모의하고, 리턴 버튼으로 홈 버튼의 조작기능과 자신의 최초의 조작기능을 모의한다.
당해 실시예에서, 이격물리버튼에 대한 단독적인 모의 및 근접물리버튼에 대한 조작 조정을 통해, 근접물리버튼 사이에 여전히 "이격"과 "근접"의 상대적인 개념과 조작 방식을 유지시켜, 여러가지 조작 방식에 대한 사용자의 혼동을 피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조작 체험의 향상에 도움이 된다.
물론, 상술한 조작 방식은 본 발명의 기술방안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예시에 지나지 않고, 여러가지 상황에서의 조작의 요구를 만족하기 위해, 각 근접물리버튼의 기능에 대하여 설정할 수 있고, 각 근접물리버튼으로 기타 임의의 이격 또는 근접물리버튼의 조작 기능을 모의 할 수 있으며, 이는 모두 본 발명의 기술방안에 포함된다.
설명해야 할 것은,
1) 버튼의 수량. 상술한 도 3, 도 4a-4b에 나타난 실시예에서, 전부 단말기의 하부에 위치하는 일렬로 배열된 세 개의 물리버튼을 예로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단말기에서 "이격"과 "근접"의 상대적인 관계를 구성하는 물리버튼의 수량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5a-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말기는 네 개의 물리버튼을 포함할 수 있는 것과 같이 단말기는 기타 수량의 물리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2) 조작 핸드의 방향. 상술한 도 3, 도 4a-4b에 나타난 실시예에서, 전부 조작 핸드의 방향이 오른손인 것을 예로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단말기의 조작 핸드의 방향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는 왼손으로 단말기에 대한 싱글핸드 조작을 실시할 수 있으며, 단말기에 포함되는 네 개의 물리버튼에 기초하여, 좌측의 세 개의 물리버튼을 근접물리버튼으로, 가장 우측의 하나의 물리버튼을 이격물리버튼으로 할 수 있다.
3) 이격물리버튼의 수량. 상술한 도 3, 도 4a-4b, 도 5a에 나타나는 실시예에서는, 근접물리버튼이 복수개이고, 이격물리버튼이 하나인 것을 예로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단말기의 근접물리버튼 또는 이격물리버튼의 수량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5b에 나타나는 실시예에서, 단말기는 네 개의 물리버튼을 포함하고, 여기서 사용자가 왼손으로 단말기를 잡는 경우, 좌측의 두 개는 근접물리버튼이고, 우측의 두 개는 이격물리버튼이다. 설명의 편의상, 가장 좌측의 버튼을 좌 1 버튼, 그다음 좌측의 버튼을 좌 2 버튼, 가장 우측의 버튼을 우 1 버튼, 그다음 우측의 버튼을 우 2 버튼으로 가정한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로서 단말기는 좌 1 버튼에 대한 사용자의 제1 예정된 조작을 검출하였을 경우, 우 2 버튼에 대응하는 조작기능을 실행하고, 좌 2 버튼에 대한 사용자의 제1 예정된 조작을 검출하였을 경우, 우 1 버튼에 대응하는 조작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유사하게,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로서 단말기는 좌 1 버튼에 대한 사용자의 제1 예정된 조작을 검출하였을 경우, 우 1 버튼에 대응하는 조작기능을 실행하고, 좌 2 버튼에 대한 사용자의 제1 예정된 조작을 검출하였을 경우, 우 2 버튼에 대응하는 조작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여기서, 좌 1 버튼, 우 1 버튼과 우 1 버튼, 우 2 버튼의 각종 대응 관계는 미리 설정할 수 있으며 또는 사용자가 자신의 습관/취향에 근거하여 자유롭게 설정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대하여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 단말기가 상기 이격물리버튼에 대한 트리거 조작을 검출하였을 경우, 사용자가 모든 물리버튼을 커버할 수 있음을 설명하고 있으며, 이에 의해 싱글핸드 모드로부터 탈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싱글핸드 모드에서의 버튼 조작 처리 방법의 실시예에 대응하는 싱글핸드 모드에서의 버튼 조작 처리 장치의 실시예를 제공한다.
도 6은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싱글핸드 모드에서의 버튼 조작 처리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당해 장치는 모드 검출 유닛 (61), 조작 검출 유닛 (62) 및 실행 유닛 (63)을 포함한다.
여기서, 모드 검출 유닛 (61)은 단말기가 싱글핸드 모드로 전환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한다.
조작 검출 유닛 (62)은 단말기가 싱글핸드 모드로 전환되었을 경우, 상기 단말기의 싱글핸드 조작 범위 내에 있는 물리버튼인 근접물리버튼에 대한 제1 예정된 조작을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검출한다.
실행 유닛 (63)은 상기 근접물리버튼에 대한 제1 예정된 조작을 수신하였을 경우, 상기 단말기의 상기 싱글핸드 조작 범위를 벗어난 물리버튼인 이격물리버튼에 대응하는 조작기능을 실행한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 7은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다른 싱글핸드 모드에서의 버튼 조작 처리 장치의 블록도이다. 당해 실시예는 상술한 도 6에 나타나는 실시예를 기초로 당해 장치는 방향 검출 유닛 (64) 및 버튼 확정 유닛 (65)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방향 검출 유닛 (64)은 상기 싱글핸드 모드에 대응하는 조작 핸드의 방향을 검출한다.
버튼 확정 유닛 (65)은, 상기 조작 핸드의 방향이 왼손일 경우, 상기 이격물리버튼은 상기 단말기의 우측에 위치하는 물리버튼임을 확정하고, 상기 조작 핸드의 방향이 오른손일 경우, 상기 이격물리버튼은 상기 단말기의 좌측에 위치하는 물리버튼임을 확정한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 8은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다른 싱글핸드 모드에서의 버튼 조작 처리 장치의 블록도이다. 당해 실시예는 상술한 도 6에 나타나는 실시예를 기초로, 실행 유닛 (63)은 임의의 근접물리버튼에 대한 제1 예정된 조작을 수신하였을 경우, 상기 이격물리버튼에 대응하는 조작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제 1 실행 서브 유닛 (631)을 포함하며,
상기 장치는 각 근접물리버튼에 대한 최초의 트리거 조작을 수신하였을 경우, 대응하는 최초의 조작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제 1 조작 유닛 (66)을 더 포함한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 9는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다른 싱글핸드 모드에서의 버튼 조작 처리 장치의 블록도이다. 당해 실시예는 상술한 도 6에 나타나는 실시예를 기초로, 실행 유닛 (63)은 임의의 근접물리버튼에 대한 제1 예정된 조작을 수신하였을 경우, 상기 이격물리버튼에 대응하는 조작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제 2 실행 서브 유닛 (632)을 포함하며,
상기 장치는 상기 다른 근접물리버튼에 대한 제2 예정된 조작을 수신하였을 경우, 상기 임의의 근접물리버튼에 대응하는 조작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제 2 조작 유닛 (67)을 더 포함한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 10은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다른 싱글핸드 모드에서의 버튼 조작 처리 장치의 블록도이며, 당해 실시예는 상술한 도 6에 나타나는 실시예를 기초로 당해 장치는 탈퇴 유닛 (6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탈퇴 유닛 (68)은 상기 이격물리버튼에 대한 트리거 조작을 검출하였을 경우, 상기 싱글핸드 모드로부터 탈퇴한다.
설명해야 할 것은, 상술한 도 10에 나타나는 장치 실시예에서의 탈퇴 유닛 (66)의 구조는 상술한 도7-9의 장치 실시예에 포함되는 것도 가능하며, 본 발명은 이에 대하여 한정하지 않는다.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의 장치에 관해서는 각 모듈이 조작을 실행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이미 관련하는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며, 여기서는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장치 실시예에 있어서, 기본적으로 방법의 실시예에 대응하기 때문에, 관련하는 부분은 방법 실시예의 일부 설명을 참조하면 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장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고, 여기서 분리부품으로서 설명되는 유닛은 물리적으로 분리될 수도 있고 분리되지 않을 수도 있다. 유닛으로서 표시되는 부품은 물리적인 유닛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 즉, 한곳에 위치할 수 있고, 또는 복수의 네트워크 유닛에 분포될 수도 있다. 실제의 수요에 따라, 그 중의 일부 또는 전체 모듈을 선택하여 본 발명의 기술안의 목적을 실현할 수 있다. 당업자는 창조적인 노동을 거치지 않고, 이해하고 실행할 수 있다.
상기에 대응하여, 본 발명은 스마트홈 디바이스의 제어장치를 더 제공하며,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가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단말기가 싱글핸드 모드로 전환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하고, 단말기가 싱글핸드 모드로 전환되었을 경우, 상기 단말기의 싱글핸드 조작 범위 내에 있는 물리버튼인 근접물리버튼에 대한 제1 예정된 조작을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검출하며, 상기 근접물리버튼에 대한 제1 예정된 조작을 수신하였을 경우, 상기 단말기의 상기 싱글핸드 조작 범위를 벗어난 물리버튼인 이격물리버튼에 대응하는 조작기능을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에 대응하여, 본 발명은 단말기를 더 제공하며, 상기 단말기는 메모리 및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상기 프로그램은, 단말기가 싱글핸드 모드로 전환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하고, 단말기가 싱글핸드 모드로 전환되었을 경우, 상기 단말기의 싱글핸드 조작 범위 내에 있는 물리버튼인 근접물리버튼에 대한 제1 예정된 조작을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검출하며, 상기 근접물리버튼에 대한 제1 예정된 조작을 수신하였을 경우, 상기 단말기의 상기 싱글핸드 조작 범위를 벗어난 물리버튼인 이격물리버튼에 대응하는 조작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커멘드를 포함한다.
도 11은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싱글핸드 모드에서의 버튼 조작 처리 장치 1100의 블록도이다. 예를 들어, 장치(1100)는 휴대 전화, 컴퓨터, 디지털 방송 단말기, 메시지 송수신 장치, 게임 컨트롤러, 플랫 장치, 의료장치, 피트니스 장비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이 될 수 있다.
도 1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1100)는 프로세스 어셈블리(1102), 메모리(1104), 전원 어셈블리(1106), 멀티미디어 어셈블리(1108), 오디오 어셈블리(1110), 입력/출력(I/O) 인터페이스(812), 센서 어셈블리(1114) 및 통신 어셈블리(1116) 등 하나 또는 복수의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스 어셈블리(1102)는 통상적으로 장치(1100)의 전체 조작을 제어하며, 예를 들면, 표시,전화 통화,데이터 통신,카메라 조작 및 기록 조작에 관련된 조작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스 어셈블리(802)는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1120)를 구비하여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방법의 전부 혹은 일부 단계를 완성한다. 또한, 프로세스 어셈블리(1102)는 하나 또는 복수의 모듈을 포함하고 있어 프로세스 어셈블리(1102)와 기타 어셈블리 사이의 인터렉션(interaction)에 편리하다. 예를 들면, 프로세스 어셈블리(1102)는 멀티미디어 모듈을 포함하고 있어 멀티미디어 어셈블리(1108)와 프로세스 어셈블리(1102) 사이의 인터렉션이 편리하게 된다.
메모리(1104)에는 각종 유형의 데이터가 저장되어 장치(1100)의 동작을 서포트한다. 이러한 데이터의 예로서 장치(1100)에서 동작하는 임의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혹은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인스트럭션,연락처 데이터,전화번호부 데이터, 메시지,이미지, 비디오 등을 포함한다. 메모리(1104)는 임의의 유형의 휘발성 혹은 비휘발성 메모리 혹은 양자의 조합으로 실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EPROM(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ROM(Read-Only Memory),자기 메모리,플래시 메모리,자기 디스크 혹은 콤팩트 디스크 등으로 실현될 수 있다.
전력 어셈블리(1106)는 장치(1100)의 각 어셈블리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전력 어셈블리(1106)는 전원 관리 시스템,하나 또는 복수의 전원 및 장치(1100)를 위하여 전력을 생성, 관리 및 분배하기 위한 기타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어셈블리(1108)는 상기 장치(1100)와 사용자 사이에 하나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스크린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스크린은 액정 표시 장치(LCD)와 터치 패널(TP)을 포함할 수 있다. 스크린이 터치 패널을 포함할 경우, 스크린은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터치 패널은 하나 또는 복수의 터치 센서를 포함하고 있어 터치, 슬라이딩 및 터치 패널위에서의 손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는 터치 혹은 슬라이딩 동작의 경계위치를 감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터치 혹은 슬라이딩 조작에 관련된 지속시간 및 압력을 검출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멀티미디어 어셈블리(1108)는 하나의 프론트 카메라 및/또는 리어 카메라를 포함한다. 장치(1100)가 예를 들면 촬영 모드 혹은 비디오 모드 등 조작 모드 상태에 있을 경우, 프론트 카메라 및/또는 리어 카메라는 외부로부터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론트 카메라와 리어 카메라는 하나의 고정된 광학 렌즈 시스템일 수 있거나 또는 가변 초점거리와 광학 줌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오디오 어셈블리(1110)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 및/또는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면, 오디오 어셈블리(1110)는 마이크로폰(MIC)을 포함하며, 장치(1100)가 예를 들면 호출 모드, 기록 모드 및 음성 인식 모드 등 조작 모드에 있을 경우, 마이크로폰은 외부의 오디오 신호를 수신한다. 수신된 오디오 신호는 더 나아가 메모리(1104)에 저장되거나 혹은 통신 어셈블리(1116)를 통하여 송신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오디오 어셈블리(1110)는 스피커를 더 포함할 수 있어 오디오 신호를 출력한다.
I/O 인터페이스(1112)는 프로세스 어셈블리(1102)와 주변 인터페이스 모듈 사이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주변 인터페이스 모듈은 키보드, 클릭 휠,버튼 등일 수 있다. 이러한 버튼은 홈 버튼, 음량 버튼, 트리거 버튼 및 잠금 버튼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센서 어셈블리(1114)는 장치(1100)에 각 방면의 상태평가를 제공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센서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센서 어셈블리(1114)는 장치(1100)의 온/오프 상태,디스플레이 및 키패드와 같은 장치(1100)의 어셈블리의 상대위치결정을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센서 어셈블리(1114)는 장치(1100) 혹은 장치(1100)의 일 어셈블리의 위치변경,사용자와 장치(1100) 사이의 접촉여부, 장치(1100)의 방위 혹은 가속/감속 및 장치(1100)의 온도 변화를 검출할 수 있다. 센서 어셈블리(1114)는 근접 센서를 포함할 수 있어, 임의의 물리적 접촉이 없이도 근처 물체의 존재를 검출할 수 있다. 센서 어셈블리(1114)는 예를 들면 CMOS 혹은 CCD 이미지 센서 등 광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미징 애플리케이션에 사용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센서 어셈블리(1114)는 가속 센서,자이로 센서,자기 센서,압력 센서 혹은 온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어셈블리(1116)는 장치(1100)와 기타 설비 사이의 유선 혹은 무선 통신에 사용된다. 장치(1100)는 예를 들면 WiFi,2G 혹은 3G,혹은 이들의 조합 등의 통신규격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다. 일 예시적 실시예에 있어서,통신 어셈블리(1116)는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 방송 관리 시스템으로부터의 방송 신호 혹은 방송 관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예시적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통신 어셈블리(1116)는 근거리 무선 통신(NFC)모듈을 더 포함하고 있어, 근거리 통신을 촉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NFC 모듈은 RFID 기술, IrDA 기술, UWB 기술, 블루투스(BT)기술 및 기타 기술에 기초하여 실현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에 있어서, 장치(1100)는 하나 또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전용 집적 회로(ASIC),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디지털 신호 처리설비(DSPD), 프로그램 가능 논리 소자(PLD),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PGA),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혹은 기타 전자소자에 의하여 실현되어 상기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에 있어서, 인스트럭션(instructions)을 포함하는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데, 예를 들면 인스트럭션을 포함하는 메모리(1104) 등을 포함하며, 상기 인스트럭션은 장치(1100)의 프로세서(1120)에 의하여 실행되어 상기 방법을 실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ROM, RAM, CD-ROM, 자기테이프, 플로피디스크 및 광데이터 저장 장치 등일 수 있다.
당업자는, 명세서를 참조하고 또한 여기서 공개한 발명을 실행한 후, 본 발명의 다른 실시방안을 용이하게 생각해낼 수 있다. 본원은, 본 발명의 임의의 변형, 용도 또는 적응적 변화를 포함하고, 이러한 변형, 용도 또는 적응적 변화는, 본 발명의 일반적인 원리에 따르며, 본 명세서에서 공개하지 않은 본 기술분야의 공지상식 또는 관용기술수단을 포함한다. 명세서와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와 취지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본 발명은, 상기에 기재되고 도면에 나타낸 구체적인 구조에 한정되지 않으며, 그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과 변형을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한된다.
Claims (13)
- 단말기가 싱글핸드 모드로 전환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와,
단말기가 싱글핸드 모드로 전환되었을 경우, 상기 단말기의 싱글핸드 조작 범위 내에 있는 물리버튼인 임의의 근접물리버튼에 대한 제1 예정된 조작을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와,
임의의 상기 근접물리버튼에 대한 제1 예정된 조작을 수신하였을 경우, 상기 단말기의 상기 싱글핸드 조작 범위를 벗어난 물리버튼인 이격물리버튼에 대응하는 조작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예정된 조작은 최초의 트리거 조작과 서로 다른 조작이고,
상기 제1 예정된 조작은 길게 누르는 조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글핸드 모드에서의 버튼 조작 처리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싱글핸드 모드에 대응하는 조작 핸드의 방향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조작 핸드의 방향이 왼손일 경우, 상기 이격물리버튼은 상기 단말기의 우측에 위치하는 물리버튼임을 확정하고, 상기 조작 핸드의 방향이 오른손일 경우, 상기 이격물리버튼은 상기 단말기의 좌측에 위치하는 물리버튼임을 확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글핸드 모드에서의 버튼 조작 처리 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근접물리버튼에 대한 제1 예정된 조작을 수신하였을 경우, 상기 이격물리버튼에 대응하는 조작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는, 임의의 근접물리버튼에 대한 제1 예정된 조작을 수신하였을 경우, 상기 이격물리버튼에 대응하는 조작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방법은, 각 근접물리버튼에 대한 최초의 트리거 조작을 수신하였을 경우, 대응하는 최초의 조작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글핸드 모드에서의 버튼 조작 처리 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근접물리버튼에 대한 제1 예정된 조작을 수신하였을 경우, 상기 이격물리버튼에 대응하는 조작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는, 임의의 근접물리버튼에 대한 제1 예정된 조작을 수신하였을 경우, 상기 이격물리버튼에 대응하는 조작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방법은, 다른 근접물리버튼에 대한 제2 예정된 조작을 수신하였을 경우, 상기 임의의 근접물리버튼에 대응하는 조작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글핸드 모드에서의 버튼 조작 처리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물리버튼에 대한 트리거 조작을 검출하였을 경우, 상기 싱글핸드 모드로부터 탈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글핸드 모드에서의 버튼 조작 처리 방법.
- 단말기가 싱글핸드 모드로 전환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모드 검출 유닛과,
단말기가 싱글핸드 모드로 전환되었을 경우, 상기 단말기의 싱글핸드 조작 범위 내에 있는 물리버튼인 임의의 근접물리버튼에 대한 제1 예정된 조작을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조작 검출 유닛과,
임의의 상기 근접물리버튼에 대한 제1 예정된 조작을 수신하였을 경우, 상기 단말기의 상기 싱글핸드 조작 범위를 벗어난 물리버튼인 이격물리버튼에 대응하는 조작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실행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예정된 조작은 최초의 트리거 조작과 서로 다른 조작이고,
상기 제1 예정된 조작은 길게 누르는 조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글핸드 모드에서의 버튼 조작 처리 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싱글핸드 모드에 대응하는 조작 핸드의 방향을 검출하기 위한 방향 검출 유닛과,
상기 방향 검출 유닛에 의해 상기 조작 핸드의 방향이 왼손인 것이 검출되었을 경우, 상기 이격물리버튼은 상기 단말기의 우측에 위치하는 물리버튼임을 확정하고, 상기 방향 검출 유닛에 의해 상기 조작 핸드의 방향이 오른손인 것이 검출되었을 경우, 상기 이격물리버튼은 상기 단말기의 좌측에 위치하는 물리버튼임을 확정하는 버튼 확정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글핸드 모드에서의 버튼 조작 처리 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 유닛은, 임의의 근접물리버튼에 대한 제1 예정된 조작을 수신하였을 경우, 상기 이격물리버튼에 대응하는 조작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제 1 실행 서브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장치는, 각 근접물리버튼에 대한 최초의 트리거 조작을 수신하였을 경우, 대응하는 최초의 조작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제 1 조작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글핸드 모드에서의 버튼 조작 처리 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 유닛은, 임의의 근접물리버튼에 대한 제1 예정된 조작을 수신하였을 경우, 상기 이격물리버튼에 대응하는 조작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제 2 실행 서브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장치는, 다른 근접물리버튼에 대한 제2 예정된 조작을 수신하였을 경우, 상기 임의의 근접물리버튼에 대응하는 조작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제 2 조작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글핸드 모드에서의 버튼 조작 처리 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물리버튼에 대한 트리거 조작을 검출하였을 경우, 상기 싱글핸드 모드로부터 탈퇴하기 위한 탈퇴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글핸드 모드에서의 버튼 조작 처리 장치.
- 프로세서와,
프로세서가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단말기가 싱글핸드 모드로 전환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하고,
단말기가 싱글핸드 모드로 전환되었을 경우, 상기 단말기의 싱글핸드 조작 범위 내에 있는 물리버튼인 임의의 근접물리버튼에 대한 제1 예정된 조작을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검출하며,
임의의 상기 근접물리버튼에 대한 제1 예정된 조작을 수신하였을 경우, 상기 단말기의 상기 싱글핸드 조작 범위를 벗어난 물리버튼인 이격물리버튼에 대응하는 조작기능을 실행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예정된 조작은 최초의 트리거 조작과 서로 다른 조작이고,
상기 제1 예정된 조작은 길게 누르는 조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디바이스.
-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며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싱글핸드 모드에서의 버튼 조작 처리 방법을 실현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
- 제12항에 기재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CN201510290025.4A CN104866199B (zh) | 2015-05-29 | 2015-05-29 | 单手模式下的按键操作处理方法及装置、电子设备 |
CN201510290025.4 | 2015-05-29 | ||
PCT/CN2015/095140 WO2016192324A1 (zh) | 2015-05-29 | 2015-11-20 | 单手模式下的按键操作处理方法及装置、电子设备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08967B1 true KR101808967B1 (ko) | 2017-12-13 |
Family
ID=53912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7001459A KR101808967B1 (ko) | 2015-05-29 | 2015-11-20 | 싱글핸드 모드에서의 버튼 조작 처리 방법, 장치, 전자 디바이스,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
Country Status (8)
Country | Link |
---|---|
US (1) | US10025393B2 (ko) |
EP (1) | EP3099040B1 (ko) |
JP (1) | JP6259169B2 (ko) |
KR (1) | KR101808967B1 (ko) |
CN (1) | CN104866199B (ko) |
MX (1) | MX359068B (ko) |
RU (1) | RU2630189C1 (ko) |
WO (1) | WO2016192324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866199B (zh) * | 2015-05-29 | 2019-02-12 |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 单手模式下的按键操作处理方法及装置、电子设备 |
CN105278812B (zh) * | 2015-10-27 | 2019-04-30 | 深圳市金立通信设备有限公司 | 一种界面调整方法及终端 |
CN105468258B (zh) | 2015-12-23 | 2018-08-07 |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 一种屏幕界面的切换方法、装置和终端 |
CN108713182B (zh) * | 2016-02-22 | 2021-06-04 | 华为技术有限公司 | 图形用户界面调整方法及便携终端设备 |
CN106371720B (zh) * | 2016-08-22 | 2019-11-01 | 三星电子(中国)研发中心 | 用于在电子终端中执行辅助操作的设备和方法 |
CN106681630A (zh) * | 2016-12-07 | 2017-05-17 | 广东小天才科技有限公司 | 一种移动终端的操作方法及装置 |
CN106792189B (zh) * | 2016-12-08 | 2019-09-20 | 青岛海信电器股份有限公司 | 主页界面控制方法、装置和智能电视 |
KR102659981B1 (ko) * | 2017-01-03 | 2024-04-2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CN106980445A (zh) * | 2017-03-27 | 2017-07-25 |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 操控菜单的唤起方法及装置、电子设备 |
WO2019056393A1 (zh) * | 2017-09-25 | 2019-03-28 | 华为技术有限公司 | 一种终端界面的显示方法及终端 |
CN109725808B (zh) * | 2018-12-29 | 2021-05-21 | 努比亚技术有限公司 | 一种交互控制方法、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
CN109999486B (zh) * | 2019-03-29 | 2020-09-29 | 华为技术有限公司 | 一种游戏手柄的控制方法、设备和存储介质 |
TW202238351A (zh) * | 2021-03-15 | 2022-10-01 | 華碩電腦股份有限公司 | 電子裝置 |
CN113778276A (zh) * | 2021-08-27 | 2021-12-10 | 苏州三星电子电脑有限公司 | 触控终端桌面图标控制方法与触控终端 |
CN117762358A (zh) | 2022-09-16 | 2024-03-26 |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 一种显示控制方法、装置及存储介质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461255A (zh) * | 2014-12-29 | 2015-03-25 |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 页面显示方法及装置、电子设备 |
Family Cites Familie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8199113B2 (en) * | 2006-09-13 | 2012-06-12 | Savant Systems, Llc | Programmable on screen display and remote control |
US8368658B2 (en) * | 2008-12-02 | 2013-02-05 | At&T Mobility Ii Llc | Automatic soft key adaptation with left-right hand edge sensing |
JP2013218428A (ja) * | 2012-04-05 | 2013-10-24 | Sharp Corp | 携帯型電子機器 |
JP2014153956A (ja) * | 2013-02-08 | 2014-08-25 | Sharp Corp | 電子機器 |
CN103218165B (zh) * | 2013-04-02 | 2016-06-08 |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 一种改变按键布局的方法、装置和移动终端 |
CN103927166B (zh) * | 2014-03-25 | 2017-12-29 | 深圳市基思瑞科技有限公司 | 一种可以按键位置调换的安卓系统移动终端及一种安卓系统移动终端按键位置调换的方法 |
CN103914258B (zh) * | 2014-03-26 | 2018-12-21 | 努比亚技术有限公司 | 移动终端及其操作方法 |
CN104866199B (zh) * | 2015-05-29 | 2019-02-12 |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 单手模式下的按键操作处理方法及装置、电子设备 |
-
2015
- 2015-05-29 CN CN201510290025.4A patent/CN104866199B/zh active Active
- 2015-11-20 RU RU2016114814A patent/RU2630189C1/ru active
- 2015-11-20 JP JP2017521283A patent/JP6259169B2/ja active Active
- 2015-11-20 WO PCT/CN2015/095140 patent/WO2016192324A1/zh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5-11-20 KR KR1020167001459A patent/KR101808967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5-11-20 MX MX2016004710A patent/MX359068B/es active IP Right Grant
-
2016
- 2016-05-25 US US15/163,698 patent/US10025393B2/en active Active
- 2016-05-26 EP EP16171544.6A patent/EP3099040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461255A (zh) * | 2014-12-29 | 2015-03-25 |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 页面显示方法及装置、电子设备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3099040B1 (en) | 2018-12-12 |
MX359068B (es) | 2018-09-12 |
US10025393B2 (en) | 2018-07-17 |
JP6259169B2 (ja) | 2018-01-10 |
US20160349856A1 (en) | 2016-12-01 |
WO2016192324A1 (zh) | 2016-12-08 |
RU2630189C1 (ru) | 2017-09-05 |
EP3099040A1 (en) | 2016-11-30 |
MX2016004710A (es) | 2017-02-23 |
CN104866199B (zh) | 2019-02-12 |
JP2017520876A (ja) | 2017-07-27 |
CN104866199A (zh) | 2015-08-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08967B1 (ko) | 싱글핸드 모드에서의 버튼 조작 처리 방법, 장치, 전자 디바이스,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 |
JP6553719B2 (ja) | 画面分割表示方法および装置 | |
RU2685039C1 (ru) |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полиэкранного отображения | |
EP3098701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terminal application | |
RU2636135C2 (ru) |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ереключения приложений | |
JP6353603B2 (ja) | スマートホームデバイスの制御方法、装置、電子デバイス、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 |
EP3249509A1 (en) | Method and device for playing live videos | |
CN105975166B (zh) | 应用控制方法及装置 | |
JP6321296B2 (ja) | テキスト入力方法、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 |
EP3232340A1 (en) | Method for operating a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pages of an application program | |
EP2991338A1 (en) | Method and device for switching cameras | |
JP6285615B2 (ja) | リモートアシスタンス方法、クライアント、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 |
EP3454198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pplication | |
JP6220106B2 (ja) | 情報収集方法およびその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 |
JP6426755B2 (ja) | 操作処理方法、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 |
KR20170142839A (ko) | 단말기의 작업모드 확정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 |
JP2017505969A (ja) | アプリケーション制御方法、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 |
EP3282644B1 (en) | Timing method and device | |
JP6134870B2 (ja) | 説明情報の表示方法、説明情報の表示装置、電子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 |
WO2017092293A1 (zh) | 对象操作方法及装置 | |
CN109922362A (zh) | 按键响应方法、装置及存储介质 | |
EP3828682A1 (en) | Method, apparatus for adding shortcut plug-in, and intelligent device | |
JP2016527577A (ja) | ユーザー指令の実行方法、実行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 |
KR101688176B1 (ko) | 호출 전환 방법, 장치, 단말기,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 |
EP3301888A1 (en) | Call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for call not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MND | Amendment | ||
AMND | Amendment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