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8715B1 - 완구용 블럭 세트 - Google Patents

완구용 블럭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8715B1
KR102278715B1 KR1020210022576A KR20210022576A KR102278715B1 KR 102278715 B1 KR102278715 B1 KR 102278715B1 KR 1020210022576 A KR1020210022576 A KR 1020210022576A KR 20210022576 A KR20210022576 A KR 20210022576A KR 102278715 B1 KR102278715 B1 KR 1022787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blocks
groove
type
cl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25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덕
김규석
Original Assignee
(주)비아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비아이티 filed Critical (주)비아이티
Priority to KR10202100225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87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87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87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10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 A63H33/101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with clip or snap mechanism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 A63H33/08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 A63H33/08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with primary projections fitting by friction in complementary spaces between secondary projections, e.g. sidew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20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22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of resilient material, e.g. rubbery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복수의 다각기둥형 블럭 및 인접한 블럭들을 서로 결합하는 클립을 포함하는 완구용 블럭 세트를 제공한다. 이러한 완구용 블럭 세트에서, 상기 블럭은, 다각형 형상의 평면부재; 및 상기 평면부재에 직교하며 상기 평면부재의 각 변으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평면부재의 하부에 내부공간을 정의하는 측벽;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측벽 중 적어도 하나는 하측 가장자리에 소정의 길이 및 소정의 깊이로 홈이 형성되어 있는 연결형 측벽일 수 있다. 상기 클립은, 하면이 편평형 형상으로 형성된 헤드부; 및 상기 헤드부의 일측 및 타측으로부터 각각 상향 연장되고 각각 인접한 블럭들의 연결형 측벽의 내면에 접촉하도록 구성된 클램프 부재;를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헤드부의 두께는 상기 홈의 깊이에 대응하고, 상기 헤드부의 길이는 상기 홈의 길이에 대응할 수 있다. 상기 클립은, 인접한 블럭들의 상기 연결형 측벽이 서로 맞닿고 상기 홈이 정렬된 상태에서 상기 클램프 부재가 각각 상기 서로 맞닿은 연결형 측벽 각각의 내면에 접촉하고 상기 헤드부가 상기 서로 정렬된 홈에 삽입되도록 장착되어 상기 인접한 블럭들을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완구용 블럭 세트{TOY BLOCK SET}
본 발명은 완구용 블럭 세트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하나의 블럭의 높이를 유지하며 인접한 블럭을 연결할 수 있는 완구용 블럭 세트에 관한 것이다.
블럭 쌓기는 이미 수백 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완구용 블럭 세트는 놀이, 교육, 장식 등의 용도로 애용되고 있다. 특히, 20세기에 결합식 블럭이 발명되고 플라스틱 재료의 가공이 보편화됨에 따라 완구용 블럭에 대한 인기가 급격히 증가하였고, 완구용 블럭에 대한 수요는 꾸준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근래에는 다양한 구조물 및 캐릭터의 모형을 구성하는 결합식 블럭의 장식 용도가 부각됨에 따라 완구용 블럭 세트가 많은 인기를 얻고 있다.
결합식 블럭이란 모듈화된 개개의 블럭에서 상면에는 스터드가 형성되고 하면에는 스터드를 수용 및 지지하는 공간이 형성되어 2개의 블럭을 상하로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한 블럭을 의미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결합식 블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의 (a)는 종래기술에 따른 2개의 결합식 블럭이 서로 결합되는 방식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념도이고, 도 1의 (b)는 종래기술에 따른 결합식 블럭 2개가 상하로 결합된 구성에서 하측 블럭의 스터드 위의 지점에서 상측 블럭을 자른 횡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결합식 블럭은 스터드가 블럭의 상면에 형성되고 스터드를 수용 및 지지하는 공간이 블럭의 하면에 형성되므로 상하 방향으로만 블럭들을 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블럭 구조물에 블럭을 수평방향으로 추가하기 위해서는 인접한 2개의 블럭 상부 또는 하부에 다른 하나의 블럭을 엇갈리게 배치한 후 결합하여야 한다. 이는 결과적으로, 축조되는 블럭 구조물이 하나의 블럭의 길이를 초과하기 위해서는 블럭 구조물의 전체 높이가 한 개 블럭의 높이의 최소한 2배 높이에 대응하는 높이를 가져야 함을 의미한다.
영국특허 GB529580A (1940년 11월 25일 공개)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하나의 블럭의 높이를 유지하며 인접한 블럭을 연결할 수 있는 완구용 블럭 세트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복수의 다각기둥형 블럭 및 인접한 블럭들을 서로 결합하는 클립을 포함하는 완구용 블럭 세트를 제공한다. 이러한 완구용 블럭 세트에서, 상기 블럭은, 다각형 형상의 평면부재; 및 상기 평면부재에 직교하며 상기 평면부재의 각 변으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평면부재의 하부에 내부공간을 정의하는 측벽;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측벽 중 적어도 하나는 하측 가장자리에 소정의 길이 및 소정의 깊이로 홈이 형성되어 있는 연결형 측벽일 수 있다. 상기 클립은, 하면이 편평형 형상으로 형성된 헤드부; 및 상기 헤드부의 일측 및 타측으로부터 각각 상향 연장되고 각각 인접한 블럭들의 연결형 측벽의 내면에 접촉하도록 구성된 클램프 부재;를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헤드부의 두께는 상기 홈의 깊이에 대응하고, 상기 헤드부의 길이는 상기 홈의 길이에 대응할 수 있다. 상기 클립은, 인접한 블럭들의 상기 연결형 측벽이 서로 맞닿고 상기 홈이 정렬된 상태에서 상기 클램프 부재가 각각 상기 서로 맞닿은 연결형 측벽 각각의 내면에 접촉하고 상기 헤드부가 상기 서로 정렬된 홈에 삽입되도록 장착되어 상기 인접한 블럭들을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완구용 블럭 세트는 다음과 같은 실시예들을 하나 또는 그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연결형 측벽은 그 내면에 고정돌기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클램프 부재는 그 내면에 걸림돌기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클립이 상기 인접한 블럭들에 장착되면 상기 고정돌기가 상기 걸림돌기에 걸려 상기 클립이 상기 인접한 블럭들에 대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클램프 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헤드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램프 부재는 그 외면에 그립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완구용 블럭 세트는 상기 연결형 측벽 중 상기 클립이 장착되지 않는 연결형 측벽에 장착하도록 구성된 마감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감부재는, 상기 마감부재의 장착시 상기 연결형 측벽의 내면을 따라 연장되는 수직부; 상기 수직부 단부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홈의 깊이에 대응하는 높이, 상기 홈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 및 상기 연결형 측벽의 두께에 대응하는 두께로 형성된 메움부; 및 상기 수직부에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고정돌기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고정홈을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마감부재의 장착시 상기 메움부가 상기 홈에 삽입되고 상기 고정돌기가 상기 고정홈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블럭은 상기 평면부재의 하면으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연결형 측벽보다 짧은 길이로 연장되며 상기 연결형 측벽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연결형 측벽의 내면에 연결되는 횡벽을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연결형 측벽은 상기 횡벽의 양측에 각각 홈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마감부재는, 상기 수직부, 상기 메움부, 및 상기 고정홈으로 이루어진 마감부; 및 복수 개의 마감부를 연결하는 수평부를 포함하되, 상기 수평부에는 상기 횡벽이 삽입되어 수용되는 삽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블럭은, 사전결정된 횡단면을 가진 기둥 형상으로 상기 평면부재의 상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로 돌출하는 스터드; 상기 내부공간에서 상기 평면부재의 하면으로부터 하향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포스트; 및 상기 측벽의 내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측벽의 높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의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2개의 블럭을 상하로 결합하는 경우 하측 블럭의 스터드는 상측 블럭의 내부공간에서 상기 포스트와 상기 지지부에 의해 3개 이상의 지점에서 지지됨으로 인해 상기 2개의 블럭이 끼움맞춤에 의해 서로에 대해 상대적으로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형 측벽의 홈은 2개의 인접한 지지부 사이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연결형 측벽의 고정돌기는 상기 홈의 상부에서 상기 2개의 인접한 지지부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클램프 부재는, 상기 연결형 측벽의 내면에 접촉하도록 구성된 제1 면; 상기 지지부의 측면에 접촉하도록 구성된 제2 면; 및 상기 스터드의 측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 제3 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클립에 의해 제1 블럭과 제2 블럭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블럭 또는 상기 제2 블럭 또는 상기 제1 블럭과 상기 제2 블럭의 하부에 제3 블럭이 끼움맞춤에 의해 결합되는 경우, 상기 클립이 상기 제3 블럭의 스터드의 끼움맞춤을 불허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클립에 의해 상기 제1 블럭과 상기 제2 블럭을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제3 블럭이 끼움맞춤에 의해 결합하는 경우, 상기 제 3면은 상기 제3 블럭의 스터드를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클램프 부재는 상기 포스트의 측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 제4 면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클램프 부재의 제3 면에는 그립부가 홈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아래의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결합식 블럭을 상하 방향뿐만 아니라 수평방향으로도 연결할 수 있으며, 이 때 연결되는 블럭 자체의 높이를 유지하면서 블럭을 서로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수평 결합을 위해 블럭에 형성된 홈을 필요에 따라 메워 매끈한 외표면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클립을 이용하여 일부 블럭을 수평 방향으로 결합한 후에도 해당 블럭의 하부에 다른 블럭을 추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결합식 블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완구용 블럭 세트의 블럭 및 클립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완구용 블럭 세트에서 2개의 블럭이 클립에 의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클립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완구용 블럭 세트의 마감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완구용 블럭 세트의 마감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완구용 블럭 세트에서 2개의 블럭이 클립에 의해 결합되고 하나의 블럭에 마감부재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완구용 블럭 세트의 마감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완구용 블럭 세트에서 2개의 블럭이 클립에 의해 결합되고 하나의 블럭에 마감부재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완구용 블럭 세트의 클립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을 "완구용 블럭 세트"로 지칭하는데, 이는 본 발명이 놀이용, 교육용 및 장식용 용도로 사용되는 것을 포괄하는 개념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완구용 블럭 세트의 블럭 및 클립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완구용 블럭 세트는 복수 개의 다각기둥형 블럭(100, 100') 및 클립(20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의 (a)는 블럭(100, 100') 및 클립(200)을 상측 정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2의 (b)는 블럭(100, 100') 및 클립(200)을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각각의 블럭(100, 100')은 다각형 형상의 평면부재(105)와 측벽을 포함할 수 있다. 각 측벽은 평면부재(105)에 직교할 수 있고, 평면부재(105)의 각 변으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되어 평면부재(105) 하부에 내부공간을 정의할 수 있다. 도 2에는 평면부재(105)가 직사각형으로 형성된 블럭(100)과 평면부재(105)가 정사각형으로 형성된 블럭(100')이 예시되어 있다. 도 2에서는 블럭(100, 100')들이 전체적으로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진 것으로 묘사되어 있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평면부재(105)가 사각형 이외에도 삼각형, 오각형 등 다른 다각형의 형상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평면부재(105)가 정사각형인 블럭(100')의 경우, 측벽들이 평면부재(105)와 같이 정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정육면체의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블럭(100, 100')의 측벽 중 적어도 하나는 하측 가장자리에 소정의 길이 및 소정의 깊이로 홈(120)이 형성되어 있는 연결형 측벽(110)일 수 있다. 첨부된 도면들에는 블럭(100, 100')들의 측벽 대부분이 홈(120)을 가진 연결형 측벽(110)으로 묘사되어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나의 블럭(100, 100')의 여러 측벽 중 하나 이상이 연결형 측벽(110)이면 족하다. 본 명세서에서 블럭의 "측벽"에 대한 언급이 있는 경우, 이는 해당 측벽이 홈(120)을 가진 연결형 측벽(110)일 수도 있고 홈(120)이 없는 일반 측벽일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
블럭(100, 100')의 평면부재(105) 상면에는 하나 이상의 스터드(112)가 형성될 수 있다. 스터드(112)는 사전결정된 횡단면을 가진 기둥 형상으로 평면부재(105)의 상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로 돌출할 수 있다. 평면부재(105) 하부의 내부 공간에는 평면부재(105)의 하면으로부터 하향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포스트(114)가 형성될 수 있고, 측벽의 내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며 측벽의 높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의 지지부(115)가 형성될 수 있다.
위와 같은 포스트(114)와 지지부(115)는 블럭(100, 100')의 구조적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블럭(100, 100')의 내부 공간에는 횡벽(14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횡벽(140)은 평면부재(105)의 하면으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될 수 있는데, 측벽 또는 연결형 측벽(110)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측벽의 내면에 연결될 수 있다. 횡벽(140)은 측벽 또는 연결형 측벽(110)과 동일한 길이로 연장될 수도 있고, 측벽 또는 연결형 측벽(110)보다 짧은 길이로 연장될 수도 있다. 횡벽(140)은 내부공간 양측의 측벽 또는 연결형 측벽(110)을 연결할 수도 있고, 내부공간 일측의 측벽 또는 연결형 측벽(110)을 포스트(114) 또는 기타 구조물과 연결할 수도 있다.
한편, 포스트(114)와 지지부(115)는 블럭(100, 100')의 구조적 강도를 증가시키는 것 이외에도 블럭(100, 100')들의 상하 결합을 가능하게 한다. 즉, 2개의 블럭(100, 100')이 상하로 결합되는 경우, 하측 블럭의 스터드(112)는 상측 블럭의 내부공간에서 포스트(114)와 지지부(115)에 의해 3개 이상의 지점에서 지지되어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떤 스터드(112)는 1개의 포스트(114)와 2개의 지지부(115)에 의해 지지될 수 있고, 어떤 스터드(112)는 2개의 포스트(114)와 1개의 지지부(115)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은 상하로 결합되는 블럭(100, 100')이 끼움맞춤에 의해 서로에 대해 상대적으로 고정되도록 한다.
도 2의 (b)를 참조하면, 블럭(100, 100')의 홈(120)은 하나의 연결형 측벽(110)에 형성된 인접한 지지부(115)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지지부(115)는 홈(120) 양측을 보강하는 역할을 겸하게 된다.
연결형 측벽(110)의 내면에는 고정돌기(130)가 형성될 수 있다. 고정돌기(130)는 후술되는 걸림돌기(230)와 치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고정돌기(130)는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한 지지부(115) 사이에 형성될 수 있으며, 홈(120)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도 2의 (b)에서는 홈(120)이 고정돌기(130)의 상부에 형성된 것처럼 묘사되어 있으나 이는 도 2의 (b)가 하측을 위로 하여 묘사한 사시도이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립(200)은 크게 헤드부(205) 및 클램프 부재(210)를 포함할 수 있다. 헤드부(205)는 하면이 편평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클립(200)의 베이스 역할을 할 수 있다. 클램프 부재(210)는 헤드부(205)의 일측 및 타측으로부터 각각 상향 연장될 수 있으며, 클립(200)이 인접한 2개의 블럭(100, 100')에 장착될 때 클램프 부재(210)는 각각 블럭(100, 100')들의 연결형 측벽(110)의 내면에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헤드부(205)의 두께는 블럭(100, 100')의 홈(120)의 깊이(h)에 대응하고 헤드부(205)의 길이는 홈의 길이(l)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클립(200)의 장착시 헤드부(205)가 결합되는 2개의 블럭(100, 100')의 홈(120)에 온전히 삽입될 수 있다.
클램프 부재(210)의 내면에는 걸림돌기(230)가 형성될 수 있다. 클립(200)의 걸림돌기(230)는 블럭(100, 100')의 고정돌기(130)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클립(200)이 장착되면 걸림돌기(230)가 고정돌기(130)에 걸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클램프 부재(210)의 외면에는 그립부(250)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립부(250)는 사용자가 클립(200)을 편하게 쥘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도 2에는 그립부(250)가 외면에서 돌출되는 형태로 구현되어 있다. 물론, 이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며, 기타 실시예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돌기 및/또는 함몰부를 이용하여 표면적을 증가시킨 구성 또는 표면조도 및/또는 특수 재질을 이용하여 마찰력을 증가시킨 구성 등 다양한 형태의 그립부(250)가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완구용 블럭 세트에서 2개의 블럭이 클립에 의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의 (a)는 블럭이 클립에 의해 결합된 상태를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3의 (b)는 블럭이 클립에 의해 결합된 상태를 상측 정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2개의 블럭(101, 102)을 클립(200)으로 결합하는 경우, 먼저 블럭(101, 102)들을 서로 맞닿아 배치할 수 있다. 이 때, 블럭(101, 102)들은 블럭(101, 102)들의 연결형 측벽(110)이 서로 맞닿고 홈(120)이 서로 정렬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클램프 부재(210)가 각각 상기 서로 맞닿은 연결형 측벽(110) 각각의 내면에 접촉하고 헤드부(205)가 상기 서로 정렬된 홈(120)에 삽입되도록 클립(200)을 장착할 수 있다.
블럭(100)에 고정돌기(130)가 형성되고 클립(200)에 걸림돌기(230)가 형성된 실시예에서는 클립(200)의 장착시 걸림돌기(230)의 하면이 고정돌기(130) 상면에 걸리게 되어 클립(200)이 임의로 이탈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즉, 클립(200)이 서로 결합되는 상기 인접한 블럭(101, 102)들에 대해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클램프 부재(210)는 클램프 부재(210)의 정해진 연장 길이에 대하여 걸림돌기(230)의 돌출 길이만큼의 탄성 변형이 가능하도록 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클립(200)을 해당 위치에서 하측으로부터 상향으로 삽입 장착하면 클램프 부재(210)가 연결형 측벽(110)의 내면을 따라 이동하다가 걸림돌기(230)가 고정돌기(130)를 만나면서 잠시 벌어진 후 걸림돌기(230)가 고정돌기(130)를 넘으면서 다시 원위치로 회복하여 걸림돌기(230)가 고정돌기(130)에 걸리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클립(200)의 헤드부(205)는 블럭(101, 102)의 홈(120)에 대응하는 두께 및 길이로 형성되어 홈(120)에 온전히 삽입될 수 있다. 즉, 클립(200)이 장착되어 블럭(101, 102)들이 결합된 상태에서 헤드부(205)의 하면은 블럭(101, 102)의 측벽들의 하측 가장자리를 넘어 하측으로 돌출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헤드부(205)의 하면이 블럭(101, 102)의 측벽들의 하측 가장자리와 동일한 평면 상에 놓일 수 있다. 도 3의 (b)에서도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위와 같은 구성으로 인해 클립(200)이 장착된 상태에서 클립(200)은 블럭(101, 102)들에 의해 온전히 가려져 외부로 노출되지도 외부에서 지각되지도 않을 수 있다. 여러 블럭(101, 102)이 결합된 구조물은 그 측면이 대체로 매끈한 표면을 가져 높은 심미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클립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립(200)에서는 클램프 부재(210) 중 하나가 헤드부(205)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클램프 부재(210)에 요구되는 탄성 변형의 정도가 낮아질 수 있어 보다 경성의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4에는 하나의 클램프 부재(210)만이 헤드부(205)에 대해 회전가능한 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양측의 클램프 부재(210) 모두가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클램프 부재(210)가 회전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에는 다양한 형태의 힌지 구조가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완구용 블럭 세트의 마감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완구용 블럭 세트는 블럭(100, 100')과 클립(200)에 더하여 마감부재(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마감부재(30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럭(100, 100') 중 클립(200)이 장착되지 않는 연결형 측벽(110)의 홈(120)을 메움으로써 매끈한 외표면을 형성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마감부재(300)가 블럭(100, 100')에 장착될 때에는 블럭(100, 100')이 상하 반전되도록 뒤집힌 상태에서 장착될 것이므로 도 5에서는 마감부재(300)가 상하 반전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감부재(300)는 수직부(310), 메움부(320) 및 고정홈(330)을 포함할 수 있다. 수직부(310)는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편평형 부재일 수 있으며, 마감부재(300)의 장착시 연결형 측벽(110)의 내면을 따라 연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메움부(320)는 수직부(310) 단부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메움부(320)는 연결형 측벽(110)의 홈(120)을 메우는 부분으로서 홈(120)의 깊이(h)에 대응하는 높이, 홈(120)의 길이(l)에 대응하는 길이, 및 연결형 측벽의 두께(t)에 대응하는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홈(330)은 수직부(310)의 일측에서 고정돌기(130)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고, 고정돌기(130)와 치합할 수 있도록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완구용 블럭 세트의 마감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연결형 측벽(110)에서 홈(120) 및 고정돌기(130)가 2개의 지지부(115) 사이에 형성된 실시예의 경우, 마감부재(300)를 고정하기 위해 다양한 다른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서와 같이 마감부재(300) 양측에 돌기(335)를 형성하고 양측의 지지부(115)의 측면에 대응하는 홈(미도시)을 형성하여 양측 돌기와 홈의 치합에 의해 마감부재(300)가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이는 하나의 예에 불과하며, 다양한 형상의 돌기 또는 홈을 다양한 위치에 마감부재(300)에 형성할 수 있고, 대응하는 홈 또는 돌기를 연결형 측벽(110)의 내면 또는 지지부(115)에 형성하여 돌기와 홈의 치합에 의해 마감부재(300)가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완구용 블럭 세트에서 2개의 블럭이 클립에 의해 결합되고 하나의 블럭에 마감부재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의 (a)는 블럭들을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7의 (b)는 블럭들을 상측 정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마감부재(300)는 클립(200)이 장착되지 않은 연결형 측벽(110)에 장착할 수 있는데, 마감부재(300)의 메움부(320)가 연결형 측벽(110)의 홈(120)에 삽입되고 연결형 측벽(110)의 고정돌기(130)가 마감부재(300)의 고정홈(330)에 삽입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연결형 측벽(110)에서 홈(120) 및 고정돌기(130)가 2개의 지지부(115) 사이에 형성된 실시예에서는, 마감부재(300)가 상부의 고정돌기(130) 및 양측의 지지부(115)에 의해 고정되어 이탈하지 않도록 고정될 수 있다.
도 7의 (b)를 참조하면, 마감부재(300)는, 클립(200)과 마찬가지로, 블럭(102)에 장착된 상태에서 그 하면이 블럭(102)의 측벽들의 하측 가장자리를 넘어 하측으로 돌출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마감부재(300)의 하면이 블럭(102)의 측벽들의 하측 가장자리와 동일한 평면 상에 놓일 수 있다.
마감부재(300)가 장착되면 바람직하게는 메움부(320)의 외표면이 연결형 측벽(110)의 외표면과 동일한 평면을 이루어 매끈한 표면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메움부(320) 외표면이 연결형 측벽(110)의 외표면과 동일한 색상을 가지도록 하여 메움부(320)의 존재가 두드러지지 않도록 할 수 있지만, 일부 다른 실시예에서는 메움부(320)가 연결형 측벽(110)과 상이한 색상을 가지도록 하여 디자인 요소로 사용될 수도 있다. 물론, 모든 연결형 측벽(110)의 홈(120)을 반드시 마감부재(300)로 메워야 하는 것은 아니다. 더 나아가, 여러 개의 블럭을 조합한 대면적의 파사드(미도시)를 블럭(100, 100')의 외면에 설치할 수도 있을 것인데, 이 경우 축조된 구조물의 일부 비어 있는 홈(120)을 이용하여 파사드(미도시)를 결합하거나 홈(120)에 장착된 마감부재(300)에 파사드를 결합할 수도 있을 것이다. 파사드(미도시)의 외면에는 특정 도안 또는 색상이 표현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완구용 블럭 세트의 마감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는 같은 일실시예에서 2개의 블럭이 클립에 의해 결합되고 하나의 블럭에 마감부재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럭(100)은 평면부재(105)가 직사각형의 형상을 가진 직육면체의 형상일 수 있으며, 이런 경우 블럭(100)의 내부 공간에는 횡벽(140)이 구비될 수 있다. 횡벽(140)은 내부공간 양측의 측벽을 연결할 수도 있고, 일측의 측벽을 포스트(114) 또는 기타 구조물과 연결할 수도 있다. 도 9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횡벽(140)이 연결형 측벽(110)보다 짧은 길이로 연장되어 있고, 횡벽(140) 양측에 각각 홈(120)이 형성되어 있다.
도 8에 도시된 마감부재(300)는 수직부(310), 메움부(320) 및 고정홈(330)으로 이루어진 마감부(335)를 2개 포함하고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마감부재(300)를 하나의 마감부(335)로 볼 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감부재(300)는 복수 개의 마감부(335)를 포함할 수 있고, 이들 마감부(335)를 연결하는 수평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수평부(350)에는 삽입홈(340)이 형성될 수 있다. 삽입홈(340)은 블럭(100) 내의 횡벽(140)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마감부재(300)의 장착시 횡벽(140)이 삽입홈(340)에 삽입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에는 블럭(102)의 연결형 측벽(110)에 2개의 홈(120)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를 가정하여 마감부재(300)도 2개의 마감부(335)만을 포함하는데, 본 발명의 일부 다른 실시예에서는 블럭(100)이 더 길게 형성되어 연결형 측벽(110)이 3개 이상의 홈(120)을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경우 마감부재(300)도 3개 이상의 마감부(335) 및 횡벽(140)의 개수에 대응하는 개수의 삽입홈(34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에는 연결형 측벽(110)의 내면에 지지부(115)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마감부재(300)의 수평부(350)는 각 마감부(335)의 후면에 결합되어 있다. 즉, 마감부재(300)의 장착시 각 마감부(335)의 양측에는 지지부(115)가 존재할 것이므로 수평부(350)는 그 후방에 위치해야 할 것이다. 연결형 측벽(110)의 내면에 지지부(115)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수평부(350)가 마감부(335) 사이에서 각 마감부(335)의 측면에 바로 연결될 수도 있다.
위와 같이 복수 개의 마감부(335)를 포함하는 마감부재(300)는 하나의 마감부재(300)로 여러 개의 홈(120)을 메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마감부재(300)와 블럭(100) 사이의 결합을 보다 견고하게 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완구용 블럭 세트의 클립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의 (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립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0의 (b)는 상기 클립에 의해 2개의 블럭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먼저 도 10의 (b)를 참조하면, 블럭(100, 100')의 홈(120)이 지지부(115) 사이에 형성된 구조를 가정할 때, 블럭(100, 100')을 다른 블럭(100, 100') 상부에 결합하면 하측 블럭의 스터드(112)는 상측 블럭의 지지부(115)와 포스트(114) 사이에 삽입되어 고정 및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특정 홈(120)에 클립(200)을 연결하는 경우, 클립(200)의 어느 부분이 인접한 지지부(115)의 돌출 길이 이상으로 과도하게 돌출되어 하측 블럭의 스터드(112)가 삽입될 수 있는 범위를 침범하면, 상기 클립(200)이 장착된 부분에서는 하부에 다른 블럭(100, 100')을 결합하는 것이 불가능해짐을 의미한다. 특정 블럭(100, 100')에 다른 블럭(100, 100')을 수평 방향으로도 결합하고 상하 방향으로도 결합하는 구성이 요구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클립(200)을 장착한 상태에서도 하부에 블럭(100, 100')을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클립(200)을 제시한다.
도 10의 (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립(200)에서 클램프 부재(210)는 연결형 측벽(110)의 내면에 접촉하도록 구성된 제1 면(211), 지지부(115)의 측면에 접촉하도록 구성된 제2 면(212), 스터드(112)의 측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 제3 면(213), 및 양측의 제3 면(213) 사이를 연결하는 제4 면(214)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의 (a)에 점선으로 표시된 단면은 제1 내지 제4 면(211, 212, 213, 214)의 상대적 위치를 나타낸다.
여기서, 제3 면(213)은 스터드(112)의 측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도 10의 (b)에서와 같이 하측 블럭의 스터드(112)가 위치할 수 있는 범위를 침범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자면, 클립(200)에 의해 제1 블럭(101)과 제2 블럭(102)이 수평 방향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제1 블럭(101) 또는 제2 블럭(102)의 하부에 또는 제1 블럭(101)과 제2 블럭(102) 모두의 하부에 또 다른 제3 블럭이 끼움맞춤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불허하지 않도록 제3 면(213)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3 면(213)이 스터드(112)의 측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함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3 면(213)이 하측 블럭의 스터드(112)가 위치할 수 있는 범위를 침범하지 않도록 형성됨을 의미한다. 도면에는 스터드(112)가 원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스터드(112)는 다양한 곡선 또는 다각형의 단면을 가진 기둥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3 면(213)이 하측 블럭의 스터드(112)가 위치할 수 있는 범위를 침범하지 않도록 형성되는데, 이는 제3 면(213)이 스터드(112)의 위치로부터 후퇴하여 스터드(112)와 접촉하지 않는 경우도 포함하는 것이고, 도 10의 (b)에서와 같이 하측 블럭이 끼움맞춤으로 결합될 때 제3 면(213)이 하측 블럭의 스터드(112)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경우도 포함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은 상부 블럭, 하부 블럭 및 클립(200) 사이의 결합을 보다 견고하게 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은 일부 실시예에서는 클램프 부재(210)의 제4 면(214)이 포스트(114)의 측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도 마찬가지로, 제4 면(214)이 포스트(114)의 측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함은, 제4 면(214)이 포스트(114)의 위치로부터 후퇴하여 포스트(114)와 접촉하지 않는 경우도 포함하고, 클립(200)이 장착될 때 제4 면(214)이 포스트(114)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성되는 경우도 포함하는 것이다. 포스트(114)가 원기둥 형상으로 구현된 경우, 제4 면(214)도 대응하여 오목한 곡선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클램프 부재(210)의 제3 면(213)에는 그립부(250)가 형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그립부(250)는 사용자가 클립(200)을 편하게 쥘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일 수 있으며, 다양한 형태의 돌기 및/또는 함몰부를 이용하여 표면적을 증가시킨 구성 또는 표면조도 및/또는 특수 재질을 이용하여 마찰력을 증가시킨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그립부(250)가 제3 면(213)으로부터 돌출되는 경우, 제3 면(213) 자체는 스터드(112)의 위치로부터 후퇴하여 형성되고 그립부(250)가 스터드(112)를 지지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는, 제3 면(213)이 스터드(112)와 접촉하도록 형성되고 그립부(250)는 제3 면(213)에 홈 형태로 형성되어 스터드(112)의 위치를 침범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클램프 부재(210)의 제3 면(213)에 그립부(250)가 형성되어 마찰력이 증가됨으로 인해 사용자는 클립(200)을 보다 용이하게 탈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부에 다른 블럭(100, 100')이 결합되는 경우 클립(200)이 하부 블럭을 보다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위에 상세하게 서술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결합식 블럭을 상하 방향뿐만 아니라 수평방향으로도 연결할 수 있으며, 이 때 연결되는 블럭 자체의 높이를 유지하면서 블럭을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이는 블럭 한 개의 높이를 유지하며 여러 개의 블럭을 연결하는 구조물을 축조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수평 결합을 위해 블럭에 형성된 홈을 필요에 따라 메워 매끈한 외표면을 구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클립을 이용하여 일부 블럭을 수평 방향으로 결합한 후에도 해당 블럭의 하부에 다른 블럭을 추가할 수 있다. 이는 한 개 블럭의 높이를 갖는 부분 양측 또는 일측에서 지지하여 떠 있는 형태의 구조물 등의 축조가 가능하여 완구용 블럭 세트의 활용도를 크게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100', 101, 102: 블럭
110: 연결형 측벽 120: 홈
130: 고정돌기 140: 횡벽
200: 클립
205: 헤드부 210: 클램프 부재
230: 걸림돌기 250: 그립부
300: 마감부재
310: 수직부 320: 메움부
330: 고정홈 350: 수평부

Claims (7)

  1. 복수의 다각기둥형 블럭 및 인접한 블럭들을 서로 결합하는 클립을 포함하는 완구용 블럭 세트로서,
    상기 블럭은,
    다각형 형상의 평면부재;
    상기 평면부재에 직교하며 상기 평면부재의 각 변으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평면부재의 하부에 내부공간을 정의하는 측벽;
    사전결정된 횡단면을 가진 기둥 형상으로 상기 평면부재의 상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로 돌출하는 스터드;
    상기 내부공간에서 상기 평면부재의 하면으로부터 하향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포스트; 및
    상기 측벽의 내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측벽의 높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의 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측벽 중 적어도 하나는 하측 가장자리에 소정의 길이 및 소정의 깊이로 홈이 형성되어 있는 연결형 측벽이고,
    상기 클립은,
    하면이 편평형 형상으로 형성된 헤드부; 및
    상기 헤드부의 일측 및 타측으로부터 각각 상향 연장되고 각각 인접한 블럭들의 연결형 측벽의 내면에 접촉하도록 구성된 클램프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헤드부의 두께는 상기 홈의 깊이에 대응하고, 상기 헤드부의 길이는 상기 홈의 길이에 대응하며,
    상기 클립은, 인접한 블럭들의 상기 연결형 측벽이 면접촉에 의해 서로 맞닿고 상기 홈이 정렬된 상태에서 상기 클램프 부재가 각각 상기 면접촉에 의해 서로 맞닿은 연결형 측벽 각각의 내면에 접촉하고 상기 헤드부가 상기 서로 정렬된 홈에 삽입되도록 장착되어 상기 인접한 블럭들을 결합하도록 구성되고,
    2개의 블럭을 상하로 결합하는 경우 하측 블럭의 스터드는 상측 블럭의 내부공간에서 상기 포스트와 상기 지지부에 의해 3개 이상의 지점에서 지지됨으로 인해 상기 2개의 블럭이 끼움맞춤에 의해 서로에 대해 상대적으로 고정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연결형 측벽은 그 내면에 고정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클램프 부재는 그 내면에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클립이 상기 인접한 블럭들에 장착되면 상기 고정돌기가 상기 걸림돌기에 걸려 상기 클립이 상기 인접한 블럭들에 대해 고정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연결형 측벽의 홈은 2개의 인접한 지지부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연결형 측벽의 고정돌기는 상기 홈의 상부에서 상기 2개의 인접한 지지부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용 블럭 세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 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헤드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용 블럭 세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 부재는 그 외면에 그립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용 블럭 세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형 측벽 중 상기 클립이 장착되지 않는 연결형 측벽에 장착하도록 구성된 마감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마감부재는,
    상기 마감부재의 장착시 상기 연결형 측벽의 내면을 따라 연장되는 수직부;
    상기 수직부 단부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홈의 깊이에 대응하는 높이, 상기 홈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 및 상기 연결형 측벽의 두께에 대응하는 두께로 형성된 메움부; 및
    상기 수직부에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고정돌기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고정홈을 포함하되,
    상기 마감부재의 장착시 상기 메움부가 상기 홈에 삽입되고 상기 고정돌기가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용 블럭 세트.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블럭은 상기 평면부재의 하면으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연결형 측벽보다 짧은 길이로 연장되며 상기 연결형 측벽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연결형 측벽의 내면에 연결되는 횡벽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형 측벽은 상기 횡벽의 양측에 각각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마감부재는,
    상기 수직부, 상기 메움부, 및 상기 고정홈으로 이루어진 마감부; 및
    복수 개의 마감부를 연결하는 수평부를 포함하되,
    상기 수평부에는 상기 횡벽이 삽입되어 수용되는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용 블럭 세트.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 부재는,
    상기 연결형 측벽의 내면에 접촉하도록 구성된 제1 면;
    상기 지지부의 측면에 접촉하도록 구성된 제2 면; 및
    상기 스터드의 측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 제3 면을 포함하여,
    상기 클립에 의해 제1 블럭과 제2 블럭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블럭 또는 상기 제2 블럭 또는 상기 제1 블럭과 상기 제2 블럭의 하부에 제3 블럭이 끼움맞춤에 의해 결합되는 경우, 상기 클립이 상기 제3 블럭의 스터드의 끼움맞춤을 불허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용 블럭 세트.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에 의해 상기 제1 블럭과 상기 제2 블럭을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제3 블럭이 끼움맞춤에 의해 결합하는 경우, 상기 제 3면은 상기 제3 블럭의 스터드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용 블럭 세트.
KR1020210022576A 2021-02-19 2021-02-19 완구용 블럭 세트 KR1022787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2576A KR102278715B1 (ko) 2021-02-19 2021-02-19 완구용 블럭 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2576A KR102278715B1 (ko) 2021-02-19 2021-02-19 완구용 블럭 세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8715B1 true KR102278715B1 (ko) 2021-08-24

Family

ID=77506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2576A KR102278715B1 (ko) 2021-02-19 2021-02-19 완구용 블럭 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871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80456A1 (ko) * 2022-10-11 2024-04-18 주식회사 요술콩 마이크로 비트를 활용한 미디어 아트 컨텐츠 기반의 코딩 교육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529580A (en) 1939-04-17 1940-11-25 Harry Fisher Page Improvements in toy building blocks
KR200322977Y1 (ko) * 2003-04-18 2003-08-14 서병만 유아용 조립놀이기구
US20130095722A1 (en) * 2011-10-13 2013-04-18 Christopher Cochella Toy couplers including a plurality of block retaining channels
KR20150031330A (ko) * 2012-07-11 2015-03-23 레고 에이/에스 완구 브릭, 완구 브릭 제조 방법 및 완구 브릭 제조용 몰딩 공구
WO2015181455A1 (fr) * 2014-05-29 2015-12-03 Collos Mathieu Dispositif d'assemblage de bouchons
US20190054389A1 (en) * 2016-08-24 2019-02-21 Joshua Davis Building blocks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529580A (en) 1939-04-17 1940-11-25 Harry Fisher Page Improvements in toy building blocks
KR200322977Y1 (ko) * 2003-04-18 2003-08-14 서병만 유아용 조립놀이기구
US20130095722A1 (en) * 2011-10-13 2013-04-18 Christopher Cochella Toy couplers including a plurality of block retaining channels
KR20150031330A (ko) * 2012-07-11 2015-03-23 레고 에이/에스 완구 브릭, 완구 브릭 제조 방법 및 완구 브릭 제조용 몰딩 공구
WO2015181455A1 (fr) * 2014-05-29 2015-12-03 Collos Mathieu Dispositif d'assemblage de bouchons
US20190054389A1 (en) * 2016-08-24 2019-02-21 Joshua Davis Building block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80456A1 (ko) * 2022-10-11 2024-04-18 주식회사 요술콩 마이크로 비트를 활용한 미디어 아트 컨텐츠 기반의 코딩 교육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41089B2 (en) Configurable bottle storage rack
CN103597151B (zh) 用于形成地面或/和墙壁饰面的饰面元件
KR102278715B1 (ko) 완구용 블럭 세트
US20100151765A1 (en) Tube connector for assembly toy
JP3808277B2 (ja) クランプ
CN106861211B (zh) 拼插积木基座
KR20100011415U (ko) 천장패널의 고정구조
KR20190001878U (ko) 조립식 타일
CN205598654U (zh) 一种积木式拼插结构
KR20130003282U (ko) 조립식 진열장
JP2021032378A (ja) ジョイント部材
JP4518434B2 (ja) 組立棚
JP5796224B2 (ja) 見切接続具
KR101056522B1 (ko) 장식용 조립식상자
JP3175375U (ja) 組み合わせ式積木
JP3153111U (ja) 組合せブロック玩具
JP4518436B1 (ja) 組立棚
CN217163204U (zh) 积木玩具
JP4822411B2 (ja) 床構築体の構築方法
JP6769895B2 (ja) フェンスの連結具
JP7490201B2 (ja)
JP5995446B2 (ja) 組み立て式展示台
JP6268625B1 (ja)
KR200404574Y1 (ko) 책장의 하부조립구조
JP3099947U (ja) 収納ケー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