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8384B1 - 자동차핸들용 충격흡수스트랩 및 그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차핸들용 충격흡수스트랩 및 그 제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8384B1
KR102278384B1 KR1020200053673A KR20200053673A KR102278384B1 KR 102278384 B1 KR102278384 B1 KR 102278384B1 KR 1020200053673 A KR1020200053673 A KR 1020200053673A KR 20200053673 A KR20200053673 A KR 20200053673A KR 102278384 B1 KR102278384 B1 KR 1022783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ling
process step
upper plate
lower plate
attachment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36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한
박인우
Original Assignee
(주)에스씨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씨엘 filed Critical (주)에스씨엘
Priority to KR10202000536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83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83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83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9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arrangements, e.g. by being yieldable or collapsible
    • B62D1/192Yieldable or collapsible colum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9/00Flanging or other edge treatment, e.g. of tubes
    • B21D19/12Edge-cur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28Associations of cutting devices therewi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 B21D5/02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on press brakes without making use of clamping means
    • B21D5/0209Tool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충격흡수스트랩의 제작시 상부플레이트와 하부플레이트를 2중으로 절첩한 후 그 금속띠를 컬링하는 2중컬링공정단계를 통하여 컬링부를 형성하여 기존 하나의 스트랩으로 컬링된 것과 비교하여 탄성력을 대폭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차핸들용 충격흡수스트랩 및 그 제작방법 { Shock absorber strap for automobile handl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본 발명은 자동차핸들용 충격흡수스트랩 및 그 제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 하나의 스트랩으로 컬링된 것과 비교하여 탄성력이 대폭 증가되도록 충격흡수스트랩의 제작시 상부플레이트와 하부플레이트를 2중으로 절첩한 후 그 금속띠를 컬링하는 2중컬링공정단계를 통하여 컬링부가 형성되는 자동차핸들용 충격흡수스트랩 및 그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핸들은 운전자가 직접 손으로 잡는 스티어링휠과, 상기 스트리어링휠에 회동되도록 연결된 메인축과, 상기 메인축에 연동되는 조향축과 이를 감싸는 상하부케이스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자동차핸들에는 주행중 발생된 충돌과정에서 핸들이 운전자와 부딪치는 충격이 완화되도록 메인축 또는 조향축에 연결되는 보조구조물인 충격흡수스트랩이 구비된다.
한편, 이러한 충격흡수장치는 여러 가지 형태가 될 수 있으나 통상적으로 도 1에서와 같이 플레이트의 일측을 코일형태로 말아 형성된 코일스프링이 형성된 충격흡수스트랩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한편, 본 출원인은 코일형태로 말아주는 작업을 간편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충격흡수스트랩을 제작하기 위한 금형을 개발하였고, 이에 관한 국내특허등록 제10-1654607호로 기출원하였고, 최종적으로 등록받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충격흡수스트랩용 금형의 제작방법은 평판형상의 플레이트를 코일형상으로 말아 그 탄성으로 충격을 흡수하게 되는데 플레이트 하나의 두께만으로는 자동차핸들의 충격을 흡수하지 못하게 되고, 탄성을 높이기 위해 플레이트를 여러번 말아주는 과정을 통해 제작이 매우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충격흡수스트랩의 제작시 상부플레이트와 하부플레이트를 2중으로 절첩한 후 그 금속띠를 컬링하는 2중컬링공정단계를 통하여 컬링부를 형성하여 기존 하나의 스트랩으로 컬링된 것과 비교하여 탄성력을 대폭 증가시킬 수 있는 자동차핸들용 충격흡수스트랩 및 그 제작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핸들용 충격흡수스트랩은 자동차본체와 자동차핸들의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자동차핸들에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스트랩으로서 상기 자동차핸들의 일면에 부착되는 평판형상의 핸들부착부와; 상기 핸들부착부의 일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자동차본체에 부착되는 본체부착부와; 상기 핸들부착부와 본체부착부의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핸들부착부와 본체부착부가 탄성적으로 휘어지도록 코일형상으로 컬링된 컬링부로 구성되고; 상기 컬링부는 상기 본체부착부에서 연장된 상부플레이트와, 상기 핸들부착부에서 연장된 하부플레이트로 이루어지되 상기 상부플레이트와 하부플레이트는 서로 절첩된 상태로 컬링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컬링부의 일면에는 상기 상부플레이트와 하부플레이트가 서로 절첩된 상태로 컬링될 경우 단위면적당 발생되는 탄성력을 감소시켜 가공성이 향상되도록 정해진 간격만큼 절단된 가공향상절단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핸들용 충격흡수스트랩의 제작방법은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되는 금속띠를 수직방향에서 프레싱하며 정해진 형상으로 수직펀칭하는 절단공정단계와; 상기 절단공정단계이후 상기 상부플레이트와 하부플레이트가 서로 절첩되도록 절첩하는 2중밴딩공정단계와; 상기 2중밴딩공정단계이후 상기 상부플레이트와 하부플레이트를 한번에 컬링하는 2중컬링공정단계와; 상기 2중컬링공정단계이후 상기 충격흡수스트랩을 상기 금속띠에서 분리하는 스크랩컷팅공정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2중밴딩공정단계는 상기 상부플레이트와 하부플레이트를 절첩하는 절첩밴딩공정과, 상기 절첩밴딩공정이후 상기 상부플레이트와 하부플레이트가 더욱 밀착되도록 압축하는 리스트라이킹공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2중컬링공정단계는 상기 상부플레이트와 하부플레이트의 단부를 정해진 형상으로 절곡하는 컬링전밴딩공정과, 상기 컬링전밴딩공정이후 상기 상부플레이트와 하부플레이트의 단부를 상부방향으로 컬링시키는 컬링공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절단공정단계에는 상기 상부플레이트와 하부플레이트가 절첩되어 컬링될 경우 단위면적당 발생되는 탄성력을 감소시켜 가공성이 향상되도록 상기 상부플레이트와 하부플레이트의 일면을 절단하는 컬링유도절단공정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핸들용 충격흡수스트랩 및 그 제작방법은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충격흡수스트랩의 제작시 상부플레이트와 하부플레이트를 2중으로 절첩하는 2중밴딩공정단계후 2중으로 절첩된 금속띠를 컬링하는 2중컬링공정단계를 통하여 2중으로 절첩된 컬링부를 형성함으로써, 기존 하나의 스트랩으로 컬링된 컬링부와 비교하여 더욱 강한 탄성력을 유지할 수 있는 컬링부를 제작할 수 있어 자동차의 사고로 발생되는 충격을 최소화시킬 수 있고,
둘째, 컬링부의 일면에 프레스공법을 통하여 정해진 간격만큼 절단된 가공향상절단부를 구비함으로써, 2중으로 절첩된 상태로 컬링될 경우 어느 한 부분의 면적을 제거하는 것으로 단위면적당 발생되는 탄성력을 감소시켜 가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충격흡수스트랩을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스트랩을 나타내 보인 사시도 및 사용상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컬링부의 컬링과정을 나타내 보인 정면작용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스트랩의 제작방법을 나타내 보인 공정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2중밴딩공정단계를 나타내 보인 공정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2중컬링공정단계를 나타내 보인 공정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핸들용 충격흡수스트랩은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본체(C)와 자동차핸들(H)의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자동차핸들(H)에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스트랩(1)으로서 상기 자동차핸들(H)의 일면에 부착되는 평판형상의 핸들부착부(10)와; 상기 핸들부착부(10)의 일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자동차본체(C)에 부착되는 본체부착부(20)와; 상기 핸들부착부(10)와 본체부착부(20)의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핸들부착부(10)와 본체부착부(20)가 탄성적으로 휘어지도록 코일형상으로 컬링된 컬링부(30)로 구성되고; 상기 컬링부(30)는 상기 본체부착부(20)에서 연장된 상부플레이트(31)와, 상기 핸들부착부(10)에서 연장된 하부플레이트(32)로 이루어지되 상기 상부플레이트(31)와 하부플레이트(32)는 서로 절첩된 상태로 컬링된다.
한편, 상기 본체부착부(20)는 상기 핸들부착부(10)에서 수직방향으로 절곡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착부(20)와 핸들부착부(10)에는 자동차본체(C)와 자동차핸들(H)에 볼트체결되도록 볼트공(미도시)이 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컬링부(30)의 일면에는 상기 상부플레이트(31)와 하부플레이트(32)가 서로 절첩된 상태로 컬링될 경우 단위면적당 발생되는 탄성력을 감소시켜 가공성이 향상되도록 정해진 간격만큼 절단된 가공향상절단부(33)가 형성된다.
여기서, 단위면적당 발생되는 탄성력이란 상기 금속띠(S)의 전체면적을 만곡시키는 것보다 일부면적을 제거하여 일부면적을 제거한 면적만을 만곡시키는 것으로 만곡 즉, 컬링작업시 발생되는 탄성력을 감소시키는 것을 말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핸들용 충격흡수스트랩의 제작방법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되는 금속띠(S)를 수직방향에서 프레싱하며 정해진 형상으로 수직펀칭하는 절단공정단계(S10)와; 상기 절단공정단계(S10)이후 상기 상부플레이트(31)와 하부플레이트(32)가 서로 절첩되도록 절첩하는 2중밴딩공정단계(S20)와; 상기 2중밴딩공정단계(S20)이후 상기 상부플레이트(31)와 하부플레이트(32)를 한번에 컬링하는 2중컬링공정단계(S30)와; 상기 2중컬링공정단계(S30)이후 상기 충격흡수스트랩(1)을 상기 금속띠(S)에서 분리하는 스크랩컷팅공정단계(S4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프레싱은 상기 금속띠(S)가 일측방향으로 이동하면 하부금형(DM)과 상부금형(HM)이 승하강하며 압축 또는 절단, 밴딩, 피어싱, 컬링등 다양한 가공공정을 수행하는 작업을 말한다.
한편, 상기 절단공정단계(S10)에는 상기 충격흡수스트랩(1)의 다양한 형상으로 절단하는 피어싱공정 또는 노칭공정 중 어느 한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밴딩공정단계(S20)는 상기 충격흡수스트랩(1)의 다양한 형상으로 절곡되도록 다수의 밴딩공정이 중복적으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2중밴딩공정단계(S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플레이트(31)와 하부플레이트(32)를 절첩하는 절첩밴딩공정(S21)과, 상기 절첩밴딩공정(S21)이후 상기 상부플레이트(31)와 하부플레이트(32)가 더욱 밀착되도록 압축하는 리스트라이킹공정(S22)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리스트라이킹공정(S22)은 상기 절첩밴딩공정(S21)에서 사용되는 금형과 동일한 형상의 금형으로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2중컬링공정단계(S30)는 상기 상부플레이트(31)와 하부플레이트(32)의 단부를 정해진 형상으로 절곡하는 컬링전밴딩공정(S31)과, 상기 컬링전밴딩공정(S31)이후 상기 상부플레이트(31)와 하부플레이트(32)의 단부를 상부방향으로 컬링시키는 컬링공정(S32)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컬링공정(S32)을 살펴보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컬링공정(S32)에서 사용하는 상부금형(HM)이 상기 상부플레이트(31)와 하부플레이트(32)의 단부를 하부방향으로 가압하는 경우 상기 컬링전밴딩공정(S31)으로 절곡된 부분이 상기 하부금형(DM)에 형성된 컬링홈(H)의 내측면에서 슬라이딩되며 상부방향으로 컬링된다.
여기서, 상기 컬링공정(S32)은 정해진 형상을 한번의 프레싱으로 작업되기 힘들어 여러번의 컬링공정으로 나누어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절단공정단계(S10)에는 상기 상부플레이트(31)와 하부플레이트(32)가 절첩되어 컬링될 경우 단위면적당 발생되는 탄성력을 감소시켜 가공성이 향상되도록 상기 상부플레이트(31)와 하부플레이트(32)의 일면을 절단하는 컬링유도절단공정(S11)이 포함된다.
한편, 상기 컬링유도절단공정(S11)은 평면형태의 금속띠(S)를 팔각형상으로 절단하는 공정에 관한 것으로 팔각형상으로 절단된 부분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절첩하여 상기 컬링부(30)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핸들용 충격흡수스트랩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핸들용 충격흡수스트랩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본체(C)와 자동차핸들(H)의 사이에 충격흡수스트랩(1)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자동차본체(C)에 연결된 자동차핸들(H)이 흔들리거나 충격받을 경우 탄성적으로 이동될 수 있어 충격을 흡수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충격흡수스트랩(1)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력이 증가되도록 상기 상부플레이트(31)와 하부플레이트(32)가 서로 절첩된 상태로 컬링된 컬링부(30)를 형성함으로써, 일반적으로 하나의 스트랩으로 컬링된 컬링부와 비교하여 더욱 강한 탄성력을 유지할 수 있어 충격흡수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컬링부(30)의 일면에 정해진 간격만큼 절단된 가공향상절단부(33)를 형성함으로써, 상부플레이트(31)와 하부플레이트(32)가 서로 절첩된 상태로 컬링될 경우 단위면적당 발생되는 탄성력을 감소시켜 가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핸들용 충격흡수스트랩 제작방법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핸들용 충격흡수스트랩의 제작방법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충격흡수스트랩(1)의 제작시 상기 상부플레이트(31)와 하부플레이트(32)를 서로 절첩하는 2중밴딩공정단계(S20)후 2중으로 절첩된 금속띠(S)를 컬링하는 2중컬링공정단계(S30)로 진행함으로써, 하나의 스트랩으로 컬링된 컬링부와 비교하여 더욱 강한 탄성력을 유지할 수 있는 컬링부(30)를 제작할 수 있어 충격흡수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2중밴딩공정단계(S20)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플레이트(31)와 하부플레이트(32)를 절첩하는 절첩밴딩공정(S21)과, 상기 절첩밴딩공정(S21)이후 상기 상부플레이트(31)와 하부플레이트(32)가 더욱 밀착되도록 압축하는 리스트라이킹공정(S22)으로 이루어짐으로써, 탄성력을 가지는 금속띠(S)를 한번 절첩하게 되면 탄성력 또는 관성으로 원형상으로 복귀하려과 하는데 상기 리스트라이킹공정(S22)을 통하여 절첩된 형상을 유지시킬 수 있어 추후공정을 편리하게 진행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절단공정단계(S10)에는 상기 상부플레이트(31)와 하부플레이트(32)의 일면을 절단하는 컬링유도절단공정(S11)이 포함됨으로써, 상기 상부플레이트(31)와 하부플레이트(32)가 절첩되어 컬링될 경우 단위면적당 발생되는 탄성력을 감소시켜 가공성이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컬링유도절단공정(S11)은 상기 2중컬링공정단계(S30) 이전 평판형상의 금속띠(S)를 "
Figure 112020045600528-pat00001
"형상으로 노칭한 후 컬링하여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C : 자동차본체 H : 자동차핸들
S : 금속띠 1 : 충격흡수스트랩
10 : 핸들부착부 20 : 본체부착부
30 : 컬링부 31 : 상부플레이트
32 : 하부플레이트 33 : 가공향상절단부
S10 : 절단공정단계 S11 : 컬링유도절단공정
S20 : 2중밴딩공정단계 S21 : 절첩밴딩공정
S22 : 리스트라이킹공정 S30 : 2중컬링공정단계
S31 : 컬링전밴딩공정 S32 : 컬링공정
S40 : 스크랩컷팅공정단계 HM : 상부금형
DM : 하부금형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자동차핸들(H)의 일면에 부착되는 평판형상의 핸들부착부(10)와; 상기 핸들부착부(10)의 일단부에 형성되며 자동차본체(C)에 부착되는 본체부착부(20)와; 상기 핸들부착부(10)와 본체부착부(20)의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핸들부착부(10)와 본체부착부(20)가 탄성적으로 휘어지도록 코일형상으로 컬링된 컬링부(30)로 구성되고; 상기 컬링부(30)는 상기 본체부착부(20)에서 연장된 상부플레이트(31)와, 상기 핸들부착부(10)에서 연장된 하부플레이트(32)로 이루어지되 상기 상부플레이트(31)와 하부플레이트(32)는 서로 절첩된 상태로 컬링되고; 상기 컬링부(30)의 일면에는 상기 상부플레이트(31)와 하부플레이트(32)가 서로 절첩된 상태로 컬링될 경우 단위면적당 발생되는 탄성력을 감소시켜 가공성이 향상되도록 정해진 간격만큼 절단된 가공향상절단부(33)가 형성된 자동차핸들용 충격흡수스트랩(1)의 제작방법에 있어서,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되는 금속띠(S)를 수직방향에서 프레싱하며 정해진 형상으로 수직펀칭하는 절단공정단계(S10)와;
    상기 절단공정단계(S10)이후 상기 상부플레이트(31)와 하부플레이트(32)가 서로 절첩되도록 절첩하는 2중밴딩공정단계(S20)와;
    상기 2중밴딩공정단계(S20)이후 상기 상부플레이트(31)와 하부플레이트(32)를 한번에 컬링하는 2중컬링공정단계(S30)와;
    상기 2중컬링공정단계(S30)이후 상기 충격흡수스트랩(1)을 상기 금속띠(S)에서 분리하는 스크랩컷팅공정단계(S40)로 이루어지고;
    상기 2중밴딩공정단계(S20)는 상기 상부플레이트(31)와 하부플레이트(32)를 절첩하는 절첩밴딩공정(S21)과, 상기 절첩밴딩공정(S21)이후 상기 상부플레이트(31)와 하부플레이트(32)가 더욱 밀착되도록 압축하는 리스트라이킹공정(S22)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2중컬링공정단계(S30)는 상기 상부플레이트(31)와 하부플레이트(32)의 단부를 정해진 형상으로 절곡하는 컬링전밴딩공정(S31)과, 상기 컬링전밴딩공정(S31)이후 상기 상부플레이트(31)와 하부플레이트(32)의 단부를 상부방향으로 컬링시키는 컬링공정(S3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절단공정단계(S10)에는 상기 상부플레이트(31)와 하부플레이트(32)가 절첩되어 컬링될 경우 단위면적당 발생되는 탄성력을 감소시켜 가공성이 향상되도록 상기 상부플레이트(31)와 하부플레이트(32)의 일면을 절단하는 컬링유도절단공정(S11)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핸들용 충격흡수스트랩의 제작방법.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200053673A 2020-05-06 2020-05-06 자동차핸들용 충격흡수스트랩 및 그 제작방법 KR1022783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3673A KR102278384B1 (ko) 2020-05-06 2020-05-06 자동차핸들용 충격흡수스트랩 및 그 제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3673A KR102278384B1 (ko) 2020-05-06 2020-05-06 자동차핸들용 충격흡수스트랩 및 그 제작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8384B1 true KR102278384B1 (ko) 2021-07-16

Family

ID=77150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3673A KR102278384B1 (ko) 2020-05-06 2020-05-06 자동차핸들용 충격흡수스트랩 및 그 제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838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9051A (ja) * 1997-07-11 1999-02-02 Koyo Seiko Co Ltd 衝撃吸収式ステアリング装置
US20160001809A1 (en) * 2013-02-27 2016-01-07 Trw Limited A Steering Column Assembly
KR20200008218A (ko) * 2018-07-16 2020-01-28 (주) 보림테크 자동차 조향장치용 칼럼 하우징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9051A (ja) * 1997-07-11 1999-02-02 Koyo Seiko Co Ltd 衝撃吸収式ステアリング装置
US20160001809A1 (en) * 2013-02-27 2016-01-07 Trw Limited A Steering Column Assembly
KR20200008218A (ko) * 2018-07-16 2020-01-28 (주) 보림테크 자동차 조향장치용 칼럼 하우징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40404B2 (ja) スクラップ形状保持
CN105722745B (zh) 具有u形横截面的横梁
JP6032374B2 (ja) プレス成形体の製造方法及びプレス成形装置
CN106457940B (zh) 车辆用臂构件的制造方法及车辆用臂构件
CN103648849B (zh) 车辆用保险杠加强件
KR20110034685A (ko) 폐구조 부재의 제조 방법, 프레스 성형 장치 및 폐구조 부재
CN107148320A (zh) 压制成型品的制造方法及制造装置
JP6032373B2 (ja) 自動車車体用構造部材の製造方法及びプレス成形装置
CN106240639A (zh) 车体用侧架
CN105593109B (zh) 汽车车身用结构构件
CN106132580B (zh) 冲压成型品、具有该冲压成型品的汽车用结构构件、该冲压成型品的制造方法及制造装置
CN103538544A (zh) 车辆的碰撞能量吸收结构
JP6672933B2 (ja) 自動車用構造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金型
KR102278384B1 (ko) 자동차핸들용 충격흡수스트랩 및 그 제작방법
CN107000024B (zh) 热冲压修边部件
EP1794033B1 (en) Beam, and method for making such beam
US2166226A (en) Method of producing stampings
KR20140079949A (ko) 롤 포밍 장치
EP0825090B1 (de) Lenkradskelett für Kraftfahrzeuge
KR101537853B1 (ko) 자동차의 프론트 로워암 제조방법
CN208978792U (zh) 一种汽车前保险杠横梁
CN109013972A (zh) 一种汽车减震器支架的制造工艺
CN109177906A (zh) 一种汽车前保险杠横梁及其制造方法
CN205042995U (zh) 一种用于制备汽车后纵梁的模具
KR200389986Y1 (ko) 프레스 금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