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7293B1 - 향미 흡인기 - Google Patents

향미 흡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7293B1
KR102277293B1 KR1020197011299A KR20197011299A KR102277293B1 KR 102277293 B1 KR102277293 B1 KR 102277293B1 KR 1020197011299 A KR1020197011299 A KR 1020197011299A KR 20197011299 A KR20197011299 A KR 20197011299A KR 102277293 B1 KR102277293 B1 KR 1022772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ount
unit
aerosol
atomizing
flav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12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2703A (ko
Inventor
타쿠마 나카노
Original Assignee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527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27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72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72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30Devices using two or more structurally separated inhalable precursors, e.g. using two liquid precursors in two cartridg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8Fluid transfer means, e.g. pumps
    • A24F47/008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10Devices using liquid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8Fluid transfer means, e.g. pumps
    • A24F40/485Valves; Apertur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1Arrangement of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3Monitoring, e.g. fault detection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60Devices with integrated user interfac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65Devices with integrated communication means, e.g.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1/00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M11/04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perated by the vapour pressure of the liquid to be sprayed or atomised
    • A61M11/041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perated by the vapour pressure of the liquid to be sprayed or atomised using hea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1/00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M11/04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perated by the vapour pressure of the liquid to be sprayed or atomised
    • A61M11/041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perated by the vapour pressure of the liquid to be sprayed or atomised using heaters
    • A61M11/042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perated by the vapour pressure of the liquid to be sprayed or atomised using heaters electric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01Details of inhal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A61M15/0021Mouthpiec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6Inhaling appliances shaped like cigars, cigarettes or pip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82Internal energy supply devices
    • A61M2205/8206Internal energy supply devices battery-operat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Nozzl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흡인하는 에어로졸과 향미의 양을 서로 독립적으로 제어한다.
향미 흡인기는, 흡구와, 에어로졸원을 무화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제1 무화부와, 상기 제1 무화부와 상기 흡구 사이에 마련된 향미원과, 상기 제1 무화부에서 생성된 에어로졸을, 상기 향미원을 통과하여 상기 흡구로 안내하도록 구성된 제1 유로와, 에어로졸원을 무화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제2 무화부와, 상기 제2 무화부에서 생성된 에어로졸을, 상기 향미원을 통과하지 않고 상기 흡구로 안내하도록 구성된 제2 유로와, 상기 제1 무화부와 상기 제2 무화부 중 적어도 한쪽에서의 에어로졸 생성량을 변경 가능한 제어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향미 흡인기
본 발명은, 향미를 에어로졸에 포함시켜 흡인하기 위한 향미 흡인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연소를 수반하지 않고 향미를 흡인하는 타입의 향미 흡인기가 알려져 있다. 일례로서, 향미 흡인기는, 연소를 수반하지 않고 에어로졸원을 무화(霧化)하는 무화 유닛과, 무화 유닛보다 흡구(吸口)측에 설치되는 향미원을 가진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을 참조).
특허문헌 1 : 국제공개 제2015/179388호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향미 흡인기에서는, 흡인하는 에어로졸과 향미원 유래의 향미의 양을 서로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는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 중 하나는, 흡인하는 에어로졸과 향미의 양을 서로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한 향미 흡인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태양(態樣)은, 흡구와, 에어로졸원을 무화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제1 무화부와, 상기 제1 무화부와 상기 흡구 사이에 마련된 향미원과, 상기 제1 무화부에서 생성된 에어로졸을, 상기 향미원을 통과하여 상기 흡구로 안내하도록 구성된 제1 유로와, 에어로졸원을 무화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제2 무화부와, 상기 제2 무화부에서 생성된 에어로졸을, 상기 향미원을 통과하지 않고 상기 흡구로 안내하도록 구성된 제2 유로와, 상기 제1 무화부와 상기 제2 무화부 중 적어도 한쪽에 있어서의 에어로졸 생성량을 변경 가능한 제어부를 구비하는 향미 흡인기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태양은, 상기 일 태양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무화부에서의 에어로졸 생성량 및 상기 제2 무화부에서의 에어로졸 생성량을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향미 흡인기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태양은, 상기 일 태양에서, 상기 향미원은, 상기 제1 무화부에서의 에어로졸 생성량에 따른 양의 향미 성분을 해당 향미원을 통과하는 에어로졸에 부여하고, 상기 제어부는, 주어진 양의 상기 향미 성분이 상기 흡구로 송달되도록 상기 제1 무화부에서의 에어로졸 생성량을 제어하는, 향미 흡인기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태양은, 상기 일 태양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흡구로 송달되는 총 에어로졸량과 향미 성분량 중 적어도 한쪽을 설정하기 위한 설정값에 따라, 상기 제1 무화부 및 상기 제2 무화부에서의 에어로졸 생성량을 제어하는, 향미 흡인기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태양은, 상기 일 태양에서, 상기 설정값에 관한 유저 지시를 수취(受取)하기 위한 유저 설정부를 더 구비하는, 향미 흡인기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태양은, 상기 일 태양에서, 상기 유저 설정부는, 외부 기기와 통신 가능하고, 상기 외부 기기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서 상기 유저 지시를 수취하도록 구성되는, 향미 흡인기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태양은, 상기 일 태양에서, 상기 유저 설정부는, 상기 총 에어로졸량과 상기 향미 성분량의 양쪽 모두에 관한 상기 유저 지시를, 상기 외부 기기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단일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서 수취하도록 구성되는, 향미 흡인기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태양은, 상기 일 태양에서, 상기 유저 설정부는, 상기 총 에어로졸량과 상기 향미 성분량의 비율에 관한 상기 유저 지시를,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서 수취하도록 구성되는, 향미 흡인기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태양은, 상기 일 태양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서 부여된 상기 유저 지시에 근거한 상기 제1 무화부와 상기 제2 무화부 중 적어도 한쪽에 있어서의 에어로졸 생성량이, 소정의 최대값을 초과해 있는 경우에,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에서 에러를 통지하게 하는, 향미 흡인기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태양은, 상기 일 태양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무화부에서의 에어로졸 생성량의 가변 범위와 상기 제2 무화부에서의 에어로졸 생성량의 가변 범위에 근거하여 상기 총 에어로졸량의 가변 범위 및 상기 향미 성분량의 가변 범위를 결정하고, 상기 총 에어로졸량의 가변 범위 및 상기 향미 성분량의 가변 범위를 나타내는 값을,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에서의 표시를 위해 상기 외부 기기로 제공하는, 향미 흡인기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태양은, 상기 일 태양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서 부여된 상기 유저 지시가 소정의 조건을 충족시키는 경우에 상기 제1 무화부 또는 상기 제2 무화부에서의 에어로졸의 생성을 정지시키는, 향미 흡인기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태양은, 상기 일 태양에서, 상기 제1 무화부 및 상기 제2 무화부는, 히터의 가열에 의해 상기 에어로졸원을 무화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무화부의 히터의 저항값은, 상기 제2 무화부의 히터의 저항값보다 큰, 향미 흡인기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태양은, 상기 일 태양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무화부로의 연속 통전 시간이 제1 컷오프 시간을 초과했을 때에 상기 제1 무화부로의 통전을 정지하고, 상기 제2 무화부로의 연속 통전 시간이 제2 컷오프 시간을 초과했을 때에 상기 제2 무화부로의 통전을 정지하며, 상기 제1 무화부로 상기 제1 컷오프 시간 통전했을 때의 에어로졸 생성량과 상기 제2 무화부로 상기 제2 컷오프 시간 통전했을 때의 에어로졸 생성량이 다른, 향미 흡인기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태양은, 상기 일 태양에서, 상기 제1 컷오프 시간은 상기 제2 컷오프 시간과 다른 길이인, 향미 흡인기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태양은, 상기 일 태양에서, 상기 제1 컷오프 시간은 상기 제2 컷오프 시간보다 짧은, 향미 흡인기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태양은, 상기 일 태양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무화부와 상기 제2 무화부 중 적어도 한쪽에 있어서의 에어로졸 생성량의 변경을, 각각의 무화부로의 공급 전력과 통전 시간 중 어느 한쪽을 변경하는 것에 의해 행하는, 향미 흡인기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태양은, 상기 일 태양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무화부와 상기 제2 무화부 중 적어도 한쪽에 있어서의 에어로졸 생성량의 변경을, 각각의 무화부로의 공급 전력과 통전 시간의 양쪽 모두를 변경하는 것에 의해 행하는, 향미 흡인기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태양은, 상기 일 태양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무화부와 상기 제2 무화부 중 적어도 한쪽에 있어서의 에어로졸 생성량을 결정하고, 해당 에어로졸 생성량에 근거하여 대응하는 무화부로 공급해야 할 전력량을 결정하며, 해당 전력량을 얻기 위한 해당 무화부로의 인가 전압과 통전 시간의 복수의 조합 중에서, 주어진 통전 시간의 가변 범위 또는 주어진 인가 전압의 가변 범위에 포함되는 조합을 선택하고, 해당 선택된 인가 전압과 통전 시간으로 상기 대응하는 무화부를 구동하는, 향미 흡인기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태양은, 상기 일 태양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무화부와 상기 제2 무화부 중 적어도 한쪽에 있어서의 에어로졸 생성량을 결정하고, 해당 에어로졸 생성량에 근거하여 대응하는 무화부로 공급해야 할 전력량을 결정하며, 해당 전력량을 얻기 위한 해당 무화부로의 인가 전압을 예정된 고정 통전 시간에 근거하여 결정하고, 해당 결정된 인가 전압과 상기 고정 통전 시간으로 상기 대응하는 무화부를 구동하는, 향미 흡인기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태양은, 상기 일 태양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무화부와 상기 제2 무화부 중 적어도 한쪽으로의 인가 전압과 통전 시간의 조합을 결정하고, 해당 조합에 근거하여 대응하는 무화부로 공급되는 전력량을 산출하며, 해당 전력량의 산출값이 주어진 상한값을 초과했을 경우에는, 상기 상한값의 전력량을 충족시키는 인가 전압과 통전 시간으로 상기 대응하는 무화부를 구동하는, 향미 흡인기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태양은, 상기 일 태양에서, 상기 상한값은 상기 인가 전압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향미 흡인기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태양은, 상기 일 태양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무화부로의 통전 시간을 변경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제1 무화부에서의 에어로졸 생성량을 변경 가능하고, 상기 제2 무화부로의 공급 전력을 변경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제2 무화부에서의 에어로졸 생성량을 변경 가능한, 향미 흡인기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태양은, 상기 일 태양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무화부에서의 에어로졸 생성량을 변경 가능하고, 상기 제2 무화부에서의 에어로졸 생성량의 가변 범위의 상한값은, 상기 제1 무화부에서의 에어로졸 생성량보다 크며, 상기 제2 무화부에서의 에어로졸 생성량의 가변 범위의 하한값은, 상기 제1 무화부에서의 에어로졸 생성량보다 작은, 향미 흡인기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태양은, 상기 일 태양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무화부에서의 에어로졸 생성량을 변경 가능하고, 상기 제1 무화부에서의 에어로졸 생성량의 가변 범위의 하한값은 제로보다 큰, 향미 흡인기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태양은, 상기 일 태양에서, 상기 제1 무화부에서의 에어로졸 생성량의 가변 범위는 제로를 포함하는, 향미 흡인기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태양은, 상기 일 태양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무화부 및 상기 제2 무화부의 쌍방에 있어서의 에어로졸 생성량을 변경 가능하고, 상기 제1 무화부에서의 에어로졸 생성량의 가변 범위의 폭은, 상기 제2 무화부에서의 에어로졸 생성량의 가변 범위의 폭보다 좁은, 향미 흡인기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태양은, 상기 일 태양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무화부 및 상기 제2 무화부의 쌍방에 있어서의 에어로졸 생성량을 변경 가능하고, 상기 제1 무화부에서의 에어로졸 생성량의 가변 범위는, 상기 제2 무화부에서의 에어로졸 생성량의 가변 범위의 하한값과 상한값 사이에 포함되는, 향미 흡인기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태양은, 상기 일 태양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유로를 통과한 누적 에어로졸량에 따라, 상기 제1 무화부에서의 에어로졸 생성량을 증가시키도록 상기 제1 무화부로 공급하는 전력량을 결정하는, 향미 흡인기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태양은, 상기 일 태양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유로를 통과한 누적 에어로졸량에 따라, 상기 제2 무화부에서의 에어로졸 생성량을 감소시키도록 상기 제2 무화부로 공급하는 전력량을 결정하는, 향미 흡인기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태양은, 상기 일 태양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무화부로 공급한 누적 전력량으로부터 상기 누적 에어로졸량을 구하는, 향미 흡인기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태양은, 상기 일 태양에서, 상기 제1 유로를 통과한 에어로졸과 상기 제2 유로를 통과한 에어로졸을 혼합하기 위한 혼합 챔버를 더 구비하고, 상기 혼합 챔버가 상기 흡구에 연통하고 있는, 향미 흡인기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태양은, 상기 일 태양에서, 상기 혼합 챔버는, 상기 제1 유로 및 상기 제2 유로의 어느 단면적보다 큰 단면적을 가지는, 향미 흡인기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태양은, 상기 일 태양에서, 상기 제1 유로와 상기 제2 유로 중 적어도 한쪽은, 복수의 유로를 구비하는, 향미 흡인기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태양은, 상기 일 태양에서, 상기 제1 유로와 상기 제2 유로는, 서로 병렬로 배치되는, 향미 흡인기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흡인하는 에어로졸과 향미의 양을 서로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 1] 일 실시형태에 따른 향미 흡인기(100)의 구성도이다.
[도 2] 제1 태양의 제어에 따른 제어부(130)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3a] 원하는 에어로졸 생성량이 얻어지도록 무화부(104)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부(130)의 동작 예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3b] 통전 시간 t와 인가 전압 V에 따라 무화부(104)의 히터를 구동하는 제어의 예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4a] 통전 시간의 가변 범위 tRange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무화부(104)의 히터의 통전 시간 t와 인가 전압 V를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b] 인가 전압의 가변 범위 VRange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무화부(104)의 히터의 통전 시간 t와 인가 전압 V를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제2 태양의 제어에 따른 제어부(130)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6a] 유저가 유저 설정부(150)를 통해서 통전 시간 t를 지정한 경우에 무화부(104)의 히터로 공급되는 전력량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b] 유저가 유저 설정부(150)를 통하여 인가 전압 V를 지정한 경우에 무화부(104)의 히터로 공급되는 전력량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유저가 유저 설정부(150)를 통하여 인가 전압 V를 지정한 경우에 있어서의 제어의 변형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 제3 태양의 제어에 따른 제어부(130)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9] 제4 태양의 제어에 따른 제어부(130)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10] 향미 흡인기(100)와 함께 사용 가능한 외부 기기(2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1] 외부 기기(200)의 디스플레이(240)에 표시되는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245)의 일례를 나타낸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향미 흡인기(100)의 구성도이다. 도 1은 향미 흡인기(100)가 구비하는 각 엘리먼트를 개략적으로 또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것이며, 그들 각 엘리먼트 및 향미 흡인기(100)의 엄밀한 배치, 형상, 치수, 위치 관계 등을 나타내는 것은 아닌 것에 유의하기 바란다.
도 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향미 흡인기(100)는, 리저버(102)(제1 리저버(102A) 및 제2 리저버(102B)), 무화부(104)(제1 무화부(104A) 및 제2 무화부(104B)), 향미원(106), 흡구 부재(108), 에어로졸 유로(110)(제1 에어로졸 유로(110A) 및 제2 에어로졸 유로(110B)), 및 혼합 챔버(118)를 구비한다. 향미 흡인기(100)의 이들 엘리먼트는, 그 중 몇 가지를 합쳐서 착탈 가능하게 구성된 카트리지로서 마련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향미원(106)만을 향미 흡인기(100) 본체에 대해서 착탈 가능한 카트리지로서 구성해도 되고, 무화부(104)와 리저버(102)를 배터리(114)에 대해서 착탈 가능한 카트리지로서 구성해도 되며, 향미원(106), 리저버(102), 및 무화부(104)를 일체화한 카트리지를 배터리(114)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마련해도 된다.
리저버(102)(제1 리저버(102A) 및 제2 리저버(102B))는, 에어로졸원을 보유한다. 예를 들면, 리저버(102)는, 섬유상(섬유모양) 또는 다공질성의 소재로 구성되어, 섬유 사이의 간극이나 다공질 재료의 세공(細孔)에 액체로서의 에어로졸원을 보유한다. 혹은 또한, 리저버(102)는, 액체를 유동 가능한 상태로 수용하는 탱크로서 구성되어도 된다. 에어로졸원은, 예를 들면, 글리세린이나 프로필렌글리콜 등의 액체이다. 리저버(102)는, 에어로졸원을 보충 가능한 구성, 또는 에어로졸원이 소모되었을 때에 리저버 자체를 교환 가능한 구성을 가진다.
무화부(104)(제1 무화부(104A) 및 제2 무화부(104B))는, 에어로졸원을 무화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각 무화부(104)는, 흡인(吸引) 센서(122)(예를 들면, 공기 취입 유로(116) 혹은 에어로졸 유로(110)의 압력 변동을 검지(檢知)하는 압력 센서, 또는 유저가 조작 가능한 조작 버튼)에 의해 유저의 흡인 행위가 검지되면, 에어로졸을 생성한다. 예를 들면, 도시하지 않은 윅(wick)이, 제1 리저버(102A)와 제1 무화부(104A)를 연결하도록 설치된다. 윅의 일부는 제1 리저버(102A)의 내부로 통과하여, 에어로졸원과 접촉하고 있다. 윅의 다른 일부는 제1 무화부(104A)로 연장되어 있다. 에어로졸원은, 윅의 모세관 효과에 의해 제1 리저버(102A)로부터 제1 무화부(104A)로 수송된다. 마찬가지로, 도시하지 않은 다른 윅이, 제2 리저버(102B)와 제2 무화부(104B)를 연결하도록 설치된다. 각 무화부(104)는, 일례로서, 배터리(114)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히터를 구비한다. 각 무화부(104)의 히터는, 해당 무화부(104)의 윅과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윅을 통해서 수송된 에어로졸원을 가열하는 것에 의해 무화한다. 무화부(104)의 다른 예는, 에어로졸원을 초음파 진동에 의해 무화하는 초음파식 무화기여도 된다. 각 무화부(104)에는 공기 취입 유로(流路)(116)가 접속되며, 공기 취입 유로(116)는 향미 흡인기(100)의 외부로 통하고 있다. 제1 무화부(104A)와 제2 무화부(104B)에서 생성된 에어로졸은, 공기 취입 유로(116)를 통해서 취입된 공기와 혼합되어, 각각 제1 에어로졸 유로(110A) 및 제2 에어로졸 유로(110B)로 송출된다.
향미원(106)은, 에어로졸에 향미(香味)를 부여하기 위한 유닛이다. 향미원(106)은, 제1 에어로졸 유로(110A)의 도중에 배치된다. 제1 무화부(104A)에서 생성된 에어로졸과 공기의 혼합 유체(이하, 혼합 유체를 간단히 에어로졸로 호칭하는 경우도 있는 것에 유의하기 바란다)는, 유저의 흡인 행위에 의해 제1 에어로졸 유로(110A)를 통과하여 흡구(흡구 부재(108)) 측으로 흘러간다. 즉, 향미원(106)은, 에어로졸의 흐름에 있어서 제1 무화부(104A)보다 하류에 마련되어 있다. 환언하면, 제1 무화부(104A)보다 향미원(106) 쪽이, 에어로졸 유로(110) 중에서 흡구에 가까운 측에 위치한다. 이와 같이, 제1 무화부(104A)에서 생성된 에어로졸은, 향미원(106)을 통과하고 나서 흡구에 도달한다. 에어로졸이 향미원(106)을 통과할 때, 향미원(106)으로부터의 향미 성분이, 에어로졸에 부여된다. 향미원(106)은, 예를 들면, 살담배나, 담배 원료를 입상(粒狀), 시트상(시트 모양), 혹은 분말상(분말 모양)으로 성형한 가공물 등의, 담배 유래의 것, 또는, 담배 이외의 식물(예를 들면 민트나 허브 등)로 만들어진 비(非)담배 유래의 것이어도 된다. 일례로서, 향미원(106)은, 니코틴 성분을 포함한다. 향미원(106)은, 멘톨 등의 향료 성분을 함유해도 된다. 또한, 향미원(106)에 더해, 리저버(102)(제1 리저버(102A)와 제2 리저버(102B) 중 한쪽 또는 양쪽 모두)도 향미 성분을 포함한 물질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향미 흡인기(100)는, 향미원(106)에 담배 유래의 향미 물질을 보유하고, 각 리저버(102)에는 비담배 유래의 향미 물질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에어로졸 유로(110)는, 각 무화부(104)에서 생성된 에어로졸과 공기의 혼합 유체를 혼합 챔버(118)까지 수송하기 위한 관상(管狀) 구조이다. 도 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에어로졸 유로(110)는, 제1 에어로졸 유로(110A)와 제2 에어로졸 유로(110B)를 포함한다. 제1 에어로졸 유로(110A)는, 제1 무화부(104A)와 혼합 챔버(118) 사이를 연결하고, 제2 에어로졸 유로(110B)는, 제2 무화부(104B)와 혼합 챔버(118) 사이를 연결한다.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 에어로졸 유로(110A)와 제2 에어로졸 유로(110B)는, 서로 병렬(竝列)로 배치되어 있다. 제1 에어로졸 유로(110A)와 제2 에어로졸 유로(110B) 중 적어도 한쪽은, 복수의 유로로 구성되어도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에어로졸 유로(110A)의 도상(途上)에는, 향미원(106)이 설치된다. 즉, 제1 에어로졸 유로(110A)는, 향미원(106)을 통해서, 제1 무화부(104A)와 혼합 챔버(118) 사이를 연결하고 있다. 따라서, 제1 무화부(104A)에서 생성된 에어로졸은, 공기와 함께 제1 에어로졸 유로(110A)로 송출되며, 향미원(106)을 통과해서 향미 성분을 부여받은 후, 혼합 챔버(118)로 수송된다. 한편, 제2 에어로졸 유로(110B)는, 제2 무화부(104B)와 혼합 챔버(118) 사이를, 향미원(106)을 통하지 않고 다이렉트로 연결하고 있다. 그 때문에, 제2 무화부(104B)에서 생성되어 제2 에어로졸 유로(110B)로 송출된 에어로졸은, 향미원(106)을 통과하는 일없이, 따라서 향미원(106)에 포함될 향미 성분을 부여받는 일없이 혼합 챔버(118)로 수송된다. 또한, 향미원(106)과는 다른 향미원(예를 들면, 향미원(106)과는 다른 향미 성분을 에어로졸에 부여할 수 있는 향미원)이, 제2 에어로졸 유로(110B)에 부가적으로 설치되어도 된다.
혼합 챔버(118)는, 제1 에어로졸 유로(110A)와 제2 에어로졸 유로(110B)의 종단(하류단)에 위치하며, 각 에어로졸 유로(110A, 110B)를 통과하여 수송되어 온 에어로졸을 혼합한다. 에어로졸의 혼합을 촉진하기 위해, 혼합 챔버(118)는, 제1 에어로졸 유로(110A)의 유로 단면적(斷面績), 및 제2 에어로졸 유로(110B)의 유로 단면적보다 큰 유로 단면적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또한, 유로 단면적은, 에어로졸의 흐름 방향(도 1 중에 나타내는 화살표 u, v의 방향)에 수직인 단면에 따른 에어로졸 유로의 단면적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흡구 부재(108)는, 혼합 챔버(118)의 하류측에 접속되어, 혼합 챔버(118) 내의 에어로졸을 향미 흡인기(100)의 외부에 대해서 개방하도록 구성된 부재이다. 유저는, 흡구 부재(108)를 물고 흡인함으로써, 에어로졸을 포함한 공기를 구강 내에 취입한다. 이와 같이, 제1 에어로졸 유로(110A)로부터의 에어로졸과 제2 에어로졸 유로(110B)로부터의 에어로졸은, 혼합 챔버(118)에서 합류하여, 흡구 부재(108)로부터 유저에게 흡입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향미 흡인기(100)는, 제어부(130)와, 메모리(140)와, 유저 설정부(150)를 더 구비한다. 제어부(130)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마이크로컴퓨터로서 구성된 전자 회로 모듈이며, 메모리(140)에 저장된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에 따라 향미 흡인기(100)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프로그램된다. 메모리(140)는, ROM, RAM, 플래쉬 메모리 등의 정보 기억 매체이다. 메모리(140)에는,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 외에, 향미 흡인기(100)의 제어에 필요한 설정 데이터가 저장된다.
유저 설정부(150)는, 무화부(104)에서 생성되는 에어로졸량(이하, 에어로졸 생성량이라고 칭한다)을 유저가 설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유저 설정부(150)는, 예를 들면, 유저가 물리적으로 조작하는 것이 가능한 버튼, 스위치, 손잡이 등으로서 구성된다. 다른 예로서, 유저 설정부(150)는, 외부 컴퓨터와의 통신 접속을 통하여 유저로부터의 지시를 수취하는 통신 인터페이스(예를 들면 USB 단자나 무선 인터페이스)로서 구성되어도 된다.
유저는, 유저 설정부(150)를 통하여, 예를 들면, 제1 무화부(104A)에서의 에어로졸 생성량 u와 제2 무화부(104B)에서의 에어로졸 생성량 v를 개별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유저 설정부(150)를 통한 유저 조작에 의해 제1 무화부(104A)의 에어로졸 생성량 u가 설정된 경우, 제어부(130)는, 그 설정에 따라 제1 무화부(104A)가 동작하도록 제1 무화부(104A)를 제어한다. 마찬가지로, 유저 설정부(150)를 통한 유저 조작에 의해 제2 무화부(104B)의 에어로졸 생성량 v가 설정된 경우, 제어부(130)는, 그 설정에 따라 제2 무화부(104B)가 동작하도록 제2 무화부(104B)를 제어한다. 유저 설정부(150)에 대한 설정은, 제1 무화부(104A)의 에어로졸 생성량 u와 제2 무화부(104B)의 에어로졸 생성량 v 중 어느 한쪽에 대한 설정이어도 되고, 양쪽 모두를 동시에 변경하기 위한 설정이어도 된다.
이와 같이 유저는, 제1 무화부(104A)의 에어로졸 생성량과 제2 무화부(104B)의 에어로졸 생성량을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제1 무화부(104A)의 에어로졸 생성량과 제2 무화부(104B)의 에어로졸 생성량은, 각각 미리 정해진 어느 범위(가변 범위) 내에서 변경 가능하다. 일례로서, 제2 무화부(104B)의 에어로졸 생성량이 가변이고 또 제1 무화부(104A)의 에어로졸 생성량이 고정이어도 되며, 제2 무화부(104B)의 에어로졸 생성량의 가변 범위는, 상한값이 제1 무화부(104A)의 에어로졸 생성량(고정값)보다 큰 값으로 설정되고, 하한값이 제1 무화부(104A)의 해당 에어로졸 생성량(고정값)보다 작은 값으로 설정된다. 즉, 제2 무화부(104B)의 에어로졸 생성량은, 제1 무화부(104A)의 에어로졸 생성량보다 넓은 범위에서 변경 가능하다. 이에 의해, 유저에게 제공되는 에어로졸의 총량을 넓은 범위에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제1 무화부(104A)의 에어로졸 생성량이 가변이어도 되고, 제1 무화부(104A)의 에어로졸 생성량의 가변 범위는, 하한값이 제로보다 큰 값으로 설정된다. 즉, 제1 무화부(104A)로부터는 항상 제로가 아닌 소정량의 에어로졸이 생성되며, 따라서, 이 에어로졸이 향미원(106)으로 통기(通氣)되는 것에 의해, 항상 제로가 아닌 소정량의 향미 성분이 유저에게 제공된다. 다른 예로서, 제1 무화부(104A)의 에어로졸 생성량은 제로여도 된다. 예를 들면,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리저버(102B)가 향미 성분을 포함한 물질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제1 무화부(104A)의 에어로졸 생성량을 제로로 설정함으로써, 제2 리저버(102B)에 포함되는 향미 성분만을 유저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제1 무화부(104A)의 에어로졸 생성량과 제2 무화부(104B)의 에어로졸 생성량이 모두 가변이어도 되고, 제1 무화부(104A)의 에어로졸 생성량의 가변 범위의 폭은, 제2 무화부(104B)의 에어로졸 생성량의 가변 범위의 폭보다 좁게 설정되거나, 혹은, 제1 무화부(104A)의 에어로졸 생성량의 가변 범위는, 제2 무화부(104B)의 에어로졸 생성량의 가변 범위의 하한값과 상한값 사이에 포함되도록 설정된다. 이에 의해, 유저에게 제공되는 향미 성분의 양을 크게 변화시키는 일없이, 유저에게 제공되는 에어로졸의 총량을 넓은 범위에서 변경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무화부(104A)의 에어로졸 생성량 u와 제2 무화부(104B)의 에어로졸 생성량 v를 개별적으로 설정하는 것 대신에, 유저는, 흡입하는(즉 흡구 부재(108)로 송달되는) 에어로졸의 총량 p와, 흡입하는 에어로졸에 포함되는 향미원(106)으로부터의 향미 성분량 q(이하, 간단히 향미 성분량이라고 기재한다) 중 한쪽 또는 양쪽 모두를, 유저 설정부(150)를 통하여 설정할 수도 있다. 흡구 부재(108)로 송달되는 총 에어로졸량 p는, 제1 무화부(104A)와 제2 무화부(104B)의 양쪽 모두에서 생성되는 에어로졸량의 합 u+v과 같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흡구 부재(108)로 송달된 에어로졸에 포함되는 향미원(106)으로부터의 향미 성분은, 제1 무화부(104A)로부터의 에어로졸이 향미원(106)에 통기되는 것에 의한 것이기 때문에, 그 양(향미 성분량 q)은, 제1 무화부(104A)의 에어로졸 생성량 u에만 의존한다. 즉 향미 성분량 q는, 제1 무화부(104A)의 에어로졸 생성량 u의 함수로서 q=f(u)(단, f(0)=0)로 나타낼 수 있다(또한, 함수 f는, 에어로졸의 통기에 의해 서서히 향미원(106)으로부터의 향미 성분의 방출 능력이 저하하는 효과를 가미한 것이어도 된다). 그 때문에, 흡구 부재(108)로 송달되는 총 에어로졸량 p와 향미 성분량 q의 조합이 주어지면, 제1 무화부(104A)의 에어로졸 생성량 u와 제2 무화부(104B)의 에어로졸 생성량 v의 조합이 다음 식(1) 및 (2)와 같이 일의적으로 정해진다.
(1) u=f-1(q)
(2) v=p-f-1(q)
따라서, 예를 들면, 유저 설정부(150)를 통한 유저 조작에 의해 흡구 부재(108)로의 총 에어로졸량 p와 향미 성분량 q의 양쪽 모두가 설정된 경우, 제어부(130)는, 식(1) 및 (2)에 따라, 그들 설정값으로부터 제1 무화부(104A)와 제2 무화부(104B)의 각각의 에어로졸 생성량 u 및 v를 결정하고, 결정한 값에 따라 제1 무화부(104A) 및 제2 무화부(104B)가 각각 동작하도록 제1 무화부(104A)와 제2 무화부(104B)를 제어한다. 또한, 예를 들면, 유저 설정부(150)를 통한 유저 조작에 의해 향미 성분량 q만을 변경하는 설정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제어부(130)는, 식(1)에 따라, 그 변경에 대응한 양만큼 제1 무화부(104A)의 에어로졸 생성량 u가 변화하도록 제1 무화부(104A)를 제어함과 함께, 식(2)에 따라, 제1 무화부(104A)의 에어로졸 생성량 u의 변화에 맞춰 제2 무화부(104B)의 에어로졸 생성량 v가 변화하도록(에어로졸 생성량 v의 변화에 의해 에어로졸 생성량 u의 변화를 상쇄하도록) 제2 무화부(104B)를 제어한다. 또한, 다른 예로서, 유저 설정부(150)를 통한 유저 조작에 의해 총 에어로졸량 p만을 변경하는 설정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제어부(130)는, 식(2)에 따라, 그 변경량 분만큼 제2 무화부(104B)의 에어로졸 생성량 v를 변화시키도록 제2 무화부(104B)를 제어한다. 이들 제어의 상세에 관해서는, 이하에 설명하는 제1 태양의 제어를 참조하기 바란다.
또한, 다른 예로서,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무화부(104A)의 에어로졸 생성량 u와 제2 무화부(104B)의 에어로졸 생성량 v를 설정하거나, 흡입하는 총 에어로졸량 p와 향미 성분량 q를 설정하거나 하는 것 대신에, 유저는, 무화부(104)의 히터로 인가하는 전압 V와 그 통전(通電) 시간 t 중 한쪽 또는 양쪽 모두를, 유저 설정부(150)를 통해서 직접적으로 설정해도 된다. 인가(印加) 전압 V와 통전 시간 t의 양쪽 모두를 설정하는 경우, 그들을 개별적으로 설정하는 것이 아니라, 무화부(104)의 히터로의 공급 전력량 W(=(V2/R)×t)를 직접적으로 설정하는 것이어도 된다. 단 R은 히터의 저항값이다. 유저 설정부(150)를 통한 유저 조작에 의해 무화부(104)(제1 무화부(104A) 또는 제2 무화부(104B))의 히터로의 인가 전압 V와 통전 시간 t 중 어느 한쪽이 설정된 경우, 제어부(130)는, 그 설정에 근거하여, 해당 무화부(104)를 제어한다. 이 예의 제어의 상세에 관해서는, 후술하는 제2 태양의 제어를 참조하기 바란다.
이와 같이, 유저는 몇 가지 다른 방법으로, 유저 설정부(150)에 대한 설정을 행할 수 있으며, 제어부(130)는, 어느 경우에서도, 유저로부터의 설정에 대응하여, 제1 무화부(104A)의 에어로졸 생성량 u와 제2 무화부(104B)의 에어로졸 생성량 v를 독립적으로 제어한다. 이하, 제어부(130)에 의한 제어의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 태양의 제어>
도 2는, 제1 태양의 제어에 따른 제어부(130)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제1 태양의 제어는, 유저 설정부(150)를 통하여 총 에어로졸량 p와 향미 성분량 q 중 한쪽 또는 양쪽 모두가 설정된 경우의 제어의 예이다.
우선 스텝 S202에서, 제어부(130)는, 유저 설정부(150)를 통하여 총 에어로졸량 p와 향미 성분량 q 중 적어도 한쪽을 변경하기 위한 유저 지시가 입력되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총 에어로졸량 p와 향미 성분량 q는, 향미 흡인기(100)가 생성하는 에어로졸의 총량과 향미 성분의 양의 목표값을 나타낸다.
유저 설정부(150)를 통하여 총 에어로졸량 p와 향미 성분량 q 중 적어도 한쪽을 변경하기 위한 유저 지시가 입력되지 않을 경우, 스텝 S214로 진행된다. 스텝 S214에서, 제어부(130)는, 메모리(140)로부터 제1 무화부(104A)의 에어로졸 생성량 u와 제2 무화부(104B)의 에어로졸 생성량 v의 각 설정값을 읽어내고(판독하고), 읽어낸 설정값에 따라 제1 무화부(104A) 및 제2 무화부(104B)를 각각 구동한다. 예를 들면, 향미 흡인기(100)의 동작 개시시에 이용되어야 할 제1 무화부(104A)와 제2 무화부(104B)의 각 에어로졸 생성량의 초기 설정값이, 메모리(140)에 미리 저장되어 있다. 향미 흡인기(100)의 동작이 개시하고 최초로 유저 지시가 입력될 때까지는, 제어부(130)는, 메모리(140)로부터 이들 에어로졸 생성량의 초기 설정값을 읽어내어, 제1 무화부(104A)와 제2 무화부(104B)를 구동한다. 이에 의해, 향미 흡인기(100)는, 유저의 1회의 흡인 행위에 대응하는 1회분의 무화 동작으로서, 에어로졸 생성량의 초기 설정값과 식(1) 및 (2)의 관계로 대응 지워진 고정된(일정한) 총 에어로졸량 p와 향미 성분량 q를 유저에게 제공하도록 동작을 행한다. 제어부(130)는 그 후, 스텝 S216에서, 향미 흡인기(100)의 동작을 계속할지(유저의 다음 흡인 행위에 대응하는 다음 회분의 무화 동작을 행할지) 어떨지를 판정하여, 동작을 계속할 경우는 스텝 S202로 되돌아온다. 예를 들면, 제어부(130)는, 흡인 센서(압력 센서)(122)의 검출값이 소정의 임계값(역치)을 하회(下回)하고 있을 경우, 유저가 다음 흡인 행위를 행하려 하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고, 스텝 S202에서부터의 처리를 반복한다. 또한, 스텝 S216는 임의의 스텝이며, 생략되어도 된다.
한편, 스텝 S202에서, 유저 설정부(150)를 통하여 총 에어로졸량 p와 향미 성분량 q 중 적어도 한쪽을 변경하기 위한 유저 지시가 입력되었다는 판정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스텝 S204로 진행되고, 제어부(130)는, 유저 설정부(150)를 통하여 입력된 유저 지시가, 총 에어로졸량 p만을 변경하는 지시인지, 향미 성분량 q만을 변경하는 지시인지, 또는 총 에어로졸량 p와 향미 성분량 q의 양쪽 모두를 변경하는 지시인지를 판정한다. 유저 지시가 총 에어로졸량 p만을 변경하는 지시일 경우, 스텝 S206으로 진행되고, 총 에어로졸량 p와 향미 성분량 q의 양쪽 모두를 변경하는 지시일 경우, 스텝 S208로 진행되며, 향미 성분량 q만을 변경하는 지시일 경우, 스텝 S210으로 진행된다. 본 스텝 S204의 판정은, 예를 들면, 1) 제어부(130)가 유저 지시의 입력을 검지했을 때, 2) 1회의 무화 동작이 종료한 후, 3) 흡인 센서(122)에 의해 유저의 흡인 행위가 검지되고 나서 에어로졸의 무화가 개시될 때까지의 소정의 타임 래그 시간 동안, 4) 무화 동작 중(히터로의 통전 기간 중) 중 어느 타이밍에서 행해도 된다.
스텝 S204의 판정의 결과, 유저 지시가 총 에어로졸량 p만을 변경하는 지시일 경우, 스텝 S206에서, 제어부(130)는, 유저 지시에 따른 총 에어로졸량 p에 따라, 식(2)에 근거하여 변경 후의 제2 무화부(104B)의 에어로졸 생성량 v를 결정한다. 이어서 제어부(130)는, 스텝 S212에서, 메모리(140)에 저장되어 있는 제2 무화부(104B)의 에어로졸 생성량의 설정값을, 스텝 S206에서 결정한 새로운 에어로졸 생성량 v의 값으로 갱신한다. 또한, 제어부(130)는, 스텝 S214에서, 메모리(140)로부터 제1 무화부(104A)의 에어로졸 생성량 u와 제2 무화부(104B)의 에어로졸 생성량 v의 각 설정값을 읽어내고, 읽어낸 설정값에 따라 제1 무화부(104A) 및 제2 무화부(104B)를 각각 구동한다. 더 구체적으로는, 제어부(130)는, 스텝 S206에서 결정된 새로운 에어로졸 생성량 v의 설정값에 따라 제2 무화부(104B)를 구동하는 한편, 유저 지시에 향미 성분량 q의 변경이 포함되지 않기 때문에 식(1)의 관계로부터 동일 값으로 유지되는 제1 무화부(104A)의 에어로졸 생성량 u에 따라, 제1 무화부(104A)를 구동한다. 이에 의해, 흡구 부재(108)로 송달되는 총 에어로졸량 p가, 유저 설정부(150)로의 유저 지시에 따라 변화하는 한편, 흡구 부재(108)로 송달되는 향미 성분량 q는, 일정하게 유지된다. 따라서, 향미 흡인기(100)는, 유저에게 제공되는 향미 성분량 q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총 에어로졸량 p를 가변으로 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그 후, 스텝 S216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향미 흡인기(100)의 동작을 계속할지 어떨지를 판정하여, 동작을 계속하는 경우는 스텝 S202로 되돌아온다.
스텝 S204의 판정의 결과, 유저 지시가 총 에어로졸량 p와 향미 성분량 q의 양쪽 모두를 변경하는 지시일 경우, 스텝 S208에서, 제어부(130)는, 유저 지시에 따른 총 에어로졸량 p와 향미 성분량 q에 따라, 식(1) 및 (2)에 근거하여 변경 후의 제1 무화부(104A)의 에어로졸 생성량 u와 제2 무화부(104B)의 에어로졸 생성량 v를 결정한다. 이어서 제어부(130)는, 스텝 S212에서, 메모리(140)에 저장되어 있는 제1 무화부(104A)와 제2 무화부(104B)의 각 에어로졸 생성량의 설정값을, 스텝 S208에서 결정한 새로운 에어로졸 생성량 u, v의 값으로 각각 갱신한다. 또한, 제어부(130)는, 스텝 S214에서, 메모리(140)로부터 제1 무화부(104A)의 에어로졸 생성량 u와 제2 무화부(104B)의 에어로졸 생성량 v의 각 설정값을 읽어내고, 읽어낸 설정값에 따라 제1 무화부(104A) 및 제2 무화부(104B)를 각각 구동한다. 이에 의해, 흡구 부재(108)로 송달되는 총 에어로졸량 p와 향미 성분량 q의 양쪽 모두가, 유저 설정부(150)로의 유저 지시에 따라 변화한다. 따라서, 향미 흡인기(100)는, 유저에게 제공되는 총 에어로졸량 p와 향미 성분량 q를 독립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그 후, 스텝 S216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향미 흡인기(100)의 동작을 계속할지 어떨지를 판정하여, 동작을 계속하는 경우는 스텝 S202로 되돌아온다.
스텝 S204의 판정의 결과, 유저 지시가 향미 성분량 q만을 변경하는 지시일 경우, 스텝 S210에서, 제어부(130)는, 유저 지시에 따른 향미 성분량 q에 따라, 식(1)에 근거하여 변경 후의 제1 무화부(104A)의 에어로졸 생성량 u를 결정한다. 이어서 제어부(130)는, 스텝 S212에서, 메모리(140)에 저장되어 있는 제1 무화부(104A)의 에어로졸 생성량의 설정값을, 스텝 S210에서 결정한 새로운 에어로졸 생성량 u의 값으로 갱신한다. 또한, 제어부(130)는, 스텝 S214에서, 메모리(140)로부터 제1 무화부(104A)의 에어로졸 생성량 u와 제2 무화부(104B)의 에어로졸 생성량 v의 각 설정값을 읽어내고, 읽어낸 설정값에 따라 제1 무화부(104A) 및 제2 무화부(104B)를 각각 구동한다. 이와 같이 제1 무화부(104A)의 동작 조건만을 변경한 경우, 에어로졸 생성량 u의 변화에 수반하여 총 에어로졸량 p도 변화해서, 유저 설정부(150)에 향미 성분량 q만을 변경하는 지시를 입력했음에도 불구하고, 흡입한 에어로졸의 총량 p에 의도하지 않은 변화가 발생한다는 위화감을 유저에게 줄 가능성이 있다. 이를 회피하기 위해, 제어부(130)는, 옵션으로서 또한, 식(2)에 근거하여 제2 무화부(104B)의 에어로졸 생성량 v를 변경하고, 변경 후의 새로운 값으로 메모리(140) 내의 제2 무화부(104B)의 에어로졸 생성량의 설정값을 갱신하는 제어를 해도 된다. 이에 의해, 유저에게 제공되는 향미 성분량 q를 유저 설정부(150)로의 유저 지시에 따라 변화시킬 수 있는 한편, 유저에게 제공되는 총 에어로졸량 p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그 후, 스텝 S216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향미 흡인기(100)의 동작을 계속할지 어떨지를 판정하여, 동작을 계속하는 경우는 스텝 S202로 되돌아온다.
이와 같이 스텝 S206, 스텝 S208, 및 스텝 S210에서 유저 설정부(150)를 통한 유저 지시에 따라 새로운 에어로졸 생성량 u 및/또는 v가 결정되면, 그 값에 의해 메모리(140) 내의 에어로졸 생성량의 설정값이 갱신된다. 따라서, 그 후(즉 스텝 S206, 스텝 S208, 또는 스텝 S210 중 어느 하나가 실시된 후) 향미 흡인기(100)의 동작을 계속하기 위하여 스텝 S202로 되돌아왔을 때에, 총 에어로졸량 p와 향미 성분량 q 중 적어도 한쪽을 변경하기 위한 유저 지시가 유저 설정부(150)를 통하여 입력되지 않은 것에 의해 스텝 S214로 진행된 경우에는, 직전에 갱신된 에어로졸 생성량 u 및/또는 v의 설정값이 메모리(140)로부터 읽혀서, 그 새로운 설정값에 따라, 제1 무화부(104A)와 제2 무화부(104B)가 각각 구동된다. 이에 의해, 향미 흡인기(100)는, 유저 설정부(150)를 통하여 총 에어로졸량 p와 향미 성분량 q 중 적어도 한쪽을 변경하기 위한 다음의 유저 지시가 새로 입력될 때까지, 전회(前回) 입력된 유저 지시에 의한 고정된(일정한) 총 에어로졸량 p와 향미 성분량 q를 유저에게 제공하도록 동작한다.
또한, 스텝 S206, 스텝 S208, 및 스텝 S210에서 유저 설정부(150)를 통한 유저 지시에 따라 새로운 에어로졸 생성량 u 및/또는 v를 결정했을 때에, 결정된 에어로졸 생성량 u 및/또는 v가, 각 무화부(104A, 104B)에 의해 생성하는 것이 가능한 최대의(예를 들면, 히터의 가열 능력이나, 배터리로부터 공급 가능한 전력 등에 의해 정해지는 최대한도의) 에어로졸량을 초과해 있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는, 제어부(130)는, 예를 들면, 유저에 대해 에러를 통지하여, 다시 스텝 S202를 실시해서 적절한 총 에어로졸량 p와 향미 성분량 q의 값을 입력하도록 유저에게 촉구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혹은 또한, 제어부(130)는, 각 무화부(104A, 104B)가 해당 최대의 에어로졸량을 생성하도록, 각각의 히터를 후술하는 스텝 S512와 동일한 최대 전력량 Wmax로 구동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유저 설정부(150)로부터의 유저 지시에 따라 결정된 에어로졸 생성량 u 및/또는 v가, 제로일 경우도 있을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는, 제어부(130)는, 제로의 에어로졸 생성량이 지정된 무화부(104)(제1 무화부(104A)와 제2 무화부(104B) 중 한쪽 또는 양쪽 모두)에서의 에어로졸의 생성을 정지시키는 제어를 행한다. 이에 의해, 해당 무화부(104)로부터의 에어로졸 생성량이 제로가 된다.
제어부(130)는, 스텝 S214에서 제1 무화부(104A) 또는 제2 무화부(104B)를 구동함에 있어, 배터리(114)로부터 각 무화부(104)의 히터로 공급되는 전력량 W를 변화시킴으로써, 각 무화부(104)의 에어로졸 생성량을 원하는 값으로 제어한다. 이는, 통상, 에어로졸의 생성량은, 에어로졸원에 부여되는 에너지에 의해 정해지는 것에 근거한다. 예를 들면, 각 무화부(104)의 히터로의 공급 전력량과, 그 전력량으로 히터가 가열된 경우에 에어로졸원으로부터 발생하는 에어로졸량의 관계를 나타내는 데이터(이하, 에어로졸 생성량 특성 데이터라고 칭한다)가, 메모리(140)에 미리 저장된다. 제어부(130)는, 에어로졸 생성량 특성 데이터를 참조하는 것에 의해, 에어로졸 생성량 u 및 v의 설정값에 대응하는 히터 공급 전력량의 값을 취득하여, 배터리(114)로부터 각 무화부(104)의 히터로의 공급 전력량 W를, 그 취득한 값에 일치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130)는, 무화부(104)의 히터로 공급되는 전력량 W(=전력 P×통전 시간 t)를 제어하기 위해, 히터로의 공급 전력 P와 통전 시간 t 중 어느 한쪽만을 변경(다른쪽은 고정)해도 되고, 혹은 공급 전력 P와 통전 시간 t의 양쪽 모두를 동시에 변경해도 된다. 또한, 제1 무화부(104A)와 제2 무화부(104B)의 양쪽 모두에서 히터로의 공급 전력 P의 변경에 의해 전력량 W를 변화시켜도 되고, 제1 무화부(104A)와 제2 무화부(104B)의 양쪽 모두에서 히터로의 통전 시간 t의 변경에 의해 전력량 W를 변화시켜도 된다. 또한, 제1 무화부(104A)에서 히터로의 공급 전력 P와 통전 시간 t 중 한쪽을 변경하는 것에 의해 전력량 W를 변화시키고, 제2 무화부(104B)에서 다른쪽을 변경하는 것에 의해 전력량 W를 변화시키는 것이어도 된다.
바람직한 예는, 제1 무화부(104A)에서는 히터로의 통전 시간 t의 변경에 의해 전력량 W를 변화시키고, 제2 무화부(104B)에서는 히터로의 공급 전력 P(실질적으로는 히터로의 인가 전압 V)의 변경에 의해 전력량 W를 변화시키는 것이다. 이 경우, 히터를 구동할 때에 통전 시간 t와 인가 전압 V가 동일한 정도의 제어 오차(목표값으로부터의 어긋남)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가정하면, W=P×t=(V2/R)×t의 관계(단 R은 히터의 저항값)로부터 W는 V의 제곱에 비례하고 t에 비례하는 것에서, 제1 무화부(104A)의 히터로의 공급 전력량의 변동(즉 제1 무화부(104A)의 에어로졸 생성량의 변동)은, 제2 무화부(104B)의 히터로의 공급 전력량의 변동(즉 제2 무화부(104B)의 에어로졸 생성량의 변동)보다 작아진다. 따라서, 유저에게 제공되는 향미 성분량 q(상술한 바와 같이 이는 제1 무화부(104A)의 에어로졸 생성량 u에만 의존한다)의 제어 오차에 기인하는 변동을, 총 에어로졸량 p의 변동보다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동일한 이유에서, 바람직하게는, 제1 무화부(104A)의 히터의 저항값 R1은, 제2 무화부(104B)의 히터의 저항값 R2보다 큰 값이 선택된다. 이 경우, W=(V2/R)×t의 관계로부터 W는 R에 반비례하기 때문에, 인가 전압 V와 통전 시간 t의 가변 범위가 동일한 정도이면, 제2 무화부(104B)의 히터로의 공급 전력량의 변동 폭은, 상기와 마찬가지로, 제1 무화부(104A)의 히터로의 공급 전력량의 변동 폭보다 커진다. 따라서, 유저에게 제공되는 향미 성분량 q의 변동에 비해 총 에어로졸량 p의 변동을 용이하게 크게 할 수 있다.
도 3a는, 원하는 에어로졸 생성량이 얻어지도록 무화부(104)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부(130)의 동작 예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이 플로우 차트에 근거한 제어는, 도 2의 플로우 차트에서의 스텝 S214의 처리를 더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것이며, 제1 무화부(104A)의 제어와 제2 무화부(104B)의 제어 중 어느 제어에도 구별 없이 적용된다.
우선 스텝 S302에서, 제어부(130)는, 메모리(140)로부터 읽어낸 에어로졸 생성량의 설정값에 근거하여, 무화부(104)의 히터로 공급해야 할 전력량 W를 결정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130)는, 메모리(140)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에어로졸 생성량 특성 데이터를 참조하는 것에 의해, 에어로졸 생성량의 설정값에 대응하는 히터 공급 전력량의 값을 취득(즉 결정)한다.
다음으로, 스텝 S304에서, 제어부(130)는, 무화부(104)의 히터로의 통전 시간 t의 가변 범위 tRange, 또는 인가 전압 V의 가변 범위 VRange를 특정한다. 예를 들면, 미리 메모리(140)에 통전 시간의 가변 범위 tRange와 인가 전압의 가변 범위 VRange를 나타내는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고, 제어부(130)는 메모리(140)로부터 가변 범위 tRange 또는 VRange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읽어낸다. 통전 시간의 가변 범위 tRange는, 예를 들면 유저의 1회의 흡인 시간으로서 통상 상정되는 시간(예를 들면 3.0초) 이하의 소정 범위의 시간 기간(예를 들면 1.0∼2.5초의 범위)이며, 이 범위 내에서 히터로의 통전 시간 t를 변경하는 것이 허용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다른 예로서, 가변 범위 tRange의 폭이 제로이며, 히터로의 통전 시간 t가 미리 정해진 단일 값(예를 들면 2.0초)으로 고정되어 있는 것이어도 된다. 이 고정(固定) 통전 시간은, 예를 들면 유저의 흡인 프로파일(흡인 시간 등)을 학습하는 것에 의해 갱신되어도 된다. 마찬가지로, 인가 전압의 가변 범위 VRange는, 이 범위 내에서 히터로의 인가 전압 V를 변경 가능한 것을 나타낸다. 가변 범위 VRange는 배터리(114)의 종류 등에 따라 적절히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고, 배터리(114)로서 예를 들면 리튬이온 전지를 채용한 경우, DC-DC 컨버터 등에 의한 전압 제어를 이용하여, 예를 들면 3.2V∼4.2V의 범위로 설정해도 된다. 또한, 펄스 폭 변조(PWM) 제어에 의해 히터로의 인가 전압 V의 듀티 비를 예를 들면 20%∼100% 범위에서 변경함으로써, 가변 범위 VRange를 실현할 수도 있다. 또한, 스텝 S304는 스텝 S302 전에 실시해도 된다.
또한, 통전 시간의 가변 범위 tRange를 마련하는 것은 다음의 이유에 의한다. 즉, 만약 히터로의 통전 시간 t가 가변 범위 tRange의 하한을 하회하고 있으면, 비록 히터로 최대 전압을 인가했다고 해도 원하는(스텝 S302에서 결정한) 공급 전력량이 얻어지기 전에 히터로의 통전이 종료해 버려, 흡인 시간의 대부분에서 공기만이 송달되게 되어 유저에게 위화감을 줄 우려가 있지만, 히터로의 통전 시간 t가 가변 범위 tRange의 하한보다 위에 있으면, 그러한 우려는 없어, 적당한 인가 전압값을 선택함으로써 반드시 해당 원하는 공급 전력량을 달성 가능하다. 또한, 만약 히터로의 통전 시간 t가 가변 범위 tRange의 상한을 상회(上回)하고 있으면, 히터의 구동 시간이 유저의 1회의 흡인 시간으로서 통상 상정되는 시간을 초과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유저가 설정한 총 에어로졸량 또는 향미 성분량의 송달이 완료되기 전에 유저의 흡인이 종료해 버릴 될 우려도 있다. 그러나 히터로의 통전 시간 t가 가변 범위 tRange의 상한보다 아래에 있으면, 유저로의 위화감을 방지하고, 또한 유저의 흡인 행위 중에 해당 설정된 총 에어로졸량 또는 향미 성분량의 송달을 완료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인가 전압의 가변 범위 VRange를 마련하는 것은 다음의 이유에 의한다. 즉, 만약 히터로의 인가 전압 V가 가변 범위 VRange의 하한을 하회하고 있으면, 단위시간당 히터의 발열량이 불충분해져, 적절한 에어로졸 생성이 저해될 우려가 있지만, 히터로의 인가 전압 V가 가변 범위 VRange의 하한보다 위에 있으면, 히터로 단위시간당 충분한 발열량을 부여할 수 있어, 에어로졸 생성을 적절히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만약 히터로의 인가 전압 V가 가변 범위 VRange의 상한을 상회하고 있으면, 비록 히터로의 통전 시간을 최단시간으로 설정했다고 해도 원하는 공급 전력량을 초과해 버릴 우려가 있지만, 히터로의 인가 전압 V가 가변 범위 VRange의 상한보다 아래에 있으면, 적당한 통전 시간을 선택함으로써 반드시 해당 원하는 공급 전력량을 달성 가능하다.
다음으로, 스텝 S306에서, 제어부(130)는, 스텝 S302에서 결정한 무화부(104)의 히터로의 공급 전력량에 근거하여, 전력량의 관계식 W=(V2/R)×t를 충족시키는 통전 시간 t와 인가 전압 V의 조합 중에서, 통전 시간 t가 가변 범위 tRange 내에 포함되는 t와 V의 조합(도 4a), 또는 인가 전압 V가 가변 범위 VRange 내에 포함되는 t와 V의 조합(도 4b)을 선택한다.
도 4a는, 통전 시간의 가변 범위 tRange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무화부(104)의 히터의 통전 시간 t와 인가 전압 V를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인가 전압 V를 파라미터로 하면, 무화부(104)의 히터로의 공급 전력량 W는 히터로의 통전 시간 t의 1차 함수로 나타난다. 스텝 S302에서 결정된 히터 공급 전력량(W1로 한다)은, 도 4a에서 수평한 직선 L로 그려져 있다. 만약 통전 시간이 취할 수 있는 값이 가변 범위 tRange로 제한되어 있지 않으면, 이 직선 L 상의 임의의 점(예를 들면 Q1, Q2, Q3, Q4, Q5, Q6)에 대응하는 통전 시간 t와 인가 전압 V의 조합을, 전력량 W1을 달성하기 위해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히터로의 통전 시간은 가변 범위 tRange로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제어부(130)는, 직선 L 중 횡축(통전 시간)의 범위 tRange로 구획된 선분 상의 점(예를 들면 Q2, Q3, Q4)에 대응하는 통전 시간 t와 인가 전압 V의 조합만을, 무화부(104)의 히터를 전력량 W1로 구동하는 데에 사용 가능한 설정값으로서 채용(선택)한다. 또한, 가변 범위 tRange의 폭이 제로이고 히터로의 통전 시간 t가 단일 값(예를 들면 2.0초)으로 고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도 4a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또한, 관계식 W=(V2/R)×t로부터도 명확한 바와 같이), 전력량 W1을 달성할 수 있는 히터로의 인가 전압 V의 값은, 해당 고정된 단일 값으로부터 일의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4b는, 인가 전압의 가변 범위 VRange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무화부(104)의 히터의 통전 시간 t와 인가 전압 V를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b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통전 시간 t를 파라미터로 하면, 무화부(104)의 히터로의 공급 전력량 W는 히터로의 인가 전압 V의 2차 함수로 나타난다. 제어부(130)는, 도 4a의 경우와 동일하게 하여, 스텝 S302에서 결정한 히터 공급 전력량(W1)으로 정해지는 직선 L 중, 횡축(인가 전압)의 범위 VRange로 구획된 선분 상의 점(예를 들면 S2, S3, S4)에 대응하는 통전 시간 t와 인가 전압 V의 조합만을, 무화부(104)의 히터를 전력량 W1로 구동하는 데에 사용 가능한 설정값으로서 채용(선택)한다.
제어부(130)는, 다음으로 스텝 S308에서, 상기한 바와 같이 선택한 통전 시간 t와 인가 전압 V의 조합을 이용하여, 무화부(104)의 히터를 구동한다. 이에 의해, 최적의 통전 시간 t와 인가 전압 V의 조합으로 무화부(104)를 제어할 수 있다.
도 3b는, 통전 시간 t와 인가 전압 V에 따라 무화부(104)의 히터를 구동하는 제어의 예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이 플로우 차트에 의한 제어는, 예를 들면 도 3a의 플로우 차트에서의 스텝 S308의 처리를 더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또한, 이 플로우 차트에 의한 제어는, 후술하는 도 5의 플로우 차트(제2 태양의 제어)의 스텝 S510 및 스텝 S512에서의 히터의 구동 제어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우선 스텝 S312에서, 제어부(130)는, 흡인 센서(122)의 출력에 근거하여 유저의 흡인 행위가 검지되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유저의 흡인 행위가 검지된 경우, 스텝 S314로 진행되고, 검지되지 않은 경우는, 다시 스텝 S312를 반복한다.
유저의 흡인 행위가 검지되면, 스텝 S314에서, 제어부(130)는, 히터로 인가 전압 V(예를 들면 도 3a의 플로우 차트의 스텝 S306에서 선택된 인가 전압)의 공급을 개시함과 함께, 그 통전 시간의 카운트를 개시한다.
다음으로, 스텝 S316에서, 제어부(130)는, 통전 시간의 카운트 값 tC와 히터로의 인가 전압 V에 근거하여, 그 시점까지 히터로 공급된 전력량 W=(V2/R)×tC를 산출한다.
다음으로, 스텝 S318에서, 제어부(130)는, 스텝 S316에서 산출한 현시점까지 히터에 실제로 공급된 전력량 W가, 통전 시간 t(예를 들면 도 3a의 플로우 차트의 스텝 S306에서 선택된 통전 시간)와 인가 전압 V에 근거하여 산출되는 히터 공급 전력량 W1(예를 들면 도 3a의 플로우 차트의 스텝 S302에서 결정된 전력량)을 상회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또한, 제어부(130)는, 이 판정 대신에, 통전 시간의 카운트 값 tC가 통전 시간 t에 이르렀는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2개의 판정 수법은 등가이다).
스텝 S318의 판정의 결과, 히터로의 실제의 공급 전력량 W가 W1을 상회하고 있는 경우(통전 시간의 카운트 값 tC가 통전 시간 t에 이른 경우), 제어부(130)는, 스텝 S320에서, 히터로의 통전을 정지한다. 이에 의해, 통전 시간 t와 인가 전압 V에 의해 정해지는 적절한 에어로졸량이 유저에게 송달된다.
한편, 스텝 S318의 판정의 결과, 히터로의 실제의 공급 전력량 W가 W1을 상회하지 않을 경우(통전 시간의 카운트 값 tC가 통전 시간 t에 아직 이르지 않을 경우), 제어부(130)는, 스텝 S322에서, 흡인 센서(122)의 출력에 근거하여 유저의 흡인 행위가 계속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유저의 흡인 행위가 계속되고 있는 경우, 스텝 S316으로 되돌아온다. 유저의 흡인 행위가 계속되고 있지 않은 경우, 스텝 S320으로 진행되어, 제어부(130)는 히터로의 통전을 정지한다. 이에 의해, 원하는 에어로졸량을 무화부(104)가 생성 완료하기 전에 유저가 흡인 행위를 멈춘 경우에, 유저가 의도한 대로 에어로졸의 생성이 중지된다.
<제2 태양의 제어>
도 5는, 제2 태양의 제어에 따른 제어부(130)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제2 태양의 제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유저 설정부(150)를 통하여 무화부(104)의 히터로의 인가 전압 V와 통전 시간 t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 모두가 직접적으로 설정된 경우의 제어의 예이며, 제1 무화부(104A)의 제어와 제2 무화부(104B)의 제어 중 어느 것에도 구별없이 적용된다.
우선 스텝 S502에서, 제어부(130)는, 무화부(104)(제1 무화부(104A) 또는 제2 무화부(104B))를 소정의 고정 조건으로 구동한다. 스텝 S502는 제어부(130)의 동작의 초기 상태를 나타낸다. 예를 들면, 향미 흡인기(100)의 동작 개시시에 무화부(104)의 히터로 공급되어야 할 전력량의 초기 설정값 W0이, 메모리(140)에 미리 저장되어 있다. 유저가 향미 흡인기(100)의 사용(흡인 행위)을 개시하면, 제어부(130)는, 메모리(140)로부터 히터로의 공급 전력량의 초기 설정값을 읽어내고, 읽어낸 전력량의 값에 따라 무화부(104)를 구동한다.
다음으로, 스텝 S504에서, 제어부(130)는, 무화부(104)의 히터로의 인가 전압 V와 통전 시간 t 중 적어도 한쪽을 변경하기 위한 유저 지시가, 유저 설정부(150)를 통하여 입력되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그러한 유저 지시의 입력이 있으면 스텝 S506으로 진행되고, 없으면 스텝 S502로 되돌아온다.
스텝 S506에서, 제어부(130)는, 유저 설정부(150)를 통해서 입력된 유저 지시에 근거하여, 무화부(104)의 히터로 공급하는 변경 후의 전력량 W를 전력량의 관계식 W=(V2/R)×t에 따라 산출한다. 또한, 히터의 인가 전압 V와 통전 시간 t 중 한쪽만(예를 들면 인가 전압)이 유저 지시로서 스텝 S504에서 입력되고 있는 경우에는, 다른쪽(예를 들면 통전 시간)은 히터의 구동에 현재 이용하고 있는 설정값을 사용한다.
다음으로, 스텝 S508에서, 제어부(130)는, 스텝 S506에서 산출한 히터 공급 전력량 W가 소정의 상한값 Wmax를 초과해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상한값 Wmax는, 무화부(104)의 히터로 공급하는 것이 허용되는 최대의 전력량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상한값 Wmax는, 만약 그 값을 초과한 전력량을 히터로 공급했다고 하면, 히터의 과열에 의해, 에어로졸원의 소비 스피드가 증가하여 에어로졸원이 고갈되기 쉬워지거나, 또는 에어로졸원으로부터 바람직하지 않은 물질이 발생할 수 있을 것은 전력량이다. 혹은, 상한값 Wmax는, 히터로 전력을 공급하는 구동 회로의 제약에 의해 정해지는 전력량(예를 들면 구동 회로의 출력의 최대값)이어도 된다. 또한, 상술한 제1 무화부(104A)와 제2 무화부(104B)의 각 에어로졸 생성량 u, v의 가변 범위의 상한값은, 이 히터 공급 전력량의 상한값 Wmax에 의해 정해지는 값이다. 전력량의 산출값 W가 상한값 Wmax를 초과해 있는 경우, 스텝 S512로 진행되고, 그렇지 않은 경우는 스텝 S510으로 진행된다.
스텝 S510에서, 제어부(130)는, 스텝 S504의 유저 지시에 따른 인가 전압 V 및/또는 통전 시간 t에 따라 무화부(104)의 히터를 구동한다. 이때의 히터로의 공급 전력량은, 스텝 S506에서 산출한 것과 같은, 상한값 Wmax 이하의 전력량이다. 이렇게 하여, 히터의 인가 전압과 통전 시간 중 적어도 한쪽을 지정하는 유저 설정부(150)로의 유저 지시에 따라, 무화부(104)의 에어로졸 생성량을 변화시킬 수 있다.
스텝 S512에서, 제어부(130)는, 스텝 S504의 유저 지시에 따른 인가 전압 V 및/또는 통전 시간 t를, 무화부(104)의 히터로의 공급 전력량이 상한값 Wmax에 같아지도록 수정하고, 수정 후의 인가 전압과 통전 시간으로 무화부(104)의 히터를 구동한다. 이에 의해, 유저 설정부(150)를 통하여 입력된 유저 지시가 상한값 Wmax보다 큰 히터 공급 전력량을 지시하는 것이었다고 해도, 무화부(104)의 히터는 정확히 상한값 Wmax의 전력량으로 구동되도록 제어되어, 과잉의 전력량이 히터로 공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스텝 S506의 전력량 산출값 W가 상한값 Wmax를 초과하고 있는 것을 유저에 대해 에러로서 통지하고, 다시 스텝 S504를 실시하여 적절한 인가 전압 V와 통전 시간 t의 값을 입력하도록 유저에게 촉구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도 6a는, 유저가 유저 설정부(150)를 통하여 통전 시간 t를 지정한 경우에 무화부(104)의 히터로 공급되는 전력량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설명을 간단하게 하기 위하여, 유저는 유저 설정부(150)로의 유저 지시에 의해, 히터의 통전 시간 t만을 변화시키고 인가 전압 V를 변화시키지 않는 것으로 한다. 초기 상태에서, 무화부(104)의 히터는, 히터로 전력량 W0이 공급되도록 인가 전압 V0과 통전 시간 t0으로 구동된다(점 QA). 유저가 유저 설정부(150)를 통하여 통전 시간을 t1로 증가시키고, 이때 스텝 S506의 전력량 산출값 W1이 상한값 Wmax 이하였다고 하면, 스텝 S510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무화부(104)의 히터는, 인가 전압 V0인 채로, 유저로부터 지시된 대로의 통전 시간 t1로 구동되어, 히터로의 공급 전력량은 W1이 된다(점 QB). 유저가 유저 설정부(150)를 통하여 통전 시간을 t2로 더 증가시켜, 그 결과 스텝 S506의 전력량 산출값 W2가 상한값 Wmax를 초과한 것으로 한다(점 QC). 그러면, 스텝 S51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어부(130)는, 히터로의 공급 전력량이 상한값 Wmax와 같아지도록 히터의 인가 전압과 통전 시간을 수정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130)는, 유저로부터 지시된 통전 시간 t2를 그대로 채용하는 한편, 인가 전압을 V1로 감소시킨다(점 QD). 제어부(130)는, 점 QD에 대응하는 인가 전압 V1과 통전 시간 t2로 무화부(104)의 히터를 구동한다. 이와 같이 하여, 유저 설정부(150)를 통하여 무화부(104)의 히터로의 통전 시간 t를 직접 설정한 경우에, 히터로의 공급 전력량이 상한값 Wmax를 초과하지 않도록 히터를 구동할 수 있다.
도 6b는, 유저가 유저 설정부(150)를 통하여 인가 전압 V를 지정한 경우에 무화부(104)의 히터로 공급되는 전력량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와 마찬가지로, 설명을 간단하게 하기 위해, 유저는 통전 시간 t를 변화시키지 않는 것으로 한다. 초기 상태에서, 무화부(104)의 히터는, 히터로 전력량 W0이 공급되도록 인가 전압 V0과 통전 시간 t0으로 구동된다(점 SA). 유저가 유저 설정부(150)를 통하여 인가 전압을 V1로 증가시키고, 무화부(104)의 히터는 인가 전압 V1과 통전 시간 t0으로 구동되어, 히터로의 공급 전력량은 W1이 된다(점 SB). 유저가 유저 설정부(150)를 통하여 인가 전압을 V2로 더 증가시킨 결과, 스텝 S506의 전력량 산출값 W2가 상한값 Wmax를 초과한다(점 SC). 제어부(130)는, 히터로의 공급 전력량이 상한값 Wmax와 동일해지도록, 예를 들면, 유저 지시에 따른 인가 전압 V2와, 당초의 통전 시간 t0보다 짧은 통전 시간 t1로 무화부(104)의 히터를 구동한다(점 SD). 이와 같이 하여, 유저 설정부(150)를 통해 무화부(104)의 히터로의 인가 전압 V를 직접 설정한 경우에, 히터로의 공급 전력량이 상한값 Wmax를 초과하지 않도록 히터를 구동할 수 있다.
도 7은, 유저가 유저 설정부(150)를 통하여 인가 전압 V를 지정한 경우에 있어서의 제어의 변형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 예에서도, 히터로의 공급 전력량의 산출값이 상한값 Wmax를 초과할 때까지는, 도 6b와 동일하게 제어가 행해진다(점 SA 및 점 SB). 그러나 도 7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이 예에서의 상한값 Wmax는, 인가 전압 V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유저가 유저 설정부(150)를 통하여 인가 전압을 V2로 증가시키고, 스텝 S506의 전력량 산출값 W2가 상한값 Wmax를 초과하면(점 SC), 제어부(130)는, 히터로의 공급 전력량을, 도 6b의 점 SD에 대응하는 전력량보다 작은 상한값 Wmax까지 감소시킨다(점 SE). 유저가 유저 설정부(150)를 통하여 인가 전압을 V3으로 더 증가시키면, 제어부(130)는, 히터로의 공급 전력량을, 점 SE보다 작은 상한값 Wmax까지 더 감소시킨다(점 SF). 이와 같이, 제어부(130)는, 인가 전압 V가 증가함에 따라 히터로의 공급 전력량을 점감시킨다. 인가 전압 V가 클수록 히터의 단위시간당 발열량은 크므로, 인가 전압 V가 증가함에 따라 히터로의 공급 전력량을 점감시키는 것에 의해, 과열이 발생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6a, 도 6b, 및 도 7에 나타나는 바와 같은 최대 전력량 Wmax에 근거한 제어는, 상술한 제1 태양의 제어에도 동일하게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도 2의 스텝 S206, 스텝 S208, 또는 스텝 S210에서 결정된 에어로졸 생성량 u 및/또는 v가 무화부(104)의 생성 가능한 최대 에어로졸량을 초과해 있는 경우에, 제어부(130)는, 무화부(104)의 히터로의 공급 전력량이 도 6a, 도 6b, 또는 도 7에 나타나는 바와 같은 상한값 Wmax로 제한되도록, 무화부(104)를 제어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제3 태양의 제어>
도 8은, 제3 태양의 제어에 따른 제어부(130)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제3 태양의 제어는, 1회의 무화 동작에 있어서의 무화부(104)로의 통전 시간에 따라 무화부(104)로의 통전을 정지하는 제어의 예이다.
우선 스텝 S802에서, 제어부(130)는, 1회의 무화 동작에서의 제1 무화부(104A)로의 통전 시간이 제1 컷오프 시간을 초과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1회의 무화 동작에서의 제1 무화부(104A)로의 통전 시간이 제1 컷오프 시간을 초과한 경우, 스텝 S804로 진행되고, 초과하고 있지 않을 경우, 스텝 S810으로 진행된다.
스텝 S804에서, 제어부(130)는, 배터리(114)로부터 제1 무화부(104A)로의 통전을 정지한다. 이에 의해, 유저가 1회의 흡인 행위를 소정 시간(제1 컷오프 시간)보다 긴 시간 계속해서 행한 경우, 제1 무화부(104A)로부터의 에어로졸의 생성이 정지하는 것에 의해, 향미원(106)으로부터의 향미 성분의 생성도 정지한다. 따라서, 유저의 1회의 흡인 행위 중에 소정량(유저 설정부(150)를 통하여 설정된 향미 성분량 q) 이상의 향미 성분이 유저로 제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스텝 S806에서, 제어부(130)는, 1회의 무화 동작에서의 제2 무화부(104B)로의 통전 시간이 제2 컷오프 시간을 초과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제2 컷오프 시간은, 제1 무화부(104A)로 제1 컷오프 시간 통전했을 때의 에어로졸 생성량과 제2 무화부(104B)로 제2 컷오프 시간 통전했을 때의 에어로졸 생성량이 다르도록 한 길이의 시간이다. 예를 들면, 제2 컷오프 시간은, 제1 컷오프 시간과 다른 길이의 시간이다. 또한, 다른 예로서, 제2 컷오프 시간은, 제1 컷오프 시간보다 긴 시간이다. 제2 컷오프 시간이 경과했을 때의 히터로의 공급 전력량은, 상술한 상한값 Wmax에 대응한다. 1회의 무화 동작에서의 제2 무화부(104B)로의 통전 시간이 제2 컷오프 시간을 초과한 경우, 스텝 S808로 진행되고, 초과하고 있지 않을 경우, 스텝 S814로 진행된다.
스텝 S808에서, 제어부(130)는, 배터리(114)로부터 제2 무화부(104B)로의 통전을 정지한다. 이에 의해, 유저가 1회의 흡인 행위를 소정 시간(제2 컷오프 시간)보다 긴 시간 계속해서 행한 경우, 제1 무화부(104A)로부터의 에어로졸의 생성에 더하여 제2 무화부(104B)로부터의 에어로졸의 생성도 정지한다. 이어서, 제어부(130)는, 스텝 S809에서, 제1 무화부(104A)와 제2 무화부(104B)의 통전 시간을 리셋하고, 그 후 스텝 S802로 되돌아온다.
스텝 S810에서, 제어부(130)는, 흡인 센서(122)의 출력에 근거하여, 유저의 1회의 흡인 행위가 계속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1회의 흡인 행위가 계속되고 있는 경우, 스텝 S802로 되돌아와 제1 컷오프 시간의 판정을 반복하고, 1회의 흡인 행위가 종료한 경우, 스텝 S812로 진행된다.
스텝 S812에서, 제어부(130)는, 배터리(114)로부터 제1 무화부(104A) 및 제2 무화부(104B)로의 통전을 정지함과 함께, 제1 무화부(104A)와 제2 무화부(104B)의 통전 시간을 리셋하고, 그 후 스텝 S802로 되돌아온다.
스텝 S814에서, 제어부(130)는, 흡인 센서(122)의 출력에 근거하여, 유저의 1회의 흡인 행위가 계속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1회의 흡인 행위가 계속되고 있는 경우, 스텝 S806으로 되돌아와 제2 컷오프 시간의 판정을 반복하고, 1회의 흡인 행위가 종료한 경우, 스텝 S816으로 진행된다.
스텝 S816에서, 제어부(130)는, 배터리(114)로부터 제1 무화부(104A) 및 제2 무화부(104B)로의 통전을 정지함과 함께, 제1 무화부(104A)와 제2 무화부(104B)의 통전 시간을 리셋하고, 그 후 스텝 S802로 되돌아온다.
이와 같이, 제3 태양의 제어에 의해, 예를 들면 유저가 고의로 또는 의도치 않게 소정 시간 이상에 걸쳐 1회의 흡인 행위를 계속한 경우여도, 강제적으로 무화부(104)로의 통전이 정지된다. 이에 의해, 유저에게 송달되는 총 에어로졸량 p와 향미 성분량 q가 유저 설정부(150)를 통하여 입력된 설정값을 초과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음과 함께, 무화부(104)의 히터의 과열을 방지하여, 에어로졸원으로부터의 바람직하지 않은 물질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제4 태양의 제어>
도 9는, 제4 태양의 제어에 따른 제어부(130)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제4 태양의 제어는, 제1 무화부(104A)의 에어로졸 생성량의 누적값에 따라 제1 무화부(104A) 및/또는 제2 무화부(104B)의 동작을 제어하는 예이다.
우선 스텝 S902에서, 제어부(130)는, 제1 무화부(104A)에서 생성된 에어로졸량의 누적값을 산출한다. 통상, 에어로졸의 생성량은, 에어로졸원에 부여되는 에너지에 의해 정해진다. 예를 들면, 제1 무화부(104A)의 히터로의 공급 전력량과, 그 전력량으로 히터가 가열된 경우에 에어로졸원으로부터 발생하는 에어로졸량의 관계를 나타내는 데이터(에어로졸 생성량 특성 데이터)가, 메모리(140)에 미리 저장된다. 제어부(130)는, 배터리(114)로부터 제1 무화부(104A)의 히터로 공급되는 전력량(=전력×통전 시간)을 경시(經時)적으로 관측하고, 에어로졸 생성량 특성 데이터를 참조하는 것에 의해, 그들 각 관측값에 각각 대응하는 에어로졸 생성량의 값을 메모리(140)로부터 순서대로 취득하여 가산함으로써, 제1 무화부(104A)에서 생성된 에어로졸량의 누적값을 추정적으로 얻는다. 히터로의 단위시간당 공급 전력이 일정하다는 조건하에서는, 제어부(130)는, 히터로 공급되는 전력량 대신에 히터의 통전 시간을 관측하여, 통전 시간의 누적값으로부터 에어로졸 생성량의 누적값을 구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한, 에어로졸량의 누적값은, 1회의 흡인 기간에서의 누적값이어도 되고, 복수회의 흡인 기간에 걸쳐 각 회의 에어로졸량을 누적한 값이어도 된다.
다음으로, 스텝 S904에서, 제어부(130)는, 제1 무화부(104A)에서 생성된 에어로졸량의 누적값이 임계값을 상회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에어로졸 생성량의 누적값이 임계값을 상회하고 있으면, 스텝 S906으로 진행되고, 그렇지 않으면, 스텝 S902로 되돌아온다. 본 스텝 S904의 판정은, 예를 들면, 1) 1회의 무화 동작이 종료한 후, 2) 흡인 센서(122)에 의해 유저의 흡인 행위가 검지되고 나서 에어로졸의 무화가 개시될 때까지의 소정의 타임 래그 시간 동안, 3) 무화 동작 중(히터로의 통전 기간 중) 중 어느 타이밍에서 행해도 된다.
스텝 S906에서, 제어부(130)는, 제1 무화부(104A)의 에어로졸 생성량을 증가시키도록 제1 무화부(104A)를 구동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제1 무화부(140A)의 히터로 공급하는 전력량을 현재의 값보다 큰 값으로 결정하고, 결정한 전력량이 히터로 공급되도록 제1 무화부(104A)를 구동한다. 향미원(106)은, 에어로졸의 통기에 의해 서서히 향미 성분의 방출 능력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지만, 본 스텝 S906의 제어에 의해, 향미원(106)으로부터 방출되는 향미 성분의 양의 저하를 보충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향미 흡인기(100)는, 향미원의 소모에 의한 영향을 억제하고, 일정량의 향미를 유저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스텝 S908에서, 제어부(130)는, 제2 무화부(104B)의 에어로졸 생성량을 감소시키도록 제2 무화부(104B)를 구동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제2 무화부(140B)의 히터로 공급하는 전력량을 현재의 값보다 작은 값으로 결정하고, 결정한 전력량이 히터에 공급되도록 제2 무화부(104B)를 구동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스텝 S906의 제어에서는 유저에게 제공되는 향미 성분의 양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지만, 제1 무화부(104A)의 에어로졸 생성량이 증가한 것에 의해, 유저에게 제공되는 에어로졸의 총량도 동시에 유저의 의도와는 관계없이 증가한다. 그러나 본 스텝 S908의 제어에 의해, 제1 무화부(104A)로부터의 에어로졸량의 증가를 상쇄하도록 제2 무화부(104B)로부터의 에어로졸량이 감소한다. 이에 의해, 향미 흡인기(100)는, 유저에게 제공되는 향미 성분량과 총 에어로졸량의 양쪽 모두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10은, 유저가 향미 흡인기(100)의 동작 태양을 설정하고, 또한 그 동작 상태를 확인하는 데에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외부 기기(2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외부 기기(200)는, 예를 들면, 스마트 폰, 태블릿 단말, PC(퍼스널컴퓨터), 또는, 향미 흡인기(100)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향미 흡인기(100)의 동작에 관련된 정보를 전자적으로 처리하는 능력을 가진 다른 임의의 형태의 전자 디바이스로서 실현될 수 있다. 외부 기기(200)는, 프로세서(210), 메모리(220), 통신 인터페이스(230), 디스플레이(240), 유저 입력 디바이스(250), 및 다른 임의의 적절한 컴퍼넌트(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한다. 프로세서(210)는, 메모리(220)에 저장된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을 읽어내어 실행하고, 그에 따라 외부 기기(200)를 동작시킨다. 통신 인터페이스(230)는, 향미 흡인기(100)의 통신 인터페이스로서의 유저 설정부(150)와의 사이에 통신 접속을 확립시켜서, 외부 기기(200)와 향미 흡인기(100)가 상호 통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외부 기기(200)의 통신 인터페이스(230)와 향미 흡인기(100)의 유저 설정부(150)(통신 인터페이스) 사이의 통신 접속에는, 예를 들면, USB 접속 등의 유선 접속, 또는, 무선 LAN, Bluetooth(등록상표), 적외선 통신 등의 무선 접속이 이용 가능하다. 디스플레이(240)는, 외부 기기(200)의 동작에 수반하는 시각적인 정보를 유저에게 제시한다. 유저 입력 디바이스(250)는, 외부 기기(200)에 대한 유저로부터의 입력 조작을 받는다. 디스플레이(240)와 유저 입력 디바이스(250)는, 터치 패널로서 일체적으로 구성되어도 된다.
도 11은, 외부 기기(200)의 디스플레이(240)에 표시되는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245)의 일례를 나타낸다. 향미 흡인기(100)의 유저는, 외부 기기(200)의 디스플레이(240)에 표시된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245)을 이용하여, 향미 흡인기(100)에 대한 동작 설정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유저는,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245)을 통하여 향미 흡인기(100)의 동작 상태를 알 수 있다.
도 1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245)은, 제1 슬라이더(246A) 및 제2 슬라이더(246B)를 포함한다. 제1 슬라이더(246A)는, 유저가 향미 흡인기(100)에서의 총 에어로졸량 p를 설정 또는 조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조작자이다. 제2 슬라이더(246B)는, 유저가 향미 흡인기(100)에서의 향미 성분량 q를 설정 또는 조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조작자이다. 예를 들면, 유저는,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245) 상에서, 제1 슬라이더(246A) 및 제2 슬라이더(246B)를 각각 원하는 총 에어로졸량 p 및 향미 성분량 q에 대응하는 위치에 유지하거나, 또는 해당 위치까지 슬라이드시키는 것에 의해, 향미 흡인기(100)에 대한 유저 지시를 입력한다. 프로세서(210)는, 제1 슬라이더(246A) 및 제2 슬라이더(246B)의 위치에 근거하여 유저로부터의 유저 지시를 특정하고, 해당 특정한 유저 지시를, 통신 인터페이스(230)를 통하여 향미 흡인기(100)의 유저 설정부(150)로 제공한다. 향미 흡인기(100)의 제어부(130)는, 이와 같이 하여 취득된 유저 지시(즉, 총 에어로졸량 p 및 향미 성분량 q)를 이용하여, 상술한 도 2의 플로우 차트(제1 태양의 제어)에 따라 제1 무화부(104A) 및 제2 무화부(104B)의 에어로졸 생성량 u, v를 제어한다. 이에 의해, 유저는, 외부 기기(200)의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245)을 조작함으로써, 향미 흡인기(100)에서의 총 에어로졸량 p 및 향미 성분량 q의 양쪽 모두들 원하는 양으로 설정 또는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제1 슬라이더(246A) 및 제2 슬라이더(246B) 중 어느 한쪽만이,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245)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 유저는,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245)을 조작함으로써, 향미 흡인기(100)에서의 총 에어로졸량 p 및 향미 성분량 q 중 한쪽만을 원하는 양으로 설정 또는 조정할 수 있다. 총 에어로졸량 p가 유저가 원하는 양으로 설정 또는 조정되는 경우에 있어서, 향미 성분량 q는, 일정량으로 유지되어도 되고, 총 에어로졸량 p에 따라 증감되어도 된다. 향미 성분량 q가 유저가 원하는 양으로 설정 또는 조정되는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상술한 제1 슬라이더(246A) 및 제2 슬라이더(246B) 대신에, 제1 무화부(104A)의 에어로졸 생성량 u와 제2 무화부(104B)의 에어로졸 생성량 v를 각각 직접 지정하기 위한 2개의 슬라이더가 이용되어도 된다. 또한, 슬라이더와는 다른 형태의 조작자, 예를 들면, 수치를 증감시키기 위한 「+버튼」과 「-버튼」 형태를 가지는 조작자가 채용되어도 된다.
도 11에 나타나는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245)은, 또한, 제1 스테이터스 바(248A, status bar), 제2 스테이터스 바(248B), 및 제3 스테이터스 바(248C)를 포함한다. 제1 스테이터스 바(248A)는, 향미 흡인기(100)의 배터리(114)의 전지 잔량(殘量)을 나타낸다. 제2 스테이터스 바(248B) 및 제3 스테이터스 바(248C)는, 각각 향미 흡인기(100)의 제1 리저버(102A)와 제2 리저버(102B)에 있어서의 에어로졸원의 잔량 레벨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향미 흡인기(100)의 제어부(130)는, 향미 흡인기(100)의 동작 중에 정기적으로 배터리(114)의 전지 잔량 및 제1 리저버(102A) 및 제2 리저버(102B)에 있어서의 에어로졸원의 잔량 레벨을 검출하여, 이들 정보를 외부 기기(200)와의 통신 접속을 통하여 외부 기기(200)로 제공한다. 외부 기기(200)의 프로세서(210)는, 향미 흡인기(100)로부터 취득된 이들 정보를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245)의 각 스테이터스 바(248A, 248B, 248C)에 반영시킨다. 이에 의해, 유저는,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245)의 각 스테이터스 바(248A, 248B, 248C)를 참조함으로써, 향미 흡인기(100)의 동작 상태를 알 수 있다. 향미 흡인기(100)에 있어서의 다른 스테이터스 정보(예를 들면, 유저의 흡인 횟수, 에어로졸 및 향미 성분의 누적 흡인량 등)가,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245)에 표시되어도 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245)은, 총 에어로졸량 p와 향미 성분량 q의 비율 r(예를 들면 r=q/p)을 지정하기 위한 도시하지 않은 제3 슬라이더를 부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포함해도 된다. 예를 들면,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245)은, 제1 슬라이더(246A)와 제3 슬라이더의 2개의 슬라이더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총 에어로졸량 p 및 비율 r을 포함한 유저 지시가, 외부 기기(200)로부터 향미 흡인기(100)의 유저 설정부(150)로 제공된다. 향미 흡인기(100)의 제어부(130)는, 이 유저 지시로부터 향미 성분량 q를 특정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제1 무화부(104A) 및 제2 무화부(104B)의 에어로졸 생성량 u, v를 제어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245)은, 제2 슬라이더(246B)와 제3 슬라이더의 2개의 슬라이더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도 되고, 향미 성분량 q 및 비율 r을 포함하는 유저 지시가, 향미 흡인기(100)의 유저 설정부(150)로 제공되는 것이어도 된다.
게다가 또한,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245)은, 제1 슬라이더(246A), 제2 슬라이더(246B), 및 제3 슬라이더의 3개의 슬라이더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그러한 구성에서, 총 에어로졸량 p, 향미 성분량 q, 또는 비율 r 중 어느 하나를 일정한 값으로 고정하는 지시가, 추가적으로 유저로부터 주어져도 된다. 예를 들면, 유저는, 향미 성분량 q를 최대값으로 고정하는 지시를, (예를 들면 제2 슬라이더(246B)의 옆에 마련된 도시하지 않은 체크 박스를 체크하는 것에 의해)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245)에 입력한다. 이 경우, 제2 슬라이더(246B)는 슬라이드 불가능한 상태로 표시되어, 유저는, 제1 슬라이더(246A)와 제3 슬라이더만을 조작할 수 있다. 그리고 유저가 예를 들면 비율 r을 원하는 값으로 조정하기 위해 제3 슬라이더를 슬라이드시키면, 외부 기기(200)의 프로세서(210)는, 향미 성분량 q(최대값) 및 비율 r(제3 슬라이더의 지시값)에 근거하여 총 에어로졸량 p를 특정하고, 해당 특정된 값에 대응하는 위치로 제1 슬라이더(246A)를 자동적으로 이동시키는 것이어도 된다. 이 예에서, 유저 지시는, 유저로부터 직접 지정된 향미 성분량 q와 비율 r에 더하여, 프로세서(210)에 의해 특정된 총 에어로졸량 p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해당 유저 지시가 외부 기기(200)로부터 향미 흡인기(100)의 유저 설정부(150)로 제공되는 것에 의해, 향미 흡인기(100)의 제어부(130)는,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제1 무화부(104A) 및 제2 무화부(104B)의 에어로졸 생성량 u, v를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245)은, 유저로부터 입력된 총 에어로졸량 p 또는 향미 성분량 q가 부적절한 값일 경우에 그 취지를 통지하기 위한 표시를 포함해도 된다. 예를 들면, 상술한 바와 같이, 외부 기기(200)의 프로세서(210)는,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245)을 통하여 입력된 유저 지시(총 에어로졸량 p 및 향미 성분량 q)를 향미 흡인기(100)에 제공하고, 향미 흡인기(100)의 제어부(130)는, 해당 유저 지시에 근거하여 제1 무화부(104A)의 에어로졸 생성량 u 및 제2 무화부(104B)의 에어로졸 생성량 v를 결정한다(제1 태양의 제어에 있어서의 스텝 S206, 스텝 S208, 및 스텝 S210를 참조). 향미 흡인기(100)의 제어부(130)는, 얻어진 에어로졸 생성량 u 및 v가, 각 무화부(104A, 104B)가 공급 가능한 최대의(예를 들면, 히터의 가열 능력이나, 배터리로부터 공급 가능한 전력 등에 의해 정해지는 최대한도의) 에어로졸량을 초과해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하여, 에어로졸 생성량 u, v 중 한쪽 또는 양쪽 모두가 그러한 최대값을 초과해 있는 경우, 외부 기기(200)에 대해, 유저 지시가 부적절하다는 에러 통지를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245)에 표시하도록 지시한다. 에러 통지는, 다시 다른 총 에어로졸량 p 및 향미 성분량 q를 입력하여 고칠 것을 유저에게 요구하는 지시를 포함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다른 실시형태에서,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245)의 제1 슬라이더(246A) 및 제2 슬라이더(246B)는, 부적절한 총 에어로졸량 p 또는 향미 성분량 q가 입력되어 버리는 것을 금지하기 위해, 각 슬라이더의 슬라이드 가능 범위가 제한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무화부(104A)와 제2 무화부(104B)의 각 에어로졸 생성량 u, v의 가변 범위는, 각 무화부(104)의 히터로 공급 가능한 최대 전력량 Wmax에 의해 그 상한값이 규정된다. 향미 흡인기(100)의 제어부(130)는, 에어로졸 생성량 u 및 v의 해당 상한값을 이용하여, 앞서 기재된 식(1) 및 (2)로부터 총 에어로졸량 p와 향미 성분량 q가 취할 수 있는 최대값을 산출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산출된 총 에어로졸량 p와 향미 성분량 q의 최대값을 외부 기기(200)로 제공하고, 외부 기기(200)의 프로세서(210)는, 제1 슬라이더(246A) 및 제2 슬라이더(246B)가 그들 최대값 이상으로는 움직이지 않도록 한 태양으로,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245)을 디스플레이(240)에 표시시킨다. 이에 의해, 유저가 부적절한(예를 들면, 무화부(104)의 능력 이상의) 총 에어로졸량 p 및 향미 성분량 q를 잘못 입력해 버리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각 슬라이더의 가동 범위의 하한이 동일하게 설정되어도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100 향미 흡인기
102A 제1 리저버
102B 제2 리저버
104A 제1 무화부
104B 제2 무화부
106 향미원
108 흡구 부재
110A 제1 에어로졸 유로
110B 제2 에어로졸 유로
114 배터리
116 공기 취입 유로
118 혼합 챔버
122 흡인 센서
130 제어부
140 메모리
150 유저 설정부
200 외부 기기
210 프로세서
220 메모리
230 통신 인터페이스
240 디스플레이
245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
246A 제1 슬라이더
246B 제2 슬라이더
248A 제1 스테이터스 바
248B 제2 스테이터스 바
248C 제3 스테이터스 바
250 유저 입력 디바이스

Claims (36)

  1. 흡구와,
    에어로졸원을 무화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제1 무화부와,
    상기 제1 무화부와 상기 흡구 사이에 마련된 향미원과,
    상기 제1 무화부에서 생성된 에어로졸을, 상기 향미원을 통과하여 상기 흡구로 안내하도록 구성된 제1 유로와,
    에어로졸원을 무화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제2 무화부와,
    상기 제2 무화부에서 생성된 에어로졸을, 상기 향미원을 통과하지 않고 상기 흡구로 안내하도록 구성된 제2 유로와,
    상기 제1 유로 및 제2 유로를 통과하는 공기의 양에 영향을 주지 않고, 상기 제1 무화부와 상기 제2 무화부 중 적어도 한쪽에서의 에어로졸 생성량을 변경 가능한 제어부
    를 구비하는 향미 흡인기.
  2. 흡구와,
    에어로졸원을 무화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제1 무화부와,
    상기 제1 무화부와 상기 흡구 사이에 마련된 향미원과,
    상기 제1 무화부에서 생성된 에어로졸을, 상기 향미원을 통과하여 상기 흡구로 안내하도록 구성된 제1 유로와,
    에어로졸원을 무화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제2 무화부와,
    상기 제2 무화부에서 생성된 에어로졸을, 상기 향미원을 통과하지 않고 상기 흡구로 안내하도록 구성된 제2 유로와,
    상기 제1 무화부 및 제2 무화부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제1 무화부와 상기 제2 무화부 중 적어도 한쪽에서의 에어로졸 생성량을 변경 가능한 제어부
    를 구비하는 향미 흡인기.
  3. 흡구와,
    에어로졸원을 무화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제1 무화부와,
    상기 제1 무화부와 상기 흡구 사이에 마련된 향미원과,
    상기 제1 무화부에서 생성된 에어로졸을, 상기 향미원을 통과하여 상기 흡구로 안내하도록 구성된 제1 유로와,
    에어로졸원을 무화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제2 무화부와,
    상기 제2 무화부에서 생성된 에어로졸을, 상기 향미원을 통과하지 않고 상기 흡구로 안내하도록 구성된 제2 유로와,
    상기 제1 무화부 및 제2 무화부에서 가열 또는 초음파 진동을 제어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제1 무화부와 상기 제2 무화부 중 적어도 한쪽에서의 에어로졸 생성량을 변경 가능한 제어부
    를 구비하는 향미 흡인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무화부에서의 에어로졸 생성량 및 상기 제2 무화부에서의 에어로졸 생성량을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향미 흡인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향미원은, 상기 제1 무화부에서의 에어로졸 생성량에 대응한 양의 향미 성분을 해당 향미원을 통과하는 에어로졸에 부여하고,
    상기 제어부는, 주어진 양의 상기 향미 성분이 상기 흡구로 송달되도록 상기 제1 무화부에서의 에어로졸 생성량을 제어하는, 향미 흡인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흡구로 송달되는 총 에어로졸량과 향미 성분량 중 적어도 한쪽을 설정하기 위한 설정값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무화부 및 상기 제2 무화부에서의 에어로졸 생성량을 제어하는, 향미 흡인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설정값에 관한 유저 지시를 수취하기 위한 유저 설정부를 더 구비하는, 향미 흡인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유저 설정부는, 외부 기기와 통신 가능하고, 상기 외부 기기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서 상기 유저 지시를 수취하도록 구성되는, 향미 흡인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유저 설정부는, 상기 총 에어로졸량과 상기 향미 성분량의 양쪽 모두에 관한 상기 유저 지시를, 상기 외부 기기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단일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서 수취하도록 구성되는, 향미 흡인기.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유저 설정부는, 상기 총 에어로졸량과 상기 향미 성분량의 비율에 관한 상기 유저 지시를,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서 수취하도록 구성되는, 향미 흡인기.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서 부여된 상기 유저 지시에 근거한 상기 제1 무화부와 상기 제2 무화부 중 적어도 한쪽에서의 에어로졸 생성량이, 소정의 최대값을 초과하고 있는 경우에,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에서 에러를 통지하게 하는, 향미 흡인기.
  12.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무화부에서의 에어로졸 생성량의 가변 범위와 상기 제2 무화부에서의 에어로졸 생성량의 가변 범위에 근거하여 상기 총 에어로졸량의 가변 범위 및 상기 향미 성분량의 가변 범위를 결정하고, 상기 총 에어로졸량의 가변 범위 및 상기 향미 성분량의 가변 범위를 나타내는 값을,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에서의 표시를 위해 상기 외부 기기로 제공하는, 향미 흡인기.
  13.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서 부여된 상기 유저 지시가 소정의 조건을 충족시키는 경우에 상기 제1 무화부 또는 상기 제2 무화부에서의 에어로졸의 생성을 정지시키는, 향미 흡인기.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무화부 및 상기 제2 무화부는, 히터의 가열에 의해 상기 에어로졸원을 무화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무화부의 히터의 저항값은, 상기 제2 무화부의 히터의 저항값보다 큰, 향미 흡인기.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무화부로의 연속 통전 시간이 제1 컷오프 시간을 초과했을 때에 상기 제1 무화부로의 통전을 정지하고, 상기 제2 무화부로의 연속 통전 시간이 제2 컷오프 시간을 초과했을 때에 상기 제2 무화부로의 통전을 정지하며,
    상기 제1 무화부로 상기 제1 컷오프 시간 통전했을 때의 에어로졸 생성량과 상기 제2 무화부로 상기 제2 컷오프 시간 통전했을 때의 에어로졸 생성량이 다른, 향미 흡인기.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제1 컷오프 시간은 상기 제2 컷오프 시간과 다른 길이인, 향미 흡인기.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제1 컷오프 시간은 상기 제2 컷오프 시간보다 짧은, 향미 흡인기.
  18. 청구항 1 내지 1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무화부와 상기 제2 무화부 중 적어도 한쪽에서의 에어로졸 생성량의 변경을, 각각의 무화부로의 공급 전력과 통전 시간 중 어느 한쪽을 변경하는 것에 의해 행하는, 향미 흡인기.
  19. 청구항 1 내지 1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무화부와 상기 제2 무화부 중 적어도 한쪽에서의 에어로졸 생성량의 변경을, 각각의 무화부로의 공급 전력과 통전 시간의 양쪽 모두를 변경하는 것에 의해 행하는, 향미 흡인기.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무화부와 상기 제2 무화부 중 적어도 한쪽에서의 에어로졸 생성량을 결정하고, 해당 에어로졸 생성량에 근거하여 대응하는 무화부로 공급해야 할 전력량을 결정하며, 해당 전력량을 얻기 위한 해당 무화부로의 인가 전압과 통전 시간의 복수의 조합 중에서, 주어진 통전 시간의 가변 범위 또는 주어진 인가 전압의 가변 범위에 포함되는 조합을 선택하고, 해당 선택된 인가 전압과 통전 시간으로 상기 대응하는 무화부를 구동하는, 향미 흡인기.
  21.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무화부와 상기 제2 무화부 중 적어도 한쪽에서의 에어로졸 생성량을 결정하고, 해당 에어로졸 생성량에 근거하여 대응하는 무화부로 공급해야 할 전력량을 결정하며, 해당 전력량을 얻기 위한 해당 무화부로의 인가 전압을 예정된 고정 통전 시간에 근거하여 결정하고, 해당 결정된 인가 전압과 상기 고정 통전 시간으로 상기 대응하는 무화부를 구동하는, 향미 흡인기.
  22.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무화부와 상기 제2 무화부 중 적어도 한쪽으로의 인가 전압과 통전 시간의 조합을 결정하고, 해당 조합에 근거하여 대응하는 무화부로 공급되는 전력량을 산출하며, 해당 전력량의 산출값이 주어진 상한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상한값의 전력량을 충족시키는 인가 전압과 통전 시간으로 상기 대응하는 무화부를 구동하는, 향미 흡인기.
  23.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상한값은 상기 인가 전압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향미 흡인기.
  24. 청구항 1 내지 1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무화부로의 통전 시간을 변경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제1 무화부에서의 에어로졸 생성량을 변경 가능하고, 상기 제2 무화부로의 공급 전력을 변경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제2 무화부에서의 에어로졸 생성량을 변경 가능한, 향미 흡인기.
  2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무화부에서의 에어로졸 생성량을 변경 가능하고,
    상기 제2 무화부에서의 에어로졸 생성량의 가변 범위의 상한값은, 상기 제1 무화부에서의 에어로졸 생성량보다 크며, 상기 제2 무화부에서의 에어로졸 생성량의 가변 범위의 하한값은, 상기 제1 무화부에서의 에어로졸 생성량보다 작은, 향미 흡인기.
  2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무화부에서의 에어로졸 생성량을 변경 가능하고,
    상기 제1 무화부에서의 에어로졸 생성량의 가변 범위의 하한값은 제로보다 큰, 향미 흡인기.
  2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무화부에서의 에어로졸 생성량의 가변 범위는 제로를 포함하는, 향미 흡인기.
  2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무화부 및 상기 제2 무화부의 쌍방에서의 에어로졸 생성량을 변경 가능하고,
    상기 제1 무화부에서의 에어로졸 생성량의 가변 범위의 폭은, 상기 제2 무화부에서의 에어로졸 생성량의 가변 범위의 폭보다 좁은, 향미 흡인기.
  2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무화부 및 상기 제2 무화부의 쌍방에서의 에어로졸 생성량을 변경 가능하고,
    상기 제1 무화부에서의 에어로졸 생성량의 가변 범위는, 상기 제2 무화부에서의 에어로졸 생성량의 가변 범위의 하한값과 상한값 사이에 포함되는, 향미 흡인기.
  3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유로를 통과한 누적 에어로졸량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무화부에서의 에어로졸 생성량을 증가시키도록 상기 제1 무화부로 공급하는 전력량을 결정하는, 향미 흡인기.
  31. 청구항 30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유로를 통과한 누적 에어로졸량에 대응하여, 상기 제2 무화부에서의 에어로졸 생성량을 감소시키도록 상기 제2 무화부로 공급하는 전력량을 결정하는, 향미 흡인기.
  32. 청구항 30 또는 3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무화부로 공급한 누적 전력량으로부터 상기 누적 에어로졸량을 구하는, 향미 흡인기.
  3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로를 통과한 에어로졸과 상기 제2 유로를 통과한 에어로졸을 혼합하기 위한 혼합 챔버를 더 구비하며, 상기 혼합 챔버가 상기 흡구에 연통하고 있는, 향미 흡인기.
  34. 청구항 33에 있어서,
    상기 혼합 챔버는, 상기 제1 유로 및 상기 제2 유로의 어느 단면적보다 큰 단면적을 가지는, 향미 흡인기.
  3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로와 상기 제2 유로 중 적어도 한쪽은, 복수의 유로를 구비하는, 향미 흡인기.
  3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로와 상기 제2 유로는, 서로 병렬로 배치되는, 향미 흡인기.
KR1020197011299A 2016-09-26 2017-09-20 향미 흡인기 KR1022772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PCT/JP2016/078258 2016-09-26
PCT/JP2016/078258 WO2018055761A1 (ja) 2016-09-26 2016-09-26 香味吸引器
PCT/JP2017/033889 WO2018056300A1 (ja) 2016-09-26 2017-09-20 香味吸引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2703A KR20190052703A (ko) 2019-05-16
KR102277293B1 true KR102277293B1 (ko) 2021-07-13

Family

ID=61689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1299A KR102277293B1 (ko) 2016-09-26 2017-09-20 향미 흡인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190217028A1 (ko)
EP (1) EP3513667A4 (ko)
JP (1) JP6803116B2 (ko)
KR (1) KR102277293B1 (ko)
CN (1) CN109788804B (ko)
CA (1) CA3037829C (ko)
EA (1) EA039066B1 (ko)
TW (1) TWI679944B (ko)
WO (2) WO20180557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7123867A1 (de) * 2017-10-13 2019-04-18 Hauni Maschinenbau Gmbh Inhalator, insbesondere elektronisches Zigarettenprodukt, und Computerprogrammprodukt
CN108391852A (zh) * 2017-12-18 2018-08-14 卓尔悦欧洲控股有限公司 控制方法、装置及电子烟
US11191304B2 (en) * 2018-04-06 2021-12-07 Mark James Grote Multi-element vaporizer system and application
JP6924904B2 (ja) * 2018-08-24 2021-08-25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吸引成分生成装置、吸引成分生成装置を制御する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200154779A1 (en) * 2018-11-19 2020-05-21 Rai Strategic Holdings, Inc. Charging control for an aerosol delivery device
CN113939204A (zh) * 2018-12-21 2022-01-14 埃克索运营公司 用于多腔室汽化装置的连续配置的设备和方法
KR102212378B1 (ko) * 2019-01-03 2021-02-04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전압 변환기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CN109602091B (zh) * 2019-01-17 2023-09-15 云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支持多抽吸模式的雾化装置及其使用方法
KR20200144049A (ko) * 2019-06-17 2020-12-28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에어로졸 생성 물품
EP3995016A4 (en) * 2019-07-01 2023-01-25 Japan Tobacco Inc. AROMA INHALER
EP4000472A4 (en) * 2019-07-19 2023-08-30 Japan Tobacco Inc. AROMA DISPENSER
JP2023520888A (ja) * 2020-04-01 2023-05-22 ジュール・ラブ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気化器デバイス
CN113519901A (zh) * 2020-04-15 2021-10-22 深圳市卓力能技术有限公司 雾化器、气溶胶产生装置及其控制方法
AU2021298867A1 (en) * 2020-06-30 2022-12-15 Philip Morris Products S.A. Aerosol-generating device and method with puff detection
CA3200040A1 (en) * 2020-11-29 2022-06-02 Olivier Bourbonnais Vaporization device
JPWO2022190211A1 (ko) * 2021-03-09 2022-09-15
KR102593730B1 (ko) * 2021-04-02 2023-10-24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멀티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KR20230076620A (ko) * 2021-11-24 2023-05-31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WO2023112338A1 (ja) * 2021-12-17 2023-06-22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エアロゾル生成装置
CN114190592A (zh) * 2021-12-30 2022-03-18 深圳市华诚达精密工业有限公司 雾化机构、电子雾化装置及雾化机构工作控制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15324A1 (ja) * 2013-01-28 2014-07-31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非加熱型香味吸引具
US20150245654A1 (en) * 2014-02-28 2015-09-03 Beyond Twenty Ltd. E-cigarette personal vaporizer
WO2016121143A1 (ja) * 2015-01-26 2016-08-04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非燃焼型香味吸引器、香味源ユニット及び非燃焼型香味吸引器用部材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625974A1 (en) * 2012-02-13 2013-08-14 Philip Morris Products S.A. Aerosol-generating article having a flavour-generating component
RU2602962C2 (ru) * 2012-08-31 2016-11-20 Кимри Хай-Тек Инк. Электронная сигарета
US8881737B2 (en) * 2012-09-04 2014-11-11 R.J. Reynolds Tobacco Company Electronic smoking article comprising one or more microheaters
US9955727B2 (en) * 2013-07-24 2018-05-01 Nu Mark Innovations Ltd. Solid core electronic cigarette
EP3222159B1 (en) * 2013-09-30 2020-06-17 Japan Tobacco Inc. Non-burning type flavor inhaler
MY175605A (en) * 2013-09-30 2020-07-01 Japan Tobacco Inc Non-burning type flavor inhaler
CN103519351B (zh) * 2013-10-31 2017-02-15 红塔烟草(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电加热卷烟
ES2718075T3 (es) * 2014-01-29 2019-06-27 Japan Tobacco Inc Inhalador de aromas de tipo sin combustión
JP5660238B1 (ja) 2014-03-19 2015-01-28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プログラム電卓及びプログラム
SG11201700168YA (en) * 2014-07-11 2017-02-27 Philip Morris Products Sa Aerosol-generating system comprising cartridge detection
TWI680726B (zh) * 2014-10-13 2020-01-01 瑞士商菲利浦莫里斯製品股份有限公司 控制電熱式吸煙系統中之電加熱器的方法及電熱式吸煙系統
CN104397876B (zh) * 2014-10-24 2016-03-09 深圳市劲嘉科技有限公司 一种双功能低温非燃烧烟具
AU2014411336B2 (en) * 2014-11-10 2018-05-24 Japan Tobacco Inc. Non-burning type flavor inhaler
KR102136165B1 (ko) * 2015-02-27 2020-07-21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CN104783329B (zh) * 2015-03-03 2018-02-06 云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提高卷烟抽吸品质的方法
US20160325055A1 (en) * 2015-05-08 2016-11-10 Lunatech, Llc Device To Deliver Cannabidiol And Associated Compounds To Promote Health
CN205093591U (zh) * 2015-10-16 2016-03-23 上海烟草集团有限责任公司 电子烟雾化器
US10212964B2 (en) * 2016-07-07 2019-02-26 Altria Client Services Additive assembly for electronic vaping device
GB201700620D0 (en) * 2017-01-13 2017-03-01 British American Tobacco Investments Ltd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articl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15324A1 (ja) * 2013-01-28 2014-07-31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非加熱型香味吸引具
US20150245654A1 (en) * 2014-02-28 2015-09-03 Beyond Twenty Ltd. E-cigarette personal vaporizer
WO2016121143A1 (ja) * 2015-01-26 2016-08-04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非燃焼型香味吸引器、香味源ユニット及び非燃焼型香味吸引器用部材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55761A1 (ja) 2018-03-29
EA039066B1 (ru) 2021-11-29
CA3037829C (en) 2023-01-17
TWI679944B (zh) 2019-12-21
US20190217028A1 (en) 2019-07-18
EA201990821A1 (ru) 2019-10-31
KR20190052703A (ko) 2019-05-16
JP6803116B2 (ja) 2020-12-23
JPWO2018056300A1 (ja) 2019-07-18
CN109788804A (zh) 2019-05-21
CN109788804B (zh) 2021-08-03
CA3037829A1 (en) 2018-03-29
EP3513667A1 (en) 2019-07-24
TW201813529A (zh) 2018-04-16
EP3513667A4 (en) 2020-06-10
WO2018056300A1 (ja) 2018-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7293B1 (ko) 향미 흡인기
KR102311334B1 (ko) 향미 흡인기, 카트리지 및 향미 유닛
JP6704454B2 (ja) 香味吸引器
CN110475487B (zh) 气溶胶生成装置、气溶胶生成装置的控制方法及记录介质
KR102490039B1 (ko) 흡인 장치와 이것을 동작시키는 방법 및 프로그램
CN112638187A (zh) 吸取成分生成装置、控制吸取成分生成装置的方法以及程序
CN110418582B (zh) 气溶胶生成装置以及气溶胶生成装置的控制方法及程序
KR102443306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이를 동작시키는 방법 및 프로그램
KR102425243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이를 동작시키는 방법 및 프로그램
KR20190097298A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와,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JP6588669B1 (ja) エアロゾル吸引器用の制御装置、制御方法、プログラム、エアロゾル吸引器
WO2022230041A1 (ja) エアロゾル生成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23089754A1 (ja) 吸引装置
WO2023089753A1 (ja) 吸引装置
TWI739992B (zh) 霧氣生成裝置以及使該裝置動作之方法和電腦程式產品
EA040739B1 (ru) Генерирующее аэрозоль устройство, способ и программа для приведения его в действи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