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6802B1 - 토목섬유로 감싼 뗏목을 이용한 공사용 진입출로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토목섬유로 감싼 뗏목을 이용한 공사용 진입출로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6802B1
KR102276802B1 KR1020210038462A KR20210038462A KR102276802B1 KR 102276802 B1 KR102276802 B1 KR 102276802B1 KR 1020210038462 A KR1020210038462 A KR 1020210038462A KR 20210038462 A KR20210038462 A KR 20210038462A KR 102276802 B1 KR102276802 B1 KR 1022768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otextile
raft
construction
wood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84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서진
Original Assignee
박서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서진 filed Critical 박서진
Priority to KR10202100384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68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68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68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9/00Special pavings; Pavings for special parts of roads or airfields
    • E01C9/08Temporary pavings
    • E01C9/086Temporary pavings made of concrete, wood, bitumen, rubber or synthetic material or a combination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18Making embankments, e.g. dikes, dam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6Elements joined together
    • E01C2201/167Elements joined together by reinforcement or mesh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71Woo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84Geogr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사용 임시도로인 진입출로를 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진입출로의 규격에 맞게 뗏목(10)을 제작하는 제작단계(S10); 상기 제작된 뗏목(10)에 메인토목섬유(20)를 포장하는 포장단계(S20); 상기 포장된 뗏목(10)들을 운반하여 진입출로에 일렬로 설치하는 설치단계(S30); 상기 메인토목섬유(20)의 상부에 보조토목섬유(30)를 포설하는 포설단계(S40); 상기 보조토목섬유(30)의 상부에 토사(40)를 설정높이로 성토하는 성토단계(S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수분함유량이 높은 연약지반에서도 침하가 되지 않은 목재로 제작된 뗏목을 이용하여 진입출로를 시공함으로써, 시공에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 및 인력을 대폭 절감할 수 있음은 물론 연약지반에 사용되는 토목섬유로 뗏목을 포장 및 포설함으로써, 토사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도 뗏목에 전달되는 하중을 지반으로 넓게 분산시킬 수 있어 단위면적당 작용하중이 최소화되어 전반적인 진입출로의 내구성과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토목섬유로 감싼 뗏목을 이용한 공사용 진입출로 시공방법{Construction method of access road for construction using raft wrapped with geotextile}
본 발명은 공사용 임시도로인 진입출로를 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분함유량이 높은 연약지반에서도 침하가 되지 않은 목재로 제작된 뗏목을 이용하여 진입출로를 시공함으로써, 시공에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 및 인력을 대폭 절감할 수 있음은 물론 연약지반에 사용되는 토목섬유로 뗏목을 포장 및 포설함으로써, 토사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도 뗏목에 전달되는 하중을 지반으로 넓게 분산시킬 수 있어 단위면적당 작용하중이 최소화되어 전반적인 진입출로의 내구성과 안전성이 보장되는 토목섬유로 감싼 뗏목을 이용한 공사용 진입로출로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 점성토층이나 느슨한 사질토층과 같은 연약지반에는 작업에 필요한 차량의 통행을 위하여 임시 작업용 도로인 가설 진입출로를 구축하고 있다.
즉, 연약지반은 지반 강성이 부족하여 작업에 필요한 중장비와 같은 차량통행이 불가능함에 따라 작업차량이 통행할 수 있도록 가설 진입출로를 반듯이 구축해야 하는 실정이다.
이러한 공사장 진입출로는 토사를 쌓아서 구축하는 가축도와, 강재를 이용하여서 임시의 교량을 구축하는 가교가 있다.
토사를 쌓아서 구축하는 가축도는 공사비가 저렴하고 유지관리가 용이하므로 지질상태가 양호한 조건에 적용되고 있다.
강재를 사용하여 임시교량을 구축하는 가교는 하천이나 호수 및 바다 등 연약지반을 횡단하는 조건에 적용되고 있다.
여기서 연약지반에 가교를 구축하는 방식은 공사비가 고가이고, 공사를 마친 후에는 가교를 철거해서 유지관리용 도로를 새롭게 구축해야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연약지반에 토사 또는 암을 쌓아서 가축도를 구축하면, 지지층이 연약해서 침하가 발생하게 되므로 진입출로의 기능을 수행할 수가 없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12998호 발명의 명칭: 연약지반용 가설 조립체 및 가설 진입로 시공방법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 수분함유량이 높은 연약지반에서도 침하가 되지 않은 목재로 제작된 뗏목을 이용하여 진입출로를 시공함으로써, 시공에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 및 인력을 대폭 절감할 수 있음은 물론 연약지반에 사용되는 토목섬유로 뗏목을 포장 및 포설함으로써, 토사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도 뗏목에 전달되는 하중을 지반으로 넓게 분산시킬 수 있어 단위면적당 작용하중이 최소화되어 전반적인 진입출로의 내구성과 안전성이 보장되는 토목섬유로 감싼 뗏목을 이용한 공사용 진입로출로 시공방법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공사용 임시도로인 진입출로를 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진입출로의 규격에 맞게 뗏목을 제작하는 제작단계; 상기 제작된 뗏목에 메인토목섬유를 포장하는 포장단계; 상기 포장된 뗏목들을 운반하여 진입출로에 일렬로 설치하는 설치단계; 상기 메인토목섬유의 상부에 보조토목섬유를 포설하는 포설단계; 상기 보조토목섬유의 상부에 토사를 설정높이로 성토하는 성토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제작단계는, 적어도 수중에서 떠오르는 부상성을 가진 원형 또는 각형 단면형상의 막대형 목재를 준비하는 제1제작단계; 상기 준비된 목재를 설정간격을 두고 진입출로와 동일선상인 종방향으로 배치하는 제2제작단계; 상기 종방향으로 배치된 목재들의 상단에 준비된 목재를 설정간격을 두고 횡방향으로 배치하는 제3제작단계; 상기 종/횡방향으로 배치된 목재들의 교차부위마다 연결부재로 상호 결속시켜 뗏목을 완성하는 제4제작단계;를 거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제2제작단계는, 상기 목재의 외경크기 대비 3 내지 6 배수의 좌우간격으로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제3제작단계는, 상기 목재의 외경크기 대비 0.5 내지 2 배수의 전후간격으로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목재들의 교차부위마다 관통 체결되어 상호 결속시키는 볼트와 너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볼/너트에 개재되어 결속력을 배가하며 목재의 파손을 방지하는 금속 또는 수지로 형성된 도넛판형의 플레이트;가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목재들의 교차부위마다 감은 이후 매듭으로 상호 결속시키는 밴드 또는 로프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밴드에 연결되어 목재들의 교차부위를 적은 힘으로 신속 간편하게 결속시키는 래칫버클; 상기 로프에 연결되어 목재들의 교차부위를 신속 간편하면서도 높은 강도로 결속시키는 클램프;가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포장단계는, 상기 메인토목섬유를 뗏목의 종방향 또는 횡방향 길이대비 2배 이상의 길이로 바닥에 포설하는 제1포장단계; 상기 제작된 뗏목을 크레인으로 운반하여 바닥에 포설된 메인토목섬유의 중앙 위로 안착시키는 제2포장단계; 상기 안착된 뗏목의 상단 중앙으로 메인토목섬유의 양단이 서로 포개지게 덮어주는 제3포장단계; 상기 메인토목섬유의 양단이 포개진 이음부위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일체로 봉합하는 제4포장단계;를 거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메인토목섬유와 보조토목섬유는, 상기 뗏목에 작용하는 하중이 고르고 넓게 분산시켜 단위면적당 작용하는 하중을 최소화하면서도 성토되는 토사의 유출이 방지되도록 각각 웹(web), 매트(mat), 네트(net), 그리드(grid)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첫째, 본 발명은 산에서 벌목한 목재를 사용하여 뗏목을 제작하는데 이어 연약지반처리용으로 사용하고 있는 토목섬유를 이용함으로써, 자재수급이 용이함은 물론 제작에 소요되는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은 볼트나 밴드 및 로프를 사용하여 뗏목을 제작함으로써, 비교적 단순화된 작업과정으로 인해 비숙련자라도 신속 간편하게 제작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셋째, 본 발명은 진입출로에 작용되는 하중에 따라 뗏목의 규격을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가 있으므로 공사조건에 구애받지 않고 두루 적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넷째, 본 발명은 부상성을 가진 뗏목을 이용함으로써, 수분함유량이 높은 연약지반에서도 침하를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중에 침수된 뗏목은 부식되지 않아 우수한 내구성과 높은 수명을 보장하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공방법을 전체적으로 간략하게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공방법 중 제작단계를 세부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공방법 중 포장단계를 세부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시공방법 중 제작단계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시공방법에 의해 제작된 뗏목의 정면과 측면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시공방법 중 포장단계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시공방법 중 설치단계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시공방법 중 포설단계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시공방법 중 성토단계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문서의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부분'과 '제2 부분'은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부분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본 발명은 연약지반에 공사용 임시도로인 진입출로를 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도 1처럼 제작단계(S10), 포장단계(S20), 설치단계(S30), 포설단계(S40), 성토단계(S50)를 순차적으로 거치는 토목섬유로 감싼 뗏목을 이용한 공사용 진입출로 시공방법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제작단계(S10)는 도 1처럼 진입출로의 규격과 허용하중에 적합한 뗏목(10)을 제작하는 과정이다.
이러한 제작단계(S10)는 도 2와 같이 제1제작단계(S11), 제2제작단계(S12), 제3제작단계(S13), 제4제작단계(S14)를 거친다.
제1제작단계(S11)는 적어도 수중에서 떠오르는 부상성을 가진 원형 또는 각형 단면형상의 막대형 목재(11)를 준비한다.
즉, 자재비가 저렴하고 수급이 용이하도록 인근 산에서 벌목한 목재를 사용한다.
제2제작단계(S1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준비된 목재(11)를 설정간격을 두고 진입출로와 동일선상인 종방향으로 배치한다.
여기서 목재(11)의 외경크기 대비 3 내지 6 배수의 좌우간격(L1)으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목재(11)의 외경이 200㎜인 경우 600~1200㎜의 좌우간격(L1)으로 배치한다.
즉, 좌우간격(L1)을 600㎜ 이하로 배치하면, 작업시간이 가중될 뿐만 아니라 목재(11)의 증가로 자재비가 상승하게 된다.
반대로 좌우간격(L1)을 1200㎜ 이상으로 배치하면, 부상성과 내구성의 부족하여 안전성이 결여된다.
따라서 작업시간과 자재비 및 부상성과 내구성을 고려하여 목재(11)의 외경크기대비 5 배수의 좌우간격(L1)으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제작단계(S13)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방향으로 배치된 목재(11)들의 상단에 준비된 목재(11)를 설정간격을 두고 횡방향으로 배치한다.
여기서 목재(11)의 외경크기 대비 0.5 내지 2 배수의 전후간격(L2)으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목재(11)의 외경이 200㎜인 경우 100~400㎜의 전후간격(L2)으로 배치한다.
즉, 전후간격(L2)을 100㎜ 이하로 배치하면, 작업시간이 가중될 뿐만 아니라 목재(11)의 증가로 자재비가 상승하게 된다.
반대로 전후간격(L1)을 400㎜ 이상으로 배치하면, 부상성과 내구성이 부족해질 뿐만 아니라 후술하는 포설단계(S40)에서 토사(40)가 유출된다.
따라서 작업시간과 자재비 및 부상성과 내구성을 고려하여 목재(11)의 외경크기대비 1 배수의 전후간격(L2)으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4제작단계(S14)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횡방향으로 배치된 목재(11)들의 교차부위마다 연결부재(12)로 상호 결속시켜 뗏목(10)을 완성한다.
여기서 연결부재(12)는 목재(11)들의 교차부위마다 관통 체결되어 상호 결속시키는 볼트(12a)와 너트(12b) 및 플레이트(12c)로 구성된다.
즉, 목재(11)들의 교차부위마다 볼트(12a)가 관통 삽입될 구멍을 천공한 다음 플레이트(12c)와 함께 너트(12b)를 체결하여 목재(11)들을 결속한다.
이때, 플레이트(12c)는 중앙에 구멍이 형성된 도넛판 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 볼트(12a)와 너트(12b)가 체결되는 과정에서 목재(11)의 파손을 방지해줌과 함께 압박면적을 증가시켜 결속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플레이트(12c)는 금속이나 연질의 수지로 형성할 수 있는데, 연질의 수지로 형성할 경우에는 목재(11)의 파손방지는 물론 볼트(12a)와 너트(12b)의 풀림을 방지해준다.
물론, 연결부재(12)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재(11)들의 교차부위마다 수회 감은 이후 매듭으로 상호 결속시키는 밴드(12d) 또는 로프(12e) 중 어느 하나로도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밴드(12d)로 결속할 경우에는 밴드(12d)의 끝단부에 연결되는 래칫버클(12f)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래칫버클(12f)은 목재(11)들의 교차부위를 적은 힘으로 신속 간편하게 결속시켜줌으로써,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대폭 단축할 수가 있다.
또한, 로프(12e)로 결속할 경우에는 로프(12e)가 경유되게 연결되는 클램프(12g)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클램프(12g)도 목재(11)들의 교차부위를 신속 간편하면서도 높은 강도로 결속시켜줌으로써,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대폭 단축할 수가 있다.
이렇게 완성된 뗏목(10)은 도 8a(정면)와, 도 8b(측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간격(L1)으로 배치되는 종방향 목재(11)들과, 종방향 목재(11)의 상단에 전후간격(L2)으로 배치되는 횡방향 목재(11)들의 교차부위마다 연결부재(12)에 의해 일체로 결속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포장단계(S20)는 제작된 뗏목(10)에 메인토목섬유(20)를 포장하는 과정이다.
이러한 포장단계(S20)는 도 3과 같이 제1포장단계(S21), 제2포장단계(S22), 제3포장단계(S23), 제4포장단계(S24)를 거친다.
제1포장단계(S21)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뗏목(10)의 외면을 감싸도록 준비된 메인토목섬유(20)를 바닥에 포설한다.
여기서 메인토목섬유(20)는 뗏목(10)의 외면을 모두 감쌀 수 있도록 뗏목(10)의 종방향 또는 횡방향 길이대비 2배 이상의 길이를 가진 것을 준비한다.
만일, 뗏목(10)의 크기가 가로 1.2m, 세로 1.2m의 경우에는 메인토목섬유(20)는 가로 2.4m 이상, 세로 1.2m 이상의 크기로 준비한다.
제2포장단계(S22)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작된 뗏목(10)을 크레인으로 운반하여 바닥에 포설된 메인토목섬유(20)의 중앙 위로 안착시킨다.
제3포장단계(S23)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된 뗏목(10)의 상단 중앙으로 메인토목섬유(20)의 양단이 서로 포개지게 덮어준다.
제4포장단계(S24)는 메인토목섬유(20)의 양단이 포개진 이음부위에 에폭시 접착제(25)를 도포하여 일체로 봉합한다.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설치단계(S30)는 포장된 뗏목(10)들을 운반하여 진입출로에 일렬로 설치하는 과정이다.
즉, 메인토목섬유(20)가 포장된 뗏목(10)들을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레인으로 운반하여 진입출로의 길이에 맞게 일렬로 연속 설치한다.
여기서 뗏목(10)끼리 인접되는 부위는 연결부재(12)와 접착제(25)를 사용하여 상호 결속해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메인토목섬유(20)는 뗏목(10)에 작용하는 하중이 고르고 넓게 분산시켜 단위면적당 작용하는 하중을 최소화하는 역할을 한다.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포설단계(S40)는 메인토목섬유(20)의 상부에 보조토목섬유(30)를 포설하는 과정이다.
즉, 진입출로에 설치된 뗏목(10)들의 상부, 메인토목섬유(20)의 상부에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토목섬유(30)를 길이방향으로 포설한다.
여기서 메인토목섬유(20)에 포설된 보조토목섬유(30)가 이탈되지 않도록 접착제(25)로 상호 봉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보조토목섬유(30)는 후술하는 성토단계(S50)에서 성토되는 토사(40)의 유출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성토단계(S50)는 보조토목섬유(30)의 상부에 토사(40)를 설정높이로 성토하는 과정이다.
즉, 보조토목섬유(30)가 포설된 뗏목(10)의 상부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사(40)를 쌓아 올리고 다짐하여 공사용 진입출로를 완성한다.
한편, 본 발명의 메인토목섬유(20)와 보조토목섬유(30)는 우수한 방수성과 자연분해가 가능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웹(web), 매트(mat), 네트(net), 그리드(grid)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직조된 섬유원단을 준비한다.
그리고 준비된 섬유원단을 아크릴수지 5~80 중량%, 물 15~90 중량% 및 증점제 2~10 중량%로 조성된 전처리액에 담가 함침시킨다.
이어서 전처리된 섬유원단을 폴리우레탄수지 70-90 중량%, 천연황토 2-15 중량% 및 전분 2-20 중량%로 조성된 보강액에 담가 함침시킨다.
이러한 과정으로 제조된 메인토목섬유(20)와 보조토목섬유(30)는 방수성으로 인해 수분함유량이 높은 연약지반에서도 뗏목(10)이 침하되지 않게 도모한다.
무엇보다 일정기간이 지나면 자연적으로 분해됨에 따라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을 뿐더러 공사가 완료되더라도 뗏목(10)으로부터 메인토목섬유(20)와 보조토목섬유(30)를 제거하는 과정을 생략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메인토목섬유(20)와 보조토목섬유(30)는 인장강도가 높고 신장신도가 낮으며 내수성 및 내알카리성이 우수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웹(web), 매트(mat), 네트(net), 그리드(grid)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직조된 섬유원단을 준비한다.
그리고 준비된 섬유원단을 아크릴수지 15 내지 35 중량%, 증류수 65 내지 85 중량%로 조성된 수성 코팅제에 침지한다.
이어서 145℃ 내지 185℃의 온도에서 2 내지 10분간 열처리하여 섬유원단 표면을 소정 두께로 코팅한다.
이러한 메인토목섬유(20)와 보조토목섬유(30)는 기존의 비해 우수한 성능을 보장하면서도 인체에 무해하고, 환경오염을 방지해준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L1: 좌우간격
L2: 전후간격
10: 뗏목
11: 목재
12: 연결부재
12a: 볼트
12b: 너트
12c: 플레이트
12d: 밴드
12e: 로프
12f: 래칫버클
12g: 클램프
20: 메인토목섬유
25: 접착제
30: 보조토목섬유
40: 토사
S10: 제작단계
S11: 제1제작단계
S12: 제2제작단계
S13: 제3제작단계
S14: 제4제작단계
S20: 포장단계
S21: 제1포장단계
S22: 제2포장단계
S23: 제3포장단계
S24: 제4포장단계
S30: 설치단계
S40: 포설단계
S50: 성토단계

Claims (10)

  1. 공사용 임시도로인 진입출로를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진입출로의 규격에 맞게 뗏목(10)을 제작하는 제작단계(S10);
    상기 제작된 뗏목(10)에 메인토목섬유(20)를 포장하는 포장단계(S20);
    상기 포장된 뗏목(10)들을 운반하여 진입출로에 일렬로 설치하는 설치단계(S30);
    상기 메인토목섬유(20)의 상부에 보조토목섬유(30)를 포설하는 포설단계(S40);
    상기 보조토목섬유(30)의 상부에 토사(40)를 설정높이로 성토하는 성토단계(S50);를 포함하며,
    상기 제작단계(S10)는,
    적어도 수중에서 떠오르는 부상성을 가진 원형 또는 각형 단면형상의 막대형 목재(11)를 준비하는 제1제작단계(S11);
    상기 준비된 목재(11)를 설정간격을 두고 진입출로와 동일선상인 종방향으로 배치하는 제2제작단계(S12);
    상기 종방향으로 배치된 목재(11)들의 상단에 준비된 목재(11)를 설정간격을 두고 횡방향으로 배치하는 제3제작단계(S13);
    상기 종/횡방향으로 배치된 목재(11)들의 교차부위마다 연결부재(12)로 상호 결속시켜 뗏목(10)을 완성하는 제4제작단계(S14);를 거치며,
    상기 연결부재(12)는,
    상기 목재(11)들의 교차부위마다 관통 체결되어 상호 결속시키는 볼트(12a)와 너트(12b)로 구성되고,
    밴드(12d)에 연결되어 목재(11)들의 교차부위를 적은 힘으로 신속 간편하게 결속시키는 래칫버클(12f)이거나 로프(12e)에 연결되어 목재(11)들의 교차부위를 신속 간편하면서도 높은 강도로 결속시키는 클램프(12g);가 형성되며,
    상기 메인토목섬유(20)와 보조토목섬유(30)는,
    준비된 섬유원단을 아크릴수지 5~80 중량%, 물 15~90 중량% 및 증점제 2~10 중량%로 조성된 전처리액에 담가 함침시킨 후,
    전처리된 섬유원단을 폴리우레탄수지 70-90 중량%, 천연황토 2-15 중량% 및 전분 2-20 중량%로 조성된 보강액에 담가 함침시키고,
    설정형태로 직조된 섬유원단을 아크릴수지 10 내지 30 중량%, 증류수 65 내지 85 중량%로 조성된 코팅제에 침지한 다음 150℃ 내지 180℃의 온도에서 2 내지 10분간 열처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섬유로 감싼 뗏목을 이용한 공사용 진입출로 시공방법.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제작단계(S12)는,
    상기 목재(11)의 외경크기 대비 3 내지 6 배수의 좌우간격(L1)으로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섬유로 감싼 뗏목을 이용한 공사용 진입출로 시공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3제작단계(S13)는,
    상기 목재(11)의 외경크기 대비 0.5 내지 2 배수의 전후간격(L2)으로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섬유로 감싼 뗏목을 이용한 공사용 진입출로 시공방법.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12)는,
    상기 볼/너트(12a)(12b)에 개재되어 결속력을 배가하며 목재(11)의 파손을 방지하는 금속 또는 수지로 형성된 도넛판형의 플레이트(12c);
    가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섬유로 감싼 뗏목을 이용한 공사용 진입출로 시공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12)는,
    상기 목재(11)들의 교차부위마다 감은 이후 매듭으로 상호 결속시키는 밴드(12d) 또는 로프(12e)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섬유로 감싼 뗏목을 이용한 공사용 진입출로 시공방법.
  8. 삭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포장단계(S20)는,
    상기 메인토목섬유(20)를 뗏목(10)의 종방향 또는 횡방향 길이대비 2배 이상의 길이로 바닥에 포설하는 제1포장단계(S21);
    상기 제작된 뗏목(10)을 크레인으로 운반하여 바닥에 포설된 메인토목섬유(20)의 중앙 위로 안착시키는 제2포장단계(S22);
    상기 안착된 뗏목(10)의 상단 중앙으로 메인토목섬유(20)의 양단이 서로 포개지게 덮어주는 제3포장단계(S23);
    상기 메인토목섬유(20)의 양단이 포개진 이음부위에 접착제(25)를 도포하여 일체로 봉합하는 제4포장단계(S24);
    를 거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섬유로 감싼 뗏목을 이용한 공사용 진입출로 시공방법.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토목섬유(20)와 보조토목섬유(30)는,
    상기 뗏목(10)에 작용하는 하중이 고르고 넓게 분산시켜 단위면적당 작용하는 하중을 최소화하면서도 성토되는 토사(40)의 유출이 방지되도록 각각 웹(web), 매트(mat), 네트(net), 그리드(grid)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섬유로 감싼 뗏목을 이용한 공사용 진입출로 시공방법.

KR1020210038462A 2021-03-25 2021-03-25 토목섬유로 감싼 뗏목을 이용한 공사용 진입출로 시공방법 KR1022768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8462A KR102276802B1 (ko) 2021-03-25 2021-03-25 토목섬유로 감싼 뗏목을 이용한 공사용 진입출로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8462A KR102276802B1 (ko) 2021-03-25 2021-03-25 토목섬유로 감싼 뗏목을 이용한 공사용 진입출로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6802B1 true KR102276802B1 (ko) 2021-07-12

Family

ID=76859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8462A KR102276802B1 (ko) 2021-03-25 2021-03-25 토목섬유로 감싼 뗏목을 이용한 공사용 진입출로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680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47434A (ja) * 1986-08-18 1988-02-29 タカタ株式会社 軟弱地盤粗朶沈床工法用浮体構造体
KR200336227Y1 (ko) * 2003-08-18 2003-12-18 김의선 연약지반 표층보강용 대나무 매트
JP2006037675A (ja) * 2004-07-30 2006-02-09 Takahara Mokuzai Kk 木工沈床の通し連結部分の固定構造、柱材どうしの通し連結部の連結方法並びにその連結部構造
KR20110004717A (ko) * 2009-07-08 2011-01-14 주식회사 고신산업안전 발코니용 안전 울
KR20110112998A (ko) 2010-04-08 2011-10-14 한국전력공사 연약지반용 가설 조립체 및 가설 진입로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47434A (ja) * 1986-08-18 1988-02-29 タカタ株式会社 軟弱地盤粗朶沈床工法用浮体構造体
KR200336227Y1 (ko) * 2003-08-18 2003-12-18 김의선 연약지반 표층보강용 대나무 매트
JP2006037675A (ja) * 2004-07-30 2006-02-09 Takahara Mokuzai Kk 木工沈床の通し連結部分の固定構造、柱材どうしの通し連結部の連結方法並びにその連結部構造
KR20110004717A (ko) * 2009-07-08 2011-01-14 주식회사 고신산업안전 발코니용 안전 울
KR20110112998A (ko) 2010-04-08 2011-10-14 한국전력공사 연약지반용 가설 조립체 및 가설 진입로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5147C (zh) 约束混凝土材料的格网材料结构
CN104164853B (zh) 石笼网装生态袋和废旧轮胎的生态航道驳岸挡墙及其方法
CZ128698A3 (cs) Buněčná úložná struktura
CN1256734A (zh) 用作碎石护屏或用于保护土壤表层的丝网及其制造方法和装置
US20080236470A1 (en) Floating structure
JP4519083B2 (ja) グラウンドアンカーテンドン
RU2338834C2 (ru) Способ сооружения основания, основание и грунтовый модуль
KR102276802B1 (ko) 토목섬유로 감싼 뗏목을 이용한 공사용 진입출로 시공방법
CN107795322A (zh) 一种装配式混凝土弧板与棋盘式预应力锚索复合支护结构及其施工方法
WO2011037002A1 (ja) 樹脂製積層構造物を備える地中構造物
DE2062477A1 (de) Verfahren und Einrichtung zum Schützen und/oder Stabilisieren von geneigten Fla chen
KR100839233B1 (ko) 섬유시트 거푸집 및 다수 거푸집을 이용한 침식 및유실방지대 설치방법
CN101225634A (zh) 一种轻质高强路面器材
KR101320455B1 (ko) 다중 포장되고 망눈이 보강된 돌망태
GB2150950A (en) Wire netting for use in tunnels and the like
KR100991505B1 (ko) 친환경 하천변 보강구조물
KR200389250Y1 (ko) 붕괴방지용 사면보호 중량블록체
KR20060108900A (ko) 붕괴방지용 사면보호 중량블록체
JPH11117314A (ja) 土壌保護マット及びその施工方法
CN111501792A (zh) 一种用于高陡边坡的防护结构及其施工方法
RU2326283C1 (ru) Гибкая полимерно-бетонная геоплита и армирующая ее ячеистая структура
RU2221953C1 (ru) Способ сооружения технологического проезда вдоль трассы магистрального трубопровода (варианты)
US11585059B1 (en) Articulated block mat for use with harbor piers and method of installing a pier mat
DE19520363A1 (de) Verfahren zum Verlegen von Leitungen in Böden geringer oder wechselnder Tragfähigkeit
CN212175528U (zh) 一种混凝土梁的加固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