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5965B1 - 낙하산이 구비된 드론 및 발사체의 드론 방출 방법 - Google Patents

낙하산이 구비된 드론 및 발사체의 드론 방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5965B1
KR102275965B1 KR1020190177893A KR20190177893A KR102275965B1 KR 102275965 B1 KR102275965 B1 KR 102275965B1 KR 1020190177893 A KR1020190177893 A KR 1020190177893A KR 20190177893 A KR20190177893 A KR 20190177893A KR 102275965 B1 KR102275965 B1 KR 1022759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one
parachute
projectile
chuck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78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86776A (ko
Inventor
김세훈
김의정
김혜성
이운순
정용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화
Priority to KR10201901778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5965B1/ko
Publication of KR202100867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67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59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59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1/00Fuselages; Constructional features common to fuselages, wings, stabilising surfaces or the like
    • B64C1/30Parts of fuselage relatively movable to reduce overall dimensions of aircr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7/00Rotorcraft; Rotors peculiar thereto
    • B64C27/04Helicopters
    • B64C27/08Helicopters with two or more r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S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17/00Parachutes
    • B64D17/40Packs
    • B64D17/42Packs rig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S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17/00Parachutes
    • B64D17/62Deploy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S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17/00Parachutes
    • B64D17/80Parachutes in association with aircraft, e.g. for braking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S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25/00Emergency apparatus or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S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2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 in aircraft; Aircraft characterised thereby
    • B64D27/02Aircraft characterised by the type or position of power plant
    • B64D27/24Aircraft characterised by the type or position of power plant using steam, electricity, or spring fo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10/00Type of UAV
    • B64U10/10Rotorcraf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30/00Means for producing lift; Empennages; Arrangements thereof
    • B64U30/20Rotors; Rotor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50/00Propulsion; Power supply
    • B64U50/10Propulsion
    • B64U50/13Propulsion using external fans or prope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50/00Propulsion; Power supply
    • B64U50/10Propulsion
    • B64U50/19Propulsion using electrically powered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70/00Launching, take-off or landing arrangements
    • B64U70/80Vertical take-off or landing, e.g. using rockets
    • B64U70/83Vertical take-off or landing, e.g. using rockets using parachutes, balloons or the like
    • B64C2201/024
    • B64C2201/042
    • B64C2201/185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50/00Aeronautics or air transport
    • Y02T50/60Efficient propulsion technologies, e.g. for aircraft

Abstract

본 발명은 낙하산이 구비된 드론 및 발사체의 드론 방출 방법에 관한 것으로 낙하산이 구비된 드론은 비행이 가능한 드론 본체, 드론 본체의 상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며 탄체에서 방출된 후 펼쳐지는 낙하산을 내장한 낙하산팩부를 포함하여 발사체에서 방출된 후 낙하산으로 자세가 안정화된 후 비행하여 해당 지점에서 정찰 등의 전시 작전 업무를 수행하도록 하여 드론을 다양한 무기 체계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며 드론의 활용 시 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낙하산이 구비된 드론 및 발사체의 드론 방출 방법{DRONE WITH PARACHUTE AND METHOD OF DRONE RELEASE THEREOF}
본 발명은 낙하산이 구비된 드론 및 발사체의 드론 방출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발사체에 탑승된 후 외부로 방출되는 다수의 드론을 낙하산으로 자세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킨 후 비행하도록 한 드론이 탑재된 발사체 및 발사체의 드론 방출 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무선통신 방식을 통해 원격 제어되는 드론은 무인 비행체로 처음에는 군사용으로 개발되어 단순한 사격 연습에 사용되었으나, 전자 통신기술의 지속적 발전에 따라 군사용뿐만 아니라 촬영용 또는 운송용 등 다양한 분야로 확대 보급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드론은 양력을 출력하는 복수의 팬과, 팬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제어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팬은 배터리로부터 공급된 전력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구동축에 연결되는 프로펠러로 구성될 수 있다.
드론은 소형 비행체로 미래의 전시 상황에서 활용도가 높아지는 추세이고, 직접 전장에 투입하는 다양한 방법이 제시되고 있다.
현재 드론은 전장에서 정찰용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짧은 비행시간으로인해 정찰 업무에 대한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포탄에 정찰 장치를 달아 적군 감시 및 정찰을 하는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포탄 하나에 1기의 정찰 장치는 효율성이 떨어지며 포탄을 쏠 때의 충격으로 인해 장치가 망가지는 단점이 존재 한다.
그리고, 비행 중인 포탄 또는 미사일 등에서 드론이 방출되는 경우 드론이 비행 가능한 자세로 위치되지 못하고 추락하는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므로 실질적으로 드론을 포탄 또는 미사일에 탑재한 후 외부로 방출하는 데 있어 드론의 활용 효율이 매우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0001)한국특허등록 제1924011호 "정찰 드론과 화재 진압 드론을 포함하는 화재 진압 시스템"(2018.11.26.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발사체 내에 복수의 드론을 내장하여 발사체로 드론을 목표지점까지 이동 후 안전하게 방출하여 복수의 드론을 통한 효율적인 전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 드론이 탑재된 발사체 및 발사체의 드론 방출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낙하산이 구비된 드론의 일 실시예는 비행이 가능한 드론 본체, 드론 본체의 상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며 탄체에서 방출된 후 펼쳐지는 낙하산을 내장한 낙하산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드론 본체는 내부에 충전 배터리와 비행 제어부가 위치된 베이스 몸체부 및 상기 베이스 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며 단부 측에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프로펠러가 위치되는 날개암부를 포함하고, 상기 날개암부가 접혀져 상기 베이스 몸체부 내로 삽입되어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낙하산이 구비된 드론의 일 실시예는 상기 낙하산팩부를 상기 드론 본체와 분리 가능하게 장착시키는 낙하산 장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낙하산 장착부는 상기 날개암부가 회전되면서 상기 날개암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낙하산팩부의 구속을 해제하는 기계식 잠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낙하산 장착부는 상기 낙하산팩부 또는 상기 드론 본체의 상면에 위치되는 전자석부를 포함하여 상기 전자석부의 자력으로 상기 낙하산팩부를 상기 드론 본체의 상면에 구속시키는 전자식 잠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낙하산 장착부는 상기 날개암부가 회전되면서 상기 날개암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낙하산팩부의 구속을 해제하는 기계식 잠금부 및 상기 낙하산팩부 또는 상기 드론 본체의 상면에 위치되는 전자석부를 포함하여 상기 전자석부의 자력으로 상기 낙하산팩부를 상기 드론 본체의 상면에 구속시키는 전자식 잠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낙하산 장착부는 상기 기계식 잠금부와 상기 전자식 잠금부를 포함하여 낙하산이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날개암부를 회전시켜 1차적으로 상기 기계식 잠금부의 잠금을 해제하고 드론의 비행 가능한 자세로 안정화되었는지 확인된 후 상기 전자식 잠금부를 해제시켜 상기 낙하산팩부를 최종적으로 상기 드론 본체에서 분리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기계식 잠금부는 상기 낙하산팩부의 하부로 돌출되게 위치되며 하단부 측에 외측으로 걸림턱이 돌출된 걸림 돌기부재 및 상기 드론 본체에 위치되며 상기 걸림 돌기부재를 걸어 고정하고 상기 날개암부가 회전되어 펼쳐지면 걸림 상태를 해제하는 잠금 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잠금 척부는 상기 베이스 몸체부에 상, 하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고 내부로 걸림 돌기부재의 하단부 측이 삽입되어 걸림턱을 걸어 고정하는 콜렛척 및 상기 콜렛척과 상기베이스 몸체부의 사이에서 상기콜렛척의 위치를 지지하는 척 지지용 스프링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콜렛척은 상기 날개암부의 회전에 의해 승강되어 상기 걸림턱의 걸림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베이스 몸체부에는 상기콜렛척이 관통되는 척관통부가 위치되고, 상기 콜렛척의 하단부에는 상기 척관통부에 걸리고 상기척 지지용 스프링부재가 안착되는 스프링 안착부가 돌출되게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콜렛척은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어 위치되는 복수의 걸림편을 포함하고, 상기 걸림편은 상단부 측에 안쪽으로 돌출되어 걸림턱을 걸어 구속하는 척돌기가 위치되고, 경사지게 꺾여져 상단부 측의 척돌기를 오므려지게 하는 경사 가압부를 구비하며, 상기 경사 가압부는 상기 척관통부의 입구에서 눌려져 상기 척돌기가 안쪽으로 위치되도록 콜렛척의 상단부를 오므려지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날개암부에는 상기 콜렛척의 하단부가 삽입되어 위치되는 척홈부가 위치되고, 회전 방향으로 콜렛척의 승강을 안내하는 승강 가이드면이 위치되며, 상기 승강 가이드면은 상기 날개암부의 회전 방향으로 오르막 경사진 경사면으로 상기 날개암부의 회전 시 상기 콜렛척의 하단부를 밀어 들어 올리면서 상기 콜렛척이 승강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잠금 척부는 상기 걸림턱이 통과되는 걸림해제용 개방부가 위치되고 상기 날개암부의 회전축과 함께 회전되는 걸림 회전판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 회전판부재는 상기 날개암부가 회전되어 펼쳐질 때 상기 날개암부의 회전축과 함께 회전되어 상기 걸림해제용 개방부가 걸림턱과 일치되게 위치됨으로써 구속을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발사체의 드론 방출 방법의 일 실시예는 탄체로 기설정된 위치까지 비행시켜 이동하는 탄체 이동단계, 상기 탄체 이동단계로 기설정된 위치로 이동된 탄체에서 복수의 드론을 방출하는 드론 방출단계, 상기 드론 방출단계를 통해 탄체의 외부로 방출된 드론의 자세를 낙하산을 펼쳐 안정화하는 드론 자세 보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드론 자세 보정단계는 드론이 탄체의 외부로 방출되면서 낙하산이 전개되는 낙하산 전개과정, 상기 낙하산 전개과정 후 드론의 비행 가능 자세를 확인하는 드론 자세 확인과정, 상기 드론 자세 확인과정에서 드론의 비행이 가능한 자세로 확인되면 낙하산팩부를 분리하는 낙하산 분리과정 및 상기 낙하산 분리과정 후 프로펠러가 회전되어 드론의 비행이 활성화되는 비행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낙하산 분리과정은 접혀진 드론의 날개암부가 펼쳐지면서 기계식 잠금을 해제한 후 드론의 비행 가능 자세를 재확인하고, 드론 자세 재확인과정에서 최종적으로 드론의 비행 가능 자세가 확인되면 전자부의 자력을 해제하여 낙하산팩부를 최종적으로 드론과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사체의 드론 방출 방법.
본 발명에서 상기 드론 방출단계는 선형 외피 절개부가 작동되어 탄체를 복수의 조각으로 분리시키고, 가스 발생부를 작동시켜 탄체의 중심에 위치된 에어백을 팽창시키는 탄체 절개과정, 상기 탄체 절개과정 후 상기 드론이 내부에 보관된 복수의 방출용 보관함을 상기 에어백의 팽창력으로 상기 탄체의 외부로 방출시키는 보관함 방출과정 및 상기 보관함 방출과정에서 방출되는 방출용 보관함이 분리되면서 내부에 보관 중이 드론이 방출되는 드론 방출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보관함 방출과정은 무선 중계기를 내부에 보관하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방출용 보관함을 함께 방출하고, 상기 드론 방출과정은 드론을 방출용 보관함에서 방출함과 함께 무선 중계기가 내부에 보관 중인 방출용 보관함에서 무선 중계기를 방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발사체에서 방출된 후 낙하산으로 자세가 안정화된 후 비행하여 해당 지점에서 정찰 등의 전시 작전 업무를 수행하도록 하여 드론을 다양한 무기 체계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며 드론의 활용 시 효율을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미사일 등의 발사체 무기를 더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고, 드론을 활용한 정찰 기술을 선점하고 드론의 정찰 업무에 대한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키고 드론의 활용도를 크게 높이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낙하산이 구비된 드론이 탑재된 발사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낙하산이 구비된 드론이 탑재된 발사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낙하산이 구비된 드론이 탑재된 발사체에서 방출 보관함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낙하산이 구비된 드론이 탑재된 발사체에서 드론이 방출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낙하산이 구비된 드론이 탑재된 발사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발사체의 드론 방출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낙하산이 구비된 드론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낙하산이 구비된 드론에서 드론에 적용되는 기계식 잠금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낙하산이 구비된 드론에 적용되는 기계식 잠금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발사체의 드론 방출 방법에서 드론 자세 안정화단계를 예시한 순서도.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낙하산이 구비된 드론이 탑재된 발사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낙하산이 구비된 드론이 탑재된 발사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낙하산이 구비된 드론이 탑재된 발사체에서 방출 보관함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드론이 탑재된 발사체에서 방출 보관함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의 (b)는 본 발명에 따른 낙하산이 구비된 드론이 탑재된 발사체에서 방출 보관함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낙하산이 구비된 드론이 탑재된 발사체의 일 실시예를 하기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낙하산이 구비된 드론이 탑재된 발사체는 목표 지점까지 비행하는 탄체(100), 탄체(100)의 내부에 위치되며 비행 중 탄체(100)의 외부로 방출되는 복수의 드론(200)을 포함한다.
드론(200)은 무선전파의 유도에 의해서 비행 및 조종이 가능한 공지의 구성으로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함을 밝혀둔다.
본 발명에 따른 낙하산이 구비된 드론이 탑재된 발사체는 추진기관을 구비하고 목표 지점으로 비행하는 유도탄 또는 포탄일 수도 있고, 목표물을 향해 비행하는 공지의 다양한 탄의 일종일 수 있음을 밝혀둔다.
본 발명에 따른 낙하산이 구비된 드론이 탑재된 발사체는 유도부(110)와 탄두부(120), 신관부(130), 추진부(140)를 포함하는 유도 미사일인 것을 일 예로 하여 설명한다.
유도부(110)는 탄체(100)의 머리부분에 위치되어 탄체(100)를 목표지점으로 유도하는 전자 장비가 내장되며, 탄두부(120)와 신관부(130)는 탄체(100)의 몸체를 이루고, 추진부(140)는 탄체(100)의 뒷부분에 위치되어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추진기관이다.
신관부(130)는 탄두부(120)의 전방 또는 후방 측에 자유롭게 배치될 수 있고, 탄의 설계에 따라 자유롭게 위치될 수 있는 구성임을 밝혀둔다.
유도부(110), 탄두부(120), 신관부(130), 추진부(140)는 유도탄 등의 로켓에서 공지의 구성으로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함을 밝혀둔다.
복수의 드론(200)은 탄두부(120) 내에 위치되는 것을 일 예로 하고, 탄두부(120) 내에는 드론(200)이 내부에 보관되는 복수의 방출용 보관함(400)이 위치된다.
방출용 보관함(400)은 우레탄, 합성 고무 등 일정 강성 이상을 가지는 탄성 재질로 제조되어 내부에 보관되는 드론(200)을 방출 압력에서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방출용 보관함(400)은 후술될 에어백(310)의 전개에 의해 탄체(100)를 절단시키면서 탄체(100)의 외부로 방출될 때 변형이 최소화되는 강성을 가지고, 내부에 보관되는 드론(200)을 방출 압력에서 보호할 수 있는 공지의 다양한 재질로 제조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방출용 보관함(400)은 탄체(100)의 외부로 방출되면서 방출되는 힘에 의해 개방되어 내부에 보관 중인 드론(200)을 최종적으로 방출하는 역할을 한다.
탄체(100)의 내부 즉, 탄두부(120) 내에는 방출용 보관함(400)을 탄체(100)의 외부로 방출시킴과 아울러 방출용 보관함(400)을 개방시켜 드론(200)을 최종적으로 외부 즉, 대기 상으로 방출시키는 드론 방출부(300)가 위치된다.
드론 방출부(300)는 탄체(100)의 중심부에 위치되는 에어백(310), 에어백(310)에 가스를 충진시켜 에어백(310)을 팽창시키는 가스 발생부(320)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낙학산이 구비된 드론이 탑재된 발사체는 복수의 방출용 보관함(400)으로 구성되어 중심에 중공부가 위치되는 링형상의 보관함 모듈(400a)을 포함하고, 보관함 모듈(400a)이 탄체(100)의 길이 방향 즉, 탄두부(120)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로 적층된 구조를 가진다.
방출용 보관함(400)은 중공부를 포함하는 도넛 형상의 박스체가 복수로 분할된 부채꼴 형상을 가지며, 중공부를 포함하는 도넛 형상의 박스체가 4개로 분할된 형태를 가지는 것을 일 예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낙하산이 구비된 드론이 탑재된 발사체는 복수의 방출용 보관함(400)을 포함하는 보관함 모듈(400a)이 탄체(100)의 길이방향으로 복수로 적층된 구조를 가져 다수의 드론(200)을 효율적으로 보관할 수 있다.
보관함 모듈(400a)의 중공부 내에는 드론 방출부(300) 즉, 가스 발생부(320)와 에어백(310)이 위치되고, 에어백(310)은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가스 발생부(320)와 에어백(310)은 탄체(100) 내에서 길이 방향으로 위치되어 길이 방향으로 적층된 각 보관함 모듈(400a)을 각각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밀어 탄체(100)의 외부로 방출시킬 수 있게 한다.
가스 발생부(320)는 에어백(310) 내에 가스를 주입하여 에어백(310)을 팽창시키는 공지의 가스 발생기를 이용하여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는 바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함을 밝혀둔다.
복수의 에어백(310)은 각 방출용 보관함(400)의 경계에 위치되어 하나의 에어백(310)이 맞붙어 위치되는 2개의 방출용 보관함(400)을 외측으로 밀어 방출시키는 것을 일 예로 한다.
방출용 보관함(400)은 서로 연결되어 중앙에 중공부를 형성하는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방출용 보관함(400)은 일측이 개방되는 제1보관함부재(410), 타측이 개방되며 적어도 일부분이 제1보관함부재(410) 내에 삽입되는 제2보관함부재(420)를 포함하며 에어백(310)의 팽창에 의한 방출 압력에 의해 제1보관함부재(410)와 제2보관함부재(420)가 서로 분리되는 구조를 가진다.
도 3에서 방출용 보관함(400)은 제1보관함부재(410)와 제2보관함부재(420)가 좌, 우 방향으로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제1보관함부재(410)와 제2보관함부재(420)의 결합 방향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 하 방향, 대각선 방향 등으로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방출용 보관함(400)은 에어백(310)의 팽창에 의한 방출 압력으로 탄체(100)의 외부로 방출될 때 분리될 수 있는 결합상태를 가지는 구조로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탄두부(120)의 내주면에는 에어백(310)의 팽창에 의한 방출 압력으로 탄체(100)가 절개될 수 있도록 하는 노치홈(100a)이 위치된다.
노치홈(100a)은 탄체(10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탄체(100)의 중심에서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게 복수로 위치되어 복수의 에어백(310)의 팽창에 의한 압력으로 탄체(100)가 복수의 조각으로 분리되면서 복수의 방출용 보관함(400)을 탄체(100)의 외부로 방출시킬 수 있게 한다.
노치홈(100a)은 탄체(100)의 내주면에서 2개의 방출용 보관함(400) 사이 경계에 위치되어 2개의 방출용 보관함(400)이 노치홈(100a)을 중심으로 노치홈(100a)의 양측에 위치하게 되어 에어백(310)에 의한 방출 압력으로 노치홈(100a)이 더 원활하게 절개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낙하산이 구비된 드론이 탑재된 발사체는 탄체(100)의 내주면에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게 위치되어 탄체(100)를 길이 방향으로 절단하여 탄체(100)를 복수의 조각을 분리하는 선형 외피 절개부(600)를 더 포함한다.
선형 외피 절개부(600)는 금속튜브(611) 내에 고폭화약(612)이 삽입된 선형 절개용 튜브 기폭부(610), 선형 절개용 튜브 기폭부(610)가 삽입되는 기폭부 삽입홈(621)이 위치된 선형 절개 지지부재(620), 성형 절개 지지부재의 일 측을 탄체(300)에 고정시키는 지지체 고정부재(630)를 포함한다.
지지체 고정부재(630)는 볼트 체결로 선형 절개 지지부재(620)의 일 측을 탄체에 고정시키는 고장력 볼트인 것을 일 예로 하며, 노치홈(100a)을 기준으로 노치홈(100a)의 일측에서만 선형 절개 지지부재(620)를 탄체(100)의 내주면에 고정시킨다.
선형 절개용 튜브 기폭부(610)는 내부에 RDX(Research Department Explosive, cyclonite), HNS(Hexanitrostilbene)의 고폭화약(612)이 금속튜브(611)에 저장된 MDF(Mild-detonating Fuse)인 것을 일 예로 한다.
선형 외피 절개부(600)는 노치홈(100a)에 대응되는 위치로 선형 절개용 튜브 기폭부(610)가 위치되도록 하여 노치홈(100a)에 화약 에너지가 집중되어 탄체가 원활하게 절개될 수 있도록 한다.
기폭부 삽입홈(621)은 노치홈(100a)을 향해 개방되어 기폭 후 발생되는 화약 에너지가 노치홈(100a)을 향하도록 한다.
선형 외피 절개부(600)는 선형 절개용 튜브 기폭부(610)가 기폭되면서 발생되는 화약 에너지를 노치홈에 집중시켜 탄체를 원활하게 선형으로 절개시켜 복수의 조각으로 분리시킨다.
선형 외피 절개부(600)는 이외에도 유연선상성형장약(FLSC, flexible linear shaped charge)을 이용한 절개 장치를 활용할 수도 있고, 파편, 가스 발생을 억제하고 파이로충격을 저감시켜주는 팽창튜브 기반 선형분리장치 등 공지의 선형분리장치를 이용하여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가스 발생부(320)와 선형 외피 절개부(600)는 탄체(100)가 비행하여 기설정된 위치까지 도달하면 작동되는 것이고, 타이머를 이용하여 설정될 수도 있고, 위치를 확인하는 GPS를 이용하여 설정될 수도 있고, 무선 통신을 통해 메인 제어실로부터 제어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또한, 선형 절개용 튜브 기폭부(610)를 기폭시키는 기폭 구조는 공지의 기폭 구조를 이용하여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즉, 탄체(100)가 비행하여 기설정된 위치까지 도달하면 선형 외피 절개부(600)가 작동되어 탄체(100)를 노치홈(100a)을 통해 복수의 조각으로 분리시키게 되고, 이와 동시에 가스 발생부(320)에 의해 에어백(310)에 가스가 공급되어 에어백(310)이 급속으로 팽창되면서 중공부 내에서 보관함 모듈(400a)의 각 방출용 보관함(400)을 탄체(100)의 외부로 밀어 복수의 방출용 보관함(400)이 에어백(310)의 팽창력에 의해 탄체(100)의 외부로 방출된다.
그리고, 도 4에서와 같이 방출용 보관함(400)이 에어백(310)의 팽창력에 의해 탄체(100)의 외부로 방출될 때 제1보관함부재(410)와 제2보관함부재(420)가 분리되면서 내부에 위치된 드론(200)이 최종적으로 방출된다.
드론(200)은 방출된 후 기설정된 비행 경로로 자동 비행하여 주변을 정찰하는 등 작전 업무를 수행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낙하산이 구비된 드론이 탑재된 발사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를 참고하면 복수의 방출용 보관함(4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드론(200)의 무선 통신 거리를 늘려주는 무선 중계기(500)가 위치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낙하산이 구비된 드론이 탑재된 발사체는 탄체(100) 내에 위치되고 드론(200)과 함께 방출되며 드론(200)의 무선 통신을 위한 무선 중계기(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중계기(500)는 드론(200)과 드론(200)으로부터 정보를 전달받거나 드론(2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본부와의 무선 통신을 위한 중계기로 공지의 무선 통신을 위한 공지의 중계기로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함을 밝혀둔다.
탄체(100)의 길이 방향으로 적층되어 위치되는 복수의 보관함 모듈(400a) 중 어느 한 보관함 모듈(400a)에는 각각의 방출용 보관함(400)에 무선 중계기(500)가 위치될 수 있다.
무선 중계기(500)는 드론(200)과 같은 원리로 즉, 에어백(310)의 팽창에 따라 방출용 보관함(400)이 탄체(100)의 외부로 방출된 후 방출용 보관함(400)에서 방출되어 지면에 낙하되어 드론(200)이 제어본부와 안정적으로 무선통신할 수 있도록 하여 드론(200)으로부터 촬영된 정찰 정보 등이 제어본부로 원활하게 전송될 수 있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발사체의 드론 방출 방법에 대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공정도이고, 도 2, 도 5,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발사체의 드론 방출 방법의 일 실시예는 탄체(100)로 기설정된 위치까지 비행시켜 이동하는 탄체 이동단계(S100), 탄체 이동단계(S100)로 기설정된 위치로 이동된 탄체(100)에서 복수의 드론(200)을 방출하는 드론 방출단계(S200)를 포함한다.
그리고, 드론 방출단계(S200)는 선형 외피 절개부(600)가 작동되어 탄체(100)를 복수의 조각으로 분리시키고, 가스 발생부(320)를 작동시켜 탄체(100)의 중심에 위치된 에어백(310)을 팽창시키는 탄체 절개과정(S210), 탄체 절개과정(S210) 후 드론(200)이 내부에 보관된 복수의 방출용 보관함(400)을 에어백(310)의 팽창력으로 탄체(100)의 외부로 방출시키는 보관함 방출과정(S220), 보관함 방출과정(S220)에서 방출되는 방출용 보관함(400)이 분리되면서 내부에 보관 중이 드론(200)이 방출되는 드론 방출과정(S230)을 포함한다.
또한, 보관함 방출과정(S220)은 무선 중계기(500)를 내부에 보관하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방출용 보관함(400)을 함께 방출하고, 드론 방출과정(S230)은 드론(200)을 방출용 보관함(400)에서 방출함과 함께 무선 중계기(500)가 내부에 보관 중인 방출용 보관함(400)에서 무선 중계기를 방출한다.
즉, 보관함 방출과정(S220)은 탄체(100)의 외부로 방출된 복수의 방출용 보관함(400)이 제1보관함부재(410)와 제2보관함부재(420)로 분리되면서 내부에 보관 중인 드론(200) 또는 중계기(500)를 최종적으로 방출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발사체의 드론 방출 방법은 선형 외피 절개부(600)가 작동되어 탄체를 복수의 조각으로 분리시키고, 에어백(310)의 팽창을 이용하여 드론(200)이 내부에 보관 중이 방출용 보관함(400)을 일차적으로 방출하고, 방출된 방출용 보관함(400)에서 드론(200)을 2차적으로 방출함으로써 복수의 드론(200)을 서로 먼 거리로 떨어뜨려 방출시켜 복수의 드론(200)으로 더 넓은 지역에 대한 작전 수행을 안정적으로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발사체의 드론 방출 방법은 에어백(310)의 팽창을 이용하여 드론(200)이 내부에 보관 중이 방출용 보관함(400)을 일차적으로 방출하고, 방출된 방출용 보관함(400)에서 드론(200)을 2차적으로 방출함으로써 드론(200)을 파손 없이 안정적으로 방출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낙하산이 구비된 드론(20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 및 도 8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낙하산이 구비된 드론(200)은 비행이 가능한 드론 본체(210), 드론 본체(210)의 상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며 탄체(100)에서 방출된 후 펼쳐지는 낙하산(220a)을 내장한 낙하산팩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드론 본체(210)는 내부에 충전 배터리와 비행 제어부가 위치된 베이스 몸체부(211), 베이스 몸체부(211)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며 단부 측에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프로펠러가 위치되는 날개암부(212)를 포함하고, 날개암부(212)가 접혀져 베이스 몸체부(211) 내로 삽입되어 위치될 수 있는 접이식 드론(200)인 것을 일 예로 한다.
드론 본체(210)는 날개암부(212)가 접혀져 베이스 몸체부(211) 내로 삽입되어 위치됨으로써 방출용 보관함(400)의 내부에 컴팩트한 크기로 삽입될 수 있어 베이스 몸체부(211)의 크기를 최대한 크게 설계할 수 있고, 이로써 충전 배터리의 용량을 크게 할 수 있고, 안정적인 무선 통신을 위한 무선 장비를 내장할 수 있게 된다.
베이스 몸체부(211)는 외측면 둘레로 날개암부(212)가 접혀져 보관될 수 있는 암삽입부(211a)가 위치되고, 날개암부(212)는 암회전부에 의해 회전되어 접혀져 보관되고 비행 시 펼쳐져 사용될 수 있다.
낙하산팩부(220)는 드론(200)이 발사체 내에서 방출되면서 낙하산(220a)을 펼쳐 에어백(310)의 팽창력으로 방출되는 드론(200)이 비행 가능한 위치로 안정화될 수 있도록 한다.
낙하산팩부(220)는 방출용 보관함(400)이 제1보관함부재(410)와 제2보관함부재(420)로 분리되면서 드론(200)이 최종적으로 방출될 때 낙하산(220a)이 펼쳐지도록 작동된다.
낙하산팩부(220)는 에어백(310)이 전개된 시점으로부터 기설정된 시간 후에 자동으로 낙하산(220a)이 펼쳐지도록 하여 드론(200)이 최종적으로 방출용 보관함(400)에서 방출된 후 낙하산(220a)이 자동으로 펼쳐지도록 한다.
또한, 낙하산팩부(220)와 드론 본체(210)는 무선통신하고, 드론 본체(210) 내에 위치된 가속도 센서에서 드론 본체(210)가 방출되면서 발생되는 가속력에 의해 드론 본체(210)가 방출되는 것을 감지하고, 방출 신호가 감지되면 이를 낙하산팩부(220)로 전달하여 낙하산팩부(220)가 작동하여 낙하산(220a)을 펼칠 수 있게 할 수 있다.
또한, 낙하산팩부(220)는 탄체(100)의 유도부(110)에서 별도의 전개신호를 전달받아 낙하산(220a)을 전개시킬 수도 있고, 이외에도 공지의 낙하산 전개 시스템을 이용하여 드론(200)이 탄체(100)의 외부로 방출된 상태에서 낙하산(220a)을 펼쳐지도록 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낙하산이 구비된 드론(200)은 낙하산팩부(220)를 드론 본체와 분리 가능하게 장착시키는 낙하산 장착부(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낙하산 장착부(230)는 날개암부(212)가 회전되면서 날개암부(212)의 회전에 의해 낙하산팩부(220)의 구속을 해제하는 기계식 잠금부(231)를 포함할 수 있다.
기계식 잠금부(231)는 낙하산팩부(220)의 하부로 돌출되게 위치되며 하단부 측에 외측으로 걸림턱이 돌출된 걸림 돌기부재(232), 드론 본체(210)에 위치되며 걸림 돌기부재(232)를 걸어 고정하고 날개암부(212)가 회전되어 펼쳐지면 걸림 상태를 해제하는 잠금 척부(23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낙하산 장착부(230)는 낙하산팩부(220) 또는 드론 본체(210)의 상면에 위치되는 전자석부(237a)를 포함하여 전자석부(237a)의 자력으로 낙하산팩부(220)를 드론 본체(210)의 상면에 구속시키는 전자식 잠금부(237)를 포함할 수 있다.
낙하산 장착부(230)는 날개암부(212)가 회전되면서 날개암부(212)의 회전에 의해 낙하산팩부(220)의 구속을 해제하는 기계식 잠금부(231)와 낙하산팩부(220) 또는 드론 본체(210)의 상면에 위치되는 전자석부(237a)를 포함하여 전자석부(237a)의 자력으로 낙하산팩부(220)를 드론 본체(210)의 상면에 구속시키는 전자식 잠금부(237)를 포함할 수 있다.
낙하산 장착부(230)는 기계식 잠금부(231)와 전자식 잠금부(237)를 포함하여 낙하산(220a)이 펼쳐진 상태에서 날개암부(212)를 회전시켜 1차적으로 기계식 잠금부(231)의 잠금을 해제하고 드론(200)의 비행 가능한 자세로 안정화되었는지 확인하고, 드론(200)의 자세가 비행 가능한 자세로 위치되면 전자식 잠금부(237)가 해제되어 낙하산팩부(220)가 최종적으로 드론 본체(210)에서 분리되어 제거된다.
드론(200)이 탄체(100)의 외부로 방출되어 낙하산팩부(220)가 펼쳐진 상태에서 드론(200)의 비행 제어부는 드론(200) 내 자이로센서로 드론(200)이 비행 가능한 자세인지를 확인하고 날개암부(212)를 회전시켜 작동 위치로 위치시키며 이 때 기계식 잠금부(231)는 날개암부(212)의 회전으로 작동되어 낙하산팩부(220)의 구속을 해제하게 된다.
그리고, 날개암부(212)가 펼쳐진 상태에서 드론(200)의 비행 제어부는 드론(200) 내 자이로센서로 드론(200)이 비행 가능한 자세인지를 최종적으로 확인하고 전자석부(237a)의 작동을 정지시켜 전자식 잠금부(237)의 구속을 해제하여 낙하산팩부(220)를 드론 본체(210)에서 분리시켜 제거하고 바로 프로펠러를 작동시켜 드론 본체(210)가 기설정된 비행 경로로 비행하여 작전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낙하산이 구비된 드론이 탑재된 발사체에서 드론(200)에 적용되는 기계식 잠금부(231)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9 및 도 10을 참고하면 잠금 척부(233)는 베이스 몸체부(211)에 상, 하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고 내부로 걸림 돌기부재(232)의 하단부 측이 삽입되어 걸림턱을 걸어 고정하는 콜렛척(234), 콜렛척(234)과 베이스 몸체부(211)의 사이에서 콜렛척(234)의 위치를 지지하는 척 지지용 스프링부재(235)를 포함하고, 콜렛척(234)은 날개암부(212)의 회전에 의해 승강되어 걸림턱의 걸림 상태를 해제한다.
또한 베이스 몸체부(211)에는 콜렛척(234)이 관통되는 척관통부(211b)가 위치되고, 콜렛척(234)의 하단부에는 척관통부(211b)에 걸리고 척 지지용 스프링부재(235)가 안착되는 스프링 안착부(234d)가 돌출되게 위치된다.
콜렛척(234)은 도 10에 도시된 구조로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어 위치되는 복수의 걸림편(234a)을 포함하고, 걸림편(234a)은 상단부 측에 안쪽으로 돌출되어 걸림턱을 걸어 구속하는 척돌기(234b)가 위치되고, 경사지게 꺾여져 상단부 측의 척돌기(234b)를 오므려지게 하는 경사 가압부(234c)를 구비한다.
경사 가압부(234c)는 척관통부(211b)의 입구에서 눌려져 척돌기(234b)가 안쪽으로 위치되도록 콜렛척(234)의 상단부를 오므려지게 한다.
날개암부(212)에는 콜렛척(234)의 하단부가 삽입되어 위치되는 척홈부(212a)가 위치되고, 회전 방향으로 콜렛척(234)의 승강을 안내하는 승강 가이드면이 위치된다.
승강 가이드면은 날개암부(212)의 회전 방향으로 오르막 경사진 경사면으로 날개암부(212)의 회전 시 콜렛척(234)의 하단부를 밀어 들어 올리면서 콜렛척(234)이 승강되도록 한다.
콜렛척(234)은 날개암부(212)가 회전되면서 척 지지용 스프링부재(235)를 압축하면서 승강되어 상단부 측이 벌어지면서 척돌기(234b)가 걸림턱의 걸림 상태를 해제하면서 걸림턱에 의한 낙하산팩부(220)의 구속을 해제하게 된다.
콜렛척(234)은 밀어 올려지면 단부 측이 벌어지면서 잠금을 해제하게 되는 공지의 콜렛척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함을 밝혀둔다.
한편,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낙하산이 구비된 드론이 탑재된 발사체에서 드론(200)에 적용되는 기계식 잠금부(231)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을 참고하면 잠금 척부(233)는 걸림턱이 통과되는 걸림해제용 개방부(236a)가 위치되고 날개암부(212)의 회전축과 함께 회전되는 걸림 회전판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걸림 회전판부재는 날개암부(212)가 회전되어 펼쳐질 때 날개암부(212)의 회전축과 함께 회전되어 걸림해제용 개방부(236a)가 걸림턱과 일치되게 위치됨으로써 구속을 해제하여 낙하산팩부(220)가 드론 본체(210)에서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발사체의 드론 방출 방법에서 드론 자세 보정단계(S300)를 예시한 순서도이고, 도 6 및 도 11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발사체의 드론 방출 방법은 발사체에서 방출된 드론(200)의 비행을 안정화하는 드론 자세 보정단계(S300)를 더 포함하며, 드론 자세 보정단계(S300)는 드론(200)이 탄체(100)의 외부로 방출되면서 낙하산이 전개되는 낙하산 전개과정(S310), 낙하산 전개과정(S310) 후 드론(200)의 비행 가능 자세를 확인하는 드론 자세 확인과정(S320), 드론 자세 확인과정(S320)에서 드론(200)의 비행이 가능한 자세로 확인되면 낙하산팩부(220)를 분리하는 낙하산 분리과정(S330), 낙하산 분리과정(S330) 후 프로펠러가 회전되어 드론(200)의 비행이 활성화되는 비행과정(S340)을 포함한다.
낙하산 분리과정(S330)은 접혀진 드론(200)의 날개암부(212)가 펼쳐지면서 기계식 잠금을 해제한 후 드론(200)의 비행 가능 자세를 재확인하고, 드론(200) 자세 재확인과정에서 최종적으로 드론(200)의 비행 가능 자세가 확인되면 전자부의 자력을 해제하여 낙하산팩부(220)를 최종적으로 드론(200)과 분리한다.
드론(200)의 비행 가능 자세는 드론(200) 내에 위치되는 자이로 센서에 의해 드론(200)의 비행을 제어하는 비행 제어부에서 확인될 수 있고, 드론 자세 보정단계(S300)는 드론(200)의 비행 자세가 완전하게 이루어진 상태에서 낙하산팩부(220)를 분리하여 드론(200)이 방출되는 충격에 의해 추락하는 사고를 방지하고, 드론(200)이 비행과정(S340)을 통해 안정적으로 정찰 업무 등의 작전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드론 자세 보정단계(S300)는 드론(200)의 비행 자세가 완전하게 이루어진 상태에서 낙하산팩부(220)를 분리하고 프로펠러를 작동시켜 드론(200)을 안정적으로 비행하도록 함으로써 드론(200)의 비행 시간을 늘려주고 드론(200)의 작전 업무에 대한 수행 시간을 증대시켜 정찰 등 드론(200)의 작전 업무 수행 효율을 향상시키게 된다.
본 발명은 발사체에서 방출된 후 낙하산으로 자세가 안정화된 후 비행하여 해당 지점에서 정찰 등의 전시 작전 업무를 수행하도록 하여 드론을 다양한 무기 체계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며 드론의 활용 시 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미사일 등의 발사체 무기를 더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고, 드론을 활용한 정찰 기술을 선점하고 드론의 정찰 업무에 대한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키고 드론의 활용도를 크게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구성에 포함됨을 밝혀둔다.
100 : 탄체 100a : 노치홈
110 : 유도부 120 : 탄두부
130 : 신관부 140 : 추진부
200 : 드론 210 : 드론 본체
211 : 베이스 몸체부 211a : 암삽입부
211b : 척관통부 212 : 날개암부
212a : 척홈부 220 : 낙하산팩부
220a : 낙하산 230 : 낙하산 장착부
231 : 기계식 잠금부 232 : 걸림 돌기부재
233 : 잠금 척부 234 : 콜렛척
234a : 걸림편 234b : 척돌기
234c : 경사 가압부 234d : 스프링 안착부
235 : 척 지지용 스프링부재 236 : 회전판부재
236a : 걸림해제용 개방부 237 : 전자식 잠금부
237a : 전자석부 300 : 드론 방출부
310 : 에어백 320 : 가스 발생부
400 : 방출용 보관함 400a : 보관함 모듈
410 : 제1보관함부재 420 : 제2보관함부재
500 : 무선 중계기 600 : 선형 외피 절개부
610 : 선형 절개용 튜브 기폭부 611 : 금속튜브
612 : 고폭화약 620 : 선형 절개 지지부재
630 : 지지체 고정부재
S100 : 탄체 이동단계 S200 : 드론 방출단계
S210 : 탄체 절개과정 S220 : 보관함 방출과정
S230 : 드론 방출과정 S240 : 중계기 방출과정
S300 : 드론 자세 보정단계 S310 : 낙하산 전개과정
S320 : 드론 자세 확인과정 S330 : 낙하산 분리과정
S340 : 비행과정

Claims (18)

  1. 목표 지점까지 비행하는 탄체의 내부에 위치되며 비행 중 상기 탄체의 외부로 방출되는 드론이며,
    비행이 가능하고, 상기 탄체에서 방출되는 드론 본체;
    상기 드론 본체의 상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드론 본체가 상기 탄체에서 방출된 후 펼쳐지는 낙하산을 내장한 낙하산팩부; 및
    상기 낙하산팩부를 상기 드론 본체와 분리 가능하게 장착시키는 낙하산 장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드론 본체는,
    내부에 충전 배터리와 비행 제어부가 위치된 베이스 몸체부; 및
    상기 베이스 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며 단부 측에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프로펠러가 위치되는 날개암부를 포함하고,
    상기 날개암부가 접혀져 상기 베이스 몸체부 내로 삽입되어 위치될 수 있고,
    상기 낙하산 장착부는,
    상기 날개암부가 회전되면서 상기 날개암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낙하산팩부의 구속을 해제하는 기계식 잠금부; 및
    상기 낙하산팩부 또는 상기 드론 본체의 상면에 위치되는 전자석부를 포함하여 상기 전자석부의 자력으로 상기 낙하산팩부를 상기 드론 본체의 상면에 구속시키는 전자식 잠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산이 구비된 드론.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낙하산 장착부는,
    상기 기계식 잠금부와 상기 전자식 잠금부를 포함하여 낙하산이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날개암부를 회전시켜 1차적으로 상기 기계식 잠금부의 잠금을 해제하고 드론의 비행 가능한 자세로 안정화되었는지 확인된 후 상기 전자식 잠금부를 해제시켜 상기 낙하산팩부를 최종적으로 상기 드론 본체에서 분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산이 구비된 드론.
  8. 목표 지점까지 비행하는 탄체의 내부에 위치되며 비행 중 상기 탄체의 외부로 방출되는 드론이며,
    비행이 가능하고, 상기 탄체에서 방출되는 드론 본체;
    상기 드론 본체의 상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드론 본체가 상기 탄체에서 방출된 후 펼쳐지는 낙하산을 내장한 낙하산팩부; 및
    상기 낙하산팩부를 상기 드론 본체와 분리 가능하게 장착시키는 낙하산 장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드론 본체는,
    내부에 충전 배터리와 비행 제어부가 위치된 베이스 몸체부; 및
    상기 베이스 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며 단부 측에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프로펠러가 위치되는 날개암부를 포함하고,
    상기 날개암부가 접혀져 상기 베이스 몸체부 내로 삽입되어 위치될 수 있고,
    상기 낙하산 장착부는,
    상기 날개암부가 회전되면서 상기 날개암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낙하산팩부의 구속을 해제하는 기계식 잠금부를 포함하며,
    상기 기계식 잠금부는,
    상기 낙하산팩부의 하부로 돌출되게 위치되며 하단부 측에 외측으로 걸림턱이 돌출된 걸림 돌기부재; 및
    상기 드론 본체에 위치되며 상기 걸림 돌기부재를 걸어 고정하고 상기 날개암부가 회전되어 펼쳐지면 걸림 상태를 해제하는 잠금 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산이 구비된 드론.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잠금 척부는,
    상기 베이스 몸체부에 상, 하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고 내부로 걸림 돌기부재의 하단부 측이 삽입되어 걸림턱을 걸어 고정하는 콜렛척; 및
    상기 콜렛척과 상기베이스 몸체부의 사이에서 상기콜렛척의 위치를 지지하는 척 지지용 스프링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콜렛척은 상기 날개암부의 회전에 의해 승강되어 상기 걸림턱의 걸림 상태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산이 구비된 드론.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몸체부에는 상기콜렛척이 관통되는 척관통부가 위치되고,
    상기 콜렛척의 하단부에는 상기 척관통부에 걸리고 상기척 지지용 스프링부재가 안착되는 스프링 안착부가 돌출되게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산이 구비된 드론.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콜렛척은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어 위치되는 복수의 걸림편을 포함하고,
    상기 걸림편은 상단부 측에 안쪽으로 돌출되어 걸림턱을 걸어 구속하는 척돌기가 위치되고, 경사지게 꺾여져 상단부 측의 척돌기를 오므려지게 하는 경사 가압부를 구비하며,
    상기 경사 가압부는 상기 척관통부의 입구에서 눌려져 상기 척돌기가 안쪽으로 위치되도록 콜렛척의 상단부를 오므려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산이 구비된 드론.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날개암부에는 상기 콜렛척의 하단부가 삽입되어 위치되는 척홈부가 위치되고, 회전 방향으로 콜렛척의 승강을 안내하는 승강 가이드면이 위치되며,
    상기 승강 가이드면은 상기 날개암부의 회전 방향으로 오르막 경사진 경사면으로 상기 날개암부의 회전 시 상기 콜렛척의 하단부를 밀어 들어 올리면서 상기 콜렛척이 승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산이 구비된 드론.
  13.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잠금 척부는,
    상기 걸림턱이 통과되는 걸림해제용 개방부가 위치되고 상기 날개암부의 회전축과 함께 회전되는 걸림 회전판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 회전판부재는 상기 날개암부가 회전되어 펼쳐질 때 상기 날개암부의 회전축과 함께 회전되어 상기 걸림해제용 개방부가 걸림턱과 일치되게 위치됨으로써 구속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산이 구비된 드론.
  14. 탄체로 기설정된 위치까지 비행시켜 이동하는 탄체 이동단계;
    상기 탄체 이동단계로 기설정된 위치로 이동된 탄체에서 복수의 드론을 방출하는 드론 방출단계; 및
    상기 드론 방출단계를 통해 탄체의 외부로 방출된 드론의 자세를 낙하산을 펼쳐 안정화하는 드론 자세 보정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드론 방출단계는,
    선형 외피 절개부가 작동되어 탄체를 복수의 조각으로 분리시키고, 가스 발생부를 작동시켜 탄체의 중심에 위치된 에어백을 팽창시키는 탄체 절개과정;
    상기 탄체 절개과정 후 상기 드론이 내부에 보관된 복수의 방출용 보관함을 상기 에어백의 팽창력으로 상기 탄체의 외부로 방출시키는 보관함 방출과정; 및
    상기 보관함 방출과정에서 방출되는 방출용 보관함이 분리되면서 내부에 보관 중이 드론이 방출되는 드론 방출과정을 포함하는 발사체의 드론 방출 방법.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드론 자세 보정단계는,
    드론이 탄체의 외부로 방출되면서 낙하산이 전개되는 낙하산 전개과정;
    상기 낙하산 전개과정 후 드론의 비행 가능 자세를 확인하는 드론 자세 확인과정;
    상기 드론 자세 확인과정에서 드론의 비행이 가능한 자세로 확인되면 낙하산팩부를 분리하는 낙하산 분리과정; 및
    상기 낙하산 분리과정 후 프로펠러가 회전되어 드론의 비행이 활성화되는 비행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사체의 드론 방출 방법.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낙하산 분리과정은 접혀진 드론의 날개암부가 펼쳐지면서 기계식 잠금을 해제한 후 드론의 비행 가능 자세를 재확인하고, 드론 자세 재확인과정에서 최종적으로 드론의 비행 가능 자세가 확인되면 전자부의 자력을 해제하여 낙하산팩부를 최종적으로 드론과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사체의 드론 방출 방법.
  17. 삭제
  18.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보관함 방출과정은 무선 중계기를 내부에 보관하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방출용 보관함을 함께 방출하고,
    상기 드론 방출과정은 드론을 방출용 보관함에서 방출함과 함께 무선 중계기가 내부에 보관 중인 방출용 보관함에서 무선 중계기를 방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사체의 드론 방출 방법.
KR1020190177893A 2019-12-30 2019-12-30 낙하산이 구비된 드론 및 발사체의 드론 방출 방법 KR1022759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7893A KR102275965B1 (ko) 2019-12-30 2019-12-30 낙하산이 구비된 드론 및 발사체의 드론 방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7893A KR102275965B1 (ko) 2019-12-30 2019-12-30 낙하산이 구비된 드론 및 발사체의 드론 방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6776A KR20210086776A (ko) 2021-07-09
KR102275965B1 true KR102275965B1 (ko) 2021-07-13

Family

ID=76858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7893A KR102275965B1 (ko) 2019-12-30 2019-12-30 낙하산이 구비된 드론 및 발사체의 드론 방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596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73990A (ko) 2022-06-20 2023-12-27 한찬우 측면 사출식 드론용 비상 낙하산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535278B (zh) * 2022-11-01 2023-07-07 数字鹰航空科技(泰州)有限公司 一种警用无人机侦查拍照装置及使用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51667A1 (en) * 2001-12-21 2005-03-10 Arlton Paul E. Micro-rotorcraft surveillance system
CN104527984A (zh) * 2014-12-25 2015-04-22 西安爱生技术集团公司 无人机降落伞自动脱落机构
US20160293015A1 (en) * 2013-12-14 2016-10-06 Oleksiy Bragin Projectile launched uav reconnaissance system and method
US20180170510A1 (en) * 2016-12-15 2018-06-21 Raytheon Company Tube launched hybrid multirotor methods and apparatus for system
KR101924011B1 (ko) 2018-01-22 2018-11-30 주식회사 마노 정찰 드론과 화재 진압 드론을 포함하는 화재 진압 시스템
US20190023415A1 (en) * 2009-09-09 2019-01-24 Aerovironment, Inc. Systems and devices for remotely operated unmanned aerial vehicle report-suppressing launcher with portable rf transparent launch tube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51667A1 (en) * 2001-12-21 2005-03-10 Arlton Paul E. Micro-rotorcraft surveillance system
US20090212157A1 (en) * 2001-12-21 2009-08-27 Arlton Paul E Micro-rotorcraft surveillance system
US20190023415A1 (en) * 2009-09-09 2019-01-24 Aerovironment, Inc. Systems and devices for remotely operated unmanned aerial vehicle report-suppressing launcher with portable rf transparent launch tube
US20160293015A1 (en) * 2013-12-14 2016-10-06 Oleksiy Bragin Projectile launched uav reconnaissance system and method
CN104527984A (zh) * 2014-12-25 2015-04-22 西安爱生技术集团公司 无人机降落伞自动脱落机构
US20180170510A1 (en) * 2016-12-15 2018-06-21 Raytheon Company Tube launched hybrid multirotor methods and apparatus for system
KR101924011B1 (ko) 2018-01-22 2018-11-30 주식회사 마노 정찰 드론과 화재 진압 드론을 포함하는 화재 진압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유튜브 https://youtu.be/9Jlm2olEyXI, US Military Released Micro Drone Swarm From aircraft & a Baseball Machine to destroy Next Enemies(2019.12.1.)*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73990A (ko) 2022-06-20 2023-12-27 한찬우 측면 사출식 드론용 비상 낙하산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6776A (ko) 2021-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7222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ersing munitions from a projectile
US10401129B2 (en) Interdiction and recovery for small unmanned aircraft systems
CN110709322B (zh) 飞行体以及飞行体的控制方法
CA3045051C (en) Launching arrangement for a missile for intercepting alien drones
JP6236237B2 (ja) 発射物が展開される対抗手段システムおよび方法
EP1594736B1 (en) Pneumatic launcher for a lightweight air vehicle
KR102275965B1 (ko) 낙하산이 구비된 드론 및 발사체의 드론 방출 방법
CN111295334A (zh) 飞行体用安全装置及飞行体
US8387507B2 (en) Weapon interceptor projectile with deployable frame and net
US20180283828A1 (en) Projectile system with capture net
KR102289898B1 (ko) 드론이 탑재된 발사체 및 발사체의 드론 방출 방법
US6230629B1 (en) Rapid ignition infrared decoy for anti-ship missile
US5341343A (en) Underwater explosive acoustic signature device
JP4888941B2 (ja) 対空超高速飛翔弾とこれを用いた対空攻撃方法
US20150226525A1 (en) Aerial vehicle with combustible time-delay fuse
KR101845045B1 (ko) 낙하산에 의한 무선조종항공기의 착륙방법
US10422612B2 (en) Projectile, and warhead assembly and deployment system therfor
JP6703237B1 (ja) 防護装置
CN220670341U (zh) 一种自起跳空爆弹药
JP5984206B2 (ja) 発煙機能付き飛翔体
JP5616670B2 (ja) 地雷処理ロケット及び地雷処理方法
KR101643192B1 (ko) 미사일 기만기
CN117396402A (zh) 安全装置及具备安全装置的飞行器
JP2001141397A (ja) 誘導弾
JP2003156300A (ja) 飛しょう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