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5843B1 - 가열 조리 장치 - Google Patents
가열 조리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75843B1 KR102275843B1 KR1020190178303A KR20190178303A KR102275843B1 KR 102275843 B1 KR102275843 B1 KR 102275843B1 KR 1020190178303 A KR1020190178303 A KR 1020190178303A KR 20190178303 A KR20190178303 A KR 20190178303A KR 102275843 B1 KR102275843 B1 KR 10227584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dule
- hook
- button
- handle
- lev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04—Locking devices
- A47J27/0815—Locking devices where vessel and lid have adapted shapes to provide for the locking action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02—Control mechanisms for pressure-cooker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9—Safety devices
- A47J27/092—Devices for automatically releasing pressure before opening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열 조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열 장치가 내장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 내에 투입되는 내솥, 및 상기 내솥과 본체부를 덮는 뚜껑을 포함하는 가열 조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제1 축을 중심으로 선회할 수 있는 핸들 모듈, 상하 방향으로 눌림 및 복원할 수 있는 버튼 모듈, 상기 본체부에 걸림되며 상기 버튼 모듈의 눌림 동작에 의해서 개폐 작동하는 후크 모듈, 및 상기 내솥에 걸림되며 상기 핸들 모듈의 선회 동작에 의해서 개폐 작동하는 로킹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버튼 모듈은, 상기 핸들 모듈 내에 배치되어 핸들 모듈과 버튼 모듈이 일체화된 가열 조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가열 조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열 장치가 내장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 내에 투입되는 내솥, 및 상기 내솥과 본체부를 덮는 뚜껑을 포함하는 가열 조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제1 축을 중심으로 선회할 수 있는 핸들 모듈, 상하 방향으로 눌림 및 복원할 수 있는 버튼 모듈, 상기 본체부에 걸림되며 상기 버튼 모듈의 눌림 동작에 의해서 개폐 작동하는 후크 모듈, 및 상기 내솥에 걸림되며 상기 핸들 모듈의 선회 동작에 의해서 개폐 작동하는 로킹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버튼 모듈은, 상기 핸들 모듈 내에 배치되어 핸들 모듈과 버튼 모듈이 일체화된 가열 조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 은 종래의 가열 조리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일반적으로, 취반 기능을 갖는 밥솥은, 조리 대상물이 담겨지는 내솥과, 내솥이 투입되며 가열 장치를 내장하는 본체부, 및 본체부와 내솥을 덮는 뚜껑을 포함한다. 이러한 밥솥은, 내솥 내의 상태를 고온, 고압으로 유지하여 내솥 내의 조리 대상물이 높은 열과 압력에 의해서 잘 조리될 수 있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밥솥은 내솥과 뚜껑 사이를 로킹하는 로킹 수단과, 상기 로킹 수단을 조작하기 위한 핸들(A), 및 뚜껑과 본체부 사이를 개폐하기 위한 버튼(B)을 포함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기술에 의한 가열 조리 장치는, 로킹 수단을 조작하여 내솥과 뚜껑 사이의 로킹을 해제하는 핸들(A)과, 뚜껑을 개폐하기 위한 버튼(B)이 별도로 구성되어 있어, 미관상 불리한 점이 있다. 또한, 뚜껑을 여는 버튼(B)은 로킹 수단의 로킹이 해제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도 조작되어(예컨대, 눌려져서) 사용자의 불편함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가열 조리 장치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열 장치가 내장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 내에 투입되는 내솥, 및 상기 내솥과 본체부를 덮는 뚜껑을 포함하는 가열 조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제1 축을 중심으로 선회할 수 있는 핸들 모듈, 상하 방향으로 눌림 및 복원할 수 있는 버튼 모듈, 상기 본체부에 걸림되며 상기 버튼 모듈의 눌림 동작에 의해서 개폐 작동하는 후크 모듈, 및 상기 내솥에 걸림되며 상기 핸들 모듈의 선회 동작에 의해서 개폐 작동하는 로킹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버튼 모듈은, 상기 핸들 모듈 내에 배치되어 핸들 모듈과 버튼 모듈이 일체화된 가열 조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조리 장치는, 가열 장치가 내장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 내에 투입되는 내솥, 및 상기 내솥과 본체부를 덮는 뚜껑을 포함하는 가열 조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제1 축을 중심으로 선회할 수 있는 핸들 모듈, 상하 방향으로 눌림 및 복원할 수 있는 버튼 모듈, 상기 본체부에 걸림되며 상기 버튼 모듈의 눌림 동작에 의해서 개폐 작동하는 후크 모듈, 및 상기 내솥에 걸림되며 상기 핸들 모듈의 선회 동작에 의해서 개폐 작동하는 로킹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버튼 모듈은, 상기 핸들 모듈 내에 배치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핸들 모듈은, 상기 로킹 모듈과 내솥 사이가 잠겨지는 잠금 상태일 때에는 상기 후크 모듈을 구속하여 상기 후크 모듈의 작동을 제한하며, 상기 로킹 모듈과 내솥 사이가 열려지는 열림 상태일 때에는 상기 후크 모듈을 구속하지 않고 상기 후크 모듈이 작동 가능하게 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핸들 모듈은 핸들 바디 및 상기 핸들 바디를 상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하는 핸들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핸들 바디는, 상방향으로 오픈되며 상기 버튼 모듈이 내부에 배치되는 버튼 홀, 및 일 측부에 측 방향으로 오픈되는 개구를 포함하며, 상기 후크 모듈의 적어도 일 부분은, 상기 개구를 통해서 상기 핸들 바디 내에 위치하며 상기 버튼 모듈 아래에 위치하여, 상기 버튼 모듈이 상하 방향으로 눌림 및 복원됨에 따라서 상기 후크 모듈이 상기 버튼 모듈에 의해서 개폐 작동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핸들 바디의 하부분에는, 상방향으로 돌출되는 구속 돌부가 구비되며, 상기 구속 돌부는, 상기 핸들 바디가 상기 제1 축을 중심으로 선회함에 따라서 후크 모듈 아래에 위치하거나 또는 상기 후크 모듈로부터 이탈하며, 상기 구속 돌부가 상기 후크 모듈 아래에 위치하면 상기 후크 모듈이 구속되어 상기 후크 모듈의 작동이 제한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구속 돌부는, 상기 로킹 모듈이 잠금 상태일 때에는 상기 후크 모듈 아래에 위치하여 상기 후크 모듈의 작동을 제한하며, 상기 로킹 모듈이 열림 상태일 때에는 상기 후크 모듈 아래에서 이탈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후크 모듈은, 버튼 레버를 포함하며, 상기 버튼 레버는, 레버 헤드, 상기 레버 헤드의 양 측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며 후단에 제1 선회 축이 구비되는 레버 레그, 및 상기 레버 헤드의 가운데 위치에서 후방으로 연장되어 후단이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핸들 바디 내로 투입되는 푸싱 아암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구속 돌부는, 상기 핸들 바디가 상기 제1 선회 축을 중심으로 선회함에 따라서, 상기 푸싱 아암 아래에 위치하거나, 또는 상기 푸싱 아암 아래에서 이탈하게 위치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후크 모듈은, 후크 레버를 포함하며, 상기 후크 레버는 상기 레버 헤드에 의해서 적어도 일 부분이 눌림되어 선회 작동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후크 레버는, 제2 선회 축, 및 상기 제2 선회 축에 설치되어 상기 후크 레버에 탄성 복원력을 가하는 토션 스프링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핸들 모듈은, 하단에 상기 로킹 모듈을 개폐 조작할 수 있는 로테이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가열 조리 장치에 의하면, 핸들 모듈과 버튼 모듈이 일체형으로 구비되어, 미려한 외관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동시에 핸들 모듈에 의해서 로킹 모듈이 잠금 상태일 때에는 버튼 모듈 및 후크 모듈이 작동하지 않게 되므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 은 종래 기술에 의한 가열 조리 장치의 뚜껑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 조리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 조리 장치의 뚜껑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 조리 장치의 뚜껑의 핸들 모듈에 포함된 핸들 바디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내지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 조리 장치의 뚜껑의 핸들 모듈 및 버튼 모듈과 후크 모듈 사이의 결합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내지 1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 조리 장치의 뚜껑의 버튼 모듈에 의한 후크 모듈의 작동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2 및 13 은 핸들 모듈이 잠금 상태인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14 는 핸들 모듈이 열림 상태인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 조리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 조리 장치의 뚜껑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 조리 장치의 뚜껑의 핸들 모듈에 포함된 핸들 바디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내지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 조리 장치의 뚜껑의 핸들 모듈 및 버튼 모듈과 후크 모듈 사이의 결합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내지 1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 조리 장치의 뚜껑의 버튼 모듈에 의한 후크 모듈의 작동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2 및 13 은 핸들 모듈이 잠금 상태인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14 는 핸들 모듈이 열림 상태인 것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 조리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 조리 장치의 뚜껑(20)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 조리 장치의 뚜껑(20)의 핸들 모듈(200)에 포함된 핸들 바디(210)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가열 조리 장치는, 본체부(10), 본체부(10) 내에 투입되는 내솥(미도시), 및 뚜껑(20)을 포함한다.
본체부(10) 내에는 가열 장치가 내장되어 내솥(미도시)에 열을 가할 수 있다.
내솥(미도시)은 본체부(10) 내에 투입되며, 내솥(미도시) 내에 조리 대상물이 투입된다. 본체부(10)에서 제공되는 열에 의해서 조리 대상물의 조리를 행할 수 있다. 내솥(미도시)에는 후술하는 로킹 모듈(미도시)에 걸림될 수 있는 소정의 플랜지가 구비될 수 있다.
뚜껑(20)은 내솥(미도시)과 본체부(10)를 덮는 부재이다.
본 발명에 의한 가열 조리 장치의 뚜껑(20)은, 뚜껑 하우징(100), 핸들 모듈(200), 버튼 모듈(300), 후크 모듈(400), 및 로킹 모듈(미도시)을 포함한다. 여기서, 핸들 모듈(200), 버튼 모듈(300), 후크 모듈(400), 및 로킹 모듈(미도시)은 뚜껑 잠금 장치를 구성한다.
뚜껑 하우징(100)은 가열 조리 장치의 뚜껑의 외관을 구성하며, 본체부(10) 상에 결합되어 본체부(10) 및 내솥(미도시)을 덮을 수 있다.
뚜껑 하우징(100) 내에는 뚜껑 잠금 장치가 내장될 수 있는 탑재 공간(110)이 마련된다.
뚜껑 하우징(100)의 상부에는 핸들 모듈(200) 및 버튼 모듈(300)이 투입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오픈된 설치 개구(120)가 마련된다.
이하에서는 뚜껑 잠금 장치를 구성하는 핸들 모듈(200), 버튼 모듈(300), 후크 모듈(400), 및 로킹 모듈(미도시)에 대해서 각각 설명한다.
<핸들 모듈(200)>
핸들 모듈(200)은 로킹 모듈(미도시)을 작동시킬 수 있는 부재이다. 핸들 모듈(200)은 사용자의 선회 조작에 의해서, 제1 축(C1)을 중심으로 하여 선회될 수 있는 부재이다. 동시에, 핸들 모듈(200)은 후크 모듈(400)을 구속할 수 있는 부재이다. 핸들 모듈(200)의 하단은 뚜껑 하우징(100)의 설치 개구(120) 내로 투입되어 뚜껑에 설치된다.
핸들 모듈(200)은 핸들 바디(210) 및 핸들 커버(210), 및 로테이터(330)를 포함한다.
핸들 바디(210)는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갖는다. 핸들 바디(210)는, 상부분을 구성하는 핸들 헤드(211), 및 상기 핸들 헤드(211)의 하부에 구비되는 핸들 넥(212)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핸들 헤드(211)는 전체적으로 라운딩된 다각형 입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핸들 헤드(211)를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간편하게 조작할 수 있다. 핸들 넥(212)은 선회 가능하도록 원통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핸들 바디(210)는 상방향으로 오픈되는 버튼 홀(213)을 갖는다. 버튼 홀(213) 내에 버튼 모듈(300)이 투입되어 내장될 수 있다.
핸들 넥(212)의 일 측에는 측 방향으로 오픈되는 개구(214)가 형성된다. 개구(214)는 소정의 각도 범위만큼 오픈되어 있다. 따라서, 핸들 넥(212) 내부의 공간이 개구(214)를 통해서 측 방향으로 오픈된다.
핸들 넥(212)의 바닥면부에는 상방향으로 소정의 높이만큼 돌출되는 구속 돌부(215)가 구비된다. 구속 돌부(215)는 상기 제1 축과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구비된다. 따라서, 핸들 모듈(200)이 제1 축(C1)을 중심으로 선회되면 구속 돌부(215)가 제1 축(C1)을 중심으로 하여 선회된다. 따라서, 핸들 모듈(200)이 선회되면 구속 돌부(215)의 위치가 가변될 수 있다.
핸들 커버(210)는 상기 핸들 헤드(211)의 상부에 결합되는 덮개이다. 핸들 커버(210)는 상하로 관통된 관통 홀을 갖는다. 핸들 커버(210)와 핸들 바디(210)가 서로 결합되었을 때, 버튼 홀(213)은 관통 홀을 통해서 상방향으로 오픈된다.
로테이터(330)는 핸들 바디(210)의 하단에 구비된다. 로테이터(330)는 핸들 바디(210)에 결합되어 핸들 바디(210)와 일체로 선회 가능하다. 로테이터(330)는 후술하는 로킹 모듈(미도시)을 조작할 수 있는 수단으로 기능한다.
<버튼 모듈(300)>
버튼 모듈(300)은 후크 모듈(400)을 작동시킬 수 있는 부재이다. 버튼 모듈(300)은 사용자의 누름 조작에 의해서 조작될 수 있다. 버튼 모듈(300)은 상기 핸들 모듈(200)의 버튼 홀(213) 내에 투입된다. 따라서, 외관상 핸들 모듈(200)과 버튼 모듈(300)은 일체로 구성된다.
버튼 모듈(300)은 버튼 바디(310), 및 버튼 스프링(320)을 포함한다. 아울러, 버튼 바디(310) 상에는 외관상 버튼 바디(310)를 덮는 버튼 커버(33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버튼 스프링(320)은 버튼 홀(213) 내에 투입되며, 버튼 스프링(320) 상에 버튼 바디(310)가 투입될 수 있다. 따라서, 버튼 스프링(320)은 버튼 바디(310)를 상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한다.
사용자가 버튼 모듈(300)을 위에서 누르면 버튼 스프링(320)이 압축되어 버튼 바디(310)(및 버튼 커버(330))가 하강한다. 사용자의 누름 힘이 제거되면 버튼 스프링(320)에 의해서 버튼 바디(310)(및 버튼 커버(330))가 상방향으로 복귀할 수 있다.
<후크 모듈(400)>
후크 모듈(400)은 뚜껑과 본체부(10) 사이를 서로 걸어 잠글 수 있는 부재이다. 후크 모듈(400)은 버튼 모듈(300)에 의해서 조작된다. 또한, 후크 모듈(400)은 핸들 모듈(200)에 의해서 구속될 수 있다.
후크 모듈(400)은 버튼 레버(500), 후크 레버(600)를 포함한다.
버튼 레버(500)는 버튼 모듈(300)의 작동에 의해서 선회 조작되는 부재이다. 버튼 레버(500)는, 레버 헤드(510), 레버 레그(520), 및 푸싱 아암(530)을 포함한다.
레버 헤드(510)는 소정의 바 형태의 부분이며, 버튼 레버(500)의 전방을 구성하고 양 측 방향으로 연장된다.
레버 레그(520)는 상기 레버 헤드(510)의 양 측에서 후방으로 소정 길이 연장된다. 각각의 레버 레그(520)의 후단에는 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선회 축(522)이 구비된다. 제1 선회 축(522)은 뚜껑 하우징(100)에 연결된다. 제1 선회 축(522)을 중심으로 하여 버튼 레버(500)가 선회 조작될 수 있다.
푸싱 아암(530)은 상기 레버 헤드(510)의 가운데 후방 위치에서 후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돌출 연장된다.
후크 레버(600)는 적어도 일 부분이 본체부(10)에 걸림될 수 있는 부재이다. 후크 레버(600)는 제2 선회 축(610), 후크부(620), 및 푸싱 패널(630)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제2 선회 축(610)에 설치되는 토션 스프링(640)을 포함한다.
제2 선회 축(610)은 후크 레버(600)의 양 측에 위치하여 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축으로 구성된다. 제2 선회 축(610)은 뚜껑 하우징(100)에 연결된다. 제2 선회 축(610)을 중심으로 하여 후크 레버(600)가 선회 조작될 수 있다.
후크부(620)는 후크 레버(600)의 전단부에 구비된다. 상기 후크부(620)는 본체부(10)에 걸림될 수 있는 부분이다.
푸싱 패널(630)은 후크 레버(600)의 후단부에 구비된다.
토션 스프링(640)은 상기 제2 선회 축(610)에 설치된다. 토션 스프링(640)은 상기 후크 레버(600)에 탄성 복원력을 가하는 부재이다.
<로킹 모듈(미도시)>
로킹 모듈(미도시)은 도시되지는 아니하였으나, 내솥(미도시)에 걸림될 수 있는 장치이다. 로킹 모듈(미도시)은 핸들 모듈(200)의 하단에 구비되는 로테이터(330)에 의해서 조작될 수 있다. 즉, 핸들 모듈(200)이 제1 축(C1)을 중심으로 선회하면 로테이터(330)가 선회하며, 로테이터(330)가 선회함에 따라서 로킹 모듈(미도시)이 작동할 수 있다. 로킹 모듈(미도시)이 작동하여 잠금 상태가 되면 뚜껑(20)과 내솥(미도시)이 서로 밀착하여 내솥(미도시)의 밀폐가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로킹 모듈(미도시)의 작동이 해제되어 열림 상태가 되면, 뚜껑(20)과 내솥(미도시) 사이의 밀착이 해제될 수 있다. 로킹 모듈(미도시)의 열림 및 잠금은 핸들 모듈(200)에 의해서 달성되므로, 로킹 모듈(미도시)이 잠금 상태라 함은, 곧 핸들 모듈(200)이 잠금 상태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고, 로킹 모듈(미도시)이 열림 상태라 함은, 곧 핸들 모듈(200)이 열림 상태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핸들 모듈(200) 및 버튼 모듈(300)과 후크 모듈(400) 사이의 연결 관계 >
도 5 및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 조리 장치의 뚜껑의 핸들 모듈(200) 및 버튼 모듈(300)과 후크 모듈(400) 사이의 결합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및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 조리 장치의 뚜껑의 핸들 모듈(200) 및 버튼 모듈(300)과 후크 모듈(400)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핸들 모듈(200), 버튼 모듈(300), 후크 모듈(400), 및 로킹 모듈(미도시)은 뚜껑 하우징(100) 내에 투입되어 조립되었을 때, 후크 모듈(400)의 버튼 레버(500)의 푸싱 아암(530)의 후단은 핸들 모듈(200)의 개구(214) 내에 투입된다.
아울러, 후크 모듈(400)의 버튼 레버(500)의 푸싱 아암(530)의 후단은 버튼 모듈(300)의 버튼 바디(310)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핸들 모듈(200)의 핸들 바디(210)의 구속 돌부(215)는, 푸싱 아암(530)의 후단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후크 레버(600)의 푸싱 패널(630)은 상기 버튼 레버(500)의 레버 헤드(510) 아래에 위치한다.
<버튼 모듈(300)에 의한 후크 모듈(400)의 작동>
도 9 내지 1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 조리 장치의 뚜껑의 버튼 모듈(300)에 의한 후크 모듈(400)의 작동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버튼 모듈(300)에 의한 후크 모듈(400)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한다. 단, 이하 설명은, 핸들 모듈(200)이 후크 모듈(400)을 구속하지 않는 경우를 상정한 설명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핸들 모듈(200), 버튼 모듈(300), 후크 모듈(400), 및 로킹 모듈(미도시)은 뚜껑 하우징(100) 내에 투입되어 조립되었을 때, 후크 모듈(400)의 버튼 레버(500)의 푸싱 아암(530)의 후단은 핸들 모듈(200)의 개구(214) 내에 투입된다. 아울러, 후크 모듈(400)의 버튼 레버(500)의 푸싱 아암(530)의 후단은 버튼 모듈(300)의 버튼 바디(310) 아래에 위치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도 9 의 화살표 P 와 같이 버튼 바디(310)를 눌러서 버튼 바디(310)가 하강하면, 푸싱 아암(530), 및 레버 헤드(510)가 하방향으로 변위한다. 이때, 버튼 레버(500)는 제1 선회 축(522)을 중심으로 선회한다. 즉, 버튼 레버(500)는 도 9 의 화살표 R1 의 아래 방향으로 선회한다.
이와 같이 버튼 레버(500)가 선회하여 레버 헤드(510)가 하강하면 레버 헤드(510) 아래에 위치하는 후크 레버(600)의 푸싱 패널(630)이 레버 헤드(510)에 의해서 가압된다. 이때, 후크 레버(600)는 제2 선회 축(610)을 중심으로 선회한다. 이때, 후크 레버(600)의 타 단부에 위치하는 후크부(620)는 제2 선회 축(610)을 중심으로 하여 상방향으로 선회하게 된다. 즉, 후크 레버(600)는 도 10 의 화살표 R2 의 왼쪽 방향으로 선회하게 된다. 따라서, 도 1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에 구비된 고정 후크(H)와 후크부(620)가 서로 이격되며, 상기 후크부(620)의 걸림이 해제되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버튼 바디(310)를 누르는 힘이 제거되면, 버튼 바디(310)는 버튼 스프링(320)에 의해서 원 상태로 복원된다. 아울러, 토션 스프링(640)은 후크 레버(600)를 원위치로 복원시키며, 버튼 레버(500) 또한 후크 레버(600)에 의해서 밀려서 원위치로 복원된다. 즉, 후크 레버(600)는, 도 10 의 화살표 R2 의 오른쪽 방향으로 선회되고, 버튼 레버(500)는 도 9 의 화살표 R1 의 위쪽 방향으로 선회한다. 이때, 후크부(620)는 본체부(10)에 구비된 고정 후크(H)에 걸려지게 된다.
< 핸들 모듈(200)의 작동 및 핸들 모듈(200)에 의한 후크 모듈(400)의 구속>
도 12 및 13 은 핸들 모듈(200)과 후크 모듈(400)이 서로 연결된 상태로서, 핸들 모듈(200)이 잠금 상태인 것을 나타낸 것이고, 도 14 는 핸들 모듈(200)이 열림 상태인 것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핸들 모듈(200)의 작동 및 핸들 모듈(200)에 의한 후크 모듈(400)의 구속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로킹 모듈(미도시)은 핸들 모듈(200)의 선회에 따라서 작동한다. 따라서, 핸들 모듈(200)은 로킹 모듈(미도시)을 열림 작동 가능하게 하는 열림 상태와, 로킹 모듈(미도시)을 잠금 상태로 하는 잠금 상태를 갖는다.
도 12 및 13 은 핸들 모듈(200)이 잠금 상태인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12 및 13 에서는 핸들 모듈(200)의 구속 돌부(215)의 적어도 일 부분이 후크 모듈(400)의 푸싱 아암(530) 아래에 위치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버튼 모듈(300)을 눌러도 후크 모듈(400)의 푸싱 아암(530)은 변위할 수 없다. (물론, 이 상태에서는, 버튼 모듈(300)이 눌러도 버튼 바디(310)가 변위하지 않을 수 있다.) 이 상태에서는 버튼 모듈(300) 및 후크 모듈(400)이 작동하지 않으므로, 버튼 모듈(300)과 후크 모듈(400)이 구속되는 구속 상태라고 할 수 있다. 도 13 에서는, 확인의 편의를 위해서, 푸싱 아암(530)은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또한, 구속 돌부(215)의 중심과 핸들 모듈(200)의 제1 축을 이은 선(L1)이 도시되어 있다.
도 14 는 핸들 모듈(200)이 열림 상태인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15 에서, 핸들 모듈(200)은 중심각 θ 만큼 선회되어 있다. 따라서, 구속 돌부(215)의 중심과 핸들 모듈(200)의 제1 축을 이은 선(L2)은, 도 14 에 도시된 선(L1)과 비교할 때, 중심각 θ 만큼 선회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는, 핸들 모듈(200)의 구속 돌부(215)가 후크 모듈(400)의 푸싱 아암(530) 아래 위치에서 이탈해 있다. 따라서, 버튼 모듈(300)을 누르면 후크 모듈(400)의 푸싱 아암(530)이 아래 방향으로 변위하는 방향으로 버튼 레버(500)가 선회된다. 버튼 레버(500)가 선회됨에 따라서 후크 레버(600) 또한 선회되며, 후크 레버(600)에 의한 잠금이 해제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는 버튼 모듈(300) 및 후크 모듈(400)이 작동할 수 있으므로, 버튼 모듈(300)과 후크 모듈(400)은 활성 상태라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한 가열 조리 장치에 의하면, 핸들 모듈(200)과 버튼 모듈(300)이 일체형으로 구비되어, 미려한 외관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동시에 핸들 모듈(200)에 의해서 로킹 모듈(미도시)이 잠금 상태일 때에는 버튼 모듈(300) 및 후크 모듈(400)이 작동하지 않게 되므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 본체부
20: 뚜껑
100: 뚜껑 하우징
110: 탑재 공간
120: 설치 개구
200: 핸들 모듈
210: 핸들 바디
211: 핸들 헤드
212: 핸들 넥
213: 버튼 홀
214: 개구
215: 구속 돌부
300: 버튼 모듈
310: 버튼 바디
320: 버튼 스프링
330: 로테이터
400: 후크 모듈
500: 버튼 레버
510: 레버 헤드
520: 레버 레그
522: 제1 선회 축
530: 푸싱 아암
600: 후크 레버
610: 제2 선회 축
620: 후크부
630: 푸싱 패널
640: 토션 스프링
20: 뚜껑
100: 뚜껑 하우징
110: 탑재 공간
120: 설치 개구
200: 핸들 모듈
210: 핸들 바디
211: 핸들 헤드
212: 핸들 넥
213: 버튼 홀
214: 개구
215: 구속 돌부
300: 버튼 모듈
310: 버튼 바디
320: 버튼 스프링
330: 로테이터
400: 후크 모듈
500: 버튼 레버
510: 레버 헤드
520: 레버 레그
522: 제1 선회 축
530: 푸싱 아암
600: 후크 레버
610: 제2 선회 축
620: 후크부
630: 푸싱 패널
640: 토션 스프링
Claims (10)
- 가열 장치가 내장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 내에 투입되는 내솥, 및 상기 내솥과 본체부를 덮는 뚜껑을 포함하는 가열 조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제1 축을 중심으로 선회할 수 있는 핸들 모듈,
상하 방향으로 눌림 및 복원할 수 있는 버튼 모듈,
상기 본체부에 걸림되며 상기 버튼 모듈의 눌림 동작에 의해서 개폐 작동하는 후크 모듈, 및
상기 내솥에 걸림되며 상기 핸들 모듈의 선회 동작에 의해서 개폐 작동하는 로킹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버튼 모듈은,
상기 핸들 모듈 내에 배치되고,
상기 핸들 모듈은 핸들 바디를 포함하며,
상기 핸들 바디는,
상방향으로 오픈되며 상기 버튼 모듈이 내부에 배치되는 버튼 홀, 및
일 측부에 측 방향으로 오픈되는 개구를 포함하며,
상기 후크 모듈의 적어도 일 부분은, 상기 개구를 통해서 상기 핸들 바디 내에 위치하며 상기 버튼 모듈 아래에 위치하여,
상기 버튼 모듈이 상하 방향으로 눌림 및 복원됨에 따라서 상기 후크 모듈이 상기 버튼 모듈에 의해서 개폐 작동하고,
상기 핸들 바디의 하부분에는,
상방향으로 돌출되는 구속 돌부가 구비되며,
상기 구속 돌부는,
상기 핸들 바디가 상기 제1 축을 중심으로 선회함에 따라서 후크 모듈 아래에 위치하거나 또는 상기 후크 모듈로부터 이탈하며,
상기 구속 돌부가 상기 후크 모듈 아래에 위치하면 상기 후크 모듈이 구속되어 상기 후크 모듈의 작동이 제한되고,
상기 후크 모듈은,
버튼 레버를 포함하며,
상기 버튼 레버는,
레버 헤드,
상기 레버 헤드의 양 측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며 후단에 제1 선회 축이 구비되는 레버 레그, 및
상기 레버 헤드의 가운데 위치에서 후방으로 연장되어 후단이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핸들 바디 내로 투입되는 푸싱 아암을 포함하는 가열 조리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 모듈은,
상기 로킹 모듈과 내솥 사이가 잠겨지는 잠금 상태일 때에는 상기 후크 모듈을 구속하여 상기 후크 모듈의 작동을 제한하며,
상기 로킹 모듈과 내솥 사이가 열려지는 열림 상태일 때에는 상기 후크 모듈을 구속하지 않고 상기 후크 모듈이 작동 가능하게 하는 가열 조리 장치.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 돌부는,
상기 로킹 모듈이 잠금 상태일 때에는 상기 후크 모듈 아래에 위치하여 상기 후크 모듈의 작동을 제한하며,
상기 로킹 모듈이 열림 상태일 때에는 상기 후크 모듈 아래에서 이탈하는 가열 조리 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 돌부는,
상기 핸들 바디가 상기 제1 선회 축을 중심으로 선회함에 따라서,
상기 푸싱 아암 아래에 위치하거나, 또는 상기 푸싱 아암 아래에서 이탈하게 위치하는 가열 조리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 모듈은,
후크 레버를 포함하며,
상기 후크 레버는 상기 레버 헤드에 의해서 적어도 일 부분이 눌림되어 선회 작동하는 가열 조리 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 레버는,
제2 선회 축, 및 상기 제2 선회 축에 설치되어 상기 후크 레버에 탄성 복원력을 가하는 토션 스프링을 포함하는 가열 조리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 모듈은,
하단에 상기 로킹 모듈을 개폐 조작할 수 있는 로테이터를 포함하는 가열 조리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78303A KR102275843B1 (ko) | 2019-12-30 | 2019-12-30 | 가열 조리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78303A KR102275843B1 (ko) | 2019-12-30 | 2019-12-30 | 가열 조리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85355A KR20210085355A (ko) | 2021-07-08 |
KR102275843B1 true KR102275843B1 (ko) | 2021-07-12 |
Family
ID=76859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78303A KR102275843B1 (ko) | 2019-12-30 | 2019-12-30 | 가열 조리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75843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99173Y1 (ko) | 2002-09-18 | 2002-12-31 | 쿠쿠전자주식회사 | 전기압력밥솥의 뚜껑잠금장치 |
KR200349686Y1 (ko) * | 2004-02-25 | 2004-05-08 | 웅진코웨이주식회사 | 압력밥솥의 뚜껑 잠금장치 |
KR200361886Y1 (ko) * | 2004-06-23 | 2004-09-13 | 웅진코웨이주식회사 | 전기압력밥솥의 로커핸들 |
KR100797150B1 (ko) | 2007-05-31 | 2008-01-23 | 주식회사 노비타 | 전기압력보온밥솥의 뚜껑 개폐안전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10896A (ko) | 2001-07-27 | 2003-02-06 | 최길두 | 압력밥솥의 뚜껑 개폐장치 |
-
2019
- 2019-12-30 KR KR1020190178303A patent/KR10227584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99173Y1 (ko) | 2002-09-18 | 2002-12-31 | 쿠쿠전자주식회사 | 전기압력밥솥의 뚜껑잠금장치 |
KR200349686Y1 (ko) * | 2004-02-25 | 2004-05-08 | 웅진코웨이주식회사 | 압력밥솥의 뚜껑 잠금장치 |
KR200361886Y1 (ko) * | 2004-06-23 | 2004-09-13 | 웅진코웨이주식회사 | 전기압력밥솥의 로커핸들 |
KR100797150B1 (ko) | 2007-05-31 | 2008-01-23 | 주식회사 노비타 | 전기압력보온밥솥의 뚜껑 개폐안전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85355A (ko) | 2021-07-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392892B2 (en) | Lid assembly and drinking container comprising the same | |
CN105813868B (zh) | 安装用于车辆通气孔的翼状旋钮的结构 | |
JP2014218258A5 (ko) | ||
EP0916298A1 (en) | Opening and closing safety device for a pressure cooker | |
US20180099590A1 (en) | Sliding armrest for vehicle | |
CN105863409B (zh) | 车辆的车门内把手组装结构 | |
US20080100103A1 (en) |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of a switch cover for an automotive armrest | |
KR102275843B1 (ko) | 가열 조리 장치 | |
KR100575157B1 (ko) | 컴퓨터 | |
JP2007075412A (ja) | 炊飯器 | |
US10605377B2 (en) | Safety faucet for hot water | |
JP4894583B2 (ja) | 電気炊飯器 | |
JP5426478B2 (ja) | ハンドル取付構造 | |
CN209846856U (zh) | 烹饪器具 | |
JP6586309B2 (ja) | 鞍乗型車両用認証操作装置及び鞍乗型車両 | |
KR101786336B1 (ko) | 차량용 수납박스 | |
JP5170399B2 (ja) | 携帯用液体容器 | |
CN208463820U (zh) | 料理机 | |
KR102213168B1 (ko) | 가열 조리 장치 | |
JP6436947B2 (ja) | 調整ロッドクリップ用保持機構 | |
KR200459407Y1 (ko) | 개방보조장치가 구비된 전기조리기기 | |
JP2007075411A (ja) | 炊飯器 | |
CN214595541U (zh) | 盖体组件及具有其的烹饪器具 | |
JPH0427452Y2 (ko) | ||
TW201636112A (zh) | 噴灑裝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