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3168B1 - 가열 조리 장치 - Google Patents
가열 조리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13168B1 KR102213168B1 KR1020190179558A KR20190179558A KR102213168B1 KR 102213168 B1 KR102213168 B1 KR 102213168B1 KR 1020190179558 A KR1020190179558 A KR 1020190179558A KR 20190179558 A KR20190179558 A KR 20190179558A KR 102213168 B1 KR102213168 B1 KR 10221316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dule
- hook
- handle
- lid
- lev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04—Locking devices
- A47J27/0815—Locking devices where vessel and lid have adapted shapes to provide for the locking action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02—Control mechanisms for pressure-cooker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04—Locking devices
- A47J27/0813—Locking devices using a clamping ring or clamping seg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열 조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로킹 모듈을 선회 동작시키는 핸들 모듈의 동작과, 뚜껑에 걸림되는 후크 모듈의 동작이 연계되어, 후크 모듈의 동작을 수행하는 별도의 수단이 필요하지 않은 가열 조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가열 조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로킹 모듈을 선회 동작시키는 핸들 모듈의 동작과, 뚜껑에 걸림되는 후크 모듈의 동작이 연계되어, 후크 모듈의 동작을 수행하는 별도의 수단이 필요하지 않은 가열 조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 은 종래의 가열 조리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일반적으로, 취반 기능을 갖는 밥솥은, 조리 대상물이 담겨지는 내솥과, 내솥이 투입되며 가열 장치를 내장하는 본체부, 및 본체부와 내솥을 덮는 뚜껑을 포함한다. 이러한 밥솥은, 내솥 내의 상태를 고온, 고압으로 유지하여 내솥 내의 조리 대상물이 높은 열과 압력에 의해서 잘 조리될 수 있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밥솥은 내솥과 뚜껑 사이를 로킹하는 로킹 수단과, 상기 로킹 수단을 조작하기 위한 핸들(A), 및 뚜껑과 본체부 사이를 개폐하기 위한 버튼(B)을 포함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기술에 의한 가열 조리 장치는, 로킹 수단을 조작하여 내솥과 뚜껑 사이의 로킹을 해제하는 핸들(A)과, 뚜껑을 개폐하기 위한 버튼(B)이 별도로 구성되어 있어, 미관상 불리한 점이 있다. 또한, 뚜껑을 여는 버튼(B)은 로킹 수단의 로킹이 해제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도 조작되어(예컨대, 버튼(B)이 불필요하게 눌러지는 문제 등) 사용자의 불편함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가열 조리 장치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로킹 모듈을 선회 동작시키는 핸들 모듈의 동작과, 뚜껑에 걸림되는 후크 모듈의 동작이 연계되어, 후크 모듈의 동작을 수행하는 별도의 수단이 필요하지 않은 가열 조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조리 장치는, 가열 장치가 내장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 내에 투입되는 내솥, 및 상기 내솥과 본체부를 덮는 뚜껑을 포함하는 가열 조리 장치로서, 상기 뚜껑은, 제1 선회 축을 중심으로 선회 작동 가능한 핸들 모듈, 적어도 일 부분이 제2 선회 축을 중심으로 선회 작동 가능하며, 상기 본체부에 걸림 작동하는 후크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후크 모듈은 상기 핸들 모듈의 전방에 위치하며, 상기 핸들 모듈은, 내부에 공간을 갖는 핸들 바디와, 상기 바디의 일 측부에 형성되며 측 방향으로 오픈되는 오픈부를 포함하고, 상기 오픈부의 오픈 방향은 상기 핸들 모듈의 선회에 따라서 가변하며, 상기 오픈부가 상기 후크 모듈의 후단부를 향해 오픈되어 상기 후크 모듈의 일 부분이 상기 오픈부를 통해 상기 핸들 모듈 내에 위치하면 상기 핸들 모듈의 선회 작동이 구속되고, 상기 오픈부가 상기 후크 모듈의 후단부로부터 이탈하여 상기 후크 모듈의 일 부분이 상기 핸들 바디의 둘레면에 맞닿으면 상기 후크 모듈의 선회 작동이 구속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후크 모듈은, 상기 핸들 바디의 전방에 위치하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링크 레버, 상기 링크 레버의 전방에 위치하며 전방 하방으로 경사 연장되는 후크 레버, 및 상기 링크 레버를 후방으로 탄성 바이어스 하는 탄성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선회 축은 상기 후크 레버의 전단과 상기 후크 레버의 후단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링크 레버는 전후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고, 상기 후크 레버는 상기 제2 선회 축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며, 상기 링크 레버의 전단과 상기 후크 레버의 후단은 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후크 레버의 선회 동작과 상기 링크 레버의 전후 방향 변위가 연계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후크 레버는, 전단에 구비되며 상기 본체부에 걸림될 수 있는 후크 헤드, 및 상기 후크 레버의 전단과 후단 사이에 구비되며 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본체부에 눌림될 수 있는 푸싱 헤드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푸싱 헤드가 상기 본체부에 의해서 상방향으로 눌려지면, 상기 후크 레버는 상기 제2 선회 축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후크 레버의 후단이 전진하는 방향으로 선회하고 상기 링크 레버는 전방으로 변위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링크 레버는, 지지 헤드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스프링은 상기 지지 헤드의 전방에 위치하여 상기 지지 헤드에 대해서 후방으로 탄성력을 가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탄성 스프링은, 상기 링크 레버를 중심으로 권선되는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뚜껑은, 상기 내솥에 대해서 잠금될 수 있는 로킹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로킹 모듈은 상기 핸들 모듈의 하단에 연결되어 상기 핸들 모듈과 일체로 선회 조작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가열 조리 장치는, 가열 장치가 내장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 내에 투입되는 내솥, 및 상기 내솥과 본체부를 덮는 뚜껑을 포함하는 가열 조리 장치로서, 상기 뚜껑은, 제1 선회 축을 중심으로 선회 작동 가능한 핸들 모듈, 적어도 일 부분이 상기 본체부에 걸림 작동하는 후크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후크 모듈은, 상기 핸들 모듈에 연결되는 링크부, 제2 선회 축을 중심으로 선회 작동 가능하며, 상기 본체부에 걸림될 수 있는 후크부, 및 상기 링크부의 전단과 후크부의 후단 사이를 연결하는 탄성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링크부는, 상기 제1 선회 축과 이격된 상기 핸들 모듈의 일 측부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핸들 모듈이 상기 제1 선회 축을 중심으로 선회하면 상기 링크부가 전후 방향으로 위치 이동하여 상기 후크부가 상기 제2 선회 축을 중심으로 선회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탄성 스프링은, 상기 링크부를 전방으로 탄성 바이어스하여, 상기 핸들 모듈의 위치를 복원시킨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뚜껑은, 상기 내솥에 대해서 잠금될 수 있는 로킹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로킹 모듈은 상기 핸들 모듈의 하단에 연결되어 상기 핸들 모듈과 일체로 선회 조작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잠금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잠금 부재는, 상기 뚜껑이 상기 본체부에 대해서 열리면 상기 핸들 모듈의 복원에도 불구하고 상기 로킹 모듈의 위치를 구속하며, 상기 뚜껑이 상기 본체부에 대해서 닫히면 상기 로킹 모듈의 구속이 해제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가열 조리 장치는, 후크 모듈을 작동시키기 위한 별도의 수단(버튼)이 구비될 필요가 없다. 따라서, 가열 조리 장치가 미려한 외관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뚜껑이 열려서 후크 모듈이 오픈된 상태에서는, 핸들 모듈이 작동할 수 없는 구속 상태이다. 즉, 로킹 모듈이 열림 상태로 구속된다. 따라서, 뚜껑이 열린 상태에서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게 핸들 모듈을 작동시켜서 로킹 모듈과 본체의 내솥(내솥의 플랜지)이 충돌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가열 조리 장치는, 후크 모듈을 작동시키기 위한 별도의 수단(버튼)이 구비될 필요가 없다. 따라서, 가열 조리 장치가 미려한 외관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뚜껑이 열린 후에는 핸들 모듈이 원 상태로 자동 복원된다. 아울러, 핸들 모듈의 복원에도 불구하고 로킹 모듈은 열린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뚜껑이 열린 상태에서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게 핸들 모듈을 작동시켜서 로킹 모듈과 본체부의 내솥(내솥의 플랜지)이 충돌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아울러, 뚜껑을 닫을 때에는, 자동으로 후크 모듈이 선회 작동하므로, 뚜껑을 닫기 위해서 핸들 모듈을 별도로 조작할 필요가 없다. 아울러, 뚜껑이 닫히면 자동으로 로킹 모듈이 잠금 상태가 된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장치의 고장 발생이 방지되며, 사용자의 조작 편의가 개선될 수 있다.
도 1 은 종래 기술에 의한 가열 조리 장치의 뚜껑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열 조리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열 조리 장치의 뚜껑의 핸들 모듈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는 및 5 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열 조리 장치의 뚜껑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핸들 모듈을 비구속 상태에서 구속 상태로 선회시키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열 조리 장치의 핸들 모듈을 비구속 상태에서 구속 상태로 선회시키는 것에 따른, 핸들 모듈과 링크 레버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는 및 8 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열 조리 장치의 뚜껑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핸들 모듈을 구속 상태에서 비구속 상태로 선회시키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열 조리 장치의 핸들 모듈을 구속 상태에서 비구속 상태로 선회시키는 것에 따른, 핸들 모듈과 링크 레버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3 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가열 조리 장치의 뚜껑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뚜껑을 닫힌 상태에서 열린 상태로 전환시키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 내지 16 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가열 조리 장치의 뚜껑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뚜껑을 열린 상태에서 닫힌 상태로 전환시키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 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가열 조리 장치의 뚜껑의 핸들 모듈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열 조리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열 조리 장치의 뚜껑의 핸들 모듈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는 및 5 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열 조리 장치의 뚜껑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핸들 모듈을 비구속 상태에서 구속 상태로 선회시키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열 조리 장치의 핸들 모듈을 비구속 상태에서 구속 상태로 선회시키는 것에 따른, 핸들 모듈과 링크 레버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는 및 8 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열 조리 장치의 뚜껑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핸들 모듈을 구속 상태에서 비구속 상태로 선회시키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열 조리 장치의 핸들 모듈을 구속 상태에서 비구속 상태로 선회시키는 것에 따른, 핸들 모듈과 링크 레버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3 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가열 조리 장치의 뚜껑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뚜껑을 닫힌 상태에서 열린 상태로 전환시키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 내지 16 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가열 조리 장치의 뚜껑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뚜껑을 열린 상태에서 닫힌 상태로 전환시키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 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가열 조리 장치의 뚜껑의 핸들 모듈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열 조리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가열 조리 장치는, 본체부(10), 본체부(10) 내에 투입되는 내솥(미도시), 및 뚜껑(20)을 포함한다.
본체부(10) 내에는 가열 장치가 내장되어 내솥(미도시)에 열을 가할 수 있다.
내솥(미도시)은 본체부(10) 내에 투입되며, 내솥(미도시) 내에 조리 대상물이 투입된다. 본체부(10)에서 제공되는 열에 의해서 조리 대상물의 조리를 행할 수 있다.
뚜껑(20)은 내솥(미도시)과 본체부(10)를 덮는 부재이다.
본 발명에 의한 가열 조리 장치의 뚜껑(20)은, 뚜껑 하우징(100), 핸들 모듈(200), 후크 모듈(300)을 포함한다. 아울러, 도시되지는 아니하였으나, 로킹 모듈(미도시)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뚜껑 하우징(100)은 가열 조리 장치의 뚜껑의 외관을 구성하며, 본체부(10) 상에 결합되어 본체부(10) 및 내솥(미도시)을 덮을 수 있다.
뚜껑 하우징(100) 내에는 핸들 모듈(200), 후크 모듈(300)이 탑재되는 탑재 공간이 마련된다. 아울러, 도시되지는 아니하였으나, 탑재 공간 내에는 로킹 모듈(미도시)이 더 배치될 수 있다.
핸들 모듈(200), 후크 모듈(300), 및 로킹 모듈(미도시)은 뚜껑(20)을 본체부(10)에 닫아서 잠그는 잠금 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도 3 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열 조리 장치의 뚜껑(20)의 핸들 모듈(200)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핸들 모듈(200)은 핸들 헤드(210), 및 핸들 바디(220)를 포함한다.
핸들 헤드(210)는 핸들 모듈(200)의 상단에 구비된다. 핸들 헤드(210)는 뚜껑 하우징(100)의 상부에 위치한다. 핸들 헤드(210)는 사용자가 그립하여 선회 조작하기 용이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핸들 헤드(210)는 전체적으로 라운딩된 다각형 입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핸들 헤드(210)를 손으로 잡고 간편하게 조작할 수 있다.
핸들 바디(220)는 핸들 헤드(210)의 하부에 구비된다. 핸들 바디(220)는 선회하기 용이하도록 원통형 구성을 가질 수 있다. 핸들 바디(220)는 내부에 소정의 빈 공간을 갖는다. 핸들 바디(220)의 일 측에는 오픈부(230)가 구비된다. 상기 오픈부(230)를 통해 상기 핸들 바디(220) 내의 공간이 측 방향으로 오픈될 수 있다.
핸들 모듈(200)은 제1 선회 축(C)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다. 제1 선회 축(C)은 핸들 모듈(200)의 선회 중심 축으로서, 가상의 축일 수 있으며, 반드시 부재 형태로 구성된 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핸들 모듈(200)이 제1 선회 축(C)을 중심으로 선회하면, 상기 오픈부(230)의 배향이 가변할 수 있다.
한편, 핸들 모듈(200)의 하단에는 로킹 모듈(미도시)이 연결될 수 있다. 로킹 모듈(미도시)는 핸들 모듈(200)과 일체로 제1 선회 축(C)을 중심으로 선회 조작될 수 있다.
도 4 는 및 5 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열 조리 장치의 뚜껑(20)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핸들 모듈(200)을 비구속 상태에서 구속 상태로 선회시키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6 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열 조리 장치의 핸들 모듈(200)을 비구속 상태에서 구속 상태로 선회 조작하는 과정에서, 핸들 모듈(200)과 링크 레버(310)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아울러, 도 7 는 및 8 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열 조리 장치의 뚜껑(20)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핸들 모듈(200)을 구속 상태에서 비구속 상태로 선회시키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9 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열 조리 장치의 핸들 모듈(200)을 구속 상태에서 비구속 상태로 선회 조작하는 과정에서, 핸들 모듈(200)과 링크 레버(310)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후크 모듈(300)은 뚜껑(20)과 본체부(10) 사이를 서로 걸어 잠글 수 있는 부재이다.
후크 모듈(300)은 링크 레버(310), 후크 레버(320), 및 탄성 스프링(330)을 포함할 수 있다.
링크 레버(310)는 상기 핸들 모듈(200)의 전방에 위치하는 부재이다. 링크 레버(310)는 링크 바디(312)와, 지지 헤드(314)를 포함할 수 있다.
링크 바디(312)는 링크 레버(310)의 몸체를 구성한다. 링크 레버(310)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성을 갖는다.
지지 헤드(314)는 상기 링크 바디(312)의 후단부에 위치한다. 지지 헤드(314)는 상기 링크 바디(312)보다 큰 단면적을 갖는 소정의 헤드로 구성된다.
실시예에 의하면, 링크 레버(310)는 뚜껑 하우징의 적어도 일 부분(T)을 전후 방향으로 관통할 수 있다.
후크 레버(320)는 적어도 일 부분이 본체부(10)에 걸림될 수 있는 부재이다. 후크 레버(320)는 후크 바디(322), 제2 선회 축(324), 후크 헤드(326), 및 푸싱 헤드(328)를 포함할 수 있다.
후크 바디(322)는 후크 레버(320)의 몸체를 구성한다. 후크 바디(322)는 전방 하방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경사 연장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후크 바디(322)의 후단부는 링크 바디(312)의 전단부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후크 바디(322)와 링크 바디(312) 사이에는 회동 연결부(P)가 구비될 수 있다.
제2 선회 축(324)은 후크 바디(322)의 양 측에 위치하여 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축으로 구성된다. 제2 선회 축(324)은 후크 바디(322)의 전단과 후단 사이의 일 위치에 위치한다. 제2 선회 축(324)은 뚜껑 하우징(100)에 연결된다. 제2 선회 축(324)을 중심으로 하여 후크 레버(320)가 선회 조작될 수 있다.
후크 헤드(326)는 후크 레버(320)의 전단부에 구비된다. 상기 후크 헤드(326)는 본체부(10)에 걸림될 수 있는 부분이다. 후크 헤드(326)는 후방으로 돌출되는 걸림 돌부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후크 헤드(326)는, 본체부(10)의 본체 후크(12)에 걸림될 수 잇다.
푸싱 헤드(328)는 후크 바디(322)의 전단과 후단 사이에 구비되며 후방으로 돌출되는 부분이다. 푸싱 헤드(328)는 후크 헤드(326)보다 더 후방으로 돌출되는 돌부로 구성된다. 따라서, 푸싱 헤드(328)는 적어도 일 부분이 몸체부(10)에 대해서 노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푸싱 헤드(328)는 본체부(10)의 본체 후크(12)에 상에 위치할 수 있다.
탄성 스프링(330)은 상기 링크 레버(310)에 탄성 복원력을 가하는 부재이다. 탄성 스프링(330)은 상기 링크 레버(310)를 후방으로 탄성 바이어스 한다.
실시예에 의하면, 탄성 스프링(330)은, 상기 지지 헤드(314)의 전방에 위치하여 상기 지지 헤드(314)에 대해서 후방으로 탄성력을 가할 수 있다. 즉, 탄성 스프링(330)는 상기 링크 레버(310)를 핸들 모듈(200)이 위치하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 한다. 탄성 스프링(330)은, 지지 헤드(314)와, 뚜껑 하우징(100)의 일 부분(T)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지지 헤드(314)를 후방으로 밀 수 있다.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탄성 스프링(330)은, 상기 제1 후크 바디(322)를 중심으로 권선되는 코일 스프링일 수 있다.
<로킹 모듈(미도시)>
로킹 모듈(미도시)은 도시되지는 아니하였으나, 내솥(미도시)에 밀착하거나, 내솥(미도시)에 걸림될 수 있는 장치이다. 일 예로, 로킹 모듈(미도시)은 핸들 모듈(200)의 하단에 연결되어 핸들 모듈(200)에 의해서 조작될 수 있다. 즉, 핸들 모듈(200)이 제1 선회 축(C)을 중심으로 선회하면 로킹 모듈(미도시)이 핸들 모듈(200)과 함께 제1 선회 축(C)을 중심으로 선회 작동할 수 있다. 로킹 모듈(미도시)이 작동하여 잠금 상태가 되면 뚜껑(20)과 내솥(미도시)이 서로 밀착하여 내솥(미도시)의 밀폐가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로킹 모듈(미도시)의 작동이 해제되어 열림 상태가 되면, 뚜껑(20)과 내솥(미도시) 사이의 밀착이 해제될 수 있다.
<핸들 모듈(200)과 후크 모듈(300)의 조작 및 작동>
이하에서는, 핸들 모듈(200)과 후크 모듈(300)의 조작 및 작동에 대해서 설명한다.
핸들 모듈(200)은 제1 선회 축(C)을 중심으로 선회 조작될 수 있다. 핸들 모듈(200)에 구비된 상기 오픈부(230)의 오픈 방향은 상기 핸들 모듈(200)의 선회에 따라서 가변한다. 핸들 모듈(200)이 제1 선회 축(C)을 중심으로 선회 조작됨에 따라서, 핸들 모듈(200)은, 일 부분이 상기 후크 모듈(300)에 걸림되어 작동이 제한되는 구속 상태와, 상기 후크 모듈(300)에 걸림되지 아니하여 작동이 가능한 비구속 상태를 가질 수 있다.
먼저, 핸들 모듈(200)이 비구속 상태인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 와 같이, 핸들 모듈(200)이 비구속 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오픈부(230)가 전방이 아닌, 다른 방향을 향한다. 또한,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 바디(220)의 둘레면에 링크 레버(310)의 지지 헤드(314)의 후단부가 맞닿아서 지지된다. 이 상태에서는, 링크 레버(310), 및 링크 레버(310)에 연결된 후크 레버(320)의 후단부가 상대적으로 전방으로 밀린 상태로 위치한 상태이다. 아울러, 탄성 스프링(330)이 링크 레버(310)의 지지 헤드(314)에 의해서 압축된 상태이다. 반대로, 후크 레버(320)의 전단부(후크 헤드(326)가 위치한 부분)는 상대적으로 후방으로 편향되게 위치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는, 링크 레버(310)의 후단부가 핸들 바디(220)의 둘레면에 맞닿아서 지지되어 구속된다. 따라서 링크 레버(310) 및 후크 레버(320)가 구속된다. 즉, 링크 레버(310)의 위치가 고정되며, 후크 레버(320)는 선회하지 못한다.
만일 이 상태에서 뚜껑(20)이 본체부(10)에 덮여진 상태이면, 후크 헤드(326)가 본체부(10)의 본체 후크(12)에 걸림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후크 모듈(300)은 클로징 상태가 된다.
즉, 핸들 모듈(200)이 선회 가능한 자유 상태에서는, 후크 모듈(300)의 후크 헤드(326)가 본체부(10)의 본체 후크(12)에 걸림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따라서, 뚜껑(20)을 본체부(10)에 덮었을 경우 뚜껑(20)이 본체부(10)에 잠금되는 상태가 된다고 할 수 있다.
이어서, 핸들 모듈(200)이 구속 상태인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 와 같이, 상기 오픈부(230)가 전방을 향하도록 핸들 모듈(200)이 선회 조작되면, 상기 오픈부(230)는 상기 후크 모듈(300)이 위치하는 방향을 향해 오픈된다. 따라서, 핸들 바디(220)가 링크 레버(310)의 후단부를 지지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탄성 스프링(330)에 의한 탄성력(지지 헤드(314)를 후방으로 미는 힘)에 의해서 상기 링크 레버(310)가 후방으로 변위한다. 따라서, 링크 레버(310)는, 링크 레버(310)의 후단이 상기 오픈부(230)를 통해서 상기 핸들 바디(220)의 공간 내부로 투입되게 변위한다.
이와 같이, 핸들 바디(220)의 공간 내에 상기 링크 레버(310)가 위치하면, 상기 핸들 모듈(200)은 상기 링크 레버(310)에 걸려지게 된다. 즉, 핸들 모듈(200)이 링크 레버(310)에 구속되어, 핸들 모듈(200)의 선회 작동이 불가하게 된다. 즉, 핸들 모듈(200)이 구속 상태가 된다.
또한, 이와 같이 링크 레버(310)가 후방으로 변위하면, 후크 레버(320)는 선회하게 된다. 후크 레버(320)의 선회 방향은, 후크 레버(320)의 후단부(링크 레버(310)와 연결되는 부분)는 후방으로 변위하고, 반대로 후크 모듈(300)의 전단부는 전방으로 변위하는 방향이 된다. 따라서, 후크 모듈(300)의 전단부에 구비된 후크 헤드(326)가 상대적으로 전방으로 변위한다. 따라서, 후크 모듈(300)이 오픈 상태가 된다.
뚜껑(20)이 본체부(10)에 덮여진 상태에서, 상기 핸들 모듈(200)을 비구속 상태에서 구속 상태로 조작하면, 후크 모듈(300)이 오픈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뚜껑(20)을 본체부(10)에서 개방시킬 수 있다.
이때, 후크 레버(320)에 구비된 푸싱 헤드(328)가 선회하면서 본체부(10)에 구비된 본체 후크(12)를 누르게 된다. 따라서, 반작용으로 뚜껑(20)이 상방향으로 밀리면서 열림 작동할 수 있다.
반대로, 뚜껑(20)을 본체부(10)에 덮으면, 본체 후크(12)에 의해서 상기 푸싱 헤드(328)가 상방향으로 눌리면서 후크 레버(320)가 선회할 수 있다. 이때, 후크 레버(320)의 선회 방향은 링크 레버(310)를 전방으로 당기는 방향이다. 링크 레버(310)가 전방으로 당겨지면 링크 레버(310)가 핸들 바디(220)의 오픈부(230)로부터 이탈한다. 따라서 핸들 모듈(200)을 선회 조작 가능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핸들 모듈(200)을 구속 상태에서 비구속 상태로 선회 조작하면, 핸들 모듈(200)에 의해서 후크 모듈(300)이 구속된다. 따라서 후크 모듈(300)은 클로징 상태가 된다.
상기의 설명을 바탕으로, 핸들 모듈(200)을 비구속 상태에서 구속 상태로 선회시키는 경우의 각부의 작동은 도 4 내지 6 에 도시된 바와 같다.
즉, 핸들 모듈(200)을 비구속 상태에서 구속 상태로 선회시키는 경우, 링크 레버(310)는 도 5 의 화살표 M 과 같이 변위하며, 후크 레버(320)는 도 5 의 화살표 R 과 같이 선회한다. 이를 순차적으로 나타내면, 도 6 의 (a), (b), (c) 와 같다. 즉, 후크 레버(320)를 화살표 R 과 같이 제1 선회 축(C)을 중심으로 선회시키면 링크 레버(310)를 지지하고 있던 지점(K)이 이탈한다. 따라서, 링크 레버(310)는 탄성 스프링(330)의 탄성력(F)에 의해서 (c)와 같이 오픈부(230)를 통해 후크 바디(322)의 내부로 변위하게 된다.
또한, 핸들 모듈(200)을 구속 상태에서 비구속 상태로 선회시키는 경우의 각부의 작동은 도 7 내지 9 에 도시된 바와 같다.
먼저, 뚜껑(20)을 닫으면 본체부(10)의 본체 후크(12)에 의해서 푸싱 헤드(328)가 눌림으로서, 후크 레버(320)는 도 7 의 화살표 R 과 같이 선회한다. 또한, 링크 레버(310)는 도 7 의 화살표 N 과 같이 변위하며, 이어서, 핸들 모듈(200)을 선회시켜서 작동 상태로 하면 핸들 모듈(200)에 의해서 후크 모듈(300)이 구속되게 된다.
이를 순차적으로 나타내면, 도 9 의 (a), (b), (c) 와 같다. 즉, 뚜껑(20)을 덮어서 화살표 L 과 같이 링크 모듈(300)을 오픈부(230)로부터 이탈시킨 후, (c) 와 같이 핸들 모듈(200)을 선회시킬 수 있다. 핸들 모듈(200)을 선회시켜서 핸들 모듈(200)이 비구속 상태가 되도록 하면, 반대로 후크 모듈(300)이 핸들 모듈(200)에 의해서 구속되는 구속 상태가 된다고 할 수 있다. 즉, 이와 같이 후크 모듈(300)이 구속 상태가 되면 후크 모듈(300)은 클로징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위에서 설명하지는 아니하였으나, 이와 같은 핸들 모듈(200)의 선회 조작 과정에서 로킹 모듈(미도시) 또한 선회될 수 있다. 즉, 핸들 모듈(200)에 연결된 로킹 모듈(미도시)은, 핸들 모듈(200)과 일체로 선회 조작될 수 있다. 핸들 모듈(200)이 비구속 상태일 때, 로킹 모듈(미도시)은 잠금 상태가 된다. 즉, 뚜껑(20)과 내솥(미도시) 사이가 밀착하여 잠금된다. 반대로, 핸들 모듈(200)이 구속 상태일 때, 로킹 모듈(미도시)은 열림 상태가 된다. 즉, 뚜껑(20)과 내솥(미도시) 사이의 잠금이 해제된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뚜껑(20)을 열어서 본체부(10)로부터 뚜껑(20)이 이탈한 상태에서는, 핸들 모듈(200)은 후크 모듈(300)에 의해서 구속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는 로킹 모듈(미도시)은 열림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핸들 모듈(200)과 연결된 로킹 모듈(미도시)은, 열림 상태로 구속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가열 조리 장치는, 후크 모듈(300)을 작동시키기 위한 별도의 수단(버튼)이 구비될 필요가 없다. 따라서, 가열 조리 장치가 미려한 외관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뚜껑(20)이 열려서 후크 모듈(300)이 오픈된 상태에서는, 핸들 모듈(200)이 작동할 수 없는 구속 상태이다. 즉, 핸들 모듈(200)과 연결된 로킹 모듈(미도시)이 열림 상태로 구속된다. 따라서, 뚜껑(20)이 열린 상태에서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게 핸들 모듈(200)을 작동시키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뚜껑(20)이 열린 상태에서 핸들 모듈(200)을 작동시켜서, 로킹 모듈(미도시)과 본체(10)의 내솥(내솥의 플랜지)이 충돌하는 사고가 방지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3 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가열 조리 장치의 뚜껑(20)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뚜껑(20)을 닫힌 상태에서 열린 상태로 전환시키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 내지 15 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가열 조리 장치의 뚜껑(20)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뚜껑(20)을 열린 상태에서 닫힌 상태로 전환시키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 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가열 조리 장치의 뚜껑(20)의 핸들 모듈(400)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2 실시예에 의한 가열 조리 장치의 뚜껑(20)은, 핸들 모듈(400)과 후크 모듈(500)을 포함한다. 아울러, 도시되지는 아니하였으나, 로킹 모듈(미도시)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제2 실시예에 의한 가열 조리 장치의 핸들 모듈(400)은, 제1 실시 형태의 핸들 모듈(200)과 전체적으로 상통한다. 단, 제1 실시 형태의 핸들 모듈(200)과 다른 점은, 제1 실시 형태의 오픈부(230)가 구비되지 않는 점이다. 즉, 제1 실시 형태의 핸들 모듈(200)의 핸들 바디(220)의 측면 둘레면이 전체적으로 막혀 있다.
아울러, 제2 실시예에 의한 가열 조리 장치의 후크 모듈(500)은, 링크부(510) 및 후크부(530)를 포함한다. 링크부(510)는 제1 실시예의 링크 레버(310)에 대응하며, 후크부(530)는 후크 레버(320)에 대응한다. 여기서, 제1 실시예와 상이한 점은, 링크부(510)가 핸들 모듈(400)의 일 측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는 점과, 링크부(510)와 후크부(530)가 탄성 스프링(520)을 사이에 두고 연결되는 점이다.
이하에서는 중복되는 설명은 피하고, 제1 실시예와 차이가 있는 구성 및 작동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링크부(510)는 핸들 모듈(400)의 일 측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된다. 링크부(510)와 핸들 모듈(400) 사이의 연결 지점(Q)은, 핸들 모듈(400)의 일 측부로서, 핸들 모듈(400)의 작동 축인 제1 선회 축(C)과 소정 거리 이격된 지점이다.
아울러, 링크부(510)의 후단은 후크부(530)의 전단과 연결되되, 탄성 스프링(520)을 매개로 하여 연결된다.
후크부(530)는 제2 선회 축(534)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며, 전단에 후크 헤드(532)를 구비한다. 제1 실시예의 후크 레버(320)와 상이한 점은, 푸싱 헤드(328)가 구비되지 않는 점이다.
제2 실시예에 의한 가열 조리 장치의 뚜껑의 작동을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먼저, 도 10 내지 도 13 을 참조하여, 뚜껑(20)을 닫힌 상태에서 열린 상태로 전환시키는 것을 설명한다.
핸들 모듈(400)의 일 측에 연결된 링크부(510)가 후방으로 변위하는 방향으로 핸들 모듈(400)을 선회 조작하면, 링크부(510)의 전단과 탄성 스프링(520)을 통해 연결된 후크부(530)의 후단이 후방으로 당겨진다. 따라서, 후크부(530)가 제2 선회 축(534)을 중심으로 하여 선회하고, 후크 모듈(500)의 잠금이 해제될 수 있다.
아울러, 핸들 모듈(400)이 선회 조작됨에 따라서, 핸들 모듈(400)에 연결되는 로킹 모듈(미도시) 또한 열림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한편, 후크 모듈(500)의 잠금이 해제되고, 뚜껑(20)이 오픈되어 본체부(10)로부터 이탈하면, 탄성 스프링(520)의 복원력에 의해서 핸들 모듈(400)이 원래 위치로 복원될 수 있다. 즉, 탄성 스프링(520)에 의해서 링크부(510)가 전진하는 방향으로 복원되며, 따라서 핸들 모듈(400)이 원래 위치로 복원된다. 이는, 도 13 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때, 실시예에 의하면, 핸들 모듈(400)의 복원에도 불구하고, 로킹 모듈(미도시)은 잠금 상태로 복원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실시예에 의하면, 핸들 모듈(400)의 복원에도 불구하고, 로킹 모듈(미도시)의 복원을 제한하는 소정의 잠금 부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잠금 장치(미도시)는, 로킹 모듈(미도시)의 일 부분에 걸려지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3 내지 15 를 참조하여, 뚜껑(20)을 열린 상태에서 닫힌 상태로 전환시키는 것을 설명한다.
뚜껑(20)을 본체부(10)에 덮으면, 후크부(530)의 단부에 구비된 후크 헤드(532)가 본체부(10)의 본체 후크(12)에 눌려져서 후크부(530)가 선회한다. 이때, 후크부(530)는, 후크 헤드(532)가 전방으로 변위하는 방향으로 선회하며, 따라서 후크부(530)의 후단부는 후방으로 변위하게 된다. 후크부(530)의 후단부는 탄성 스프링(520)을 압축시킨다.
이어서, 뚜껑(20)이 본체부(10) 상에 완전히 덮여지면, 탄성 스프링(52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서 후크 헤드(532)가 다시 후방으로 변위하는 방향으로 후크부(530)가 선회한다. 따라서, 후크 헤드(532)는 본체부(10)의 본체 후크(12)에 자동으로 걸려지게 된다.
아울러, 뚜껑(20)이 본체부(10) 상에 완전히 덮여지면, 상기 로킹 모듈(미도시)을 구속하는 잠금 부재(미도시)가 조작되어, 로킹 모듈(미도시)이 잠금 상태가 될 수 있다.
즉, 잠금 부재(미도시)는, 예컨대 본체부(10)의 일 부분과 맞닿아서 잠금/해제 조작되는 부재일 수 있다. 상기 잠금 부재(미도시)는, 상기 뚜껑(20)이 상기 본체부(10)에 대해서 열리면 상기 핸들 모듈(400)의 복원에도 불구하고 상기 로킹 모듈(미도시)의 위치를 구속하며, 상기 뚜껑(20)이 상기 본체부(10)에 대해서 닫히면, 본체부(10)에 의해서 밀림 조작되어, 상기 로킹 모듈(미도시)의 구속을 해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가열 조리 장치는, 후크 모듈(500)을 작동시키기 위한 별도의 수단(버튼)이 구비될 필요가 없다. 따라서, 가열 조리 장치가 미려한 외관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뚜껑(20)이 열린 후에는 핸들 모듈(400)이 원 상태로 자동 복원된다. 아울러, 핸들 모듈(400)의 복원에도 불구하고 로킹 모듈(미도시)은 열린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뚜껑(20)이 열린 상태에서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게 핸들 모듈(400)을 작동시켜서 로킹 모듈(미도시)과 본체부(10)의 내솥(내솥의 플랜지)이 충돌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아울러, 뚜껑(20)을 닫을 때에는, 자동으로 후크 모듈(500)이 선회 작동하므로, 뚜껑(20)을 닫기 위해서 핸들 모듈(400)을 별도로 조작할 필요가 없다. 아울러, 뚜껑(20)이 닫히면 자동으로 로킹 모듈(미도시)이 잠금 상태가 된다.
이상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 본체부
12: 본체 후크
20: 뚜껑
100: 뚜껑 하우징
200: 핸들 모듈
210: 핸들 헤드
220: 핸들 바디
230: 오픈부
300: 후크 모듈
310: 링크 레버
312: 링크 바디
314: 지지 헤드
320: 후크 레버
322: 후크 바디
324: 제2 선회 축
326: 후크 헤드
328: 푸싱 헤드
330: 탄성 스프링
400: 핸들 모듈
500: 후크 모듈
510: 링크부
520: 탄성 스프링
530: 후크부
532: 후크 헤드
534: 제2 선회 축
12: 본체 후크
20: 뚜껑
100: 뚜껑 하우징
200: 핸들 모듈
210: 핸들 헤드
220: 핸들 바디
230: 오픈부
300: 후크 모듈
310: 링크 레버
312: 링크 바디
314: 지지 헤드
320: 후크 레버
322: 후크 바디
324: 제2 선회 축
326: 후크 헤드
328: 푸싱 헤드
330: 탄성 스프링
400: 핸들 모듈
500: 후크 모듈
510: 링크부
520: 탄성 스프링
530: 후크부
532: 후크 헤드
534: 제2 선회 축
Claims (11)
- 가열 장치가 내장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 내에 투입되는 내솥, 및 상기 내솥과 본체부를 덮는 뚜껑을 포함하는 가열 조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제1 선회 축을 중심으로 선회 작동 가능한 핸들 모듈,
적어도 일 부분이 제2 선회 축을 중심으로 선회 작동 가능하며, 상기 본체부에 걸림 작동하는 후크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후크 모듈은 상기 핸들 모듈의 전방에 위치하며,
상기 핸들 모듈은,
내부에 공간을 갖는 핸들 바디와, 상기 바디의 일 측부에 형성되며 측 방향으로 오픈되는 오픈부를 포함하고,
상기 오픈부의 오픈 방향은 상기 핸들 모듈의 선회에 따라서 가변하며,
상기 오픈부가 상기 후크 모듈의 후단부를 향해 오픈되어 상기 후크 모듈의 일 부분이 상기 오픈부를 통해 상기 핸들 모듈 내에 위치하면 상기 핸들 모듈의 선회 작동이 구속되고,
상기 오픈부가 상기 후크 모듈의 후단부로부터 이탈하여 상기 후크 모듈의 일 부분이 상기 핸들 바디의 둘레면에 맞닿으면 상기 후크 모듈의 선회 작동이 구속되는 가열 조리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 모듈은,
상기 핸들 바디의 전방에 위치하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링크 레버,
상기 링크 레버의 전방에 위치하며 전방 하방으로 경사 연장되는 후크 레버, 및
상기 링크 레버를 후방으로 탄성 바이어스 하는 탄성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선회 축은 상기 후크 레버의 전단과 상기 후크 레버의 후단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링크 레버는 전후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고,
상기 후크 레버는 상기 제2 선회 축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며,
상기 링크 레버의 전단과 상기 후크 레버의 후단은 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후크 레버의 선회 동작과 상기 링크 레버의 전후 방향 변위가 연계되는 가열 조리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 레버는,
전단에 구비되며 상기 본체부에 걸림될 수 있는 후크 헤드, 및
상기 후크 레버의 전단과 후단 사이에 구비되며 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본체부에 눌림될 수 있는 푸싱 헤드를 포함하는 가열 조리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푸싱 헤드가 상기 본체부에 의해서 상방향으로 눌려지면,
상기 후크 레버는 상기 제2 선회 축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후크 레버의 후단이 전진하는 방향으로 선회하고 상기 링크 레버는 전방으로 변위하는 가열 조리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레버는,
지지 헤드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스프링은 상기 지지 헤드의 전방에 위치하여 상기 지지 헤드에 대해서 후방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가열 조리 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스프링은, 상기 링크 레버를 중심으로 권선되는 코일 스프링인 가열 조리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상기 내솥에 대해서 잠금될 수 있는 로킹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로킹 모듈은 상기 핸들 모듈의 하단에 연결되어 상기 핸들 모듈과 일체로 선회 조작되는 가열 조리 장치. - 가열 장치가 내장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 내에 투입되는 내솥, 및 상기 내솥과 본체부를 덮는 뚜껑을 포함하는 가열 조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제1 선회 축을 중심으로 선회 작동 가능한 핸들 모듈,
적어도 일 부분이 상기 본체부에 걸림 작동하는 후크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후크 모듈은,
상기 핸들 모듈에 연결되는 링크부,
제2 선회 축을 중심으로 선회 작동 가능하며, 상기 본체부에 걸림될 수 있는 후크부, 및
상기 링크부의 전단과 후크부의 후단 사이를 연결하는 탄성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링크부는,
상기 제1 선회 축과 이격된 상기 핸들 모듈의 일 측부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핸들 모듈이 상기 제1 선회 축을 중심으로 선회하면 상기 링크부가 전후 방향으로 위치 이동하여 상기 후크부가 상기 제2 선회 축을 중심으로 선회하는 가열 조리 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스프링은,
상기 링크부를 전방으로 탄성 바이어스하여, 상기 핸들 모듈의 위치를 복원시키는 가열 조리 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상기 내솥에 대해서 잠금될 수 있는 로킹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로킹 모듈은 상기 핸들 모듈의 하단에 연결되어 상기 핸들 모듈과 일체로 선회 조작되는 가열 조리 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잠금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잠금 부재는, 상기 뚜껑이 상기 본체부에 대해서 열리면 상기 핸들 모듈의 복원에도 불구하고 상기 로킹 모듈의 위치를 구속하며,
상기 뚜껑이 상기 본체부에 대해서 닫히면 상기 로킹 모듈의 구속이 해제되는 가열 조리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79558A KR102213168B1 (ko) | 2019-12-31 | 2019-12-31 | 가열 조리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79558A KR102213168B1 (ko) | 2019-12-31 | 2019-12-31 | 가열 조리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13168B1 true KR102213168B1 (ko) | 2021-02-05 |
Family
ID=74558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79558A KR102213168B1 (ko) | 2019-12-31 | 2019-12-31 | 가열 조리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13168B1 (ko)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198003A (ja) * | 2000-01-21 | 2001-07-24 | Zojirushi Corp | 炊飯器における内蓋付け忘れ防止機構 |
KR20030010896A (ko) | 2001-07-27 | 2003-02-06 | 최길두 | 압력밥솥의 뚜껑 개폐장치 |
KR101379148B1 (ko) * | 2013-02-18 | 2014-03-27 | 양재복 | 다용도 밥솥의 내솥 잠금장치 |
JP2015213692A (ja) * | 2014-05-13 | 2015-12-03 | 象印マホービン株式会社 | 加熱機器 |
KR102070101B1 (ko) * | 2018-08-20 | 2020-01-29 | 주식회사 피엔풍년 | 압력솥용 안전장치 |
-
2019
- 2019-12-31 KR KR1020190179558A patent/KR10221316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198003A (ja) * | 2000-01-21 | 2001-07-24 | Zojirushi Corp | 炊飯器における内蓋付け忘れ防止機構 |
KR20030010896A (ko) | 2001-07-27 | 2003-02-06 | 최길두 | 압력밥솥의 뚜껑 개폐장치 |
KR101379148B1 (ko) * | 2013-02-18 | 2014-03-27 | 양재복 | 다용도 밥솥의 내솥 잠금장치 |
JP2015213692A (ja) * | 2014-05-13 | 2015-12-03 | 象印マホービン株式会社 | 加熱機器 |
KR102070101B1 (ko) * | 2018-08-20 | 2020-01-29 | 주식회사 피엔풍년 | 압력솥용 안전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3274532B1 (en) | Retractable handle arrangement | |
JP2011511737A (ja) | 簡易開放装置を有する自動車両用のケース | |
JP6510140B2 (ja) | 車両ドア用電子ハンドル | |
JPH0674066B2 (ja) | 車両用バツグの集中ロツク装置 | |
JP2005247232A (ja) | リッド開閉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小物入れ装置 | |
KR102213168B1 (ko) | 가열 조리 장치 | |
JP7308274B2 (ja) | ロック装置及び車両シート | |
US7328948B2 (en) | Child seat | |
FR2824862A1 (fr) | Appareil de verrouillage de porte d'un vehicule | |
JP7127242B2 (ja) | 自動車用ドアラッチ装置 | |
KR102319117B1 (ko) | 3웨이 오픈구조 자동차용 암레스트 | |
JP5426602B2 (ja) | 車両用ドアのラッチ解除装置 | |
JP3600038B2 (ja) | オープナー装置 | |
EP1081319B1 (en) | Vehicle door handle | |
KR101651677B1 (ko) | 차량용 수납상자 잠금 시스템 | |
US4858969A (en) | Door latch assembly | |
JP5640558B2 (ja) | リクライニング装置 | |
KR102275843B1 (ko) | 가열 조리 장치 | |
JP6503576B2 (ja) | ラッチ装置 | |
JP4730067B2 (ja) | 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 |
CZ308797B6 (cs) | Zámek sedadla | |
JP3866156B2 (ja) | 収納装置 | |
JP6959050B2 (ja) | 車両用シートロック装置 | |
KR102343431B1 (ko) | 회전식 틸팅모듈을 갖는 의자 | |
JP2008196279A (ja) | リッド開放操作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