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6336B1 - 차량용 수납박스 - Google Patents

차량용 수납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6336B1
KR101786336B1 KR1020160051638A KR20160051638A KR101786336B1 KR 101786336 B1 KR101786336 B1 KR 101786336B1 KR 1020160051638 A KR1020160051638 A KR 1020160051638A KR 20160051638 A KR20160051638 A KR 20160051638A KR 101786336 B1 KR101786336 B1 KR 1017863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opening
case
housing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1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한주
이기승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대주정공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대주정공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516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63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63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63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60N2/468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9Adaptations for additional use of the arm-rests
    • B60N2/793Adaptations for additional use of the arm-rests for use as storage compart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08Key guides; Key pins ; Keyholes; Keyhole fin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28Locks for glove compartments, console boxes, fuel inlet covers or the like
    • E05B83/32Locks for glove compartments, console boxes, fuel inlet covers or the like for console boxes, e.g. between passenger sea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2Hinges with pins with one pi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12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to allow easy detachment of the hinge from the wing or the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02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wings in general, e.g. fanlights
    • E05F11/32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wings in general, e.g. fanlights with rotary bars guided in the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07Mid-conso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품을 수납하는 수납부와, 관통된 중공부가 형성된 하우징과, 내부에 수용부가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된 개폐리드 및 상기 케이스에 구비되어, 상기 개폐리드를 상기 케이스로부터 고정 및 해제시키는 작동모듈을 포함하는 차량용 수납박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수납박스{Storage Box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수납박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운전자 또는 승객이 차량 내부에서 필요한 물품들을 저장하는 수납박스에 확장공간을 구비한 차량용 수납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 설치되어 내용물을 수납하거나, 후석의 좌우 시트 사이에 설치되는 암레스트 겸용 수납박스(콘솔박스)를 예로들 수 있다.
수납박스는 기능성이 점차 증대되어 다단형식으로 제작되거나, 수납박스의 내부에 컵홀더 등이 내장되고 있으며, 상기 수납공간을 덮는 리드(lid)를 슬라이딩시켜 내외부를 개방하는 방법 등이 개발되고 있다.
이렇게 다단형식 및 슬라이딩식의 수납박스인 경우에는 리드의 개폐구조가 복잡해지고, 부품의 수가 증가되거나 사용자의 불편함을 야기하고 있다.
이에 따라, 리드의 개폐를 단순하고, 사용하기 편한 구조에 대해서 지속적으로 연구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수납박스의 비밀저장소(수용부)와 수납공간을 구획하고, 수납공간의 부족시 또는 비밀저장소의 불필요시 리드를 탈거하여, 수납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확장이 가능한 차량용 수납박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수납박스에 있어서, 물품을 수납하는 수납부와, 관통된 중공부가 형성된 하우징과, 내부에 수용부가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된 개폐리드 및 상기 케이스에 구비되어, 상기 개폐리드를 상기 케이스로부터 고정 및 해제시키는 작동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작동모듈은 상기 개폐리드를 탄성지지하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로부터 지지되는 상기 개폐리드를 고정 및 해제시키는 고정핀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핀은 상기 개폐리드를 고정 및 해제시키도록 회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핀의 일측은 상기 개폐리드에 형성된 고정돌기와 고정 및 해제되는 후크부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핀의 타측은 상기 고정핀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케이스의 외부에서 삽입된 작동핀에 의해 압입되고,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가이드부와 상기 고정핀이 결합되는 장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장착부에 상기 작동핀에 의해 압입되는 상기 고정핀의 과회전을 방지하는 판스프링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개폐리드와 접촉하는 가이드핀과, 상기 가이드핀을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작동모듈은 상기 하우징과 상기 케이스를 관통하여 삽입된 작동핀(P1)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작동모듈과 마주하게 배치되어 회동가능하게 힌지부가 형성된다.
상기 힌지부는 상기 작동모듈에서 상기 개폐리드의 해제 시 소정각에서 탈거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힌지부는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에서 외부로 일부 돌출되게 구비된 힌지바과, 상기 힌지바을 회전가능하게 고정시키는 와셔핀을 포함한다.
상기 힌지바는 상기 와셔핀이 고정되도록 와셔홈이 형성된다.
상기 개폐리드는, 상기 힌지바로부터 소정각에서 탈거되게 일방향으로 개구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차량용 수납박스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수납박스에 의하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소지품을 눈에 띄지 않는 비밀보관함 장소를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수납박스에 의하면, 수납박스의 공간을 확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수납박스에 의하면, 비밀보관함이 없어 사용자의 불편함을 해소하여, 시동키(작동핀)의 키홈만으로 열수 있는 비밀보관함을 수납박스 바닥면에 만들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수납박스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개폐리드의 작동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C를 나타내는 부분확대도이다.
도 7은 도 6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수납박스의 작동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차량용 수납박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수납박스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A-A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는 개폐리드의 작동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C를 나타내는 부분확대도이며, 도 7은 도 6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수납박스의 작동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바람직한 차량의 차량용 수납박스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변경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차량용 수납박스인 경우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수납박스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A-A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수납박스를 도 1 내지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물품을 수납하는 수납부(10a)와, 관통된 중공부가 형성된 하우징(10)과, 내부에 수용부가 형성되어, 하우징(10)에 장착되는 케이스(30)와, 케이스(30)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된 개폐리드(40) 및 케이스(30)에 구비되어, 개폐리드(40)를 케이스(30)로부터 고정 및 해제시키는 작동모듈(70)을 포함한다.
하우징(10)은 물품을 수납하는 수납부(10a)가 형성되고, 관통된 중공부가 형성된다. 하우징(10)의 외부에는 커버(20)가 씌워지고, 관통된 중공부에는 케이스(30)가 장착된다. 하우징(10)의 수납부(10a)에는 홀더(50)이 삽입되어, 홀더(50)을 고정시킬 수 있다. 하우징(10)의 수납부(10a)에는 후술할 작동모듈(70)과 연통되게 관통된 하우징홀(10a')이 형성된다. 하우징(10)의 수납부(10a)에서 홀더(50)을 탈거한 뒤, 하우징홀(50)에 시동키 즉, 작동핀(P1)를 삽입한다.
케이스(30)는 내부에 수용부(30a)가 형성되어, 하우징(10)에 장착된다. 케이스(30)는 수용부(30a)를 중공부에 맞춰 장착된다. 케이스(30)에는 개폐리드(40)가 장착되어 수용부(30a)와 중공부를 연통시킨다. 이에 따라, 개폐리드(40)를 폐쇄시키면, 수용부(30a)를 차폐시켜 중공부와 분리될 수 있다. 한편, 개폐리드(40)를 개방하면, 수용부(30a)를 개방하여, 중공부와 연통됨으로써 전용면적을 늘릴 수 있다.
케이스(30)에는 작동모듈(70)이 결합되는 장착부(35)가 형성된다. 장착부(35)는 수용부(30a)를 향하여 돌출 형성된다. 장착부(35)에는 폐쇄된 개폐리드(40)와 수직으로 관통홀(70a)이 형성된다. 또, 하우징홀(50)과 장착부(35)가 연통되게 형성된 삽입홀(10a')을 통하여 작동핀(P1)가 삽입된다. 한편, 장착부(35)에는 작동핀(P1)에 의해 압입되는 고정핀(72)의 과회전을 방지하는 판스프링(60)이 장착될 수 있다.
개폐리드(40)는 케이스(30)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된다. 개폐리드(40)는 힌지바(P2)로부터 소정각에서 탈거된다. 개폐리드(40)는 힌지바(P2)로부터 탈거되게 일방향으로 개구된다. 개폐리드(40)는 힌지바(P2)와 연결되지 아니한 일편에 작동모듈(70)에 고정되게 고정돌기(40a)가 형성된다. 고정돌기(40a)는 후크형상으로 형성되어, 후술할 고정핀(72)의 후크부(72a)에 걸림된다.
작동모듈(70)은 케이스(30)에 구비되어, 개폐리드(40)를 케이스(30)로부터 고정 및 해제시킨다. 작동모듈(70)은 개폐리드(40)를 탄성지지하는 가이드부(74,76)와, 가이드부(74,76)로부터 지지되는 개폐리드(40)를 고정 및 해제시키는 고정핀(72)을 포함한다.
고정핀(72)은 개폐리드(40)를 고정 및 해제시키도록 회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고정핀(72)의 일측은 개폐리드(40)에 형성된 고정돌기(40a)와 고정 및 해제되는 후크부(72a)가 형성된다. 고정핀(72)의 타측은 고정핀(72)을 회전시키도록 삽입된 작동핀(P1)에 의해 압입된다.
고정핀(72)은 작동핀(P1)에 의해 타측이 압입되면, 일측이 반작용에 의해 고정돌기(40a)를 해제시킨다. 고정핀(72)은 일측 및 타측의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운동하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고정핀(72)은 판스프링(60)에 의해 작동핀(P1)의 압입에도 과회전되지 아니하고, 작동핀(P1)을 제거하면 원상회복할 수 있다.
가이드부(74,76)는 개폐리드(40)를 탄성지지하도록 구비된다. 가이드부(74,76)는 개폐리드(40)와 접촉하는 가이드핀(74)과, 가이드핀(74)을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76)를 포함한다. 가이드핀(74)은 몸통부와 고정돌기(40a)와 면접하는 머리부로 형성된다. 머리부는 몸통부보다 전면적이 크게 형성된다. 가이드핀(74)은 개폐리드(40)의 개폐에 따라 관통홀(35a)을 통과할 수 있다.
도 5는 개폐리드의 작동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C를 나타내는 부분확대도이며, 도 7은 도 6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한편, 도 5 내지 도 7 참조하면, 케이스(30)에는 작동모듈(70)과 마주하게 배치되어 회동가능하게 힌지부가 형성된다. 개폐리드(40)는 작동핀(P1)으로 해제시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소정각에서 탈거 가능하다. 힌지부는 케이스(30)의 내부에서 외부로 일부 돌출되게 구비된 힌지바(P2)과, 힌지바(P2)을 회전가능하게 고정시키는 와셔핀(R)을 포함한다. 힌지바(P2)는 와셔핀(R)이 고정되도록 와셔홈이 형성된다.
케이스(30)의 힌지부는 보스가 형성되어 힌지바(P2)가 삽입된 후 와셔핀(R)을 와셔홈에 끼워 보스에 삽입된 힌지바(P2)의 이탈을 방지한다.
힌지핀(P2)는 개폐리드(40)를 회전가능하게 고정시 개폐리드(40)는 힌지바(P2)를 끝단부가 원형으로 끼워지는 구조이다. 이에 따라, 고정핀(72)이 해제된 조건에서 개폐리드(40)를 탈거하여 수용공간(30a)을 사용할 수 있는 탈부착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수납박스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해 작용을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수납박스의 작동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수납박스에 대하여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비밀보관함이 없어 사용자의 불편함이 있었으나, 본 구조에서는 시동키에 키홈만으로 열수 있는 비밀 보관방을 스토리지 박스 바닥면에 만들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스토리지박스 바닥면에 비밀보관함(수용부)을 갖는 구조로서, 먼저 개폐리드(40)의 탈거 또는 수용부(30a)를 개방할 수 있는 상태에 대하여 설명하면, 홀더(50)를 탈거 후 수납부(10a) 내측면 하우징홀(10a')을 통해 작동핀(P1)에 키 부위를 삽입하면 잠금(Locking)이 해제되면서, 개폐리드(40)가 상측으로 부상되어 케이스(30)의 수용부(30a)를 개방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손으로 개폐리드(40)를 잡아 탈거하면, 수용부(30a)를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수납공간이 확장된다.
즉, 하우징홀(10a')을 통해 작동핀(P1)의 키 부분을 삽입하여 고정핀(72)을 밀면, 고정핀(72)에 걸림되어 있던 개폐리드(40)가 걸림 해제된다. 한편, 탄성부재(76)에 의해 지지되던 가이드핀(74)은 개폐리드(40)를 지지방향으로 밀게 되면, 개폐리드(40)는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케이스(30)의 수용부(30a)가 개방된다.
이때, 고정핀(72)을 지지하는 판스프링(60)에 의해 고정핀(72)의 과회전을 방지하고, 작동핀(P1)의 과진입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개방된 개폐리드(40)를 사용자는 탈거할 수 있고, 탈거된 상태에서 다시 취부하는 것을 설명하면, 힌지핀(P2)에 개폐리드(40)의 개구된 방향에 맞춰 삽입한 뒤, 케이스(30)의 수용부(30a) 폐쇄시 화살표 방향으로 개폐리드(40)를 가압하면, 가이드핀(74)이 관통홀(35a)로 이동되고, 판스프링(60)에 의해 원복된 고정핀(72)에 의해 고정돌기(40a)가 걸림되어 잠긴다. 그리고, 홀더(50)를 다시 (10a)에 삽입하여, 수용부(30a)를 폐쇄시킬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수납박스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소지품을 눈에 띄지 않는 비밀보관함 장소로 활용할 수 있고, 수납박스의 공간을 확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수납박스는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주요 도면부호의 상세한 설명>
10: 하우징 20: 커버
30: 케이스 40: 개폐리드
50: 하우징홀 60: 판스프링
70: 작동모듈

Claims (13)

  1. 물품을 수납하는 수납부와, 관통된 중공부가 형성된 하우징;
    내부에 수용부가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된 개폐리드; 및
    상기 케이스에 구비되어, 상기 개폐리드를 상기 케이스로부터 고정 및 해제시키는 작동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작동모듈은, 상기 개폐리드를 탄성지지하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로부터 지지되는 상기 개폐리드를 고정 및 해제시키는 고정핀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핀의 일측은, 상기 개폐리드에 형성된 고정돌기와 고정 및 해제되는 후크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핀의 타측은, 상기 고정핀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케이스의 외부에서 삽입된 작동핀에 의해 압입되고,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가이드부와 상기 고정핀이 결합되는 장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장착부에는 상기 작동핀에 의해 압입되는 상기 고정핀의 과회전을 방지하는 판스프링이 구비되며,
    상기 고정핀은 일측 및 타측의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 운동하여 상기 판스프링에 의해 상기 작동핀의 압입으로 과회전을 방지하고, 상기 작동핀 제거 시 복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수납박스.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은,
    상기 개폐리드를 고정 및 해제시키도록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차량용 수납박스.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개폐리드와 접촉하는 가이드핀과,
    상기 가이드핀을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차량용 수납박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모듈은,
    상기 하우징과 상기 케이스를 관통하여 삽입된 작동핀에 의해 작동되는 차량용 수납박스.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작동모듈과 마주하게 배치되어 회동가능하게 힌지부가 형성된 차량용 수납박스.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상기 작동모듈에서 상기 개폐리드의 해제 시 소정각에서 탈거가능한 차량용 수납박스.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에서 외부로 일부 돌출되게 구비된 힌지바과,
    상기 힌지바을 회전가능하게 고정시키는 와셔핀을 포함하는 차량용 수납박스.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바는,
    상기 와셔핀이 고정되도록 와셔홈이 형성된 차량용 수납박스.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리드는,
    상기 힌지바로부터 소정각에서 탈거되게 일방향으로 개구된 차량용 수납박스.
  13. 물품을 수납하는 수납부와 관통된 중공부가 형성된 하우징;
    내부에 수용부가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는 케이스;
    상기 수용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케이스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된 개폐리드; 및
    상기 케이스에 구비되어, 상기 개폐리드를 상기 케이스로부터 고정 및 해제시키는 작동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작동모듈의 해제 시, 상기 개폐리드를 회동시켜 상기 수용부가 개방되며,
    상기 작동모듈은, 상기 개폐리드를 탄성지지하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로부터 지지되는 상기 개폐리드를 고정 및 해제시키는 고정핀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핀의 일측은, 상기 개폐리드에 형성된 고정돌기와 고정 및 해제되는 후크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핀의 타측은, 상기 고정핀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케이스의 외부에서 삽입된 작동핀에 의해 압입되고,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가이드부와 상기 고정핀이 결합되는 장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장착부에는 상기 작동핀에 의해 압입되는 상기 고정핀의 과회전을 방지하는 판스프링이 구비되며,
    상기 고정핀은 일측 및 타측의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 운동하여 상기 판스프링에 의해 상기 작동핀의 압입으로 과회전을 방지하고, 상기 작동핀 제거 시 복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수납박스.
KR1020160051638A 2016-04-27 2016-04-27 차량용 수납박스 KR1017863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1638A KR101786336B1 (ko) 2016-04-27 2016-04-27 차량용 수납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1638A KR101786336B1 (ko) 2016-04-27 2016-04-27 차량용 수납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6336B1 true KR101786336B1 (ko) 2017-10-17

Family

ID=60297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1638A KR101786336B1 (ko) 2016-04-27 2016-04-27 차량용 수납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633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37452A (zh) * 2021-03-18 2021-06-11 南方佛吉亚汽车部件有限公司 一种具有可拆卸滑动式储物盒的扶手箱
CN114212032A (zh) * 2021-11-23 2022-03-22 北京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新型汽车副仪表板扶手箱扩容空间、副仪表板和汽车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32231A (ja) * 2003-01-28 2004-08-19 Toyoda Gosei Co Ltd 物品収容箱
JP2005262898A (ja) * 2004-03-16 2005-09-29 T S Tec Kk 車両用コンソール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32231A (ja) * 2003-01-28 2004-08-19 Toyoda Gosei Co Ltd 物品収容箱
JP2005262898A (ja) * 2004-03-16 2005-09-29 T S Tec Kk 車両用コンソール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37452A (zh) * 2021-03-18 2021-06-11 南方佛吉亚汽车部件有限公司 一种具有可拆卸滑动式储物盒的扶手箱
CN112937452B (zh) * 2021-03-18 2024-02-06 南方佛吉亚汽车部件有限公司 一种具有可拆卸滑动式储物盒的扶手箱
CN114212032A (zh) * 2021-11-23 2022-03-22 北京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新型汽车副仪表板扶手箱扩容空间、副仪表板和汽车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3225B1 (ko) 자동차의 트레이 록킹 구조
US7832240B2 (en) Lid lock device
KR101827398B1 (ko) 차량용 슬라이딩 암레스트
KR20090062177A (ko) 자동차 암레스트 콘솔박스의 고정 구조
KR101786336B1 (ko) 차량용 수납박스
JP2002104037A (ja) チャイルドシートアンカー装置
KR100805476B1 (ko) 자동차의 리어암레스트용 스위치커버 개폐구조
JP2019142336A (ja) コンソールボックス
JP2001055091A (ja) スライド式コンソールボックス
JP5020321B2 (ja) リモコン保持装置
WO2011067981A1 (ja) カード保持具
KR102583099B1 (ko) 차량 시트용 래치 장치
KR101449302B1 (ko) 오토바이 리어백용 시건장치
JP3650844B2 (ja) ドア及びカップホルダの開閉機構
KR100693742B1 (ko) 자동차용 트레이의 덮개 잠금장치
KR100930797B1 (ko) 자동차용 트레이의 커버 열림 방지장치
JP2000115315A (ja) 電話機ホルダー
KR100543759B1 (ko) 자동차의 트레이 개폐 구조
WO2011133758A1 (en) A container holding device for a vehicle
KR101859411B1 (ko) 자동차의 휴대용 리모트컨트롤 키
JP4355927B2 (ja) 車両用携帯電話保持装置
JP3625740B2 (ja) 車両用収納体
CN210083031U (zh) 一种用于车辆的烟灰缸总成及车辆
CN109229026B (zh) 一种用于车辆的扶手箱组件
KR100692142B1 (ko) 자동차의 연료 도어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