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5281B1 - 차량용 브레이크 시스템 및 브레이크 시스템을 작동하기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브레이크 시스템 및 브레이크 시스템을 작동하기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5281B1
KR102275281B1 KR1020140158310A KR20140158310A KR102275281B1 KR 102275281 B1 KR102275281 B1 KR 102275281B1 KR 1020140158310 A KR1020140158310 A KR 1020140158310A KR 20140158310 A KR20140158310 A KR 20140158310A KR 102275281 B1 KR102275281 B1 KR 1022752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e
brake system
simulator
vehicle
ped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8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56069A (ko
Inventor
다고베어트 마주르
마티아스 키스트너
오트마르 부쓰만
귄터 트라인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500560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60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52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52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7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 B60T13/745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acting on a hydraulic system, e.g. a master cylin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12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the fluid being liquid
    • B60T13/1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the fluid being liquid using accumulators or reservoirs fed by pumps
    • B60T13/142Systems with master cylinder
    • B60T13/145Master cylinder integrated or hydraulically coupled with booster
    • B60T13/146Part of the system directly actuated by booster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66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662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characterised by specified functions of the control system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66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68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by electrically-controlled valves
    • B60T13/686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by electrically-controlled valves in hydraulic systems or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4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 B60T7/04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by electrical means, e.g. using travel or force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0T8/34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 B60T8/4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comprising an additional fluid circuit including fluid pressurising means for modifying the pressure of the braking fluid, e.g. including wheel driven pumps for detecting a speed condition, or pumps which are controlled by means independent of the braking system
    • B60T8/4072Systems in which a driver input signal is used as a control signal for the additional fluid circuit which is normally used for braking
    • B60T8/4081Systems with stroke simulating devices for driver inpu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 Transmission Of Braking Force In Brak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브레이크 시스템(10)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시스템은 독립적인 제2 체적으로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사전 충전 링 챔버(40)를 갖는 주 브레이크 실린더(30)로서, 이때 주 브레이크 실린더(30)는 브레이크 실린더 내에 존재하는 유압액에 유압식으로 작용하는, 유체 결합 가능한 2개 이상의 면들(46, 47)과; 주 브레이크 실린더(30)와 유체 결합 가능한 유압액 리저브(50)와; 일측으로는 각각 주 브레이크 실린더(30)의 챔버들(31, 32)과 유체 결합되고 타측으로는 각각 브레이크 토크를 생성하는, 차량의 휠들과 결합된 휠 브레이크 실린더들과 유체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제1 및 제2 브레이크 회로와; 운전자에 의해 작동될 수 있는 전체의 브레이크 페달 경로 또는 전체 경로의 섹션에 걸쳐 작동될 수 있는 페달감-시뮬레이터(600)를 추가로 포함하며, 이때 페달감-시뮬레이터(600)는 입력측에서 제1 브레이크 회로 및/또는 제2 브레이크 회로와 유체 결합되는 유체 라인(100)을 통해 주 브레이크 실린더(30)의 챔버(32)와 유체 결합되고, 페달감-시뮬레이터(600)는 출력측에서 평상시 차단된 밸브(70)가 배치되어 있는 유체 라인(60)을 통해 사전 충전 링 챔버(40)뿐만 아니라 유압액 리저브(50)와도 유체 결합된다.

Description

차량용 브레이크 시스템 및 브레이크 시스템을 작동하기 위한 방법{BRAKE SYSTEM FOR A VEHICL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BRAKE SYSTEM}
문헌 WO 2009/121645 A1호에는 유압식 차량 브레이크 시스템이 기술되어 있다. 유압식 차량 브레이크 시스템의 주 브레이크 실린더는 제1 압력 챔버와 제2 압력 챔버를 포함한다. 브레이크 페달에 대해 확장된 일측 단부에서 주 브레이크 실린더는 통합된 페달 경로 시뮬레이터(22)를 추가로 구비하고, 브레이크 유체로 충전될 수 있는 상기 시뮬레이터의 체적은 시뮬레이터 밸브에 의해 브레이크 유체 저장기와 유압식으로 연결되어 있다. 브레이크 유체로 충전될 수 있는 페달 경로 시뮬레이터의 체적과 인접한 제1 압력 챔버는 단계 피스톤으로 형성된 로드 피스톤과 시뮬레이터 피스톤에 의해 한정된다.
또한, 문헌 DE 10 2011 006 327 A1호에는 이동될 수 있도록 내부에 배치된 2개의 피스톤을 구비한 주 브레이크 실린더를 포함하는 "브레이크-바이-와이어" 타입의 브레이크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고, 이때 피스톤이 상이한 크기의 2개 이상의 유압식 작용면들을 구비한 단계 피스톤으로 형성되어, 단계 피스톤 형태에 의해 유압액 또는 브레이크 유체로 충전될 수 있는 링 체적이 형성된다. "브레이크-바이-와이어" 작동 모드에서 주 브레이크 실린더가 운전자에 의해 작동하는 경우, 더 좁은 작용면들이 차량 휠들에서 브레이크 토크를 생성하기 위해 작용하고, 고장 대체 상태에서, 다시 말해 브레이크 시스템의 작동에 대한 기능 오류가 존재하면, 더 넓은 작용면이 작용하며, 이때 더 좁은 작용면에서 더 넓은 작용면으로의 전환이 주 브레이크 실린더 내 압력 공간 내에서 유압 압력에 따라 또는 소모된 페달 힘에 따라 이루어진다.
파워 브레이크 시스템들에서는, 작동 중 페달 행정과 페달 힘의 분리에 의해 작동 중 이송될 유압액 체적과 무관하게 고장 대체 상태를 계획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유압식으로 작용하는 면은 이러한 고장 대체 상태를 위해 브레이크 시스템의 체적 수용부에 의해 몇몇의 작동 상태들을 고려하여 결정된다.
본 발명은 청구범위 제1항의 특징들을 갖는 차량용 브레이크 시스템과 병렬 독립항에서 상기 브레이크 시스템을 작동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예컨대 통합된 브레이크 시스템의 고장 및/또는 기능 오류와 같은 부분 고장 또는 전체 고장 시에, 유압식으로 작용하고 결합 가능한 2개의 면들에 대한 운전자의 직접적인 개입이 가능하도록 브레이크 시스템을 작동시키는 것을 제공한다. 숙련된 결합에 의해, 다시 말해 소정의 압력에 도달할 때까지 면들 중 하나의 면에 연결함으로써, 고려될 작동 상태들의 영향이 줄어들고, 제공된 힘에 의해 더 큰 압력과 이로 인해 더 큰 감속이 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조치에 의해 기계식 고장 대체 상태에서 달성될 수 있는 감속은 작동 상태에 의해 페달 경로에 그리 불리한 영향을 끼치지 않으면서 분명히 커진다. 그러나 마찬가지로 상술된 기능 원리를 이용하는 종래 기술로부터 이미 알려진 브레이크 시스템에 비해,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브레이크 시스템은 더 적은 수의 스위칭 밸브에 의해 동일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므로, 이로써 스위칭 밸브를 구동하기 위한 비용이 바람직하게 감소될 뿐만 아니라, 브레이크 시스템을 위한 비용도 감소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제공되는 브레이크 시스템의 경우 지금까지 페달감-시뮬레이터의 입력측 전방에서 이용된 스위칭 밸브의 제거에 의해 브레이크 시스템의 이용자를 위한 안락함도 증대되는 장점이 제공되는데, 그 이유는 일반적으로 스위칭 밸브의 이용은 유압식 시스템의 작동으로 인한 상기 유압식 시스템의 관성뿐만 아니라 상기 유압식 시스템의 작동 시의 소음과도 결부되기 때문이다. 그 외에도, 제공되는 브레이크 시스템에서 스위칭 밸브의 제거에 의해 중량도 감소되어 차량의 연료 소모도 감소된다.
본 발명에 따라 페달감-시뮬레이터는 입력측에서 제1 브레이크 회로 및/또는 제2 브레이크 회로와 유체 결합되는 유체 라인을 통해 주 브레이크 실린더의 챔버와 유체 결합된다. 제공되는 브레이크 시스템의 바람직한 추가의 일 실시예에 따라, 페달감-시뮬레이터는 입력측에서 제1 브레이크 회로 및/또는 제2 브레이크 회로와 유체 결합되는 유체 라인을 통해 직접 주 브레이크 실린더의 챔버와 유체 결합된다. 여기서, 직접적인 유체 결합은 2개의 컴포넌트들 사이의 유체 결합을 의미하고, 이러한 결합 시에 유체 결합에 대한 추가 컴포넌트들의 작용이 제공되지는 않는다. 다시 말해, 직접 유체 결합되는 컴포넌트들 사이에 추가의 컴포넌트들이 중간에 놓여 배치되거나 작용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주 브레이크 실린더에는 하나의 제1 체적과 하나의 제2 체적으로 분배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제1 압력 챔버가 제공되고, 이때 제1 체적은 로드 피스톤의 제1 피스톤 벽에 의해 한정되는데, 상기 체적은 제1 피스톤 벽의 이동에 의해 변동될 수 있고, 제2 체적은 로드 피스톤의 제2 피스톤 벽에 의해 한정되는데, 제2 체적은 제2 피스톤 벽의 이동에 의해 변동될 수 있으며, 이때 제1 체적과 제2 체적은 유압액 리저브에 유체 결합되고, 제1 브레이크 회로는 제1 유체 라인에 의해 제1 체적에 유체 결합된다.
제공되는 브레이크 시스템의 추가의 일 실시예에 따라, 평상시 차단된 밸브는 복수의 밸브들의 기능을 단일 부품 내에서 구현할 수 있다. 이때 종래 기술로부터 알려진 브레이크 시스템과 관련하여,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브레이크 시스템의 경우, 지금까지 특히 페달감-시뮬레이터의 입력측에 배치되고 도 1에 따라 평상시 차단된 자기 밸브(35)와, 도 1에 따라 스위칭 밸브(610)로 표시되고 이른바 '시뮬레이터 분리 밸브'로도 불리는 밸브는 이제 평상시 차단된 단일 밸브로 통합됨으로써, 제공되는 브레이크 시스템에 대한 상술된 장점들은 달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해 추가로, 예컨대 도 1의 설명부에서 설명되듯이, 종래 기술로부터 브레이크 시스템의 알려진 구성에 비해,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브레이크 시스템에 의해, 지금까지 입력측에서 페달감-시뮬레이터와 유체 결합되는 체크 밸브(210)가 절약될 수 있다.
제공되는 브레이크 시스템의 추가의 일 실시예에 따라, 체크 밸브가 추가로 제공될 수 있고, 상기 체크 밸브는 일측 단부에서 유체 라인을 통해 페달감-시뮬레이터의 유체 라인과 유체 결합되고 타측 단부에서 사전 충전 링 챔버와 유체 결합된다. 상기 체크 밸브는 바람직하게 사전 충전 링 챔버에 의해 제공되는 추가 체적으로 인해, 접속된 각각의 브레이크 회로에서 이른바 무용 체적의 더 신속한 극복에 의해 무압력 브레이크 상태로부터 제동 거동의 향상을 제공한다.
추가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브레이크 시스템은 유체 라인을 통해 평상시 차단된 밸브의 하류에서 평상시 차단된 밸브와 유체 결합되는 제어 가능한 체크 밸브를 포함한다. 브레이크 시스템의 각각의 브레이크 회로 내로의 유입과 유압액 리저브 내로의 환류는 제어 가능한 체크 밸브의 차단 압력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의 제어 가능한 체크 밸브는 링 피스톤 체적(40) 내 최대 허용 압력을 규정하는데, 다시 말해 이로써 압력 한정에 이용된다.
제공되는 브레이크 시스템의 추가의 일 실시예에 따라, 페달감-시뮬레이터는 출력측에서 주 브레이크 실린더의 챔버와 유체 결합되고, 이때 주 브레이크 실린더는 이를 위해 해당되는 스니핑(sniffing) 보어를 포함한다. 이를 통해 특성 곡선을 위해 페달감-시뮬레이터를 위한 점프-인 영역에서 이용되고 지금까지 이용되는 이른바 '점프-인 밸브'는 이제부터 주 브레이크 실린더에 의해 구현될 수 있기 때문에, 제공되는 브레이크 시스템의 구조는 종래 기술에 비해 바람직하게 개선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들에 의해 설명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브레이크 시스템의 유압 회로도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시스템의 유압 회로도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시스템의 유압 회로도의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하기의 실시예들이 설명되기 전에, 우선 주 브레이크 실린더 내에 있는 링 체적 피스톤 공간을 구비한 브레이크 시스템의 기본적인 구성을 설명하고자 하며, 상기 구성은 원칙적으로 제공되는 브레이크 시스템의 모든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도 2 및 도 3과 관련하여 개별 실시예들의 상세한 내용이 이러한 기본적인 구성에 대한 변형예로 또는 보충예로 설명된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따른 브레이크 시스템(10)의 유압 회로도의 개략도가 도시되고, 이때 브레이크 시스템(10)을 작동하기 위한 중요한 컴포넌트들은 도면부호 "11"과 파선의 경계에 의해 제공되는 유닛 내에 장착되어 있다.
링 체적을 형성하고 기능 방법이 추가로 하기에 더 구체적으로 설명되는 단계 피스톤(45)을 구비한 상기에 언급된 부가 장치는, 링 체적 피스톤 공간 내에서 제한된 낮은 압력에서 그리고 도면부호 "100"으로 표시되는 제1 브레이크 회로에서, 추가의 브레이크 유체 체적을 제1 브레이크 회로(100) 내로 밀어낸다. 이러한 추가량은 완전 제동 시에 기계식 고장 대체 상태에서 달성될 수 있는 브레이크 압력을 제1 브레이크 회로(100)에서 증가시킴으로써 최대로 가능한 차량 감속이 이루어진다.
또한, 이러한 효과는 경우에 따라 제1 브레이크 회로(100) 내에 포함된 기포를 보상하고, 이는 고장 대체 상태에서 더 높은 최대 브레이크 압력과, 이와 관련하여 차량의 비교적 더 짧은 정지 경로를 가능하게 한다.
상기 추가 체적은 무압력 브레이크 상태로부터 제1 브레이크 회로(100) 내 이른바 무용 체적의 더 신속한 극복에 의해 제동 거동도 향상시킨다. 이러한 알려진 원칙은 도 1에서 도면 부호 "15"로 표시되는 유압 경로 또는 체크 밸브(20)를 갖는 유체 라인에 상응한다. 이러한 상술된 모든 장점들은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 시스템에 의해서도 구현될 수 있다.
도 1에 따르면, 종래의 주 브레이크 실린더(30)의 양 압력 챔버들(31, 32)에는, 하기에 더 설명되듯이, 체적 내에서 단계 피스톤(45)에 의해 유압식으로 작용하는 양 면들(46 및 47) 중 하나의 면에 의해 변동될 수 있는 1차 챔버 또는 사전 충전 링 챔버(40)가 전방에 위치한다. 알려진 방식으로 브레이크 입력 부재(48)가 단계 피스톤(45)에 결합되고, 상기 부재는 포인트(49)를 중심으로 선회될 수 있다.
사전 충전 링 챔버(40)는 정상 작동 중에 (다시 말해 바이-와이어) (평상시 차단된) 자기 밸브(35)의 구동에 의해 브레이크 유체 (유압액) 리저브(50)에 단락된다.
이러한 구동의 시점은 제동이 신속하게 인지될 경우(예컨대, 긴급 제동의 경우), 이러한 작동의 경우에 압력 형성 다이내믹을 향상시키기 위해 시간상 나중으로 이동될 수 있다. '기계식 고장 대체 상태'의 작동 모드에서 (일반적으로 전류가 공급되지 않기 때문에) 자기 밸브(35)는 차단된다.
브레이크 회로(100 및 200) 내로의 유입과 리저브(50) 내로의 환류는 체크 밸브들(210, 110, 55)의 차단 압력에 의해 제어된다. 체크 밸브(55)는 링 피스톤 체적(40) 내 최대 허용 압력을 규정하는(압력 한정) 반면에, 브레이크 회로들(100, 200) 내 체크 밸브들(210, 110)은 브레이크 회로들(100, 200)과 링 피스톤 체적 또는 사전 충전 링 챔버(40) 사이의 최소 압력차를 규정한다.
링 피스톤 체적(40) 내 압력이 이러한 압력 임계를 초과하면, 브레이크 유체는 링 피스톤 영역(40)으로부터 브레이크 회로들(100, 200) 내로 흐른다. 이러한 상태는 브레이크 회로의 압력 상승에 의해 압력 임계에 미달할 때까지, 또는 사전 충전 링 챔버(40) 내 체크 밸브(55)에 의해 설정된 최대 압력이 초과할 때까지 유지된다. 유압식 병렬 경로(115)의 구현에 의해 상기 효과는 브레이크 회로(200) 내에서도 이용된다.
이와 관련하여, 완전한 설명을 위해, 알려진 방식으로 각각 (평상시 개방된) 유체 라인들(100, 200)에 스위칭 밸브들(105, 205)이 배치되고, 상기 스위칭 밸브들은 휠 변조부(300)로의 직접적인 개입(다시 말해 유압액의 공급)을 허용한다.
도 1에는 일반적으로 휠 변조부로 알려진 장치가 도면부호 "300"으로 표시되고, 이때 휠 변조부(300)는 (여기서 추가로 도시되지 않는) 차량 휠들, 이러한 휠들에 할당되는 휠 브레이크 실린더, 및 유입 밸브와 배출 밸브를 포함하며, 이들의 기능은 당업자에게 알려져 있기 때문에 간소함을 위해 여기서는 설명되지 않는다.
도 1에는 액츄에이터가 도면부호 "400"으로 표시되고, 상기 액츄에이터는 도 1에 도시된 구성에서 전자-유압식으로, 다시 말해 예컨대 "M"으로 표시되는 전동기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액츄에이터(400)에는 유체 라인(425)을 통해 리저브(50)로부터 유압액이 공급된다. 전동기(M)는, 예컨대 체적(410) 내에 존재하는 유압액을 보상하기 위해, 다시 말해 압력을 가하기 위해, 주 브레이크 실린더(30)의 작동과 무관하게 공급 연결부들(450, 460)의 유체 라인들(430, 440)을 통해 (예컨대 ESP 기능으로서) 휠 변조부(300) 내로 유압액을 이송하기 위해, 상기 전동기가 전방 구동 또는 후방 구동(415)에 의해 하우징 내 피스톤(405)을 앞뒤로 이동시킬 수 있는 방식으로 구동될 수 있다. 알려진 방식으로, 브레이크 시스템(10)의 다른 위치들에서와 마찬가지로, 유체 라인들(430, 440) 내에서 [다시 말해 액츄에이터(400)로부터 볼 때] 각각 전방에 필터 장치들(475, 485)을 갖는 스위칭 밸브들(470, 480)이 배치되어 있지만, 이는 알려진 것으로 전제되기 때문에, 이에 대해 더 자세히 다루지는 않는다. 그러나 완전성을 위해 언급하고자 하는 바에 따르면, 브레이크 시스템(10)의 다양한 위치들에는 압력 센서들이 배치되어 있지만, 마찬가지로 이들의 기능은 당업자에게 알려져 있을 것이다. 예시로서 도 1에는 도면 부호 "500"으로 표시되는 압력 센서가 유체 라인(440)의 단부에 구현된다.
추가로 압력 저장기(605), 스위칭 밸브(610), 및 체크 밸브(210)를 구비한 바이패스 유체 라인(615)을 구비하는 페달감-시뮬레이터-장치(600)가 구현된다. 이에 병행하여 스위칭 밸브(620)가 배치된다. 한편, 페달감-시뮬레이터-장치(600)는 종래 기술로부터 당업자에게 이미 알려져 있음을 강조하고자 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시스템(10)의 유압 회로도의 개략도가 도시된다.
도 2와 도 3에는 각각 세부 도면으로 도 1의 브레이크 시스템(10)의 일부, 다시 말해 페달감-시뮬레이터(600)와 연결된 주 브레이크 실린더(30)가 도시된 해당 부분이 도시된다.
도 2에는 주 브레이크 실린더(30)(이른바 '평행 플런저')의 횡단면도와 유압식으로 작용하고 결합 가능한 면들(46 및 47)을 구비한 로드 피스톤(45), 사전 충전 링 챔버(40), 압력 챔버들(31, 32), 압력 챔버들(31 및 32)을 서로 분리시키는 부유 피스톤(33), 및 유압액 리저브(50)가 도시된다.
또한 제1 브레이크 회로 또는 제2 브레이크 회로의 유체 라인들(100, 200)에는 상응하는 밸브들(105, 205)이 제공되고, 이때 유체 라인들(100, 200)은 (도면과 관련하여) 도면에서 '아래로' (여기서 도시되지 않는) 휠 변조부로 연장되고 이러한 변조부에 결합된다.
유압액 리저브(50)는 스니핑 보어들(43a, 43b, 43c)을 통해 각각 주 브레이크 실린더(30)의 압력 챔버들(31, 32, 40)과 유체 결합된다. 또한 스니핑 보어들(43a, 43b, 43c)에는 해당되는 시일들(41, 42, 43)이 제공되고, 상기 시일들은 주변에 대해 주 브레이크 실린더(30)를 밀봉시킨다.
브레이크 시스템(10)의 기능 오류의 경우, 운전자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화살표(900)로 표시되는 힘을 가할 수 있어서, 다시 말해 (여기서 도시되지 않는) 브레이크 페달을 밞음으로써, 최종적으로 휠들에 브레이크 토크를 생성하기 위해 유체 라인들(100, 200)을 통해 직접 (여기서 도시되지 않는) 휠 변조부에 전달되는 압력을 압력 챔버들(31, 32) 내에서 생성하기 위해, 도면에서 로드 피스톤(45)을 좌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는, 사전 충전 링 챔버(40) 내에서 유압식으로 작용하는 면(46)에 의해 형성되는 압력(이 압력으로 효율적인 제동이 매우 어려울 수 있고, 이 압력에 대해 운전자가 상응하는 큰 힘을 가해야만 한다)이 밸브(55)의 (통과) 스위칭에 의해 감소되어, 운전자는 최종적으로 유압식으로 작용하는 면(47)에 의해 '제동'하기 때문에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유압식으로 작용하는 면들(46, 47)은 기능에 따라 서로 결합된다.
운전자에 의해 작동될 수 있는 전체 브레이크 페달 경로 또는 전체 경로의 섹션들에 의해 작동될 수 있는 브레이크 시스템(10)의 페달감-시뮬레이터(600)는 입력측에서 제1 브레이크 회로 및/또는 제2 브레이크 회로와 유체 결합되는 유체 라인(100)을 통해 주 브레이크 실린더(30)의 압력 챔버(32)와 유체 결합되고, 페달감-시뮬레이터(600)는 출력측에서 평상시 차단된 밸브(70)가 배치되어 있는 유체 라인(60)을 통해 사전 충전 링 챔버(40)뿐만 아니라 유압액 리저브(50)와도 결합된다.
또한, 유체 라인(15)을 통해 일측 단부에서 페달감-시뮬레이터(600)의 유체 라인(60)과 유체 결합되고 타측 단부에서 사전 충전 링 챔버(40)와 유체 결합되는 체크 밸브(20)가 브레이크 시스템(10) 내에 제공된다. 또한 브레이크 시스템(10)은 제어 가능한 체크 밸브(55)를 구비하는데, 상기 체크 밸브는 유체 라인(71)을 통해 평상시 차단된 밸브(70)의 하류에서 평상시 차단된 밸브(70)와 유체 결합된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브레이크 시스템(10)의 유압 회로도의 개략도가 도시된다.
브레이크 시스템(10)의 원칙적인 구성은 도 2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구성과 유사하기 때문에, 하기에는 제1 실시예에 비해 차이점만 더 설명된다.
여기서 페달감-시뮬레이터(600)는 출력측에서 주 브레이크 실린더(30)의 압력 챔버들(32) 중 하나의 챔버와 유체 결합되고, 이때 이를 위해 주 브레이크 실린더(30)는 해당 스니핑 보어(81)를 구비한다. 스니핑 보어(81)는 유체 라인(82)을 통해 체크 밸브(20)의 하류에서 유체 라인(15)과 유체 결합된다. 스니핑 보어(81)는 주 브레이크 실린더(30) 내에 해당되는 립 시일(84)을 구비하고, 상기 립 시일은 로드 피스톤(45)을 포지셔닝할 시에 스니핑 보어(81)의 영역 내에서 페달감-시뮬레이터(600) 없이 이른바 점프-인 거동이 구현될 수 있도록 한다.

Claims (10)

  1. 차량용 브레이크 시스템(10)이며, 상기 브레이크 시스템은,
    - 독립적인 제2 체적으로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사전 충전 링 챔버(40)를 갖는 주 브레이크 실린더(30)로서, 이때 주 브레이크 실린더(30)는 주 브레이크 실린더 내에 존재하는 유압액에 유압식으로 작용하는, 유체 결합 가능한 2개 이상의 면들(46, 47)을 포함하는, 주 브레이크 실린더(30)와,
    - 주 브레이크 실린더(30)와 유체 결합 가능한 유압액 리저브(50)와,
    - 일측으로는 각각 주 브레이크 실린더(30)의 챔버들(31, 32)과 유체 결합되고 타측으로는 각각 브레이크 토크를 생성하는, 차량의 휠들과 결합된 휠 브레이크 실린더들과 유체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제1 및 제2 브레이크 회로와,
    - 운전자에 의해 작동될 수 있는 전체 브레이크 페달 경로 또는 전체 브레이크 페달 경로의 섹션들에 걸쳐 작동될 수 있는 페달감-시뮬레이터(600)를 추가로 포함하며,
    - 이때 페달감-시뮬레이터(600)는 입력측에서 제1 브레이크 회로 및 제2 브레이크 회로 중 어느 하나 또는 두 브레이크 회로 모두와 유체 결합되는 유체 라인(100)을 통해 주 브레이크 실린더(30)의 챔버(32)와 유체 결합되고, 페달감-시뮬레이터(600)는 출력측에서 평상시 차단된 밸브(70)가 배치되어 있는 유체 라인(60)을 통해 사전 충전 링 챔버(40)뿐만 아니라 유압액 리저브(50)와도 유체 결합되고,
    유체 라인(15)을 통해 일측 단부에서 페달감-시뮬레이터(600)의 유체 라인(60)과 유체 결합되고, 타측 단부에서 사전 충전 링 챔버(40)와 유체 결합되는 체크 밸브(20)가 추가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브레이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평상시 차단된 밸브(70)는 복수의 밸브들의 기능을 단일 부품 내에서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브레이크 시스템(10).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1 브레이크 회로와 제2 브레이크 회로 내에 각각 평상시 개방된 전환 밸브들(105, 205)이 배치되어 있고, 페달감-시뮬레이터(600)는 제1 브레이크 회로의 평상시 개방된 제1 전환 밸브(105)의 상류에서 제1 브레이크 회로의 평상시 개방된 제1 전환 밸브(105)와 유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브레이크 시스템(10).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유체 라인(71)을 통해 평상시 차단된 밸브(70)의 하류에서 평상시 차단된 밸브(70)와 유체 결합되는 제어 가능한 체크 밸브(5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브레이크 시스템(10).
  5. 제4항에 있어서, 제어 가능한 체크 밸브(55)용 유체 라인(71)은 바이패스 유체 라인으로 형성되고, 이때 제어 가능한 체크 밸브(55)는 일측 단부에서 페달감-시뮬레이터(600)의 유체 라인(60)과 유체 결합되고, 타측 단부에서 사전 충전 링 챔버(40)와 유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브레이크 시스템(10).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페달감-시뮬레이터(600)는 출력측에서 주 브레이크 실린더(30)의 챔버들(32) 중 하나의 챔버와 유체 결합되고, 이때 주 브레이크 실린더(30)는 이를 위해 해당 스니핑(sniffing) 보어(81)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브레이크 시스템(10).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브레이크 시스템(10)은, 브레이크 회로들 중에 하나의 브레이크 회로 내부로만 유압액 공급이 실행될 수 있는 방식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브레이크 시스템(10).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주 브레이크 실린더(30)는, 유압식으로 작용하는 2개 이상의 면들(46, 47), 유압액으로 충전될 수 있고 부유 피스톤(33)과 로드 피스톤(45)에 의해 서로 유체 분리된 3개 이상의 압력 챔버들(31, 32, 40), 또는 상기 2개 이상의 면들과 상기 3개 이상의 압력 챔버들 모두를 구비하고, 이때 로드 피스톤(45)은, 운전자에 의해 작동될 수 있는 브레이크 입력 부재(48)와 결합 가능한 단계 피스톤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브레이크 시스템(10).
  9. 브레이크 시스템(10)의 기능 오류의 경우에 브레이크 입력 부재(48)는 운전자에 의해 작동되고, 평상시 차단된 밸브(70)는 개방되어 유압액이 유압액 리저브(50) 내로 흘러서 브레이크가 고장 대체 상태에서 제동될 수 있는,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브레이크 시스템(10)의 작동 방법.
  10. 삭제
KR1020140158310A 2013-11-14 2014-11-13 차량용 브레이크 시스템 및 브레이크 시스템을 작동하기 위한 방법 KR1022752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3223207.1 2013-11-14
DE102013223207.1A DE102013223207A1 (de) 2013-11-14 2013-11-14 Bremssystem für ein Fahrzeug und Verfahren zum Betreiben des Bremssystem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6069A KR20150056069A (ko) 2015-05-22
KR102275281B1 true KR102275281B1 (ko) 2021-07-12

Family

ID=53184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8310A KR102275281B1 (ko) 2013-11-14 2014-11-13 차량용 브레이크 시스템 및 브레이크 시스템을 작동하기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75281B1 (ko)
DE (1) DE10201322320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5208876A1 (de) * 2015-05-13 2016-11-17 Robert Bosch Gmbh Hydraulikaggregat und Bremssystem für ein Fahrzeug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8001013A1 (de) 2008-04-04 2009-10-08 Robert Bosch Gmbh Hydraulische Fahrzeugbremsanlage
DE102011006310A1 (de) * 2010-03-29 2012-12-27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Bremsanlage für Kraftfahrzeuge
WO2011120962A1 (de) 2010-03-29 2011-10-06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Bremsanlage für kraftfahrzeuge
KR101359338B1 (ko) * 2012-03-13 2014-02-11 주식회사 만도 통합 전자제어 유압제동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70573호(2013.06.27.공개) 1부.*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104160호(2013.09.25.공개) 1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3223207A1 (de) 2015-05-21
KR20150056069A (ko) 2015-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97098B2 (ja) 車両のためのブレーキシステム
JP5123972B2 (ja) 車両用ブレーキ装置および車両用ブレーキ装置の制御方法
JP5220827B2 (ja) 車両用ブレーキ装置
CN108657154B (zh) 电子制动系统
KR101901043B1 (ko) 브레이크 제어 장치, 브레이크 시스템 및 브레이크 액압 발생 방법
JP5558552B2 (ja) 車両用ブレーキ装置の制御方法
JP5497739B2 (ja) ブレーキ装置
JP4717721B2 (ja) ブレーキ装置
CN105691370A (zh) 电子制动系统
EP2520473A1 (en) Vehicle brake device and vehicle brake device control method
KR102053714B1 (ko) 적어도 하나의 유압 구동 가능 디바이스, 특히 차량 브레이크용 구동 시스템
JP2007230435A (ja) ブレーキ装置
KR102552999B1 (ko)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
JPWO2010106993A1 (ja) ブレーキ装置におけるスレーブシリンダの固着解消方法
JP2008110633A (ja) ブレーキ装置
JP4950149B2 (ja) ブレーキ装置
JP5204011B2 (ja) ブレーキ装置におけるエア抜き方法
JP5005555B2 (ja) ブレーキ装置
KR102275281B1 (ko) 차량용 브레이크 시스템 및 브레이크 시스템을 작동하기 위한 방법
JP5927093B2 (ja) ブレーキ装置
KR102211825B1 (ko) 차량의 능동 유압 부스터 시스템
KR102576408B1 (ko)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
KR20140041791A (ko) 차량용 브레이크 시스템 및 차량 브레이크 시스템의 작동 방법
JP5124037B2 (ja) ブレーキ装置
KR102036900B1 (ko)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